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15

Kang-nam Oh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종교 없는 삶] 필 주커먼

(2) Facebook
Kang-nam Oh
2S5l gNocvemmibeer 2or0df1g9 ·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

오강남 (리자이나 대학 종교학 명예교수)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바로 탈종교화 현상이다. 이른바 산업화된 사회에서는 전체적으로 전통 종교와 상관없이 사는 탈종교인들의 숫자가 급증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탈종교가 현재 가장 급성장하는 종교 현상인 셈이다.
종교 인구가 미미한 유럽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미국도 종교와 무관하게 사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오죽하면 미국 성공회 주교 존 셸비 스퐁(John Shelby Spong) 신부는 미국에서 제일 큰 동창회는 ‘교회 졸업 동창회(church alumni association)’라고 했겠는가? 물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에서 특히 10대에서 40대의 젊은 층, 그리고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들에게서 이런 탈종교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는 보고다.

왜 이런 탈종교화 현상이 생기는 것일까? 우리 나름대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가장 주된 이유는 현대인들이 기복이나 상벌을 기본 전제로 하는 종교에 더 이상 매료되지 못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불교 지도자 달라이 라마도 최근에 낸 <종교를 넘어서>라는 책에서 극락이나 천국, 지옥으로 사람들을 회유하거나 협박하는 종교는 이제 그 설득력을 잃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제 종교와 상관없이 인간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탈종교적 윤리(secular ethics)”가 인간 사회를 움직이는 힘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 종교가 완전히 무용지물인가? 종교사회학자 뒤르켐(Durkheim)의 영향을 받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사회심리학자 아라 노렌자얀(Ara Norenzayan)은 그의 책 <거대한 신들(Big Gods)>에서 한때 종교를 필요로 하는 시대, 종교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수렵시대 이후 점점 인지가 발달되면서 사회관계를 넓혀 가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늘에서 인간들의 행동거지를 감시하는 거대한 감시자(Watcher)가 필요하다는 것을 감지하면서 신이 등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오늘도 이런 신을 필요로 하는 사회나 사람들이 있다. 그런 믿음이 인간 사회가 오늘의 수준에 올라오기까지 일종의 사다리 역할을 했지만 이제 상당 수 앞서 가는 나라에서는 그 사다리를 걷어차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종교 없는 사회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미국의 기독교 설교자들에 의하면 종교 없는 사회, 신을 믿지 않는 사회는 어쩔 수 없이 혼돈과 무질서, 범죄가 창궐하는 흑암의 사회가 된다고 한다. 그런데 <종교 없는 삶>이라는 책을 낸 미국의 종교사회학자 필 주커먼이 안식년을 맞아 덴마크에 가서 1년여를 지나면서 관찰한 바에 의하면 덴마크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실질적으로 ‘신이 없는 사회’인데도 불구하고 범죄율이나 부패지수가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 나아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들임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세계를 둘러보면 신을 믿는 비율이 높은 나라들일 수록 번영과 평등, 자유, 민주주의, 여권, 인권, 교육 정도, 범죄 율, 기대수명 등에서 그만큼 덜 건강하다는 것이다. 전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세계적으로 뿐만 아니라 미국 내에서도 신을 가장 많이 믿는 이른바 바이블 벨트에 위치한 중남부 주들이 교육 수준이나 범죄율 등 여러 면에서 신을 가장 덜 믿는 서부와 동북부 주들보다 훨씬 낙후되어 있다고 한다.
영국의 저명한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Karen Armstrong)은 그의 책 <신의 역사> 마지막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미국이 유럽 국가들보다 도덕적으로 낙후한 것은 미국에 신을 믿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 지적하고 있다.

주커먼은 전통적으로 받들어 오던 신을 믿고 종교적으로 열렬하게 살 때의 부작용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하게 열거하고 있다. 여기서 그의 주장을 되풀이할 필요가 없다. 그의 주장을 보지 않더라도 현재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면 그 부작용이 어떤 것인지 잘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자칭 열렬하다는 근본주의 신자들의 경우 대부분 한번 받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줄 모르고 자연히 보수적이 된다.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닫힌 마음의 소유자들이 되어 모든 것을 흑백·선악 등 이분법적으로 보고 자기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용납하지 못한다. 지금 극단적으로 흐르고 있는 몇몇 종교인들과 종교 지도자들, 그리고 그들과 부화뇌동하는 일부 종교인들을 보라. 민주적이고 다원주의적인 현 사회에서 자기만 옳다고 고집하는 이런 배타주의적 정신으로서는 다른 이들과 어울릴 수가 없다.
종교 없이 산다고 허무하게 살아야 하는가? 주커먼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한다. 오히려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명확히 하고 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종교가 없어도, 신이 없어도, 잘 사는 것이 아니라 ‘종교가 없어야, 신이 없어야’ 잘 산다는 것이다.
 
숨 막힐 정도의 전통적 종교의 도그마에서 벗어나면 삶과 세계를 보는 눈이 달라진다. 지금껏 당연히 여기던 것을 새롭게 보게 된다. 밤하늘의 무수한 별을 보고, 봄에 솟아나는 들풀 한포기, 바람에 나부끼는 잎 새 하나를 보고도 경이로움과 놀람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사소한 일상의 일에서부터 광대한 우주의 ‘경이로운 신비(awesome mysteries)’를 하나하나 발견하며 외경과 환희와 황홀함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그야말로 ‘아하!(aha!)’의 연속이다. 이렇게 종교를 넘어서 모든 것을 신기한 눈으로 보며 사는 삶의 태도를 저자는 ‘외경주의(aweism)’라고, 그리고 이런 태도로 사는 사람을 ‘경외주의자(aweist)’라 불렀다. 이것이 오늘에 절실한 ‘종교 아닌 종교’라는 것이다.








283Namgok Lee, 박길수 and 281 others
14 comments

81 shares

Like




Comment


Share


14 comments




김인범

개인적인 이해로는 탈종교화라는 표현 자체에 공감하는데, 그 의미로는 그 종교의 본질을 알고 완전히 겪어 드디어 벗어나는 것과 그것을 모르는채 감정적으로나 사회적 현상으로, 일종에 종교로부터 도망치는 것 같은 개념으로는 안타까운 현상이기도 하다는 생각입니다.
진정한 탈종교화는 사실 그 종교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제 종교를 알만큼 알아 그야말로 졸업하는 것같은 의미여야 한다는 이해구요. 그러기에 부정적이긴 하지만 오늘의 그런 근본주의자들의 행태들도 그런면에서는 일종에 반면교사가 된다는 생각이기도 합니다. 곧 종교의 폐해같은 경우로 보는 것이지요.

6






Like


·
Reply
· 1 y



정선욱

탈종교 사회는 괜찮은데 반종교 사회가 되면 위험할지도 ...
저는 평소 종교모임과 종교조직을 구분하는데,
전자는 아직 필요성을 긍정하는 편이고 후자는 부정하는 편입니다.
사회적으로도 종교적 모임과 종교적 조직이 다른 영향을 준다고 생각됩니다.
또 일상적 대화에서 종교의 가르침, 가르침에서 파생된 교리, 교리에서 파생된 문화, 그 종교문화에서 파생된 특정 사회문화가 구분없이 너무 혼합되어 사용되는게 아쉽더라고요.

3






Like


·
Reply
· 1 y
·
Edited



Hong-seop Kim

탈종교적 윤리(secular ethics)는 종교라는 틀에서 벗어나 온 영역에서의 윤리성 회복을 의미한다면 A. 카이퍼의 영역주권과는 연계될 수 없을까요?♡







2



Like


·
Reply
· 1 y



홍금선 replied
·
1 reply


Jeen Soo Park

종교를 등에업고 자행되는 악행들,,,, 우리나라는 유래없이 1년 365일을 종교로 시작해서 종교로 끝을 맺습니다. 신년기도회~~송구영신예배, 그리고 매일 새벽기도회, 수요예배, 금요기도회, 토요예배, 주일예배, 각종 성서세미나, 계절마다 부흥회,,, 종교가 일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현 사회는 우리를 “개독교”라 부릅니다. 어떻습니까? 기독교의 현실입니다. 예수님이 종교입니까? 탈종교화라는 말에도 모순이 있습니다. 예수님도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라고 말씀하셨죠. 교회에서 종교에 파묻혀 예배지상주의를 부르짖으며 “주여주여” 불러보지만 이 말씀이 대답을 합니다. 진작 우리나라 통일을 위해서 기도하자면서 남북이 만난 2018년 4월27 눈물나는(개인적으로 눈물이 핑돌음)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그 주 4월 29일 예배때 담임목사 설교에서 일언반구가 없다. 통일기도회는 열자면서 이런일에는 성도들의 관심과 애정을 그리고 소원을 함께 해야하는데... 동감은 아니더라도 공감이라도 해야하는데...
종교는 공감을 뛰어넘어 동감으로 가야하는데 공감조차 없으니 누군들 종교를 갖고 싶겠는가?
위에서 언급한 탈종교화 된 서구 몇 몇 나라들이 더 따뜻하고 서로서로 돕고 아름답게 보이는데 당연히 탈종교화가 가속화 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행해야...”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종교를 갖지않는다고 종교가 없는것인가?
믿는 자, 믿지 않은 자를 구분하는 잣대가 종교의 유무로 판단한다면 참으로 어리석다.
참 이웃의 비유도 있지않은가?
탈종교화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예수님은 종교가 아니다.
종교보다 종교생활(행함)이 되어야하고 신앙이 좋아보이는 것보다 신앙생활(행함)을 함으로써 탈종교화로 진짜 예수님의 성품 본질로 돌아가야한다.

5






Like


·
Reply
· 1 y
·
Edited



신천호

아쉽게도 예수님은 종교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종교가 되고말았습니다 이땅으로 내려온 하나님(의 아들)을 하늘로 되돌려 보내드렸습니다

2






Like


·
Reply
· 1 y



Julie Jeong

감사합니다. 선생님 글로 Aweist, Aweism 이라는 새 단어 (나에겐) 를 만났습니다.
생각하지 않아도 알아서 숨을 쉬고, 신진대사를 포함한 모든 몸의일을 미묘하게 진행하고있는 나의 몸둥이를 내려다 보면 "신비" 하지 않을수 없지요. 선악의 구별보다는 우리 자체가 "Awesome!!! " 하다고 인지 (Awareness) 한다면....
신자와 비신자를 구별하는게 안타까울뿐입니다.

4






Like


·
Reply
· 1 y



See Sung Lee

종교없는 삶이 제일 편안합니다.





Like


·
Reply
· 1 y



See Sung Lee

박진수! 오랜만이오





Like


·
Reply
· 1 y



Inkol Yu

거의 문맹이신 나의 할머님은 정규 교육을 받으신 적도 없으시고 절에도 다니시지 않으셨다.그러나 가난한 사람에게 베프시고 가난한 친척에게 도움을 주셨다.부엌뒤에 나무밑에 정화수 떠놓고 비시는것이 그분의 유일한 종교 활동이었다..그분에게는 스님도 목사도 절도 교회당도 경전도 필요치 않았다.그리운 분이다..





Like


·
Reply
· 1 y



Doohee Yoon

오늘 아침에 종교와 신, 그리고 신이 인간에게 주신 양심에 대해 깊이 묵상하는 시간을 가져 봤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Like


·
Reply
· 1 y



Kyung-eun Park

‘경외주의자(aweist)’ 라는 말 참 좋습니다..





Like


·
Reply
· 1 y



김 종희

신존재의 유무문제보다. 신의 계시ㅡ복음에 대한 해석과 태도가 문제가되어야 할것 같습니다.샬롬
복음=Evangelism(예수 천당) 일변도에서
복음=Missio Dei(J.P.IC)로의 파라다임 전환. 샬롬





Like


·
Reply
· 1 y



노은기

탈종교가 우리에게 주는 이유가 무엇일까 14살 중이처럼 피해의식에서 반항과 교만이 싹트는것 아닌가 사람은 자연과 순리에 순복 해야한다고 생각 합니다 오로지 주의 은혜로 잘 살았다 함이 없다면 평안이 올까요 교만하지 말고 겸손함으로 살아기자고합니다

Kang-nam Oh 기독교에 미래가 있으려면 대속신학을 방기해야만 한다

(2) Facebook

Kang-nam Oh

새로운 종교, 새로운 기독교

지난 늦 여름 이곳 캐나다 밴쿠버 한인연합교회 야유예배에 참석했습니다.  그 때 푸른 자연에 둘러싸여 부른 찬송에 깊이 감명을 받았습니다.
----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 솔로몬의 옷보다 더 고운 백합화 
주 찬송하는 듯 저 맑은 새소리 내 아버지의 지으신 그 솜씨 깊도다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 아침 해와 저녁 놀 밤 하늘 빛난 별 
망망한 바다와 늘 푸른 봉우리 다 주 하나님 영광을 잘 드러내도다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 산에 부는 바람과 잔잔한 시냇물 
그 소리 가운데 주 음성 들리니 주 하나님의 큰 뜻을 내 알 듯 하도다
---
종교가, 특히 기독교가, 이처럼 고운 백합화, 맑은 새소리, 아침 해와 저녁 놀, 밤하늘의 빛난 별, 푸른 봉우리, 잔잔한 시냇물, 이런 자연과 우주의 신비스러움에 주목하고 이런 것에 대한 경외심(awe)을 더욱 강조하는 종교로 거듭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기독교의 중심 교리는 십자가라고 합니다. 교회 지붕마다 십자가를 올려놓고 교회 강도상에도 십자가를 걸어놓고 교역자도 교인들도 십자가 목거리를 하고 다닙니다.  우리가 죄를 지어 하느님이 우리를 벌할 수밖에 없는데 예수님이 우리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피흘리심으로 그 보혈로 우리가 씻어져 구원을 받는다는 교리입니다.  이른바 대속 기독론(Substitutionary Christology) 혹은 대속신학(Atonement Theology)입니다.  

이제 서양의 많은 신학자들이 이런 대속신학을 거부합니다.  사랑과 용서의 하느님이 꼭 그렇게 죄갚음을 받아야 되느냐, 우리가 무슨 죄를 그렇게 지었다고 주구장창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소서,’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시옵소서’ 하며 무릎을 꿇고 빌며 죄책과 두려움에서 살아야 하는가, 이것이 어떻게 “풍성한 삶”(요10:10)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예수님의 정신과 부합된다는 말인가 하는 등등의 이유에서입니다.

존 쉘비 스퐁 신부는 대속 신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단호하게 말합니다. 

“예수님이 하느님의 손으로부터 내가 받을 형벌을 대신 지셨다.  예수님은 나의 죄를 인해 죽으셨다.  이런 가르침으로 우리 중 누구가 기분이 더 좋아질 수 있겠는가?  이런 것은 하느님을 괴물로 만들고, 예수님을 마소키즘의 희생자로 만들고, 그리고 당신과 나를 양동이 속에 떨면서 죄책으로 가득한 연체동물로 만들고 있다.  이것은 본래도, 지금도, 그리고 영원히 기독교의 의미가 될 수 없다. 기독교에 미래가 있으려면 대속신학을 방기해야만 한다.  기독교가 새로 등장하는 세대에 어필할 수 있기 전에 대속신학을 척결하는 것이 필연적인 첫걸음이다.”<Unbielivable>, p. 165-166.

“이런 신학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기독교를 포기하고 교회로부터 영원히 걸어 나가버리는 것일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그 대안을 택하고 있다.”(Ibid., 164.) 

이제 이런 잔인하고 불합리한 교리를 강조하기보다 하느님이 주관하시는 이 우주에 가득찬 신비스러움에 놀라며 이를 찬양하는데서 삶의 기쁨을 누리는 종교로 탈바꿈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미국의 종교사회학자 필 주커먼도 <종교 없는 삶>(판미동, 2018)이라는 책에서 미래의 종교의 대안으로 모든 것을 경외(awe)의 눈으로 보는 aweism을 제안합니다.
며칠 전(4/30)  김선주 목사님이 페북에 올린 글이 의미심장하여 첫 단을 인용해 봅니다. (김선주 목사님이 위의 글에 동의하신다는 뜻이 아닙니다.)

“나는 식물의 소릴 듣는다. 마음이 어지럽거나 몸이 힘들 때 식물 앞에 앉아 초록 물결에 내 마음을 기댄다. 그 생명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숨결이 나를 어루만지도록 맡겨둔다. 멍때리는 게 아니라 내적인 대화를 한다. 그러면 초록의 생명이 내 마음을 적시고 몸을 씻는다. 참 편안해진다.”

위의 찬송가나 김선주 목사님의 글에서 “주님”이라든가 “하나님”이라는 말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 분은 하나님 대신 동양적 언어인 道라는 말로 대신해도 좋고, 틸리히의 말처럼 ‘하나님’을 상징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입니다. 우주의 근원, 우주를 다스리는 원리의 의인화된 상징으로 보는 것입니다.

위의 글에 반감을 가지실 분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그런 분들은 이런 생각이 있다는 정도로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
79 comments
Chang Ho Kim
대속신학의 폐기, 전적으로 공감 환영합니다. '뤼트론( λύτρον)'은 속전이요, 몸값의 의미로 닫힌 의식을 풀어주기 위해 희생의 제물됨입니다. 구약의 '파다(פָדָה)' 역시 풀어줌이고 구출해내다, 몸값을 주다의 의미입니다. 적절한 예가될런지 모르지만 이는 마치 노무현의 죽음이 민주주의 의식을 일깨우는 희생양이요 값인 것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여깁니다.
예수는 속전의 상징이고 여전히 우리 의식이 왕이 되고 큰 자가 되고자하는 의식의 첫새끼를 … See more
 · Reply · 1 y · Edited
김창부
아마도....
2천여년전 그당시 존재했던 유대교의 피흘림의 희생제물을 멈추고 대행하기 위함 차원의 로마십자가 형틀
벤치마킹 차원의 희생양/예수....… See more
 · Reply · 1 y
윤성용
평소에는 반감을 가지고 있는 1인입니다만, 교수님의 글에서 보는 단어들과 내용에는 반감이 없습니다.
생각거리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 Reply · 1 y
Kang-nam Oh
윤성용 감사합니다.
 · Reply · 1 y

최형락
맞는 말씀이십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전쟁광으로 살인자로 만들어 놨습니다.
성경이 불 타야 지구가 살고
그렇지 않으면 지구가 불에 타게 될 것입니다.
성경이 거짓 왜곡된 것은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진리 안에 0.0001%라도 거짓이 있으면 가짜입니다.
광대한 우주와 영원 가운데 조금이라도 오차가 있다면 우주는 영원할 수 없습니다.
하늘은 오차가 없이 완전합니다.
우주를 오가는 과학문명시대에 맹목에서 깨어나야 합니다.
 · Reply · 1 y
손원영
깊이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 Reply · 1 y
Chang Ho Kim
ㅎㅎ 공감하시면 아니되옵니다~^^ 몸을 사리셔야 하옵니다. ㅋ
 · Reply · 1 y
손원영
Chang Ho Kim ㅋㅋㅋㅋ
 · Reply · 1 y
Kang-nam Oh
손원영 손 교수님, 그렇지 않아도 이단이라 야단하는데 이런 이단적일 수 있는 글에 공감하신다니 감사하긴 하지만 걱정😟되네요.ㅎㅎ
 · Reply · 1 y
손원영
Kang-nam Oh 진리는 계속 추구해야함으로 ㅎㅎ 늘 응원 감사합니다^^
 · Reply · 1 y

Sehoon Oh
저는 대속론이 양적 성장주의ㆍ상업주의ㅡ돈 벌이,라는 말이 더 정확함ㅡ를 가장 확실하게 보장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신앙심과 무관하게, 범죄수준으로 활용된다고 생각합니다.
 · Reply · 1 y
Kang-nam Oh
Sehoon Oh 비극적이지요. 아직도 활용되고 있으니...
 · Reply · 1 y

엄효선
공감 가는 글 공유 하겠습니다.
 · Reply · 1 y
임원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 죄론은 반대를 넘어 혐오합니다. 인간의 나약함을 악용하여 죄의식에 빠지게 하고 사람을 조정하며 억압, 착취하는 죄담론은 이제 사라져야죠
 · Reply · 1 y
Kang-nam Oh
임원 맞습니다 맞고요
 · Reply · 1 y

Jongtae Lee
좋은 글 감사합니다.
 · Reply · 1 y
황호건
기독교의 핵심 교리가 대속론입니다. 대속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타포로는 희생제물로 드려졌다는 제의모형, 대신 속전을 갚아주고 해방됐다는 노예시장 모형, 죄값을 대신 해 무죄선고 했다는 법정모형이 있습니다. 어떤 모형이든 두가지 전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첫째 인간은 죄인이고 죄의 결과는 죽음이며 그 죽음으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구원의 중심으로 한다는 것이며 둘째는 예수는 죄가 없는 인간이어야 되고 구원자로서 하나님으로 부터 보냄 받은 메시야 즉 그리스도 여야만합니다. 그리고 예수의 죄 때문이 아니라 100% 우리 죄 때문에 죽어야합니다. 그것을 보증하기위해서는 반드시 부활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제들을 충족하기 위해 모든 인간이 죄인이기 위하여 원죄론이 만들어지고, 예수가 죄없는 인간으로 하나님이 보낸자가 되기위해 동정녀를 통한 성령잉태 탄생 설화가 필요했고 보통 인간으로 산 청년기가 사라졌습니다. 부활의 완전 증명은 재림으로 되는 종말론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속교리를 부정한다는 것은 이상의 모든 것들이 부정되거나 재해석 되어야하고 대속교리 중심으로 기록되었다고 보이는 신약성경 전체가 부정되거나 재해석 되어야합니다. 또한 구약을 구속사적으로 해석한 구약학은 폐기 되어야합니다. 따라서 대속교리 중심으로 구성된 기독교 교리가 부정되고 신학이 부정되면 결국 종교로서의 기독교가 부정됩니다. 

이천년간의 싸움이 쉽게 끝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대속교리로 예수를 팔아온 종교권력자들 교권을 가진 교황과 개신교 목회자들 지적권력을 가진 신학자들이 가만 있지 않고 화형대를 세워 매달려고 하지 않겠습니까? 엄청난 저항이 있을 겁니다. 종교로서의 기독교가 부정된 자리에 대속교리로 만들어진 박제된 예수가 아니라 지금 여기 우리 안에 살아 있는 예수의 믿음위에 서서 케노시스의 십자가를 넘어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살아내어 내어 진정한 자유와 평화를 이룰 것인가? 어떻게 탐진치의 제나를 십자가에 못박고 얼나로 솟나 이 땅에 그리고 내 안에 하나님 나라를 이룰 것인가? 성경에서 저자를 추방하고 택스트에서 독자만이 가지는 의미를 주제로 사는 삶을 나만의 성경으로 써가는 이 시대 깨어 있는 자들의 사명이라 봅니다.🙏
 · Reply · 1 y · Edited
Julie Jeong
사오년전, 이곳 Canadian Church 에서 '부활절 축제 Musical' 에 한국 인 교인의 초청으로 참석했었습니다. (대형의 교회에서 거대한 project 로 ...)
십자가를 지고가는 예수의 장면이 너무 비참하고, 잔혹한 인간들의 모습, 죄의식의 발로등등...
참혹한 장면을 강조하느라 오래동안 계속되는 이 장면은 그야말로, 'It made me sick'.… See more
 · Reply · 1 y
문영석
떼이야르 드 샤르뎅(Teihard de Chardin)의 우주적 신학을 새롭게 조명해야할 때입니다. 하느님은 진화하는 우주의 마음, 우주 그 자체를 으뜸의 거룩한 공동체로 만드시는, 제일의 종교적 실재라고 떼이야르는 말했습니다. 오토 랭크도 종교가 우주를 잃어버렸을 때 그 사회는 병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신학의 현주소를 우리는 심각하게 반문해 보아야 합니다.
 · Reply · 1 y
Kang-nam Oh
문영석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우주적 신학 맞습니다.^^
 · Reply · 1 y

YoungJin Kwon
전투도 멈추게 한 크리스마스의 기적을 다들 얘기합니다. 하지만 우리편은 모두 안녕하게 하시고 상대편만 전멸시킬 수 있도록 해주십사 하는 모순된 기도를 하나님은 어떻게 받아주실까 아무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멀리는 십자군 전쟁부터 영불간의 백년전쟁, 미국의 남북전쟁, 1,2차 세계대전등등... 이 모순을 어찌할까요.
 · Reply · 1 y
Kang-nam Oh
YoungJin Kwon 그렇게 인간인 것처럼 여기는 신관을 버리면 되겠지요.
 · Reply · 1 y

Jeong Yul Kim
교수님 종교의 깊고 다양한 의미를 배웁니다
 · Reply · 1 y
이경일
할렐루야 아멘!
 · Reply · 1 y
JiHyun Kim
굉장히 놀라운 견해입니다. 학자들이 기독교로부터 걸어나와서 종교를 대상화 시켜서 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급진전으로 느껴집니다. 사고의 폭을 이렇게 넓힐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진보인지 아니면 왜곡 되어있는 것으로부터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Reply · 1 y · Edited
Kang-nam Oh
JiHyun Kim 학자들 견해는 복음서 자체가 대속신앙을 말하고 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지요. 유대인의 제사제도를 오해해서 만든 교리라 봅니다.^^
 · Reply · 1 y
JiHyun Kim
Kang-nam Oh 그래요? 다시 한번 생각하며 읽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ply · 1 y

Sang Kyung Koh
1000% 공감. 합니다. 가야할 길이죠. 앞으로...
 · Reply · 1 y
Heather Chung
Unknowable Essenes ...awe
 · Reply · 1 y
한창덕
일을 기재한 내용에는 혹 지나치게 칭하여 그 실제보다 지나친 것이 있으니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그 뜻을 알 뿐이다 만일 그 내용에 집착한다면 때로는 그 본뜻에 해로움이 있을 것이다 <정자, 맹자집주>
 · Reply · 1 y
Sang Kyung Koh
사실. 종교의역활은. 이제. ...
중세 천년을. 기다렸는데. ..
 · Reply · 1 y
남궁효
 · Reply · 1 y
Sung Yup Yi
고맙습니다 _()_
 · Reply · 1 y
상일김
반감을 갖지 않았습니다.
 · Reply · 1 y
강봉구
자연속의 나를보고...
하늘을 보며 나를 볼수 있는 삶이 행복인것같습니다.
 · Reply · 1 y
Byung Sun Jung
저 또한 진화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진화 위에서 신학적 재해석 작업을 하면서, 떼이야르와 존 호트의 책들을 읽으면서, 과정신학을 접하면서 점차 십자가 대속 신학의 한계를 발견해가고 있는 중인데 교수님의 글을 접했네요. 혹 이와 관련해 읽을만한 책이 있는지요. 성서신학적인 접근을 한 책이면 좋겠는데요~~~~
 · Reply · 1 y
Kang-nam Oh
Byung Sun Jung John Shelby Spong 신부의 마태복음 해설서 Biblical Literalism 이란 책에 보면 대속 신앙은 이방인들이 교회의 주류가 되면서 복음서를 문자적으로 읽은 결과라 합니다. 2천년 가까이 헛다리를 긁었다는 거지요. 이 책은 변영권 목사가 번역 곧 나온다네요.
 · Reply · 1 y
Byung Sun Jung
Kang-nam Oh 네~~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 Reply · 1 y
박성준
"2천년가까이 헛다리를 긁었다는 거지요."
아! '오강남 보유국'
에 사는 보람!!!♥
 · Reply · 1 y
박성준
좋은 번역 나왔으면...
 · Reply · 1 y
Kang-nam Oh
박성준 아이고 과하신 말씀 황공무지로소이다!😊
 · Reply · 1 y
최형락
Kang-nam Oh 남의 다리 긁었습니다.
하늘은 2,000년 간 침묵했 습니다.
다시 은혜가 임했습니다.
 · Reply · 1 y

Daniel Suh
'대속신학을 척결하는 것이 필연적인 첫걸음이다'는 것이
왜 '잔인하고 불합리'한가요?
 · Reply · 1 y · Edited
Kang-nam Oh
Daniel Suh 본문 윗부분에 약간의 설명이 있지 않나요?
 · Reply · 1 y

Daniel Suh
Fully agreed. '자연과 우주의 신비스러움에 주목하고 이런 것에 대한 경외심(awe)을 더욱 강조하는 종교로 거듭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Also fully agreed. '(대속신학)은 하느님을 괴물로 만들고, 예수님을 마소키즘의 희생자로 만들고, 그리고 당신과 나를 양동이 속에 떨면서 죄책으로 가득한 연체동물로 만들고 있다'
그렇다면, '대속신학을 척결하는 것이 필연적인 첫걸음'의 하나가 아닌가요?
 · Reply · 1 y · Edited
최형락
Daniel Suh 대속신학은 구약을 포장만 바꾼 것인데 인류가 멍청하게 2,000년 간 속은 것입니다.
진실을 알게 되면
영을 알게 되면 얼마나 인간적인 상상력으로 변질시컸는지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 Reply · 1 y
김 종희
Daniel Suh J.p.Integrity of Creation(정의.평화.창조보전).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가면 됩니다. J.P.IC와 하나님나라 실현을 교회의 미션으로 하는 신학으로 선교신학으로 하는 복음의 코페르니쿠스적인 방향전환이 기독교의 생존전략이되어야합니다. 더 간단히 말해서
Evangelism 일변도 신학에서 Missio Dei Theoligy로 전입니다. 샬롬
 · Reply · 1 y · Edited

Seungkew Choi
시골 교회에서 목사님도 오르간도 없던 일제 시대에도 교회 야외 에배가면 항상 부르시던 "창 아름다월 주님의 세계는.." 제 아버님 최상상 장노님을 생각케 하십니다. 저의 부친은 시롤 교회에서 찬송가를 교인들 앞에서 항상 선창하셨습니다. 참 아름다워라는 산과 개울이 있는 곳에 가서 부르면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에 우리가 사는 지를 알려 줍니다. 감사 합니다. 최승규 박사.
 · Reply · 1 y
Kang-nam Oh
Seungkew Choi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를 느끼셨던 훌륭한 아버님이셨네요.
 · Reply · 1 y

Jeongmin Lee
제가 늘 의문이 생기던 부분입니다. 지금은 우주에 가득한 신비로서 하느님을 생각하게 되었고 이제서야 하느님을 만나는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글 나눠주셔서 큰 힘이 되었습니다.감사드려요~
 · Reply · 1 y · Edited
김 종희
오 목사님 샬롬 오래 전에 미국가는 길에 비행기안에서 목사님의 예수는 없다를 일독 하고 신선한 감동을 받았던 그때부터 오목사님을 존경해 온 사람입니다 목사님의 오늘 훼이스북 글을 읽고 공감해서 한 말 씀 올립니다
속죄 구원 천당으로 축소한 종교개혁이후 500년동안 반쪽 복음을 극복하고 복음을 이 땅에 하나님나라 구현이교회의 미션으로 코페르니쿠스적 파라다임 전환을 함으로 불필요한 죄의식을부터 교인을 해방해야한다. 그동안 로마서에 복음을 속죄기독론 일변도 해석에석을 지향하고 로마서의 복음을 하나님 나라 시각에서 재해석해야한다. 그래서 교회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처해야 할것같습니다. 샬롬
한국교회 모든 목회자들이 최근 출간된 안용성 목사 저 로마서와 하나님 나라를 일독 권한다. 감사합니다. 샬롬
 · Reply · 1 y · Edited
Kang-nam Oh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저는 목사는 아닙니다.^^)
 · Reply · 1 y
Sang Kyung Koh
목사=목자
 · Reply · 1 y
Sang Kyung Koh
 · Reply · 1 y
고요한
매우 공감합니다!
 · Reply · 1 y
Samuel Noh
죄, 원죄, 대속과 같은 개념없이 개인의 사고와 영혼에 다가올 수 있는 종교가 참답다고 믿습니다. 이로써 교회참석을 중단한 것이 5년을 넘겼습니다. 물론 아직 이 판단은 점검과정에 있고요. 자연과 자연적 과정을 수용하고 닥쳐오는 고통이나 불행과 감격이나 설렘도 찬찬히 들여다 보면서 사노라면 생명 혹은 도 혹은 진리와 만날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못만나면 노력하는 과정 그대로 가치가 있을테지요. 그리고 이 노력에 타인과의 연결이 필수라고 인식되면 어떤 형식의 종교를 찾게 되지 않겠습니까. 그 형태가 어떨런지는 모르지요. 분명한 것은 대속신앙이나 처벌적 묵시신앙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바른 지적과 이해를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Nontheistic religion - Wikipedia 2021

Nontheistic religion - Wikipedia

Nontheistic religi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Nontheistic religions are traditions of thought within a religious context—some otherwise aligned with theism, others not—in which nontheism informs religious beliefs or practices.[1] Nontheism has been applied and plays significant roles in progressivismHinduismBuddhism, and Jainism. While many approaches to religion exclude nontheism by definition, some inclusive definitions of religion show how religious practice and belief do not depend on the presence of (a) god(s). For example, Paul James and Peter Mandaville distinguish between religion and spirituality, but provide a definition of the term that avoids the usual reduction to "religions of the book":

Religion can be defined as a relatively-bounded system of beliefs, symbols and practices that addresses the nature of existence, and in which communion with others and Otherness is lived as if it both takes in and spiritually transcends socially-grounded ontologies of time, space, embodiment and knowing.[2]

Buddhism[edit source]

The gods Śakra (left) and Brahmā (right)

Existence of gods[edit source]

The Buddha said that devas (translated as "gods") do exist, but they were regarded as still being trapped in samsara,[3] and are not necessarily wiser than humans. In fact, the Buddha is often portrayed as a teacher of the gods,[4] and superior to them.[5]

Since the time of the Buddha, the denial of the existence of a creator deity has been seen as a key point in distinguishing Buddhist from non-Buddhist views.[6] The question of an independent creator deity was answered by the Buddha in the Brahmajala Sutta. The Buddha denounced the view of a creator and sees that such notions are related to the false view of eternalism, and like the 61 other views, this belief causes suffering when one is attached to it and states these views may lead to desire, aversion and delusion. At the end of the Sutta the Buddha says he knows these 62 views and he also knows the truth that surpasses them. Later Buddhist philosophers also extensively criticized the idea of an eternal creator deity concerned with humanity.[7]

Metaphysical questions[edit source]

On one occasion, when presented with a problem of metaphysics by the monk Malunkyaputta, the Buddha responded with the Parable of the Poisoned Arrow. When a man is shot with an arrow thickly smeared with poison, his family summons a doctor to have the poison removed, and the doctor gives an antidote:[8]

But the man refuses to let the doctor do anything before certain questions can be answered. The wounded man demands to know who shot the arrow, what his caste and job is, and why he shot him. He wants to know what kind of bow the man used and how he acquired the ingredients used in preparing the poison. Malunkyaputta, such a man will die before getting the answers to his questions. It is no different for one who follows the Way. I teach only those things necessary to realize the Way. Things which are not helpful or necessary, I do not teach.

Christianity[edit source]

Bust of Paul Tillich

A few liberal Christian theologians define a "nontheistic God" as "the ground of all being" rather than as a personal divine being.

Many of them owe much of their theology to the work of Christian existentialist philosopher Paul Tillich, including the phrase "the ground of all being". Another quotation from Tillich is, "God does not exist. He is being itself beyond essence and existence. Therefore to argue that God exists is to deny him."[9] This Tillich quotation summarizes his conception of God. He does not think of God as a being that exists in time and space, because that constrains God, and makes God finite. But all beings are finite, and if God is the Creator of all beings, God cannot logically be finite since a finite being cannot be the sustainer of an infinite variety of finite things. Thus God is considered beyond being, above finitude and limitation, the power or essence of being itself.[citation needed]

From a nontheistic, naturalist, and rationalist perspective, the concept of divine grace appears to be the same concept as luck.[10]

Nontheist Quakers[edit source]

Logo of the Society of Nontheist Friends

A nontheist Friend or an atheist Quaker is someone who affiliates with, identifies with, engages in and/or affirms Quaker practices and processes, 

but who does not accept a belief in a theistic understanding of God, a Supreme Being, the divine, the soul or the supernatural

Like theistic Friends, nontheist Friends are actively interested in realizing centered peace, simplicity, integrity, community, equality, lovehappiness and social justice in the Society of Friends and beyond.

Hinduism[edit source]

Hinduism is characterised by extremely diverse beliefs and practices.[11] In the words of R.C. Zaehner, "it is perfectly possible to be a good Hindu whether one's personal views incline toward monismmonotheismpolytheism, or even atheism."[12] He goes on to say that it is a religion that neither depends 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or Gods.[13] More broadly, Hinduism can be seen as having three more important strands: one featuring a personal Creator or Divine Being, second that emphasises an impersonal Absolute and a third that is pluralistic and non-absolute. The latter two traditions can be seen as nontheistic.[14]

Although the Vedas are broadly concerned with the completion of ritual, there are some elements that can be interpreted as either nontheistic or precursors to the later developments of the nontheistic tradition. The oldest Hindu scripture, the Rig Veda mentions that 'There is only one god though the sages may give it various names' (1.164.46). Max Müller termed this henotheism, and it can be seen as indicating one, non-dual divine reality, with little emphasis on personality.[15] The famous Nasadiya Sukta, the 129th Hymn of the tenth and final Mandala (or chapter) of the Rig Veda, considers creation and asks "The gods came afterwards, with the creation of this universe. /Who then knows whence it has arisen?".[16] This can be seen to contain the intuition that there must be a single principle behind all phenomena: 'That one' (tad ekam), self-sufficient, to which distinctions cannot be applied.[17][18]

It is with the Upanishads, reckoned to be written in the first millennia (coeval with the ritualistic Brahmanas), that the Vedic emphasis on ritual was challenged. The Upanishads can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new sources of power in India. Also, separate from the Upanishadic tradition were bands of wandering ascetics called Vadins whose largely nontheistic notions rejected the notion that religious knowledge was the property of the Brahmins. Many of these were shramanas, who represented a non-Vedic tradition rooted in India's pre-Aryan history.[19] The emphasis of the Upanishads turned to knowledge, specifically the ultimate identity of all phenomena.[20] This is expressed in the notion of Brahman, the key idea of the Upanishads, and much later philosophizing has been taken up with deciding whether Brahman is personal or impersonal.[21]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Brahman as impersonal is based in the definition of it as 'ekam eva advitiyam' (Chandogya Upanishad 6.2.1) – it is one without a second and to which no substantive predicates can be attached.[22] Further, both the Chandogya and Brihadaranyaka Upanishads assert that the individual atman and the impersonal Brahman are one.[23] The mahāvākya statement Tat Tvam Asi, found in the Chandogya Upanishad, can be taken to indicate this unity.[24] The latter Upanishad uses the negative term Neti neti to 'describe' the divine.

Patañjali statue in Pantanjali Yog Peeth Haridwar

Classical SamkhyaMimamsa, early Vaisheshika and early Nyaya schools of Hinduism do not accept the notion of an omnipotent creator God at all.[25][26] While the Sankhya and Mimamsa schools no longer have significant followings in India, they are both influential in the development of later schools of philosophy.[27][28] The Yoga of Patanjali is the school that probably owes most to the Samkhya thought. This school is dualistic, in the sense that there is a division between 'spirit' (Sanskrit: purusha) and 'nature' (Sanskrit: prakṛti).[29] It holds Samadhi or 'concentrative union' as its ultimate goal[30] and it does not consider God's existence as either essential or necessary to achieving this.[31]

The Bhagavad Gita, contains passages that bear a monistic reading and others that bear a theistic reading.[32] Generally, the book as a whole has been interpreted by some who see it as containing a primarily nontheistic message,[33] and by others who stress its theistic message.[34] These broadly either follow after either Sankara or Ramanuja[35] An example of a nontheistic passage might be "The supreme Brahman is without any beginning. That is called neither being nor non-being," which Sankara interpreted to mean that Brahman can only be talked of in terms of negation of all attributes—'Neti neti'.[36]

The Advaita Vedanta of Gaudapada and Sankara rejects theism as a consequence of its insistence that Brahman is "Without attributes, indivisible, subtle, inconceivable, and without blemish, Brahman is one and without a second. There is nothing other than He."[37] This means that it lacks properties usually associated with God such as omniscience, perfect goodness, omnipotence, and additionally is identical with the whole of reality, rather than being a causal agent or ruler of it.[38]

Jainism[edit source]

Jain texts claim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jiva (life force or souls) and ajiva (lifeless objects). According to Jain doctrine, the universe and its constituents-soul, matter, space, time, and principles of motion-have always existed. The universe and the matter and souls within it are eternal and uncreated, and there is no omnipotent creator god. Jainism offers an elaborate cosmology, including heavenly beings/devas, but these heavenly beings are not viewed as creators-they are subject to suffering and change like all other living beings, and are portrayed as mortal.

According to the Jain concept of divinity, any soul who destroys its karmas and desires, achieves liberation/Nirvana. A soul who destroys all its passions and desires has no desire to interfere in the working of the universe. If godliness is defined as the state of having freed one's soul from karmas and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Nirvana and a god as one who exists in such a state, then those who have achieved such a state can be termed gods (Tirthankara).

Besides scriptural authority, Jains also employ syllogism and deductive reasoning to refute creationist theories. Various views on divinity and the universe held by the VedicsSāmkhyasMimamsas, Buddhists, and other school of thoughts were criticized by Jain Ācāryas, such as Jinasena in Mahāpurāna.

Others[edit source]

Philosophical models not falling within established religious structures, such as DaoismConfucianismEpicureanismDeism, and Pandeism, have also been considered to be nontheistic religions.[39]

The Satanic Temple, a sect of modern or rational Satanism,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nontheistic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on 25 April 2019.[40]

The white supremacist Creativity movement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nontheistic religion.[41]

See also[edit source]

References[edit source]

  1. ^ Williams, J. Paul; Horace L. Friess (1962). "The Nature of Relig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Blackwell Publishing. 2 (1): 3–17. doi:10.2307/1384088JSTOR 1384088.
  2. ^ James, Paul; Mandaville, Peter (2010). Globalization and Culture, Vol. 2: Globalizing Religions. London: Sage Publications. p. xii–xiii.
  3. ^ John T Bullitt (2005). "The Thirty-one planes of Existence". Access To Insight. Retrieved 26 May 2010The suttas describe thirty-one distinct "planes" or "realms" of existence into which beings can be reborn during this long wandering through samsara. These range from the extraordinarily dark, grim, and painful hell realms to the most sublime, refined, and exquisitely blissful heaven realms. Existence in every realm is impermanent; in Buddhist cosmology there is no eternal heaven or hell. Beings are born into a particular realm according to both their past kamma and their kamma at the moment of death. When the kammic force that propelled them to that realm is finally exhausted, they pass away, taking rebirth once again elsewhere according to their kamma. And so the wearisome cycle continues.
  4. ^ Susan Elbaum Jootla (1997). "II. The Buddha Teaches Deities". In Access To Insight (ed.). Teacher of the Devas. Kandy, Sri Lank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Many people worship Maha Brahma as the supreme and eternal creator God, but for the Buddha he is merely a powerful deity still caught within the cycle of repeated existence. In point of fact, "Maha Brahma" is a role or office filled by different individuals at different periods." "His proof included the fact that "many thousands of deities have gone for refuge for life to the recluse Gotama" (MN 95.9). Devas, like humans, develop faith in the Buddha by practicing his teachings." "A second deva concerned with liberation spoke a verse which is partly praise of the Buddha and partly a request for teaching. Using various similes from the animal world, this god showed his admiration and reverence for the Exalted One.", "A discourse called Sakka's Questions (DN 21) took place after he had been a serious disciple of the Buddha for some time. The sutta records a long audience he had with the Blessed One which culminated in his attainment of stream-entry. Their conversation i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Buddha as "teacher of devas," and shows all beings how to work for Nibbana.
  5. ^ Bhikku, Thanissaro (1997). Kevaddha Sutta. Access To Insight. When this was said, the Great Brahma said to the monk, 'I, monk, am Brahma, the Great Brahma, the Conqueror, the Unconquered, the All-Seeing, All-Powerful, the Sovereign Lord, the Maker, Creator, Chief, Appointer and Ruler, Father of All That Have Been and Shall Be... That is why I did not say in their presence that I, too, don't know where the four great elements... cease without remainder. So you have acted wrongly, acted incorrectly, in bypassing the Blessed One in search of an answer to this question elsewhere. Go right back to the Blessed One and, on arrival, ask him this question. However he answers it, you should take it to heart.
  6. ^ B. Alan Wallace, Contemplative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pages 97–98.
  7. ^ Principled Atheism in the Buddhist Scholastic Tradition
  8. ^ Nhat Hanh, Thich (1991). Old Path White Clouds: walking in the footsteps of the Buddha. Parallax Press. p. 299ISBN 0-938077-26-0.
  9. ^ Tillich, Paul. (1951) Systematic Theology, p.205.
  10. ^ Kaufman, Arnold S. "Ability", The Journal of Philosophy, Vol. 60, No. 19
  11. ^ Catherine Robinson,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Routledge Press, 1992, page 17.
  12. ^ Catherine Robinson,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Routledge Press, 1992, page 51.
  13. ^ R. C. Zaehner, (1966) Hinduism, P.1-2, Oxford University Press.
  14. ^ Griffiths, Paul J, (2005) Nontheistic Conceptions of the Divine Ch. 3. in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Religion by William J Wainwright, p.59 . Oxford University Press .
  15. ^ Masih, Y.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P.164, Motilal Banarsidass Publ., 2000 ISBN 81-208-0815-0
  16. ^ O'Flaherty, Wendy Doniger, (1981)The Rig Veda: An Anthology of One Hundred Eight Hymns (Classic) Penguin
  17. ^ Collinson, Diané and Wilkinson, Robert Thirty-Five Oriental Philosophers, P. 39, Routledge, 1994 ISBN 0-415-02596-6
  18. ^ Mohanty, Jitendranath (2000), Classical Indian Philosophy: An Introductory Text, p:1 Rowman & Littlefield, ISBN 0-8476-8933-6
  19. ^ Jaroslav Krejčí, Anna Krejčová (1990) Before the European Challenge: The Great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Middle East, p:170, SUNY Press, ISBN 0-7914-0168-5
  20. ^ Doniger, Wendy, (1990)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P. 441, Merriam-Webster, ISBN 0-87779-044-2
  21. ^ Smart, Ninian (1998) The World's Religions P.73-74, CUP ISBN 0-521-63748-1
  22. ^ Wainwright, William J. (2005) Ch.3 Nontheistic conceptions of the divine.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Religion p.67 OUP, ISBN 0-19-513809-0
  23. ^ Jones, Richard H. (2004) Mysticism and Morality: A New Look at Old Questions, P. 80, Lexington Books, ISBN 0-7391-0784-4
  24. ^ Brown, Robert L, (1991) Ganesh: Studies of an Asian God, SUNY Press, ISBN 0-7914-0656-3.
  25. ^ Larson, Gerald James, Ch. Indian Conceptions of Reality and Divinity found in A Companion to World Philosophies By Eliot Deutsch, Ronald Bontekoe, P. 352, Blackwell, ISBN 0-631-21327-9
  26. ^ Morgan, Kenneth W. and Sarma, D S, Eds. (1953) Ch. 5. P.207 Hindu Religious Thought by Satis Chandra Chatterjee, The Religion of the Hindus: Interpreted by Hindus, Ronald Press. ISBN 81-208-0387-6
  27. ^ Flood, Gavin D, An Introduction to Hinduism,(p.232) CUP, ISBN 0-521-43878-0
  28. ^ Larson, Gerald James,(1999) Classical Samkhy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ISBN 81-208-0503-8
  29. ^ Feuerstein, Georg (1989), Yoga: The Technology of Ecstasy, Tarcher, ISBN 0-87477-520-5
  30. ^ King, Richard (1999) Indian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Hindu and Buddhist Thought, p:191,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0-7486-0954-7
  31. ^ Clements, Richard Pauranik, Being a Witness in Theory and Practice of Yoga by Knut A. Jacobsen
  32. ^ Yandell, Keith. E., On Interpreting the "Bhagavadgītā", Philosophy East and West 32, no 1 (January 1982).
  33. ^ Catherine Robinson,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Routledge Press, 1992, page 45, 98, 115, 136.
  34. ^ Catherine Robinson,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Routledge Press, 1992, pages 47, 51.
  35. ^ Flood, Gavin D, An Introduction to Hinduism, (pps 239-234) CUP, ISBN 0-521-43878-0
  36. ^ Swami Gambhirananda, (1995), Bhagavadgita: with the Commentary of Sankaracharya, Ch. 13. Vs. 13, Advaita Ashrama, Calcutta ISBN 81-7505-150-7
  37. ^ Richards, John, Viveka-Chudamani of Shankara Vs 468.
  38. ^ Wainright, William, (2006), Concepts of God, Stanford Encyclopedia of Religion
  39. ^ Charles Brough (2010). The Last Civilization. p. 246. ISBN 1426940572Deism and pan-deism, as well as agnosticism and atheism, are all Non-Theisms.
  40. ^ "Satanic Temple: IRS has designated it a tax-exempt church"AP NEWS. 25 April 2019. Retrieved 30 July 2019.
  41. ^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morning-mix/wp/2017/03/24/neo-nazi-bought-church-with-plans-to-name-it-after-trump-a-fire-destroyed-it/


비신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비신론(非神論, nontheism) 또는 비유신론은 무신론의 대안으로 제시된 용어다.

무신론의 주장은 “신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비춰질 수 있는데, 이땐 허구의 존재든 그렇지 않든 우선 신을 가정한다고 볼 수 있다. 비신론은 애초에 신이라는 존재를 가정하는 것에서도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우선 무신론을 공산주의나 전체주의 등과 함께 부정적으로 분류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기도 하고, 불가지론과 무신론, 반신론을 모두 묶기 위해서 쓰기도 하며, 심지어는 몇몇 진보주의 종교의 반교조주의적인 성격을 나타내는데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서양의 관점에선 불교가 비신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非有神論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非有神論(ひゆうしんろん、英語:Nontheism)は、「宗教的」[1]か「非宗教的」[2]かに関わらず、神を必要としない信仰、神の不在を信じる者、有神論に否定的な無神論者等を含めた広い範囲を対象とする用語である。

使用の始まり[編集]

1853年、ジョージ・ヤコブ・ホリョークがハイフン付きのNon-theismを使ったのが始まりである[3]

関連項目[編集]

参考文献[編集]

  1. ^ Williams, J. Paul; Horace L. Friess (1962). “The Nature of Relig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Blackwell Publishing) 2 (1): 3–17. doi:10.2307/1384088JSTOR 1384088.
  2. ^ Starobin, Paul. “The Godless Rise As A Political Force”. The National Journal. 2010年7月29日閲覧。
  3. ^ "The Reasoner", New Series, No. VIII.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