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8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

NAVER 학술정보 >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
實心實學槪念の歷史的使命

저자
오가와 하루히사, 한예원
소속
일본 실학연구회 회장
조선대학교 교수
학술지정보
한국실학연구 KCI
2009
18권, 18호
view options시작쪽수 137p, 전체쪽수 34p ISSN 1598-0928
발행정보
민창문화사 2009년
피인용횟수
7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한국학술정보
무료원문
원문 보기
유료원문
한국학술정보
도서관 링크
꽃동네대학교 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설정
주제분야
인문학 > 역사학
키워드
실심실학, 당견, 구마자와반잔, 미우라바이엔, 홍대용, 웅택번산, 삼포매원, 實心實學, 唐甄, 態澤蕃山, 三浦梅園, 洪大容, 실심실학實心實學, 당견唐甄, 구마자와반잔態澤蕃山, 미우라바이엔三浦梅園, 홍대용洪大容
초록
목차 open button
참고문헌
초록
동아시아 사회에 있어서 실학(實學)이라는 단어는 역사적으로 근대이전의 실학과 근대이후의 실학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학의 개념은, 자본주의 발달 안에서 가꾸어온 실업(實業)의 학(學), 실용(實用)의 학(學)으로서의 실학, 곧 근대이후의 실학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근대이전에는 유학(유교)의 대명사로서의 실학이 존재했다.
유학의 대명사가 근대이전의 실학이라고 한다면, 그 실학은 공자로부터 성립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유학의 정의로서 최적인 것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학문으로, 수기(修己)는 실심(實心)에 해당하고, 치인(治人)은 실학(實學)에 해당한다. 따라서 유학으로서의 실학은 실심실학(實心實學)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근대이전의 실학이 근대이후의 실학과 다르다는 것은 실심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근대이전의 실심실학은 유학(유교)의 독점물만은 아니었다. 노장사상의 장점을 취한 기(氣) 철학자들의 실심실학은, 수기치인형(修己治人型)이 아닌, 천인형(天人型) 실심실학이었다. 천인의 천(天)은 자연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 철학자들은 우수한 자연인식을 전제로 성(誠)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였다. 이러한 천인형 실심실학자는 17․18세기 동아시아 삼국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중국의 당견(唐甄), 일본의 구마자와 반잔(態澤蕃山)과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 한국의 홍대용(洪大容)이라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근대이전의 실심실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차
목차
실심실학 개념의 역사적 사명 = 實心實學槪念の歷史的使命 / 小川晴久 ; 한예원 역 1
국문요약 1
전언(前言) 3
1. 전근대(근대이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5
2. 실심실학(實心實學)의 실심(實心)은 왜 중요할까 7
1) 당견(唐甄)의 실(實)과 실심(實心)의 중시 9
2) 자신의 명(名)이 이 세계로부터 없어지는 것을 바랬던 구마자와 반잔(態澤蕃山) 11
3)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의 성(誠)의 중시 13
4) 홍대용(洪大容)의 진실(眞實)의 본령(本領) 14
결어(結語) 16
참고문헌 19
[첨부자료:원문] 20
참고문헌 9
1.
論語
2.
中庸
3.
態澤蕃山, 集義和書
4.
態澤蕃山, 集義外書
5.
三浦梅園, 贅語
6.
唐甄, 潛書
7.
洪大容, 湛軒書
8.
마르크스, 헤겔法哲學批判 , 大月書店國民文庫.
9.
小川晴久(2006), 「實學에 있어서 實心이란 무엇인가」, 實心實學思想과 국민문화의 형성 論文集 所收, 二松學舍大學 동아시아 학술종합연구소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