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09

신의 마음 – 전범선 다른백년

신의 마음 – 다른백년
전범선의 [기계 살림]

신의 마음
2022.05.09 





역사는 진보하는가? 과학은 분명 진보한다. 인류의 지식과 능력이 커지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과학은 현대 문명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갖는다. 맞고 틀림, 팩트에 관한 인간의 이해는 계속 넓어지고 있다. 그것이 자연을 분석하고 예측하고 변형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준다. 이미 인류는 신의 힘을 가졌다. 생명을 마음껏 창조하고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신의 마음을 가졌는가? 과학이 발전하는 만큼 문명은 진보하는가?

맞고 틀림만큼 중요한 것이 옳고 그름과 아름다움이다. 윤리와 미학, 종교와 예술이다. 인류는 과학의 발전으로 더 옳고 아름다워졌는가? 윤리적이고 미적인 진보가 있었는가? 나는 모르겠다. 물론 프랑스혁명 이후 자유, 평등, 우애의 가치가 퍼지고, 인권이 보장되었으며, 전쟁도 줄었다. 인간 수명은 두 배가 되었고, 건강과 복지는 증진되었다. 나는 역사상 가장 인간으로 살기 편한 시대에 살고 있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예외일 뿐이다. 인류는 역병과 전쟁이라는 가장 큰 적을 거의 극복했다. 유사 이래 이토록 평화로운 시절은 없었다. 적어도 사람들끼리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과거의 야만적인 관습을 많이 탈피했다. 스티븐 핑커와 유발 하라리 같은 학자들은 그래서 역사의 진보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질문을 바꿔보자. “인류가 진보했는가?”를 묻지 말고 “지구가 진보했는가? 생명이 진보했는가?”를 묻자. 인류가 더 옳고 아름다워졌는지 묻는 것은 애초에 인간중심적인 질문이다. 기독교를 계승한 휴머니즘의 산물이다. 천년왕국설이라는 성경 속 종말론을 세속적으로 탈바꿈한 것이 휴머니즘의 진보적 역사관이다. 인류의 모든 문제를 언젠가는 완벽히 해결할 수 있다는 신앙을 과학적으로 해석했다. 예수가 재림하면 천년왕국이 도래할 것이라는 기독교의 오랜 환상이 오귀스트 콩트와 앙리 데 생-시몬의 실증주의 철학으로 이어졌다. 종교 대신 과학으로 인류를 구원하려 했다. 존 스튜어트 밀과 칼 마르크스는 각자의 방식으로 콩트의 역사관을 변주했고, 프란시스 후쿠야마는 가장 최근에 유행한 메아리를 외쳤을 뿐이다. 역사는 진보하며 언젠가 끝이 난다는 신앙은 다분히 기독교적이고 서양적이다. (선사시대와 구분되는 역사시대가 끝났다는 나의 진단과는 다른 이야기다. 세상이 끝난다는 종말론을 말하는 것이다.) 동양에는 그런 사상이 드물다. 역사는 순환할 따름이다. 진보적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모두 기독교의 목적론적 역사관을 과학의 언어로 번역한 것에 불과하다. 예전에는 신에게 의존했던 인류의 구원을 기술 발전과 사회과학으로 달성하려 한다. 빛으로 어둠을 완전히 정복하겠다는 의지다. 도대체 서양인들은 왜 이토록 결말을 향해 달려가고 싶어 안달인가?

세상을 구원하려는 동물은 인간 밖에 없다. 진보, 앞으로 걸어 나아가는 것에 집착하는 동물도 사람 뿐이다. 비인간 동물은 직선으로 다니지 않는다. 사방팔방으로 다닌다. 강아지 산책만 시켜봐도 안다. 직선으로 나아가서 어떠한 목적, 종말에 도달하기를 꿈꾸는 것은 다분히 인간적인 생각이다. 더 정확히는 로고스, 이성중심적인 태도다. 기독교가 이런 생각에 집착했던 건 사람을 동물과 본질적으로 다르게 보았기 때문이다. 사람만이 자유의지가 있기에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다른 문명에서는 황당한 이야기다. 힌두교 기반의 인도나 도교 기반의 중국 뿐만 아니라 애니미즘을 믿는 모든 문화권에서는 사람과 동물을 그렇게 나누지 않는다. 인간도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일부다. 다윈의 진화론이 기독교 문화권이 아닌 곳에서 나왔다면 그토록 거센 저항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오직 호모 사피엔스만이 세상을 완벽하게 바꾸려고 하며, 인간중심적인 문명만이 역사의 진보와 종말을 믿는다. 바로 이러한 유토피아 프로젝트가 근현대사의 모든 대재앙을 초래했다. 종교 전쟁부터 세계 대전과 냉전까지 모두 진보와 구원의 이름으로 행해졌다. 기후생태위기도 마찬가지다. 물질 문명의 진보와 무한 성장의 신화를 쫓다가 발생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의 오류를 수정해야 한다. 기독교의 잔재인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서 순환적인 역사관을 되찾아야 한다.

탈인간적인 관점에서 물어보자. “역사가 진보했는가?” 지구는 과거보다 더 행복하고 아름다운 곳인가? 인간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 있어도 비인간 존재를 아울러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공장식 축산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범죄다. 매년 700억명의 동물이 식용으로 학살된다. 가축 뿐만 아니라 야생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제6차 대멸종기를 겪고 있다. 매일 150종 가까이 사라진다. 나는 지난 백년 간, 지구상 고통의 총량이 늘어났다고 확신한다. 우리가 만든 도시는 숲에 비해 전혀 아름답지 않다. 지구의 입장에서, 우주의 입장에서 과연 역사가 진보하고 있는가? 아니다. 애초에 무의미한 질문이다. 지구는 돌고 있을 뿐이다. 생명은 단순한 것이 복잡해지고, 질서있는 것이 무질서해져도, 진보하지는 않는다. 더 행복하고 아름다운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진보는 인간의 신앙일 뿐이다. 우주 만물은 순환한다. 사실 인간이 진보를 믿은 것도 휴머니즘의 도래 이후 최근 오백여 년 간의 예외적인 현상이다. 사람을 동물로 보면, 애초에 자유의지나 진보나 유토피아나 종말 같은 허상을 쫓지 않는다. 생명의 근원적인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는 허세를 부리지 않는다. 역설을 받아들이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뿐이다.

소크라테스 이후 서양 철학은 진리 추구가 목적이었다. 진리가 사람을 구원할 거라 믿었다. 원래 베리타스(veritas), 진리 추구는 소수의 철학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었다. 하지만 근대 과학 문명이 진리를 보급했다. 이제 모두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그런데 과연 진리가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가? 지식을 축적할수록 인류는 구원에 가까워지는가? 오히려 현대 과학은 진리가 패러독스임을 드러냈다. 양자 역학의 성립에 기여한 과학자 닐스 보어는 그래서 태극 무늬를 가문의 문장으로 채택했다. 양자의 세계는 태극의 원리처럼 오묘하다. 우주의 원리를 알고 보니 이도 저도 아니면서 둘 다이기도 한 것이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마냥 깔끔하지 못하다. ‘좋다, 친절하다’는 뜻으로 쓰이는 영어 ‘나이스(nice)’는 원래 세밀하다는 뜻이다. 진리는 생각보다 나이스하지 않다. 친절하지도, 세밀하지도 않다. 그다지 좋지 않다. 무엇보다 랜덤하다.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의 반박은 구원에 대한 희망을 놓지 못한 서양 문명의 마지막 절규였다. 거기에 보어는 “신에게 참견하지 말라”고 답했다. 진리가 우리를 구원하리라는 믿음은, 역사가 진보한다는 것만큼이나 인간 중심적인 환상이다. 진리는 모순 덩어리며, 인간을 위하지 않는다. 속된 말로 “말도 안 된다.” 노자는 그것을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이라고 표현했다. 도는 말하는 순간 도가 아니다. 진리는 언어와 이성으로 무장한 인간의 편이 아니다.

부처와 노자 이후 동양 철학은 직관이 목적이었다. 사유를 거치지 않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언어와 이성에 기대지 않았다. 진리가 세상을 구원하리라 믿지 않았다. 우주의 역설과 그 무한한 아름다움을 제대로 보는 것이 삶의 목표였다. 한마디로 견성하면 성불하는 것이다. 자기의 본디 천성을 똑바로 보는 것이야말로 사람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다. 서양의 진리, 베리타스는 행동과 실천을 요구한다. 진보와 정복을 수반한다. 무엇보다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말씀이 진리이기 때문이다. 동양의 도는 말로 다할 수 없다. 사람이 어찌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도란 그저 직관하는 것이다. 명상하고 묵상하는 삶이 최선이다. 사회를 개조해서 인류를 진보시키겠다는 일념보다는 내버려두고 흘러가는 길을 관망하는 편이 낫다. 인위적으로 없는 길을 만들다가는 도를 그르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도가의 무위 사상은 리버럴리즘의 핵심인 관용 정신에 부합한다. 모두를 자유롭게 만들겠다는 진보적 자유주의가 아닌 공존을 위한 정치적 자유주의를 말하는 것이다. 오랜 종교 전쟁의 결과로 도출된 합의에 기반한 다원주의다. 하나의 진리, 하나의 가치로 통합하기보다는 여러 진리, 여러 가치를 포용하고 내버려두는 ‘똘레랑스’를 말한다. 안되는 조화를 억지로 만들려다가는 오히려 갈등과 억압을 낳기 때문에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하는 것이 최선이다. 참된 리버럴리즘은 모순이 필수다. 다양성을 예찬한다. 자유의 이름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은 전혀 리버럴하지 못하다. 영국의 정치철학자 존 그레이는 도가와 리버럴리즘의 공통 전제를 <도덕경> 제5장에서 찾는다.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천지는 어질지 않으니, 마치 만물을 지푸라기 개 대하듯 한다. ‘추구’, 지푸라기 개는 고대 중국에서 제사를 위해 만들었다가 쓸모를 다하면 가차없이 밟아버렸던 제물이다. 사람은 지푸라기 개와 다를 바 없다. 천지는 사람에게 인자하지 않다는 것이 노자의 가르침이다. 나이스하지 않은 자연을 꿰뚫어보고 거기서 상생과 공존을 찾는 것이 도가의 지혜이자 리버럴리즘의 방편이다.

다윈 이후 서구의 리버럴리즘은 비로소 탈인간적인 관점으로 우주를 보기 시작했다. 도시 만큼 벌집도 인위적이고 거미줄 만큼 인터넷도 자연스럽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자유의지라는 환상을 거둬내니, 인위와 무위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 이론’에 이르러서는 비로소 전지구적 관점의 역사관이 성립한다. 지구에게 진보란 없고 생명 순환을 통한 항상성 유지만 있을 뿐이다. 기후생태위기 역시 인류에게는 종말론적인 상황이지만, 지구에게는 또 한번 청소할 시간이 왔을 뿐이다. 가이아를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로 보면 인간은 그 위에 창궐한 기생충이다. 지푸라기 개다. 기생충이 너무 많아지면 결과는 셋 중 하나다. 숙주가 죽거나, 숙주가 기생충을 죽이거나, 둘이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지구가 아무리 뜨거워져도 죽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지구가 기후재앙으로 인류를 멸종시키거나, 서로 적정 수준의 균형을 찾을 것이다. 녹색, 생태, 생명 운동의 목표는 후자다. 어떻게 밸런스를 찾을까? 사피엔스가 지구에게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중국은 녹색 권위주의를 택했다. 법가적인 방법이다.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인민을 통제하고 억제한다. 탄소배출 절감 측면에서 봤을 때는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이것을 진보라고 볼 수 있을까? 무의미한 질문이다. 서양도 에코-파시즘으로 귀결할 것인가? 대한민국은 어떤 길을 가야하는가? 기후생태위기 앞에서 인류는 대공황 때처럼 또다시 자유주의를 포기하고 전체주의로 돌아갈 것인가? 리버럴리즘이 제시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 인류 구원까지는 아니더라도 멸종 방지를 위한 공생의 길은 있지 않을까?

나는 녹색 권위주의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인간의 정치로 자연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은 애초에 글러먹었다. 시진핑의 디지털 법가주의는 진시황의 전철을 밟을 것이다. 에코-파시즘은 히틀러의 망령을 재소환한다. 기후생태위기를 해결한답시고 정부가 거창하게 계획하고 나서는 것은 한계가 뚜렷하다. 이성의 힘으로, 중앙집권적인 방식으로 자연을 다스릴 수는 없다. 아무리 신의 힘을 가져도, 탄소 포집과 핵융합과 인공 강우가 가능해도, 신의 마음을 갖지 않으면 소용 없다. 신의 마음이란 지구의 마음, 우주의 마음이다. 인간중심주의를 완전히 벗어나야만 헤아릴 수 있는 정신이다.

탈인간 만큼이나 탈중심이 중요하다. 중심주의 자체도 다분히 인간적인 환상이다. 심장이 가운데 달린 동물이기 때문에 갖는 편견이다. 식물과 균은 중심이 없다. 숲에는 중심이 없다. 네트워크가 있을 뿐이다. 숲의 나무들은 중심 없이도 상부상조하며 조화롭게 살아간다. 땅속의 우드와이드웹(Wood Wide Web, WWW), 즉 균사체망을 통해 영양소를 주고받는다. 인류는 한참 도시를 짓고 빌딩을 빽빽이 세우더니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을 구축했다. 식물이 숲이라는 WWW를 구축했기 때문에 동물이 진화했다면, 동물이 인터넷이라는 WWW를 구축했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진화한다.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 종 전체를 통틀어서 이처럼 네트워크적인 관계를 형성한 적은 없다. 동물은 일반적으로 식물이나 균과 다르게 매우 개체중심적이다. 벌과 개미 같은 초개체를 예외로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그들이야말로 제일 전체주의적이다. 여왕벌과 여왕개미가 중심이다. 반면 우드와이드웹에는 여왕나무가 없다. 중심이 없다.

나는 모르긴 몰라도 신의 마음에도 중심이 없을 거라 믿는다. 지구의 마음, 가이아와 마고의 마음은 인간적이지도 않고, 중심적이지도 않다. 앞뒤도 없고 위아래도 없이 사방 팔방 십방으로 퍼져있는 그물이다. 여태까지는 숲이 그나마 지구 마음을 닮았는데, 이제는 전지구적 그물, 월드와이드웹이 있다. 여태까지의 웹 1.0과 2.0은 소수의 중앙 권력, 빅테크가 정보를 독점하는 구조다. 비교하자면 거미 하나가 쳐놓은 그물에 여럿이 걸려드는 꼴이다. 네이버가 주는 뉴스를 읽고, 인스타그램이 주는 광고를 본다. 데이터 센터가 말 그대로 ‘중앙’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웹 3.0은 중앙이 없다. 블록체인 기반의 웹 3.0이 데이터를 완전히 탈중앙화한다면 월드와이드웹은 비로소 우드와이드웹을 닮게 된다. 진정한 네트워크로 거듭난다. 사람이 더불어 숲을 이룬다.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하는 메타버스에서 우리는 충분히 탈인간적, 탈중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모습의 아바타로 살아갈 수 있고,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 숲의 마음, 바다의 마음, 지구의 마음을 상상해보자. 초개아적인 네트워크로서 인류가 신의 마음에 다가간다면, 그것은 역사의 진보일까? 아니면 그저 줄기가 가지를 치고 가지가 그물을 이루는 생명의 순리일까? 블록체인이 인류를 구원해주지는 않겠지만, 데이터를 순환시킬 것은 분명하다. 역사의 진보는 아닐지라도 지구 생명의 진화로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 : https://ar.pinterest.com/pin/211174970522725/



진리정치의 종말

전범선


전범선 / 글 쓰고 노래하는 사람. 1991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밴드 ‘양반들’ 보컬이다. '살고 싶다, 사는 동안 더 행복하길 바라고'(포르체, 2021)와 '해방촌의 채식주의자'(한겨레출판, 2020)를 썼다. '왜 비건인가?'(피터 싱어 지음, 두루미, 2021), '비건 세상 만들기'(토바이어스 리나르트 지음, 두루미, 2020) 등을 번역했다. 동물권 단체 ‘동물해방물결’의 자문위원이다.

Quaker Retreat - Meeting-For-Learning-2022

Quaker Retreat - Meeting-For-Learning-2022



Each participant will have a private bedroom for the 6 nights. All accommodation, meals and a resource book are included in the price, which will be $850. You may apply for financial assistance through your Regional Meeting. Talk with your Clerk or Ministry Convener if you are considering registering for the course and applying for support.

Retreat Week at Sevenhill Centre of Ignatian Sprituality, SA
8th – 14th October, 2022
Similar dates, 2023 in South Australia

Meeting for Learning: Where? 

The 2022 Retreat will be held at the Sevenhill Centre of Ignatian  Spirituality, in the Clare Valley of South Australia, approximately 130  km north of Adelaide. 

Accommodation and Cost 

When? 

Saturday, 8th – Friday, 14th October 2022 

How to apply – for this or a future year 

The Retreat is open to Members, Attenders and others in sympathy  with the Quaker way.  

If you think this retreat might be for you, please take these steps: 

1. Talk to a previous participant in your local Meeting, or your  Regional Meeting clerk, to ask about their experience.

2. Write to Fiona Gardner fionagardneraway@icloud.com expressing  your interest in participating. If possible, this should be by the  end of May 2022. 

  

The SA Contact Person is David Barry:

David.Barry.TLUD@gmail.com

0425 29 2288.  

  

Meeting for Learning 

A time for living in a Quaker Community 

An intensive exploration of Quaker life experiences. 

Spiritual nurture in community guided by three or four facilitators.  

Friends reflecting on what it is to study, worship and be  transformed 

by the Spirit.  

Quaker processes practiced faithfully in everyday life.  The year-long program begins and ends with two six-night residential retreats. 

Forming a listening group for support in living with intention  through the year between   Facilitators continue their nurture through the year with contact as needed. 



Meeting for Learning is an Australia Yearly Meeting program, hosted in 2022/3 by South Australia Regional Meeting under the care of Quaker Learning Australia.


Quaker Meeting for Learning is a year-long program book-ended  by week-long residential retreats. It is an extended time to  explore the Spirit and learn about Quaker ways, together with  members and attenders from around Australia. Sometimes others  from different faith communities join Meeting for Learning. For most  of the year-long program, you remain part of your regular  community. Residential retreats give the opportunity for you to  commence and complete this journey by shar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emes for the retreats alternate. The 2022 Retreat focus will be on  the individual spiritual journey in our faith community; the  2023 focus is on the faith community and our journey in it.  

Listening to ourselves and each other is a practice which often leads  to deep insights, transformation and discernment. Much time is  devoted to deepening listening skills among other practices that  are based on Friends’ long history of spiritual nurture and faith in  action. 

A feature of each retreat is a mid-week silent day and night.  Some participants feel nervous about this beforehand, and then find  that extended silence in community is an enriching experience. A  facilitator is always available during the Silent Day for reflection or  conversation. 

Between retreats your learning processes go on with a Support  Group that you choose from your local Meeting and/or from friends  and family. You will select members for your group who will listen, empathise and encourage while you give attention to specific areas  of your life where you can feel the spirit moving. Local members of  support groups regularly report how gratifying it is to share with the  participant. Sharing this journey is then a rich part of the next Retreat.  


The size of the group at each retreat is up to 12 participants, who  are guided by three or four volunteer facilitators during the retreat.  The facilitators provide reading materials, sessions, exercises  and pastoral guidance to assist each participant’s spiritual  journey.


The resources provided allow retreatants to develop their  knowledge of Quaker writings and beliefs, and to reflect on their own journey. Each day allows time for discussion, exploration,  rest and reflection. During the retreat, some activities are carried  out as a whole group, some are conducted in small groups and  some exercises are undertaken as a personal activity. Structured  and unstructured time is included in the retreat.  

Some quotes from previous participants 

The first retreat was the safest, most nurturing, most healing group of that  size that I had experienced – thanks to the skilled and loving facilitators,  Fiona Gardner, Sue Wilson, Jenny Spinks and Catherine Heyward, and the  openness and courage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o stimulating, and  sometimes challeng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spiritual exercises and  explorations, I received emotional/spiritual support from daily Meetings for  Worship, and facilitators and participants alike. Practicing compassionate  listening in a spiritual context in small groups, and being listened to in the  same way, was a privilege. I felt a sense of belonging that has been rare in  my life, and I left the retreat encouraged, inspired and on a high. 

As a result of the year-long process I began the second retreat more nurtured,  relaxed and open than I had on the first. I felt even more affirmed and, yes,  loved. I left, not on a high this time, but with a fullness of mind, heart and  soul that continues to sustain me. 

Meeting for Learning was a turning point in my Quaker life, not only the  retreats, also working with my support team for the year and these people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y spiritual growth.


[동학][김지하] 떼이야르 드 샤르뎅을 읽다가 ... 아니 이것 동학아냐?

(2) Facebook (2019)

[동학][김지하] 떼이야르 드 샤르뎅을 읽다가
... <아니 이것 동학아냐?>
김지하 회고록, <흰 그늘의 길>(2003) 「공부」중에서
---
.

그 길고 긴 시간, 나는 그저 책밖에 읽은 게 없는 듯싶다. 지금의 나의 지식은 거의 그 무렵의 수많은 독서의 결과다. 그러나 일반적인 독서 외에 내가 참으로 힘을 집중해 ‘공부(工夫)’한 것은 네 가지였으니 첫째가 생태학, 둘째가 선불교(仙佛敎), 셋째가 떼이야르 드 샤르뎅의 사상, 넷째가 동학(東學)이었다.

첫째의 생태학은 맨 먼저 일반적인 환경생태학(環境生態學)으로 들어가 공공경제학(公共經濟學)을 거쳐 드볼과 세션의 심층생태학(深層生態學)의 소개서로, 거기서 다시 루돌프 바로와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학(社會生態學) 입문 서적으로 나아갔다. 생태사회주의니 생태마르크스주의니 기타 이것저것 독일 녹색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전망과 소개를 접하게 됐고 녹색당과 페트라 캘리 등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대충의 스케치들일 뿐이었으니 체계적이고 정확한 지식은 훗날 병사(病舍)로 옮긴 뒤던가 아니면 출옥 후 구해 읽은 것들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그 무렵의 사유와 상상력을 급전환시키는 데 그 스케치들은 결정적 촉매 노릇을 하였다. 생태학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세대의 경전이 되어가고 있었다. 낡아빠진 역학이나 사회구성체주의 따위 가지고는 살아 생동하는 생성적 공간과 시간 인식을 할 수 없게 됐다. 녹색운동은 새로운 변혁운동의 시발점이었고 생태학은 이 운동의 지침서였다.
그러나 생태학만으로 세계와 삶의 진화를 이해하기에는 인간은 너무나도 복잡 심오한 것이었으니, 나는 그 생태학 소개에 촉발되어 도리어 선(禪)과 불교에 관한 깊은 지식 및 지혜를 갈구하게 되었다. 생태학, 특히 사회생태학이 새로운 사회변혁론의 근거라면 선불교야말로 인간의 영적(靈的) 깨달음과 영성적(靈性的) 소통(疏通)의 철학이었다. 나는 ‘금강경(金剛經)’을 비롯한 여러 경전을 읽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외우게 되었고, 고승들의 게송(偈頌)과 법어(法語) 200수(首) 가량을 달달 외우고 있었다.
마음에 거침없는 푸른 하늘이, 가없는 우주의 바람이, 파도치는 드넓은 바다가 문득문득 나타나기 시작했고 거꾸로 뭇 생명의 생태학적 질병과 오염과 파괴, 죽임에 대한 연민과 자비가 어려운 것이 아닌 아주 자연스러운 귀결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것, 텅 빌 정도의 영적 깊이와 사회생태학적 파괴의 극복이나 생명평화의 새 사회 창조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 어떤 확실한 과학적 근거도 발견할 수 없다는 것, 여기에 나의 답답함이 있었으니 또한 진정으로 새로운 공부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때 마침 내가 기억해낸 것이 함석헌 선생의 옛 권유였다. 영성(靈性)과 생명(生命), 삶의 안팎을 과학적․신학적으로 함께 이해하자면 떼이야르 드 샤르뎅을 읽는 것이 첩경이라는 권유였다.
나는 떼이야르의 이효상(李孝祥) 번역본 전집을 들여다 모조리 읽기 시작했다. 그러나 두세 권 외에는 참으로 엉터리 번역이어서 도무지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주저(主著)인 <인간현상>과 다른 책들의 영역본을 영한사전과 함께 들여다 또 다시 읽기 시작했다.
주저인 <인간현상>을 다 읽는 데 몇 달이 걸렸는지 알 수 없다. 참으로 어려운 과학서적이었다. 그러나 그 결과 떼이야르는 참으로 나에게 이제까지의 모색과 앞으로의 나의 사상의 진로에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간단히 요약해서 그것은 ‘우주 진화의 3대 법칙(法則)’이다.
첫째, 우주 진화의 내면에는 의식의 증대가 있고
둘째, 우주 진화의 외면에는 복잡화의 증가가 있으며
셋째, 군집(群集)은 개별화한다는 3대 법칙이었다.
첫째와 둘째는 서로 교호작용을 하는 것이니 우주 진화의 외면에서 물질이나 생명의 복잡화가 진행될수록 우주 진화의 내면에서 감각(感覺)이나 의식(意識)이나 정신(精神), 영성(靈性)이 깊어지고 넓어지고 높아지는 것이 진화의 실상이며 진화는 우선 종(種)적으로 군집화(群集化), 전체화(全體化)하지만 그것은 결국 개별화(個別化)하여 종내는 각각의 자유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나는 여기에서 생태학과 선불교 사이의 관계, 외면적 변혁과 내면적 명상의 관계 그리고 집단과 개체, 필연성과 자유의 관계에 대한 참다운 원리를 보았다.
그것을, 그것을 깨달은 날을 무엇으로 비유할까.
아마도 발 셋 달린 까마귀, 삼족오(三足烏)가 태양 속에서 날개를 푸드득 푸드득 활개치며 날아오르기 시작한다고나 할까. 눈이 시원하게 활짝 열렸다고나 할까.
그 저명한 떼이야르 신부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 실현의 배후 촉매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가톨릭의 공식 인정을 못 받고 있다. 왜냐하면 아직도 가톨릭의 우주관토마스 아퀴나스의 계층구조적 우주론, 즉 ‘토미즘’이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톨릭의 준국가주의 위계질서는 바로 이 토미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아아, 그러나 그 무엇보다 내가 크게 놀란 것은 어느 날 대낮, 점심을 막 받고 앉은 바로 그 정오(正午)의 시간에 문득 깨달은 것!
“아니, 이것 동학(東學) 아냐?
그것이었다.
떼이야르 사상의 중핵(中核)은 바로 동학사상이었음을 크게 깨우친 것이다.
무엇이 그렇다는 말인가.
떼이야르의 사상은 매우 복잡하고 치밀하며 구체적이다. 고생물학(古生物學)의 고전이며 최고, 최대의 과학적 진화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가장 간단한 우주 진화의 3대 법칙 위에서 모든 것이 시작되고 모든 것이 귀결된다.
그런데 바로 그 3대 법칙이 동학사상의 핵심이었다는 말이다.

동학의 핵심은 21자 주문, 그 중에서도 13자의 본주문(本呪文)에 있다. 본주문 ‘시천주(侍天主) 조화정(造化定) 영세불망(永世不忘) 만사지(万事知)’의 중핵은 또 맨 앞에 있는 ‘모실 시(侍)’ 한 자에 집중되어 있다.
최수운 자신이 해설해주고 있는 이 ‘시’ 한 글자의 뜻을 알아보자. 우선 한자로 쓰면, ‘시자(侍者) 내유신령(內有神靈) 외유기화(外有氣化) 일세지인(一世之人) 각지불이자야(各知不移者也)’이다.
뜻은 이렇다.
‘시’, 즉 ‘모심’이라는 것은 안으로 신령(神靈)이 있고 밖으로 기화(氣化)가 있으며 한 세상 사람이 서로가 서로에게서 옮겨 떨어질 수 없음을 각각 깨달아 자기 나름대로 실현한다(各知不移)이다.
첫째, 안으로 신령이 있으며(최수운), 우주 진화의 내면에 의식의 증대가 있다(떼이야르).
둘째, 밖으로 기화가 있으며(최수운), 우주 진화의 외면에 복잡화의 증가가 있다(떼이야르).
셋째, 한 세상 사람이 서로가 서로에게서 옮겨 떨어질 수 없음을 각각 깨달아 자기 나름대로 실현하며(최수운), 군집(群集)은 반드시 개별화(個別化)한다(떼이야르).
도리어 세번째인 진화 법칙은 동학이 떼이야르보다 더 첨단적이고 최근의 진화론에 더 가깝다. 왜냐하면 종(種)이나 군집(群集)을 개체(個體)보다 먼저 세우는 떼이야르식 발생학을 비판하고 오히려 개체가 먼저 발생하되 그 개체마다의 내부에 있는 자율적인 전체성에 따라 개체들 나름대로 각각, 자기 나름의 전체, 자기 나름의 군집, 자기 나름의 종을 실현한다는 자유의 진화론, 자기 선택과 자기 조직화의 진화론이 훨씬 더 과학적이고 선진적인 까닭이다.
내 안에서 내 생각의 파도가 내 생각의 주체에게로 한없이 하얗게 하얗게 밀려오고 있었다.
떼이야르는 지금으로부터 꼭 5만 년 전에 직립 사유인(直立 思惟人, 호모 사피엔스 에렉투스), 즉 똑바로 서서 걷고 의식하고 감각하며 사유하는 인간들 속에서 생각하는 것을 생각하는 인간, 사유를 사유하는 반성적 인간(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이 출현하여 언어가 생기고 문명이 시작되었다고 고생물학적․고고학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런데 최수운은 현생인류가 나타난 것, 즉 최초의 개벽이 5만 년 전이라고 못 박고, 다시 5만 년이 된 지금에 와서 신인 합일적(神人合一的) 신인간(新人間), 즉 ‘신인(神人)’이 개벽, 즉 후천개벽한다고 했다. 떼이야르와 최수운 둘 다 똑같이 현금과 같은 인류의 탄생이 5만 년 전이라고 본 것이다.
파도는 또 왔다.
떼이야르는 바로 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호모 사피엔스 에렉투스의 한복판에서 태어나는 사건, 즉 가시적인 외모는 전부 호모 사피언스 에렉투스인데 비가시적인 내면의 뇌세포 속에서 자의식이 그 극히 일부의 뇌세포 속에서 반자의식(反自意識)이 마치 별 뜨듯, 꽃봉오리 열리듯 반짝하고 열리는 그 순간을 내면과 외면의 양측에서 동시 파악하는 논리가 바로 ‘아니다, 그렇다’, ‘NO, YES’의 생명논리임을 주장하고 또 그렇게 적용하여 그것을 증명한다.
이것은 생명철학의 절정인 베르그송과 현대 생물학의 고전인 그레고리 베이트슨, 그리고 가시적 차원과 비가시적 차원 사이의 인식에 사용되는 ‘그렇다’와 ‘아니다’의 동시어법에 귀결되는 데이비드 보옴의 물리학에 두루 공통되는 생명논리인 바, 최수운의 글 ‘불연기연(不然其然, 아니다, 그렇다)’의 진화론법 안에서 그대로 되풀이되고 있다.
아마도 이것은 들뢰즈․가타리와 미셸 세르에까지 이어질 듯하다.
파도는 또 다시 밀려온다.

13자 주문의 제2단계인 ‘조화에 일치하여 마음을 정한다(造化定)’는 노장학(老莊學)과 선불교(禪佛敎)를 통합한 논리이며 마지막 단계의 ‘만 가지 사실을 안다(万事知)’의 만사(万事)는 ‘수의 많음(多)’을 뜻하는 것으로 복희(伏羲)와 문왕(文王)의 역리(易理)의 비밀을 깨닫는 주역(周易)의 간역(簡易)을 말하고 정역(正易)을 예언한다. 나아가 20년 뒤에 나오는 연산(連山) 김일부(金一夫)의 마지막의 ‘앎(知)’은 ‘스스로 노력해 앎(知其道)’과 동시에 ‘그 앎을 계시받음(受其知)’이라 하여 동양(東洋)의 풍류선도(風流仙道)나 그리스도교적 깨달음의 핵심인 신비주의에 그대로 적합한 것이었다.
본디 우리의 풍류선도는 유․불․선(儒彿禪) 3교(三敎)를 아울러 가지면서(包含三敎) 동시에 뭇 생명을 사랑하여 진화시키는(接化群生) 생명의 철학이요, 생명의 사상이다. 이것이 다만 고색창연한 최치원의 주장인 줄로만 알았던 내게 그 가장 구체적이고 현대적인 과학적 논법과 증명을 통해 나타났으니, 오호라! 나는 이미 그 파도에 풍덩실 뛰어들고 하늘의 헤엄을 치고 논 것이었다.
나는 그때부터 며칠 동안 반은 정신이 나가 살았다. 밥도 먹는 둥 마는 둥 하고 머리 속은 온통 ‘시’ 한 자로 꽉 차버렸다. 그리스도교적으로 말하면 시는 사랑이다. 그러나 시는 그 말 자체로 이미 사랑보다 훨씬 더 풍요하고 올바른 범주이니 높이는 사랑이요, 섬기는 사랑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제나 경건한 사랑 ‘모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심이야말로 삶, 사람, 살림, 생존, 동양식 생생화화(生生化化)와 서양식 진화의 핵심인 것이다.
나는 머지않아 가톨릭 교회가 떼이야르를 공식 인정하고 동양사상과의 역동적인 통합을 통해 ‘동학화(東學化)’하리라고 믿었다. 그렇다면 우선 내 민족의 지혜의 보석인 동학부터 내 자신의 모심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어느 빛 밝은 아침, 뻘겋게 녹슨 창살 사이로 흰 햇빛이 오묘한 느낌으로 비끼는 것을 바라보며 내 넋은 이미 서학(西學)과 동학(東學)을 탁월한 과학적 새 차원에서 통전하되 동학 쪽에 시중적(時中的, 균형을 잡되 때에 따라 좌우로 중심을 둔다)인 중심이 더 가 있는 ‘기우뚱한 균형’을 실현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스스로 깜짝 놀랐다.
그날 이후 나는 천도교(天道敎)가 아닌 원동학(原東學), 내 증조부의 그 동학에 돌아가 있음을, 아니 떼이야르의 고생물학(古生物學)과 최신 진화론의 과학 그리고 사회생태학과 선불교를 아우른 신동학(新東學)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놀라서, 놀라서 바라보면서 몇 날 몇 밤이 흥분 속에 지나갔는지 모른다.
나는 이론적으로는 이미 다시 태어난 것이다. 그것이 바로 ‘모심의 철학’이었다.

나는 지금도 가톨릭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다. 내가 그대로 가톨릭에 머물렀으면 아마도 지금쯤 유명짜한 원로가 돼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지금의 백면(白面)이 그대로 더 좋다. 나는 끊임없이 탐구하는 나그네인 까닭이다. 그래서 ‘선생님’이라는 거북한 호칭보다 ‘형님’이라는 정겨운 호칭이 훨씬 마음에 든다.
어느 날 나는 지 주교님에게 솔직히 말씀드렸다.
“저는 이제 고향으로 돌아갑니다.”
“어디? 목포 말이야?”
“아니오. 동학입니다.”
“천도교 말이야?”
“아니오. 내 마음의 원동학(原東學)입니다.”
“좋아서?”
“네.”
“그럼 그러지 뭐! 자네가 헛소리할 사람이 아니지. 오죽 생각했겠나!”
---------------
- 이 글은 김지하 회고록, <흰 그늘의 길>(학고재, 2003)에서 「공부」 부분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http://www.gforest.or.kr/xe/board_chg/124735
---
세진: 나도 떼이야르 드 샤르뎅을 읽어야지.

The Emergence of Buddhist American Literature PDF | PDF | Allen Ginsberg | Vajrayana

The Emergence of Buddhist American Literature PDF | PDF | Allen Ginsberg | Vajrayana

The Emergence of Buddhist American Literature PDF

Kim_Iryop_s_Existential_Buddhism



Scribd Logo

Kim_Iryop_s_Existential_Buddhism_Review..pdf For Later


Kim Iryop S Existential Buddhism Review

Philosophy East & West Volume 66, Number 3 July 2016 1049–1051


Reflections of a Zen Buddhist Nun.

By Kim Iryŏp.



Transla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Jin Y. Park. Korean Classics Library: Philosophy and Religion.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 Pp. 328. Hardcover $49.00,

isbn

978-0-8248-3878-2.

Reviewed by

Eric S. Nelson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eric_nelson@uml.edu

Kim Iryŏp (1896–1971) was raised and initially educated in a devout MethodistChristian environment under the strict guidance of her fideistic pastor father and hermother, who believed in female education. Both parents died while she was in herteens, and she questioned her Christian faith at an early age. She was one of the firstKorean women to pursue higher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Kim became a pro-lific poet and essayist, her writings engaging cultural and social issues, and a leadingfigure of the feminist “new woman”

(sinyŏja)

movement in the 1920s, which pro-moted women’s self-awareness, freedom (including sexual freedom), and rights inthe context of the complex intersection of traditional Korean Confucian society,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Iryŏp (herpen and dharma name) embraced Buddhism during this period, first in her writingand later as a lay practitioner, as a path to universal liberation. She was ordainedin 1933 and became a prominent Sŏn (Chan/Zen) Buddhist nun. After two decadeswithout publishing, she returned to print in 1960 with

Reflections of a Zen BuddhistNun



(Ŏnŭ sudoin ŭi hoesang).

Jin Y. Park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introducing Iryŏp as a modern female Bud-dhist thinker to the Western world.

1



Reflections of a Zen Buddhist Nun

is an ele-gant translation that includes all but two of the essays from the original

Reflections,

omitted to avoid repetition, and four additional essays that illuminate Iryŏp’s thinkingon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In her introduction Park provides an overview ofIryŏp’s biography and works in relation to the multifaceted social-political and intel-lectual situation of her era. Park articulates the existential passion and commitmentthat run throughout Iryŏp’s life and writing and through her shifting identities as ayouth who dreamed of becoming a Christian missionary, a young woman who ques-tioned her fideistically defined faith and dedicated herself to receiving an educationin a society that typically denied that opportunity to women, a feminist writer whoadvocated social change and free love, and a Sŏn nun devoted to meditation and thepromotion of the dharma. Iryŏp resisted the artificial constraints of society as a fem-inist and one’s own habitual self as a Buddhist for the sake of realizing the autono-mous and comprehensive life that is a fundamental theme of

Reflections.

The existential character and passion of Iryŏp’s writing, which blends reflectionand intimate autobiographical narrative, is evident from the beginning in her preface(chapter 1). She introduces basic existential questions such as: How does it standwith my own existence and what value does my existence have? How can I achieve






1050 Philosophy East & West

freedom and how do I become myself, a genuine self, in response to a situation inwhich we are unfree and “have lost ourselves”? The phrase “having lost myself”

(silsŏngin)

is used throughout the work and primarily means “to go crazy” in Korean.It is Buddhist practice that offers a response to the lostness of the human conditionby providing a perspective of wholeness, a tranquility and clarity of mind, and afreedom in the midst of the fluctuating conditions of life through the dedication andpurity of one’s thought in meditation.Iryŏp’s existential, individualistic, and in some ways modernistic understandingof Sŏn Buddhism is further developed in the chapters that follow. In the secondchapter, “Life,” she focuses on the primacy of life

(insaeng)

and its fulfillment in “in-dependent life” where one is of utmost value to oneself through realizing one’s rela-tional interconnectedness with all beings. Such autonomy becomes possible throughthe deconstructing of conventional boundaries and limitations. These include thelimiting ideas or idols of the Buddha and God that lead away from mindfulness ofone’s own self, which is realized through seeing the original emptiness of things andone’s own mind. Faith might be an initiation into the religious, but the religiousmeans overcoming all objects in no-thought, in which the dualities of subject /object,self/other, internal/external, good/evil, and God/demon fall away: “The Buddha asthe completed ‘I’ unifies within himself both a demon and a buddha” (p. 42).In the third chapter, “Buddhism and Culture,” Iryŏp maintains that there is noneed for fixed hierarchies, and no need to fear God or Buddha, since these areconventional designations for the open, unbounded, genuine self of each thing.All beings are buddhas, and are primordially equal to and in themselves — from amaggot to the Buddha, as she says later (p. 230). The differences between beings aredue not to an established hierarchy and inequality of beings but to their degree ofculture or their actualization of their original self-empty nature. Whereas we live“like dolls” (p. 46) controlled by environmental and karmic conditions, the Buddhais the greatest exemplar and teacher of a culture of freedom and responsibility that“only I” can realize for myself.Philosophy and autobiography are frequently assumed to be incompatible cate-gories in orthodox Western thought. The remaining chapters of Iryŏp’s

Reflections

reveal how autobiographical writing can be responsive to and reflective of an exis-tential situation. Chapters 4 and 5 describe her journey as a Buddhist nun in responseto the fifteen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er master, Man’gong (1871–1946), andto her twenty-fifth year as a monastic. Chapters 6 and 7 address social-political ques-tions such as peace and the Korean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Chapters 8 to 11 are written as letters. They have an intimate self-reflective stylerevealing the existential import of Buddhist practice and thought in her life. Iryŏpresponds to Ch’oe Namsŏn’s (1890–1957) conversion from Buddhism to Catholicismin chapter 8. Iryŏp replies to a childhood friend in chapter 9 to explain her own con-version to Buddhism. Chapters 10 and 11 are the most personal of the work as theseare addressed to two of her lovers from her life as a “new woman” in the 1920s: thepoet Im Nowŏl (fl. 1920–1925) and the Buddhist philosopher and non-celibate monkPaek Sŏnguk (1897–1981), whose influence was crucial to her initial interpretation



Book Reviews 1051

and practice of Buddhism. These chapters reveal in a personal way the complex in-tersections and tension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secularism and religion,Christianity and Buddhism, and male and female gender roles in twentieth-centuryKorean life.Part 1 concludes with letters from Paek Sŏnguk and Iryŏp’s attendant. Part 2sheds additional light on her understanding of Buddhism with the translation of threedharma talks and a letter to journalists. The letter to journalists raises the issue ofwhether she abandoned her earlier views of gender fairness, as critics argue, or em-ployed the traditional language of male superiority to address male correspondents.Park’s important edition of Iryŏp’s writings will interest those readers concernednot only with moder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and Korean Buddhism but also withexamples of reflective or philosophical autobiography, experiences of crisis and con-version, and how one singular person responds to her existential condition.

Note1 – See Jin Y. Park, “Gendered Response to Modernity: Kim Iryŏp and Buddhism,” in Jin Y.Park, ed.,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Press, 2009), pp. 109–130.

The Buddha's Apprentices by Sharon Salzberg - Ebook | Scribd

The Buddha's Apprentices by Sharon Salzberg - Ebook | Scribd

The Buddha's Apprentices: More Voices of Young Buddhists

The Buddha's Apprentices: More Voices of Young Buddhists

269 pages
8 hours

Description

Sumi Loundon's Blue Jean Buddha was hailed by the New York Times Review of Books as "a bellwether anthology"--mapping the spiritual trails followed by a generation of American Buddhist youths. The Buddha's Apprentices examines that territory in fuller detail, telling twenty-six more stories of this powerful spiritual path, including the stories of many teenagers. The book shows us the common challenges that spiritually hungry young adults of today might face, with a focus on the identity issues around personality, profession, and lifestyle. Also included are several affirming essays from prominent older Buddhists, recalling their first encounters with Buddhism. The Buddha's Apprentices inspires, examining the tectonic shifts that young, spiritually-inclined people undergo as they leave home, search for partners, consider commitment and marriage, and build their lives. Furthermore, they tell of how Buddhism changes and enhances their abilities to face life's difficulties.

Sumi Loundon's rich and youthful commentary lets us appreciate each contributor's individual voice, and helps us to see how they contribute to the always-evolving chorus of modern Buddhism.

The Buddha's Apprentices can be considered a sequel to Sumi Loundon's Blue Jean Buddha, but goes beyond that work by giving extra attention to teens and young adults and including pieces from Thich Nhat Hanh, Lama Surya Das, and a truly diverse array of younger author/contributors.
==

Editorial Reviews

Review

"A powerful and profound collection, alive with the voices of young Buddhists, whose sincere and honest personal storie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common life experiences we all share. I'd cut class to read this book!" -- Matthew Bortolin, author of The Dharma of Star Wars

"In 
The Buddha's Apprentices, the contributors bring a broader range of experiences. There is more representation from teens and there is also a selection of narratives from big-name, older practitioners who reflect on their youthful engagement with the dharma. Some of the stories offer genuinely touching and complex accounts of how practice has been important to their lives and self-formations. The stories in Buddha's Apprentices help us understand that in most sanghas today, you are considered young if you're under forty--because most everyone else is over fifty. This can be alienating. If you're a young person interested in the buddhadharma and you're far from a center or Buddhist community, you might feel even freakier. And so this book offers something to the lucky, isolated youth who manages to get her hands on it. The Buddha's Apprentices is a fine volume, and a solid successor to Blue Jean Buddha." ― Shambhala Sun

"Young Buddhists from several countries share their life experiences. Their ages range from very young teens to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closing with a section of reminiscences by longtime Buddhists as mature as the 76-year-old Thich Nhat Hanh. Remarkable first-hand accounts that resonate with eagerness and curiosity." ― 
Mandala

"Always insightful, sometimes sweet, and occasionally startling, these simply-told tales of being young and Buddhist, whether in a fundamentalist Christian, secular, traditionally Asian, or hip, Sixties-style family, are timely reminders that the dharma continues to thrive, even if Buddhism is not in the media spotlight today as it was during the 1990s. Loundon here provides the reader with a rich trans-generational look at Buddhism and youth. Opening with first-person accounts of the meaning Buddhist practice for contemporary teens, it then moves onto the edgier experiences of twenty and thirty-somethings. It concludes with fond reminiscences by some of today's senior leaders and teachers--Norman Fisher, Surya Das, Venerable Yifa, and Thich Nhat Hanh among others--about their own youthful search for meaning and their eventual discovery of the dharma. This is an engaging book that ought to be of interest to general readers, practitioners, and scholars with an interest in American Buddhism." -- Richard Hughes Seager, author of Buddhism in America and Encountering the Dharma: Daisaku Ikeda, Sokka Gakai, and the Globalization of Buddhist Humanism

"There's something profound and beautiful in every chapter." -- Franz Metcalf, author of Buddha in Your Backpack

"
The Buddha's Apprentices is a stellar follow up to Sumi's first collection, Blue Jean Buddha. In this book she broadens the perspective of dharma practitioners in the west, diversifies the voices and shines light upon the important issues of age, race, and tradition. Reading this book is like having conversations with and hearing the stories of your friends, children, teachers and peers. A great introduction for newcomers to Buddhism and an inspiration to practitioners from all schools of Buddha Dharma." -- Noah Levine, author of Dharma Punx and Against the Stream

"It is a pleasure to listen to these voices. They point to the future of Buddhadharma in the West." -- Jack Kornfield, author of A Path with Heart

"Awesome in the beginning, awesome in the middle, and awesome in the end. Forget Chicken Soup for the whatever Soul, 
The Buddha's Apprentices is a four-course meal of spiritual food. Whether you are new to Buddhism or have read an assortment of books on the subject, The Buddha's Apprentices has something for everyone. Crisp, clear, honest writing reveals how these young adults (and a few elders) are living the teachings in our modern world--in high schools, colleges, and monasteries, through relating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The book does an excellent job of showing more than telling the power and challenges of the path. If you are in the high school or college-age population and are looking to live your life with deeper wisdom, this book is for you." -- Soren Gordhamer, author of Just Say Om!

"Well-written and fascinating. It is inspiring to see how young people put the dharma into practice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 Martine Batchelor, author of Thorsons Principles of Zen and Meditation for Life

"Don't think of this book as merely a sociology of young western Buddhism. These riveting stories are timeless classics, with authentic voices of 'beginner's mind' shared by every genuine practitioner. You won't be able to put it down." -- Judith Simmer-Brown, Naropa University professor and author of Dakini's Warm Breath: The Feminine Principle in Tibetan Buddhism

About the Author

Rev. Sumi Loundon Kim is the Buddhist chaplain at Duke University and minister for the Buddhist Families of Durham. She has published two anthologies, Blue Jean Buddha: Voices of Young Buddhists and The Buddha's Apprentices: More Voices of Young Buddhists. Following a master's degree in Buddhist studies and Sanskrit from the Harvard Divinity School, she was the associate director for the Barre Center for Buddhist Studies in Barre, Massachusetts. She lives in Durham, North Carolina, with her husband and two children.

Sharon Salzberg, a co-founder of the Insight Meditation Society, has practiced Buddhist meditation since 1971 and has been teaching worldwide since 1974. She is the author of 
Faith: Trusting Your Own Deepest ExperienceLovingkindness, and A Heart As Wide As The World. She lives in Barre, Massachuse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