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한윤정.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윤정. Show all posts

2020/01/24

05 상相과 중도 상에 집착하지 말고 중도를 걸으라



(9) 05 상相과 중도 상에 집착하지 말고 중도를 걸으라는 논의 시리즈 준비로 먼저... - Chang-Seong Hong










Chang-Seong Hong
18 January at 03:56 ·



05 상相과 중도

상에 집착하지 말고 중도를 걸으라는 논의 시리즈 준비로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도론을 내 방식으로 소개해 보았다.

밑의 사진 하나는 경주 석굴암 부처님이신데, 몇 해 전 다시 경주에서 뵌 모습으로부터 천여 년 전에도 불상에 한류가 존재했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한국인들의 예술적 '끼'는 고대로부터 역시 대단했다. 그 옆 사진은 아리스토텔레스다. 그의 제자 알렉산더대왕이 정복한 인도 서북부 간다라 지방에서 그리이스 조각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불상 문화가 고대 한반도에까지 이르렀는데, 한 눈에 보아도 석굴암의 조각에 그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놀랍고 기쁜 인연이다.

https://www.dropbox.com/…/05%20%EC%83%81%EA%B3%BC%20%EC%A4%…

05 (2월 17일 원고 마감)
상相과 중도

우리를 극단으로 몰아가는 정치 이념이나 종교적 광신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비판적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만 이념과 미신으로 우리에게 상相을 씌워 이용하려는 집단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역사는 정치 종교적 상에 집착한 사람들이 스스로를 구속하며 극단으로 치달아 저지른 재앙으로 점철되어 왔다. 그런데, 머무르지 않고 자유로워야 할 불자들이라면 이런 상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극단을 피하는 지혜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중도中道의 삶을 살라는 가르침으로 표현되어 왔다. 붓다의 중도와 비유되곤 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중도론은 그의 행복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되었는데, 그는 행복을 위해서는 중도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통찰했다. 나는 우리가 상을 여의고 중도의 삶을 살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서 이 고대 희랍 철학자의 견해를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철학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정치 종교와 같이 큰 주제보다는 일상의 소소한 생각거리로부터 시작하는 편이 논의의 초점을 흐리지 않기 때문에, 평범한 사례들을 들어 그의 중도론을 소개하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의 모든 행위가 스스로의 행복을 지향하고 있다고 보는데, 이는 서양에서는 상식으로 받아들여져 온 견해다. 서양인들은 행복이 삶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며, 행복을 수단으로 추구할 더 높은 목표가 없기 때문에 행복은 그 자체로 좋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좋다는 행복은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 일부 극단적인 유물론자들을 제외하고는, 돈 많이 벌고 잘생기고 인기 얻어서 권력을 누리면 행복하다고 주장한 철학자는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가진 잠재력을 실현하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했다. 위대한 철학자의 통찰이라고는 하지만 실은 상식적이고 평범한 진리다. 자신의 가능성을 계발하여 원하는 일을 하며 사는 삶이 행복하다는 데 반대할 사람은 없다. 반면에, 예술가의 자질을 타고나 창조적 작업을 하고 싶은 사람이 부모의 강요로 돈만 버는 비즈니스밖에 할 수 없다면 그가 결코 행복하다고 볼 수는 없다. 나는 미국에서 철학과 대학원에 새로 입학한 40대와 50대 전직 의사들을 여럿 보았다. 젊은 날부터 동경해 온 철학하는 삶을 살고 싶어서 미국에서 최고 수입을 누리는 직업을 그만두고 늦깎이 대학원생이 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대학원생 생활을 무척 행복해 했다.
그러면 잠재력을 실현하며 행복하게 사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는 덕德(virtue)을 가지고 덕스럽게 행위하며 사는 것이라고 답한다. 설득력 있는 이야기다. 서양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덕 있는 사람이 결국은 더 행복하게 살기 마련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나 또한 이 말이 최소한 확률적으로는 옳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덕이 반드시 우리가 생각하는 도덕적 덕목(moral virtue)은 아니었다.
희랍어로 ‘덕’에 해당하는 말(arete)은 원래 ‘탁월함(excellence)’을 의미했다. 트로이의 파리스 왕자가 (아폴론신의 보이지 않는 도움으로) 원거리에서 활을 쏘아 그리스의 영웅 아킬레스의 뒤꿈치를 맞힌 놀라운 궁술 같은 것이 희랍인들이 생각하던 덕이었다. 탁월한 능력, 탁월한 힘 같은 것이었다. 한자어 ‘德’도 원래 기능 또는 능력이란 뜻을 가지고 있었고, 영어에서도 현재 ‘in virtue of’ 같은 표현에 그런 의미가 남아있다. 도덕적 덕만 덕이었던 것이 아니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은 잠재력을 실현시켜 능력을 탁월하게 발휘하면서 얻게 된다.
그러면 이렇게 ‘탁월함’이라는 의미의 덕은 어떻게 얻고 또 따를 수 있을까? 이 물음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답변이 바로 그 유명한 중도론中道論이다. 예를 들어 ‘용기’의 덕은 만용과 비겁이라는 두 악덕의 중간에 있다. 용기를 결여하면 비겁하고 이것이 지나치면 만용인데, 덕으로서의 용기는 모자라거나 지나친 양극단을 피하는 중도에 있다는 것이다. 지혜로운 통찰이다. 손님대접에 ‘관대하다(generous)’는 덕은 접대를 아끼거나 낭비하지 않고 그 중도에서 모자라거나 넘치지 않게 행하는 덕이다. 이런 중도가 ‘탁월하다’는 의미에서의 덕이다. 동서양에 모두 중도의 가르침이 전해오는데, 그 이유는 분명 이 가르침에 삶을 행복으로 이끌어 주는 지혜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중도의 길이 옳다고 인정한다고 해서 우리가 중도의 덕을 곧바로 얻게 될까? 그렇지 않다. 덕은 머리로 이해한다고 해서 저절로 얻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덕스러운 행위를 반복해서 그것이 습관으로 굳어져야 형성된다. 덕은 이해가 아니라 체득된 성향(disposition)이다. ‘제비 한 마리가 날아왔다고 해서 여름이 오는 것은 아니’듯이, 누가 한두 번 자선단체에 기부했다고 그가 덕 있는 사람이 되지는 못한다.
붓다의 중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도에 공통된 지혜가 담겨있다고 많이 논의되어 왔다. 우리는 왕자시절의 안락했던 생활이 싯다르타 태자에게 깨달음을 가져다주지 못했다고 들어왔다. 출가 후 6년 고행苦行도 그를 깨닫게 하지 못했다. 오직 이 두 극단을 피한 중도의 수행으로 그는 성도할 수 있었다. 악기의 줄이 너무 팽팽하면 끊어지기 쉽고, 그 반대로 너무 느슨하면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는다. 줄이 적당한 정도의 장력을 유지해야 제대로 된 악기 구실을 할 수 있다. 깨달음을 향한 수행도 지나치거나 모자라지 않게 적절히, 중도를 택해야 한다는 것이 붓다의 가르침이다.
그런데 붓다의 중도론은 서양 중도론의 영역을 초월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통찰이 삶과 관련된 지혜에 국한되어 있는데 비해, 붓다는 만물이 존재하는 실제의 모습(實相) 또한 중도에 있다고 가르친다. 붓다는 사물에 영원히 불변불멸하는 아뜨만(또는 自性)이 있다고 보는 상주론常住論을 배격하지만 동시에 사물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단멸론斷滅論 또한 거부한다. 그래서 아무 것도 상주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단멸되어 있지도 않아서 그 양극단을 피해 묘妙하게 존재한다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이다. 붓다의 중도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도론보다 더 포괄적인 가르침이다.

홍창성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77조현, 孫永坤 and 75 others

5 comments5 shares

LikeShare

Comments


Soonki Lee 감사합니다. 공유합니다. 💕
2
Hide or report this


Like
· 6d

최선규 중도가 세상을 살리지요.
1
Hide or report this


Like
· 6d

조기현 철학적질의에앞서,교수님본인이지혜라는덕을갖추고계시다고생각십니까? 또한제가생각키로부처의중도는환상과같은현실에서나라하고하는몸뚱아리를지탱하기위한것이지즉환상속에서진제를끌고가기위한것이라고생각합니다 자세한비교는철학자의몫일것같고요토론은환영입니다
Hide or report this


Like
· 5d


Chang-Seong Hong 스스로 훌륭한 연주자여야 음악비평가가 될 자격이 있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
Hide or report this


Like
· 5d

조기현 홍창성 우문현답입십니다 다만 악기와 곡조 정도는 알고 있어야겠죠^^
1
Hide or report this


Like
· 5d

The value of owning more books than you can read - Big Think



The value of owning more books than you can read - Big Think

The value of owning more books than you can read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my tsundoku.
KEVIN DICKINSON22 October, 2018

(Photo from Wikimedia)


Many readers buy books with every intention of reading them only to let them linger on the shelf.
Statistician Nassim Nicholas Taleb believes surrounding ourselves with unread books enriches our lives as they remind us of all we don't know.
The Japanese call this practice tsundoku, and it may provide lasting benefits.

I love books. If I go to the bookstore to check a price, I walk out with three books I probably didn't know existed beforehand. I buy second-hand books by the bagful at the Friends of the Library sale, while explaining to my wife that it's for a good cause. Even the smell of books grips me, that faint aroma of earthy vanilla that wafts up at you when you flip a page.

The problem is that my book-buying habit outpaces my ability to read them. This leads to FOMO and occasional pangs of guilt over the unread volumes spilling across my shelves. Sound familiar?

But it's possible this guilt is entirely misplaced. According to statistician Nassim Nicholas Taleb, these unread volumes represent what he calls an "antilibrary," and he believes our antilibraries aren't signs of intellectual failings. Quite the opposite.


Living with an antilibrary

Umberto Eco signs a book. You can see a portion of the author's vast antilibrary in the background.

Taleb laid out the concept of the antilibrary in his best-selling book The Black Swan: The Impact of the Highly Improbable. He starts with a discussion of the prolific author and scholar Umberto Eco, whose personal library housed a staggering 30,000 books.

When Eco hosted visitors, many would marvel at the size of his library and assumed it represented the host's knowledge — which, make no mistake, was expansive. But a few savvy visitors realized the truth: Eco's library wasn't voluminous because he had read so much; it was voluminous because he desired to read so much more.

Eco stated as much. Doing a back-of-the-envelope calculation, he found he could only read about 25,200 books if he read one book a day, every day, between the ages of ten and eighty. A "trifle," he laments, compared to the million books available at any good library.

Drawing from Eco's example, Taleb deduces:

Read books are far less valuable than unread ones. [Your] library should contain as much of what you do not know as your financial means, mortgage rates, and the currently tight real-estate market allows you to put there. You will accumulate more knowledge and more books as you grow older, and the growing number of unread books on the shelves will look at you menacingly. Indeed, the more you know, the larger the rows of unread books. Let us call this collection of unread books an antilibrary. [Emphasis original]

Maria Popova, whose post at Brain Pickings summarizes Taleb's argument beautifully, notes that our tendency is to overestimate the value of what we know, while underestimating the value of what we don't know. Taleb's antilibrary flips this tendency on its head.

The antilibrary's value stems from how it challenges our self-estimation by providing a constant, niggling reminder of all we don't know. The titles lining my own home remind me that I know little to nothing about cryptography, the evolution of feathers, Italian folklore, illicit drug use in the Third Reich, and whatever entomophagy is. (Don't spoil it; I want to be surprised.)

"We tend to treat our knowledge as personal property to be protected and defended," Taleb writes. "It is an ornament that allows us to rise in the pecking order. So this tendency to offend Eco's library sensibility by focusing on the known is a human bias that extends to our mental operations."

These selves of unexplored ideas propel us to continue reading, continue learning, and never be comfortable that we know enough. Jessica Stillman calls this realization intellectual humility.

People who lack this intellectual humility — those without a yearning to acquire new books or visit their local library — may enjoy a sense of pride at having conquered their personal collection, but such a library provides all the use of a wall-mounted trophy. It becomes an "ego-booting appendage" for decoration alone. Not a living, growing resource we can learn from until we are 80 — and, if we are lucky, a few years beyond.

Tsundoku

Book swap attendees will no doubt find their antilibrary/tsundoku grow.


(Photo from Flickr)

I love Taleb's concept, but I must admit I find the label "antilibrary" a bit lacking. For me, it sounds like a plot device in a knockoff Dan Brown novel — "Quick! We have to stop the Illuminati before they use the antilibrary to erase all the books in existence."

Writing for the New York Times, Kevin Mims also doesn't care for Taleb's label. Thankfully, his objection is a bit more practical: "I don't really like Taleb's term 'antilibrary.' A library is a collection of books, many of which remain unread for long periods of time. I don't see how that differs from an antilibrary."

His preferred label is a loanword from Japan: tsundoku. Tsundoku is the Japanese word for the stack(s) of books you've purchased but haven't read. Its morphology combines tsunde-oku (letting things pile up) and dukosho (reading books).

The word origin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satirical jab at teachers who owned books but didn't read them. While that is opposite of Taleb's point, today the word carries no stigma in Japanese culture. It's also differs from bibliomania, which is the obsessive collecting of books for the sake of the collection, not their eventual reading.

The value of tsundoku

Granted, I'm sure there is some braggadocious bibliomaniac out there who owns a collection comparable to a small national library, yet rarely cracks a cover. Even so, studies have shown that book ownership and reading typically go hand in hand to great effect.

One such study found that children who grew up in homes with between 80 and 350 books showed improved literacy, numerac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skills as adults. Exposure to books, the researchers suggested, boosts these cognitive abilities by making reading a part of life's routines and practices.

Many other studies have shown reading habits relay a bevy of benefits. They suggest reading can reduce stress, satisfy social connection needs, bolster social skills and empathy, and boost certain cognitive skills. And that's just fiction! Reading nonfiction is correlated with success and high achievement, helps us better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world, and gives you the edge come trivia night.

In her article, Jessica Stillman ponders whether the antilibrary acts as a counter to the Dunning-Kruger effect, a cognitive bias that leads ignorant people to assume their knowledge or abilities are more proficient than they truly are. Since people are not prone to enjoying reminders of their ignorance, their unread books push them toward, if not mastery, then at least a ever-expanding understanding of competence.

"All those books you haven't read are indeed a sign of your ignorance. But if you know how ignorant you are, you're way ahead of the vast majority of other people," Stillman writes.

Whether you prefer the term antilibrary, tsundoku, or something else entirely, the value of an unread book is its power to get you to read it.

2020/01/23

[주태산 서평] “폭민정치 피하려면 ‘국민정서’ 우리에 가둬야” : 네이버 포스트



[주태산 서평] “폭민정치 피하려면 ‘국민정서’ 우리에 가둬야” : 네이버 포스트

[주태산 서평] “폭민정치 피하려면 ‘국민정서’ 우리에 가둬야”

이코노믹리뷰

5만 팔로워
2019.02.16. 14:31215 읽음

주태산 주필 | joots@econovill.com



<한국, 한국인> 마이클 브린 지음, 장영재 옮김, 실레북스 펴냄.

주의! 이 책을 읽다 보면 불쾌하고 불편할 수 있다. 화가 날지도 모른다.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저자들의 칭찬 일변도 한국 분석서와 달리 지나칠 정도로 객관적이고, 섭섭할 만큼 냉정하기 때문이다. 저자 마이클 브린은 햇수로 38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는 영국인 저널리스트다. 그는 한국인들보다 한국을 더 잘 아는 외국인이라는 평을 듣는다. 수십년간 <더 타임즈>, <가디언>, <워싱턴 타임즈> 특파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적인 분석과 통찰로 한국 사회를 추적해왔다.

그는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는 한국을 ‘객관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특히 1948년 건국 이후 숨가쁘게 달려온 한국인들에 대해 ‘냉정하게’ 살핀다. 내용에 대한 평가 없이 책 내용을 옮긴다. 그 자체로 생각거리가 될 것이다. 일부 문장은 편의상 줄이고 붙였다.

-한국인은 성미가 급한 민족이며, 자신이 상상하는 선진국 사람들처럼 되기를 갈망한다. 그리고 자신의 나라가 눈높이에 미치지 못할 때는 지나칠 정도로 자책한다.

-(198년 첫 한국 방문 당시) 모두가 한국의 지속적 발전을 의심하는 가장 큰 이유를 알게 되었다. 한국인들이 가장 비관적이었다. 모든 것이 잘못되리라는 한국인들의 우려는 외국인 관찰자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런 비관적 성향 때문에 한국인은 한국이 세계무대에 진출했다는 사실을 늦게까지 깨닫지 못했다.

-1920~1950년에 태어난 세대의 업적은 진정 놀랄 만하다. 한국의 성장은 모든 세대가 참여하고 기여한 데 힘입었다. 하지만 그들의 자식과 손자들은 그들을 고루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전쟁과 독재체제, 고된 일 사이에 해변으로 갈 기회도 없었던 시절 등 윗세대가 헤쳐 나온 모든 고난에 빚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국민정서’라는 개념이 이례적인 힘을 갖고 있다. 국민정서는 민주 한국의 신(神)이다. 국민정서는 폭민(暴民)정치를 피하기 위해 우리에 가둬 놓아야 할 짐승이다.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이라는 말은 거리시위나 온라인 항의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뤄진다는 의미가 아니다. 안정된 민주주의는 대의제도와 법치에 기반을 둔다는 것을 이해하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서울 도심에서 매주 토요일 시위가 계속됐다. 시위 양상은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몇 주 뒤 국회는 박근혜를 탄핵했고 2017년 3월 헌재가 탄핵을 인용했다. 5월 선거에서 문재인이 청와대 주인이 됐고, 박근혜는 감옥에서 재판을 기다리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에 거주하는 많은 외국인들과, 특히 이 현기증 나는 사태를 자국 정부에 보고해야 하는 외교관들에게는 사라지지 않는 의문이 남아 있었다. 박근혜가 실제로 잘못한 것은 무엇인가? 이 글을 쓰는 지금까지도 아리송하다. 한국의 민주주의가 미국처럼 법에 기초했다면, 조사과정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민주주의의 다음 과제는 검찰을 청와대의 간섭에서 독립시킴으로써 노무현이 시도했지만 이명박이 깔아뭉개버렸던 변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검찰의 책임을 기소에 한정하고 수사권이 경찰에 이양되도록 해야 한다.

-남한은 낙후되고 부패한 독재체제에서 산업화된 현대적 민주주의 강국으로 거듭났다. 한국은 미국의 지원 하에 이러한 위업을 성취할 수 있었다. 이제 세계는 북한도 그 뒤를 따르기를 기대한다.

-한국에서 산업의 개발이 1막이고, 민주주의가 2막이었다면, 그 이야기를 완성하는 것은 문화다. 외국인들은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기적이라고 말하는 반면에 한국인은 외국인이 한국의 문화에 관심을 갖고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기적처럼 느낀다.

-2068년에 북한 김정은은 85세가 된다. 그러나 그 전에 통일이 이뤄지고 김씨 왕조는 단지 역사가들의 관심사가 되고 말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