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8

물활론(Hylozoism, 物活論) (철학) - 위키백과, 로카야타(Lokāyata) 학파

물활론 (철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물활론 (철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물활론(영어Hylozoism, 物活論) 또는 질료생명론(質料生命論)은 물질에 비실재적 실체 또는 독자적인 사유 체계가 존재한다고 보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 용어는 1678년 영국의 케임브리지 플라톤 학파 철학자인 랄프 커드워스(Ralph Cudworth)가 최초로 사용하였다.

용어 및 역사[편집]

질료를 뜻하는 'hyle'와 생명을 뜻하는 'zoe' 합성으로 만들었다.

물활론적 사고는 고대 인도의 베다 학파 가운데 로카야타(Lokāyata) 학파부터 보였다. 또한, 그리스의 경우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에 속하는 학파 중 적지 않은 자들이 물활론적 사고를 갖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밀레토스 학파의 탈레스(Thales),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os), 아낙시메네스(Anaximenes)가 있으며, 에페소스 학파의 일원인 헤라클레이토스(Herakleitos)가 있다.[1]

물질이 바로 영혼(pneuma) 또는 정신(nous)을 포함하고 있거나, 이것을 생동하게 하는 매개자라는 것이 이들 주장의 요지이다. 단, 여기서 영혼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pneuma'는 능동적인 의미에서의 영혼, 즉, 귀신을 뜻하기도 하며, 또는 의지 활동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정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당시 고대 그리스 철학의 사고로 보아, 이 둘은 구별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점점 인식론이 발달하게 되면서 둘은 의미가 달라지게 되었고, 스토아 학파 및 기타 범신론자들이 물활론 개념을 접수하면서 영혼(pneuma)은 이성(logos)과 차별화되지 않게 되었다.

중세의 물활론은 우주만물의 조화를 가능케 하는 본원적 사유 즉, 일자(一者)가 질료(hyle)에 있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관점은 중세 유럽의 기독교 사고관에 대해서는 이단적이었기에 배척을 당하였다. 근세 말기에는 조르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와 같은 신비술사들이 이 개념에 기반하여 우주 운행 원리를 해석하였으나 이 역시도 이단시되어 처형당하게 되었다. 이후 근대에 접어들면서 물활론적 사고는 과학의 발달로 여러 지역에 퍼지게 되었고 이후 적지 않은 철학자들이 물활론적 사고를 갖게 되었다. 근대 시기 초기의 철학은 주로 물활론적 경향과 기계론적 경향 사이의 대립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2]

유사 개념[편집]

물활론(hylozoism)과 유사한 개념은 애니미즘(animism)과 유물론(materialism)이 있다. 물활론은 이 두 개념과 공유하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같은 개념이 아니며, 엄밀히 볼 때 여러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애니미즘[편집]

애니미즘은 물질(동식물까지 다 포함하여)에 영혼이 존재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물활론과 유사점을 갖고 있지만, 애니미즘의 경우는 고대 원시 신앙에서 비롯되는 사고관이며, 물활론이 주장하는 비실재적 개념을 넘어서, 역동적인 신이라는 개념을 물질에 도입한다. 즉, 사물에는 능동적, 역동적 신이 존재하며, 이 신이 외부에 의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다신론의 일종이다. 반면, 물활론은 물질에 영혼 즉, 독자적인 관념이 존재하나 그것은 수많은 본질적 법칙 중 일부를 공유해서 작동하는 것에 불과하며, 신이라는 개념은 모든 물질 및 정신을 관통하는 제일 상위의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유물론[편집]

유물론은 세계에서 궁극적인 존재는 오직 물질(자연세계) 뿐이며, 정신, 의지는 모두 물질에 의한 부차적 작용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관점이다. 최소한 자연세계의 물질과, 생명체의 의식 활동의 원인이 되는 정신을 동일한 위치에 놓고, 이 둘을 연결시키려는 유물론자도 존재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본질적인 부분은 자연세계에 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물활론과 유물론은 일정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물활론자들은 본질적으로 정신(여기서 정신은 사유, 이성, 추론, 의식 등 수많은 추상적 관념 개념을 포괄한다)의 독립성을 부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정신으로부터 나오는 생명력이 물질에도 있으며, 더 나아가 물질로 구성된 인간도 물질로부터 본질적인 생명력(정신)을 얻는다는 사고로까지 나아간다. 유물론과 물활론은 서로 대치되는 개념일 수도 있으며, 아닐 수도 있기에, 이 두 성격을 모두 가진(바뤼흐 스피노자) 경우가 존재하며, 동시에 유물론을 배격하고 물활론만을 주장한(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학자도 존재한다. 또한, 이 두 경계가 모호한 경우(에른스트 헤켈)도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봉호, 『최초의 철학자들』, 파라아카데미, 2019년. pp. 40 - 41
  2.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저, 김영 역, 『생명이란 무엇인가』, 리수, 2016년. pp. 21 - 22

===

Hylozo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phera volgare, featuring the Sun, the Moon, the winds and the stars as living. Woodcut illustration from an edition of De sphaera mundiVenice, 1537.

Hylozoism is the philosophical doctrine according to which all matter is alive or animated,[1] either in itself or as participating in the action of a superior principle, usually the world-soul (anima mundi).[2] The theory holds that matter is unified with life or spiritual activity.[3] The word is a 17th-century term formed from the Greek words ὕλη (hyle: "wood, matter") and ζωή (zoē: "life"), which was coined by the English Platonist philosopher Ralph Cudworth in 1678.

Hylozoism in Ancient Greek Philosophy[edit]

Hylozoism in Western philosophy can be traced back to ancient Greece. The Milesian philosophers ThalesAnaximander, and Anaximenes, can be described as hylozoists. Philosopher David Skrbina states that hylozoism was implicit in early Greek philosophy, and was not a doctrine that was typically challenged. "For the Milesians, matter (hyle) possessed life (zoe) as an essential quality. Something like hylozoism was simply accepted as a brute condition of reality."[4] Though hylozoism was implicit in early Greek thought, the philosopher Heraclitus specifically used the term zoe, making him explicitly hylozoist. The hylozoism of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such as Thales and Heraclitus influenced later Greek philosophers such as PlatoAristotle, and the Stoics.

Though hylozoism was common in ancient Greek thought, the term had not been coined yet. In modern literature, hylozoism has tended to carry a negative connotation, and labeling a Greek philosopher as a hylozoist might be a vague disparagement of their thought.[5]

Renaissance period and early modernity[edit]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in Western Europe, humanist scholars and philosophers such as Bernardino TelesioParacelsusCardanus, and Giordano Bruno revived the doctrine of hylozoism. The latter, for example, held a form of Christian pantheism wherein God is conceived as the source, cause, medium, and end of all things, and therefore all things are participatory in the ongoing Godhead. Bruno's ideas were so radical that he was excommunicated by the Catholic Church with the accusation of heresy, as well as from a few Protestant denominations, and he was eventually burned at the stake for various other beliefs that were regarded as heretical. Telesio, on the other hand, began from an Aristotelian basis and, through radical empiricism, came to believe that a living force was what informed all matter. Instead of the intellectual universals of Aristotle, he believed that life generated form.

In the Kingdom of England, some of the Cambridge Platonists approached hylozoism as well. Both Henry More and Ralph Cudworth (the Younger, 1617–1688), through their reconciliation of Platonic idealism with Christian doctrines of deific generation, came to see the divine lifeforce as the informing principle in the world. Thus, like Bruno, but not nearly to the extreme, they saw God's generative impulse as giving life to all things that exist. Accordingly, Cudworth, the most systematic metaphysician of the Cambridge Platonist tradition, fought hylozoism. His work is primarily a critique of what he took to be the two principal forms of atheism—materialism and hylozoism.

Cudworth singled out Hobbes not only as a defender of the hylozoic atheism "which attributes life to matter", but also as one going beyond it and defending "hylopathian atheism, which attributes all to matter." Cudworth attempted to show that Hobbes had revived the doctrines of Protagoras and was therefore subject to the criticisms which Plato had deployed against Protagoras in the Theaetetus. On the side of hylozoism, Strato of Lampsacus was the official target. However, Cudworth's Dutch friends had reported to him the views which Spinoza was circulating in manuscript. Cudworth remarks in his Preface that he would have ignored hylozoism had he not been aware that a new version of it would shortly be published.[6]

Spinoza's idealism also tends toward hylozoism. In order to hold a balance even between matter and mind, Spinoza combined materialistic with pantheistic hylozoism, by demoting both to mere attributes of the one infinite substance. Although specifically rejecting identity in inorganic matter, he, like the Cambridge Platonists, sees a life force within, as well as beyond, all matter.

Contemporary hylozoism[edit]

Immanuel Kant presented arguments against hylozoism in the third chapter of his 1786 book Metaphysische Anfangsgründe der Naturwissenschaften ("First Metaphysical Principles of Natural Science") and also in his 1781 book Kritik der reinen Vernunft ("Critique of Pure Reason"). Yet, in our times, scientific hylozoism – whether modified, or keeping the trend to make all beings conform to some uniform pattern, to which the concept was adhered in modernity by Herbert SpencerHermann Lotze, and Ernst Haeckel – was often called upon as a protest against a mechanistic worldview.[7]

In the 19th century, Haeckel developed a materialist form of hylozoism, specially against Rudolf Virchow's and Hermann von Helmholtz's mechanical views of humans and nature. In his Die Welträtsel of 1899 (The Riddle of the Universe 1901), Haeckel upheld a unity of organic and inorganic nature and derived all actions of both types of matter from natural causes and laws. Thus, his form of hylozoism reverses the usual course by maintaining that living and nonliving things are essentially the same, and by eras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and stipulating that they behave by a single set of laws.

In contrast, the Argentine-German neurobiological tradition terms hylozoic hiatus all of the parts of nature which can only behave lawfully or nomically and, upon such a feature, are described as lying outside of minds and amid them – i.e. extramentally. Thereby the hylozoic hiatus becomes contraposed to minds deemed able of behaving semoviently, i.e. able of inaugurating new causal series (semovience). Hylozoism in this contemporary neurobiological tradition is thus restricted to the portions of nature behaving nomically inside the minds, namely the minds' sensory reactions (Christfried Jakob's "sensory intonations") whereby minds react to the stimuli coming from the hylozoic hiatus or extramental realm.[8][9]

Martin Buber too takes an approach that is quasi-hylozoic. By maintaining that the essence of things is identifiable and separate, although not pre-existing, he can see a soul within each thing.

The French Pythagorean and Rosicrucian alchemist, Francois Jollivet-Castelot (1874-1937), established a hylozoic esoteric school which combined the insight of spagyrics, chemistry, physics, transmutations and metaphysics. He published many books, including the 1896 publication "L’Hylozoïsme, l’alchimie, les chimistes unitaires". In his view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pirit and matter except for the degree of frequency and other vibrational conditions.

The Mormon theologian Orson Pratt taught a form of hylozoism.

Alice A. Bailey wrote a book called The Consciousness of the Atom.[10]

Influenced by Alice A. Bailey, Charles Webster Leadbeater, and their predecessor Madame BlavatskyHenry T. Laurency produced voluminous writings describing a hylozoic philosophy.[11]

Influenced by George Ivanovich Gurdjieff, the English philosopher and mathematician John Godolphin Bennett, in his four-volume work The Dramatic Universe and his book Energies, developed a six-dimensional framework in which matter-energy takes on 12 levels of hylozoic quality.

The English cybernetician Stafford Beer adopted a hylozoism position, arguing that it could be defended scientifically and expending much effort on Biological computing in consequence.[12] This is described as Beer's "spiritually-charged awe at the activity and powers of nature in relation to our inability to grasp them representationally".[12]: 489  Beer claimed that "Nature does not need to make any detours; it does not just exceed our computational abilities, in effect it surpasses them in unimaginable ways. In a poem on the Irish Sea, Beer talks about nature as exceeding our capacities in way that we can only wonder at, ‘shocked’ and ‘dumbfounded.’"[12]: 488  In partnership with his friend Gordon Pask, who was experimenting with various chemical and bio-chemical devices, he explored the possibility for intelligence to be developed in very simple network-complex systems. In one possibly unique experiment led by Pask, they found that such a structure would 'grow' a sensing organization in response to the stimuli of different audio inputs in about half a day.[12]: 488 

Ken Wilber embraces hylozoism to explain subjective experience and provides terms describing the ladder of subjective experience experienced by entities from atoms up to Human beings in the upper left quadrant of his Integral philosophy chart.[13]

Physicist Thomas Brophy, in The Mechanism Demands a Mysticism, embraces hylozoism as the basis of a framework for re-integrating modern physical science with perennial spiritual philosophy. Brophy coins two additional words to stand with hylozoism as the three possible ontological stances consistent with modern physics. Thus: hylostatism (universe is deterministic, thus "static" in a four-dimensional sense); hylostochastism (universe contains a fundamentally random or stochastic component); hylozoism (universe contains a fundamentally alive aspect).

Architect Christopher Alexander has put forth a theory of the living universe, where life is viewed as a pervasive patterning that extends to what is normally considered non-living things, notably buildings. He wrote a four-volume work called The Nature of Order which explicates this theory in detail.

Philosopher and ecologist David Abram articulates and elaborates a form of hylozoism grounded in the phenomenology of sensory experience. In his books Becoming Animal and The Spell of the Sensuous, Abram suggests that matter is never entirely passive in our direct experience, holding rather that material things actively "solicit our attention" or "call our focus," coaxing the perceiving body into an ongoing participation with those things. In the absence of intervening technologies, sensory experience is inherently animistic, disclosing a material field that is animate and self-organizing from the get-go. Drawing upon contemporary cognitive and natural science as well as the perspectival worldviews of diverse indigenous, oral cultures, Abram proposes a richly pluralist and story-based cosmology, in which matter is alive through and through. Such an ontology is in close accord, he suggests, with our spontaneous perceptual experience; it calls us back to our senses and to the primacy of the sensuous terrain, enjoining a more respectful and ethical relation to the more-than-human community of animals, plants, soils, mountains, waters and weather-patterns that materially sustains us.[14]

Bruno Latour's actor-network theor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treats non-living things as active agents and thus bears some metaphorical resemblance to hylozoism.[15]

The metaphysics of Gilles Deleuze has been described as a form of hylozoism.[16]

In popular culture[edit]

Art[edit]

  • Hylozoic Series: Sibyl, an interactive installation of Canadian artist and architect Philip Beesley, was presented in the 18th Biennale of Sydney and was on display until September, 2012. Using sensors, LEDs, and shape memory alloy, Beesley constructed an interactive environment that responded to the actions of the audience, offering a vision of how buildings in the future might move, think and feel.[17]

Literature[edit]

  • In mathematician and writer Rudy Rucker's novels Postsingular and Hylozoic, the emergent sentience of all material things is described as a property of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 The Hylozoist is one of the Culture ships mentioned in Iain M. Banks's novel Surface Detail – appropriately, this ship is a member of the branch of Contact dealing with smart matter outbreaks.

MMORPGs[edit]

  • The monster "Hylozoist" (sometimes spelled "Heirozoist") in the MMORPG Ragnarok Online is a plush rabbit doll with its mouth sewn shut, possessed by the spirit of a child. Although hylozoism has nothing to do with possession, it is clear that the name was derived from this ancient philosophy.

Music[edit]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McColley, Diane Kelsey (2007). Poetry and Ecology in the Age of Milton and Marvell. Hampshire, UK: Ashgate Publishing, Ltd. p. 115. ISBN 978-0-7546-6048-4.
  2. ^ Strauss, Daniel (January 2014). "Hylozoism and hylomorphism: a lasting legacy of Greek philosophy"PhronimonPretoriaUniversity of South Africa on behalf of the South African Society for Greek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15 (1): 32–45. doi:10.25159/2413-3086/2211ISSN 2413-3086 – via SciELO.
  3. ^ Yuasa, Yasuo (2008). Overcoming Modernity: Synchronicity and Image-Thinking. Albany, New York: SUNY Press. pp. 39–40. ISBN 978-0-7914-7401-3.
  4. ^ Skrbina, David (2005). Panpsychism in the West.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24ISBN 0-262-19522-4.
  5. ^ Skrbina, David (2005). Panpsychism in the West.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34ISBN 0-262-19522-4.
  6. ^ 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The First part; wherein, All the Reason and Philosophy of Atheism is Confuted; and Its Impossibility Demonstrated. By Ralph Cudworth, D.D. London, Printed for Richard Royston, 1678
  7. ^ "Hylozoism and Dogmatism in Kant, Leibniz, and New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07. Retrieved 11 April 2006.
  8. ^ Comment l’ hylozoïsme scientifique contemporain aborde-t-il la sélection naturelle du parenchyme neurocognitif? (French)
  9. ^ Crocco, M (2004). "On Minds' Localization"Electroneurobiología12 (3): 244–257. ISSN 0328-0446.
  10. ^ Bailey, Alice A. The Consciousness of the Atom—1922
  11. ^ "Introduction to the Works of Henry T. Laurency". The Official Website of the Henry T. Laurency Publishing Foundation. Henry T. Laurency Publishing Foundation. 12 July 2009 <http://www.laurency.com/introduc.htm>
  12. Jump up to:a b c d Pickering, Andrew. 2009. Beyond design: Cybernetics, biological computers and hylozoism. Synthese 168:469-491.
  13. ^ Wilber Ken A Brief History of Everything, 1st ed. 1996, 2nd ed. 2001: ISBN 1-57062-740-1
  14. ^ Abram, David The Spell of the Sensuous: Perception and Language in a More-than-Human World, Pantheon, 1996; Vintage 1997: ISBN 978-0-679-77639-0 and Abram, David: Becoming Animal: An Earthly Cosmology Pantheon, 2010; Vintage 2011: ISBN 978-0-375-71369-9
  15. ^ Latour, Bruno Pandora's Hope: Essays on the reality of Science Studies, 1999: ISBN 0-674-65335-1
  16. ^ Harris, Wyatt (4 October 2017). "(Review) Rethinking Philosophy and Theology with Deleuze: A New Cartography, Brent Adkins and Paul R. Hinlicky, Bloomsbury, 2013 (ISBN 978-1-4411-8825-0), viii + 253 pp., hb £65"Reviews in Religion and Theology24 (4): 643–647. doi:10.1111/rirt.13037.
  17. ^ "Sibyl by Philip Beesley"Inspir3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5. Retrieved 20 April 2015.
  18. ^ "Untitled Document". Retrieved 20 April 2015.

External links[edit]


===

다빈치!지식지도 - 로카야타파 (Lokyaata派)

다빈치!지식지도 - 로카야타파 (Lokyaata派)

카야타파 (Lokyaata派)
인도 철학에서 유물론(唯物論)을 강조하였던 학파. 
로카야타란 '세태를 따르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며, 
불교에서는 '차르바카파' 또는 '순세외도'라고 일컫는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로카야타파(Lokyaata派)인도 철학인도 철학에서 유물론(唯物論)을 강조하였던 학파.로카야타란 '세태를 따르는 사람'이라는 의미불교에서는 '차르바카파' 또는 '순세외도'라고 일컫는다.땅·물·불·바람 등의 4 원소와 허공만이 실재로 존재한다고 믿음바라문교에서는 이단으로 취급
◈ 지식지도
로카야타파(Lokyaata派)브라만교베다브라마종교카스트 제도힌두교
▣ 백과사전[숨기기]  
인도 철학에서 유물론(唯物論)을 강조하였던 학파. 로카야타란 '세태를 따르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며, 불교에서는 '차르바카파' 또는 '순세외도'라고 일컫는다.
 
이 학파는 땅·물·불·바람 등의 4 원소와 이들 4 원소가 활동하는 장소로서의 허공만이 실재로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 때문에 그들은 인간에게 영혼이나 내세가 있다는 것을 믿지 않으며, 인간이 어떠한 정당하지 못한 행위를 하더라도 거기에 응하는 벌을 받을 일은 없다고 주장한다. 
  • 또, 인식론에 있어서는 오각을 일으키는 사람의 감각 기관, 곧 시각의 눈· 청각의 귀· 후각의 코· 미각의 혀· 촉각의 피부 등 오관에 의한 지각 외에는 인식이 있을 수 없다는 감각론적 입장을 주장하고 있다. 
  • 인간의 실천 생활에서는 쾌락주의를 내세우고 있으며,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늘어놓는 데에도 능하다고 한다.
 
로카야타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기원전 5세기경의 자유 사상가이며, 육사외도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아지타 케샤캄발린이 있다. 로카야타파는 학파로서는 후대까지 계속 유지되었으나, 더 이상의 사상적인 발전 은 이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바라문교 정통 학파들은 로카야타파를 정통이 아닌 이단으로 여기고 있으며, 논의할 가치가 거의 없는 사상이라고 낮게 평가한다. 바라문교란 불교에 앞서 인도 바라문족을 중심으로 고대 인도의 경전인 베다의 신앙을 중심으로 발달한 종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불교입문 3] 명상하는 인도, 우주의 근본 웃다라카(Uddalaka)의 사트(sat)론 / 정병조

[불교입문 3] 명상하는 인도, 우주의 근본 웃다라카(Uddalaka)의 사트(sat)론

[불교입문 3] 명상하는 인도, 우주의 근본 웃다라
카(Uddalaka)의 사트(sat)론 / 정병조 불교 첫걸음

불교 첫걸음 151개의 글 목록열기
2009. 11. 14 
https://blog.naver.com/viking999/40094176473

===
[불교입문 3] 명상하는 인도, 우주의 근본 웃다라카(Uddalaka)의 사트(sat)론 / 정
병조

철인(哲人)웃다라카는 우주를 움직이는 근원적인 원리를 '사트 (sat)'라는 용어로
써 설명하였다. 그는 이 사트야말로 우주의 근원이기 때문에 모든 인간들이 이 사
트를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회복했을 때 비로소 해탈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말하기를, "태초에 모든 것은 사트에서 비롯되었다. 사트가 모든 것을 만들었고, 인
간 존재도 사트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인간이 죽으면 사트로 다시 되돌아 간
다"고 하였다. 이것은 서양 철학의 영겁회귀(永劫回歸)라는 말과도 같이, 우주라는
거대하고 영원한 사이클이 사트에서 시작되어 사트로 되돌아가는 과정이라고 보았
다.
그 과정은 마치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것과 같다. 즉, 하늘에 구름이 모여서 비가
되어 내리면 빗물은 고여서 시냇물을 이룬다. 시냇물이 흘러서 강줄기가 되고, 강
은 흘러서 바다로 들어간다. 바다에서는 수증기들이 하늘로 올라가서 또 다시 구름
을 이룬다. 그 구름은 또 비가 되어서 대지를 적신다. 이 세상의 모 든 것들은 이와
같이 덧없는 윤회의 관계에 있고, 그 윤회의 실체를 사트로 본 것이다.

그의 아들 스베타케투(Svetaketu)가 어렸을 때, 집을 떠나 히말라야에서 신(神)에
대하여 공부하고 청년이 되어서 귀가한 후, 웃다라카와 나누는 대화중에 사트에 대
한 가르침이 있다.
"스베타케투여, 너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고 만질 수 없는 것을 만질 수 있는,
그런 법을 배웠는가?"
"어떻게 그런 가르침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그렇지 않다, 사랑하는 아들이여. 여기 도자기와 물그릇과 항아리가 있다고 하자.
그 모든 것들은 흙으로 빚은 것이다. 만일 그대가 흙이라는 본질을 알면 그 모든 것
은 변형된 이름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그 변형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만약에
우주의 근본원리만 깨닫게 되면 모든 현상들은 저절로 알 수 있다. 우주의 근본원
리, 그것이 바로 사트이다."
그리고 웃다라카는 아들을 큰 무화과나무 아래로 데리고 갔다.
"아들아, 이 무화과나무는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무화과나무의 씨에서 비롯되었겠죠."
"그러면 무화과나무의 이 작은 씨앗 속에서 저 큰 무화과나무가 나왔겠느냐? 그 씨
앗을 잘라 보아라.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자꾸자꾸 잘라나가다 보니 가루가 되고 말았다.
"아들아, 그 씨앗 속에 무엇이 있어서 무화과나무가 되었겠느냐? 비록 볼 수도 없
고 만질 수도 없지만, 씨앗 속에 들어 있어 무화과나무가 되게 하는 그것이 바로 사
트이다."
스베타케투는 그제서야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
웃다라카와 스베타케투의 이러한 대화 속에 여러 번 반복되는 인도 철학적 원리는
'네가 바로 그것이다(tat tvam asi)'명구로 요약할 수 있다. 많은 대화의 끝은 이 구
절로 결론지어져 있다. 또 다른 설명을 들어보자 웃다라카는 아들에게 말하였다.
"아들아, 물을 가져 오너라 거기에 소금을 넣어 물맛을 보아라. 용해된 소금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지만 짠맛을 나게 한다. 그것이 바로 사트이다. 네가
바로 그것이다."
이상과 같은 예에서 웃다라카가 강조하고 있는 점은, 사트란 근원자이면서 내재자
라는 것이다. 사트란 불가설(不可說), 불가지 (不可知)의 그 무엇이다. 이것은 불가
(佛家)에서 말하는 언어도단(言語道斷)과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언어로서는 접
근할 수 없고 마음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형이상학적 실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사트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웃다라카는 <우파니샤트>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살아 있을 때, 사트를 인식할 수도 있지만, 언어나 실행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살아 있으면서 그것을 알기는 어렵다. 다만 살아 있을 때는 숙
면의 상태에서 사트와 가깝게 될 수 있다. 사트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은 결국 죽
은 후의 세계라야 가능하다.
여기에서 염세적인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인도 철학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은둔
적이고 명상적인 성격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또 현세중심적이기 보다는
내세지향적인 면이 강하다 고 볼 수 있다. 모든 인간은 사트에서 나와서 사트로 되
돌아가는 영겁회귀의 과정에 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 사트를 이해하고 인식해서 해탈을 얻는 실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웃다라카는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는 무소유이다. 태양을 가리는 햇빛 가리개, 지팡이, 표주박과 삼의일발(三
衣一鉢)외에는 몸에 지닐 수 없고 오직 수행에만 정진해야 한다. 이것은 불교의 수
행 정신과도 합치한다. 인도의 출가수행 정신은 이러한 무소유의 이상을 토대로 하
고 있다.
둘째로 보시의 미덕을 내세우고 있다. 보시란 한없이 베푸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보시는 육바라밀 가운데 가장 먼저 꼽는 수행이다. 웃다라카도 베풂의 미덕을 중시
하였다.
이와 같이 웃다라카의 사트론은 현상을 보고 본체를 찾아가는 철학이며, 결과를 보
고 그 원인을 추구해 들어가는 철학이다. 이 사트를 불교적으로 말하면 일심(一心)
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모든 것은 일심에서 나오고, 다시 일심으로 되돌아간다. 또
한 플라톤 철학에서는 이데아가 될 것이다. 이 우주는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고
현상 세계는 이데아 세계로 되돌아가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동. 서양을 막론한 철학적 성찰에 있어서 어떤 일치점과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웃다라카의 사트론은 우주의 본체를 해명하기 위한 철학적인 성찰임과 동
시에 그것을 해명해 들어가는 종교적인 실천행을 강조 했다는 점에서 힌두이즘의
원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해탈의 길을 묻던 사람들, 부처님과 거의 동시대에 공존했던 육사외도라고 불리는
이들이 있다. 기원전 7-6세기, 대략 2천 5백여 년 전을 육사외도(六師外道)의 시대

라고 말한다. 외도라고 불리는 까닭은 힌두이즘의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불교의 입
장에서도 외도(外道)이기 때문이다. 대체로 여섯 학파를 꼽을 수 있다.
첫째, 푸라나 카샤파(Prana Kassapa)를 들 수 있다. 그는 감각적 쾌락론을 주장하였
는데, 모든 도덕률을 부정하고 오직 감각적으로 쾌락을 얻는 것만이 인생의 목적이
라고 하였다.
둘째, 파쿠다 카차야나(Pakudha Kaccayana)의 7요소설이다. 그는 이 세상에 실재
하는 것은 일곱 가지에 불과하며, 그밖에는 모든 환영일 뿐이라고 하였다. 7요소란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와 고(苦). 락 (樂). 생명 등이다. 그 7요소 외
에 모든 것은 영원하지 않으며 허망하다고 주장한다.
셋째,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ala)의 결정론(운명론)이다. 우리의 삶이란 태어
나기 이전부터 예정된 것이며, 예정된 코스를 걸어가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
하였다. 불교에서는 이들을 사명외도(邪命外道)라 하여 그릇되게 목숨을 이어가는
자들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7요소설에 다섯을 더하여 12요소설을 주장하였다.
넷째, 아지타 케사캄발린(Ajita Kesakambalin)의 유물론이다. 유물론은 지수화풍의
사대만이 물질적으로 실재하며, 그 외의 것은 존재하지 않는 허망한 것이기 때문에
감각적인 쾌락을 누리면서 살아도 무방하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이들을 순세파(順
世派)라고 부른다. 즉 이 세상에 순응하는 무리들, 이 세상이 하자는 대로 살아가
는 잘못된 무리들이라는 뜻이다.
다섯째, 산쟈야 벨라티풋타(Sa~njaya Belatthiputta)의 결정론, 회의론이다. 결정적
인 판단을 유보하고 모든 것을 의혹, 의심하는 학파이다. 사리불과 목건련은 이 학
파의 거두들이었는데 그들이 제자들을 데리고 불교에 귀의함으로써 이 학파가 불
교에 흡수되었다.
여섯째, 니간타 나타푸트라(Nigantha Nataputra)의 자이냐교이다. 이는 위의 다섯
과는 성격이 다르다. 이 학파에서는 철학적으로 매우 독특한 성찰을 하였다. 또 니
간타의 생애 자체가 부처님과 흡사하다. 즉 왕의 아들이었고, 출가한 연령도 비슷
하며, 죽을 때도 비슷하다. 니간타는 깨달음을 얻은 후에 '마하비라', 즉 '위대한 승
리자'라고 자칭하였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교리 자체도 흡사한 점이 많다. 그런
까닭에 약 2백여 년 전 서양에서는 니간타나 타푸트라를 부처님과 혼동한 적도 있
다. 그들은 불상의 모습도 불교와 유사하지만 분명히 구별되는 점이 있다.
자이나교의 불상들은 한결 같이 나체인데 반하여 불교의 불상들은 가사장삼을 걸
치고 있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우선, 그들의 철학적인 기본 입장은 상대주의라 할
이야기꾼의 사랑방 수 있다. 절대적인 판단은 금물이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조건법이에블의로그하에여서존검색재하

고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서 어떤 사람이 죽었을 때, '죽었다'고 말하는 것은 살
아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본 절대적인 판단이다. 그러나 죽은 사람의 입장에서 보
면, 죽음으로 들어온 것이다. 따라서 모든 판단을 내릴 때, 조건반사적으로 상대적
인 판단을 해야 하며 절대적인 판단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
또, 그들은 카스트 제도를 부정한다. 태어날 때 이미 신분의 고하가 결정된다는 것
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한다. 이런 입장은 불교와 같다. 부처님도 말하기를, "태
어날 때의 신분으로 인간의 고하가 결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그가 무엇을 하
고 있는가에 따라서 고귀한 사람이 되기도 하고, 비천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고 하
였다. 이러한 사상은 후에 불교의 업사상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자이냐교의 세계관에 따르면, 이 세계의 근원은 지바(jiva, 영혼)라고 한다. 그리고
지바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이 인간이 라고 보았다. 인간이 고통을 받는 까닭
은 영혼적인 면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왜 그러
한가? 물질적인 것이 영혼을 압박하기 때문이다. 이 물질적인 것을 아지바(ajiva,
비영혼)라고 한다. 지바, 즉 영혼이라고 부르는 순수한 것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물질적인 아지바가 영혼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다. 아지바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 물질적인 것들의 감각적인 쾌락을 억제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것을 억
제해서 지바, 즉 영혼이 제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요컨대 자이나교에서는 아지바,
즉 비영혼인 물질적인 것들로 말미암아 윤회하게 된다고 가르쳤다. 다만 불교에서
는 육도윤회를 말하는 데 반하여, 그들은 네 가지의 세상, 즉 지옥. 축생. 인간과 천
상을 윤회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열반이란 무엇인가? 자이냐교도들이 말하는 열반은 결국 육신적인 쾌락
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수행방법으로서 고행을 예찬하고 있다. 즉, 고행을
통해서만이 새로운 업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행 가운데 가장 어
려운 것은 단식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계율을 철저히 지킨다는 면에서 자이나교에
서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자이나교의 계율에 오계가 있는데, 이는 불교와도 유사하다. 즉 불살생, 불투도, 불
음행은 같으며, 불망어를 진실어라고 하고, 무소유를 오계 중의 하나로 넣고 있다.
특히 무소유의 계율을 너무 철저히 지키려 하는 까닭에 자이나교의 성직자들은 옷
을 벗고 지낸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그들을 나의행파(裸衣行派)라고 부른다. 또한
불살생의 계율 때문에 직업 선택의 애로가 있다. 어업, 농업에 종사하기는 어렵기
이야기꾼의 사랑방 때문에 주로 상업에 종사한다.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통계가 있다이.블영로그국에이서인검색도를 식민지화할 때, 인도의 민간자본을 조사하였더니 0.1%의 자이나교도가 전체인도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종교적인 조직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간접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자이나교가 불교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이 있다. 불교는 무아를 주장하고 이 세상에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하 는 반면에 자이나교는 지바, 즉 영혼을 실
체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인정했다는 점에서 실재론적 철학이다. 따라서 표현방법
상 유사한 몇 가지로 인해 불교와 자이나교를 혼동하거나, 그 교리 자체의 유사성
을 논하는 것은 부당하다.
결국 이 두 종교의 근원적인 차이점은 자이나교는 영혼의 실재를 주장하고 불교는
영혼의 비실재를 주장하는 데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 즉 제사만능의 신 중심
적인 사고 경향과 극단적인 퇴폐주의 등의 흐름이 풍미하는 그런 시대 속에서 부처
님은 출현하였다. 그리하여 그 시대의 어둠을 밝음의 불길로 바로 잡은 것이다.
불교, 그 영원한 생명, 영원한 진리의 고향은 바로 이와 같은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싹텄다. 부처님은 질식할 것 같은 신 중심적 사고에도 감각적인 쾌락만이 인생의
목표라고 생각하는 도덕부정론도 수긍할 수 없었다. 바로 여기에서 인도 종교가 가
지고 있는 한계와 특수성을 초월하는 불교의 보편성이 발견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