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9

동양의학의 기본 - 대체의학 - 오비 세상속으로

동양의학의 기본 - 대체의학 - 오비 세상속으로

[스크랩] 동양의학의 기본
작성자이뭣고|
작성시간12.12.04|
조회수163




1.동양의학의 기본



1. 동양의학의 틀
원래 의학에는 동양 의학이라던가 서양의학이라는 말이 따로 없었으나 동양문명과 서양문명이 서로 만나면서 의학의 차이점을 보고 느끼면서 상대적인 개념으로 동양의학(Oriental Medcine 또는 Eastern Medicine) 과 서양의학(Occidental Medicine 또는 Western Medicine)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나라마다 각기 나름대로의 전통의학을 소유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한의학(韓醫學), 북한에서는 ‘동의(東醫 또는 高麗醫學)’이라 부르고, 중국에서는 전통의학을 ‘중의(中醫)’로 서양의학을 ‘서의(西醫)’로 그리고 둘 다를 전공하는 것을 ‘중서의(中西醫)’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한방(漢方)’이라 부르고, 월남에서는 ‘월의(越醫)’로 몽골에서는 ‘몽골의학’이라 하고, 인도의 전통의학은 ‘아율베다 의학(Ayurveda Medicine)’이라고 부릅니다.

동양 의학이던 서양 의학이던 같은 사람을 다루고 같은 질병을 다루며 인류의 건강을 지킨다는 면에서는 서로 다를 바가 없습니다. 단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접근법에 있어 다소 상이한 틀을 각기 지니고 있을 뿐입니다

2. 동양의학의 분류

서양의학에서 치료의 틀은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화학적 치료(Chemical Treatment), 물리적 (Physical Ttreatment), 외과적 치료(Surgical Treatment), 심리적 치료(Psychological Treatment) 로 대별 됩니다.

이와 대비해서 동양의학에서의 치료의 틀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생약요법 (生藥療法, Herbal Therapy)
② 운동요법 (運動療法, Exercise Therapy)
③ 자극요법 (刺戟療法, Stimulation Therapy)
* 침술 (鍼術, Acupuncture)
* 뜸 (灸, Moxibustion)
* 지압술 (指壓術, Finger Pressure Therapy)
* 부항 (附缸, Cupping Therapy)

- 생약 요법 : 생약요법이라 함은 화학적으로 가공한 약품을 쓰지 않고, 천연물(식물, 동물, 광물)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것을 말합니다.
- 운동요법 : 대부분의 운동 요법은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일부 병원에서도 동양식 운동치료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소위 태극권(太極拳, Tai Chi Chuan)운동이나 기공(氣功, Chi Kung)치료가 여기에 속합니다.
- 자극요법 : 신체표면에는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점들이 있는데 이러한 반응점(反應点, Reaction Point)을 여러 가지 형태의 자극을 가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자극요법’입니다. 이러한 반응점에 바늘로 자극을 하면 ‘침술’이라 부르고, 작은 쑥 덩어리에 불을 부쳐 열로 자극을 가하면 ‘뜸’이라 부르고, 손가락으로 꾹 누르는 자극을 가하면 ‘지압술’이라 부르고, 빨아내는 음압(陰壓, Negative Pressure)를 가하면 ‘부항(附缸)’이라 부릅니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전통적으로는 침, 뜸, 지압, 부항의 4가지 자극법 만을 사용해 왔으나, 과학의 발달과 함께 그 외 많은 에너지의 형태가 발명되었기 때문에 최근에는 초음파 열, 전기, 자기, 광선, 레이져 등의 새로운 에너지로 자극하는 방법도 개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동양의학의 역사적 배경

몇 천년 전에 생겼다고 하는 역사적 사건들은 대부분 애매할 뿐입니다. 동양의학의 기원에 대해서도 애매한 전설적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약 5000년 내지 6000년 전에 고대 중국을 통치했다고 하는 복희씨, 신농씨, 황제 등 3인의 전설적 인물을 동양의학의 창시자로 간주합니다. 이중 ‘복희씨(伏羲氏)’는 동양철학의 근간을 이룬다고 하는 역학(易學)을, ‘신농씨(神農氏)’는 약초 사용법을, 그리고 ‘황제(黃帝)’는 침술을 각각 가르치고 전파 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 주(周)나라에서 펴낸 황제내경(黃帝內徑)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에 가장 오래된 의서(醫書)입니다. 황제내경은 약 2700 년 전에 여러 명의 학자들에 의해 쓰여 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확한 연대나 저자명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원전(元典)은 소문(素問)과 영추(靈樞)의 두 권으로 되어 있고 각 책은 81권(卷, 지금의 章 chapter에 해당)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황제내경은 오늘날 까지도 한의학도들에게는 가장 많이 읽히고, 가장 많이 인용되며, 가장 많이 연구되며, 가장 중요한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4. 한의학의 역사적 배경

우리나라에서도 약 5000 여년 전부터 침술을 사용한 증거가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 습니다. 1928년에 함경북도 웅기군(雄基郡 지금은 先鋒郡)에서 발굴된 골침(骨鍼)과 석침(石鍼)이 약 5000년 정도 이전의 유물이라는 고고학적인 증거가 있다는 점과, 황제내경 소문(素問) 제4권에 편석을 사용한 침술이 동방에서 전래되었다는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의서가 우리나라에 확실히 수입된 것은 서기 561년 (고구려 평원왕 3 년)에 중국 오(吳)나라의 지청(知聽)이라는 사람이 의서 164권을 갖고 들어 온 것입니다. 지청(知聽)은 고구려로 들어와서 약 3년간 머물다가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에 귀화했음을 참고로 지적해 둡니다.

동양의학이 수 천년동안 공식적으로 부단히 이용되었음에도 불고하고 서양세계에는 전혀 보급되지 못하고 동양권에서 만 국한되었었는데 반해, 서양의학은 전염병 퇴치(Infection control)와 외과적 처치법(Surgical care)의 우수성 때문에 동양권에 깊이 정착되어 각 나라의 전통의학은 옆으로 밀어내고 서양의학이 공식적 주류의학으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청조(淸朝)말에 침술을 법적으로 금지시켰고 장개석 정부에서는 한약마저 비과학적이란 이유로 사용금지를 선포하였으나 모택동 정권이 동양의학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장려하기 시작 했습니다. 1958년에 처음으로 침술로서 마취를 하여 편도선 수술에 성공함으로써 본격적인 “침술 마취 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들이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1972년에, 고립되었던 중국 본토의 문을 정치적으로 개방 시키는 것을 계기로 서양세계에 극적으로 소개되었고 갑작스레 동양의학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전세계적으로 동양의학을 어떤 형태로든지 사용하지 않는 나라는 거의 없습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동양의학의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었던 적은 없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의학의 형태로 어느 나라 보다 더 깊이 정착되어 있습니다. 1998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11개의 한 의과대학이 있으며 41개의 의과대학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인구 대비, 의과대학교 수와 의사 수 대비, 한의과대학과 한의사 수는 세계 제일입니다. 중국보다 6배 정도가 더 많이 있는 셈입니다.

5.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

동양 의학이건 서양 의학이건 간에 의사가 다루는 대상은 같은 사람이요, 같은 질병입니다. 사람을 괴롭히는 질병을 퇴치하고 그들의 건강을 지킨다는 궁극적 목표는 같습니다. 단지 건강이라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며, 질병은 왜 생기며 어떻게 하면 건강을 되찾는지에 대한 이해 방법과, 진단과 치료를 위한 접근 방법과, 시술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동양의학과 서양의학 사이에는 서로 중복되는 면이 많이 있고, 비록 서로 다른 면이 다소 있더라도 그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동양의학에도 있고 서양의학에도 있는 개념이나 이론이라 하더라도 어떤 부분은 동양의학에서 더 강조하는가 하면 또 어떤 부분은 서양의학에서 더 강조하는 점도 따로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차이점이라고 간주하여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식체계의 바탕이 동양의학은 철학적이고 서양의학은 과학적이다.
동양의학은 형이상학적 사고로 이미 완성(?)된 지식의 체계라고 간주하기 때문에 그 원전(原典)에 대한 해석이나 쉽게 풀이해 논 것은 있어도 새로 고쳐 쓰는 개정판이나 증보판은 없는 것입니다. 양의학은 실험과 검증을 통하여 확인된 것만이 포함되는 지식의 체계이므로, 아직도 검증할 부분이 남아 있는 한 영원히 미완성(?)의 지식의 체계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말도 됩니다.

② 동양의학은 직감적이고 서양의학은 논리적이다.
동양의학은 그 지식의 체계 속에 직감적으로 얻은 정보가 많이 삽입되어 있고, 서양의
학의 지식의 체계 속에는 논리적으로 배워서 알게 된 정보만을 포함시킵니다.

③ 동양의학은 주관적이고 서양의학은 객관적이다.
동양의학에서는 주관적인 것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자도 의사도 자기 자신의 잣대로만 재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잣대로는 얼마나 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는 동양의학에는 통계라는 개념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서양의학에서는 객관적인 것을 강조합니다. 내가 사용하는 잣대나 그들이 사용하는 잣대나 다 같은 것이어야 됩니다. 따라서 서양의학에서는 객관성과 재현성이 강조되며 통계적 연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④ 동양의학은 총체적이고 서양의학은 분석적이다.
사물을 관찰할 때 모든 것을 하나 속에 묶어 놓고 생각하는 방법과 단위별로 나눌 수 있는데 까지 자꾸 나누어서 생각해 보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동양의학에서는 모든 것을 하나 속으로 끌어 모으는 생각이 구심적(求心的, concentric) 사고이고 총체적(總體的, holistic) 사고방식입니다. 한의학의 틀 안에서 의학, 약학, 치과학, 간호학, 수의학 등이 분리되지 않고 계속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어 오는 것은 이러한 구심적 사고방식 때문이기도 합니다.

서양의학에서는 전체를 이루고 있는 낱개(個體, individual)가 건전하면 그 낱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전체도 건전하다는 사고를 견지합니다. 따라서 자꾸 작은 것으로 쪼개어 평가하는 분석적(分析的, analytical)사고가 발달하였습니다.

⑤ 동양의학은 방어적이고 서양의학은 공격적이다.
사람의 문제점을 보는 시각에는 두 가지가 있다. 과오(過誤)를 타(他, non-self)에서 찾는 태도와 자(自, self)에서 찾는 태도입니다. 한의학에서는 과오(질병의 원인)를 나(自)속에서 찾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나를 보(補)한다는 뜻에서 보약(補藥)을 강조합니다. 다분히 소극적(消極的, passive)이고 방어적(防禦的, defensive)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양의학에서는 건강한 나(自)속으로 해로운 타(他)가 쳐들어온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그래서 서양의학에서는 들어오는 타(他)를 막는 방법(block)과 이미 들어온 것을 죽이는 방법(anti__, 또는 __cide)과 잘라 내는 방법(__ectomy)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다분히 적극적(積極的, aggressive)이고 공격적(攻擊的, offensive)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⑥ 동양의학은 경험적이고 서양의학은 실험적이다.
동양의학에서는 동일한 이론을 바탕으로 시술한 임상의 경험이, 몇 천년 동안에 축적된 경험과 나의 경험이 일치한다면 그 경험 자체가 유의하고 중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서양의학에서는 어떠한 가설이 설정되면 이것을 실험(實驗, experiement)과 검증(檢證)을 통해 확인하고, 그 확인된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여 임상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객관성(客觀性, objetivity)과 재현성(再現性, reproducibility)을 강조한 때문입니다.

⑦ 동양의학은 인문주의적이고 서양의학은 기술 의존적이다.
인문주의적(人文主義的, humanistic) 의술에서는 환자가 행위자(行爲者, doer)가 되고 의자(醫者)가 지도자(指導者)가 되는 관계를 유지하는게 특징입니다. 마치 운동장에서 실제로 뛰는 것은 운동선수들이요, 옆에서 소리 지르며 지시하는 것은 코치인 것과 비슷한 관계입니다.

기술의존적(技術依存的, techological) 의술에서는 환자는 수혜자(受惠者, recipient)이고, 의자(醫者)가 행위자(行爲者, doer)가 되는 관계입니다. 이는 치료 과정의 여러 가지 결정을 기계적(mechanical)이고 기술적(technological)인 소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⑧ 동양의학은 적당성을 강조하고 서양의학은 정확성을 강조한다.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적당이란 “아무렇게나”란 뜻이 아니고 “가장 알맞게” 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適當性, Adequacy).

반면, 서양의학에서는 정확하고 분명하기를 원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같이 쓰는 기준을 공동의 잣대로 사용합니다 (正確性, Accuracy).

⑨ 동양의학은 필연성을 강조하고 서양의학은 사실성을 강조한다.
동양의학은 ......은 이래야 한다(it ought to be ......)"는 식의 필연성(必然性)으로 지식의 체계를 세웠고, 서양의학은 ......은 이렇다(it is ......)"라는 식의 사실성(事實性)으로 지식의 체계를 세웠습니다. 동양의학에선 비록 형이상학적인 설명이긴 하지만 사물에 대한 “왜(why)”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고, 서양의학에선 사물과 현상이 이렇게 저렇게 변한다는 “어떻게 (how)” 대해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습니다.

⑩ 동양의학은 기능 위주이고 서양의학은 해부학 위주이다.
장기(臟器, organ)의 개념이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은 서로 다릅니다. 예를 들면 서양의학에서 신(腎)이라 한다면 해부학적인 장기 신장(腎臟, Kidney)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신(腎)은 신장-신경락-신기(腎臟-腎經絡-腎氣)의 복합체(Kidney-Meridian-Qi Complex)의 총체적 기능을 신(腎)이라 하는 것입니다.

⑪ 동양의학은 건강 중심이고 서양의학은 병 중심이다.
동양의학에서는 의자(醫者)가 상대하는 대상이 건강(健康)이며, 사람의 상태를 “건강”과 “불건강”으로 나눕니다. 그래서 동양의학에서 대부분의 불건강 상태를 기술할 때는 증(證, 症, syndrome)으로 나타나고 병명은 별로 없습니다. 반면에 서양의학에서는 병(病)의 개념을 강조하며, 사람의 상태가 병적 상태와 무병의 상태로 구분됩니다. 병을 찾아내는 진단 방법이 무척 발달하였고 또 병을 없애 버리는 치료 방법도 수없이 개발되었습니다. 서양의학에는 병명(病名)이 엄청나게 많은 것도 다 이러한 연유 때문입니다.

이상에서 열거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이 곧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공통점이기도 합니다. 차이점 하나 하나마다 그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있어 공통점이 되기도 하며, 동서의학 접목의 접합점이 되기도 하며, 상호 보완점이 되기도 합니다.

동양의학의 치료법은 생약요법, 운동요법, 자극요법 등이 포함되며 자극요법은 침(鍼), 뜸(灸), 지압(指壓), 부항(附缸)으로 세분됩니다. 이를 서양의학의 치료법을 대별하면 광범위한 의미에서 화학적 요법(化學的 療法, chemical therapy), 물리적 요법(物理的 療法, physical therapy), 수술적 요법(手術的 療法, surgical therapy), 심리적 요법(心理的 療法, psychological therapy)을 들 수 있습니다.

그 중 동양의학의 생약요법(herbology)과 서양의학의 화학적 요법은 둘 다 약물(drug)요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양의학의 자극요법과 운동요법에서는 서양의학의 물리적 요법과 많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양의학에서의 칠정(七精)의 개념에서 서양의학의 심리적 요법과 유사점을 엿볼 수 있습니다. 가장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분야가 있다면 수술적 요법에 있어 서양의학이 매우 강한 반면에 동양의학에서는 매우 미미하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동양의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실험과 검증으로 확인되는 부분이 확대될수록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공통된 부분의 폭이 넓어져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2. 동양의학의 전통적 이론

1. 음양 (陰 陽, Yin-Yang)
음양(陰陽)은 상대성(相對性, Relativity)의 개념입니다. 우주만물과 모든 현상은 두 가지의 상대적인 에너지의 조화(調和, Harmony)를 이룸으로 존재하는 것이고, 조화를 이루기 위해 변화해 간다는 것입니다.

어두운 것과 밝은 것, 찬 것과 더운 것,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 빠른 것과 느린 것, 여자와 남자, 마이너스(-)와 프라스(+), 네거티브(Negative)와 포지티브(Positive) 등 등이 음양의 관계입니다.

의학에서는 몸과 마음(心身), 동맥 과 정맥, 체신경 과 자율신경, 운동신경 과 감각신경, 교감신경 과 부교감신경, 빠른 섬유와 느린 섬유(Fast Fiber vs Slow Fiber), 전해질(電解質, Electrolytes)의 마이너스 이온과 프라스 이온, 새포막(Cell Membrane)의 바깥쪽 과 안쪽이 각각 마이너스 와 프라스로 충전된 것, 심리학에서의 이드 (Id, 無意識 本能) 와 초자아 (超自我, Superego) 등등이 음양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동양의학에서는 삼라만상이 무한대로 큰 마크로(Macro-) 수준에서도 서로 음양의 상대적 관계를 이루고, 자꾸 세분하여 아주 미세한 마이크로(Micro-)수준에서도 음양의 상대성을 가지고 존재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우리 몸의 장기도 조직도 세포도 심지어 분자도 원자도 그리고 자연 치유력 또는 항상성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 生氣)도 다 각 수준에서 상대적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상호 균형(均衡, Balance)과 조화(調和, Harmony) 를 유지하면 정상(正常, Normal)이고 조화가 깨지면 비정상 (非正常, Abnormal)이라고 봅니다.

2. 오행 (五行, Five Phases)

서양 학자들은 5행을 5가지의 요소(要素)라는 뜻에서 엘리멘트(Element)라고 번역을 했으 나 이것은 서양 사람들이 행(行)자 속에 숨어있는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잘못된 번역입니다. 고대 희랍에는 만물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Elements)가 있다고 간주하는 사상이 있었기 때문에 동양의 5가지 행(行)을 그냥 5 elements 라고 번역한 것입니다.

행(行)은 어떤 고정된 물질이라는 개념이라기 보다는 사물이 한 상태(狀態)에서 다른 상태로 계속 변해가고 있는데, 이 변화하는 순환과정(循環過程, Process of Cycle)에 잠시 머무는 한 단계의 특정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국면(局面), 단계(段階), 상(相), 상(象) 의 뜻을 지닌 훼이즈phase)’ 가 더 적합한 영역(英譯)이라고 생각됩니다.

5행에는 각각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라는 이름이 붙혀져 있습니다. 이것을 문자 그대로 나무라던가 불이라던가 물 자체를 가지고 생각하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목 화 투 금 수 는 ‘서로 연관은 있으면서도, 서로 다른 양상으로 존재하는 특정한 상태’ 지칭하는 기호나 상징(Symbol)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5행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령 어떤 여자가 ‘순자(順子)’라는 이름을 가졌다 해서 그 여자가 무슨 ‘순한아들’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고, 그것은 단순히 그 여자를 다른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한 기호나 상징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더 타당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붙인 이름도 아닙니다. 5행 뒤에 숨어있는 뜻을 이해 하기 위해서 다소 무리한 해석을 가한다면, 나무(木)가 타서 불(火)이 되고, 불은 타서 재가되니 결국은 흙(土)으로 변하는 셈이고, 흙 속에는 많은 광물질(金)을 함유하고 있으며, 광물질을 많이 함유한 물(水)은 풀이나 나무(木)같은 식물에 공급되는 일련의 순환(cycle)을 나타내려는 상징적 구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또 다른 예를 하나 들어 보자. 생명이 존재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라고 생각되는 물을 예로 들면, 열(火)에 의해서 증발된 물은 하늘로 올라가서 구름의 형태로 존재하고, 구름이 식으면 한데 뭉쳐서 무거워 지니까 땅(土)으로 내려와 땅 위에 우선 고이게 되고 (하늘에서 나리는 물을 그대로 마시면 생명체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렇게 땅 위에 떨어진 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땅속에 묻혀있는 광물질(金)과 골고루 섞이게 되며, 이와 같이 광물질을 흠뻑 함유한 물이야 말로 식물이나 동물이 신진대사에 필요로 하는 살아있는 믈(水)이 되면서 샘물의 형태로 다시 지표로 나오고 냇물로 흐르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물은 다시 증발하여 구름이 되는 순환을 되풀이 하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물이라도 증기나 안개나 구름의 형태로도 존재하고, 비나 눈이나 이슬과 같은 형태로도 존재하며, 땅속에 잠겨 있는 지하수로도 존재하고, 우물물이나 냇물 강물 바닷물의 형태로도 존재하고, 동물이나 식물과 같은 생명체 속에서 활동하는 형태로도 존재합니다. 이와 같이 물은 물이로되 다른 형태로 머물면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그러면서 서로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끊임없이 순환 변화하는 ‘자연의 순환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 5행설(五行說)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5행설은 동양의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부여합니다. 인체는 신진대사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해 나가는데 만일 일정한 통제기능 없이 변한다면 쉽게 비정상적인 방향으로도 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인체는 어떤 자극을 받아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면 되도록 빨리 균형(Balance)과 조화(Harmony)를 추구하면서 안정(安靜, Stability)를 되찾아야 하는데, 이러한 ‘균형을 추구하면서 안정을 되찾는 상호작용 기전(Interacting Mechanism)’이 바로 5행의 상관관계 구도입니다.


3. 기(氣, Qi 혹은 Ch'i)

기와 가장 근사한 개념을 지닌 말은 에너지(Energy)입니다. 기(氣)나 에너지 자체는 객관적 으로 측정하거나 가시적으로 제시할 수 없으나, 기 나 에너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는 있습니다. 이는 마치 시간(時間)이라는 것이 존재하지만 이 시간을 직접 측정하거나 오감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는 없으며, 단지 일정하게 움직이는 물체나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시간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과 흡사한 것입니다.

특정한 성질과 현상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표출되는 기(氣)의 현상을 과학이 하나씩 발견하고 이를 명명하고 또 이를 실생활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전기(電氣)와 자기(磁氣)는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말 속에는 기의 개념이 많이 섞여 있는데, 공기, 물기, 습기, 화기, 핏기 등이 그 예이며, 또 기나 에너지는 힘으로 표현되기도 하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기나 에너지는 중력(重力)이라던가 압력(壓力)이라고도 표현 합니다.

이러한 기본 에너지가 생체(生體) 속에서 작용할 때 이를 생기(生氣, Bioenergy 또는 Vital
Energy)라고 부릅니다. 생명이 생명(生命)으로 존재하게끔 유지시키는 이치(理致, Principle)를
생리(生理)라 말합니다. 생리(生理)를 따라 생기(生氣)가 움직이는 것이 생물(生物)이요, 그렇지 못한 것이 무생물입니다.

동양의학에서 기(氣)라고 하는 것은 생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것을 서양의학에서 항상성 에너지(恒常性에너지, Homeostatic Energy)라던가 자연치유력(自然治癒力, Natural Healing Energy)라던가 생명 에너지(生氣, Bioenergy)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4. 장부 (臟腑, Solid Organ and Hollow Organ)


동양의학에서는 장기(臟器, organ)를 장(臟)과 부(腑)로 구분합니다. 장(臟)은 음(陰)에 속하는 장기이고 부(腑)는 양(陽)에 속하는 장기입니다. 음양설(陰陽說)에 의하면 음은 속과 안(內部)이요 양은 겉과 밖(外部)입니다. 따라서 음의 장기인 장(臟)은 몸 속 깊숙히 자리잡고 있으며, 양의 장기인 부(腑)는 밖과 통하는 곳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가느다란 관 ( 管, tube )이나 도관 ( 導管,catheter) 같은 것이 몸의 구멍(입, 코, 요도, 항문)을 통해서 들어가 닿을 수 있는 장기가 곧 부(腑)가 되는 셈입니다. 장(臟)은 비교적 단단한 덩어리 같은(solid) 장기이고 부(腑)는 무엇을 담는 자루나 주머니 같이 속이 빈(hollow) 장기를 말합니다.

장(臟)에는 간(肝), 신(腎), 비(脾), 폐(肺), 심(心), 심포(心包)가 포함되고,부(腑)에는 담낭(膽囊), 방광(膀胱), 위장(胃腸), 대장(大腸), 소장(小腸), 삼초(三焦)가 포함됩니다.

그래서 원래 인체 내에는 주요장기로 6장 6부 (六臟 六腑)가 있는 것인데, 심장과 심포는 너무나 밀접하여 거의 하나의 장기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사람들은 흔히 5장6부(五臟六腑)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비(脾)는 비장(spleen)과 췌장(膵臟, pancreas)를 포함한 개념입니다. 심포와 삼초는 서양의학에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의 장기입니다. 서양의 의학자들은 심포(心包)를 pericardium 으로 번역하고 삼초(三焦)를 Triple Burner 라고 번역하나 별로 만족스럽지 못한 번역입니다. 왜나하면 심포는 엄격한 의미에서 Pericardium 과 동일한 것이 아니며 Mediastinum 부위를 말하는 것이고, 삼초(三焦)는 식도의 하단과 위와 십이지장의 주위부분을 일컫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주요 장기인 12개의 장부 외의 기관들은 각각 12 장부에 속하는 부속 장기 (Secondary Organ)으로 간주 됩니다. 주요 장기와 부속 장기는 모두 위에서 언급한 5행(五行)에 귀속되는데,이 상관관계를 행(行)별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목(木)행 - - - 간(肝), 담(膽), 힘줄(筋), 톱(瓜,손톱발톱), 눈(眼)
화(火)행 - - - 심장, 소장, 피(혈), 털(髮) 혀(舌)
토(土)행 - - - 비(脾), 위(胃), 고기(肉), 피하지방(脂), 입(口)
금(金)행 - - - 폐(肺), 대장(大腸), 피부(皮膚), 솜털(毛), 코(鼻)
수(水)행 - - - 신(腎), 방광(膀胱), 뼈(骨), 이(齒), 귀(耳)
매우 흥미로운 것은 동양의학에서는 뇌(腦,Brain)가 주요 장기 대열에 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뇌는 간이나 폐처럼 인체의 신진대사의 일부를 맡아서 수행하는 하나의 장기가 아니라, 이들 장기 간(臟器間)의 역할을 서로 연결시켜주고 조절하는 중앙관제탑 같은 기능을 가진 특수 부위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5. 경락 체계 (經絡 體系, Meridian System)


동양의학에서는 가장 중요한 개념인데, 서양의학에선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로 경락 (經絡)입니다.

인체의 체표(體表)에는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반응점(反應点, Reaction Point)’이 있습니다.
이 점을 자극하면 체내의 장기에 영향을 주고, 반대로 장기에 병변이 생기면 이 점에 동통(疼痛)이라던가 이상감각(異常感覺)이라던가 피부색 변화와 같은 모종의 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 반응점을 기(氣)가 들락날락하는 구멍이라는 뜻에서 경혈(經穴)이라고 말합니다.
경혈은 어떤 장기와 특별히 기능적으로 관련이 있는 점들이 상당히 많이 있는데 이러한 공통점이 있는 경혈들을 연결한 ‘반응성(反應線, Reaction Line)’을 경락(經絡)이라 말합니다.

경락과 경혈은 무슨 해부학적인 구조를 가진 조직이 아니고 기능적으로 반응을 예민하게 하는 무형의 점이요 선(線)입니다. 예를 들어 지도나 지구의(地球儀)위에 줄로 그어 놓은 위도(緯度)나 경도(經度)는 실제로 땅이나 바다 위에 줄이 있는 것이 아니지만 위치를 정확히 명시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도(緯度)나 경도(輕度)를 서양에서는 Meridian 이라고 부르는데, 경락과 경혈도 이와 비슷한 특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서구 학자들이 경락을 Meridian 이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각 장기에는 그 장기와 특별히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락이 따로 있어서 경락의 이름도 ‘신 경락(腎經), 폐 경락(肺經), 간 경락(肝經)’ 하는 식으로 부릅니다. 그리고 경락과 경락은 복잡하게 서로 얽히고 연결되기도 합니다. 원래 종적(縱的, longitudinal)으로 연결 된 것을 경(經)라 하고, 횡적(橫的, transverse)으로 연결 된 것을 락(絡)이라고 하는 의미를 지니는데, 어떤 경락의 이름은 산맥(山脈)이라던가 맥박(脈搏)이라고 할 때의 의미로 맥(脈)자를 사용하여 경맥(經脈)이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인체의 정중앙을 종적으로 달리는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이 그 예입니다.

서양의학에서 신(腎)이라고 하면 장기로서의 콩팥(Kidney)을 의미하지만, 동양의학에서 신(腎)이라고 하면 장기로서의 신장(腎臟)과, 여기에 부속된 경락(腎經絡)과, 그리고 특별히 신장과 신경락에 작용하고 있는 기(腎氣)가 한데 어우러진 기능의 단위 장기-경락-기 복합체(臟器-經絡-氣 複合體, Organ-Meridian-Ch'i Complex)를 의미합니다.

이는 한 장기에 생기는 변화는 그 경락에 반응을 일으키고, 경락을 자극하면 그 장기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이론입니다. 그래서 서양의학에서는 해부학적인 의미를 지녔기 때문에 ‘신장이 손상(損傷)되었다’ 라던가 ‘비대(肥大)해 졌다’ 던가 ‘수축(收縮)되었다’라고 표현하지만, 동양의학에서는 기능적인 의미를 지녔기 때문에 신이 ‘허(虛)하다’ 던가 ‘실(實)하다’ 라고 표현합니다.

6. 기미약성론 (氣味藥性論)

동양의학 약물학의 기본이론으로서 약초의 성질을 네 가지 기질과 다섯 가지 맛으로 구분하여 전통적인 음양이론에 근거하여 처방하는 기준이 되는 이론입니다.

네 가지 기질이란 즉,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따뜻하고 덥고 서늘하고 차가운 성질을 의미합니다. 봄과 여름의 성질은 양(陽)의 속성으로써 위로 오르고 밖으로 흩어지는 성질을 나타내 며 가을과 겨울은 음(陰)의 속성으로써 밑으로 내리고 안으로 모이는 성질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에 따라 병의 속성을 음양의 이론에 따라 판별하여 약성을 결정하여 처방합니다. 예를 들면 양의 속성을 갖는 병의 증세에는 음의 약성을 갖는 약초를 처방하는 것입니다.

다섯 가지 맛이란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맛 을 의미하며 각 맛이 가지는 작용이 서로 다릅니다. 즉 신 맛(酸味)은 수렴(收斂)을 하고 쓴 맛(苦味)은 밑으로 하강하며 단 맛(甘 味)은 완화(緩和)하고 매운 맛(辛味)은 발산(發散)하고 짠 맛(鹹味)은 부드럽게 하는 작 용을 합니다. 또한 이러한 맛의 차이는 인체 각 장기에 각기 작용을 함으로써 약리적 활 성을 갖는 것입니다.

3. 건강과 불건강의 의미

1. 동양의학의 병리

인체내의 12개의 장기-경락-기 복합체가 각각 자체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고, 또 상 호간에도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면 정상(正常, Normal)이고 건강(健康, Healthy)이며, 이러한 균형과 조화가 깨졌으나 아직 세포나 조직의 손상이 안 생겼으면 비정상(非正常, Abnormal)이고 불건강(不健康, Unhealthy)이며, 세포와 조직에 기질적 손상(機質的 損傷, Mechanical or Structural Damage)이 생겼으면 이는 질병(疾病, Disease) 이 되는 것입니다.

동양의학에서는 인체의 상태를 건강(健康)과 불건강(不健康)으로 구분되고, 불건강의 극단적인 상태가 질병임으로 질병도 불건강의 일부로 간주 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양의학에는 서양의학적 관점에서 보는 병은 없고 다만 불건강의 증(證 또는 症)이 있을 뿐입니다.

서양의학에서는 인체의 상태를 병(病)과 무병(無病)으로 구분되고, 무병의 극단적으로 좋은 상태가 건강으로 간주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양의학에는 동양의학의 관점에서 보는 증(쯩)이 아니라 서양의학만의 기준에 의한 구체적인 병(病)이 있을 뿐입니다.

동양의학에는 엄격한 의미에서 서양의학적 ‘병’이 없고, 서양의학에는 엄격한 의미에서 동양의학의 ‘증’이 없다.는 말입니다.

2. 동양의학에서의 ‘不건강’

동양의학에서 불건강(不健康)이나 질병(疾病)의 원인을(原因)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외인 (外因, External Factors)

육음 (六淫, 6 Cosmopathogen ) - - 6가지 해로운 주위 조건
1) 풍사 (風邪, Wind) . . . . . . . . 지나친 압력
2) 한사 (寒邪, Cold) . . . . . . . . 지나친 추위
3) 서사 (署邪, Hot) . . . . . . . .. 지나친 더위
4) 습사 (濕邪, Humidity). . . . . . 지나친 습기
5) 조사 (燥邪, Dryness) . . . . . . .지나친 건조
6) 화사 (火邪, Fire) . . . . . . . . 지나친 열기나 광선

여기 (氣, Infectiousness) - - - - 전염성을 의미 한다.

② 내인 (內因, Internal Factors)

7 정 (七情, Seven Psychological Factors)
1) 희 (喜, Over Joy) . . . . . . . . 지나친 즐김
2) 노 (怒, Anger) . . . . . . . . . . " 노여움
3) 우 (憂, Depression) . . . . . . . " 우울함
4) 사 (思, Obcession) . . . . . . . . " 스트레스
5) 비 (悲, Sadness) . . . . . . . . . " 슬픔
6) 공 (恐, Fear) . . . . . . . . . . . 두려움
7) 경 (驚, Fright) . . . . . . . . . . " 놀람.

③ 불내외인 (不內外因, Non-internal Non-external Factors)
1) 음식 (飮食, Diet)
2) 피로 (疲勞, Fatigue)
3) 방사 과다 (房事 過多, Excessive Coitus)
4) 상해 (傷害, Injury)
5) 중독 (中毒, Intoxication)
6) 유전 (遺傳, Heredity)

3. 동서의학의 건강관, 질병관

건강(健康) 불건강(不建康)

- 동양의학의 건강관 (東洋醫學 健康觀)
불건강 속에 병적상태가 포함 됨.

다시 말하면…..

I II III
기(氣)의 조화(調和) 기(氣)의 부조화(不調和) 기질적(機質的) 손상(損傷)

건강(健康) 불건강(不建康) 질병(疾病)

증(證, 症)도 병(病)도 없다. 불건강의 증(證)이 있다. 병과 병증(病症)이 있다.

건강의 관리를 위하여 불건강을 이기기 위하여 질병을 제거하기 위하여:

① 정식 (正食) ① 생약 (生藥)요법 ① 화학(化學)치료
② 정면 (正眠) ② 기공 (氣功)요법 ② 물리(物理)치료
③ 정동 (正動) ③ 자극 (刺戟)요법 ③ 수술(手術)치료
④ 정식 (正息) ④ 심리(心理)치료
⑤ 정심 (正心)

- 서양의학의 질병관 (西洋醫學 疾病觀)

무병(無病) 병(病)

무병 속에 불건강의 상태가 포함 됨.

4. 동양의학의 진단원칙

1. 병을 아는 방법
동양의학에서는 환자가 어떤 증(證, 症)을 가지고 있나를 알아내는 것이 진단인데, 우선 12 장부 중 어떤 장(臟) 또는 어떤 부(腑)에 문제가 있나를 찾아 내야 하고, 둘째로는 그 잘못된 장부의 기능이 정상보다 ‘지나친가’ 또는 ‘부족한가’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지나침’과 ‘부족함’에는 음(陰) 양(陽 표(表) 리(裏) 한(寒) 열(熱) 허(虛) 실(實) 의 8 가지가 있는데 이것을 ‘팔강(八綱)’이라 합니다. 강(綱)은 ‘벼리’라는 뜻인데, ‘벼리’라는 것은 그물의 윗쪽 코를 꿰어 줄을 오무렸다 폈다 하는 것을 의미함으로 ‘넓어졌다 좁아졌다’ 한다던가 ‘너무 많아졌다’던가 ‘너무 적어졌다’ 던가 하는 비교성 또는 상대성의 뜻을 지닙니다.

팔강 (八綱, Eight Excess and Deficit)
------------------------------------------------------
음 (陰, Yin) 양 (陽, Yang)
표 (表, Superficial, 겉) 리 (裏, Deep, 속)
한 (寒, Cold Nature, 찬 성질) 열 (熱, Hot Nature, 더운 성질)
허 (虛, Deficient, 부족) 실 (實, Excessive, 과잉)

한마디로 말해서 동양의학의 진단은 12장부(臟腑)의 8강(綱)을 찾아 내는 것입니다. 이 12장부의 8강을 찾아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진단방법에는 ‘망진(望診)’ ‘청진(聽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의 4가지가 있는데 이 4가지 진단방법을 ‘4진(四診)’이라 합니다.

1. 망진(望診, Inspection)
서양의학에서는 ‘들여다 보는 것(see)', 동양의학에서는 ‘바라 보는 것(look)’ 입니다.

1. 신색(神色)의 망진 . . . . . 얼굴 표정과 몸의 상태를 봄
2. 형태의 망진 . . . . . . . . . 환자의 자세를 봄
3. 색택(色澤)의 망진 . . . . . 안색(顔色)을 살펴 봄
4. 설진(舌診) . . . . . . . . . .혀의 관찰을 통한 진찰
5. 눈의 망진 . . . . . . . . . . 눈의 흰자위를 보고 진찰함
6. 분비물 배설물의 망진

2. 청진 (聽診, Auscultation)
서양의학에선 청진기를 통해서 들어(聽, listen) 보는 방법에 거의 국한되어 있지만, 동양의학에선 ‘자연히 들리는 것을 들어보는 것(聞, hear)’을 의미합니다.

1. 몸을 움직이는 소리. 걸음 걸이 소리.
2. 목소리, 광음소리. 신음소리.
3. 숨소리, 한숨소리. 기침소리.
4. 배에서 나는 소리. 방귀소리. 꼬르륵 소리

3. 문진 (問診, Questioning)
서양의학에선 환자의 병력(病歷)을 물어 보는(History Taking) 형식을 취하고, 동양의학에선 위에서 말한 8강(八綱)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확인하기 위한 ‘질문(Ask to Confirm‎)’을 합니다.

1. 한열 (寒熱, 차고 더운 것을 느끼는 것)에 대하여
2. 땀이 나는 상태에 대하여
3. 두통의 위치와 상태에 대하여
4. 소변 대변에 대하여
5. 음식의 기호에 대하여
6. 가슴과 배의 통증에 대하여
7. 수면에 대하여

4. 절진 (切診)

1. 촉진 (觸診, Palpation) : 인체의 여러 부분을 손으로 만져보는 이 방법은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에서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체온의 차고 더움, 피부의 상태, 아픈 부위, 응어리지고 뭉친 곳을 만져 봅니다.
2.맥진 (脈診, Pulse Diagnosis) : 서양의학에는 없는데 동양의학에서는 매우 중요시하는 진찰 방법입니다. 목의 경동맥(頸動脈, Carotid Artery)이나 손목의 요골동맥(撓骨動脈, Radial Artery)에서 만져지는 맥박을 이용하는데 대부분의 임상가들은 요골맥박 (Radial Pulse)을 가장 많이 진단에 사용합니다.

맥박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동맥을 살짝 눌을 때 만져지는 표면맥박(表脈, Superficial Pulse), 꽉 눌렀을 때 만져지는 깊은 맥박(裏脈, Deep Pulse)으로 구별됩니다.

바른쪽 손목의 요골맥(撓骨脈, Radial Pulse)의 표맥(Superficial)에서는 대장, 위, 삼초에 관련된 맥박의 특징을 느낄 수 있고, 이맥(deep)에서는 폐, 비장, 심포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왼쪽 손목의 요골맥에서는 표맥에서 소장, 담, 방광에 대한, 그리고 이맥에서는 심장, 간, 신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바른쪽 요골맥(Right Radial Pulse)
표맥 (表脈, Superficial) - - - - - 대장, 위, 삼초.
이맥 (裏脈, Deep) - - - - - - - - 폐, 비장, 심포.

왼쪽 요골맥(Left Radial Pulse)
표맥 (表脈, Superficial) - - - - - 소장, 담, 방광.
이맥 (裏脈, Deep) - - - - - - - - 심장, 간, 신장.

5. 동양 의학의 치료원칙
동양의학 안에서의 치료는 건강의 상태를 유지하는 섭생법(攝生法)과, 질병을 미리 방지하는 예방법과, 불건강(不健康)의 상태 즉 증(證, 症)을 다스리는 치료법으로 구분 됩니다.

① 섭생법(攝生法) - - - - - 건강을 유지하는 전통적 가르침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 제대로 먹는다 (正食)
2. 제대로 잔다 (正眠)
3. 제대로 움직인다 (正動)
4. 제대로 숨쉰다 (正息)
5. 제대로 마음을 다스린다 (正心)


② 예방법 - - - - - - - - - 섭생법을 생활화 시켜 시행한다.
1. 외인(外因)을 피한다.
풍(風) 한(寒) 서(署) 습(濕) 조(燥) 화(火)에 지나치게 노출되는 것을 피한다. 또한 여기(氣, 전 염 성,Infectiousness)의 기회를 피한다.
2. 내인(內因)인 칠정(七情)을 잘 다스린다.
喜 怒 憂 思 悲 恐 驚 이 지나치지 않게 구사돼야 한다.
3. 불내외인(不內外因)을 절제해댜 한다.
음식, 피로, 방사(房事)를 절제하고, 상해와 중독을 피하며, 유전적 문제를 잘 관리 하여야 한다.

③ 치료법 - - - - - 8강(八綱)의 성질에 따라 치료한다.
陰陽(음양), 寒熱(한열), 表裏(표리), 虛實(허실)을 가려 내어서
지나친 것은 억제(Inhibtion) 시키고
부족한 것은 촉진(Facilitation) 시킨다.

1. 전통적 치료의 법칙 (八法)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1) 한법(汗法); 표열(表熱)을 발산시키기 위해 땀을 나게 함
2) 토법(吐法); 담과 식(痰 食)이 막혔을 시 토하게 함.
3) 하법(下法); 이열(裏熱), 장(腸)내의 숙변(宿便)을 제거하기 위해 설사를 시킴.
4) 화법(和法); 반표반리(半表半裏)의 열사(熱邪)를 밖으로 몰아내 조화를 이루는 치료.
5) 청법(淸法); 온열병증(溫熱病症)에 시원하게 해 줌.
6) 온법(溫法); 한성(寒性)의 질병에 따뜻하게 해 줌.
7) 소법(消法); 비와 위(脾胃)가 체(滯)한 것을 뚫어 줌.
8) 보법(補法); 체력이 부족한 것을 보충해 줌.

2. 구체적 치료의 테크닉
1) 생약 요법
2) 운동 요법
3) 자극 요법 (침, 뜸, 지압, 부항)

6. 동양의학의 질병유형

1.‘증’과 ‘병명’

증(證), 몸에 어떤 병이 있다는 증거
한의학에서는 ‘병명, 진단명’이란 말을 쓰지 않고, 대신에 ‘증(證)’이란 말을 사용합니다.

환자의 답답한 마음에서는 내가 아픈 원인이 무엇이고, 이 상태를 의학적 과학적으로 무엇이라고 말하는지 등에 대해 자신의 병명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냐고 묻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러나 이러한 질문은 한의학적으로 보자면 이미 잘못된 질문입니다.

한의사의 진찰은 지금 환자의 상태가 어떤 ‘증’인가를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여기에서 증(證)이란 ‘증명, 증거’라는 뜻으로 , ‘몸 속의 어떤 병이 있다는 증거’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몸 속에 어떤 병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A’라는 현상이 몸 밖으로 나타났다면, ‘A’는 바로 병적인 변화가 있다는 ‘증거’입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증’과 서양의학의 ‘병명’은 어떻게 다를까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코가 막히고 콧물이 나는 증세가 있다고 하면, 서양의학에서는 그 사람의 코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코 점막에 염증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염증이외에 별다른 증상이 없다면 ‘비염’이라는 ‘병명’을 진단하게 됩니다. 즉, ‘코에 염증이 있다’는 병명입니다.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코에 왜 이상이 생겼을까’하는 근본적인 문제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콧물의 색과 그리고 코와 관계가 깊은 장기인 ‘폐’의 상태를 분석한 후, 선천적으로 폐가 약한 것인지 또는 심장이나 다른 기관의 이상으로 유발된 것은 아닌지 확인합니다.

이처럼 한의학의 ‘증’은 온몸의 상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증세를 근원적으로 파악하는 개념입니다. 반면에 국소적인 병소의 세밀한 변화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양의학의 병명은 몸 전체의 부조화 보다는 국소적인 병소의 세밀한 변화에 엄밀성을 요구하는 개념입니다

2. 음증과 양증

한의학뿐만 아니라 동양의학 전반에 걸쳐 음양론은 그 기본을 이루고 있습니다. 음양론에서는 모든 사물의 속성을 음과 양 두 가지로 분류 합니다. 무생물이든 생물이든 상관없이 모든 사물을 음과 양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어떤 기준에 따라 분류할까요?

양은 원래 햇볕이라는 뜻이고, 음은 그늘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햇볕 자체나 그늘 자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햇볕과 그늘의 관계’처럼 서로 대조적인 모든 사물을 대표해서 표현한 것입니다.

자연이나 사람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나 세상 모든 것에는 서로 대립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남자와 여자가 있고, 같은 하루라도 낮이 있고 밤이 있으며, 산 꼭대기가 있으면 움푹 들어간 골짜기가 있습니다. 또 활달하게 움직이는 동적인 것이 있는 반면 드러나지 않게 조용하게 정적인 특성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동적인 성향을 양이라 하고, 정적인 성향을 음이라 합니다.

음양은 고정이 아닌, 상대적입니다.

햇볕이 오로지 혼자 있다면, 단순히 그 하나만으로는 ‘양’이라 말하지 않습니다. 햇볕과 그늘이 동시에 있을 때 하나는 양이 되고, 하나는 음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상대적이라는 말은 예를 들어 같은 남자라 하더라도 모두 음이 아니라, 다시 음과 양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즉 좀 더 여자의 속성을 많이 가지고 있고, 정적인 사람은 음이 되고, 거칠고 동적인 사람은 양이 됩니다. 또 어느 경우 양이었던 사람이 자기 보다 더 거칠고 동적인 사람과 있을 때는 양이었던 사람이 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성격을 보더라도 어떤 면을 보면 외향적인 것 같고 또 다른 면을 보면 내성적인 것 같아서 자기 자신도 스스로의 성격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음증과 양증
어떤 때는 잠을 잘 때, 큰 대자로 만세를 부르면서 자기도하고, 어떤 때는 추워서 웅크리고 자기도 합니다. 병적인 증상 또한 음증인 설사가 나면서 양증인 열이 동시에 나기도 합니다.

이렇듯 사람의 병은 여러 가지 증세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에 따른 음양의 상대적 조화를 ‘증’ 즉, 외부로 들어내는 증세를 음증과 양증으로 확실히 구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명확한 판단과 분석을 위해 전문인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음(陰 ) 양(陽)

땅 하늘
가을, 겨울 봄, 여름
여성 남성
여성적인 것 남성적인 것
추위, 신선함 열, 따뜻함
습함 건조함
내부 외부
어둠 밝음
아랫부분 윗부분
작고, 약한 것 크고, 강한 것
물 불
정지 운동
밤 낮

3. 한증과 열증

속된 표현으로 ‘열 받는다’ 가슴이 타는 것 같다’ 얼굴이 확 달아 오른다’ 뒷골이 당긴다’라는 표현을 하는데, 실제로는 몸에 열이 있는 증상, 이마가 뜨거워지고 체온이 올라가는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단지 마음이 열을 받았을 뿐입니다.

한과 열의 개념은 체온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개념은 아닙니다. 체온과 상관없이 달아오르는 느낌, 싸늘한 느낌을 말하는 것입니다.

한증 열증

갈증이 없고, 혹은 갈증이 있어도 물을 갈증이 나고 물을 자주 마신다.
마시고 싶지 않다.

뜨거운 물을 마시고 싶다. 찬물을 마시고 싶다.
손 발이 차다. 손 발이 따뜻하다.
얼굴이 창백하다. 얼굴에 붉은 색이 돈다.
소변이 투명하고 시원하게 본다. 소변이 진하고 양도 적다.
대변이 묽거나 설사를 한다. 대변이 굳고 또는 되다.
혓바닥의 설태가 하얀색을 띤다. 혓바닥의 설태가 누런색을 띤다.
맥박이 느리다. 맥박이 빠르다.
더운 것으로 통증이 완화된다. 찬 것으로 통증이 완화된다.
찬 것으로 통증이 증가한다. 더운 것으로 통증이 증가한다.
오한 고열

4. 표증과 이증

‘표증’과 ‘이증’은 몸을 입체적으로 분석해, 증세가 겉에서 나타나는가, 속에서 나타나는 가를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여성의 경우 “몸이 굉장히 냉한 편이에요. 늘 아랫배가 얼음장같이 차가워요” 많은데, 이때 냉하다는 것은 한증과 열증으로 구분할 때 한증에 속합니다. 그러나 사람의 몸을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으로 생각해 본다면, 현재 느끼는 증상이 표면이 한증인가, 그 속이 한증인가를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겉은 한증으로 나타나지만 속은 열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경우는 겉이 한증인 경우에 속합니다. 손발이 찬 증세나 아랫배가 차갑고 시린 것, 무릎이 시린 것은 몸의 겉에서 직접 찬 것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를 ‘표한증(表寒證)’이라고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표한증, 이한증, 표열증, 이열증, 표실증, 이실증, 포허증, 이허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5. 허증과 실증

우리 몸도 안성맞춤이 좋다. 세상에서 가장 힘들고 맞추기 어려운 말 ‘적당히, 그리고 안성맞춤’이 모든 말이 ‘잘 맞아서 편안하다’는 표현일 것입니다. 그러나 크지도 작지도 않게, 많지도 적지도 않게 필요한 만큼 딱 알맞게 조절하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한의학에서 허증이란 모자라는 상태를 말하고 실증이란 남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허하다는 말은 부정적인 의미로, 실하다는 말은 긍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그러나 한의학에서는 ‘허나 실’ 모두 병으로 받아들입니다.
가장 좋은 상태란, 모자라지도 않고, 남지도 않는 상태 즉, 알맞은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무엇이 모자라고 남는다는 말인가?
허증은 ‘정기’가 부족한 상태이고, 실증은 ‘사기’가 남는다는 말입니다. 즉 허증은 정기를 보충 받아야 하고, 실증은 몸에 들어와 있는 사기를 밖으로 배출해야 할 상황입니다.

다시 말해서‘허증’은 무언가 필요한 기운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것을 말하고, ‘실증’이라는 것은 필요한 기운이 너무 넘쳐 나거나 병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이 침범했을 때 정기가 사기에 대항해 싸우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병의 초기나 체력이 강한 사람은 실증이 잘 나타나고, 병이 오래된 경우나 몸이 워낙 약한 사람은 초기에는 사기에 대항할 힘이 있지만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정기가 힘을 다 소모해 버려 허증이 나타납니다.

허증 실증

피로가 쉬 오고 만성피로가 있다. 피로가 거의 없음.
호흡이 짧고 얕다. 호흡이 거칠고 무겁다.
피부가 차다. 피부가 열이 난다.
대변이 묽다. 배가 팽팽하다.
식욕이 떨어지거나 없다. 식욕은 그런대로 있다.
맥이 가늘고 약하다. 맥이 강하다.
허약한 힘이 없는 움직임 육중한 무거운 움직임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완화된다.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증가한다.
낮고 작고 약한 음성 높고 강한 음성
수동적이고 조용한 태도 적극적이고 활발한 움직임

7. 침술학

1. 침술학이란?
1970년대 초반에 동양의학이 구미 각국에 소개되면서 서양의학계에 동양의학에 대한 관심이 매우 고조되었는데, 그 중 서양 의학자들에 의해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또 가장 많이 연구 된 것은 ‘침술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의학과 약학이 분업이 되어 있음으로, 동양의학의 생약 부분은 현대의학의 약학분야와 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서구 국가에서는 상당수의 한약재가 ‘건강식품’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또한 운동요법은 대부분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양의학의 자극요법 중 지압, 뜸, 부항 같은 것은 그 사용양식(modality)의 유사성 때문에 ‘물리치료사’들이 특히 이 분야에 많은 학문적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의사들에게 가장 친숙한 도구는 바늘(needle)이기 때문에 동양의학 중에 의사들이 가장 많은 흥미를 느끼는 것이 침술이라고 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입니다.

서양 의학자들이 동양의학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서 가장 먼 거리감을 느끼는 부분이 침술이기 때문에 ‘침술학’을 공부하는 것이 동양의학과 서양의학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며, ‘침술학’의 이론적 배경이 곧 동양의학의 이론적 배경임으로 동양의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침구학’을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영어로는 침술을 ‘Acupuncture'라 하는데, 이는 라틴어로 ‘바늘’이란 뜻의 ‘Acus’ 와 ‘찌른다’란 뜻의 ‘punctura’가 합쳐 acupuncture’란 단어가 탄생했습니다. ‘쑥’을 일본말로 ‘모꾸사’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를 'moxa’라고 표시하게 되었고 ‘태운다’는 뜻의 ‘bustion’이 붙어서 영어로는 ‘뜸’을 을 'moxibustion' 이라고 번역한 것입니다. 지압(指壓)은 문자 그대로 손가락(指, finger)으로 누른다(壓, pressure)는 뜻임으로 ‘finger Pressure Therapy’ 라던가 ‘Ischemic Compression' 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하며, 일부 구미학자들이 쓰는 ‘Acupressure'라던가 ‘Digipuncture'라는 번역은 잘못 번역된 것입니다. 부항(附缸)은 컵(cup)이나 관(tube)를 사용하기 때문에 ‘Cupping Therapy' 또는 ‘Tubing Therapy' 라고도 하지만, 실은 빨아내는 음압(陰壓, negative pressure)을 이용함으로 ‘Negative Pressure Therapy'라고도 부릅니다.

2.침(鍼, Acupuncture Needle) 의 종류

본래 돌로 만든 침(石鍼)과 뼈로 만든 침(骨鍼)을 사용한 적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고 고고학 적인 증거도 있으나, 금속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침도 또한 쇠부치로 만든 것을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금, 은, 강철로 만든 바늘을 사용하지만 금과 은으로 만든 바늘은 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불편하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또 금과 은이기 때문에 임상효과가 더 좋다는 근거도 없음으로 별로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단, ‘금침’이라고 해서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금철사’의 일부를 끊어서 살 속에 주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한 부작용도 꽤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효험도 입증되지 않아서 별로 추천할 만한 방법은 안됩니다. 대부분의 침술 시술자 들에 의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침은 ‘스텐레스 (Stainless Steel)’로 만든 것입니다. 이것은 매우 단단하여 사용하기도 편하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옛날에는 침의 모양과 용도가 따로 있어서 참침(----鍼), 원침(圓鍼), 제침(金是 鍼), 봉침(鋒鍼), 피침(---鍼), 원리침(圓利鍼), 호침(毫鍼), 장침(長鍼), 대침(大鍼) 의 9 가지가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요사히 사용하는 침술치료법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 호침법 (毫鍼法)
호침은 손잡이(handle)와 바늘대(needle stalk)로 구성된 단순한 모양의 바늘로서.
현대의 대부분의 임상가들에 의해 호침(毫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 삼릉침법 (三稜鍼法)
삼각형으로 마치 창끝과 같이 생겼으며 끝이 날카로운 침이다.
국부에 울혈된 피를 빼는데 흔히 사용한다.

- 온침법 (溫鍼法)
침을 꽂은 후 침의 손잡이 끝에 뜸봉을 태워서 덥히는 방법이다. 이것은 ‘침이면서 뜸이 아니고, 뜸이 면서 침은 아니다. (鍼而不灸 灸而不鍼)’ 란 방법이다.

- 피부침법 (皮膚鍼法)
구조는 망치나 담배 파이프 처럼 생겼는데 망치 머리에 가느다란 작은 바늘을 6 내지 8개 정도 붙어 있다. 바늘의 길이가 2 - 3 mm 박에 안되기 때문에 마치 망치로 못을 박듯 피부를 탁 치면 이 작은 바늘들이 일단 꽂쳤다 빠져 나온다. 침을 무서워 하는 어린이들에게 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일명 ‘소아침’이라고도 부른다.

- 경혈 약침법 (經穴藥鍼法) : 경혈에 특수한 약물을 주입하여 자극효과를 노리는 방법이다.

- 봉독침법 (蜂毒鍼法) : 경혈에 벌을 쏘게 해서 자극효과를 노리는 치료법이다.

3. 침술의 사용

- 침의 크기
대부분의 임상가들이 쓰는 호침(毫鍼)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길이 ; 1-2mm 정도 길이의 압핀(押 pin)처럼 아주 작은 것도 있고, 이침(耳鍼)이나 수지침(手指鍼)에는 1-2cm 정도의 길이로 만드릭도하며, 경락을 따라 길게 삽입하기 위해 30cm 정도로 아주 긴 바늘도 있습니다.
약 5cm 정도 길이의 바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굵기 ; 약 25 게이지(gauge)에서 35 게이지 까지의 굵기를 쓴다. 30 게이지 정도의 굵기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너무 가늘면 다루기가 어렵고 너무 굵으면 아프기 때문이다.

- 침자법 (鍼刺法, Insertion)
1. 시술자가 두 손가락으로 환자의 피부를 늘려서 그 부위에 침을 꽂는 방법.
2. 시술자의 두 손가락 사이에 환자의 피부를 쥐어짜는 것처럼 집고 그 손가락 사이에 낀 피부에 침을 꽂는 방법.
3. 침관(鍼管, needle Tube)를 사용하는 방법.
침의 길이 보다 조금 짧은 관을 경혈부위에 꽉 누르고 그 관 안으로 침을 집어넣고 침의 손잡이 끝을 손가락으로 탁 치는 식으로 침을 꽂는 방법이다.
침을 꽂을 때 환자가 전혀 불편한 느낌을 갖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 침자(鍼刺)의 깊이 (Depth of Insertion)
1. 귀, 손바닥, 발바닥 등의 부위에는 흔히 1-2mm 정도의 깊이로 찌른다.
2. 얼굴, 손등, 방등 등의 부위에는 보통 2-5mm 정도의 깊이로 찌른다.
3. 팔이나 다리에는 보통 5-10mm 정도의 깊이로 찌른다.
4. 지방층이 두터운 엉덩이 부위에는 2-5cm 정도의 깊이로 찌른다.
5. 시술자의 선호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침의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어떤 시술자는 피하로 경락을 따라 깊게가 아니라 길게 침을 넣기도 하며, 의례이 모든 침을 다 깊이 꽂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피부만 겨우 뚫을 정도로 아주 얇게 살짝살짝 꽂는 경우도 있다.

- 유침 (留鍼, Retention of Needle)
1. 소아용 피부침법은 경혈을 탁 치기만 하면 될 정도로 빠른 침자법이다.
2. 침을 하나 가지고 한 경혈에 꽂은 다음 수기 자극(手技刺戟, Manual Stimulation)을 하고, 그 바늘을 빼고는 다른 경혈에 같은 자극을 하고, 또 다음 경혈로 가고 하는 식으로 한 바늘로 여러 점을 자극하는법 (One Needle Technic)도 있다.
3. 대부분의 통증치료 시에는 침을 꽂고 약 20-30분 정도를 유침시키는 게 보통이다. 침으로 자극을 시작하면 체내에서 엔돌핀(Endomorphin)의 분비가 촉진 되는데 그 분비량이 점점 증가되다가 침자 후 20분 경에 최고도에 도달한다는 사실과, 침술마취시에 침으로 자극을 시작한지 적어도 20분이 경과되어야 마취상태가 나타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20분 정도의 유침 기간이 타당성이 있다고 인정된다.

4. 침 치료의 횟수

1. ‘완치될 때 까지 치료’ 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실 상황에 맞추어야 한다.
2. 급성의 질환일 때는 매일 치료를 해야 하고, 만성일 경우에는 1 주일에 2-3회 시술하는 임상가가 많다.
3. 만성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약 4회 정도의 치료 후에도 별 효과가 없으면 그 후에 호전되는 예는 매우 드물다는 보고에 따라 많은 침술 시술자들은 이 4회의 치료를 ‘시범치료기간(Trial Period)’으로 삼고 있다. 다시 말해서 4번 치료해서 별 효과가 안 나타나면 치료를 포기한다는 뜻이다.
4. 그러나 4회 치료 후에 효과가 안 나타났던 환자들의 일부에서는 그 후에 호전된 경우도 있기는 있기 때문에, 8회 치료 - 1내
지 4주 휴식 -다시 8회 치료 의 프로그램을 택하는 임상가도 많이 있다.

5.침술의 적응증 (Indication of Acupuncture)
'다른 치료는 하지 말고 침술치료만 해야 된다’ 라는 식의 절대 적응증은 없습니다. 그러나 침술을 보완적(Complimentary)으로 사용하였을 때 침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임상효과가 더 좋았다는 임상관찰은 많이 있습니다.

- 통증 (痛症, Pain)
침술의 임상적 효과 중 통증치료 효과가 가장 높이 평가 받고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 여러 나라에서도 의학계가 제일 먼저 공식적으로 인정해 준 분야가 통증치료 입니다. 최근 1997년에 미국 식품 의약 관리국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침술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보험수가체계에 포함시킨 것도 그 좋은 예입니다.

골절이나 외상(外傷)이 있다던가, 또는 추간판 탈출(Disc Herniation)로 신경이 눌렸다던가,혹은 암(癌) 같은 종양이 있다던가 해서 이미 기질적 변화(機質的變化, Mechanical Change)가 있을 때는 진통효과가 좋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기질적 변화 없이 그냥 기능적 통증(Functional Pain)이 있을 경우에는 비교적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목이나 허리 부위의 근경련(筋痙攣, Muscle Spasm), 염좌(捻挫, Sprain), 근막 통증 증후군(筋膜
痛症 症候群, Myofascial Pain Syndrome)의 경우에는 침술치료 효과가 매우 좋은 편입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생리적으로 되돌릴 수 있는 상태 (Physiologically Reversible Condition)’ 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침술치료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퇴행성 변화(Degenerative Change)에 의한 통증은 단기간의 통증관리효과가 있을 수 있음으로 침술치료를 시도해 볼만 합니다. 그러나 류마치성 관절염의 경우에는 침술에 의한 진통효과가 거의 없다는 것이 대부분의 임상 의학자들의 견해입니다.

- 침술마취 (鍼術痲醉, Acpuncture Anesthesia)
모든 감각 이 다 소실되는 것을 ‘마취’라 합니다. 침술로서 수술시 통각을 잠시 없애는 것은 엄격한 의미에서는 마취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침술로서 마취를 시도할 때는 통각(痛覺, Pain Sensation)만 없어지지 다른 감각들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표현은 침술무통술(鍼術無痛術, Acupuncture Analgesia)이라고 해야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미 모두에게 침술마취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침술마취 시에는 통증은 없어지는데 근육의 이완(Muscle Relaxation)이 잘 안 되기 때문에 복부수술(Abdominal Surgery)에는 많이 사용할 수가 없고, 대개 머리, 얼굴, 목, 팔, 다리 수술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침술마취에는 여러 가지 번거러운 조작과정이 필요하고, 100% 환자에게 모두 다 성공적으로 되는 것도 아니고, 침을 꽂은 부위 때문에 절개하는 수술부위에 거추장스러운 방해가 되기도 하고, 수술 도중에 침술마취효과가 없어져서 일반마취로 갑자기 바꾸어야 되는 경우도 있는 등의 제한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은 받아야 될 환자가 일반마취약에 부작용이 있어서 필요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지경에 있을 때는 침술마취가 매우 좋은 대체 마취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소화기 질환, 심폐질환,
생리적으로 되돌릴 수 있는 상태(Physiologically Reversible Condition)에 있는 경우에는 침술효과를 노릴 수 있습니다.

소화기 계통에서 소화불량, 위경련, 위산과다증, 기능성 설사나 변비 등에서 비교적 좋은 침술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 계통질환의 예를 든다면 협심증(狹心症, Angina Pectoris)이 있을 때 진통효과가 있었다는 객관적 임상보고가 있으나 Nitroglyserine 의 효과에는 훨씬 못 미치는 효과라고 합니다.

폐질환의 예를 들면, 폐기종(肺氣腫, Emphysema)과 같이 기질적 변화가 이미 있는 상태에서는 침술치료효과가 별로 없으나, 아직 기질적 변화는 없고 그냥 기관지의 기능적 경련(Functional Spasm)만 있을 경우는 일시적 치료효과가 있습니다.

- 정신 질환
중증의 정신질환은 침술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가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벼운 심리적 불안상태, 우울증 등에 다소 효과가 있고 일부 신경분열증 환자에게서 환각증상이 호전되었다는 임상보고는 있습니다.

- 마비질환
중풍(中風, Stroke)에 의한 편마비(片痲痺, Hemiplegia), 척수손상(脊髓損傷, Spinal Cord Injury)에 의한 하지마비(下枝마비, Paraplegia), 제7뇌신경 손상에 의한 안면신경마비(Facial Palsy) 등의 마비증상은 침술치료에 의해 호전되었다는 객관적 연구발표는 별로 없는 실정입니다.

마비증상이 있는 환자의 상태가 시간이 지나면 발병 초기보다 호전되는 것은 이견의 여지가 없으나, 이러한 호전효과가 침술치료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제시하는 소위 이중맹 검사법(二重盲 檢査法, Double Blind Study), 혹은 이중맹 검사가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경우는 단일맹검사법(單一盲 檢査法, Single Blind Study)으로라도 확인된 임상연구결과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마비증상에 수반된 문제점들, 예를 들면 통증이라던가 근경련(Muscle Spasm) 등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마비증상이 침술치료로 호전되었다는 일화성 보고(逸話性報告, Anecdotal Report)는 무수히 많음으로 이를 속히 객관화 하고 더 좋은 임상효과를 위해 개선하는 것은 동서의학(東西醫學)이 공유한 도전입니다.

- 기타
어떤 계통의 질환이건 생리적으로 되돌릴 수 있는 상태(Physilogically Reversible Condition)라면 침술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어떤 특정한 질환을 놓고 서양의학의 치료법과 침술치료법을 1대1 로 단순 비교를 한다면 많은 경우에 서양의학적 치료법이 침술치료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부분에서 서양의학적 치료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는 못 하다 하더라도 침술치료효과가 있기는 있다는 측면과 또 특수한 여건 하에서는 침술의 사용범위가 서양의학적 치료법 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측면도 없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장거리 여행을 하는 비행기 속에서 환자가 발생 했을 경우라던가, 현대식 의료시설이 미비한 오지나 무의촌 지역 같은 곳, 개발도상국에서 의료선교를 할 때 등 특수 상황에서는 의료혜택을 베풀 수 있는 폭이 서양의학 쪽에서 보다 침술 쪽에서 더 광범위함을 볼 수 있습니다.

6. 침술치료의 금기(禁忌, Contraindication)
‘이런 경우엔 침을 놔서는 절대로 않된다’ 하는 절대 금기사항은 없습니다. 단지 상대적으로 ‘이러한 경우엔 침을 안 놓는 것이 좋겠다’라던가 ‘매우 조심스럽게 시도해야 만 된다.’ 하는 사항들은 있을 수 있습니다.

- 출혈성 질환 (出血性疾患, Hemorrhagic Disease)
어떤 종류이건 확인된 출혈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침을 안 맞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질환이나 혈관질환 때문에 항응혈제 (抗凝血濟, Anticoagulant)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도 침을 삼가야 합니다. 이런 환자들이 침을 맞게 되면 체내에서 서서히 출혈이 많이 되거나, 또는 출혈량은 많지 않더라도 출혈 덩어리가 주위 신경을 압박해 마비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미확인 암 환자 (Unconfirmed Potential Cancer Patient)
암(癌)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을 상태에서 침을 맞는다고 한 두달 소모해 버리면 조기치료의 기회를 놓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빠른 속도로 자라고 확산되는 암의 경우에는 한 두달의 시간 소모는 치명적입니다. 따라서 암이 의심될 경우에는 이를 확인할 능력이 있는 침술시술자가 치료를 담당하거나, 만일 그러한 능력이 없을 때는 적어도 암의 가능성을 의심할 줄 알고 암의 전문가에게 확인진료를 의뢰할 줄 아는 시술자라야 합니다.

침술로 암을 치료했다는 일화성 보고가 더러 있으나 역시 객관적으로 확인 된 바가 없습니다. 암을 직접 치료하고 침만으로 완쾌 시켰다는 보고는 없으나, 암 환자에게 서양의학적 치료와 힘께 동양의학적 치료를 병행했을 때 항암치료를 이겨내는 저항력(抵抗力,Resistance)과 내구력(耐久力, Tolerance)이 증가함으로써 총체적 치료효과가 증대되었다는 연구보고는 최근에 꽤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 침의 금기혈(禁忌穴, Forbidden Points)
전통적으로 다음에 열거하는 경혈은 원칙적으로 금기로 되어 있으며, 일부 시술자들이 그래도 사용하는 수도 있는데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 들입니다.

고전의 기록에 의하면 금기혈의 수가 22혈로 제시되기도 했고, 다른 저자들은 30혈 또는 34혈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뇌호(腦戶), 신회( 會), 신정(神庭), 옥침(玉枕), 낙각(絡却),
노식( 息), 각손(角孫), 승읍(承泣), 신도(神道), 영대(靈臺),
수분(水分), 신궐(新闕), 회음(會陰), 횡골(橫骨), 기충(氣沖)
기문(箕門), 승근(承筋), 청령(靑靈), 급맥(急脈), 유중(乳中),
수오리(手五里), 삼양락(三陽絡)

▶기타
금기 사항이라기 보다는 ‘침을 안 맞는 것이 좋겠다’ 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임상연구를 통해 이미 침술로의 치료효과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라던가, 침술치료를 충분히 하였으나 효과가 없을 때 등이 입니다

7. 침술 치료시 주의사항
침술의 자극은 아주 정교하고 그 강도(强度)가 아주 미미 한 것입니다. 마치 연못에 조약돌을 던지는 것 과 비슷합니다. 연못이 조용해서 거울처럼 깨끗하면 작은 돌을 던져도 잔잔한 물결이 일면서 연못에 떠 있는 잎사귀나 검부라기들이 연못의 가장자리로 밀려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심한 바람이 불어서 이미 출렁거리는 연못에 작은 조약돌을 던졌다면 그 돌에 의한 파장도 별로 없거니와 그 때문에 생기는 영향도 별로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침을 맞는 환자의 상태는 그 생리적 여건, 즉 몸과 마음이 안정돼 있고 편안 해야만 합니다.

8. 침술 치료의 부작용
침술치료의 부작용은 있기는 있으나 자주 있는 것도 아니고 심각한 것들도 아닙니다. 물론 의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 함부로 찌르는 가사의 경우 침자에 의한 기계적 손상(Mechanical Damage)이 생길 가능성은 항상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생긴 일이기는 하지만 머리 뒷 부분에 위치한 풍부(風府)혈을 너무 깊숙히 자입(刺入)하여 침의 피시술자가 사망 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지금 까지 알려진 부작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출혈 (Hemorrhage)
침을 놓을 때 동맥을 찌르게 되면 그 국소에 작은 출혈이 진행되어 나중에는 시퍼렇게 멍(Ecchymosis)이 들게 됩니다. 특히 눈 언저리나 귀의 앞부분(Preauricular area)에는 동맥이 자나가기 때문에 각별히 이부분에 침자할 때는 더욱 조심하여야 합니다.

치료가 끝나고 침을 뺄 때 피가 나는 것이 보이면 아주 미미한 출혈이라도 빨리 마른 스폰지(솜)로 그 부분을 약 1 분간 꼭 눌러 주어야 조직(Tissue)내의 더 큰 출혈을 예 방할 수 있습니다.

출혈성 질환이 있는 환자나 항응혈제를 쓰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특별히 주의하여야 합니 다. 체내에서 서서히 출혈 되어 국소적으로 뭉쳐있는 피의 덩어리(mass)가 말초신경 을 누르게 되면 마비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감염성 염증 (Infection)
감염성 염증은 제대로 소독하지 않은 불결한 바늘에 기인합니다.

1) 국소 염증 (Localized Infection) : 바늘이 자입 되었던 자리에 작은 염증이 생기는 것.

2) 골수염과 척추염 (Osteomyelitis and Spinal Abcess)
바늘을 깊이 꽂을수록 치료효과가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일부 시술자들이 바늘을 뼈에 닿도록 자입하면서 스스로 Osteopuncture Technic 이 주장한 적이 있었는데 이들에 의한 부작용 중에 골수염과 척수염이 보고된 적이 있습니다.

3) 간염 (Hepatitis)
엄밀한 추적 검사 결과 B형 간염이 침 바늘에 의해 전염된 것이 여러 번 공식적으로 발표 된적이 있습니다. 미국 질병관리국(C.D.C. Center for Disease Control)에서 발표한 바에 의하면 한 침술치료사가 간염환자를 간염환자인줄 모르고 치료를 해 주었고 그 사람을 치료해 준 바늘을 알코올 용액 속에 담가 두었다가 그 바늘로 다른 환자들을 치료했는데 이들 중에서 간염이 새로 발생했음을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바늘을 알코올에 그냥 담가 놓아 둔다던가 알코올 스폰지로 닦아주는 정도로는 완전한 소독이 되지를 않습니다. 바늘은 반드시 고압증기 소독기(Autoclave)로 소독한던가 일회용 바늘을 쓰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4) 에이즈 (AIDS, Auto Immune Deficiency Syndrome) : 침바늘에 의해 에이즈도 감염된 예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 기절 (氣絶, Syncope)
침을 꽂은 직후 환자가 갑자기 의식을 잃는 상태(意識消失, Unconsciousness)가 발생기기도 합니다. 혈압이 급강하하여 수축기혈압이 90mmHg 이하로 되고 맥박도 60 mmHg 이하로 떨어지며, 피부가 차고 창백해 집니다. 전형적 쇼크(Shock)상태로 됩니다. 이 현상은 미주신경 반사반응(Vasovagal Reflex Syndrome)이라고 생각 됩니다.

침술에 의한 기절은 보통 침을 꽂은 후 2-3분 이내에 생기며,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생기며, 침 치료를 받은 횟수와도 관계없이 생깁니다. 그러나 전신건강상태가 허약 한 사람, 지나치게 긴장한 사람, 처음 침을 맞는 사람 등에서 더 자주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환자가 쇼크 상태로 빠졌을 경우에는 빨리 모든 침 바늘을 빼고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눕혀야 합니다. 환자를 이리저리 옮기려고 하지 말고, 침대 위이건, 방바닥이 건, 마루바닥이건, 있는 그 자리에 편히 눕히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렇게 하면 대부 분의 경우 환자는 1분 이내에 쇼크에서 깨어납니다.

이런 경우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환자가 침대 위에 걸터 앉아서 치료를 받다가 의식을 잃으면서 침대 밑으로 떨어지는 순간 머리를 부딪히는 수가 있음으로, 이를 피하기 위해서 가급적 치료를 처음부터 침대 위에서 환자가 편안히 누운 자세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드물게는 서맥(徐脈, bradycardia)이 상당히 지속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Atropine 등을 사용하여 교정해 주어야 합니다.

- 기타
흉부에 바늘을 깊이 꽂으며서 폐의 기포(氣泡, Bleb)을 터뜨려 기흉(氣胸, Pneumothorax)이 생기기도 하고, 말초신경의 손상이 생기기도 하며, 침바늘이 불어지는 수도 생깁니다.

9. 침술학의 과학적 연구
철학과 형이상학을 그 이론의 바탕으로 하고 있는 동양의학의 여러 현상들을 객관적이고 ,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해 보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습니다. 동양의학 분야 중에서도 특히 침술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현재도 진행 중입니다.

침술의 연구결과와 연구진행 방향을 예를 들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해부조직학적 연구 (Anatomico-Histological Study)
1. 북한의 생리학 교수인 김봉한은 경혈에서 떼어낸 조직에서 특별한 난형의 세포(Oval Cell)로 구성된 소체(小體, Corpuscle)를 발견하였고 이 소체와 연결된 가느다란 소관(小管, Tubule)이 있었으며 이소관의 주행이 경락과 일치하더라는 보고를 하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재현성(再現性, Reproducibility)의 결여로 널리 인정 받지 못하고 있다)

2. 하반신 마비(Paraplegia)로 감각이 없는 다리에 침을 자극하여 마비되지 않은 상체부위의 통증을 치료할 때, 마비부위의 자율신경 활동(땀샘 등)이 비교적 활발하면 치료효과가 있었고, 자율신경 활동이 손상을 받은 경우에는 유의한 치료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아 침술의 작용기전이 자율신경 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현대의학에서 많이 관찰되고 있는 전위통(轉位痛, Referred Pain)의 부위와 분포양상이 동양의학의 경락(經絡)의 주행과 많이 일치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동양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한 경혈(經穴)로 다루고 있는 유혈(兪穴)의 배열순서가 현대의학에서 잘 규명 정리된 교감신경의 분포와 장기의 배열과 거의 완벽에 가깝게 일치함을 볼 수 있습니다.

5. 침술에서 유혈(兪穴)이라고 하는 것은 척추 주위(Paravertebral)를 종적으로 따라 배열된 특수 경혈로서, 12개의 혈(經穴)이 12개의 장부(臟腑)와 기능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인 데, 그 유혈의 이름도 각기 속하는 장기에 따라 폐유(肺兪), 심유(心兪), 간유(肝兪) 하는 식으로 명명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수 천년 전에 제시된 장부(臟腑)의 순서가 근대의학에서 뒤 늦게야 발견한 교감신경 분포에 따른 장기의 순서와 일치함이 놀랍다는 뜻입니다.

6. 현대의학에서 가장 흔히 임상적으로 접하는 통증이 근막 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인데, 이 통증을 유발하는 유발점(Trigger Point)의 대부분 (약 86%)이 침술의 경혈과 그 위치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7. 생리학자 Kuntz와 Brizzee는 피부 어느 지점에 열을 가 하면 내장 특히 소장의 소동맥이 확장되고 혈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반대로 찬(cold) 자극을 주면 소동맥의 수 축과 혈량 감소가 관찰되었음을 보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피부의 특정지점의 자극이 내장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전기 자장학적 연구 (Electro-Magnetic Study)
1. 전통적인 침술시술자는 환자에게 침을 놓기전에 우선 침 바늘을 자기 머리털에 한참 비 비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금속을 털에 마찰 시키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침을 일단 꽂은 후에는 침의 손잡이를 손톱으로 긁거나 손끝으로 톡톡 튀기는 동작을 하는데, 이것은 일종의 진동(Vibration)효과를 노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과학자의 흥미를 이끌어 냈습니다. 즉 전자력 에너지와 자극빈도(Frequency)라는 개념을 연결 시키는 것입니다.

2. 인체의 피부에는 전기적 저항성(Galvanic Skin Resistence)을 지니고 있습니다.
경혈이 위치한 피부의 저항성이 주위의 다른 피부보다 더 낮음을 확인 했습니다. 저항성이 낮다는 것은 ‘전기성 전도성(Conductivity 이 높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경혈은 전기적 저항성이 낮고 전도성이 가장 높은 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3. 외이(外耳, External Ear)를 물리적으로 자극하면 맥박의 질이 변한다는 소위 이심반사반응(耳心反射反應, Auriculo-Cardiac Reflex)을 프랑스의 신경생리학자인 노지에(Nogier)가 발표 하였습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귀에 어떤 빈도의 전기자극을 가 하느냐에 따라 이심반사 현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예민하게 반응하는 자극의 빈도수에 따라 외이(外耳)를 2.5 헤르츠(Hz)에서 160 헤르츠 사이의 7 부위로 구분하였습니다.

4. 통각(痛覺, Pain Sensation)은 말초신경에서 척수의 Spino-thalamic Tract를 따라 올라가 시상(視床, Thalamus)를 거쳐 대뇌 감각신경중추에 종착하는 것입니다. 시상부에 미세 파펫 (Micro Pipette)을 삽입하고 실험동물의 꼬리나 코끝을 아프게 자극을 가 하면 그 미세 파펫을 통해 통증의 전기적 반응이 그래프로 그려져 나오는데, 침술자극을 한 후에 다시 측정해 보면 그 통증의 파장이 그래프에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통각을 억제 시켰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신진대사 내분비학적 연구 (Metabolico-Humoral Study)
1. 실험 동물 두 마리에게 혈액이 서로 교차순환(Cross Circulation)할 수 있도록 실험조작 을 한 후에, 두 마리 각각에게 통각자극 ( Painful Stimulation )을 주어 재빨리 반사적 으로 통각원(痛覺源, Pain Source )으로 부터 피하는 반응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나서 한 동물에게만 침술자극을 주어 진통효과를 유발하면 전과 같은 통각자극을 가해도 그 동물은 통각원을 피하지 않는 둔한 반응을 보이는데, 재미 있는 관찰은 침자극을 받지 않은 동물도 똑같이 둔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한 동물에게 침자극을 했을 때 분비된 진통 호르몬이, 교차순환을 통해 다른 동물에게도 건너 갔음을 시사해 주는 것입니다.

2. 카나다의 Pomeranz 교수는 침자극과 내분비작용에 대한 연구를 가장 많이 한 연구자 중의 한 사람입니다. 그는 침자극을 가 하면 내분비 진통 호르몬 특히 엔돌핀(Endomorphine)이 분비되는데, 그 분비량이 약 20분 경에 최고도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보고하였습니다

3. 침자극으로 마약 중독자들을 치료할 수 있고, 침술 마취도 가능한 이유는 바로 이 엔돌핀(Endorphine)의 분비 때문이라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4. 할로데인(Halothane)으로 마취시킨 실험견(犬)에게 코끝과 입술 사이에 위치한 인중혈 (人中穴)을 침으로 자극 하면서 혈류동태검사(血流動態檢査, Hemodynamic Study)를 한 결과 혈압, 맥박수, 혈중 산소량 등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는데, 이어서 경혈이 아닌 점을 임의로 자극하였을 때는 혈압, 맥박수, 혈중산소량에 큰 변화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 심신의학적 연구 (Psycho-Somatic Study)
1. 최면술 연구가인 Orne 교수는 최면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서 침술효과가 더 좋게 나타나는 것을 보아 침술효과의 기전이 최면현상과도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관절염 전문가인 Moore 교수는 침술로 골관절염(Osteoarthritis)환자들을 치료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통증치료효과가 위약효과(Placebo)를 넘지 못했다고 하면서 ‘침술 효과는 위약 효과에 불과하다’고 주장한 적이 있었습니다.

3. 정신심리학자인 Rothman 박사는 침술마취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실험 대상자들에게서 ‘마취가 될 것이라는 암시(suggestion)를 준 부위’에 마취가 되지 않고 여태까지 축적 되었던 마취경험을 통해 ‘기대되었던(expected)부위’에 마취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고 ‘침 마취는 최면효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