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Thomas Merton.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Thomas Merton. Show all posts

2023/05/03

Mystics, Muslims, and Thomas Merton Audio : Griffith, Sidney H., Amazon.com: Books

Mystics, Muslims, and Thomas Merton: Griffith, Sidney H.,  Amazon.com: Books

https://www.scribd.com/audiobook/354221808/Mystics-Muslims-and-Thomas-Merton


Length: 2 hrs and 28 mins



Mystics, Muslims, and Thomas Merton Audio CD – Unabridged, May 10, 2022
by Sidney H. Griffith (Author, Reader)


Audiobook
$0.00
Free with your Audible trial
Audio CD
from $14.99
1 Used from $19.952 New from $14.99


Thomas Merton, one of the great mystics of the twentieth century, had a deep interest in Islam and its mystical tradition of Sufism. Now, you can join one of Catholicism's great scholars on a fascinating journey through Merton's encounter with Islam. Thomas Merton (1915–1968) was a Trappist monk whose numerous books made the Christian spiritual classics accessible to modern audiences. A pioneer in interreligious dialogue, he developed a profound interest in the mystical traditions of the world's major religions. In addition to his multiple relationships with non-Catholic Christians, he engaged in correspondence with Jewish, Muslim, Zen Buddhist, Taoist, and Hindu thinkers. This course focuses on Merton's engagement with Islam. Your presenter is Prof. Sidney Griffith, Ph.D., an expert in Muslim-Christian relations and a lifelong reader of Thomas Merton. Throughout the course, you will journey through the broad spectrum of Merton's encounters with Muslims. You will look at Thomas Merton's interest in Islamic mysticism, particularly in the traditions of Sufism. You will start by looking at his openness to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Divine light with members of other religions. Then, as you explore Merton's correspondence with scholars of Sufism and practicing Sufis, you will gain great insight into the spiritual mind of Thomas Merton. Thomas Merton was a remarkable spiritual thinker, and his interactions with Muslims provide a model of interfaith dialogue today. If you are interested in Merton's ideas, you will love this course.
===

Merton & Sufism: The Untold Story: A Complete Compendium : Baker, Rob, etal. Amazon.com: Books

Merton & Sufism: The Untold Story: A Complete Compendium (1) (The Fons Vitae Thomas Merton Series): Baker, Rob, Henry, Gray, Nasr, Seyyed Hossein, Chittick, William C.: 9781887752077: Amazon.com: Books


https://archive.org/details/mertonsufismunto0000unse



Merton & Sufism: The Untold Story: A Complete Compendium (1) (The Fons Vitae Thomas Merton Series) Paperback – January 1, 1999
by Rob Baker (Editor), Gray Henry (Editor), Seyyed Hossein Nasr (Preface), William C. Chittick (Introduction)

5.0 out of 5 stars 9 ratings

Paperback
$28.95
14 Used from $7.5312 New from $20.00

This comprehensive collection includes essays by scholars, Merton's own Sufi poems, book reviews of Sufi texts, as well as edited transcriptions of his lectures on Sufism.

From the Back Cover

In addition to scholarly articles, this volume includes Merton's own Sufi poems, insightful book reviews, transcriptions from his related lectures, and a selection of works from which he drew particular inspiration, including the work of al-Tirmidhi (d.932), which uses fascinating metaphors to elucid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east, Heart, Inner Heart, and the Intellect.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Fons Vitae (January 1, 1999)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343 pages


From the United States

PW108

5.0 out of 5 stars Another Important Book in this Series on Thomas Merton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22, 2022
Verified Purchase

This compendium is a part of the Fons Vitae series on Thomas Merton, each providing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one of Merton’s many explorations into religions and philosophies outside of his Trappist vocation and Catholic doctrines.

 This book is for those wanting to delve specifically into Thomas Merton’s sincere interest and immersion into Sufism. If one is looking more for an overview of Merton’s life, or a text that fully explores one or more aspects of Sufism, then there are better books than this to read. 

As I truly admire both Sufic thought (especially the work of Ibn ‘Arabi) and Thomas Merton’s rich spiritual life and landscape, I found that this book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as well as yet another fascinating glimpse into his much-to-be-admired (and still needed) ecumenism and interfaith dialogue.

To a lesser extent, “Merton and Sufism: The Untold Story” also documents his sincere interest in, and correspondence with, the 20th-century Traditionalist School of Sophia Perennis (i.e. the Perennial Wisdom) that included philosopher-scholars such as Frithjof Schuon, Rene Guenon, Ananda Coomaraswamy, Marco Pallis, Martin Lings, Titis Burckhardt, Seyyed Hossein Nasr, William Stoddart, and Huston Smith, to name some of the most famou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rough Martin Ling’s book, the 1961 classic “A Sufi Saint of the Twentieth Century,” Merton was introduced to the legacy and heritage of Shaikh Ahmad Al-Alawi, who Merton revered as a true Realized Sufi Master and Saint.

While not, as far as I know, an acknowledged Traditionalist, Professor Louis Massignon and his remarkable friendship and correspondence with Merton is also looked at in detail, and given a place near the top of the Sufi-related events that transpired for Merton during those years.

The book’s essays were all penned by leading people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throughout the book one encounters an obvious high-level of scholarship that is, in part, supported by copious footnotes. There is some excellent supplemental material in the appendices as well, making this a must-have book for those who, like me, find Merton’s genuine interest in spiritual traditions like Sufism-Islam to be both interesting and inspiring. 

Regarding his love of Sufism, my favorite quote from the book is his 1966 quip, "I am the biggest Sufi in Kentucky though I admit there is not much competition.” 
On a more serious note, he also wrote in a letter to his friend Abdul Aziz stating that, “My prayer tends very much to what you (sufis) call fana.” 
For anyone who might not know, the very important term “fana” means “annihilation,” as in the permanent transcendence of the individual, seemingly-separate-from-everything-else ego. Without an abiding fana of the personal self, there is no Self-Realization.

Additionally, for those of you who want to *fully* explore this fascinating area of Merton’s life, I’m recommending two readily available audios

The first is a 2.5 hour talk titled, “Mystics, Muslims, and Thomas Merton” by Sydney H. Griffith, who also wrote this book’s 3rd essay (Merton, Massignon, and the Challenge of Islam) and its 6th essay (As One Spiritual Man to Another: The Merton-Abdul Aziz Correspondence). 



The second is a “Learn25” production called, “Thomas Merton on Sufism.” This 2014 release features 7 hours (!) of Merton speaking informally on the topic to the novices at the Abbey of Gethsemani during his time there as Novice Master. 

Both of these make great companions to this book!

7 people found this helpful



Robert W. Smith

5.0 out of 5 stars beautiful extension of paths and understanding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2, 2010
Verified Purchase

thomas merton was a beloved scholar and practitioner of christian mysticism. 
in his travels, he reached out to many, including those of the buddhist faith and those of the sufi (islamic mystics) traditions. 

this book contains a number of writings that describe merton's approach to sufism and study thereof.
 i like the gray and i believe that merton finds or defines it in this book.
it is one of merton's finer pieces. 
it's written in a style that is accessible to most educated adults. 
as a great fan of merton, i have not yet found a book that i have not liked. 
it is outstanding. i give this book a solid "A" and i highly recommend it to all mystics, all christians, and all muslims.

2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Dessybells

5.0 out of 5 stars I recommend this book to all the spiritual searche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9, 2015
Verified Purchase
I am a lover of the writings of Thomas Merton! I recommend this book to all the spiritual searchers.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HelpfulReport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Christian mind at its Bes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30, 2000

This is a well written book about a deeply spiritual man. This book is about a monk spiritual journey. A journey that took him to many alien ideas and cultures.
In his quest and search for the Real, he refused to disregard other revealed religions and what they can offer in a complete sense of spirituality.
His search led him to contact Muslims as well as Muslims saints and other well known and respected writers about the subject of Islam and Sufism in particular.
This book reads like story which makes it easy to read. At the end, the reader will be able to find out the influence that Islam and Sufism had on this excellent mind. And how it helped him to become a better Christian.
I have enjoyed this book very much. I would recommend this book for all.

50 people found this helpful

====
Merton and Sufism
The Untold Story, A Complete Compendium
By Gray Henry, Rob Baker
An examination of Merton's interest and attraction to this mystical path

Book Review by Frederic and Mary Ann Brussat

Thomas Merton (1915-1968) was a preeminent pioneer of inter-religious dialogue and spiritual friendship. In this fascinating volume, editors Rob Baker and Gray Henry have assembled a vast array of materials illustrating his deep interest and attraction to Sufism, the mystical side of Islam. Merton was especially intrigued with its emphasis upon action, love, and knowledge. In a letter to Abdul Aziz in Pakistan, he wrote: "I am tremendously impressed with the solidity and intellectual sureness of Sufism. I am stirred to the depths of my heart by the intensity of Moslem piety toward His names, and the reverence with which He is invoked as the 'Compassionate and the Merciful.' May He be praised and adored everywhere forever."

This scholarly paperback contains Merton's own Sufi poems, his lectures about this path, his reviews of books on Sufism, and some of his favorite works on the subject. Whether corresponding with the French Islamic scholar Louis Massignon or visiting with the Sufi master Sidi Abdeslam, this Trappist monk was polishing his heart of love and extending the practice of Christian hospitality.

Thomas Merton and Sufism | PDF | Sufism | Interfaith Dialogue

Tomas Merton and Sufism | PDF | Sufism | Interfaith Dialogue

Mystics and Sufi Masters:
Thomas Merton and Sufism;
Merton and the Christian Dialogue with Islam
==

Mystics and Sufi Masters:
Thomas Merton and Sufism;
Merton and the Christian Dialogue with Islam

(Sidney Griffith,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osted on this Home Page with author’s permission NB: since this is a scanned version, pardon any errors)  


I  Christians and the Call to Islam

Muslims and Christians have been in conversation with one another from the very beginnings of Islam as proclaimed in the Qur*an, and as preached by Muhammad in Mecca and Medina in the seventh century of the Christian era. Even a cursory glance through the Qur*an reveals that the holy book of Islam presumes in its readers a familiarity with the Torah and the Gospel, and with the sories of Adam, Noah, Joseph, Abraham, Moses, Mary, and Jesus of Nazareth. The Qur*an also readily reveals its intention to offer a critique of th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of Christians, and to offer a program for their correction. The most comprehensive verse addressed directly to Christians in this vein says:
O People of the Book, do not exaggerate in your religion, and do not say about God anything but the truth. The Messiah, Jesus, Mary*s son, is only God*s messenger, and His Word He imparted to Mary, and a Spirit from Him. Believe in God and in His messengers, and do not say, ‘Three*. Stop it! It is better for you. God is but a single
God; He is too exalted for anything to become a son to Him, anything in the heavens or anything on the earth.
God suffices as a guardian. (IV The Women 171)
Throughout the centuries since the rise of Islam, Muslim/Christian relations have revolved around this double axis of familiar, biblical appeal and strenuous, religious critique. After the death of Muhammad in 632 A.D., within two decades armies of Muslims had occupied all the territories of the ‘Oriental Patriarchates* of the Christians: Alexandria, Antioch, and Jerusalem. In the following decades the Muslims moved across North Africa, and across the Straits of Gibraltar into the
Ibenan Peninsula. Their advance was not halted until the year 732, at the battle of Poitiers in France, one hundred years after the death of Muhammad. This accomplishment set the stage for the long era of confrontation between Muslims and Christians.
From early in the seventh century, when Muslim armies first occupied the territories of the Christians, up to and beyond the day in 1453 when even Constantinople fell to the Ottoman Turks, there were almost constant, military hostilities between Muslim governments in the east and the Christian nations outside the world of Islam. This state of constant, Muslim/Christian warfare came to an end only in the early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with the end of the Turkish, Ottoman Empire. The combination of religious animosity, cultural disdain and military hostility that obtained between Muslim and Christian polities for well over a millennium and a half produced on both sides a large literature of mutual rejection.l
By the dawn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well into that century, one would not have thought that any efforts at rapprochement between Muslims
1
See Rollin Armour, Sr., Islam, Christianity, and the West; a Troubled History Maryknoll,
NY: Orbis, 2002). For the Muslim side see Lloyd Ridgeon (ed.), Islamic interpretations of Christianity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1); Hugh Goddard, Muslim Perceptions of Christianity (London: Grey Seal, 1996). 
and Christians were in the offing. Yet just after mid-century at Vatican Council II, one of the shortest, but also one of the most far-reaching conciliar documents,
Nostra Aetate, promulgated on 28 October 1965, made the following declaration:
Over the centuries many quarrels and dissensions have arisen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The sacred Council now pleads with all to forget the past, and urges that a sincere effort be made to achieve mutual understanding; for the benefit of all men, let them together preserve and promote peace, liberty, social justice and moral values.2
Since Vatican II,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been the leader in Muslim/Christian dialogue worldwide. The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set up after Vatican H soon issued guidelines for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3 And there has been no more tireless a promoter of this dialogue than Pope John Paul II, who in numerous documents has taught Catholics to proclaim their faith in Jesus Christ in open a free dialogue with Muslims and members of other religions. On his numerous journeys to Muslim countries John Paul II has himself led the way in this enterprise, and by now there is a sizeable collection of his talks and formal greetings to largely Muslim audiences.4 Always he echoes the themes of Vatican II,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2
Austin Flannery (ed.), Vatican Council II: the Conciliar and Post Conciliar Documents (Vatican Collection, vol. I, rev. ed.; Northport, NY: Costello Publishing Co., 1975 & 1984), p.
740.
3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Guidelines for Dialogue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Interreligious Documents, I, prepared by Maurice Borrmans, trans. R. Marston Speight; New York: Paulist Press, 1990).
4
See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Recognize the Spiritual Bonds Which
Unite Us; 16 Years of Christian-Muslim Dialogue (Vatican City: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ous Dialogue, 1994). 
the necessity of the free exercise of religion in society, and the conviction that “the truth cannot impose itself except by virtue of its own truth.”5 High Vatican officials have followed the Pope*s lead. Francis Cardinal Arinze, for example, the current president of the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is in regular contact with Muslim groups around the world.6
Today, after almost forty years of inter-religious dialogue led by the church*s highest authorities, one tends to forget that prior to the council the ground was prepared for the principles enunciated in Nostra Aetate by a remarkable group of people whose intercultural religious experience was the very basis of their holiness, and whose ideas and influences were largely responsible for the council*s teaching. I am thinking of such people as Charles de Foucauld (1858-1968),7 whose experience in North Africa set the tone for a new Catholic approach to Islam which found its most influential expositor in Louis Massignon (1883~1962).8 I recall the monastic experiments in India undertaken by Jules Monchanin (18951957),9 Henri Le Saux, also known as Swami Abhishiktananda (1910~1973)10 and Francis MaEieu (Acharya) (1912-2001),1 I not to mention the monumental studies of Buddhism
5
Flannery, Vatican Council IL Declaration on Religious Freedom, p. 677.
6
See Francis Cardinal Arin~e, Christian-Muslim Rel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Lecture presented to the Center for Muslim-Christian Relations, School of Foreign Service,
Georgetown University, Washington, D.C., January 1998); idem, Meeting Other Believers; the Risks and Rewards of Interreligious Dialogue (Huntington, IN: Our Sunday Visitor, 1998); idem, Religions for Peace; a Call for Solidarity to the Religions of the World (New York: Doubleday, 2002).
7See Mi Merad, Christian Hermit in an Islamic World; A Muslim*s View of Charles de Foucauld (trans. Zoe Hersov; New York: Paulist Press, 1999).
8
See Mary Louise Gude, Louis Massignon; the Crucible of Compassion Notre Dame, 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6).
9See Françoise Jacquin, Jules Monchanin prétre (Paris: Cerf, 1996). See also J. G. Weber (ed.), In Ouest of the Absolute; the Life and Works of Jules Monchamn (Kalamazoo, MI: Cistercian Publications, 1977).
10See André Gozier, Le pere Henri Le Saux; a Ia rencontre de l*hindouisme (Paris: Centurion,
1989). See also James Stuart (ed.), Swami Abhishiktananda; his Life Told through his Letters (Delhi: ISPCK, 1989).
11
See Marthe Mahieu-De Praetere, Kurisumala; un pionnier du monachisme ckrétien en Inde (Cahiers Scourmontois, 3; Scourmont: Abbaye Cistercienne Notre-Dame de Scourmont, 2001). 
undertaken by Henri Dumoulin in Japan or by 1~tienne Lamotte in Louvain. It will come as no news to the members of the ITMS to hear that Thomas Merton was well connected with this group of mostly Francophone pathfinders in inter-religious dialogue. It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communication to highlight one aspect of his relationship to them, namely his interest in Islam, largely under the influence of Louis Massignon.


II  Thomas Merton and Louis Massignon

Only late in his career did Thomas Merton come to encounter Islam. And when he did correspond with Muslims and students of Islamic thought, mysticism and the life of the spirit were uppermost in his mind. He read the Sufi poets and became familiar with the work of esotericists like Frithof Schuon and René Guénon. But it was Louis Massignon (1883-1962) who, by his works and by his letters, guided much of Merton*s thought about Islam.12 Among the books that Merton was reading on his Asian journey was Massignon*s classic study in comparative mysticism, Essai sur les origines du lexique technique de la mystique musulmane.  It is a book that concentrates on the technical vocabulary of Islamic mysticism in the Arabic language. But along the way the author clarifies the terms he studies by comparing them to earlier Christian usages, and sometimes by putting them side by side with the expressions Hindus and Buddhists use to describe similar mystical
t2See Sidney H. Griffith, “Thomas Merton, Louis Massignon, and the Challenge of Islam,” in Robert E. Daggy et al. (eds.), The Merton Annual 3 (1990), pp. 151-172.
Islamic Mysticism (trans. Benjamin Clark; Noire Dame, md.: University of Noire Dame Press, 1997). 
phenomena. By 1968 such an approach to the study of religious forms of expression was, to say the least, very congenial to Merton.
A passage in Massignon*s Essai that took Merton*s attention in 1968 and caused him to reach for pen and notebook is one in which Massignon explained his approach to the study of the early Muslim mystics. He was after “experiential knowledge,” he said, by an “introspective method” that seeks to examine “each conscience by transparency*. . .“ The method was to search “beneath outward behavior of the person for a grace which is wholly divine.”  This idea struck a responsive chord in Merton, and he made a special note of the passage.
Massignon had achieved his own “experiential knowledge” of Islam by a shattering encounter with “the Stranger,” as he called the God of Abraham whom he met at a crisis moment of his life in Iraq in 1908. It was the moment of his conversion from a wayward life back to the practice of the Catholicism into which he had been born and baptized. What was striking about this conversion was the fact that Massignon was convinced that it had come about through the intercession of a Muslim mystic, whose life and works he had been studying. The holy man*s name was al-Husayn ibn Mansur al-Hallaj (858-922). Eventually Massignon*s study of this holy man was published in 1922 as his doctoral dissertation, under the title La passion de Husayn ibn Mansur al-Hallaj; martyr mystique de l*Islam.15 It became a landmark book that was almost singlehandedly responsible for arousing scholarly interest in the west in Sufism and Islamic mysticism. It would be impossible to overstate
the book*s importance and influence. There were repercussions even in Roman Catholic theology, in that Massignon*s advocacy of al-Hallaj*s cause raised the question of the recognition of genuine mysticism beyond the church*s formal boundaries. But the important point for our purposes is to notice that it was aIHallaj, the Muslim mystic, who had shown Massignon the way back to God. This was the point that would strike Merton: the fact that a compassionate encounter with another, a seeker of the God of Abraham in a religious tradition other than
Judaism or Christianity, could open a way for one to reach God in one*s own heart. The challenge of Islam then meant a challenge to open oneself to the “Other.” This was the challenge of La passion d*al-Hallaj for Merton. Herbert Mason, a friend of both Massignon and Merton, has put it this way: “Merton told me himself of the far-reaching effect this book had on his life, coming at a particularly critical moment for him, in helping turn his attention toward the East.”16
Thomas Merton was known in the French Catholic intellectual circles in which Louis Massignon was a major figue for almost a decade before they started writing to one another. They met by letter in the summer of 1959. Herbert Mason had written to Merton from Paris on 21 May 1959 in connection with his work on St. John of the Cross, and it was not long before they were exchanging letters and poems on a regular basis. Then in a letter dated 2 August 1959 Mason told Merton about his own enchantment with Louis Massignon. There was an exchange of offprints. By 3 September 1959 Massignon himself was writing to Merton, and with this letter the Merton/Massignon correspondence began. They corresponded with one another on an almost monthly basis throughout 1960. In the archives of the Thomas Merton Studies Center there are fourteen letters from Louis
t6Herbert Mason, “Merton and Massignon,” Muslim World 59 (1969), p. 317.
Massignon to Merton, written in English, and dating from 3 September 1959 to 26 April 1961. Massignon died on 31 October 1962; Merton continued to read his work right up to his own death in 1968.
By the spring of 1960 Merton was reading Massignon*s Akhbar al-Hallaj and the Diwan de al-Hallaj.  He had received a copy of La passion d*al-Hallaj somewhat earlier. By August of 1960, when Herbert Mason visited Gethsemani, Merton had already read much of it and, as Mason says: “Hallaj and M[assignon] himself struck him deeply as ‘knowing the way.* I think Merton sensed M[assignon} was spiritually revolutionary for future Islamic/ Christian influences.”  Merton also had a copy of Massignon*s La parole donnée, the collection of essays Massignon himself chose to represent the spectrum of his thought, although it was published posthumously.  The copy is now in the collection of the Thomas Merton Studies Center at Bellarmine. In certain sections of the book Merton marked passages that particularly appealed to him, especially in the essays on Foucauld, al-Hallaj, and Gandhi, although thereare marks scattered throughout the book, indicating a relatively thorough reading on Merton*s part.
At one point in their relationship, Massignon wrote to Herbert Mason about Merton. He said, “Tom is not mistaken in believing that my thought can be found through the curve of my life substituted by the Hallajian thought.”2° This is language typical of Massignon; his French expressions often do not translate readily into English. It means that Merton had correctly
 

 
discerned the fact that in his work on the life and teaching of the “mystic martyr of Islam,” Massignon had so conformed his own thinking to that of alHallaj that it could be said, mutatis mutandis, the two were of one mind. It is an instance of that “introspective method” of Massignon*s, according to which one is in search of
“experiential knowledge;” he is looking for the “grace which is wholly divine.”21 Merton himself adopted a similar method in his study of the texts of the devotees of other relgions. In this connection one could mention The Way of Chuang Tzu as an obvious case in point.22


III  Merton, Interreligion and Islam

Merton was somewhat unique among American Catholics in the sixties by reason of his deep interest in what non- Catholics and even the devotees of nonChristian religions can tell us about God.  While it is true that he could write to D.T. Suzuki on 3 May 1965 to say, “There is only one meeting place for all religions, and it is paradise,”24 he did not mean that human beings of different religions should defer their own meeting with one another until they should meet in paradise. Rather, by his affirmation that paradise is the meeting place for all religions he expressed his conviction that one can, to borrow Massignon*s phrase, search for the “grace which is wholly divine” in certain non-Christian religions. Merton was forceful on this point in a letter he wrote to Czeslaw Miosz under the date of 18 January 1962. He said,
2t
See n. 1 above.
22
Thomas Merton, The Way of Chuang Tzu (New York: New Directions, 1965).
Larkspur Press, 1988, p. 74 
I cannot be a Catholic unless it is made quite clear to the world that I am a Jew and a Moslem, unlesss I am execrated as a Buddhist and denounced for having undermined all that this comfortable and social Catholicism stands for: this lining up of cassocks, this regimenting of birettas. I throw my biretta in the river. (But I don*t have one.)25
While Merton*s own engagements with other religions were more often with Zen, or other Asian traditions, Islam was never really out of his mind. In a journal entry of 10 July 1964 he wrote,
Literatuare, contemplative solitude, Latin America, Asia, Zen, Islam, etc., all these things come together in my life. It would be madness for me to attempt to create a monastic life for myself by excluding all these. I would be less a monk.26
Merton was very much aware of the fact, as he wrote in his journal on 17 November 1964, that “Massignon and Foucauld were both converted to Christianity by the witness of Islam to the one, true, living God.”27 At the time he was himself busily reading Sufi writers and commentators on their texts; he was filling up his own reading journals with notes on the Sufis and with outlines of their teachings. He was giving talks on Sufism in the monastery. Some of the talks were taped, and they are still available for listening. But they are very elementary, and, frankly, somewhat disappointing.28 Nevertheless, they do show the depth of Merton*s study.
25
See this letter published in Thomas Merton, The Courage for Truth; Letters to Writers (Christine M. Bochen, ed.;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93), p. 79.
26
Merton, A Vow of Conversation, p. 62. Fuller version quoted from Daggy, Encounter, pp. 89-90.
27
Merton, A Vow of Conversation, p. 100.
28
Merton mentions these talks in two letters to Abdul Aziz, 16 Jan. ‘68 & 24 April ‘68. In both of them he says “For more than a year now I have been giving weekly talks on Sufism to the monks here.” See Thomas Merton, The Hidden Ground of Love; Letters (William H. Shannon, ed.;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85), pp. 66 &67. He says that he based his lectures on books which Abdul Aziz sent him.
 

 
His study was not merely in books. Merton made an effort to engage Islam in his personal religious practice as well, another lesson he may have learned from Louis Massignon. In his journal for 18 January 1965, for example, John Howard
Griffin found a passage in which Merton wrote about his own observance of the Islamic ‘Night of Destiny,* the 27th of Ramadan. He explained that for Muslims it is a night when heaven is open to earth, and all the prayers of the faithful are answered. It is a night of joy and peace, such as Christimas is for Christians. So on that night Merton too, like the Muslims, stayed up late to pray in solidarity with them. He prayed “for them,” he says, “and for my own needs, for peace.”29
In the fall of 1966 Merton met a genuine Sufi in the person of an Algerian named Sidi Abdeslam, who spoke no English. He was a Sufi master who was the heir to the traditon of Shaikh Ahmad al-*Alawi. Merton had become devoted to the latter, twentieth century spiritual master through a book by Martin Lings, which had a profound effect on him.3° Abdeslam came to Gethsemani together with some friends from Temple University who could serve as interpreters. As Michael Mott puts it, “Merton sensed that he and Sidi Abdeslam were able to communicate beyond the translated words.”31 And the thought which Abdeslam communicated to Merton disturbed him. The fall of 1966 was already a troubled time for him. And the visiting Sufi, whom Merton recognized as a genuine mystic, “left him with the message that he was very close to a mystical union and that the slightest thing could bring that union about.”32 This at a time when Merton himself was
29
John Howard Griffin, Follow the Ecstasy; the Hermitage Years of Thomas Merton (Maryknoll, N.Y.: Orbis Books, 1993), p. 46.
30
Merton wrote a review of Martin Lings, A Sufi Saint of the Twentieth Century, Shaikh Ahmad al-*Alawai; his Spiritual Heritage and Legacy (London, 1961). See Merton*s letter to Lings in Merton, Hidden Ground of Love pp. 453-454.
31
Michael Mott, The Seven Mountains of Thomas Merton (Boston: Houghton Mifflin, 1984), p. 462.
32
Mott Seven Mountains p. 462.
questioning his vocation. Then on the 14th of February 1967 Sidi Abdeslam wrote Merton a letter in which he asked him if he “had yet set aside the distractions of words, his own words and those of others, in order to realize the mystical union.” And Abdeslam left Merton with the cryptic phrase to ponder: “What is best is what is not said.” 
By 20 March 1967 Merton was thinking of travel and Sidi Abdeslam figured in his musings. He wrote in his journal under this date:
The most I would want in any case would be the freedom to travel once in a while to very special places and to see exceptional people. For instance to visit Sidi Abdeslam, or to go to the Zen places in Japan. 
So it is clear that Merton*s interest in Islam, and especially in Sufism, occupied him at much the same time as he was deeply interested in Zen and Buddhism.  And, as always, it was the “introspective method” in the service of “Experiential knowledge,” to use Massignon*s terms, that preoccupied him. Typically, he then used the “experiential knowledge” in his own sermons and conferences. For example, in a retreat conference at Gethsemani he said,
I*m deeply impregnated with Sufism. In Islam, one of the worst things that any human being can do is to say that there is an other besides the One, to act implicitly as if God needed a helper, as if God couldn*t do what needs to be done.37
Baker & Gray Henry (eds.), Merton & Sufism: the Untold Story; a Complete Compendium (Louisville, KY: Fons Vitae, 1999).
37
Thomas Merton,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a Retreat at the Abbey of Gethsemani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92), p. 266. 
One of the ways in which Merton became “deeply impregnated with
Sufism” was the method he employed in the composition of The Way of Chuang Tzu, a project he was working on in the spring and summer of 1965, the same time when he was reading about Islam. He translated and adapted poetic texts from the tradition he was studying and made them his own. From Sufism he chose texts by the Sufi master Ibn cAbbad de Ronda (1333~1390);38 he “adapted versions of his thought,” as he said, “in semi-poetic fashion.” Eventually, a selection of these texts appeared in Raids on the Unspeakable, where Ibn cAbbãdts thoughts spoke through Merton*s meditative translations.39
Iv
Merton in Dialogue: Correspondence with Abdul Aziz
Merton*s dialogue with Islam was not just by way of a careful reading of books suggested to him by Massignon and some others, supplemented by the occasional meeting with a Muslim like Sidi Abdeslam. Since 1960 he had been engaged in a remarkable correspondence with a Muslim student of Sufism in Karachi, Pakistan - a man named Ch. Abdul Aziz. Already in 1952 Abdul Aziz had read Merton*s The Ascent to Truth. He was a university trained public servant who had an interest in mysticism of all kinds, and he was of course a practicing Sufi. He knew Massignon and his work on alHallaj. When in 1959 Louis Massignon came to Karachi, Abdul Aziz asked him for the name and address of a Christian mystic with whom he could
38See John Renard (ed. & trans.), Ibn ‘Abbad of Ronda; Letters on the Sufi Path (The Classics of Western Spirituality; New York: Paulist Press, 1986).
39Thomas Merton, Raids on the Unspeakable (New York: New Directions, 1966), pp. 141-151. Merton*s translations were made on the basis not of the original Arabic, but from the French versions of Paul Nwiya, S.J., a friend and colleague of Louis Massignon. See Paul Nwiya, Lettres de direction spirituelle; les Rasail as-Sughra de Ibn ‘Abbad de Ronda (Beirut, 1958).
correspond, and Massignon gave him Merton*s name and address. Abdul Aziz wrote his first letter to Merton on 1 November 1960. Merton replied on 17 November 1960, and so began a remarkable correspondence which lasted until the year of Merton*s death. On 31 December 1960 Massignon wrote to Merton to say: “Ch. Abdul Aziz (he is the son of a converted Hindoo) wrote me [of his] joy to come in touch with you. He is a believer in Abraham*s God without restriction.” Merton*s side of the correspondence, including fourteen letters all told, is published in The Hidden Ground of Love,, the first volume of his published letters.  These letters will repay our closer attention because they show us Merton in actual dialogue with a Muslim.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se letters are somewhat unique, in that one cannot readily think of other instances of a published correspondence between a notable Christian and a non-Christian partner in religious dialogue. And even here we have only one side of the correspondence available in published form. 1 Nevertheless, it provides a unique oportunity to catch sight of Merton in actual dialogue with Islam, a world religion whose call, is, if anything, louder in the 2002 than it was thirty-five years ago. Of course, he had long been writing letters to other scholars of Islam, some of them Muslims. But the letters to Abdul Aziz are uniquely personal and religious, not primarily scholarly. Indeed one has the impression that Abdul Aziz pushed Merton, sometimes quite persistently, to express himself on themes which he would not otherwise willingly address. The result is that in what he says to Abdul Aziz, Merton was almost forced to
state his position on matters of inter-religious dialogue in ways that other Catholic writers and scholars have adopted in print only in the course of the last decade or so.
In general, what strikes the reader of Merton*s letters to Abdul Aziz is their personal, even intimate character. It is clear that Merton felt that he was in correspondence with another man of God, with whom he did not need to hide his own devotion behind polite phrases. In his second letter he says, ‘There is no question in my mind that the mercy and bounty of God are very clear in the inspiration which has brought about our correspondence, and His angels certainly have their part to play in this.” (p. 46)42 He customarily ended his letters with an invocation, not unlike the following instance in a letter of 18 October 1963:
I believe that our friendship is a blessing from God that will bring much light to us both, and help Him to be made known through us. All glory and praise be to Him Whoshows Himself in all things infinitely merciful and a lover of all that He has created. (pp. 57-58)
It also seems clear that in general with Abdul Aziz Merton felt himself to be peppered with more than the usual number of questions, not only about matters of Catholic belief, but about his personal life, and even about his own methods of prayer. There is, for example, the famous letter of 2 January 1966, which is often quoted by Merton scholars, in which the otherwise private Father Louis gives an account of his method of meditation.43 And there are some passages in some letters in which Merton seems to be a bit exasperated
42
The page nos. in parentheses in this section refer to pages in Merton, The Hidden Ground of Love.
43
See Merton, The Hidden Ground of Love, pp. 62-64. 
by Abdul Aziz* unrelenting pressing for explanations. For example, on 7 November 1965 he wrote:
I certainly agree with you that we lose much by not keeping in touch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 admit that it is my fault for not answering your letter of last December in detail. it is not possible for me to do so now because when I moved ‘out of the monastery to the hermitage I discarded all letters and files. Actually, here I am in a much worse position to write. Our monastic rule frowns on much letter writing and being in the hermitage I must give more time to prayer and study than before, naturally. Also I do receive quite a few letters that have to be answered immediately, usually from people in urgent spiritual trouble. . . Please understand my situation and I in my turn will do my best to reply at least briefly and in substance to whatever you ask that is within my power to answer without research. (p. 61)
One detects a certain vexation, and even some special pleading, in the tone of this passage, but Merton nevertheless continues to write to Abdul Aziz at much greater length than he does to many other people, and he often reveals more of himself in the process.
As in all of his letters, so in those to Abdul Aziz, Merton is ever on the lookout for new books and articles. The letters are full of references to books received or sent, to books requested or just referred to. Indeed, it seems that Merton often relied on books provided by Abdul Aziz for his lectures to the
Trappist community about Sufism. But the most interesting parts of this correspondence for the present purpose are those in which Merton reflects on the nature of the dialogue with Islam.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n
America in the 1960*s Merton was perhaps the only Catholic seriously so engage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Merton has to begin the correspondence with an apology. He tells Abdul Aziz that he will not send him a copy of Seeds of Contemplation because of “shame”. He says, ‘The book was written when I was much younger and contains many foolish statements, but one of the most foolish reflects an altogether stupid ignorance of Sufism.”(p. 44) Merton does not say what the foolish statement is, but William Shannon notes at the bottom of the page in his edition of the letter that in Seeds Merton had spoken of “the sensual dreams of the Sufis* as a poor substitute for the true contemplation that is found only in the Church.”(p. 44, n. *~) He wrote that in 1949. In 1960 he is prepared to say to Abdul Aziz:
As one spiritual man to another (if I may so speak in all humility), I speak to you from my heart of our obligation to study the truth in deep prayer and meditation, and bear witness to the light that comes from the All-Holy God into this world of darkness where He is not known and not remembered.... May your work on the Sufi mystics make His Name known and remembered, and open the eyes of men to the light of His truth. (pp. 45-46)
Throughout the correspondence Merton makes remarks which afford the reader a ready insight into what he thought about dialogue with nonChristian religions. For example, in a letter of 28 June 1964 he anticipated a
 

 
principle which would be stated in the Vatican II document Nostra Aetate, promulgated on 28 October 1965. Merton wrote:
How can one be in contact with the great thinkers and men of prayer of the various religions without recognizing that these men have known God and have loved Him because they recognized themselves loved by Him? (p. 58)
Merton said this in the context of his reply to Abdul Aziz* question about the church*s position on the salvation of non-Christians. He went on to explain the matter, again in language that anticipated what theologians would commonly say thirty years later. He wrote:
Obviously the destiny of each individual person is a matter of his personal response to the truth and to the manifestation of God*s will to him, and not merely a matter of belonging to this or that organization. Hence it follows that any man who follows his faith and his conscience, and responds truthfully and sincerely to what he believes to be the manifestation of the will of God, cannot help being saved by God. (p. 58)
But Merton cannot be accused of relativism or of indifferentism on this score. He went on to say:
It is true that there are different ways to Him and some are more perfect and more complete than others. It is true that the revelation given to the ‘People of the Book,* Christians, Jews and Muslims, is more detailed and more perfect than that given through natural means only to the other religions. (p. 58) 
Not only did Merton see that contemplatives of other religions than his own truly met God, but he told Abdul Aziz that he sometimes felt doser to them than to his own contemporaries. He said the following about Ahmad al‘Alawi (d. 1934), whom he met through the book by Martin Lings mentioned above:
The first thing that must be said about this ‘encounter* with present-day Muslim mysticism is that it is quite obvious that with someone like Shaikh Ahmad, I speak the same language and indeed have a great deal more in common than I do with the majority of my contemporaries in this country. (p. 54)
Inevitably in inter-religious dialogue the question of doctrine and differing beliefs comes up. Merton shared some thoughts on this subject with Abdul Aziz as well. He wrote:
Personally, in matters where dogmatic beliefs differ, I think that controversy is of little value because it takes us away from the spiritual realities into the realm of words and ideas. In the realm of realities we may have a great deal in common, whereas in words there are apt to be infinite complexities and subtleties which are beyond resolution. It is, however, important, I think, to try to understand the beliefs of other religions. But much more important is the sharing of the experience of divine light, and first of all of the light that God gives us even as the Creator and Ruler of the Universe. It is here that the area of fruitful dialogue exists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p. 54)
Merton goes on to say that he loves the passages of the Qur*an which speak of the manifestations of the Creator in the creation. It reminds us that he communed with the Muslims through his own deeply contemplative reading of the Qur*an. At one point it appears that Abdul Aziz was encouraging him to chant passages from the Qur*an every day. In a letter of 7 November 1965 Merton replies to this suggestion by saying that he did not know how to do the chant properly and that he was opposed to improvisation in so serioius a matter. He goes on to say, “It seems to me that here again, my task is rather to chant the sacred books of my own tradition, the Psalms, the Prophets, etc., since I know the proper way of doing this. But on the other hand I read the Koran with deep attention and reverence.” (p. 61) One sees in these words Merton*s conviction about an important point in interreligious dialogue, namely that while one may cultivate a deep appreciation of the ways of other religions, success in the dialogue requires that one be faithful to the tenets and usages of one*s own faith. Otherwise, there is no real dialogue.
While he held them to ~be of secondary importance in dialogue, Merton nevertheless did talk to Abdul Aziz about doctrines, and especially about those about which there was most disagreement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A major case in point is the doctrine of the Most Holy Trinity. Merton addressed it in a long letter of 18 October 1963. While he could hardly be expected adequately to discuss the matter within the confines of a single letter, he nevertheless did introduce the context in which the discussion would have to take place for a Muslim rightly to get the point of the Christian concern. Uncannily, Merton, seemingly unawares, hit upon exactly the terms in which Arabophone Christians and Muslims in dialogue in the early years
of Islam discusse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e raised it in connection with the Islamic theological concern with the ‘beautiful names of God,” what Christians would call the divine attributes. There is a long and philosophically quite sophisticated discussion within Islam about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truths affirmed of God in His scriptural attributes.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Christian can the most intelligibly explain the terms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o Muslims. Merton discerned this fact on the basis of his own reading and deep meditation on the Qur*an. But even here he was wary of too much explanation. He dosed the discussion with the following rather long paragraph:
I perfectly agree that any man who in his heart sincerely believes in God and acts according to his conscience, will certainly be saved and will come to the vision of God. I have no doubt in my mind whatever that a sincere Muslim will be saved and brought to heaven, even though-for some reason he may not subjectively be able to accept all that the Church teaches about Christ. There may be many extrinsic reasons which make it impossible for him to understand what the Church means. This also applies to Jews, Hindus, Buddhists and in fact to all sincere men. I think that all men who believe in One God Who is the Father of all and Who wills all to be saved, will certainly be saved if they do His will. This is certainly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is is being brought out
clearly now, in connection with the Council. But it was also brought out a hundred years ago at the time of the First
Vatican Council. (p. 57)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of course the one Christian teaching which goes most directly counter to the basic confession of Islam that God is one. Merton realized this and even here he was anxious to point out to Abdul Aziz that there was some common ground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In a letter of 13 May 1961 he said:
The question of Tawhid [the confession that God is one] is of course central and I think that the closest to Islam among the Christian mystics on this point are the Rhenish and Flemish mystics of the fourteenth century, including Meister Eckhart, who was greatly influenced by Avicenna. The culmination of their mysticism is in the “Godhead” beyond “God” (a distinction which caused trouble to many theologians in the Middle Ages and is not accepted without qualifications) but at any rate it is an ascent to perfect and ultimate unity beyond the triad in unity of the Persons. This is a subtle and difficult theology and I don*t venture into it without necessity. 
(p. 49)
As if to get beyond such issues as these Merton here and in other places in the letters goes on to say to Abdul Aziz, “We live in dreadful times, and we must be brothers in prayer and worship no matter what may be the doctrinal differences that separate our minds.” (p. 49) And in another letter he puts the matter bluntly:
It is my belief that all those in the world who have 
kept some vestige of sanity and spirituality should unite in firm resistance to the movements of power politicians and the monster nations, resist the whole movement of war and aggression, resist the diplomatic overtures of power and develop a strong and coherent “third world” that can stand on its own feet and affirm the spiritual and human values which are cynically denied by the great powers. (pp. 50-51)
Such thoughts inevitably led Merton to consider his own vocation. In a letter of 4 April 1962 he wrote to Abdul Aziz as follows:
I believe my vocation is essentially that of a pilgrim and an exile in life, that I have no proper place in this world but that for that reason I am in some sense to be the friend and brother of people everywhere, especially those who are exiles and pilgrims like myself... My life is in many ways simple, but it is also a mystery which I do not attempt to really understand, as though I were led by the hand in a night where I see nothing, but can fully depend on the Love and Protection of Him who guides me. (p. 52)
Like Louis Massignon, whose lead he followed in so many things having to do with Islam, Merton pointed out to Abdul Aziz the connection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implied in the devotion to Our Lady of Fatima. The city in Portugal was named after the prophet Muhammad*s daughter, and at one time many Muslims must have lived there. Accordingly, for Merton, this fact bespoke a mystical connection between
Muslims and Christians which was one more warrant for their effort to understand one another.
There are many other details in the correspondence which one could cite to show the extent and the depth of the dialogue between Merton and Abdul Aziz. Time does not allow any more extensive quotations here. One hopes that soon the full edition of the correspondence will be published.


V  Merton and the Sufis

It is clear that Merton*s interest in Islam did not remain on a bookish level, and it was not superficial. One knows of course that it was not his only, or even his most profound encounter with other religions. It is striking that in the sixties a significant part of Merton*s intellectual and spiritual life was taken up with his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But it did not involve a turning away from his own religion or from his own spiritual quest. Rather, for Merton, as for Massignon before him, and for so many people, it was through his sincere interest in other religions that his life in Christ deepened. In meeting the other he met himself. There is something uniquely monastic in this dialogue of religious inter-experience. Throughout it all Merton was becoming not less a monk but more a holy man on the model of the desert heroes of Christian antiquity whom he so much admired. Typically they encountered the other and returned to the society they left to communicate what they had learned. Merton*s published journals, letters, and conferences accomplish the same purpose.
Few writers in the modern Christian world have in fact sought a religious
response to Muhammad*s call to all people to submit to God. 
Mohandas Gandhi and Louis Massignon are two of Merton*s ‘friends* who were preoccupied with it. In the English speaking world none were more eloquent in the twentieth century than scholars like Wilfrid Cantwell Smith and Bishop Kenneth Cragg,45 neither of whose works Merton seems to have known. But increasingly the intellectual and religious challenge of Islam is making its way into church and academy. And Christians do not know how to reply. What Merton said to Abdul Aziz just about forty years ago is still pertinent. In a letter of 26 December 1962 he wrote:
It seems to me that mutual comprehension between Christians and Moslems is something of very vital importance today, and unfortunately it is rare and uncertain, or else subjected to the vagaries of politics. (p. 53)
One has only to mention the names of Israel/Palestine, Iraq/Kuwait, Bosnia, Afghanistan to underline the timeliness of this remark and to utter -Amen. One sees here the pertinence-of-Christian/Muslim dialogue. And in Merton one sees a good example of how it may be conducted. He truly felt the spirituality of the other. In 1963 he wrote to a friend, “I am the biggest Sufi in Kentucky,”46 and in 1968 he declared in a retreat conference, “I am deeply impregnated with Sufism,”47 and it is for this reason that I think, had he lived
45
See Wilfred Cantwell Smith,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a Revolutionary Approach to the Great Religious Traditions (New York: Harpers, 1962); idem, On Understanding Islam; Selected Studies (Religion and Reason, 19; The Hague: Mouton, 1981); idem, Towards a World Theology (Philadelphia: Westminster, 1981). See also Kenneth Cragg, The Call of the Minare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2nd ed.; Mayrknoll, NY: Orbis, 1986); idem, Muhammad and the Christian; a Question of Response (Maryknoll, NY:
Orbis, 1984); idem, lesus and the Muslim; an Explor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85). See also
Christopher Lamb, The Call to Retrieval; Kenneth Cragg*s Christian Vocation to Islam (London: Grey Seal, 1997).
46
Merton to Ad Reinhardt, October 31, 1963, in Thomas Merton, The Road to Toy; the Letters of Thomas Merton to New and Old Friends (ed. Robert E. Daggy;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89), p. 281.
47
Thomas Merton,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a Retreat at the Abbey of Gethsemani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92), p. 266.
beyond 1968, he well may have written a book that could readily have been called,
“Mystics and Sufi Masters,” on the model of his justly famous Mystics and Zen
Masters. 
As a matter of fact, in a letter of 2 December 1965, Abdul Aziz suggested to Merton that he “plan a book on ‘How to Know God* on a psychological, moral and spiritual basis.” He went on to say:
The book should deal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which are essential to be followed by a seeker after truth to attain his moral and spiritual perfection with a view to attaining contemplation of God and communion with Him and the mystic vision of God with the eye of the heart in this very life. ... In writing the book much material is already available i.e., the writings of the great Saints and Mystics of Islam and Christianity but this should be coupled with the modern principles of psychoanalysis as applied to ethics.
Regretably, Merton never wrote such a book. Perhaps he came closest to doing so in the last two years of his life, in the conferences he gave on Sufism to the monks of Gethsemani. Here he drew freely from both the Christian spiritual classics, and from his readings in Sufi authors, on whose works he took extensive notes and from which he copied many passages in extenso in his reading notebooks.  The tapes of Merton*s so-called Sufi conferences remain for the most part unpublished, and under-studied.  But in 1986 Abdul Aziz, through the kindness of a correspondent had the
Henry, Merton & Sufism, pp. 130-162. 
opportunity to hear them. He was startled by their informal style and he wrote to Msgr. William H. Shannon on 10 May 1986 to say:
I have been simply shocked and disappointed about Merton*s burlesque/parody of Sufism in a garbled, hotch-potch version. If I were to make critical comments it would take a number of pages.
But it was from just such raw material as one finds on Merton*s Sufi tapes that he was in the habit of producing his often penetrating essays. After listening to him for a while, and being frustrated by the seeming stream-of-consciousness style of his speaking, one finally realizes that Merton had indeed gotten the point of much Sufi teaching. Had he lived to do it, he may well have produced from this matrix the book Abdul Aziz requested.


VI  A Post 9/11 Postscript: What Would Merton Have Said?

I think he would have prayed. And perhaps he would have remembered a poem he wrote in 1961, with thoughts of the Algerian civil war on his mind, a conflict~ in which many died by violence in the name of religion. Little did he know then that the violence would outlast the twentieth century, and in 1996 even claim the lives of seven of his own Trappist brethren at the monastery of Our Lady of the Atlas, Tibhirine, Algeria.51 On September 11, 2001 it claimed the lives of his countrymen. Here is what Merton wrote:
51 
See Bernardo Olivera, How Far to Follow; the Martyrs of the Atlas (Petersham, MA: St. Bedes Publications, 1997); John W. Kiser, The Monks of Tibhirine; Faith, Love and Terror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2). 
The Moslem*s Angel of Death (Algeria 1961)
Like a jeweled peacock he stirs all over
With fireflies. He takes his pleasure in Lights.
He is a great honeycomb of shining bees Knowing every dust with sugar in it.
He has a million fueled eyes.
With all his eyes he explores life.
The firefly city stirs all over with knowledge.
His high buildings see too many
Persons: he has found out Their times and when their windows
Will go out.
He turns the city lights in his fingers like money.
No other angel knows this one*s place, No other sees his phoenix wings, or understands That he is the lord of Death.
(Death was once allowed To yell at the sky:
“I am death! 
I take friend from friend!
I am death!
I leave your room empty!”)
0 night, 0 High Towers! No man can ever Escape you, 0 night!
He is miser. His fingers find the money.
He puts the golden lights in his pocket.
There is one red coal left burning
Beneath the ashes of the great vision.
There is one blood-red eye left open When the city is burnt out.
Azrael! Azrael!
52
Thomas Merton, Selected Poems of Thomas Merton (Enlarged ed.; New York: New Directions, 1967), pp. 104-105. For commentary on this poem see Erlinda G. Paguio, “islamic Themes in Mertons Poetry,” in Baker & Henry, Merton & Sufism, pp. 93-94.


2023/04/25

Empty Boat - Chuang Tzu & Thomas Merton - Stillness Speaks

Empty Boat - Chuang Tzu & Thomas Merton - Stillness Speaks

Empty Boat – Chuang Tzu & Thomas Merton
May 26, 2021

empty boat: “… Yet if the boat were empty. He would not be shouting, and not angry …”  … and …  “… This is perfect Tao. Wise men find here their resting place. Resting, they are empty …”  ~ Chuang Tzu

empty boat sunset batam island chuang tzu merton
Ah! … navigating the tricky (some might say treacherous?) waters of life … especially human emotions (e.g., anger and the like) …

Much has been written throughout the ages about navigating such waters …

One of the most gratifying joys of Stillness Speaks is the ongoing discovery of the delightful interconnectedness of traditions  … so it was no surprise to find Chuang Tzu in a recent encounter with Thomas Merton’s Silence, Joy! … which led to further explorations of Merton on this Taoist philosopher via Merton’s  The Way of Chuang Tzu …

Chuang Tzu, of course, is credited with writing the Zhuangzi one of the foundational texts of Taoism. Chuang’s The Empty Boat is a well known classic in the Taoist world … and is a great metaphor for charting these waters of life …

And here’s Merton on Chuang Tzu: “… His philosophical temper is, I believe, profoundly original and sane … it is basically simple and direct. It seeks, as does all the greatest philosophical thought, to go immediately to the heart of things. Chuang Tzu is not concerned with words and formulas about reality, but with the direct existential grasp of reality in itself …”

Merton adds: “… The whole Chuang Tzu book is an anthology of the thought, the humor, the gossip, and the irony that were current in Taoist circles in the best period, the 4th and 3rd centuries B.C. But the whole teaching, the “way” contained in these anecdotes, poems, and meditations, is characteristic of a certain mentality found everywhere in the world, a certain taste for simplicity, for humility, self-effacement, silence, and in general a refusal to take seriously the aggressivity, the ambition, the push, and the self-importance which one must display in order to get along in society …”

What is interesting about this Empty Boat  find  is that it magically (maybe even synchronistically) revealed itself after this “gem” from Merton: “… Solitude is not found so much by looking outside the boundaries of your dwelling, as by staying within. Solitude is not something you must hope for in the future. Rather, it is a deepening of the present, and unless you look for it in the present you will never find it …” … as an exquisite underscoring of the real treasures that lie “within” … and that they are invariably, if not inevitably, found in solitude … when the depth of the “present” reveals itself endlessly …

The gifts of solitude are mysterious indeed! …

solitude present chuang tzu merton
In the spirit of that magic, today we offer the gifts that can be found – some claim are inherent – in Chuang Tzu’s “Empty Boat” … so, pause … take a moment … read … reflect … pause again .. and see what is revealed 🙂

Empty Boat: The “Gateway” to “Perfection” ?
. . .
The way to get clear of confusion
And free of sorrow
Is to live with Tao
In the land of the great Void.

If a man is crossing a river
And an empty boat collides with his own skiff,
Even though he be a bad-tempered man
He will not become very angry.
But if he sees a man in the boat,
He will shout at him to steer clear.
If the shout is not heard, he will shout again,
And yet again, and begin cursing.
And all because there is somebody in the boat.
Yet if the boat were empty.
He would not be shouting, and not angry.

If you can empty your own boat
Crossing the river of the world,
No one will oppose you,
No one will seek to harm you.
. . .

“… Such is the perfect man: His boat is empty …”

empty boat chuang tzu merton
. . .
Who can free himself from achievement
And from fame, descend and be lost
Amid the masses of men?
He will flow like Tao, unseen,
He will go about like Life itself
With no name and no home.
Simple is he, without distinction.

To all appearances he is a fool.
His steps leave no trace. He has no power.
He … has no reputation.
Since he judges no one
No one judges him.
Such is the perfect man:
His boat is empty.

~ Chuang Tzu (via The Way of Chuang Tzu by Thomas Merton)

=== ==== ===

2023/04/18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eBook : King, Ursula: Amazon.com.au: Books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eBook : King, Ursula: Amazon.com.au: Books








Christian Mystics: Their Lives and Legacies throughout the Ages Kindle Edition
by Ursula King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3 out of 5 stars 57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16.40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136.64
1 New from $136.64

Introduces sixty men and women whose great devotion and mystical relation to God transformed the times in which they lived and continues to affect our search for spirituality today.



Print length

226 pages


Kindle Monthly Deals
New deals each month starting at $1.49. Learn more

Review


'Ursula King has succeeded admirably ... with a sure grasp of the subject and a clear prose style, she takes us on a journey through the lives and works of some of the great spiritual teachers of the Church.' - Church Times

'This is an excellent book for the reader new to the field and a good refresher for those more familiar.' - The Scientific and Medical Network

'Attractive and stimulating ... This is an invaluable introduction to a highly complex subject. It is succinctly written ... [and] is an ideal introduction for students and those interested in this rich tradition.' - Theology



'Ursula King has succeeded admirably ... with a sure grasp of the subject and a clear prose style, she takes us on a journey through the lives and works of some of the great spiritual teachers of the Church.' - Church Times--This text refers to an alternate kindle_edition edition.
About the Author
Ursula King is Professor Emertius in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Bristol. Widely known internationally, her many publications include several books on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women in world religions. She now works freelance on comparative spirituality, interfaith dialogue and wider issues of religion and gender. --This text refers to an alternate kindle_edition edition.


Read more

Product details
ASIN ‏ : ‎ B00CTPUJIM
Publisher ‏ : ‎ Paulist Press™ (22 May 2013)
Language ‏ : ‎ English
File size ‏ : ‎ 523 KB
Text-to-Speech ‏ : ‎ Enabled
Screen Reader ‏ : ‎ Supported
Enhanced typesetting ‏ : ‎ Enabled
X-Ray ‏ : ‎ Not Enabled
Word Wise ‏ : ‎ Enabled
Sticky notes ‏ : ‎ On Kindle Scribe
Print length ‏ : ‎ 226 pagesBest Sellers Rank: 999,689 in Kindle Store (See Top 100 in Kindle Store)4,440 in History of Christianity (Books)
7,181 in Christian Church & Bible History
627,813 in Textbooks & Study GuidesCustomer Reviews:
4.3 out of 5 stars 57 ratings


Customer reviews
4.3 out of 5 stars



Report

Lissa U
4.0 out of 5 stars Good read!Reviewed in Canada 🇨🇦 on 16 February 2018
Verified Purchase

Wow, I didn't know much about mystics until I read this book! Good read!
Report

Stephen P. Smith
5.0 out of 5 stars God is joined to God`s creation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 on 24 August 2007
Verified Purchase

Technology offers the attraction for hot new inventions, and these can even seduce our nature into accepting change for changes's sake. And confronted with secular pretense and it is easy to miss the subtleness of mystical experience altogether. Ursula King's "The Christian Mystics" provides an account of this other activity that is possible to miss. The alternative activity cannot be dismissed easily seeing that King catalogues the life of numerous mystics, from early Christians (e.g., Clement of Alexandria, Origen) to those contemporary mystics (e.g., Simone Weil, Thomas Merton).

King (page 15) writes: "All mysticism is characterized by a passion for unity. To the mystic, true Being and Ultimate Reality are One. This can be experienced as both impersonal and personal, as Ground of Being, Ultimate Source, Perfect Goodness, Eternal Wisdom, Devine Love, God, or the Godhead. This Reality contains, yet transcends, everything there is. It is the One whom all is lost and all is found." Mystics share the same experiences, and as these experiences are common they provide a level of validity that is not so easily ignored.

I must comment here. God is not found separate from God's creation, God is with us. The dualism that finds God apart from our world, either coming from theists or atheists, does not find support coming from mystical experience. I need only point to King. The situation is reversed from dualistic constraints, it is mysticism that is open to scientific investigation of a kind proposed by Wallace in "The Taboo of Subjectivity".

King (page 19) writes: "Of Great importance also is the concept of God who is not simply One, Ultimate Reality or the Absolute, but a personal Being who yet transcends all notions of personhood found among human beings by forming a community of persons with the mystery of the Trinity."

King (page 80) writes of Hildegard of Bingen: "She describes her visions in terms of light, speaks of mystical rapture and prophecies, and expresses her passionate desire for God with great intensity. Her visions are marked by brilliant colors, her descriptions by apophatic negations."

King (page 109) quotes Meister Eckhart: "The union of God with the soul is so great that it is scarcely to believe. And God is in himself so far above that no form of knowledge or desire can ever reach him... Desire is deep, immeasurably so. But nothing that the intellect can grasp and nothing that desire can desire is God. Where understanding and desire end, there is darkness and there God's radiance begins."

King (pages 152-153) writes on St. Teresa of Avila: "For Teresa, mental prayer was the beginning of the path to new ways of understanding, to the tasting of deep mysteries of faith, which included the indwelling presence of the Trinity and of Jesus Christ in his humanity and divinity, as well as insights into sin and grace, the Church and the sacraments. Her visions were both spiritual and physical, and she eventually experienced the grace of perfect union with Christ so that she became inseparable from him `as when a little stream enters the sea'."

King (page 235) writes on Pierre Teilhard de Chardin: "As a child he had experienced a deep sense of oneness with nature, later followed by mystical experiences linked to `vast open spaces' of sea and desert, to the riches of fossil life and the vibrant energy of cosmic evolution. All these made him ecstatically perceive `that through all of nature I was immersed in God.' For him Jesus `comes to us clothed in the glory of the world.' "

Trinity finds agreement with the Advaitic experience. King (page 241) writes: "Swami Abhishiktananda's experience included the belief that there is an Advaitic dimension, an experience of deep, underlying unity, in Christianity itself which must be recovered." On page (242): "He realized a profoundly personal synthesis of Hindu-Christian spirituality in his own life."

King (page 247) writes: "Reading the stories of past Christian mystics, it is remarkable how often mystical experiences of union and communion occur through intimate contact with nature, with the haunting beauty of its myriad forms of life. Hildegard of Bingen saw God's fiery essence in the beautiful meadows and waters, the blossoms, fruits and breeze, but also the sun, moon and starts, whereas Fracis of Assis spoke to the animals and praised Brother Sun."

King (page 248) writes on the basic message of all mystics: "Divine radiance, light and life suffuse all there is. It is for us to accept this, and just let be or, in the words of the Christian mystics, to conform our will to God's will."

Disclosure: My agenda is declared in my profile.
Read less

9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wandering monk
4.0 out of 5 stars Mysticism in a Nutshell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 on 20 July 2006
Verified Purchase

Writing a book on the history of Christian mysticism would be a daunting task for any historian, because everyone is looking for something different. This book delivers neat, concise and well written mini biographies of the famous and infamous mystics of ancient, Western, Eastern and modern Christianity. Each installment gives you enough information to get you interested to study further, but not too much to make you bored. I recommend this book for all levels of mature readers.

5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2023/04/08

아카이브 - 톰 라이트의 신학의 기여와 문제점

아카이브 - 톰 라이트의 신학의 기여와 문제점

톰 라이트의 신학의 기여와 문제점
dschoiword댓글 0
 

톰 라이트 신학의 기여와 문제점

      

이승구 (합동신학대학원 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현존하는 영국 신학자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고 논란의 중심이 되어 있는 복음주의적 신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성공회(Church of England) 덜햄의 감독(Bishop of Durham)인 톰 라이트(Nicholas Thomas Wright)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1948년 12월 1일에 노떰벌랜드(Northumberland) 모르페뜨(Morpeth) 출생으로 1968년에 옥스포드의 엑스터 컬리쥐(Exeter College)에 입학하여 고전학(Classic)을 공부하고 1971년에 우등으로 문학사 학위를 받고(BA with First Class Honours), 위클리프 홀에서 영국 교회의 사제가 되는 과정을 하여 1973년에는 신학으로 문학사 학위(BA in theology with First Class Honours)를 하고, 1975년에는 석사 학위(MA)를 받고, 옥스퍼드의 멀톤 컬리쥐(Merton College)의 Junior Research Fellow, Junior Chaplain(1975-1977), 그리고 캠브리쥐의 다우닝 컬리쥐(Downing College)의 연구원(Fellow)과 Chaplain을 하면서 옥스퍼드에서 박사 과정을 하여 1981년에 옥스퍼드에서 바울 신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한 후에, 카나다 맥길 대학교의 신약학 조교수(1981-86), 다시 옥스퍼드 올세스터 컬리쥐(Worcester College)의 연구원(fellow), Tutor, Chaplain, 그리고 옥스퍼드의 신약학 Lecturer를 하고서(1986-1993),리취필드대성당(Richfield)의 지방 부감독(Dean,1994-1999),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의 신학자(canon theologian, 2000-2003)로 있다가 2003년에 덜햄의 감독(Bishop of Durham)으로 임직하여 섬기고 있고,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그가 다음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리라고 생각하므로 그는 현재 영국 성공회 신학을 이끌고 가는 매우 중심적 인물 중의 한사람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톰 라이트는 성경을 신뢰하고 성경에 근거한 작업을 하므로 자유주의적이기보다는 복음주의 신학자로 보는 것이 옳고, 그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큰 기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는 바로 20세기 말과 21세기 초라는 맥락에서 성경을 존중하는 신학적 입장을 분명히 하며 성경신학적인 작업을 하려고 한 것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긍정적 기여 속에 칭의 문제를 비롯한 몇 가지 문제들에 대한 그가 가진 독특한 입장의 표명으로 복음주의 권에서 상당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복음주의적 이해를 풍성하게 되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또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복음주의를 모호하게 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톰 라이트의 복음주의적 기여가 크면 클수록 그의 독특한 입장은 그 자신이 의식하지 않은 채 (아니면 그가 의식하는 것일까?) 복음주의에 큰 파괴력을 지닌 공격이 될 수도 있게 된다는 말이다. 이 발제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독특한 입장을 지닌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와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작업을 해 보기로 한다. 
      
I. N. T. Wright의 신학적 기여 
      
수 없이 많은 다양한 신학적 사조들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서 성경과 복음주의적 입장에 반하는 사조들이 주도적인 20세기 말과 21세기 초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톰 라이트의 신학적 기여로 말할 수 있는 점은 수없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 나는 특히 (1) 성경을 신뢰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점, (2) 성경의 역사성을 믿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 (3)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점, (4) 성경신학적 작업을 하여 신약과 구약을 항상 연관시키면서 이해하도록 한 점, 그리고 (5) 신약 성경적 하나님 나라 이해에 근거한 신학을 잘 제시하고 있는 점 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세 가지 복음주의적 기여와 두 가지 성경신학적 기여라고 묶어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성경을 신뢰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점 
      
라이트가 성경을 신뢰하고 있으며 그런 태도를 신학을 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그는 복음주의자이다. 이 점은 부인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강조되어야 할 점이다. 그는 자신에 대한 사람들의 비판을 의식하면서 “자신이 심령 깊은 곳으로부터 그리고 평생을 성경에 헌신하고 있으며 오직 성경의 원리에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아주 명백하게 말하면서 “교회가 성경을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따라서 사는 만큼 교회의 예배와 설교와 공동생활이 더 잘 이루어 질 것”이라고 한다. 라이트는 “성경으로 성경 되게 하는” 것에 큰 관심이 있다. 그는 성경이 말하는 바를 매우 중요시한다. 특히 “바울이 실제로 말하는 바”를 중요시하면서 논의해야 하지 않느냐고 여러 곳에서 말한다. 그는 “참된 복음주의자들은 성경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구나 라이트는 많은 신약 학자들이 바울의 저작이 아닌 것으로 여기려고 하는 에베소서나 골로새서도 바울의 저작으로 여기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면서 자신의 논의를 할 정도이다. 물론 그는 이 문제에 모든 것을 걸지는 않고, 다른 가능성을 열어 두면서 논의하고 있다. 그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적어도 그는 아주 공공연히 에베소서조차도 바울의 저작으로 여기는 입장에서, 그리고 골로새서를 바울의 것으로 보면서 논의하고 있다는 점은 그가 얼마나 복음주의적인지를 잘 나타내 보여 준다고 여겨진다. 
      
(2) 성경의 역사성을 믿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 
      
여러 다른 측면에 대해서도 그리하였지만 특히 예수님의 부활의 역사성을 분명히 하고 이에 대한 복음주의적 입장을 확고히 하는 데 라이트는 큰 기여를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그 누구도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증거들을) 만들어 낼 수 없다”고 말한다. 예수님의 말씀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부활을 기대 하지 않았었는데, “예수님은 참으로 죽은 자들로부터 살아 나셨다.” 그래서 라이트는 “만일에 (그리스도의 부활)을 제거해 버린다면, 신약 성경 전체와 대부분의 2세기 교부들도 같이 상실하게 될 것이다”고 단언한다. 더구나 기독교가 처음부터 믿어 온 부활은 “공간과 시간을 차지하는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몸(a body in the sense of a physical object occupying apace and time)의 부활”이므로 우리는 부활 때에 옛 자료들(the old material)로부터 창조되었으나 새로운 특성을(new properties) 가지는 그와 같은 변화된 몸(a transformed body)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한다. 라이트는 부활에서 우리가 가지게 될 "변화된 신체성"(transformed physicality)을 강조하면서 “transphysicality”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라이트는 부활에 대한 수정주의적 제안들은 모든 설명력을 상실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는 이와 함께 역사와 역사 연구에 대해서 상당한 함의를 지닌 말도 하니 그것은 “과학은 반복될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고,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라는 말이다. “역사는 한번, 그리고 유일회적으로 일어난 것들로 그득하다”는 말도 한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가 성경 기사에 충실하여 부활과 승천이 각기 일어난 사건이지 그 둘을 하나로 섞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매우 분명히 한 것도 성경이 언급하고 있는 각각의 사건들의 역사성을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큰 기여이다. 라이트는 예수님께서 하늘에서도 "철저히 몸을 가진 상태"(in his thoroughly embodied risen state)에 계심을 매우 분명히 말한다. 
      
(3)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점 
      
라이트는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아주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신앙 자체가 성령님의 부르심의 첫 열매”라는 라이트의 선언은 인간이 스스로의 힘으로 신앙을 가지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가 교회는 예수님이 아니고, 성육신의 연장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은 우리 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명확히 하는 일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을 만한 것이다. 
      
(4) 성경신학적 작업을 하여 신약과 구약을 항상 연관시키면서 이해하도록 한 점 
      
이는 성경신학자로서의 라이트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점점 분과화를 지향해 가는 일이 많은 중에 라이트는 신약을 연구할 때 구약적 배경을 분명히 하는 작업을 하고, 특히 새언약을 아브라함 언약과의 연관성 가운데서 설명해 보려는 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라이트는 계속해서 우리의 신학적 작업에서 창조로부터의 역사와 특히 이스라엘의 역사를 측면적인 것(sideline)으로 취급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는 점을 지적한다. 그는 이스라엘의 오랜 역사가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목적의 역사의 한 부분임을 강조하면서 구약과 신약을 계속 연결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언약 신학을 잘 전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성경 해석에서의 언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학자도 드물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런 강조점은 잘 개발되기만 한다면 세대주의적 이해를 잘 극복하게 하는 좋은 논의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성경신학적 기여는 결국 언약 신학적 기여라고 할 수도 있다. 
      
(5) 신약 성경적 하나님 나라 이해에 근거한 신학을 잘 제시하고 있는 점 
      
그 과정에서 라이트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언약이 어떤 정확에 들어섰는지를 분명히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스도 사건이야 말로 그의 책 제목이 잘 드러내듯이 언약의 극치(the climax of the covenant)인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아브라함에게 약속했던 세계만민이 언약의 복에 참여 하는 하나님 백성이 되었는지를 라이트는 잘 제시하고 있다. 큰 이야기(metanarrative)의 틀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서 라이트는 구약과 신약에 이르는 “창조와 언약의 이야기”(a grand story of creation and covenant)라는 메타-내러티브를 아주 분명히 각인시키고 있으며,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임하여 왔으나 그리스도의 재림에서라야 극 극치에 이르게 되는 신약적 하나님 나라 개념에 충실한 신학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이미와 아직 아니”라는 틀로 주어진 하나님 나라의 틀을 아주 자명한 것으로 여기며 신학하는 학자들이 점증하고 있는 것은 매우 의미심장하다고 여겨진다. 라이트도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소망이 “나사렛 예수의 삶에서 이미 우리에게 임하여 왔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한다. “나사렛 예수는 단순히 새로운 종교적 가능성이나 새로운 윤리나 새로운 구원의 길만을 도입해 들이신 것이 아니라, 새로운 피조계를 가져오신 것이다.” 예수님이 메시야이시므로 “하나님의 새로운 세대가 결국 현세 안으로 뚫고 들어 온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부활에서 “하나님의 새로운 피조계가 시작된 것이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런 하나님 나라적 이해에 근거해서 라이트는 매우 옳게도 우리 구원의 궁극적 목적이 단순히 죽어서 “하늘”(heaven)에 머무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 같이 변화되고 영광스럽게 된 몸으로 변화되어 적극적으로 주를 위해 사는 데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라이트는 참으로 하나님 나라적 신학을 위한 좋은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우리는 톰 라이트의 신학적 작업이 얼마나 복음주의적인지를 살폈다. 이 모든 점에서 그는 다른 어떤 이들이 하기 어려운 큰 기여를 복음주의 권에 하고 있는 것이고,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성경신학적 작업에도 큰 기여를 했으며 지속적으로 그런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에 우리가 고찰하려고 하는 몇 가지 점에서 아주 독특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복음주의에 대한 그의 큰 기여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복음주의권에 큰 논쟁의 중심이 되어 있다. 가장 심각하고도 중요한 문제인 칭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부터 라이트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기로 하자. 
      
II. N. T. Wright의 문제점 (1): 칭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 
      
톰 라이트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그가 전통적 복음주의자들과는 상당히 다른 칭의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아 질 수 있다. 사실 이는 복음주의 자체를 위협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여겨진다.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제임스 던(James D. G. Dunn)이 1983년에 그렇게 명명했다고 하고 (또한 던은 톰 라이트가 던 등이 앞자리에 있던 청중 앞에서 행한 1978년 틴델 하우스의 한 발제에서 그런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고 하는데), 여턴 그들을 따라 많은 이들이 그렇게 부르고 있는 소위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학파와 라이트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이미 이 논의가 30년이나 지난 오늘날에는 전혀 새 관점은 아니고, 이미 수많은 분들이 다양하게 비판한 소위 제2 성전 시대의 유대주의(second temple Judaism)와 바울에 대한 독특한 해석과 관점이다. 
      
물론 라이트는 자신이 샌더스(E. P. Sanders)와 던(J. Dunn) 등이 말하는 견해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음을 여러 곳에서 분명히 밝히고 그들과 자신의 입장을 차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샌더스의 바울에 대한 이해는 혼동되어 있고(muddled) 명확성이 떨어진다(imprecise)고 라이트는 말한다. 특히 샌더스의 주장에는 주해적 명료성이 결여되어 있고 주해적 근거지음이 부족하다고 한다. 또한 제임스 던은 바울의 기본적인 언약 신학을 전혀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그의 전형적인 개신교적 반성례주의는 로마서 6장의 핵심을 놓치게끔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기독론과 로마서 7장의 의미, “그리스도 신앙”(pistis Christou)의 의미에서 자신과 던의 30년간의 계속되는 논쟁을 언급하기도 하고, 근자에는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포수기 문제에 대한 입장의 차이와 논쟁을 언급한다. 
      
특히 라이트 자신의 독특한 관심과 관점이 샌더스가 이 문제에 대한 중요한 저서인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주의』를 출판하기 이전, 자신의 옥스퍼드에서의 박사 학위 논문 탐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아주 분명히 제시한다. 그는 자신이 샌더스나 던 등에게서 이런 관점을 배운 것이 아니라 성경에 순종하여 “바울의 생각을 바울을 따라서 생각하려는” 투쟁에서 가지게 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샌더스와 던에 대한 라이트의 이런 언급을 보면서 우리들은 새로운 관점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므로 새 관점들의 다양한 형태들을(types of New Perspective) 나누어 고찰해야 한다는 것, 다른 말로 하여 “단일한 새로운 관점”(the new perspective)이 있다기 보다는 “일련의 다양한 관점들”(a disparate family of perspectives)이 있다는 점에 동의함을 밝힌다. 
      
그러나 샌더스와 던 등과 자신의 차이를 분명히 한 후에도 소위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 nomism)에 대한 입장에서는 아주 이상하게도 톰 라이트 자신이 공공연하게 이 분들과 비슷한 주장을 하고 있으므로 (라이트 자신이 기꺼이 인정하듯이) 각기 다른 다양한 새 관점들을 하나로 묶는 어떤 특성이 있다는 점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라이트는 유대주의에 대한 샌더스의 설명이 좀 더 다양한 뉴앙스를 염두에 두고 고쳐져야 한다고는 보지만 전통적 바울 이해에 대한 “새 관점의 도전은 다소간 확고히 수립된 것으로 보여진다”는 입장을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라이트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입장에 서는 것이다. 이를 잘 살펴 본 많은 분들은 라이트가 사실 새 관점을 일반적 대중들에게 적극적으로 널리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므로 그는 새 관점을 지켜보는 객관적인 평가자이기 보다는 새 관점을 더 좋은 것을 만들어 특히 복음주의자들에게 널리 보급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라이트는 샌더스의 책을 읽을 때 샌더스가 라이트 자신이 바울에 대해 이해를 통해 생각하고 있던 바를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교의 입장에서 여러 방면을 통해 지지해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샌더스의 기본적 주장은 1세기 유대교는 율법주의적이지 않은(a nonlegalistic)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 nomism)를 가지고 있었다, 즉 은혜로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 들어가서(“getting in") 율법에 대한 순종의 행위로 언약 안에 머무른다는("staying in) 것을 주장하는 입장을 지녔다는 것이다. 샌더스에 의하면, “바울에게서도 유대교 문헌에서와 같이 선한 행위들은 (언약) 안에 머무르는 조건(the condition of remaining in)이지, 그것으로 구원을 얻는 것은(earn) 아니다”는 것이다. 라이트는 이런 샌더스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바울 시대의 유대교는 행위로 구원을 얻는다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하며, 바리새인인 사울은 당대의 많은 유대인들과 같이 이스라엘이 아직도 포수기 상태에 있었고 하나님께서 악을 파괴하시고 이스라엘을 빛나게 드러내실 날이 다가 오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바울이 회개하였을 때 바울은 율법을 지킴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구원관으로부터 구원관을 바꾼 것이 아니라, 이제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서 하나님이 포수기에 있는 이스라엘을 참으로 해방하시는 일을 하셨다고 믿게 된 것이라고 라이트는 말한다. 즉, 부활과 함께 오는 세대(the age to come)가 이미 왔으므로 이제 기존에 믿고 있던 바에 따라서 이방인들을 추수할 때가 이른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새관점 학파는 바울의 이전 사상과 이후 사상의 연속성을 좀더 강조하여 보려고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라이트는 바울의 글에서 “율법의 행위”(the works of the law)는 그것을 행함으로 공로를 얻는 도덕적 행위가 아니고 그 행위를 행함으로 이교도들과 대조되어 규정되는 유대인의 율법적 행위들이라는 던(Dunn)의 제안이 아주 옳다고 말하며 이는 자세한 주해를 통해 확언되었고, 이를 부인하려는 여러 시도들은 다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라이트는 또한 던에게 동의하면서 바울의 글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의”라는 말이 “하나님 자신의 약속,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이라고 말한다. 라이트가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은, 그 자신이 잘 밝혀서 명확히 하고 있듯이, 샌더스나 던의 영향을 받아서 그리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독특한 성경 해석을 한 것에 근거해서 라이트 자신도 결과적으로는 새 관점 학파에 동의하는 말을 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라이트로 하여금 칭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칭의는 “한편으로는 언약의 관점에서, 또 한 편으로는 법정의 (하나님의 최후 심판은 큰 법정 상황과 같을 것이고, 이 법정에서 이스라엘에 승소하게 되는 상황과 같은 것이다!) 관점에서 보는(seen from the point of view) 구속과 구원의 큰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 그런 의미에서 라이트는 칭의는 구원론에 대한 것이기 보다는 교회론에 대한 것이며, “누가 (구원받은 자들 안에) 있느냐를 말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라고 말한다. 
      
이런 라이트의 생각은 그가 바울의 글을 읽을 때 그가 하나님의 최후 심판이 삶 전체를 가지고 하시는 것이라는 것을 이것은 다른 말로 해서 “행위에 근거해서” 하시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과 연관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이트는 로마서 14:10-12, 고린도 후서 5:10에서 바울이 아주 분명하게 “행위에 근거한 심판”을 말한다고 한다. 또한 고린도 전서 3장의 교회 건축자들에 대한 무서운 구절에서도 이를 확언한다고 하며 이 주제에 대한 주된 구절은 로마서 2:1-6이라고 한다. “오직 율법을 행하는 자라야 의롭다하심을 받으리니”라고 말하는 로마서 2:13절 말씀을 매우 강조하면서 바울이 여기서 행위로 말미암는 칭의를 진술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로마서 2:7의 말씀인 “참고 선을 행하여 영광과 존귀와 썩지 아니함을 구하는 자에게는 영생으로 하시고”라는 말도 이는 이런 자들이 마지막 날에 의롭다 함을 받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한다. 전통적 해석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실상 그렇게 율법을 지켜서 의롭다함을 받을 존재가 없다는 해석은 다른 해석들과 같이 이 구절들에 대한 주해에 의해서 견지될 수 없다고 라이트는 주장한다. 그리하여 라이트는 전체 삶에 근거하여 하나님께서 공개적으로 선언하실 것을 현재 칭의는 믿음에 근거하여 선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로마서 2장과 3장의 연관성을 생각하며 로마서 3:9, 10의 명백한 선언을 생각할 때 라이트의 이런 주장이 오히려 정당한 주해적 근거를 가지지 못하거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이 라이트의 칭의 개념이 잘못된 형식적 이유라고 여겨진다. 하나님의 칭의를 주로(mailnly) 그리고 일차적으로 미래 심판으로부터 이해하므로 하나님은 행위에 근거하여 칭의하신다고 주해하는 경향을 그가 가지게 된 것이다. 라이트는 이를 “종국적 칭의”(the final justification)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서 이를 선취하여 적용시킨 것을 “현재적 칭의”(the present justification)라고 한다. 
      
또한 이런 논의 과정에서 라이트는 내용적으로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주장하는 다른 학자들과 같이 그리스도께서 적극적으로 얻으신 의를 믿는 자들에게 전가하신다는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그는 이런 생각이 “의로운”(righteous)이라는 말이나 “의”(righteousness)라는 말을 잘못 사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전가 개념을 거부하면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라는 용어는 바울에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그 개념은 있다”는 패커의 말을 라이트가 인용하면서 바울의 전가를 말하는 것은 성경에 충실하지 않은 것임을 패커 같은 이도 인정하고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일은 매우 의아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그 동안에 신학에서는 그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하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라이트가 비판하려고 인용하고 있는 것이 라이트의 지나치게 현학적이려는 논의의 문제점을 잘 드러내어 준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공로로 얻으신 의의 전가를 거부하는 것에 라이트와 다른 새 관점 학파 학자들의 칭의 개념의 근본적 내용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행위를 가지고 심판하신다는 이 계속되는 라이트의 주장은 사람들로 하여금 라이트가 “반-펠라기우스주의적”(semi-Pelagianian) 주장을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들 스스로의 힘으로 하나님 보시기에 선한 것을 낼 수 없어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와 성령님의 능력으로 어떤 선행을 한 것이 마지막 날에 그에게 공로로 여겨진다는 것이 바로 천주교회적 “반-펠라기우스” 사상이 주장하는 바였기 때문이다. 라이트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약속의 성취에로 받아들여진 자들이 이 땅 가운데서 성령님의 은혜로 하나님 보시기에 선한 일을 행한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하는 것 같다. 이 점에 대해서 부인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그가 이를 강조하기 위해 성경을 주해하고 그 결과를 표현해낸 방식은 전통적 “반-펠라기우스”주의자들이 표현한 방식과 일치한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그런 현상 앞에서 라이트가 자신을 “반-펠라기우스”주의자가 아니라고 하려면 적어도 자신의 주해 방식과 궁극적 표현 방식을 고쳐야 할 것이다. 
      
(과연 어떤 것이 정당한 표현일까? 성경에 대한 바른 주해에 근거한 정통 개혁파적 이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사람들은 이 땅 가운데서 성령님의 능력 가운데서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뜻에 부합한 바를 향해 나아가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런다고 해도 그것은 하나님 앞에 공로가 되지 못한다.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해서 하는 일이기에 공로가 되지 못한다. 더구나 그것들조차도 다 부패한 인간성으로 물들어 있는 것이니 그런 일들도 공로가 되지 못하고 따라서 그 자체만으로는 그 누구도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함을 받지 못할 것이다. 최후의 심판대에서도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헌신적으로 산 사람들 조차도 그들의 행위에 근거해서가 아니라 오직 십자가 공로만으로 공적으로 의롭다함을 선언 받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믿음으로 이미 의롭다함을 받았으므로 이미 받은 그 칭의를 공적으로 선언하시는 것이 최후의 심판의 의미이다. 
      
이 세상에서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은 사람들이 성령님의 능력으로 하나님 앞에 선한 일을 하게 되나 그것도 부족하여 오직 십자가의 공로에만 근거하여 공적인 칭의 선언이 최후 심판에서 울려 퍼질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적 이해에서는 이신칭의를 중심으로 보고 이미 믿음으로 받은 칭의를 최후의 심판대에서 공적으로 선언하는 것을 말한데 비해서, 라이트는 무게의 중심을 미래 심판으로 보고 그로부터 현재의 칭의를 "미래에서 발생할 칭의의 현재적 선취"로 표현하는 것이다. 바른 신학적 구도가 유지된다면 이 표현 자체는 별 문제 될 것이 없으나 라이트의 무게의 중심을 미래에로 옮기는 성향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개혁자들은 그렇게 될 때 칭의와 성화가 혼동이 일어 날 것을 우려하여 천주교회의 칭의를 뒤로 미루어 이를 의화(義化)로 이해하려는 것을 경계하면서 항상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를 강조했던 것을 생각할 때, 라이트의 이런 표현 방식은 개혁자들의 의도와 배치되는 면이 많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자신의 이해에 따라서 라이트는 칭의의 의미를 전통적 개념을 떠나서 자기 나름대로 정의한다. 여기서도 그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많은 혐의제기(charge)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트는 바울에게서 구원론적으로 중요한 개념이 “부르심”이라고 보면서 “그에 의해 죄인들이 우상들로부터 돌이켜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라는, 죄로부터 떠나 그리스도를 따르라는, 죽음에서 떠나 예수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리신 하나님을 믿으라는 왕의 소환명령 같은 부름을 받는 것에 따라 나오는 어떤 것”이라고 정의하려고 한다. 즉, 라이트는 칭의를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나온 사람의 삶의 결과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하시는 판결(the verdict which God pronounces)이라고 정의한다. 다른 말로 하면 “성령의 능력 안에서 어떤 사람이 산 전체 삶에 근거해서 미래에 일어난다”고 한다. 그는 심지어 “바울에 의해서 재 정의된 대로의 행위에 근거해서 칭의가 일어난다고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는 (칭의가 미래와 현재에 두 번 일어난다는 그의 말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우리가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미래의 심판으로부터 칭의라는 용어를 이해하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칭의라는 용어 보다는 vindication이라는 말을 선호한다. 그리고 vindication은 부르심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렇게 미래로부터 거꾸로 볼 때에 우리는 이 선언이 무엇이며 왜 바울이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를 주장하는 지를 잘 알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우리는 위에서 칭의를 최후 심판과 일차적으로 연관시키는 이런 이해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를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라이트의 칭의 이해는 칭의를 “무엇인가를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보다는 법정적 선언, 즉 선언적 말(a declarative word)과 법정의 언어(lawcourt language)로 본다는 점에서는 종교개혁적 용례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일차적으로 미래 심판과 연관시키는 것에서 그가 칭의의 종교 개혁적 의미를 떠나는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이 점을 떠나서 “하나님의 죄 용서에 대한 선언과 언약의 성원됨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은 궁극적으로 두 가지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은 개혁신학에서 항상 강조되어 오던 바이므로 이는 (라이트 자신의 주장과는 달리) 라이트가 새롭게 제안 하는 것이 아니고 성경을 잘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오랜 이해인 것이다. 특히 칭의에서 죄용서와 입양을 같이 다루어 죄 용서를 소극적 칭의로 말하고 입양을 적극적 칭의로 말하던 전통을 생각해 보라.) 
      
또한 어떤 점에서는 라이트가 바울에 대한 옛 관점이 보지 못하고 새 관점이 가지는 장점이라고 말한 바는 필자가 보기에는 꼭 새 관점을 가져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는 “옛 관점에서 전혀 볼 수 없었고 몇몇 현대 바울 학자들이 강력하게 발견해 준 것이 배후의 기사,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하나님과 아브라함, 하나님과 언약 백성에 관한 이야기에 대한 바울의 감각과 바울이 말하는 바와 같이 때가 찼을 때에 그 이야기가 그 극치에 이른 방식에 대한 이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해는 새 관점을 가지고서야 마침내 얻게 될 수 있는 이해라고 하기 어렵다. 성경신학적 이해를 가진 사람들은 누구나 바울의 생각 배후에는 그런 기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전제하며 논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라이트가 이런 기사적 이해를 리쳐드 헤이스(Richard Hays)에게서 매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은 좋은 점이지만 리쳐드 헤이스에게서 처음으로 이런 기사적 접근이 나타난 것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이런 기사적 배경은 바른 성경신학을 하는 분들은 누구나 전제로 하든지, 더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이 점을 중심으로 강조하기 원했다면 라이트는 굳이 오해받을 수 있는 새 관점적 입장을 취하여 자신의 입장을 표현 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문제는 근원적으로 자기 나름의 독특한 성경 해석에 사로잡혀서 전통적 성경 해석에 대한 비판이 너무 크게 나타나게 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대개 이렇게 할 때 주해적으로 필연적 경우가 아니라면 이런 해석도 옳고, 저렇게 볼 수 있는 가능성도 용인해야 하는데, 주해와 논의의 과정에서 그것을 놓치는 데서 문제가 발생한다. 사실 라이트는 새로운 관점과 입장을 같이 하기 위해서 성경이 칭의에 대해서 말하는 문맥이 개인이 하나님과 바른 관계에 있게 됨(individual sinners being put right with God)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여러 번 언급한다.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로마서 3:21-31의 문맥에서 바울은 개인의 하나님 앞에서 바르게 됨을 말하는 것이 아니니 만일 바울이 그런 말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면 29절은 유대인과 이방인 문제를 다루는 구절이 갑자기 들어오게 된 것으로 여기게 된다고 말한다. 
      
오히려 바울은 아브라함과의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성, 유대인과 이방인이라는 모든 죄인들로부터 하나님께서 어떻게 단일한 언약적 가족을 창조하시는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이 그 중요한 문제를 다르면서도 동시에 개인이 어떻게 칭의함을 받는 가의 문제가 같이 다루어지고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라이트는 바울은 그런 개인의 칭의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함으로 종교개혁적 해석이 지나치게 나아갔다는 시사를 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갈라디아서 2:11-21에서도 라이트는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어떻게 사람이 그리스도인이 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누구와 식탁 교제를 해야만 하느냐의 문제라고 말하고 있는데, 비록 바울의 주된 논의는 식탁 교제 문제일지라도 그것은 이방인이 율법과 상관없이 하나님 백성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함의하므로 바울의 논의 중에 두 가지 문제에 대한 함의를 다 찾을 수 있다. 그런데도 라이트는 자신의 논의를 위해서 바울의 중심 논의만을 중심으로 논의하여 다른 한쪽의 논의가 함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이런 것이 극단적으로 드러난 예로 라이트가 전현 쓸데없는 “이것이야 저것이냐”(either/or)를 제시하면서 자신이 말하는 것만이 옳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그는 “우리는 이신칭의를 믿는 믿음을 통해서 의롭다함을 받는 것이 아니라, 복음 자체를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는다”고 말한다. 또 다른 곳에서는 “복음은 - ‘이신 칭의’가 아니라, 예수에 관한 메시지이다. 따라서 복음은 의, 즉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을 드러내어 주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나는 이런 식의 논쟁을 위한 논의가 무슨 유익을 주는지 모르겠다. 라이트가 이신칭의가 복음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그가 왜 이 둘 다를 같이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런 논의가 가져 올 종교 개혁 자체를 파괴할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대립을 시도하는 것이 안타까운 것이다. 라이트가 교회는 바울의 칭의 이해를 이천년 동안 오해해 왔고, 로마서를 어떻게 사람이 그리스도인이 되느냐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읽으려 하는 것은 로마서를 수백년 동안 왜곡시킨 것이라고 말하는 것도 이와 같은 “불필요한 ‘이것이냐-저것이냐’”를 도입하여 우리를 오도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접근 가운데서 가장 큰 문제는 자신이 새롭게 해석한 성경 해석이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라고 생각하면서 비록 자신이 루터와 칼빈이 내용적으로 말하는 바와는 반대의 이야기를 하지만 자신의 입장이 루터와 칼빈이 말한 “오직 성경”의 원리에 충실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결과를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야말로 톰 라이트가 복음주의권에 가장 큰 손상을 끼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로 하여금 복음주의적 가르침과 다른 가르침을 하여도 그것이 복음주의에 충실한 것일 수 있다는 인상을 주고, 소위 전통적 복음주의적 주장을 하는 분들은 자신들이 오직 성경에 충실하다고 하지만 사실은 오직 성경의 원리에 충실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신칭의”와 같이 교회가 그와 함께 서고 넘어지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런 인상을 주게 되면 전통적 의미의 이신칭의 주장이 그른 것이라는 시사를 주는 것이므로 라이트 등은 자신들의 의도에 반하여 종교개혁을 무색하게 하는 결과를 내게 되는 것이다. 라이트는 중세기 신학자들의 의에 대한 너무나 지나친 집중 때문에 개혁자들이 한쪽으로 너무 나아가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로 나아가게 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바울 자신이 말하는 바를 왜곡시켰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렇게 말하는 라이트 자신이 개혁자들의 말과 바울의 말을 왜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라이트 자신은 자신의 입장에 대해서 “반-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라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 매우 의아해 한다. 자신은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왜 사람들이 이런 비판을 하는 지를 잘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바울이 칭의가 (비록 “바울에 의해 재정의된 의미에서”라는 덧붙이고 있지만) “행위에 근거하여 미래에 일어난다고 했다”고 말할 때에 과연 어떤 반응이 일어 날 것인지를 많이 생각하지 않든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이런 선동적인 용어를 써서 표현하는 듯하다. 전통적 이신칭의 개념을 모호하게 하여 천주교적 해석이 옳을 수 있거나 하나의 해석으로서의 정당한 자리를 가질 수 있다고 할 토대를 마련하는 그의 작업과 그 결과에 대한 불안이 이런 비판을 낳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가 자신의 비판적인 입장이 종교개혁의 “전통 가운데서 비판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권리”(the right to stand critically within a tradition)를 강하게 요청할 때, 한편으로는 그럴 권리를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또 한편 그가, 전혀 다른 의도에서라도, 종교개혁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주해적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그의 논의와 비판적인 대면(critical confrontation)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III. N. T. Wright의 문제점 (2): 지옥 이해와 하늘 이해와 관련된 문제 
      
“지옥”(Gehenna)에 대한 라이트의 이해는 어떤 점에서는 칭의에 대한 이해보다 좀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라이트가 한편으로는 “게헨나” 즉 “지옥”(hell)에 대해서 이것은 개념이 아니라 장소(a place)라고 말하는 점에서는 좋으나, 그가 이렇게 말할 때 그는 “지옥”이라는 장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예루살렘 옛 도시 남서쪽 밖에 있는 골자기의 쓰레기더미 장소, 즉 힌놈의 골짜기(Ge Hinnom)만을 생각하면서 말하고 있다는 것이 문맥상 매우 분명하다. 그러므로 지옥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눅 13:3, 5)의 의미는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그와 같이 멸망하리라”는 것이라고 라이트는 설명한다. 또한 이 논의를 할 때 라이트가 말하는 바는 우리를 좀더 긴장시킨다. 그는 지옥에 대한 논의를 하면서 “하나님 나라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이 땅에서가 문제이다 다른 곳에서가 아니고.”라는 말을 하고 있는데, 그가 지옥이나 하나님 나라 논의가 이 땅에서의 우리의 삶을 중요시하는 것이라는 정도로만 말하는 것인지, 그 이상의 함의를 지닌 말인지가 더 이상 논의가 있지 않아 알 수는 없으나 우리를 긴장시키기에는 매우 중요한 진술이라고 여겨진다. 더구나 자신이 지옥에 대한 전통적 이해와 멸절설의 견해의 장점들을 연관시킨 또 다른 안을 제안한다고 하면서 시사하는 것은 우리를 더욱 의아하게 만든다. 
      
라이트는 사람들이 끝까지 참 하나님을 섬겨가지 않으면 그들은 점점 더 이상 하나님을 반영하지 않는 존재가 되어 간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그들은 죽음 이후에 그들은 “자신들의 유효한 선택에 의해서 이전에는 사람이었으나 더 이상 사람이 아닌 존재, 더 이상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지 않은 존재가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들은 몸의 죽음과 함께 희망도 없고(beyond hope) 동정도 없는(beyond pity) 상태에로 나아가게 된다”고 한다. 이전에 사람이었던 사람들이 이제는 더 이상 의미 있는 방식으로 창조주를 반영하지 못하게 되므로 스스로나 다른 이들로부터도 이 세상의 그 어떤 흉악한 범죄자에게 대해 나타나게 되는 동점심도 유발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라이트의 요점은 이전에 사람이었던 사람들이 없어지지는 않으나 더 이상 인간이 아닌 상태로 있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그 형벌이 어떤 것이지를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라이트는 이런 자신의 설명이 전통적 이해와도 다르며 멸절설과도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라이트가 한편으로는 이전에 인간이었던 존재가 멸절하게 된다는 개념도 배제하고, 또 한편으로는 우리의 지옥 이해에서 중세의 아름다운 성안에 있는 고문실(the torture chamber)이나 현대의 아름다운 들 한복판에 있는 수용소(concentration camp) 개념을 배제시키려고 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이를 피하여 가려고 그가 제안하는 것이 과연 성경이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인지, 또한 그가 제시하는 것이 과연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있을지 잘 모르겠다. 
      
라이트는 이런 제안이 매우 새로운 것이라는 것을 잘 알면서 이런 제안을 한다. 그런데도 자신이 신약 성경과 이 세상의 실재에 대한 인식 때문에 이런 논의에로 나아가게 된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라이트에게 있어서 지옥은 과연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질문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그가 요한 계시록을 말하면서 생명수가 성 밖으로 흘러 나간다는 표현에 주의하면서 “여기에는 큰 신비가 있고, 하나님의 궁극적 미래에 대한 우리의 말에는 이에 대한 여지가 있어야만 한다”고 하고,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말한 모든 것을 의문시하게 만들어서는 안 되지만 “하나님은 항상 우리를 놀라게 하시는 하나님(the God of surprise)”이시라고 할 때, 우리는 더욱 큰 의혹을 가지게 된다. 그가 이와 같은 식으로 말한 것이, 또한 그가 이에 대해서 자신의 입장을 더 분명히 해 주지 않는 것이 상당히 안타까울 뿐이다. 
      
“하늘”에 대한 라이트의 설명은 여러 해석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강하게 지적할 수는 없고 또 어떻게 보면 지옥에 대한 라이트의 생각보다는 문제가 덜 하지만, 라이트가 “하늘”(heaven)을 “우리의 일상적 삶의 또 다른 숨겨진 차원”(the other, hidden, dimension of our ordinary life)인 “하나님의 차원”(God's dimension)이라고 말할 때, 또한 예수님의 승천을 “하나님의 공간”, 즉 “하늘"(heaven)로 사라진 것이라고 말할 때, 혹시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말하고 있는 라이트가 죽은 후부터 재림 때까지의 상황에 대해서는 혹시 적극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인가 하고 그런 표현에 대해 상당히 긴장할 사람들도 상당히 있을 수 있다. 하늘과 땅이 하나님의 선하신 창조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차원”이라고 하면서, 따라서 그 “하늘”은 땅과 접선적으로(tangentially) 연관되어 있어서 하늘에 있는 사람은 이 땅에 어디에나 모든 곳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고 할 때에 우리는 그의 진정한 의도에 대해서 의아함을 가지게 된다. 
      
이 문제에 대한 라이트의 독특한 이해는 그로 하여금 “두 가지 다른 공간, 두 가지 다른 물질”, 따라서 “두 가지 다른 시간”이라는 말을 하게끔 한다. 특히 두 가지 다른 시간 등으로 나아 갈 때 다른 신학자들이 이런 개념을 사용하면서 아지 이상한 길로 나아 간 것을 보면서 라이트가 의도하지 않은 오해가 나타난 위험성이 잠재되었을 수도 있음을 생각하면서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물론 다른 곳에서 예수님의 부활로 말미암아 오게 된 유대적 희망의 변화를 말하면서 누가복음을 인용하며 “낙원은 부활 이전에 하나님의 백성이 안식하는 복된 정원”이라는 말을 하고, 예수님께서 언급하신 하늘의 거할 곳(a temporary lodging)을 연관시키고 바울이 말하는 죽은 후에 주님과 같이 있는 상태를 말하기에 그렇게 심각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런 의미를 전달하려면 위에서 “하늘”에 대해 말한 바를 좀 수정하는 것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성도들이 죽은 후에 하나님의 사랑을 의식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을 의식하면서 안식적 행복의 상태에서 몸의 부활의 날을 기다린다고 하며, 그런 상태를 “하늘”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다고 하면서도 신약 성경은 일반적으로 그렇게 부르지 않으며 “하늘”(heaven)이라는 용어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왜 그 상태를 “하늘”로 부르는 것을 그가 어려워하는 지 잘 이해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사실 그 자신도 어떤 때는 “하늘 또는 낙원에 있는 교회”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면서 말이다. 그러므로 “하늘” 용어 사용에 있어서 라이트는 좀 일관성이 없는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적어도 그는 “지옥”과 “하늘” 용어 사용에 있어서 동료 복음 주의자들을 상당히 긴장시키는 시사들을 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IV. N. T. Wright의 문제점 (3): 다른 문제들 
      
이외에도 라이트는 여러 점에서 아쉬운 점과 안타까운 점을 드러내어 주고 있다. 라이트가 예정에 대해서 성경에 있는 바를 하나님의 주권과 연관하여 언급하면서도 바울이 그 어디서도 이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고 하면서 가장 가깝게 다루는 것이 로마서 9장인데 여기서도 바울은 문제를 진술하는 것뿐이고, 에베소서 1:3-4의 말씀은 설명이기 보다는 찬양일 뿐이라고 언급하고 지나가는 것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그러므로 그가 로마서 8:29-30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예지에 근거한 하나님의 주도권을 말할 때 그가 말하는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가 잘 드러나지 않게 되고 만다. 필자가 보기에 그는 의도적으로 이 점을 명확히 말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떤 곳에서는 여러 가지를 다 생각하거나 언급하면서 말해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오직 자신이 선택하여 중요한 것으로 언급하고 있는 하나만을 가지고 그것에만 집중하면서 자신의 논지를 펴고 있다. 예를 들어서, 바울 이전부터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가 참으로 메시야라고 믿고 확언했다는 중요한 주장을 하면서 그 근거를 “바로 그의 부활 때문에”라고 말하고 있는데, 물론 이는 옳은 것이지만 그 논의 양식에 있어서 예수의 메시야 됨의 근거를 부활에만 근거지우는 것은 여러 다른 증거를 무시하고 부활 만에 모든 것을 집중시키는 문제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수님의 부활의 실제성을 강조하려고 하다가 때때로 “인간 예수”(the human Jesus)를 강조하면서 표현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이 혹시 그가 그리스도를 이해 할 때에 인간 예수 + 신성 식으로 이해하지나 않는가 하는 오해를 낳을 수도 있기에 좀더 주의하였다면 좋았을 표현이라고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라이트가 연옥(purgatory)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논박하고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현재의 삶이 연옥의 기능을 하게끔 되었다는 것을 바울이 여러 곳에서 명확히 한다고 하고, “연옥의 신화는 현재에서 미래로 투사된 알레고리”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 어떤 면에서는 불안하다. 이런 말들이 천주교가 말하는 연옥이라는 곳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 천주교에서 교황 베네딕트 16세라고 하는 라칭거가 한 바와 같이 연옥 용어를 유지하되 그 의미를 바꾸는 결과와 비슷한 것이 되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것이다. 라칭거는 고린도전서 3장을 주해하면서 주님 자신이 심판의 불이라고 하면서, 최후의 심판 순간에 그가 우리를 영광스럽고 부활한 몸으로 변화시키 것이라고 하면서 그것이 불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것이 고린도전서 3장에 대한 잘못된 주해임이 분명하다면, 라이트가 왜 연옥을 현세와 연관시키면서 논의하고 있는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차라리 좀더 개혁적이 되어 이 모든 용어를 버려버리는 것이 라이트 자신이 그토록 강조하는 성경에 더 충실한 것이 아닌가? 
      
이렇게 되었기에 그는 아주 의식적으로 개혁자들에게 반하여 죽은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것과 그들과 함께 기도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 두려고 하고 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될 수 있는 생각이 아닐 수 없다. 그 바로 뒤에 하늘에 있는 이들이 이 땅을 사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는 성경적 교부적 증거를 찾아보지 못했다고 하면서도 왜 우리가 그들과 함께 그들을 위해 기도할 수 있는 여지는 말하는 것인지 매우 의아스럽다. 만성절(All Saints Day)와 이를 연결시켜 생각하는 면에서 이는 다음에 언급할 그의 성공회적 의식에서 나온 생각인 듯하다. 
      
또한 라이트의 성공회적 배경이 그의 주해를 일정한 방향으로 몰아가게끔 하는 면도 있다. 그는 세례 문제에 있어서는, 매우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학자들과는 좀 달리, 좀더 고교회적인 성공회 신학자들과 함께, 마치 세례에서 메시야와 함께 죽고 그와 함께 살아나는 일 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말하곤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특히 로마서 6장에서의 바울의 말에 대한 바르고 정확한 이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로마서 6장에 의하면, 하나님께서 세례 받은 그리스도인을 볼 때 하나님은 그/그녀를 그리스도 안에서 보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리스도의 vindication 안에서 보신다, 즉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살아 난 것으로 보신다.” 그리고 이것이 크리소스톰과 어거스틴, 그리고 심지어 루터의 이해였다고 하면서 이를 다른 분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매우 기뻐하고 있다. 
      
어떤 곳에서는 충분히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는 데서도 자신의 생각에 빠져서 다르게 볼 수 있는 여지를 놓치고 있는 듯이 보이는 부분도 있다. 바로 앞서 언급한 로마서 6장과 관련해서 라아트는 그렇게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얻으신 공로로 옷 입은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하는 것과 다른 곳에서 바울이 말하고 있는 그리스도의 공로로 옷 입은 것으로 보고 있다는 말을 함께 적용하지 못할 이유가 없어 보이는 데도 라이트는 굳이 바울은 여기서 그리스도의 공로로 옷 입었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말을 강조하고 있다. 라이트가 그렇게 말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은 “의로운” 이라는 말고 “의”라는 말의 잘못된 사용일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칭의를 그리스도께서 얻으신 의의 전가로 생각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야 말로 선입견 때문에 전통적으로 생각해 왔던 일반적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또 다른 예를 들어서, 라이트는 한 곳에서 “바울과 묵시자 요한은 단순히 구원 받은 것이나 죽은 자들로부터 일으킴을 받은 것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에 대한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통치에 참여하는 것에 큰 강조점을 둔다는 사실을 많은 교의학자들이 아직 잘 다르지 않은 요점”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과연 이렇게 단순하게 말할 수 있을까가 의문스럽다. 개혁신학적 전통 내에서 이미 이를 점들은 언급한 많은 교의학자들은 라이트의 이런 주장에 그저 미소로 응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라이트의 언약 신학적 기여와 관련해서 그가 언약적 주제를 매우 강조하면서도 17세기 우리 선배 언약 신학자들이 심혈을 들여서 주해하여 정리해낸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의 구별을 라이트 자신은 아주 명확히 하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비평적 언급도 하고 지나가는 것이 옳을 것 같다. 
      
V. 결론 
      
우리가 이 발제에서 간단히 살펴 본 바와 같이 톰 라이트는 매우 크고 중요한 복음주의 신학자이다. 그만큼 복음주의적 주장(case for evangelicalism)을 우리 시기에 잘 하고 있는 신학자도 드물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는 큰 인물이다. 예를 들어서, (물론 서로 다른 학문 분과에 속한 두 사람을 비교한다는 것이 이상하기는 하지만) 학계의 분위기를 살펴본다면 (톰 라이트가 자신의 칭의 이해의 변호를 위해 그의 칭의론 책을 기쁜 마음으로 인용하고 있는) 알리스터 맥그라뜨(Alister McGrath)가 복음주의에 대해 한 기여보다 톰 라이트가 한 기여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복음주의에 대한 라이트의 기여가 크면 클수록 칭의 문제나 부활 문제나 지옥 문제 등에 대한 그의 독특한 입장 표명은 복음주의에 그만큼 큰 손상을 가하게 된다. 
      
나는 톰 라이트와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이 점을 잘 의식하였으면 한다. 라이트 자신은 자신이 바울의 말하는 바에 충실하며, 바울의 생각하는 것을 따라서 생각하며 극점을 자신이 표명해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자신의 이 논의를 따라 오지 않는 것을 매우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우리는 신학을 한 시대를 대상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 모두를 의식하면서 하는 것이다. 라이트는 미래는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평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지금 그가 논의하는 것은 결국 성경에 충실하려는 개혁자들의 논의 방식을 사용해서 개혁자들의 논의 내용을 부정하는 것이 되며 이는 결국 종교 개혁이 내용적으로는 잘못된 것이거나 지나친 것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것이라는 점을 라이트 등은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 주해의 과정과 결과만 가지고도 항상 라이트 등이 말하는 것과 같은 주해를 해야 할 이유가 없다. 라이트 자신도 자신의 주해가 최소한 20%는 틀릴 수 있으며 따라서 자신의 입장을 변경할 수 있다는 태도를 가진다. 이런 점들에 대해서 우리는 서로 열려진 논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그 논의의 과정에서 라이트 등은 다른 주해 내용을 가지고서 종교 개혁자들의 논의와 그 주장 내용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러면서 자신은 오직 성경에 근거해서 작업하고 주장하는 것이니 자신이 개혁자들의 의도에 충실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가 종교 개혁적 “이신칭의” 내용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보면 내용을 상당히 왜곡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가 성경 주해에 근거해서 작업하는 것에 대해서는 높이 사면서도 20% 틀릴 수 있는 주해 결과를 가지고 종교 개혁 시대의 종교 개혁에 반대하는 분들의 결론과 비슷한 결론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라이트의 복음주의에 대한 기여가 크면 클수록 그는 복음주의에 해를 가하는 결과를 내게 된다고 말했던 것이다. 이는 라이트만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가 주의해야 할 일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종교 개혁의 형식적 원리인 성경에 충실할 것과 함께 종교 개혁의 내용적 원리인 개혁자들이 이해한 이신칭의 교리에도 충실해야만 한다는 것을 항상 유념해야 할 것이다. 라이트에게 아쉬운 점이 바로 이점이다. 부디 라이트가 종교 개혁의 형식적 원리에만 충실하지 말고 그 내용적 원리에도 충실할 날이 오기를 원한다. 
      
또한 라이트의 논의는 주로 자신의 논점을 밝히는 것으로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많은 분들이 그의 칭의 이해가 가져 올 함의를 의혹에 차서 질문하는 데 그에 대해서는 별로 많은 논의를 하지 않는다. 지옥 등에 대한 우리의 논의에 대해서도 그저 자신의 논의만을 변증하며 나아가는 방식으로 반응할 때 우리의 의혹은 해소되지 않고 증폭해 갈 것이고, 대화의 의미를 잘 발견해 갈 수 없을 것이다. 
      
그대로 몇 되지 않는 복음주의자들 사이에 칭의나 지옥, 하늘 등과 같이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식으로 학문적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안타깝다. 라이트 등이 이런 점을 의식하면서 학문적 작업을 하여 준다면 그는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성경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는 방식으로 학문하여 그가 바라는 대로 교회를 유익하게 하는 학문적 작업을 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디 그런 날이 속히 올 수 있기 원한다. 
      
논 평 
      
이승구 교수의 논문에 대한 논평 
      
안명준 교수(평택대학교, 조직신학) 
      
지금 세계는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으로 깨어짐의 현상으로 우리를 찌르고 있다. 이런 흐름은 기독교라는 공동체 안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고 우리 신학자들의 임무는 현재의 인간들의 모습 속에서 성경을 통하여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정직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선포해야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로마 카톨릭교회가 신학자 라찡거를 교황으로 만들었듯이 이젠 성공회에서는 한참 돌풍을 일으키는 신학자 N.T. Wright가 켄터베리 대주교의 강력한 후보로 거론되어 진다는 점이다(S. G. Lee). 
      
본 논문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있는 신학자 Wright에 대한 정직한 긍정적인 평가와 그가 주장의 문제점들의 핵심을 학문적 비판에 있어서 최고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아쉬운 점들 
      
A. 내용의 분배 문제 
      
(1)과 (2)항목에 비해 (3)항목은<구원에서의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점>
약 5줄 정도로 매우 짧게 서술되었는데 좀더 충분한 설명이 있으면 한다. 
      
B. 글쓰기에 조심할 점들 
      
전문 학술적이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표현이 약하게 서술된것이 있다. 
      
1)괄호처리의 문제점과 성경을 잘 사랑하는 신학자들, 생각해 보라, 관주 80번 본문중 내용 설명에서
(이 점을 떠나서 “하나님의 죄 용서에 대한 선언과 언약의 성원됨에 대한 하나님의 선언은 궁극적으로 두 가지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은 개혁신학에서 항상 강조되어 오던 바이므로 이는 (라이트 자신의 주장과는 달리) 라이트가 새롭게 제안 하는 것이 아니고 성경을 잘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오랜 이해인 것이다. 특히 칭의에서 죄용서와 입양을 같이 다루어 죄 용서를 소극적 칭의로 말하고 입양을 적극적 칭의로 말하던 전통을 생각해 보라.) 
      
2)가끔 문장의 표현에 어려움을 본다. 예를들면 관주 34에서 표현이 "또 한 편으로는 자신이 이런 용어를 만든 것에 대해서 그리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느낀다고 말한다." 
      
3)수정할 곳
전현을 전혀로 바꾸어야 한다. 라이트가 전현 쓸데없는 “이것이야 저것이냐”(either/or)를 
      
C. 질문 
      
1)라이트가 진정한 의미에서 복음주의자인지 아니면 성경을 강조하는 복음주의적인(case for evangelicalism) 신학자인지 아니면 복음에 대한 신학자로서 어느 정도로 말해야 하는지 질문하고 싶다. 일반적으로 볼때와 중요한 교리로서 이신칭의과 같은 교리를 달리하는 경우에 어떻게 그를 평가해야 할지 궁금하다. 
      
2)후에 라이트를 한국에 초청해서 Debate를 할 의향은 없는지 묻고 싶다. 
      
귀중한 공헌들과 교훈은 
      
라이트의 공헌과 문제점을 공정하게 다루었다. 
      
라이트의 문제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논문을 전개시킨점이 명쾌한 논문이 되게했다. 논평자로서 신학적 평가에 전적으로 동의를 표하는 바이다. 
      
관주의 사용에 있어서 자신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관련된 참고문헌에 대하여 친절하게 소개하고 있다. 
      
라이트의 논의 방식에 대한 해부로서 칭의에 대한 라이트의 주장의 논리가 (either/or) 방식으로 보았다. 
      
이승구교수는 신학자들의 주장은 성경에 더 충실해야 함을 말한다. 예를들면 종말론(the God of surprise)과 관련하여 연옥교리와 부활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다.       
 
성공회 신학자 라이트의 교리와 로마 카톨릭교회 신학자 출신 라칭거를 비교하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관찰이다. 예를들면 라칭거가 연옥 용어를 유지하되 그 의미를 바꾼 것과 동일하게 라이트도 그런 위험에 쳐할수 있다고 지적한 점이다. 
      
"라이트 자신이 그토록 강조하는 성경에 더 충실한 것이 아닌가?" 
      
죽은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것과 그들과 함께 기도할 수 있는 여지를 에 대해서도 신학자의 신학적 배경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성경을 바르게 해석할 것을 지적한다. 
      
신학자의 방법은 자신의 환경에 지나친 의식속에서 성경에 대한 왜곡이 나올 수밖에 없는데 이런 성공회적 신학의 전제가 세례의 설명에서 잘 나타난 문제라고 올바르게 비판하였다. 
      
본 논문은 세계적인 신학자의 장점을 솔직하게 인정하면서도 기독교의 교리들을 평가하는데 (N.T. Wright ... the right to stand critically within a tradition) 있어서 신학자들은 성경적인 근거에 자신의 주장을 조심스럽게 점검해야 할 것과 성경적인 사고에(S. G. Lee . . . Calvin and the Reformed Theologians, more biblical understanding) 근거하여 신학의 임무를 수행하려는 새로운 신학의 조류를 어떻게 역평가해야 (S. G. Lee, 비판적인 대면, critical confrontation) 하는지에 대하여 하나의 귀중한 모델로서 신학자들에게 큰 도전을 주고 있다. 
      
이젠 한국 신학자들이 시대의 신학적 Trend를 무분별하게 스펀지처럼을 흡수하는 import! theology(S.G. Lee, merely a retropective attitude)도 아니며 반대적으로 배타적인 성향으로 거부하는 토속신학으로도 기독교 신학의 주체가 될수 없다. 성령의 역사함에서 나오는 성경적 신학만이 하나님의 공동체를 가르치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게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 신학의 미래가 더 나아가 역사적 전통적 참된 기독교 신학의 밀가 Prof. S. G. Lee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서 올바른 길을 갈 것이다. 
      
유태화(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1. 들어가는 글 
      
최근 바울신학의 논쟁의 한 중심에 있는 라이트의 신학세계를 이승구 교수님의 수고를 통하여 둘러보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논의를 요약한 후 몇 가지 질문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논문의 요약 
      
이 교수님은 논문을 두 큰 구도로 정리하였습니다. 신학적 기여와 관련된 것이 하나이고, 문제점과 관련된 것이 다른 하나입니다. 전자와 관련하여, ①성경을 신뢰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 ②성경의 역사성을 믿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 ③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주도권을 잘 드러낸 것, ④성경신학적 작업을 하여 신구약을 항상 연결하여 보도록 한 것, ⑤신약 성경적 하나님 나라 이해에 근거한 신학을 잘 제시한 것을 들었습니다. 후자와 관련하여, ①칭의 이해와 관련한 문제, ②지옥 이해와 하늘 이해와 관련된 문제, ③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불충분한 설명, ④부활에 있어서, 인간 예수라는 표현을 따로 사용하는 점, ⑤연옥에 대한 불분명한 설명, ⑥죽은 자들을 위한 기도에 대한 개방적 태도, ⑦의식으로서의 세례와 신비적 연합과의 일면적 일치를 드러내는 점, ⑧그리스도의 의의 전가에 대한 명확치 못한 태도와 같은 것을 꼽았습니다. 이 교수님은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포괄적으로는 새 관점의 핵심적 관심사를, 특정해서는 라이트의 신학이 내포한 두 면을 비교적 객관적 자세를 유지하면서 잘 소개해주셨습니다. 
      
3. 논평 및 질문 
      
3.1. 논평 
      
이 교수님이 이 논문에서 상당히 많은 주제를 언급하였습니다만, 주된 논의는 라이트의 칭의 이해에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종교개혁자들의 신학과의 관계에서 이들이 주장하는 것의 새로운 측면이 무엇이지 잘 볼 수 있도록 생산적인 봉사를 하였습니다. 칭의 개념이 형성되는 배경에 대한 소개로부터 글을 시작함으로써 독자가 자연스럽게 새 관점의 주장을 포괄적으로 살피도록 돕고, 또한 핵심적 논점이 무엇인지 집중해서 보도록 하는 배려를 해주었습니다. 즉, 칭의의 현재적 측면과 미래적 측면을 구별하는 것의 문제, 칭의를 개인의 구원이 아닌, 교회의 화해를 위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의 문제를 분명하게 드러내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런 논의를 통해서, 라이트가 결과적으로 반-펠라기우스주의에로 돌아선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적 목소리를 냈는데, 이 점에서 상당히 신중하면서도 핵심적인 비판을 제기했다고 생각됩니다. 
      
칭의 문제 이외의 다른 문제 제기에 대하여도 전반적으로 동의가 되지만, 소개된 내용으로만 보아서는 라이트의 주장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파악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만일 이 교수님이 파악한 내용이 실제로 그러하다면, 라이트가 신학 작업을 경계선상에서 수행하는 그런 성향을 가진 신학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이 교수님이 이 글 앞부분에서 라이트를 지나치게 호의적으로 평가한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3.2. 질문 
      
①이승구 교수님은 언약적 신율주의에 대한 새 관점주의자의 논의를 진술하면서 (물론 문맥상으로 보면, 칭의 개념을 비판하기 위한 사전 논의로 보이기도 합니다만) 별다른 판단을 내리지 않았는데(8), 이에 대한 개인적인 입장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②현재적 칭의와 미래적 칭의 사이를 지나치게 구별하는 라이트의 견해를 비판하면서(9), 이는 의의 전가 개념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이 교수님은 비판적 입장을 제기하였습니다. 물론, 논평자도 새 관점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또한 전가의 개념이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라는데 원칙상 동의합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그리스도의 공로로 얻으신 의의 전가를 거부하는 것에 .... 칭의 개념의 근본적 내용적 문제가 있다”는 이 교수님의 진술(10)과 함께 떠오르는 논평자의 질문은, 과연 바울의 신학에서 “그리스도의 공로로 얻으신 의의 전가”라는 개념을 발견할 수 있는지 (물론 개혁파의 전통에서는 그리스도의 수동적 순종과 능동적 순종에 근거해서 그러한 신학적 판단을 내리기는 합니다만), 아니면, “의이신 그리스도와의 연합”에서 내려진 하나님의 법정적 판단인지, 하는 것입니다(고전 1:30, 롬 4:25). 
      
③칭의를 현재적 측면과 미래적 측면으로 구별하고, 미래로부터 칭의를 판단하려는(9) 라이트를 반-펠라기우스주의자로 규정하였는데(10), 만일 라이트가 믿음에 근거한 현재의 칭의와 미래의 전 삶에 대한 평가로서의 칭의 사이에 실제적 불연속성을 상정한다면, 달리 말하여, 실제로 현재 칭의된 자가 미래 칭의를 상실한다는 주장을 상정한다면, 반-펠라기안주의자인 것이 분명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분히 라이트는 부르심에 근거하여, 혹은 성령의 능력과 관련하여 현재와 미래적 삶을 언급한다(11)는 점에서 칭의 개념이 상당히 모호한 것이 사실이기는 하나, 단순히 칭의의 미래적 측면을 말한다고 해서 그의 논의가 문제가 된다면, 그것은 조금 불편한 판단이 아닌가 싶습니다. 왜냐하면, 리처드 개핀 같은 이도 “‘믿음으로 칭의’되었고, 아직 ‘보는 것으로는’ 아니라는 사실”을 언급함으로써 칭의의 미래적 국면을 남겨두기 때문입니다. 물론, 개핀도 현재의 칭의와 미래의 칭의 사이에 급진적 불연속성을 상정하지는 않았습니다. 
      
4. 오자 및 띄어쓰기 
      
읽으면서 얼른 눈에 띄는 것만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4쪽 (5)에서 “언약이 어떤 정확에 들어섰는지”를 “언약이 어떤 정황에 들어섰는지”로 바꾸는 것이 옳지 않은지 싶습니다. ②4쪽 (5)에서 “언약의 복에 참여 하는”을 “언약의 복에 참여하는”으로 바꾸는 것이 옳지 않은지 싶습니다. ③5쪽의 “뚫고 들어 온 것이다”에서 “뚫고 들어온 것이다”로 바꾸는 것이 옳지 않은지 싶습니다. ④5쪽의 “점에서 찾아 질 수 있다”를 “점에서 찾아질 수 있다”로 바꾸는 것이 옳지 않은지 싶습니다. ⑤7쪽의 “뉴앙스”는 “뉘앙스”로 바뀌어야 하지 않은지 싶습니다. ⑥7쪽 밑에서 둘째 줄, “샌더스가 라이트 자신이 바울에 대해 이해를 통해 생각하던 바를”이라는 문장에서 “바울에 대해”가 “바울에 대한”으로 바뀌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싶습니다. ⑦14쪽 각주 95번 바로 다음에 “과연 어떤 반응이 일어 날 것인지”를 “과연 어떤 반응이 일어날 것인지”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⑧19쪽 첫 문장의 “그렇게 하는 것은 “의로운”이라는 말고 “의”라는 말의”에서 “말과”로 바꾸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싶습니다. ⑨각주 129번의 인용문 내용에서 “다르지”는 “다루지”로, 그 다음 문장에서 “이를”은 “이런”으로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5. 나가는 글 
      
학문적인 엄밀함과 함께 교회와 개혁교회의 신학을 사랑하는 마음이 동시에 묻어나오는 이승구 교수님의 좋은 글을 읽으면서, 학문하는 태도와 교회를 향한 자세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