2020/02/04

Friends Service Unit in Korea: 1952-57

Friends Service Unit in Korea: 1952-57



Friends Service Unit in Korea: 1952-57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1950-53), The Friends Service Unit (FSU) – a joint arm of the British Friends Service Council (FSC) and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AFSC) – provided humanitarian and medical aid to refugees and others affected by the war.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roke out in 1950.  By January 1951, six million people (one third of the Korean population) had become refugees.  Thirty thousand children were in orphanages and as many again were without shelter.  The UN was providing food relief and carrying out mass inoculations against diseases such as smallpox and typhoid.  Nevertheless, tuberculosis was rife.
In October 1952, the UN invited civilian organisations, including the Quakers, to help with relief efforts. Jonathan Rhodes from the AFSC and Lewis Waddilove from FSC visited South Korea, and identified Cholla Pukto, where there were two hundred thousand mainly North Korean refugees, and Kunsan, where there were thirty three thousand, as areas where Friends could be of most use.
In July 1953, a ceasefire was signed, and Frank and Patricia Hunt arrived to set up the Friends Service Unit, setting up base in Kunsan.  In October, an international team of doctors, nurses and a physiotherapist arrived from England, Ireland, Scotland, Sweden, Norway and the USA. They lived in a Korean house and operated out of the provincial hospital.
Kunsan Hospital had been left unfinished after the Japanese withdrawal from Korea and had then been bombed by the Americans.  There was little equipment, no heating, no running water and only intermittent electricity. The AFSC shipped relief supplies of food, medicine and bedding. Social workers from the USA and Norway began to assess welfare needs. Warm clothing and bedding were distributed by local volunteers.  Milk stations were set up serving hot milk and vitamins to children and pregnant women.
Over the winter, the priority lay in dealing with malnutrition.  However, plans were being drawn up for the rehabilitation of refugees.  American Quaker Floyd Schmoe, who had been helping with reconstruction work following the bombing of Hiroshima in Japan, set up Houses For Korea - a building project that provided refugees with the materials and training to construct their own houses.  Schools were started in the camps, with Korean teachers paid for by the FSU.  Adult literacy classes were started for war widows, and games of volleyball and basketball were organised.
Sewing machines were brought, and the war widows opened tailoring shops, a dry cleaners, and a business making soya bean curd.  Goats, bees and seeds for planting allowed the refugees to supply some of their own food.
In cooperation with the UN, Friends ran a training school for Nurse Aides.  They restored the Pathology lab at the hospital and trained lab technicians. David Ward, the physiotherapist, helped to fit prosthetics, made by local craftsmen, to those who had lost limbs in the war. A nurse, Ann Sealey, and a doctor, Jean Sullivan, started an antenatal and midwifery service.
The FSU started an outpatients’ service for sick children and opened a children’s ward in the hospital, where the children were looked after by a House Mother.  In some cases, children had been abandoned by their families and Friends arranged adoption with families in America.
The Korean authorities had little money to pay hospital staff and locals’ salaries were often paid in part by the FSU.  Throughout the time the FSU operated, the AFSC continued to provide vital medical supplies.
The FSU continued to operate until 1957, under the leadership first of Geoff Hemingway (1953-56) and then under Robert Grey.

Quakers in Korea



Quakers in Korea





Related Articles
Friends Service Unit in Korea: 1952-57
Floyd Schmoe
Ham Sok-Hon

Quakers in Korea

The Quaker presence in Korea dates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1950-53). In the aftermath of the war, The Friends Service Unit (FSU) – a joint arm of the British Friends Service Council and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 provided humanitarian and medical aid to refugees and others affected by the war.

From their base in Kunsan, the FSU initially tackled problems of severe malnutrition. Later Houses for Korea was set up by AFSC’s Floyd Schmoe, providing refugees with the materials and training to construct their own houses. Schools were started in the camps, with Korean teachers paid for by the FSU. Adult literacy classes were started for war widows, and games of volleyball and basketball were organised.

The FSU was heavily involved with training local Korean doctors and nurses. They set up a physiotherapy unit to help war amputees, and ante-natal and midwifery service and both out-patient and in-patient services for sick children.

When the FSU was wound up, at the end of 1957, local Koreans who had been working with the Quakers wanted to continue their connection with Quakerism. With the help of American Quaker families living in Seoul (in particular, Reginald Price and Arthur Mitchell), a group began to meet regularly for silent, unprogrammed worship, and for study and discussion.

The first Quaker text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was Rufus Jones' Quaker's Faith in 1960. It watranslated by Yoon Gu Lee and printed for distribution among members.

Seoul meeting was eventually recognized as a monthly meeting in 1964 under the care of the Friends World Committee for Consultation (FWCC), and in 1967 moved into its own Meeting House. As one member of the meeting was blind, the meeting became involved in the welfare of the blind. Some members gathered periodically to transcribe religious articles into Braille and a work camp was organized to repair a road near one of the homes for the blind.
---
One Ko
rean who had first encountered Quakers through their work in Kunsan was the human rights activist, Ham Sok Hon. Ham was impressed by the Quakers’ pacifism, egalitarianism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questions of social justice. Ham started to attend Seoul Quaker meeting and became a member of the Society of Friends in 1967, after attending the Friends World Conference in North Carolina.

“You were already a Quaker before you became one,” an American Friend, Arthur Mitchell, told him.

Ham spoke out against dictatorship and injustice in South Korea. He carried out a hunger strike in 1965, was imprisoned in 1976 and 1979, and was placed under house arrest in 1980. South Korea finally achieved full democracy in 1987. The following year, when the Seoul Olympics were held, Ham was selected to be the head of the Peace Olympiad, which drew up a declaration calling for world peace.

Under Ham’s leadership, and with the support of Mary and Lloyd Bailey, who stayed in Korea during 1983/4 under the auspices of the Friend in the Orient Committee of Pacific Yearly Meeting and continued to correspond with the meeting for many years after, Seoul Meeting flourished. Although membership declined after Ham’s death in 1989, it has revived again since 1998.

Conscientious objection has been a key issue for Quakers in South Korea. In a country still technically at war with North Korea, compulsory military service is considered essential and for many years COs had no option but to serve or to go prison. QUNO (Quaker United Nations Office) and FWCC were among those who campaigned for some form of alternative service to be offered, and this was finally implemented in 2007.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has maintained a presenc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They currently run an agriculture programme, helping farmers introduce techniques of rice cultivation adapted to the short growing season in DPRK.

AFSC continues to campaign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ests, while warning that isolating or ignoring North Korea is not only unrealistic but dangerous.

08 자서전 ‘간절히 꿈꾸고 뜨겁게 도전해라’ 펴낸 가천길재단 이길여 회장 : 여성동아

자서전 ‘간절히 꿈꾸고 뜨겁게 도전해라’ 펴낸 가천길재단 이길여 회장 : 여성동아

자서전 ‘간절히 꿈꾸고 뜨겁게 도전해라’ 펴낸 가천길재단 이길여 회장
사진·조영철 기자, 가천길재단 제공


입력 2008.12.22




직원 5천여 명이 일하는 가천길재단을 이끌고 있는 이길여 회장. 깡촌에서 여자로 태어난 설움을 톡톡히 맛보며 자란 그의 성장과정과 남다른 도전, 성공의 기록은 한편의 영화같이 흥미진진하다. 그의 성공신화는 쉼없이 계속되고 있기에 더욱 세인의 관심을 끈다. 환한 웃음과 생동감으로 주위 사람까지 밝게 만드는 그를 만났다.

진회색 줄무늬 수트에 와인빛깔 블라우스, 하이힐을 신은 모습이 경쾌하고 화사하다. 인천 가천의과학대 집무실에서 만난 가천길재단의 이길여 회장(76). 한창때의 젊은이 같은 생동감, 환한 웃음이 곁에 있는 사람까지 활기차게 만든다.
먼저 집무실 밖의 탁 트인 공간에서 인터뷰 사진을 찍자는 제안을 했다. 사진 촬영 도중 캠퍼스 이곳저곳을 걷는 사이 자연스럽게 인터뷰를 시작했다.
“운동이요? 전엔 매일 걷기를 했는데, 요즘엔 계단 오르듯 한 발씩 밟아 오르내리는 스테퍼(stepper)를 해요. 한 시간씩. 스테퍼가 운동량이 많아 좋더라고. 자리도 덜 차지하고.”
그는 하이힐을 신고 잘 걷는다. 사진기자가 요구하는 대로 포즈도 잘 취해준다. 웃으라고 주문하지 않아도 내내 웃고 있다. “활짝 웃어주셔서 좋아요” 하자, “기분이 아주 좋아서 그래요. 사진기자가 즐겁게 촬영하게 해주네요” 한다.
이 회장을 보고 간호복 차림의 꽃다발을 든 학생 여럿이 함께 사진을 찍어달라고 몰려든다. 그는 흔쾌히 응해준다. 옆에 있던 학교 관계자가 “좀 전에 나이팅게일 선서식을 한 간호학과 2학년생들”이라고 설명했다.
새로 지은 건물들이 많지만 널찍한 공간에 나무들이 곳곳에 자리해 캠퍼스는 차분하면서 편안한 분위기다. 작은 조롱박들이 지붕에 달린 오두막에서 포즈를 취한 이 회장은 둘러선 나무들을 정겹게 바라보았다.
“조그마할 때 양재동 화훼시장에서 사서 집에서 3~4년간 키워 이곳에 옮겨 심은 것들이죠.”

건강 비결은 매사에 좋게 생각하는 습관
가천의과학대 이사장실인 집무실에서 이 회장과 마주 앉았다. 가천길재단은 산하에 길병원과 가천의과학대, 경원대, 가천문화재단, 경인일보 등을 두고 있는데, 그는 경원대에서 총장으로 재직하고 다른 곳에서는 모두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야채 주스를 한 잔 마시고, 우유와 토마토 주스를 마시죠. 점심 저녁은 밖에서 먹는데, 가리는 거 없어요. 개하고 뱀만 빼고(웃음). 저 대식가예요. 지난번에 골프 치는데 혼자만 빵하고 두유를 먹으니까 같이 간 사람들이 젊은 사람 같이 먹는다고 하더라고.”
그는 최근 2년 반 만에 길병원에서 위 내시경 검사를 했는데 “장기가 청년 같다”는 소리를 들었다면서 활짝 웃는다. 아침 7시50분쯤 보고서를 검토하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이 회장은 빽빽한 스케줄로 인해 밤 10~11시에 일을 끝내는 날이 적지 않다고 한다. 늘 바쁜 생활을 하면서도 지치지 않는 그가 첫손에 꼽는 건강비결은 뭘까.
“매사에 좋게 생각하는 습관이죠. 왜 그런 얘기 있잖아요. 우산장수, 짚신장수 아들 둘을 둔 엄마가 날마다 걱정만 한다고. 비가 오면 짚신 안 팔릴까 걱정, 날이 개면 우산장사 망할까봐 걱정한다고요. 그런데 저는 정반대예요. 비가 오면 우산장수 아들 좋겠다고 하고, 맑으면 짚신장수 아들 좋겠다는 식이죠.”
이런 성격은 최근 그가 펴낸 자전 에세이 ‘간절히 꿈꾸고 뜨겁게 도전해라’에서도 엿볼 수 있다. 삶의 긍정적인 면에 시선을 고정시켜 열정을 쏟아붓고 꿈을 이룬 모습이 잔잔한 에피소드 속에 그려져 감동을 전한다. 특히 ‘깡촌 소녀 이길여’의 성장기와 ‘젊은 산부인과 의사 이길여’의 도전기 등은 마치 한편의 동화처럼 가슴 뭉클하게 아름답다.



1 2 미국 유학 후 한국으로 돌아와 병원을 열고 한창 환자를 돌보던 젊은 시절의 이 회장.
3 이 회장이 ‘이길여 산부인과’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4 마흔이 넘은 나이에 떠난 일본 유학 당시 니혼대 연구실 앞에서 동료들과 함께한 이 회장(오른쪽).
5 ‘촌구석’에서 태어나 여자의 몸으로 서울대 의대에 당당히 합격했을 때의 모습(가운데).
6 이리여고 시절 친구와 함께한 이 회장(왼쪽).
7 군산도립병원 근무 당시 만난 퀘이커의료봉사단의 영국인 의사 골든은 진정한 봉사가 무엇인지 행동으로 가르쳐줘 훗날 이 회장이 의사 생활을 하는 데 이정표가 됐다.

‘여자의 설움’ 맛본 어린 시절, “열 아들 부럽지 않은 딸 되리라” 결심
전북 옥구군 대야면 죽산리. 이른바 ‘깡촌’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여자의 설움’을 톡톡히 맛봤다. 첫딸에 이은 둘째는 꼭 아들이기를 바라던 집안 어른들은 그가 딸이라는 사실에 너무나 실망했고, 그의 어머니는 ‘딸 낳은 죄인’이 됐다. 더욱이 자궁외임신으로 수술을 해 더 이상 아이를 못 낳게 되면서 시어머니에게 모질게 구박당하는 며느리가 됐다. 어머니의 눈물을 보며 어린 마음에 큰 상처를 받아서인지 그는 여섯 살이 될 때까지 말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날 말문이 터지자 ‘마을에서 가장 말 잘하는 아이’로 통할 만큼 활달한 모습으로 변했다. 어머니는 어린 시절 그를 껴안고 ‘두고 봐. 이 아이를 어느 아들 못지않게 훌륭한 딸로 키우고 말 거야’라고 다짐, 또 다짐했다고 한다. 그 영향인지 그 또한 ‘내가 남자였으면…’ 하는 생각에서 벗어나 ‘그래, 딸이 아들보다 낫다는 걸 보여주고 말 테다.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돼 세상 남자들 코를 납작하게 만들어줄 거야. 열 아들 부럽지 않은 딸이 될 거야!’ 이를 악물었다. 어린 나이였지만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스스로 최면을 걸듯 되새겼다.
그는 악착같이 공부했다. 초등학교 1학년 첫 시험에서 1등을 하자 주위 사람 모두 눈을 비비며 놀라워했다. 줄곧 1등을 달렸다. 여자라고 해서 못하는 것도 없었다. 반장을 도맡았고 말 타기 대장도 했다. 여학교에 다닐 때도 그는 수석을 놓치지 않으며 공부에 매달렸다. 집집마다 호롱불을 쓰던 시절, 마을에서 전깃불이 들어오는 곳은 방앗간뿐이었다. 그는 저녁상을 물리기 무섭게 책 보따리를 들고 방앗간에 달려가 공부하다 칠흑같이 어두운 밤길을 혼자 걸어 집으로 돌아왔다. 대문 밖에 나와 서 있던 어머니가 “무섭지 않냐? 귀신 나오면 어떻게 하려고 그러냐!” 하면 그는 “그까짓 게 뭐 무서워? 아까 공부한 거 큰 소리로 외우면서 오면 금세 오는데 뭘!” 모녀는 늘 똑같은 말을 주고받으며 마주보고 웃었다.
“나중에 어머니가 말씀하시데요. 다른 아이 같으면 밤길이 무서워 돈을 줘도 가지 않았을 텐데, 어린 것이 공부하겠다고 방앗간까지 매일 오가는 것이 기특하기도 하고, 섬뜩하기도 했다고.”

천덕꾸러기 딸이 꿈을 이루도록 뒷바라지해준 어머니
그는 초등학생 시절 이미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소꿉친구가 전염병으로 죽었는데, 그땐 아이가 죽으면 가마니에 말아 지게에 지고 가서 논두렁에 묻었죠. 지금은 나와 죽음이 얼마 멀지 않다고 느끼지만 고만할 땐 상상도 못할 일이잖아요? 어린 가슴에 충격을 받았고, 아픈 사람을 고쳐주는 의사가 되겠다고 마음먹었죠.”
그의 나이 열다섯 살 때 아버지가 급성폐렴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뜨자 의사가 되겠다는 꿈은 확고부동한 목표로 자리 잡았다.
“아버지는 평소 감기 한번 걸리는 일 없이 건강하셨죠. 그런데 서른다섯밖에 안 된 젊은 아버지가 감기 기운이 있는 것 같다며 몸져 누운 지 닷새 만에 돌아가셨어요. ‘일본에서 병이 났더라면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었을 텐데…’ 아버지 시신 앞에서 목 놓아 울던 삼촌의 말이 오래도록 귀에 울렸죠.”
아버지가 세상을 뜨고 가세가 기울자 친할머니는 “길여의 학업을 그만두게 하자”고 나섰다. 하지만 그의 어머니는 “전교 1등하는 아이에게 그렇게 할 수는 없다”며 끝까지 막아섰다. 대학입시를 앞두고 6·25가 터졌을 때도 그는 방공호에 들어가 촛불을 켜놓고 공부했고, 1951년 치열한 전쟁 와중에 서울대 의대에 합격했다.


“당시엔 여자가 의대에 진학하는 게 오히려 흉이 됐어요. 하지만 어머니는 ‘아무 걱정 말고 공부하라’며 다독여주셨죠. 의대에 다닐 때는 편지에 늘 ‘엄마 사는 재미는 너 공부하는 거 보는 거다’라고 써보내주셨어요. 또 아직 괜찮으니까 편안하게 하숙하면서 공부하라고 돈을 보내주시고, 힘든 내색 한번 안 하셨죠.”
그는 대학 졸업 후 인천에 자성의원을 열었다. 환자들을 보느라 바쁜 와중에 여기저기서 맞선자리가 들어왔다. 딸에게 간섭하는 일 없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던 어머니가 그때부터는 틈만 나면 “선 봐서 결혼하라”며 성화였다. 하지만 “선 볼 시간 있으면 환자 한명 더 볼 것”이라고 고집을 부리던 그는 선진 의료기술을 배우기 위해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서른두 살 때였다. 처음에 유학을 만류하던 어머니는 섭섭한 마음을 내비치지 않았다. 오히려 딸에게 “내 걱정 하지 마라. 네가 훌륭한 의사가 돼 잘 살면 바랄 게 없으니 돌아오지 마라”는 말을 했다.






1 총장으로 있는 경원대 학생들과 함께한 이 회장.
2 백령도와 대청도 등 서해 섬지역 주민들의 진료를 담당한 백령길병원 앞에서 직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3 이 회장은 해마다 가천의대 졸업생들의 목에 직접 청진기를 걸어준다.


4 길병원의 무의촌 무료 진료 모습. 그가 무의촌을 찾으면 평생 병원 한 번 가본 적 없고 의사 얼굴 처음 본다는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5 자유롭고 활기 넘쳤던 미국 유학시절. 당시 이 회장은 동료들과 함께 종종 조촐한 파티를 열었다.
6 지난 89년 길병원에서 인천의 첫 네 쌍둥이로 태어난 슬·설·솔·밀 자매와 함께.
7 이 회장은 백령길병원을 운영하면서 ‘심청효행상’을 제정해 전국 초중고 여학생 가운데 효성이 지극한 이들을 뽑아 시상했다.

“제가 떠난 날 어머니가 고향마을 나무 밑에서 주저앉아 홀로 우셨다는 얘기를 나중에 전해들었어요. 주위 사람들에게 딸이 원하는 일이 있는데 내가 방해하면 되겠느냐고 하셨대요. 지금 생각해도 마음이 아프죠.”
그는 유학생활 5년 만에 어머니의 나라로 돌아왔다. 그가 돌아온 날 속시원하게 눈물보따리를 풀어놓은 그의 어머니는 평생을 딸 걱정, 딸 뒷바라지에 매달려 살았다.
“유학 후 밀려드는 환자들 돌보느라 끼니를 제대로 때우지 못하고 잠도 편히 못 자는 저 때문에 하루도 마음 편할 날이 없으셨죠. 자리에 누우셨을 때도 어머니는 ‘나는 네가 있어 죽을 때가 돼도 이리 호강하는데 너는 어떻게 하냐. 누가 있어 훗날 널 거둘까’ 하며 제 걱정을 하셨어요. 평생 아낌없이 베풀기만 하고 가신 어머니는 지금도 제 인생 최고의 스승이죠.”
이 회장은 미국 뉴욕 메리 이머큘리트 병원(Mary Immaculate Hospital)에서 인턴 과정을, 퀸스종합병원(Queen’s Hospital Center)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마쳤다. 그는 “뉴욕은 엄격한 유교 집안에서 자란 나에게 무한한 자유를 안겨준 동시에 두꺼운 껍질을 벗게 해준 도시였다”고 회고한다. 뉴욕 생활 5년 간을 그는 ‘인생의 황금기’로 꼽는다. 선진 의료시스템과 의료기술을 배운 것은 물론 세상을 크고 넓게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웠다는 것이다. 또한 “이때 무슨 일이든 거침없이 실행하는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했다”고 덧붙인다.

유학시절 청혼 거절하고 귀국해 ‘환자들과 결혼’


이 회장은 처음으로 뉴욕에서의 짧은 로맨스도 공개했다. 퀸스종합병원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마칠 무렵, 어느 날 키가 훤칠하고 잘생긴 한국 남자가 꽃을 들고 찾아왔다. 식료품점에서 그를 보고 점원에게 근무지를 물었다고 했다. 두 살 많은 교포 사업가였다. 그는 예쁜 원피스에 브로치를 다는 등 한껏 멋을 내고 차문을 열고 닫아주는 매너를 지닌 그 남자와 로맨틱한 데이트를 즐겼다고 한다. 주말엔 뉴욕 외곽의 공원으로 피크닉을 가기도 했다. 그곳에서 나란히 누워 밤하늘의 별을 헤아리고 새벽 이슬을 맞을 때까지 춤도 췄다.
그 남자의 청혼을 거절한 날 그는 밤새 울었다고 한다. 이미 그는 귀국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때 제 머릿속엔 가난하고 못 배우고 하루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수많은 환자들이 절 기다리고 있었어요.”
그는 “내가 의사가 된 것과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살게 된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라고 단언한다. 때문에 “혼자 살아온 삶에 한 점의 아쉬움도 후회도 없다”고.
귀국 후 그는 처음 병원 문을 열었던 그 자리에 ‘이길여 산부인과’를 차렸다. 당시만 해도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의사가 거의 없을 때여서 소문이 퍼지자 병원은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산부인과 의사가 여자라는 점도 환자를 몰리게 하는 데 한몫했다.
밤낮없이 밀려드는 환자를 보기 위해 그는 근 10년 동안 하루를 한 끼 식사로 때웠다. 병실이 부족할 때는 병원 꼭대기에 있는 자신의 방에도 환자를 들였다. 당시만 해도 병원비를 안 내고 도망가는 환자들 때문에 병원들은 반드시 보증금을 받아야 수술을 해주고 입원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그는 보증금 없이도 수술을 해주었고 무료진료권을 나눠주기도 했다.
“당시만 해도 내성 있는 균이 드물어서 페니실린이나 마이신 주사만 놓아줘도 병이 낫는 경우가 많았어요. 하지만 의식주 해결이 안 될 때니 병원비가 없어 그냥 집에서 죽을 날 기다리는 경우도 허다했죠. 자궁외임신은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몰라 생명을 잃는 사람도 많았어요.”
그는 ‘의사 얼굴을 하느님 보듯 하는’ 환자들을 한시라도 빨리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싶었다고 한다. 2층 수술실로 올라갈 때 그의 언니는 그 순간을 포착해 달걀노른자를 넣은 우유를 마시게 하려고 쫓아왔다. 하지만 우유 한 잔 먹을 정신적인 여유가 없었다. 심지어 좀 더 많은 환자를 보기 위해 진찰실에서 바퀴 달린 의자를 사용했다. 시간을 절약하려고 침대 3개를 놓고 의자를 밀면서 다녔는데, 방향이 조금 엇나가면 벽에 부딪히거나 침대 모서리에 부딪히기 일쑤였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지냈지만 순간순간이 행복했어요. 이제 다 나았다는 소리를 매일같이 수백명에게 듣는 게 얼마나 신나고 즐거운 일이었겠어요.”




이길여 회장은 사업가로서 아무리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도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망설임없이 결정하는 ‘배포’를 보여 주위에서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이렇게 환자들과 더불어 지내면서 그의 ‘젊은 날’이 빠르게 지나갔다. 그 시절을 떠올리며 이 회장은 핑크빛 잠옷 얘기를 들려줬다.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올 때 사왔는데, 한 번도 입지 못했다고. 잠옷을 갖춰 입고 침대에서 제대로 잘 수 있는 기회가 없었다는 것이다. 사온 지 10년쯤 지나니 살이 쪄서 어깨 부분이 껴 그만 입을 수 없게 됐다고 한다. 그래도 미련이 남아서인지 아직까지 간직하고 있다고.
“지금 봐도 예뻐요. 소매 없는 원피스에 가운을 걸치게 돼 있는데, 한동안 벽에 걸어놨다가 지금은 장롱에 넣어두었죠.”
이 회장은 ‘핑크빛’을 가장 좋아하는 색상으로 꼽는다.
병원일에만 파묻혀 계절이 바뀌는 것도 모르고 지내던 그는 두 번째 도전을 감행했다. 마흔세 살의 나이로 일본 유학을 떠난 것이다. 그는 2년 만에 박사학위를 따왔다. 특히 그는 일본에서 인생의 전기가 될 만한 세 가지 중요한 결심을 했고, 귀국해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다. 첫째 결심은 종합병원을 만들겠다는 것, 둘째는 의료 취약지역에 병원을 세우겠다는 것, 마지막으로 좋은 의사를 많이 기르기 위해 교육에 힘쓰겠다는 것이었다.
78년 먼저 그는 그간 모은 돈으로 대사업을 벌였다. 의료법인 길병원을 만들어 종합병원을 설립한 것. 민간으로서는 최초 의료법인으로, 개인 소유의 것을 사회에 내놓는다는 뜻이기도 했다. 그런데 병원이 완공되기까지 무수한 소문이 나돌았다. “이길여가 병원을 짓느라 부도를 냈다” “완전히 망했다”에서 “이길여가 빚에 몰려 자살했다”는 소문에 이르기까지. 하지만 정작 그는 실패는 상상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오직 경인지역 최대 병원으로 길병원을 키우겠다는 의지밖에 없었다.

큰 ‘배포’로 사업 펼쳐 주위에서 혀 내두르게 만들어


이길여 회장의 병원 운영방식은 그야말로 저돌적이다. 병원을 확장해나갈 때 그는 매번 5년을 승부를 내는 기간으로 삼았다고 한다. 새로 일을 벌일 때 그는 5년짜리 부금을 들고 수지타산을 맞춰보아 적자를 감당해낼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 곧바로 뛰어드는 방법을 취해왔다. 길병원(동인천) 설립을 시작으로 82년 양평 길병원, 87년 중앙 길병원, 88년 철원 길병원, 93년 남동 길병원 등을 차례로 열어 거대한 ‘의료왕국’을 이룩했다.
그는 아무리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도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망설임 없이 바로 결정하는 ‘배포’를 보여 주위에서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최근 6백40억원을 들여 뇌과학연구소를 건립하는가 하면 6백70억원을 투자한 암·당뇨연구원도 개원했다. 내년엔 22층 규모의 최첨단 의료장비를 갖춘 암센터를 완공해 길병원이 ‘동북아 허브 병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만든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한편 그는 ‘의료사업’이 ‘봉사’를 겸해야 한다는 뜻이 굳다. 적자를 감수할 생각으로 양평·철원 등 의료 취약지역의 병원을 인수했을 때는 직원들의 반대를 단호히 물리치기도 했다. 학비가 전액 무료인 가천의과학대를 설립할 때도 마찬가지.
“어릴 때 어머니께서 ‘다른 사람에게 덕을 베풀면 후대에 받는다’고 하셨죠. 걸인에게 좋은 옷을 주셔서 제가 불평을 하면 너희대에 다 잘살 거라고 하셨던 말씀이 안 잊혀요. 그래서 직원들에게 그랬죠. 좋은 일 하면 후대에 그대로 받는다는데 나는 자식이 없으니, 여러분의 자녀가 나중에 다 복받을 거 아니냐고요.”
이 회장에게 직원 5천여 명의 대한민국 대표 공익법인인 가천길재단을 이끌어온 리더십은 어떤 것인지 물었다. 그는 “한마디로 사랑”이라고 답한다. 사랑을 바탕으로 한 헌신이 사람을 끌어당긴다는 것. 자신의 성공비결로 첫손에 꼽는 게 ‘열정’이라고 밝히는 이 회장은 70여년간 살아온 인생에 대한 정의도 명쾌했다.
“이 세상에 태어난 것, 살다 가는 것은 정말 복받은 거예요. 정자 몇십만 개의 경쟁을 뚫고 엄마 배 속에서부터 혜택을 받아 태어나는 것이거든. 큰 축복을 받았으니 꽃을 피우고 받은 것을 갚고 가야죠. 전 젊은 시절부터 인생이 짧은 거라 생각했어요. 너무나 짧은 인생길, 주어진 자기 역할에 최선을 다해 살아야지요.”
이 회장의 취미는 무얼까. 그는 얼마 전 글씨공부를 하려다 그만뒀다고 한다.
“글씨를 쓰려면 명상을 오래 해야 하는데 도무지 시간을 낼 수가 없어요. 열심히 일하는 게 취미라고 할까. 일에 몰두하는 게 행복하고 즐거워요.”




가천의과학대 교정에서 나이팅게일 선서식을 하고 나오는 간호학과 학생들과 함께 포즈를 취한 이 회장.
그는 잠자리에 들면서도, 잠에서 깨어나서도 할 일을 계획하고 떠올리면 의욕이 넘친다고 한다. 자다가 벌떡 일어나 좋은 아이디어를 메모지에 적어놓기도 한다는 그는 “좋은 아이디어는 순간 왔다 사라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귤을 크기에 따라 뚝뚝 떨어뜨리는 컨베이어 벨트를 생각해보면 돼요. 줍지 않으면 떨어져 흘러가는 거죠. 그 시간, 그 순간에 줍지 않으면 계속 못 주워요.”
그는 막 일을 시작한 신입사원처럼 의욕에 넘치는 모습이다.
이 회장의 애창곡은 신나는 리듬의 ‘여행을 떠나요.’
“우리 학생들이 무대를 꾸밀 땐 언제나 그 음악을 틀어요(웃음).”
“아까 보니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 같다”고 하자 “내가 나타나면 특히 신명여고(94년 신명학원 인수) 학생들은 연예인 대하듯 열광한다”고 웃으며 답한다. 인터뷰를 지켜보던 학교 관계자가 한마디 거들었다. 이 회장에게 좋은 기(氣)를 받아 좋은 대학에 가겠다고 하면서 그의 손을 잡으려는 쟁탈전도 치열하다고.
인터뷰를 마치며 기자도 그의 손을 덥석 잡았다.
“저도 좋은 기를 좀 받을게요.”



▼ 이길여 회장은…
1932년 전북 옥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미국 메리 이머큘리트 병원과 퀸스종합병원에서 수련의 과정을 마쳤으며, 일본 니혼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학 후 이길여 산부인과를 개원했으며 의료혜택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무료 진료를 실시하고 병원 보증금을 없애는 등의 노력으로 병원 문턱을 낮췄다. 78년 전 재산을 털어 의료법인을 설립했고 여러 전문 병원을 열었다.
현재 직원 5천여 명의 대한민국 대표 공익법인 가천길재단의 회장으로 의료와 교육·문화·언론을 아우르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길병원·경원대·가천의과학대·경인일보 등을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가천문화재단·가천박물관·새생명찾아주기운동본부·가천미추홀봉사단 등의 문화 및 봉사 단체를 만들기도 했다. 2003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여성동아 2008년 12월 540호

Celeb 목록보기좋아요

오강남 - 함석헌 무교회에서 퀘이커교로



함석헌기념사업회



신천 함석헌 / 오강남
작성자 바보새 16-07-19 10:54 조회1,039회 댓글0건


신천 함석헌
민주화에 앞장섰던 행동하는 신비주의자 법보신문 2011.03.26 11:42 입력 발행호수 : 1089 호 / 발행일 : 2011년 3월 23일


한국역사를 고난의 견지에서 재해석
종교개혁은 동양고전을 통해서 가능
‘씨알의 소리’창간 군부 독재에 맞서




▲함석헌은 1974년 윤보선(왼쪽에서 세번째), 김대중(왼쪽에서 네번째) 전 대통령 등과 함께 민주회복국민운동본부 고문을 맡아 민주화운동에 앞장 섰다.






다석 류영모가 가장 아꼈던 제자가 함석헌(咸錫憲, 1901~1989)이고 함석헌이 가장 존경했던 스승 또한 류영모였다. 두 사람은 비슷하면서도 달랐다. 흰 두루마기를 즐겨 입었고 수염을 길렀다. 근본 사상도 여러 면에서 비슷했다. 그러나 함석헌은 스승 류영모에 비해 키도 크고 외모가 출중했다. 류영모는 삶이 은둔적이고 금욕적이라면 함석헌은 사회개혁에 적극적이었다. 신비주의 전통의 용어를 빌리자면 함석헌은 ‘행동하는 신비주의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함석헌은 평안북도 황해 바다가 용천에서 3남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6세 때 기독교에서 운영하는 사립학교 덕일 소학교에 입학하면서 댕기머리를 잘랐다. 그는 사립초등학교에서 ‘하느님과 민족’을 배울 수 있었던 것을 다행으로 여겼다. 16세에는 양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의사가 될 목적이었다. 학교에서 과학을 배우면서 성경에 대한 의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1901년 평북에서 출생

함석헌은 평양고보 3학년 때인 1919년 3·1운동에 참가했다가 결국 학업을 중단하고 수리조합 사무원, 소학교 선생으로 일해야 했다. 21세가 되던 해 다시 학업을 위해 서울로 올라왔지만 어디에도 받아주는 데가 없었다. 그러다가 집안의 형님 되는 함석규 목사를 만나, 정주 오산학교 3학년에 편입 할 수 있었다. 그는 그해 늦여름 류영모가 오산학교의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평생의 스승을 만나게 됐다. 그는 이때 류영모를 통해 기독교뿐만 아니라 노자와 같은 동양 사상을 접하게 된다. 그러면서 마음으로부터의 믿음을 생각하게 되고 또한 교조주의로 흘러가는 교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가지게 됐다.

그는 1924년 지금의 교육대학에 해당하는 도쿄 고등사범학교에 들어갔다. 여기에서 우치무라의 무교회 모임에 참석하기 시작했다. 스승 류영모에 의해 익히 들었던 인물이었다. 그 모임은 별도의 예배 없이 성경을 읽고 십자가에 의한 속죄를 강조했다. 함석헌은 이곳에서 사회주의와 기독교 사이에서 머뭇거리던 번민에서 벗어나 크리스챤으로 나갈 것을 결심하게 된다.

1928년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해 오산학교로 돌아와 역사를 가르쳤다. 그러나 이내 후회가 밀려들었다. 역사란 것이 온통 거짓말투성이일 뿐 아니라 한국 역사가 비참과 부끄럼의 연속이어서 학생들에게 그대로 가르치자니 어린 마음에 자멸감과 낙심만 심어줄 것 같아서였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한 생각이 떠올랐다. 고난의 메시아가 영광의 메시아라면, 고난의 역사는 영광의 역사가 될 수 있다는 깨달음이었다.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그는 다시 역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한국 역사의 기조(keynote)를 고난(suffering)으로 보고 이런 역사관에 입각해서 한국 역사를 재해석해 낸 것이다. 후에 우치무라의 성서연구모임에 참석했던 유학생들이 귀국해 성서연구모임을 만들고 ‘성서조선(聖書朝鮮)’이라는 동인지를 발간했는데, 함석헌은 고난의 견지에서 한국 역사를 새로 조명하는 글을 연재했다. 이것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라는 명작이다. 이 책은 나중 ‘뜻으로 본 한국 역사’라는 이름의 개정판으로 나왔고 영문판이 출간되기도 했다.

그는 오산학교에 10년간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그는 무교회 신자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무교회도 하나의 교파로 굳어갔다. 또 우치무라에 대해서도 개인숭배 현상마저 일어나자 반감이 일기 시작했다. 특히 예수가 내 죄를 대신해서 죽었음을 강조하는 우치무라의 십자가 대속 신앙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그는 오산학교에 있으면서 한국의 구원은 ‘믿음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을 통해 농촌을 살려내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1936~1937년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정점에 달하면서 오산학교 관계자들도 점차 총독부와 타협하기 시작했다. 그는 학교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 후 송산농사학교로 옮겨갔으나 설립자가 독립 운동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검거됨에 따라 덩달아 옥살이를 해야 했다.

그는 해방 전에 4차례, 그 이후로도 3차례 옥고를 치렀다. 비록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그에게는 사상적으로 심화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그는 감옥에서 불교 경전을 읽었고 노장 사상을 숙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신비적인 체험’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경험을 통해 그는 모든 종교는 궁극에 있어서는 하나라는 확신에 이를 수도 있었다.

함석헌은 감옥에서 깨달은 바를 스스로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장차 오는 시대의 말씀은 무엇이며, 누가 받을까. 새 종교개혁이 있기 위해 이번도 새 학문의 풍(風)이 일어나야 하지 않을까. 그러면 역시 과거의 새로운 해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고전(古典) 연구가 필요하다. 그 고전은 어떤 것일까. 서양 고전이 될 수는 없다. 그것은 이미 다 써먹었다. 그럼 동양 고전을 다시 음미하는 수밖에 없을 거다. 막다른 골목에 든 서양문명을 건지는 길은 동양을 새로 맛보는 데서 나올 것이다.”

함석헌은 “기성 종교는 국가주의와 너무 깊이 관련되었기에 낡은 문명과 함께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종교 없는 그리스도교를 말한 디트리히 본회퍼나 예수 탄생 때 동방에서 선물이 온 것처럼 지금도 동방에서 새로운 정신적 선물이 와야 한다고 한 토마스 머튼의 이야기와 닮아있다.

무교회에서 퀘이커교로

함석헌은 해방 후 강권에 의해 임시자취위원회 회장이 되고, 이어서 평안북도 임시정부 교육부장의 책임을 맡기도 했다. 그러나 반공 시위인 신의주 학생시위의 배후로 지목되어 소련군 감옥에 두 번이나 투옥되는 수난을 겪었다. 견딜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결국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남한으로 넘어왔다. 그는 월남 이후 무교회 친구들의 협력으로 일요 종교 강좌를 열어 1960년까지 자신의 생각을 펼쳤다. 젊은이들 사이에 그의 사상에 공명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그의 생각이 일반에게 알려지면서 한국 교회는 그를 이단으로 낙인찍고, 그의 무교회 친구들도 그를 멀리하기 시작했다. 세 가지 주된 이유는 그가 십자가를 부정하고, 기도하지 않고, 너무 동양적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함석헌은 십자가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라보는 십자가에서 몸소 지는 십자가를 강조한 것이고, 기도도 형식과 인간끼리의 아첨에 지나지 않는 공중기도를 삼갈 뿐이라고 했다. 또 동양 종교의 깊은 뜻을 알지 못하고 그저 교파적인 좁은 생각에 동양적인 것을 배척하는 것에는 결코 동조할 수 없었다. 결국 표층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심층 종교로 들어가는 함석헌을 이해할 수 없었던 셈이다.

그러나 이런 일로 구태여 무교회와 결별할 생각은 없었다. 무교회를 떠난 결정적 계기는 ‘중대한 사건’ 때문이었다. 그가 오산 시절부터 간디를 좋아해 간디 연구회를 만들 정도였는데, 동지들 사이에서 간디의 아슈람 비슷한 것을 만들자는 제안에 따라 1957년 천안에 ‘씨알농장’을 만들고 젊은 몇 사람과 같이 지내게 되었다. 이 때 ‘도저히 변명할 수 없는 잘못’을 저질렀다. 형세는 돌변했다. 친구들이 모두 외면하고 떠나버린 것이다. 견딜 수 없이 외로웠다. 그러면서 관념적으로 믿고 있고 감정적으로 감격하던 십자가가 본인에게도 다른 사람에게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절감하게 되었다.

스승 류영모마저도 그를 공개적으로 질책하고 끝내 그를 내쳤다. 그러나 물론 그에 대한 사랑을 버린 것은 아니었다. ‘다석일지’에 보면 “함은 이제 안 오려는가. 영이별인가.”하며 탄식하는 등 7~8회에 걸쳐 제자 함석헌을 그리는 글이 나온다. 류영모는 “내게 두 벽이 있다. 동쪽 벽은 남강 이승훈 선생이고 서쪽 벽은 함석헌이다.”고 할 정도였다.

심정적으로는 아닐지라도 겉으로는 스승으로부터도 버림받아 홀로 된 그에게 퀘이커교가 나타났다. 퀘이커교에 대해서는 오산 시절부터 들었지만 ‘좀 별난 사람들’이라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 전쟁 후 구호사업으로 한국을 찾은 퀘이커교도들을 만나 처음으로 퀘이커교 신도가 된 이윤구를 통해 퀘이커교를 접하게 되었다. 그는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붙드는 심정으로 퀘이커교 모임에 나갔다. 

1961년 겨울이었다. 그리고 196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 있는 퀘이커교 훈련 센터인 펜들힐(Pendle Hill)에 가서 열 달 동안, 비슷한 성격의 영국 버밍엄에 있는 우드브루크(Woodbrooke)에 가서 석 달 동안 지내게 된다. 이때까지만 해도 특별히 퀘이커교가 될 생각은 없었다. 그러다가 1967년 미국 북 캐롤라이나에서 열렸던 퀘이커교 세계 대회에서 결국 퀘이커교 정회원이 되었다.

간디 존경…씨알농장 열어

함석헌은 류영모와 달리 현실참여에 적극적이었다. 1961년 장면 정권 때 국토 건설단에 초빙되어 5·16 군사 정권이 들어오기 전까지 정신교육 담당 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1970년에는 잡지 ‘씨의 소리’를 창간했다. 그의 ‘씨 사상’을 널리 펼치고 동시에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대변하기도 했는데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정권에 의해 폐간되었다가 1988년 8년 만에 복간되었다. 군사 정권에서는 군사 독재에 맞서서 1974년 윤보선, 김대중 등과 함께 민주회복국민운동본부의 고문역을 맡아 시국선언에 동참하는 등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느라 여러 차례 옥고를 치렀다. 이런 민주화 운동을 인정받아 1979년과 1985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 퀘이커교 봉사회의 추천으로 노벨 평화상 후보자로 추천되기도 했다. 그는 1989년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오산학교장으로 치러진 그의 몸은 경기도 연천읍 간파리 마차산에 묻혔다. 그러다가 2002년 8월15일 독립유공자로 건국훈장이 추서되면서 대전 국립 현충원에 이장됐다.




함석헌은 동서고금의 정신적 전통에서 낚아낸 깊은 사상을 바탕으로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생명, 평화, 민주, 비폭력 등을 위해 힘쓴 행동하는 신비주의자였으며 한국의 간디라 할 수 있다. 그는 류영모의 제자이지만, 어느 면에서 스승이 이루지 못한 부분을 보충했다는 의미에서 ‘청출어남이청어남(靑出於藍而靑於藍)’의 경우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함석헌 오모여인과 동침…자신의 죄 고백 - 뉴시안



함석헌 오모여인과 동침…자신의 죄 고백 - 뉴시안
<함석헌과 한국교회> 함석헌 오모여인과 동침…자신의 죄 고백

박신애 기자
승인 2012.08.17



(19)젖을 내라는데 어미가 썩었소!-1

죄는 참말로는 없다던 함석헌이 이제는 자신이 죄를 지었다고 고백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어떻게 된 일인가? 우선 그가 1960년 9월 30일에 독일에 있는 안병무에게 보낸 편지(18-23)를 읽어보자.

“안 형, 편지 받았습니다. 멀리 계신 형께 이런 말 하고 싶지 않았는데, 어느 때 가서는 해야 하지만, 그래도 본국에 돌아오시기나 한 다음 하려고 했는데, 사실은 그래서 지난 봄 이래 편지 아니 드렸었는데, 이렇게 자꾸 형께로부터 글을 받으니 회답은 해야 하고, 회답을 하게 되니 이 이상 더 속이고 있을 수가 없어졌습니다.
내가 분명 죄 되는 일을 한 게 있습니다. 벌써 전부터 있던 일이지만 그것이 금년 1월에 와서 가까운 친구들에게 알려져 문제가 되었습니다. 단식도 그래 했고, 글과 말을 그만두고 모임을 중지한 것도 그 때문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지금 할 수 없고, 한 마디만 들어두십시오. 여성문제에서 잘못한 것입니다. 놀라고 슬퍼하실 줄 압니다마는 사실입니다. 친구들 다 소식 끊어졌고, 유(영모) 선생도 매우 섭섭하게 여기시는 중입니다.”

여성문제에서 잘못을 했다니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인가? 이 사람은 이말 하고 저 사람은 저말 하지마는 김용준 교수가 <내가 본 함석헌>에서 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내용일 것이다.

함석헌은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천안에서 ‘씨알의 농장’을 경영한 일이 있는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나온 오모 여인이 자진하여 이 농장에 와서 취사와 살림살이를 돕고 있다가 함석헌과 동침을 하는 일이 일어난 것이다.

그런 일이 있은 다음 이 여인에게 심경의 변화가 일어나서 자기의 은사인 김석묵 교수에게 이 사실을 고백한 것이 계기가 되어 1960년 초부터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때부터 함석헌은 고난의 세월을 지나가게 된다. 앞에서 인용한 안병무에게 보낸 편지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의 당시 심정을 잘 읽을 수 있다.

“미국을 간다 한 것도 이래서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낡은 나를 완전히 장사지내고 새로 나보려고 애를 쓰고 있는 중입니다. 내 마음이 말할 수 없이 외롭습니다. 그래서 퀘이커 교도한테 가, 그들을 거쳐 인도로 가서 내 마음의 정화를 힘써볼까 합니다. 그러니 외국 간다 하여도 신이 나는 것도 아니요 한낱 연옥(煉獄)걸음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은 우선 형이 나를 친구로 계속 대해주겠느냐 하는 데 있습니다. 나로서는 그럴 염치(가) 없고, 형의 넓은 생각에 달렸습니다. 지금까지는 잘못했으나 이 이상 더는 할 수 없으니 안면으로 친구 노릇을 할 수는 없고, 정말 용서를 하신다면 친구관계를 계속하지만 만일 형의 마음에 그리 못된다면 차라리 교통 아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를 버리지 않거든 또 소식 주시오. 아아!”

이 편지에서 “내 마음이 말할 수 없이 외롭습니다. 그래서 퀘이커 교도한테 가, 그들을 거쳐 인도로 가서 내 마음의 정화를 힘써볼까 합니다”라는 구절은 부연설명이 필요하다. 함석헌은 이 사건으로 인하여 모든 사람으로부터 절교를 당하고 외로움을 견디기 어려웠을 때 그를 찾아온 이윤구 박사의 권유를 받아드려 퀘이커가 된다. 그리고 얼마 안 가서 그는 세계적인 퀘이커 지도자가 된다. 1979년에는 미국 퀘이커봉사회에서, 그리고 1985년에는 세계 퀘이커회에서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받는다.

이 편지뿐만 아니고 1960년대 초에 쓴 그의 글들은 이 용서받지 못할 범죄로 인하여 일어난 그의 처절한 회한과 새로운 다짐으로 가득 차있다. 일례로 1960년 겨울에 그는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16-211)를 번역했는데, 그 서문에서 이 사건에 대하여 울부짖으면서 다음과 같이 술회하고 있다.

“한 많은 이 1960년이 오자마자 아직도 채 녹지 않은 눈 위에 새 꿈을 그리는 하룻날, 내 60년 쌓아온 모래 탑은 와르르 무너졌다.

나와 같이 그 모래 탑을 쌓던 바로 그 사람들이 무너뜨렸다. 모래 탑을 가지고 진짜나 되는 양 체하고 뽐내는 내 꼴이 미웠기 때문이었다. 그것은 당연하였다.

내 눈에 모래를 뿌리고 내 얼굴에 거품을 끼얹고 발길로 차 던지고 저희도 울고 갔는지 손뼉 치며 갔는지 나 몰라.
나는 영원의 밀물 드나드는 바닷가에 그 영원의 음악 못들은 척 뒹굴고 울부짖고, 모래에 얼굴을 파묻고 죽었었다.

그동안 왔대야, 무한의 장변을 헤매어 다니는 거지들이 세상모르고 와서 저희보다 더한 나보고 도와 달라 했거나, 그렇지 않으면 거기서도 도둑질을 해먹는 것들이 와서 그나마 같은 내 누더기 속에서 뽑아간 것이 있고, 그 남은 모래탑 자국을 다시 한 번 더 짓밟고 거들떠보지도 못하는 낯에 또 한 번 침을 뱉고 간 것뿐이었다.

꽃이 피었다 지고, 장마가 졌다가 개고, 시든 열매가 다 익어 떨어지는 동안 아무도 오지 않았다.

누가 꼭 일으켜주어야만 될 것 같은데, 조금 부축만 해주면 꼭 일어날 것 같은데, 아무도 오지 않았다.
이따금 저 멀리서 귓결에, 어서 일어나라는 소리가 들려는 왔지만, 원망스러울 지경이었다. 원망은 아니 하기로 힘썼다.

십자가도 거짓말이더라.

아미타불도 빈말이더라.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준 것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도 공연한 말뿐이더라.”
그러다가 그는 7년 전에 읽었던 <예언자>를 다시 읽고 그 안에서 그를 일으켜 세워주는 시를 만난다. 지브란은 이 시에서 “악인이란 뭐냐? 스스로 주리고 목말라하는 선일뿐이니라”고 노래한다. 드디어 그는 친구를 만난 것이다. 그래서 함석헌은 노래한다.

“‘모래와 거품’을 노래하는 지브란은 자기도 그 거품을 마시고 그 모래를 뒤집어쓰는 사람이 되어서 나를 일으켜 주었다.

그의 심장의 뛰놂이 내 가슴에 있었고, 그의 숨이 내 얼굴에 와 닿았고, 그리고 그는 나를 안아주었다.
죄인의 친구를 처음으로 만났다.”

03 김용준 교수의 내가 본 함석헌



“…하지만 내 혼이 상처를 입었습니다" - 교수신문



“…하지만 내 혼이 상처를 입었습니다"

김용준 교수
승인 2003.05.28


김용준 교수의 내가 본 함석헌




지금 인제대학교 총장으로 계신 이윤구 박사님이 함 선생님을 퀘이커교도로 인도한 분이시다. 이윤구 박사님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매우 엄숙한 표정으로 당시를 회고하는 것이었다. “어째서 모든 사람들은 나를 버렸는데 이 박사는 나를 찾아왔느냐?”가 당시의 함 선생님이 하신 말씀이었다는 것이다. 나는 이윤구 박사님의 이 말씀을 들으면서 선생님이 평소에 즐거 부르시던 ‘고목’(古木)이라는 한시의 첫구절이 생각났다. ‘古木千年枝二三 天然向東南’. 여기서 말하는 ‘’이라는 뜻이 “모든 사람들은 나를 버렸는데 왜 나를 찾아 왔느냐?”라는 말씀을 하실 때의 함 선생님의 얼굴 표정을 가리킴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십 년이 지나서 해남에서 목회하고 있는 이준목 목사님에게 하신 편지(전집 18:98)를 보면 “‘씨ㅇ·ㄹ의 소리’는 나의 속죄과정의 하나로 하고 있으니 무슨 일이 있어도 그만두지는 않을 것입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그리고 “내 가슴에서는 지금까지도 피가 흐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또 그 때문에 아마 그러지 않았더라면 몰랐을 것을 안 것도 많습니다”라고 여전히 아픈 회한의 호흡은 계속되고 있다. 1965년 2월 6일자의 석진영님에게 보내신 편지의 사연은 다음과 같다.


<지나간 일을 또 한 번 생각해보오. 지나간 것도 아니오. 지나가 버릴 수가 없지 무사(武士)의 얼굴에 난 상처가 일생을 두고 말을 하듯이. 문제는 살아났나 못 났나에 있지. 다 아물고 나으면 뼛속까지 났던 상처도 자랑일 수 있고 열매를 못 맺었으면 곱던 꽃이 되려 부끄러움이지. 세상에서 그어논 금을 내가 깨뜨렸던 것이 잘못이지. 남의 가슴 아프게 했던 것이 나의 죄지.
나와 하나님과의 대결에는 다른 사람은 개입할 필요도 없고 할 수도 없고 그때의 나의 심경은 ‘예언자’의 서문에 썼지요.
“이젠 다 나았어요 다 잊었어요” 나는 그런 소리를 하리만큼 한 성자도 아니고 양심이 아주 없지도 않고, 영원한 고민을 하면서도 자라나는 마음이지 가능한 한 속(贖)을 해보아야지>(전집 18:159)


구약성경에 의장(義狀)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의 아릿따운 모습에 매혹되어 그 여인을 범하고 그것이 탄로 날 것이 두려워 그녀의 남편 우리아 장군을 불려들였으나 의장이라 일선에서 수고하는 수하의 장병을 생각하여 귀가하지 않고 전선으로 다시 복귀하는 것을 보고 급기야는 그를 불리한 전선으로 배치시켜 전사케 한 다윗왕이 자기의 죄를 스스로 자복하고 이레 동안을 금식하며 속죄했던 고사에 함 선생님의 호읍을 비기고도 남음이 있지 않을까? 나는 지난 번에 함 선생님이 ‘아내 아닌 다른 여인을 범하였다’라는 표현을 쓰기는 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절대적인 차원에서 하는 소리요 또한 풍문에 여러 가지 말들이 오고가기는 하였지만 확실치도 않은 풍문을 여기에 옮겨 놓을 수도 없는 일이어서 다만 여기서 밝힐 수 있는 것은 선생님을 시중들면서 씨ㅇ·ㄹ의 농장에서 취사 및 살림살이를 자진 맡아 일하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나온 오 모 여인과의 사건인 것만은 확실하다. 내가 알기로는 그런 일이 있은 다음 이 여인이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자기의 은사인 김석묵 교수에게 고백한 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확실하다.

안병무 박사와 주고받은 처절한 서신들


1960년 당시에 독일에서 학위공부를 하고 있었던 안병무 박사에게 보낸 함 선생님의 편지를 보자.


<내가 분명 죄 되는 일을 한 게 있습니다. 벌써 전부터 있던 일이지만 그것이 금년 1월에 와서 가까운 친구들에게 알려져 문제가 되었습니다. 단식도 그래 했고 글과 말을 그만두고 모임을 중지한 것도 그 때문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지금 할 수 없고, 한마디로만 들어주십시오. 여성문제에서 잘못한 것입니다. 놀라고 슬퍼하실 줄 압니다마는 사실입니다. 친구들 다 소식 끊어졌고 유선생도 매우 섭섭하게 여기시는 중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은 우선 형이 나를 친구로 계속해 대해주겠느냐 하는데 있습니다. 나로서는 그럴 염치없고 형의 넓은 생각에 달렸습니다.…하지만 내 혼이 상처를 입었습니다.…나를 버리지 않거든 또 소식 주십시오 아아!>(1960년 9월 30일자)

<지난 18일 일이 터진 후 하루도 평안한 날 없어요. 일반 세상에서는 아직 모르지만 친구들은 내 잘못을 아니 데모를 한거요. 그래 어디 산 속으로 들어가라는거요. 나도 그리 생각해요. 하지만 그리 아니되는 점도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어왔지요. 외국행도 그래 생각한 거요. 글을 써라 말을 해라 내 실속 모르는 사회는 자꾸 요구하지요. 매일 몇 사람 혹 청년 혹 원로들이 오지요만 속을 이야기할 수도 없고. 사회 형편으론 내가 뭐라거나 말해야 할 사정인 것도 알지만 이 이상 더 속임의 생활을 할 수도 없고. 유선생님, 또 여러 친구들도 다 내가 근신해야 할 것을 말씀들 하지요. 거래는 통 없지요. 참 연옥이에요.…

여하간 나는 나를 봐라, 나 선 곳은 대산정(大山頂)이다. 언제 폭발할지 모른다. 나는 옷을 입었지만 거짓 옷이다. 사실은 벗은 몸인데 남의 옷을 빌어 입었다. 나는 파리하고 병든 몸이다. 나는 속이 썩었다. 나는 죄를 지었다. 살(殺), 도(盜), 음(淫)을 다했다. 그러므로 오늘 끌려 나왔다. 내가 민중 대표할 수 없지만 다시 생각하면 이것이, 이 무지 빈곤 죄악 허위 이것이 우리 민중이다. 하지만 나는 죽고 싶지 않다. 생의 의지 있다. 또 내 뒤에 내 자녀 있다. …
안형, 나는 지금 말을 하고 장내 소연해지는 것 보고, 도망하듯 왔어요, 무서워서가 아니라 보기 싫어서, 싸움을 말라, 이 사람이 죽게 된 사람, 제발 좀 말라 했는데 아니 봐주어요. 우리 친구들도 나 용서 아니하나봐요. 그래서 맘을 걷어 잡을 수가 없어요 죽겠어요. 죽진 않아야지 재생해야지, 친구 친구! 없어요. 죄를 사하고 나를 일으켜주는 사람만이 친구인데 없나봐요, 나는 한 사람이 필요해요, 내 맘을 알아줄, 붙들어줄 한 사람! 예수가 있다 하지만 성경에 있는 예수 무얼 해요, 산 피가 도는 구체적인 예수만이 나를 위로하고 사하고 살리지, 없나봐요,>(1960년 10월 9일자)

<나는 그동안 맘이 조곰 살아남을 느낍니다.… 그리고 그동안 조그마한 책을 번역했지요.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 벌써 7년 전에 누가주어 읽고 좋아서 남께도 권했는데 이번에 나 자신이 그로 인해 원기를 얻었기에 남에게도 나눠주려고 한 것이지요. 그의 ‘예언자’는 셈식이 아니고 매우 많이 인도적입니다. 그림이 좋아서. 보신 일이 있으신지? 약 1백면 가량되는 시입니다. 그리고는 그의 ‘예수전’이 있는데 그것을 번역했으면 합니다. 특색 있습니다. 풍부한 상상으로 산 예수를 그립니다. 그러나 그의 전기를 읽으면 단순한 시적 상상만은 아니고 매우 영감으로 된가 봅니다.
나 자신이 내부에서 세계사적 결전을 해야 합니다. 그래 나는 이번에 말하다가 현대 교인은 유다도 못되고 바리새도 못되고 빌라도라고 했습니다. 나는 이번 유다에 대한 생각이 났습니다. 그는 예수의 이면이다, 예수와 유다라는 두 손바닥이 마주쳐서 십자가란 울림이 나왔다, 유다는 인간적 참을 한거다, 그는 예수를 현명적(懸命的)으로 따랐다, 그래서 아닌 줄 알게 되면 죽여라도 버려야 했다. …그래서 나는 천국문에서 제일착으로 환영나오는 것은 유다일 것이라 합니다. 천국 문에 가서 매달려 있는 유다의 자살한 몸을 아직 보는 자는 천국에 못 들어갈 것입니다. 유다 문제 해결하고 나야지, 인간이 곧 유다 아니오? 인간을 버릴 수는 없지 속죄란 그래서 있는 것 아닐까? 예수는 누구보다도 유다의 죄를 속했지, 유다는 억천번 예수를 팔고 억천번 용서를 받을 것이오.…예수나 석가의 가르침을 이제 와서야 겨우 묘연한 것으로 아는데 이번에 또 어떤 것이 나올까? 나와야 합니다. 이 의미에서는 재림입니다. 또 예언자식으로 오겠는지 이 매스컴 시대에 다른 무슨 형식이 되겠는지 나도 모르나 하여간 새 말씀은 나와야 할 것입니다. …> (전집 18: 23이하)

‘예언자’의 서문과 죄인 함석헌의 호읍


우리는 이상의 함 선생님의 개인적인 편지를 통해서 나락에서 부활의 활기찬 부르짖음을 듣게 된다. 우리는 다시 한번 ‘예언자’의 서문에 나타난 죄인 함석헌의 호읍을 읽게 되는 것이다.

13 저항인 함석헌 평전/[11장] <씨알의 소리> 창간, 반유신투쟁의 선봉장



Daum 블로그




최민화 이야기와 스위시 영상

[58회] 한국퀘이커운동에 참여
2014.09.04 11:44 은행나무
카테고리 함석헌 평전



저항인 함석헌 평전/[11장] <씨알의 소리> 창간, 반유신투쟁의 선봉장

2013/01/22 08:00 김삼웅



1964년 신촌 종교친우회(퀘이커) 모임집 앞마당에서

함석헌은 1967년 7월 21일 미국을 방문하기 위해 출국했다. LA에서 퀘이커 집회에 강연을 초청받은 것이다. 6개월여 간 미국에 머물면서 퀘이커들과 함께 생활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하면서 퀘이커에 대해 이해를 하게 되었다.

오래 전부터 퀘이커에 관심을 갖고, 미주 여러 나라의 퀘이커 지도자들과 서신 교류를 하였다. 무교회주의를 떠나면서 퀘이커는 그의 정신적 구원의 종교가 되었다.

함석헌이 입문한 퀘이커교(Quaker)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여전히 낯설다.
기독교의 한 유파이면서도 전통적인 기독교와는 크게 다른 퀘이커교는 예배 때에 찬송가나 기도, 성례의식과 같은 일체의 행사가 없이 진행된다. 기독교처럼 목사나 가톨릭처럼 신부가 있어서 설교를 하거나 성례를 주관하는 일도 없다. 기록된 교리도 없고 교회나 성당과 같은 지정된 예배 장소도 없다. 선교(mission)란 말을 선호한다. 한국에는 현재 신촌의 퀘이커교 모임 등 꾸준히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모임이 있다. 전 세계의 교도는 20만 명 정도이다.

퀘이커교는 “지리를 믿는다고 스스로 내놓고 말하는 사람”을 뜻하며 17세기 중반 영국의 조지 폭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특정 교파라기보다는 ‘친우회(The Society of Friencis)'라고 부르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퀘이커가 본격적으로 한국에 소개되고 모임이 시작된 것은 함석헌에 의해서였다. 함석헌은 1962년 미국 국무성과 영국 외무성의 초청으로 미국 여행 중에 퀘이커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왈링포드에 세워진 학교 펜들 힐과 영국 퀘이커대학이 있는 우드브룩에 머물면서 퀘이커신앙에 접하고 그곳 지도자들과 만나게 되었다. 이때까지도 함석헌은 퀘이커에 입문한 것 이 아니었다.

함석헌이 한국최초의 퀘이커 교도인 이윤구의 소개로 퀘이커교도인 아서 미첼을 만난 것은 6.25 한국전쟁 시기였다.

“나중에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한 이윤구는 당시 군산도립병원 복구사업을 하던 미국 퀘이커 봉사회를 만나 한국인 최초의 퀘이커교도가 되었고, 그때가 한국에서 퀘이커 모임이 시작될 즈음이었다. 그는 이단자가 된 함석헌의 모임에 계속 나왔고 ‘서로 통하는 점이 많을 것’을 느껴서 그들 사이에 중개역을 했다. 그들 덕분에 함석헌의 전쟁반대와 평화사상은 한층 깊어졌을 것이다.” (주석 1)

함석헌 이전에 퀘이커는 이미 한국에 전래되고 있었지만 퀘이커가 한국의 식자층에 깊이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함석헌의 역할이 컸다. 5.16 군사쿠데타 이래 강력한 저항운동을 펴온 함석헌의 위상은 퀘이커의 홍보에도 일역을 하게 되었다.

함석헌은 1983년 월간 <마당> 5월호에서 퀘이커와 관련 특별 대담을 갖고 자신이 퀘이커가 된 과정과 퀘이커사상에 대해 소상하게 밝혔다. 한국의 대표적인 지성인 함석헌이 퀘이커에 대해 본격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것이 처음이 아닐까 싶다.

월간 <마당>은 “함석헌은 원래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장로교ㆍ무교회주의를 거쳐 현재 퀘이커교 한국 대표로 있으면서 최근에는 노장 철학을 비롯한 동양사상에 심취되어 모든 종교사상을 통합하는 경지에 이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인터뷰 내용 중 퀘이커 관련 부문을 발췌한다.


문 : 함 선생님이 퀘이커교도이신 줄 아는데 퀘이커교 교리가 무교회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답 : 우리(퀘이커교도)는 교리가 없고 제도도 없어요. 전연 없을수야 없지만, 가능한 한 그것 없이 하려는 것이지요. 왜냐하면 한번 제도나 교리가 결정이 되어 놓으면 변경이 잘 안되기 때문이지요. 사람은 달라지고 시대도 달라지는데….

문 : 사실 제도나 교회 때문에 본래의 기독교 정신이 구애를 받거나 생명력이 제약되는 경우가 있지 않습니까?
답 : 그렇지요. 퀘이커는 원래 대단히 개방적이야요. 극단적으로 나가는 사람들은 기독교란 말을 꼭 해야 되나 하고 있으니까니, 종교적인 생각에 대해 가능한 한 ‘가타’ ‘그르다’ 그러지 않지요.

문 : 퀘이커교는 가장 규모가 작은 기독교파 가운데 하나로 압니다. 어떻게 이 교단과 인연을 갖게 되었습니까?
답 : 6.25 직후라 우리나라 복구사업을 하는데 퀘이커교에서 영ㆍ미 합작으로 수십여 명의 사람을 보내 왔었지요. 그들이 군산에서 파괴된 도립병원을 복구했는데 여기에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참가해 처음으로 퀘이커를 알게 되었지요. 그 다음 유엔에서 한국부흥단을 파견했는데, 여기에 퀘이커 사람이 서너 명 있었지요. 나는 그 사람들을 만나게 되어 그들로부터 시작된 것이지요. 그래서 1962년 처음으로 미국 여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 : 퀘이커교는 제도나 교리가 없다는 것이 곧 교리가 아닌가 생각되는데요, 교회나 예배 형식도 없는지요?
답 : 예배도 형식 없이 하자는 것이나, 전연 없을 수는 없지 않아요? 그러니까 교회란 말을 쓰지 않고 단순히 모임(meeting)이라고 하지요. 성직자라는 것도 없고 목사 신부라는 이름도 없으며 조직 자체가 없지요. 예배 시간에는 강단이 있어서 격식을 차려 앉는 법도 없고, 모든 사람이 똑같이 앉아서 한 시간 동안 명상과 침묵하는 거야요.

문 : 설교가 없다면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배울 수가 없지 않습니까?
답 : 성경공부는 다른 시간에 하지요. 예배는 명상으로 하다가 감동을 받은 사람은 자기 맘대로 기도도 하고, 찬송도 부를 수 있으며, 성경을 읽고 싶으면 읽을 수도 있고 감동ㆍ감화를 자유롭게 표현합니다.

문 : 남녀동등권 문제가 제일 먼저 퀘이커교에서 나오는 등 앞질러 가는 운동이 많은 것으로 압니다만 ….
답 : 남녀동등 문제도 퀘이커에서 나왔고, 노예 해방문제도 제일 먼저 제안했었지요. 그 다음 퀘이커교도들이 감옥에 많이 드나들면서 인간 대접을 아니 한다고 항의하고 감옥제도를 개선하자는 발언도 제일 먼저 했습니다. 그리고 정신질환자들에게도 너무 인간대접을 아니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 대책을 부르짖는 등 이런 착상을 먼저 해왔지요.

문 : 평화운동과 반전운동도 퀘이커에서 제일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습니까?
답 : 퀘이커 수가 많지 않은데 이 운동을 굉장히 진지하게 벌이고 있어요. 그중에서도‘평화증언’을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해 제1차 세계대전과 2차 대전 때에도 크게 활동했습니다. 한 예를 든다면 적국에도 모금을 해 보내고 적국의 부상자들을 위해 의약품을 보내지요.

문 : 조지 폭스를 창사자로 봐야겠군요?
답 : 그렇지요. 그러나 제일먼저 시작한 사람은 아니야요. 농민들 사이에 자연히 일어났는데 이들은 대개 무식한 사람들이었지. 폭스도 남의 집 구두수선공이었고, 그러나 솔직하고 정직하게 생긴 사람인데 장점이 있었나 봐요. 폭스는 상당히 번민을 했다 그래요. 왜 그런고 하니, 종교가 본래 뜻은 그렇지 않은데 왜 이렇게 타락했나 하는 생각 때문이었지. 그래서 회의를 크게 느끼고 캠브리지, 옥스퍼드에 찾아가 신학자들에게 물어보아도 신통한 대답 안 해주고 그래서 내 문제 해결해 줄 사람은 예수밖에 없다하고 명상하는 가운데 깨달은 것이야요. (주석 2)



주석
1> 이치석, 앞의 책, 464쪽.
2> <퀘이커와 평화사상>, <월간 마당>, 1983년 5월호, 인터뷰어 한용상.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 - 불교포커스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 - 불교포커스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이웃종교의 향기 신년기획 1] 퀘이커 서울모임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승인 2014.01.12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www.catholicnews.co.kr 문양효숙 기자 | free_flying@catholicnews.co.kr 승인 2014.01.07 11:17:40


<가톨릭뉴스 지금여기>는 새해를 맞아 3회에 걸쳐 익숙한 듯 낯선 종교를 찾아갑니다. 다른 국가에서는 활동도 활발하고 역사도 오래 되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모이기 때문에 주변에서 흔히 만나기는 어려웠던 종교, 한국인의 문화와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지만, 종교의 울타리 안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종교를 만나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려 합니다. 새해에 처음으로 만난 종교는 종교친우회, 즉 퀘이커 서울모임입니다.






▲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후문 인근에서 50년째 계속된 퀘이커 서울모임 ⓒ문양효숙 기자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후문을 지나 주택가 골목 막다른 곳에 이르자, 녹색 대문을 단 오래된 집 한 채가 눈에 들어온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니 햇빛이 가득 쏟아지는 널찍한 방 안에 십여 명의 사람이 둥글게 자리를 잡고 편안하게 앉아 있다.



시작을 알리는 어떤 신호도 없이, 앉은 이들은 함께 침묵 속으로 빠져든다. 얼마만큼의 시간이 흘렀을까. 누군가 자연스레 말을 꺼낸다.

“지난주 강정 후원 음악회와 밀양 유한숙 씨 추모 미사에 다녀왔어요. 신앙이라는 건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계속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침묵. 잠시 뒤 다른 이가 이야기한다. 이야기의 주제는 민주주의, 권력, 마리아의 찬미. 긴 침묵 끝에 나누는 이야기들은 예상보다 훨씬 정치적인 내용이다. 한 시간이 지나자 누가 먼저라 할 것도 없이 함께 일어나 손을 잡고 원을 만들더니 인사를 나눈다.

벌써 50여 년째 일요일 오전 11시면 이 아담한 집에 모이는 이들은 종교친우회(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즉 한국 퀘이커(Quaker)들이다.

17세기 영국 공교회 성직자의 부패와 형식적 예배에 반대해 시작된 퀘이커,
신비주의 전통에서 ‘직접 체험하는 하느님’을 강조

퀘이커는 17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됐다. 창시자로 알려진 조지 폭스(George Fox)는 당시 영국 공교회 성직자의 부패와 타락, 형식적 예배 등에 반대하며 모든 인간에게 ‘내면의 빛(Inner Light)’이 있음을 강조했다. 이들은 교리에 앞서 신앙의 체험을 중요시했고, 하느님의 신성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신비주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성직자 없는 평등한 모임을 시작했다. ‘퀘이커’란 ‘하느님 앞에 전율하는 사람들’이란 뜻으로 초기에는 조롱하는 의미의 별명이었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제도가 지니는 경직성을 거부한 퀘이커 모임은 형식이 없는 게 특징이다. 이들의 모임에는 성직자도 없거니와 ‘준비’도 없다. 그저 ‘내면의 빛’에 인도되길 바라며 침묵할 뿐이다. 퀘이커 모임에서 침묵은 ‘말에 의지하지 않는 기도’이며, 자신의 자아를 내려놓고 깊은 내면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이다. 이런 비움과 경청의 시간 속에서 빛이 주는 무언가에 감화 받은 이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깨달음을 벗들과 나눈다. 이날 모임에서는 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한 이야기들이 주였지만, 평상시 나눔은 성서 묵상, 일상의 이야기, 시, 노래 등 방법과 내용에서 매우 다양하다고.

하지만 퀘이커의 침묵은 오롯이 개인의 몫인 것은 아니다. 1960년대 퀘이커가 된 함석헌 선생은 퀘이커의 명상이 동양의 참선과 다른 점을 ‘공동체성’이라고 강조했다.

“퀘이커의 명상은 동양의 참선과 다릅니다. 퀘이커의 명상은 동양의 참선처럼 개인적인 명상이 아니라 단체적인 명상이지요. 퀘이커들은 그들이 단체로 명상할 때 하느님이 그들 중에 함께 임재한다고 믿습니다. 동양의 참선은 비록 열 사람이 한 방에서 명상하더라도 개인주의적입니다. 나는 내 참선이고, 저 사람은 저 사람 참선이기 때문에 모래알처럼 되는 것입니다.” (함석헌, ‘The voice of Ham Sokhon’, Freinds Journal, 1984)

곽봉수 씨는 처음 모임에 참석 했을 때 “함께하는 침묵 가운데에서 느꼈던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1983년 <마당>지에 실렸던 함석헌 선생의 인터뷰 기사를 보고 퀘이커 모임을 찾은 이래 꾸준히 모임을 지키고 있다.



▲ 시작을 알리는 신호도 없이 모든 친우(friend)가 침묵으로 빠져들었다. ⓒ문양효숙 기자
교리도 신학도 없지만, 단순 · 정직 · 평화 · 평등의 원칙 지켜야
신앙과 삶의 실천은 분리될 수 없어



공동체성과 더불어 퀘이커의 중요한 원칙은 단순, 정직, 평화, 평등이다. 퀘이커는 형식이나 교리는 없지만, 이런 것들이 진리를 체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지켜야 하는 원칙이라 믿는다. 곽봉수 씨는 “퀘이컬리(Quakerly)란 말이 있다”고 설명했다.

“‘퀘이커다운’이란 의미인데요, 예를 들면 평화 선언을 반대하는 사람은 퀘이커가 아니에요. 전쟁을 옹호하면 퇴출시키죠. 닉슨 대통령도 거짓말을 해서 퇴출됐어요. 정직이라는 중요한 원칙을 지키지 못한 거니까.”

체험적 신앙을 중시하는 퀘이커에게 이런 원칙은 삶과 분리되지 않는다. 퀘이커들은 소리 없이 강정마을을 후원하고, 대한문 미사에 간다. 얼마 전에는 종교친우회 서울모임 이름으로 박근혜 대통령 사퇴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씨알여성회 상임이사인 곽라분이 선생은 “이름을 내놓지 않을 뿐, 늘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우리가 한다’에서 ‘우리’보다는 ‘한다’에 더 중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아요.”
“그렇죠. ‘나’뿐만 아니라 ‘퀘이커가 한다’는 자국도 남기고 싶어 하지 않아요. ‘우리’가 드러나는 것보다 힘을 보태는 게 중요하지. 그러니 이슈에 더 집중해요. 그게 우리 성향이죠. 퀘이커는 아주 조용히 일해요. 그러면서도 가장 진보적이죠. 역사적으로 보면 노예해방 문제, 감옥 개선 문제, 여권운동 등을 아주 초기부터 해왔으니까.”

‘모든 사람에게 하느님의 무엇이 있다(That of God in everyone)’는 퀘이커 신앙은 자연스럽게 평등운동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초기부터 남부 흑인노예를 북쪽으로 탈출시키는 지하철도(Underground Railroad) 운동을 비롯해 여성참정권 운동, 교도소시설 개선운동 등에 앞장섰다. 뿐만 아니라 퀘이커는 전쟁을 반대하고 분쟁지역의 복구 및 재건사업을 돕는 등 평화를 위한 활동도 활발히 펼쳤다. 1 · 2차 세계대전에서의 구호 및 복구활동에 힘입어 1947년 퀘이커 단체인 AFSC(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미국 친우 봉사단)는 개인이 아닌 단체로는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초창기 친우 이행우 선생, 미국 퀘이커단체에서 통일운동과 민주화운동에 함께해

한국을 처음으로 방문한 퀘이커도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전북 군산도립병원(현 원광대병원)에 5년간 의료봉사를 하러 온 의사와 간호사들이었다. 이들이 떠난 뒤, 감명을 받은 한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시작한 모임이 한국 퀘이커의 시작이었다.

모임에서 만난 이행우 선생은 1960년 12월 서울에서의 첫 번째 모임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이 퀘이커로 살아온 종교친우회의 산 증인이다. 그는 미국 생활 45년간 미국 NGO로는 최초로 북한을 방문한 AFSC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등 평생을 한반도 통일운동과 민주화운동을 위해 바쳤다. 이행우 선생은 1970년대 민주화운동 인사와 수감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메리놀 선교회를 통해 지학순 주교에게 송금을 하기도 했고, AFSC 대표로 방북하고 북한과 교류해온 경험으로 1989년 문규현 신부와 함께 북한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행우 선생은 자신이 활동한 AFSC와 함께 대표적인 국제 퀘이커 평화기구인 FCNL(Friends Committee on National Legislation, 국민 입법을 위한 친우위원회), QUNO(Quaker United Nations Office, 퀘이커 UN 사무실)등의 활동을 소개했다. 우리에게 생소한 이 단체들은 이미 활동한지 70년도 넘은 국제 로비단체들로 미국과 UN에서는 법률을 검토하고 제안하는 역할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이행우 선생은 “분쟁지역에서 갈등 양국을 편들지 않는 무조건적 구호활동으로 신뢰감을 쌓은 퀘이커 단체들은 국제회담을 주선하기도 하고, 이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 1960년대 첫 모임부터 퀘이커로 살아온 이행우 선생. 그는 평생 한반도 통일운동과 한국 민주화 인사를 도왔다. ⓒ문양효숙 기자
케이커 모임의 모든 결정은 만장일치제,
개인의 욕구를 넘어서 참 자아와 만난 공동체의 선한 결정을 위해 기다리고 또 기다린다



이행우 선생은 “퀘이커 모임은 모든 결정을 만장일치제로 한다”고 말했다.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요?”
“휴회하고 다음 모임으로 결정을 미룹니다. 모임에서 한 사람이 반대하면 그 사람이 반대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려요. 대신 누군가 발언할 때 경청해야 합니다. 즉시 반대 의견을 표명하지 않고, 발언을 독차지하지도 않습니다. 명상을 한 후 토론하고요.”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겠네요. 영원히 결정 못 하는 것들도 있을 수 있고요. 지금은 20여 명의 모임이니까 그렇다 쳐도 모임이 100여 명이 되어도 그렇게 결정하나요?”
“그럼요. 서두르지 않아요. 꼭 그래서는 아니지만 친우회 모임이 커지면 나누기도 합니다.”

의견 일치를 위해 한 세기를 기다린 것도 있다. <퀘이커 300년>(하워드 브린턴, 함석헌 역, 한길사, 2009)의 저자 하워드 브린턴은 1696년부터 흑인노예를 사는 것을 경고해 왔던 연회(1년에 한 번 열리는 총회 격의 퀘이커 모임)가 1776년에 이르러서야 노예를 지닌 사람을 모임에서 제명한다고 선언한 과정을 기록했다. 이 책에서 브린턴은 “언제나 어떤 사람도 혼자서는 진리 전체를 볼 수가 없고, 개인보다 모임 전체가 더 많이 진리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라”며 진리를 깨닫는 주체로 개인이 아닌 공동체를 강조한다. 또한 만장일치체가 권력과 욕망을 넘어서는 방법이라 설명한다.

“얼핏 보아 우리가 원하는 것이라 여겨지는 것보다 정말 우리가 원하는 것을 발견하려면 표면에 있는 자기중심의 여러 욕망보다 더 깊은 데 숨어 있는 참 자아까지 내려가야 합니다. 모든 사람의 맨 밑바닥에 있는 참 자아는 서로 더불어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아입니다. …… 투표법은 큰 힘이 작은 힘과 맞서서 거기 어떻게 맞춰갈까 하는 억누르기 위한 수단입니다. …… 투표를 하면 대체로 일이 빠릅니다. 하지만 유기적인 자람은 느립니다. 투표법에서 각 개인은 단 하나 또는 일정한 수의 표를 가질 뿐입니다.” (위의 책, 188~190쪽)

퀘이커는 모두 친우(friend)…나이나 신분, 지위와 상관없는 자유로운 교제
절차나 형식보다는 ‘그렇게 사는 삶’을 중요시 여겨

55년 전 처음 친우회 모임에 참석했을 때의 느낌이 어땠는지 묻자, 이행우 선생은 “누구나 평등하게 이야기하고, 위계가 없는 게 참 좋았다”고 답한다. 옆에 있던 이는 “처음 모임에 왔던 날, 어떤 사람이 ‘하안거 다녀왔다’고 하자, ‘아, 그랬어요?’ 하며 모두 긍정하더라”며 “관용과 인정이 좋았다”고 덧붙였다.

퀘이커는 모임에 참석하는 모든 이들을 ‘벗(friend)’이라고 부른다. 요한 복음서 15장의 “내가 명하는 것을 지키면 너희는 나의 벗이 된다. 이제 나는 너희를 종이라고 부르지 않고 벗이라고 부르겠다”는 예수의 말씀에 기초해, 모든 이가 나이나 신분, 지위 등으로부터 자유롭게 서로 교제를 나누는 평등한 관계임을 말한다.

벗(friend)은 회원(member)과 참석자(attender)로 나뉜다. 외국에서 “Are you Friend?”는 “당신은 퀘이커인가요?”라는 질문이다. 회원이 되고자 하면 자신이 참석하는 모임에서 의사를 밝히고 나름의 절차를 밟는다. 하지만 참석자(attender)라 해도 모임이나 활동에는 아무런 차별이 없다. 회원이 되면 공식 회의에 참석하는 의무가 있을 뿐이다. 모임에 참석하는 이들은 모두 그저 벗이다.

하지만 퀘이커에게 중요한 것은 이런 절차나 형식보다 자신의 내적 인정이며, 진리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1962년에 예순둘의 나이로 미국 퀘이커 학교인 펜들힐에 머물렀던 함석헌 선생이 “이제 퀘이커가 되어야겠습니다” 하고 결심을 밝혔더니, 주변의 퀘이커들이 “당신은 이미 퀘이커인걸요”라고 대답했다는 일화는 이를 잘 드러낸다.



▲ 1960년대 초창기 모임 때의 기념사진. 가운데 함석헌 선생이 있고 그 왼쪽 뒤가 이행우 선생이다. ⓒ문양효숙 기자
신조가 없으니 누구도 퀘이커리즘이 무엇인가 정답을 줄 수 없다
“퀘이커는 기본적으로 찾는 사람(seeker)”



이행우 선생은 “우리는 신조(Creed)가 없기 때문에, 자신이 친우(friend)라고 말하는 사람도 만나서 이야기해보면 다 다르다”면서 “그게 당연하다”고 말한다.

“누구도 퀘이커리즘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답을 줄 수 없어요. 단지 자기가 이해한 퀘이커리즘이 무엇인가를 표현할 뿐이지요. 자기가 믿는 것만이 퀘이커라고 하면 잘못됩니다. ‘내가 배운 건 이런 거야. 하지만 미세하게 각자의 삶에서 다 달라’, ‘나는 이렇게 보지만 다른 사람은 이렇구나’ 해야죠. 경계가 없어야 해요.”

평생을 퀘이커로 살아온 이행우 선생에게 퀘이커로 배운 가장 소중한 깨달음이 무엇인지 물었다. 선생은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대답했다.

“나는 아직 찾고 있어요. 퀘이커는 기본적으로 Seeker(찾는 사람)니까.”

이카루스의 날개에 매달려- 퀘이커 글 모음 2

이카루스의 날개에 매달려- 퀘이커



이카루스의 날개에 매달려- 퀘이커


탈핵 강연 만든 배현덕 조합원 /프레시안20150913
2015.09.14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 /가톨릭뉴스 지금여기20140107
2014.01.10

박근혜 사퇴-종교친우회 (퀘이커) 서울모임 성명서20131212
2013.12.13

빛 그리고 평화-서울퀘이커모임
2013.05.31

'권력종교'로부터의 해방 - 퀘이커교
2013.02.18

[서평] 스콧 새비지가 쓴 <행복한 걷기> /오마이뉴스20101129
2013.02.18

[인터뷰] 한겨레통일문화상 수상자, 이행우 선생 /오마이뉴스20110618
2013.02.18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4) /기독교사상2012년7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3) /기독교사상2012년6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2) /기독교사상2012년5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1) /기독교사상2012년4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0) /기독교사상2012년3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9) /기독교사상2012년2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8) /기독교사상2012년1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7) /기독교사상2011년12월호
2013.02.14

다(6) /기독교사상2011년11월호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5) /기독교사상2011년10월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4) /기독교사상2011년9월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3) /기독교사상2011년8월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2) /기독교사상2011년7월
2013.02.14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 /기독교사상2011년6월
2013.02.14

60대 노인이 상복 입고 해군기지 앞 지키는 이유? /제주의소리20121115
2013.02.11

종교친우회(퀘이커) 서울모임-우리의 결의 선언문 (2011. 11.5~6)
2012.02.04

강정마을에서 삼보일배 하시는 오철근씨의 사연
2012.02.04

오철근씨 강정마을에서 하루 4시간씩 ‘3보1배’
2012.01.11

Pendle Hill, UK
2011.06.21

한국 첫 '퀘이커' 탄생했던 '군산 도립의원' /오마이뉴스 110303
2011.03.04

Friends
in Korea /Haeng Woo Lee 1969


2010.12.14



퀘이커 50주년 행사모임 /김나미

2010.12.14



[스크랩] 평화의 교육 공동체 펜들힐을 가다3 - 펜들힐의 자연

2010.12.14



최근 글


[스크랩] 평화의 교육 공동체 펜들힐을 가다 2 - 펜들힐 교육 프로글램

2010.12.14



[스크랩] 평화의 교육 공동체 펜들힐을 가다 1

2010.12.14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함석헌의 위치 /김성수

2010.04.09



[스크랩] <퀘이커350년>사상으로서의 속의 빛 2
2010.04.09

[스크랩] <퀘이커350년>사상으로서의 속의 빛 1
2010.04.09

평화의 영성 퀘이커, 효용성 넘어선 ‘신념’(news mission090908)
2010.01.06

일흔살 청년, 늙은 전사의 길
2009.07.16

씨알사상 책 펴낸 조형균 계성종이박물관장(한겨레080728)
2009.01.09

'표주박통신' 21년 김조년 교수 (한국일보081003)
2008.10.03

퀘이커 평화윤리(감신대 박충구 교수)
2008.09.30

[책]거룩한 순종 (토머스 켈리)
2007.09.04

[책]영원한 현재 (토머스 켈리)
2007.09.04

[책]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파커 팔머)
2007.09.04

[책]신비주의와 퀘이커공동체 (김영태)
2007.09.04

[스크랩] 퀘이커의 회의법-회의를 통해서 성장한다
2007.09.04

[스크랩] 퀘이커 공동체의 예배 [1]
2007.09.04

간디와 함석헌 선생의 숨결이 담긴 곳 - 우드부룩(구리넷 061109) [1]
2007.05.15

‘표주박통신’ 20년 김조년 교수(한겨레신문 070417)
2007.05.15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Inazo]
2006.12.30

부처님은 죽이라고 했는가(박노자, 한겨레21 060919)
2006.12.30

공동묘지와 공놀이터(김조년)
2006.12.14

기독교 평화운동, 어디로 어떻게(새길이야기 9호)
2006.12.14

미국의 대이라크 전쟁을 반대하며(퀘이커 서울모임 030316)
2006.12.14

AWPS 공동선언(뉴스와이어 051111)
2006.12.14

팔당농부의 영국 우드브룩 체험기(김병수) [1]
2006.12.14

퀘이커 평화운동에 대한 단상 /박성용
2006.12.14

퀘이커봉사회 십자가(국민일보 050523)
2006.12.14

퀘이커의 집에 온 평화운동가 데이비드 길리브터(한겨레21, 513호)
2006.12.14

[신문] 영국 퀘이커공동체 우드브룩에 가다(한겨레 060221)
2006.12.14

[신문] 퀘이커-침묵명상과 사회참여의 만남(한겨레 051129)
2006.12.14

[신문] 퀘이커 서울모임(주간기독교 1416호)
2006.12.14

존 울만의 교훈
2006.12.14

친우들의 믿음과 실천 /미국 필라델피아 연회
2006.12.13

종교친우회의 신앙과 실천 /하워드 브린튼
2006.12.13



조지 폭스[George Fox]-엠파스 백과사전
2006.12.13

조지 폭스(George Fox, 1624-1691)
2006.12.13

함석헌과의 대담 /마당 1983년5월
2006.12.13

예수의 비폭력투쟁 /함석헌
2006.12.13

예배모임의 뜻 /함석헌
2006.12.13

명상기도에 대하여 /함석헌
2006.12.13

펜들힐의 명상 /함석헌
2006.12.13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 /함석헌 [1]
2006.12.13

퀘이커라 불리는 사람들 /Duncan Wood
200612.11

퀘이커의 기원
2006.12.11


최근 

서울역사박물관, 콘스 박사 사진집 출간



서울역사박물관, 콘스 박사 사진집 출간

서울역사박물관, 콘스 박사 사진집 출간전용혁 기자 / 기사승인 : 2013-03-20 14:06:00

---
파란 눈의 외국인이 본 '1950년대의 한국'




英 콘스 의사부부, 1954년 한국 방문… 전북 군산서 2년간 의료 봉사활동
시가지·거리·농촌·난민들의 생활·선거 등 그때 그 모습 카메라에 담아

[시민일보]서울역사박물관이 1954년 3월부터 1956년 7월까지 전북 군산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했던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John Selwyn Cornes) 박사가 촬영한 사진을 모은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을 발간했다.

▲존 콘스 부부 의료봉사활동, 전쟁으로 상처 입은 한국인들 치료

존 쉘윈 콘스(John Selwyn Cornes)와 부인 진 메리 콘스(Jean Mary Cornes) 부부는 런던에서 의학과 간호학을 공부한 의사와 간호사로 휴전 직후 의료봉사활동을 하기 위해 1954년 한국을 방문했다.

퀘이커 교도였던 이들은 먼저 한국에 들어와 활동을 하고 있었던 다른 퀘이커 교도들과 함께 군산도립병원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했다.

콘스부부가 한국에 온 것은 1954년 3월24일이며, 곧바로 군산도립병원에서 의료봉사활동을 시작했다.

휴전 직후 상황이라 무너진 병원 건물과 열악한 의료시설, 피난민 환자들로 가득한 병실에서 콘스부부는 의료 활동을 했으며, 특히 진 메리 콘스는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지원을 받아 군산도립병원에 간호원실무강습소를 설립하고 부족한 간호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했다.

1956년 7월24일 콘스부부는 2년 4개월의 봉사활동을 마치고 영국으로 귀국했다.


존 콘스 박사는 2011년 작고했으며, 부인 진 메리 콘스는 아직 브리스톨에 생존해 있다.

지난 1월 우리 정부는 60년 전 전쟁으로 상처 입은 한국인들을 치료한 고(故) 존 콘스 박사에게 대한민국 수교훈장 흥인장을 추서한 바 있다.

▲의료 봉사활동 기간 중 당시 한국 모습 사진으로 담아

콘스박사는 한국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하면서 당시 한국 사회의 모습을 보이는 대로 사진에 담았다.

의료 활동모습은 물론 군산지역의 시가지나 거리, 시장, 김장철 모습, 농촌의 사계절 풍경, 난민들의 생활 등 평범한 일상과 시위 모습, 이승만 대통령의 군산 방문, 1956년 정ㆍ부통령선거 등 사회 현장을 그때그때 눈에 띄는 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서울, 경주, 전주, 논산 등 지역 사진도 있는데, 남산에서 촬영한 서울 전경사진은 중앙청, 시청, 반도호텔을 비롯해 명동과 충무로, 을지로, 종로, 북촌 일대의 모습을 담고 있어 전쟁 직후 서울 전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전차가 다니는 한국은행 앞 광장과 남대문로를 담은 사진, 텐트로 움막을 지은 난민촌, 창덕궁 인정전과 원각사탑 등이 보인다.

특히 탑골공원 팔각정 앞에 모여 앉아 있는 노인들은 막 휴전이 되었다는 것이 실감나지 않을 정도로 전쟁의 시름을 잊은 듯 환하게 웃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콘스 박사 사진 모두 입수, 전모 알려져


2011년 4월 12일 주영한국문화원에서 콘스박사를 초청하여 ‘1950년대 한국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특별강연회를 하면서 콘스박사가 촬영한 사진의 존재가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으나 촬영한 사진의 전모가 알려지기는 처음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지난 해 9월 전 주영대사관 공보관인 이대중씨(현 한중일사무국)의 도움으로 국내에 알려진 사진외에 진 메리 콘스 여사가 소장하고 있던 칼라 슬라이드 307컷, 흑백사진 106컷 등 모두 413컷을 추가로 입수했다.

여기에 2011년 공개된 디지털 파일 167컷 등을 합쳐 총 580컷의 사진을 정리하고 그 중 주요한 사진을 뽑아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이란 제목으로 사진집을 출간하게 됐다.

지금까지 알려진 6?25 전쟁이나 휴전 직후 모습을 담은 사진은 주로 종군기자나 군인들이 촬영하였다.

콘스는 의사로서 의료 활동을 하면서 그 주변에 펼쳐져 있는 풍경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담았다.

그런 점에서 콘스의 사진은 사진이 주는 사실성과 함께 그 안에 담긴 내용 또한 당시의 상황, 즉 휴전 직후 한국 사회의 모습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정직하게 전해준다고 할 수 있다.

콘스의 사진 속에서는 휴전 직후 한국의 사회상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던져주고 있다.

먼저 당시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나 해외 민간단체들이 많은 구호활동을 펼쳤는데, 이들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진 메리 콘스가 간호원실무강습소를 설립하여 간호 인력을 양성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콘스의 사진은 한국 간호활동 역사의 한 단면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더불어 군산에서 한국 퀘이커가 탄생한 배경과 활동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전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사진=영국 콘스 의사부부가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찍은 사진들로 사료로서 큰 가치를 띄고 있다. 사진은 당시에 피란민들이 난민촌 인근에서 빨래하는 모습

한국 첫 '퀘이커' 탄생했던 '군산 도립의원'



한국 첫 '퀘이커' 탄생했던 '군산 도립의원'




한국 첫 '퀘이커' 탄생했던 '군산 도립의원'
수탈의 도시 군산의 '현대 의료사 100년' (4)
조종안(chongani)
등록|2011.03.03



▲ 파괴된 건물을 복구한 군산 도립의원 본관(1954년). 한 때는 군산의 명물이었습니다. ⓒ 군산도립의원

군산 도립의원은 해방(1945년)과 함께 한국인 운영체제로 바뀐다. 그해 11월 쌍천 이영춘 박사는 전북 군정청 지사(정일사)와 보건후생국장(노윤모)의 간청으로 원장을 겸임한다. 이 박사는 6개월에 걸쳐 병원 업무를 수습하고 원산 출신 이상기 의사에게 원장직을 인계한다.

일제강점기(1922년)에 완공된 병원 건물은 한국전쟁(1950년) 때 폭격으로 대부분 파괴된다. 당시 영국인 의사 '잉글 라이트'(Ingle Wright) 박사를 포함한 미·영 '퀘이커(Quaker)'들은 난민들을 위한 의료 봉사를 하면서 건물 복구공사에도 참여한다.




난민들 의료와 건물 복구사업에도 참여했던 퀘이커 봉사단들. 가족이 모두 참여한 퀘이커도 있었다고 합니다. ⓒ 이영춘박사기념사업회



▲ 미·영 퀘이커 봉사단과 한국인 봉사자들 기념사진. ⓒ 이영춘박사기념사업회
---
퀘이커가 한국과 처음 인연을 맺은 시기는 휴전협정이 이루어지던 1953년. 당시 의사, 간호사, 사회사업가 등으로 이루어진 퀘이커 소속 봉사단이 군산 도립의원에서 구제활동을 하면서 한국에서 첫 퀘이커가 탄생한다. 주인공은 대한 적십자사 총재를 지낸 이윤구(전 인제대총장) 박사.

한국인 최초로 퀘이커가 된 이 박사는 자신이 쓴 경험담에서 "1956년 여름이었어요. 그때는 군산 도립병원에서 일하는 외국인 봉사자들과 한국인 의사, 간호사들이 주말에 교대로 대천 해수욕장에 가서 지친 몸을 쉬는 제도가 있었어요"라며 당시를 회고했다.

장로교 신자였던 바보새 함석헌(1901-1989)도 1961년 1월부터 퀘이커 모임에 나가기 시작한다. 함석헌은 훗날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라는 글에서 일요모임 회원이었던 이윤구 박사를 통해 퀘이커를 알게 되었다고 술회했다.

"6·25 직후 우리나라 복구 사업을 하는데 퀘이커교에서 영·미 합작으로 수십 명의 사람을 보내왔었지요. 그들이 군산에서 파괴된 도립병원 복구공사를 했는데 거기에 우리나라 젊은이들도 참가해서 처음으로 퀘이커를 알게 되었어요. 나는 그들의 신앙에 참 감동했어요. 그들로 인해서 나는 퀘이커리즘에 흥미를 느끼게 됐어요." (<함석헌 평전> 142쪽)




▲ 도내 대학에 의예과가 없던 시절 개정 간호학교 학생들이 실습하는 모습.(50년대 외국인이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됩니다) ⓒ 김성겸
---
'가천 길재단' 이길여 회장은 자신의 저서 <간절히 꿈꾸고 뜨겁게 도전하라>에서 군산 도립의원에서의 수련의 시절(1957-1958)을 회상했다. 이회장은 군산이 고향이고 외국인 의료진이 파견 나와 있는 병원이어서 수련의 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퀘이커 봉사단 소속 영국인 의사 '골든'이 폐렴환자의 입과 코에서 흐르는 피고름을 입으로 빨아내는 모습을 보는 순간 하얀 가운을 입은 자신의 모습이 부끄러웠다면서 그때 충격을 받고 '진정한 봉사'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퀘이커봉사단은 1958년 여름에 본국으로 돌아간다.
한때는 월명공원과 함께 명소가 되기도

군산 도립의원은 한때 외지인들도 즐겨 찾던 명소였다. 나무가 숲처럼 우거진 정원에서 들려오는 이름 모를 새들의 지저귐은 정신을 맑게 해주었고, 잘 가꾸어진 넓은 잔디는 환자는 물론 간호사와 일반인들에게도 좋은 휴식 공간이 되어주었다.




▲ 군산 도립의원 정문에서 월명공원 가는 길. 높은 가시철망이 눈길을 끕니다. (1965년 2월 촬영) ⓒ 조종안
---
병원 정문에서 왼쪽 길로 조금 올라가면 일제강점기 군산부사 건물과 군산신사가 있던 자리가 나오는데 숲이 우거져 새벽 산책길로 사랑을 받았다. 긴 돌담을 끼고 비릿한 바다냄새를 맡으며 미팅을 즐기던 중고등학생들에게도 추억의 기념사진 촬영지로 인기가 좋았다.

특히 붉은색 벽돌로 쌓은 대리석 2층 본관 건물은 시내에서 고층 건물을 보기 어려웠던 60-70년대 상춘객들에게 좋은 볼거리를 제공해주었다. 50년대 자유당 시절 대통령이 방문했던 병원이라는 소문은 시골 노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도선장 가는 길목이었던 병원 인근에는 시영 테니스코트와 해망굴, 흥천사, 등나무 숲, 어린이 놀이터가 자리하고 있어서 봄이면 상춘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외지 사람들이 환자 병문안을 관광 겸해서 올 정도였다.

어떻게 운영했는지 해마다 적자 못 면해




▲ 군산 도립의원 산부인과 과장이었던 황선주 박사 ⓒ 조종안1961년 전남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군산 도립의원 수련의를 거쳐 산부인과 과장으로 근무했던 황선주(76) 박사를 만났다. 황 박사는 1972년 시내 개복동에 개원해서 진료에 임하다 7년 전부터 쉬고 있다고 말했다.
---
- 고향이 전남으로 아는데, 군산으로 오시게 된 특별한 이유라도 있었나요?
뭐시냐, 나는 처음에 여수로 갈라고 했지라. 그런데 존경하는 과장님이 군산으로 가라는 거라. 누구 말이라고 거역하겠어, 멋모르고 오게 됐지. 전북대학교가 의대 개설을 앞두고 있을 때여서 군산에는 서울 세브란스(연세대 의대)하고 전남의대 출신 의사가 많았어요.

- 당시 병원 분위기는 어땠는지요?
극빈자들은 무료로 치료해주었지. 그들을 위한 병동이 따로 있었는데 귀신 나올 것처럼 음침했지라. 꼭 거지 촌 같았어요. 일반 환자들도 잡목이나, 석유난로에 밥을 해먹응께 굉장히 불편했어요. 그래도 그때는 나도 잘 나가고, 군산도 잘 나갔어요. 바다에 고기가 펄떡펄떡 뛰어댕기고 대단했죠. 그려서 그냥 주저앉았지라. 지금까지.(웃음)

황 박사는 병원 바로 앞에 병원 원장과 서무과장 사택이 있었고, 입원실을 칸칸이 막아서 살림도 할 수 있도록 과장(의사)들에게 숙소를 제공해주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충청도 등 외지에서도 환자가 많이 왔는데, 어떻게 운영했는지 적자를 면하지 못했다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콜레라 확산으로 곤욕 치르기도

1969년 가을에는 콜레라 확산으로 환자 1백 60여 명을 한꺼번에 수용하느라 곤욕을 치른다. 일본선적 '긴세이 마루'호 선원(시마사키 씨지에)이 심한 설사와 탈수 증상으로 6일간 입원치료를 받고 출항한 후 군산시와 옥구군 미면 일대까지 콜레라가 번졌던 것.

환자 대부분이 가난한 부두 노무자와 그 가족들이었다. 당시 정부는 콜레라 방역 특별대책본부를 설치했고, 국방부는 군산, 옥구 지역에 휴가나 외출을 일절 금지시켰다. 특히 군산항에 입항한 해군 함정은 군인들의 육지 상륙을 막을 정도로 악몽의 상황이었다.

어려움 속에서도 1970년에는 지역주민의 보건향상을 위해 간호보조원 양성소를 개설하여 전문 간호인력을 배출하기 시작했으며, 1972년에는 혈액원을 설치하여 군산 지역의 응급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을 공급하면서 질 높은 진료에 일익을 담당한다.

고등학생 때부터 병원 약국에서 근무했다는 김성겸(60세) 현 군산의료원 기획팀장에게 1969년 11월 콜레라 사태와 70년대 의료상항을 들어보았다.

"콜레라 사태가 나던 69년은 제가 야간고등학교에 다니면서 근무할 때인데요. 입원실이 부족해서 병원 복도에 야전침대를 깔고 환자를 받았습니다. 환자를 돌보던 저도 감염되어 죽을 뻔했어요. 60-70년대만 해도 의료시설이 빈약했고, 입원실 환경도 열악하기 짝이 없었거든요. 그 속에서도 77년 익산역 폭발사고 때는 절반이 넘는 환자를 수용했습니다.

80년대 초까지는 입원실이 어른 허리높이의 온돌방으로 되어 있어서 환자 가족이 불을 지펴서 밥을 해먹었지요. 청구목제나 한국합판에서 나오는 잡목을 병원 매점에서 팔았어요. 새끼줄로 묶은 잡목 한 단에 20원-30원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불을 땔 때는 연기가 자욱해서 수술환자 '뜨레싱'을 다니지 못할 정도였어요. 다 지나간 옛날 얘깁니다."

1977년 11월11일 익산역 폭발사고로 부상당한 가수 하춘화가 입원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몰려온 기자들과 사인을 요구하는 팬들의 성화로 의사들이 진료를 못할 정도였다는 김 팀장 설명은 당시만 해도 전주·익산의 종합병원들보다 규모가 컸음을 방증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지방공사 '군산의료원'으로 새 출발

군산 도립의원은 지역주민의 인지도가 향상되면서 병실 등 부대시설이 부족할 정도로 환자가 늘어난다. 1981년 11월에는 100병상의 인가를 얻어 본관 신축공사를 마무리한다. 그러나 2년 뒤인 1983년 7월1일 지방공사 전라북도 '군산의료원'으로 전환된다.




▲ 군산시 지곡동에 자리한 ‘군산의료원’ ⓒ 조종안


지방공사로 바뀐 군산의료원은 1988년 5월20일 노동조합이 결성되고, 1995년까지 병동을 세 차례 중축한다. 1996년 1월 정밀안전진단 결과 신축 권유로 신축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1997년 8월 14일 지금의 자리(지곡동 146번지 45필지)를 병원 부지로 결정한다.

1997년 5월1일 진료과 20개에서 21개 과로 증설한 군산의료원은 1998년 11월 원광대학교 병원으로 위·수탁을 계약 체결하고, 2002년 4월 한방병원 개원과 함께 신축병원 건물(400병상)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파란 눈의 의사가 본 1950년대 서울과 군산> | 연합뉴스



<파란 눈의 의사가 본 1950년대 서울과 군산> | 연합뉴스
<파란 눈의 의사가 본 1950년대 서울과 군산>
송고시간 | 2013-03-19 11:15


휴전 후 의료봉사한 故 존 콘스 박사 사진집 발간

영국인 의사가 본 1950년대 전북 군산
(서울=연합뉴스) 서울역사박물관은 1954년부터 2년간 전북 군산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했던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 박사가 촬영한 사진을 모은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을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콘스 박사는 의료활동 모습은 물론 농촌의 사계절 풍경과 김장철 모습, 이승만 대통령의 군산 방문, 1956년 정·부통령 선거 등을 그때그때 눈에 띄는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사진은 당시 전북 군산 시가지의 모습. 2013.3.19 << 사회부 기사 참조,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전쟁 중 폭격으로 무너진 병원, 제대로 갖추지 못한 의료시설, 피난민 환자들로 가득한 병실….

퀘이커 교도였던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John Selwyn Cornes) 박사가 의료봉사를 하기 위해 부인 진 메리와 1954년 3월 한국 땅을 밟았을 때 보인 것들이다.

전쟁 폭격으로 무너진 군산도립병원
(서울=연합뉴스) 서울역사박물관은 1954년부터 2년간 전북 군산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했던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 박사가 촬영한 사진을 모은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을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콘스 박사는 의료활동 모습은 물론 농촌의 사계절 풍경과 김장철 모습, 이승만 대통령의 군산 방문, 1956년 정·부통령 선거 등을 그때그때 눈에 띄는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사진은 남북전쟁 중 폭격으로 무너진 군산도립병원의 모습. 2013.3.19 << 사회부 기사 참조,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photo@yna.co.kr


그러나 이후 2년 동안 군산도립병원에 머물면서 콘스 부부가 본 것은 황폐화된 풍경만은 아니었다.
조금씩 회복돼 가는 군산의 시가지, 전쟁의 시름을 잊은듯 탑골공원 팔각정 앞에 모여 앉아 환하게 웃는 노인들, 전차가 다니는 한국은행 앞 광장 등은 콘스 박사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는 의료활동 모습은 물론 농촌의 사계절 풍경과 김장철 모습, 이승만 대통령의 군산 방문, 1956년 정·부통령 선거 등을 그때그때 눈에 띄는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지난해 9월 전 주영대사관 공보관인 이대중씨의 도움으로 알려진 사진 외에 현재 영국 브리스톨에 살고 있는 진 메리 콘스 여사가 소장한 칼라 슬라이드 307장, 흑백사진 106장 등 총 413장을 추가로 입수했다고 19일 밝혔다.

그의 사진은 2011년 4월 그가 작고하기 전 주영한국문화원의 초청으로 특별강연을 하면서 알려지게 됐으나 전체가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휴전 후 의료봉사한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
(서울=연합뉴스) 서울역사박물관은 1954년부터 2년간 전북 군산에서 의료봉사활동을 했던 영국인 의사 존 쉘윈 콘스 박사가 촬영한 사진을 모은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을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콘스 박사는 의료활동 모습은 물론 농촌의 사계절 풍경과 김장철 모습, 이승만 대통령의 군산 방문, 1956년 정·부통령 선거 등을 그때그때 눈에 띄는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콘스 박사는 지난 1월 전쟁으로 상처 입은 한국인들을 치료한 데 대한 감사의 표시로 대한민국 수교훈장 흥인장을 받기도 했다. 2013.3.19 << 사회부 기사 참조,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
photo@yna.co.kr


콘스 박사는 지난 1월 전쟁으로 상처 입은 한국인들을 치료한 데 대한 감사의 표시로 대한민국 수교훈장 흥인장을 받기도 했다.

박물관은 여기에 2011년 공개된 디지털 파일 167장 등을 합쳐 총 580장의 사진을 정리하고 그 중 주요 사진들을 뽑아 '콘스가 본 1950년대 한국'이란 제목의 사진집을 출간했다.

사종민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장은 "콘스는 의사로서 주변 풍경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 당시 모습을 왜곡되지 않게 보여준다"며 "당시 유엔이나 외국 민간단체들의 구호활동 실상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li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