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18

알라딘: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 - 개정판



알라딘: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 - 개정판






[eBook]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 - 개정판 l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1

전국귀농운동본부 (엮은이) | 들녘 | 2014-04-17
공유
URL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
미리보기


종이책정가 12,000원
전자책정가 8,400원


ISBN 9788975277306
페이지 수 328쪽 (종이책 기준)
제공 파일 ePub(3.16 MB)
T


6.0

농업 길잡이/생태농업 주간 2위
Sales Point : 17





2000년에 출간한 <생태농업을 위한 길잡이>의 완전 개정판이다. 전작이 반강제적인 관행농법에 밀렸다가 자취를 감춘 생태농업을 되살려낸 선구자들과 그들의 주목할 만한 초기 생태농법을 소개했다면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는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보완되고 발전되었거나 새롭게 시도된 농법들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살펴본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생태적인 농사의 방법과 기술들이 담겨 있다. 생태농업의 시작단계에서 주목받았던 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지렁이농법, 그린음악농업의 농법을 소개할 뿐 아니라 최근 각광받고 있는 미생물농법과 직접 손으로 만드는 친환경 제제, 왕겨를 이용한 목초액을 만드는 방법, 작물의 생육에 좋은 거름과 액비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1장 생태농업의 출발
유기농업의 원리와 실제_강대인, 정경식/ 자연농법이란 무엇인가_최성현/ 퍼머컬처_빌 몰리슨/ 친환경 유기농업에서 유기순환 생태농업으로_안철환

2장 생태농업을 위한 방법
무경운, 자연과 몸에 맞는 농법_김광화/ 열을 잡아라, 무비닐 농법_전석호 93/ 가장 자연에 가깝게, 무투입 농법_이옥신/ 우렁이와 함께 짓는 논농사1_최재명/ 우렁이와 함께 짓는 논농사2_김일환/ 혼작을 이용한 텃밭정원_오도/ 지렁이 농법_이주삼/ 그린음악 농법_이완주/ 토양의 먹이사슬을 살리는 미생물 농법_윤성희

3장 생태농업의 국내외 사례
하늘의 기운으로 농사짓는 생명의 농사꾼, 강대인_안철환/ 탈석유, 자급자족의 가족농_추성수/ 좌충우돌 무비닐 농사_연상준/ 토종 살리는 전여농_신지연/ 전통농법을 이용한 참외농사_최진국/ 삽과 곡괭이를 던져 버려라_루스 스타우트/ 말로 쟁기질하는 밭농사_앤&에릭 노델/ 도시를 먹이는 물 위의 채소밭, 치남파스_요시다 타로 270/ 스리랑카는 과거로 돌아가야 한다_에드워드 골드스미스

4장 생태농업 농자재 만들기
거름과 액비 만들기_텃밭보급소/ 왕겨 훈탄과 왕겨 목초액 만들기_노희선/ 내 손으로 만드는 친환경 제제_텃밭보급소 312

부록 생태농사력
유기농업 벼농사 달력_강대인/ 유기농업 밭농사 달력_텃밭보급소






엮은이 : 전국귀농운동본부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귀농 길잡이 두 번째>,<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귀농 길잡이> … 총 16종 (모두보기)
소개 :
생명의 가치가 존중되지 않는 도시 산업 문명에 대한 절박한 위기감 속에서 전국귀농운동본부는 태어나 올해로 20년을 맞았습니다.
귀농운동은 도시 젊은이들이 농촌과 농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깨닫고 농촌으로 돌아가 생명의 텃밭을 일구는 데 희망이 있음을 보았습니다. 그렇게 지난 20년 동안 도시 사람들에게 생명의 가치를 알리고, 농촌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을 교육하고, 귀농자들의 자립을 돕는 한길을 걸어왔습니다.
73기까지 이어지고 있는 서울귀농학교를 비롯해 전국의 열 곳에 이르는 귀농학교에서 해마다 많은 사람들이 농촌으로 돌아가기 위...





석유에 기대지 않고 자연의 힘을 빌어 짓는 바른 농사
2012년 문명 사회는 석유로 의식주를 해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먼저 식재료가 우리 밥상으로 음식이 되기까지 과정을 살펴보자. 농작물을 재배하는 생산과정에서 기계와 비닐, 화학약품과 화학비료 같은 자재가 쓰인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비닐과 플라스틱으로 포장되고 트럭으로 운송되어 도시로 배달되어 저장 냉장고에 보관된다. 그렇게 전시된 농작물은 자동차에 실려 각 가정으로 실려 간다. 석유 없이는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시스템이 정착되었다. 또한 서구화되어 가는 음식 문화의 영향으로 고기 섭취가 늘어나고 있는데, 사료 자체의 생산과정은 농작물과의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의 석유를 소비하고 있다.
그렇다면 친환경 농산물은 다를까? 물론 관행농산물에 비해 석유가 덜 들어간 것은 확실하지만, 생산과정에서 화학비료와 화학약품이 들어가지 않은 것 말고는 비슷하다. 석유는 언젠가 고갈될 에너지이다. ‘피크 오일(Peak Oil)’로 제일 큰 타격을 받을 것은 교통과 운송이고, 그다음은 바로 농사이다. 이렇게 에너지를 소비하고, 탄소를 배출하는 삶과 일을 언제까지 지속할 수 있을까?
석유에 의존하는 의식주에 대한 경종, 새로운 대체 에너지의 모색, 친환경적인 삶에 대한 대안 등이 세계 여기저기에서 벌어지고 있다. 특히 사람의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의 재료를 생산하는 농사에서 굳은 의지와 뜻을 지닌 농부들의 ‘생태농업’이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이들은 단지 석유의 굴레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어떤 화학비료나 약품으로도 흉내 낼 수 없는 질 좋은 농작물들을 생산하고 있다.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는 이러한 시대에 앞선 안목과 관점으로 생태농업을 모색한 농부들의 도전과 노력으로 완성해낸 농법이 자세하게 담겨 있다. 온갖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이루어낸 이들의 땀과 노력은 논과 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면서도 구체적인 농법으로 결실을 맺었다. 아울러 농산물이라는 상품을 만들어내기에 급급한 1차생산자에서 자연 생태계와 호흡하며 자연의 풍요에 동참하여 생명을 양육하는 농부로 거듭나는 지혜를 들려준다.

‘참농사의 달인들’이 논과 밭,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태농업의 생생한 비법을 전수한다!
이 책은 2000년에 출간한 『생태농업을 위한 길잡이』의 완전 개정판이다. 전작이 반강제적인 관행농법에 밀렸다가 자취를 감춘 생태농업을 되살려낸 선구자들과 그들의 주목할 만한 초기 생태농법을 소개했다면 『생태농업이란 무엇인가?』는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보완되고 발전되었거나 새롭게 시도된 농법들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살펴본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생태적인 농사의 방법과 기술들이 담겨 있다. 생태농업의 시작단계에서 주목받았던 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지렁이농법, 그린음악농업의 농법을 소개할 뿐 아니라 최근 각광받고 있는 미생물농법과 직접 손으로 만드는 친환경 제제, 왕겨를 이용한 목초액을 만드는 방법, 작물의 생육에 좋은 거름과 액비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생태농업의 국내외 사례’를 대폭 수정하여 2012년 현재 생태농업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하고 있는 농부들의 농법과 삶을 살펴본다. 현장에서 숱한 고생을 겪으며 직접 농법을 개발한 이들은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생생한 정보를 소개한다. 작물 재배 과정에서 전혀 석유를 쓰지 않고 오직 네 식구의 힘으로 자급자족의 삶을 살고 있는 추성수 가족, 비닐을 전혀 깔지 않고 감자와 고구마, 마늘 등을 생산하고 있는 연상준 씨, 돌려짓기(윤작)를 하며 전통농법을 고수하고 있는 최진국 씨, 어떠한 화학비료도 뿌리지 않는 무투입 농법으로 포도와 멜론, 인삼 농사를 짓고 있는 이옥신 씨 등이 논과 밭 현장에서 농법의 검증을 마친 ‘진정한 생태농사의 달인’들은 놀라운 비법과 생태적인 마인드를 들려준다. 뿐만 아니라 요시다 타로, 에드워드 골드스미스 등 저명한 전문가들이 국외에서 살펴보는 생태농업의 사례와 발전방향에 대한 모색 등을 읽으면 참다운 농사에 대해 성찰해보게 된다.
생태농업은 땅 위에 사는 모든 생명체들이 땅에서 생산되는 것에 의지하여 먹고 입고 번식하며 살아가는 이치를 자각하며, 인간 또한 생태계의 일원이란 사실을 깨닫고 자연과 신뢰하는 자세를 회복하는 일이다. 이 책은 땅을 죽이고 약탈하며 생태계를 파괴하여 농산물이라는 상품을 만들어내는 한갓 생산수단으로 전락한 농부가 아니라, 자연의 순리에 감사하며 자연의 풍요에 동참하여 생명을 양육하는 농부로 거듭나는 농법을 익히고, 마음을 깨닫는 방법을 들려준다.

책을 쓴 사람들
강대인: 우리나라 최초로 벼 유기재배 품질 인증을 받은 농부.
정경식: 30년 넘게 공생 순환 생명의 농사 철학을 실천하고 있는 농부.
최성현: 제천의 천등산 박달재 인근에 ‘바보 이반 농장’을 차리고 자연농법을 실행 중이다.
빌 몰리슨: 생태학자이자 공동체운동가. ‘퍼머컬처’ 이론을 실천하고 실험하며 수많은 나라에 전파했다.
안철환: 도시농업운동단체 ‘텃밭보급소’ 소장이자 ‘안산 바람들이 시민농장’ 대표.
김광화: 농사일을 하며, 자유롭게 성장하고 싶어하는 여러 가정들과 ‘홈스쿨링가정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전석호: 정농생협 이사장. 생명농업, 직거래, 도농공동체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최기영: <귀농통문> 편집장. 농사와 책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이옥신: 어떤 비료도 넣지 않고 오직 ‘땅심’만으로 포도와 멜론, 인삼 농사를 짓고 있다.
최재명: 1990년 국내 처음으로 왕우렁이농법을 도입했다. 지금도 왕우렁이를 양식해 농부들에게 보급하고 있다.
김일환: 전남 장흥군 ‘친환경농업인연합회’ 고문. 왕우렁이농법으로 논농사를 짓고 있다.
루스 스타우트: 세상을 떠날 때까지 넘게 텃밭을 최소한의 노동력과 퇴비 없이 경작하며 풍성한 식탁을 차려냈다.
오도: 풀무학교 생태농업전공부 원예교사. 학생들과 함께 텃밭정원에서 더불어 사는 삶을 일구고 있다.
이주삼: 연세대 원주캠퍼스 생명과학기술부 교수.
이완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일했으며, 음악농법을 창안하고, 여러 대학에서 토양비료에 대해 강의했다.
윤성희: ‘흙살림’ 이사. 유기농업의 새로운 시도와 연구들을 거듭하며 바쁘고 즐겁게 살고 있다.
추성수: 기계와 비닐에 기대지 않고 오직 네 식구의 힘만으로 농사를 짓고 있는 가족의 가장.
연상준: 일본인 아내와 충북 음성에서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밭농사를 짓고 있다.
신지연: 전국여성농민총연합 사무국장. 토종농사를 짓던 시절을 그리워하며 여성농민이 될 날을 꿈꾸고 있다.
최진국: 성주에서 전통농법으로 참외를 농사짓고 있다.
이정화: 안산에서 텃밭농사를 짓고 있다.
앤&에릭 노델: 미국 펜실베이니아 북부에서 농사를 지으며 소농들을 위한 잡지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요시다 타로: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저자. 세계 소농의 역사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
에드원드 골드스미스: <생태주의자Ecoligist> 잡지의 편집자.
텃밭보급소: 농촌과 함께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에서 농사를 가르치는 단체.
노희선: 도시농부학교에서 여러 해 동안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오다가 귀농을 해서 직접 농사를 하고 있다.





ryot67 2013-01-15
귀농예정자라 당연히 들녘의 귀농도서를 많이 읽고 있습니다만, 매번 맞춤법이 틀린 문장들과 ,오자, 편집오류로 인한 단어 중복등으로 실망합니다. 기본적인 교정은 마치고 출간하던지,개정판인데도 너무하군요.
공감(1) 댓글(0)

18 Teaching permaculture to long term refugees and those returning home

AF June2018-col-lores-email.pdf



Teaching permaculture
to long term refugees and those returning home 


ROWE MORROW |

NEW SOUTH WALES REGIONAL MEETING



 THE AUSTRALIAN FRIEND | JUNE 2018 5
CONTINUED ON NEXT PAGE
knowledge.

----------



The students identify the wind direction, and where
they need windbreaks. They learn about the types of trees, how to plant them,
and what benefits they can bring, such as shade, timber, fruits, flowers, bee
fodder and a multitiude of other uses.
As the course continues students develop their own
initiatives. Turning to water collection, they calculate how much rainwater
they can collect from the roofs of sheds, storerooms, and the mosque and
identify where it can be distributed to community gardens during the dry
season. They plan community gardens and small economic land-based incomes.
These were actions taken from a theoretical class.
They captured the vision to transform camp. The students also took the seeds we
gave them, and gave them to others who hadn’t attended the class, and told them
how to plant it. We didn’t ask them to do that.
This year, some of the first new permaculturists will
talk to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DPs) from Mosul who have been in camps
for months and who, before returning to Mosul, will have a permaculture course.
Before these Iraqis return home to their blitzed villages they will meet and
talk with students about the experience of learning permaculture, and what they
can expect to learn.
This is a World Vision, Kurdistan, initiative. It is
the beginning of a project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and will become refugee-to-refugee taught and refugee managed.

Teaching permaculture

A Kurdistan refugee camp is where this
work, inititated by World Vision International, took Paula Paananen and me in
2017. I made a pledge to myself early on in my career, that I would take
permaculture to places that aren’t easily accessed by permaculture teachers or





The plan
knowledge. As in the past, that could be anywhere from Vietnam to rural
Ethiopia. From a small base in the Blue Mountains Permaculture Institute (BMPI)
in




















































































































--------------

I
n a refugee camp in Iraq, people are
preparing to return to their home
city of Mosul which they fled when
it was heavily bombed last year. With
them, after a Permaculture Design
Course (PDC) they will be taking new
skills in permaculture. When they look
at grey water running through streets,
or need a way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the harsh summer sun, the
permaculture lessons they have learnt
will provide some answers to these
problems.
Transforming a refugee camp
At the beginning of their permaculture
journey, as their teacher I ask them to
start by working on designs for their
homes in the camp. These camps have
broad, dusty bare roads along which
people live in tents or small cement
buildings enclosed by high walls. The
challenge is to make their surroundings
softer, greener, and cooler, and provide
some fresh food to supplement the
World Food Project rations. Summer
temperatures can go to 50º+C and
winter, drop to -15ºC. Winds are
savage. The residents usually live with
enforced inactivity.
Learning is a positive and critical
opportunity often neglected in camps.
The refugee’s ‘home’ is
the priority for design and
activity
The students are set tasks. They must
think about
• where to create shade
• how to block the savage, dusty
winds
• how to collect water and how to
reuse grey water
• what food they can grow in small
spaces.
With limited and boring food
rations, a path towards better nutrition
is a good place to start. The students
begin with simple crops like tomatoes,
parsley, and beans, with a pumpkin
or two to cover the roofs in summer.
Soon, vegetables like aubergines and
courgettes are added to the mix. These
crops grow fast, produce prolifically, and
assist in creating much needed shade
and nutrition. Then they add fruits such
as grapes.
Moving outwards to the
street and the whole camp –
with initiative
With inspiration the learners turn
towards greening the streets outside
their homes.
Here, people started with technical
knowledge. First they deal with the
problematic greywater which runs
down the gutters and treat it to water
new fruit trees which also give shade in
summer when the temperature rockets.
We all walk around the camp
looking at the slimy, black water in
which children are playing. By using
nature’s techniques, this water will
be cleaned. A delicate mix of plants,
oxygen, and sunshine can sterilise water
– a welcome skill in a place with little
fresh water and stifling heat.
The students identify the wind
direction, and where they need
windbreaks. They learn about the types
of trees, how to plant them, and what
benefits they can bring, such as shade,
timber, fruits, flowers, bee fodder and a
multitiude of other uses.
As the course continues students
develop their own initiatives. Turning
to water collection, they calculate
how much rainwater they can collect
from the roofs of sheds, storerooms,
and the mosque and identify where
it can be distributed to community
gardens during the dry season. They
plan community gardens and small
economic land-based incomes.
These were actions taken from a
theoretical class. They captured the
vision to transform camp. The students
also took the seeds we gave them,
and gave them to others who hadn’t
attended the class, and told them how
to plant it. We didn’t ask them to do
that.
This year, some of the first new
permaculturists will talk to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DPs) from Mosul
who have been in camps for months
and who, before returning to Mosul,
will have a permaculture course. Before
these Iraqis return home to their
blitzed villages they will meet and talk
with students about the experience of
learning permaculture, and what they
can expect to learn.
This is a World Vision, Kurdistan,
initiative. It is the beginning of a
project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and
will become refugee-to-refugee taught
and refugee managed.
Teaching permaculture
A Kurdistan refugee camp is where
this work, inititated by World Vision
International, took Paula Paananen and
me in 2017. I made a pledge to myself
early on in my career, that I would take
permaculture to places that aren’t easily
accessed by permaculture teachers or

-----------------

knowledge.



As in the past, that could
be anywhere from Vietnam to rural
Ethiopia.
From a small base in the Blue
Mountains Permaculture Institute
(BMPI) in Katoomba and active
permaculturists from Philippines,
Spain, Greece, Italy and a support
group working in camps and new
settlements P4R by Skype. We work
with displaced people across the world,
and I have strong feelings about how
Australia is treating asylum seekers and
describe the practice of sending people
to Pacific islands instead of mainland
Australia as humiliating, shameful and
unconscionable.
I’ve seen what causes mass migration
of people, seen the needless suffering, and
so I have a profound, deep repugnance
and loathing for war and violence. After
seeing the conditions refugees often
live in, and after working in Southern
Europe during the economic crisis, my
thoughts crystalised: ‘There is a better
way, and it is permaculture.’
We needed to transform refugee
camps from places of profound suffering
and injustice into eco-villages. And this
is possible and makes perfect sense
without wasting any human potential
while restoring ecosystems.
The first impact of the work in
refugee camps is to improve people’s
immediate living conditions. Camps
can be regreened, refugees skilled up,
and wellbeing improved. Permaculture
gives people something to think about
and skills they can all do, and they feel
like people again with skills, purpose,
hope and a future.
Challenges to assumptions
Getting to the point where the students
can design the camp for themselves
is challenging. Often courses must to
b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and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to
overcome, and many students are
confronted when offered new ways of
learner-centred learning; many of them
are not used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There are innumerable challenges.
When I talk about forests, perennial
systems, rehydrating landscapes and
sustainability, I hit another stumbling
block because some students have never
seen a forest. Long wars destroy forests
e.g. in Kurdistan and Afghanistan. For
me, reforesting as quickly as possible is
vital. Once the trees come back, so will
water.
The future: ambitious goals
I want refugees to take over the teaching,
and for them to go into other camps
to share their knowledge. For this to
happen, there needs to be more support
and facilitation from NGOs and camp
managers. And beyond facilitation, they
need to ‘want’ the refugees to succeed
in permaculture and to transform the
camps and settlements.
Everything happens faster when
refugees teach each other. We constantly
keep our focus on refugees and their
abilities and potential. But we need to
train more trainers.
I have recently had a breakthrough,
and it came from Kabul. I was able
to fund the Afghan Peace Volunteers
from small personal donations and
LUSH, to translate some key texts
from the permaculture design course
into Dari, a language of Afghanistan.
The translations that the Afghan Peace





------------

As in the past, that could
be anywhere from Vietnam to rural
Ethiopia.
From a small base in the Blue
Mountains Permaculture Institute
(BMPI) in Katoomba and active
permaculturists from Philippines,
Spain, Greece, Italy and a support
group working in camps and new
settlements P4R by Skype. We work
with displaced people across the world,
and I have strong feelings about how
Australia is treating asylum seekers and
describe the practice of sending people
to Pacific islands instead of mainland
Australia as humiliating, shameful and
unconscionable.
I’ve seen what causes mass migration
of people, seen the needless suffering, and
so I have a profound, deep repugnance
and loathing for war and violence. After
seeing the conditions refugees often
live in, and after working in Southern
Europe during the economic crisis, my
thoughts crystalised: ‘There is a better
way, and it is permaculture.’
We needed to transform refugee
camps from places of profound suffering
and injustice into eco-villages. And this
is possible and makes perfect sense
without wasting any human potential
while restoring ecosystems.
The first impact of the work in
refugee camps is to improve people’s
immediate living conditions. Camps
can be regreened, refugees skilled up,
and wellbeing improved. Permaculture
gives people something to think about
and skills they can all do, and they feel
like people again with skills, purpose,
hope and a future.
Challenges to assumptions
Getting to the point where the students
can design the camp for themselves
is challenging. Often courses must to
b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and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to
overcome, and many students are
confronted when offered new ways of
learner-centred learning; many of them
are not used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There are innumerable challenges.
When I talk about forests, perennial
systems, rehydrating landscapes and
sustainability, I hit another stumbling
block because some students have never
seen a forest. Long wars destroy forests
e.g. in Kurdistan and Afghanistan. For
me, reforesting as quickly as possible is
vital. Once the trees come back, so will
water.
The future: ambitious goals
I want refugees to take over the teaching,
and for them to go into other camps
to share their knowledge. For this to
happen, there needs to be more support
and facilitation from NGOs and camp
managers. And beyond facilitation, they
need to ‘want’ the refugees to succeed
in permaculture and to transform the
camps and settlements.
Everything happens faster when
refugees teach each other. We constantly
keep our focus on refugees and their
abilities and potential. But we need to
train more trainers.
I have recently had a breakthrough,
and it came from Kabul. I was able
to fund the Afghan Peace Volunteers
from small personal donations and
LUSH, to translate some key texts
from the permaculture design course
into Dari, a language of Afghanistan.
The translations that the Afghan Peace
The plan



THE AUSTRALIAN FRIEND 6 | JUNE 2018
PERMACULTURE – CONTINUED FROM PAGE 5



Volunteers provide will be taken into a
refugee camp in Greece. I am keen for
translation work to continue, and for
the refugees to be the translators.
In 2018, I ran a second Permaculture
Design Course in Kabul organised by
the Afghan Peace Volunteers. This
was against a backdrop of 40 years of
war resulting in millions of internally
displaced people. There were tanks in
the street, terrorist bombing down the
road, and I was told by local people
that in one village the bombing was so
intense that the people had no land left
to bury their dead.
Permaculture for the future
I am very clear about one thing – this
is much more than just a gardening
project, it is a holistic sustainability project. The work goes far beyond
regreening refugee camps.
The nature of a refugee camp is that
its inhabitants are likely to leave one
day. When that happens, permaculture
students will leave behind a healthy
piece of land, well stocked with fruit
trees, grapes, olives, and shade trees.
This will be of huge benefit to the
local communities which BMPI and
P4R also want to integrate into the
permaculture learning and applications.
Once a permaculture camp has started,
the gates need to open and villagers,
farmers, and other locals also need to
be able to learn permaculture and work
with the refugees. This is a long way
from becoming a reality.
The final element to our work
involves the future of the IDPs, and
what happens when they return home.
Permaculture can provide relevant
solutions; ways to bring life back into
war-torn cities, and better ways of
rebuilding better than originally.
As yet, I don’t know anyone who
has gone back to their home with
permaculture skills, but we are full of
hope for the initiative. We may soon
have answers after some of our students
from a camp in Iraq return to Mosul.
What is so exciting about this
work, is that it not only creates a better
environment in the short term, it is also
provides long term solutions. There are
undoubtedly some wounds that can’t
be healed. But if our vision is realised,
permaculture could offer some startling
opportunities for people returning
to cities ravaged by war. It can give
people the skills to take control of their
surroundings, and show them how to
harness the processes and beauty of the
natural world in order to create a more
sustainable future.
Based on an article supplied f

--------------

































JUNE 2018 I n a refuge

e camp in Iraq, people are preparing to return to their home city of Mosul which they fled when it was heavily bombed last year. With them, after a Permaculture Design Course (PDC) they will be taking new skills in permaculture. When they look at grey water running through streets, or need a way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the harsh summer sun, the permaculture lessons they have learnt will provide some answers to these problems. Transforming a refugee camp At the beginning of their permaculture journey, as their teacher I ask them to start by working on designs for their homes in the camp. These camps have broad, dusty bare roads along which people live in tents or small cement buildings enclosed by high walls. The challenge is to make their surroundings softer, greener, and cooler, and provide some fresh food to supplement the World Food Project rations. Summer temperatures can go to 50º+C and winter, drop to -15ºC. Winds are savage. The residents usually live with enforced inactivity. Learning is a positive and critical opportunity often neglected in camps. The refugee’s ‘home’ is the priority for design and activity The students are set tasks. They must think about • where to create shade • how to block the savage, dusty winds • how to collect water and how to reuse grey water • what food they can grow in small spaces. With limited and boring food rations, a path towards better nutrition is a good place to start. The students begin with simple crops like tomatoes, parsley, and beans, with a pumpkin or two to cover the roofs in summer. Soon, vegetables like aubergines and courgettes are added to the mix. These crops grow fast, produce prolifically, and assist in creating much needed shade and nutrition. Then they add fruits such as grapes. Moving outwards to the street and the whole camp – with initiative With inspiration the learners turn towards greening the streets outside their homes. Here, people started with technical knowledge. First they deal with the problematic greywater which runs down the gutters and treat it to water new fruit trees which also give shade in summer when the temperature rockets. We all walk around the camp looking at the slimy, black water in which children are playing. By using nature’s techniques, this water will be cleaned. A delicate mix of plants, oxygen, and sunshine can sterilise water – a welcome skill in a place with little fresh water and stifling heat. The students identify the wind direction, and where they need windbreaks. They learn about the types of trees, how to plant them, and what benefits they can bring, such as shade, timber, fruits, flowers, bee fodder and a multitiude of other uses. As the course continues students develop their own initiatives. Turning to water collection, they calculate how much rainwater they can collect from the roofs of sheds, storerooms, and the mosque and identify where it can be distributed to community gardens during the dry season. They plan community gardens and small economic land-based incomes. These were actions taken from a theoretical class. They captured the vision to transform camp. The students also took the seeds we gave them, and gave them to others who hadn’t attended the class, and told them how to plant it. We didn’t ask them to do that. This year, some of the first new permaculturists will talk to Internally Displaced People (IDPs) from Mosul who have been in camps for months and who, before returning to Mosul, will have a permaculture course. Before these Iraqis return home to their blitzed villages they will meet and talk with students about the experience of learning permaculture, and what they can expect to learn. This is a World Vision, Kurdistan, initiative. It is the beginning of a project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Permaculture For Refugees (P4R) and will become refugee-to-refugee taught and refugee managed. Teaching permaculture A Kurdistan refugee camp is where this work, inititated by World Vision International, took Paula Paananen and me in 2017. I made a pledge to myself early on in my career, that I would take permaculture to places that aren’t easily accessed by permaculture teachers or Teaching permaculture to long term refugees and those returning home ROWE MORROW | NEW SOUTH WALES REGIONAL MEETING THE AUSTRALIAN FRIEND | JUNE 2018 5 CONTINUED ON NEXT PAGE knowledge. As in the past, that could be anywhere from Vietnam to rural Ethiopia. From a small base in the Blue Mountains Permaculture Institute (BMPI) in Katoomba and active permaculturists from Philippines, Spain, Greece, Italy and a support group working in camps and new settlements P4R by Skype. We work with displaced people across the world, and I have strong feelings about how Australia is treating asylum seekers and describe the practice of sending people to Pacific islands instead of mainland Australia as humiliating, shameful and unconscionable. I’ve seen what causes mass migration of people, seen the needless suffering, and so I have a profound, deep repugnance and loathing for war and violence. After seeing the conditions refugees often live in, and after working in Southern Europe during the economic crisis, my thoughts crystalised: ‘There is a better way, and it is permaculture.’ We needed to transform refugee camps from places of profound suffering and injustice into eco-villages. And this is possible and makes perfect sense without wasting any human potential while restoring ecosystems. The first impact of the work in refugee camps is to improve people’s immediate living conditions. Camps can be regreened, refugees skilled up, and wellbeing improved. Permaculture gives people something to think about and skills they can all do, and they feel like people again with skills, purpose, hope and a future. Challenges to assumptions Getting to the point where the students can design the camp for themselves is challenging. Often courses must to b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and there are cultural differences to overcome, and many students are confronted when offered new ways of learner-centred learning; many of them are not used to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There are innumerable challenges. When I talk about forests, perennial systems, rehydrating landscapes and sustainability, I hit another stumbling block because some students have never seen a forest. Long wars destroy forests e.g. in Kurdistan and Afghanistan. For me, reforesting as quickly as possible is vital. Once the trees come back, so will water. The future: ambitious goals I want refugees to take over the teaching, and for them to go into other camps to share their knowledge. For this to happen, there needs to be more support and facilitation from NGOs and camp managers. And beyond facilitation, they need to ‘want’ the refugees to succeed in permaculture and to transform the camps and settlements. Everything happens faster when refugees teach each other. We constantly keep our focus on refugees and their abilities and potential. But we need to train more trainers. I have recently had a breakthrough, and it came from Kabul. I was able to fund the Afghan Peace Volunteers from small personal donations and LUSH, to translate some key texts from the permaculture design course into Dari, a language of Afghanistan. The translations that the Afghan Peace The plan







































알라딘: 자연 그대로 먹어라 - 무주농부의 자연밥상 이야기





알라딘: 자연 그대로 먹어라 - 무주농부의 자연밥상 이야기


[eBook] 자연 그대로 먹어라 - 무주농부의 자연밥상 이야기

장영란 (지은이), 김광화 (사진)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11-01-18






종이책정가 12,000원
전자책정가 8,400원
판매가 8,400원 (0%, 0원 할인,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eBook > 가정/요리/뷰티 > 건강요리
eBook > 건강/취미/레저 > 건강정보 > 음식과 건강



조류독감, 광우병 파동, 유전자 변형까지 현재 우리는 불안하기만 한 먹을거리에 둘러싸여 있다. 어떻게 해야 먹을거리와 함께 우리의 건강을 지켜낼 수 있을까? 저자는 그 해결책으로 '자연 그대로'먹기를 제시하고 자연 그대로 먹기 위한 세 가지 지침인 ‘단순하게 먹자’, ‘제철에 먹자’, ‘통째로 먹자’에 충실한 건강비법을 소개한다.

봄에는 봄내음에 흠뻑 취할 수 있는 봄나물과 달걀, 앵두, 대파와 쪽파 등의 먹을거리와 함께 모내기 이야기까지, 여름에는 더위를 이겨낼 힘을 주는 매실, 오이, 토마토, 가을에는 쌀쌀한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감, 기장, 단호박, 겨울에는 추울 때 먹어야 제맛인 고구마. 김장 무, 떡 등 각 계절별 제철 먹을거리 이야기와 함께 이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계절별 먹을거리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먹을거리의 자연성을 살리는 기본원칙인 ‘단순하게 먹자’, ‘제철에 먹자’, ‘통째로 먹자’에 충실한 봄나물 토렴, 달래멸치무침, 무 홍시채, 청국장 샐러드 등의 자연요리들과 그 레시피까지 소개하고 있다. 일반 요리책에서는 보기 힘든 자연요리 중심으로 소개되어 있어 더 가치가 있다.

또 각각의 내용에 어울리는 각종 자연풍경과 먹을거리 그리고 자연요리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남편이 찍은 사진을 실었다. 먹을거리에 대한 고민이 많은 이때, 농부 입장에서 바라본 ‘친환경농산물’, ‘우리 땅의 먹을거리’, ‘토종씨앗’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어, 건강한 먹을거리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된다.





머리말 자연밥상, 자연요리

1장 봄
아이들과 봄나물 먹기
봄나물 하는 맛을 아시나요
먼 길 가는 길손에게 된장주먹밥
밥 한 그릇 1 - 희망을 심는 모내기
나무한테 얻어먹는 맛, 앵두
손바닥 농사
대파와 쪽파도 이리 다른데
새가 알을 낳는 봄, 달걀도 제철
뼈대 있는 생선, 멸치
손수 담근 상큼한 식초

2장 여름
매실이 우리 밥상으로 들어오다
여름의 대표주자 오이
김매며 나물하기
하지감자 돼지감자
알곡 그대로 먹을 수 있어 좋은 옥수수
햇살을 가장 많이 닮은 토마토
까다로운 참깨와 거침없는 들깨
자연의 기운을 담은 효소차

3장 가을
남편 생일상
가을에 감이 없다면?
밥 한 그릇 2 - 가을걷이
우리 민족을 가장 오래 먹여살린 곡식, 기장
주렁주렁 호박, 껍찔째 먹는 단호박
으뜸양념인 고춧가루를 위한 고추 말리기
수세미 덕에 화장을
땅 속에서 나오는 배, 야콘

4장 겨울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덥혀주는 고구마
산삼기운을 끌어당겨 자란 김장 무
잔치음식에 떡이 빠질소냐
주전자 콩나물
몸이 찬 딸들에게 호두 잣 땅콩을
겨울다운 맛, 묵나물
피붙이 같은 곡식, 콩
꼬리꼬리 미끌미끌 청국장
철따라 바뀌는 김치 이야기




아이들은 카레, 짜장 같은 덮밥을 좋아한다. 우리도 덮밥을 만들 수 없을까? 인도 하면 카레, 중국 하면 춘장……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대표 음식은 된장. 된장으로 덮밥을 만들어 보았다.
준비물: 완숙토마토 4~5개, 감자 3개, 양파 1개, 된장, 생물오징어 하나, 통고추 하나
1. 감자 3개 가운데 2개과 양파, 토마토를 먹기 좋게 썰어 냄비에 넣고 익힌다. 이때 마른통고추 하나를 넣고 끓이면 칼칼한 맛이 우러난다.

2. 오징어는 내장을 들어내고 먹물은 살려 찌개에 터뜨려 넣는다. 오징어 살은 먹기 좋게 토막을 낸다. 없으면 안 넣어도 괜찮다.
3. 감자가 다 익었으면 오징어를 넣는다.
4. 오징어가 익으면 남은 감자 한 개를 강판에 갈아 즙을 낸다. 감자 간 걸 그대로 다 넣으면 감자전분이 우러나 약간 걸쭉해진다. 마지막에 된장을 풀어 넣는다. 이때 카레를 향신료처럼 조금 넣을 수도 있다.-본문 중에서

눈이 덮인 한겨울, 자연에 먹을거리가 뭐가 있을까? 내가 멧토끼라 생각하고 찾아보면, 보이는 건 작은 나뭇가지, 마른 열매, 마른 풀, 눈이 녹으면 겨울 풀……열에 하나둘만 빼고는 모두 마른 것들이다. 우리 사람도 이때를 생각해 마른나물을 마련해 놓는다. 봄기운에 솟아난 고사리, 취, 다래순, 가을 찬바람을 담은 애호박과 애박 살을 말린 애박오가리, 시래기, 토란대……. 싱싱한 나물과 달리 마른나물은 또 다른 맛이 있다.

바람과 햇살에 마르면서 새로운 맛이 생긴다. (……) 묵나물은 나물 자체의 기운과 햇살의 기운이 담겨 있으며, 봄가을에 마련할 수 있다. (……) 오랫동안 자연에 순응하고 살아왔던 우리나라는, 겨울 뒤끝인 정월대보름에 묵나물 잔치를 벌인다. 오곡밥에 묵나물을 이웃과 나눠먹고, 풍물을 치고 온 마을을 돌며 겨우내 가라앉았던 기운을 일으켰다. 그러고 나면 봄이 성큼 다가선다.-본문 중에서






지은이 : 장영란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밥상위에 밥꽃이 피었습니다>,<밥꽃 마중>,<숨쉬는 양념.밥상> … 총 18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배우자 김광화는 서울서 만나, 딸과 아들을 두었다. 96년 서울을 떠나 98년부터 전북 무주에서 농사지으며 산다. 먹을거리를 자급하면서 ‘우리 안의 가능성’을 꽃피우려 한다. 농부다운 글과 사진 그리고 그림으로. 그러다 보니 부부가 함께 여러 책을 냈다. 『자연달력 제철밥상』 『아이들은 자연이다』 『숨쉬는 양념·밥상』 『씨를 훌훌 뿌리는 직파 벼 자연재배』.

늘 생명의 근원을 돌아보고 세상과 나누고자, ‘논밭사랑연구소’를 열었다. 소박한 ‘밥꽃 상영회’를 꿈꾸며, 틈틈이 이 책에 나온 ‘밥꽃’을 주인공...




사진 : 김광화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밥꽃 마중>,<직파 벼 자연재배>,<피어라, 남자> … 총 11종 (모두보기)
소개 :
상주에서 태어나 자랐다. 1996년에 서울을 떠나 귀농을 했다. 농사 틈틈이 일기를 썼다. 이게 쌓이니 언젠가부터 나만의 ‘빅데이터’가 되더라. 그 사이 책을 몇 권 내게 되었고, 이 책 역시 직파 일기를 오래 써온 결과물이다. 카메라도 어느새 호미만큼 익숙한 도구가 되었다.
직함이 농부작가, 정농회 교육위원을 비롯하여 새롭게 자꾸 늘어나는데 가장 즐겨 쓰는 건 ‘부부연애 전도사’다.

배우자 장영란과는 서울서 만나, 딸과 아들을 두었다. 96년 서울을 떠나 98년부터 전북 무주에서 농사지으며 산다. 먹을거리를 자급하면서 ‘...





“제철에 먹으면 내 몸이 싱싱해지고,
단순하게 먹으면 집중하는 힘이 생기며,
통째로 먹으면 마음까지 편안해진다.”

조류독감에 광우병 파동 그리고 유전자 변형까지…… 현재 우리는 불안하기만 한 먹을거리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혼돈 속에서 어떻게 해야 먹을거리와 함께 우리의 건강을 지켜낼 수 있을까?
여기, 자연 속에 파묻혀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무주농부가 있다.
평화로운 논밭에서 일하다 보니, 자연이 하나둘 눈에 들어오고 생명력이 느껴진다는 저자. 덩달아 밥상도 싱싱해져 가니, 이 방법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는 생각에 글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밥상은 건강하면서도 맛나야 한다. 그렇다면 건강하면서도 맛난 밥상을 차릴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저자는 바로 ‘먹을거리의 자연성을 살리는 길’이라고 말한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연에 끌리는 법. 그건 우리 사람도 자연이고, 자연에서 나는 걸 먹고 살아가기 때문이 아닐까? 봄이면 냉이를 캐서 먹는 맛을, 여름이면 뜨거운 햇살을 담뿍 담은 토마토를 먹는 기쁨을 느끼며, 우리는 먹을거리가 가진 자연성을 배워나갈 수 있다.
이렇게 자연성을 최대한 살리는 요리법이 바로 ‘자연요리’인데, 그 기본원칙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곧 ‘단순하게 먹자’, ‘제철에 먹자’, ‘통째로 먹자’이다.
단순하게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살려 먹으면 생명력을 가장 싱싱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그 재료 본연의 맛과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있어 입맛까지 좋아진다. 단순하게 먹을수록 우리 몸이 깨어나고 호기심까지도 살아난다.
요즘은 제철을 가려 먹기가 어려운 세상이긴 하지만, 제철을 기다려 먹으면 각 계절의 맛을 볼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영양도 듬뿍 담겼을 뿐 아니라 값까지 싸다. 또한 제때 씨를 뿌리면 저 알아서 잘 자라기 때문에 사람 손이 적게 가고 농약을 적게 뿌리게 되니, 기르는 사람 좋고 먹는 사람 좋고 이 땅에도 좋은 일이 된다.
마지막으로, 사람은 누구나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게 편한 법인데 먹을거리 또한 예외가 아니다. 과일도 씨까지, 곡식도 될 수 있는 대로 도정을 적게 해서 통째로 먹으면, 천천히 오래 씹어야 하므로 치아건강에도 좋고, 소화에도 도움이 된다.
이 책에서는 봄?여름?가을?겨울별로 자연의 생명력을 지닌 먹을거리와, 위의 세 가지 원칙에 충실한 요리법까지 담아내고 있다. 복잡한 현대사회에 살면서 늘 이렇게 먹고 살 수는 없겠지만, 이 책을 지침 삼아 하나씩 시도해 본다면 서울에서도 전원생활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자연이 더러워지면 우리 몸도 더러워지고,
철없이 먹으면 철이 없어지고 제철 먹을거리를 먹으면 싱싱해지고,
씨앗이 없는 걸 먹으면 사람 씨도 부실해지고
살아 있는 씨를 먹으면 몸도 마음도 튼실해지고,
먼 나라를 돌아 온 걸 먹으면 제 자리에 있지를 못하고
제 나라 제 땅에서 나온 걸 먹으면 제 자리에 뿌리를 내리고,
복잡하게 가공한 걸 먹으면 복잡해지고
단순하게 먹으면 집중하는 힘이 생기고,
가려내고 먹으면 저 좋은 것만 찾게 되고
통째로 먹으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만들어 파는 걸 먹으면 돈을 쫓게 되고
손수 만들어 먹으면 사람을 사랑하고,
혼자 먹으면 혼자가 되고
여럿이 나누어 먹으면 더불어 사니,
먹는 게 바로 그 사람이다.

이 책의 특징

1. 내 몸의 치유능력을 길러주는 ‘자연 그대로 먹기’
결국에는 우리 사람도 자연이고, 자연에서 나는 걸 먹고 살아간다. 그러므로 우리 몸의 치유능력을 기르고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연 그대로’ 먹어야 한다. 이 책에는 자연 그대로 먹기 위한 세 가지 지침인 ‘단순하게 먹자’, ‘제철에 먹자’, ‘통째로 먹자’에 충실한 건강비법이 담겨 있다.

2. 봄여름가을겨울 제철 먹을거리와 함께하는 자연밥상 이야기
봄에는 봄내음에 흠뻑 취할 수 있는 봄나물과 달걀, 앵두, 대파와 쪽파 등의 먹을거리와 함께 모내기 이야기까지, 여름에는 더위를 이겨낼 힘을 주는 매실, 오이, 토마토…, 가을에는 쌀쌀한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감, 기장, 단호박…, 겨울에는 추울 때 먹어야 제맛인 고구마. 김장 무, 떡 등 각 계절별 제철 먹을거리 이야기와 함께 이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3. 57가지 자연요리 레시피
계절별 먹을거리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먹을거리의 자연성을 살리는 기본원칙인 ‘단순하게 먹자’, ‘제철에 먹자’, ‘통째로 먹자’에 충실한 봄나물 토렴, 달래멸치무침, 무 홍시채, 청국장 샐러드 등의 자연요리들과 그 레시피까지 소개하고 있다. 일반 요리책에서는 보기 힘든 자연요리 중심으로 소개되어 있어 더 가치가 있다.

4. 각 장마다 펼쳐지는 자연풍경과 건강 가득한 요리 사진
각각의 내용에 어울리는 각종 자연풍경과 먹을거리 그리고 자연요리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남편이 찍은 사진이 함께해 보는 즐거움까지 더해주고 있다.

5. 현대사회에서의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성찰
복잡하고 스트레스 많은 현대생활 속에서 우리를 지켜주는 힘은 바로 먹을거리다. 먹을거리에 대한 고민이 많은 이때, 농부 입장에서 바라본 ‘친환경농산물’, ‘우리 땅의 먹을거리’, ‘토종씨앗’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어, 건강한 먹을거리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