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pneum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pneuma. Show all posts

2021/06/26

위르겐 몰트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르겐 몰트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르겐 몰트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Picto infobox character.png
위르겐 몰트만
Jürgen Moltmann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
출생1926년 4월 8일 (95세)
독일 독일 함부르크
국적독일 독일
분야조직신학정치 신학
소속괴팅엔 대학교
출신 대학튀빙엔 대학교 신학 학사
지도 교수오토 베버
주요 업적종말론
그리스도론
수상그라베마이어 상 (2000년)
종교그리스도교(개신교)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1926년 4월 8일 ~ )은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다. 현재 튀빙엔 대학교 신학분야의 명예 교수로 있으며 에베하르드 융엘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와 더불어 20세기 후반 대표적인 독일 개신교 조직신학자 중 한명으로 꼽힌다. 괴팅엔 대학교에서 오토 베버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본 대학교를 거쳐 1967년 튀빙엔 대학교의 조직신학교수가 되어 1994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칼 바르트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에른스트 블로흐등의 영향 아래 종말론,정치신학그리스도론성령론창조론에 관한 저서를 남겼으며 해방신학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1984-85년에는 기포드 강연의 강연을 맡았으며 2000년에는 루이빌 대학교에서 수여하는 그라베마이어 상(종교 분야)을 받았다. 미하엘 벨커미로슬라브 볼프 등이 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생애 및 활동[편집]

1926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독일 육군에 입대하였으나 영국군에게 포로가 되었다. 스코틀랜드에 있는 포로수용소에서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을 갖게 되었다.

"1945년 그 당시에, 그리고 스코틀랜드의 포로로서 영혼의 수렁에 빠져 있던 나를 예수는 찾아주었다. "그는 잃어버린 자를 찾기 위해 왔다." ... 내가 길을 잃고 헤맬 때, 그는 나에게 왔다."[1]

포로수용소에서 그는 아비투어(고등학교 졸업시험)을 칠 수 있는 교육을 받았으며 YMCA에서 세운 도서관에서 디트리히 본회퍼의 저작과 라인홀드 니버의 책들을 접했다.

종전 후 1948년 그는 독일로 돌아와 괴팅엔 대학교 신학부에서 개신교 신학을 공부했다. 당시 괴팅엔에서는 게하르트 폰 라트가 구약을, 권터 보른캄이 신약을, 에른스트 볼프가 교회사를 가르쳤다. 하지만 몰트만에게 당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은 한스 요아힘 이반트였다.[2] 이후 그는 (훗날 그의 아내가 된 엘리자베트 벤델과 함께) 오토 베버의 박사후보생이 되었고 17세기 칼뱅주의자였던 모이제 아미라우트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를 받은 다음에는 독일 개신교회의 목사로 안수를 받아 1958년까지 브레멘에서 목회를 했다. 1958년부터 1963년까지 부퍼탈 신학대학교(Kirchliche Hochschule Wuppertal)[3], 1963년부터 1967년까지 본 대학교, 1967년부터 1994년까지 튀빙엔 대학교에서 조직 신학을 가르쳤다.[4]

그는 개신교회 교단만이 아니라 정교회와 천주교회의 일치시키기 위한 에큐메니컬운동에 앞장선 WCC에 큰 영향을 끼친 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1963년부터 1983년까지 개신교와 정교회, 천주교회의 성례와 직제의 기준을 형성하기 위한 WCC 신앙과직제위에 위원으로 참여하였고, 천주교회의 개혁기관지인 콘칠리움(CONCILIUM)의 공동 출판위원직을 맡기도 했다. 그는 서방교회 신학 범주를 넘어 동방기독교의 신학을 포함하는 삼위일체론을 전개하여 에큐메니칼적 입장에서 WCC를 지지했다.[5]

위르겐 몰트만 저서 목록[편집]

  • Die Gemeinde im Horizont der Herrschaft Christi (Neukirchen-Vluyn, 1959)
  • 《희망의 신학》이신건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02.; Theologie der Hoffnung. Untersuchungen zur Begründung und zu den Konsequenzen einer christlichen Eschat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64)
  •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Der gekreuzigte Gott. Das Kreuz Christi als Grund und Kritik christlicher The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72)
  •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이신건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Kirche in der Kraft des Geistes. Ein Beitrag zur messianischen Ekklesi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75))
  •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Trinität und Reich Gottes. Zur Gotteslehr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80)
  •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Gott in der Schöpfung. Ökologische Schöpfungslehr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85)
  • 《예수 그리스도의 길》김균진,김명용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Der Weg Jesu Christi. Christologie in messianischen Dimensionen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89)
  • 《생명의 영》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Der Geist des Lebens. Eine ganzheitliche Pneumat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91)
  • 《오시는 하나님》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Das Kommen Gottes. Christliche Eschat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1995)
  • 《과학과 지혜》김균진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03.; Wissenschaft und Weisheit. Zum Gespräch zwischen Naturwissenschaft und Theologi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02)
  • 《몰트만 자서전》이신건, 이석규, 박영식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Weiter Raum. Eine Lebensgeschichte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06)
  • 《희망의 윤리》곽혜원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Ethik der Hoffnung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0)
  • 《살아 계신 하나님과 풍성한 생명》. 박종화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 Der lebendige Gott und die Fülle des Lebens. Auch ein eitrag zur Atheismusdebatte unserer Zeit (Gütersloh: Gütersloher Verlagshaus, 2014)

위르겐 몰트만 관련 도서 목록[편집]

  • 리처드 보컴《몰트만의 신학》. 김동훈, 김정형 옮김, 크리스천헤럴드, 2008.; Richard Bauckham, The Theology of Jürgen Moltmann (Edinburgh: T&T Clark, 1995)
  •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편집), The Future of Theology: Essays in Honour of Jürgen Moltmann (Grand Rapids (MI), Eerdmans, 1996)
  • 미하엘 벨커미로슬라브 볼프 (편집), Der lebendige Gott als Trinität: Jürgen Moltmann zum 80 (Geburtstag: Gütersloher Verlagshaus 2006)
  •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비추어 본 몰트만 신학》(한들출판사, 2006)
  • 이형기, 《알기 쉽게 간추린 몰트만 신학》(대한기독교서회, 2001)
  • 이종인, 《희망의 두 지평: 에르스트 블로흐와 위르겐 몰트만의 희망사상》(박영사, 2017)
  • 신옥수,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새물결플러스, 2015)
  • 한국조직신학회(엮음), 《희망과 희망 사이: 몰트만과 그의 신학》(한들출판사, 2005)

각주[편집]

  1.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 자서전》 1판. 대한기독교서회. 53쪽. ISBN 9788951114175. 2018년 1월 25일에 확인함.
  2.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 자서전》 1판. 대한기독교서회. 64쪽. ISBN 9788951114175. 2018년 1월 25일에 확인함.
  3.  독일에서는 종합대학과 분리된 독자적인 신학대학을 '교회전문학교'(Kirchliche Hochschule)라고 칭한다. 대한민국의 신학대학교와 같다.
  4.  http://www.munzinger.de/search/portrait/J%C3%BCrgen+Moltmann/0/11731.html
  5.  김진만. 《동방정교회 신학과 WCC》.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1/06/04

A Theology of Dao (Ecology & Justice Series): Heup Young Kim: 9781626982192: Amazon.com: Books

A Theology of Dao (Ecology & Justice Series): Heup Young Kim: 9781626982192: Amazon.com: Books


A Theology of Dao (Ecology & Justice Series) Paperback – May 18, 2017
by Heup Young Kim (Author)

4.0 out of 5 stars 3 ratings

East Asian theological perspectives, as an antidote to Western modes of thinking, can present an alternative hermeneutic to the dualism inherited from Greek philosophy that still prevails in Western theologies. Contemporary theologies (including Asian theologies), heavily influenced by this dualism, are often divided by two macro-paradigms; namely, theo-logos (classical theology) and theo-praxis (liberationist theology). Heup Young Kim argues for a third way, the Dao paradigm of theology, that can encompass these disparate traditions but also move beyond them into more fruitful theologic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reas of reflection.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interreligious dialogue, Kim also addresses a number of subfields of theology including Comparative Theology, Christology, Pneumatology, Liberation Theology, and Ecclesiology.

Editorial Reviews

Review

"A path-breaking book by a superb scholar and theologian. Heup Young Kim has distinguished himself in his knowledge of East Asian religions and has explored here their relationship to Christianity. The result is a powerful book that is one of a kind." --Mary Evelyn Tucker, co-director, Forum on Religion and Ecology, Yale University

"Steeped in both Confucian tradition and Christian theology, Heup Young Kim insightfully, creatively, and incisively analyze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iscovers common ground in traditional historical teachings. In this reflective embodiment of theology, life, and ecology, he unites insights of Christianity, East Asian religions, and the natural sciences, and presents a visionary possibility for unifying global religious thinking in this important, singular contribution to interreligious engagement." --John Hart,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A major study in World Christianity, exploring both Christian theology and Korean traditional thought related to Confucianism and Daoism. Kim's theology of Dao brings us headlong into the great challenges of East Asian thought, yet recedes from fixing the divine in any tradition, place, or premise. I expect that we will soon be seeing students settled under the shade trees of seminaries and colleges reading this text." --John Grim, co-director, Forum on Religion and Ecology, Yale University

About the Author
Heup Young Kim is Professor Emeritus of Theology at Kangnam University, South Korea. He is a past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for Systematic Theology, and a founding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and Religion. He has published extensive works in the area of East Asian constructive theology, interreligious dialogue, and religion and science including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6).

Product details

ASIN : 1626982198
Publisher : Orbis Books (May 18, 2017)
Language : English
Paperback : 224 pages

Customer Reviews:
4.0 out of 5 stars 3 ratings


More about the author
Visit Amazon's Heup Young Kim Page

Follow

Biography

Heup Young Kim is a former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at Kangnam University, South Korea, and a former dean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and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e received his BSE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M.Div. and Th.M. from the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Ph.D. from the Graduate Theological Union. He is a fellow (a founding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and Religion and was a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Theology and a co-moderator of the Congress of Asian Theologians, an ecumenical network for theologians in Asia. Professor Kim was a recipient of Graduate Theological Union's 2009 Alum of the Year Award and has published numerous works in the areas of interfaith dialogue, comparative theology, East Asian constructive theology (theology of Dao), and religion and science.

김흡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흡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흡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김흡영
출생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무섬마을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철학박사(신학)
직업교수
종교개신교(장로교)

김흡영(Heup Young Kim, Kim Hŭb-yŏng, 金洽榮, 1949년~ )은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이다. 본관은 선성(宣城). 자는 시원(始源), 호는 하늘새, ᄒᆞᆫᄇᆞᆸ이다. 한국과학생명포럼의 설립대표이며, 미국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raduate Theological Union)의 아시아신학 석학교수(Distinguished Asian Theologian in Residence)이었다. 강남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인문대학장,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교목실장을 역임했다. 또한 한신대학교, 중국 복단대학교, 연세대학교 글로벌신학대학원의 초빙교수이었다. 영국 캠브릿지대학에 본부를 둔 과학종교학술원(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and Religion)의 창립 펠로우이며, 아시아신학자협의회(Congress of Asian Theologians)의 제6차[1]와 제7차 총회의 공동의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생애[편집]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항공공학과를 졸업하고, 대한항공에서 항공 기술자로서 종사한 후 주식회사 대우에서 기획과 무역 업무에 종사했다. 1970년대 한국의 경제 부흥기에 그는 신발과 비단 등을 수출하는 당시 종합무역상사의 하나였던 주식회사 삼화의 해외지사 주재원이 되어 뉴욕으로 파견된다. 그러던 중 그 곳에서 유교에서 개신교로 회심하는 극적인 종교체험을 하고, 전격적으로 신학 수업에 뛰어들게 된다.

그 후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교역학석사(M.Div)와 신학석사(Th.M), 그리고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시에 소재한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조직신학과 종교철학 분야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한다.

연구[편집]

신학 수업을 마친 후 세계적인 종교와 신학연구기관을 두루 섭렵하며, 종교신학, 문화신학, 종교간의 대화, 아시아 신학[2] 및 과학과 종교의 대화[3] 분야들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몰두한다.

하버드 대학 세계종교연구소(Center for the Study of World Religion)[4]와 일본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 유일신종교학제간연구소(Center forterdisciplinary Study of Monotheistic Religions, CISMOR)[5]의 선임연구원(senior fellow), 케임브리지 대학 종교와신학고등연구센터(Centre for Advanced Religious and Theological Studies)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객원연구원(visiting fellow), GTU의 신학과자연과학연구소(Center for Theology and the Natural Sciences, CTNS)의 객원교수 등을 역임한다.

특히 지금까지 기독교를 지배해오던 교리 위주의 전통적 로고스 신학(theo-logos)과 그 안티테제인 실천운동 위주의 근대적 프랙시스 신학(theo-praxis)사이의 이원화를 넘어선 새로운 통전적 신학 패러다임으로 유교-기독교적 시각에 입각한 도의 신학(theo-tao)을 주장한다.[6] 또한 첨단 과학시대에 살고 있는 동북아의 상황을 바라보며, 현대과학과 종교의 학제간 대화 및 기독교와 동양종교(특히 유교 및 도교)의 종교간 대화를 아우르는 과학, 신학, 동양종교 간의 삼중적 대화(trilogue)를 주창한다.[7]

수상[편집]

이러한 연구 업적들을 통하여 탬플턴재단(John Templeton Foundation)의 Global Perspectives on Science and Spirituality Award (2005)[8], 탬플턴재단 학술연구비(John Templeton Foundation Research grant, 2004)[9], 강남대학교의 최우수연구교수상(2001) 등 여러 학술상을 받게된다. 특히 한국인 최초로 박사과정 모교인 GTU로부터 '2009년 가장 자랑스러운 동문'[10][11]으로 선정되었다.[12]

저술[편집]

종교간의 대화, 종교신학, 아시아신학, 과학과 종교의 대화 등의 분야에서 영어와 한국어로 다수의 연구 결과물을 출판했다. 대표적인 한국어 저서로는 《도의 신학》(2000), 《도의 신학 2》(2012), 《가온찍기: 다석 유영모의 글로벌 한국신학 서설》(2013), 《현대과학과 그리스도교》(2006), 그리고 《왕양명과 칼 바르트: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2020) 등이 있으며, 영문저서로는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1996), 《Christ and the Tao》 (2003), 그리고 《A Theology of Dao》(2017) 등이 있다.

한국어 저서[편집]

다음은 한국어로 된 저서이다.[13]

단독[편집]

공동[편집]

  • 《삶과 죽음의 인문학》, 석탑출판, 2012
  • 《우리 학문과 학문 방법론》, 신승환 외, 지식산업사, 2008
  • 《배움과 한국인의 삶》, 김형국, 정범모, 전상인 외, 나남신서, 2008
  •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외, 2008
  • 《21세기 신학의 과제》, 김동건 외, 대한기독교서회, 2006
  • 《현대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 대한기독교서회, 2006
  • 《과학과 신학의 대화》, 대한기독교서회, 2003
  • 《신학연구 50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3
  • 《진화론과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3
  • 《과학과 종교》, 동연, 2002
  • 《기독교와 현대사회》, 강남대학교출판부, 1998
  • 《21세기 세계교회의 흐름과 사회의 전망》, 한일장신대학교 출판부, 1998
  •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1994

영어 저서[편집]

다음은 영어로 된 저서이다.[14]

단독[편집]

공동[편집]

한국어 논문[편집]

다음은 한국어로 된 논문의 일부이다.[15]

  • 《우리에게 제사를 허락해다오: 제1차 WCC 기독교-유교 대화 참관기》, 기독교사상 709(2018.01), 70-79
  • 《동아시아신학의 미래와 한국신학의 과제》, 기독교사상 696(2016.12)
  • 《그리스도교의 중심이동과 도의 신학》, 아시아리뷰(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4(2012), 15-42.
  • 《동아시아적 삼위일체론 서설》, 종교연구 65 (2011), 247-270.
  • 《陽明學을 통해 본 神學 :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그리스도교 대화》, 양명학, 22(2009), 99-131.
  • 《도(道) 그리스도론(Christotao) 서설》, 종교연구, 54(2009), 103-130.
  • 《'여러 밤' '그이'의 '하늘놀이': 다석 유영모의 기도와 영성》, 기독교사상, 596(2008.08), 78-90.
  • 《아시아 기독교적 시각에서 본 종교와 과학 간의 대화: 신학, 동양종교, 자연과학의 삼중적 대화에 대한 제안》, 신학사상, 135(2006), 125-150.
  • 《인간배아복제 시대의 기독교 신학》, 기독교사상 (2005), 22-33
  • 《생명, 생태, 신학: 신-인간-우주(삼태극)의 묘합(도의 신학)》,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4),181-211
  • 《사이버공간의 본질과 영성, 그 종교적 대안》, 한국조직신학논총 (2003)
  • 《한국 조직신학 50년: 간문화적 고찰》, 신학연구 50년 (2003), 139-188
  • 《종교와 자연과학간의 대화를 통해 본 인간: 사회생물학의 도전과 종교적 대응》, 철학연구 (2003), 368-412
  • 《기독교의 효사상》, 대학과 선교 (2002), 218-240
  • 《한국 기독교 신학에 대한 소고》, 조직신학 논총 (2000), 121-139
  • 《유학과 신학을 통해 본 새로운 인간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0), 439-463
  • 《존 칼빈과 이퇴계의 인간론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조직신학논총 (1999), 80-128
  • 《신-인간-우주(천-인-지): 신학, 유학, 그리고 생태학》, 한국그리스도사상 (1998), 218-260
  • 《최근 미국 포스트모던 신학의 한국신학적 평가》, 종교연구 (1997), 175-212
  • 《칼 바르트의 성화론》, 한국조직신학논총 (1995), 181-216
  • 《양지와 그리스도의 인성(II)》, 기독교사상 (1994)
  • 《양지와 그리스도의 인성(I)》, 기독교사상, 431:11 (1994), 78-90
  • 《인과 아가페: 유교적 그리스도론의 탐구》, 신학사상, 22:1 (1994), 137-176

영어 논문[편집]

다음은 영어로 된 논문이다.[16]

  • 《Death and Immortality: Biological and East Asian Religious Reflections on Transhumanism》,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8(2017), 3-29
  • 《Embracing and Embodying God’s Hospitality Today in Asia》,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3(2015), 87-105
  • 《Life, Ecology, and Theo-tao: Towards a Life Theology of Theanthropocosmic Tao》,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11(2009), 75-94
  • 《Sanctity of Life: A Reflection on Human Embryonic Stem Cell Debates from an East Asian Christian Perspective》, KIATS Theological Journal, 2:1 (2006), 40-53.
  • 《Christianity's View of Confucianism: An East Asian Theology of Religions》 , Currents of Encounter (2005)
  • 《A Tao of Interreligious Dialogue in an Age of Globalization: An East Asian Perspective》, Political Theology (UK), 6:4 (2005), 487-499
  • 《The Coming of Yin Christ》, CTC Bulletin (Hong Kong), 19:3 (2003), 61-78
  • 《The Word Made Flesh: A Korean Perspective on Ryu Young-mo's Christotao》, Currents of Encounter (Netherlands, 2003), 129-148
  • 《Liang-chi and Humanitas Christi: An Encounter of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Korea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2001)
  • 《Owning Up to One's Own Metaphors: A Christian Journey in the Neo-Confucian Wilderness》, Third Millennium (India), 4:1 (2001), 31-40
  • 《Toward a Christotao: Christ as the Theanthropocosmic Tao》, Studies in Interreligious Dialogue (Netherlands, 2002), 1-25
  • 《A Tao of Asian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Asia Journal of Theology (India), 13:2 (1999),276-293
  • 《Imago-Dei and T'ien-ming: John Calvin and Yi T'oegye on Humanity》, Ching Feng (Hong Kong), 41:3 (1998), 275-308
  • 《A Tao of Asian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gumch'i Phenomenon, Proceedings of The Congress of Asian Theologians 》(CATS) (1998), 60-72
  • 《Response to Peter Lee, A Christian-Chinese View》, Christianity and Ecology : Seeking the Well-being of Earth (USA, 1998), 357-363
  • 《The Study of Confucianism as a Theological Task》, Korea Journal of Theology (1995), 257-274
  • 《Jen and Agape: Toward a Confucian Christology》, Asia Journal of Theology (India), 8:2 (1994), 335-364
  • 《Two Concrete-Universal Ways: Their Convergence and Divergence》, Ching Feng (Hong Kong), 35:1 (1992), 4-12
  • 《上帝形象與天命》, 宗敎與中國社會硏究叢書 (China, 2001), 127-153 (중국어)

수상[편집]

  • 2009, Graduate Theological Union Alumnus of the Year[17]
  • 2007, 학술진흥재단 인문저술연구비
  • 2005, Global Perspective on Science and Spirituality Award, John Templeton Foundation
  • 2004, 연구공로상, 강남대학교
  • 2004, Research Grant, John Templeton Foundation
  • 2003, 10년근속상, 강남대학교
  • 2001, Templeton Science and Religion Workshop, Center for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 2001, 최우수연구교수상, 강남대학교
  • 2000, Templeton Science & Religion Course Award, Center for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 2000, 선도연구자, 학술진흥재단
  • 1997, Senior Fellowship, Harvard University, C.S.W.R.
  • 1996, 일반연구비, 학술진흥재단
  • 1992, Henry Mayo Newhall Research Fellowship, Graduate Theological Union
  • 1991, Henry Mayo Newhall Teaching Fellowship, Graduate Theological Union
  • 1990,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Award, Graduate Theological Union
  • 1989, Most Outstanding International Student Award, West-East Friends

인터뷰 및 칼럼[편집]

각주[편집]

  1.  “신학계 애쓰지 않고 서구 명품만 모방” (국민일보, 2006년 9월 7일)
  2.  다석의 영성수련 : 중앙일보 인터뷰
  3.  종교와 과학 ‘합일점’을 찾는다 : 국민일보 기사
  4.  “CSWR senior fellow list”.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7일에 확인함.
  5.  CISMOR
  6.  유교-기독교적 시각, 도의신학 : 중앙일보 칼럼
  7.  “Science & Theology News Interview”. 2011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일에 확인함.
  8.  “basic bio in GPSS” (PDF). 2014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일에 확인함.
  9.  John Templeton Foundation Grant: Contemporary Sciences and Christianity
  10.  김흡영 교수: 2009년 올해 GTU의 가장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Archived 2014년 3월 22일 - 웨이백 머신 (강남뉴스, 2009년 11월 23일)
  11.  GTU Alumnus of the Year for 200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2.  경인일보 기사인터뷰 기사
  13.  “보관 된 사본”. 2012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4.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5.  “보관 된 사본”. 2012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6.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7.  “보관된 사본”. 2014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