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최민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최민자. Show all posts

2023/05/12

[최민자의 한국학 산책] 왜 오늘날 한국학인가

[최민자의 한국학 산책] 왜 오늘날 한국학인가 < 최민자의 한국학 산책 < 오피니언/피플 < 기사본문 - 일요서울i

[최민자의 한국학 산책] 왜 오늘날 한국학인가
기자명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입력 2023.05.12

==

현재 우리 인류는 문명의 대순환주기와 자연의 대순환주기가 맞물리는 시점에 와 있다. 세계는 지금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기후행동 1.5℃ 실천 운동에 나서고 있으며 생존 모드로의 대전환이 촉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생명 위기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은 MIT 연구팀이 로마클럽에 제출한 연구보고서 『성장의 한계』가 50여 년이 지난 현재 과학계의 연구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영국의 수학자 어빙 존 굿이 예단했듯이 인공지능 기계가 일단 튜링 테스트(Turing test: 인간과의 대화를 통해 기계의 지능을 판별함)를 통과하면 기계가 더 똑똑한 기계를 설계하게 되고 최초의 초지능 기계는 인간이 만든 마지막 발명품이 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의 지능폭발에 대비하는 순전히 기술적인 전략이란 없다. 지구는 지금 누가 누구를 지배하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공존이냐 공멸이냐’ 택일의 기로에 섰다.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사회적 제어력을 높이는 것은 결국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가능하다.

인간의 마음이 밝아지지 않으면 세상이 밝아질 수 없다는 단순한 진리를 수천 년 동안 국가 통치 엘리트 집단의 통치 코드로 삼았던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다.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는 우주 자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본다는 점에서 양자역학으로 대표되는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의 코드와 본질적으로 상통한다. 따라서 한국학 코드는 낡은 과거의 것이 아니라 사조(思潮)의 대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에 재음미되고 재해석되어야 하는 ‘가장 오래된 새것’이다. 우리 고유의 코드는 만물이 만물일 수 있게 하는 제1원인인 ‘생명’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를 통해 종교와 과학과 인문, 즉 신과 세계와 영혼(천지인 삼재)의 통합성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그것이 곧 인류의 ‘보편 코드’이며 오늘날 ‘통합학문’의 시대를 여는 단초가 되는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오늘날 한국학 코드의 부상은 한국의 국제위상 강화와 한류 현상, 그리고 현대과학이 주도하는 포스트휴먼학에 의한 생명의 재발견에 따른 것이다. 동아시아 문명의 새벽을 열었던 한국학 코드의 현재적 의미와 가치는 한마디로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생명 위기에 대응하고 인공지능 윤리와 생명 가치가 준수되는 새로운 규준의 휴머니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계몽의 시대를 여는 ‘마스터 알고리즘’이라는 데 있다. 우리가 새로운 규준의 휴머니즘에 주목하는 것은, 한국학 코드가 인류 사회와 기술혁신의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미래적 비전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벨기에의 과학자이자 사상가이며 ‘카오스이론’의 창시자인 일리야 프리고진은 개체가 무질서해도 집단으로는 규칙과 질서를 가지고 있으며 바로 그것을 찾고자 하는 것이 카오스이론이라며, 이는 위기의 시대에 새로운 질서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그는 자연의 물리현상에서 카오스(혼돈)와 불안정성이 진화를 가져오는 필요조건이라고 보고, 카오스이론이 갖는 문명사적 의의는 바로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했다. 혼돈 속에는 창조성의 원리가 내재해 있다. 동이 트기 전 어둠이 가장 짙은 것과 같은 이치다. 한반도에 지선(至善)과 극악(極惡)이 공존하는 것은 지금이 소멸기이고 새로운 문명의 꼭지가 여기서 열리기 때문이다.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는 서양의 이원론이 초래한 생명의 뿌리와 단절된 꽃꽂이 삶, 그 미망의 삶을 끝장낼 수 있는 마스터 알고리즘이다. 상고시대 우리나라가 세계의 정치적·종교적 중심지로서, 사해의 공도(公都)로서, 세계 문화의 산실(産室) 역할을 하게 했던 이 생명 코드로 동아시아 최대의 정신문화 수출국이었던 코리아의 위상을 되살리고 세계시민사회가 공유하는 새로운 규준의 휴머니즘에 입각한 새로운 계몽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정사(正史)인 『신지비사』에서 ‘영혼을 잃고 땅에 뿌리박혀 울던 자가 영혼을 찾으면 그것이 개벽의 시작이다’라고 한 것이다. 이는 곧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는 ‘다시개벽’이다.

새로운 문명이 열리기 위해서는 배타적 민족주의나 국가주의가 아니라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 DNA를 가진 민족의 역할이 요구된다. 우주만물이 생성·변화하는 원리를 함축하고 있는 태극기는 ‘생명의 기(旗)’이고, 우리는 태생적으로 ‘생명’을 문화적 유전자로 이어받은 민족으로서 21세기 생명시대를 개창해야 할 내밀한 사명이 있음을 인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정녕 우리는 새로운 역사를 창조할 운명을 지니고 있음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mzchoi33@naver.com
 

2023/04/30

오구라 기조 小倉紀藏 -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조선사상전사' , '새로 읽는 논어 ' ,

Ogura Kizo오구라 기조 小倉紀藏 -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조선사상전사' , '새로 읽는 논어 ' , + : 네이버 블로그



Ogura Kizo오구라 기조 小倉紀藏 -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 '조선사상전사' , '새로 읽는 논어 ' , +

tlstjs0125

2018. 5. 30.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리와 기로 해석한 한국사회)



별점8.0점 | 네티즌리뷰 7건 (동작,영등포,마포아현,강남,강서,양천,고척,용산,동대문,개포,종로,정독,
저자 오구라 기조|역자 조성환|모시는사람들 |2017.12.20
원제 韓國は一個の哲學である <理>と<氣>の社會システム
페이지 272|ISBN 9791188765003|판형 규격외 변형


韓國は一個の哲學である 〈理〉と〈氣〉の社會システム (講談社學術文庫 2052) (文庫)


韓國は一個の哲學である (<理>と<氣>の社會システム)
小倉紀藏 저 | 講談社 | 1998

별점0.0점 | 네티즌리뷰 0건
저자 오구라 키조|講談社 |2011.05.12 재발간
페이지 264|ISBN 9784062920520

목차
0 韓國.道德志向的な國
1 上昇への切望――<理>志向性のしくみ
2 <理>と<氣>の生活空間
3 <理>と<氣>の文化體系
4 <理>と<氣>の社會構造
5 <理氣>の經濟.政治.歷史
6 <理氣>と世界.日本



한국 사회는 사람들이 화려한 도덕 쟁탈전을 벌이는 하나의 거대한 극장이다.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1998)의 후기에서 “이 책은 무엇보다도 한국에 대한 찬탄과 비판의 책이다. 이 책의 제목에 두 가지가 모두 들어 있다. 찬탄은 ‘철학’이라는 말에, 비판은 ‘하나’라는 말에 담겨 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2150600075&code=910100&sat_menu=A074#csidxb20f4e03b85726fa1f7f1c20a52f04b




문고판 후기
p.258-259

... 이로 인해 일본과 한국의 아카데미즘은 점점 더 서구의 세계관으로 도배질되게 되었다.

대학이라는 장은 서구적 세계관의 대리인들에 의해 거의 완벽하게 지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한국 연구라는 분야에 과거에는 없었던 '우등생'이라는 사람들이 대거 가담하게 되어, 이 식민지화는 점점 더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이나 한국의 시험 우등생 같은 이들이 어찌 한국을 인식할 수나 있겠는가? 권위를 인정받은 저명한 서구적 세계관(방법론)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한국을 인식했다는 흉내를 내고, 적당한 논문을 써서 대학에서 자리를 얻고, 대량의 예산(세금)을 확보하여 자신들의 세력을 확대하려고 하는 주구( )들을 나는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렇게 말하는 나조차도 실은 이미 몇 년 전부터 한국 인식 같은 것은 못하고 있다. 내 인식의 성장은 이 책과 그 후에 쓴 한 두 권의 책으로 멈추고 말았다. 그 외에는 의미 있는 글은 없다.

그래도 다시 한번 내가 한국에 접근하는 일이 있을까? 한국이 나에게 접근하는 일이 있을까?

모른다.


2011년 3월

교토 후카쿠사에서 오구라 기조(小倉紀藏)







_




3장

'리'와 '기'의 생활공간




2. 리기의 생활학




2) '리'의 위광( )과 '리'의 상품




p.68

...

<제일의 리 = 달>은 근원적인 단지 하나의 '리'이다.

<제이의 리 = 달>은 만물에 동등하게 분배된 '리'로, 이것을 '분수리(分殊理 )'라고 한다.

단지 만물은 '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드러난 '리'도 각각 다른 것이다.







3.'리'와 '기'의 방법론




1)이분법의 극복




p.77




아니 그런데 이 책의 방법론 자체가 '리'와 '기'의 이분법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결코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두 세계를 분리하기만 하는 분석은 오류이기 때문이다.

'리'의 세계와 '기'의 세계를 단지 나누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두 세계는 분리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붙어 있다. 두 세계는 서로 뒤섞여 있으면서 떨어져 있다. 이것을 주자학의 용어로는 '리'와 '기'는 '불상잡( ) 불상리( )' (서로 뒤섞여 있지도 않고 서로 떨어져 있지도 않다) 라고 한다.







2) '리'와 '기'의 상호 관계




...

'리'와 '기'는 서로 떨어져 있지 않은 관계에 있다. 주자가 말하듯이 '리'와 '기'는 불상리(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리'와 '기'는 불상잡( )이기 때문에 서로 완전히 붙어 있는 것도 아니다.

이 둘은 어디까지나 별개의 것으로, '기'가 '리'를 가리고 있다. 그리고 '기'의 맑고 탁한 정도에 따라 '리'를 드러나는 정도도 달라진다.







4장

'리'와 '기'의 문화 체계




14)




15) 의상의 리리무애법계 理理無碍法界




p.101

...

그런데 의상은 이 네 개 법계의 사상이 성립되기 이전에 '리리무애법계'라는 신기한 개념을 주장했다. 이것은 '리'에 어긋난 듯한 기묘한 생각이다.

즉 유일절ᆞ평등무차별ᆞ융통편재( )한 '리' (이것은 물론 주자학의 '리'가 아니라 화엄의 '리')들이 서로 무애하다(=장애가 없다) 는 것은 대체 무슨 의미인가?

이에 대해서는 이즈쓰 도시히코( )가 이슬람 철학자 Ibn al-'Arabi 이븐 아라비(1165-1240)의 사상을 빌려 설명한 것이 참고할 만하다.

이즈쓰는 '리리무애법계'의 '리'란 유일하고 절대적인 '리'가 개별적인 '리'로 자기분절(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그리고 이것은 주자학에서 말하는 '분수리(分殊理 )'와 같은 것이다.








>>




사종법계(四種法界),四法界사법계 four realms of reality




사종법계(四種法界),四法界 four realm..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t/l/s/t/j/s/0/1/2/5님의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자기소개가없습니다. ............................ 연구 목적,정보 블로그 (상업목적 이웃 사양)
blog.naver.com











리(理)[8]와 리(理)의 의존관계(상즉相卽)로 세계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8] 이때 리(理)는 사(事)와 일체로서의 리(理)이며, 개체적 리(理)를 인정하기에 가능한 교설이다.




의상(신라) - 나무위키 (namu.wiki)







>>




cf.)




理一分殊(이일분수) : 우주의 근원은 하나이지만, 이것이 나뉘어지면 각각 다른 형태와 성질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理壹分殊(이일분수) 이치는 하나이나 나뉘어 다르니




* 리일분수(理一分殊); 세계 보편적 진리인 리일(理一: 하나의 리)이 각 개체에 부여된 것이 분수리(分殊理)다.




>>







5. 스피노자의 일원론적 범신론은 만물이 개별의 이(理)를 구유하고 있지만 그 개별의 ‘이’는 보편적인 하나의 ‘이’와 동일하다는 ‘이일분수(理一分殊)’라는 명제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이일(理一)과 분수(分殊)를 통체일태극(統體一太極)과 각일기성(各一其性)으로 명쾌하게 설명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관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슈가 되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 전체성과 개체성의 합일을 표징하는 것이다. 스피노자 사상의 현대적 부활은 그의 철학체계 속에 나타난 신, 자연, 인간 그리고 자유와 행복에 대한 그의 주장이 지속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들이며, 그의 사상으로부터 오늘날에도 우리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1세기 대안문명 건설의 단초가 거기에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 최민자 , '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2015)




>>

朝鮮思想全史



별점0.0점 | 네티즌리뷰 0건
저자 小倉 紀藏|筑摩書房新書 |2017.11.01
ISBN 9784480071040
도서


+


새로 읽는 논어



별점7.0점 | 네티즌리뷰 2건 (동작,영등포,구로,강서,양천,개포,정독,
저자 오구라 기조|역자 조영렬|교유서가 |2016.05.09
원제 新しい論語
페이지 268|ISBN 9788954640435|판형 규격외 변형


‘애니미즘’적 세계관이란 삼라만상에 생명이 깃든다는 세계관이 아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사물 사이에서 ‘생명’이 드러난다는 사상이다. 저자는 이러한 해석을 통해 이제까지 인류가 확실히 인식하지 못했던 생명관을 명확히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것이야말로 공자라는 사람의 생명철학이라고 강조하며, 공자의 세계관에 다가서고자 한다.


/

저자는 『논어』의 세계관에는 〈애니미즘〉의 색채가 짙다고 본다. 그러나 주자학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애니미즘〉을 부정하고, 『논어』와 유교 전반을 〈범령론汎靈論〉적으로 해석했다. 그것은 동아시아에서 〈범령론〉이 〈애니미즘〉을 몰아낸 최종단계였다. 이 책에서는 그것을 『논어』 텍스트를 통해 밝히면서, 동아시아 〈애니미즘〉의 복권에 관해 철학적으로 논의한다. 그 과정에서 이제까지 인류가 확실히 인식하지 못했던 생명관을 명확히 포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것이야말로 공자라는 사람의 생명철학이라는 것이 저자의 기본 관점이다.




/




공자는 〈생명〉에 대한 동아시아의 두 가지 해석, 즉 〈애니미즘〉과 〈범령론〉에서 〈애니미즘〉을 대표하는 사상가였다. 〈범령론〉을 ‘범신론’이라 해도 되지만, 이 책에서 저자는 ‘신神’이라는 글자가 일신교적 신을 연상시킨다고 해서 〈범령론〉이라 부른다. 〈범령론〉이란, 세계 혹은 우주가 하나의 ‘영靈(spirit)’ 혹은 영적인 것으로 가득차 있다고 보는 세계관이다. 스피노자의 범신론도 큰 의미에서는 〈범령론〉인데, 동양에서는 ‘기氣 사상’이 대표적인 〈범령론〉이다. 왜냐하면 ‘기’라는 것은 순수한 물질이 아니라, 생명이나 넋을 포함한 ‘영적인 물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주 전체가 하나의 기로 되어 있다고 보는 도가나 유가 등의 기 사상은 〈범령론〉이라 할 수 있다고 저자는 전제한다.




/



공자가 외친 ‘인仁’이라는 개념도 흔히 ‘도덕’이나 ‘사랑’으로 이해하지만, 좀더 정확하게는 인간이 둘 이상 있을 때 그 관계성 〈사이〉에서 문득 드러나는 〈생명〉을 말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파악한다. 즉 공자의 ‘인’은 〈사이의 생명〉이라는 의미였다는 것이다. 이런 공자적 〈애니미즘〉 역시 〈제3의 생명〉의 세계관이다. 이에 비해, 〈범령론〉은 〈제2의 생명〉의 세계관이다. 이 책에서 〈범령론〉은 세계(우주)에 하나의 보편적이고 비육체적인 생명이 가득하다고 보는 사상 일반을 가리킨다.

애니미즘이라는 단어는 흔히 삼라만상에 생명이나 아니마가 깃들어 있다고 보는 세계관을 가리키는데, 저자는 이 책에서 ‘삼라만상에 생명이나 아니마가 깃들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공동주관共同主觀에 의해 〈생명〉을 문득 드러내는’ 세계관을 괄호를 붙여 〈애니미즘〉이라 일컫는다. 그러면서 이런 〈애니미즘〉을 보통의 애니미즘과 구별하기 위해 〈소울리즘soulism〉이라는 말로 부르기도 한다.










_

8장




3.<제3의 생명>의 부활을 향하여




p.249

<생명>은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갑자기, 우발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똑같은 하늘을 보아도 <생명>을 느끼는 사람과 느끼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것이 <제3의 생명>이다.

...

아니면 지금, 영적이고 보편적인 <생명>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물( ) <사이>, 물과 물 <사이>에서 우발적으로 드러나는 <생명>이 있다고 믿는 사람은 실은 많은 것일까.










>>




공자의 <사이의 생명>, <제3의 생명>적인 세계관은 공자적 애니미즘 (명료하게 표현해서 soulism)인데 이를 이어받은 후대는 범령론(통상적인 범신론)으로 오인하고 곡해하였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주자학 이후에는 애니미즘 (공자적 애니미즘인 소울리즘 마저도)이 동아시아에서도 배격되어졌다고 보고있다.




>>










+




코지마 츠요시(小島毅) 일본 도쿄대 교수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5152

동양포럼(61) / 오구라 기조 교토대 교수 ‘조선사상전사’ 등 서평 (1)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동양일보가 연중 펼치고 있는 ‘동양포럼’으로 한국의 독자들과 만나온 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가 최근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와 ‘조선사상전사(朝鮮思想全史)’ 책 두 권을 펴냈다.‘한국은 하나의...
www.dynews.co.kr






조성환 원불교사상 책임연구원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5155

동양포럼(61) / 오구라 기조 교토대 교수 ‘조선사상전사’ 등 서평 (2)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내가 생각하기에 이 땅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대략 1940년생 세대로 끝이 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김형효나 김경재 세대). 그 이후의 세대들은 이른바 ‘전문화’의 길로 들어서거나 ‘근대화’의 세례를 ...
www.dynews.co.kr














2016년 1월 9일 이화여대에서 강연

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

출처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http://www.dynews.co.kr)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5860

동양포럼(62) / 동양포럼 ‘한·중·일 회의’ 참가자 기고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새해에, 한국어의 탁월함을 생각한다 저는 일찍이 한국을 알게 되고, 한국말의 특출한 아름다움을 깨닫게 된 것을 고맙게 생각해 왔습니다. 새해를 맞으면서 저 자신이 느낀 한국어의 탁월함을 다시금 확인해 보...
www.dynews.co.kr








또 하나의 생명 즉 ‘제3의 생명’은 ‘문득 나타나는 생명’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사물 사이에 우발적으로 나타나는 생명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류는 그것을 ‘미(美)’라든가 ‘아우라’라든가 ‘모노노 아와레 (일본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지만 실은 그것들은 ‘생명’인 것입니다. 다만 그것들은 육체적인 생명과는 전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생명과는 다른 이름으로 표현되어 왔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끔 ‘이 그림에는 생명이 있다’라고 말할 때가 있습니다. 이 말은 비유가 아니라 진짜 생명을 정확히 이야기한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지 않겠는가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육체적인 ‘제1의 생명’도 아니고 영적인 ‘제2의 생명’도 아니기 때문에 ‘제3의 생명’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제3의 생명’은 간주관적(間主觀的) 생명, 우발적 생명, 미적(美的) 생명이며, 다른 말로 하면 ‘사이의 생명’, ‘나타나는 생명’입니다. 생명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 길어지면서 원래 주제인 한국어의 미의식이라는 내용에서 벗어나고 말았습니다. 이제 원래 주제로 돌아가겠습니다.



● ‘생각’, ‘한’, ‘멋’ ... 한국어의 미의식과 생명

저는 ‘생각’, ‘한’, ‘멋’이라는 한국어에 ‘제3의 생명’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에 관해서는 동양포럼주간이신 김태창 선생님의 말씀처럼 이 말의 본래 문자는 ‘생각’이며 이는 글자 그대로 ‘생명의 각성’을 나타내는 것이겠습니다.
즉 한국어의 ‘생각하다’는 합리적인 계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의 약동(Elan Vital)을 수반하는 행위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생각하다’에 관한 김태창 선생님의 이러한 해석을 따르고자 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면 ‘생각하다’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첫 번째는 ‘생각’의 ‘생’을 육체적인 ‘제1의 생명’이라고 파악하여 ‘생각하다’란 육체적 생명이 각성하는 작용이라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생각’의 ‘생’을 영적인 ‘제2의 생명’이라고 파악하여 ‘생각하다’ 란 우주의 보편적인 섭리를 각성하는 작용이라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생각(生覺)하다’에는 또 하나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생각’의 ‘생’을 육체적인 ‘제1의 생명’과 보편적인 ‘제2의 생명’이 아니라 우발적인 ‘제3의 생명’이라고 해석해 보십시오. 그렇다면 ‘생각하다’는 일상의 한 순간 한 순간에 불꽃처럼 번쩍이는 미적인 감동과 정감을 지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각하다’라는 아주 평범한 행위 자체가 한국어의 세계에서는 개개의 육체적 생명의 각성과 우주의 보편적 생명의 각성, 그리고 일상에서의 미적 순간의 지각이라는 다양한 층위를 포함한 생명적 행위인 것입니다. 이는 실로 놀라운 일이 아닐까요? 다음은 ‘한’입니다. ‘한’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는 부정적인 감정인 것처럼 생각됩니다. 미의식과는 관계가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나 저는 ‘한이란 동경이다’라고 해석합니다. 한국어의 고유어에 동경에 해당하는 어휘가 없고 한자어를 사용하는 것은 어째서일까요? 저는 ‘한’이라는 말이 애초에 ‘동경’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은 이상적인 상태 즉 ‘아름답다’에 대한 동경과, 그 이상적인 상태와 주체가 합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 따른 슬픔과 원통함을 동시에 나타내는 말이라고 저는 해석합니다. 제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을 무렵, ‘한’이라는 말의 뜻이 한일사전에는 ‘うらみ(원망)’라고 나와 있는데, TV 방송에서 한국인이 ‘공부가 한이 되었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고 이해하지 못 했던 적이 있습니다. ‘나는 공부를 하고 싶었지만 집이 가난하여 학교에 다니지 못했다. 그래서 공부가 한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한’은 ‘원망’은 아닙니다. 오히려 ‘공부에 대한 동경과 그것이 실현되지 못한 원통함’을 동시에 나타내는 말이 아닐까요? 이 ‘한’이야말로 한국인의 일상 세계에서 지속과 순간이라는 상반되는 시간성을 응축시킨 미적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속되는 것은 ‘아름답다’라는 보편성에 대한 동경과 원통함입니다. 한국인의 마음을 늘 강한 동경과 원통함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동경을 정적으로 내성화시키면 ‘곱다’라는 미(美)가 됩니다만, 때때로 동경은 고통스러운 원통함과 합체되여 ‘한’이 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한’이 언젠가는 풀리기를 늘 기원합니다. 그리고 인생의 어느 순간에 기적처럼 ‘한’이 풀리는 일도 있습니다. 이 순간 동경과 원통함은 동시에 해방되어 ‘아름다운 세계’가 개벽합니다. ‘한을 풀다’란 보편적인 생명의 세계에 들어가고 싶다는 동경과 그 세계로부터 거부당하고 있는 슬픔이 영원히 지속될 것처럼 생각되다가 어느 순간 단숨에 작열하듯이 풀리는 순간의 절대적인 미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이야말로 가장 에너지가 강한 ‘제3의 생명’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멋’입니다. ‘멋’은 한국어에 나타난 ‘제3의 생명’의 미의식을 가장 단적으로 나타낸 말일 것입니다. ‘멋’은 우주적인 범위를 지닌 말처럼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한국의 정신 세계에서는 ‘아름답다’ 같은 보편적인 미의식 즉 ‘제2의 생명’에 의한 세계관이 일본보다 더욱 강하기 때문에, 이 우주적인 보편성에 바람구멍을 내어 우발적인 생명을 나타내려면 그를 위해 필요한 자유의 힘도 강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멋’에 해당되는 일본어 ‘이키’는 지극히 인공적이며 섬세한 정감의 미묘한 작용에 관한 개념입니다만 한국의 ‘멋’은 인간관계 및 사회뿐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에서도 자유자재로 발휘됩니다. 보편성의 규범이 지나치게 강하면 ‘멋’은 그곳에 자유를 위한 바람구멍을 냅니다. ‘아름답다’는 보편적인 미이지만, 이 보편성이 틀에 박히면 억압이 되고 맙니다. 그때 ‘멋’은 미의 헤게모니를 해체시키거나 흐트러트립니다. 그러므로 보편적인 미가 ‘제2의 생명’관에 기초하고 있다면 ‘멋’은 ‘제3의 생명’에 기초한 미의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글은 저자가 2016년 1월 9일 이화여대에서 강연한 내용의 일부입니다.)










/




원불교사상연구원에서는 앞으로도 오구라 교수의 한국학 저서를 지속적으로 번역 출간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오구라 기조 교수는 현대일본에서 한국철학이나 한국사상을 연구하는 학회 또는 연구회가 존재하지 않는 현실을 ‘이상(異常)한 상태’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일본 사회에서 한국철학을 비롯한 한국학(韓國學) 연구 및 활성화를 견인하는 대표적인 지한파(知韓派) 학자로 유명하다.

http://news1.kr/articles/?3201023

일본 오구라 교수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한글판 출간
(익산=뉴스1) 박슬용 기자 | 원광대학교(총장 김도종) 원불교사상연구원 조성환 박사가 지난 20년간 일본에서 한류 관련 인문학 분야 베스트셀러였던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한글판을 출간했다고 8일 밝혔다.이 책은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인간환경학연구과에서 한국철학을 강의하는 오구라 기조(小倉...
news1.kr














서양을 비롯한 현대문명은 어떤 의미에서 앞길이 막힌 궁경에 빠졌기에 어떻게 해서 현대문명을 구해낼 수 있는 새로운 철학을 구축하고자 철학자들은 애를 쓰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동양적인 가치와 세계관을 재평가함으로써 새로운 철학과 사상을 만들어내고 인류사회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학자는 적지 않습니다. 김태창 주간도 그러한 한 분입니다. 김 주간은 끈질기게 동아시아의 영성을 탐구하고 계십니다. 저는 그 노력에 감복하고 있습니다.

출처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http://www.dynews.co.kr)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795

동양포럼(60) / 국제포럼 ‘한·중·일 회의’ 소감문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지난해 8월 저는 교토대학 오구라 연구실의 일원으로 한국에서 세 개의 포럼에 참가했습니다. ● 국제영성포럼-공공하는 영성지난해 8월 4~6일 꽃동네대학교의 주최로 국제 영성(靈性) 포럼이 개최됐습니다. 일본...
www.dynews.co.kr


















+


群島の文明と大陸の文明




별점0.0점 | 네티즌리뷰 0건
저자 小倉 紀藏|PHP硏究所 |2020.10.28
페이지 254|ISBN 9784569847542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942

139. 군도의 문명과 대륙의 문명 을 읽고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동양일보 동양포럼 기자]오오하시 켄지(大橋健二) 스즈카의료과학대학 강사와 야규 마코토(柳生眞)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이 오구라 기조(小倉紀藏) 일본 교토대 교수가 지난해 10월 발간한 의 서평을 동양...
www.dynews.co.kr





<군도의 문명과 대륙의 문명>의 서평






‘대륙의 문명’과 ‘군도(群島)의 문명’은 비교문명학의 기본 틀인 ‘중심-주변’이라는 ‘수직적인 축’을 답습한다. 한편으로 과거에는 중국문명, 오늘날은 미국발 글로벌리즘이라는 이름의 서양문명에 흠뻑 빠진 일본과 한국이라는 ‘주변문명’ 즉 일본-한국이라는 ‘수평적인 축’에서 일본문명을 비춰보고 고찰한다. 이와 같은 고찰에 있어서 현대 일본에서는 저자를 따라잡을 수 있는 사람이 없다.
...
제1의 생명: 생물학적· 육체적 생명=개별적· 객관적· 상대적· 물질적 생명.

제2의 생명: 영적 생명=보편적· 절대적· 종교(정신)적· 비물질적· 집단적 생명

제3의 생명: 미적 생명=간주관적· 우발적· <사이>적 생명, ‘지금· 여기’에 밖에 존재하지 않는 생명.
...
오늘날 머니 자본주의에 의한 세계 지배 아래, 격차사회에 따른 분단과 이질적인 타인에 대한 불관용이 만연하는 현대 세계에서, 군도적(群島的)인 ‘제3의 생명적’, ‘사이적’ 문명을 일본이 앞장서서 세계에 제창하는 것이다. 이것을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 가야 한다고 하면서, ‘공창(共創)하는 동아시아로’라고 호소한 것은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신형코로나바이러스로 가로막히고 먹구름이 드리우는 나날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 속에 사는 세계 사람들, 거대한 재앙에 신음하는 현대문명에 대해 한 가닥의 밝은 빛을 비춰주는 것 같다.

:
오오하시 켄지(大橋健二) 스즈카의료과학대학 강사






...
논자가 보기에 ‘제2의 생명’과 ‘제3의 생명’은 원래 그 원천이 다르다. 저자가 밝혔듯이 덧없이 살다 죽는 한계(제1의 생명)를 가진 인간이 영원하고 보편적인 ‘하나(1)’라는 관념을 극도로 추구한 결과 도달하게 된 것이 ‘제2의 생명’이다. 이에 대해 ‘제3의 생명’은 개별성, 순간성, 감각성을 지닌 것이고, 또한 어린 아이가 철들기 전에 많이 느끼는 것이 바로 이것이 아닐까 싶다. 어린 아이를 잘 살펴보면 그들은 이미 나날을 그렇게 살고 있다. 어른에는 생명이 없어 보이는 물건을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말을 걸어주고 다루는 것을 보게 된다. 어린 아이가 아끼는 인형과 말하고 역을 떠나는 열차에게 손을 흔드는 것은 흔한 광경이다. 바로 그때 그(녀)와 인형이나 열차 사이에는 ‘제3의 생명’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국학자인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도 ‘다오야메부리(たおやめぶり)’ 즉 “덧없고 아녀자(兒女子)같은 것”이며 여성적이고 유약하고 나긋나긋하고 상냥한 것이 인정(人情)의 본래 모습이고, 이것이 곧 ‘야마토다마시이(大和魂)’라고 말했다. 노리나가에 의하면 무사적인 “올곧고 씩씩한” 마음가짐은 오히려 ‘가라고코로(漢意)’ 즉 불교・ 유교와 같은 외래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꾸며진 정신이라는 것이다. (유약함이 곧 일본의 원래 정신이라는 노리나가의 주장은 무사사회 일본에서는 아주 이색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이었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오구라의 절묘한 균형 감각이 가장 잘 드러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는 민주주의 등의 정치, 새로운 복지와 교육, 리얼리즘도 설계주의도 아닌 외교 방식 등 사회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저자가 ‘아니미즘’이라고 부르는 세계관에 의해 변혁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오구라 생명론과 문명론이 장차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하면서 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야규 마코토(柳生眞)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

출처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http://www.dynews.co.kr)






2023/04/24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부록[권말부록 | 환단고기의 진실]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입력 2007.09.14 / 576호(p611~627) 신동아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환단고기를 전한 이유립 선생.

일본 요코하마 출생으로 와세다대 법학부를 졸업한 일본인 변호사 가지마 노보루(鹿島昇·1925년생)씨가 번역한 것으로 돼 있는 양장본 ‘환단고기(桓檀古記)’를 국회도서관에서 접한 순간 기자의 가슴은 철렁 내려앉았다. ‘실크로드 흥망사’란 부제가 붙은 이 ‘환단고기’는 서기 1982년인 쇼와(昭和) 57년, ‘역사와 현대사(歷史と現代社)’를 발행인으로, ‘(주)신국민사(新國民社)’를 발매인으로 해서 도쿄에서 출간된 일본어 책이기 때문이었다.

가지마 노보루의 환단고기

기자는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의 고대사를 밝혀놓은 ‘환단고기’에 관심을 가져왔다. 위서(僞書) 시비에도 불구하고 ‘환단고기’가 우리 사회에 끼치는 지대한 영향 때문이다.

한글은 1443년 세종 때 만들어졌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문자는 한 사람 또는 몇 사람에 의해 단기간에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 또한 정설이다. 한자(漢字)만 해도 갑골문에서부터 오랜 세월에 걸쳐 발전해왔고 알파벳도 북셈문자와 페니키아문자를 거쳐 발전해왔다. 일본의 가나(假名)는 한자 초서 등에서 유래했지만, 일본에는 가나 이전에 고대 문자가 있었고 그것이 가나에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도 조선 세종대에 집현전 학자들이 훈민정음을 만들기 전, ‘원시 한글’이라 할 문자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원시 한글이 있었다면 그것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놀랍게도 환단고기는 그 해답을 제시한다.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라는 사람이 ‘삼성기’와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란 네 책을 한데 묶어 편찬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녹도문과 가림토 문자

환단고기의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편에는 환웅이 신지 혁덕이라는 사람에게 명하여 천부경을 ‘녹도문(鹿圖文)’으로 적게 했다는 내용이 있다. 환단고기를 연구해온 사람들은 “녹도문은 사슴 발자국을 보고 만든 글자이고, 갑골문에 앞서 한자의 근원이 된 문자”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환단고기는 녹도문이 어떻게 생긴 문자인지는 밝히지 못했다. 녹도문은 표의(表意)문자일 가능성이 높고, 환단고기는 그 모양을 그려놓지 못했으므로 녹도문을 원시 한글로 추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환단고기 단군세기는 세 번째 단군인 가륵(嘉勒) 2년, 가륵 단군이 삼랑 을보륵이라는 사람에게 명하여 정음(正音) 38자로 된 지금의 한글과 아주 비슷한 ‘가림토(加臨土) 문자’를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그 문자의 모양을 보여준다. 또 환단고기의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편은 단군세기를 인용해 삼랑 을보륵이 정음 38자를 만들었는데 이를 가리켜 ‘가림다(加臨多) 문자’라고 한다며 앞의 가림토와 같은 모양의 문자를 보여준다.

단군세기에는 ‘가림토’로, 태백일사에는 ‘가림다’로 한 글자가 다르게 표기돼 있지만, 환단고기는 원시 한글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 세종 때의 집현전 학자들은 이 문자를 보고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 아닐까.

학자들은 다 알고 있지만 국민은 모르는 아주 이상한 사실 하나가 있다. 삼척동자를 붙잡고 “고구려를 세운 사람이 누구냐”라고 물으면 열이면 열 “고주몽”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고구려를 건국한 사람의 이름이 과연 고주몽일까?

‘고구려를 세운 인물은 고주몽이다’라고 밝혀놓은, 우리 민족이 펴낸 가장 오랜 사서는 ‘삼국사기’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는 ‘시조 동명성왕의 성은 고씨요, 이름은 주몽이다’라고 기록하고, 바로 다음에 ‘추모 또는 중해라고도 한다’라는 주를 달아놓았다. 주몽은 추모로도 불릴 수 있고 중해로도 불릴 수 있다고 삼국사기는 분명히 밝혀놓은 것이다(원문 : 始祖東明聖王姓高氏諱朱蒙云鄒牟云衆解).

고구려 시조는 주몽인가, 추모인가

‘주몽’과 ‘추모’와 ‘중해’는 발음이 비슷하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말은 중국어와 다르다. 신라시대 우리말을 한자로 적기 위해 ‘이두’와 ‘향찰’를 썼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다면 고구려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고구려 말을 한자로 적었을 것인데, 어떤 이는 동명성왕을 주몽으로 적고, 어떤 이는 추모로, 또 어떤 이는 중해로 적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고구려인들이 세 이름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했느냐는 점이다.

삼국사기는 고려 인조 때인 서기 1145년 김부식이 편찬했다. 고구려가 멸망한 것이 서기 668년이니, 삼국사기는 고구려가 패망한 때로부터 477년이 지나 만들어진 것이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 또 하나를 살펴보자. 중국 길림성 집안에는 고구려 당대인 서기 414년, 장수왕이 세운 광개토태왕릉비가 우뚝 서 있는데, 이 비문은 ‘옛날 시조 추모왕은 북부여에서 나와 나라의 기틀을 세웠다(惟昔始祖鄒牟王之創基也, 出自北夫餘)’라고 되어 있다.

고구려 당대에 세워진, 삼국사기보다 731년 앞선 광개토태왕릉비에는 고구려 시조의 이름이 ‘추모’로 기록된 것이다.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고구려 시조인 동명성왕의 이름을 ‘추모’로 밝히고 있는 광개토태왕릉비.

지금 전해지는 삼국사기는 고려 때 김부식이 편찬한 바로 그 책이 아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삼국사기는 조선 태조 3년인 서기 1394년 김거두란 사람이 그때까지 전해진 삼국사기를 토대로 새로 목판을 만들어 찍어낸 것이다. 그러나 이 삼국사기는 빠진 글자가 있어 완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조선 중종 때인 1512년 이계복이 김거두의 삼국사기를 개판(改版)해서 새로 찍어냈으며 이것이 오늘날 한글로 번역되고 있는 삼국사기다.

1512년에 인쇄된 삼국사기가 고구려의 사실을 더 많이 담고 있을까, 고구려 당대에 세운 광개토태왕릉비가 사실에 가까운 진실을 더 많이 담고 있을까. ‘사실(史實)’은 정치적인 필요에 따라 조작될 수 있지만, 사람의 이름을 조작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더구나 광개토태왕릉비는 아들이 아버지를 자랑하기 위해 세운 것인만큼 시조의 이름을 바꿀 이유가 전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고구려 시조 이름을 ‘추모’로 부르는 것이 옳은데, 현대에 나온 모든 사서는 동명성왕을 주몽으로 부르고 있다. TV 드라마까지 주몽으로 불러, ‘고구려 시조는 주몽’이란 인식이 고착화된 상태다.

한글의 뿌리를 연구해야

추모 이야기를 거론한 것은 첫째, ‘고구려 시조 이름을 당대 이름에 가깝게 바로잡자’는 주장을 펼치기 위해서이고, 둘째는 고대 우리 민족이 쓰던 말을 한자로 옮기다 보면 다르게 적힐 수도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삼국사기에 ‘북부여 속담은 활을 잘 쏘는 아이를 주몽이라고 하였다’는 대목이 있으므로 추모와 주몽은 활을 잘 쏘는 아이를 뜻하는 고구려 말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고구려 말 발음을 한자로 옮길 때 추모로 적을 수 있고 주몽, 중해로도 적을 수도 있다. 추모와 주몽, 중해가 발음이 비슷하듯 원시 한글을 뜻하는 ‘가림토’와 ‘가림다’도 발음이 흡사하다.

환단고기의 단군세기는 고려 말의 이암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고려 말 우리 민족은 가림토와 발음이 비슷한 원시 한글을 갖고 있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글자가 조선 세종조의 집현전 학자들에게 영향을 끼쳐 훈민정음이 탄생했을 수도 있다.

위서 시비에도 불구하고 환단고기가 주목받는 것은 정확성 때문이다. 우리 민족이 기록을 남기지 못한 옛날의 사실(史實)은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추적해볼 수 있는데, 요즘 실시된 고고학적 발굴로 새로이 밝혀지는 사실 중에 환단고기의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그렇다면 가림토와 가림다 문자도 가벼이 넘길 수 없다. 집현전의 학자들이 아무리 위대해도 사람이 입과 목을 이용해 발음하는 것을 보고 수년 사이에 훈민정음을 만들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문자는 쉽게 창안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위대한 학자들도 무엇인가로부터 힌트를 얻어야 역사적인 창조를 할 수 있다. 한글을 사랑하는 학자라면 한번쯤 환단고기의 진위부터 한글의 시원(始原)까지 모든 것을 연구해봐야 하지 않을까. 집현전 학자들이 환단고기에 제시된 가림토(가림다) 문자를 발굴해 그것을 토대로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가정하고, 그 가정이 옳은지를 추적해보는 연구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치우 등장시킨 환단고기

사실 환단고기를 제대로 읽어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이 책에 담긴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면서 그것을 따르는 사람이 늘고 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 한국축구대표팀 응원단인 ‘붉은악마’는 치우천왕이 그려진 엠블럼을 들고 나왔다.

언제부터 우리는 치우를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인물로 보게 됐는가. 치우를 단군보다 앞선 우리의 조상으로 인식하게 해준 것은 바로 환단고기다.

물론 1911년에 편찬된 환단고기에 앞서 치우를 우리 선조로 규정한 책이 있었다. 1675년(조선 숙종 1년) ‘북애노인’이라는 호를 쓴 사람이 펴낸 ‘규원사화(揆園史話)’가 그것이다. 그런데 규원사화는 사서(史書)가 아닌 사화, 즉 ‘역사 이야기책’이란 이유로 역사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규원사화에 담긴 내용이 100% 허구일 가능성은 매우 작다. 일부는 분명 진실일 텐데 우리의 사학자들은 이를 위서로 단정짓고 아예 연구조차 하지 않았다.

규원사화가 살려내지 못한 치우를 환단고기가 화려하게 부활시켰다. 그것도 단군에 앞선 한국을 대표하는 인물로….

치우는 중국인의 조상?

그런데 치우가 우리 조상이 아니라 중국인의 선조라고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러한 사실이 중국 학자들에 의해 밝혀진다면 치우를 앞세우며 좋아했던 한국인은 정말 우스운 존재가 된다. 문제는 치우를 중국의 선조로 만들려는 작업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인들은 황제, 염제와 더불어 치우를 중국인의 3대 시조로 꾸미고 있다.

중국인을 가리켜 자칭, 타칭 ‘한족(漢族)’이라고 한다. 한족은 진시황에 이어 한(漢)고조 유방이 두 번째로 중원을 통일하고 난 다음에 생겨난 이름이다. 한나라가 등장하기 전 중국인을 가리키는 말은 ‘하화족(夏華族)’이었다. 중국 최초의 왕조인 하(夏)나라의 후손이라는 뜻이다. 하화족은 중국을 이룬 전설상의 인물인 3황5제 가운데 5제의 첫 번째 인물인 황제를 시조로 여긴다. 한민족 하면 단군의 후예를 지칭하듯, 하화족은 황제의 후손을 의미한다. 하나라는 5제 중 한 명인 우(禹)가 세웠다고 한다.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고구려 시조인 동명성왕의 이름을 ‘추모’로 밝히고 있는 광개토태왕릉비.

중국인은 황제가 이끄는 황제족과 경쟁을 하다 황제족과 하나가 된 종족을 3황 가운데 마지막인 염제(신농)가 이끈 염제족으로 보고 있다. 염제가 이끄는 염제족을 황제족이 제압함으로써 거대한 황제족이 만들어졌다는 것인데, 거대한 황제족을 중국인들은 ‘염황족’으로 부르거나 아니면 이들이 하나라를 세웠다고 하여 ‘하화족’으로 부른다. 황제족과 염황족 하화족을 거론할 때 치우가 이끄는 치우족은 배제된다.

그도 그럴 것이 중국 사서는 황제(헌원)가 탁록이라는 지역에서 치우와 싸워 이김으로써 패권을 장악했다고 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단고기는 탁록 전투에서 치우가 이끄는 종족이 황제가 이끄는 종족을 이겼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승패의 결과가 다르긴 하지만 중국 사서와 환단고기 모두 황제족과 치우족이 싸운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로부터 수천년이 흐른 지금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인들은 치우가 황제, 염제와 더불어 그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995년, 중국인들은 치우와 황제가 역사적인 결전을 벌인 탁록에 ‘귀근원(歸根苑)’이란 이름의 사당을 만들고 그 안에 황제와 염제, 치우를 모신 ‘삼조당(三祖堂)’을 세웠다. 그리고 치우가 황제, 염제와 함께 중국 민족을 만들었다며 이들을 ‘중화3조(中華三祖)’로 통칭하기 시작했다. 만일 치우가 중국인의 조상으로 자리매김한다면 우리는 중국인의 조상을 우리 조상이라고 주장한 ‘바보 같은’ 민족이 된다. 물론 환단고기도 쓰레기 같은 잡서로 굴러떨어질 것이다.

환단고기가 위서(僞書)라면…

그러나 중국인들이 우리 민족을 일컫는 ‘동이족’의 선조가 치우라는 주장은 점점 힘을 받고 있다. 환단고기가 없었으면 우리는 짧은 시간 내에 치우를 우리 조상으로 내세우지 못했을 것이다.

환단고기와 관련해 또 하나 주목할 것이 환단고기가 등장한 후 초·중·고교 역사교과서에 단군이 실존인물, 단군조선이 실재한 나라로 적시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환단고기는 ‘환웅과 단군 시대에 관한 옛 기록’이라는 뜻인데, 이 책은 단군은 사람 이름이 아니라 대통령과 같은 ‘자리 이름’이라며 47대 단군 이름을 밝혔다.

환단고기가 위서라면 단군조선을 적시한 우리 교과서도 위서 시비에 빠질 수 있다. 환단고기의 위력은 비단 역사와 문화현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교계와 학계에 두루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가림다 문자가 나오는 환단고기의 태백일사에는 ‘소도경전본훈’편이 있는데, 여기에 천부경(天符經)과 삼일신고가 실려 있다.

천부경은, 환단고기와 별도로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천부경의 등장으로 한국철학사와 한국종교사를 다시 써야 한다는 주장까지 일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철학은 중국에서 생겨난 유학을 다루는 경우가 많았고 삼국시대에 이 땅에 전래된 불교는 한국화한 종교로 여겨져왔다. 우리 민족이 외래 사상과 종교를 받아들여 ‘우리화’했다는 것이 한국철학과 한국 종교의 큰 줄기였는데, 환단고기와 함께 천부경이 등장하자 천부경이야말로 외래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하게 우리 조상이 만든 철학이라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음양오행론과 다른 천부경적 세계관

천부경과 삼일신고, 그리고 환단고기에 실린 또 하나의 경전인 참전계경은 유학이나 불교와 다른 우주관을 제시하고 있다. 유교적, 또는 중국적 세계관을 가리키는 것으로 자주 인용되는 것이 음양오행론이다. 음양오행론은 다르게 발전해온 ‘음양론’과 ‘오행론’이 중국 전국시대에 합쳐짐으로써 생겨났다.

음양론은 전기의 플러스(+)와 같은 양(陽)과 마이너스(-)와 같은 음(陰)으로 만물의 변화 원리를 설명한다. 음양을 6개로 한정해 모아보면, 6개가 모두 양인 것에서부터 6개 모두가 음인 것까지 모두 64개가 만들어진다(2×2×2×2×2×2=64). 이러한 64괘 가운데 ‘반쪽짜리’ 4괘가 바로 태극기에 들어 있는 ‘건·곤·감·리’다.

주(周)나라 시절 중국인들은 자연변화를 64괘로 압축했다. 그리고 미래를 살피는 점을 치면서 64괘 가운데 어느 하나를 뽑게 했는데, 이때 뽑아낸 괘를 보면서 거꾸로 미래 상황을 펼쳐 보였다. 세상이 끊임없이 변하는 것을 한자로는 ‘역(易)’으로 표현하니, 주나라 때 만들어진 이 인식체계는 ‘주역(周易)’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오행론은 우주를 구성하는 에너지 원소를 수·화·목·금·토 다섯 가지로 본다. 이 다섯 가지 기운 가운데 물(수)과 불(화)처럼 충돌하는 관계도 있지만, 물(수)이 나무(목)를 잘 자라게 하듯 도와주는 관계도 있다. 물은 불을 꺼버리므로 물은 불과 상극관계이고, 물이 있어야 나무가 잘 자라므로 물과 나무는 상생관계라고 본다.

그러나 상극이라고 해서 무조건 최악은 아니다. 물과 불이 ‘솥’이라는 매체로 분리돼 있다고 가정해보자. 물은 솥에 담겨 있고 솥 밑에 이글거리는 불이 있다면, 불은 가진 능력을 다 발휘해 탈 수 있고, 물은 설설 끓어 음식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솥으로 분리된 물과 불은 자기 성질을 극대화함으로써 음식을 익히는 새로움을 창출하니 이때의 물·불은 상극관계가 아니다.천·지·인의 3수론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환단고기의 단군세기 등에 실려 있는 가림토 문자. 원시 한글일 것으로 추정된다.

오행론은 수화목금토 사이에 다양한 관계를 만들어놓고, 어느 것과 어느 것이 어떤 조건으로 만나면 어떻게 된다는 것을 정리해놓은 것이다. 음양론과 오행론이 공자를 태두로 한 유교에 흡수됐고, 그러한 유학이 한반도로 유입됐다. 그리하여 조선시대 퇴계와 율곡에 이르러 성리학이 꽃을 피우는데, 퇴계의 성리학이 정유재란 때 일본에 잡혀간 강항(姜沆·1567~1618)에 의해 일본 승려 후지와라 세이카(藤原惺窩·1561~1619) 등에게 전파됐다. 그 영향으로 500여 년에 걸친 내전(전국시대)을 종식한 일본의 ‘도쿠가와(德川) 막부’는 퇴계의 성리학을 토대로 한 문(文)의 시대로 들어간다.

이러한 흐름이 있는 만큼 음양오행론은 한·중·일의 공통된 사유체계로 이해돼왔다. 이러한 사유체계를 거부하는 것이 천부경이다. 음양론이 음과 양 두 개의 수로 만물 변화를 설명한다면, 천부경적 사유체계는 천(天)·지(地)·인(人) 세 개의 수로 만물의 변화 원리를 설명한다. 음양론은 두 개로 설명을 하니 대립에 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천부경적 사고는 변증법의 ‘정-반-합(正反合)’ 이론처럼, 제3의 방안을 제시해 대립을 해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천부경의 우주관은 불교의 우주관과도 다르다. 주목할 것은 천부경이 환단고기에만 실려 있을 뿐 중국이나 인도에서 나온 서적에는 실려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천부경적 사유는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학자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들어가 ‘천부경’을 입력하면 김백호 최민자 수월제 이중철 김현두 김백룡 최동환 문재현 유정수 권태훈 조하선 윤범하 등 수많은 학자가 주해한 천부경 관련 서적이 뜬다.

현재 단군을 모시는 대종교는 천부경을 경전으로 삼고 있다. 대종교는 1909년 나철이 개창한 ‘단군교’에서 비롯됐다. 단군교는 1910년 대종교로 개칭했는데, 이때 나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단군교’라는 이름을 유지하며 떨어져 나갔다. 앞에서 밝혔듯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에 의해 처음 편찬됐으니 천부경은 그때 세상에 알려진 셈이다.

그러나 당시의 대종교와 단군교는 천부경을 경전으로 삼지 않았다. 대종교를 이끈 나철은 1916년 자살하고, 이듬해인 1917년 계연수는 대종교에서 떨어져 나간 단군교에 천부경을 전달했다고 한다. 그런데 1920년 일제가 단군교를 없앰으로써 단군을 모시는 종교는 대종교만 남게 됐다. 이때 단군교를 따르던 많은 신자가 대종교로 넘어왔지만 대종교는 천부경을 경전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대종교가 천부경을 경전으로 채택한 것은 55년이 흐른 1975년에 이르러서다.

가장 오래된 천부경은 환단고기의 천부경

우여곡절을 겪긴 했지만 민족종교인 대종교가 천부경을 경전으로 채택한 것은 예사로 볼 일이 아니다. 환단고기가 특정인이 지어낸 위서로 밝혀진다면 이 책에 실린 천부경을 경전으로 채택한 대종교는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인 것은 천부경이 환단고기에만 실려 있지 않다는 점이다. 환단고기의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편에 천부경을 찾아낸 최초의 인물이 신라의 최치원(857~?)이라고 기록돼 있는데, 최치원은 ‘문창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최치원의 후손인 최국술은 최치원 사후 1000년 이상이 지난 1925년, 집안에 전해오던 최치원의 글을 모아 ‘최문창후전집’을 펴냈다. 이 ‘최문창후전집’에도 천부경이 실려 있다고 한다. 천부경은 81개의 한자로 구성돼 있는데, 최문창후전집에 실린 천부경은 환단고기에 실린 천부경과 74자는 같고 7자가 다르다.

그러나 7자는 의미가 달라질 정도로 다른 한자가 아니라 거의 유사하게 해석되는 한자다. 이 때문에 천부경이 환단고기 쪽으로 전해지는 과정과 최치원 집안에서 전해지는 과정에서 7자가 달라졌을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조선 말의 기정진(奇正鎭·1798~1879)도 그때까지 구전되는 것을 전해 듣고 천부경을 기록했다고 한다. 이 천부경은 기정진 선생의 제자의 제자인 김형택씨가 ‘단군철학석의(1957)’란 책에 남겨놓았다. 이 책에 실린 천부경은 환단고기에 실린 것과 1자가 다르나, 역시 해석에는 큰 차이가 없다. 이 세 가지 천부경 가운데 정본으로 여겨지는 것이 환단고기의 천부경이다. 대종교도 환단고기에 실린 것과 같은 글자의 천부경을 경전으로 인정한다.

세 책 가운데 가장 먼저 나온 것이 환단고기다. 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최문창후전집에 나오는 천부경과 단군철학석의에 나오는 천부경은 환단고기를 참고해 만들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다. 따라서 환단고기가 위서라면 천부경도 위서가 될 수 있다. 천부경을 경전으로 채택한 대종교와 천부경을 민족철학으로 여겨 해석한 학자들도 매우 곤란한 처지에 빠지게 된다. 그런 상황인데도 한국 지식인들은 환단고기의 실체를 제대로 추적하지 않고 있다.

안타깝게도 1911년 계연수가 단군세기 등 4권의 책을 묶어 펴낸 환단고기는 지금 전하는 것이 없다. 계연수가 환단고기를 편찬했다는 것은 간접적으로만 확인될 뿐이다. 1920년 중국 도교 전문가인 전병훈(全秉薰·1857~1927)은 ‘정신철학통편’이라는 책을 펴냈는데, 그는 이 책 서문에 천부경 전문을 싣고 해석을 달아놓았다.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치우를 엠블럼으로 한 대형 깃발을 내세운 붉은악마 응원단.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은 지금 전하고 있으므로 이 책은 천부경을 실은채 인쇄된 가장 오래된 책이다. 계연수는 1911년 환단고기 필사본 30부를 만들었다고 하므로 전병훈은 이를 보고 출간을 앞둔 ‘정신철학통편’에 실었을 가능성이 있다.

환단고기를 위서라고 주장하는 세력 가운데 일부는 “환단고기는 한국이 아니라 일본에서 먼저 출판됐다”고 주장했다. 계연수가 만든 환단고기는 없고 그의 제자라는 이유립이 환단고기를 출판사를 통해 인쇄해 내놓기 전에 일본에서 환단고기가 나왔다면 이유립은 거꾸로 일본판 환단고기를 베껴 한국에서 출판했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확인한 바로는 한국 출판사에서 출간된 환단고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985년 김은수씨의 ‘주해 환단고기’(가나출판사)와 임승국씨가 1986년 5월 정신세계사에서 내놓은 ‘겨레를 밝히는 책들-한단고기’이다. 임씨는 이유립씨와 함게 국사찾기 운동을 한 사람인데, 그는 ‘환단고기’가 아니라 ‘한단고기’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일본인 가지마 노보루가 쓴 ‘실크로드 흥망사’라는 부제가 붙은 ‘환단고기’가 1982년 ‘역사와 현대사’에서 출간된 것으로 확인됐으니 기자의 가슴이 철렁 내려앉을 수밖에….

가지마 노보루가 출판한 환단고기가 일본인들이 창작한 것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는 그것도 모르고 동북공정에 맞서기 위해, 환단고기를 ‘민족의 시원을 밝혀주는 역사서’ ‘민족의 철학을 밝혀주는 지침서’로 흠모했다면 정말 어리석은 민족이 될 것이다. 다급해진 기자는 환단고기를 출간한 국내 출판사를 하나씩 접촉하며 어떤 경위로 이 책을 내게 됐는지 알아봤다.

환단고기는 참으로 많은 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앞에서 언급한 임승국씨의 한단고기(정신세계사) 외에도, 1987년 고려가라는 출판사가 다섯 권으로 펴낸 ‘대배달민족사’ 제1권에 실린 환단고기, 1989년 김은수씨가 주해해서 기린원이 펴낸 환단고기, 1994년 민족문화사 편집부가 출간한 환단고기, 1996년 계연수를 편자로 해서 한뿌리출판사에서 내놓은 환단고기, 1998년 코리언북스출판사가 단학회연구부를 엮은이로 해서 출간한 환단고기, 2000년 바로보인출판사가 문재현씨의 풀이로 내놓은 환단고기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가지마 노보루의 환단고기와 국내에서 출간된 환단고기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기자는 가지마 노보루의 환단고기 원문(한자)과 국내에서 출간된 환단고기의 원문이 똑같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은 한편으로는 가지마 노보루의 환단고기 해석을 한국어로 번역해 출판했다는 오해를 나을 수도 있으므로 기자의 마음은 다급해진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위서 시비가 있는 책인데….

조급함은 곧 불안감으로 증폭됐다. 놀랍게도 가지마는 환단고기를 일본 신도(神道)에 접목시켜놓았기 때문이었다. 가지마는 일본 신도의 원류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환단고기를 번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서기는 모략위서(謀略僞書)다’라는 제목을 단 머리글에서 위서 시비가 있는 일본서기의 일부 내용을 부인하며 환단고기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신도 이론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反유교 反조선 기치 내건 개화기 일본

가지마는 어떤 생각을 했기에 일본 신도의 정통성을 바로 세운다며 환단고기를 출간한 것일까. 그 답을 찾아준 이는 서울 청운동에 있는 ‘국학연구소’의 김동환 연구원이다. 일본 신도를 연구하는 김 연구원은 가지마를 ‘의식 있는 일본의 재야사학자’로 정의했다. 김 연구원으로부터 일본 신도의 역사와 가지마 노보루의 역할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다.

지금도 일본에 가면 불교의 절과 신도의 신사(神社)가 함께 있는 것을 숱하게 볼 수 있다. 일본의 근대화는 조선 퇴계에서 비롯된 성리학적 세계관과의 결별에서부터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도쿠가와 막부 시절의 일본이 친(親)유교(성리학), 친(親)조선이었다면, 근대화가 시작된 이후의 일본은 반(反)유교 반(反)조선이라 할 수 있다. 근대화를 위해서는 봉건제에서 벗어나야 하므로 일본은 한반도로부터 문화가 들어왔다는 것을 부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일본에도 고유한 문화가 있었음을 보여줘야 했고, 메이지(明治)시절 일본의 엘리트들은 ‘일본서기(日本書紀)’와 ‘고사기(古事記)’ 등 일본의 고유 자료를 강조했다. 이런 움직임은 성리학을 수용한 막부를 날려버리고 일본적인 것을 상징하는 천황 중심으로 뭉치자는 주장으로 이어져, 천황 숭배가 강화됐다. 일본 천황의 위패는 대개 신궁에 모시니 신도를 부흥시킬 필요가 있었다.

일본은 불교가 들어온 7세기부터 신사와 절을 공존, 융합시키는 ‘신불습합(神佛習合)’의 전통을 이어왔다. 신사와 절이 함께 있고, 가정에는 신도의 제단인 ‘가미다나(神棚)’와 불교의 제단인 ‘불단(佛壇)’이 함께 놓인 것이 바로 신불습합의 전통이다.

신도를 부흥하려 한 일본의 엘리트들은 불교도 봉건적이고 외래적인 것으로 보고 불상과 불경을 훼손하고 거부하는 ‘폐불훼석(廢佛毁釋)’ 운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불교는 신도만큼 민중 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지라 척결할 수 없었다. 그러자 엘리트들은 불교 탄압을 중단하고 신불습합을 인정하며 신도 부흥에 매진했다.

이 시기 일본은 총리대신 밑에 전국의 신궁과 신사를 관리하는 ‘신기국(神機局)’을 뒀다. 신기국은 일본서기와 고서기를 그들이 원하는 대로 조작하는 일을 진두지휘했다. 일본을 한국보다 오래된 전통문화를 가진 나라로 바꾼 것이다. 신기국을 통해 일본은 조선에도 일본의 토속신을 모시는 신궁과 신사를 만들게 했다.“신국민과 만선사관을 위해 번역”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가지마 노보루가 1982년 일본어로 번역 출판한 환단고기와 서문. 표지에는 ‘실크로드 흥망사’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러한 운동이 일기 전, 일본 신도를 부흥시킨 인물로 꼽히는 ‘고사기전(古事記傳)’의 저자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1730~1801)가 일본 국학 부흥을 부르짖었는데, 이를 계기로 일본에서는 ‘국민(國民)’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

국민은 국가가 결정한 것을 그대로 따르는 민중이다. 이 때문에 군국주의자들이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자 했을 때 일본인들은 이를 비판 없이 수용했다. 가지마 노보루는 비판 없는 맹종이 일본인에게 패전과 피폭(被爆)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고통을 가져왔다고 보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할 때까지 일본 헌법에는 신기국을 둔다는 조항이 있었다. 그러나 일본을 패망시키고 군정을 실시한 미국은 ‘정치와 종교를 분리시킨다’는 원칙에 따라 새로 만든 헌법(평화헌법)에는 신기국을 둔다는 조항을 넣지 않았다. 이로써 일본 신도는 메이지 시대 이전처럼 자력으로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시절로 되돌아갔다.

이때 ‘신도를 지켜내야 한다’고 생각한 일본인들은 ‘신도의 위기는 비판 없는 일본인의 근성에서 비롯됐다’고 보았다. 이들은 ‘국민’이란 단어에는 ‘무비판’과 ‘무조건 수용’의 뉘앙스가 담겨 있으니 이제 일본인은 국민이기를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본이라는 국가의 인민임은 부정할 수 없어 ‘신국민’이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이런 생각을 가진 일본의 지식인 가운데 한 명이 가지마 노보루다. 다음은 이유립에게 환단고기를 배운 창해출판사 전형배 사장의 의견이다.

“환단고기에 따르면 일본은 동북아를 무대로 한 역사 주체 가운데 방계에 해당한다. 일본은 동북아 역사 무대의 중심이 아니었지만 지금부터는 중심이 되자는 것이 신국민이라는 단어에 담긴 의미다.

이는 미국과 영국의 관계와 비슷하다. 미국은 영국에서 갈려나온 방계이지만 지금은 영국을 제치고 세계의 중심이 됐다. 그와 마찬가지로 일본인도 동북아의 주무대에서 갈려 나온 방계이지만 지금부터는 동북아의 중심이 돼야 한다며 그 일을 할 주체세력으로 신국민을 설정했다. 한반도와 만주에 살던 형님이 못한 일을 섬에 살던 일본인이 대신해서 하자며, 신국민을 그 일의 중추로 삼은 것이다.

이러한 의지는 중국에 문화적으로 편입돼 있는 조선은 물론이고 아예 중국의 영토가 된 만주를 중국에서 떼어내 일본과 같은 역사를 만들어온 공간으로 삼자는 ‘만선(滿鮮)사관’과 궤를 같이한다. 만주와 조선에 있는 형님이 잃어버린 정신을 일본에 살던 동생이 대신 세우겠다는 것이 만선사관과 신국민에 담긴 의지다. 가지마는 그들의 뿌리를 찾기 위해 환단고기를 번역한 측면이 있다.”

“미국이 영국 대신하듯 일본이 한국을 대신한다”

제1부 - 환단고기, 위서인가  진서인가

이유립 선생이 타계한 후인 1987년에 출간된‘대배달민족사’(전5권).

신국민은 비판능력이 있어 나라가 결정한 것을 무조건 따르지 않는다. 신국민은 메이지 시절의 엘리트가 조작한 일본 고대사를 객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것이 바로 가지마 노보루의 책을 출간한 ‘신국민사’다.

신국민사는 신도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일본 재야 사학자와 재야 국학자들의 모임이 됐다. 가지마는 이 모임의 핵심이기에 ‘환단고기’ 서문에 ‘일본서기와 고서기는 모략위서다’라는 제목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가지마 노보루는 불교와 유교가 들어오기 전 한반도와 일본에는 고유한 종교가 있다고 봤다. 일본에서는 이를 신도라 하고 한국에서는 선도(仙道)라 하는데, 가지마는 일본의 신도와 한국의 선도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여겼다. 중국에서는 유교 외에 신도나 선도와 비슷한 도교(道敎)가 생겼는데, 이 셋이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이라는 게 가지마의 생각이다.

‘鬼道 檀君敎’

가지마는 한·중·일 3국의 토속 종교 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일본 신도의 이론을 세우고 발전시키는 초석이라고 여겨 한국인보다 먼저 환단고기를 번역 출판한 것이다. 그 후 가지마는 역시 신국민사를 통해 ‘신도이론대계(神道理論大系)’라는 신도 교과서를 펴냈는데, 여기에서 그는 한국의 선도를 연구한 속셈을 분명히 밝혔다.

‘신도이론대계’의 제5장은 ‘신교오천년사(神敎五千年史)’란 제목인데 여기에 ‘귀도 단군교(鬼道 檀君敎)’란 문구가 있다. 가지마는 홍암 나철이 만든 민족종교인 단군교를 귀신 숭배하는 종교로 정의한 것이다. 그리고 단군교는 일본 신도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고도 규정했다.

고대에는 일본의 신도가 한반도의 선도나 중국의 도교로부터 영향을 받았겠지만 근대에는 거꾸로 일본의 신도가 한국과 중국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 가지마 노보루의 주장이다. 만주와 조선은 일본인의 역사공간이라는 만선사관으로 무장한 일본의 우익을 우리는 어떤 논리로 어떻게 상대할 것인가. 그리고 중국의 동북공정은 또 어떻게 막아낼 것인가.

생명학 연구 3부작 완결한 최민자 성신여대 교수 "정치·생태 등 인류의 위기, 생명에 무지한 탓"

생명학 연구 3부작 완결한 최민자 성신여대 교수 "정치·생태 등 인류의 위기, 생명에 무지한 탓"

생명학 연구 3부작 완결한 최민자 성신여대 교수 "정치·생태 등 인류의 위기, 생명에 무지한 탓"
입력 2008.06.26 

“진리는 종교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진리는 종교, 학문, 정치, 우리의 삶에 용해되어야 합니다.”

동서양의 여러 사상과 종교,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의 문제를 천착해온 최민자(53) 성신여대(정치학) 교수가 생명학 연구 3부작을 완결했다. <천부경>(2006년), <생태정치학>(2007년)에 이어 최근 펴낸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모시는사람들 발행)는 각권 모두 800~900쪽의 방대한 분량이다. 스님이나 신부 등 종교인이나, 과학자들이 다루는 ‘생명’이라는 주제를 왜 정치학자가 파고들었을까.

“생태 위기나 정치, 종교적 충돌 같은 인류의 총체적인 난국은 우주의 본질인 생명에 대한 참 지식의 빈곤 때문입니다.” 24일 서울 인사동에서 만난 최 교수는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한 예수의 말처럼 유사이래 모든 종교의 핵심이 생명이며 그 점에서 도덕경, 성경, 불경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유교의 태극, 불교의 일심이 곧 생명을 가리킨다는 것이 최 교수의 해석이다.

최 교수는 책에서 물리학 생물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학문과 유불선(儒佛仙), 민족종교 등을 종횡무진하며 생명이라는 주제에 대한 이론적인 틀을 시도하고 있다. 최 교수는 “요즘 생명을 이야기하는 이들이 많지만 대부분 당위론에 그치고 있다”면서 “생명 문제에 관한 교과서를 내겠다는 심정으로 책을 썼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먼저 물리학 이론을 동원해 “생명의 본질은 파동체”라고 설명했다. “양자물리학이 생명의 본질을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으로 파악한 지 100년이 넘었습니다. 우리 학문 풍토가 이공계와 인문사회계를 분리해 자연과학에서 발견된 진리를 인문사회과학이 흡수하지 못하고 있을 뿐입니다.”

최 교수는 이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물질의 궁극적 본질이 비물질과 다르지 않다, 즉 ‘정신과 물질은 하나다’라는 것을 말해준다면서 불교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란 말도 이와 같은 뜻이라고 했다. “생명은 파동인데 그것이 모여 일정한 조건 하에서 다양한 물질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장자가 ‘일기(一氣)에서 우주만물이 나온다’고 한 것과 같은 소리다.

최 교수는 생명에 대한 양자물리학의 관점은 신과 인간을 하나로 본 우리 상고(上古)시대의 패러다임과 일치한다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생명의 본체는 신, 하늘, 도, 태극이라 일컫기도 하는데 그 본체의 자기복제의 작용으로 나타난 것이 사람과 우주 만물입니다. 따라서 형상은 다르지만 본체는 하나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도 이와 같은 말입니다.”

그는 “생명의 본체와 작용은 하나이고 그 실체는 의식이며 이 우주는 의식이 지어낸 것”라면서 불교의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성서의 ‘그림자’라는 말이 이를 뜻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서양의 종교와 사상을 두루 회통하는 최 교수의 생명 풀이에서는 오랫동안 닦아온 깊은 학문적, 정신적 내공이 느껴진다. 종교사상에 해박하다 보니 생전 처음 보는 물리학 책이 술술 읽히고, 오히려 사회과학자들이 쓴 글에서 이치에 맞지 않는 점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고 한다.

“요즘 해외의 베스트셀러들의 공통점은 인간의 의식을 다룬 것이라는 점입니다. 작가들이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의식의 문제를 쉽게 풀이해서 쓰고 있는데, 학자는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 교수는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도 진리를 자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리를 모르고도 산골에서 착하게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이 도시로 나오면 평생 착하게 살 수는 없을 것입니다. 확실하게 진리를 자각한 사람은 ‘군자는 평상심을 갖는다’는 말처럼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최 교수는 “생명 문제에 관해 몇 십년 동안 가졌던 의문이 <천부경(天符經)>을 읽으면서 다 풀려버렸다”면서 책을 81개 테제로 나눈 것은 천부경 81자, 도덕경 81장의 구조를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시대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리의 정수가 빠진 공부를 했습니다. 정치학의 경우도 ‘지배와 복종’, ‘권력과 자유’ 같은 이분법적 패러다임에 길들여져 있어서는 궁극적 진리와 통할 수 없습니다.” 최근의 촛불시위에 대해서는 “국가나 인류집단도 개인처럼 자아가 죽는 체험을 해야 하는데, 촛불시위가 없었으면 대통령이 반성을 했겠는가”라며 “촛불시위가 우리 집단의식의 현주소”라고 분석했다.

최 교수는 진리의 정수는 여러 종교의 경전을 통해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고 요즘은 자연과학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데 인문사회과학도 열린 사고를 통해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경욱 기자 kwnam@hk.co.kr

[주목, 이사람] 통합 학문시대 주창 최민자 교수 "진리는 하나… 종교도 학문도 벽 없애야" | 세계일보

[주목, 이사람] 통합 학문시대 주창 최민자 교수 "진리는 하나… 종교도 학문도 벽 없애야" | 세계일보

[주목, 이사람] 통합 학문시대 주창 최민자 교수 "진리는 하나… 종교도 학문도 벽 없애야"
기사입력 2008-06-26 16:52:29


◇최민자 교수는 “우리의 상고시대 정치사상인 ‘천지인’ 합일사상은 양자물리학에서 이미 증명한 것”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제 인류 사회는 종교 간 벽도, 학문 간 벽도 없어지고 오직 생명과 평화에 대한 자각으로 소통돼야 합니다.”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최민자(53) 교수는 종교를 포함한 모든 학문이 생명의 본체이자 진리 그 자체를 공유하는 통합학문의 시대를 열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의식을 넓혀 우주 본질인 생명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 가능하다고 한다. 최 교수는 이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최근 동서고금을 관통하는 방대한 분량의 사상서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총 832쪽)를 펴냈다.

이 책은 생명경(生命經)으로서의 정치대전(政治大全)이라 할 수 있는 ‘천부경’, 서구적 근대를 초극하는 생명의 세기를 제시했다고 평가받은 ‘생태정치학’에 이은 최 교수의 생명에 관한 3부작 완결편이기도 하다.


“이들 3부작은 ‘물질과 정신은 하나’라는 양자물리학의 전일적(全一的) 실재관과 일치하는 패러다임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 핵심은 ‘(생명의) 본체·작용·본체와 작용의 합일’이라는 ‘생명의 3화음적 구조’에 대한 자각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여기서 ‘본체’는 신(신성), 하늘, 태극, 도(道), 우주의 근본 질료, 지기(至氣) 등으로 다양하게 명명되는 궁극적 실재로서 우주의 본원을 일컫는다. ‘작용’은 본체의 자기복제로서 나타난 우주만물이다. ‘본체와 작용의 합일’은 이들 양 세계를 관통하는 원리가 내재된 일심의 경계를 말한다.

“이미 양자물리학에서 물질의 근원을 탐구하다가 밝힌 것이, 물질의 궁극적 본질이 비물질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이 바로 그것이지요. 정신과 물질, 유심과 유물, 신과 인간 등의 이분법은 실재성이 없으며 진리는 ‘하나’라는 것입니다.”

구미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중국 강단에도 서는 등 동서양의 종교와 사상을 두루 익힌 그는 천부경을 연구하다가 의문이 풀리면서 불교의 삼신불(법신·화신·보신)이나 기독교의 삼위일체(성부·성자·성신), 동학의 내유신령(內有神靈)·외유기화(外有氣化)·각지불이(各知不移)가 모두 생명의 3화음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라는 확신을 얻었다. 즉, 우리가 분리의식에서 벗어나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가면 본체와 작용이 하나임을, 이 우주가 ‘한생명’임을 자연히 알게 된다는 것이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중세적 인간이나 근대적 인간, 그 어느 쪽도 내재적 본성인 신성과 이성의 ‘불가분성(不可分性)’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사실입니다. 이성적 힘의 원천이 참본성인 신성에 있음을 이해한다면 진정한 문명의 개창은 신성과 이성의 합일, 즉 천인합일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물질과 정신 어느 한쪽만 알아서는 관념적일 수밖에 없으며, 두 세계를 모두 알고 소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덧붙여 새로운 계몽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면 ‘유신론이냐 무신론이냐’, ‘유심론이냐 유물론이냐’ 식의 이분법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생명의 3화음적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만물을 떠나 따로 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리에 대한 명료한 인식이 없이는 새로운 계몽시대를 열 수 없습니다. 만유의 중심에 내려와 있는 신성이 바로 신의 실체이자 우리의 참본성임을 직시함으로써 천·지·인 삼재의 융화에 기초한 생명과 평화의 문명을 여는 것이 문명의 대전환기를 살고 있는 우리의 시대적 과제입니다.”

최 교수는 오늘의 인류가 처한 딜레마가 다양한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는 모두 생명 문제와 관련돼 있으며 또한 거기서 파생된 것이라고 본다. 세상이 혼란스러운 것은 생명, 곧 진리가 종교의 틀에만 갇혀 있기 때문이라는 것. 따라서 진리가 종교 밖으로 나와 모든 학문에 녹아들고, 삶 속에서 구현될 때 진정한 평화가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생명에 관한 진지(眞知)의 구축을 통해 삶과 학문, 삶과 종교, 학문과 종교, 종교와 종교가 화해해야한다고 역설했다.

천부경 81자, 도덕경 81장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 그의 저서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의 특징은 물리와 성리, 미시세계와 거시세계를 통섭하는 보편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생명의 3화음 구조’에 입각해 전일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생명학과 생명정치의 기본틀을 제시하고 있다. 또 인간사회 제 현상을 홀로무브먼트(holomovement)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경계선 없는 통합학문의 단면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의식혁명입니다. 인류 문명사로 보나, 자연계 현상으로 보나 임계치에 도달해 있음인지 2000년 이후 급속히 인류의 의식이 깨어나고 있습니다. 서구에서 의식의 창조력을 다룬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도 한 증좌가 되겠죠.”

과연 인류가 의식을 확장시켜 자기 종교, 자기 학문을 뛰어넘어 생명과 진리, 평화를 위해 집단적으로 손잡는 일이 발생할 수 있을까. 그것은 가히 제2의 르네상스요 종교개혁이 될 것이다. 최 교수는 “실물이 바뀌면 그림자가 바뀌듯, 의식이 바뀌면 의식의 투사체인 이 세상은 자연히 바뀌게 된다”며 “복합적 여건의 성숙으로 의식혁명은 의외로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글·사진=정성수 종교전문기자 hulk@segye.com

동학학회 최민자 회장 신간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 출간

동학학회

최민자 회장 신간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 출간


작성자 : 동학학회 등록일시 : 2019-04-17 15:41

첨부파일 :


동학학회 최민자 회장(성신여대 교수)의 신간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가 출간되었습니다.




문명의 대전환을 이끌 8가지 대안… 최민자 교수 새 책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
기사입력 2019-04-16
 

최민자 성신여대 교수는 학문적 영역의 넓이와 깊이가 남다른 인물이다. 정치학자로 오랫동안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치며 궁구해 왔을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의 사상과 문명사를 가로지르며 수많은 저서를 펴내 주목을 받았다. 저서의 제목만 봐도 그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인류 문명사를 조망해왔는지 알 수 있다.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2015),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2013), ‘동서양의 사상에 나타난 인식과 존재의 변증법’(2011), ‘통섭의 기술’(2010), ‘삶의 지문’(2008),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 생명정치의 구현을 위한 眞知로의 접근’(2008), ‘생태정치학: 근대의 초극을 위한 생태정치학적 대응’(2007), ‘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2006), ‘동학사상과 신문명’(2005), ‘세계인 장보고와 지구촌 경영’(2003), ‘새벽이 오는 소리’(2002), ‘직접시대’(2001), ‘길(道)을 찾아서’(1997) 등.

최 교수가 작년에 펴낸 ‘빅히스토리’는 우주의 탄생, 생물의 진화 과정을 파헤치고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시도한 책이다. 다루는 시간은 우주 빅뱅에서 포스트휴먼까지, 영역은 정치학을 넘어 역사·철학·과학·종교·인문·사회를 아우른다. 거대한 우주와 인간의 역사를 ‘생명’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살핀, 808쪽의 대작이다.

그가 이번에 새롭게 펴낸 책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사진)도 544쪽으로,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문명과 자연이 함께 대전환하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사상과 기술을 ‘정신’과 ‘물적 토대’, 그 둘을 상호 전환하는 프로그램의 3원 구조로 제시한다.
 
최 교수에 따르면, 현재 인류는 4차·5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얽히고설킨 세계시장과 통제 불능의 ‘기후’라는 복잡계가 빚어내는 문명과 자연의 대순환 주기에 와 있다. 이에 관한 백가쟁명의 대안과 해결책이 제시되지만, 현재 상태로 보면 인류 문명은 그저 얼굴과 몸집을 달리한 자본 논리에 따라 증식을 계속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처럼 보인다. 그 끝이 공멸이라는 점을 알면서도, 결정적인 전환점을 만들어내는 데는 실패하고 있다. 욕망에 비해 대안을 모색하는 지혜와 의지의 크기가 초라하기 때문이다. 이 간극을 해소하고 전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그랜드 디자인으로서 문명사적인 기획이 필요하다. 또 이를 위해서는 동서남북 고금왕래의 철학사상과 과학을 접목하고 통섭하여 인류 문명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어야 한다.  

문명사적인 요구에 대해 최 교수는 이 책을 통해 8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정신’과 ‘물적 토대’, 그 둘을 상호 전환하는 시범 프로젝트(pilot project)로 도식화할 수 있다. 우선, 정신의 측면에서 ① 생명이 곧 영성임을 갈파한 ‘한’ 사상, ②과학과 의식의 심오한 접합을 함축한 신과학, ③ 윈윈 협력체계의 ‘동북아 그랜드 디자인’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 책은 신 유라시아 시대의 도래와 세계 질서의 문화적 재편을 예견한다.

다음으로, 이를 실현할 물적 토대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① 화폐제도의 개혁, 즉 금본위제에서 구리본위제로의 전환 ② 자원 및 에너지 문제의 해결 방안 ③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문제 해결 방안 등을 통해 근원적이고도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 둘 사이를 매개하고 상호 전환하는 측면에서 유엔세계평화센터 구상을 제안한다.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를 동북아의 역학 구도 및 경제 문화적 지형 변화를 예기(豫期)하고 촉발하는 중심으로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8가지 대안을 좀 더 살피면, 첫째로 21세기의 정신적 토대로서 ‘한’ 사상을 들 수 있다. 이는 한민족 재래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생명이 곧 영성임을 갈파한 생명사상이다. 그 체제하에서 공공성과 소통성, 자율성과 평등성이라는, 근대 이념(이데올로기)으로 형해(形骸)화한 가치들이 역사에 실현된다. ‘한’ 사상은 천부경에 나타나는 일즉삼(一卽三)·삼즉일(三卽一)의 논리 구조에 기초한 천인합일의 개천(開天) 사상이다. 또 ‘한’ 사상은 현대 물리학-양자역학의 전일적 실재관의 원형(prototype)으로서 개벽사상이다. ‘한’의 우주관은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이 폐기된 양자역학적 실험 결과나, 산일구조(dissipative structure)의 자기조직화 원리와 마찬가지로 이 우주를 자기생성적 네트워크 체제로 인식한다. ‘한’ 사상은 에코토피아(ecotopia)를 지향하는 무극대도(無極大道)의 사상이다.
 

둘째, ‘한’ 사상 전개의 물적인 토대로서 구리본위제의 정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금본위제가 대공황을 촉발했듯이, 현재의 달러본위제 역시 세계적인 경제 불균형과 주기적인 경제위기를 자초하는 근본 요인이다. 최 교수는 현대적 의미의 구리, 즉 디지털 코퍼(digital copper)를 기축통화로 삼아 달러를 대체하자고 제안한다. 신기술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구리(銅)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화폐의 4대 기능의 조화, 적극적인 경제 활성화(통화) 정책을 통해 세계 경제의 균형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 디지털 코퍼 기반 화폐로써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지구공동체를 실현할 수 있다. 기축통화국의 시뇨리지 효과(seigniorage effect, 鑄造差益)를 제거하고 노동성과를 충분히, 고르게 분배할 수도 있다.  

셋째, 미래의 연금술이라 할 원소 변성 기술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처음 개발된 액티바 신소재와 원천기술은 인공적으로 원자핵의 구성을 바꿔 고순도의 구리 추출이 가능하다. 이는 근대 사회의 ‘현자의 돌’(중세 연금술이 추구하는 궁극 원리)이라고 할 E=mc2 원리와 원자(양자) 발견 이후의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다. 양성 수소 핵자가 양성자수 26인 철 원소 핵자들을 포격, 철 원소 핵자들에 의해 수소 양성자 3개가 포획돼 새로운 원소, 즉 양성자수 29인 구리 원소로 변성하는 액티바 신기술로써, 안정적인 통화 공급은 물론 미래 세계를 추동하고 견인할 물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기술이다.

방사성 핵종 폐기물을 흡착 유리고화(琉璃固化, vitrification)해 영구 처리하는 무기이온 교환체 액티바 신소재와 원천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고준위 핵폐기물과 악성 산업폐기물 등을 안전하고 완벽하게 영구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된다. 이 기술은 고준위 핵폐기물 등을 무결정(無結晶)의 최첨단 유리고화 공법으로 영구 처리하므로 방폐장 문제를 해결하고, 플루토늄의 핵무기 전용을 원천 봉쇄한다. 특히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해서 연료로 재활용하므로 경제성도 충분하다. 이 기술이 에너지·환경·생명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면 지구촌 각국에서 에너지난 해소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책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다.

다섯째는, 한국이 선도하는 수소에너지와 핵융합에너지의 역할이다.

미래 수소 문명의 관건은 수소 생산에 필요한 무공해하고 저렴한 에너지 확보다. 이 문제가 해결되면 에너지 민주화의 길이 열린다. 특히 분산 에너지 인프라는 에너지 민주화의 기틀을 마련하고 사회 구조는 근본적으로 개편된다. 또한 수소 에너지는 탈화석연료 시대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이 우주에 무한대로 존재한다. 현재 세계 선진국들이 모두 매달리고 있는 핵융합에너지는 온실가스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에너지이며, 여타의 신재생에너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대규모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산출 장소(바다)가 널리 분포해 있으므로 에너지 민주화, 에너지 분쟁 방지 등의 부대 효과가 생긴다.

여섯째, 5G 이동통신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세상이다.

미래 세계는 5G 이동통신이 만들어 갈 ‘유비쿼터스 모바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세상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이 성공하기 위한 열쇠는 5G 기반의 정보통신기술(ICT)이다. 이러한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선 우선 제품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고객 가치를 구현하는 고객 중심 사고 방식으로 혁신해야 한다. 플랫폼 비즈니스가 성공하려면 플랫폼 자체의 가치 극대화에 집중해 참여자들의 역할과 니즈(need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참여를 유도하는 수요 중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 특히 이때 지속 가능한 전략은 공익에 대한 공감 능력을 확충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일곱째, 디지털 패브리케이션과 3D 바이오패브리케이션의 변혁이다.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핵심은 PC와 결합하는 개인화와 인터넷과 연결되는 분산화다.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려면 제조업의 관점을 벗어나 정보통신과 정보화 사회의 관점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기술과 사회를 통합하는 사회변혁의 모델을 창출하는 팹랩의 정신을 커뮤니티 내 참여자들이 공유해야 한다. 바이오패브리케이션 기술은 복잡한 기능을 하는 살아 있는 조직으로 3D 프린팅을 하는 4D 프린팅으로 발전, 증강휴먼(augmented human)을 가능케 할 것이다. 나아가 머지않아 컴퓨터가 눈앞에서 사라지고 세상 자체가 인터페이스가 되는 날이 머지않아 도래할 것이다.

여덟째,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의 역할이다.

UNWPC는 한·북·중·러·일 접경지역인 동북 3성에 플랫폼을 구축하여 환동해경제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북방 실크로드의 발원지로 기획된 것이다. 아태지역의 거대 경제권 통합을 이루며 동북아를 일원화함으로써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 정착 및 동아시아 공동체, 나아가 유라시아 공동체 구축을 통해 21세기 문명의 표준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체제론의 관점에서 볼 때 UNWPC는 초국적 실체에 대한 인식 및 협력의 다층적 성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초국적 발전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특히 이는 통일 한반도의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틀을 제공한다. 21세기 환경·문화의 시대를 선도함과 동시에 동아시아 나아가 지구촌의 문화예술·경제활동의 중심지이자 환경문화교육센터로서 지역 통합과 세계평화의 기반이 될 것이다.


최 교수는 “새 시대의 진정한 힘은 생명을 살리는 정신문화와 신과학기술과 경제력에서 나온다”며 유라시아 시대가 다시 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오늘날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리오리엔트(ReOrient)란 용어는 근대 서구사회가 종언을 고하고 세계 질서의 문화적 재편(cultural reconfiguration)이 일어남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신유라시아 시대의 신문명을 건설하는 그랜드 디자인으로서 앞에 언급한 8가지 대안에 주목해야 한다.

 
저자인 최 교수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Arizona State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사를 받고, 영국 켄트대(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중국 베이징(北京)대학교 객원교수와 옌볜(延邊)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를 지낸 바 있다. 1994년 중국 산둥성(山東省) 장보고기념탑 건립위원장을 맡았으며, 1999년엔 훈춘(琿春)에서 유엔 측 대표, 중국 훈춘시 인민정부 시장, 러시아 하산구정부 행정장관 등과 중국·북한·러시아 3국 접경지역 약 2억 평 부지에 UNWPC 건립을 위한 조인식을 이끌었다.

장재선 기자 jeijei@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by 나반의 정원 - 얼룩소 alookso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by 나반의 정원 - 얼룩소 alookso: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결론
국제정치/국제사회문화/예술+17사상/철학/역사+19

나반의 정원·세상사에 모두 관심이 많은 백과사전파
2023/03/27

최민자 교수의 천부경 책 표지Ⅴ. 결 론
이상 천부경 관련 신화와 수메르 신화를 간략히 비교하여 보았다. 서론에서 지적한 대로 신화는 꿈과 상징, 및 집단의식이다. 그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능력을 가졌기에 오늘의 합리적 잣대로만 판단하면 안 된다.
앞에서 언급한 신화에 머물던 트로이 전쟁이 고고학적 벌견되고 지하에 묻혀 있던 수메르 문명이 19세기에 와서야 발견되고 계속해서 놀라운 사실들이 발견되고 있다. 천부경 관련 신화도 어떤 새로운 사실이 발견될지 모른다. 역사만이 아니라 신화에 대해서도 우리는 경건해야 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천부경 관련 신화는 수메르 신화와 문명과 적지 않은 유사성을 가졌기에 관련성을 지적한 연구들을 비역사적이라고 외면할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적이어서는 안되고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부경 관련 신화와 수메르 신화와의 비교는 중국 문명과 구별되는, 오히려 중국 문명을 낳게 한 원동력이 된, 동이족이 중심이 된 고대문명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문명의 주역 중에서 국가체계를 가진 나라는 오직 대한민국(북한을 포함)뿐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었다. 우리 역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신화의 자료와 고고학에 관한 심층적 연구와 함께 수메르 언어와 설형문자에 관한 연구를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함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상 연재한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 는 필자 정천구의 한국민족사상학회의 학회지 <민족사상> 제15권 제2호 (2021) pp.9-31에 실린 논문이다.


■ 참고문헌 ■

김수자, “신채호의 「독사신론」의 구성과 ‘민족사’의 재구성,” 동양고전학회,『東洋古典硏究』제36호, 2009.
김은남, “성역인가 공원인가-독립문⦁서대문⦁독립공원,” 『한국논단』2월호,한국논단 54권 0호, 1994.
밝완서, 오재성, “동아시아의 고대사와 문화는 하나 - 인식 전환으로 보이는 사서의 진실 -,” 동아시아고대학회,『동아시아고대학』, 40, 2015. pp.9-34. https://www.earticle.net/ Article/A258505/밝완서, 오재성.
김채수, “고대 메소포타미아문명과 고조선,” 《동북아 문화연구》, 31, 2012..
송준희, 『일만천년 천손민족(天孫民族)의 역사』, 2. 우리민족은 어디서 왔는가, 구리넷 우리 역사의 진실 ⓒ2011 구리넷, www.coo2.net.
新天地主人,『大檀奇古桓檀記揆園史錄, 대단기고환단기규원사록』, 서울: 문학관, 2014, https://play.google.com/books/ reader?id=y5mhDwAAQBA &pg=GBS.PA169
이형준, “단군과 한국 고대사,” 동북아역사새단,《제2회 상고사 학술회의》,2014년 10월 2일.
임승국 번역 및 해제, 『환단고기』,삼성기 전하편(원성동 지음) pdf 파일.
장한걸, 『부도지 이야기』, 도서출판 좋은 땅, 2019. 제1⦁2⦁3장 https://play.google.com/books/reader?id=TyqWDwAAQBAJ/장한걸
오일환‧정경환. “천부경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1),”『민족사상』, 제15권 제1호(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정경환, “천부경의 정치철학에 관한 연구,”『민족사상』, 제15권 제1호,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정천구, “제5장 중국의 대외정책과 남북한 통일문제,” 『통일전략』,제10권 제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정천구, “수리와 천문으로 읽는 천부경-그것이 현대 문명에 주는 함의-” 한국민족사상학회, 『민족사상』제15권 제1호, 2021.
주동주 지음, 『SUMER 수메르의 문명과 역사』, 파주: 범우, 2020.
崔光植, “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女性問題硏究』11권 0호, 1982.조철수, “고대 근동 신화로 환기시킨 고대 한반도의 역사,” 『출판저널』, January 2004,

Andrews, Evans, “Things You May Not Know About the AncientSumerians,” History Storie https://www. history.com/news/9-things-you-may-not-know-about-the-ancient-sumerians/Evans Adrews.
Ball, C.J, Litt, M.A.D, Chinese and Sumeri』, Lecture on Assiology, University of Oxford, London: Humprey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13.
Billy, Banjo, How The Jews Betrayed Mankind Vol.1 The Sumerian Swindle. Bamboo Delight Company, Publisher, 2010.
History.com Editors, “Trojan War.,” History.com, https:// www.history.com/topics/ancient-history/trojan-war#section_3/Editors
Lynn, Heatherhe, The Anunnaki Connection-Sumerian Cods, Alian DNA & the Fate of Humanity,(USNew Page Books, 2020), https://read.amazon.com/Heat herheLynn
Smith, Jonathan Z. “Myth,” Britannica.com. https://ww w. britannica.com/topic/myth/Myth-and-the-arts/Jonathan Z. Smith
Sitchin, Zecharia, 12° Planet pp.8-9 of 15, https://www. academia.edu/45497942/Nibiru_the_12th_Planet_Zecharia_Sitchin


나반의 정원세상사에 모두 관심이 많은 백과사전파
팔로우
대학에서 국제 정치학과 정치 철학, 그리고 남북한 관계와 중국 문제를 연구하였다. 금강경 연구, 원효와 백성욱 박사에 관한 논문을 쓴 불교 연구가이다. 본명은 정천구 이다.
216
팔로워 59
팔로잉 227

알라딘: [최민자]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알라딘: [전자책]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eBook]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최민자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17-03-30 
==
종이책 페이지수 : 416쪽


책소개

한반도가 ‘과학기술 한류”에 의한 과학혁명의 진원지가 되고, 그 결과 한반도 통일의 물질적 토대가 구축되며, 통일 한국이 새 문명의 중심지가 된다고 말한다.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은 ‘액티바(Activa)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은 전일적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사상과 정신문화를 가진 한민족 주도의 존재혁명과 함께 열린다는 것이 이 책의 결론이다.


목차
서문

제1부|21세기 과학혁명의 진원지, 한반도
01 21세기 과학혁명의 특성과 과제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혁명의 본질과 패러다임 | 21세기 과학혁명의 특성과 과제
02 왜 한반도가 과학혁명의 진원지인가
한민족의 사상과 정신문화 | 한반도의 존재론적 지형 | 액티바(ACTIVA) 혁명의 진원지, 한반도
03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
21세기 과학혁명과 3차 산업혁명 | 우주법칙과 삶의 법칙 |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

제2부|‘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
04 구리 혁명
원소 변성 이론 | 철(Fe)로 구리(Cu) 제조 | 구리 산업 분석
05 원자력 혁명
21세기 프로메테우스의 불, 원자력 | 방사성 핵종 폐기물의 흡착 유리고화 | 원자력 산업의 전망과 과제
06 수소 혁명
화석연료의 종말과 수소시대의 도래 | 수소에너지 생산 및 실용화 | 수소경제 비전과 에너지의 민주화

제3부|한반도 통일과 세계 질서 재편
07 지구 대격변과 대정화(great purification)의 시간
전 지구적및우주적 변화의 역동성과 상호 연계성 | 지자극 역전과 의식의 대전환 |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
08 동아시아 신질서와 신新장보고 시대
동아시아 신질서와 한반도의 선택 | 신장보고 시대와 유엔세계평화센터 | 동아시아공동체의 가능성과 미래
09 한반도 통일과 세계 질서 재편
21세기 문명의 표준과 동북아 | 동북아 광역 경제 통합과 한반도 통일 | 세계 질서 재편과 새로운 중심의 등장


 
저자 및 역자소개
최민자 (지은이)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총장직무대행 및 부총장·사회과학대학장 역임)
- 녹조근정훈장·대통령표창·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수여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 더보기
최근작 : <한국학 코드>,<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한국학강의> … 총 2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 책소개 - 새로운 문명은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으로 이루어진다!

과학혁명과 존재혁명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의 연계는 과학의 대중화와 관계가 있다. 근대 과학의 주체가 전문가 집단에 국한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21세기 과학의 주체는 일반 대중들이다. 말하자면 과학이 더 이상은 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말이다. 오늘날 정보화혁명의 급속한 진전으로 과학의 대중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은 패러다임 전환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거시적 분석은 유보한 채 미시적 담론에만 치중함으로써 존재혁명으로 나아갈 추동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삶의 혁명적 전환을 추동해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과학혁명, 진정한 의미에서의 존재혁명이 바로 본서가 추구하는 바이다. 21세기 과학혁명이란 말은 과학과 의식의 접합을 함축하는 까닭에 필연적으로 삶 자체의 혁명, 즉 존재혁명의 과제를 수반한다. 이는 곧 소명(召命)으로서의 과학과 관련된다. 21세기 존재혁명의 과제는 현재 진행되는 전 지구적 및 우주적 변화의 역동성과 상호 연계성으로 인해 철저하게 수행될 것이다. 생명의 전일적 본질에 기초한 한반도의 정신적 토양과 양 극단(남과 북, 좌와 우, 보수와 진보 등)을 통섭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한반도의 존재론적 지형, 그리고 전 지구 차원의 메가톤급 폭발력을 가진 ‘액티바 혁명’ 등에 의해 뒷받침될 ‘한반도발發’ 21세기 과학혁명은 ‘과학기술 한류(Korean Wave)’의 출현과 더불어 새로운 문명의 흥기를 예단케 하는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총 3부로 구성되는 본서의 특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반도의 정신적 토양과 존재론적 지형, 그리고 전 지구 차원의 메가톤급 폭발력을 가진 “액티바 혁명” 등에 의해 뒷받침될 ‘한반도발發’ 21세기 과학혁명을 예단한다.
둘째, 무결정無結晶의 최첨단 유리고화(琉璃固化 vitrification)로 방폐물 영구처리, 핵자核子 이동으로 철(Fe)로 구리(Cu) 제조, 수소에너지 증산, 희토류 생산, 수질 및 토양 개선 등을 가능케 하는 세계 최초의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을 한반도 통일의 물적 토대로 제시한다.
셋째, 남북한,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등을 포괄하는 윈-윈 협력체계의 광역 경제 통합과 한반도 통일문제를 필자가 구상한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 프로젝트를 통해 입체적으로 풀어낸다.
넷째,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을 예고한다는 점, 다섯째, 서구적 근대를 초극하는 신문명의 건설은 전일적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사상과 정신문화를 가진 민족이 담당하게 되리라고 본다.

액티바(Activa) 첨단소재와 원천기술
이 책에서 제시하는 에너지 체계 혁신 방법론인 “세계 최초의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무결정(無結晶)의 최첨단 유리고화(琉璃固化)로 방폐물의 영구 처리를 가능케 하며, 핵자(核子) 이동으로 철(Fe)로 구리(Cu)를 제조할 수 있고, 그 밖에 수소 에너지 증산, 희토류 생산, 수질 및 토양 개선 등 일련의 에너지 혁명을 근간으로 한 과학혁명을 제시한다.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구리 혁명’, ‘원자력 혁명’, ‘수소 혁명’ 등과 맞물려 기존 과학계에 지진을 일으키며 자원과 에너지 문제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21세기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이는 앨빈 토플러가 문명의 변화를 구성하는 세 요소(기술 사회 정보 체계) 가운데서도 에너지(기술) 체계 혁신이 핵심 역할을 한다고 지적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에너지 혁명과 21세기 과학혁명
1895년 X선(또는 뢴트겐선)을 발견하여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1901)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Wilhelm Conrad R?ntgen)이 진단 의학계에 혁명을 일으키며 방사선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근대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듯이, 엄청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액티바 첨단소재와 원천기술은 ‘구리 혁명'과 더불어 ‘원자력 혁명', ‘수소 혁명' 등과 연결되어 기존의 과학계에 지진을 일으키며 자원과 에너지 문제 등에 관한 후속 연구를 촉발시키고 21세기 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다.

한반도 통일과 유엔세계평화센터 그리고 신문명 건설
한반도發 과학혁명과 신문명의 전제조건인 한반도 통일은 물질적?정신적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잠재적 갈등 유발지역인 동북아 정세를 안정적인 평화 구도로 정착시키려면 공동 문제 해결과 발전을 위한 ‘공동지능(Co-Intelligence)’ 계발과 광역 경제 통합을 통한 상호의존적 협력체계 강화가 요망된다. 북-중-러 3국 접경지역에 추진 중인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는 동북아의 ‘공동지능’ 계발을 위한 ‘평화의 방(Peace Room)'이며, 광역 경제 통합을 위한 ‘동북아 공동의 집’이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한반도 통일에 따르는 주변국들―특히 중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의 협력적이고 호혜적인 구도가 정착됨으로써 동북아 제 국가가 윈-윈하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다.

세계의 지성들은 한국의 미래를 어떻게 예견하였나?

우리 한민족을 지칭한 말로는 ‘동방의 밝은 빛’(타고르)
‘25시’라는 인간 부재의 상황과 폐허와 절망의 시간에서 인류를 구원할 동방 ‘영원한 천자(天子)’?‘세계가 잃어버린 영혼’?‘태평양의 열쇠’(게오르규),
‘성배(聖杯)의 민족’(루돌프 슈타이너?다카하시 이와오),
아시아의 위대한 문명의 뿌리(하이데거)
21세기 아태시대의 주역(폴 케네디)
그 밖에 한국 땅에서 세계에서 처음으로 과학혁명과 정신혁명이 일어날 것임을 예언한 이(조지 아담스키)도 있다.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
과학과 의식의 접합을 추구하는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은 다른 말로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미래학자들은 개인주의와 소유의 개념에 입각한 서구중심주의가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제2물결’의 낡은 정치제도나 조직은 위기를 증폭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수평적 권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관계의 경제’ 개념에 기초한 아탈리의 ‘하이퍼 민주주의’와 소유지향적이 아니라 체험지향적인 제러미 리프킨의 ‘하이퍼 자본주의’는 토플러가 말하는 ‘제3물결’의 새로운 문명이나 존 나이스빗이 말하는 미래의 ‘메가트렌드’와 그 방향성이 일맥상통한다. 삶 자체를 소유 개념이 아닌 관계적인 접속 개념으로 인식함으로써 소유?사유화?상품화와 더불어 시작된 자본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새로운 문명의 오메가 포인트 - 인류의 영적 탄생
“네트워크 과학”은 생명계를 전일적이고 유기적으로 통찰하는 세계관이자 방법론으로서 21세기 전 분야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며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을 이끌어 낼 것이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근대 분과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지식의 융합을 통해 복합적이며 다차원적인 세계적 변화의 역동성에 대처하고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그것이 새로운 문명의 또 하나의 징후가 된다. 서구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의 이행을 촉발함으로써 유럽 근대사의 기점을 이루었다면, 제2의 르네상스, 제2의 종교개혁은 물질에서 의식으로의 방향 전환을 통해 우주 차원의 새로운 정신문명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유럽적이고 기독교적인 서구의 르네상스나 종교개혁과는 그 깊이와 폭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전 인류적이고 전 지구적이며 전 우주적인 존재혁명이 될 것이다. 바야흐로 낡은 문명은 임계점에 이르고 있으며, 인류의 문명은 ‘오메가 포인트(Omega Point: 인류의 영적 탄생)’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
구매자 (0)
전체 (1)
공감순 
     
저자는 수행자로 간단치 않은 삶을 이어왔고, 현직 교수이며 상고사 및 고대사에 대한 연구에도 진력해 온 개인사가 매우 훌륭한 분이다. 본 저작에서 제시하는 21세기 한반도발 존재론적 과학혁명에 전적으로 동의할 뿐만 아니라 저자의 넘쳐나는 보편적 인류애와 평화에의 갈망에 박수를 보낸다. 
chyrens 2014-10-12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성경과 환단고기의 만남 | 두란노몰 최민자 교수의 『천부경』

성경과 환단고기의 만남 | 두란노몰




성경과 환단고기의 만남
이스라엘의 뒤를 이은 또 하나의 선민 한민족


브랜드 예루살렘
저자 신성욱
출간일 2016-04-05
ISBN 9788972105565
쪽수 271
크기 152*223

머리말

한 십 몇 년 쯤 전에 어떤 책을 보게 되었다. “또 하나의 선민”이라는 부제가 붙은 <알이랑 민족>이라는 책이었다. 저자는 류석근 목사, 물론 처음 보는 이름이었다. 하지만 왠지 끌려서 덜컥 사버렸다. 주머니가 가볍던 당시로서 제법 용기를 낸 결단이었다. 하지만 나의 선택은 기대 이상이었다. 나는 그날 밤을 새다시피 하면서 그 책을 다 읽어버렸다. 흥미진진한 탐정소설이나 호쾌한 무협소설도 아니고, 그렇다고 알콩달콩한 연애소설도 아닌 일종의 전문서적에 가까운 책을 밤을 새워 읽기는 처음이었다. 그만큼 그 책은 나에게 강렬한 호기심과 지적욕구를 자극하는 내용들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리랑’이 인류 최초의 찬송가라는 것이 그 책의 주장이었다. 아니 ‘아리랑’이 찬송가라니? 도대체 무슨 말? 나는 피식 웃었다. 그러면서도 내 눈은 어느새 책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었다.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익히 불러왔던 우리의 국민민요인 아리랑의 기원에 대해서 사실은 나 아니 대부분의 우리는 모르고 있다. 여러 가지 해설이 있지만 하나도 그럴듯한 것이 없다는 필자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면서 그의 해설을 읽어보기 시작했다.
아리랑은 ‘알’+‘이랑’에서 연음법칙에 의해 ‘아리랑’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알’은 고대 근동에서 최고신을 지칭하는 ‘엘’과 같은 것이고 지금은 ‘알라’로 이슬 람의 신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성경에 나오는 창조주 하나님도 ‘엘로힘’이라고 부른다. 우리말에서도 오래전부터 ‘알’은 신을 의미하는 말이고 ‘둥글다’라는 뜻이 있다. 하늘도 둥글게 생각했으며 그래서 ‘한알’은 큰 알이고 바로 하늘인 것이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은 하늘을 신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하늘님이라 불렀고 오늘날 하느님이 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 동이족의 건국신화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거의가 알에서 태어난다. 신이 보낸 사람 즉 신의 아들, 하늘의 아들(天子)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이랑’은 우리말로 ‘함께’라는 뜻이다. 님이랑, 그이랑, 너랑나랑 이런 표현들 모두가 함께 라는 뜻으로 오늘도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조사이다. 그렇다면 이제 ‘알이랑’이 ‘하느님 혹은 하나님과 함께’의 뜻이 된다는 것은 그냥 웃어버릴 수 있는 허무맹랑한 주장이 아닌 것이다.

이어지는 그의 주장은 우리 민족이 노아 홍수 이후에 중동에서 파미르를 넘어 새로운 밝은 땅을 찾아 계속해서 천동하여온 민족이라는 것이다. 그 근거로서 그는 창세기 10장의 기록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나였다면 여기서 책을 덮었을지도 모른다.

“창세기라고? 이건 신화잖아. 그러면 그렇지 뭐! 괜히 놀랬잖아.“ 그러나 이때는 내가 신학을 공부하고 있던 때였고 성경을 한낱 쾌쾌 묵은 옛날이야기 책으로 생각하던 과거와는 달라져 있던 때였다는 것이다. 나는 사실 모태신앙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자라면서 교회에서 배운 성경 이야기가 별로 믿어지지 않았다. 너무나도 많은 기적 같은 이야기들은 과학을 배우고 이성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것을 배우게 된 나에게는 좀처럼 곧이곧대로 믿기는 힘든 신화적인 스토리들로 치부되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시점에서 나는 기독교 신앙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진리를 찾아보고 싶은 마음에 늦깎이 신학대학원생이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나는 계속해서 그 책을 읽어가게 되었다.

“21 셈은 에벨 온 자손의 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 그에게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 22 셈의 아들은 엘람과 앗수르와 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 23 아람의 아들은 우스와 훌과 게델과 마스며 24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25 에벨은 두 아들을 낳고 하나의 이름을 벨렉이라 하였으니 그 때에 세상이 나뉘었음이요 벨렉의 아우의 이름은 욕단이며 26 욕단은 알모닷과 셀렙과 살마웻과 예라와 27 하도람과 우살과 디글라와 28 오발가 아비마엘과 스바와 29 오빌과 하윌라와 요밥을 낳았으니 이들은 다 욕단의 아들이며 30 그들이 거주하는 곳은 메사에서 스발로 가는 동쪽 산이었더라. (Mesha toward Sephar, ln the eastern hill country.) 31 이들은 셈의 자손이니 그 족속과 언어와 나라대로였더라 32- 이들은 그 백성들의 족보에 따르면 노아 자손의 족속들이요 홍수 후에 이들에게서 그 땅의 백성들이 나뉘었더라”(창 10:21-32).

위의 성경에 욕단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노아의 5세손인 벨렉의 동생인데 그는 자기의 동족들과 함께 메소포타미아로 가지 않고 자녀들을 데리고 ‘스발’을 향해 동편산지로 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스발’은 영어로'Sephar'라 표기되어 있고 바로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것이다. 서울의 고어는 ‘셔블’이고 바로 ‘새벌’즉 ‘새로운 벌판’이라는 뜻이다. 최초의 ‘스발’은 ‘스비리’에서 변한 시베리아이고 최후의 ‘스발’은 경주 서라벌이라는 그의 설명에 나는 무릎을 칠 수밖에 없었다. 너무나도 확실한 추리이고 정확한 사실이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벨렉계의 이스라엘과는 다른(벨렉의 5세손이 아브라함이다) 마지막 시대를 위해 하나님이 별도로 관리해온 또 하나의 선민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나는 그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감했다.

그 후로 십 수 년이 흘렀다. 나는 2007년에 중국에 있는 진화국제학교의 교장겸 교목으로 초빙 받아 그곳에서 사역을 해오고 있다. 그 동안 류석근 목사님의 다음 작품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소식이 없었다. 그러다가 지난 여름방학에 한국에 들어가서 ‘천부경’에 대해 듣게 되고 안경전 역주의 『환단고기』를 보게 되었다. 그 책은 대단한 책이었다. 저자가 30년에 걸쳐 준비하고 펴낸 것으로 자부심을 가질 만큼 방대한 양의 정보가 들어 있는 역작이었다. 하지만 거기서 발견한 천부경 해석은 좀 실망스러웠다. 그래서 찾다가 최민자 교수의 『천부경』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교수답게 상당히 현학적으로 천부경을 해설해 놓았다. 그러나 그녀의 사상은 나와는 전혀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 말하자면 그녀는 인격적인 창조주를 거부하는 범신론적이며 불교철학과 동학사상에 경도된 그런 사람이었다. 그래서 나는 생각했다. 우리 민족이 하나님이 선택하신 또 다른 선민이라면 틀림없이 우리 민족에게도 특별계시를 주었을 터인데 과연 그 계시는 어디에 있을까? 나는 기도하는 마음으로 다시 한 번 천부경을 읽어보기 시작했다.

그 때 나의 눈에 뭔가가 들어왔다. 천부경의 첫 다섯 글자가 눈에 클로즈업 되면서 나에게 분명히 새로운 뜻을 펼쳐 보였다. 一始無始一(일시무시일) 바로 이 다섯 글자이다.

 증산도 종도사인 안경전은 
“하나는 천지만물 비롯된 근본이나 무에서 비롯한 하나이어라.”라고 번역해 놓았고, 

최민자 교수는
“‘하나’에서 우주만물이 비롯되지만 시작이 없는 하나이며”라고 번역해 놓아서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아리송했던 이 다섯 글자의 뜻이 한순간에 일목요연하게 머리에 떠오른 것이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이 시작(창조)하셨다. 그러나 하나님은 시작이 없으신 분이시다.”라는 뜻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다섯 글자를 다시 보았더니 一終無終一(일종무종일) 이제 이 글자는 해석되었다.

 “하나님이 끝내신다(심판하신다). 그러나 하나님은 끝이 없으신 분이시다.” 

나는 가슴이 뛰기 시작했다. 하나님께서 나에게 엄청난 비밀을 계시해 주셨음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히 천부경의 나머지를 성경에 입각해서 해석해보기 시작했다. 그러자 그 속에서 놀라운 비밀들이 깨달아지기 시작했고 계속해서 하나님께 지혜를 달라고 기도하면서 천부경과 삼일 신고에 숨겨져 있는 계시를 찾고 찾았다. 그리고 이 비밀을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쓰기로 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들어가면서

제2장 환인천제는 그는 누구인가?

제3장 치우천황은 그는 누구인가?

제4장 천부경에 대한 성경 신학적 해설

제5장 삼일신고에 대한 성경 신학적 해설

제6장 단군세기 서문 행촌 이암

제7장 나의 신앙 간증

참고도서 목록

부록




신성욱 소개

대구 계성고 졸업
경북대 사범대 영어교육과 졸업
부산 브니엘고에서 영어교사로 재직
고려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 졸업.
동대학원 선교학 석사과정 수료
대한 예수교장로회에서 목사 장립.
부산 성도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
현재 중국에서 국제학교 교장 겸 교목으로 사역중이다.

한국학 코드 - 생명세,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말하다 최민자

(9) 박길수 - [새책안내] 이 책은 세계의 역학관계 재편과 지구적 기후위기의 심화라는, 인류문명과 지구생태 양면에서의... | Facebook

[새책안내]

이 책은 세계의 역학관계 재편과 지구적 기후위기의 심화라는, 인류문명과 지구생태 양면에서의 위기가 대멸종 내지 대전환의 특이점을 향해 치닫는 현 시점에서, 인류가 바라는 평화 세계를 맞이하기 위해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을 새롭게 이해한다는 발상에서 출발하여 그 대안적 해법을 찾아간다.

저자는 ‘일즉삼(一卽三)·삼즉일(三卽一)’의 한국학 생명 코드,
즉 저자가 ‘생명의 공식’이라고 명명한 천·지·인 삼신일체의 원리가 만물의 상호연결성을 밝히고, 전일적 실재관 또는 시스템적 세계관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함으로써 과학과 의식의 접합에 기초한 새로운 생명 시대를 열 것이라고 전망한다.

생명이 이 우주의 제1의 근본원인임을 논증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 인류 전체의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는/일어나야 하는 시대라는 점에서,
저자는 이 시대를 ‘생명세’로 명명한다.

이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 만물의 근원적 평등성과 유기적 통합성을 바탕으로 한 통섭적 세계관을 온전하게 보여주는 것이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로서, 이는 한민족 발생 때부터 동아시아 일대는 물론이고 세계 전역으로 씨앗을 퍼뜨렸던 사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책은 기후붕괴와 인류 인식상의 위기가 AI를 매개로 상호 증폭되며 인류의 괴멸을 눈앞에 둔 오늘의 지구 위기의 시기에, 현대물리학의 전일적 실재관에 부응하는 한국학 코드, 즉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을 회복하고, 재인식함으로써, 새로운 문명 세계를 건설해야/하는 필연성을 제기하고 있다.



최민자 저자(글)
모시는사람들 · 2023년 05월 10일
0.0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5월 10일 출고예정
본 상품은 5월 10일 출고예정인 예약판매 상품입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국내도서 > 인문 > 인문학일반 > 인문교양

- 생명세,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말하다 -
- 대전환을 너머, 대정화의 시대가 온다 -
- 새로운 문명 세계의 열쇠, 한국학 코드 -

세계의 역학관계 재편과 지구적 기후위기의 심화라는, 인류문명과 지구생태 양면에서의 위기가 대멸종 내지 대전환의 특이점을 향해 치닫는 현 시점에서, 인류가 바라는 평화 세계를 맞이하기 위해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을 새롭게 이해한다는 발상에서 출발하여 그 대안적 해법을 찾아간다. 저자는 ‘일즉삼(一卽三)·삼즉일(三卽一)’의 한국학 생명 코드, 즉 저자가 ‘생명의 공식’이라고 명명한 천·지·인 삼신일체의 원리가 만물의 상호연결성을 밝히고, 전일적 실재관 또는 시스템적 세계관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함으로써 과학과 의식의 접합에 기초한 새로운 생명 시대를 열 것이라고 전망한다. 생명이 이 우주의 제1의 근본원인임을 논증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 인류 전체의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는/일어나야 하는 시대라는 점에서, 저자는 이 시대를 ‘생명세’로 명명한다. 이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 만물의 근원적 평등성과 유기적 통합성을 바탕으로 한 통섭적 세계관을 온전하게 보여주는 것이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로서, 이는 한민족 발생 때부터 동아시아 일대는 물론이고 세계 전역으로 씨앗을 퍼뜨렸던 사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책은 기후붕괴와 인류 인식상의 위기가 AI를 매개로 상호 증폭되며 인류의 괴멸을 눈앞에 둔 오늘의 지구 위기의 시기에, 현대물리학의 전일적 실재관에 부응하는 한국학 코드, 즉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을 회복하고, 재인식함으로써, 새로운 문명 세계를 건설해야/하는 필연성을 제기하고 있다. 『천부경: 삼일신고·참전계경』, 『한국학강의』에 이은 한국학 3부작의 완결에 해당하는 책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최민자
인물정보
정치/외교학자



최민자 崔珉子
- 現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총장직무대행 및 부총장·사회과학대학장 역임)
- 녹조근정훈장·대통령표창·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수여
- 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정치학 석사
- 영국 켄트대학교(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정치학 박사
- 중국 북경대학교 객원교수
- 중국 연변대학교 객좌교수(客座敎授)
- 1994년 장보고 대사의 해외거점이었던 중국 산동성에 장보고기념탑 건립(건립위원장, 현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 1999년 중국 훈춘에서 유엔측 대표, 중국 훈춘시 인민정부 시장, 러시아 하산구정부 행정장관 등과 중국·북한·러시아 3국접경지역 약 2억평 부지에 유엔세계평화센터(UNWPC) 건립을 위한 조인식(UNWPC 건립위원장)

- 저서로는 『한국학강의: 메타버스 시대를 여는 지혜의 보고(寶庫)』(2022), 『동학과 현대과학의 생명사상』(2021), 『호모커넥투스: 초연결 세계와 신인류의 연금술적 공생』(2020),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2019), 『빅 히스토리: 생명의 거대사, 빅뱅에서 현재까지』(2018),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2015),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반도發 21세기 과학혁명과 존재혁명』(2013), 『동서양의 사상에 나타난 인식과 존재의 변증법』(2011), 『통섭의 기술』(2010), 『삶의 지문』(2008),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 생명정치의 구현을 위한 眞知로의 접근』(2008), 『생태정치학: 근대의 초극을 위한 생태정치학적 대응』(2007), 『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2006), 『동학사상과 신문명』(2005), 『세계인 장보고와 지구촌 경영』(2003), 『새벽이 오는 소리』(2002), 『직접시대』(2001), 『길(道)을 찾아서』(1997) 등이 있다.

- 논문으로는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2020),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 동학의 사상적 근친성에 대한 연구」(2019), 「‘한’과 동학의 사상적 특성과 정치 실천적 과제」(2018),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2017), 「특이점의 도래와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2016), 「과학과 영성 그리고 진화」(2016), 「국제 정의의 역설과 그 대안적 모색」(2015), 「『에티카』와 『해월신사법설』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에코토피아적 비전」(2014), 「보수의 한계와 책임 그리고 메타윤리 탐색」(2014), 「아리스토텔레스와 해월의 정치철학과 실천의 형이상학」(2013), 「『화엄일승법계도』와 『무체법경』에 나타난 통일사상」(2012), 「켄 윌버의 홀라키적 전일주의(holarchic holism)와 수운의「 侍」에 나타난 통합적 비전」(2011) 등이 있다.
펼치기

한국학강의(양장본 Hardcover)

동학과 현대 과학의 생명사상(양장본 Hardcover)

무엇이 21세기를 지배하는가(양장본 Hardcover)

빅 히스토리(양장본 Hardcover)

새로운 문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양장본 Hardcover)

통섭의 기술(양장본 Hardcover)

생명에 관한 81개조 테제(양장본 Hardcover)

생태정치학(근대의 초극을 위한 생태정치학적 대응)(양장본 Hardcover)


목차
서문: 생명세,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말하다

제1부┃포스트휴먼 시대에 한국학의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01 포스트휴먼 시대의 도래와 포스트휴먼적 가치
포스트휴먼 시대에 있어 인간이란 무엇인가
포스트휴먼으로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조건
포스트휴먼적 가치의 특징
02 한국학 코드의 특성과 현재적 의미
한국학 코드의 특성과 현재적 의미 및 가치
생명학과 통섭학의 효시(曉示)로서의 한국학
한국학, 무엇이 문제인가
03 한국학 코드와 현대물리학의 상호피드백
한국학 코드와 복잡계 과학의 사상적 근친성
과학과 영성의 상호피드백
한국학과 현대물리학의 통합적 비전

제2부┃한국학 코드의 역사문화적 배경과 전개
04 한국학 코드의 기원을 찾아서
마고(麻姑) 코드, 천·지·인 삼신일체
환단(桓檀)시대의 천부(天符) 코드와 그 연맥
화쟁사상과 일승사상에 나타난 한국학 코드
05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본 한국학 코드의 전개
유·불·선과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에 나타난 한국학 코드
동학과 삼일사상(三一思想)에 나타난 한국학 코드
정역팔괘(正易八卦)의 한국학과 탄허(呑虛)의 한국학
06 한국학 코드의 전파와 동·서융합 비전
한국학 코드의 일본열도 전파와 한일관계사의 진실
한국학 코드의 세계화 및 영향
한국학 코드의 서구적 변용과 동서융합 비전

제3부┃한국학 코드,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말하다
07 지구 대격변과 대정화의 시간
문명의 파국인가, 퀀텀 점프(quantum jump)인가
대정화와 대통섭의 신문명
넥스트 리더십에 대한 전망
08 세계적 난제를 푸는 마스터 알고리즘
알고리즘 사회로의 진화와 호모 파베르의 역설
생명과 평화의 문명을 여는 신곡(神曲), 생명경(生命經)
생명세(Lifeocene)의 도래와 생명정치의 가능성
09 국제지정학적 대변동과 한국학의 세계사적 소명
세계 중심축의 대이동: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한반도 통일과 세계 질서 재편 및 새로운 중심의 등장
새로운 문명의 도래와 한국학의 시대적·세계사적 소명
접기

책 속으로


포스트휴먼 시대의 한국학 코드가 갖는 의미와 가치는 생명의 유기성과 상호관통에 대한 명료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 지구적 위기에 대응하고 인공지능 윤리와 생명윤리가 준수되는 새로운 규준(norm)의 휴머니즘을 제시함으로써 생존 전략의 틀을 짤 수 있게 하는 ‘마스터 알고리즘’이라는 데 있다. 동아시아의 새벽을 열고 당시 상고 문명의 표준을 형성 하였던 한국학 고유의 코드-그것은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동서고금의 사상과 철학, 과학 과 종교를 하나로 회통(會通)시켜 생명학과 통섭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이다. 우리가 한국학 고유의 통섭적 사유 체계에 입각한 새로운 규준의 휴머니즘에 주목하는 것은, 그것이 문명의 대변곡점에서 인류사회와 기술혁신의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미래적 비전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명 가치를 활성화하고 바람직한 생명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게 하는 선결 과제는 생명에 대한 전일적 시각(holistic view)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생명은 물질과 에너지의 패턴이라는 기본 구조 속에 우주 지성[정보]이 내재한 것으로, 지성[性]·에너지[命]·질료[精]의 삼위일체다. (44쪽)

유사 이래 동서고금의 사상과 철학, 과학과 종교는 ‘일즉삼 (一卽三)·삼즉일(三卽一)’이라는 ‘생명의 공식(formula of Life)’의 틀 안에서 전개된 것이다. 한국학 코드의 특성과 현재적 의미 는 ‘생명’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내는 추동력을 지닌 통섭적 사유체계, 그리고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의 사상적 근친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오늘날의 한국학 연구는 생명의 역동적 본질을 함축한 한국학 고유의 코드와 단절된 채 ‘낡은’ 전통에 머무르는 관계로 현재적 의미가 반감되고 시대적·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미래적 비전이 결여되어 있다. 한국학이 직면한 최대의 딜레마는 우리 상고사에 대한 제도권 합의의 부재로 인해 한국학이 뿌리 없는 꽃꽂이 식물과도 같이 생명력을 상실했다는 것, 사대주의와 서구적 보편주의의 망령, 그리고 반도사관에 함몰되어 역사철학적 및 정치철학적 토양이 척박해지고 심지어는 우리 역사 자체가 정쟁(政爭)의 도구가 되고 있다는 것, 그리고 한·중 역사전쟁과 한·일 역사 전쟁이 한국의 역사문화 침탈은 물론 정치적 노림수를 가진 고도의 정치적 기획물이라는 것 등이다. (84쪽)

복잡계 과학은 생명을 이해하기 위해 분자를 연구하는 식의 환원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나 생명계뿐만 아니라 생명의 본질 그 자체를 네트워크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통섭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생명의 전일성과 자기근원성을 함축한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와 사상적 근친성을 갖는다. 이 생명 코드는 복잡계 과학과 마찬가지로 생명을 비분리성·비 이원성을 본질로 하는 영원한 ‘에너지 무도(energy dance)’로 본다. 자연계를 비선형 피드백 과정에 의한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의 창발 현상으로 보는 현대물리학의 전일적 실재 관은, 이 우주를 자기생성적 네트워크 체제로 보는 한국학 고유의 코드 속에 이미 구현되어 있다. ‘일즉삼(一卽三)·삼즉 일(三卽一)’이라는 생명 코드는 일체가 초양자장(superquantum field)에서 나와 다시 초양자장으로 환원한다는 데이비드 봄 의 양자이론과 조응한다. 과학과 영성의 상호피드백 과정 을 통해 생명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과학적 이해를 수반하 는 시너지효과를 창출해냄으로써 통합적 비전이 달성되면 존재계를 파편화하는 근대 서구 이원론의 유산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156쪽)


천·지·인 삼신일체인 마고 코드는 생명이 곧 영성임을 갈파한 생명 코드이다. 요녕(遼寧) 지역에서 대규모로 출토된 동이족의 홍산문화 유적은 환국·배달국·단군조선의 역사적 실재와 그 전개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미 배달국 시대에 환웅천왕이 책력(冊曆)을 지어 365일 5시간 48분 46초를 1년으로 삼았다는 「태백일사」 제4 삼한관경본기(三韓管境本紀)의 기록은 현대물리학의 계산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당시의 역학(曆學)·천문학·역학(易學)·상수학(象數學)· 물리학 등의 발달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홍익인간·재세이화의 이념은 단군조선 시대에 처음 나온 것이 아니라 이미 환국시대 때부터 유구하게 전승되어 온 것이다. 환단(桓檀)시대의 천부(天符) 코드는 단순히 종교적 교의나 철학적 사변 또는 이론적인 그 무엇이 아니라 실제 정치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었다. 국가 발전과 삼국통일의 기반을 공고히 한 화쟁사상과 일승사상 또한 천부 코드의 전형을 보여준다. 오늘날 천부 코드가 다시 주목받는 것은 양자역학으로 대표되는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의 상호피드백을 통해 생명에 대한 명료하고도 정치(精緻)한 인식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계몽의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210쪽)


유·불·선이 중국에서 전래 되기 이전부터 삼교(三敎)를 포함하는 사상 내용이 담긴 우리 고유의 풍류(風流)는 화랑들 교육의 원천이었으며, 화랑들은 자연과 상생하는 ‘접화군생(接化群生)’의 풍류도 정신을 함양했다. 우리의 선사(仙史)를 알기 위해서는 화랑과 소도문화(蘇塗文化)와 그 바탕이 되는 우리 고유의 천부 코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퇴계와 율곡의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으로 집약되는 조선 성리학의 독자성은 심성론에 대한 정치(精緻)한 철학적·형이상학적 탐구에 있으며, 조선 성리학을 특징짓는 사단칠정의 이기론적 해석을 둘러싼 학술논쟁은 당시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자율성과 평등성에 기초한 동학의 접포제는 1894년 동학(농민)혁명과 1904년 갑진개화운동, 그리고 3·1독립운동과 일제 치하 항일독립운동의 사상적·조직적 기초가 됨으로써 근대사회로의 이행을 촉발시켰다. 정역 팔괘도는 한반도를 중심축으로 하는 동북 간방(艮方)에서 천지비괘(天地否卦)의 선천문명이 끝을 맺고 지천태괘(地天泰卦)의 후천문명, 즉 간태합덕(艮兌合德)의 새 세상이 열릴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그것은 ‘민본군말(民本君末)의 세상이다. (328쪽)


일본은 정치권력이 완전히 정립되기 전부터 우리 한인들에 의해 개척되고 고대국가의 기초가 형성되고 그 체계가 확립되었던 까닭에 우리의 선진문명과 선진기술에 힘입은 것은 물론이고 우리 한민족 정신세계의 총화가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 궁내성에 신라·가야계의 소노카미(園神) 1좌 (座)와 백제계의 가라카미(韓神) 2좌를 사당에 모셔 놓고 제사를 지냈다는 것은 일본 왕가 혈통의 연원을 말해주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한국 경제와 해양안보의 생명선은 북극항로와 인도양까지 확장되었으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이 우리나라의 생존과 번영에 직결된다. 장보고는 한국학 고유의 코드를 각지에 전파한 당시 동아시아 최고의 한류 스타였다. ‘한류고속도로(Korean Wave Expressway)’ 역할을 한 장보고의 상생의 국제경영은 우리 역사상 ‘한국학 코드의 세계화’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서양 기독교 문명의 근간이 되는 성부·성자·성령 삼위일체는 9천 년 이상 전부터 전해진 동양의 천·지·인 삼신일체의 원리와 본질적으로 상통한다. 과학과 의식[영성]의 접합을 추구하는 양자역학은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에서 폭넓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동·서융합의 구체적 비전을 제시한다. (470쪽)

미국의 세계적인 경제학자이자 문명비평가이며 미래학자인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에너지망의 구축에 있어 탈중앙화, 민주화를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에너지 ‘연결자’와 ‘비연결자’ 사이에 날로 벌어져 온 빈부격차는 화석연료 에너지 체계의 본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해 화석연료 시대의 도래와 함께 등장한 고도로 중앙 집중화한 에너지 인프라와 그에 걸맞은 경제 인프라가 소수에 의한 다수의 지배를 가능하게 했다. 정치적 경계선에 의해 생겨난 민족국가는 화석연료 시대의 독특한 산물로서 그러한 경계선은 생태계의 역동성과 무관했던 까닭에 주민들이 지속 가능한 방식의 삶을 영위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탈중앙화, 민주화한 에너지망이 갖춰진 수소 경제에서는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상공업 활동이 확산되면서 거주 지역의 밀도가 균형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리프킨은 전망한다. (614쪽)


기술혁신에 따른 현실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의 융합으로 모든 것이 연결되고 확장되어 더 지능적인 알고리즘 사회로의 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편향성 문제는 인공지능이 산업과 생활에 끼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인공지능 윤리 문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호모 파베르의 역설’은 기술의 지능화가 초래한 오늘날 감시사 회의 등장과 강한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기술의 도구적·종속적 지위가 역전되는 상황까지를 포괄한 개념이다. 『천부경』은 우주의 본질인 생명의 순환과 성통광명(性通光明)의 이치를 밝힌 생명경(生命經)이다. 생명은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홀로무브먼트(holomovement)’라는 것이 『천부경』의 가르침의 진수(眞髓)다. 생명[神·天·靈]은 인류 역사를 통틀어 지성 세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핵심 주제였고, 현 인류가 ‘죽음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근원적인 길을 제시하는 핵심 기제이기도 하며, 21세기 생명공학(또는 생명과학) 시대를 여는 중추적인 개념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이제는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을 이해하는 인류의 집단의식 수준이 점차 임계치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의 이 시기를 적시하는 신조어로 ‘생명세(生命世, Lifeocene)’라는 용어를 제안한다. (634쪽)

‘생명(Life)’은 본서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이며 포스트휴먼적 가치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키워드다. 생명세계의 위기에 대처하고 우주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우주의 본질인 생명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고, 인류가 염원하는 평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생명의 네트워크적 본질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니, ‘생명’은 이 시대 제1의 명제다. 또한 지금은 우주 가을의 초입(初入)이고 우주섭리에 따라 후천개벽이 찾아오게 되는 것이고 지천태괘(地天泰卦)의 후천 곤도(坤道) 시대가 열리게 되는 것이니, ‘여성’ 역시 이 시대 제1의 명제다. 대지와 생명을 관장하는 여신(女神)으로 통하는 마고(麻姑)의 현대적 부활은 천지비괘(天地否卦)의 선천 건도(乾道) 시대에서 지천태괘의 후천 곤도 시대로의 이행과 맥을 같이 한다. 생명과 ‘여성성(女性性, 즉 靈性)’은 평화를 구현하는 핵심 기제(機制)다. ‘마고’라는 이름 속에 ‘생명, 여성, 평화’가 함축되어 있다. (725~726쪽)


나토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나토 신전략 개념(NATO 2022 Strategic Concept)의 특징은 러시아와 중국의 안보 위협이 유럽-대서양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특히 규칙 기반의 기존 국제질서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적시하고, 블록화·진영화가 심화되고 있는 국제질서를 배경으로 나토의 외연을 아태지역으로 확장하여 가치 연대를 도모하고자 한 점이다. 아시아 세기를 향해 계속 전진하려면 참여와 성과를 공유하는 포용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도로 네트워크화된 국제 환경에서는 개별 국가 이익의 총량이 중장기적으로는 지역 전체 이익의 총량과 함수관계에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개별국가 차원의 단견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지역 차원의 장기적인 안목에서 역내 협력과 지역 통합을 이룩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 통일은 지정학적으로나 지경학적으로, 또는 물류유통상으로 한반도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의 역학 구도에 심대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세계 질서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아탈리는 ‘일레븐’ 중에서도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동북아 시장 공동체 형성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래에 중심국 가로 부상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주역』「설괘전」에 나오듯이 한반도를 중심축으로 한 동북 간방(艮方)에서 선천 문명이 끝을 맺고 후천 문명의 꼭지가 열린다면, 새로운 계몽의 시 대를 열 세계적인 정신문화는 우리나라에서 나오게 될 것이다. (760쪽)
접기

출판사 서평


인류세를 넘어 생명세로 - 생명, 불가분의 전체성
1972년 세계적인 미래 연구기관인 로마클럽 주도로 이루어진 『성장의 한계: 인류의 곤경에 관한 로마클럽 프로젝트 보고서』에는 1972년을 기점으로 100년 내 인류 문명은 한계에 이르게 되고 문명사회는 필연적으로 붕괴할 것이라는 예측이 담겼다. 그 보고서는 2020년이 인류 문명에 변화가 일어나는 정점이며, 2040~2050년쯤에는 인류가 멸망한다고 예측했다. 이 보고서가 발표된 지 40여 년이 지난 2018년, 72년 당시와는 비교할 수 없이 개선된 시스템(컴퓨터 성능 등)에 의해 다시 산출한 예측 결과도 “50년 가까이 지났지만 이 프로그램의 예측이 지금도 들어맞는다”고 했다. 이처럼 현재 진행형인 ‘인류 멸망 스토리’는 이와 유사한 패턴의 ‘(종교적, 예언적) 종말론’과는 그 결을 달리하는 ‘과학의 영역’이다.
실제로 세계의 공식적인 인류와 지구 문명의 장래에 관한 패러다임인 “1.5℃ 생명선 수호”는 점점 지킬 수 없는 희망고문이 되어 가고 있다. 기후위기로 인한 대재앙, 현재 과학계에서 경고하는 지구의 ‘여섯 번째 대멸종’의 생명 위기 시대의 도래는 피할 수 없는 사실로 현실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 위기의 이 시대를 ‘인류세’라고 말한다. 그러나 ‘인류세’ 담론은 자포자기적인 인식의 산물일 뿐, 추락하는 지구에 어떤 유용한 변화도 일으키지 못한다. 그 정도로는, 오늘날 인류가 맞이한, 그리고 인류로 말미암아 지구에 초래된 이 위기의 본질인 ‘인식의 위기(crisis of perception)’를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오늘 인류와 지구가 처한 국면을 능동적으로 재인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이 시대를 본질적으로 역동적이며 ‘불가분의 전체성’인 ‘생명’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세(生命世, Lifeocene)’로 호명하자고 제안한다. 생명세의 핵심 키워드인 ‘생명(Life)’은 비분리성·비이원성을 본질로 한다. 이는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인 ‘일즉삼(一卽三)·삼즉일(三卽一)’의 원리로부터 가장 잘 설명된다. 일즉삼, 삼즉일은, 천·지·인 삼신 일체라고도 말하는 것으로, 이는 포스트휴먼적 가치의 핵심 키워드인 ‘생명(Life)’과 연계시켜 새로운 규준(norm)의 휴머니즘에 입각한 새로운 계몽의 시대를 여는 ‘마스터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한국학 코드의 비밀 - 세계 보편 코드이자 통합학문의 열쇠
이러한 ‘마스터 알고리즘’으로서의 ‘삼신 일체’적 생명 이해가 바로 한국학 코드의 비밀이다. 한국학 코드는 다음 세 가지 특징을 띤다. 첫째, 만물의 제1원인인 ‘생명’의 개념을 명료하게 한다. 둘째,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내는 추동력을 지닌 통섭적 사유체계를 제시한다. 셋째, 양자역학으로 대표되는 포스트 물질주의 과학과 사상적 근친성을 보여준다.
이 책 전체에 걸쳐 이러한 한국학 코드로부터 산출되어 한민족의 역사 문화에 면면히 계승되어 왔을 뿐 아니라, 세계 전역의 사상, 문화, 철학, 역사 들을 지도하고 견인해 온 내력을 역사문화적, 역사철학적, 과학사상적, 천문역학적, 생태정치학적으로 접근하여 밝히고 있다. ‘한국학 코드’의 생명의 비분리성·비이원성은 수천 년 동안 국가 엘리트 집단의 통치 코드였을 뿐만 아니라 생명학·통섭학의 효시로서 오늘날 세계시민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보편 코드’이며 ‘통합학문’의 시대를 여는 단초가 되는 것임을 밝혀 나간다.
특히 이 한국학 고유의 생명 코드는 ‘마고 코드’ 또는 ‘천부(天符) 코드’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이 점은 한국 상고사와의 사상적, 역사적 연맥(緣脈)을 통해 밝혀진다. 저자는 수많은 역사적 발견과 동서고금의 사상가들의 통찰을 통해, 그러한 한국학 코드가 어떻게 서구적으로 변용되었는지를 규명하며, 현대물리학과의 상호피드백을 통해 과학과 영성[의식]의 접합을 도출해냄으로써 동·서융합의 통합적 비전을 제시한다.

한국학 코드의 의의 - 한국학 코드에 입각한 새 시대가 온다
현 시점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극적인 성장, 확산세를 보여주는 것이 이른바 K-컬처로서의 한국산 문화들이다. 이는 이미 십수 년 전의 드라마 한류로부터 출발하여 1파, 2파, 3파로 부침을 계속하면서 점진적인(세계 문화사적으로 보면 급진적인) 확장과 확산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한류 세계화 국면은 세계 탑클래스의 정보기술(IT)·문화기술(CT) 분야의 인프라와 지식 역량이 결합된 것으로, 지난 몇 세기 동안 억눌리고 짓눌려 온 한국의 세계적 위상이 폭발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한 전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한류 현상은 한국인에 잠재된 ‘거시 문화적 역량’이 디지털 현상과 연결되어 발현된 것으로, 진정한 한국산(産) 정신문화의 재점화, 재확산을 위한 전조적 징후라는 점이 중요하다. 현재의 K-컬처 중심의 한류는 앞으로 더욱 심화·확장되면서 질적인 도약을 거듭하여, K-사상, 한국학 코드의 시대를 전개해 내면서 수천 년 전부터 동아시아 최대의 정신문화 수출국이었던 코리아의 위상을 되살리고, 경제 논리를 앞세우기보다는 호혜적이며 시스템적인 확산 국면에 접어들면서 세계시민사회의 폭발적인 수용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한국학 코드의 미래 - 새 인류의 메타 코드
저자는 이 책에서 초국적 발전 패러다임을 기초로 하여 한반도 평화통일과 본격적인 아태 시대 - 유라시아 시대 개막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그 해법이 바로 동북아에서 시작하는 세계사의 그랜드 디자인으로서의 동북아 피스이니셔티브(NEA Peace Initiative, NEAPI) 전략이다. 한국학은 ‘생명’을 문화적 유전자로 이어받고 전승해 온 만큼, 이 생명위기, 지구위기, 인류 위기의 시대에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시중(時中)’의 도(道)로써 그 소명을 완수해야 한다. 그 결과 세계 질서의 문화적 재편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중심 목표가 된다.
오늘날 누구나 대전환을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지구적 대격변과 대정화라는 거대한 바위, 초거대 쓰나미에 던지는 ‘계란’과도 같은 것임을 알아야 한다. 두 가지 의미에서 그러하다. 첫 번째는 계란으로 바위 치기라는, 무의미한 행위의 대명사로서의 계란 던지기이다. 두 번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 역사는 계란으로 바위 치기와 같은 무모하고 무의미하며 무심한 수준에서 끊임없이 난관 극복을 시도하면서, 결국 새로운 국면을 열어온 역사라는 의미에서의 계란 던지기이다.
현재 진행되는 ‘포스트휴먼’화는 주로 과학기술과 산업의 측면에서 논의되고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에 진정한 의미의 생명을 불어 넣음으로서, 인간의 삶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국면은 결국 인간 정신과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때가 될 것이다. 후기 현대사회인 오늘날의 세계는 입자와 파동, 물질과 정신(에너지)가 이원적인 것이 아니라는 양자 역학적 세계관 위에 성립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진정한 성취는 한국학 코드, 즉 만물의 상호 연결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일적 실재관 또는 시스템적 세계관으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맞물려 진행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 비로소 ‘한국학 코드’가 모든 코드의 근본 코드, ‘메타 코드’, 즉 ‘마스트 알고리즘(master algorithm)’으로서의 위상이 빛나게 될 것이다.
이는 생명의 유기성과 상호관통에 대한 명료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 지구적 위기에 대응하고 인공지능 윤리와 생명윤리가 준수되는 새로운 규준(norm)의 휴머니즘을 제시함으로써 인류의 지속성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열쇠가 된다. 우리 한민족 정신세계의 총화라 할 만한 진정한 한국산(産) 정신문화의 무대가 이제 곧 시작된다.
접기

기본정보

ISBN 9791166291630
발행(출시)일자 2023년 05월 10일
쪽수 928쪽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리뷰 작성


사용자 총점

10점 중 0점010

0%

0%

0%

0%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0%


집중돼요
0%


도움돼요
0%


쉬웠어요
0%


최고예요
0%


추천해요
전체 리뷰
구매 리뷰
한 달 후 리뷰
최신순
이 상품의 첫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문장수집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내 독서기록문장수집 작성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반품/교환 신청1:1 문의


반품/교환방법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반품/교환가능 기간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상품 품절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천 이벤트
더보기








이 분야의 베스트
더보기
1모든 삶은 흐른다로랑스 드빌레르
10% 15,120 원

2내면소통김주환
10% 29,700 원

3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장재형
10% 16,020 원

4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30만 부 기념 리커버 에디션)김혜남
10% 15,480 원

5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마이클 슈어
10% 16,200 원



이 분야의 신간
더보기
한국학 코드최민자
10% 43,200 원

3분 고전(합본 뉴에디션)박재희
10% 19,800 원

조금 수상한 비타민C의 역사스티븐 M. 사가
10% 17,010 원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게 뭐냐고 묻는다면노우티
10% 15,750 원

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가정현채
10% 17,100 원


총 상품 금액 43,200 원
상품 수량 한 개 줄이기상품 수량 한 개 늘리기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