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19

Kang-nam Oh 성경과 동성애

(4) Facebook

Kang-nam Oh
성경과 동성애

16일 토요일 어제 서울광장에서 3년만에 퀴어문화축제가 열리고 이어서 시가 행진이 있었다고 합니다.  동성애를 반대하는 개신교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맞불 집회 및 행진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저의 생각을 페북에 올린 적이 있고, 또 최근에 나온 <오강남의 생각>(현암사, 70~73쪽)에도 나오는데,  여기 옮겨옵니다.
----
보수 기독교인들 중에는 동성애를 죄악시하는데, 그 이유가 성경에 동성애를 금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이런 주장이 어떤가 한 번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첫째, 성경 레위기 20:13에 보면 분명히 "남자와 남자가 관계하면 반드시 둘을 죽이라"고 했습니다. 보수 기독교인들이 "우리는 성경을 믿는 사람으로서 성경을 문자 그대로 따라야 한다. 성경에서 동성애를 금했으니 그것은 안 된다"하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성경을 문자 그대로 따라야 한다"는 이런 입장은 두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말이긴 하지만 성경의 말씀을 정말 그대로 따른다고 한다면 동성애자를 교인이나 교회지도자로 받아들일 수 없을 뿐 아니라 반드시 "죽여야"합니다. 그것이 성경을 철저히 따르는 태도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죽이지 않고 다른 핑계를 댄다는 것은 이미 우리도 성경을 문자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다른 한 가지,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동성애를 금지한 레위기에 보면 동성애만 금한 것이 아니라 월경 중에 잠자리를 같이 하면 공동체에서 쫓아내라, 심지어 두 가지 재로로 직조한 옷을 입으면 안 된다, 장애자의 몸으로 제단에 나가면 안 된다 하는 등의 금지조항이 있습니다. 그 외에 돼지고기나 바닷가재 같은 부정한 음식을 금하는 것, 절기를 지키는 것, 안식일을 지키는 것 등 수많은 준수사항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동성애 금지조항을 불변하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명령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면 그 금지조항과 함께 등장하는 월경중 동침하는 것, 혼방으로 된 옷을 입는 것, 장애자가 하나님의 전에 들어가는 것 등도 똑 같이 금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똑 같은 곳에 있는 명령을 어느 것은 그대로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다른 것은 무시하거나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것은 이른바 "선별적 법시행"(selective enforcement)으로서 법률적으로 불법적인 일로 취급됩니다. 동성애가 안 된다고 하는 사람은 다른 금지조항도 다 같이 지켜야 할 것입니다. 지금 이런 조항들을 다 지키는 기독교인들이 있을까요?
둘째, 그래도 바울이 금했지 않느냐 하는 입장을 취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6:9에 “불의한 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줄을 알지 못하느냐 미혹을 받지 말라 음란하는 자나 우상 숭배하는 자나 간음하는 자나 탐색하는 자나 남색하는 자나"라고 하고 또 로마인서 1:26 이하에도 남색하는 것은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할 때 생기는 온갖 죄악과 같은 선상에 두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도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 하나는 바울이 말하는 ‘남색’이라는 것은 로마시대에 성행하던 일종의 성행위로서 돈 많은 사람들이 어린 아이들을 돈으로 사서 성적 쾌감의 대상으로 삼던 pedophilia(미성년에 대한 이상적 성욕, 소아성애)를 지칭하는 것었습니다. 오늘날 동성의 두 성인이 사랑의 관계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스타일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른 한 가지는 어느 젊은이의 경우처럼, 자기의 동성애적 경향성을 발견하고 하나님께 매달리며 호소하고 제발 자기에게도 이성을 그리워할 수 있는 마음을 달라고 애원하는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이 많습니다. 이런 사람들을 두고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해서" 동성애자가 되었다고 말하기는 곤란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동성애자 중에는 성적으로 문란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이성애자 중에도 성적으로 문란한 사람들이 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동성애자라고 모두 신앙을 버리거나 하나님과 등지고 산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입니다.
셋째, 결혼은 "생육하고 번식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자녀를 낳기 위한 수단인데, 동성끼리의 결혼은 이런 하나님의 명령을 수행할 수 없기에 안 된다고 하는 입장입니다. 이른바 ‘창조 질서’에 위배된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이성간에 결혼한 부부가 아기가 없다고 그 결혼을 포기하고 아기가 있을 때까지 계속 결혼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비록 결혼해서 자녀가 없어도 그 결혼은 신성한 것일 수 있습니다. 꼭 생육하고 번식하는 것이 절대적 기준이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동성애를 반대하는 것, 자유입니다. 그러나 성경을 믿는 사람으로서 성경에 동성애를 금했기 때문에 금해야 한다는 말씀은 하시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동성애를 반대하지 않는 사람이 반드시 성경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만 덧붙이면 지금 미국에서 기독교인들이 대거 교회를 떠나는데 그 이유 중하나가, 미국의 종교사회학자 필 주커먼에 의하면, 사회에서 받아들이는 성평등, 동성애, 낙태 등의 문제를 우파 정치가들과 합동으로 교회가 이를 반대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그의 <종교 없는 삶> 123쪽) 이런 의미에서 한국 기독교가 동성애를 반대하는 것은 자기 무덤을 파는 일이 아닐까 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우선 이 정도로 그칩니다.
====
66 comments
이인석
다음 글이 기대됩니다.
Reply1 d
Daebin Moses Im
정리 감사합니다.공유합니다.
Reply1 dEdited
양성호
돈 있으면 사는 세상
이라더만..
Reply1 d
MyungJa Choi
고맙습니다. 공유합니다
Reply1 d
장서인
제가 20대에 이 글에서 지적해주신 오해 전부를 갖고 있었답니다. 그 이중잣대, 인지편향이 지금 다시 봐도 부끄럽네요.
Reply1 dEdited
박성현
정돈된 말씀 감사합니다.
다음 글도 기다립니다.
Reply1 d
Byung Hee Hong
반론 드립니다~
동성애를 금하는 것은 그것이 죄이기 때문인데 그럼 기독교인들인 이제 더이상 동성애를 죄로 간주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어야 한다는 것인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단지 LGBT라는 이유로 그들이 억압받고 차별받는 것은 원하지 않으며 누구와도 동등하게 인권이 보호받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성경이 수 천년 전 쓰여진 전설같은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도 살아서 성취되고 있다고 믿고 체험하고 있는 기독교인들에게 성경을 부정하고 “더이상 LGBT는 죄가 아니다”라고 인정하라고 하는 것은 신앙을 버리라고 하는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사실 성경이 죄라고 규정짓고 있는 것들을 보면 피해갈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습니다. 일례로 마태복음 5장 28절은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는 자마다 마음에 이미 간음하였느니라”라고 밝히고 있는데, 과연 이 율법에 자유로울 남자가 얼마나 될까요? LGBT보다 이성애를 가진 사람들이 죄인이 될 기회가 훨씬 많겠죠.
중요한 것은 성경이 율법으로 죄를 규정한 것은 그것을 범하지 않고 모두 지킴으로서 구원을 받으라 함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하나님을 떠난 상태에서는 피할 수 없는 죄인임을 깨닫고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기 위함이라는 것입니다.
거울이 있어야 우리의 티를 알 수 있듯이 율법에 비추어 우리가 죄인임을 알게 되며, 이것이 기독교의 구원의 출발입니다.
“그러나 성경이 모든 것을 죄 아래 가두었으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은 약속을 믿는 자들에게 주려 함이니라, 믿음이 오기 전에 우리가 율법 아래 매인바 되고 계시될 믿음의 때까지 갇혔느니라.
이같이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몽학선생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갈3:22~24)
이성애자도 동성애자도 율법 아래에서는 모두 죄인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칭하게 되는 것입니다.
죄의 체질이 순식간에 바뀌지는 않지만 점점 죄에서 멀어지고 율법이 지켜지는 체질로 바뀌는 것이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이며 LGBT문제도 다르지 않다고 저는 믿습니다.
Reply1 d
권기덕
.- 나름의 숙제 고민해 보겠습니다.
Reply1 d
Sung Hag Kim
공감합니다
Reply1 d
홍정옥
아무리 비교종교라해도 이건아닙니다. 비교종교를 하는것은좋으나 하나님의 의도는 떠나지 않아야합니다.
동성애는 하나님의 구속사를 이룰수도없고 신앙의규범이 없이 합리화 시켜서 사탄의 올무로 성도들을 유인하는 글은 온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코로나19로 복음이흔들리는시대에 정신을바짝 차리고 영혼구원에 매진하고하나님께로 엎드려서 이시대의 문제를 기도해야합니다
Reply1 d
Kevin Lee
여러 설명중에 제일 논리적이네요
Reply1 d
Hoon Park
종교적 편견없는 냉철하고 이성적인 글의 모든 부분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Reply1 d
문영석
" 만일 네 눈이 너를 범죄케 하거든 빼어 내버리라 한 눈으로 영생에 들어가는 것이 두 눈을 가지고 지옥 불에 던지우는 것보다 나으니라(마태 18,9), "누구든지 네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 대며"(마태 5,39). 나는 아직까지 성경말씀을 지키느라 애꾸눈을 가진 신실한(?) 신자나, 왼편 뺨마저 돌려대는 그런 너그러운 기독교 신자를 본 적이 없습니다. 가장 희극은 한때 한국 기독교는 미국이 하나님을 믿어 잘 산다고 강변해왔고, 광화문에서 성조기를 흔드는 얼빠진 인간들에게 그 처럼 숭배하는 주한 미대사가 2022 퀴어 축제에 와서 축사를 하였는데 그 대사 자신이 동성애자라고 합니다. 이러니 '개콘'이 부활할 수 있겠습니까?
Reply1 d
호우선사
동성애 문제는 단순한 성경적이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라 . . 첫째, 대자연의 순리(자연과학적 이치)에 않 맞고, 둘째, 동성애를 즐기면 거기에 빠져서 헤어나오지를 못는 이가 많아서 사회과학적으로도 문제요.
거의 건강학적으로도 적잖은 동성애자들이 에이즈에 걸리고, 항문성교를 즐기는 남색은 항문 근육이 망가져서 나중에 대변이 밖으로 나오기도 하는 참 참혹한 광경도 있어요.
그들이 즐기는 동성애(남자끼리, 여자끼리)는 상상을 초월한 모든 섹스를 즐깁니다. 몸이 결국 다 망가져요.
문제는 많은 동성애자가 원래 태어날때부터 동서애자인 경우는 거의 없어요. 주장일뿐이예요. 대다수가 충동, 혹은 동성애자들로부터 유혹 혹은 성폭력으로 동성애자가 된 경우도 참 많아요. 또한, 아주 어린 남녀는 호기심에 동성애의 길로 접어든 자들이 많다는 거예요. . .
동성애자들이 자기들의 사익을 위해서 여러 요설로 쓴 책들이 범람해서 현재 왠만한 지식인들도 의학적, 사회과학적, 사회비용적인 면을 간과하고 있고 동성애자들에게 세되당하고 있어요.
사회비용적으로, 에이즈 혹은 동성애자 환자 1명 발생하면, 보험사가 평생 건강관리비로 지급하는 비용과 정부가 우리들의 혈세로 지급하는 보조비는 얼마나 많을 줄 잘 모르는 것 같군요. 적극적으로 그들을 폭행하고, 죽이고 하는 중세적인 행동은 하지 못하게 법으로 금지해야되겠지만 . . 동성애가 단순한 자기의 문제가 아니라 . . 사회비용적 측면, 개인 건강적 측면, 사회도덕적, 자연과학적 순리에 어긋난다는 점을 굉장히 간과하고 단순 논리만으로 이런 것을 주장하는 점은 튼 실수요, 착오입니다만 . . .
아직도 동성애자들이 자기 성적 취향을 만족하기 위해서 . . 아직 소신이나, 과학적, 사회비용적 측면에 어두운 수많은 남녀를 여기저기에서 유혹하는 호기심을 발동시키는 수작을 걸거나 혹은 강간에 의해서 된 동성애자가 적잖히 많아요. 이 세상에 오직 기독교만 오직 한 종교만 인류에게 있다고 믿는 기독교인들의 착오요. 난 기독교인은 아니고 과학자며, 수도자지만, 사회문제를 한 안경을 통해서만 보면 항상 실수를 하지요. 인류역사상, 유럽역사를 보면 정치, 사회, 역사상 문제가 많지요? 미국을 포함해서 . . .
인간이 고등동물로 잘난 줄 알지만 . . 단지, '만용'으로써, 2019년부터 거의 3년간 . . . 미물인 코로나19에게도 지배받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주고 싶군요 . . 현재까지 공식통계론, 약 650만명(통계상)이 세계적으로 사망했지만 . . 그런데 실제는 약 3배가 넘는 1500만명이라고 WHO통계는 말하고, 개인적 추산으로는 실제는 약 6배인 '3천만명이상'이라고 개인적으론 추정하고 있어요. 이유는, 공식 통계에 않잡힌 수많은 (1)노숙자 코로나 사망자, (2)다른 병으로 아프다가 코로나19에 걸려서 합병증으로 악화되어서 죽는 사망자는 코로나 사망자 공식 집계에 정부가 고의적으로 집계하고 있지 않아요(미국, 한국 등). 또한, (3)태어나다 코로나로 죽은 아기들과 영아들. . 꼭 이전에 아무 병이 없다가 코로나로만 진단받은 환자중 사망한 환자만 사망통계로 집계하고 있어요 -> 정치적으로 코로나 사망자 숫자를 줄려서 정부의 태만과 코로나시국관리를 잘못한 정부들이 욕을 덜 먹을려고 . . 나쁜 놈들이지만. . .
모든 사회문제는 사회과학적, 자연과학적, 건강학적/의학적, 사회뵹적, 정치적, 문화적 여러 요소를 고려하며 심사숙고하면서 길잡이를 제대로 해야 후세가 똑 바른 인도(인간의 길)을 간는 겁니다. 한국의 지식인들은 거의 다 근대기이후부터 모두 유럽/일본.미국발 지식/학문만 공부하고 배워서 조상들의 자기 것을 거의 다 잊고 또한 전혀 몰라요.제발 한민족의 고유한 시원 사상과 자연과학적 공부를 좀 해보시는게 좋을듯 . .
*외국 지식으로만 사물을 보지마시고, 한국의 '(신)선도'(중국의 도교가 아님)를 좀 공부를 해보시는 걸 추천해요. 즉, '심신수련'과 '천부경', '삼일신고' 및 '참전계경' 등 경학(이치를 깨닫게 하는 학문)은 참 나와 대자연의 관계를 제대로 깨닫게하는 현대과학의 시초이며, 끝이요. 죽을때까지 공부하는게 학자요, 도를 닦는 도리일듯 . . .
Reply1 d
Joon Chung
성경에 땅은 다 내것이니 팔지말라고 하셨는데...집팔고 땅팔고 돈벌고 난리치는 기독교인들이 허구한 날 동성애만 가지고 왕왕거립니다....ㅋㅋㅋ
Reply1 d
이주연
Reply1 d
Kum Ho Shin
그럼 당신은 동성애가 정상적이라고 보십니까? 이는 명백한 창조질서를 무시하는 것입니다. 성경을 인용을 해도 아전인수격으로 인용을 하시는군요? 당신의 말대로라면 구약에서의 장모와 사위간의 상간, 짐승과 수간하는 자들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사랑하고 잘 살면 되겠네요. 그들을 구약에서 죽이라고 했지 신약에 그들을 죽이라는 말이 어디있느냐? 이러면서 말입니다. 아주 훌륭하신 발상이십니다. 당신의 자녀중에 그런 사람이 나와도 사랑하면 돼 하면서 박수를 쳐주실 것입니까? 그리스도인이란 무릇 시대에 맞추어서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사는 자들입니다. 참고로 다음의 말씀을 깊이 새겨두시길.... 롬1:20-27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가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그러므로 그들이 핑계하지 못할지니라. 하나님을 알되 하나님을 영화롭게도 아니하며 감사하지도 아니하고 오히려 그 생각이 허망하여지며 미련한 마음이 어두워졌나니 스스로 지혜 있다 하나 어리석게 되어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썩어질 사람과 새와 짐승과 기어다니는 동물 모양의 우상으로 바꾸었느니라.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마음의 정욕대로 더러움에 내버려 두사 그들의 몸을 서로 욕되게 하게 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 주는 곧 영원히 찬송할 이시로다 아멘 이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들을 부끄러운 욕심에 내버려 두셨으니 곧 그들의 여자들도 순리대로 쓸 것을 바꾸어 역리로 쓰며 그와 같이 남자들도 순리대로 여자 쓰기를 버리고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듯 하매 남자가 남자와 더불어 부끄러운 일을 행하여 그들의 그릇됨에 상당한 보응을 그들 자신이 받았느니라."
Reply1 d
백형근
사회가 진실을 추구하는 정의로 뭉치지 못하도록 친일매국과 토착왜구로 독립군을 학살한 자들이 자신들의 죄를 은폐하기 위해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반역 행위로 보입니다.
Reply1 d
Joseph S. Shin
생각이 깊어집니다.
Reply1 d
지관
Reply1 d
Kim James Youngsuk
공감 합니다. 많은 분들이 달을 보라고 하는데 손가락을 보고 계신 것 같아 아쉽습니다. 조금 넓게 생각 하면 이해가 될 수 있을 텐데 아쉽습니다. 달과 별이 어떤 것인지 다 알지만 주님께선 말씀 하지 않으셨듯 성경에 있는 글자 그대로가 아닌 주님의 간절한 뜻을 보는 은혜가 있길 소망 해 봅니다.
Reply1 d
Kyoungho Lim
깊이 공감합니다. ^^
자기 삶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다른 이의 삶도 온전히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이며,
반대로 자기 삶의 어떤 부분을 거부하는 사람은 타인 삶의 어떤 부분도 거부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둘 다 심리적 거울 반응입니다.
이 '어떤 부분'을 거부하는 원인을 물으면 대게 "선입견"을 말합니다.
가정에서는 '가풍'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에서는 '관습'이나 '통념'이라는 이름으로, 종교에서는 '경전'이나 '교리'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각 사람이 나고 자란 환경에서 "먼저 입력된 견해"입니다.
그리고 이걸 마땅히 지켜야 하는 절대 가치로 삼고 살아갑니다.
이런 상태에서 다른 가치를 받아들이기란 무척 어렵습니다.
주변 사람들, 특히 가장 가깝고 아끼고 사랑하는 가족, 연인, 친구, 지인 들이 같은 선입견을 가졌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무엇보다도 그 출처가 "신"일 경우에 심판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그 절대적 명령에 복종하게 만듭니다.
우주는 곧 창조주이고 하나님입니다.
인간이 아무리 많이 알아도 우주 전체를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이중 하나만 알고 절대적으로 믿을 때 그 믿음은 자기 마음을 구속하는 새장이 됩니다.
우주는 930억 광년의 지름에서 지금도 팽창하는 중이며 대중의 의식 또한 마찬가지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최고로 고귀한 신의 사랑"을 외치는 종교인들은 과거의 절대적 의식상태에 묶인 태도를 보입니다.
"최고로 고귀한 사랑"이 영원 불멸의 절대적 명령일까요?
아이러니하게도 "절대적"가치만 추구할 때 그 반대편과 다툼이 생깁니다.
예수님께서도 유대교의 모순을 지적하며 "절대가치"를 넘어설 것을 명령하셨습니다.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자신의 증인이 되라고 말이죠.
그러나 많은 사람은 이 대목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절대화'합니다. 그 결과로 '기독교' vs '비 기독교'라는 대립 구조를 만들고 그 새장 안에서 살아가죠.
자기 마음이 선입견의 결과라는 걸 모르면서 말입니다.
예수님의 증인은 뭘 의미할까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사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 믿으면 천국간다는 사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예수를 구주로 영접한 사람들의 마음은 지금 사랑과 평화로 가득할 것입니다.
그러나 분노와 화로 가득하다면 이는 뭔가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증인"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천국 간다'로 해석한 결과는 투쟁의 원인이 됩니다.
이걸 사랑으로 바꾸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예수가 그리스도로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믿어야 천국 간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품을 수 있습니다.
이 사랑을 품는 사람이 그 순간 천국을 경험하게 됩니다.
예수님은 당시 증오의 대상이었던 문둥병, 혈루병, 몸 파는 여자, 세리, 귀신들린 사람 등을 품었습니다. 지금 증오의 대상인 동성애자처럼 차별받는 사람들을 말이죠.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오해하는 분들이 많은데 창조주는 "선"만 창조하지 않았습니다.
온 우주에는 모든 것이 존재하며, 온 우주는 전체적입니다.
"선과 악"이라는 하나, "빛과 어둠"이라는 하나, "옳고 금"이라는 하나 등의 모든 상대적 개념의 전체가 창조주의 질서입니다.
대자연(창조주)의 이치(질서)는 탄생과 소멸의 연속된 순환으로 이뤄집니다.
사람은 흙에서 창조돼 자기 삶을 살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며, 사는 동안 우리 몸의 세포는 매 호흡마다 수많은 탄생과 소멸의 순환 과정으로 재생하며 유지됩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생각"과 감정 감각의 "느낌"이 무한하게 순환합니다.
어떤 생각을 떠올리느냐에 따라 감정이 결정됩니다.
그런데 "고정된 생각"은 '고정된 사고방식'의 순환과정이 반복한 결과이고, '고정된 사고방식'은 '고정된 판단과 평가'에서 시작됩니다.
생각은 우선 발산적입니다. 그래서 남성성과 닮았습니다.
느낌은 수용적입니다. 그래서 여성성과 닮았습니다.
하늘과 땅, 아버지와 아들, 하나님과 예수님은 이 생각과 느낌의 균형과 비유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생각을 절대적으로 따르는 사람의 마음은 지옥과도 같습니다. 생각과 느낌의 균형이 자기 선입견만 의존해서 기분이 나쁜 상황만 반복 체험하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두려운가요?
부활하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무수히 말씀하셨습니다.
"내니 두려워 말라."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셨다면, 그 사랑을 믿고 느끼며 두려움이 거둬지기를 기원합니다.
예수님은 이미 알려주셨습니다. 이런 지옥같은 상황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말이죠.
골방(깊은 마음)으로 들어가 문을 닫고 은밀한 중에 계시는 아버지께 기도하라고요.
여기에서 "문을 닫고 은밀한 중에"를 주목하기 바랍니다.
'선입견이나 다른 사람의 말이 무효한 곳'입니다.
코에 생기를 불어 넣으며 몸과 정서와 정신의 긴장을 이완해 보세요. 그리고 자신이 무얼 바라는지 한 가지 주제를 떠올려 보세요. 온 몸과 마음이 듣는 느낌에 감각을 기울여 보세요. 그때 자신만의 기도 응답을 받을 것입니다.
모두의 마음에 평화가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_()_
Reply1 dEdited
Hyuk Bom Kwon
참 공감할 내용입니다.
Reply1 d
Choi Young Bok
교수님 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목사님들이 귀와 눈 그리고 마음을 열고 성서를 들여다보았으면 좋겠습니다.
Reply1 d
하중조
널리 퍼날라 혼탁하고 어리석은 예배당을 차별없는 공동체로 만듭시다, 임마누엘!
주위를 돌아보세요, 혹시라도 내가
아는 목회자의 자녀가 커밍아웃 못하고
발을 동동 굴리고 있지나 않은지 . . . . .
Reply1 dEdited
Charlie Choi
이정도로 끝치지 마시고 계속 이문제에 대해서 같은 의견을 발표해 주세요
Reply1 d
Hoon Kang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Reply1 d
박병수
종교학자로써 올린 글입니다. 이분이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인데 기독교인이라 할지라도 성경을 완전히 알 수 없지 않나요?
'하나님은 크시니 우리가 그를 알 수 없고- 욥기'
우리가 성경을 문자적으로 이해할게 있고 비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저도 동성애를 옹호하지 않지만
십자가 이후 제사법이나 처벌의 방법은 없어지거나 달라졌을겁니다. 이 시대에 그들을 구약시대의 법대로 볼 수는 없어도
그들도 긍휼의 대상이며 사랑의 대상으로 보라는 메시지로 이해합니다. 성경을 지지하든
그 외의 눈으로 보든 우리는 하나님이 아니라 다양한 지식을 가진 피조물들일 뿐입니다.
May be an illustration of one or more people
Reply1 d
박황희
종교인의 이율배반입니다.
선택적 정의와 선택적 율법의 도그마에 빠져 관견(管見)하는 자신의 편협과 편견을 깨닫지 못하고 맹신하는 행위입니다.
무당 목사들의 주술적이고 의존적 종교행위로 대한민국 기독교는 망하는 길에 접어들었습니다.
Reply1 d
박병수
박황희 저는 동성애 반대자 입니다.
다만 오강남씨는 크리스챤이 아니라 종교학자의 글이라 생각하고 그의 주장을 지지하거나 동조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세상은 다양한 주장이 있다는 것을 들어줄 뿐입니다.
Reply1 dEdited


InJun Chung
감사합니다 교수님.
개인적으로 ‘낙태’에 대한 성경적 해석에 대하여서도 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Reply1 d
Sang Kyung Koh
이미 오래전에 신교 구교 할것없이. 전부 동성애 인정하구선 이제와서 뭔 소리하는것인지. ...왜 종교지도자 들은 솔직하지 못한 짓거리를 하는지...싫다
Reply1 d
Jung Ryul Moon
성조기와 꼬리를 그렇게 흔들었는데..... ㅠ.ㅠ
https://m.yna.co.kr/amp/view/AKR20220716035851004
퀴어축제 참석 美대사 "인권 위해 여러분과 함께 싸울 것"(종합) | 연합뉴스
YNA.CO.KR
퀴어축제 참석 美대사 "인권 위해 여러분과 함께 싸울 것"(종합) | 연합뉴스
퀴어축제 참석 美대사 "인권 위해 여러분과 함께 싸울 것"(종합) | 연합뉴스
Reply1 dEdited
JaeGoo Lee
좋아요
Reply1 d
Sang Kyung Koh
예수 샤후 300년이 지나 쓰여진 성경에대해 ? 뭣을 참으로 ...
Reply1 d
Sang Kyung Koh
외경 정경 성경. 히브리어 그리스어. 곱틱성경 그리고. 에수는 어느언어로 이야기 하고 살았을까 ?
Reply1 d
Sehoon Oh
아람어 일거 랍니다..

2022/07/18

Janusz Korczak: Educating for Justice , Berding, Joop W. A.


“어린이는 미래의 인간이 아니라 이미 인간입니다”
이우진 공주교육대학교·교육학
승인 2022.07.17 

[옮긴이의 말]

■ 옮긴이의 말_ 『야누시 코르차크: 정의를 위한 교육』 (주프 버딩 지음, 이우진 옮김, 모시는사람들, 208쪽, 2022.05)




야누시 코르차크(1878~1942)의 삶과 사상은 한 편의 시(詩)였다. 시는 말하고자 하는 대상의 외피만을 화려하게 그리지 않는다. 시는 그 대상의 심연(深淵)에 놓여있는 인간 영혼의 무게를 노래한다. 그 비밀의 언어를 들은 독자들은 어느새 시인의 영혼을 느끼게 된다. 코르차크의 삶과 사상을 추적하다보면, 그가 평생을 통해 ‘어린이는 누구인가?, 인간 사회 즉 정의로운 사회라는 이름에 걸맞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노래를 불렀음을 느끼게 된다. 코르차크는 시대를 앞선 선구자였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언제나 모색했던 진정한 실험가이자 혁신가였다. 우리가 지금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는 ‘어린이의 권리, 어린이의 참여, 어린이의 존엄성’도 많은 부분 그의 유산 덕분이다.

코르차크는 모든 인간이 가만히 앉아 해방을 기다리는 ‘호모 라팍스(homo rapax) 즉 탐욕스러운 인간’임을 알고 있었다. 다시 말해, 우리 모두는 동료를 괴롭히고 심지어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 ‘탐욕스러운 인간’인 것이다. 우리는 정의롭지 못한 부조리한 현실에 언제나 뒷짐을 지고 가만히 바라볼 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존재들이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본질이 이러한 특성만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지 않았다. 왜냐하면 인간은 또한 ‘절망적인 현실을 넘어서기를 갈망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보다 나은 삶, 진리와 정의로운 삶을 갈망하는 것’이 바로 인간의 또 다른 본질인 것이다. 코르차크는 인간의 이러한 이중적 면모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었다. 그는 통곡이 난무하는 불바다의 현실에서 보다 나은 미래를 갈망하는 노래를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부르며 살아갔다. 우리에게는 야누시 코르차크라는 이름과 함께 그의 애끓는 노랫말이 여전히 낯설다. 하지만 그가 평생을 불렀던 노랫말에 유럽, 북미와 남미, 일본, 아프리카와 같은 전 세계의 수많은 교육자들이 매료된 상황이다. 그들은 코르차크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비극이 난무하는 이 끔찍한 현실에서 보다 나은 미래를 향한 갈망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사실 시인이 불렀던 비밀의 시는 쉽사리 이해되지는 않는다. 화려한 어휘와 분석의 도구만을 가지고 해석하다 보면 자칫 그 시에 담긴 영혼의 비밀을 깨뜨리는 실수를 범하게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그 시에 정통하면서도 친절하게 안내하는 해설자가 필요하다. 이 책의 저자인 주프 버딩(Joop W. A. Berding)은 바로 그러한 해설자이다. 야누시 코르차크의 삶과 사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그 본연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전달해 줄 뿐만 아니라 너무도 친절하고도 명료하게 해설해주고 있다. 그의 안내를 따라가 보면, 가슴 깊이 들어와 꽂히는 감동은 물론이고 너무나 흥미진진하여 어느새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마주하게 된다.


폴란드 트레블링카 수용소 터에 조성된 추모공원에 있는 야누시 코르차크의 추모석. 그 돌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야누시 코르차크(헨리크 골트슈미트) 그리고 아이들.” 본명은 헨리크 골트슈미트(Henryk Goldszmit), 야누시 코르차크는 필명이다.

주프 버딩은 자신의 책을 통해, ‘코르차크의 삶과 교육’, 그리고 ‘어린이의 권리와 정의를 위한 그의 투쟁’에는 본질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먼저 코르차크의 생애와 작품들을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다. 특히 주프 버딩은 이야기꾼이자 시인이요 음악가이자 극작가 더불어 성공한 교육자로서 살았던 코르차크의 인생을 미화하지 않는다. 그 삶에 담긴 코르차크의 실패와 좌절, 고통 등을 면밀하게 그리고 있다. 코르차크의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보살피던 고아들과 독가스 처형장으로 끌려가는 트레블링카(Treblinka)행 열차에 오르기까지의 마지막 인생노정을 ‘한 교육자의 성장이야기’로 그려내고 있다. 한 마디로 ‘교육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교육자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코르차크가 평생 동안 지녔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주프 버딩은 코르차크가 인생이라는 힘든 노정을 통해 ‘교육자가 된다는 것’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았다고 제시한다. 그 대답은 바로 ‘어린이를 교육하는 것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무조건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대화하며 토론하고 중재하며 조정하는 것이자, 무엇보다 교육자와 어린이들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노력하는 일’이라는 사실이다. 또한 ‘교육은 교육자의 즐거움이나 편안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정의로운 공동체를 구축하고 유지할 것인가에 관한 일’인 것이다. 진정 나와는 다른 이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은 인간이 감수해야 할 가장 큰 과제이다. 때문에 코르차크는 교육을 ‘지금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하는가에 관한 일’로서 이해한 것이었다. 교육은 ‘내일도 아니고 어디 다른 곳도 아니며, 나중에 어른이 되었을 때도 아닌, 지금 여기에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는 상황에서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인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나 교육자가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자신의 권리를 발휘할 수 있도록 ‘존중의 법칙’을 보장해야 한다고 코르차크는 생각했다. 바로 교육은 ‘공화주의적인 삶을 배우고 실천하는 활동’이었던 것이다.

코르차크는 자신의 삶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 간에 이해관계를 조정해 가는 ‘정의로운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는 교육자로서 권위주의적인 교육이나 양육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제멋대로인 어린이들과 함께 민주적이고 공화주의적인 방법으로 생활하고 일하는 실험을 평생 동안 수행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존중의 법칙’이 요청된다고 코르차크는 생각하였다. 이 존중의 법칙이란 ‘어린이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은 각각의 동기, 욕망,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누구나 자신에게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추구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코르차크의 말대로 ‘우리는 어린이를 잘 모른다.’ 아니 더 심각한 것은 ‘우리는 편견을 통해 어린이를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른이 되는 것을 이상화함에 따라 강박적일 만큼 어린이의 발달을 자극할 뿐, 그 어린이가 오늘 무엇을 성취하고 무엇을 누릴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린이들의 발언과 의견을 무시한다. 어른들의 시각에서 어린이는 때때로 인간으로 간주되지 않는 실정이다. 어린이들을 미래의 사람들로만 여길 뿐, 그들이 지금 여기에서 살게 하는 걸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억압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코르차크는 ‘어린이는 미래의 인간이 아니라 이미 인간’임을 강조하였다. 바로 그는 ‘존중의 법칙’을 통해 ‘모든 어린이들이 각기 발언권과 이를 행사할 기회를 지니며 또 서로의 발언을 진지하게 듣고 받아들여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되는 사실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어린이를 포함하여 어느 누구든 간에 자신의 발언이나 권리를 내세우도록 하는 것으로 ‘존중의 법칙’이 마무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자기 자신과 마찬가지로 최선의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다른 이들의 권리를 인정하며, 이에 따라 자신의 권리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존중의 법칙이다. 서로의 목소리가 표현되고 있느냐보다 경청되고 있느냐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코르차크가 생각하는 올바른 권리는 ‘사회적인 권리이자 정치적인 권리’요, ‘개인주의적인 권리가 아니라 서로의 권리를 인정하는 권리’이다. 곧 서로의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자신의 의무와 책임을 인정하는 권리, 이른바 ‘존중의 법칙’을 실현하기 위한 권리인 것이다. 코르차크는 이러한 권리야 말로 정의, 평등, 민주적인 공동생활을 추구하는 공동체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며, 이러한 권리를 어린이들에게 심어주기 위해 평생 동안 최선을 다해왔다.

주프 버딩은 코르차크가 정의로운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실험으로 ‘세계 최초의 어린이법정’을 구축한 것을 높게 평가한다. 그의 말대로, 어린이법정은 무엇보다 이해관계나 욕망, 의견의 대립을 강자의 법이 지배하는 사적인 영역에서 벗어나서 공적인 영역에서 다루고자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 어린이들을 공동체의 일상 운영에 되도록 참여시키고 책임을 공유시키겠다는 코르차크의 의도는 어린이법정에서 가장 급진적인 형태로 실현되었다. 코르차크는 어린이법정 업무의 내용과 구조를 규정하기 위해 다수의 조문이 담긴 법전을 펴내기도 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쟁 당사자들이 심리를 거친 뒤에 판결하도록 하였다. 놀랍게도 코르차크 역시 어린이들에게 5번 이상 고소당하였다. 이는 바로 그가 누구이건 간에 교육에 있어서 이중적인 도덕의 잣대는 있을 수 없다는 코르차크의 강한 신념 때문이었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어린이법정의 근본정신이다. 그것은 제재가 아니라 ‘용서’였다. 엄밀하게 말하면, 어린이법정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어린이법정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자 법정 업무를 중단시키기도 하는 등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어린이법정 뿐만이 아니었다. 그가 삶속에서 시행했던 수많은 교육학적 실험들은 실패로 점철되었다. 하지만 코르차크는 단 한 번도 포기하지 않았다. 교육자가 된다는 것은 오직 대화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며, 때로는 맡겨진 어린이들과 충돌하는 일도 감당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던 것이다. 무엇보다 코르차크가 교육자로서 지닌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특별한 자질은 언제나 ‘다시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힘’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었다. 코르차크가 지은 「교육자의 기도」에 적혀있는 것처럼, 그는 어린이들을 가장 편안한 길로 인도하기보다는 가장 아름다운 길로 인도할 수 있는 교육자이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다.

이 책은 여러 가지 장점들을 지니고 있다. 먼저 저자인 주프 버딩이 코르차크의 아름다운 명언들을 곁들이면서 독자들을 코르차크의 삶과 철학에 흥미진진하게 빠져들도록 만든다는 점이다. 책 표지를 열고 읽어나가는 동안 어느새 우리는 코르차크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됨을 느낄 수가 있다. 다음으로, 코르차크의 삶과 교육철학이 본질적으로 ‘정의를 위한 교육’이었음을 저자인 주프 버딩이 체계적이고도 명확하게 그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분량도 결코 많지 않고 읽기가 어렵지 않지만 독자에게 엄청난 생각거리들을 제공해 주기에 쉽사리 책을 덮을 수 없도록 만들고 있다는 점도 있다. 또한 「교육자의 기도」와 같은 코르차크의 명문들을 새로이 번역해서 소개하고 있다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책은 코르차크를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입문서’로, 잘 알고 있는 이에게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교본으로, 전문가에게는 코르차크를 재발견하고 평가하는 논쟁적 토론서로서 충분히 값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야누시 코르차크: 정의를 위한 교육』이라는 책을 소개하는 이 글의 마무리를,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서 눈물이 날 만큼 감동적이었던 구절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는 「고아원을 떠나는 어린이에게 전했던 고별인사」의 한 문장이다. 이 책의 저자인 주프 버딩이 말했듯이 번역자 역시 이보다 더 코르차크의 교육철학을 잘 보여주는 문장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말은 약하고 힘이 없어.
그런데도 내가 해 줄 수 있는 건 이 몇 마디 인사말뿐이야.
……
우리가 줄 수 있는 것은 단 하나 뿐이야.
그것은 지금은 아직 아니지만
언젠가 존재할 보다 나은 삶에 대한 갈망,
바로 진리와 정의로운 삶에 대한 갈망이야.
어쩌면 이 갈망이 너를 하느님과 조국과 사랑으로 인도할지도 몰라.
잘 가. 그걸 잊어서는 안 돼.


이우진 공주교육대학교·교육학

공주교육대학교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차세대 한국학자로 선발되어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연구하였다. 현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철학을 공부하며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Korean Education: Educational Thought, Systems and Content 등이 있다.



Janusz Korczak: Educating for Justice
 Berding, Joop W. A.






Janusz Korczak: Educating for Justice (SpringerBriefs in Education) 1st ed. 2020 Edition, Kindle Edition
by Joop W. A. Berding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0 out of 5 stars 2 ratings

This book presents the educational view and practice of the Polish-Jewish doctor, writer and pedagogue Janusz Korczak (Warsaw 1878–Treblinka 1942). In the authors' reconstruction five core elements stand out: respect for every child; participation; justice; dialogue a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on the part of the educator.

These elements do not constitute a well-rounded theory or philosophy, but are part of many stories of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in Korczak’s case orphans. Korczak, actively involving the children themselves, organized this life in such a way that justice ruled. He is the pedagogue of narrativity and of democratic upbringing. Korczak explored many, and today still challenging ways of participative education.The book shows that besides the now domineering positivist outlook on education, with its technocratic language and stress on output, standards, testing, etc., another language is possible, one that is more practice-based and that teachers will relate to immediately: love for children, a pedagogical ethos, and seeking ways to live together in a just way.

1st ed. 2020

Product description

Review
“Berding has succeeded excellently in this with his clear introduction to the life and works of Korczak. One of the merits of the book is that it makes people curious about Korczak’s own work.” (Gerrit Breeuwsma, didactiefonline.nl, July, 2021)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Review

“Few educators deserve praise and recognition more than Janusz Korczak. Dr. Berding’s Educating for Justice offers fresh insights into how Korczak sought justice in living with children. This included an ethos of respect for the child (as well as the rights of the child), by means of active participation―which Korczak conveyed through his Children’s Court. Educating for Justice makes clear that pedagogy is more than an act of teaching, but one of advocacy and love for children everywhere.” (Daniel L. Berek, M.A., M.A.T., Teach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tributor to Janusz Korczak. A bibliography 1939-2012)

“For Berding, Korczak’s justice education centers round creating a voice for the voiceless. Children, like many oppressed groups, are often silenced. When children are given voice, they are heard, respected, and their thoughts and ideas inform action. In this book, Berding explores the concrete structures, including the Children’s Court and Newspaper, that Korczak implemented to empower children, even under the most dire circumstances. This work is a richly detailed study into the life and thought of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ors of the 20th century, whose topicality cannot be underestimated.” (Kristin Poppo, Ph.D., Provost, Alfred State College)

“Dr. Joop Berding has been inspired by Dr. Janusz Korczak’s insights for over 35 years. His book is an invaluable resource for parents and educators who, deep inside, know that both parenting and educational systems need an overhaul. Dr. Berding’s book presents to them, in an easy to implement and well organized way, key values needed to do their job well while interacting with young people with respect,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and teaching them about justice.” (Mariola Strahlberg, MS, LAc is a founder and president of the Janusz Korczak Association of the USA)

“This new book by a famous researcher Joop Berding mak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Janusz Korczak, one of the greatest minds of the pedagogy of children’s rights in the 20th century, whose ideas have become critically importa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orczak’s practice demonstrates how in the most dire circumstances teachers should promote students’ full participation based on respect and justice. Learning about Korczak will make readers more knowledgeable about their inner strengths and more aware about ways to develop students’ resilience and creativity.” (Tatyana Tsyrlina-Spady, PhD, Adjunct Professor, School of Education, Seattle Pacific University, Seattle, WA)

“Why should we study what Janusz Korczak wrote many years ago? Korczak asks questions about children and their role in the world. He doesn’t give ready answers, beside this one – that a child is a human, just a smaller one. And that’s why it deserves respect, just treat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world. Korczak stands up for the rights, the dignity and the citizenship of children. Korczak’s pedagogical thought is still fresh, innovative and revolutionary. And above all – inspiring. Educating for Justice is a guide to pedagogics of respect and empathy.” (Dr Marek Michalak, Chairperson of the International Korczak Association)

“Joop Berding presents Korczak’s humanistic educational approach to the child – to the person. He opens the way for the reader to understand every aspect of this approach. Joop Berding’s writing shows his sensitivity and ability to touch on each point. Sketching Korczak as a person who fights for the rights of children and their right to take an active part in the educational process,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book for educators, parents and any adult who has an impact on the life of youngsters.” (Batia Gilad, Former Chairperson of the International Korczak Association, Chairperson of the Korczak Educational Center in Israel)

“Janusz Korczak. Educating for Justice gives us a true insight to the work of Janusz Korczak, doing justice to the person, physician, philosopher, author and pedagogue. We become acquainted with his life, philosophy, literary creation, a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which are relevant to the humanist mission of education everywhere. It is thanks to such studies of Korczak’s life that we are now aware of his educational accomplishments, the principles of his educational teaching and his literary writings. This book tells the story of a unique educator whose relevance to education today stands as firm as ever.” (Dr. Avi Tsur, The Korczak Education Center, Israel)

“Janusz Korczak. Educating for Justice is a passionately written book devoted to Korczak’s contribution to the world of pedagogy and education. The book will appeal to people who may not know much about Korczak as well as those who studied and know him well. It is because of the systemic analysis of Korczak’s contribution to pedagogy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ocio-political structures that Berding captures and fully reinforces Korczak’s uniqueness. I recommend this book to all educators, philosophers of education and students as well as those concerned with creating a better world for children and adults.” (Malgorzata Kmita, Former Secretary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Korczak Association, Former President of Mental Health Europe)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About the Author

Joop W. A. Berding (*The Hague, the Netherlands, 1954) started his career as a teacher in primary schools. Meanwhile, he trained as an advanced educationalist and philosopher of education (B.A., M.A., Ph.D.). During the second part of his career, he worked as a civil servant for youth policy and welfare on both the municipal and state level, as an educational councillor, and, before retiring, eleven years as an assistant professor, manager and researcher on education and youth at the Rotterdam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teacher training and social studies).

From appr. 1990 onwards, Berding has published extensively, mostly in Dutch but also in other languages (English, German) on educ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his writings, he seeks to link insights from education, philosophy and ethics with everyday practice in families, schools, day care and youth work. Three major sources of inspiration are the work of Janusz Korczak, John Dewey and Hannah Arendt, on whom he has published a number of books and many (reviewed) articles and book chapters. His latest book (November 2019, in Dutch) is on patience and impatience in upbringing and education.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



Janusz Korczak
From Wiki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Janusz Korczak

Janusz Korczak, photographed c. 1930
Born
Henryk Goldszmit
22 July 1878

Warsaw, Congress Poland, Russian Empire
Died c. 7 August 1942 (aged 64)

Treblinka extermination camp, German-occupied Poland
Nationality Polish
Occupation Children's author, humanitarian, pediatrician, child pedagogue and defender of children's rights
Website korczak.org.uk


Janusz Korczak, the pen name of Henryk Goldszmit[1] (22 July 1878 or 1879 – 7 August 1942),[2] was a Polish Jewish educator, children's author and pedagogue known as Pan Doktor ("Mr. Doctor") or Stary Doktor ("Old Doctor"). After spending many years working as a principal of an orphanage in Warsaw, he refused sanctuary repeatedly and stayed with his orphans when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institution was sent from the Ghetto to the Treblinka extermination camp during the Grossaktion Warschau of 1942.[3]


Contents


Biography[edit]

Korczak was born in Warsaw in 1878. He was unsure of his birth date, which he attributed to his father's failure to promptly acquire a birth certificate for him.[4] His parents were Józef Goldszmit,[1] a respected lawyer from a family of proponents of the haskalah,[5] and Cecylia née Gębicka, daughter of a prominent Kalisz family.[6] Born to a Jewish family, he was an agnostic in his later life who did not believe in forcing religion on children.[7][8][9] His father fell ill around 1890 and was admitted to a mental hospital, where he died six years later on 25 April 1896.[10][11] Spacious apartments were given up on Miodowa street, then Świętojerska.[12] As his family's financial situation worsened, Henryk, while still attending the gymnasium (the current 8th Lycée in Warsaw [pl]), began to work as a tutor for other pupils.[12] In 1896 he debuted on the literary scene with a satirical text on raising children, Węzeł gordyjski (The Gordian Knot).[6]

In 1898, he used Janusz Korczak as a pen name in the Ignacy Jan Paderewski Literary Contest. The name originated from the book O Janaszu Korczaku i pięknej Miecznikównie by Józef Ignacy Kraszewski.[13] In the 1890s he studied in the Flying University. During the years 1898–1904 Korczak studied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Warsaw[4] and also wrote for several Polish language newspapers. After graduation, he became a pediatrician. In 1905−1912 Korczak worked at Bersohns and Baumans Children's Hospital in Warsaw.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in 1905–06 he served as a military doctor. Meanwhile, his book Child of the Drawing Room (Dziecko salonu) gained him some literary recognition.

Janusz Korczak with the children in 1920s

The orphanage at 92 Krochmalna Street where Korczak worked. He lived in a room in the attic which was destroyed during World War II and not rebuilt

Korczak's orphanage is still in operation at 6 Jaktorowska Street

In 1907–08, Korczak went to study in Berlin. While working for the Orphans' Society in 1909, he met Stefania Wilczyńska, his future closest associate. In 1911–1912, he became a director of Dom Sierot in Warsaw, an orphanage of his own design for Jewish children.[14] He hired Wilczyńska as his assistant. There he formed a kind-of-a-republic for children with its own small parliament, court, and a newspaper. He reduced his other duties as a doctor. Some of his descriptions of the summer camp for Jewish children in this period and subsequently were later published in his Fragmenty Utworów and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During World War I, in 1914 Korczak became a military doctor with the rank of lieutenant. He served again as a military doctor in the Polish Army with the rank of major during the Polish-Soviet War, but after a brief stint in Łódź was assigned to Warsaw. After the wars, he continued his practice in Warsaw. Korczak was a lifelong bachelor and had no biological children of his own.[15][16]
Sovereign Poland[edit]

In 1926, Korczak arranged for the children of the Dom Sierot (Orphan House) to begin their own newspaper, the Mały Przegląd (Little Review), as a weekly attachment to the daily Polish-Jewish newspaper Nasz Przegląd (Our Review). In these years, his secretary was the noted Polish novelist Igor Newerly.[citation needed] His orphanage was supported by the CENTOS Polish-Jewish charity.[17]

During the 1930s, he had his own radio program where he promoted and popularized the rights of children. In 1933, he was awarded the Silver Cross of the Polonia Restituta. Between 1934–36, Korczak travelled every year to Mandate Palestine and visited its kibbutzim. Additionally, it spurred his estrangement with the non-Jewish orphanage for which he had also been working. A letter he wrote indicates that he had some intentions to move to Palestine, but in the end, he felt he couldn’t leave his children behind.[18][unreliable source?] He stayed in Poland, even when Wilczyńska went to live in Palestine in 1938 and continued his role as headmaster.[19][unreliable source?]
The Holocaust[edit]

Last issue of Mały Przegląd (Little Review) dated 1 September 1939

Korczak's filling card prepared during compulsory registration of physicians ordered by the German occupation authorities in Warsaw in 1940

Building of Państwowa Szkoła Handlowa Męska im. J. i M. Roeslerów, between November 1940 and October 1941 the seat of Dom Sierot in the Warsaw Ghetto

In 1939, when World War II erupted, Korczak volunteered for duty in the Polish Army but was refused due to his age. He witnessed the Wehrmacht takeover of Warsaw. When the Germans created the Warsaw Ghetto in 1940, his orphanage was forced to move from its building, Dom Sierot at Krochmalna 92, to the Ghetto (first to Chłodna 33 and later to Sienna 16 / Śliska 9).[20] Korczak moved in with them. In July, Janusz Korczak decided that the children in the orphanage should put on Rabindranath Tagore's play The Post Office.

On 5 or 6 August 1942, German soldiers came to collect the 192 orphans (there is some debate about the actual number: it may have been 196) and about one dozen staff members to transport them to the Treblinka extermination camp. Korczak had been offered sanctuary on the "Aryan side" by the Polish underground organization Żegota, but turned it down repeatedly, saying that he could not abandon his children. On 5 August, he again refused offers of sanctuary, insisting that he would go with the children, asserting his belief: "You do not leave a sick child in the night, and you do not leave children at a time like this".[21]

The children were dressed in their best clothes, and each carried a blue knapsack and a favorite book or toy. Joshua Perle, an eyewitness whose wartime writings were saved in the Ringelblum Archive,[22] described the procession of Korczak and the children through the Ghetto to the Umschlagplatz (deportation point to the death camps):


Janusz Korczak was marching, his head bent forward, holding the hand of a child, without a hat, a leather belt around his waist, and wearing high boots. A few nurses were followed by two hundred children, dressed in clean and meticulously cared for clothes, as they were being carried to the altar.
— Ghetto eyewitness, Joshua Perle[23]

According to eyewitnesses, when the group of orphans finally reached the Umschlagplatz, an SS officer recognized Korczak as the author of one of his favorite children's books and offered to help him escape. In another version, the officer was acting officially, as the Nazi authorities had in mind some kind of "special treatment" for Korczak (some prominent Jews with international reputations were sent to Theresienstadt). Whatever the offer, Korczak once again refused. He boarded the trains with the children and was never heard from again. Korczak's evacuation from the Ghetto is also mentioned in Władysław Szpilman's book The Pianist:


He told the orphans they were going out into the country, so they ought to be cheerful. At last they would be able to exchange the horrible suffocating city walls for meadows of flowers, streams where they could bathe, woods full of berries and mushrooms. He told them to wear their best clothes, and so they came out into the yard, two by two, nicely dressed and in a happy mood. The little column was led by an SS man...
— Władysław Szpilman, The Pianist[24]

Sometime after, there were rumours that the trains had been diverted and that Korczak and the children had survived. There was, however, no basis to these stories. Most likely, Korczak, along with Wilczyńska and most of the children, was murdered in a gas chamber after arriving at Treblinka. A separate account of Korczak's departure is given in Mary Berg's Warsaw Ghetto diary:


Dr. Janusz Korczak's children's home is empty now. A few days ago we all stood at the window and watched the Germans surround the houses. Rows of children, holding each other by their little hands, began to walk out of the doorway. There were tiny tots of two or three years among them, while the oldest ones were perhaps thirteen. Each child carried the little bundle in his hand.
— Mary Berg, The Diary[25]

Writings[edit]

Korczak's best known writing is his fiction and pedagogy, and his most popular works have been widely translated. His main pedagogical text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but of his fiction, as of 2012, only two of his novel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King Matt the First and Kaytek the Wizard.

As the date of Korczak's death was not officially established, his date of death for legal purposes was established in 1954 by a Polish court as 9 May 1946, a standard ruling for people whose death date was not documented but in all likelihood occurred during World War II. The copyright to all works by Korczak was subsequently acquired by The Polish Book Institute (Instytut Książki), a cultural institution and publishing house affiliated with the Polish government. In 2012 the Institute's rights were challenged by the Modern Poland Foundation, whose goal was to establish by court trial that Korczak died in 1942 so that Korczak's works would be available in the public domain as of 1 January 2013. The Foundation won the case in 2015 and subsequently started to digitise Korczak's works and release them as public domain e-books.[26][27][28]

Korczak's overall literary oeuvre covers the period 1896 to 8 August 1942. It comprises works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and includes literary pieces, social journalism, articles and pedagogical essays, together with some scraps of unpublished work, totalling over twenty books, over 1,400 texts published in around 100 publications, and around 300 texts in manuscript or typescript form. A complete edition of his works is planned for 2012.[29]

Children's books[edit]

Korczak often employed the form of a fairy tale in order to prepare his young readers for the dilemmas and difficulties of real adult life, and the need to make responsible decisions.

In the 1923 King Matt the First (Król Maciuś Pierwszy) and its sequel King Matt on the Desert Island (Król Maciuś na wyspie bezludnej) Korczak depicted a child prince who is catapulted to the throne by the sudden death of his father, and who must learn from various mistakes:

He tries to read and answer all his mail by himself and finds that the volume is too much and he needs to rely on secretaries; he is exasperated with his ministers and has them arrested, but soon realises that he does not know enough to govern by himself, and is forced to release the ministers and institute constitutional monarchy; when a war breaks out he does not accept being shut up in his palace, but slips away and joins up, pretending to be a peasant boy - and narrowly avoids becoming a POW; he takes the offer of a friendly journalist to publish for him a "royal paper" -and finds much later that he gets carefully edited news and that the journalist is covering up the gross corruption of the young king's best friend; he tries to organise the children of all the world to hold processions and demand their rights – and ends up antagonising other kings; he falls in love with a black African princess and outrages racist opinion (by modern standards, however, Korczak's depiction of blacks is itself not completely free of stereotypes which were current at the time of writing); finally, he is overthrown by the invasion of three foreign armies and exiled to a desert island, where he must come to terms with reality – and finally does.

In 2012, another book by Korczak was translated into English. Kajtuś the Wizard (Kajtuś czarodziej) (1933) anticipated Harry Potter in depicting a schoolboy who gains magic powers, and it was very popular during the 1930s, both in Polish and in translation to several other languages. Kajtuś has, however, a far more difficult path than Harry Potter: he has no Hogwarts-type School of Magic where he could be taught by expert mages, but must learn to use and control his powers all by himself - and most importantly, to learn his limitations.

Korczak's The Persistent Boy was a biography of the French scientist Louis Pasteur, adapted for children - as stated in the preface - from a 685-page French biography that Korczak read. The book clearly aims to portray Pasteur as a role model for the child reader. A considerable part of the book is devoted to Pasteur's childhood and boyhood, and his relations with parents, teachers and schoolmates. It is emphasised that Pasteur, destined for world-wide fame, started from inauspicious beginnings - born to poor working-class parents in an obscure French provincial town and attending a far from high-quality school. There, he was far from a star pupil, his marks often falling below average. As repeatedly emphasised by Korczak, Pasteur's achievements, both in childhood and in later academic and scientific career, were mainly due to persistence (as hinted in the title), a relentless and eventually successful effort to overcome his limitations and early failures.

Pedagogical books[edit]

In his pedagogical works, Korczak shares much of his experience of dealing with difficult children. Korczak's ideas were further developed by many other pedagogues such as Simon Soloveychik and Erich Dauzenroth.

Thoughts on corporal punishment[edit]

Korczak spoke against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at a time when such treatment was considered a parental entitlement or even duty. In The Child's Right to Respect (1929), he wrote,


In what extraordinary circumstances would one dare to push, hit or tug an adult? And yet it is considered so routine and harmless to give a child a tap or stinging smack or to grab him by the arm. The feeling of powerlessness creates respect for power. Not only adults but anyone who is older and stronger can cruelly demonstrate their displeasure, back up their words with force, demand obedience and abuse the child without being punished. We set an example that fosters contempt for the weak. This is bad parenting and sets a bad precedent.[30]

List of selected works[edit]

Fiction[edit]
  • Children of the Streets (Dzieci ulicy, Warsaw 1901)
  • Fiddle-Faddle (Koszałki opałki, Warsaw 1905)
  • Child of the Drawing Room (Dziecko salonu, Warsaw 1906, 2nd edition 1927) – partially autobiographical
  • Mośki, Joski i Srule (Warsaw 1910)
  • Józki, Jaśki i Franki (Warsaw 1911)
  • Fame (Sława, Warsaw 1913, corrected 1935 and 1937)
  • Bobo (Warsaw 1914)
  • King Matt the First (Król Maciuś Pierwszy, Warsaw 1923) ISBN 1-56512-442-1
  • King Matt on a Deserted Island (Król Maciuś na wyspie bezludnej, Warsaw 1923)
  • Bankruptcy of Little Jack (Bankructwo małego Dżeka, Warsaw 1924)
  • When I Am Little Again (Kiedy znów będę mały, Warsaw 1925)
  • Senat szaleńców, humoreska ponura (Madmen's Senate, play premièred at the Ateneum Theatre in Warsaw, 1931)
  • Kaytek the Wizard (Kajtuś czarodziej, Warsaw 1935)

Pedagogical books[edit]
  • Momenty wychowawcze (Warsaw, 1919, 2nd edition 1924)
  • How to Love a Child (Jak kochać dziecko, Warsaw 1919, 2nd edition 1920 as Jak kochać dzieci)
  • The Child's Right to Respect (Prawo dziecka do szacunku, Warsaw, 1929)
  • Playful Pedagogy (Pedagogika żartobliwa, Warsaw, 1939)

Other books[edit]
  • Diary (Pamiętnik, Warsaw, 1958)
  • Fragmenty Utworów
  • The Stubborn Boy: The Life of Pasteur (Warsaw, 1935)

Remembrance[edit]

Korczak is commemorated in a number of monuments and plaques in Poland, mainly in Warsaw.[31] The best known of them is the cenotaph located at the Okopowa Street Jewish Cemetery, which serves as his symbolic grave. It is a monumental sculpture of Korczak leading his children to the trains. Created originally by Mieczysław Smorczewski in 1982,[32] the monument was recast in bronze in 2002. The original was re-erected at the boarding school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Borzęciczki, which is named after Janusz Korczak.[33]

However, the monument set up in the Świętokrzyski Park in 2006 is not only the largest but also, due to its very convenient location, the most frequently visited by school trips and tourists monument commemorating Korczak. Every year, around June 1, on Children's Day, trips from Warsaw schools go to the monument.[34]

Due to decommunization policies, the Nikolay Bauman street in Kyiv, Ukraine was renamed after Korczak in 2016.[35]

A minor planet, 2163 Korczak, is named after him.[36]


Cenotaph dedicated to Janusz Korczak at the Okopowa Street Jewish Cemetery, Warsaw



Commemorative stone at Treblinka



Janusz Korczak and the children, memorial at Yad Vashem

Cultural references[edit]


This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Find sources: "Janusz Korczak"news · newspapers · books · scholar · JSTOR (April 2017)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In addition to theater, opera, TV, and film adaptations of his works, such as King Matt the First and Kaytek the Wizard, there have been a number of works about Korczak, inspired by him, or featuring him as a character.

Israeli postal stamp, 1962

Biographies and legacy[edit]King of Children: The Life and Death of Janusz Korczak by Betty Jean Lifton (1989/2018), an acclaimed biography on the selfless life of Janusz Korczak from childhood and leading up to the Last March he would take with his orphans from the Warsaw Ghetto to the Treblinka-bound cattle cars.
The influential twentieth-century Hebrew-language educator and publisher Zevi Scharfstein profiled Korczak in his 1964 work Great Hebrew Educators (גדולי חינוך בעמנו, Rubin Mass Publishers, Jerusalem, 1964).[37]
Loving Every Child: Wisdom for Parents edited by Sandra Joseph.[38]

Fiction books[edit]
  • Milkweed by Jerry Spinelli (2003) – Doctor Korczak runs an orphanage in Warsaw where the main character often visits him
  • Moshe en Reizele (Mosje and Reizele) by Karlijn Stoffels (2004) – Mosje is sent to live in Korczak's orphanage, where he falls in love with Reizele. Set in the period 1939-1942. Original Dutch, German translation available. No English version as of 2009.
  • Once by Morris Gleitzman (2005), partly inspired by Korczak, featuring a character modelled after him
  • Kindling by Alberto Valis (Felici Editori, 2011), Italian thriller novel. The life of Korczak through the voice of a Warsaw ghetto's orphan. As of 2019, no English translation.
  • The Time Tunnel: Kingdom of the Children by Galila Ron-Feder Amit (2007) is an Israeli children's book in the Time Tunnel series that takes place in Korczak's orphanage.
  • The Book of Aron by Jim Shepard (2015) is a fictional work that features Dr Korczak and his orphanage in the Warsaw Ghetto as main characters in the book.
  • The Good Doctor of Warsaw by Elisabeth Gifford (2018), a novel based on a true story of a young couple who survived the Warsaw ghetto and of Dr Korczak and his orphanage.

Stage plays[edit]

Film[edit]

Sie sind frei, Dr. Korczak [de] (The Martyr), written by Ben Barzman and Alexander Ramati, directed by Aleksander Ford (1975)
Korczak, written by Agnieszka Holland, directed by Andrzej Wajda (1990) portrayed by Wojciech Pszoniak
Uprising (2001) directed by Jon Avnet, written by Avnet and Paul Brickman. Palle Granditsky portrayed Korczak.
The Courageous Heart of Irena Sendler (2009) directed by John Kent Harrison. Krzysztof Pieczynski played Dr. Janusz Korczak.
The Zookeeper's Wife (2017), directed by Niki Caro. Arnošt Goldflam played Korczak.

Television[edit]

Studio 4: Dr Korczak and the Children - BBC adaptation of Sylvanus's play, written and directed by Rudolph Cartier (13 March 1962)

Music[edit]
Kaddish – long poem/song by Alexander Galich (1970)
Facing the wall - Janusz Korczak – musical by Klaus-Peter Rex and Daniel Hoffmann (1997) presented by Music-theatre fuenf brote und zwei fische, Wülfrath
Korczak's Orphans – opera, music by Adam Silverman, libretto by Susan Gubernat (2003)
Korczak[42] – musical by Nick Stimson and Chris Williams. Performed by the St Ives Youth Theatre at the Edinburgh Fringe Festival in 2005 and by Youth Music Theatre UK at the Rose Theatre, Kingston in August 2011
King Mattias I - opera, music by Viggo Edén, from writings by Korczak, given World Premiere at Höör's Summer Opera (Sweden) on 9 August 2012.
The Little Review from album Where the Darkness Goes, Awna Teixeira, 2012
Janusz - piece for piano, music by Nicola Gelo (2013)

See also[edit]List of Holocaust diarists
List of diarists
List of posthumous publications of Holocaust victims

References[edit]

  1. ^ Jump up to:a b Yad Vashem (2010). "Ceremony Marking 68 Years Since its Murder of Korczak and the Children of the Orphanage". Yad Vashem The Holocaust Martyrs' and Heroes' Remembrance Authority. Retrieved 27 January 2012.
  2. ^ "Jewish Doctor Janusz Korczak Died With 190 Children at Treblinka Court: Changes Date of Death for Orphanage Director". JTA. 30 March 2015. Retrieved 30 March 2015.
  3. ^ Sandra Joseph, Institute of Education in London (July–August 2002). "POLE APART - the life and work of Janusz Korczak". Young Minds Magazine 5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27 January 2012.
  4. ^ Jump up to:a b "Polskie Stowarzyszenie im. Janusza Korczaka". www.pskorczak.org.pl (in Polish). Retrieved 2016-03-12.
  5. ^ Tadeusz Lewowicki (2000). "Janusz Korczak (1878–1942)" (PDF, 43 KB). Prospects:the 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XXIV, no. 1/2, 1994, p. 37–48.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Retrieved 27 January 2012.
  6. ^ Jump up to:a b Prof. Barbara Smolińska–Theiss (2012). "Janusz Korczak – zarys portretu (the portrait)" (in Polish). Rok Janusza Korczaka (The official year of Janusz Korcza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2. Retrieved 27 January 2012.
  7. ^ The Month, Volume 39. Simpki, Marshall, and Company. 1968. p. 350. When Dr. Janusz Korczak, a Jewish philanthropist and agnostic, voluntarily chooses to follow the Jewish orphans under his care to the Nazi extermination camp in Treblinka...
  8. ^ Chris Mullen (March 7, 1983). "Korczak's Children: Flawed Faces in a Warsaw Ghetto". The Heights. p. 24. Retrieved 25 August 2013. An assimilated Jew, he changed his name from Henryk Goldschmidt and was an agnostic who did not believe in forcing religion on children.
  9. ^ Janusz Korczak (1978). Ghetto diary. Holocaust Library. p. 42. You know I am an agnostic, but I understood: Pedagogy, tolerance, and all that.
  10. ^ Janusz Korczak; Aleksander Lewin (1996). Sława: Opowiadania (1898-1914) (in Polish). Oficyna Wydawnicza Latona. p. 387. ISBN 978-83-85449-35-5.
  11. ^ Maria Falkowska (1978). Kalendarium życia, działalności i twórczości Janusza Korczaka (in Polish). Wydaw-a Szkolne i Pedagogiczne. p. 8.
  12. ^ Jump up to:a b Joanna Cieśla (15 January 2012). "Henryk zwany Januszem. Janusz Korczak - pedagog rewolucjonista" (in Polish). S.P. Polityka. Historia. Retrieved 27 January 2012.
  13. ^ Józef Ignacy Kraszewski (2012). "Moja Biblioteczka". Historia o Janaszu Korczaku i o pięknej Miecznikównie. LubimyCzytać.pl. Retrieved May 25, 2012.
  14. ^ Hanna Mortkowicz-Olczakowa (1960). "Goldszmit Henryk", in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T. VIII. P. 214
  15. ^ "JANUSZ KORCZAK (1878 - 1942) Educator, he followed the Jewish children into the Warsaw Ghetto and in deportation". Gariwo. Retrieved 14 April 2022.
  16. ^ Chojczak, Szymon (15 August 2018). "The Old Doctor who went with his pupils to the gas chamber". Great Poles. Retrieved 14 April 2022.
  17. ^ "CENTOS". Jewish Historical Institute. Retrieved 2020-07-20.
  18. ^ Dorit Gani (April 10, 2018). "Who Stood with the Orphans When the Nazis Came?". The National Library of Israel. Retrieved 26 November 2019.
  19. ^ Agnieszka Litwiniuk (March 29, 2012). "Stefania Wilczyńska". Sylwetki warszawskich Żydówek (Profiles of Warsaw Jewish women) (in Polish). Warszefroj, Centrum Kultury Jidysz (Yidish Centre). Retrieved 14 December 2013.
  20. ^ "Dom Sierot. Krochmalna 92". Swedish Holocaust Memorial Association. Retrieved 27 January 2012.
  21. ^ Brown, Kellie D. (2020). The sound of hope: Music as solace, resistance and salvation during the holocaust and world war II. McFarland. p. 144. ISBN 978-1-4766-7056-0.
  22. ^ "Perle, Joshua". Encyclopaedia Judaica. Encyclopedia.com. Retrieved June 15, 2019.
  23. ^ Nick Shepley (7 December 2015). Hitler, Stalin and the Destruction of Poland: Explaining History. Andrews UK Limited. p. 55. ISBN 978-1-78333-143-7.
  24. ^ Jerzy Waldorff, Władysław Szpilman, The Pianist. Page 96.
  25. ^ Mary Berg, The Diary of Mary Berg: Growing Up in the Warsaw Ghetto, Oxford: Oneworld Publications, 1996, pages 169-170.
  26. ^ "Wyrok w sprawie Korczaka – omówienie". Fundacja Nowoczesna Polska. Retrieved 2016-03-12.
  27. ^ "Wygrany spór o datę śmierci Korczaka. Prawda pokonała "własność intelektualną"". Dziennik Internautów. Retrieved 2016-03-12.
  28. ^ "Author: Janusz Korczak". Wolne Lektury. Retrieved 2016-03-12.
  29. ^ "Janusz Korczak", Book Institute
  30. ^ Modig, Cecilia (2009). Never Violence – Thirty Years on from Sweden's Abolition of Corporal Punishment (PDF).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Sweden; Save the Children Sweden. Reference No. S2009.030. p. 8.
  31. ^ Agata Anna Lisiak (2010). Urban Cultures in (post)colonial Central Europe. Purdue University Press. pp. 147–. ISBN 978-1-55753-573-3.
  32. ^ "The Jewish Cemetery on Okopowa Street in Warsaw (Cmentarz żydowski przy ul. Okopowej w Warszawie)". Cmentarium. 2007. Retrieved January 8, 2013.
  33. ^ Mirosław Gorzelanny (November 27, 2012). "School history". Specjalny Ośrodek Szkolno – Wychowawczy im Janusza Korczaka w Borzęciczka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6, 2013. Retrieved January 8, 2013.
  34. ^ "Monument to Janusz Korczak (Warsaw)". monuments-remembrance.eu. Retrieved 2020-04-09.
  35. ^ (in Ukrainian) Bandera Avenue in Kyiv to be - the decision of the Court of Appeal, Ukrayinska Pravda (22 April 2021)
  36. ^ "(2163) Korczak". IAU Minor Planet Center.
  37. ^ Rin, Svi (April 1966). "גדולי חינוך בעמנו Book Review". Jewish Social Studies. 28: 127–128.
  38. ^ https://korczak.org.uk
  39. ^ Hickling, Alfred (June 12, 2008). "Dr Korczak's Example". The Guardian. London.
  40. ^ "Chlodnagaden nr. 33 - Dit Holbæk". Dit Holbæk (in Danish). 2017-03-14. Retrieved 2017-04-09.
  41. ^ Knapp, Bettina (1995). French Theater Since 1968. New York: Twayne Publishers. ISBN 0805782974.
  42. ^ "Korczak (2011) | British Youth Music Theatre".
Further reading[edit]

  • Bystrzycka, Anna (July 2007). "Dzieci z sierocińca". Zwrot: 30–31.
  • Cohen, Adir (1994). The Gate of Light: Janusz Korczak, the Educator and Writer who Overcame the Holocaust. Madison, NJ: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ISBN 978-0-838-63523-0.
  • Joseph, Sandra (1999). A Voice for the Child: The inspirational words of Janusz Korczak. Collins Publishers.
  • Lifton, Betty Jean (1988). The King of Children: The Life and Death of Janusz Korczak Collins Publishers.
  • Mortkowicz-Olczakowa, Hanna (1961). Bunt wspomnień. 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
  • Parenting Advice from a Polish Holocaust Hero from National Public Radio
  • Lawrence Kohlberg (1981).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Education for Justice pp. 401–408. Harper & Row, Publishers, San Francisco.
  • Mark Celinscak (2009). "A Procession of Shadows: Examining Warsaw Ghetto Testimony." New School Psychology Bulletin. Volume 6, Number 2: 3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