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Hwa Yen Buddhism.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Hwa Yen Buddhism. Show all posts

2020/12/05

관음신앙(觀音信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음신앙(觀音信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음신앙(觀音信仰)불교개념용어
               관세음보살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신앙.
                보살신앙.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의견제시항목명관음신앙이메일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의견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첨부파일파일선택경주 석굴암 석굴 십일면관음보살상분야불교유형개념용어
              정의
            관세음보살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신앙.보살신앙.개설관세음보살을 일심으로 염불하여 현세의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영험을 얻고자 하는 신앙형태이다. 관세음보살은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관세음자재보살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관음보살이라고 부른다.일반 보살이 위로는 불도를 구하고 아래로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겠다는 서원을 가지는 데 대하여, 관음보살은 특히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서원으로 하는 보살이다. 이 보살에 대해서는 방대한 대승불교의 여러 경전 속에 거의 들어 있지 않은 곳이 없다고 할 만큼 널리 나타나 있다.우리 나라의 관음신앙은 주로 『화엄경』·『법화경』·『아미타경』·『능엄경 楞嚴經』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다. 『화엄경』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은 남쪽 바닷가 광명산(光明山)에 머물면서 대자비경(大慈悲經)을 연설하여 널리 중생을 일깨워 제도하고 있다. 대비법문(大悲法門)과 광명의 행을 성취하여 일체중생을 교화하고 성숙하게 하며, 항상 모든 부처님 처소에 머물면서 사섭법(四攝法)으로 중생을 받아들여 제도한다.또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어디에서나 중생과 같은 몸을 나타내어 감싸고 제도한다. 그의 서원은 오직 일체중생을 섭취함[攝取一切衆生]에 있다. 이는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험한 길의 공포, 어리석음의 공포, 얽매임의 공포, 죽음의 공포와 빈궁의 공포, 살해의 공포, 악도(惡道)의 공포, 윤회의 공포 등 모든 공포를 떠나게 한다.또 『법화경』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마음에 간직하고 염불하면 큰 불도 능히 태우지 못하고, 홍수에도 떠내려가지 않으며, 모든 악귀도 괴롭힐 수 없다. 칼과 몽둥이는 부러지고 수갑과 항쇄·족쇄는 끊어지고 깨어진다.또, 중생의 마음속에 있는 불안과 두려움을 제거하고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을 여의게 하며, 아들이나 딸을 바라는 이는 뜻에 따라 자식을 얻게 한다. 그리고 방편의 힘으로 33가지 몸으로 나타나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아미타경』에서는 아미타불의 왼쪽 보처(補處)로서 아미타불의 뜻을 받들어 중생을 보살피고 도와줄 뿐 아니라,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자들을 인도하는 구실을 담당하고 있다. 『능엄경』의 경우, 관음의 현세이익과 중생구제의 내용은 『법화경』의 설과 거의 같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에서 관세음보살을 원통교주(圓通敎主)라 칭하고 33응신(應身)이라 표현하는 것은 『법화경』이 아닌 『능엄경』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다.모든 경전에 나타나 있는 관세음보살의 공통점은 세상을 구하고 생명 있는 자들에게 이익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부처님의 절대적 자비심인 무연대비(無緣大悲)를 중생에게 베풀어서 모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권능을 실행하는 힘이 관세음보살이다. 그러므로 모든 불행한 중생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송하고, 항상 마음속에 새겨서 공경하고 예배하면 해탈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즉, 어떠한 고난이나 재액에서도 관세음보살을 칭념하면 반드시 해탈을 얻게 된다는 것인데, 그 칭념을 통해서 관세음보살과 중생은 일체감을 형성하고, 하나가 된 세계에서 자비로운 원력(願力)이 작용하여 소원을 성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관세음보살의 종류로는 성관음(聖觀音)·천수관음(千手觀音)·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마두관음(馬頭觀音)·준제관음(准提觀音) 등으로 분류되는 육관음과 이에 불공견색(不空羂索)을 더하여 칠관음이라 하며, 백의(白衣)·엽의(葉衣)·다라(多羅)·대세지(大勢至) 등의 각종 관음을 더하여 32관음·33관음이라고 하였다.이 가운데 성관음은 본신이고 다른 것은 보문시현(普門示顯)의 변화신(變化身)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관음신앙사를 통해서 볼 때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십일면관음과 양류관음(楊柳觀音)·천수관음이다.십일면관음11개의 얼굴을 가진 관세음보살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시대부터 관세음보살의 신앙과 함께 이 보살의 조상이 유행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석굴암의 조각상을 들 수 있다. 『십일면관음신주경 十一面觀音神呪經』에 의하면, 11면이란 본얼굴을 제외하고 머리 부분에 부가된 11가지 모습을 지칭한 것이다.경에는 머리 부분 전면에 3면이 있고, 그 좌우에 각각 3면, 그리고 후면에 1면, 정상에 1면을 가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석굴암 관음상처럼 부조로 나타낼 때는 전면에 화불(化佛) 1면, 좌우에 각 3면, 정상에 3면, 그 바로 뒤에 1면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는 부조의 경우 어쩔 수 없는 일반적인 형태이다.이 11면은 관세음보살의 다양한 기능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앞의 3면은 자상(慈相)으로서, 선한 중생을 보고 자심(慈心)을 일으켜 이를 찬양함을 나타낸 것이다. 왼쪽의 3면은 진상(瞋相)으로서 악한 중생을 보고 비심(悲心)을 일으켜서 고통에서 구하려 함을 나타낸 것이다.오른쪽의 3면은 백아상출상(白牙上出相)으로서 정업(淨業)을 행하고 있는 자를 보고는 더욱 정진하도록 권장함을 나타낸 것이다. 뒤의 1면은 대폭소상(大暴笑相)으로서 착하고 악한 모든 부류의 중생들이 함께 뒤섞여 있는 모습을 보고 이들을 모두 포섭하는 대도량을 보이는 것이다. 정상의 불면(佛面)은 대승근기(大乘根機)를 가진 자들에 대하여 최상의 진리를 설함을 나타낸 것이다.이 11면을 본얼굴과 합하면 12면이 된다. 이 12면 중 11면은 방편을, 본 얼굴은 진실을 상징하며, 11면은 중생의 교화를 위한 행위와 관련이 있고 본얼굴은 불변의 지혜를 상징하고 있다. 즉, 선한 중생을 교화할 때는 자상을 쓰고, 악한 중생을 교화할 때는 진상을 쓰며, 선악이 뒤섞인 중생들을 교화할 때는 대폭소상을, 정업의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는 백아상출상으로써 한다.그러나 이 사바세계에는 선한 중생이 적고 악한 중생이 많으므로, 먼저 진상으로 그들의 마음을 조복(調伏)하여 선심(善心)을 일으키게 한 뒤 자상으로써 그들을 교화한다. 그리고 한 중생을 교화함에 있어서도 정해진 일정한 상이 없다. 때로는 11면을 다 드러낼 때도 있고 1면만을 드러낼 때도 있다. 또, 불면은 1면, 자상과 진상과 백아상출상을 각각 3면, 폭소상을 1면으로 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 불면이 하나인 까닭은 과보가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자상이 3면인 까닭은 ① 고통만 있고 즐거움이 없는 중생에게 즐거움을 얻게 하려는 것이고, ② 복은 있지만 지혜가 없는 중생에게 지혜와 신통력을 갖추게 하려는 것이며, ③ 지혜는 있지만 통달하지 못한 중생에게 지혜와 신통력을 갖추게 하려는 것이다.진상이 3면으로 되어 있는 것은 ① 고통스러운 과보를 떠나려는 욕심 때문에 오히려 고통을 낳는 행위에 빠진 자를 보고 노하는 것이고, ② 즐거움의 과보를 받고자 하지만 즐거움의 원인이 되는 선행을 닦을 줄 모르는 자를 보고 노하는 것이며, ③ 적정(寂靜)한 이치를 구하려 하면서도 도리어 산란한 경계에 집착하고 있는 자를 보고 노하는 것이다.백아상출상이 3면인 것은 몸과 마음과 뜻의 삼업(三業)으로 아무런 죄를 짓지 않는 자의 청정함을 찬양하기 위함이다. 대폭소상은 선악이 뒤범벅된 뭇 중생들을 통틀어 비웃는 까닭에, 1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계는 자비의 등급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즉 불교를 가까이 하는 이들을 격려하기 위한 자비, 그들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설법, 그리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크나큰 자비의 단계를 보여 준다.우리 나라에 전래되는 십일면관음의 설화 중에는 신라의 국사 경흥(憬興)의 병을 고친 이야기가 널리 전승되고 있다. 삼랑사(三郎寺)에 머물러 있던 경흥은 갑자기 병이 들어 여러 달이 경과하였다. 하루는 여승이 나타나서 “경흥의 병이 근심으로 인해서 생긴 것이니 즐겁게 웃으면 나을 것”이라 하고, 열한 가지 모습으로 변하면서 춤을 추었다. 그 변하는 모습이 너무나 기괴하여 턱이 떨어질 지경으로 웃고 나자 경흥의 병은 나았다고 한다. 이 여승이 십일면관음의 화신이었다.버드나무 가지를 든 관세음보살로서 33응신 중 하나이다.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소원을 좇아 이루게 하는 것이 마치 버드나무 가지가 바람에 쓸리는 것과 같다고 하여 양류관음이라 하였다. 이 관음은 6세기 전기에 번역된 『다라니집경 陀羅尼集經』에서 최초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는 보통 바다 위에 떠 있는 연꽃모양의 대좌 위에 큰 원형 광배(光背)를 지고 서 있는 모습으로 많이 묘사된다.흩날리는 옷자락에 두 손에는 각각 감로병과 버드나무 가지를 쥐고 발 아래에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선재동자(善財童子, 일명 南詢童子)를 지긋이 내려다보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양류관음이 남순동자와 함께 묘사되어 있어서 민간에서는 남순동자를 관음이 점지하는 아들로 착각하고, 흔히 아들을 기원할 때 이 관음에게 기도하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이 남순동자는 보타락가산에서 관세음보살의 대비법문(大悲法門)을 경청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또한, 이 관음이 흰 옷을 입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는 백의양류관음이라고 부른다. 백의양류관음으로 유명한 작품은 15세기에 그려진 무위사(無爲寺) 극락전의 벽화와 해인사의 양류관음도가 특히 유명하다.천수관음27개의 얼굴과 천 개의 손, 천 개의 눈을 가진 관세음보살로서 천수천안관세음보살 또는 대비관음이라고도 한다. 육관음 중 두번째 관음이며, 온몸이 황금색이다. 그러나 조형 또는 그림에서는 천 개의 손, 천 개의 눈을 묘사하기 어려우므로, 줄여서 두 손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20개의 손을 묘사하고 손바닥마다 한 개의 눈을 나타낸다.이 40개의 손은 한 손마다 각각 25종류의 중생을 제도하므로 40×25의 천수가 되고, 따라서 눈도 천안이 된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큰 작용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특히 지옥의 고통을 해탈하게 하여 모든 소원을 성취시킨다고 한다. 천수관음은 654년에 한역된 『다라니집경』에서 나타나는데, 여러 관음들 중에서 가장 힘이 있는 수제자로 꼽히고 있다.우리 나라에서는 8세기경부터 천수관음이 널리 신앙되어 천수보살의 불화가 많이 그려졌다. 특히, 경주분황사(芬皇寺)의 천수관음도는 눈먼 아이의 눈을 뜨게 하는 기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고려시대 이후 천수관음에 대한 신앙은 『천수경』의 보급과 함께 더욱 보편화되었고, 천수주(千手呪)의 영험과 함께 그 신앙이 오늘날에까지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金渭錫」관음신앙의 역사1. 백제의 관음신앙우리 나라에 관음신앙이 전래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뿌리를 내린 것은 6세기 말경의 삼국시대로 보인다. 부여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에서 출토된 금동관음보살입상이 6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 뒤 7세기 초에 조성된 백제의 관음보살상은 현재까지 적지 않은 수가 전하고 있다.또, 제나라 육과(陸果)의 『관세음응험기』에 의하면, 백제 승려 발정(發正)이 502∼519년 사이에 중국으로 유학가서 30여 년을 머무르다가 고국으로 돌아오는 도중 월주지방(越州地方)의 관음도량을 참배하였다고 한다.일본측 사료에도 595년 백제의 공장(工匠)을 시켜 관음상을 조각하였다는 기록과 백제 사문 일라(日羅)가 583년에 일본으로 가서 일본의 쇼토쿠(聖德)태자와 관세음보살에 관해서 문답하였다는 등의 기록이 있다. 또한, 일본 백제사의 본존이 관음상인 것도 백제에 관음신앙이 성행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그리고 관음신앙의 중심경전이 『법화경』이라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현광(玄光)이 진나라의 혜사(慧思)에게서 『법화경』을 배우고 법화삼매를 증득하였다는 것과 무왕 때의 혜관(慧觀)이 『법화경』을 독송하였다는 것 등은 관음신앙의 유포를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임을 살필 수 있다. 고구려의 경우에는 고구려로 유학온 일본 승 행선(行善)이 고구려에서 관음보살을 염송하였다는 것이 일본의 기록에 나타나고 있을 뿐 그 밖의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2. 신라의 관음신앙신라의 경우에는 『삼국유사』에서 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소판무림은 관음상 천 부를 조성하고 아들 얻기를 기원하여 자장(慈藏)을 낳았다. 신라불국토설의 확립에 지대한 구실을 한 자장의 탄생설화에 관음신앙이 얽혀 있다는 점은 관음신앙이 불국토사상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신라에 크게 관음신앙을 확산시킨 고승은 의상(義湘)이다.의상은 당나라에서 귀국한 직후, 관음보살의 진신(眞身)을 친견하고자 동해의 관음굴로 가서 「백화도량발원문 白華道場發願文」을 짓고 관음기도를 했다. 발원문은 “세세생생 관음을 친견하기 위해서 귀명(歸命)하되, 관세음보살이 아미타불을 이마 위에 이고 계심과 같이 관음대성을 이마 위에 모시고 영원한 본사(本師)로 삼겠다.”는 신앙고백과, 일체중생이 관음의 이름을 생각하여 함께 원통삼매(圓通三昧)에 들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요지로 삼고 있다.기도한 지 7일 만에 좌구(座具)를 새벽 물 속에 띄웠더니 천룡(天龍) 등 8부신(八部神)이 관음굴 속으로 그를 인도하였다. 굴 속에서 공중을 향해 예배하자 수정 염주 하나가 손에 쥐어졌고, 동해용으로부터 여의주 한 알을 받았지만 관음의 진신은 친견할 수 없었다.다시 7일 동안 지극한 마음으로 염불, 정진한 뒤 관음진신을 친견하게 되었다. “쌍죽(雙竹)이 나는 곳에 불전을 지으라.”는 관음의 지시에 따라 의상은 낙산사를 창건하고, 친견한 진신의 모습과 같은 관음상과 수정 염주, 여의주를 불전에 모신 뒤 떠나갔다.뒤에 원효(元曉)도 관음진신을 친견하기 위해서 낙산사를 찾았는데, 도중에 원효는 벼를 베고 있는 흰 옷 입은 여자를 보았다. 희롱 삼아 그 벼를 달라고 하였더니, 여인은 벼가 열매 맺지 않았다고 희롱 섞인 대답을 했다. 또 가다가 다리 밑에 이르렀는데, 속옷을 빨고 있는 여인을 만났다. 원효가 먹을 물을 청하자 여인은 핏빛 어린 물을 떠서 주었다.그 물을 더럽게 여긴 원효는 냇물을 다시 떠서 마셨는데, 소나무에 앉았던 파랑새가 “제호(醍醐)를 싫다고 하는 화상, 제호를 싫다고 하는 화상”이라 하면서 조롱섞인 노래를 불렀다. 잠시 뒤 여자와 새는 사라지고 짚신 한 짝만 남아 있었다.낙산사에 도착한 원효는 관음상 밑의 냇가에서 보았던 것과 같은 짚신 한 짝이 있음을 발견한 뒤, 전에 만났던 여자가 관음의 진신임을 깨달았다. 후회와 함께 관음굴로 들어가서 진신을 친견하려 하였으나 풍랑이 크게 일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그 뒤 원효는 남해를 면(面)한 현재의 금산(錦山)이 관세음보살의 수월도량(水月道場)인 동시에 『화엄경』 보광전회(普光殿會)의 관음회상(觀音會上)임을 확신하고 이곳에서 기도를 올려 관음진신을 친견한 뒤, 683년에 절을 짓고 보광사라 하였다. 이 절은 현재 보리암(菩提庵)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우리 나라 3대관음성지의 하나이다.신라 관음신앙의 대표적인 영험담은 조신(調信)의 설화이다. 조신은 서라벌 세규사(世逵寺)에 속하여 있는 명주 장사(莊舍)의 관리인이 되었다. 이곳에서 고을 태수의 딸을 보고 애정을 느낀 조신은 애타는 마음으로 영험 있는 낙산사 관음보살에게 낭자와 부부연을 맺게 하여줄 것을 지성껏 빌었으나, 그녀는 얼마 뒤 다른 사람에게 시집을 갔다. 조신은 소원을 이루어주지 않은 관음보살을 원망하며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다가 관음상 밑에서 쓰러져 잠이 들었다.문득 낭자가 기쁜 얼굴빛으로 문을 열고 들어와서, 일찍이 조신을 사모하였으나 부모의 명으로 억지로 다른 사람에게 시집갔으나, 이제 그와 부부가 되고자 함을 고백하였다. 그 뒤 40년을 함께 살아 다섯 자녀를 두었지만, 가난 때문에 굶주림에 시달렸다. 10년 동안 거지생활을 하다가 명주 해현령을 지나는데, 굶주림에 지친 열다섯 살의 큰아이가 죽었다. 길가에 묻은 뒤, 우곡현에 이르러 초가를 짓고 살았지만, 그들 부부는 이미 늙고 병들고 굶주려서 자리에서 일어나지도 못했다.열살 된 딸아이가 얻어오는 음식으로 연명하였지만, 그 딸도 마을의 개에게 물려 자리에 눕게 되었다. 가족이 모두 울면서 옛 추억과 50년의 인연, 현실의 고통 등을 이야기하고, 부부는 각기 아이 둘씩을 데리고 헤어져 살자고 다짐하였다. 막 헤어져서 길을 떠나려 할 때 꿈을 깨었다. 아침이 되니 조신의 수염과 머리털은 모두 흰색으로 바뀌었다. 실제로 한평생 신고를 겪은 것처럼 세상사에 뜻이 없어졌고 탐욕의 마음도 없어졌다.이 설화에는 조신의 갈애(渴愛)를 꿈으로 풀어서, 인생이 긴 꿈임을 깨우친 것으로 신라 불교신앙의 특징을 뚜렷이 담고 있다. 현실에 대한 단순한 소원의 성취가 아니라, 정법(正法)에 근거를 둔 관세음보살의 참된 자비를 신라적으로 수용한 대표적인 예이다.3. 고려의 관음신앙고려 초기에는 금강산보덕굴에서 관음진신을 친견한 회정(懷正)이 강화의 보문사(普門寺)를 서해의 대표적인 관음기도처로 만들었다. 회정은 그곳의 굴에 봉안되어 있던 불상을 살펴보았다. 가운데 좌상은 석가모니불이고 좌보처는 미륵보살, 우보처는 제화갈라보살이었고, 나머지는 18나한상과 송자관음이었다.회정은 이 22존 가운데 3존불과 18나한은 굴 속에 모시고, 송자관음은 따로 관음전을 지어 모시게 한 다음 낙가산 보문사라 부르게 하였다. 이 송자관음에는 자식을 원하는 사람의 소망을 이루게 하는 신묘한 영험담이 많이 전하고 있다.또한, 1185년(명종 15)에 병마사 유자량(庾資諒)이 낙산사 관음굴 앞에서 분향, 배례하자, 청조(靑鳥)가 꽃을 물고 날아와서 갓 위에 떨어뜨린 고사가 전래되고 있는데, 지금도 이 낙산의 굴 앞에서 지성으로 예배하면 청조가 나타난다고 한다.특히, 고려시대의 관음신앙에서 주목되는 것은 충숙왕 때의 승려 요원(了圓)이 저술한 『법화영험전』이다. 수록된 100여 편의 영험설화 중 3편만이 신라와 고려의 영험담이며 나머지는 모두 중국인에 관한 것이지만, 이 영험전의 편찬은 당시의 관음신앙이 생활화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일례가 된다.이 영험전은 조선시대에도 보성 개흥사(開興寺), 고창 문수사(文殊寺), 안변 석왕사(釋王寺) 등의 사찰에서 재판되었는데, 이는 일반인의 생활 속에 관음신앙이 널리 유포되어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관음신앙은 또한 대비원(大悲院)·보통원(普通院)·제위보(濟危寶) 등 구호사업기관 운영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4. 조선의 관음신앙이성계는 왕이 되기 전에 큰 뜻을 품고 팔도의 명승지를 다니면서 기도를 올렸는데, 남해의 보광사에서 백일관음기도를 드린 뒤 꿈에 관세음보살로부터 금척(金尺)을 하사받았다. 등극한 뒤 태조는 불은(佛恩)에 감사하는 뜻에서 보광산을 금색 비단으로 둘러싸려 하였으나, 비단의 양이 엄청나고 오래지 않아서 썩게 된다는 신하의 말에 따라 산 이름을 금산(錦山)으로 바꾸어서 천만 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는 비단산으로 만들었다고 한다.1660년에는 이 절을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보리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곳에서 관음기도를 지성으로 하면 반드시 올바른 깨달음인 보리를 성취할 수 있다는 데서 기인되었다. 이 보리암에도 수많은 영험담이 전래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을 도와서 대승을 거두게 했던 삼련(三蓮) 비구니에 얽힌 설화이다.삼련은 묘련(妙蓮)·보련(寶蓮)·법련(法蓮) 등 세 비구니의 이름이다. 전라도 광양에 살았던 황유초(黃維肖)에게는 선옥(仙玉)이라는 딸이 있었다. 그녀는 출가하여 보련이 되었고, 선옥의 유모는 묘련, 선옥의 몸종은 법련이 되었으며, 그들의 스승은 지월(指月)이었다.어느 날 이들은 ‘대도(大道)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관세음보살의 신력(神力)과 가피를 입지 않으면 안되리라.’고 생각하여 남해 보리암을 찾았다. 그곳에서 1,000일을 관음기도를 하다가 어느 날 불상좌대 밑에 있는 고문서를 발견하였다. 그 문서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우리 세 사람은 연화도인(蓮花道人)을 모시고 십년간을 이곳에서 관음성호(觀音聖號)를 부르며 공부하여, 마침내 관음대성의 자비롭고 미묘한 성상(聖相)을 친견하였다. 기쁨과 감격에 넘치어 세세생생 이곳에 와서 연화도인을 모시고 공부하기를 맹세하였다. 정덕 무인구월(正德戊寅九月) 연화도인 지월의 제자 성운(性雲)·성련(性蓮)·성월(性月)·근기(謹記)”.이 글에 적힌 연화도인은 현세의 은사 지월이고, 성운은 묘련, 성련은 보련, 성월은 법련으로 화현한 것이다. 세 비구니는 더욱 신심을 굳혀서 정진하고 천일의 정진을 회향하여 자재한 신통력을 얻게 되었다. 그 뒤 그들은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손자병법을 익히고 해산열도(海山列島)의 지세와 해류를 살피는 한편, 거북선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뚜껑을 씌운 배를 만들어 타고 이순신과 함께 군사전략을 숙의하였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보련은 이순신의 막하에서 참모 겸 지휘자의 구실을 하여 싸움마다 대승을 올리게 하였고, 다른 두 비구니는 뚜껑 배를 타고 왜적을 섬멸하였다. 뒤에 조정에서는 보련에게 자운선의장군(紫雲宣義將軍)이라는 직함을 내렸다고 한다.또, 조선 중기의 이창해(李蒼海)는 제주목사의 부임을 위해서 배를 타고 가던 도중에 태풍을 만나서 일본의 지마도(志摩島)에 이르러 40여 년을 살았는데, 어머니와 동생의 관음기도 덕분에 풍랑을 타고 고국으로 돌아와서 동생과 해후하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그가 제주도로 떠나던 날 어머니는 낙산사 관음상 앞에서 관음의 대비주(大悲呪)를 외우며 기도하였고, 매년 풍랑을 만났던 날이면 명복을 기리면서 관음기도를 올렸다고 한다.조선 말기에 김포에는 판서 벼슬에까지 올랐던 심씨가 살고 있었다. 나이 육순이 넘도록 자식도 없이 살다가 아내까지 사별하게 되자 그 고적함을 달랠 길이 없었다. 그는 보문사로 가서 지성을 다하여 관음기도를 올리면서 아내를 맞게 하고 아들을 점지하여 줄 것을 축원하였다. 심판서가 회향하던 날 꿈에 관음보살이 나타나서 배필이 될 여자를 만나게 해주었고, 이들은 아들을 낳아서 단란하게 살다가 해로하였다고 한다.이 밖에도 조선시대의 수많은 고승들은 관음기도를 즐겨 행하였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지는데, 특히 천수대비주를 통한 기도가 널리 성행하였다.관음성지(觀音聖地)관세음보살을 통불교적으로 신앙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는 3대관음성지인 낙산사·보리암·보문사 외에도 숱한 관음영험도량이 산재되어 있다. 특히, 금강산에 자리잡은 보덕굴(普德窟)과 설악산의 오세암(五歲庵), 충청남도 논산의 관촉사(灌燭寺), 성덕산 관음사 등은 모두 특이한 이적을 보였던 관음성지이다.또한, 서울 근교에도 예로부터 관음의 영험도량이 있었다. 동쪽에는 창신동의 안양암(安養庵), 서쪽에는 옥천암(玉泉庵) 해수관음이 있으며, 남쪽에는 관악산 삼막사(三幕寺)가 있다. 이 세 곳은 오늘날에도 기도참배객들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이들 관음도량을 비롯하여 우리 나라의 명산대천에는 수많은 관음연기와 함께 많은 관음영험담이 전해지고 있다.금강산 보덕굴은 우리 나라 관음신앙의 홍포(弘布)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영험처로서 관음의 화신인 보덕각시가 출현하였던 곳이고, 고구려의 화상 보덕(普德)이 관음의 진신을 친견한 도량이며, 고려 의종 때의 고승인 회정이 천수주력(千手呪力)으로 기도하여 관음의 원통삼매를 성취한 영지이기도 하다.설악산의 오세암은 조선 초기에 관세음보살을 어머니로 생각하는 다섯 살 어린아이가 겨우내 혼자서 암자에 머물러 있었지만, 관음이 어머니처럼 보살펴주어서 무사히 생명을 건졌을 뿐 아니라 도통하게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용문산 상원사(上院寺)는 세조에게 백의관음의 모습을 나타내어 세조로 하여금 선정을 베풀도록 회개시킨 곳이며, 은진미륵의 관음상에서는 나라에 어려움이 닥쳤을 때 온몸에서 땀이 흐른다고 한다.현재 우리 나라의 주요 사찰은 대부분 원통전 또는 관음전이라는 전각을 별도로 건립하고, 그 속에 관음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보통 관세음보살상은 왼손에 봉오리 상태의 연꽃을 들고 오른손에 감로병을 들고 있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춘 불성(佛性)을 상징한다. 그 꽃이 활짝 핀 것은 불성이 드러나서 성불(成佛)하였다는 것을 뜻하나, 현재의 꽃봉오리는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필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또 감로병에는 감로수가 들어 있는데, 이 감로수는 불사(不死)를 뜻한다. 영원히 죽음이 없는 불사의 물로써 중생의 열뇌(熱惱)를 깨끗이 씻어주고 사악한 기운을 서기(瑞氣)로 바꾼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또, 관음의 머리에 쓴 보관(寶冠)에는 부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처는 아미타불이다. 관음은 아미타불을 본사(本師)로 삼고 항상 모신다고 하였으므로 이를 조형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원통전의 후불탱화로서 주로 아미타삼존탱화를 모시게 되는 것도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백화도장발원문(白華道場發願文)」(의상)『관음신앙』(김대은,삼장원,1978)『한국불교사연구』(안계현,동화출판공사,1982)「신라의 관음사상」(김영태,『불교학보』 13,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1976)「관음신앙과 신라사회」(홍승기,『호남문화연구』 8,전남대학교,1976)「십일면관음의 연구」(정병조,『철학회지』 3집,1977)「백제의 관음사상」(김영태,『마한백제문화』 3,원광대학교,1979)「의상의 관음신앙」(정병조,『동국사상』 10·11합집,1979)
          집필자집필
            (1997년)서경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관음신앙(觀音信仰))]

** 묘법연화경 - 위키백과 / (한국어) 법화경 / Lotus Sutra 영어

묘법연화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묘법연화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산스크리트어सद्धर्मपुण्डरीक सूत्र 삿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 →흰 연꽃과 같은 올바른 가르침)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으로,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이다.[1]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다.[2]

산스크리트어 원본으로는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단편(斷片)이 존재한다. 프랑스어와 영어로 번역이 되어 있으며, 한편 한문티베트어위구르어서하어몽골어만주어 등으로 번역되어 넓은 지역의 여러 민족에게서 애호되었다.[2]

현존하는 3종의 한문 번역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T.0262) 7권(후에 8권이 되었음)이 가장 널리 유포되어 있다.

오늘날 학자는 그 성립을 기원 전후에 신앙심이 강하고 진보적인 신자집단에 의해 서북부 인도에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후일에 증보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

  • 《묘법연화경》에서 부처는 머나먼 과거로부터 미래 영겁(未來永劫)에 걸쳐 존재하는 초월적인 존재이다. 한없이 긴 세월.
  • 그가 이 세상에 출현한 것은 모든 인간들이 부처의 깨달음을 열 수 있는 대도(大道, 一乘)를 보이기 위함이며, 그 대도를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경전의 핵심이다.[2] 

《법화경》은 모두 28개의 품(品,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혹 《무량의경》,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과 함께, 《법화삼부경》(法華三部經)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3]


역사[편집]

유포[편집]

법화경은 동쪽으로 전해지기 전에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널리 유포된 경전이었다.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경전이 존재했고, 티베트 불교의 게르크파의 개조가 된 총카파는 자신의 저서 보리도차제대론(菩提道次第大論)에서 죄를 멸하는 방편으로써 법화경을 독경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네팔에서는 구법경전의 하나로써 다룬다. 중국 천태종에서는 법화경을 가장 중요시하여, 저장 성(浙江省)의 천태산 국청사(天台山国清寺)의 천태대사 지의(智顗)는 쿠마라지바가 번역한 묘법연화경을 소의경전으로 삼고 있다. 

400년경 서역에서 중국의 수도 장안으로 온 쿠차 출신의 승려 쿠마라지바 산스크리트어 경전을 한자로 번역하면서부터 법화경은 중국, 나아가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쿠마라지바의 번역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원전의 진언(真言)이나 인(印)을 생략했는데, 훗날 첨품법화경(添品法華経)에서는 이를 다시 추가시켰다.

법화경은 빠르게 한반도에도 전래되었다. 고구려의 수도(427년 천도 ~ 668년까지)였던 평양의 대성산성(大城山城) 성돌 사이에서 발견된 1천 자 정도의 글자가 남은 묘법연화경이 현재 북한의 조선중앙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삼국유사》에는 백제의 승려 혜현(惠賢)이 수덕사에서 아침저녁으로 법화경을 독송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고, 신라의 승려 원효는 법화경의 교리를 해설한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를 짓기도 했다.

현재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법화경》은 1236년에 간행된 《법화경》과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법화경》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송나라 계환(戒環)이 1126년(인종 4)에 저술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 7권본이다. 《법화경》에 대한 연구 주석서로는 신라 시대 고승들의 저술을 비롯하여 중국 역대 고승들의 저술이 수십 종에 이르고 있다.

이 중 계환의 주해가 우리나라에서 크게 유통된 것은 그 내용이 한국 불교의 흐름과 일치하고 문장이 간결하며 이해가 쉽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현존 판본을 살펴보면 고려 시대 3종이고, 조선 시대의 것이 117종으로 모두 120종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현존하고 있는 법화경판은 34종 3,036장이다.

오늘날 학자는 《법화경》을 대승 불교 교단이 소승 불교 교단과 갈라져 나오면서 형성된 경전으로 추정하며, 초기에는 운문의 형태로 암송되어 전래되어 오다가, 후에 서술형 문구와 운문의 형태가 융합된 형태를 띠게 되었으리라 추정한다. 따라서 오늘날 학자는 《법화경》은 반야경》 이래로 등장한 대승 불교 경전들의 최고 집대성이자 완성된 시기의 경전으로 그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4]

설법 장소[편집]

영취산(靈鷲山 · 鷲栖山)은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한 인도 왕사성 근방에 있는 산이다. 《법화경》을 설법할 때 그 모임을 일러 불교에서는 영산회(靈山會) 또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이라고 하며, 이 모임의 장면을 영산회상도라고 하며, 법당의 후불탱화로 많이 사용된다.[5]

구성 및 내용[편집]

구성[편집]

법화경 28품
무량의경(無量義經=開經)
덕행품(德行品)第一
설법품(說法品)第二
십공덕품(十功德品)第三
적문(迹門)14品
서품(序品)第一
방편품(方便品)第二
비유품(譬喩品)第三
신해품(信解品)第四
약초유품(藥草喩品)第五
수기품(授記品)第六
화성유품(化城喩品)第七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受記品)第八
수학무학인기품(數學無學人記品)第九
법사품(法師品)第十
견보탑품(見寶塔品)第十一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第十二
권지품(勸持品)第十三
안락행품(安樂行品)第十四
본문(本門)14品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第十五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第十六
분별공덕품(分別功德品)第十七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第十八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第十九
상불경보살품(常不經普薩品)第二十
여래신력품(如來神力品)第二十一
촉루품(囑累品)第二十二
약왕보살본사품(藥王普薩本事品)第二十三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第二十四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第二十五
다라니품(陀羅尼品)第二十六
묘장엄왕본사품(妙莊嚴王本事品)第二十七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第二十八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佛說觀普賢普薩行法經)

법화칠비[편집]

《법화경》에는 부처가 되기 위한 길로 7가지의 비유를 들어 설해놓은 것이 있다. 이를 법화칠비(法華七譬) 또는 법화칠유(法華七喩)라 한다.

  1. 삼거화택(三車火宅)의 비유(火宅喩)
  2. 장자궁자(長者窮者)의 비유(窮子喩)
  3. 삼초이목(三草二木)의 비유(藥草喩)
  4. 화성보처(化城寶處)의 비유(化城喩)
  5. 계중명주(契中明珠)의 비유(契珠喩)
  6. 빈인계주(貧人繫珠)의 비유(衣珠喩)
  7. 양의병자(良醫病子)의 비유(醫子喩)

지정 문화재[편집]

국보 제185호[편집]

《상지은니묘법연화경》(橡紙銀泥妙法蓮華經)은 《묘법연화경》 전 7권을 고려 공민왕 22년(1373)에 은색 글씨로 정성들여 옮겨 쓴 불경이다. 봉상대부 지옥주사 허사청이 발원하여 영암 도갑사에 봉안되어 있던 책이며,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다.

보물 제961-2호[편집]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卷四~七)’은 불교의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조선 태종 5년(140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社)에서 성달생(成達生, 1376~1444년)과 성개(成槪, ?~1440) 형제가 필사한 것을 새긴 목판본 전 7권 가운데 권4~7의 1책이다.[6]

권수 변상도(變相圖)의 왼편에 정씨(鄭氏)가 죽은 남편 왕씨(王氏)의 초생정토(超生淨土)를 기원하기 위하여 화공(畵工)을 시켜 그림을 그리고, 판각하여 유통시킨다는 조성경위를 밝히고 있다. 권말에는 간행사실을 밝히는 권근(權近, 1352~1409년)의 발문을 갖추고 있어 조선 초기의 불경 간행 방식을 알 수 있는 등 서지학과 불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6]

보물 제1147-2호[편집]

이 책은 1470년(성종 원년) 4월에 세조의 왕비인 정희대왕대비가 발원하여 돌아가신 세조, 예종, 의경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묘법연화경 7권 가운데 권 1∼2이다. 이 책은 권돈일, 고말종, 장막동, 우인수, 최금동, 이영산, 최덕산 등 당대의 일류 각수(刻手)들에 의해 이루어져 새김이 매우 정교하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법화경은 대부분 계환의 해석이 붙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때 새긴 법화경은 천도의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원문만 새긴 것이다. 이와 같은 판본으로 기 지정되어 있는 <묘법연화경 권 제3~4, 5~7> 중 권7 말 김수온 발문에 간행동기 및 간행시기가 밝혀져 있어 왕실불교관련 및 서지학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7]

보물 제1164-2호[편집]

‘묘법연화경 권3~4, 5~7(妙法蓮華經卷三~四, 五~七)’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주도하여 간행한 불경으로, 김수온(金守溫, 1410~1481년)의 발문에 간행 시기와 연유가 분명하게 남아 있고, 보존상태도 원래의 표지만 결락되었을 뿐 온전하다. 또한 장막동(張莫同), 최금동(崔今同), 고말종(高末終), 이영산(李永山) 등 일류 각수(刻手)들이 참여하여 판각이 정교하고, 정밀하게 인출하여 먹색이 진하고 고르다. 한 책(권5~7)의 서배(書背)에는 비단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본래 비단 표지의 포배장 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묘법연화경은 구마라집(姚秦, 344~413년)이 한역한 불교경전으로 ‘법화경’이라 약칭하기도 하는데,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불교경전이다.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불교전문강원의 과목으로 채택되었고 화엄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6]

보문사 소장의 묘법연화경은 글자의 깨짐과 계선의 마멸상태로 보아 초인본은 아니고, 성종연간(1470~1494년)에 간행된 후인본으로 보인다. 동일한 판본으로는 보존상태가 온전하고, 인쇄상태와 지질도 뛰어나므로 자료로서의 가치는 높다고 판단된다.[6]

보물 제1194호[편집]

통도사성보박물관 소장 보물 제1194호 《묘법연화경 권2》은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3cm, 가로 10.9cm이다.

간행기록이 없어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권 제9∼10(보물 제1195호)과 글씨체가 같은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찍어낸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1196호[편집]

통도사성보박물관 소장 보물 제1196호《묘법연화경》은 권1에서 권7에 해당하는 책으로 세조 1년(1456)에 동궁(東宮)의 빈(嬪)인 한씨가 좌의정 한확의 부인 홍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간행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권1에서 권7의 내용을 3책으로 엮었으며 각 권의 크기는 세로 30cm, 가로 17.6cm이다.

표지의 일부가 약간 훼손되었을 뿐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완전본이다. 제목은 붉은 바탕 위에 금색 글씨로 썼으며, 각 권의 첫머리에는 불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린 변상도(變相圖)가 있다.

판에 새긴 후 처음 찍어낸 책은 아니지만, 권1에서 권7까지 완전하게 전해진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306-1호[편집]

직지사 성보박물관 소장 《묘법연화경》은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발문(跋文)에 의하면, 조계종의 대선(大選), 신희(信希) 등이 기로(耆老)들을 위해 보기에 편리하도록 중자(中字)로 간행하기를 원했는데 성달생(成達生)·성개(成槪) 형제가 상중(喪中)에 이를 듣고 선군(先君)의 추복(追福)을 위해 필사(筆寫)한 것을 도인(道人) 신문(信文)이 전라도(全羅道) 운제현(雲梯縣) 도솔산(兜率山) 안심사(安心社)에 갖고 가서 조선 태종 5년(1405)에 간행(刊行)한 것이다. 2001년 1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06호로 지정[8]되었다가, 2019년 3월 6일 제1306-1호로 문화재 지정번호가 변경되었다.[9]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6호[편집]

취정사 소장 《묘법연화경》은 조선시대 명필가인 성달생(成達生, 1376~1444)과 성개(成槪, ?~1440) 형제가 선친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精書)한 《법화경》을 판하본(板下本)으로 하여, 1405년(태종 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寺)에서 도인 신문(道人信文)이 주관하여 목판으로 새긴 것을 조선 전기에 후인(後印)한 것이다. 전체 7권3책 중 권1, 2와 권3, 4의 4권 2책만 남아 있는 결본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교 > 불교의 성전 > 법화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법화경(法華經) 원명을 삿다르마푼다리카 수트라(Saddharmapundarika­sutra)라고 하며 '백련화(白蓮華)와 같은 올바른 가르침'이라는 뜻으로서 예로부터 제경(諸經)의 왕으로 생각되었고,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단편(斷片)이 존재하며, 이들의 불역(佛譯)·영역(英譯)이 있는 한편 한역·티베트어역·위구르어역·서하어역(西夏語譯)·몽고어역·만주어역 등이 있어서, 이 경이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여러 민족에게 애호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 성립 시기는 기원 전후에 신앙심이 강한 진보적인 일단의 사람들에 의해 서북 인도에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후일에 증광(增廣)되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3종의 한역 중에는 라습(羅什)역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후에 8권이 되었음)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이 경(經)에서는, 불타는 구원(久遠)한 옛날부터 미래 영겁(未來永劫)에 걸쳐 존재하는 초월적 존재(超越的存在)로 되어 있고, 이 세상에 출현한 것은 모든 인간들이 부처의 깨달음을 열 수 있는 대도(大道, 一乘)를 보이기 위함이며, 그 대도를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그 중심으로 되어 있다."
  3.  《묘법연화경》은 7권 28품으로 된 불교경전으로 ‘법화경’이라 약칭하기도 한다.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불교전문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고 있다.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이 경은 예로부터 모든 경전들 중의 왕으로 인정받았고,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불경이다.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여러 민족에게 애호되었던 이 경은 기원 전후에 신앙심이 강하고 진보적인 사람들에 의해 서북 인도에서 최초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2차에 걸쳐 증보되었다. 한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한역본 중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8권이 가장 널리 보급, 유통되었다.
  4.  틱낫한, 틱낫한 스님이 읽어주는 법화경, Opening, the heart of the cosmos ISBN 8976772059-0322
  5.  “봉정사 산내암자”. 봉정사. 2016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6. ↑ 이동:     문화재청고시제2014-4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및 지정번호 변경》,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8186호, 32면, 2014-01-20
  7.  문화재청고시제2008-19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및 지정번호변경》, 문화재청장, 2008-03-12
  8.  관보 제14693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1년 1월 2일. 문화재청고시제2000-60호 .〈보물지정〉. 2016년 5월 8일 확인함.
  9.  문화재청고시제2019-27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및 지정번호 변경), 제19452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3. 6. / 144 페이지 / 720KB

Lotus Sutr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anskrit manuscript of the Lotus Sūtra in South Turkestan Brahmi script.

 

The Lotus Sūtra (Sanskrit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lit. 'Sūtra on the White Lotus of the True Dharma')[1]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Mahayana sutras, and the basis on which the TiantaiTendaiCheontae, and Nichiren schools of Buddhism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British professor Paul Williams, "For many East Asian Buddhists since early times, the Lotus Sutra contains the final teaching of the Buddha, complete and sufficient for salvation."[2]

Title[edit]

Lotus Sutra title inscription (daimoku)

The earliest known Sanskrit title for the sūtra is the सद्धर्मपुण्डरीक सूत्र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meaning 'Scripture of the Lotus Blossom of the Fine Dharma'.[3] In English, the shortened form Lotus Sūtra is common. The Lotus Sūtra has also been highly regarded in a number of Asian countries where Mahāyāna Buddhism has been traditionally practiced.

Translations of this title into the languages of some of these countries include:

  • Chinese妙法蓮華經pinyinMiàofǎ Liánhuá jīng (shortened to 法華經Fǎhuá jīng).
  • Japanese妙法蓮華経romanizedMyōhō Renge Kyō (short: 法華経Ho(k)ke-kyō).
  • Korean묘법연화경RRMyobeop Yeonhwa gyeong (short: 법화경Beophwa gyeong).
  • Tibetanདམ་ཆོས་པད་མ་དཀར་པོའི་མདོWyliedam chos padma dkar po'i mdoTHLDamchö Pema Karpo'i do.
  • VietnameseDiệu pháp Liên hoa kinh (short: Pháp hoa kinh).

Nichiren (1222-1282) regarded the title as the summary of the Lotus Sutra´s teachings. The chanting of the title as a mantra is the basic religious practice of his school.[4][5]

Textual history[edit]

Formation[edit]

In 1934, based on his text-critical analysis of Chinese and Sanskrit versions, Kogaku Fuse concluded that the Lotus Sūtra was composed in four main stages. According to Fuse, the verse sections of chapters 1-9 and 17 were probably composed in the 1st century BCE, with the prose sections of these chapters added in the 1st century CE. He estimates the date of the 3rd stage (ch. 10, 11, 13-16, 18-20 and 27) to be around 100 CE, and the last stage (ch. 21-26), around 150 CE.[6][note 1]

According to Stephen F. Teiser and Jacqueline Stone, there is consensus about the stages of composition but not about the dating of these strata.[8]

Tamura argues that the first stage of composition (ch. 2-9) was completed around 50 CE and expanded by chapters 10-21 around 100 CE. He dates the third stage (ch. 22-27) around 150 CE.[9]

Karashima proposes another modified version of Fuse's hypothesis with the following sequence of composition:[10][11]

  • Chapters 2–9 form the earliest stratum.
    • The first layer of this stratum includes the tristubh verses of these chapters which may have been transmitted orally in a Prakrit dialect.
    • The second layer consists of the sloka verses and the prose of chapters 2-9.
  • Chapters 110–2027, and a part of chapter 5 that is missing in Kumarajiva's translation.[12][note 2]
  • Chapters 21–26 and the section on Devadatta in chapter 11 of the Sanskrit version.

Translations into Chinese[edit]

Three translations of the Lotus Sūtra into Chinese are extant.[15][16][17][note 3]

The Lotus Sūtra was originally translated from Sanskrit into Chinese by Dharmarakṣa´s team in 286 CE in Chang'an during the Western Jin Period (265-317 CE).[19][20][note 4] However, the view that there is a high degree of probability that the base text for that translation was actually written in a Prakrit language ha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note 5] It may have originally been composed in a Prakrit dialect and then later translated into Sanskrit to lend it greater respectability.[22]

This early translation by Dharmarakṣa was superseded by a translation in seven fascicles by Kumārajīva´s team in 406 CE.[23][24][25][note 6] According to Jean-Noël Robert, Kumārajīva relied heavily on the earlier version.[26] The Sanskrit editions[27][28][29][30] are not widely used outside of academia.

The Supplemented Lotus Sūtra of the Wonderful Dharma (Tiān Pǐn Miàofǎ Liánhuá Jīng), in 7 volumes and 27 chapters, is a revised version of Kumarajiva's text, translated by Jnanagupta and Dharmagupta in 601 CE.[31]

In some East Asian traditions, the Lotus Sūtra has been compiled together with two other sutras which serve as a prologue and epilogue:

  1. the Innumerable Meanings Sutra (Chinese無量義經pinyinWúliángyì jīngJapaneseMuryōgi kyō);[32] and
  2. the Samantabhadra Meditation Sutra (Chinese: 普賢經; pinyin: Pǔxián jīng; Japanese: Fugen kyō).[33][34] This composite sutra is often called the Threefold Lotus Sūtra or Three-Part Dharma Flower Sutra (Chinese: 法華三部経; pinyin: Fǎhuá Sānbù jīng; Japanese: Hokke Sambu kyō).[35]

Translations into Western languages[edit]

Eugene Burnouf's Introduction à l'histoire du Buddhisme indien (1844) marks the start of modern academic scholarship of Buddhism in the West. His translation of a Nepalese Sanskrit manuscript of the Lotus Sutra, "Le Lotus de la bonne loi", was published posthumously in 1852.[36][37] Prior to publication, a chapter from the translation was included in the 1844 journal The Dial, a publication of the New England transcendentalists, translated from French to English by Elizabeth Palmer Peabody.[38] 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from an ancient Sanskrit manuscript was completed by Hendrik Kern in 1884.[39][40][41]

Western interest in the Lotus Sutra waned in the latter 19th century as Indo-centric scholars focused on older Pali and Sanskrit texts. Howeve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based predominantly in China, became interested in Kumārajīva's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into Chinese. These scholars attempted to draw parallels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to earlier Nikaya sutras and the Lotus Sutra. Abbreviated and "christo-centric" translations were published by Richard and Soothill.[42][43]

In the post World War II years, scholarly attention to the Lotus Sutra was inspired by renewed interest in Japanese Buddhism as well as archeological research in Dunhuang. This led to the 1976 Leon Hurvitz publication of the Lotus Sutra based on Kumarajiva's translation. Whereas the Hurvitz work was independent scholarship, other modern translations were sponsored by Buddhist groups: Kato Bunno (1975, Nichiren-shu/Rissho-kosei-kai), Murano Senchu (1974, Nichiren-shu), Burton Watson (1993, Soka Gakkai), and the Buddhist Text Translation Society (Xuanhua).[44][45][46][47][48][49][50][51] The translations into French,[52] Spanish[53] and German[54][55] are based on Kumarajiva's Chinese text. Each of these translations incorporate different approaches and styles that range from complex to simplified.[56]

Outline[edit]

The sutra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drama consisting of several scenes.[57] According to Sangharakshita, it uses the entire cosmos for its stage, employs a multitude of mythological beings as actors and "speaks almost exclusively in the language of images."[58]

The Lotus Sutra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1. Chapters 1–14 are called the Theoretical Teachings (Japanese: Shakumon).
  2. Chapters 15–28 are referred to as the Essential Teachings (Japanese: Honm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ies with the standpoint of who is preaching them. The Theoretical Teachings (ch. 1–14) are preached from the standpoint of Shakyamuni Buddha, who attained Buddhahood for the first time at the City of Gaya in India. On the other hand, Shakyamuni declares in the Essential Teachings (ch. 15–28) that his enlightenment in India was provisional, and that he in fact attained Buddhahood in the inconceivably remote past. As result of th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Tiantai/Tendai school and Nichiren Daishonin), all the provisional Buddhas, such as Amida NyoraiDainichi Nyorai, and Yakushi Nyorai, were integrated into one single original Buddha.[59][60]

Chapter 1[edit]

The Eagle Peak near Rajagaha was the Buddha’s favorite retreat and the scene for many of his discourses

Chapter 1: Introduction – During a gathering at Vulture PeakShakyamuni Buddha goes into a state of deep meditative absorption (samadhi), the earth shakes in six ways, and he brings forth a ray of light which illuminates thousands of buddha-fields in the east.[note 7][62][63] Bodhisattva Manjusri then states that the Buddha is about to expound his ultimate teaching.[64][65]

Chapters 2-9[edit]

Scholars suggest that chapters 2-9 contain the original form of the text. Chapter 2 explains the goals of early Buddhism, the Arhat and the Pratyekabuddha, as expedient means of teaching. The Buddha declares that there exists only one path, leading the bodhisattva to the full awakening of a Buddha. This concept is set forth in detail in chapters 3-9, using parables, narratives of previous existences and prophecies of enlightenment.[66]

Chapter 2: Expedient Means – Shakyamuni explains his use of skillful means to adapt his teachings according to the capacities of his audience.[67] He reveals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Buddhas is to cause sentient beings "to obtain the insight of the Buddha" and "to enter the way into the insight of the Buddha."[68][69][70]

Chapter 3: Simile and Parable – The Buddha teaches a parable in which a father uses the promise of various toy carts to get his children out of a burning house.[71] Once they are outside, he gives them all one large cart to travel in instead. This symbolizes how the Buddha uses the Three VehiclesArhatshipPratyekabuddhahood and Samyaksambuddhahood, as skillful means to liberate all beings – even though there is only one vehicle.[72] The Buddha also promises Sariputra that he will attain Buddhahood.

Chapter 4: Belief and Understanding – Four senior disciples address the Buddha.[73] They tell the parable of the poor son and his rich father, who guides him with pedagogically skillful devices to regain self-confidence and "recognize his own Buddha-wisdom".[74][75]

Chapter 5: The Parable of Medicinal Herbs – This parable says that the Dharma is like a great monsoon rain that nourishes many different kinds of plants who represent ŚrāvakasPratyekabuddhas, and Bodhisattvas,[76] and all beings receiving the teaching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apacities.[77]

Chapter 6: Bestowal of Prophecy – The Buddha prophesies the enlightenment of MahakasyapaSubhuti, Mahakatyayana and Mahamaudgalyayana.

Chapter 7: The Parable of Phantom City – The Buddha teaches a parable about a group of people seeking a great treasure who are tired of their journey and wish to quit. Their guide creates a magical phantom city for them to rest in and then makes it disappear.[78][79][80] The Buddha explains that the magic city represents the "Hinayana nirvana" and the treasure is buddhahood.[81]

Chapter 8: Prophecy of Enlightenment for Five Hundred Disciples – 500 Arhats are assured of their future Buddhahood. They tell the parable of a man who has fallen asleep after drinking and whose friend sews a jewel into his garment. When he wakes up he continues a life of poverty without realizing he is really rich, he only discovers the jewel after meeting his old friend again.[82][83][84][79] The hidden jewel has been interpreted as a symbol of Buddha-nature.[85] Zimmermann noted the similarity with the nine parables in the Tathāgatagarbha Sūtra that illustrate how the indwelling Buddha in sentient beings is hidden by negative mental states.[86]

Chapter 9: Prophecies Conferred on Learners and Adepts – AnandaRahula and two thousand Śrāvakas are assured of their future Buddhahood.[87]

Chapters 10-22[edit]

Chapters 10-22 expound the role of the bodhisattva and the concept of the eternal lifespan and omnipresence of the Buddha.[66] The theme of propagating the Lotus Sūtra which starts in chapter 10, continues in the remaining chapters.[note 8]

Chapter 10: The Teacher of the Law – Presents the practices of teaching the sutra which includes accepting, embracing, reading, reciting, copying, explaining, propagating it, and living in accordance with its teachings. The teacher of the Dharma is praised as the messenger of the Buddha.[89]

The floating jeweled stupa; illustrated Lotus Sutra, Japan 1257.

Chapter 11: The Emergence of the Treasure Tower – A great jeweled stupa rises from the earth and floats in the air;[90] a voice is heard from within praising the Lotus Sūtra.[91] Another Buddha resides in the tower, the Buddha Prabhūtaratna who is said to have made a vow to make an appearance to verify the truth of the Lotus Sutra whenever it is preached.[92] Countless manifestations of Shakyamuni Buddha in the ten directions are now summoned by the Buddha. Thereafter Prabhūtaratna invites Shakyamuni to sit beside him in the jeweled stupa.[93][94] This chapter reveals the existence of multiple Buddhas at the same time[91] and the doctrine of the eternal nature of Buddhahood.

Chapter 12: Devadatta – Through the stories of the dragon king's daughter and Devadatta, the Buddha teaches that everyone can become enlightened – women, animals, and even the most sinful murderers.[95]

Chapter 13: Encouraging Devotion – The Buddha encourages all beings to embrace the teachings of the sutra in all times, even in the most difficult ages to come. The Buddha prophecies that 6000 nuns who are also present will become Buddhas.[96]

Chapter 14: Peaceful Practices – Manjusri asks how a bodhisattva should spread the teaching. In his reply Shakyamuni Buddha describes the proper conduct and the appropriate sphere of relations of a bodhisattva.[97] A bodhisattva should not talk about the faults of other preachers or their teachings. He is encouraged to explain the Mahayana teachings when he answers questions.[98] Virtues such as patience, gentleness, a calm mind, wisdom and compassion are to be cultivated.

Chapter 15: Emerging from the Earth – In this chapter countless bodhisattvas spring up from the earth, ready to teach, and the Buddha declares that he has trained these bodhisattvas in the remote past.[99][100] This confuses some disciples including Maitreya, but the Buddha affirms that he has taught all of these bodhisattvas himself.[101]

Chapter 16: The Life Span of Thus Come One – The Buddha explains that he is truly eternal and omniscient. He then teaches the Parable of the Excellent Physician who entices his sons into taking his medicine by feigning his death.[102][103]

Chapter 17: Distinction in Benefits – The Buddha explains that since he has been teaching as many beings as the sands of the Ganges have been saved.

Chapter 18: The Benefits of Responding with Joy – Faith in the teachings of the sutra brings much merit and lead to good rebirths.

Chapter 19: Benefits of the Teacher of the Law - the Buddha praises the merits of those who teach the sutra. They will be able to purify the six senses.[104]

Chapter 20: The Bodhisattva Never Disparaging – The Buddha tells a story about a previous life when he was a Bodhisattva called sadāparibhūta ('never disparaging') and how he treated every person he met, good or bad, with respect, always remembering that they will become Buddhas.[105]

Chapter 21: Supernatural Powers of the Thus Come One – Reveals that the sutra contains all of the Eternal Buddha’s secret spiritual powers. The bodhisattvas who have sprung from the earth (ch. 15) are entrusted with the task of propagating it.[106]

Chapter 22: Entrustment – The Buddha transmits the Lotus Sutra to all bodhisattvas in his congregation and entrusts them with its safekeeping.[107][108] The Buddha Prabhūtaratna in his jeweled stupa and the countless manifestations of Shakyamuni Buddha return to their respective buddha-field.[109]

Chapters 23-28[edit]

Chapter 22: "Entrustment" – the final chapter in the Sanskrit versions and the alternative Chinese translation. Shioiri suggests that an earlier version of the sutra ended with this chapter. He assumes that the chapters 23-28 were inserted later into the Sanskrit version.[110][111] These chapters are devoted to the worship of bodhisattvas.[112][113]

Chapter 23: "Former Affairs of Bodhisattva Medicine King" – the Buddha tells the story of the 'Medicine King' Bodhisattva, who, in a previous life, burnt his body as a supreme offering to a Buddha.[114][115][116] The hearing and chanting of the Lotus Sūtra' is also said to cure diseases. The Buddha uses nine similes to declare that the Lotus Sūtra is the king of all sutras.[117]

AvalokiteśvaraAjanta cave no 1, 5th century

Chapter 24: The Bodhisattva Wonderful Sound – Gadgadasvara ('Wonderful Voice'), a Bodhisattva from a distant world, visits Vulture Peak to worship the Buddha. Bodhisattva 'Wonderful Voice' once made offerings of various kinds of music to the Buddha "Cloud-Thunder-King". His accumulated merits enable him to take 34 different forms to propagate the Lotus Sutra.[118][111]

Chapter 25, The Universal Gateway of the Bodhisattva Perciever of the World's Sounds – The Bodhisattva is devoted to Avalokiteśvara, describing him as a compassionate bodhisattva who hears the cries of sentient beings, and rescues those who call upon his name.[119][120][121]

Chapter 26 – DhāraṇīHariti and several Bodhisattvas offer sacred dhāraṇī ('formulae') in order to protect those who keep and recite the Lotus Sūtra.[122][123][note 9]

Chapter 27 – Former Affairs of King Wonderful Adornment - tells the story of the conversion of King 'Wonderful-Adornment' by his two sons.[125][126]

Chapter 28 – Encouragement of the Bodhisattva Universal Worthy- a bodhisattva called "Universal Virtue" asks the Buddha how to preserve the sutra in the future. Samantabhadra promises to protect and guard all those who keep this sutra in the future Age of Dharma Decline.[127]

Teachings[edit]

Portable shrine depicting Buddha Sakyamuni preaching the Lotus Sūtra.[128] The Walters Art Museum.

One vehicle, many skillful means[edit]

This Lotus Sūtra is known for its extensive instruction on the concept and usage of skillful means – (Sanskrit: upāya, Japanese: hōben), the seventh paramita or perfection of a Bodhisattva – mostly in the form of parables. The many 'skillful' or 'expedient' means and the "three vehicles" are revealed to all be part of the One Vehicle (Ekayāna), which is also the Bodhisattva path. This is also one of the first sutras to use the term Mahāyāna, or "Great Vehicle". In the Lotus Sūtra, the One Vehicle encompasses so many different teachings because the Buddha's compassion and wish to save all beings led him to adapt the teaching to suit many different kinds of people. As Paul Williams explains:[129]

Although the corpus of teachings attributed to the Buddha, if taken as a whole, embodies many contradictions, these contradictions are only apparent. Teachings are appropriate to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given and thus their contradictions evaporate. The Buddha’s teachings are to be used like ladders, or, to apply an age-old Buddhist image, like a raft employed to cross a river. There is no point in carrying the raft once the journey has been completed and its function fulfilled. When used, such a teaching transcends itself.

The sutra emphasizes that all these seemingly different teachings are actually just skillful applications of the one Dharma and thus all constitute the "One Buddha Vehicle and knowledge of all modes". The Lotus Sūtra sees all other teachings are subservient to, propagated by and in the service of the ultimate truth of the One Vehicle leading to Buddhahood.[16] The Lotus Sūtra also claims to be superior to other sūtras and states that full Buddhahood is only arrived at by exposure to its teachings and skillful means.

All being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Buddhas[edit]

The dragon king´s daughter offers her priceless pearl to the Buddha. The narrative of her instantaneous attainment of Buddhahood was understood as a promise of the enlightenment of women.[130] Frontispiece of a 12th century Lotus Sutra handscroll.[131]

The One Vehicle doctrine defines the enlightenment of a Buddha (anuttara samyak sambhodi) as the ultimative goal and the sutra predicts that all those who hear the Dharma will eventually achieve this goal. Many of the Buddha´s disciples receive prophecies that they will become future Buddhas. Devadatta, who, according to the Pali texts, had attempted to kill the Buddha, receives a prediction of enlightenment.[132][133][134] Even those, who practice only simple forms of devotion, such as paying respect to the Buddha, or drawing a picture of the Buddha, are assured of their future Buddhahood.[135]

Although the term buddha-nature (buddhadhatu) is not mentioned once in the Lotus Sutra, Japanese scholars Hajime Nakamura and Akira Hirakawa suggest that the concept is implicitly present in the text.[136][137] Vasubandhu (fl. 4th to 5th century CE), an influential scholar monk from Ghandara, interpreted the Lotus Sutra as a teaching of buddha-nature and later commentaries tended to adopt this view.[138][139] Based on his analysis of chapter 5, Zhanran (711-778), a scholar monk of the Chinese Tiantai school, argued that insentient things also possess buddha-nature and in medieval Japan, the Tendai Lotus school developed its concept of original enlightenment which claimed the whole world to be originally enlighted.[140][141]

The nature of the Buddhas[edit]

Another key concept introduced by the Lotus Sūtra is the idea of the eternal Buddha, who achieved enlightenment innumerable eons ago, but remains in the world to help teach beings the Dharma time and again. The life span of this primordial Buddha is beyond imagination, his biography and his apparent death are portrayed as skillful means to teach sentient beings.[142][143] The Buddha of the Lotus Sūtra states:

In this way, since my attainment of Buddhahood it has been a very great interval of time. My life-span is incalculable asatkhyeyakalpas [rather a lot of aeons], ever enduring, never perishing. O good men! The life-span I achieved in my former treading of the bodhisattva path even now is not exhausted, for it is twice the above number. Yet even now, though in reality I am not to pass into extinction [enter final nirvana], yet I proclaim that I am about to accept extinction. By resort to these expedient devices [this skill-in-means] the Thus Come One [the Tathagata] teaches and converts the beings.[144]

The Buddhas Prabhūtaratna and Shakyamuni seated side-by-side in the jeweled stupa. Stele, bronze and gold, dated 518 CE

The idea that the physical death of a Buddha is the termination of that Buddha is graphically refuted by the appearance of another Buddha, Prabhûtaratna, who passed long before. In the vision of the Lotus Sūtra, Buddhas are ultimately immortal.

Crucially, not only are there multiple Buddhas in this view, but an infinite stream of Buddhas extending infinitely in space in the ten directions and through unquantifiable eons of time. The Lotus Sūtra illustrates a sense of timelessness and the inconceivable, often using large numbers and measurements of time and space.[citation needed]

According to Gene Reeves, the Lotus Sūtra also teaches that the Buddha has many embodiments and these are the countless bodhisattva disciples. These bodhisattvas choose to remain in the world to save all beings and to keep the teaching alive. Reeves writes, "because the Buddha and his Dharma are alive in such bodhisattvas, he himself continues to be alive. The fantastically long life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is at least partly a function of and dependent on his being embodied in others."[145] The Lotus Sūtra also teaches various dhāraṇīs or the prayers of different celestial bodhisattvas who out of compassion protect and teach all beings. The lotus flower imagery points to this quality of the bodhisattvas. The lotus symbolizes the bodhisattva who is rooted in the earthly mud and yet flowers above the water in the open air of enlightenment.[146]

Impact[edit]

According to Donald Lopez, the Lotus Sutra is "arguably the most famous of all Buddhist texts," presenting "a radical re-vision of both the Buddhist path and of the person of the Buddha."[147][note 10]

The Lotus Sutra was frequently cited in Indian works by NagarjunaVasubandhuCandrakirtiShantideva and several authors of the Madhyamaka and the Yogacara school.[148] The only extant Indian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is attributed to Vasubandhu.[149][150] According to Jonathan Silk, the influence of the Lotus Sūtra in India may have been limited, but "it is a prominent scripture in East Asian Buddhism."[151] The sutra has most prominence in Tiantai (sometimes called "The Lotus School"[152]) and Nichiren Buddhism.[153] It is also influential in Zen Buddhism.

China[edit]

Tao Sheng, a fifth-century Chinese Buddhist monk wrote the earliest extant commentary on the Lotus Sūtra.[154][155] Tao Sheng was known for promoting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and the idea that even deluded people will attain enlightenment. Daoxuan (596-667) of the Tang Dynasty wrote that the Lotus Sutra was "the most important sutra in China".[156]

Zhiyi (538–597 CE), the generally credited founder of the Tiantai school of Buddhism, was the student of Nanyue Huisi[157] who was the leading authority of his time on the Lotus Sūtra.[152] Zhiyi's philosophical synthesis saw the Lotus Sūtra as the final teaching of the Buddha and the highest teaching of Buddhism.[158] He wrote two commentaries on the sutra: Profound meanings of the Lotus Sūtra and Words and phrases of the Lotus Sūtra. Zhiyi also linked the teachings of the Lotus Sūtra with the Buddha nature teachings of the Mahāyāna Mahāparinirvāṇa Sūtra and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Eternal Buddha" Vairocana and the manifestations. In Tiantai, Vairocana (the primeval Buddha) is seen as the 'Bliss body' – Sambhogakāya – of the historical Gautama Buddha.[158]

Japan[edit]

The Lotus Sūtra is a very important sutra in Tiantai[159] and correspondingly, in Japanese Tendai (founded by Saicho, 767–822). Tendai Buddhism was the dominant form of mainstream Buddhism in Japan for many years and the influential founders of popular Japanese Buddhist sects including NichirenHonenShinran and Dogen[160] were trained as Tendai monks.

Calligraphic mandala (Gohonzon) inscribed by Nichiren in 1280. The central characters are the title of the Lotus Sūtra.[161]

Nichiren, a 13th-century Japanese Buddhist monk, founded an entire school of Buddhism based on his belief that the Lotus Sūtra is "the Buddha´s ultimate teaching",[162] and that the title is the essence of the sutra, "the seed of Buddhahood".[163] Nichiren held that chanting the title of the Lotus Sūtra – Namu Myōhō Renge Kyō – was the only way to practice Buddhism in the degenerate age of Dharma decline and was the highest practice of Buddhism.[158] Nichiren described chapters 10-22 as the "third realm" of the Lotus Sutra (Daisan hōmon) which emphasizes the need to endure the trials of life and bodhisattva practice of the true law in the real sahā world.[164]

Dogen, the 13th-century Japanese founder of Sōtō Zen Buddhism, used the Lotus Sūtra often in his writings. According to Taigen Dan Leighton, "While Dogen's writings employ many sources, probably along with his own intuitive meditative awareness, his direct citations of the Lotus Sūtra indicate his conscious appropriation of its teachings as a significant source"[165] and that his writing "demonstrates that Dogen himself saw the Lotus Sutra, 'expounded by all buddhas in the three times,' as an important source for this self-proclamatory rhetorical style of expounding."[166] In his Shobogenzo, Dogen directly discusses the Lotus Sūtra in the essay Hokke-Ten-Hokke, "The Dharma Flower Turns the Dharma Flower". The essay uses a dialogue from the Platform Sutra between Huineng and a monk who has memorized the Lotus Sūtra to illustrate the non-dual nature of Dharma practice and sutra study.[165] During his final days, Dogen spent his time reciting and writing the Lotus Sutra in his room which he named "The Lotus Sutra Hermitage".[167]

The Soto Zen monk Ryōkan also studied the Lotus Sūtra extensively and this sutra was the biggest inspiration for his poetry and calligraphy.[168] The Rinzai Zen master Hakuin Ekaku achieved enlightenment while reading the third chapter of the Lotus Sūtra.[169]

According to Shields, "modern(ist)" interpretations of the Lotus Sutra begin with the early 20th century nationalist applications of the Lotus Sutra by Chigaku Tanaka, Nissho Honda, Seno'o, and Nisshō Inoue.[170] Japanese new religions began forming in the 19th century and the trend accelerated after World War II. Some of these groups have pushed the study of the Lotus Sutra to a global scale.[171][172] While noting the importance of several Japanese New Religious Movements to Lotus Sutra scholarship, Lopez focuses on the contributions made by the Reiyukai and Soka Gakkai[173] and Stone discusses the contributions of the Soka Gakkai and Risshō Kōsei Kai.[174] Etai Yamada (1900–1999), the 253rd head priest of the Tendai denomination conducted ecumenical dialogues with religious leaders around the world based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Lotus Sutra which culminated in a 1987 summit. He also used the Lotus Sutra to move his sect from a "temple Buddhism" perspective to one based on social engagement.[175] Nichiren-inspired Buddhist organizations have shared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Lotus Sutra through publications, academic symposia, and exhibitions.[176][177][178][179][180]

Influence on East Asian culture[edit]

The Buddhas Prabhūtaratna and Shakyamuni sitting side by side in the jeweled stupa; wall painting, Yulin Caves

The Lotus Sūtra has had a great impact on East Asian literature, art, and folklore for over 1400 years.

Art[edit]

Various events from it are depicted in religious art.[181][182][183] Wang argues that the explosion of art inspired by the Lotus Sutra, starting from the 7th and 8th centuries in China, was a confluence of text and the topography of the Chinese medieval mind in which the latter dominated.[184]

Motifs from the Lotus Sutra figure prominently in the Dunhuang caves built in the Sui era.[185] In the fifth century, the scene of Shakyamuni and Prabhutaratna Buddhas seated together as depicted in the 11th chapter of the Lotus Sutra became arguably the most popular theme in Chinese Buddhist art.[186] Examples can be seen in a bronze plaque (year 686) at Hase-dera Temple in Japan[187] and, in Korea, at Dabotap and Seokgatap Pagodas, built in 751, at Bulguksa Temple.[188]

Literature[edit]

Tamura refers to the "Lotus Sutra literary genre."[189] Its ideas and images are writ large in great work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uch as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and The Tale of Genji.[190] The Lotus Sutra has had an outsized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t poetry.[191] Far more poems have been Lotus Sutra-inspired than other sutras.[192] In the work Kanwa taisho myoho renge-kyo, a compendium of more than 120 collections of poetry from the Heian period, there are more than 1360 poems with references to the Lotus Sutra in just their titles.[193][194]

Folklore[edit]

The Lotus Sutra has inspired a branch of folklore based on figures in the sutra or subsequent people who have embraced it. The story of the Dragon King's daughter, who attained enlightenment in the 12th (Devadatta) chapter of the Lotus Sutra, appears in the Complete Tale of Avalokiteśvara and the Southern Seas and the Precious Scroll of Sudhana and Longnü folkstories. The Miraculous Tales of the Lotus Sutra[195] is a collection of 129 stories with folklore motifs based on "Buddhist pseudo-biographies."[196]

See also[edit]

Notes[edit]

  1. ^ Chapter numbers of the extant Sanskrit version are given here. The arrangement and numbering of chapters in Kumarajiva's translation is different.[7]
  2. ^ In the Sanskrit manuscripts chapter 5 contains the parable of a blind man who refuses to believe that vision exists.[13][14]
  3. ^ Weinstein states: "Japanese scholars demonstrated decades ago that this traditional list of six translations of the Lotus lost and three surviving-given in the K'ai-yiian-lu and elsewhere is incorrect. In fact, the so-called "lost" versions never existed as separate texts; their titles were simply variants of the titles of the three "surviving" versions."[18]
  4. ^ Taisho vol.9, pp. 63-134.The Lotus Sūtra of the Correct Dharma(Zhèng Fǎ Huá Jīng), in ten volumes and twenty-seven chapters, translated by Dharmarakṣa in 286 CE.
  5. ^ Jan Nattier has recently summarized this aspect of the early textual transmission of such Buddhist scriptures in China thus, bearing in mind that Dharmarakṣa's period of activity falls well within the period she defines: "Studies to date indicate that Buddhist scriptures arriving in China in the early centuries of the Common Era were composed not just in one Indian dialect but in several . . . in sum,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us suggests that, barring strong evidence of another kind, we should assume that any text translated in the second or third century AD was not based on Sanskrit, but one or other of the many Prakrit vernaculars."[21]
  6. ^ The Lotus Sūtra of the Wonderful Dharma (Miàofǎ Liánhuá jīng), in eight volumes and twenty-eight chapters, translated by Kumārajīva in 406 CE.
  7. ^ Sanskrit buddhaksetra, the realm of a Buddha, a pure land. Buswell and Lopez state that "Impure buddha-fields are synonymous with a world system (cacravada), the infinite number of “world discs” in Buddhist cosmology that constitutes the universe (...)."[61]
  8. ^ Ryodo Shioiri states, "If I may speak very simpl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ection 2, chapter 10 and subsequent chapters emphasize the command to propagate the Lotus Sūtra in society as opposed to the predictions given in section 1 out (sic) the future attainment of buddhahood by the disciples....and the central concern is the actualization of the teaching-in other words, how to practice and transmit the spirit of the Lotus Sutra as contained in the original form of section 1."[88]
  9. ^ Dhāraṇī is used in the "limited sense of mantra-dharani" in this chapter.[124]
  10. ^ Donald Lopez: "Although composed in India, the Lotus Sutra became particularly important in China and Japan. In terms of Buddhist doctrine, it is renowned for two powerful proclamations by the Buddha. The first is that there are not three vehicles to enlightenment but one, that all beings in the universe will one day become buddhas. The second is that the Buddha did not die and pass into nirvana; in fact, his lifespan is immeasurable."[147]

References[edit]

  1. ^ Buswell & Lopez 2013, p. 1785.
  2. ^ Williams 1989, p. 149.
  3. ^ Hurvitz 1976.
  4. ^ Buswell 2013, p. 208.
  5. ^ Stone 1998, p. 138-154.
  6. ^ Pye 2003, p. 177-178.
  7. ^ Pye 2003, p. 173-174.
  8. ^ Teiser & Stone 2009, p. 7-8.
  9. ^ Kajiyama 2000, p. 73.
  10. ^ Karashima 2015, p. 163.
  11. ^ Apple 2012, pp. 161-162.
  12. ^ Silk 2016, p. 152.
  13. ^ Bingenheimer 2009, p. 72.
  14. ^ Kern 1884, pp. 129-141.
  15. ^ Reeves 2008, p. 2.
  16. Jump up to:a b The English Buddhist Dictionary Committee 2002.
  17. ^ Shioiri 1989, pp. 25-26.
  18. ^ Weinstein 1977, p. 90.
  19. ^ Boucher 1998, pp. 285-289.
  20. ^ Zürcher 2006, p. 57-69.
  21. ^ Nattier 2008, p. 22.
  22. ^ Watson 1993, p. IX.
  23. ^ Tay 1980, pp. 374.
  24. ^ Taisho vol. 9, no. 262, CBETA
  25. ^ Karashima 2001, p. VII.
  26. ^ Robert 2011, p. 63.
  27. ^ Kern & 1908-1912.
  28. ^ Vaidya 1960.
  29. ^ Jamieson 2002, pp. 165–173.
  30. ^ Yuyama 1970.
  31. ^ Stone 2003, p. 471.
  32. ^ Cole 2005, p. 59.
  33. ^ Hirakawa 1990, p. 286.
  34. ^ Silk 2016, p. 216.
  35. ^ Buswell 2013, pp. 290.
  36. ^ Burnouf 1852.
  37. ^ Yuyama 2000, pp. 61-77.
  38. ^ Lopez (2016b)
  39. ^ Silk 2012, pp. 125–54.
  40. ^ Vetter 1999, pp. 129-141.
  41. ^ Kern 1884.
  42. ^ Deeg 2012, pp. 133–153.
  43. ^ Soothill 1930.
  44. ^ Deeg 2012, p. 146.
  45. ^ Kato 1975.
  46. ^ Murano 1974.
  47. ^ Hurvitz 2009.
  48. ^ Kuo-lin 1977.
  49. ^ Kubo 2007.
  50. ^ Watson 2009.
  51. ^ Reeves 2008.
  52. ^ Robert 1997.
  53. ^ Tola 1999.
  54. ^ Borsig 2009.
  55. ^ Deeg 2007.
  56. ^ Teiser & Stone 2009, p. 237-240.
  57. ^ Murano 1967, p. 18.
  58. ^ Sangharakshita 2014, p. chapter 1.
  59. ^ Obayashi, Kotoku (2002). The Doctrines and Practices of Nichiren Shoshu. Fujinomiya City, Japan: Nichiren Shoshu Overseas Bureau. p. 443.
  60. ^ Takakusa, Watanabe (1926). Tendai Daishi Zenshu. Tokyo, Japan: Taisho shinshu daizokyo Kanko-Kai.
  61. ^ Buswell 2013, p. 153.
  62. ^ Suguro 1998, p. 19.
  63. ^ Kern 1884, p. 7.
  64. ^ Apple 2012, p. 162.
  65. ^ Murano 1967, p. 25.
  66. Jump up to:a b Teiser & Stone 2009, p. 8.
  67. ^ Suguro 1998, p. 31.
  68. ^ Suguro 1998, pp. 34-35.
  69. ^ Pye 2003, p. 23.
  70. ^ Groner 2014, pp. 8-9.
  71. ^ Williams 1989, p. 155.
  72. ^ Pye 2003, p. 37-39.
  73. ^ Suzuki 2015, p. 170.
  74. ^ Lai 1981, p. 91.
  75. ^ Pye 2003, p. 40-42.
  76. ^ Murano 1967, p. 34-35.
  77. ^ Pye 2003, p. 42-45.
  78. ^ Pye 2003, p. 48.
  79. Jump up to:a b Williams 1989, p. 156.
  80. ^ Federman 2009, p. 132.
  81. ^ Lopez 2015, p. 29.
  82. ^ Murano 1967, pp. 38-39.
  83. ^ Pye 2003, p. 46.
  84. ^ Lopez 2015, p. 28.
  85. ^ Wawrytko 2007, p. 74.
  86. ^ Zimmermann 1999, p. 162.
  87. ^ Murano 1967, p. 39.
  88. ^ Shioiri 1989, pp. 31-33.
  89. ^ Tamura 1963, p. 812.
  90. ^ Buswell 2013, p. 654.
  91. Jump up to:a b Strong 2007, p. 38.
  92. ^ Hirakawa 2005, p. 202.
  93. ^ Lopez & Stone 2019, p. 138-141.
  94. ^ Lai 1981, p. 459-460.
  95. ^ Teiser & Stone 2009, p. 12.
  96. ^ Peach 2002, p. 57-58.
  97. ^ Silk 2016, p. 150.
  98. ^ Suguro 1998, pp. 115-118.
  99. ^ Apple 2012, p. 168.
  100. ^ Murano 1967, p. 50-52.
  101. ^ Tamura 2014.
  102. ^ Pye 2003, p. 51-54.
  103. ^ Williams 1989, p. 157.
  104. ^ Lopez & Stone 2019, p. 201.
  105. ^ Zimmermann 1999, p. 159.
  106. ^ Suzuki 2016, p. 1162.
  107. ^ Murano 1967, pp. 65-66.
  108. ^ Tamura 1989, p. 45.
  109. ^ Murano 1967, p. 66.
  110. ^ Tamura 1963, p. 813.
  111. Jump up to:a b Shioiri 1989, p. 29.
  112. ^ Lopez (2016), chapter 1
  113. ^ Teiser 1963, p. 8.
  114. ^ Williams 1989, p. 160.
  115. ^ Benn 2007, p. 59.
  116. ^ Ohnuma 1998, p. 324.
  117. ^ Suzuki 2015, p. 1187.
  118. ^ Murano 1967, pp. 73.
  119. ^ Chün-fang 1997, p. 414-415.
  120. ^ Baroni 2002, p. 15.
  121. ^ Wang 2005, p. 226.
  122. ^ Murano 1967, pp. 76-78.
  123. ^ Suguro 1998, p. 170.
  124. ^ Tay 1980, p. 373.
  125. ^ Wang 2005, pp. XXI-XXII.
  126. ^ Shioiri 1989, p. 30.
  127. ^ Murano 1967, pp. 81-83.
  128. ^ The Walters Art Museum.
  129. ^ Williams 1989, p. 151.
  130. ^ Teiser 2009, p. 21.
  131. ^ Abe 2015, p. 29, 36, 37.
  132. ^ Stone 2003, p. 473.
  133. ^ Kotatsu 1975, p. 88.
  134. ^ Teiser 2009, pp. 20-21.
  135. ^ Groner 2014, pp. 3,17.
  136. ^ Nakamura 1980, p. 190.
  137. ^ Hirakawa 1990, p. 284.
  138. ^ Abbot 2013, p. 88.
  139. ^ Groner 2014, p. 17.
  140. ^ Stone 1995, p. 19.
  141. ^ Chen 2011, pp. 71-104.
  142. ^ Teiser 2009, p. 23.
  143. ^ Xing 2005, p. 2.
  144. ^ Hurvitz 1976, p. 239.
  145. ^ Reeves 2008, p. 14.
  146. ^ Reeves 2008, p. 1.
  147. Jump up to:a b Jessica Ganga (2016), Donald Lopez on the Lotus Sutra, Princeton University Press Blog
  148. ^ Mochizuki 2011, pp. 1169-1177.
  149. ^ Groner 2014, p. 5.
  150. ^ Abbot 2013, p. 87.
  151. ^ Silk 2001, pp. 87,90,91.
  152. Jump up to:a b Kirchner 2009, p. 193.
  153. ^ "Cooper, Andrew, The Final Word: An Interview with Jacqueline Stone"Tricycle: The Buddhist Review. Spring 2006. Retrieved April 27, 2013.
  154. ^ Teiser 2009.
  155. ^ Kim 1985, pp. 3.
  156. ^ Groner 2014, pp. 1.
  157. ^ Magnin 1979.
  158. Jump up to:a b c Williams 1989, p. 162.
  159. ^ Groner 2000, pp. 199–200.
  160. ^ Tanahashi 1995, p. 4.
  161. ^ Stone 2003, p. 277.
  162. ^ Stone 2009, p. 220.
  163. ^ Stone 1998, p. 138.
  164. ^ Tanabe 1989, p. 43.
  165. Jump up to:a b Leighton 2005, pp. 85–105.
  166. ^ Leighton.
  167. ^ Tanabe 1989, p. 40.
  168. ^ Leighton 2007, pp. 85–105.
  169. ^ Yampolsky 1971, pp. 86-123.
  170. ^ Shields 2013, pp. 512–523.
  171. ^ Reader, Ian. "JAPANESE NEW RELIGIONS: AN OVERVIEW"(PDF)The World Religions & Spirituality Project (WRSP).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 16. Retrieved April 13, 2017.
  172. ^ Metraux, Daniel (2010). How Soka Gakkai Became a Global Buddhist Movemen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a Japanese Religion. Virginia Review of Asian Studies. ISBN 978-0-7734-3758-6.
  173. ^ Lopez, Donald S, Jr. (2016). The Lotus Sutra: A Biography.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32, 109–115, 191–195, 201–215. ISBN 978-0-691-15220-2.
  174. ^ Stone 2009, p. 227–230.
  175. ^ Covell, Stephen G. (2014). "Interfaith Dialogue and a Lotus Practitioner: Yamada Etai, the "Lotus Sutra", and the Religious Summit Meeting on Mt. Hiei"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41 (1): 191–217. doi:10.18874/jjrs.41.1.2014.191-217JSTOR 23784405.
  176. ^ Reeves, Gene (Dec 1, 2001). "Introduction: The Lotus Sutra and Process Thought"Journal of Chinese Philosophy28 (4): 355. doi:10.1111/0301-8121.00053.
  177. ^ Groner, Paul; Stone, Jacqueline I (2014). "The Lotus Sutra in Japan".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41 (1): 2.
  178. ^ O'Leary, Joseph S. (2003). "Review of Gene Reeves, ed. A Buddhist Kaleidoscope: Essays on the Lotus Sutra". 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30 (–/2): 175–178.
  179. ^ "A Discussion with Gene Reeves, Consultant, Rissho Kosei-kai and the Niwano Peace Foundation"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 World Affairs. Georgetown University. November 25, 2009. Retrieved 13 April 2017.
  180. ^ MURUGAPPAN, REVATHI (May 24, 2014). "Lotus Sutra's Dance of Peace". The Star Online. Retrieved 23 April 2017.
  181. ^ Watson 2009, p. xxix.
  182. ^ Lopez 2016, p. 17, 265.
  183. ^ Kurata 1987.
  184. ^ Wang 2005.
  185. ^ Wang 2005, p. 68.
  186. ^ Wang 2005, p. 5.
  187. ^ Paine 1981, p. 41.
  188. ^ Lim 2014, p. 33.
  189. ^ Tamura 2009, p. 56.
  190. ^ Hurvitz 2009, p. 5.
  191. ^ Yamada 1989.
  192. ^ Tanabe 1989, p. 105.
  193. ^ Shioiri 1989, p. 16.
  194. ^ Rubio 2013.
  195. ^ Dykstra 1983.
  196. ^ Mulhern 1989, p. 16.

Sources[edit]

Further reading[edit]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