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양명의 생명철학
김세정
판형 : 신국판
페이지 : 763
출판일자 : 2019-10-31
정가 : 38,000원
======
책소개
대학원 시절 "천지만물과 인간은 본래 한 몸이다"라는 왕양명의 외침에 이끌려 양명학을 통해 현대의 \'생명 위기\' 문제를 풀어보려는 저자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책으로 엮었다.
저자는 \'생명 위기\'의 해법을 양명학의 핵심 개념인 \'양지(良知)\'에서 찾는다.
왕양명이 말하는 인간의 마음 즉, 양지는 \'인간이 천지만물과 감응하는 주체\'이자 \'천지만물의 생명 손상을 나의 아픔으로 느끼는 통각의 주체\'이며,
생명 위기를 해결하는 첫걸음은 나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자연세계의 생명 손상을 나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는 양지를 회복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양지\'에 관한 이와 같은 생명철학적 정의를 바탕으로
1장에서는 현대 문명의 생명 위기의 원인과 다양한 대응 방안들을 살펴보고,
이 책이 지향하는 양명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2장에서는 왕양명의 역동적이며 실천적인 삶의 전 과정과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생명철학의 수립 과정을 추적하였으며,
3장에서는 \'천지만물일체설(天地萬物一體)\'을 중심으로 \'천지만물과 인간이 하나인 세계\', \'유기체적 대동사회\', \'천지만물의 중추적 인간\' 등 왕양명 생명철학의 세계관과 사회관, 인간관을 총체적으로 조망하였다.
각론에 해당하는 4장에서 8장까지는 \'심즉리설(心卽理說)\',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양지설(良知說)\', \'치양지설(致良知說)\', \'친민설(親民說)\' 등 왕양명의 주요한 학설들을 중심으로 양명학을 생명철학의 입장에서 새롭게 정립해 보았다.
마지막 9장에서부터 12장까지는 \'왕양명의 생명철학과 현대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생명과 관련하여 현대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왕양명 생명철학의 역할 가능성과 의의를 모색해 보았다.
「2006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본도서는 이번 개정판에는 필자의 새로운 글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돌봄과 공생의 양명학」과 1960년대부터 2019년까지 지난 60년간 한국에서 간행된 저서, 번역서, 학위논문 및 각종 논문집과 학술잡지에 게재된 왕양명의 생애와 사상 전반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목록화한 「국내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을 <부록>으로 새롭게 수록하였다.
양명학에서 자연 존재물들은 하나의 유기적 관계망으로 이루어진 지구의 한 부분으로서 그 자체로서 생명 의지와 생명 가치를 부여받는다. 인간과 자연은 유기적이고 호혜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공존․공생하는 바, 인간은 자신의 무한한 이기적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자연 존재물을 도구화하고 이들의 생명을 질곡․파괴시킬 수 없다. 아니 인간은 자연 존재물들의 손상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끼고 나아가 이들의 생명을 창생․양육해야 하는 전우주적 사명과 책임을 부여받은 존재, 즉 천지만물의 마음이다. 따라서 소극적으로 자연을 착취하고 파괴하지 않는 단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자연 존재물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보살피며 이들을 양육하는 친애親愛의 실천 활동을 해야 한다. ‘천지만물과 인간이 하나의 생명체라는 자각’과 ‘천지만물과의 감응과 통각의 주체인 양지良知를 회복’하는 일은 자연세계와 인간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전 지구적 생명 위기로부터 벗어나 자연세계와 인간이 함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꾸려나가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다음과 같은 왕양명의 말은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무릇 사람이란 천지의 마음이다. 천지만물은 본래 나와 한 몸이니, 살아있는 백성(生民)들의 곤궁함과 고통은 어느 것인들 내 몸의 절실한 아픔이 아니겠는가? 내 몸의 아픔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없는 사람이다. 시비지심이란 생각하지 않더라도 알고 배우지 않더라도 능한 것으로 이것이 이른바 양지良知이다. 양지가 사람의 마음에 있는 것은 성인과 어리석은 사람의 구분이 없으며, 천하 고금이 다 같다. 세상의 군자가 오직 양지를 실현하는 데 힘쓰기만 한다면, 저절로 시비是非를 공유하고 호오好惡를 함께하며, 남을 자기와 같이 보고 나라를 한 집안처럼 보아서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여길 수 있다. 그러면 천하가 다스려지지 않기를 구할지라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저자소개
김세정1967년 충남 논산에서 출생하여 1990년에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에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왕양명의 생명철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주립대학교 방문연구학자(1999)를 역임하고, 2002년부터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북경대학 방문학자(2007)와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방문학자(2011)를 역임하고 현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소장, 한국양명학회 회장, 한국동양철학회 부회장, 한국유교학회 부회장, 중국 양명문화(귀양)국제문헌연구센터 외국전문가 특별초빙연구원, 대전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등을 맡고 있다.
목차
왕양명의 생명철학
차례
지은이의 말 _ 4
제1장 생명 위기와 양명학의 새로운 지평
제1절 현대 문명의 생명 위기와 대응 ········································ 23
1. 생명 위기의 원인 _ 24
2. 생명 위기에 대한 대응 _ 30
3. 동양 전통사상에 대한 관심과 비판 _ 40
제2절 양명학 연구에 대한 반성 ················································· 55
1. 중국학계의 양명학 연구 _ 58
2. 1990년대 이전 한국학계의 양명학 연구 _ 62
3. 1990년대 양명학 연구의 다양화와 토착화 _ 73
4. 2000년대와 2010년대 양명학 연구의 신지평 _ 81
제3절 양명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 106
1. 21세기와 양명학 연구 _ 106
2. 생명철학으로서의 양명학 _ 111
제2장 역동적 생애와 주체적 학문
제1절 양명의 탄생과 성인에 대한 꿈 ······································· 118
제2절 삼가 三家 의 섭렵과 주자학에 대한 회의 ·························· 125
제3절 용장에서의 깨달음과 심즉리 ·········································· 129
제4절 정좌에서 치양지로 ·························································· 138
제5절 천지만물일체의 세계로 ··················································· 155
제3장 천지만물과 인간이 한 몸인 세계
제1절 선진 유학의 유기체적 세계관 ········································ 178
1. ?주역?과 ?중용?의 유기체적 자연관 _ 178
2. 천지만물의 중추적 인간관의 뿌리 _ 185
제2절 북송 유학의 만물일체의 세계관 ····································· 190
1. 주돈이의 기 氣 일원론적 세계관 _ 190
2. 장재의 기 氣 에 의한 존재의 연속성 _ 194
3. 정호의 만물일체의 인 仁 _ 200
제3절 양명의 생생불식의 유기체적 우주관 ······························ 203
1. 자기-조직하는 천지만물 _ 204
2. 천지만물의 중추적 인간 _ 211
3. 천지만물과 인간의 호혜성 _ 224
제4절 만물일체의 유기체적 대동사회관 ··································· 232
1. 유기체적 대동사회 _ 233
2. 대동사회의 유기체적 특성 _ 239
제4장 마음의 창조적?역동적 생명 원리
제1절 마음의 본체인 천리 ························································ 245
1. 성인과 천리 _ 245
2. 마음의 유기적 생명성 _ 250
3. 극단적 개체 욕망 _ 258
4. 천리의 발현 _ 261
제2절 마음의 생명 창출 근거 ··················································· 267
1. 주희의 마음과 리의 이원화 _ 269
2. 마음이 곧 본성 _ 275
3. 마음의 실천 조리의 창출 _ 281
제3절 마음의 역동적 실천 원리 ··············································· 288
1. 성과 기의 일원적 체계 _ 288
2. 마음과 몸의 일원적 체계 _ 293
3. 실천 행위의 창출 _ 298
제5장 인간 양지의 유기적 생명성
제1절 성인됨의 근거로서의 양지 ·············································· 307
1. 양지의 보편적 내재성 _ 308
2. 다양한 인간 층차와 양지 _ 310
제2절 인간 양지와 생명 창출 ··················································· 316
1. 감응 주체로서의 양지 _ 317
2. 양지의 생명 창출성 _ 324
제3절 양지의 유기적 생명성 ····················································· 331
1. 생명의 온전성에 대한 시비준칙 _ 332
2. 양지의 영명한 자각성 _ 343
3. 양지의 항동성 _ 349
4. 수시변역하는 양지 _ 352
제6장 양지의 일원적 체계와 생명 창출
제1절 양지의 체용이 하나의 근원 ············································ 361
제2절 중화의 체용 일원적 체계 ··············································· 366
1. 중화와 양지 _ 367
2. 중화의 체용이 하나의 근원 _ 369
3. 중화의 실현과 천지의 화육 _ 374
제3절 양지의 하나됨과 생명 창출 ············································ 379
1. 실천 행위의 창출 _ 379
2. 양지와 기 氣 의 하나됨 _ 382
3. 양지와 칠정 七情 의 하나됨 _ 387
4. 양지와 견문 見聞 의 하나됨 _ 391
제7장 양지 실현과 지행합일
제1절 개체 욕망의 생명 질곡 ··················································· 398
1. 개체 욕망 _ 398
2. 개체 욕망과 기질의 관련성 _ 403
3. 개체 욕망의 폐단 _ 406
제2절 양지 실현의 필요성 ························································ 416
1. 개체 욕망의 제거와 양지의 회복 _ 416
2. 실천 행위와 양지의 확충 _ 422
제3절 지행합일과 양지 실현 ····················································· 429
1. 마음의 역동적 지행 창출성 _ 431
2. 양지와 지행합일의 상관성 _ 433
3. 양지의 자각적 판단과 실천의 합일 과정 _ 437
4. 배움과 실천의 합일 과정 _ 445
제8장 양지 실현과 참된 즐거움의 경계
제1절 명명덕과 친민의 일원적 체계 ········································ 458
1. 명덕과 양지 _ 459
2. 명명덕과 친민이 하나의 근원 _ 464
3. 명덕?친민의 준칙인 지선 至善 _ 473
4. 친민을 통한 천지만물일체의 실현 _ 479
제2절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의 일원적 체계 ·············· 486
1. 심?신?의?지?물이 하나 _ 486
2. 수신?정심?성의?치지?격물의 일원화 _ 488
3.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과 양지 실현 _ 497
제3절 양지 실현의 실천 공부 ··················································· 501
1. 사상마련과 양지 실현 _ 501
2. 집의 集義 와 양지 실현 _ 506
3. 필유사언 必有事焉 과 양지 실현 _ 511
제4절 양지 실현의 최후 경계 ··················································· 516
1. 양지 실현과 스스로 만족함 _ 517
2. 천지만물일체와 참된 즐거움 _ 521
제9장 생명철학과 참된 자아 실현의 교육론
제1절 현대 교육의 위기와 양명학 ············································ 531
1. 생명을 억압하는 교육 _ 531
2. 주체적?실천적?유기체적 인간관 _ 534
제2절 참된 자아 실현과 입지 ··················································· 539
1. 교육의 목적과 입지 _ 540
2. 입지와 양지 실현 _ 543
제3절 참된 자아 실현의 교육 방안 ·········································· 546
1. 재능과 덕성 일치의 교육 _ 547
2. 능동성?자율성?창의성 증진의 교육 _ 552
3. 배움과 실천의 합일 교육 _ 556
제4절 양명 교육론의 현대적 의의 ············································ 560
제10장 유기체적 대동사회 구현의 친민 정치론
제1절 만물일체의 유기체적 대동사회 ······································· 565
제2절 공리 功利 정치의 근원과 폐단 ·········································· 571
제3절 친민 정치의 생명철학적 근거와 특성 ···························· 575
제4절 대동사회 구현의 친민 정치 ············································ 581
제5절 친민정치론의 현대적 의의와 과제 ································· 586
제11장 인심 仁心 과 만물일체의 생명윤리
제1절 생명공학시대, 유교는 반생명적인가? ····························· 593
1. 유교의 남아선호사상과 임신중절 _ 595
2. 유교의 효와 장기이식 _ 598
3. 인간복제와 유교 _ 600
제2절 만물일체와 생의 生意 존중의 생명관 ································ 603
1. ?주역?과 ?중용?의 생생불식의 생명 원리 _ 604
2. 공자와 맹자의 인 仁 의 생명 원리 _ 606
3. 양명의 만물일체와 생의 존중의 생명관 _ 609
제3절 인심 仁心 과 만물일체의 생명윤리 ··································· 614
1. 임신중절에서 생의 生意 의 존중으로 _ 614
2. 인심 仁心 에 근거한 친민의 장기이식 _ 617
3. 인간복제에서 만물일체의 세계로 _ 621
제4절 생명공학시대, 인심의 생명윤리 ···································· 625
제12장 인간과 자연, 그 하나 됨의 생명철학
제1절 생태계 위기와 환경철학 ················································· 630
제2절 서구 환경철학의 전개와 과제 ········································ 632
1. 동물평등주의와 생명중심주의 _ 633
2. 아느 네스의 대자아-실현 _ 641
3. 토마스 베리의 생명공동체 _ 645
제3절 인간과 자연, 그 하나 됨의 생명철학 ····························· 649
1. 자연을 파괴할 수 없는 철학적 정당성 _ 650
2. 자연을 보살피고 양육해야 하는 인간의 천부적 사명 _ 653
3. 생태학적 감수성과 친민을 통한 생명 본질 구현 _ 658
제4절 서구 환경철학과 양명 생명철학의 공조 ························· 666
제5절 양명 생명철학의 현대적 의의 ········································ 671
제13장 맺는 말 ·································································· 675
부록 1.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돌봄과 공생의 양명학
제1절 들어가는 말 ····································································· 685
제2절 생명을 살리는 살림의 창의성 ········································ 689
제3절 양지의 통각과 감통에 근거한 돌봄과 배려와 치유 ······· 696
제4절 존재의 하나 됨을 위한 상생과 공생의 길 ····················· 703
제5절 나오는 말 ········································································ 711
2. 국내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 ········································ 715
찾아보기 _ 755
=====
김세정(지은이)의 말
2006년 이 세상에 첫 선을 보인 왕양명의 생명철학이 어느덧 14살이 되었습니다. 양명학은 조선시대 이단, 사문난적으로 심한 배척을 받았습니 다. 그리고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은 양명학 불모지와도 같았습니 다. 그러나 지난 40년간 뜻있는 학자들에 의해 양명학은 한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이제는 ‘현대한국양명학’이라는 명패를 달 수 있을 만큼 성장했 습니다. 그 과정에 왕양명의 생명철학은 태어났고, 여러분들의 사랑도 많이 받으면서, 현대한국양명학 수립에도 나름 기여를 하였습니다. 왕양 명의 생명철학은 2006년 3월 30일 청계출판사에서 초판이 발행되고, 그해 가을에 ‘2006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광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 8월에 제2판이 발행되고, 2009년 10월에 ‘제1회 사단법인 대한철학회 운제철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당시 “귀하의 위 저서는 동양철학의 생명존중사상을 탁월하게 논증함으로써 철학사상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인정되어 ….”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왕 양명의 생명철학으로 인해 저는 여러분들께 분에 넘치는 사랑을 받았습 니다. 이 자리를 빌려 왕양명의 생명철학을 사랑해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올립니다.
출간한 책들이 모두 절판되고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책을 필요로 하는 많은 분들의 지속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처음 출판한 출판사 사정으로 더 이상 책을 찍을 수 없게 되어 재출판을 미루어오다가 이번에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으로 옮겨서 개정판을 내게 되었습니다.
필자는 왕양명의 생명철학 「맺는 말」에서 이 책은 제 학문의 종착점이 아니라 출발점이라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왕양명의 철학을 넘어 중국 양명학과 한국양명학, 더 나아가 유학사상 전반으로 확대하여 오늘날의 시대문제인 생명 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겠다고 했습 니다. 이에 2013년에 중국양명학파에 관한 저서 양명학파 전덕홍의 양지 철학(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을 출간하고, 2014년에 일반독자들을 위한 문고판 왕양명의 전습록 읽기(세창미디어) 를 출간하고, 2015년에 한국유학에 관한 저서 한국 성리학 속의 심학(예문서원, 2016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을 출간하였습니다. 그리고 2017년에 생태철학과 유학사상을 융합한 돌봄과 공생의 유가생태철학(소나무, 2018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을 출간하였습니다. 2017년 여름에는 이러한 저술의 성과를 담아낸 양명학, 돌봄과 공생의 길이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 ’에 선정되었습니다.
현재 매 학기 K-MOOC에서 일반인들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개강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9년 1학기부터 「양명학, 돌봄과 공생의 길」 이 충남대학교 교양강좌로 개설되어 많은 학생들이 본 강좌를 수강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저서와 강좌를 통해 양명학, 나아가 유학에 관심 있는 독자 들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본 개정판은 초판에 비해 몇 가지 변화를 주었습니다. 첫 번째는 미주를 각주로 바꾸었습니다. 미주처리로 인해 원문과 참고문헌을 찾아보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나, 각주로 변경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습니 다. 아울러 많은 오탈자를 수정하였습니다. 둘째, 1장 2절 ‘양명학 연구에 대한 반성’ 부분에서 국내에서의 양명학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의 대상을 초판에서는 2003년도까지의 연구 성과물을 대상으로 했으나, 본 개정판에서는 본서 부록 2. 「국내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에 수록된 2019년 8월까지의 연구 성과물을 대상으로 하여 대폭 수정?보완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지난 60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양명학 연구의 흐름과 변화와 특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셋째, 「제 4차 산업혁명시대 돌봄과 공생의 양명학」 (유학연구 45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 소, 2018.11) 이란 제목의 글을 부록으로 첨부하였습니다. 필자는 2006년도에이 책을 처음 출판한 이후에도 양명학 관련 논문을 계속 써왔습니다. 지면 관계상 이 책에 모든 글을 다 담을 수가 없어서 이 책의 주제와 관련 있는 가장 최근의 성과만을 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의 양명학의 의미와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봤습 니다. 첫째, 생명을 살리는 ‘살림의 창의성’, 둘째, 양지의 통각과 감통에 근거한 ‘돌봄과 배려와 치유’, 셋째, 존재의 하나 됨을 위한 ‘상생과 공생의 길’ 입니다. 이미 우리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고민하고 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넷째, 「국내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을 부록으로 첨부하였습니다. 이 목록은 1960년대부터 2019년 8월 30일 까지 지난 60년간 한국에서 간행된 저서, 번역서, 학위논문 및 각종 논문집과 학술잡지에 게재된 왕양명의 생애와 사상 전반과 관련된 연구 성과 자료를 목록화 한 것입니다. 양명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분들은 물론 양명학에 관심 있는 독자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오탈자를 찾아서 바로잡아준 많은 동학과 후학들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아울러 상업성이 떨어지는 학술서를 개정판으로 출판 하기로 하고 정성어린 편집과 출판 작업을 진행해준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2019년 10월 1일
출판사 제공 책소개
왕양명과 함께 떠나는 돌봄과 공생의 길!
대학원 시절 "천지만물과 인간은 본래 한 몸이다"라는 왕양명의 외침에 이끌려 양명학을 통해 현대의 '생명 위기' 문제를 풀어보려는 저자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책으로 엮었다. 저자는 '생명 위기'의 해법을 양명학의 핵심 개념인 '양지(良知)'에서 찾는다. 왕양명이 말하는 인간의 마음 즉, 양지는 '인간이 천지만물과 감응하는 주체'이자 '천지만물의 생명 손상을 나의 아픔으로 느끼는 통각의 주체'이며, 생명 위기를 해결하는 첫걸음은 나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자연세계의 생명 손상을 나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는 양지를 회복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양지'에 관한 이와 같은 생명철학적 정의를 바탕으로 1장에서는 현대 문명의 생명 위기의 원인과 다양한 대응 방안들을 살펴보고, 이 책이 지향하는 양명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2장에서는 왕양명의 역동적이며 실천적인 삶의 전 과정과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생명철학의 수립 과정을 추적하였으며, 3장에서는 '천지만물일체설(天地萬物一體)'을 중심으로 '천지만물과 인간이 하나인 세계', '유기체적 대동사회', '천지만물의 중추적 인간' 등 왕양명 생명철학의 세계관과 사회관, 인간관을 총체적으로 조망하였다. 각론에 해당하는 4장에서 8장까지는 '심즉리설(心卽理說)',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양지설(良知說)', '치양지설(致良知說)', '친민설(親民說)' 등 왕양명의 주요한 학설들을 중심으로 양명학을 생명철학의 입장에서 새롭게 정립해 보았다. 마지막 9장에서부터 12장까지는 '왕양명의 생명철학과 현대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생명과 관련하여 현대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왕양명 생명철학의 역할 가능성과 의의를 모색해 보았다.
「2006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본도서는 이번 개정판에는 필자의 새로운 글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돌봄과 공생의 양명학」과 1960년대부터 2019년까지 지난 60년간 한국에서 간행된 저서, 번역서, 학위논문 및 각종 논문집과 학술잡지에 게재된 왕양명의 생애와 사상 전반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목록화한 「국내 왕양명 연구 문헌 목록」을 <부록>으로 새롭게 수록하였다.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