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5

이이의 변통론

이이의 변통론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이이의 변통론

이이(李珥)는 사회 개혁의 문제와 관련하여 바꿀 수 있고 또 바꿔야 하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는 개혁에 있어서 근본적인 이념과 구체적인 실현 방법의 문제에 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이는 우선 때에 맞게 법을 바꾸는 '변통'(變通)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변통'이란 말은 『주역』의 "역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며, 통하면 오래 계속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에서 이를 도와서, 길하여 이롭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이다."[易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是以自天祐之, 吉無不利., 「계사 하」2]에서 연원하는데, 기존의 질서나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 닥치면 변화시켜 통하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이는 여기서 『주역』의 이러한 논리에 대한 정이의 언급을 인용하면서 변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법령과 제도는 바꿀 수 있지만 왕도(王道)와 인정(仁政)과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은 영원히 바꿀 수 없다고 함으로써, 변통의 내용 내지 대상을 법제에 한정시키고 유학의 근본 원리, 봉건적 윤리 질서는 바꿀 수 없다고 하여 변통의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리는 두루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는 이통기국론(理通氣局論)의 함의와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인용문은 1574년에 쓴 「만언봉사(萬言封事)」의 일부이다.

신의 생각으로는 정치는 때를 아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일은 실질적인 것에 힘쓰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정치를 하면서도 때에 알맞게 할 줄 모르고 일을 당하여 실질적인 결과에 힘쓰지 않는다면, 비록 성왕과 현신이 만난다 하더라도 다스림의 효과를 거둘 수 없을 것입니다. […] 이른바 때에 알맞게 한다는 것은 때에 따라 변통해서 법을 제정하여 백성을 구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이(程頤) 선생께서 『주역』에 대해 논하여 말하기를 "때를 알고 형세를 아는 것이 『주역』을 배우는 큰 방법이다."라고 하셨고, "때에 따라 변화하여 바꾸는[變易] 것이 바로 영원한 도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법이란 시대에 따라 제정하는 것이어서 시대가 변하면 법도 같지 않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순(舜) 임금이 요(堯) 임금을 계승하였으니 당연히 다르게 할 것이 없어야 했을 터인데도 9주(州)를 나누어 12주로 만들었고, 우(禹) 임금이 순 임금을 계승하였으니 당연히 다르게 할 것이 없어야 했을 터인데도 12주를 바꾸어 9주로 만들었습니다. 이것이 어찌 성인들이 변화시켜 바꾸기를 좋아해서이겠습니까? 단지 때에 따른 것에 불과합니다. 예부터 후세에 이르는 수천 년 동안 역대의 다스려지고 어지러웠던 자취는 대체로 이와 같습니다만, 때를 따라 폐단을 잘 구제했던 것은 오직 하(夏)·은(殷)·주(周)의 삼대에서 볼 수 있을 뿐입니다.

삼대 이후로는 폐단을 구제했던 일이 본디 드물기도 하지만, 그 올바른 방법을 다하지도 못하였습니다. 대체로 때를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은 법령과 제도이며, 고금을 통하여 변해서는 안되는 것은 왕도(王道)와 인정(仁政)과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입니다. 후세에는 원리와 시행방법[道術]이 밝혀지지 못해서 변해서는 안 되는 것을 고치고 바꾸는 때가 있었고 변할 수 있는 것을 굳게 지키는 때도 있었습니다. 이것이 잘 다스려지던 날은 언제나 적고 어지러운 날들이 언제나 많았던 이유입니다. (李珥, 『萬言封事』, 『율곡전서』 5-12ㄴ~14ㄴ)



연관목차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67/155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 비판 해제
Ⅰ. 조선 전기 경세론 해제
Ⅱ. 조선 전기 불교 비판 해제

제2부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 비판 해설
1. 경세론
1.1. 총론
1.1.1. 김시습의 명분론
1.1.2. 송흠의 춘왕정월론
1.1.3. 양성지의 민본적 통치론
1.1.4. 양성지의 자주적 통치론
1.1.5. 권벌의 인정론
1.1.6. 조식의 민본사상
1.2. 정치론
1.2.1. 이곡의 정치론
1.2.2. 이첨의 정치론
1.2.3. 정도전의 정치론
1.2.4. 변계량의 정치론
1.2.5. 조광조의 정치론
1.2.6. 이이의 군권제한론
1.2.7. 정인지의 군주찬송가
1.3. 성학론
1.3.1. 이제현의 성학론
1.3.2. 성삼문의 성학론
1.3.3. 이석형의 성학론 1
1.3.4. 이석형의 성학론 2
1.3.5. 이황의 성학론
1.3.6. 이이의 성학론
1.4. 군신관계론
1.4.1. 신용개의 군신관계론
1.4.2. 강희맹의 군신관계론
1.4.3. 김정국의 군신관계론
1.4.4. 이이의 군신관계론
1.4.5. 윤상의 인재 등용론
1.4.6. 이이의 현자등용론
1.4.7. 이이의 군자등용론
1.4.8. 이이의 붕당론
1.5. 법제론
1.5.1. 총론
1.5.1.1. 신용개의 제도론
1.5.1.2. 남수문의 제도론
1.5.2. 토지 제도론
1.5.2.1. 조준의 토지 제도론
1.5.3. 부세 제도론
1.5.3.1. 이이의 공납제 개선안
1.5.4. 교육 제도론
1.5.4.1. 김반의 교육 제도 개혁안
1.5.4.2. 이제현의 유학 진흥 방안
1.5.4.3. 조광조의 유학 진흥 방안
1.5.4.4. 남수문의 교육론
1.5.4.5. 김안국의 교육론
1.5.4.6. 기준의 교육론
1.5.4.7. 신광한의 서원론
1.5.5. 간관론
1.5.5.1. 정도전의 간관론
1.5.5.2. 기준의 간관론
1.5.5.3. 이이의 국시론
1.5.6. 예악론
1.5.6.1. 성현의 음악론
1.5.6.2. 김수온의 예악론
1.5.7. 개혁론
1.5.7.1. 조광조의 개혁론
1.5.7.2. 김정국의 개혁론
1.5.7.3. 이이의 경장론
1.5.7.4. 이이의 변통론 지금 읽는 중
1.5.8. 상벌론
1.5.8.1. 조준의 상벌론
1.6. 대외 관계론
1.6.1. 신숙주의 외세 대응론
1.6.2. 남수문의 외세대응론
1.6.3. 조광조의 대외관계론
1.6.4. 변계량의 자주국가론
1.7. 재이론
1.7.1. 남효온의 재이론
1.7.2. 이색의 재이론
1.7.3. 최항의 천인감응론


2. 불교 비판
2.1. 정몽주의 불교 비판
2.1.1. 불교의 초월적 경향에 대한 비판
2.1.2. 불교의 반윤리성에 대한 비판
2.1.3. 불교의 마음관에 대한 비판
2.2. 정도전의 불교 비판
2.2.1. 유불도 삼교에 대한 종합적 인식
2.2.2. 불교의 심성론에 대한 비판
2.2.3. 불교의 자비에 대한 비판
2.2.4. 불교의 인과응보설에 대한 비판
2.2.5. 불교의 윤회설에 대한 비판
2.2.6. 유교와 불교의 종합적 비교
2.3. 여타의 불교 비판
2.3.1. 백문보의 불교 비판
2.3.2. 이색의 불교 비판
2.3.3. 하륜의 불교 비판
2.3.4. 정극인의 불교 비판
2.3.5. 양희지의 불교 비판
2.3.6. 서거정의 불교 비판
2.3.7. 박상의 불교 비판
2.4. 김수온의 불교 옹호론
2.4.1. 불교 옹호론
2.4.2. 유불 회통론
2.4.3. 불교 신앙 옹호론
2.4.4. 불교적 관점에 의거한 세계 인식
2.5. 절충조화론
2.5.1. 이곡의 절충론
2.5.2. 원천석의 삼교 일리론
2.5.3. 박팽년의 유불 조화론
2.5.4. 성현의 삼교 회통론
2.6. 권근의 불교관
2.6.1. 유불 조화론
2.6.2. 불교 비판
<부록> 조선 전기 인물 해제(가나다순)
(1) 강희맹
(2) 권근
(3) 권벌
(4) 기준
(5) 김반
(6) 김수온
(7) 김시습
(8) 김안국
(9) 김정국
(10) 남수문
(11) 남효온
(12) 박상
(13) 박팽년
(14) 백문보
(15) 변계량
(16) 서거정
(17) 성삼문
(18) 성현
(19) 송흠
(20) 신광한
(21) 신숙주
(22) 신용개
(23) 양성지
(24) 양희지
(25) 원천석
(26) 윤상
(27) 이곡
(28) 이색
(29) 이석형
(30) 이이
(31) 이제현
(32) 이첨
(33) 이황
(34) 정극인
(35) 정도전
(36) 정몽주
(37) 정인지
(38) 조광조
(39) 조식
(40) 조준
(41) 최항
(42) 하륜
참고문헌

출처

제공처 정보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2004.



저자 강중기


제공처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http://philinst.snu.ac.kr


[네이버 지식백과] 이이의 변통론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2004., 강중기)

궁(窮)하면 통(通)하리라! | 리더십 | DBR

궁(窮)하면 통(通)하리라! | 리더십 | DBR: ‘

궁(窮)하면통(通)하리라!
30호 (2009년 4월 Issue 1)

‘궁즉통(窮則通), 궁하면 통하리라.’ 요즘처럼 힘들고 어려운 경제 상
황에서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메시지로 쓰이는 구절 가운데
하나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사용하고 있지만 대체로 2가지로 해석
된다.

첫 번째는 ‘세상은 힘들고 어려울수록 결국 통하게 돼 있다. 기다려라.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로 해석된다. 두 번째는 ‘어려울 때일수록 끝까지
파고들어 답을 찾자. 그러면 반드시 통하리라’는 뜻으로 쓰인다. 두 번
째의 궁(窮)은 ‘끝까지 궁구(窮究)해 답을 찾는다’는 뜻이다. 조금 자의
적인 해석이 가미되긴 했지만, 부지런히 노력하면 반드시 답을 찾을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원문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通), 통즉구(通則久).’ 궁하면
(窮) 변하고(變), 변하면 통하고(通), 통하면 오래간다(久)는 뜻이다. ‘주역’은 변화에 대한 철학적 사유다. 세상은 변한다.

자연은 음양이 교차하고 춘하추동이 순환한다. 인간 세계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 변화에는 어떤 원리가 있다.
‘변화의 원리를 찾아내 미래에 대한 대비를 하자’는 생각을 64괘(卦)와 384효(爻)의 범주를 통해 증명하려고 노력한 고대
인들의 결과물이 바로 ‘주역’이다. 그래서 ‘주역’은 미래 변화 예측이라는 측면에서 점서(占書)로도 해석되고, 변화에 대비
하는 인간의 절제와 겸양 및 수양에 대한 이론서로도 활용된다. 공자는 ‘주역’에 너무나 몰두한 나머지 위편삼절(韋編三絶),


Sung Deuk Oak Favourites [로마서 13:1] 모든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가?

(9) Facebook
Favourites g5t8S2ug31hau651g 
[로마서 13:1] 모든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가?

1. 한국교회는 1901년 이후 1980년대까지 이 구절을 정부로부터 들었다.
1901년 고종의 대한제국 후기와 일제 강점기(1910~1945년)부터 이승만-박정희-전두환 대통령 시절까지 집권자와 소위 보수적인 선교사와 목사들은 한결같이 로마서 13장 1-7절을 내세워 불의한 정권도 하나님께로부터 나온 것이니 복종하라고 가르쳤다. 그 구절과 함께 오용한 구절은 딤전 2:1-2, 벧후 2;13-17, 마태 17:24-27, 요한 18:36 등이었다. 곧 권력자를 위해서 기도하고, 그들에게 순종하고, 세금도 잘 내라는 말만 뽑아서, 시민으로서의 권리보다는 ‘신민’이나 ‘국민’으로서 정부에 복종할 의무만 강조했다. 특히 요한 18장 36절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다.”라는 말씀을 하나님의 나라는 세상 나라와 상관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그리스도인의 현실 참여를 차단했다.
교회가 성경대로 살지 않으면 권세자들로부터 성경 해석까지 지도받게 된다.
2. 4.19 의거 참여 성서적 근거: 사도행전 4장 19절
그러나 마침내 1960년 4.19 때 한국교회는 사도행전 4장 19절 “베드로와 요한이 대답하여 이르되 하나님 앞에서 너희[당국자/종교 지도자]의 말을 듣는 것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라는 말씀을 가지고 불의한 정권과 지도자에 항거했다. 교회가 예언자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시민불복종 운동이 시작되었고, 어린 청년들의 값진 희생의 피가 뿌려져 결국 한국 민주주의가 꽃피었다.
3. 80년대 전두환 정권 경험으로
깨어 있는 시민과 그리스도인들은 로마서 13장을 계시록 13장과 함께 읽었다. 세상 정권이 선할 때 기독교인은 로마서 13장의 말씀대로 시민의 의무를 다해야 하지만, 불의할 때는 계시록 13장에 나오는 용(사탄)이 짐승에게 준 권력에 항거하고 대항하고 순교까지 한다. 즉 모든 권력이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은 아니다. 루터란이던 본회퍼도 두 왕국설을 적극 해석하여 바르멘 선언으로 히틀러 정권에 대항했다.
이처럼 때를 분별하는 것이 역사의식이다. 루터나 칼뱅까지 갈 필요가 없다. 현대사에서 한국 교회가 어떤 신앙고백으로 현실에 참여하고 체험으로 배웠는지 공부하면 된다. 로마서 13장은 ‘복종’이라고 쓰였지만, 평소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책임적 참여함’으로 읽어야 한다.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는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이 하는 모든 일, 곧 정치까지 하나님의 것이라고 고백해야 한다.
(덧) 지난 10년 간 정치가 오락가락하면서 기독교인끼리 서로를 향해 짐승이라고 하는 기독교인들이 늘었다. 자제할 필요가 있다. 내가 보기에는 상당 부분 이단들의 계략에 말려든 면이 있다. 카톡 메시지 최초 생산자가 누구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SNS 가상공간에서 가짜뉴스를 분별하는 훈련을 받지 않은 60대 이상 취약층에서 카톡교가 형성된 배후에 누가 있는지 밝히는 연구가 있으면 좋겠다.
(덧) 동시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한국교회에 절실하다. 6년 전 '언더우드 기도'가 가짜라고 상세히 논증했으나, 그 이후 그것을 취소하는 자들을 별로 보지 못했다. 교회가 미신적이라기보다는 문맹적이다. 교회 교인들의 평균 연령이 60세 정도이다. 아파트 소유자도 많지만 가짜뉴스에 취약하고, 그것을 이용하는 교회 목회자와 이단들이 있다.

2022/03/14

장공 김재준 목사 기념 사업회 -

장공김재준목사기념사업회 - 01025 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 tel 02-2125-0162 / fax 02-902-3055




장공 김재준 목사 기념사업회

01025 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 159 / tel 02-2125-0162 / fax 02-902-3055메뉴


최신글 보기

제목작성일장공의 글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2021.03.11
새해 머리에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 [1987년 1월 19일] 2021.01.25
[안내] 장공탄생 119주년 기념강연회(11월 13일) 2020.10.28
장공기념사업회 회보 제33호 2020.09.22
장공 김재준 목사의 자서전 『범용기』(각주해설판) 제1권을 작업 현황 2020.08.24
한신과 기장의 정체성을 올바로 확립하기 위해서 장공 김재준이 필요한 이유 2020.08.12
[안내] 장공 김재준 목사의 자서전 『범용기』 해설판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2020.07.25
장공 김재준_ 고정희 시집, "뱀사골에서 쓴 편지" 중 2020.07.21
[장공 33주기 추모예배 설교] 2020.01.22
[안내] 장공 김재준 목사 33주기 추모 성묘예배 2020.01.02
작성일자2017년 6월 23일최신글 보기에 댓글 남기기검색:검색
커뮤니티

공지사항
회원 가입 및 후원 안내
자유 게시판
이메일
장공 자료실

범용기
장공의 글
장공의 삶
장공 사숙(私淑)
강좌 및 강연
사진 자료실
長空 회보
장공 전집(e-book)
그 밖의 기능
로그인
글 RSS
댓글 RSS
WordPress.org


기념사업회하위 메뉴 확장
장공의 삶과 정신하위 메뉴 확장
장공 자료실하위 메뉴 확장
커뮤니티하위 메뉴 확장
이메일
장공김재준목사기념사업회 Proudly powered by WordPress

On death - ascension of an angel

 On death - ascension of an angel

Appearance of the angel and ascension  

Yujin Pak’s Sunday Service at the occasion of my mother’s passing away in  2013  


(English translation in 2022 by Okkyung)

(Korean version: https://sejinlifeforce.blogspot.com/2022/03/2013317.html)

---

Thank you Jae-Hyung. 


I also felt for the last few days, especially yesterday, an appearance of a small light  through a body, not only that of my mother. who passed away. We experienced  together the light that emerges when one existence, one angel that has lived a  wholesome life. Through the process of the departure of Ilsun (my mother), I would  like to share several topics relating to this event. They are death of a body, liberation  of an angel, with the emergence of the angel and ascension. They are things we have  experienced for the last several days. 

First, I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that emerges when the soul , the angel in  one’s body leaves. As mentioned by Jae-Hyung, there are certain phenomenon,  following the death of a body, and the departure of the angel in the body and  liberation. If our consciousness and heart are not opened to that direction, we cannot  recognize it. I have had two experiences and I want to talk about them.  Jaehyung mentioned this morning about sparkling light, sparkling pieces of paper he  saw. Jaehyung, You were talking about the light we feel around us, when our heart is  opened. And when you were looking at the cloud, you felt Ilsun was in those clouds. 

Me too, on the day Ilsun passed away, I went to the small forest next to the funeral  place. Not the space receiving the guests, but the space where I could communicate  alone with just Ilsun, I wanted to be just with Ilsun alone. So I went into that forest and  as soon as I entered there, I realized unexpectedly the forest was full of Ilsun, That  presence is not just Ilsun, but also Ilsun’s euphoria, liberated freedom, overflowing joy  and vibrating thankfulness filled. My tears flew first and then more and more. I cried.  That tear is Ilsun’s thankfulness and love entered into my heart like a shooter of light  snd washed off pain and heaviness. That tear washing off kept flowing. And then I  realized that I kept the pain in the process of caring Ilsun for the 2 and half years next  to her. I was not conscious of the pain, but I felt then. I felt that the shooter of love  moved what was in me and washed off . My crying arose. And I felt Ilsun’s three  messages: « I love you », « Thank you », « I am sorry » . « I am sorry » was the part I  did not expect. It meant that « I know now that I did not understand you while I was  prisoned in my physical body, but now I know. I could have loved you more, I could  have understood you more. I am sorry I didn’t do it. But now, I know your heart, I know  you. » 

The reason I am saying these things is not just because of Ilsun. When our heart is  opened to the existence, when somebody is leaving us, this experience is opened.   I have had almost the same experiencer, when Marsha’s father left this world. That day  when he left this world, I felt very strongly his soul, asking me to convey to Marsha :

« I love you » « I am thankful » « I am sorry ». While I was prisoned inside my body, I did not understand Marsha, and I did not love her more »  

The message was to convey to Marsha, « I am so sorry, I love you so much » 

These two experiences- when I saw the departure of Ilsun and Marsha’s father, when I  saw those angels and souls leaving the body, they were expressing the things they did  not know, the love they did not give, while they were imprisoned in their bodies.  That is why, the moment when they leave their body is a very important, a very crucial  time. At that moment when our consciousness is open and awake, the love that was  not shared, not released can be shared and a more complete departure can take  place. If that happens, what is possible later or immediately is not just the memory of  the relationship with that person, that earth suite, and the pain that dwelt in that  relationship is washed away, but also it is possible to create a new clear relationship  with the angel, existence, the soul beyond that earth suite. When I recall Ilsun now,  there remains Ilsun full with light, joy, ecstasy and love.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healing in our relationship through a certain process, and because I gave  my full love and received a full love. 

Long time ago, my relationship with my father was also like this. 

When my father was alive, my relationship with him was not very close. But later, and  some part much later, while mourning the wound left in the energy of his earth-suite,  (referring to his body) and embracing with full love, I washed off with my tears the  wound that was not yet washed off in his soul of the earth- suite. In doing so, after all  is washed off, I could experience his original look of an angel, the appearance of his  existence, the appearance of father who is in heaven that I did not know of before  appeared. Since then, he remains in me in that appearance. After the pain is gone, in  deep love we can do the work of feeling the wound of the person we loved while  mourning, crying, let flowing out the pain. And we can let remain only the angel behind  it, the being of light. By doing that, I fully understood the prayer of Jesus, My father in  heaven, my personal father, after all his pain is washed off, I could experience my  father in heaven.  

Sometimes, there is a mourning of « holding onto ». But I am saying that there is also  mourning of « washing off « with love, « letting it all go ». The mourning, the crying with  love that washes off the pain washes the lower part of the energy body , the aurora  body of that person where the pain is condensed and let it loosens.  

I would like to say one more important thing about the departure of a person who  was close to us. That is, the last moment when a person leaves us and a short  moment after the departure is very delicate and sensitive. There is a custom to call  ambuluance when a person is going to die or dies. This custom is not helpful. When  comes the moment a person is going to leave us, any attempt to save the life of this  person is just for us, but does not help that person. 

When the time comes for that person to leave, let the person leave naturally, it does not  help trying to prolong the person’s life for our need.

When Ilsun was at the hospital, such an incident happened at the next bed of Ilsun.  When the old lady in the next bed had difficulty of breathing suddenly and it appeared  her breathing was going to stop, a doctor was called and an artificial breathing was  tried. As the result, her chest rib was broken and she vomited blood. She died with a  great pain. She did not experience a natural calm death. 

That’s why I w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bracing with love the time during  which the soul slowly leaves the body and accompanying the process for some time  with love and blessing. This way, we surround the the process with  attunement and prayer. It would be good to have a sufficient time for this process. I  was told that the family members should call the ambulance immediately when a  person passes away to obtain death certificate. In the case of Ilsun, we were able to  allow 40 minutes after Ilsun stoped breathing to offer her love and a quiet attunement.  That time was very precious and important. When a soul leaves the body, there is a  great deal of sadness, but also we were able to share joy of liberation and the fact that  this angel can go back to the light, completely being liberated from the boundaries of  the body. We can make this kind of « culture of death and ascension » of the soul.  

We were able to feel the love of Ilsun curling around us, and recognize explosion of  small lights during the process of ascension of the soul, when a well-lived angel in this  world leaves us. So that light, that angel, that soul ascends, leaving behind the aurora  body, a small light explodes. That is the explosion of blessing. We were able to  experience that exploding light enters into the hearts of every single people who loved  her. I am sure you all feel that light in relationship with Ilsun That way, that light enters  into the heart of people and the seeds of that light grows in us. At the moment, when  the soul of Ilsun ascends, I feel thousands of seeds of light are being planted. I am saying tat even if it is not such a big angel, being liberated from the body, the  love prisoned in the body can be planted in the hearts of people who loved her.  

 I want to say that even if the body dies and is dismantled, the angel , existence in  it appears and ascends blessing people who were around her. Let us fully receive  that love and blessing and expand that blessing.

Paths of the Soul - Wikipedia

Paths of the Soul - Wikipedia

Paths of the Sou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aths of the Soul
Paths of the Soul poster.jpeg
Poster
Directed byZhang Yang
Written byZhang Yang
Produced byZhang Yang
StarringYang Pei
Nyima Zadui
Tsewang Dolkar
Tsring Chodron
Seba Jiangcuo
CinematographyGuo Daming
Edited byWei Le
Release dates
  • 15 September 2015 (Toronto)
  • 20 June 2017 (China)
Running time
115 minutes
CountryChina
LanguageTibetan
Box officeCN¥100.1 million (China)[1]

Paths of the Soul (Chinese冈仁波齐Standard Tibetanགངས་རིན་པོ་ཆེgangs rin po che) is a 2015 Chinese film directed, written, and produced by Zhang Yang. It tells of a journey taken by Tibetan villagers on a 1,200 kilometer pilgrimage to Lhasa.[2][3][4][5]

The film premiered at the 2015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6] It was subsequently presented at the 2015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6 Vilni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6 Hong Ko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6 Gotebor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6 Rotterdam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 2016 Seattle International Film Festival,[7] among others.

The film was given a limited release in North America on 13 May 2016. It was also shown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City from May 13 to May 19, 2016.[8]

The film was released in China on 20 June 2017.[1]

Reception[edit]

Carried by positive reviews and audience reaction, the film has grossed CN¥100.1 million in China, and became a surprise art house box office hit.[1] It has a 90/100 average on Metacritic.[9]

Awards and nominations[edit]

AwardsCategoryRecipientResultRef.
23rd Huading AwardsBest FilmN/APending[10]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冈仁波齐(2017)"cbooo.cn (in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9. Retrieved 3 July 2017.
  2. ^ "Kang rinpoche (2015) - IMDb"IMDb.
  3. ^ Hunter, Allan (28 December 2015). "'Paths of the Soul': Review | Reviews | Screen"Screendaily.com. Retrieved 30 June 2016.
  4. ^ "Review: 'Paths of the Soul,' a Road Trip Unlike Any Other"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0 June 2016.
  5. ^ "'Paths of the Soul': TIFF Review"The Hollywood Reporter. 20 September 2015. Retrieved 30 June 2016.
  6.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6. Retrieved 9 March 2016.
  7. ^ http://www.siff.net/festival-2016/paths-of-the-soul[dead link]
  8. ^ MoMA Presents: Zhang Yang’s Paths of the Soul
  9. ^ Paths of the Soul, retrieved 12 November 2019
  10. ^ "第23届华鼎奖提名:《战狼2》、《芳华》双雄逐鹿"Sina (in Chinese). 20 March 2018.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