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전적 신학
통전적 신학은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이 결합된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방법론적으로 모든 것을 통합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에 서 통(統)이란 말은 모든 것을 통합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통전적 신학은 모든 것을 통합하는 것(Integrity)에 머무는 신학이 아니다.
모든 것을 통합하는 것은 자칫 잘못되면 혼합주의로 흐를 위험이 있다. 통전적 신학은 모든 것을 통합해서 (Wholeness)에 이르고자 하는 신학이다. 즉 통전적 신학은 온전함을 추구하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의 영어 표기인 '통전적'(holistic)이란 말은 온전함과 관계가 깊은 단어이다. 즉 통전적 신학은 편협함을 극복하고, 중요한 정신과 관점을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지 아니하고 가능한 한 모든 진리를 통합해서 온전한 신학을 형성하고자 하는 신학이다.
===
===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Blog
Get the degree that enables you to bring your unique gift to your world. Your dream is our goal.
Skip to content
Home
About
About →
What is Holistic Theology?
Posted on December 28, 2012 by aihtblog2012
Theology is the study of the Divine. The Divine takes many forms and has a diverse content. And many, from different areas of the world, gather collectively to connect with the form and content that has meaning for them. There are many others who do not gather in a collective ritual experience to so connect, but rather initiate and engage in personal practices that increase their spiritual connection. So, how is it that one can study the Divine can put all of those diverse ways of meeting the Divine into one curriculum?
By offering an interfaith/integrated approach to the study of the Divine we get to the mystical core of all faiths and all spiritual traditions and paths. This is what is meant by holistic theology.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Blog
Get the degree that enables you to bring your unique gift to your world. Your dream is our goal.
Skip to content
Home
About
About →
What is Holistic Theology?
Posted on December 28, 2012 by aihtblog2012
Theology is the study of the Divine. The Divine takes many forms and has a diverse content. And many, from different areas of the world, gather collectively to connect with the form and content that has meaning for them. There are many others who do not gather in a collective ritual experience to so connect, but rather initiate and engage in personal practices that increase their spiritual connection. So, how is it that one can study the Divine can put all of those diverse ways of meeting the Divine into one curriculum?
By offering an interfaith/integrated approach to the study of the Divine we get to the mystical core of all faiths and all spiritual traditions and paths. This is what is meant by holistic theology.
So many today are seeking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growth of a perspective that includes and embraces all religions and yet moves beyond religion to a personal and deeply felt, deeply embracing spirituality. They are looking for real truth, something they can stand and walk on. Something that doesn’t end up being fake or unfounded. Something authentic.
That is not something that someone else can give–unless it can be genuinely received by a searching heart. Therefore,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does not promise you a canned approach to religion or spirituality. Rather it offers coursework that facilitates your own opening, your own consciousness raising experiences, your own waking up process–not to what we believe, but to what you believe. Really believe.
We don’t want to teach you who to be. We want to help you become fully who you are. We do that through home study approach using texts written by world-renowned authors and spiritual leaders, offering diverse approaches to the processes of awaking, realization, coming to a faith, whatever terms you would use for authenticating your own spirituality. They also offer informative and practical information on how to bring the student’s own particular gift to the world. This is an unbeatable combination of which the intent is the fulfillment of the student’s dream for fulfillment.
An interfaith, interspiritual, integral perspective bridges the gaps between religions, faiths, and spiritual paths. It opens rather than closes. It allows both the light and darkness, finding within each a rich promise. There is no religion or spiritual tradition or path that is not illuminated through our coursework, nor are there practical methodologies that are left out. Students get to pick and choose the coursework for the degree program that is best suited to meet their needs. And all of this is done at minimal cost.
Unlike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offer a degree at the cost of a house note, AIHT offers its unique and trustworthy educational programs at a fraction of that. And when the student graduates, s/he will no longer be hiding the light under the auspices of some other career that does not fulfill. The student will have the education necessary to solidifying a career in an area that truly fulfills.
Call us today at 800-650-4325.
Share this:
Twitter
Facebook
Related
PhD in Holistic TheologyMarch 12, 2013In "AIHT Blog"
Sexual Orientation and Interfaith StudiesApril 30, 2013In "AIHT Blog"
AboutDecember 28, 2012In "AIHT Blog"
About aihtblog2012
That is not something that someone else can give–unless it can be genuinely received by a searching heart. Therefore,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does not promise you a canned approach to religion or spirituality. Rather it offers coursework that facilitates your own opening, your own consciousness raising experiences, your own waking up process–not to what we believe, but to what you believe. Really believe.
We don’t want to teach you who to be. We want to help you become fully who you are. We do that through home study approach using texts written by world-renowned authors and spiritual leaders, offering diverse approaches to the processes of awaking, realization, coming to a faith, whatever terms you would use for authenticating your own spirituality. They also offer informative and practical information on how to bring the student’s own particular gift to the world. This is an unbeatable combination of which the intent is the fulfillment of the student’s dream for fulfillment.
An interfaith, interspiritual, integral perspective bridges the gaps between religions, faiths, and spiritual paths. It opens rather than closes. It allows both the light and darkness, finding within each a rich promise. There is no religion or spiritual tradition or path that is not illuminated through our coursework, nor are there practical methodologies that are left out. Students get to pick and choose the coursework for the degree program that is best suited to meet their needs. And all of this is done at minimal cost.
Unlike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offer a degree at the cost of a house note, AIHT offers its unique and trustworthy educational programs at a fraction of that. And when the student graduates, s/he will no longer be hiding the light under the auspices of some other career that does not fulfill. The student will have the education necessary to solidifying a career in an area that truly fulfills.
Call us today at 800-650-4325.
Share this:
Related
PhD in Holistic TheologyMarch 12, 2013In "AIHT Blog"
Sexual Orientation and Interfaith StudiesApril 30, 2013In "AIHT Blog"
AboutDecember 28, 2012In "AIHT Blog"
About aihtblog2012
If you are among the many people today who are seeking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growth of a perspective that includes and embraces all religions and yet moves beyond religion to a personal spirituality,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offers the kind of inspirational education you can believe in. With an education from AIHT, not only can you transform and nurture in your own life and transformative process, but you can use this education to minister to and serve others. An interfaith, interspiritual, integral perspective bridges the gaps between religions, faiths, and spiritual paths. It opens rather than closes. It allows both the light and darkness, finding within each a rich promise. It brings all religion, all spiritual practice to its mystical core. That core is the essential ingredient in all of our coursework, including Holistic Theology, Holistic Ministries, Holistic Health, Metaphysics and Parapsychology.
View all posts by aihtblog2012 →
This entry was posted in AIHT Blog and tagged authentic spirituality, career, education, holism, holistic, holistic theology, integral, integrated approach, interfaith, low-cost education, spiritual path, spirituality, study of the divine, theology. Bookmark the permalink.
===
View all posts by aihtblog2012 →
This entry was posted in AIHT Blog and tagged authentic spirituality, career, education, holism, holistic, holistic theology, integral, integrated approach, interfaith, low-cost education, spiritual path, spirituality, study of the divine, theology. Bookmark the permalink.
===
PhD in Holistic Theology
Posted on March 12, 2013 by aihtblog2012
In addition to the ThD in various programs,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now offers a PhD in Holistic Theology.
Here’s a description of that program and the courses offered:
The PhD in Holistic Theology offers an advanced training experience exploring the vast and rich knowledge on the “study of the Divine” from an interfaith/interspiritual perspective and allows the student to put that knowledge to work to meet the intellectual, societ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challenging humanity in the 21st century.
The decision to pursue the AIHT PhD is a life-changing opportunity, not only potentiating the upward movement of your ministry or career to the next level, but granting you a unique opportunity to deeply explore your own spirituality and response to our world. The degree equips you to become an authentic leader in a world crying out for authentic leadership. Whatever form that leadership takes—be it in ministry, the healing arts, education, research, writing or other focuses of endeavor—the AIHT PhD offers specific and intense study to help you get there.
PHD 301 Interfaith Theology A study of the dialectic interfaith and secular dialogue that becomes the creation of an interfaith theology 6 credit hours.
PHD 302 A Study of Spiritual Transformation A study focusing on awakening the heart and mind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s it occurs through specific practices and the wisdom-making process. 6 credit hours.
PHD 303 Global Consciousness An in-depth study of the global phenomenon of emerging collective consciousness, the collective awakening process and its implications. 6 credit hours.
PHD 304 Transpersonal Psychology A comprehensive study of an integral approach to the experiences, beliefs and practices that suggest that the sense of self can extend beyond the personal identity; a study of reality encompassing the whole being. 6 credit hours.
PHD 305 Authentic Leadership An in-depth study of leadership at its core essence, including its ethical and interfaith components. 6 credit hours.
PHD 306 The Philosophy of Quantum Healing Quantum physics invites us to consider the quantum leap in consciousness required to heal the body, mind and spirit. 6 credit hours.
PHD 307 Holistic Theology A study of the divine/human inter-dynamic that includes, embraces and yet moves beyond religion. 6 credit hours.
PHD 308 Global Ethics Bringing a universality to the diverse human ethic is one of our greatest challenges. This course will study that challenge from a humanistic and diverse perspective. 6 credit hours.
PHD 309 Spiritual Diversity This unique course offers a look at how to make practical the mental imagery of spiritual diversity providing practices in spiritual awakening, building spiritual bridges and spiritual assessment. 6 credit hours.
PHD 310 Research and Methodology This course is meant to prepare the student for the research and writing of the Dissertation. It not only facil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of research but of the practical realities of writing the paper. 6 credit hours.
PHD 311 Dissertation 30 credit hours. (Students will defend Dissertations before a committee by selected media.)
This coursework offers studen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Holistic Theology an opportunity to find and implement their own personal, professional and academic holistic theology.
====
강연Ⅰ. 통전적 신학이란 무엇인가?
일 시 : 2002. 4. 23. 오후 4시
장 소 :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
Ⅰ. 통전적 (統全的)신학에 대한 정의
통전적 신학은 두가지 중요한 측면이 결합된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방법론적으로 모든 것을 통합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에서 통(統)이란 말은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통전적 신학은 모든 것을 통합하는 것(Integrity)에 머무는 신학이 아니다. 모든 것을 통합하는 것은 자칮 잘못되면 혼합주의로 흐를 위험이 있다. 통전적 신학은 모든 것을 통합해서 온전함(Wholeness)에 이르고자 하는 신학이다. 즉 통전적 신학은 온전함을 추구하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의 영어표기인 ‘홀리스틱’(holistic)이란 말은 온전함과 관계가 깊은 단어이다. 즉, 통전적 신학은 편협함을 극복하고, 중요한 정신과 관점들을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지 아니하고 가능한 한 모든 진리를 통합해서 온전한 신학을 형성하고자 하는 신학이다. 요약하면 통전적 신학은 모든 진리를 통합해서 진리의 온전함에 이르고자 하는 신학이다.
Ⅱ. 통전적 신학을 추구하는 신학의 흐름
1. 오순절주의 신학과 통전적 신학
20세기 초반에 탄생해서 20c의 세계교회에 영향을 미친 오순절주의 성령운동은 ‘완전한 복음’(Full Gospel)을 추구하는 성령운동이었다. 이 성령운동은 영혼의 기독교에 대한 거대한 도전이었는데, 복음의 육체성과 세상성을 강조한 중요한 측면을 지닌 성령운동이었다. 이 성령운동은 예수의 속죄의 죽음을 영혼의 죄악을 속량하는 죽음이라는 관점을 넘어서,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우리의 병과 가난을 짊어지고 죽었다는 관점으로 확대했는데, 곧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질병과 가난에서부터의 해방과 관련시킨 독특한 특징을 지닌 운동이었다.
오순절주의 신학이 ‘완전한 복음’을 강조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영혼에만 해당되지 않고 육체에도 해당되고, 세상의 가난에서부터의 해방에도 해당된다는 것은 과거의 영혼의 기독교에 비해 통전적 신학의 방향으로 진일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오순절주의 신학은 ‘완전한 복음’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그들의 복음은 ‘완전한 복음’이 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측면은 사회와 역사와 우주를 구원하는 하나님나라 복음의 참된 완전성을 깨닫지 못하고, 개인적 영역의 축복의 신학에 머물러버렸기 때문이다. 최근에 오순절주의 신학이 이 한계성을 부분적으로 깨닫기 시작한 것은 ‘완전한 복음’으로 가는 새로운 길을 조금씩 걷기 시작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 복음주의 신학과 통전적 신학
1989년 7월에 3.000여명의 복음주의자들이 모여 제2차 로잔대회, 곧 마닐라대회가 열렸다. 여기에서 발표된 것이 마닐라선언문인데 이 마닐라선언문은 오늘의 복음주의 신학정신을 잘 알 수 있는 중요한 선언문이다. 이 선언문에서 통전적 신학의 관점에서 크게 눈에 띄는 중요한 것은 선언문의 제2부의 첫째 큰 항목의 제목이 “완전한 복음”(The Whole Gospel) 이라는 점이다. 즉, 복음주의 운동과 신학이 완전한 복음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천명한 것인데, 그러면 그들의 완전한 복음은 무엇인가 ?
1970년 바이어하우스(P. Bayerhaus)가 중심이 되어 선언한 프랑크프르트(Frankfurt)성명은 웁살라대회의 하나님의 선교신학에 반기를 들고,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에 대해서도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 신학성명이었다. 이 성명에는 교회의 사회적 역사적 책임은 거의 무시되었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전파와 교회의 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한마디로 1970년의 프랑크프르트 성명은 신학적 통전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복음전파와 영혼구원 및 교회성장이 주로 강조된 편향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복음주의자들의 편향성은 1974년의 로잔언약에서 상당히 수정되었는데, 그 핵심은 로잔언약 제5부에 나오는 전도와 사회참여 모두가 기독교인의 의무라는 선언 때문이었다.
1989년 마닐라대회는 제2차 로잔대회로 규정된 대회로 로잔대회의 정신의 계승이라고 볼 수 있는데 로잔대회보다 통전적 신학을 향해 진일보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그 진일보한 모습의 중심에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마닐라 대회는 마닐라성명서 제 1부의 21개항 중에 제8항에서 선교의 실천으로 정의와 인간의 존엄성 및 의식주 문제에 대한 돌봄의 중요성을 선언했고, 제9항은 “정의와 평화와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는 것은 그것이 개인적이든 구조적인 것이든 모든 불의와 억압을 타파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고백하고, 우리는 이와 같은 예언자적 증거에서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라고 선언하고 있는데, 이 선언은 하나님 나라를 향한 정의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 상당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성명은 또한 제2부 제4항에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선포는 하나님 나라와 공존할 수 없는 모든 것의 타파를 의미를 하는 예언자적 행위를 필연적으로 요구한다”고 밝히면서 타파의 대상이 되는 악으로 “제도화된 폭력, 정치적 부패, 사람과 땅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착취, 가정 파괴, 낙태, 마약유통, 인권유린” 등을 언급했다.
1989년의 마닐라 선언은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uniqueness of Jesus Christ)을 강조하는 과거의 복음주의 신학의 정신은 변치 않았다. “오직 하나의 복음밖에 없다. 왜냐하면 오직 한 분 그리스도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분이 그의 죽으심과 부활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단 하나의 길이다”(제21부 제3항). 그리고 마닐라 선언은 이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강조하는 것이 완전한 복음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그 완전한 복음의 선포는 그에 상응하는 행위가 뒤따르는데 그 행위에는 사회적 책임성이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즉, 사회적으로 존재하는 악의 제거는 하나님나라 복음의 선포의 필연적으로 내포된 어떤 것으로 본다는 선언이었다.
1989년의 마닐라 선언에서 중요한 것은 하나님 나라 개념이 이 성명서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을 복음의 과제로 삼고, 이 나라 건설에 방해되는 악의 세력과의 투쟁을 명백히 했다는 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성명은 완전한 복음은 “악의 세력들로부터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구원과 그의 영원한 나라 건설과 그의 목적에 저항하는 모든 것에 대한 그의 승리에 대한 기쁜 소식”(제2부 선언)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닐라대회의 복음에 대한 정의는 통전적 복음이해에 다가서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복음주의 신학이 통전적 신학에 온전히 이르렀다고는 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사회나 역사나 창조세계에 대한 교회의 책임의 강조가 복음전도에 대한 강조보다 상당히 부족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개인구원에 대한 우선권에 대한 주장이 그 중요한 이유이다. 비록 우선권에 대한 주장이 시간적 우선권이 아닌 논리적 우선권이라고 진일보한 전향적 입장이 복음주의 신학에 나타나고 있지만 개인구원의 중요성과 전체를 지배하는 지배적 논리로서의 개인구원의 압도성을 여전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복음주의 신학은 개인구원이 사회와 역사와 우주를 구원하는 통전적 구원보다 여전히 앞서 있는 신학이라고 볼 수 있다.
3.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과 통전적 신학
1968년 w.c.c.의 웁살라(Uppsala)대회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을 강조하자 이에 반박한 유럽의 복음주의자들은 바이어하우스(Bayerhaus)의 주도하에 1970년 프랑크프랑트(Frankfurt)성명을 발표했다. 1973년 W.C.C.의 방콕(Bankok)대회가 정치적, 경제적 구원의 문제를 강조하자 이에 대한 반응으로 복음주의자들은 1974년 로잔(Lausanne)세계복음화 대회에서 로잔언약(Lausanne Covenanct)을 발표했다. 외견상 W.C.C.와 복음주의자들은 서로 다른 길을 걷는 것 같았고, 조화될 수 없는 서로 다른 신학이 세계의 교회들을 분열시키는 것만 같았다.
20세기 후반의 W.C.C.의 신학적 논의는 신학의 폭을 넓히고 세상과 우주를 포괄하는 통전적 신학의 방향으로 신학적 방향을 진행시켜왔다고 볼 수 있다. 1954년의 W.C.C.의 에반스톤(Evanston)대회에서는 교회 중심의 선교에서 이 세상을 선교의 장으로 하는 하나님의 선교에로의 방향전환이 일어나고 있었고, 호켄다익(J. C. Hoekendijk)은 교회란 이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하나님의 구원행동의 도구요, 이세상에서 샬롬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손에 들어 있는 수단이라고 역설했다.(이형기, WCC, VaticanⅡ,WARC,p.20) 1961년의 뉴델리(New Deli) W.C.C.대회에서는 하나님의 선교가 함축하고 있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참여가 더욱 적극적으로 강조되었다.
1975년의 나이로비(Nairobi) W.C.C. 대회는 바샴(Bassham)에 의하면 “통전적 선교”(holistic mission)라고 지칭할 수 있을 정도로 통전적 신학의 시각이 뚜렷이 나타나는데 그 핵심은 한편으로는 복음주의 계통 교회의 주장을 깊이 인식하면서 복음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사회와 역사를 포괄하는 하나님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면서 인간과 세상에 대해 통전적으로 책임을 지는 교회의 사명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나이로비 총회는 ‘전체복음’ 혹은 ‘완전한 복음’(The whole Gospel)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 ‘전체복음’ 혹은 ‘완전한 복음’은 다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나라와 사랑, 선물로서의 은혜와 죄의 용서, 예수를 믿고 죄를 회개하라는 초청, 하나님의 교회 안에서 교제하도록 부르는 부름, 하나님의 구원을 주시는 말씀과 행위를 증거하라는 명령, 정의와 인간의 존엄을 위한 투쟁에 참여해야 할 의무, 인간의 온전한 존재를 방해하는 모든 것을 비판해야 할 책임 그리고 목숨 그 자체까지도 희생할 각오가 되어 있는 책임감 있는 헌신 등을 선언하는 것.
1983년의 W.C.C. 뱅쿠버(Vancouver)대회는 정의 평화 창조의 보전( JPIC)의 문제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중요한 것은 창조의 보전(Integrity of Creation)이 세계교회의 과제로 선정된 것이었다. 1983년의 W.C.C. 대회가 ‘정의 평화 창조의 보전’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것은 W.A.R.C.의 1982년의 오타와 (Ottawa) 대회 때 ‘정의 평화 창조의 보전’이 주 의제로 등장했고 이것이 1983년의 W.C.C.총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W.A.R.C.나 W.C.C.가 창조의 보전을 교회의 핵심과제로 설정한 것은 이미 W.C.C.의 신학과 W.A.R.C.의 신학이 창조세계를 포괄하는 우주적(cosmic) 신학을 발전시키고 있다는 뜻인데 곧 인간과 세상과 우주를 포괄하는 통전적 신학이 W.C.C.와 W.A.R.C. 속에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는 의미인 것이다. W.C.C.는 ‘정의 평화 창조의 보전’의 문제를 1989년 서울대회 때 더욱 심화시켰다.
오늘의 에큐메니칼 신학은 전체적으로 볼 때 통전적 신학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이 인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세상 속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구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창조세계를 포함하는 우주적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전적 신학이다. 물론 에큐메니칼 신학이 복음전도의 강조에 있어서 복음주의 신학에 미치지 못하는 약점은 있으나 세상과 우주 전체를 책임지는 통전적 신학의 폭과 넓이를 갖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매우 긍정적이다. 20c의 W.C.C. 운동은 신학적으로 볼 때 신학의 통전성을 구현화시키고 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점에 큰 장점이 있는 운동이었다.
4. 통전적 신학을 추구하는 오늘의 대표적 신학자
(1) 이 종성
이종성은 에큐메니칼운동이 인간적 세상적 운동으로 흐르고 있음을 비판했다. 이종성에 의하면 에큐메니칼 운동은 순수한 교회운동의 단체에서 벗어나 너무 깊게 “세계 정치 무대에 깊숙이 침투해 들어가고 말았다” (한국교회의 현실과 이상, p. 163). 이종성은 “ 최근에 있어서 W.C.C. 의 프로그램은 너무나도 정치지향적이고 사회지향적이고 혁명지향적이어서 교회자체의 강화와 발전은 무시당하고 말았다. 그래서 많은 교회의 지도자들은 W.C.C.가 교회의 보금자리에서 탈출해 나가버린 이단아가 되어 버렸다고 비난한다. W.C.C.가 교회 자체의 문제에는 관심이 없어졌다는 비판이다. 복음전도를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자취를 감추고 사회와 문화와 교육과 의료와 인권에 관한 문제에 더 많은 예산을 할애하고 있다”(한국교회의 현실과 이상, p. 163)고 비판했다.
이종성에 의하면 에큐메니칼 운동이 너무 정치적인 편향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교회가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과 교회와 복음운동 자체에는 관심이 적고, 사회정치적 활동에 깊이 개입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반대로 이종성은 복음주의 신학이 너무나 개인의 구원 중심성을 강하게 띠는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은 복음적이면서도 세상과 역사와 우주 전체에 책임성을 나타내는 신학이다. 이종성은 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신학을 그의 조직신학대계 14권에 걸쳐서 저술했고 자신의 신학의 특징을 통전적 신학이라 지칭했다.
이종성이 자신의 신학에 ‘통전적’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신학이론을 구체화시킨 최초의 저서는 1984년에 출간된 그의 『그리스도론』이다. 이종성은 고대교회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수많은 그리스도론을 정리하고 평가하면서 그 그리스도론들이 그리스도의 ‘전체의 모습’(Totus Christus)을 드러내는데 성공하고 있지 못함을 애석해 하고 있다 (p. 501). 고대교회의 에비온주의(Ebionism)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고 있었고, 마르시온주의자(Marcionism)나 아폴리나리우스주의자(Apollinarianism) 및 가현설주의자(Docetism)들은 반대로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고대교회의 처절한 신학논쟁 끝에 만들어진 그리스도론의 정통신조라고 할 수 있는 칼케돈신조(451)도 이종성에 의하면 “극도로 사변화” (p. 499) 되어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과의 관계를 네 개의 부정구조로만 설명했을 뿐 긍정적인 측면에서 제대로 해석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종성은 중세의 ‘만족설’이나 ‘도덕감화설’ 역시 그리스도론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일면적으로 흐른 편향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 있고,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해방자 예수’에 대한 그리스도론이나 힉(J. Hick)이 강조한 종교다원주의를 위한 기독교 신학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역시 바른 그리스도론에서 이탈된 잘못된 그리스도론으로 보고 있다. (pp. 466-468)
이종성에 의하면 온전한 그리스도론은 통전적 그리스도론 이다. 이종성은 통전적 그리스도론의 특징으로 다음의 5가지를 언급했다(pp. 503-506)
1) 통전적 그리스도론은 모든 교회가 그리스도론에 대한 신앙고백으로 고백한 모든 신조를 확인한다. 특히 그리스도교 교회와 신학의 형성과정에서 가장 결정적인 기간인 제2세기부터 제7세기까지의 에큐메니칼 교회 회의가 결정한 모든 신조를 기본신조로 받아들인다.
2) 이러한 모든 신조는 시대적 제한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든 절대화해서는 안된다. 신조는 특정한 때에 특정 지역에서 특정인에 의해서 고백되고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후세인에 의해서 성서의 시대적 해석과 이해에 맞춰서 재해석되고 보충되어야 한다.
3) 그리스도론은 우리의 교회의 토양에 토착화하고 현실화 해야 한다.
4) 통전적 그리스도론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한 면을 다른 면보다 더 강조하거나 중요하게 취급해서는 안된다. …과거의 그리스도론은… 때로는 신성을 더 강조했고 때로는 인성을 더 강조했다. 특히 최근의 급진적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신성은 완전히 부인하고 그리스도의 인성만을 토대로 한 새 그리스도론을 주장한다 … 통전적 그리스도론은 그러한 편파적 그리스도론을 수정하고 그리스도의 전상 (a total picture)을 그려보고자 한다.
5) 통전적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통치권을 성서가 가르친 범위로 확대하자는 것이다 … 이때까지의 그리스도론은 그의 통치권을 개인과 교회의 역사에만 국한시켰다. 그러나 성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그리스도의 통치의 대상은 만물이라고 계속해서 강조한다.
이종성의 통전적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의 인성만을 강조하거나 역으로 그리스도의 신성만을 강조하는 그리스도론을 거부하는 신학이다. 그리고 서양의 그리스도론 만이 아닌 한국과 아시아의 토양 속에서 형성되는 그리스도론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보는 그리스도론이다. 그런데 위의 5가지 통전적 그리스도론을 규정하는 항목 가운데 특별히 눈에 띄는 항목은 5번째 항목인 ‘우주적 그리스도’(cosmic Christ)를 강조하고 있는 항목이다. 이종성은 1984년에 이미 한국 신학자로서는 매우 선구적으로 우주적 그리스도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종성은 본 회퍼(D. Bonhoeffer)의 유고 중 하나인 『그리스도론』에 나타나고 있는 하나님과 자연 사이의 중보자 그리스도 사상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고, 오늘의 통전적 신학의 큰 뼈대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우주적 화해와 구원이라는 놀라운 사상을 이미 1984년에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종성은 “그리스도는 인간 실존의 중심이요, 역사의 중심이요, 자연의 중심이기도 하다. … 이 세가지가 추상적으로 구분되어서는 안된다. 인간 실존은 언제든지 역사요 자연이다. 그리스도는 창조의 해방자요 중보자이다.”라고 언급했다.(p.506) 이종성은 그리스도께서는 인간뿐만 아니라 온 세상의 생명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2)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
몰트만의 신학은 하나님나라 중심적 신학이다. 몰트만은 영혼 중심적 신학을 하나님 나라 중심적 신학으로 신학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는데 이 새로운 신학의 패러다임이 통전적 신학을 위한 대단히 중요한 패러다임이다. 영혼 중심적 신학이 하나님나라 중심적 신학으로 신학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난 기점이 되는 책은 1964년의 그의 『희망의 신학』(Theologie der Hoffnung)이었다.
몰트만은 1985년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Gott in der Schöpfung)을 출간시키면서 통전적 신학의 대단히 중요한 기둥인 창조세계의 구원과 관련된 우주적(cosmic)신학의 틀을 제공하면서, 교회와 신학의 관심과 책임의 영역이 사회와 세상뿐만 아니라 창조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우주적 차원임을 나타내 보이면서 통전적 신학의 체계를 본격화시켰다.
1991년 몰트만은 『생명의 영』(Der Geist des Lebens)을 출간시키면서 자신의 성령론을 ‘통전적 성령론’ (ganzheitliche Pneumatologie)이라 칭하면서 자신의 신학의 전 과업이 통전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1995년의 『오시는 하나님』(Das Kommen Gottes)에서는 자신의 종말론이 모든 것을 통합하는 종말론(alles integrierende Eschatologie)이라 칭했다.
몰트만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이 사회와 세상과 창조세계 전체에 책임을 지는 통전적 신학으로 정향되도록 깊은 영향을 미쳤고, 세계 도처의 신학과 신학교육에 영향을 미쳐서, 하나님 나라를 향하는 신학과 신학교육으로 정향되도록 길을 만든, 오늘의 통전적 신학을 추구하는 대표적 신학자로 볼 수 있다.
(3) 하워드 클라인벨 (H. Clinebell)
하워드 클라인벨의 목회상담학은 통전적 신학적인 실천신학이고, 목회상담학이라고 볼 수 있다. 하워드 클라인벨은 인간을 철저히 통전적 (holistic)으로 있는데 우선 인간의 영혼과 육체를 분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고, 인간이해의 사회적 관점이 첨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성해방의 관점도 목회상담의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었고, 지구를 사랑하는 영성의 측면까지 목회상담학의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워드 클라인벨은 목회상담의 목적을 전인 건강에 두고, 전인 건강을 위한 6가지 중요한 차원을 언급했다. (목회상담론, p. 56)
1) 마음을 북돋아 주는 일
2) 인간의 몸의 생기를 회복시키는 일
3) 다른 사람과의 친밀 관계를 갱신하고 강화하는 일
4) 자연과 생물권과의 관계를 심화하는 일
5) 개인생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직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장
6)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게 하고 의미있게 하는 일
이 클라인벨이 언급한 6가지 차원은 모두 통전적 신학의 목회상담학적 확장이라고 볼 수 있는데, 통전적 신학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인간을 육체와 영혼 전체로 보는 전인으로서의 차원, 과거의 개인주의적 목회상담에서 떠나 인종차별, 성차별, 세대차별, 계급주의, 종족주의, 민족주의, 군국주의, 경제적인 착취, 그리고 정치적인 억압 같은 사회에 팽배해 있는 악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이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생물권이라고 할 수 있는 대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등을 모두 포괄해서 전체의 관점에서 인간의 치유와 건강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전적 목회상담학이다. 하워드 클라인벨은 사적이고 영혼중심의 목회상담학을 통전적인 목회상담학으로 발전시킨 중요한 신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Ⅲ. 통전적 신학의 신학적 방법론
통전적 신학은 참된 진리를 밝히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모든 진리를 포괄해서 연구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신학으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신학적 방법론을 갖고 있다.
1.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과 복음주의 운동의 신학의 통합을 지향한다.
통전적 신학은 복음주의 선교운동의 폅협성을 비판하는 신학이다. 복음주의 선교운동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그리스도 중심적 선교를 강조했는데, 통전적 신학은 이를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고 통합이 필요한 일로 여기고 있는 신학이다. 이종성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를 자유주의, 신신학자들이 하는, 잘못된 신학이라고 비판하나 그러한 비판은 오해에서 온 비판이다. 하나님은 우주와 인간역사를 지배하고 계시면서 사람이나 교회가 하지 못하는 지역이나 분야나 차원에서 그것들이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나님이 교회의 선교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역하고 계시다. 이 사실을 우리가 부인할 수 없다” (종말과 하나님의 나라, p. 365). 통전적 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적 선교의 중요성과 아울러 하나님의 선교의 중요성을 동시에 인식하고 있는 신학이다. 또한 통전적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전도와 아울러 하나님의 통치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교회의 사회 역사적 책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신학이다. 이런 까닭에 통전적 신학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과 복음주의 운동의 신학의 통합을 지향한다.
2. 개신교신학과 카톨릭신학 및 동방정교회 신학을 종합적으로 검토 평가한다.
20c 후반에 삼위일체론에 큰 공적을 남긴 몰트만(J. Moltmann)의 삼위일체론은 동방정교회 신학과의 대화에서 삼위일체론 발전의 결정적인 도움을 얻었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나치안즈의 그레고리(Gregory of Natianz)를 비롯한 동방교회 신학자들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신학에서 큰 통찰을 얻었고 이를 발전시킨 것이다. 몰트만이 성령의 출원 문제에서 필리오케(filioque)를 반대한 것 역시 동방정교회 신학과의 대화의 결과이다. 온전한 신학연구를 위해서는 특정 교파의 신학을 절대화해서는 안된다. 그런 까닭에 통전적 신학은 개신교 신학과 카톨릭 신학 및 동방정교회 신학까지 그 모든 신학을 넓게 검토해서 진리에 이르고자 하는 신학이다. 이종성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은 “천주교와 동방정교와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대통합을 지향하며 교리적 조화의 가능성을 추구한다. 세 교파의 신학적 접촉점을 추구하는”(본인에게 보낸 이종성 박사의 메모) 신학이다. 이종성의 언급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은 천주교와 동방정교와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대통합을 지향하는 진정한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3. 기독교 신학 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와 문명의 내용을 신학적으로 검토 평가한다.
이종성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은 신론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성을 강조하며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의 역사에 개입하고 섭리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신학이다. 그런 까닭에 타종교와 타문명도 하나님의 통치와 섭리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그러므로 타종교와 타문명의 내용과 특성을 신학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많은 유익을 줄 수 있다. 이종성은 “타종교의 교리 중 기독교와 유사하거나 같은 목적을 가진 내용이라면 검토 수용한다”(메모에서)고 밝혔다.
4. 신학과 타학문과의 대화를 중요시하고 타학문에 대한 신학적 평가와 신학적 인도를 수행한다
통전적 신학은 세상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 가운데 하나님의 통치와 무관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대 전제를 갖고 있다. 이종성에 의하면 하나님은 “ 인류역사만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와 전 우주를 지배하신다”(메모에서). 그런 까닭에 세상의 모든 학문은 신학과 대화할 수 있고, 또 대화해야 한다.
이 대화는 타학문이 신학에 도움도 주지만 신학이 타학문을 바르게 인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중요한 것은 신학과 자연과학과의 대화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하나님께서 전 우주를 지배하는 신이기 때문에 이종성에 의하면 우주적 신학(cosmic theology)은 통전적 신학의 중요한 영역이다. 이종성은 진화론과 창조론의 대립은 더 깊은 대화가 필요하지만 창조론의 교리에 배치되지 않는 진화론의 부분은 수용할 수 있다는 관점을 피력했다. 몰트만은 진화론을 하나님의 게속적 창조로 이해했고 바이젝커( Weizäcker)의 자연과학적 시각을 받아들여 자연의 역사를 그의 창조론에 수용했다.
5. 예수 그리스도 계시의 궁극성과 성서의 표준성은 통전적 신학의 전제이다
통전적 신학이 에큐메니칼 신학과 복음주의 신학의 통합을 지향하고 개신교 신학과 카톨릭 신학 및 동방정교회 신학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기독교 신학 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와 문화 및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학문과 대화를 할 때 표준이 없이 모든 것을 쓸어 담는 혼합주의로 가는 신학이 아니다. 이종성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의 대전제는 “야웨 하나님의 절대성 인정”(메모에서) 이다. 몰트만과 판넨베르크(W. Pannenberg)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종말에 나타날 하나님 나라의 선취로 모든 역사에 궁극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다.
통전적 신학은 타종교와 타문명의 내용도 수용하지만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복음의 빛 안에서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복음의 빛은 타종교와 타 문명을 바르게 하고, 거룩하게 하는 빛이다. 통전적 신학은 폭넓은 신학이지만 종교간의 혼합주의는 거부하는 신학이다.
Ⅳ. 통전적 신학의 특성
1. 삼위일체 신학
통전적 신학의 기초이자 뿌리는 삼위일체 신학이다. 이종성은 그의 조직신학 대계 14권을 저술하면서 삼위일체론만 2권에 걸쳐서 자세히 기술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조직신학대계 전체를 삼위일체 신학의 시각에서 저술했다. 몰트만(J.Moltmann)역시 그의 조직신학에 관한 방대한 저술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라는 삼위일체론에 관한 저서를 출간시키고 삼위일체 신학의 시각에서 그의 그리스도론과 성령론 및 창조론과 종말론을 저술했다.
이종성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통전적 신관이란 삼위일체론적 신관을 의미한다. 그리스도교 안에 그리스도교다운 근본적인 특징이 있다면 그것은 삼위일체 신관이다”(서론,70). 삼위일체 신학이 결여된 한국의 민중신학은 통전적 신학이 아니다. 한국의 민중신학이 한국의 민주화와 민중들의 인권과 사회적 정의를 위해 공헌한 것은 그 자체로서 가치가 있고 평가되어야 하지만 민중신학의 그리스도론이나 성령론이 갖고 있는 신학적 문제점과 이로 말미암아 야기될 수 있는 크나큰 교회 안에서의 혼란과 인류 구원과 선교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제 2위이신 성자이시지 단순한 한 사람의 민중은 아니셨다. 또한 민중이 예수이고 그 민중이 스스로를 구원한다는 것도 신학적 온전성에는 크게 미달하는 잘못된 가르침이다. 전태일이 한국의 예수이고 전태일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도 가능하다는 주장은 바른 신학의 뿌리를 그 근원에서부터 파괴시키고 손상시킬 수 있는 대단히 편향된 주장이다. 인류와 만유의 구원은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이지 전태일의 죽음이나 그와 유사한 어떤 민중 운동가의 죽음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
민중신학의 성령론 역시 민중신학의 그리스도론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편향된 신학적 시각을 노출하고 있다. ‘기(氣)가 성령이다’는 민중신학의 성령론의 주장은 삼위일체 신학의 성령론과는 크게 충돌된다. 성령께서 만유의 생명의 근원이시고 만유 속에서 활동하신다는 것과 ‘기(氣)가 성령이다’는 말은 성령의 인격성을 이미 배제하는 의미이고, 하나님과 피조물과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고 혼란에 빠져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대단히 편향적으로 흐르고 있는 신학적 오류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는 삼위일체 신학의 신학적 근거이고 통전적 신학의 신학적 근거이다. 통전적 신학은 고대의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신조들을 존중히 여기는 신학인데 특별히 고대 에큐메니칼 공의회의 삼위일체신학을 존중히 여기는 신학이다. 따라서 통전적 신학은 양태론적 일신론적 신학이나 양자론적 일신론적 신학이나 종속론적 일신론적 신학이나를 막론하고 진정한 삼위일체 신학을 형성하지 못하고 잘못된 일신론으로 편향되어 있는 모든 신학과 대립되어 있는 신학이다.
오늘의 통전적 신학은 삼위일체 신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 相互通在)를 기초로 사랑과 코이노니아의 세계를 지향한다. 오늘의 삼위일체 신학은 삼위일체론을 사회적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성부 성자 성령 사이의 사랑의 코이노니아를 사회 속에서 실현시키고자 노력하는 신학으로 발전하고 있다. 보프(L.Boff)는 삼위일체가 사회적 프로그램이라고 선언했고, 몰트만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래시스’를 신학적 기초로 해서 모든 형태의 일신론적 지배 구조에 대해 반기를 들었다. 몰트만은 그것이 교권적 지배구조이든 정체적 지배구조이든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구조이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구조이든, 모든 형태의 일방적 지배구조는 삼위일체 신학과 충돌된다고 보았다.
통전적 신학의 뿌리와 기초가 삼위일체 신학이라고 할 때 많은 사람들은 통전적 신학이 전통을 존중하는 나머지 오늘의 삶과 세계와 우주의 문제와 무관한 신학이 아닐까하는 잘못된 인식을 가져서는 안된다. 통전적 신학은 오늘의 인간과 세계와 우주의 문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오늘의 삼위일체 신학과 연계되어 있는 신학이다. 그리고 오늘의 인간과 세계와 우주의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속에 있다고 믿는 신학이 통전적 신학이다.
2. 완전한 복음(The Whole Gospel)
통전적 신학의 복음이해는 다음의 5항목을 포괄하는 통전성을 갖는 복음이해이다.
1) 인간은 개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구원과 영생을 얻는다.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는 것은 개인의 구원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복음은 인간이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과 새로운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고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라 부르는 하나님의 자녀됨을 본질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2) 복음은 인간의 영혼의 구원만을 의미하는 기쁜 소식이 아니다. 복음은 인간의 육체를 사망의 세력으로부터의 해방시킴을 의미한다. 죽은 자의 부활이 의미하는 복음의 핵심은 신체성을 본질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3) 복음은 흑암과 사망의 세력으로 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불의와 전쟁, 살인, 인종차멸, 마약, 무신론 등은 흑암과 사망의 세력과 결부된 어떤 것들이다. 따라서 완전한 복음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혹은 구조적 악으로부터의 해방을 포함한다.
4) 그리스도의 죽음은 인간만을 위한 죽음이 아니었다. 그리스도의 화해의 사건은 전체 창조 세계의 깃들어 있는 신음과 죽음의 세력에서부터의 구원을 포함하는 사건이었다. 복음을 인간 중심적으로만 해석하는 것은 온전한 복음이 아니다.
5)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파하셨다. 따라서 복음은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복음이고 하나님 나라의 건설과 관련된 복음이다. 복음적인 교회는 하나님 나라 건설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영광이 빛나는 나라인 동시에 인간과 창조세계 전체에 영원한 생명과 평화와 기쁨이 충일하게 깃들여 있는 세계이다.
3. 전인성(全人性)의 신학
통전적 신학은 인간을 전인(The Whole Person)으로 보는 신학이다. 어거스틴(Augustinus)에 의해 체계화되고 그 이후 서구 신학에서 발전된 영혼 우위의 신학은 통전적 신학과는 충돌된다. 어거스틴에 의하면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것은 인간의 영적 특성을 지칭하는 의미였다. 즉 인간의 육체성은 하나님의 형상에서 제외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역시 어거스틴의 전통을 이어받아 인간과 이성적 특성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이해했다.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육체성을 배제하거나 폄하하는 귀결로 이어지는데 이런 신학적 전통은 통전적 신학의 정신과 마찰된다.
어거스틴 이후 서구 신학은 영혼 우위의 신학을 형성했고,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남성우위의 신학을 발전시켰다. 어거스틴에 의하면 여성은 그 자체로는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다. 여성은 오직 머리되는 남편 아래 있을 때만 하나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는 인간에 있어서의 영혼과 육체와의 관계의 연장선상의 논리에서 일어난 결과였다. 즉 남자는 여자의 영혼이고 여자는 영혼인 남자의 육체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대표를 남자로 생각하는 사고를 반대하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영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육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을 전인(全人)으로 보고, 이 전인으로서의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보는 신학이다. 그리고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귐과 부모와 자녀들 사이의 사귐 속에 진정한 하나님의 형상이 있다고 보는 신학이다. 몰트만에 의하면 참된 하나님의 형상은 남자와 여자, 곧 이성 간의 사귐과 부모와 자녀들 곧 세대 간의 사귐 속에 존재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의 코이노니아는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랑 속에, 부모와 자녀들 사이의 사랑 속에, 그리고 인간들 사이의 우정과 사람의 사귐 속에 존재한다. 인간이해에서 육체성이 제거되거나 인간의 공동체의 삶 속에서 여성의 가치가 폄하되는 것은 통전적 신학이 아니다.
인간을 전인으로 보는 사고는 20세기 후반의 현대의학에서 크게 발전했는데, 이는 인간의 육체성과 정신성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환자의 치료의 현실 속에서 깊이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대의학의 새로운 인식은 기독교 상담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미국의 대표적 목회상담학자인 하워드 클라인벨(H.Clinebell)은 그의 책『전인건강』(Well Being,1992)에서 목획상담의 목표를 전인건강에 두는 통전적 목회상담이론을 체계화시켰다. 이 클라인벨의 통전적 목회상담이론은 통전적 신학의 목회상담이론으로 이해될 수 있는, 좋은 통전적 인간이해와 통전적 세계이해 및 통전적 치유이론을 담고 있다.
인간을 전인으로 보는 신학은 물론 20세기 후반의 현대의학의 발전과 현대과학의 발전과 깊이 연결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사고가 신학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는 성서의 인간이해가 헬라적인 이분법적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전인으로 되어있다는 20세기의 성서학자들의 신학적 발견이 본격적인 출발점이다. 특히 히브리인들의 인간이해가 헬라인들의 인간이해와 근본적으로 달랐다는 성서학자들의 신학적 발견은 헬라철학의 이분법적 인간이해를 근거로 해서 교리를 만들고 신학을 체계화했던 어거스틴 이후의 서구 기독교 전통은 그 근원에서 흔들 수 있는 폭발적인 힘을 지니고 있었다. 한스 발터 볼프(H.W.Wolff)는 『구약성서의 인간학』에서 인간을 전인으로 보는 히브리인들의 인간관과 구약성서가 이해하는 인간의 참 모습을 날카로운 시각으로 체계화시켰는데, 이는 헬라적 인간이해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불트만(R.Bultmann)과 큄멜(W.G.Kümmel)은 신약성서의 인간관을 또한 명확히 밝혀내었고, 이들을 비롯한 많은 성서학자들의 노력으로 성서의 인간관은 헬라적 이분법적 인간관이 아닌 인간을 전인으로 보는 인간관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통전적 신학은 20세기의 성서학자들이 새로이 밝혀낸 성서적 인간관인 전인으로서의 인간이해를 존중하는 신학이다. 몰트만은 이 성서학자들의 정신을 더욱 발전시켜 신체적 완성이 하나님의 구원사역의 궁극적 완성이라고 밝혔다. 몰트만은 그리스도교의 희망을 헬라적 영혼의 불멸이 아니었고, 죽은자의 부활이었는데, 이 죽은자의 부활은 육체성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헬라세계의 희망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희망으로 보았다. 더 나아가서 몰트만은 하나님의 구원사역의 중심에 인간의 신체성이 있었고, 예수 그리스도의 병자의 치유의 사건들은 종말론적 완성인 육체의 부활의 ‘전조’(Prolepse)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런 의미에서 몰트만에 의하면 예수님의 치유의 기적은 하나님 나라의 선취(Verwegnahme)였다.
이종성은 또 다른 관점에서 인간에 대한 통전적 이해를 발전시켰는데 이종성에 의하면 인간을 부정적으로만 보는 신학은 통전적 신학이 아니다. 이종성에 의하면 성서는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다”(시 14:1-3, 롬 3:11)고 하나 동시에 사람을 “천사보다 조금 못하게 하시고 영화와 존귀로 관을 씌우셨다”(시 8:5)고 할 정도로 성서의 인간관은 긍정적 측면 역시 강했다. 이종성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그러므로 통전적 방법론은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그에게 따르는 부정적 요소나 긍정적 요소를 단일적으로 이해하고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이웃과 역사 안에 구체적으로 실존하는 총체적 인간을 문제시한다”(서론 71) 이종성에 의하면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긍정성과 부정성 양면을 같이 이해하면서 구체적으로 실존하는 총체적 인간을 문제시하는 신학이다.
4. 교회와 세상을 위한 신학
교회를 구원의 방주로 생각하고, 인간 영혼의 구원에 치중하면서 교회의 성장을 최고의 과제로 생각하는 신학은 통전적 신학이 아니다. 그와 같은 신학은 아직 통전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일면적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 영혼의 구원과 교회의 성장의 가치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지만 동시에 세상을 위한 하나님의 활동에도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신학이다. ‘세상을 위한 신학’이란 표현은 1968년 카톨릭 신학자 요한 밥티스트 메츠(J. B. Metz)가 『세상을 위한 신학』(Theologie zur Welt)이란 책을 출판시키면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신학적 표현이지만 그 안에 들어 있는 신학사상은 1964년에 출간된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Theologie der Hoffnung)에서 많은 부분 유래되었다. 세상을 위한 신학이라는 신학정신의 20세기 후반의 출발점은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이었다.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교회와 신학의 세상적 책임과 과제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 20세기 후반의 불후의 저술이었고, 이 저술은 그 이후 전세계에 걸쳐 일어난 민주화 운동, 독재에 저항하는 투쟁, 인권을 위한 운동 인권차별에 저항하는 운동, 정의를 위한 노력 및 가난한 자를 위한 교회의 모든 노력의 배후에 존재하는 저술이 되었다.
통전적 신학은 몰트만과 메츠의 세상을 위한 신학정신을 높게 평가하는 신학이다. 그리고 W.C.C.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신학정신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이후에 발전된 카톨릭적 교회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노력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통전적 신학은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흑인신학, 민중신학, 평화신학, 여성신학 등의 신학정신에 대해 열려진 마음으로 대화하는 신학이다. 왜냐하면 통전적 신학은 교회를 섬기는 동시에 세상을 섬기는 신학이고, 하나님의 통치를 교회와 세상 속에 구현화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학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통전적 신학은 타종교와 타문화에 대해서도 열려져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타종교와 타문화의 문제는 21세기의 신학적 과제 중에 대단히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는 신학이다. 그런 까닭에 통전적 신학은 동서양의 모든 종교와 문화의 연구를 중요한 신학적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종성은 자신의 통전적 신학을 전개하면서 유교와 불교와 도교와 이슬람교와 힌두교 등 세계의 중요 종교의 구원관, 인간관, 윤리관 등을 모두 다루면서 이들 종교와 깊은 대화를 하고 있고, 동서양의 다양한 철학정신과도 폭넓게 대화를 하고 있다. 이는 온전한 신학은 타종교와 타문화와의 깊은 대화 속에 형성될 수 있다는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의 기본정신과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통전적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계시의 절대성을 포기하고 있는 신학은 아니다. 통전적 신학은 타종교와 타문화의 불완전성과 문제성을 동시에 인식하면서 타종교와 타문화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온전한 하나님의 계시의 빛에서 파악하는 신학이다.
5. 우주적(cosmic)신학
통전적 신학은 인간중심적(anthrocentnic) 신학이 아니다.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인간으로 제한하는 인간중심적 신학은 20C 후반의 신학의 발전과 더불어 극복되어야 할 신학으로 현대 전세계에 걸쳐 빠른 속도로 인식되어 나가고 있다. 통전적 신학은 이와 같은 오늘의 신학의 발전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신음뿐만 아니라 피조세계 전체에 깃들어 있는 신음을 인식하고 있는 신학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화해의 죽음 속에는 인간과 더불어 전체 피조세계를 살리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경륜과 계획이 들어있다고 믿는 신학이다(롬8:19-21, 엡1:20, 골1:20).
오늘날 지구의 생명은 위기에 빠져있고 신음하고 있다. 환경의 위기는 지구에 살고 있는 전체 생명의 위기로 현재 발전되고 있고, 인간의 운명과 미래는 지구의 생명의 위기와 뗄레야 뗄 수 없는 상황에 있다는 것을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직시하게 되었다. 통전적 신학은 오늘의 지구의 생명을 살리기 위한 신학이다.
하워드 클라인벨은 생태학적 영성을 그리스도교 영성의 중요한 항목으로 이해하고 이를 체계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통전적 신학의 영성이해의 매우 중요한 차원으로 주목할만하다고 볼 수 있다. 참된 그리스도교 영성은 땅을 지키는 영성이고, 공기와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지구의 주인이신 하나님에 대한 죄악과 반역으로 보는 영성이고, 신음하는 피조세계와 연대하는 영성이고,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을 사랑하고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영성이다.
빙엔(Bingen)의 힐데가르트(Heildergard)는 중세에 생태학적 영성을 가르친 주목할 만한 여성 신학자였다. 힐데가르트는 중세의 영지주의적이고 마니교적 조류로 볼 수 있는 카타리파의 물질적인 것을 저급한 것으로 보는 사상에 저항해서 창조중심적인 영성을 가르쳤다. 카타리파는 정신적, 영적인 것을 고차원적인 것으로 신적인 것으로 절대화하고 육체적 물질적인 것은 저급한 것으로 악마적인 것으로 보았지만 힐데가르트는 정신과 물질을 나누는 모든 이원주의적인 것을 거부하고 인간과 자연, 세계, 우주 속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사랑의 힘과 영적인 능력을 강조했다. 정미현에 의하면 빙엔의 힐데가르트는 “통전적 우주론”을 제시한 여성신학자였다(기독교신학논총 15집 p. 354). 힐데가르트에 의하면 “하나님의 사랑은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힘인데, 이러한 기본적 힘은 모든 피조세계를 지탱케 하는 녹색의 힘이다”(p. 354)
20세기 후반에 몰트만(J. Moltmann)은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Gott in der Schöpfung, 1985)을 출간시키면서 우주적 차원의 통전적 신학을 본격화 시켰다. 몰트만은 『희망의 신학』(Theologie der Hoffnung, 1964)에서 자신이 스스로 체계화시키고 발전시킨 세상과 역사에 대한 책임적 신학을 그 영역을 확장시켜 우주적(cosmic) 차원의 책임적 신학을 강조하고 체계화 시켰다.
통전적 신학은 자연의 역사를 인식하고 있는 신학이다. 오랫동안 신학은 자연을 인간의 역사가 일어나는 무대로만 인식해왔고 역사는 자연에는 해당되지 않고 인간에게만 해당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사 이해는 통전적인 역사이해가 아니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에게 역사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에도 역사가 있다고 믿는 신학이고, 오히려 자연의 역사 속에 인간의 역사가 나타났다고 보는 시각을 갖고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과 자연을 극단적으로 대립시키지 않고, 또한 창조와 진화 역시 극단적으로 대립시키지 않는다. 오늘의 물리학은 우주의 진화와 역사를 언급하고 있다. 통전적 신학은 이와 같은 오늘의 물리학의 우주관과 폭넓게 대화하는 신학이고, 자연과학의 모든 영역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창조행위와 통치행위의 구체적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신학화하고, 또한 역으로 자연과학의 모든 영역에 이르기까지 그 학문의 방향이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정향되도록 인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이 우주적 신학이라고 하는 것은 자연과학의 모든 영역에 이르기까지 신학과 과학 사이의 대화를 향해 크게 열려 있는 신학이라는 의미인 동시에, 하나님의 구원의 우주적 차원에 자연과학의 모든 영역이 관계되어 있고, 또한 이를 위한 과학의 소명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 하나님나라를 위한 신학
통전적 신학은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있는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하나님의 통치가 개인의 영혼뿐만 아니라 영혼과 육체로 구성된 전체 인간 가운데, 교회 안에서 뿐 만 아니라 교회와 세상 전체 속에, 인간의 삶과 역사 속에 뿐만 아니라 전체 피조세계와 우주 속에 구현화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신학이다. 인간의 영혼의 구원만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신학이나 세상과 역사에 대해 책임적이지 못한 신학은 통전적 신학이 아니다.
박형룡의 신학은 “오직 전도”가 그의 신학적 표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전도 중심적 신학이었다. 이런 전도 중심적 신학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고, 교회 안에 전도의 열정을 불러 일으켰고, 교회 성장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통전적 신학은 아니다. 박형룡의 전도 중심적 신학의 문제점은 역사책임성의 결여였다. 박형룡은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하나님 나라 사상을 비복음적이라고 공격했고 하나님나라를 역사 속에 실현시키고자 하는 모든 노력을 마귀적 신신학으로 비판했다. 박형룡은 역사에 대한 비관주의적 사상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역사를 개혁해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하나님의 계획과 충돌되는 어리석은 인간의 노력으로 보았다. 박형룡은 역사적 전천년설을 신봉했던 신학자로 역사는 점점 어두워지고 역사의 마지막으로 갈수록 마귀가 운동하고 역사는 파국으로 치닫는다고 믿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박형룡의 신학은 그 신학의 장점과 단점을 그대로 그 신학을 믿고 따르는 교회에 남겼는데, 곧 그 신학의 장점인 전도에 대한 열정이 교회 성장으로 나타났고, 그 신학의 단점인 역사책임성의 결여가 사회적, 역사적 문제에 대해 무능한 교회를 만들었다. 과거의 군부독재시절에 박형룡신학의 영향하에 있던 교회들과 그 교회에 속했던 성도들의 역사책임성의 무능성은 근원적으로 박형룡 신학의 문제점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통전적 신학은 역사 책임적 신학이다. 통전적 신학은 전도에 대한 책임 못지 않게 교회의 역사 책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신학이다. 이종성은 전도의 책임 못지 않게 교회의 세상적 역사적 책임성을 강조했고 역사 속에 활동하는 악의 세력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강조했는데 이는 박형룡 신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의 장점이었다. 이종성은 그의 『교회론』에서 하나님나라 건설을 위한 교회의 사명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통전적 신학이 하나님 나라를 향해 있는 신학이라고 할 때 19c의 자유주의 신학이 언급한 하나님 나라 개념과 통전적 신학이 언급하고 있는 하나님의 나라는 같은 개념일까 다른 개념일까 ? 만일 통전적 신학의 하나님 나라 개념이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의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 일치한다면 통전적 신학은 결국 자유주의 신학의 후예이고 박형룡이 비판했던 그 비판이 통전적 신학에도 해당되는 것은 아닐까?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과 통전적 신학의 하나님나라 개념의 근본적인 차이를 칼 바르트(K. Barth)가 『로마서 강해』(Der Römerbrief, 1919) 제 1판을 쓸 때 자유주의 신학과 결별한 이유와 많은 부분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바르트는 『로마서 강해』제1판을 쓰기 전에 독일 서남부의 받볼(Bad Ball)에서 크리스트 블룸하르트(Ch. Blumhardt)를 만났는데 이 만남에서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건설하신다는 놀라는 통찰을 얻게되는데 이 자리가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과 근본적으로 결별하는 자리였다. 바르트는 블룸하르트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건설하시지 죄악된 인간이 건설할 수 없는 나라라는 사실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통전적 신학은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처럼 인간 만세를 외치고 인간의 이성과 도덕을 통한 유토피아를 믿는 신학이 아니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깊은 죄악과 역사 속에 깊이 깃들여 있는 악마적 세력을 깊이 통찰하고 있는 신학이다. 20세기 후반의 하나님의 나라의 신학에 결정적으로 공헌한 몰트만은 이세상 한 복판에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신학은 끊임없이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세계역사는 마귀의 활동으로 말미암아 파국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은 인간의 깊은 죄악성과 역사 속에 깃들여 있는 악마적 세력의 깊이를 바르게 통찰하지 못한 신학이었다.
그러나 인간의 깊은 죄악성과 역사 속에 존재하는 악마적 세력의 깊이를 인식했다고 해서 박형룡처럼 역사적 비관주의로 흐르는 역사관을 가지면 안된다. 박형룡의 역사적 비관주의는 인간과 역사의 어두운 면만 본 일면적으로 치우친 신학이었다. 칼 바르트에 의하면 인간에 대한 부정(Nein)은 인간에 대한 긍정(Ja)에 의해 싸여있고 세상의 비극은 복음으로 말미암는 빛과 기쁨에 의해 싸여 있다. 이종성 역시 인간에 대한 부정적 언급이 인간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에 대한 긍정성의 더 깊은 차원을 읽을 때 인간을 통전적으로 바르게 아는 것임을 강조했다. 또한 역사 속에 악이 창궐한다할지라도 인카네이션의 승리를 믿는 것이 바른 복음적 역사관임을 가르쳤다.
통전적 신학은 인간의 긍정성과 부정성, 역사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통전적으로 인식하는 신학이다. 인간의 긍정과 부정성, 역사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동시에 인식하면서도 통전적 신학은 역사에 대한 희망을 갖고 있는데 이는 악이 아무리 강할지라도 그리스도의 능력이 승리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바로 이런 깊고 깊은 악의 세력을 뚫고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승리와 하나님의 통치를 말하고자 했던 20세기 후반의 불후의 명저이자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대단히 중요한 표준적인 교과서이다. 통전적 신학의 하나님 나라의 개념은 부분적으로 19세기의 자유주의 신학의 하나님 나라 개념과 유사한 점이 있을 수는 있어도 그 근본적인 정신은 19세기의 정신은 아니다. 통전적 신학이 말하는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건설하시는 나라이다. 이종성에 의하면 하나님 나라는 역사의 유일무이한 주이신 하나님에 의해 이룩되는 나라이다. 세속적 유토피아 사상과 통전적 신학이 말하는 하나님 나라 사상은 그 내용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