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11

Yoo Jung Gil - 너무도 아름다워 슬픈 다큐 [수라>

Yoo Jung Gil - 너무도 아름다워 슬픈 다큐 <수라> 어제 7월 7일 광화문 시네큐브에서 황윤감독의 다큐... | Facebook

너무도 아름다워 슬픈 다큐 <수라> 
어제 7월 7일 광화문 시네큐브에서 황윤감독의 다큐 <수라>를 종교환경연대에서 단체로 관람했습니다. 수라는 새만금의 북쪽의 갯벌의 이름입니다. 현재 100개의 극장에 100명의 관객을 관람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황윤감독은 <잡식가족의 딜레마>를 통해 수시로 동물권에 대한 강의를 부탁했던 분입니다. 저는 그녀의 관심이 동물보호와 동물권에 한정된 줄알았습니다. 그러나 이 다큐를 보면서 한 예술가의 힘과 의지가 얼마나 위대한가를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많은 다큐멘터리가 저마다의 깊은 메시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울리지만, <수라>는 그냥 감동이 아니라 영화관에 있는 모든 사람들의 가슴을 저미며 눈물바다를 만드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 힘은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공명입니다.
 
환경운동하는 우리는 새만금개발을 막으려고 삼보일배를 비롯한 온갖 노력을 했지만 물막이 공사로 이미 더 이상 갯벌로 돌릴수 없다는 좌절속에 마음을 접었던 곳입니다. 
  • 처음엔 농지가 부족해 농지를 만든다고 국민을 속였다가 
  • 이제는 첨단 스마트 산업도시를 만들겠다고 말을 바꾸고 
  • 이제 다시 신공항이 들어선다고 특히 미군공항이 들어선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다큐멘터리 <수라>는 새만금이 여전히 갯벌이고 아름답고 신비로운 생명이 펄펄 살아 있는 곳이며, 매립만 하지 않는다면, 그래서 우리가 갯벌이라고 이름을 계속 불러준다면 언젠가 갯벌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력히 호소합니다. 정부는 40여종의 생물만있다고 했지만,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의 집요하고 조사를 통해 실제 20여만종의 생명이 찬란히 살아있는 아름다운 현장임을 보여줍니다.

내 가슴을 울린 것은, 물막이 공사로 하루 두 번씩 들어오던 바닷물을 기다리던 그 갯벌속에 수많은 조개, 게들이 오늘, 내일 목타게 기다리다가 빗물로 밖으로 나왔다가 뙤약볕에 하얗게 말라 죽은 처참한 생태학살(Ecocide)을 넘어서 대학살(masscare)의 모습입니다. 그생명의 목타는 갈망의 기다림을 생각하는 순간 결국 눈물이 터져나오더군요.
그곳에 살고 있는 수많은 알록달록 물떼새, 다양한 도요새와 그들 수백만마리의 아름다운 군무,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올라와 새만금에서 쉬다가 죽은 먹이들 때문에 그들도 죽는 처참한 현장, 일반인이 보지 못하는 너무도 아름다워 오히려 슬픈 현장을 보여줍니다.
이 다큐는 멸종위기종인 <쇠검은 머리쑥새>가 살아있음을, 그리고 그 쑥새의 울음소리를 들려줍니다. 사라진줄 알았던 <흰발농개>가 10년동안 살아있는 생명의 경이로움을 보여주고, <검은머리갈매기>와 알에서 나온 아기 <도요새>를 보여주며,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녹입니다.

이 다큐는 도요새의 시점에서 본 갯벌의 모습과 ‘아름다움을 본 사람의 책임감 혹은 죄’를 언급하며 우리에게 그 책임을 지라고 말이 가슴에 사무칩니다.
이 다큐는 새만금 간척반대투쟁을 다큐로 담았던 고 이강길감독과 자신으로 면면이 이어지는 정신과, 목공일을 하면서 새만금생태조사단을 이끄는 오동필선생과 그 아들 오승준으로, 다시 황윤감독의 아들로 이어지는 의지와 희망의 대물림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7년간 집요한 노력으로 이 다큐를 찍은 감독의 감동을 전파하려는 눈물어린 노력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한 다큐멘터리가 이렇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변화를 만드는 힘이 되는가를 보여줍니다.
마지막 엔딩 크레딧이 올라오면서 들려오는 노래 <아름다운 것들>이 이렇게 애절하고 아름다울 줄이야...
이 영화 꼭 상영관에서 보시길. 화면 크기만큼 감동합니다. 유튜브나 집에서 다운받아 나중에 볼생각하지 마시고. 당장 영화관으로 달려가주세요. 그래서 100개의 영화관을 성공시켜 도요새를 지켜줍시다.
All reactions:
You, Hyuk Bom Kwon and 28 others
2 comments
1 share
Like
Comment
Share

2 comments

  • Okki Chang
    글만으로도 다시 눈물이 터지네요. ㅠㅠ
    •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