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9

Leo Tolstoy - Wikipedia

Leo Tolstoy - Wikipedia



Leo Tolsto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Leo Tolstoy
Leo Tolstoy in his later years. Early 20th century.
Leo Tolstoy in his later years. Early 20th century.
Native name
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BornLev Nikolaevich Tolstoy
9 September 1828
Yasnaya PolyanaTula GovernorateRussian Empire
Died20 November 1910 (aged 82)
AstapovoRyazan GovernorateRussian Empire
Resting placeYasnaya Polyana
OccupationNovelist, short story writer, playwright, essayist
LanguageRussian
NationalityRussian
Period1847–1910
Literary movementRealism
Notable worksWar and Peace
Anna Karenina
The Death of Ivan Ilyich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Resurrection
Spouse
Sophia Behrs (m. 1862)
Children14

Signature
Count Lev Nikolayevich Tolstoy[note 1] (/ˈtlstɔɪˈtɒl-/;[1] Russian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note 2] tr. Lev Nikoláyevich Tolstóy[lʲef nʲɪkɐˈlaɪvʲɪtɕ tɐlˈstoj] (About this soundlisten); 9 September [O.S. 28 August] 1828 – 20 November [O.S. 7 November] 1910), usually referred to in English as Leo Tolstoy, was a Russian writer who is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authors of all time.[2] He received multiple nominations for Nobel Prize in Literature every year from 1902 to 1906, and nominations for Nobel Peace Prize in 1901, 1902 and 1910, and his miss of the prize is a major Nobel prize controversy.[3][4][5][6]
Born to an aristocratic Russian family in 1828,[2] he is best known for the novels War and Peace (1869) and Anna Karenina (1877),[7] often cited as pinnacles of realist fiction.[2] He first achieved literary acclaim in his twenties with his semi-autobiographical trilogy, ChildhoodBoyhood, and Youth (1852–1856), and Sevastopol Sketches (1855), based upon his experiences in the Crimean War. Tolstoy's fiction includes dozens of short stories and several novellas such as The Death of Ivan Ilyich (1886), Family Happiness (1859), and Hadji Murad (1912). He also wrote plays and numerous philosophical essays.
In the 1870s Tolstoy experienced a profound moral crisis, followed by what he regarded as an equally profound spiritual awakening, as outlined in his non-fiction work A Confession (1882). His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ethical teachings of Jesus, centering on the Sermon on the Mount, caused him to become a fervent Christian anarchist and pacifist.[2] Tolstoy's ideas on nonviolent resistance, expressed in such works as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1894), were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such pivotal 20th-century figures as Mahatma Gandhi[8] and Martin Luther King Jr.[9] Tolstoy also became a dedicated advocate of Georgism, the economic philosophy of Henry George, which he incorporated into his writing, particularly Resurrection (1899).

Origins

The Tolstoys were a well-known family of old Russian nobility who traced their ancestry to a mythical nobleman named Indris described by Pyotr Tolstoy as arriving "from Nemec, from the lands of Caesar" to Chernigov in 1353 along with his two sons Litvinos (or Litvonis) and Zimonten (or Zigmont) and a druzhina of 3000 people.[10][11] While the word "Nemec" has been long used to describe Germans only, at that time it was applied to any foreigner who didn't speak Russian (from the word nemoy meaning mute).[12] Indris was then converted to Eastern Orthodoxy under the name of Leonty and his sons – as Konstantin and Feodor, respectively. Konstantin's grandson Andrei Kharitonovich was nicknamed Tolstiy (translated as fat) by Vasily II of Moscow after he moved from Chernigov to Moscow.[10][11]
Because of the pagan names and the fact that Chernigov at the time was ruled by Demetrius I Starshy some researches concluded that they were Lithuanians who arrived from the Grand Duchy of Lithuania.[10][13][14] At the same time, no mention of Indris was ever found in the 14th – 16th-century documents, while the Chernigov Chronicles used by Pyotr Tolstoy as a reference were lost.[10] The first documented members of the Tolstoy family also lived during the 17th century, thus Pyotr Tolstoy himself is generally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noble house, being granted the title of count by Peter the Great.[15][16]

Life and career

Tolstoy at age 20, c. 1848
Tolstoy was born at Yasnaya Polyana, a family estate 12 kilometres (7.5 mi) southwest of Tula, Russia, and 200 kilometres (120 mi) south of Moscow. He was the fourth of five children of Count Nikolai Ilyich Tolstoy (1794–1837), a veteran of the Patriotic War of 1812, and Countess Mariya Tolstaya (née Volkonskaya; 1790–1830). After his mother died when he was two and his father when he was nine,[17] Tolstoy and his siblings were brought up by relatives.[2] In 1844, he began studying law and oriental languages at Kazan University, where teachers described him as "both unable and unwilling to learn."[17] Tolstoy left the university in the middle of his studies,[17] returned to Yasnaya Polyana and then spent much of his time in Moscow, Tula and Saint Petersburg, leading a lax and leisurely lifestyle.[2] He began writing during this period,[17] including his first novel Childhood, a fictitious account of his own youth, which was published in 1852.[2] In 1851, after running up heavy gambling debts, he went with his older brother to the Caucasus and joined the army. Tolstoy served as a young artillery officer during the Crimean War and was in Sevastopol during the 11-month-long siege of Sevastopol in 1854–55,[18] including the Battle of the Chernaya. During the war he was recognised for his bravery and courage and promoted to lieutenant.[18] He was appalled by the number of deaths involved in warfare,[17] and left the army after the end of the Crimean War.[2]
His conversion from a dissolute and privileged society author to the non-violent and spiritual anarchist of his latter days was brought about by his experience in the army as well as two trips around Europe in 1857 and 1860–61. Others who followed the same path were Alexander HerzenMikhail Bakunin and Peter Kropotkin. During his 1857 visit, Tolstoy witnessed a public execution in Paris, a traumatic experience that would mark the rest of his life. Writing in a letter to his friend Vasily Botkin: "The truth is that the State is a conspiracy designed not only to exploit, but above all to corrupt its citizens ... Henceforth, I shall never serve any government anywhere."[19] Tolstoy's concept of non-violence or Ahimsa was bolstered when he read a German version of the Tirukkural.[20] He later instilled the concept in Mahatma Gandhi through his A Letter to a Hindu when young Gandhi corresponded with him seeking his advice.[21][22]
His European trip in 1860–61 shaped both his political and literary development when he met Victor Hugo, whose literary talents Tolstoy praised after reading Hugo's newly finished Les Misérables. The similar evocation of battle scenes in Hugo's novel and Tolstoy's War and Peace indicates this influence. Tolstoy's political philosophy was also influenced by a March 1861 visit to French anarchist Pierre-Joseph Proudhon, then living in exile under an assumed name in Brussels. Apart from reviewing Proudhon's forthcoming publication, La Guerre et la Paix (War and Peace in French), whose title Tolstoy would borrow for his masterpiece, the two men discussed education, as Tolstoy wrote in his educational notebooks: "If I recount this conversation with Proudhon, it is to show that, in my personal experience, he was the only man who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of the printing press in our time."
Fired by enthusiasm, Tolstoy returned to Yasnaya Polyana and founded thirteen schools for the children of Russia's peasants, who had just been emancipated from serfdom in 1861. Tolstoy described the school's principles in his 1862 essay "The School at Yasnaya Polyana".[23] Tolstoy's educational experiments were short-lived, partly due to harassment by the Tsarist secret police. However, as a direct forerunner to A.S. Neill's Summerhill School, the school at Yasnaya Polyana[24] can justifiably be claimed the first example of a coherent theory of democratic education.

Personal life

The death of his brother Nikolay in 1860 had an impact on Tolstoy, and led him to a desire to marry.[17] On 23 September 1862, Tolstoy married Sophia Andreevna Behrs, who was sixteen years his junior and the daughter of a court physician. She was called Sonya, the Russian diminutive of Sofia, by her family and friends.[25] They had 13 children, eight of whom survived childhood:[26]
Tolstoy's wife Sophia and their daughter Alexandra
The marriage was marked from the outset by sexual passion and emotional insensitivity when Tolstoy, on the eve of their marriage, gave her his diaries detailing his extensive sexual past and the fact that one of the serfs on his estate had borne him a son.[25] Even so, their early married life was happy and allowed Tolstoy much freedom and the support system to compose War and Peace and Anna Karenina with Sonya acting as his secretary, editor, and financial manager. Sonya was copying and hand-writing his epic works time after time. Tolstoy would continue editing War and Peace and had to have clean final drafts to be delivered to the publisher.[25][27]
However, their later life together has been described by A.N. Wilson as one of the unhappiest in literary history. Tolstoy's relationship with his wife deteriorated as his beliefs became increasingly radical. This saw him seeking to reject his inherited and earned wealth, including the renunciation of the copyrights on his earlier works.
Some of the members of the Tolstoy family left Russia in the aftermath of the 1905 Russian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establishment of the Soviet Union, and many of Leo Tolstoy's relatives and descendants today live in SwedenGermany, the United KingdomFrance and the United States. Among them are Swedish jazz singer Viktoria Tolstoy and the Swedish landowner Christopher Paus, whose family owns the major estate Herresta outside Stockholm.[28]
One of his great-great-grandsons, Vladimir Tolstoy (born 1962), is a director of the Yasnaya Polyana museum since 1994 and an adviser to the President of Russia on cultural affairs since 2012.[29][30] Ilya Tolstoy's great-grandson, Pyotr Tolstoy, is a well-known Russian journalist and TV presenter as well as a State Duma deputy since 2016. His cousin Fyokla Tolstaya (born Anna Tolstaya in 1971), daughter of the acclaimed Soviet Slavist Nikita Tolstoy (ru) (1923–1996), is also a Russian journalist, TV and radio host.[31]

Novels and fictional works

Tolstoy in 1897
Tolstoy is considered one of the giants of Russian literature; his works include the novels War and Peace and Anna Karenina and novellas such as Hadji Murad and The Death of Ivan Ilyich.
Tolstoy's earliest works, the autobiographical novels ChildhoodBoyhood, and Youth (1852–1856), tell of a rich landowner's son and his slow realization of the chasm between himself and his peasants. Though he later rejected them as sentimental, a great deal of Tolstoy's own life is revealed. They retain their relevance as accounts of the universal story of growing up.
Tolstoy served as a second lieutenant in an artillery regiment during the Crimean War, recounted in his Sevastopol Sketches. His experiences in battle helped stir his subsequent pacifism and gave him material for realistic depiction of the horrors of war in his later work.[32]
His fiction consistently attempts to convey realistically the Russian society in which he lived.[33] The Cossacks (1863) describes the Cossack life and people through a story of a Russian aristocrat in love with a Cossack girl. Anna Karenina (1877) tells parallel stories of an adulterous woman trapped by the conventions and falsities of society and of a philosophical landowner (much like Tolstoy), who works alongside the peasants in the fields and seeks to reform their lives. Tolstoy not only drew from his own life experiences but also created characters in his own image, such as Pierre Bezukhov and Prince Andrei in War and Peace, Levin in Anna Karenina and to some extent, Prince Nekhlyudov in Resurrection.
War and Peace is generally thought to be one of the greatest novels ever written, remarkable for its dramatic breadth and unity. Its vast canvas includes 580 characters, many historical with others fictional. The story moves from family life to the headquarters of Napoleon, from the court of Alexander I of Russia to the battlefields of Austerlitz and Borodino. Tolstoy's original idea for the novel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Decembrist revolt, to which it refers only in the last chapters, from which can be deduced that Andrei Bolkonsky's son will become one of the Decembrists. The novel explores Tolstoy's theory of history, and in particular the insignificance of individuals such as Napoleon and Alexander. Somewhat surprisingly, Tolstoy did not consider War and Peace to be a novel (nor did he consider many of the great Russian fictions written at that time to be novels). This view becomes less surprising if one considers that Tolstoy was a novelist of the realist school who considered the novel to be a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nineteenth-century life.[34] War and Peace (which is to Tolstoy really an epic in prose) therefore did not qualify. Tolstoy thought that Anna Karenina was his first true novel.[35]
After Anna Karenina, Tolstoy concentrated on Christian themes, and his later novels such as The Death of Ivan Ilyich (1886) and What Is to Be Done? develop a radical anarcho-pacifist Christian philosophy which led to his excommunication from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n 1901.[36] For all the praise showered on Anna Karenina and War and Peace, Tolstoy rejected the two works later in his life as something not as true of reality.[37]
In his novel Resurrection, Tolstoy attempts to expose the injustice of man-made laws and the hypocrisy of institutionalized church. Tolstoy also explores and explains the economic philosophy of Georgism, of which he had become a very strong advocate towards the end of his life.
Tolstoy also tried himself in poetry with several soldier songs written during his military service and fairy tales in verse such as Volga-bogatyr and Oaf stylized as national folk songs. They were written between 1871 and 1874 for his Russian Book for Reading,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n four volumes (total of 629 stories in various genres) published along with the New Azbuka textbook and addressed to schoolchildren. Nevertheless, he was skeptical about poetry as a genre. As he famously said, "Writing poetry is like ploughing and dancing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Valentin Bulgakov, he criticised poets, including Alexander Pushkin, for their "false" epithets used "simply to make it rhyme".[38][39]

Critical appraisal by other authors

Tolstoy's contemporaries paid him lofty tributes. Fyodor Dostoyevsky, who died thirty years before Tolstoy's death, thought him the greatest of all living novelists. Gustave Flaubert, on reading a translation of War and Peace, exclaimed, "What an artist and what a psychologist!" Anton Chekhov, who often visited Tolstoy at his country estate, wrote, "When literature possesses a Tolstoy, it is easy and pleasant to be a writer; even when you know you have achieved nothing yourself and are still achieving nothing, this is not as terrible as it might otherwise be, because Tolstoy achieves for everyone. What he does serves to justify all the hopes and aspirations invested in literature." The 19th-century British poet and critic Matthew Arnold opined that "A novel by Tolstoy is not a work of art but a piece of life."[2]
Later novelists continued to appreciate Tolstoy's art, but sometimes also expressed criticism. Arthur Conan Doyle wrote "I am attracted by his earnestness and by his power of detail, but I am repelled by his looseness of construction and by his unreasonable and impracticable mysticism."[40] Virginia Woolf declared him "the greatest of all novelists."[2] James Joyce noted that "He is never dull, never stupid, never tired, never pedantic, never theatrical!" Thomas Mann wrote of Tolstoy's seemingly guileless artistry: "Seldom did art work so much like nature." Vladimir Nabokov heaped superlatives upon The Death of Ivan Ilyich and Anna Karenina; he questioned, however, the reputation of War and Peace, and sharply criticized Resurrection and The Kreutzer Sonata.

Religious and political beliefs

Tolstoy dressed in peasant clothing, by Ilya Repin (1901)















After reading Schopenhauer's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Tolstoy gradually became converted to the ascetic morality upheld in that work as the proper spiritual path for the upper classes: "Do you know what this summer has meant for me? Constant raptures over Schopenhauer and a whole series of spiritual delights which I've never experienced before. ... no student has ever studied so much on his course, and learned so much, as I have this summer"[41]
In Chapter VI of A Confession, Tolstoy quoted the final paragraph of Schopenhauer's work. It explained how the nothingness that results from complete denial of self is only a relative nothingness, and is not to be feared. The novelist was struck by the description of Christian, Buddhist, and Hindu ascetic renunciation as being the path to holiness. After reading passages such as the following, which abound in Schopenhauer's ethical chapters, the Russian nobleman chose poverty and formal denial of the will:
But this very necessity of involuntary suffering (by poor people) for eternal salvation is also expressed by that utterance of the Savior (Matthew 19:24): "It is easier for a camel to go through the eye of a needle, than for a rich man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ose who were greatly in earnest about their eternal salvation, chose voluntary poverty when fate had denied this to them and they had been born in wealth. Thus Buddha Sakyamuni was born a prince, but voluntarily took to the mendicant's staff; and Francis of Assisi, the founder of the mendicant orders who, as a youngster at a ball, where the daughters of all the notabilities were sitting together, was asked: "Now Francis, will you not soon make your choice from these beauties?" and who replied: "I have made a far more beautiful choice!" "Whom?" "La povertà (poverty)": whereupon he abandoned every thing shortly afterwards and wandered through the land as a mendicant.[42]
In 1884, Tolstoy wrote a book called What I Believe, in which he openly confessed his Christian beliefs. He affirmed his belief in Jesus Christ's teachings and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Sermon on the Mount, and the injunction to turn the other cheek, which he understood as a "commandment of non-resistance to evil by force" and a doctrine of pacifism and nonviolence. In his work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he explains that he considered mistaken the Church's doctrine because they had made a "perversion" of Christ's teachings. Tolstoy also received letters from American Quakers who introduced him to the non-violence writings of Quaker Christians such as George FoxWilliam Penn and Jonathan Dymond. Tolstoy believed being a Christian required him to be a pacifist; the consequences of being a pacifist, and the apparently inevitable waging of war by government, are the reason why he is considered a philosophical anarchist.
Later, various versions of "Tolstoy's Bible" would be published, indicating the passages Tolstoy most relied on, specifically, the reported words of Jesus himself.[43]
Mohandas K. Gandhi and other residents of Tolstoy Farm, South Africa, 1910
Tolstoy believed that a true Christian could find lasting happiness by striving for inner self-perfection through following the Great Commandment of loving one's neighbor and God rather than looking outward to the Church or state for guidance. His belief in nonresistance when faced by conflict is another distinct attribute of his philosophy based on Christ's teachings. By directly influencing Mahatma Gandhi with this idea through his work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full text of English translation available on Wikisource), Tolstoy's profound influence on the nonviolent resistance movement reverberates to this day. He believed that the aristocracy were a burden on the poor, and that the only solution to how we live together is through anarchism.[citation needed]
He also opposed private property in land ownership[44] and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valued the ideals of chastity and sexual abstinence (discussed in Father Sergius and his preface to The Kreutzer Sonata), ideals also held by the young Gandhi. Tolstoy's later work derives a passion and verve from the depth of his austere moral views.[45] The sequence of the temptation of Sergius in Father Sergius, for example, is among his later triumphs. Gorky relates how Tolstoy once read this passage before himself and Chekhov and that Tolstoy was moved to tears by the end of the reading. Other later passages of rare power include the personal crises that were faced by the protagonists of The Death of Ivan Ilyich, and of Master and Man, where the main character in the former or the reader in the latter are made aware of the foolishness of the protagonists' lives.
Tolstoy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anarchist thought.[46] The Tolstoyans were a small Christian anarchist group formed by Tolstoy's companion, Vladimir Chertkov (1854–1936), to spread Tolstoy's religious teachings. Philosopher Peter Kropotkin wrote of Tolstoy in the article on anarchism in the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Without naming himself an anarchist, Leo Tolstoy, like his predecessors in the popular religious movements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ChojeckiDenk and many others, took the anarchist position as regards the state and property rights, deducing his conclusions from the general spirit of the teachings of Jesus and from the necessary dictates of reason. With all the might of his talent, Tolstoy made (especially in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a powerful criticism of the church, the state and law altogether, and especially of the present property laws. He describes the state as the domination of the wicked ones, supported by brutal force. Robbers, he says, are far less dangerous than a well-organized government. He makes a searching criticism of the prejudices which are current now concerning the benefits conferred upon men by the church, the state, and the existing distribution of property, and from the teachings of Jesus he deduces the rule of non-resistance and the absolute condemnation of all wars. His religious arguments are, however, so well combined with arguments borrowed from a dispassionate observation of the present evils, that the anarchist portions of his works appeal to the religious and the non-religious reader alike.[47]
Tolstoy organising famine relief in Samara, 1891
During the Boxer Rebellion in China, Tolstoy praised the Boxers. He was harshly critical of the atrocities committed by the Russians, Germans, Americans, Japanese, and other western troops. He accused them of engaging in slaughter when he heard about the lootings, rapes, and murders, in what he saw as Christian brutality. Tolstoy also named the two monarchs most responsible for the atrocities; Nicholas II of Russia and Wilhelm II of Germany.[48][49] Tolstoy, a famous sinophile, also read the works of Chinese thinker and philosopher, Confucius.[50][51][52] Tolstoy corresponded with the Chinese intellectual Gu Hongming and recommended that China remain an agrarian nation and warned against reform like what Japan implemented.
The Eight-Nation Alliance intervention in the Boxer Rebellion was denounced by Tolstoy as were the Philippine–American War and the Second Boer War between the British Empire and the two independent Boer republics.[53] The words "terrible for its injustice and cruelty" were used to describe the Czarist intervention in China by Tolstoy.[54] Confucius's works were studied by Tolstoy. The attack on China in the Boxer Rebellion was railed against by Tolstoy.[55] The war against China was criticized by Leonid Andreev and Gorkey. To the Chinese people, an epistle, was written by Tolstoy as part of the criticism of the war by intellectuals in Russia.[56] The activities of Russia in China by Nicholas II were described in an open letter where they were slammed and denounced by Leo Tolstoy in 1902.[57] Tolstoy corresponded with Gu Hongming and they both opposed the Hundred Day's Reform by Kang Youwei and agreed that the reform movement was perilous.[58] Tolstoys' ideology on non violence shaped the anarchist thought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alism in China.[59] Lao Zi and Confucius's teachings were studied by Tolstoy. Chinese Wisdom was a text written by Tolstoy. The Boxer Rebellion stirred Tolstoy's interest in Chinese philosophy.[60] The Boxer and Boxer wars were denounced by Tolstoy.[61]
File:Leo Tolstoy-1908.webm
Film footage of Tolstoy's 80th birthday at Yasnaya Polyana. Footage shows his wife Sofya (picking flowers in the garden), daughter Aleksandra (sitting in the carriage in the white blouse), his aide and confidante, V. Chertkov (bald man with the beard and mustache) and students. Filmed by Aleksandr Osipovich Drankov, 1908.
In hundreds of essays over the last 20 years of his life, Tolstoy reiterated the anarchist critique of the state and recommended books by Kropotkin and Proudhon to his readers, whilst rejecting anarchism's espousal of violent revolutionary means. In the 1900 essay, "On Anarchy", he wrote; "The Anarchists are right in everything; in the negation of the existing order, and in the assertion that, without Authority, there could not be worse violence than that of Authority under existing conditions. They are mistaken only in thinking that Anarchy can be instituted by a revolution. But it will be instituted only by there being more and more people who do not require the protection of governmental power ... There can be only one permanent revolution—a moral one: the regeneration of the inner man." Despite his misgivings about anarchist violence, Tolstoy took risks to circulate the prohibited publications of anarchist thinkers in Russia, and corrected the proofs of Kropotkin's "Words of a Rebel", illegally published in St Petersburg in 1906.[62]
Tolstoy in his study in 1908 (age 80)
Tolstoy was enthused by the economic thinking of Henry George, incorporating it approvingly into later works such as Resurrection (1899), the book that played a major factor in his excommunication.[63]
In 1908, Tolstoy wrote A Letter to a Hindu[64] outlining his belief in non-violence as a means for India to gain independence from British colonial rule. In 1909, a copy of the letter was read by Gandhi, who was working as a lawyer in South Africa at the time and just becoming an activist. Tolstoy's letter was significant for Gandhi, who wrote Tolstoy seeking proof that he was the real author, leading to further correspondence between them.[20]
Reading Tolstoy's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also convinced Gandhi to avoid violence and espouse nonviolent resistance, a debt Gandhi acknowledged in his autobiography, calling Tolstoy "the greatest apostle of non-violence that the present age has produc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olstoy and Gandhi would only last a year, from October 1909 until Tolstoy's death in November 1910, but led Gandhi to give the name Tolstoy Colony to his second ashram in South Africa.[65] Besides nonviolent resistance, the two men shared a common belief in the merits of vegetarianism, the subject of several of Tolstoy's essays.[66]
Tolstoy also became a major supporter of the Esperanto movement. Tolstoy was impressed by the pacifist beliefs of the Doukhobors and brought their persecution to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fter they burned their weapons in peaceful protest in 1895. He aided the Doukhobors in migrating to Canada.[67] In 1904,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Tolstoy condemned the war and wrote to the Japanese Buddhist priest Soyen Shaku in a failed attempt to make a joint pacifist statement.
Towards the end of his life, Tolstoy become more and more occupied with the economic theory and social philosophy of Georgism.[68][69][70][71] He spoke of great admiration of Henry George, stating once that "People do not argue with the teaching of George; they simply do not know it. And it is impossible to do otherwise with his teaching, for he who becomes acquainted with it cannot but agree."[72] He also wrote a preface to George's Social Problems.[73] Tolstoy and George both rejected private property in land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come of the passive Russian aristocracy that Tolstoy so heavily criticized) whilst simultaneously both rejecting a centrally planned socialist economy. Some assume that this development in Tolstoy's thinking was a move away from his anarchist views, since Georgism requires a central administration to collect land rent and spend it on infrastructure. However, anarchist versions of Georgism have also been proposed since.[74] Tolstoy's 1899 novel Resurrection explores his thoughts on Georgism in more detail and hints that Tolstoy indeed had such a view.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mall communities with some form of local governance to manage the collective land rents for common goods; whilst still heavily criticising institutions of the state such as the justice system.

Death

Tolstoy's grave with flowers at Yasnaya Polyana
Tolstoy died in 1910, at the age of 82. Just prior to his death, his health had been a concern of his family,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his care on a daily basis. During his last few days, he had spoken and written about dying. Renouncing his aristocratic lifestyle, he had finally gathered the nerve to separate from his wife, and left home in the middle of winter, in the dead of night.[75] His secretive departure was an apparent attempt to escape unannounced from Sophia's jealous tirades. She was outspokenly opposed to many of his teachings, and in recent years had grown envious of the attention which it seemed to her Tolstoy lavished upon his Tolstoyan "disciples".
Tolstoy died of pneumonia[76] at Astapovo railway station, after a day's journey by train south.[77] The station master took Tolstoy to his apartment, and his personal doctors were called to the scene. He was given injections of morphine and camphor.
The police tried to limit access to his funeral procession, but thousands of peasants lined the streets. Still, some were heard to say that, other than knowing that "some nobleman had died", they knew little else about Tolstoy.[78]
According to some sources, Tolstoy spent the last hours of his life preaching love, non-violence, and Georgism to his fellow passengers on the train.[79]

In films

A 2009 film about Tolstoy's final year, The Last Station, based on the novel by Jay Parini, was made by director Michael Hoffman with Christopher Plummer as Tolstoy and Helen Mirren as Sofya Tolstoya. Both performers were nominated for Oscars for their roles. There have been other films about the writer, including Departure of a Grand Old Man, made in 1912 just two years after his death, How Fine, How Fresh the Roses Were (1913), and Leo Tolstoy, directed by and starring Sergei Gerasimov in 1984.
There is also a famous lost film of Tolstoy made a decade before he died. In 1901, the American travel lecturer Burton Holmes visited Yasnaya Polyana with Albert J. Beveridge, the U.S. senator and historian. As the three men conversed, Holmes filmed Tolstoy with his 60-mm movie camera. Afterwards, Beveridge's advisers succeeded in having the film destroyed, fearing that documentary evidence of a meeting with the Russian author might hurt Beveridge's chances of running for the U.S. presidency.[80]

Bibliography

See also

Notes

  1. ^ Tolstoy pronounced his first name as Russian pronunciation: [lʲɵf], which corresponds to the Romanisation Lyov. (Nabokov, Vladimir. Lectures on Russian literature. p. 216.)
  2. ^ In Tolstoy's day, his name was written as Левъ Николаевичъ Толстой in post-reformed Russian

References


  1. ^ "Tolstoy".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Leo Tolstoy". Encyclopaedia Britannica. Retrieved 4 September 2018.
  3. ^ "Nomination Database". old.nobelprize.org. Retrieved 8 March 2019.
  4. ^ "Proclamation sent to Leo Tolstoy after the 1901 year's presentation of Nobel Prizes". NobelPrize.org. Retrieved 8 March 2019.
  5. ^ Hedin, Naboth (1 October 1950). "Winning the Nobel Prize". The Atlantic. Retrieved 8 March 2019.
  6. ^ "Nobel Prize Snubs In Literature: 9 Famous Writers Who Should Have Won (Photos)". Huffington Post. 7 October 2010. Retrieved 8 March 2019.
  7. ^ Beard, Mary (5 November 2013). "Facing death with Tolstoy". The New Yorker.
  8. ^ Martin E. Hellman, Resist Not Evil in World Without Violence (Arun Gandhi ed.), M.K. Gandhi Institute, 1994, retrieved on 14 December 2006
  9. ^ King, Jr., Martin Luther; Clayborne Carson; et al. (2005).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Volume V: Threshold of a New Decade, January 1959 – December 196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49, 269, 248. ISBN 978-0-520-24239-5.
  10. ^ Jump up to:a b c d Vitold Rummel, Vladimir Golubtsov (1886). Genealogical Collection of Russian Noble Families in 2 Volumes. Volume 2 // The Tolstoys, Counts and Noblemen. Saint Petersburg: A.S. Suvorin Publishing House, p. 487
  11. ^ Jump up to:a b Ivan Bunin, The Liberation of Tolstoy: A Tale of Two Writers, p. 100
  12. ^ Nemoy/Немой word meaning from the Dahl's Explanatory Dictionary (in Russian)
  13. ^ Troyat, Henri (2001). Tolstoy. ISBN 978-0-8021-3768-5.
  14. ^ Robinson, Harlow (6 November 1983). "Six Centuries of Tolstoys". The New York Times.
  15. ^ Tolstoy coat of arms by All-Russian Armorials of Noble Houses of the Russian Empire. Part 2, 30 June 1798 (in Russian)
  16. ^ The Tolstoys article from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1890–1907 (in Russian)
  17. ^ Jump up to:a b c d e f "Author Data Sheet, Macmillan Readers" (PDF).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Retrieved 22 October 2010.
  18. ^ Jump up to:a b "Ten Things You Didn't Know About Tolstoy". BBC.
  19. ^ A.N. Wilson, Tolstoy (1988), p. 146
  20. ^ Jump up to:a b Rajaram, M. (2009). Thirukkural: Pearls of Inspiration. New Delhi: Rupa Publications. pp. xviii–xxi.
  21. ^ Tolstoy, Leo (14 December 1908). "A Letter to A Hindu: The Subjection of India-Its Cause and Cure". The Literature Network. Retrieved 12 February 2012. The Hindu Kural
  22. ^ Parel, Anthony J. (2002), "Gandhi and Tolstoy", in M.P. Mathai; M.S. John; Siby K. Joseph (eds.), Meditations on Gandhi: a Ravindra Varma festschrift, New Delhi: Concept, pp. 96–112, retrieved 8 September 2012
  23. ^ Tolstoy, Lev N.; Leo Wiener; translator and editor (1904). The School at Yasnaya Polyana – The Complete Works of Count Tolstoy: Pedagogical Articles. Linen-Measurer, Volume IV. Dana Estes & Company. p. 227.
  24. ^ Wilson, A.N. (2001). Tolstoy. W.W. Norton. p. xxi. ISBN 978-0-393-32122-7.
  25. ^ Jump up to:a b c Susan Jacoby, "The Wife of the Genius" (19 April 1981) The New York Times
  26. ^ Feuer, Kathryn B. Tolstoy and the Genesis of War and Pea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ISBN 0-8014-1902-6
  27. ^ War and Peace and Sonya. uchicago.edu.
  28. ^ Nikolai Puzin, The Lev Tolstoy House-Museum In Yasnaya Polyana (with a list of Leo Tolstoy's descendants), 1998
  29. ^ Vladimir Ilyich Tolstoy at the official Yasnaya Polyana website
  30. ^ "Persons ∙ Directory ∙ President of Russia". President of Russia.
  31. ^ "Толстые / Телеканал "Россия – Культура"". tvkultura.ru.
  32. ^ Government is Violence: essays on anarchism and pacifism. Leo Tolstoy – 1990 – Phoenix Press
  33. ^ Tolstoy: the making of a novelist. E Crankshaw – 1974 – Weidenfeld & Nicolson
  34. ^ Tolstoy and the Development of Realism. G Lukacs. Marxists on Literature: An Anthology, London: Penguin, 1977
  35. ^ Tolstoy and the Novel. J Bayley – 1967 – Chatto & Windus
  36. ^ Church and State. L Tolstoy – On Life and Essays on Religion, 1934
  37. ^ Women in Tolstoy: the ideal and the erotic R.C. Benson – 1973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8. ^ Leo Tolstoy (1874). Russian Book for Reading in 4 Volumes. Moscow: Aegitas, 381 pages
  39. ^ Valentin Bulgakov (2017). Diary of Leo Tolstoy's Secretary. Moscow: Zakharov, 352 pages, p. 29 ISBN 978-5-8159-1435-3
  40. ^ Doyle, Arthur Conan (January 1898). My Favourite Novelist and His Best Book. London. Retrieved 6 October 2017.
  41. ^ Tolstoy's Letter to A.A. Fet, 30 August 1869
  42. ^ Schopenhauer, Parerga and Paralipomena, Vol. II, § 170
  43. ^ Orwin, Donna T.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4. ^ I Cannot Be Silent. Leo Tolstoy. Recollections and Essays, 1937.
  45. ^ editor on (8 September 2009). "Sommers, Aaron (2009) Why Leo Tolstoy Wouldn't Supersize It". Coastlinejourn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17. Retrieved 16 May 2010.
  46. ^ Christoyannopoulos, Alexandre (2009).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Leo Tolstoy's Late Political Thought.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Tolstoy articulated his Christian anarchist political thought between 1880 and 1910, yet its continuing relevance should have become fairly self-evident already.
  47. ^ Kropotkin, Peter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New York : Encyclopaedia Britannica. p. 918. Anarchism
  48. ^ William Henry Chamberlin,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and Peace, Ohio State University (1960). Michael Karpovich, Dimitri Sergius Von Mohrenschildt (ed.). The Russian review, Volume 19. Blackwell. p. 115.(Original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49. ^ Walter G. Moss (2008). An age of progress?: clashing twentieth-century global forces. Anthem Press. p. 3. ISBN 978-1-84331-301-4.
  50. ^ Lukin, Alexander (2003). The Bear Watches the Dragon. ISBN 978-0-7656-1026-3.
  51. ^ Donna Tussing Orwin (2002).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7. ISBN 978-0-521-52000-3.
  52. ^ Derk Bodde (1950). Tolstoy and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5.(Original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53. ^ Apollon Davidson, Irina Filatova. The Russians and the Anglo Boer War. Cape Town: Human & Rousseau, 1998. p. 181
  54. ^ Robert S. Cohen; J.J. Stachel; Marx W. Wartofsky (1974). For Dirk Struik: Scientific, Historical and Political Essays in Honour of Dirk J. Strui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606–. ISBN 978-90-277-0393-4.
  55. ^ Donna Tussing Orwin (2002).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7–. ISBN 978-0-521-52000-3.
  56. ^ Mark Gamsa (2008). The Chinese Translation of Russian Literature: Three Studies. Brill. pp. 14–. ISBN 978-90-04-16844-2.
  57. ^ James Flath; Norman Smith (2011). Beyond Suffering: Recounting War in Modern China. UBC Press. pp. 125–. ISBN 978-0-7748-1957-2.
  58. ^ Khoon Choy Lee (2005). Pioneers of Modern China: Understanding the Inscrutable Chinese. World Scientific. pp. 10–. ISBN 978-981-256-618-8.
  59. ^ Heather M. Campbell (2009). The Britannica Guide to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s That Changed the Modern World. The Rosen Publishing Group. pp. 194–. ISBN 978-1-61530-016-7.
  60. ^ Derk Bodde (1967). Tolstoy and China. Johnson Reprint Corporation. pp. 25, 44, 107.
  61. ^ Leo Tolstoy; Leo Tolstoy (graf); Reginald Frank Christian (1978). Tolstoy's Letters: 1880–1910.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Limited. p. 580. ISBN 978-0-485-71172-1.
  62. ^ Peter Kropotkin: From Prince to Rebel. G Woodcock, I Avakumović.1990.
  63. ^ Wenzer, Kenneth C. (1997). "Tolstoy's Georgist Spiritual Political Economy (1897–1910): Anarchism and Land Reform". The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56 (4, Oct): 639–667. doi:10.1111/j.1536-7150.1997.tb02664.x. JSTOR 3487337.
  64. ^ Parel, Anthony J. (2002), "Gandhi and Tolstoy", in M. P. Mathai; M.S. John; Siby K. Joseph (eds.), Meditations on Gandhi : a Ravindra Varma festschrift, New Delhi: Concept, pp. 96–112
  65. ^ Tolstoy and Gandhi, men of peace: a biography. MB Green – 1983 – Basic Books
  66. ^ Tolstoy, Leo (1892). "The First Step". Retrieved 21 May 2016. ... if [a man] be really and seriously seeking to live a good life, the first thing from which he will abstain will always be the use of animal food, because ... its use is simply immoral, as it involves the performance of an act which is contrary to the moral feeling – killing. Preface to the Russian translation of Howard William's The Ethics of Diet
  67. ^ Mays, H.G. "Resurrection:Tolstoy and Canada's Doukhobors." The Beaver 79.October/November 1999:38–44
  68. ^ Tolstoy: Principles For A New World Order, David Redfearn
  69. ^ "Tolstoy".
  70. ^ "Leo Tolstoy". Prosper Australia.
  7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8. Retrieved 30 May2015.
  72. ^ “A Great Iniquity,” letter to the London Times (1905)
  7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13. Retrieved 30 May2015.
  74. ^ Foldvary, Fred E. (15 July 2001). "Geoanarchism". anti-state.com. Retrieved 15 April2009.
  75. ^ The last days of Tolstoy. VG Chertkov. 1922. Heinemann
  76. ^ Leo Tolstoy. EJ Simmons – 1946 – Little, Brown and Company
  77. ^ Meek, James (22 July 2010). "James Meek reviews 'The Death of Tolstoy' by William Nickell, 'The Diaries of Sofia Tolstoy' translated by Cathy Porter, 'A Confession' by Leo Tolstoy, translated by Anthony Briggs and 'Anniversary Essays on Tolstoy' by Donna Tussing Orwin · LRB 22 July 2010". London Review of Books. pp. 3–8.
  78. ^ Tolstaya, S.A. The Diaries of Sophia Tolstoy, Book Sales, 1987; Chertkov, V. "The Last Days of Leo Tolstoy," http://www.linguadex.com/tolstoy/index.html, translated by Benjamin Scher
  79. ^ Kenneth C. Wenzer, "Tolstoy's Georgist spiritual political economy: anarchism and land reform – 1897–1910", Special Issue: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enry George, The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Oct 1997; http://www.ditext.com/wenzer/tolstoy.html
  80. ^ Wallace, Irving, 'Everybody's Rover Boy', in The Sunday Gentleman. New York: Simon & Schuster, 1965. p. 117.
Further reading


Craraft, James. Two Shining Souls: Jane Addams, Leo Tolstoy, and the Quest for Global Peace (Lanham: Lexington, 2012). 179 pp.
Lednicki, Waclaw (April 1947). "Tolstoy through American eyes".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25 (65).
Trotsky's 1908 tribute to Leo Tolstoy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ICFI).
The Life of Tolstoy: Later years by Aylmer Maude, Dodd, Mead and Company, 1911 at Internet Archive
Why We Fail as Christians by Robert Hunter, The Macmillan Company, 1919 at Wikiquote
Why we fail as Christians by Robert Hunter, The Macmillan Company, 1919 at Google Books

External links

Leo Tolstoyat Wikipedia's sister projects
Media from Wikimedia Commons
Quotations from Wikiquote
Texts from Wikisource
Data from Wikidata

Leo Tolstoy at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Works by Leo Tolstoy at Project Gutenberg
Works by or about Leo Tolstoy at Internet Archive
Works by Leo Tolstoy at LibriVox (public domain audiobooks)
Leo Tolstoy at the Internet Book List
Online project (readingtolstoy.ru) to create open digital version of 90 volumes of Tolstoy works
Leo Tolstoy on IMDb
"Tolstoy", BBC Radio 4 discussion with A.N. Wilson, Sarah Hudspith and Catriona Kelly (In Our Time, 25 April 2002)
Newspaper clippings about Leo Tolstoy in the 20th Century Press Archives of the ZBW

05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 신동아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 신동아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김용옥이 하버드 나온 걸 자랑하지만, 나는 똥 푸며 진리 깨쳤소”
  • 글: 김서령 자유기고가 psyche325@hanmail.net


입력
2005-07-11 
  • 오직 땀 흘리고 농사지으며 다석을 사모하고 공부해온 사람. 20대 시절 책에서 얻은 생각을 평생 순결하게 지켜온 사람. 은둔 철학자, 박영호. “모든 종교는 같은 뿌리에서 온다”고 설파하는 그는 평생을 바친 다석사상의 최고 권위자로 우뚝 섰다.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처음듣는 이야기로 시작하자. 아주 신기해서 역시 공부하는 사람은 눈이 맵기가 예사 아니라고 자꾸 감탄케 하는 이야기다.

“고독할 때 외로울 고(孤)가 아들 자(子) 변에 외과자(瓜)가 들어가지요? 영어의 멜론(melon)도 me 뒤의 lon이 외롭다(lone)는 뜻이지요? 우리말 ‘참외’ 의 ‘-외’도 외롭다는 뜻 아닐까요? 그게 왜 그럴까 생각해본 일 있습니까?”

바싹 다가앉을 수밖에 없다. 왜 그럴까 의문을 갖기는커녕 숱하게 그 단어를 발음하면서도 거기 주목해본 적이 없다. 참‘외’와 메‘LONE’과 고독할 ‘孤’에 나오는 ‘瓜’라!

“그 의문을 풀기 위해 참외밭을 유심히 뒤적거려봤습니다. 그랬더니 참외는 한 덩굴에 하나씩만 열리더군요. 참외 하나에 이파리 하나가 이렇게 덮여 있어요. 개체는 외로운 거죠. 단독자인 인간도 태어나면서부터 참외처럼 고독할 수밖에 없어요. 전체인 ‘한아님’이 내 속에 들어앉아 있다는 것을 알아야 비로소 고독하지 않게 되는 거지요”

여윈 몸매에 형형한 눈매를 지닌 박영호(朴永浩·72) 선생을 만났다. 지치는 낯빛 없이 일곱 시간을 이야기했다. 일어서 보니 시간이 거짓말처럼 그렇게 흘러가 있었다. 그는 다석(多夕) 유영모(柳永模· 1890~1981) 선생의 두 명뿐인 제자 중 한 분이다. 김흥호 교수가 대학에서 종교철학을 공부하고 강의했다면 그는 스승의 뜻대로 오로지 이마에 땀 흘리고 농사짓는 삶을 살며 다석을 사모하고 공부해왔으니 유일한 제자라고 말할 수도 있다. 실제 다석 선생에게 ‘마침보람’이라 적힌 봉함엽서를 받은 적도 있으니 일종의 졸업증서를 수여받은 셈이다. 그걸 받은 사람은 이제껏 박영호가 유일하다니 하나뿐인 제자라고 말해도 과장된 건 아닐 거다.

“다석사상을 나쁘게 말하는 사람들은 혼합종교 아니냐고도 하고 다원주의 아니냐고도 하지만 그렇게 말할 수는 없어요. 차라리 일원다교(一元多敎)라고나 할까요? 겉으로는 무슨 종교를 표방해도 결국 근원은 하나임을 밝히는 것이 선생님의 사상입니다.”

다석 선생은 세간에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알려지기를 원치도 않았다. 그저 함석헌 선생의 스승으로, ‘씨알’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사람 정도로만 알려졌을 뿐이지만 독특한 신관(神觀)과 인생관을 가진 철학자로 사후에야 그를 연구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함석헌 사상은 그저 다석의 갈비뼈 하나를 풀어놓은 것밖에 되지 않는다’는 게 학자들 사이의 통설이라 한다.

“‘오똑앉을 궤’라는 글자가 있어요. 발족(足) 위에 위험할 위(危)자를 쓰는 글자인데…. 서울 구기동 집으로 다석 선생을 뵈러 갔더니 그런 자세로 앉아 계셨어요. 수행법의 하나죠. 52세 되던 해 널을 한 감 짜서 널 밑판(그러니까 칠성판이죠)을 깔고 그런 식으로 허리를 곧추세우고 단전에 힘을 주고 앉아 계셨어요. 우리는 선생님 앞에 30분만 마주앉아 있어도 몸이 뒤틀려 견딜 수가 없었죠. 하루 일식만 하시고 널 위에서 주무시고 가족들 모아놓고 해혼을 선언하셨죠. 해혼요? 결혼의 반대죠. 맺을 결(結)이 아니라 풀해(解)자 해혼. 동거는 하지만 잠자리를 같이하진 않는다는 뜻이에요.”

톨스토이로 맺은 인연

그럼 박영호 선생은 다석을 어찌 만나 제자가 되었나? 역시 6·25전쟁이 거기 가로놓여 있다. 이야기는 절실하고 핍진(逼眞)하고 뜨거웠다.

“우리집은 대구 팔공산 너머 마을인데 6·25전쟁 때 격전지였어요. 안동, 의성, 대구가 전선의 마지막 라인이었잖습니까. 낙동강전투가 고향마을을 중심으로 벌어져 한 달을 밀고 밀리면서 싸웠으니 주변이 온통 시산혈해(屍山血海)였어요. 인민군과 국군의 시체가 서로 섞여 썩느라 냄새가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습니다. 인민군은 노새에다 보급품을 실어 날랐거든요. 제공권을 뺏겼으니 비행기로는 물자를 실어 나를 수가 없어 그랬겠지요. 그 노새가 숱하게 죽어나자빠져서 또 다른 썩는 냄새를 풍기고 있었어요.”

눈앞에서 즉결처분하는 것도 수시로 목격했다. 그의 나이 열일곱, 공업학교에 다니다 말고 헌병대에 배속되어 장총을 하나 얻어 메고 군복을 얻어 입었다. 근방 지리를 잘 아는 사람이 필요했기에 군인들의 가이드 노릇을 했다. 죽이는 사람과 죽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하도 많이 봐서 그는 신경쇠약에 걸릴 수밖에 없었다.

“한번은 오열(五列·간첩)이 넘어왔어요. 헌병은 쫓아오고 오열은 도망가는데 더는 갈 데가 없으니까 우물 안으로 들어가버려요. 거기다 총을 갈기니 우물이 온통….”

그런 장면이 떠올라 밤이 돼도 도무지 잠을 잘 수가 없었다. 눈이 무슨 투시경이 된 듯 사람이 걸어다니면 그 안에 든 해골이 훤하게 보였다.
------------
“버스를 타면 그 안에도 해골들이 죽 앉아 있는 겁니다. 겁은 나고 잠은 오지 않으니 디립다 책만 읽어제꼈어요. 당시 칼 힐티의 ‘잠 못 이루는 밤을 위하여’가 유행했는데 그건 아무 소용없었고, 톨스토이의 ‘참회록’을 읽으면서 비로소 평화가 찾아오는 걸 느꼈습니다. 톨스토이가 50세에 우울증을 앓았는데, 거기에 자살하게 될까봐 총도 치우고 노끈도 치우는 장면이 나와요. 그럴 때 하느님만 찾으면 평화를 얻는 걸 보고, ‘아, 하느님이 계시는구나’ 하고 처음 알게 됐지요.”

톨스토이 전집을 몽땅 구해 읽었다. 소설보다 50세 이후에 쓴 ‘예술론’ ‘인생론’ ‘우리가 어찌할꼬’ 같은 글들이 좋았다. 톨스토이 전집을 다 읽고 나니 어떤 관점이 생겼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 답을 얻은 기분이었다. 자신도 모르는 새 톨스토이안이 된 것이다. 특별하게 사는 사람이 있다는 소문을 들으면 일부러 찾아가보았다. 마침 그때 부산 피난지에서 발간되던 ‘사상계’에서 함석헌 선생의 글을 읽었다. ‘한국 기독교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였다.

“함 선생도 톨스토이안인 걸 금방 알겠더군요. 요즘 말로 하면 ‘코드’가 맞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함석헌 선생의 주소를 알고 싶다고 사상계에 편지를 썼지요. 답장이 왔더군요. 잊지도 않아요. 그 주소! 원효로 4가 70번지. 물론 함 선생에게 다시 편지를 썼지요. 나는 톨스토이 영향으로 일생 농사짓고 살려는 사람이다. 한번 만나고 싶다고….”

순수하고 열정적인 숭배

박영호 선생 이야기가 재미있는 건 내용도 내용이지만, 디테일이 생생하기 때문이다. 함 선생을 처음 만난 식당 이름, 먹은 음식, 오갔던 말들을 50년이 넘도록 그는 선명하게 간직하고 있었다.


“아무 날 대구 YMCA에 강의하러 내려가니 그때 만나자는 답장이 왔어요. 서두에 ‘나도 톨스토이 영향 받은, 작은 한 사람이다’라고 쓰셨더군요.”

대구에 가서 함 선생을 만나 강연을 듣고 다음 목적지인 대구보육원까지 따라갔다.

“보육원에서 함 선생을 아주 잘 대접합디다. 전쟁 직후인데 신선로가 나왔어요. 나는 그날 신선로라는 음식을 처음 봤어요. 침대에서도 처음 자봤고. 함 선생이 두루마기를 벗을 때 보니까 양가죽 조끼를 입고 계시데요. 그날 다석 선생님 이름을 처음 들었지요. 공경 경자(敬)를 말하는데 그게 구차할 구자 옆에 씌어 있다면서 구차함 속에서 공경이 나온다는 얘기 중이었던 것 같아요. 함 선생이 그날 내게 ‘톨스토이처럼 농사지으며 공부하는 공동체 생활을 해보고 싶은데 농장이 마련되면 같이 살지 않겠냐’고 제의하셨어요.”

마산요양소로 가는 함 선생을 배웅하고 집에 돌아왔다. 그로부터 40~50통의 편지를 교환했다. 강원도 평창 산꼭대기에 땅이 500마지기가 났다는 소식도 오고, 가봤더니 추워서 안 되겠노라는 연락도 왔다. 마침내 중앙신학대학에서 구내 이발소 하는 사람이 충남 천안에 있는 땅을 함 선생께 내놓았다는 편지가 왔다. 그 땅에 과수를 심었는데 거름 줄 일손이 필요하다, 똥 풀 사람은 박영호밖에 없다, 그러니 하루빨리 오라고 했다.

“아주 기뻤어요. 존경하는 스승과 함께 살러가는 벅찬 걸음인데 어찌 방자하게 차를 타고 갈 수 있겠나 싶데요. 한 걸음씩 걸어서 가기로 작정했어요. 마침 그때 함 선생님이 사상계에 ‘생각하는 백성이 산다’란 글을 발표하신 게 있었어요. 정치적 혁명을 하자면 난리 나니까 그 말은 않고 정신적 혁명을 해야 한다는 글이었는데, 굉장한 암시를 담고 있어 내 피를 끓어오르게 한 내용이죠. 그걸 복사해서 가방에 한아름 넣었어요. 가면서 만나는 사람마다 그거 한 부씩 나눠주는 거예요.

구미 지나 안동 지나 문경으로 올라갔죠. 막 문경시멘트 공장이 생겼더군요. 충주 달천을 지날 때는 일부러 임경업 장군 사당을 찾아가 하룻밤 묵었어요. 함 선생님이 ‘성서적 입장에서 본 한국역사’에서 임경업 장군을 크게 칭찬한 걸 읽었거든요. 집을 나선 지 일주일 만에 천안에 도착했어요. 거지꼴이 돼서 선생 계신 곳을 찾았더니 마당가 위에서 주무시다가 반기며 일어나시더군요.”

이렇게 순수하고 열정적인 숭배가 있나. 그 시절은 비할 데 없이 행복했다. 중앙신학대학 학생이 몇 와 있어 농장 식구가 다섯쯤 됐다. 강당에 모여 같이 기도하고 찬송했다. 성경과 톨스토이와 사서삼경과 고문진보와 간디 자서전을 같이 읽고 토론했다. 물론 주된 일은 천안 시내까지 달구지를 끌고 가서 똥을 퍼오고 발이 세 개인 이북식 호미로 간작한 고구마 밭을 매는 농사일이었지만 힘들지 않았다. 뿌듯하고 충만했다.

“소낙비가 올 때 밭을 매면 마음이 급해지잖아요. 입은 다물고 호미질만 급히 하노라면 흐린 하늘 아래 호미소리만 들리죠. 선생님이 문득 호미를 멈추고 ‘들어봐라, 이것이야말로 최상의 음악소리 아니냐’ 하신 적도 있었죠.”

벅차게 살았다 한들 외로움이야 왜 없었을까. 똥을 담은 지게를 지고 천안시내를 걸어오면 눈앞으로 교복 입은 여고생이 지나가곤 했다. 눈물이 푹 솟는 날도 있었다. ‘내가 지금 어디서 뭘 하고 있는 거지?’싶기도 했다.

“모든 종교의 기본은 에고(ego·자아)를 죽이는 것이잖아요. 기독교의 ‘날 버려라’, 불교의 고집멸도(苦潗滅道), 공자의 극기(克己), 노자의 무사(無私)가 다 에고를 죽이라는 말인데 나는 천안농장에서 어지간히 그 연습을 했던 것 같습니다. 영적으로 거듭나려면 에고를 죽일 수밖에 없어요. 에고는 거짓 나죠. 그게 죽는 자리에 참나가 들어서는 겁니다. 천안역 앞에서 행인에게 손을 벌리는 거지가 천사처럼 보이는 순간이 있었어요. 그 손이 하늘나라 시민증을 보여달라고 하는 것 같았어요. 손을 내밀면 천국시민이고 외면하면 아닌 거죠. 김용옥은 하버드 나온 걸 자랑하지만 나는 똥 푸면서 큰 가르침을 얻은 거예요.”
--------
함 선생은 금요일엔 서울로 갔다. 자신의 ‘선생님’을 만난다고 했다. 함 선생만 해도 그에게는 하늘 같은데, 그 선생님의 선생님은 도대체 누굴까 싶었다. 그때 다석 선생은 매주 금요일 서울 YMCA에서 기독교 사상을 강의하고 있었다.

“성도 안 붙이고 그냥 선생님이라고만 해요. 유 선생님이라고 하면 유달영 선생인 거지…. 함 선생님이 ‘일주일에 우리 선생님만치 정신생산 하시는 분은 역사상 드물 거라’고 하시는데 그 분이 누군지 늘 궁금했지요.”

함석헌과의 결별과 재회

그 무렵 함석헌 선생은 서울시경에 붙잡혀 갔다. 사상계 6·25 특집 칼럼으로 ‘평화통일을 하자, 이북과 화해를 해야지 더 이상 싸워서는 안 된다. 북한동포가 남으로 내려올 때 총이나 쐈지 얼싸안은 사람 한 명이라도 있느냐, 사람 죽인 게 무슨 자랑이라고 훈장을 달고 그러느냐’는 요지의 글을 썼으니, 당시로서는 뒤집어질 소리였다. 농장 식구들도 가까이 있던 특무대에 다들 잡혀갔다.

“우리 함 선생님이 신의주 학생 의거에 참여했다 소련군으로부터 사형선고까지 받았던 사람이니 김일성 뱃속에 집어넣다 꺼내도 빨갛게는 안 될 사람인데 간첩으로 의심한다니 말이 되냐고, 평화통일 하자는 게 선각자적 소리지 자꾸 싸우자고 해야 되는 거냐고 막 따졌지요. 정 의심스러우면 내가 지금까지 써온 농장일지가 있으니 조사해보라고 했더니 일지만 받고 우린 풀어주더군요.


함 선생 별명이 ‘글쎄요’였어요. 암만 확실해도 ‘글쎄요’라고 조심스럽게 말했지, 글처럼 절대 힘차고 결연하게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나중에 들은 이야긴데 조봉암이 함 선생께 도와달라고 찾아왔더래요. 함 선생이 거절했답디다. ‘조봉암 사건이 터졌을 때 가담했으면 나도 죽었을 걸’ 하시던 게 기억나요.”

대구형무소에서 탈옥한 죄수 강오원도 잊을 수 없다.

“다섯 겹 형무소 담을 뛰어넘은 사람인데, 그의 변이 ‘한국은 스케일이 너무 좁아 도망갈 데도 없더라. 만주벌판 같았으면 내가 마구 날아다녔을 텐데…’였거든요. 함 선생이 그 뉴스를 듣고는 ‘우리, 대구로 강오원이 면회 한번 갈까’ 하시는 겁니다. ‘이성계 그릇이 강오원이보다 못하니까 만주를 뺏겼지’ 하고 안타까워하시면서….”

농장에서 3년을 땀 흘리며 신성하게 살았다. 그때쯤 순결한 청년 박영호의 귀에 스승 함석헌의 스캔들이 들려왔다. 상상하기도 싫은 소문이었고 믿을 수도 없었다.

“당시 나는 선생님이 똥 누고 오줌 누는 것조차 인정하기 싫었어요. 너무 어려서 그랬겠지요. 스캔들을 들으니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더라고요. 어느 날 밤 남들 잠든 후에 선생님 방에 찾아가서 물었죠. 사실이냐고? 아니라는 말을 듣고 싶어서 찾아왔다고. 한참 입을 다물고 계시더니 선생이 사실이라고 하시는 겁니다. ‘내가 북한에 있을 때는 집안 고모하고도 내외하는 법도를 지키던 사람인데 한번 여자하고 사귀니까 사타구니가 빠져서 헤어나지 못하겠더라’ 그러면서 ‘너는 나처럼 되지 말고 비노바 바베(인도의 구도자)처럼 되라’ 하시더군요.”

도저히 용납할 수 없었다. 함석헌 선생이 오직 하나의 님이었는데 그 님이 무너져버렸으니 살고 싶지도 않았다. 그 후부터는 선생이 무슨 말을 해도 교회식으로 말해서 은혜가 되지 않았다. 얼마나 괴로웠는지 말할 수도 없다.

“지금 생각하면 인간이니까 그럴 수도 있는 일인데…. 내가 선생을 너무 우상화했던 게 문제였어요.”

눈물을 줄줄 흘리면서 함 선생 곁을 떠났다. 공식 모임에서는 가끔 만났지만 개인적인 대화는 싹 끊었다. 그가 함 선생과 화해한 것은 함 선생이 임종하기 직전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있을 무렵이었다. 함 선생은 다석 선생의 한시를 박영호가 해설한 책 ‘씨알의 말씀’에 꼭 서문을 써주고 싶어 했다. 병이 위중해지는 와중에도 퇴원하면 그것부터 쓰겠다고 하더니 결국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떴다.

함 선생을 떠난 그는 고향에 내려가서 천안 시절부터 편지를 주고받던 여인을 아내로 맞아 함께 서울로 올라온다. 금요일이면 예전 함 선생이 하던 대로 YMCA에 나가 유영모 선생 강의를 들었다. 그걸 들을 목적으로 서울에 온 셈이었다. 일은 물론 농사였다.

“십계명보다 땀 흘리는 노동이 먼저라고 톨스토이가 말했거든요. 양심적으로 참되게 살아야 하는데 농사를 안 짓고 어찌 참되게 살 수 있겠나 싶었지요.”

‘농사짓는 사람이 예수다’

다석은 늘 “농사짓는 사람이야말로 예수다. 농사짓는 사람에게는 따로 예수 믿으라는 소리를 할 필요가 없다. 우리 모두 3대 무식할 각오하고 농사지으러 가자”고 했다. 그리고 직접 북한산 비봉 아래 구기동 골짜기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집으로 찾아가면 널판 위에 곧추 앉아 한없이 이야기를 들려주시곤 했다.

“1955년에 YMCA에서 처음 선생님을 뵙고 댁으로 갔을 때 대뜸 하시는 말씀이 ‘생각이 나느냐?’였어요.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 생각이 난다’고 했더니 ‘그러면 됐다’고 하셔요. 선생님은 누구를 만나든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 가족이 어떻게 되는지, 재산이 얼마인지 이런 건 절대 물어보는 법이 없어요. 대신 하느님하고 영통(靈通)하는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영감)인 ‘생각’이 나느냐고 물으셨지요.”
----------
다석 선생은 닭이 날마다 알을 낳듯이 날마다 글을 썼다. 그렇다고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은 아니었다. 생전의 저술이 하나도 없고 오직 일기식의 다석일지만 남겼는데 거기 담긴 한시가 1300수, 시조가 무려 2000수다. ‘우리 역사상 그만한 시를 쓴 사람은 아무도 없을 걸요’ 하며 그는 스승을 우러른다.

그의 집과 논은 시흥에 있었다.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 시흥이 서울에 편입된다고 하자 그는 서울시민이 되는 것이 싫어 경기도 의왕으로 농장을 옮긴다. 값이 싸서 땅을 좀더 넓힐 수 있었다. 삽을 여러 개 부러뜨려가면서 논밭 6000평을 개간한다. 농사짓는 짬짬이 책을 읽고 유영모 선생 강의를 듣고 집에 찾아가 다시 말씀을 듣는 나날이었다. 1965년 어느 날 여느 때와 다름없이 구기동에 갔더니 선생이 ‘단사(斷辭)’라는 말을 꺼냈다.

“‘이제 날 찾아올 생각이 안 나야 되고, 편지할 생각도 안 나야 된다’고 하시는 거예요. 씨앗이 뭉쳐 있는 것보다 땅에 흩뿌려져야 하는데, 이젠 혼자 독립해서 살아보라는 거였어요. ‘나는 8자를 좋아한다’고도 하셔요. 자꾸 갈라질 수 있는 숫자라서 좋아하신다는 거죠. 날더러 박형이라고도 하고 박 선생이라고도 했는데, ‘이젠 박 선생이 혼자 생산해서 살아가라’는 거였어요. 충격이었죠. 두말도 않고 돌아 나왔어요. 나오는데 눈물이 흘러내리더라고요. 이젠 집앞을 지나가셔도 쳐다도 안 보겠다 결심하고 집에 와 생각하니 선생님이 옳은 것 같아요.

이를 악물고 5년간 혼자 생활했지요. 처음에는 막막해서 선생님 말씀이 그립기 짝이 없었으나, 나 혼자뿐이니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요. 자가생산을 해야 하는 거였지요. 함석헌 선생이 늘 ‘지음이 먹음이다’고 하셨거든요.”

물질 생산도 그렇지만 정신 생산도 자기 창작이 자기 양식이 된다는 것이었다. 다석 선생과 ‘단사’를 경험하고 혼자 제 생각을 기록한 것이 그의 첫 책 ‘새 시대의 신앙’이다.

새 시대의 신앙은 정신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세 가지로 선언한 책이다.
 1. 미에서 선에서 진으로,
 2. 역(力)에서 지(知)에서 신(信)으로, 
3. 부(父)에서 사(師)에서 천(天)으로!

“1번은 서양철학에서는 일반화된 개념인데 파스칼의 팡세 맨 끝에 정리되어 나오죠. 2번은 나중에 알고 보니 키에르케고르도 그런 소리를 했더라고요. 3번만이 내가 독창적으로 생각한 말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 무렵 아내가 병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책이 나온 걸 기뻐해서 문병 오는 사람에게 한 권씩 나눠주던 아내였다. 힘들었다. 바깥과는 단절하고 집안에서 지냈다. 다석 선생이 풍문에 소식을 듣고는 한번 보고 싶다는 전갈을 보내왔다.

“봄에 못자리 할 무렵에 사람이 와 추석 때 구기동으로 찾아갔어요. 냉수마찰하신다고 하며 웃으시는 걸 보니 이가 하나도 없더라고요. 5년 만에 굉장히 늙으신 거지요. ‘나는 은혜라는 말은 싫으니 힘입어서 잘 사시오’ 하셔요. 축복이지요. 그렇게 고별인사를 하시려고 날 부르신 거였습니다. 내 책을 이미 읽으셨어요. 장하다고 칭찬하시고는 ‘합(合)’과 ‘동(同)’을 혼동하지 말라고 가르쳐주셨어요. 합은 형이상학을 말할 때, 동은 형이하학을 말할 때 구분해서 쓰라고 하시더군요. 그날 선생님과 정식으로 단사를 했습니다. 5년 전엔 그냥 나왔는데 정식으로 큰절을 올리고 물러났어요.”

이번에는 감개무량했다. 정신적 독립을 인정받은 것이다. 집에 왔더니 그 봉함엽서, ‘마침보람’이라 적힌 졸업증서가 우편으로 배달돼 있었다. 다석 유영모 제자 박영호로 인가가 난 것이다.

“토인비는 어려서부터 그리스어를 능통하게 해서 시상이 영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떠오른다지요. 선생님도 한문에 능통하셔서 시상이 한문으로 떠오르는 분이시죠. 그러나 웬만하면 한자를 안 쓰셨어요. 우리말을 찾아 쓰거나 없으면 만들어 쓰셨죠. ‘마침보람’도 그렇게 만든 말이었고 ‘한님’도 ‘씨알’도 다 선생님만의 조어였어요.”

유영모는 한아님을 한님이라고 썼다. 란 지극한 우(上)란 뜻으로 ‘님을 머리우에 인다’는 말이다. 임(任)을 써서는 안 된다고 했다. 한아님을 머리 위에 이고 설 때 사람은 실존하는 단독자가 되고, 뼈가 시린 단독자가 된 후에야 제 안의 한아님을 깨닫게 된다고 가르쳤다. 예수도 석가도 키에르케고르도 맹자도 공자도 진공 속 같은 외톨이가 되고 난 후 비로소 자기 안의 큰 힘을 발견해낸 사람들이라고 하셨다.

오산학교에서 쫓겨나다

유영모는 서당에서 맹자를 배우다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됐다는 소식을 듣는다. 맹자를 팽개치고 당시 애국지사들이 몰려들던 YMCA로 달려온다. 1890년생이니 만 15세였다. 한국인으론 첫 YMCA 총무이던 김정식의 권유로 서울 연동교회 신자가 되고 경신학교에 다닌다. 20세에 남강 이승훈의 초빙으로 정주 오산학교 선생으로 갈 때까지 그는 정통 기독교인이었다.
----------
오산학교에는 이미 춘원 이광수가 와 있었고 단재 신채호, 신간회 멤버이던 여준 선생도 교사로 있었다. 이들은 의기투합해 학생들에게 기독교뿐 아니라 불경과 노자, 장자를 가르쳤다. 성경은 톨스토이가 4복음의 기적 부분은 다 빼고 한 권으로 만든 이른바 톨스토이 복음을 가르쳤다. 곧 남강 이승훈이 105인 사건으로 일경에 체포됐고, 이어서 학교를 맡은 평양신학교 선교사는 오산학교 안에 이상한 기류가 번져 있음을 알게 된다. 그래서 정통 하나님을 부정하는 교사들을 다 내쫓아버린다.

“다석이 오산을 떠날 땐 이미 비정통으로 돌아선 후였어요. 그걸 오산의 아이러니라고 하죠. 춘원도 쫓겨났죠. 바이칼을 거쳐 나중에 서울로 왔지요. 함석헌은 그때 오산학교 3학년 학생이었어요.”

다석에겐 3남1녀가 있는데 자식을 제도교육의 질서 속에 집어넣지 않았다. 많이 배우면 착취나 일삼는 귀족이 되어 씨알(民) 앞에 거들먹거릴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넥타이를 매는 것도 원치 않았고 재산을 움켜쥐는 것은 더욱 금했다.

“사모님이 순종형인데, 두 가지만은 선생님께 항의했대요. 하나는 아이들을 공부는 안 시키고 농사일만 시킨 점이고 또 하나는 천안광덕에 있던 과원을 아이들에게 물려주지 않고 그냥 농사짓던 사람에게 줘버린 거라지요.”

그러나 큰아들 유의상씨는 ‘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영역하고 6·25전쟁 때 도쿄 맥아더 사령부의 통역관을 지내다 휴전회담 당시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그 현장에 참여한 인재가 됐다.

無, 空, 靈이신 한아님

다석의 훌륭함은 중국고전, 서양사상, 불경, 인도철학, 베다경전에 두루 능통했고 
생활 속에서 성인의 삶을 실천했다는 점에도 있지만 
무엇보다 이전에 없던 새로운 신관(神觀)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다석의 신관, 나아가 함석헌과 박영호의 신관에 나는 온 정신을 집중했다. 한심한 질문에도 그는 맹렬한 열의로 대답해줬다.

“지금까지 말한 게 다 소용없네, 아이구 답답해” 하면서도 스승이 말한 한아님, 자신이 찾아낸 ‘참나’를 이런저런 비유로 알려주기 위해 처음부터 이야기를 다시 시작하곤 했다. 은사(隱士) 유영모는 제 손꼴을 노트에 베낀 후 ‘무명소자(無名小子) 되와 세 가지 걸림 없이 영원히 아버지께 이루어지이다’라고 썼다.

다음은 거기에 대한 박영호의 해설이다.

“세 가지 걸림이란 엄지가 상징하는 밥(富), 검지가 상징하는 힘(貴), 중지가 상징하는 빛(名)이다. 이 세 가지에 홀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이 세 가지가 뿜어내는 행복이란 신기루에 홀려 인생을 갈팡질팡 헤매게 된다. 뒤늦게 마음의 눈을 떠 뉘우쳤을 때는 때가 이미 늦다. 이 셋을 잡고자 스스로 황제가 된 나폴레옹이 유배지 세인트 헬레나에서 만시지탄을 토하기를 ‘원래 세계엔 두 종류의 힘이 존재한다. 정신과 칼이 그것이다. 긴 눈으로 보면 칼은 반드시 정신에 굴복한다’고 했다. 마음의 눈을 뜬다는 것은 올바른 가치관을 갖는다는 것이다.…(중략)…

46억년 동안 다듬어온 지구에 300만년 전에 유인원이 나타났다. 2000년 전에는 손(手)이 나타나서 (절대)을 가리켰다. 은 그대로 한아님을 일컫는다. 중국에서도 상제(上帝)라 하고 일본에서도 우에(上)를 신(神)이라고 읽는다. 을 가리킨 손은 검지인 예수를 비롯하여 석가, 노자, 공자, 소크라테스다. 그 다섯 사람의 시간적, 공간적인 틈은 손가락 사이의 뜨임(距離)에 지나지 않는다. 그 손이 가리킨 이 생명의 뿌리요 목적이요 가치인 아버지 한아님(天)이요 니르바나(Nirvana)요 브라흐마(梵)요 자연(自然)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손(다섯 손가락)이 가리키는 을 바라보려 하지 않고 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바라보는 어리석음을 보인다. 을 보지 않고 손가락에 매달리는 사람일수록 손가락에 대한 시비가 많다. 다섯 손가락이 똑같지 않고 다 다르듯 예수 석가 노자 공자 소크라테스는 다 다르다. 그러나 가리키는 곳은 한곳이다. 무(無)이고 빔(空)이고 얼(靈)이신 한아님이다.”

독보적인 다석사상

이것이 바로 스승 유영모와 제자 박영호의 신관이다. 보수 기독교의 하나님과 다를 수밖에 없다. 종교간의 구분이 무의미하며 어느 종교든 결국 다 같다는 것이니 다원주의니 혼합종교니 하며 비난받기 일쑤다. 그러나 종교계 내부에서도 서서히 그들의 생각에 귀기울이는 사람이 늘고 있다.

얼마 전엔 다석학회가 만들어졌다. 서강대에서 쫓겨난 정양모 신부는 “3000명 가톨릭 신부 중에서 1%쯤은 이런 소리를 해도 괜찮아요” 하면서 드러내놓고 다원주의를 옹호하고 있고, 에든버러대에서 다석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박명우 목사, 버킹엄대에서 해석학적 다석사상으로 학위를 딴 윤정현 성공회 신부도 있고, 감신대의 오정숙 교수도 다석사상으로 박사가 됐다. 석사논문은 그보다 많아 20편이 좀 넘는다.

“한국외대 철학과의 이기상 교수는 우리 철학을 하신 분을 찾아 박종홍, 김지하, 함석헌을 연구했는데, 그중에서 다석 선생님이 월등하다고 그래요. 왜냐면 인간 정신의 경지는 무엇보다 신관(神觀)이 뚜렷해야 하는데, 그 점에선 다석 선생이 독보적이라는 거지요. 그 다음엔 인성(人性)에 대한 관점이 확고해야 하는데 다석 선생은 세계적인 사상가로 전혀 손색이 없다고 합디다.”

격렬한 그의 글을 한 구절만 더 읽자. 비슷하지만 죽음에 대한 관점을 드러낸 부분이다. “얼(靈)을 객관적으로 나타낸 것이 참(진리)이다. 얼을 인격적으로 나타낸 것이 독생자다. 얼을 윤리적으로 말한 것이 한아님 아들이다. 얼을 사회적으로 말한 것이 그리스도다. 일요일에 사람들이 모여서 찬송가 부르고 성경 읽고 설교 듣는 것이 예배가 아니다. 얼을 위하여 몸이 희생하는 것이 참예배다.
-------
몸은 죽지만 얼은 죽지 않는다. 몸은 상대세계에 있지만 얼은 절대세계에 있다. 상대계의 존재에게는 복귀(復歸), 복명이 중요하다. 절대계에 복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수가 한아님 아버지께 돌아간다, 석가가 니르바나로 돌아간다, 노자가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말만 다르지 똑같이 절대세계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상대계에서 빌린 몸은 돌려주고 절대계에서 받은 얼(불성, 도)만이 돌아간다. 실은 돌아간다는 것도 상대적 존재인 몸이 부스러져 흙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지 절대인 얼이 오고가고 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시간 공간 인간을 초월한 절대가 가고 오고가 어디 있겠는가.”

그는 지금껏 스승 다석 유영모에 관한 책을 열 권 넘게 써왔다. 다석 전기 두 권과 다석사상 정해인 ‘씨알의 말씀’과 다석 한시 풀이와 시조 해설집을 쉬지 않고 써서 스승을 세간에 알렸다.

“선생님에 관한 자료가 망실될 것이 두려워 내가 선생의 둘째아드님 자상씨에게 나중 누구든 선생님 전기를 쓸 수 있게 자료를 모아둬야 한다는 편지를 보낸 적이 있어요. 함석헌 선생님은 평소 강연 중에도 당신 이야기를 많이 했지만, 다석 선생은 YMCA 연경반 강의 때도 자신의 이야기는 잘 안 했거든요.

다석 선생의 큰 제자인 함석헌 선생이나 김흥호 교수나 감히 선생님 전기에 대해선 어려워서 말을 못 꺼내고 있었어요. 나는 나이도 어리고 시간여유도 있고 해서 말을 꺼냈던 것인데, 그 편지를 자상씨가 아버님께 보여드렸고 선생님은 또 그걸 김흥호 교수에게 보인 모양이에요. 서울시청 속기사에게 의뢰해 연경반 강의를 속기해둔 자료가 있었는데 김흥호 교수가 그걸 한 짐 지고와 ‘다 도와줄 테니 열심히 해보라’고 격려해줬지요.”

스승을 한 걸음 앞섰나

그리고 3월13일 (유영모와 함석헌은 생일이 같다. 돌아간 날은 하루 차이다. 병원에서 산소 호흡기를 달아놓는 바람에 함 선생이 하루를 더 산 거라고 여기고 있단다) 선생 생신에 구기동에 가서 살아오신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듣기 시작했다. 틈틈이 쫓아가 묻고 또 물었다. 다석의 일기를 빌려 필사하면서 관련 자료를 모아나갔다.

‘선생이 읽은 책을 나도 독파해야겠다’는 생각에서 금강경, 아함경, 논어, 맹자, 주역을 다시 읽었다. 1971년에 준비하기 시작한 다석전기는 1984년에 책으로 나왔다. 꼬박 13년이 걸린 작업이다.

“10년은 자료를 모았고 원고는 선생님 돌아가시던 1981년에 쓰기 시작했어요. 쓰는 데만 만 3년이 걸렸어요. 다석 사상은 굉장히 과학적인데 그러면서 신비해요. 다석 한시 해석을 읽은 사람들은 ‘어디까지가 다석이고 어디부터 박영호냐?’ 묻곤 하지요.”

내 의문이 바로 그것이었다. 평생 스승에 매달려온 박영호는 다석을 한 걸음 앞서갔나?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만약 내가 부가가치를 붙인 게 있다면 보디(body)와 마인드(mind)와 솔(soul)을 구분하는 용어를 만든 것 정도일 겁니다. 보디와 마인드는 ‘몸나’와 ‘맘나’로 에고(ego)에 속한 거고, 솔(soul)은 하나님에게서 받은 변치 않는 ‘참나’이고 ‘얼나’거든요. 인간은 원래 동물이지만 탐진치(貪瞋痴)가 없어지면 짐승냄새가 안 납니다. 내가 다석 선생께 그렇게 경도된 이유도 그분에게선 짐승냄새가 나지 않은 데 있지요. 요한복음 12장 2절에 나오는 ‘만백성을 거느리는 권능’이란 말도 제 마음속 탐진치를 거느린다는 소리예요. 예수가 12제자도 못 거느렸는데 무슨 만백성이 있었겠습니까. 한아님을 모르고는 도저히 부처님이 될 수 없어요. 금강경이 무슨 소리인지 막연하더니 축소판 팔만대장경을 다섯 번쯤 읽고 나니 니르바나가 곧 한아님이라는 걸 알겠더군요.”

예수나 석가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지 말라고 그는 말한다. 대신 우리가 배울 건 예수나 석가의 신앙이라고 가르친다. 젊어서 생긴 늑막염으로 기운을 쓰지 못해 그는 10·26이 나던 1979년 아쉽지만 농사를 접었다.

토지는 헐값에 화물기지로 수용되고 그 변두리 자그만 터에 집을 짓고 지금껏 책 읽고 글 쓰면서 살았다. 아내가 죽은 지 2년 후 아내의 제자였던 이와 재혼도 했다. 바깥출입을 거의 않고 대개 집에서 책을 읽지만 일주일에 두 번은 외출한다. 수요일은 경기도 안성 미리내 성지 곁의 베드로의 집에서, 화요일은 유달영 선생이 하는 서울 여의도 성천 아카데미에서 다석사상을 강의하며 제자를 기른다.

“다석 선생이 1910년부터 가지고 있던 신약성경을 1971년에 제게 주셨어요. 그 성경을 얼마 전 내 강의를 듣는 사람에게 줬습니다. 아들에게 물릴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니 그분도 누군가 전해줄 사람을 만나면 나처럼 물려주는 거겠지요.

지금 한국 교회는 한아님이 오신다면 질색을 하게 변해버렸잖아요. 부처님도 절에 가보시면 ‘이거 내가 가르친 거 맞나’ 하고 깜짝 놀라실 걸요. 21세기의 혼란은 다석사상으로 충분히 극복하고 돌파할 수 있다고 나는 믿어요. 아마도 21세기에는 불교와 기독교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기독교의 좋은 점과 불교의 좋은 점을 제대로 가려내서 저렇게 매치시켜 놓으신 분이 다석 선생님이죠.”

삶의 완성은 ‘얼’과의 만남

크지 않은 체구의 그는 말을 마치고 빠른 걸음으로 인파 속으로 사라졌다. 20대에 책에서 얻은 생각을 평생 순결하게 지켜온 사람. 그도 이제 일흔이 넘었다. 삶의 목적과 완성은 저마다 제 마음속에 실존하는 참 생명인 ‘얼’을 만나는 것이라고 그는 거듭 말한다. ‘그 밖의 다른 일은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고 허랑하게 말한다. 우리는 지금 다들 ‘그 밖의 다른 일’에 필사적으로 매달려 있는 게 아닌가. 참 나는 어디 있나? 참외처럼 외롭고 멜론처럼 고독한 단독자, 우리는 바로 지금 제 마음의 알갱이를 고요히 들여다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