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21

Anarcho-primitivism - Wikipedia

Anarcho-primitivism - Wikipedia

Anarcho-primitiv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Anarcho-primitivism is a political ideology that advocates a return to non-"civilized" ways of life through deindustrialization, abolition of the division of labor or specialization and abandonment of large-scale organization technologies. Anarcho-primitivists critique the origins and progres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ndustrial society.[1] According to anarcho-primitivism, the shift from hunter-gatherer to agricultural subsistence during the Neolithic Revolution gave rise to coercionsocial alienation and social stratification.[2][3]

Many classical anarchists reject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while some such as Wolfi Landstreicher endorse the critique without considering themselves anarcho-primitivists.[4] Anarcho-primitivists are often distinguished by their focus on the praxis of achieving a feral state of being through "rewilding".[5]

History[edit]

Origins[edit]

Walden by Henry David Thoreau, an influential early green-anarchist work

In the United States, anarchism started to have an ecological view mainly in the writings of Henry David Thoreau. In his book Walden, he advocates simple living and self-sufficiency among natural surroundings in resistance to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civilization.[6] "Many have seen in Thoreau one of the precursors of ecologism and anarcho-primitivism represented today by John Zerzan. For George Woodcock, this attitude can also be motivated by the idea of resistance to progress and the rejection of the increasing materialism that characterized North American society in the mid-19th century."[6] Zerzan himself included the text "Excursions" (1863) by Thoreau in his edited compilation of anti-civilization writings called Against Civilization: Readings and Reflections from 1999.[7]

In the late 19th century, anarchist naturism appeared as the union of anarchist and naturist philosophies.[8][9] It mainly was important within individualist anarchist circles[6] in Spain,[6][8][9] France[6] and Portugal.[10] Important influences in it were Henry David Thoreau,[6] Leo Tolstoy[8] and Elisee Reclus.[11] Anarcho-naturism advocated vegetarianismfree lovenudism and an ecological world view within anarchist groups and outside them.[8]

Anarcho-naturism promoted an ecological worldview, small ecovillages, and most prominently nudism as a way to avoid the artificiality of the industrial mass society of modernity.[8] Naturist individualist anarchists saw the individual in his biolog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avoided and tried to eliminate social determinations.[12] Their ideas were important in individualist anarchist circles in France but also in Spain where Federico Urales (pseudonym of Joan Montseny), promotes the ideas of Gravelle and Zisly in La Revista Blanca (1898–1905).[13]

This tendency was strong enough as to call the attention of the CNTFAI in Spain. Daniel Guérin, in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reports how "Spanish anarcho-syndicalism had long been concerned to safeguard the autonomy of what it called "affinity groups". There were many adepts of naturism and vegetarianism among its members, especially among the poor peasants of the south. Both these ways of living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being in preparation for a stateless society. At the Zaragoza congress, the members did not forget to consider the fate of groups of naturists and nudists, "unsuited to industrialization." As these groups would be unable to supply all their own needs, the Congress anticipated that their delegates to the meetings of the Confederation of communes would be able to negotiate special economic agreements with the other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mmunes. On the eve of a vast, bloody, social transformation, the CNT did not think it foolish to try to meet the infinitely varied aspirations of individual human beings."[14]

Recent themes[edit]

Anarchists contribute to an anti-authoritarian push,[15] which challenges all abstract power on a fundamental level, striving for egalitarian relationships and promoting communities based upon mutual aid.[16] Primitivists, however, extend ideas of non-domination to all life, not just human life, going beyond the traditional anarchist's analysis. Using the work of anthropologists, primitivists look at the origins of civilization so as to understand what they are up against and how current society formed in order to inform a change in direction. Inspired by the Luddites, primitivists rekindle an anti-technological orientation.[17] Insurrectionalists do not believe in waiting for critiques to be fine-tuned, instead spontaneously attacking civilization's current institutions.

Primitivists may owe much to the Situationists and their critique of the ideas i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and alienation from a commodity-based society. Deep ecology informs the primitivist perspective with an understanding that the well-being of all life is linked to the awareness of the inherent worth and intrinsic value of the non-human world, independent of its economic value. Primitivists see deep ecology's appreciation for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life as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that present human interference with the non-human world is coercive and excessive.

Bioregionalists bring the perspective of living within one's bioregion, and being intimately connected to the land, water, climate, plants, animals, and general patterns of their bioregion.[18]

Some primitivist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various indigenous cultures. Primitivists attempt to learn and incorporate sustainable techniques for survival and healthier ways of interacting with life. Some are also inspired by the feral subculture, where people abandon domestication and have re-integrate themselves with the wild.

Some theorists posit that the fact that anarcho-primitivism has existed as a political ideology consistently for so long points to a dissatisfaction with civilization and a desire to return to nature felt across cultures and generations. They argue that the width of the divide between civilization and nature, or the perception thereof, is a factor that feeds the desire to destroy civilization, and by extension, supports the continued relevance of anarcho-primitivist thought.[19]

Main concepts[edit]

"Anarchy is the order of the day among hunter-gatherers. Indeed, critics will ask why a small face-to-face group needs a government anyway. [...] If this is so we can go further and say that since the egalitarian hunting-gathering society is the oldest type of human society and prevailed for the longest period of time – over thousands of decades – then anarchy must be the oldest and one of the most enduring kinds of polity. Ten thousand years ago everyone was an anarchist."

Harold Barclay, American anthropologist[20]

Some anarcho-primitivists state that prior to the advent of agriculture humans lived in small, nomadic bands which were social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egalitarian. Being without hierarchy, these bands are sometimes viewed as embodying a form of anarchism.

Primitivists hold that following the emergence of agriculture the growing masses of humanity became evermore beholden to technology ("technoaddiction") [21] and abstract power structures arising from the division of labor and hierarchy. Primitivists disagree over what degree of horticulture might be present in an anarchist society, with some arguing that permaculture could have a role but others advocating a strictly hunter-gatherer subsistence.

Primitivism has drawn heavily upon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From the 1960s forward, societies once viewed as "barbaric" were reevaluated by academics, some of whom now hold that early humans lived in relative peace and prosperity in what has been called the "original affluent society". Frank Hole, an early-agriculture specialist, and Kent Flannery, a specialist in Mesoamerican civilization, have noted that, "No group on earth has more leisure time than hunters and gatherers, who spend it primarily on games, conversation and relaxing."[22] Jared Diamond, in the article "The Worst Mistake in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23] said hunter-gatherers practice the most successful and longest-lasting life style in human history, in contrast with agriculture, which he described as a "mess" and that it is "unclear whether we can solve it". Based on evidence that life expectancy has decreased with the adoption of agriculture, the anthropologist Mark Nathan Cohen has called for the need to revise the traditional idea that civilization represents progress in human well-being.[24]

Scholars such as Karl Polanyi and Marshall Sahlins characterized primitive societies as gift economies with "goods valued for their utility or beauty rather than cost; commodities exchanged more on the basis of need than of exchange value; distribution to the society at large without regard to labor that members have invested; labor performed without the idea of a wage in return or individual benefit, indeed largely without the notion of 'work' at all."[25]

An Anarcho-primitivist slogan, illustrating the perceived severity of the danger posed by civilization.

Civilization and violence[edit]

Anarcho-primitivists view civilization as the logicinstitution, and physical apparatus of domestication, control, and domination. They focus primarily on the question of origins. Civilization is seen as the underlying problem or root of oppression, and they believe that civilization should therefore be dismantled or destroyed.

Anarcho-primitivists describe the rise of civilization as the shift over the past 10,000 years from an existence deeply connected to the web of life, to one psychologically separated from and attempting to control the rest of life. They state that prior to civilization, there generally existed ample leisure time, considerable gender equality and social equality, a non-destructive and uncontrolling approach to the natural world, the absence of organized violence, no mediating or formal institutions, and strong health and robustness. Anarcho-primitivists state that civilization inaugurated mass warfare, the subjugation of women, population growth, busy work, concepts of property, entrenched hierarchies, as well as encouraging the spread of diseases. They claim that civilization begins with and relies on an enforced renunciation of instinctual freedom and that it is impossible to reform away such a renunciation. Based on several anthropological references, they further state that hunter-gatherer societies are less susceptible to war, violence, and disease.[26][27][28]

However, some—such as Lawrence Keely—contest this, citing that many tribe-based people are more prone to violence than developed states.[29]

A domesticated wolf. Just as humans have torn the creature from its roots and unnaturally altered its behavior, Anarcho-Primitivists argue that civilization has done the same to humankind.

Domestication[edit]

Anarcho-primitivists, such as John Zerzan, define domestication as "the will to dominate animals and plants", claiming that domestication is "civilization's defining basis".[30]

They also describe it as the process by which previously nomadic human populations shifted towards a sedentary or settled existence through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They claim that this kind of domestication demands a totalitarian relationship with both the land and the plants and animals being domesticated. They say that whereas, in a state of wildness, all life shares and competes for resources, domestication destroys this balance. Domesticated landscape (e.g. pastoral lands/agricultural fields and, to a lesser degree, horticulture and gardening) ends the open sharing of resources; where "this was everyone's," it is now "mine." Anarcho-primitivists state that this notion of ownership laid the foundation for social hierarchy as property and power emerged. It also involved the destruction, enslavement, or assimilation of other groups of early people who did not make such a transition.

To primitivists, domestication enslaves both the domesticated species as well as the domesticators. Advances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thropology, and sociology allow humans to quantify and objectify themselves, until they too become commodities.

Rewilding and reconnection[edit]

For most primitivist anarchists, rewilding and reconnecting with the earth is a life project. They state that it should not be limited to intellectual comprehension or the practice of primitive skills, but, instead, that it i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vasive ways in which we are domesticated, fractured, and dislocated from ourselves, each other, and the world. Rewilding is understood as having a physical component which involves reclaiming skills and developing methods for a sustainable co-existence, including how to feed, shelter, and heal ourselves with the plants, animals, and materials occurring naturally in our bioregions. It is also said to include the dismantling of the physical manifestations, apparatus, and infrastructure of civilization.

Rewilding is also described as having an emotional component, which involves healing ourselves and each other from what are perceived as 10,000-year-old wounds, learning how to live together in non-hierarchical and non-oppressive communities, and de-constructing the domesticating mindset in our social patterns. To the primitivist, "rewilding includes prioritizing direct experience and passion over mediation and alienation, re-thinking every dynamic and aspect of reality, connecting with our feral fury to defend our lives and to fight for a liberated existence, developing more trust in our intuition and being more connected to our instincts, and regaining the balance that has been virtually destroyed after thousands of years of patriarchal control and domestication. Rewilding is the process of becoming uncivilized."

Consumerism and mass society[edit]

Brian Sheppard asserts that anarcho-primitivism is not a form of anarchism at all. In Anarchism vs. Primitivism he says: "In recent decades, groups of quasi-religious mystics have begun equating the primitivism they advocate (rejection of science, rationality, and technology often lumped together under a blanket term "technology") with anarchism. In reality, the two have nothing to do with each other."[31]

Andrew Flood agrees with this assertion and points out that primitivism clashes with what he identifies as the fundamental goal of anarchism: "the creation of a free mass society".[32]

Primitivists do not believe that a "mass society" can be free. They believe industry and agriculture inevitably lead to hierarchy and alienation. They argue that the division of labor techno-industrial societies require to function forces people into reliance on factories and the labor of other specialists to produce their food, clothing, shelter, and other necessities and that this dependence forces them to remain a part of this society, whether they like it or not.[3]

Critique of mechanical time and symbolic culture[edit]

Some anarcho-primitivists view the shift towards an increasingly symbolic culture as highly problematic in the sense that it separates us from direct interaction. Often the response to this, by those who assume that it means that primitivists prefer to completely eliminate all forms of symbolic culture, is something to the effect of, "So, you just want to grunt?"[33] However, typically the critique regards the problems inherent within a form of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on that relies primarily on symbolic thought at the expense (and even exclusion) of other sensual and unmediated means of comprehension. The emphasis on the symbolic is a departure from direct experience into mediated experience in the form of language, art, number, time, etc.

Anarcho-primitivists state that symbolic culture filters our entire perception through formal and informal symbols and separates us from direct and unmediated contact with reality. It goes beyond just giving things names, and extends to having an indirect relationship with a distorted image of the worl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ens of representation. It is debatable whether humans are "hard-wired" for symbolic thought, or if it developed as a cultural change or adaptation, but, according to anarcho-primitivists, the symbolic mode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s limited and deceptive, and over-dependence upon it leads to objectification, alienation, and perceptual tunnel vision. Many anarcho-primitivists promote and practice getting back in touch with and rekindling dormant and/or underutilized methods of interaction and cognition, such as touch and smell, as well as experimenting with and developing unique and personal mode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Regarding those primitivists who have extended their critique of symbolic culture to language itself, Georgetown University professor Mark Lance describes this particular theory of primitivism as "literally insane, for proper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create within the box a means to destroy the box."[34]

Criticism and counter-criticism[edit]

Notable critics of anarcho-primitivism include post-left anarchists Wolfi Landstreicher[4] and Jason McQuinn,[35] Ted Kaczynski (the "Unabomber"),[36] and especially libertarian socialist Murray Bookchin, as seen in his polemical work entitled Social Anarchism or Lifestyle Anarchism.

Wording and semantics[edit]

Activist writer Derrick Jensen wrote in Walking on Water that he is often classified as a "Luddite" and "an anarcho-primitivist. Both of these labels fit well enough, I suppose."[37] Others, too, have designated his work with the latter term;[38][39] however, more recently, Jensen began to categorically reject the "primitivist" label, describing it as a "racist way to describe indigenous peoples." He prefers to be called "indigenist" or an "ally to the indigenous."[40]

Hypocrisy[edit]

A common criticism is of hypocrisy, i.e. that people rejecting civilization typically maintain a civilized lifestyle themselves, often while still using the very industrial technology that they oppose in order to spread their message. Jensen counters that this criticism merely resorts to an ad hominem argument, attacking individuals but not the actual validity of their beliefs.[41] He further responds that working to entirely avoid such hypocrisy is ineffective, self-serving, and a convenient misdirection of activist energies.[42] Primitivist John Zerzan admits that living with this hypocrisy is a necessary evil for continuing to contribute to the larger intellectual conversation.[43] Jason Godesky holds that the charge of hypocrisy is a generalization, affirming that "not all primitivists are against technology in and of itself; only some. Many primitivists hold a view that technology is ambiguous (...) So, the charge of hypocrisy only holds up if we extend the beliefs of some primitivists to all primitivists, or to primitivism itself." [44]

Glorification of indigenous societies[edit]

Wolfi Landstreicher and Jason McQuinn, post-leftists, have both criticized the romanticized exaggerations of indigenous societies and the pseudoscientific (and even mystical) appeal to nature they perceive in anarcho-primitivist ideology and deep ecology.[35][45] Zerzan has countered that the anarcho-primitivist view is not idealizing the indigenous, but rather "has been the mainstream view presented in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textbooks for the past few decades. It sounds utopian, but it's now the generally accepted paradigm".[46]

Ted Kaczynski has also argued that certain anarcho-primitivists have exaggerated the short working week of primitive society, arguing that they only examine the process of food extraction and not the processing of food, creation of fire and childcare, which adds up to over 40 hours a week.[47]

Criticism from social anarchists[edit]

Besides Murray Bookchin, many class struggle oriented and social anarchists criticize primitivism as offering "no way forwards in the struggle for a free society" and that "often its adherents end up undermining that struggle by attacking the very things, like mass organization, that are a requirement to win it".[48] Other social anarchists have also argued that abandoning technology will have dangerous consequences, pointing out that around 50%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Kingdom requires glasses and would be left severely impaired. Radioactive waste would need to be monitored for tens of thousands of years with high-tech equipment to prevent it leaking into ecosystems, that the millions of people who need regular treatment for illnesses would die and that the removal of books, recorded music, medical equipment, central heating and sanitation would result in a rapid dropping of th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social anarchists contend that without advanced agriculture the Earth's surface would not be able to support billions of people, meaning that building a primitivist society would require the death of billions.[49]

See also[edit]

Notes[edit]

  1. ^ el-Ojeili, Chamsy; Taylor, Dylan (2 April 2020). ""The Future in the Past": Anarcho-primitivism and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Today"Rethinking Marxism32 (2): 168–186. doi:10.1080/08935696.2020.1727256ISSN 0893-5696S2CID 219015323.
  2. ^ Jeihouni, Mojtaba; Maleki, Nasser (12 December 2016). "Far from the madding civilization: Anarcho-primitivism and revolt against disintegration in Eugene O'Neill's The Hairy Ape"International Journal of English Studies16 (2): 61. doi:10.6018/ijes/2016/2/238911ISSN 1989-6131.
  3. Jump up to:a b Wilson, Chris (2001). "Against Mass Society." Green Anarchy, no. 6., via TheAnarchistLibrary.org. Retrieved 11 April 2019.
  4. Jump up to:a b Landstreicher, Wolfi (2007). "A Critique, Not a Program: For a Non-Primitivist Anti-Civilization Critique".
  5. ^ Olson, Miles (9 October 2012). Unlearn, rewild. Gabriola, BC, Canada. ISBN 978-0-86571-721-3OCLC 795624647.
  6. Jump up to:a b c d e f Diez, Xavier Diez. "La Insumisión Voluntaria: El Anarquismo Individualista Español Durante La Dictadura Y La Segunda República (1923–1938)" [Draft Avoidance: Spanish Individualistic Anarchism During the Dictatorship and the Second Republic (1923–1938)]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y 2006. Su obra más representativa es Walden, aparecida en 1854, aunque redactada entre 1845 y 1847, cuando Thoreau decide instalarse en el aislamiento de una cabaña en el bosque, y vivir en íntimo contacto con la naturaleza, en una vida de soledad y sobriedad. De esta experiencia, su filosofía trata de transmitirnos la idea que resulta necesario un retorno respetuoso a la naturaleza, y que la felicidad es sobre todo fruto de la riqueza interior y de la armonía de los individuos con el entorno natural. Muchos han visto en Thoreau a uno de los precursores del ecologismo y del anarquismo primitivista representado en la actualidad por John Zerzan. Para George Woodcock(8), esta actitud puede estar también motivada por una cierta idea de resistencia al progreso y de rechazo al materialismo creciente que caracteriza la sociedad norteamericana de mediados de siglo XIX.
    Translated: "His most representative work is Walden, published in 1854, although redacted between 1845 and 1847 when Thoreau decided to move to an isolated cabin in the woods and live in intimate contact with nature in a solitary and sober life. His philosophy, from this experience, attempts to transmit the idea that a return to respecting nature is necessary, and that happiness is, above all, a fruit of inner richness and harmony between individual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Many have seen Thoreau as a precursor to ecologism and anarcho-primitism, actualized by John Zerzan. For Woodcock (8), this attitude can also be motivated by the idea of resistance to progress and the rejection of the increasing materialism that characterized North American society in the mid-19th century."
  7. ^ Zerzan, John, ed. (2005). Against Civilization: Readings and Reflections. Feral House. ISBN 0-922915-98-9.
  8. Jump up to:a b c d e Roselló, Josep Maria. "El Naturismo Libertario (1890–1939)"[Libertarian Naturism (1890–1939)] (PDF)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PDF) on 2 January 2016.
  9. Jump up to:a b Ortega, Carlos. "Anarchism, Nudism, Naturis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December 2013. Retrieved 10 December 2013.
  10. ^ Freire, João. "Anarchisme et naturisme au Portugal, dans les années 1920" [Anarchism and naturism in Portugal in the 1920s]. Les anarchistes du Portugal [The Anarchists of Portugal] (in French). ISBN 2-9516163-1-7.'
  11. ^ "The pioneers"Natust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2.
  12. ^ "El individuo es visto en su dimensión biológica -física y psíquica- dejándose la social." (Roselló)
  13. ^ Morán, Agustín. "Los origenes del naturismo libertario" [The origins of libertarian naturism] (in Spanish).
  14. ^ Guérin, Daniel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15. ^ Jun, Nathan (September 2009). "Anarchist Philosophy and Working Class Struggle: A Brief History and Commentary"WorkingUSA12 (3): 505–519. doi:10.1111/j.1743-4580.2009.00251.xISSN 1089-7011.
  16. ^ Guérin, Daniel, 1904-1988. (1970). Anarchism : from theory to practice. Paul Avrich Collection (Library of Congress).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ISBN 0-85345-128-1OCLC 81623.
  17. ^ Gardenier, Matthijs (2016). "Le courant " anti-tech ", entre anarcho-primitivisme et néo-luddisme"Sociétés131 (1): 97. doi:10.3917/soc.131.0097ISSN 0765-3697.
  18. ^ Perrin, Coline (2020), "Social Justice in Spatial Planning: How Does Bioregionalism Contribute?"Bioregional Planning and Design: Volume I,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97–110, doi:10.1007/978-3-030-45870-6_6ISBN 978-3-030-45869-0, retrieved 11 October 2020
  19. ^ "West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1 Meeting"Political Research Quarterly63 (4): 933. 30 November 2010. doi:10.1177/1065912910389134ISSN 1065-9129.
  20. ^ Barclay, Harold (1996). People Without Government: An Anthropology of Anarchy. Kahn & Averill. ISBN 1-871082-16-1.
  21. ^ Boyden, Stephen Vickers (1992). "Biohistory: The interplay between human society and the biosphere, past and present". Man and the Biosphere Series. Pari: UNESCO. 8 (supplement 173). doi:10.1021/es00028a604.
  22. ^ Gowdy, John M. (1998). Limited Wants, Unlimited Means: A Reader on Hunter-Gatherer Economics. Island Press. p. 265. ISBN 1-55963-555-X.
  23. ^ Diamond, Jared (May 1987). "The Worst Mistake in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Discover Magazine.
  24. ^ Nathan Cohen, Mark (1991). Health and the Rise of Civilizati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5023-2.
  25. ^ Zerzan, John (1994). Future Primitive and Other Essays. Autonomedia. ISBN 1-57027-0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26. ^ Schultz, Emily; Lavenda, Robert. "The Consequences of Domestication and Sedentis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09. Retrieved 11 May2007.
  27. ^ Elman, Service (1972). The Hunters. Prentice Hall. ASIN B000JNRGPK.
  28. ^ Kelly, Robert L. (1995). The Foraging Spectrum: Diversity in Hunter-Gatherer Lifeways.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ISBN 1-56098-465-1.
  29. ^ Keely, Lawrence (1996). War Before Civilization: the Myth of the Peaceful Savag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80706.
  30. ^ Zerzan, John (2008). Twilight of the Machines. Feral House. p. 55. ISBN 978-1-932595-31-4.
  31. ^ Sheppard, Brian. "Anarchism vs. Primitivism".
  32. ^ Flood, Andrew (2005). "Is primitivism realistic? An anarchist reply to John Zerzan and others"Anarchist Newswire.
  33. ^ The Green Anarchy Collective. "An Introduction to Anti-Civilization Anarchist Though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December 2008.
  34. ^ Lance, Mark from lecture Anarchist Practice, Rational Democracy, and CommunityNCOR (2004). Audio files Archived 21 April 2005 at the Wayback Machine
  35. Jump up to:a b McQuinn, JasonWhy I am not a Primitivist.
  36. ^ Kaczynski, Ted"The Truth About Primitive Life: A Critique of Anarchoprimitivism"It seems obvious, for example, that the politically correct portrayal of hunter-gatherers is motivated in part by an impulse to construct an image of a pure and innocent world existing at the dawn of time, analogous to the Garden of Eden," and calls the evidence of the violence of hunter-gatherers "incontrovertible.
  37. ^ Jensen, Derrick (2005). Walking on Water. p. 223. ISBN 9781931498784.
  38. ^ Esbjörn-Hargens, Sean; Zimmerman, Michael E. (2009). Integral Ecology: Uniting Multiple Perspectives on the Natural World. Shambhala Publications. p. 492. ISBN 9781590304662.
  39. ^ Torres, Bob (2007). Making a Killing: The Political Economy of Animal Rights. p. 68ISBN 9781904859673.
  40. ^ Blunt, Zoe (2011). "Uncivilized"Canadian Dimension. Retrieved 24 May 2011.
  41. ^ Jensen, Derrick (2006). The Problem of CivilizationEndgame1. New York City: Seven Stories Press. p. 128. ISBN 978-1-58322-730-5.
  42. ^ Jensen, 2006, pp. 173–174: "[Although it's] vital to make lifestyle choices to mitigate damage caused by being a member of industrial civilization... to assign primary responsibility to oneself, and to focus primarily on making oneself better, is an immense copout, an abrogation of responsibility. With all the world at stake, it is self-indulgent, self-righteous, and self-important. It is also nearly ubiquitous. And it serves the interests of those in power by keeping our focus off them."
  43. ^ "Anarchy in the USA"The Guardian. London. 20 April 2001.
  44. ^ "5 Common Objections to Primitivism"The Anarchist Library. Retrieved 23 October 2019.
  45. ^ "The Network of Domination".
  46. ^ Harmon, James L., ed. (2010). "unknown+to+most" Take My Advice: Letters to the Next Generation from People Who Know a Thing or Two. Simon and Schuster. ISBN 9780743242875.
  47. ^ Kaczynski, Theodore (2008). The Truth About Primitive Life: A Critique of Primitivism.
  48. ^ "Civilisation, primitivism and anarchism - Andrew Flood"libcom.org. Retrieved 28 June 2017.
  49. ^ "Primitivism, anarcho-primitivism and anti-civilisationism - critique"libcom.org. 12 October 2006.

Bibliography[edit]

Further reading[edit]

Books[edit]

Periodicals[edit]

Web[edit]


「断捨離(だんしゃり)」 人生の大そうじをする人々 - NHK クローズアップ現代+

「断捨離(だんしゃり)」 人生の大そうじをする人々 - NHK クローズアップ現代+

 2010年12月16日(木)
「断捨離(だんしゃり)」 人生の大そうじをする人々

「断捨離(だんしゃり)」
人生の大そうじをする人々

    出演者

    • 釈 徹宗さん
      (宗教学者)

    2021/01/20

    알라딘: [전자책] 불편한 인권

    알라딘: [전자책] 불편한 인권

    불편한 인권 - 사상으로 읽는 인권의 역사  | 푸른들녘 인문교양 22 epub 
    박홍규 (지은이)푸른들녘2019-11-07 


    불편한 인권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14,000원 12,600원 (마일리지700원) 
    전자책정가
    9,800원
    판매가
    9,8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쿠폰할인가
    8,82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490원(5%) + 294원(멤버십 3%)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45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Sales Point : 60 
     8.0 100자평(0)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ePub(53.25 MB)
    TTS 여부 : 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456쪽, 약 18.6만자, 약 5.4만 단어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ISBN : 9791159253911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인권문제
    eBook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시리즈푸른들녘 인문교양 (총 24권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10대를 위한 슬기로운 게임생활

    조기의 한국사

    스코 박사의 과학으로 읽는 역사유물 탐험기

    아동인권

    헌법수업 - 말랑하고 정의로운 영혼을 위한
    더보기
    이벤트

    1월 특별 선물! 둘리/피너츠 노트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오늘의 추천 eBook(일반) + 1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1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푸른들녘 인문교양 22번째 책. 대한민국은 여성, 외국인, 노동자,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들에 관한 인권 문제를 중대하게 논의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 ‘인권’이란 ‘사람답게 살 권리’를 뜻하며, 그동안 반인간적인 억압에 가려져 있던 약자들의 고충을 드러내, 제도적으로 그들의 인권을 보장해야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약자들의 인권은 언제나 쉽게 보장되지 않았다. 약자들의 인권 증진으로 인해 지배계층이 불이익을 얻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불과 한 세기 이전만 해도, 미국인은 노예제 폐지에 맞서 흑인을 계속 노예로 삼으려 했다. 억압적 상황에서 약자들은 끊임없이 부당한 체제에 맞서기 위해 일어섰으며, 압제에 의해 쓰러졌고, 다시 봉기했다. 그러므로 ‘인권의 역사’는 대부분 승리자(강자)가 아닌, 패배자들을 기록한 역사이기도 하다.

    약자의 인권이 확장되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기존의 체제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떤 부당한 체제도 그 안에 복잡한 구조와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한 체제에 익숙한 사람들은 부당한 체제가 합당하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게다가 현실적으로 이보다 더 나은 사회적 대안을 찾기 어려워하기도 한다. 인권을 발전시키려 했던 사상가, 철학자들은 기존 체제를 낱낱이 해부하고 관찰했다. 그리고 부당함을 없애기 위한 대안적 사회제도를 탄탄한 이론으로 뒷받침하려 했다. 이 책은 인권의 역사 속에서 쓰러져간 약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약자의 권리증진을 목표했던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목차
    저자의 말
    들어가는 말_ 인권의 역사
    1. 인권의 탄생 - 고대
    나의 인권의 탄생 | 우리 헌법의 인권 원리 | 피그미 족의 인권 | 인간은 본래 자유롭고 평등했다 | 전쟁, 계급, 종교 | 고대 인권 논의의 문제점 | 유교와 인권 | 세계 최초의 인권문서-키루스원통 | 세계 최초의 인권사상–묵자 | 세계 최초의 인권기록–고대 그리스 | 세계 최초의 사상 및 표현의 자유 침해―소크라테스 처형 | 세계 최초의 인권투쟁–스파르타쿠스

    2. 신체적 인권 – 중세
    나의 신체적 인권 | 우리 헌법의 신체적 인권 | 중세의 인권 | 기독교와 인권 | 중세적 인권의 발전 | 중세의 인권사상-펠라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 중세의 인권문서-마그나카르타 | 14세기의 인권투쟁-소작농 반란 | 12세기 한반도 최초의 인권투쟁

    3. 정신적 인권 – 15-17세기
    나의 정신적 인권 | 우리 헌법의 정신적 인권 | 15-17세기의 세계적 인권유린 | 종교개혁과 인권투쟁 | 17세기 영국의 인권투쟁 | 17세기 영국의 인권문서–권리청원, 인신보호법, 권리장전 | 17세기의 인권사상–라 보에시, 홉스, 스피노자, 로크 | 밀턴의 자유와 제국주의 | 17세기 아메리카의 인권 | 근대 중국의 사상과 인권

    4. 정치적 인권 – 18세기
    나의 정치적 인권 | 우리 헌법의 정치적 인권 | 정치적 인권과 계몽 | 18세기 영국의 인권 | 18세기 미국의 인권 | 18세기 인권사상 – 페인 | 18세기 미국의 인권투쟁-미국의 사회적 혁명 | 18세기 미국의 인권문서-미국의 ‘버지니아 헌법’과 ‘독립선언’ | 18세기 미국의 인권문서-미국 헌법 | 18세기 프랑스의 인권사상-프랑스 계몽주의의 인권관 | 18세기 프랑스 인권운동–프랑스 혁명 | 18세기 프랑스 인권 문서-프랑스 인권선언 | 18세기 프랑스의 여성과 노동자의 인권투쟁 | 18세기 프랑스 혁명과 식민지 인권투쟁

    5. 경제적 인권 – 19세기
    나의 경제적 인권 | 우리 헌법의 경제적 인권 | 19세기 세계의 혁명적 인권운동 | 19세기 영국의 인권 | 19세기 인권사상-밀의 <자유론>과 제국주의 | 19세기 프랑스의 인권 | 파리코뮌의 인권보장 구상 | 19세기 독일의 통일과 인권 | 19세기 이탈리아 통일과 인권 | 19세기 미국의 인권 | 19세기 미국의 남북전쟁과 인권의 확대 | 사회주의적 인권

    6. 사회적 인권 - 20세기 전반
    나의 사회적 인권 | 우리 헌법의 사회적 인권 | 20세기 전반의 사회적 인권 | 20세기 전반의 민족자결권과 민족주의 | 20세기 전반 유럽의 인권 | 20세기 초 미국의 시민적 인권 | 20세기 초 미국의 민주적 인권의 후퇴 | 1930년대 사회적 인권의 회복 | 1930년대 좌파의 대두와 좌절 | 제2차 대전과 경제적 자유 | 시민적 자유의 보편적 확대 | 소비적 자유의 탄생

    7. 민족적 인권 - 20세기 후반
    나의 민족적 인권 | 우리 헌법의 민족적 인권 | 20세기 후반 민족적 인권 대두의 배경 | 세계 최초의 국제적 인권문서–세계인권선언 | 세계 최초의 국제인권법- 국제인권규약 | 20세기 후반 인권투쟁의 시작-미국 흑인의 인권운동 | 1960년대 저항운동과 인권 | 1960-90년대 세계의 인권 | 20세기 후반 인권의 죽음 | 20세기 후반 보수적 인권 |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국가주의와 그 변화

    2018년 문재인 정부 개헌안의 의의와 한계
    개헌 논의와 좌절 | 1.포괄적 인권 -생명권이 들어갔지만 여전히 문제가 많다 | 2. 자유권 -사상의 자유가 아직도 없다 | 3. 사회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 4. 노동인권 | 5. 노동권 | 6. 노동조건권 | 7. 노동단체권 | 8. 인권의 제한 | 9. 경제 | 10. 법원

    나오는 말_ 인권의 미래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저자의 말에서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인권을 갖듯이 역사의 태초부터 인권이 있었고, 태초의 인간은 갓 탄생한 생명처럼 모두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였다고 했다.
    인권이란 ‘human rights’를 우리말로 옮긴 것인데 그 ‘human’이란 ‘인간의’라는 뜻과 함께 ‘인간적인’, ‘인간이기에 당연히 갖게 되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갖게 되는’이라는 뜻도 있어서 인권이란 그런 권리, 즉 ‘인간적인, 인간이기에 갖게 되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갖게 되는 권리’라는 뜻도 포함한다. 이러한 뜻은 우리말로 ‘인권’이라고 하는 경우에 잘 드러나지 않지만, 인권에는 분명히 그런 뜻이 있다. 아니 그런 뜻이 인권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인간이면 누구나 갖는 권리이니 인종, 성별, 나이, 국적 등에 따라 다를 수 없는 자유롭고 평등한 것이고, 나아가 역사상으로도 시대에 따라 다를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에선 그렇지 못했다. 루소가 『사회계약론』에서 “인간은 자유로운 몸으로 태어났으나 어디에서나 쇠사슬에 묶여 있다”고 했듯이 말이다._‘인권이란 무엇인가’에서  접기
    당시 하원은 이러한 사상을 가진 소지주와 상인들이 지배하면서 전통적인 지배계급인 국왕과 귀족과 소지주(젠트리, gentry)와 국교회가 장악한 상원과 대립했다. 국왕을 중심으로 여전히 봉건적인 착취자로서 이해관계를 함께 한 지배세력과 하원은 17세기에 접어들어 충돌했다. 하원의 통제를 받지 않는 새로운 세금 등을 국왕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하원이 반대하자 국왕은 반대파를 처벌하기 위한 특별 법원을 만들어 하원 없이 통치했고 교회가 국왕 편을 들었다. 그 결과 두 차례의 내란이 터지고 청교도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1658)을 중심으로 한 하원 세력이 결국은 승리했다.
    이를 1640년대의 영국혁명 또는 청교도혁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를 과연 ‘혁명’이라고 부를 만큼 근본적인 변화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그 혁명이란 지배 계급의 주도권을 국왕이 쥐느냐 하원이 쥐느냐의 권력 다툼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가령 당시 밀턴 같은 사람이 언론의 자유를 주장하고 지상 천국의 유토피아로 공화정을 찬양한 것이 사실이지만, 아래에서 보듯 그가 말한 언론 자유란 당대 개신교의 반대 세력인 가톨릭을 철저히 배제했다._‘17세기 영국의 인권’ 에서  접기
    계몽주의의 가장 급진적인 사상가인 토마스 페인은 『상식』 처음에서 국가와 사회를 구분하고“어떠한 상태에서도 사회는 축복이다. 그러나 최선의 상태라 하더라도 정부는 단지 필요악일 뿐이다”라고 했다. 사회는 자연상태이고 국가 및 정부는 인공상태다. 즉 자연상태인 사회로부터 인민은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계약에 의해 국가를 형성한다. 따라서 국가란 정치적으로 조직된 사회일 뿐이다. 국가를 형성함에 의해 인민은 자연상태로부터 정치공동체 구성원으로 넘어가고, 이 단계에서 국가 업무 수행의 상설적 대행기관인 정부를 형성한다.
    사회는 정의와 양심이 지배하는 한 지속되나 그것에 결함이 나타나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 조직의 필요성이 생긴다고 페인은 본다. 따라서 국가는 필요악이고, 문명화 정도에 따라 그 필요성은 줄어진다. 사회로부터의 국가에의 전환은 구성원의 계약에 의하는 것이지, 통치자와 피통치자 간의 계약에 의한 것이 아니다. 구성원 간의 계약에서 개인은 정신의 자유를 비롯한 여러 자유와 인권을 그대로 지닌다.
    그러한 사회계약에 의해 성립된 국가가 선거와 대표에 의한 대의제 공화국이고, 이에 반하는 것이 세습적 계승에 의한 전제국 또는 귀족국의 독재국가이다. 『상식』이나 『인권』의 상당 부분이 영국과 프랑스의 전제주의를 비판한 글임에서 알 수 있듯이 페인의 최대 관심은 전제주의의 타파와 공화국의 수립이었다._‘18세기 인권 사상: 페인’ 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박홍규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2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법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 박사학 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 법대·영국 노팅엄대학 법대·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연구하고, 일본 오사카대학·고베대학·리쓰메이칸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로 전공뿐만 아니라 정보사회에서 절실히 필요한 인문·예술학의 부활을 꿈꾸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전공인 노동법 외에 헌법과 사법 개혁에 관한 책을 썼다. 1... 더보기
    최근작 : <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저항하는 지성, 고야> … 총 217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귀족에 봉기한 소작농, 제국정부의 압제에 반대한 파리 시민들, 노예제에 맞선 흑인들…
    혁명과 투쟁의 격동기 속에 존재하는 인권 사상의 치열한 논쟁이 펼쳐진다!
    대한민국은 여성, 외국인, 노동자, 성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들에 관한 인권 문제를 중대하게 논의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 ‘인권’이란 ‘사람답게 살 권리’를 뜻하며, 그동안 반인간적인 억압에 가려져 있던 약자들의 고충을 드러내, 제도적으로 그들의 인권을 보장해야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약자들의 인권은 언제나 쉽게 보장되지 않았다. 약자들의 인권 증진으로 인해 지배계층이 불이익을 얻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불과 한 세기 이전만 해도, 미국인은 노예제 폐지에 맞서 흑인을 계속 노예로 삼으려 했다. 억압적 상황에서 약자들은 끊임없이 부당한 체제에 맞서기 위해 일어섰으며, 압제에 의해 쓰러졌고, 다시 봉기했다. 그러므로 ‘인권의 역사’는 대부분 승리자(강자)가 아닌, 패배자들을 기록한 역사이기도 하다.
    약자의 인권이 확장되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기존의 체제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떤 부당한 체제도 그 안에 복잡한 구조와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한 체제에 익숙한 사람들은 부당한 체제가 합당하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게다가 현실적으로 이보다 더 나은 사회적 대안을 찾기 어려워하기도 한다. 인권을 발전시키려 했던 사상가, 철학자들은 기존 체제를 낱낱이 해부하고 관찰했다. 그리고 부당함을 없애기 위한 대안적 사회제도를 탄탄한 이론으로 뒷받침하려 했다. 이 책은 인권의 역사 속에서 쓰러져간 약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약자의 권리증진을 목표했던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람답게 살 권리, 인권. 대한민국 헌법은 ‘사람답게 살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고 있을까?
    이 책은 단순히 사상적 흐름만을 이야기하거나, 과거의 논쟁을 다루지만은 않는다. 저자는 대한민국 20세기 후반의 격동기를 체험했다. 저자는 자신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겪어야 했던 인권탄압을 토로한다. 그리고 인류가 인권이 증진되어온 과정 속에서, 각 시대별로 나누어 당시 어떤 인권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설명한다. 중세에는 신체적 인권이, 15~17세기에는 정신적 인권이, 18세기에는 정치적 인권이, 19세기에는 경제적인권이, 20세기에는 민족적 인권이 부상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헌법은 각 시대별로 부상하고 증진되어온 인권적 요소들을 두루 겸비하고 있을까? 저자는 대한민국 헌법이 인권을 수호하고 확장하는 노력 속에서 탄생했지만, 아직 나아가야 할 길은 멀다고 한다. 이 책은 대한민국 구성원이 딛고 서 있는 국가의 헌법을 세세하게 들여다보며, 우리가 과연 제대로 된 인권을 보장받고 살아가고 있는지 탐구하고 있다.

    알려지지 않은 역사, 기록되지 않은 사상가
    인권의 역사, 그리고 인권사상가와 관련된 저술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각종 인권 및 정치사상을 다룬 책들이 나와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권의 역사를 다루면서 꼭 들어가야 할 이야기들이 누락된 저술들이 많다.
    오히려 반민주주의적이었던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혹은 홉스만을 자세하게 다룬 책들도 있다. 최초의 인권 문서 ‘키루스 원통’, 급진적이었던 신학자 펠라기우스, 17세기 대표 인권사상가 에티엔 드 라보에시 등 인권 향상에 제대로 된 기초가 된 역사적 사건이나 사상가는 오히려 외면되어 왔다. 그리고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이후 인권이 향상되기 시작했다는 기존의 통설에도 저자는 서구중심적이라는 이유로 반론을 제기한다. 『불편한 인권』은 기존 저술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역사와 기록되지 않은 사상가를 최대한 다루려는 노력 끝에 탄생했다. 이 책은 본래 일방적으로 찬사 받아왔던 사상들을 되짚어보고 시대착오적이었던 사상들을 과감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마땅히 성찰되어야할 부분은 현대적으로 어떤 의미를 계승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인권은 원래 ‘불편한’ 것이다
    인권이 ‘불편’하다니, 이게 무슨 말일까? 인권은 인간의 살아갈 권리를 규정하는 것인데, 왜 그것이 ‘불편’할까?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약자들의 인권이 보장되면서, 기존의 지배체계를 무너트릴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지배계층의 신념은 언제나 공동체 기존의 통념으로 굳어지고는 했다. 약자들의 저항은 곧 통념을 무너트리는 작업이었으며, 통념이 뒤바뀌는 ‘불편한’ 과정을 겪어야 했다. 그리하여 왕을 당연시 하던 시대를 넘어 민주주의가 도래했고, 노예를 당연시 하던 시대를 넘어 인종주의까지 극복하고자 했다. 그러나 역사는 항상 진보적인 방향으로만 나아간 건 아니다. 신자유주의가 도래하면서 노동자의 입지는 절박하게 됐고, 서구강대국들은 현대에도 수차례 전쟁을 벌여왔다. 아직도 성소수자와 인종과 관련한 인권보장은 아직도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다. 이처럼 ‘인권의 역사’는 과거가 아니래 현재진행형이며, 또 미래진행형이기도 하다. 『불편한 인권』은 단순히 과거의 논의만이 아닌, 현대적인 인권증진에 대한 논의를 꾸준하게 하면서, 사상가들의 사상과 엮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과거 인권사상과 저항의 역사는 미래를 준비하는 반면교사가 될 것이라고 이 책은 말한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7)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4) 
    이 책 어때요?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0)
    공감순 
    등록된 100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당신은 키루스보다 나은 지도자가 될 수 있는가? 새창으로 보기


    그 전쟁이 터지기 전에 키루스 2세(기원전 576/590~530)라는 고대 페르시아 왕이 기원전 539년 세계 최초의 인권문서인 ‘키루스원통(Cyrus Cylinder)’을 만들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그것은 흔히 세계 최초의 인권선언이라고 하는 잉글랜드의 마그나카르타보다 1754년 앞서고, 프랑스의 인권선언보다 2328년 앞선 것이었다. 게다가 마그나카르타는 영주와 귀족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고 프랑스 인권선언문은 백인 남자들만을 위한 것이었지만 키루스원통의 인권선언은 모든 인종에게 적용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명실 공히 최초의 세계인권선언이었다.(62-63) 





    묵자는 강한 자는 약한 자의 것을 빼앗지 않고, 다수가 소수의 것을 강압적으로 빼앗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자가 가난한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 귀한 사람이 천한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아야 한다고도 했다. 이것이 겸애의 핵심이었다. (68)





    1983년 일본에 유학했을 때, 재일교포들이 시달리는 가장 심각한 인권문제가 ‘지문날인제도’라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지문날인을 강요당하지 않는 일본인과의 차별이은 물론 자기정보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사생활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고, 적법절차의 원칙과 무죄추정의 원칙, 과잉금지의 원칙 등을 위배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지문날인제도는 1968년 박정희정권이 국민감시와 통제를 목적으로 도입한 이후, 법률적 근거도 없이 지금껏 적용되었다. 주민등록법에는 지문날인을 단지 주민등록증에 수록할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열 손가락 지문을 ‘강제로’ 날인하게 하는 법률적 근거는 없다. 더욱이 지문이 경찰청으로 넘어가 자료화돼 관리되고 있는 실정에 비춰볼 때, 지문날인제도는 국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135-136)





    따라서 인간은 모두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으므로 그것을 막는 권력이나 재산에 반대하라고 주장했다. 반면 라 보에시 이전의 정치이론이란 모두 신권(神權)에 근거한 것으로, 그 위에서 모든 불평등과 구속이 정당화되었다. 따라서 라 보에시의 주장은 그야말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다.



    라 보에시에 비해 여타의 17세기 사상가들은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흔히 홉스는 전제주의자로, 밀턴과 스피노자와 해링턴은 공화주의자로, 그로티우스와 로크는 자유주의자로 분류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적 평가에 대한 이외가 많다. 그리고 그들은 모두 17세기 부르주아의 특별한 관심 사항이었던 제국과 소유의 자유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공통되었다. 그런데 국내외에 이 점에 대한 지적이 전혀 없어서 문제다. 이는 앞에서 본 그리스 로마나 중세는 물론이고 뒤에서 보는 20세기까지의 서양 자유사상에 대한 논의에서 전혀 지적되지 못한 점이다. (172)





    밀은 『자유론』을 발표한 1859년보다 8년 전에 이미 사회주의자로 바뀌었다. 즉 밀은 흔히 말하듯이 반사회주의적인 『자유론』을 쓴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적인 『자유론』을 쓴 것이다. 밀은 혁명적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점진적 사회주의자로서 그 뒤 영국에서 형성된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기초를 이루었다. 페이비언 사회주의는 계급투쟁사관이 아니라 사회진화론의 입장을 취하여 사회·조직의 혁명적 변화가 아니라 민주적인 수단에 의한 점진적이고 유기적인 사회개혁을 강조한 것이다. 밀이 「자유주의자인가, 사회주의자인가?」라고 묻는 글의 결론에서 밀이 “자유주의의 기본원리를 명확하게 해, 민주주의적인 자유주의 내지 진보적인 자유주의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하는 견해도 있으나 나는 밀을 사회주의자로 본다. (263)





    사회주의라는 말의 ‘social’은 ‘society’의 형용사가 아니라 고대 로마의 ‘socialis’에서 유래한 말이다. 그 뜻은 ‘동료 구성원인 개인에 대해 평소에는 물론이고 그가 곤경에 처했을 떄도 공동체가 지켜주는 것’이다. 즉 상호부조 관계를 뜻했다. 그리고 그 공동소유의 조직을 ‘association’ 또는 ‘communisme’, 즉 공산주의라고 했다. 따라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원래 같은 말이었으나, 19세기 후반부터 아나키즘을 포함한 사회주의는 공산주의와 대립했다. 한편 독일과 러시아에서 사회주의란 사회민주주의를 뜻하게 되었고, 이는 20세기 초에 사회민주당과 공산당으로 분열했다. (294)





    또한 스탈린 이후 종래의 인권도 악화되었다. 가령 1936년부터 첫 임신의 낙태가 불법화되었고 1944년에는 모든 낙태가 금지되었다. 이혼녀에게는 벌금이 부과되고 사실혼은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미성년자의 인권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이주를 강요당하게 되었다.



    식민지 문제는 지식인 사이에서도 방치되었다. 가령 프랑스의 경우 공산당도 식민지 문제에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지식인들도 마찬가지였다.(중략) 1950년대에 와서야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나 파농(Frantz Omar Fanon, 1925~1961)과 같은 반식민주의자들이 알제리 독립운동을 지지했으나 역시 소수에 불과했다. 여타의 인문 사회과학자들은 철저히 침묵했다. (325-326)





    그러나 여성의 투표권은 현저히 확대되었다. 1914년부터 1939년 사이에 28개국이 남녀 동일 투표권을 부여했다. 반면 파시즘에 의해 여성의 자유는 크게 제한되었다. 독일의 3K(Kinder, Kirche, Küche)는 여성에게 ‘아동교육, 교회, 가사노동’을 이상적인 것으로 강요했음을 보여준다. 미성년자는 충성 교육과 군사 교육을 강요당했다. (328)





    그러나 의회를 지배한 보수파에 의해 완전고용 정책은 불완전하게 시행되었다.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조장한 것이 하이에크(Friedrich Hayek, 1899~1992)였다. 정부에 의한 경제 통제든 독재를 초래하고 개인적 자유를 위협한다고 주장한 하이에크의 『노예의 길The Road to Serfdom』은 1944년 엄청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자유를 위한 계획화’라는 것 자체가 자가당착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당대의 부자들이 사익을 주장하면서 거대한 정부가 미국의 자유를 위협한도고 말한 것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 그는 뒤에 보수파가 사회주의적이라고 비난한 최저임금이나 최장노동시간의 규제나 반트러스트법과 같은 입법과 모든 시민에게 기본적인 최저한의 의식주를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를 지지했으나, 1945년 그 책의 축약판을 낸 리더스 다이제스트 사는 그 부분을 삭제했다. (348)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세계인권선언이 “선언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 법적 구속력을 가진 것은 아니고”, “모든 국민과 모든 나라가 달성하여야 할 공통의 기준”으로 선언하는 의미는 있으나 그 선언내용인 각 조항이 바로 보편적인 법적구속력을 가지거나 국제법적 효력을 갖는 것으로 볼 것은 아니라고 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세계인권선언은 국제관습법으로 인정되고 있고, 국제관습법은 대한민국 헌법상 법률의 효력을 갖는다. 유엔 총회의 결의는 무조건 권고가 아니라, 절대 다수가 찬성하면 국제관습법으로 인정되어, 전세계 모든 국가에서 법률로서의 효력을 갖는다. 따라서 1991년 판례는, 대법원이 이러한 국제관습법의 법리를 오해했거나 일부러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380)





    그러나 그 노예들은 지금까지 그들의 주인인 하이에크와 달리 국가 자체를 축소하지 않았다. 오히려 중앙 정부의 억압 기구나 정보수집 기구를 옹호하는 데 앞장섰다. CCTV, 도청, 미국의 국토안보부, 영국의 독립안보국을 비롯한 그 밖의 장치들을 통해 근대 국가가 그 신민들에게 행사한 전방위 통제를 더욱 강화하여 국민의 자유를 제한했다. 그것이야말로 자코뱅, 볼셰비키, 나치가 꿈꾼 사회의 실현이었다. 바로 하이에크가 ‘노예의 길’이라고 부른 것이었다. 그리고 홉스가 말한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결과했다.



    자유시장의 신선함과 거대한 정부의 악에 대한 보수적 사고방식은 언론을 비롯한 사회의 모든 영역을 지배했고 이는 클린턴의 민주당 정권에까지 이어졌다. 1994년 공화당은 1950년 이래 처음으로 의회를 장악했는데 그들은 이를 ‘자유혁명’이라고 불렀다. 이어 1996년 의회는 뉴딜 이래 ‘복지’로 불린 지원을 필요로 하는 아동에 대한 보조제도(AFDC; Aid to Families with Depencent Children)를 폐지했다. 그 결과 전국 아동의 4분의 1에 이르는 1,200만 명의 아동이 빈곤 속에 놓였다. (397)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가장 민주적인 권력만이 인권을 가장 잘 제대로 보장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도 유의할 점이 있다. 모든 권력은 부패하고 남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점이다. 따라서 가장 민주적인 권력이어야 권력남용이 최소에 그쳐 인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도리어 옳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권 보장을 위해서는 언제나 권력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452)











    - 접기
    안티스토커 2019-02-08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전자책]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박홍규

    알라딘: [전자책]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epub 
    박홍규 (지은이)필맥2013-02-20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8,000원 7,200원 (마일리지400원) 
    전자책정가
    4,800원
    판매가
    4,8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40% 할인)
    쿠폰할인가
    4,32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240원(5%) + 144원(멤버십 3%)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22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Sales Point : 31 
     9.3 100자평(0)리뷰(3)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ePub(28.74 MB)
    TTS 여부 : 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215쪽, 약 13.9만자, 약 3.4만 단어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E-ink(크레마 터치,크레마 샤인, 페이지원, SNE-60)
    ISBN : 9788997751174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eBook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이벤트

    1월 특별 선물! 둘리/피너츠 노트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오늘의 추천 eBook(일반) + 1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1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에 대한 평전. 소로를 ‘숲 속에 들어가 살았던 자연주의자 내지 환경보호론자’ 로만 이해하는 것을 비판, 소로를 물질만능주의, 노예제, 전쟁을 야기하는 정의롭지 못한 지배질서에 항거한 반항아이자 자유인으로 그리며 그의 삶과 저작을 종합적으로 서술한다.
    목차
    머리말
    인용에 대해
    1. 내 친구 소로
    2. 시대와 청년 소로
    3. 소로의 자연
    4. 소로의 저항과 희망
    5. 소로가 끼친 영향
    맺음말

    책속에서
    《윌든》을 읽고서 전원생활을 꿈꾸게 되어 귀농했다는 사람들은 《월든》을 무슨 성경인 것처럼, 소로를 무슨 성인인 것처럼 떠받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소로는 귀농은커녕 제멋대로 호숫가에 통나무집을 짓고 대략 2년 정도 건들건들 놀았을 뿐이다. 그 기간에 그는 심심해지면 마을에 가서 놀았고, 세금을 내지 않아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그가 숲 속 호숫가로 잠시 은둔한 이유는 농촌생활을 동경해서도 아니었고, 농사짓는 일을 무슨 대단하고 특별한 일로 여겨서도 아니었다. 돈독이 오른 사람들이 돈벌이에 미치는 것밖에 달리 사는 방법이 없다고들 하는 통에 화가 나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죽어라 일에 매달리는 것을 싫어한 그는 일주일에 엿새 일하고 하루 쉴 게 아니라 하루 일하고 엿새 놀자고 말하기도 했다. 물론 그렇게 말한 것도 그가 숲으로 간 행위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실험, 하나의 모험일 뿐이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물질만능주의에서 벗어나 늘 정신적인 여유를 갖고 살아가는 ‘멋대로의 삶’이었다. - p.24~25 중에서  접기
    1844년 4월에 소로는 낚시를 하고 고기를 굽다가 숲에 불을 냈다. 소로는 마을로 지원을 요청하러 갔다가 현장으로 돌아가지 않고 가까운 언덕 위에 올라가 숲이 불타고 사람들이 불을 끄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그는 불을 끄는 사람들이 보여준 넘치는 에너지의 아름다움이 숲의 소멸을 충분히 보상했다는 식으로 일기를 썼다. 함께 불을 낸 사람이 마을 유력자의 아들이어서 구속은 면했다. 이 사건 이후 그는 ‘숲을 태운 자’라고 불렸다. - p.96 중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박홍규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2년 경북 구미에서 태어나 영남대학교 법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 박사학 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 법대·영국 노팅엄대학 법대·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연구하고, 일본 오사카대학·고베대학·리쓰메이칸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로 전공뿐만 아니라 정보사회에서 절실히 필요한 인문·예술학의 부활을 꿈꾸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전공인 노동법 외에 헌법과 사법 개혁에 관한 책을 썼다. 1... 더보기
    최근작 : <혼돈의 시대, 리더의 길>,<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저항하는 지성, 고야> … 총 217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19세기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1817~ 1862)에 대한 평전이다. 숲 속 생활 체험기인 《월든》을 비롯한 소로의 일부 저작은 그동안 국내에서 여러 차례 번역, 출간되어 널리 읽혔지만 소로에 대한 평전은 이 책이 국내에서 처음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소로를 ‘숲 속에 들어가 살았던 자연주의자 내지 환경보호론자’ 정도로만 이해하고 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소로는 물질만능주의, 노예제, 전쟁을 야기하는 정의롭지 못한 지배질서에 항거한 반항아이자 자유인이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소로의 삶과 저작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에 도움을 준다.

    평전 작가로서 독보적인 위상을 굳히고 있는 영남대 박홍규 교수가 이번에는 《월든》의 저자인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에 대한 평전을 내놓았다. 지은이 박 교수는 《월든》을 ‘전원생활 기록’이나 ‘자연예찬의 책’ 정도로만 간주하고 소로를 자연주의자나 환경보호론자 정도로만 이해하고 마는 우리의 독서풍토에 이의를 제기하고 싶었다고 한다. 《월든》의 보다 중요한 메시지는 물질문명에 의해 타락한 인간사회에 대한 비판이고, 소로는 인간성을 억압하는 권력과 제도의 개혁을 추구한 저항의 사상가이자 실천가였다는 것이다.

    사실 소로가 작품 《월든》의 배경인 미국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 시 인근 숲 속의 월든 호숫가에서 오두막을 짓고 거기서 생활한 기간은 2년 2개월여에 지나지 않았고, 그 기간 중에도 종종 마을로 내려가 사람들과 세상일에 대해 대화를 나누었다. 게다가 그는 당대 미국사회의 최대 쟁점이었던 노예제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도 철저한 노예제 폐지론자의 입장에서 강연도 하고, 글도 쓰고, 심지어는 도망치는 흑인노예를 직접 돕기도 했다. 이 책에서 부각되는 이런 사실들은 소로가 은둔자이기는커녕 현실비판에 적극적으로 나선 지식인이었음을 보여준다.

    죽은 뒤에도 오랫동안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던 소로가 20세기 들어 재평가되면서 주목받게 된 과정도 흥미로운 동시에 소로의 진면목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게 해준다. 지은이에 따르면 소로는 자신의 나라인 미국이 아닌 외국에서 먼저 재평가되기 시작했고, 특히 “소로를 스타로 만드는 데 처음으로 기여한 외국인”은 러시아의 작가인 레오 톨스토이였다. 톨스토이는 1900년경에 우연히 소로의 《시민저항》을 읽었고, 이 글에 감동을 받은 그는 “미국인은 왜 국가를 거부하는 모범을 보인 소로의 말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고 백만장자나 장군 등의 말에만 귀를 기울이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또한 인도의 민족운동 지도자인 마하트마 간디는 소로의 《시민저항》을 언제나 곁에 두고 읽었다고 하고, 미국의 흑인인권 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서 킹도 《시민저항》에 표현된 저항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이어 보수화의 기류가 지배적이었던 1970년대 미국에서는 소로가 거의 망각됐지만 1980년대 이후 자연주의, 생태주의가 세를 얻게 되면서 소로가 자연문학(Nature Writing)의 선구자로 부활했고,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이후에 소로의 책을 찾아 읽는 독자가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이렇게 부활한 소로의 모습은 그 전과 달리 자연주의자의 색채가 강한 반면에 정의롭지 못한 기존질서에 맞섰던 저항적 자유인의 이미지는 탈색된 것이라는 점에서 “마치 박제된 표본 같은 느낌을 준다”고 지은이는 지적한다. 그래서 지은이는 ‘반문명의 자연인 소로’도 중요하지만 ‘반체제의 자유인 소로’를 보지 않고는 소로를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지은이는 소로의 삶을 살펴보고 그가 남긴 저작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친절하게 설명함으로써 ‘소로 읽기’의 길안내를 해준다. 이 책을 읽다보면 소로의 저작을 다시 읽어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 그동안 소로를 알지 못했던 사람이라면 소로의 저작을 읽기에 앞서 이 책을 먼저 읽으면 ‘보다 깊이 있는 소로 읽기’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여겨진다. 지은이는 자신이 관심을 두는 소로의 측면은 그가 관습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고 ‘멋대로 살았다’는 측면이라면서 “나는 소로를 위인이나 영웅이 아니라 ‘멋대로’ 산 수많은 인간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소개하고 싶을 뿐이다. 여러분 중 이미 ‘멋대로’ 살고 있거나 앞으로 ‘멋대로’ 살기를 원하는 사람이 있어 이 책을 읽고 소로를 친구로 삼게 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리라”라고 말한다. 소로가 부쩍 친근하게 느껴진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2)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0% 20대 0%
    25.0% 30대 8.3%
    8.3% 40대 33.3%
    0% 50대 25.0%
    0% 60대 0%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마이페이퍼 > 마이페이퍼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0)
    공감순 
    등록된 구매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2)
    전체 (3)
    리뷰쓰기
    공감순 
         
    자기 자신의 삶에 충실한 소로를 기억하며... 새창으로 보기 구매
    사실 신문에 소로의 책이 소개되기까지 소로는 나에게 낯선 존재였다.

    늘 그렇지만 책을 선택하고 만족스런 책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에서

    내 삶의 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인물을 만났다.

    자기 자신의 완성을 위해서 애쓴 소로를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전체를 보고 이야기하는 박홍규 선생님의 글 속에서

    소로를 향한 애정을 키울 수 있었다.

    단지, 소주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글에서 다소 반복적인 느낌이 들지만

    소주제를 끌고 나가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리라.

    이 책을 지인에게 소개해줬더니 몇시간 후에 가슴 뛰며 책을 읽은 것이 얼마만이냐며

    밤늦게 문자가 들어왔다.

    또 한 지인은 이미 소로에 대해 심취해 있었고

    책 읽는 모임에서 소로를 하자고 했더니 만면에 웃음이 ....

     

    - 접기
    juji 2008-03-22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월든>의 소로가 그런 사람이었어? 새창으로 보기 구매
    <월든>의 소로가 그런 사람이었어?

    박홍규, <나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 필맥, 2008.



    돌아가고 싶어 하는 건 비단 영화 속의 그 인간만도 아니고 내 나이쯤 되는 사람들이면 대부분 그럴 것이다. 물론 잘 나가는 인간들이야 여전히 앞만 보고 가느라 정신없을 터이니 귀환희망족(?) 부류에서 빼드려야겠다.
    그렇게 돌아가고 싶은 사람들은 돌아가는 데 있어서 지침이 될 선생을 찾았다. 나 역시 열심히 찾아 다녔다. 몸은 빼고 머리로만. 그렇게 대리 만족만 했다. 그래도 그게 하나의 큰 경향이었다. 특히 웰빙이니 귀농이니 마음 수련이니 하는 단어가 강아지 입에 물린 핸드폰 마냥 낯설지 않을 만큼 생태주의가 상업화된 2008년 대한민국에선 더욱더. 그래서 10년 전쯤부터 니어링이니 타샤 튜터 같은 사람들을 많이 찾았다. 소로 역시 예외는 아니다 싶었다. 아니 소로가 원조처럼 보였다. 니어링 부부나 타샤 투터보다 앞선 세대에 ‘월든’ 숲 속에서 생활했던 사람이니.
    그래서 소로를 환경보호론자, 동식물연구가, 박물학자, 시인, 금욕주의자 등으로 묘사하기도 했단다. 근데 내가 좋아하는 이단자 박홍규가 이런 시각을 완전히 비틀며 소로에 대한 평전을 냈단다. 호기심. 나는 박홍규의 그 올바른 비틀기를 좋아하니까 당연히 읽어야지. 그래 놓고 책을 사긴 했는데 처박아 두었다. 몸이 안 따라줘서 그랬다.
    방학을 하니까 그래도 여유가 생겨 이 책을 들었다. 역시 박홍규. 물론 오버 하는 느낌이 전혀 없진 않지만 그래도 재미있다. 소로가 살아있는 모습으로 다가 온다.
    박홍규의 주장을 간단히 정리하면 그동안 소로가 한국에는 너무 일면적으로 알려져 왔다는 것. <월든>만 많이 소개되고 <시민저항>은 별로 소개되지 않은 관계로 ‘자연’만 알려지고 그의 ‘저항’ 특히 폭력적 저항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알려져도 그렇게 ‘생태주의 운동’과 ‘근원적 민주주의’적인 면만 주목을 받았을 뿐, 그의 반체제적 성향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소로는 禪僧같은 사람이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한마디로 정의하면 ‘제멋대로 살기의 달인’이라고 한다.
    재미있는 규정이다. 과격한 규정 같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책을 찬찬히 읽어보면 그것이 결코 헛말이 아님을 알게 된다. 확실히 우린 지금까지 소로를 잘못 본 것 같다. 웰빙이니 자연이니 하는 시대 조류에 맞게 그를 요리해서 먹었을 뿐이다. 그러니 그는 성자이기는 커녕 반역자이고 성인이 아니라 무법자라는 것이다.
    이러면 거부감이 드는가. 아니다. 나는 이런 규정이 좋다. 나의 성격 결함? 설마. 소로가 그때 그렇게 살았던 것은 당시 미국 사회가 완전히 ‘돈에 미쳐 돌아가는 세상’ 그 속의 이웃들은 ‘돈에 미쳐 싸우는 짐승’ 같았기 때문에 소로가 그렇게 그 틀을 벗어나 제멋대로 살았던 것이다. ‘돈에 미쳐’라는 대목은 2008년 한국사회를 닮았다. 그러니 땡기는 것 아니겠는가. 이런 세태에 소로는 미리부터 경고했다.
    “생계를 위해 인생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인간만큼 치명적인 실패자는 없다”고. 맞는 말이다. 예전에 공선옥의 글에서 읽은 ‘생존 이상의 부에 연연해하지 말 것’과 상통한다. 예전엔 말로만 이해했는데 요즘은 제법 몸으로 이해한다. 그렇게 살아질 것 같다.
    그런 소로이건만 사람들은 그를 전원생활의 모범으로 생각하기까지 했다. 고급 승용차에 골프채를 싣고 다니면서 경치 좋은 변두리에 별장 지어 놓고 사는 사람들까지 ‘소로’를 입에 올리고 있으니 박홍규가 열 받을 만도 했겠다.
    책 마무리에서 그가 강조하는 바도 바로 그것이다. “고급 아파트, 고급 승용차, 골프, 별장, 성형수술, 고급 브랜드, 사치스러운 관광여행, 상업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 대중을 현혹하는 저급한 공연물 등 모든 천박한 사치와 허영 그리고 퇴폐를 당장 거부해야 한다. 그 모든 것을 등지고 시골이나 산속으로 들어가는 것도 괜찮다. 다만 그런 것들 가운데 일부를 갖고 가서 안락한 전원생활을 하는 것은 위선이며 해악을 초래한다. 이 책의 결론은 간단하다. 모든 물질문명을 거부할 수는 없고 그럴 필요도 없지만 물질문명의 지배를 받게 되지 않을 정도로는 그것을 거부해야 인간의 순수함을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야 자유다. 돈이 많아야 자유가 아니라 그 돈을 추구하는 미친 풍토에서 벗어날 때 자유다. 그렇게 해서 다가간 자연이 진짜 자연이다. 이익을 만들어 내는 데에 활용하는 자연은 이미 자연이 아니다. 그건 인간이 저지른 야만에 이용되는 대상일 뿐이다.
    아나키스트 박홍규. 예전에 그의 책에서 자유, 자연, 자치의 기치를 읽었다. 이번 소로 평전에서도 그 가치관이 녹아 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소로를 왜곡했다. 은둔 성자처럼. 하지만 알고 보면 그게 아니다. 안 그래도 나 역시 예전에 <월든>을 읽으며 의문스럽긴 했다. 그가 월든 숲에서 지낸 기간이 불과 2년이다. 그 2년 생활로 삶을 마친 게 아니다. 다시 도시에 와서 살았다. 근데 이 대목에서 황당한 건 그가 월든 생활로 영양실조에 걸렸고, 가족의 도움이 없었다면 얼마 뒤에 죽었을 지도 모른다는 대목이다. 그렇게도 사람들이 칭송하는 월든 숲에서의 생활이 남긴 게 그런 것이었나. 암튼 2년 만에 그 숲 생활을 정리했다는 것을 보면 그가 무슨 은둔 성자가 아닌 것만큼은 분명하다. 세상 더럽다고 생각하고 다른 방식의 삶을 보여주러 잠시 숲 생활을 했을 뿐인 것 같다. 왜곡 과장하지 말지어다.
    또한 내가 놀란 것은 <존 브라운 대장을 위한 변호>에 나온다는 그의 폭력저항에 대한 동의 부분이다. 흔히 간디도 이 소로의 영향을 받았다고 했는데, 소로가 폭력저항까지 옹호했다니 전혀 새롭게 다가왔다.
    하긴 사람은 변한다. 처음엔 비폭력 저항을 내세우다가도 어떤 극한 상황에 대한 체험으로 그렇게 바뀔 수도 있었을 것이다.
    처음 그의 저항 방법은 불복종이다. 인두세 납부 거부였다. 노예제도와 멕시코 전쟁에 반대한다는 이유, 즉 정부가 그런 못된 짓을 하는 데 도움이 되게 세금을 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나쁜 곳에 쓰일 게 뻔한데도 세금을 내는 것은 어쩌면 공범이 된다는 논리다. 그러니 납세 거부. 참 마음에 든다. 나도 지금 그렇게 하고 싶다. 하지만 못한다.
    실제 그로 인해 투옥되기까지도 했다. 물론 친척이 세금을 대납하는 바람에 감옥 체험은 이틀 만에 끝났다고 하니 좀 싱겁긴 했다. 그런 그가 어떤 계기로 폭력저항에도 긍정성을 부여했다고 한다.
    암튼 전반적으로 그는 그 사회의 이단아였음은 분명하다. 당시 기득권자들은 그를 심한 꼴통으로 보았음이 틀림없다. 그래서 어쩌면 지금까지도 울림이 큰 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박홍규가 비틀어 본 것 말고, 예전부터 소로를 논하던 관점도 모두 잘못된 것은 아니다. ‘자발적 빈곤’을 주장한 점. ‘가장 좋은 정부는 가장 일을 적게 하는 정부’라는 주장. ‘오늘날 철학교수는 있지만 철학자는 없다’는 말.
    그렇다고 단순히 사회개혁운동가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그는 제도의 완성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변화 즉 새로운 인간상의 창조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는 정의와 자유가 인간의 선량함에 근거를 둔 것이므로 끝내는 승리한다고 믿었다는 것이다. 반은 공감하고 반은 부정하고 싶다. 제도 개선만으로 안 되는 것은 나 역시 전적으로 공감한다. 그러나 새로운 인간상 창조의 방법에 대해서는 일단 구체적이지 않으므로 보류 입장을 취하겠다.
    그럼에도 그의 좌충우돌은 상당히 선구적인 작업이었음을 인정한다. 본받고 싶지만 나는 용기가 없어 그러지 못한다. 부럽다.
    솔직히 이런 사람을 보면 요즘 나는 일단 그의 결혼 유무와 자식이 있나 없나부터 따지고 본다. 역시나. 그는 미혼이었다. 홀몸이었다는 말이다. 그러니 그런 이단아 짓기 가능했지 싶다.
    그렇다고 그가 결혼할 마음이 없었던 것은 아닌 모양이다. 퇴짜를 맞은 경험도 있다. 암튼 이런 사람을 보면 그의 처지와 나의 처지가 다름을 일단 설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그가 말하고자 했던 알갱이는 챙기고 싶다.
    “생계 이상의 돈벌이에 연연하지 말고 자유인이 될 것. 그것은 자연과 함께 할 수 있을 것. 그 자연 역시 돈벌이와 관련 없이 자연 그대로의 자연일 것.” 그것을 방해하는 제도에 대해서는 싸울 것. 하지만 그 싸움도 단순히 제도 개선이 아니라 인간의 궁극적 변화를 지향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
    나도 숲에 들어가 살고 싶다. 돌아가고 싶다.
    - 접기
    샬롬 2008-11-11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