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01

Shari to Sejin on NVC applied to wider society

20160812 Shari

Hi Sejin,

Im smiling as I remember the sweetness of our connection at the NVC training - and wondering how you are going with connecting with your son in a new way?

You asked about NVC being used in the world in creating social change and peace, and I said I would come back to you.  I see this as a really important question as Im constantly asking, "how can I contribute to creating a world where there is care for all beings through our systems and structures" .   Of course, the contributions NVC has had often are not captured on video or recorded in an article, but are part of a dialogue… frequently unrecognised within a worldwide community… but still potent and having affect.  So here are a few of the examples of what is happening world wide in recent times (with people other than marshall) that I AM aware of.
---

1. There is for me such an inspirational documentary which was created in Nepal which was part of the reconciliation from the civil war.  There is a bigger program which has now flowed on from this documentary.  The link to that is… 
https://www.youtube.com/watch?v=RqA2OydkXgg&feature=youtu.be

2. This is an outline of what happened to bring a group of decision makers together to reform Minnesota’s child custody legislation.  Everyone believed reform had no possibility of happening to this legislation as there was such diverse perspectives and because people had become so hostile with each other.  This change affects thousands and thousands of families to create more peaceful families -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Miki Kashtan who headed this reform dialogue is an NVC certified trainer who developed systems based on using NVC as the basis of everything she does.  http://baynvc.org/minnesota-dialogues/

3. Dominic Barter has been engaged in Rio at a grass roots level, working in the favelas and directly with the police force there.  Here is an excerpt from an email he recently sent.  The work he has done there using NVC has reduced killings by large numbers by affecting systemic systems through creating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Sadly, government policy has now changed and much of the work is undone but still there were 100’s if not 1000’s of lives saved in the time it was working.  Here is his email…
----
In the next few days and weeks many of you will see news reports from Rio, and maybe wonder how this experience relates to the NVC work we do here. 

This article, published yesterday in the UK's Guardian newspaper, gives a good summary of the situation as it relates to the police. The article describes the very significant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controversial, significantly flawed but nonetheless transformative programme of Police Pacification Units in the city's favelas. From 2011 to 2014 I was 'orientor' of the mediation programme for the police in these units. This involved basic introductions to NVC for hundreds of police, but mostly it involved intensive accompaniment of them in their daily work as they patrolled communities and worked in their makeshift bases. It also involved supporting them in building different community relationships and creating what I call 'spaces safe for dialogue', with the systemic conditions necessary for offering mediation and conducting Restorative Circles.

The article also describes how the significant drops in death rates and the improvements in community relations were lost in the years since. I hope knowing of both the changes and their recent loss can help you in your work of illustrating the conditions that violence requires to grow and to diminish, and in exemplifying to those you teach how NVC is being used around the world. 

http://www.theguardian.com/global-development-professionals-network/2016/aug/03/rio-police-violent-killing-olympics-torture?CMP=Share_iOSApp_Other

Today and tomorrow you may see images from the official opening of the Olympic Games. You're unlikely to see the thousands who occupied Rio's most iconic music venue last night, or the many more who'll be demonstrating for a more humane response to unmet social needs throughout the day. Please keep such 'invisible' actions in your thoughts. 
----

Sejin, This is a small smattering of what I know and what I can quickly connect with to send you.  But without understanding and moving beyond our enemy images, I cannot see how any shift in peace can occur - and our inherited language won’t help us.

I will call you separately to explore attending the ENCT in October.  To check it out, http://embodyingnvc.com/.  

Blessings Sejin

Shari 

----

How did Rio's police become known as the most violent in the world?
Once in decline, killings by police in Rio de Janeiro are on the rise as the Olympic games approach
 A UPP (Pacifying Police Unit) officer patrols in the Babilonia favela, which stands on a hillside above Copacabana beach, an Olympic venue site. Photograph: Mario Tama/Getty Images
Robert Muggah
Wednesday 3 August 2016 21.09 AESTLast modified on Friday 26 August 201604.33 AEST

Are Rio de Janeiro’s military and civil police really the world’s most violent? That is the conclusion of separate studies released by Amnesty International and Human Rights Watchearlier this year. They are accusing Rio de Janeiro’s police forces of routinely torturing and killing citizens – especially young black men – during arrest. They also say the problem is getting much worse as the Olympics approach.
The scale of Rio de Janeiro’s military and civil police involvement in the excessive use of force is chilling. And it is hardly a new phenomenon. In 2003 they were responsible for 1,195 civilian deaths across Rio de Janeiro state, most of them young black men. In 2007, 1,330 citizens reportedly died in the course of police action. These numbers are breathtaking when you consider that in 2015, across the whole of the US (a country with a population more than 50% larger than Brazil’s) an estimated 1,134 people were killed by police.
But those numbers don’t tell the whole story. In fact, although the situation is dire, overall numbers of killings involving police – “auto-resistance deaths” in the sanitised language of law enforcement – have declined over the past decade. Between 2003 and 2015 they actually fell by 46% across the entire state of Rio de Janeiro, and 62% in the capital. In 2013, for example, there were just 416 civilians killed. This is not to excuse the police – violence is intolerably high – but to put the statistics in historical perspective.
So what explains the long-term drop in police killings? Researchers first detected sizeable improvements after 2009 in the wake of a new police strategy in Rio de Janeiro. Auto-resistance killings dropped bymore than 85% in areas where the approach was introduced. The initiative consisted of newly trained pacification police units who were permanently deployed to many parts of the city, often for the first time. A key ingredient of the programme’s early success was the emphasis on rewarding reductions in violent crime.
policeman with guns and residents
FacebookTwitterPinterest
 Residents appear unconcerned during a police operation against drug traffickers in the ‘pacified’ Jacarezinho slum in Rio de Janeiro, Brazil. Photograph: Felipe Dana/AP
Unfortunately, these improvements were short lived. Starting in 2014, the numbers started creeping up. In 2014 there were 584 people killed during the course of arrest; in 2015, the number rose again to 645. So far in 2016, this upward trend continues. From January to May, 322 civilians were killed as a result of police interventions in the state of Rio de Janeiro, a 13% increase over the same period last year according to the state’s Institute for Public Security.
A survey of Rio's military police officers found roughly 18% of respondents witnessed a homicide as a child
So what makes Rio de Janeiro’s police so violent? At least one reason is the officers’ personal exposure to violence, a taboo subject in law enforcement circles. A 2014 Stanford-University-led survey of Rio’s military police officers found that many experienced high levels of violence during childhood. Roughly 18% of respondents witnessed a homicide as a child. Another 25% were victims of a violent assault at a young age and 32% said they had a friend or family member murdered. It is widely known that previous exposure to violence can reproduce aggressive behaviour.
There are several other factors driving the recent spike in police violence. For one, the many political and economic crises wracking Brazil – and Rio de Janeiro in particular – are contributing to a spike in crime and significant reductions in spending in public security. The state’s public security budget was cut by more than 30% in 2016. As a result, innovative programmes – including UPP intervention – have ground to a halt. Police morale has plummeted,partly because they are rarely paid on time, if at all.
Police patrol on the Copacabana promenade in Rio de Janeiro.
FacebookTwitterPinterest
 Police patrol on the Copacabana promenade in Rio de Janeiro. Photograph: Nic Bothma/EPA
Another key turning can be traced back to mid-2013 following thetorture, disappearance and killing of a young man named Amarildo de Souza by police officers in Rocinha, the city’s largest favela. Thehighly publicised murder triggered a “Rocinha effect”, similar to the so-called Ferguson effect, or “viral video effect” in the US. There have been a string of flagrant incidents of police violence in Rio de Janeiro over the past few years, often caught on video. As evidence of abuses circulated in social media, officers became much less proactive in high-risk neighbourhoods. Local residents also became less inclined to report crimes or ask for police help, often taking justice into their own hands instead.

Rio de Janeiro: 'It's a deep injustice that gun violence is tolerated'
 
There is a real danger that Rio de Janeiro’s police resorting to the repressive tactics of the past. Brazilian police have a martial history. Before independence in 1822, law and order duties were the preserve of state-led armies. Reforms in the late 30s led to the creation of state-led police forces, though most retained their military culture. It was not until the creation of the 1988 constitution – Article 144 in particular – that military and civil police were subordinated to state governors.
It is easy to forget that before democracy in 1985 the military police served as the clenched fist of the Brazilian state. During the dictatorship, military police were regularly deployed to crush opposition and undertake clandestine operations, including targeted killings, disappearances and torture. Notwithstanding some reform, the legacy endures. The risk now is that with the crisis of policing in Rio de Janeiro, even the incremental gains could be lost.
Join our community of development professionals and

2016/08/28

영성교육기관-펜들힐(Pendle Hill)답사기 원불교신문

   
영성교육기관-펜들힐(Pendle Hill)답사기
신앙과 실천의 하나됨 위한 만남의 장
[1633호] 2012년 10월 12일 (금)김인정 작가 writerk@naver.com
  
▲ 펜들힐 안내표지판.
 
1985년에 개봉한 해리슨 포드 주연의 영화 위트니스(Witness)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랭커스터 지역의 아미쉬 마을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아미쉬 교도인 레이첼과 그의 아들이 우연히 살인현장의 목격자가 되어 쫓기게 되고, 이들을 돕던 형사 존(해리슨 포드)이 총상을 입고 이 마을로 들어와 세상 어디에서도 경험하지 못했던 정신적 평화를 만나고 사랑을 찾는다는 줄거리다.

영화 개봉 이후 '아미쉬 공동체'는 대중의 큰 관심을 받게 됐다. 검박한 생활의 상징인 검은 양복과 흰색 셔츠, 전기를 거부하고 자동차 대신 마차를 타고 다닐 만큼 현대문명과 거리를 둔 채 살아가는 신앙공동체가 물질문명의 총아인 미국사회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도 큰 이슈가 되었다.

아미쉬 마을에서 자동차로 두 시간 거리에는 세계적인 영성교육기관인 펜들힐(Pendle Hill)이 있다. 아미쉬교도들이 세상과의 거리를 둔 신앙공동체로 살아가는 것과는 달리 이곳 펜들힐은 미국의 흑인 노예 해방운동은 물론 여성운동과 평화 운동에 앞장서온 퀘이커 교도들의 영성학교다. 간디와 함석헌이 머물렀던 수행시설로 알려진 곳이다.

펜실베니아가 이처럼 다양한 영성문화의 산실이 된 데는 역사적 배경이 있다.

17세기 영국 교회는 외형적 성장의 그늘이 커지고 있었다. 권력자가 되어버린 성직자들은 타락했고, 교회는 부패했다. 방직공의 아들로 태어난 조지 폭스(George Fox, 1624-1691)는 참다운 신앙의 길을 고민하던 끝에 마침내 깨달음을 얻었다. 그는 구원과 저주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각 개인에게 달려있으며 기도를 통해 누구나 하나님과 만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개인의 영적성장을 중시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는 신앙은 '미신'으로 규정하며, 세상의 평등과 평화운동에 앞장섰다. 교회나 성직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 실천적 영성운동에는 엄청난 종교적 박해가 가해졌다.

그러던 중, 퀘이커 교도였던 윌리엄 펜(William Penn)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채권 대신 신대륙의 넓은 땅을 갖게 된다. 펜은 아버지 이름을 기념하기 위해 그 땅의 이름을 'Penn의 숲(sylvania)', 펜실베니아로 정하고,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는 제도를 마련한다. 영국 내에서 종교적 탄압의 대상이 되었던 아미쉬 교도들과 퀘이커들은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펜실베니아로 대거 이주를 했고, 곳곳에 공동체를 형성했다.

미국의 대공항기인 1931년에 퀘이커들은 교육과 기도를 위한 터전을 마련했는데, 퀘이커의 창시자 조지 폭스가 첫 깨달음을 얻었던 묵상 장소의 이름과 같은 '펜들힐'로 명명했다.

답사팀이 펜들힐 공동체에 도착한 시간은 점심 무렵이었다. 식사를 함께 하자는 안내자의 말에 공동체 식당을 향했다. 다른 수행시설들과 마찬가지로 유기농야채 위주의 음식이 뷔페식으로 준비되어 있었는데, 인상적인 것은 음식을 먹기에 앞서 자원봉사자가 오늘 자신이 준비한 음식에 대해 설명을 하는 대목이었다. 함께 먹고 일하고 기도하는 수행공동체의 독특한 분위기를 엿보는 듯 했다.

삼삼오오 테이블에 앉아 식사를 하는 이들 가운데 동양인 학생도 눈에 띄었다.

"계절 학기 프로그램을 신청해서 왔습니다. 자원봉사를 하면서 장학금을 받습니다."
독일에서 대안교육을 전공한 어머니의 소개로 이곳을 찾았다는 한국인 고등학생이었다.
  
▲ 펜들힐 프로그램.
 
펜들힐에는 불교명상이나 기 치료, 마사지 등 다양한 주말 워크숍과 학기제로 운영되는 레지던스 프로그램(Residence Program)이 있다. 신학이나 명상 강좌만이 아니라 사진이나 글쓰기 등 인문학과 예술 강좌도 마련된다. 자원봉사를 통한 장학제도 등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강좌 참여가 가능하다. 최소 3개월 전에는 신청서를 내야 계절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고 한다.

강의 내용에 따라서 집중적인 워크샵을 하기도 하는데 직접 농사를 지으며 배우는 유기농법 강의, 폭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평화 커뮤니케이션 훈련 'AVP(Alternative to Violence Project)훈련 강좌', 문화적, 인종적 다양성을 배우는 Beyond Deversity101 강좌 등 이 시대가 직면한 문제들을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눈에 띈다.

영국교회가 내면적 위기에 직면했을 때, 성경을 다시 보고 예수의 실천을 닮아가자는 영성운동을 펼쳤던 퀘이커들이 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영성운동을 펼치는 방식을 '교육'에서 찾은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강좌를 듣는 이들은 고등학생에서 칠십대를 넘긴 고령 은퇴자들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매일 아침과 저녁, 나무의자가 있는 조용한 기도실에 모여 기도를 올리고, 자신이 겪은 영적인 변화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눈다. 형식도, 지도자도 따로 없지만 내면에 충실한 기도와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
  
▲ 펜들힐 도서관.
 
펜들힐의 전문강좌를 듣는 이들이 큰 혜택으로 여기는 것이 또 하나 있다. 바로 옆에 있는 스와스 모어 대학(Swarthmore College)의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퀘이커가 설립한 스와스 모어 대학은 3천명 남짓의 적은 학생수, 하지만 학생 8명에 교수가 1명꼴로 소수정예교육을 해나가는 미국 최고의 인문학 대학이다. 설립 초기부터 미국 최초의 남녀공학대학이라는 파격적 출발을 했고, 전 세계에서 학생 1인당 재정이 가장 많은 학교로 꼽힌다. 실제 스와스 모어가 일년 동안 학생 한명을 교육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비용은 8만 달러(약 한화 1억 원) 이상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학생수는 적지만 학교 도서관에는 100만권이상의 장서가 있고, 철저한 토론식 수업, 가장 글을 많이 쓰게 하는 교육 등으로 스와스 모어를 졸업하면 글을 잘 쓰는 전문가가 되어 대학원 진학은 물론 전문직 취업이 보장된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때문에 이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 가운데는 하버드대학 등 아이비리그 대학에 동시에 합격해놓고도 스와스 모어를 선택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펜들힐과 스와스 모어 대학은 시설뿐 아니라 프로그램들을 공유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얻어왔다고 한다. 수행과 교육이라는 숙제를 풀어갈 국제마음훈련원과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의 모델이 될 법도 하다.

펜들힐 공동체의 운영을 맡았던 사회학박사 파커 팔머는 80년이 넘는 펜들힐 공동체의 목표를 한마디로 말하라면 '용서를 위한 끊임없는 교육과 실천'이라 했다. 신앙과 실천을 하나라고 생각하는 퀘이커 신앙을 압축하는 말이다. 또한 펜들힐은 그러한 교육과 실천을 위한 의미 있는 만남의 장이라고 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한 시대와 다음 시대가 만나는 것이다.

개교 100년을 앞두고 수행과 생활이 하나임을 알아가는 삼학(三學)수행의 새 배움터, 국제마음훈련원이 마련되고 있다. 펜들힐의 80년처럼 차분하게 배우고, 흔들림 없이 실천하는 교육과 수행의 새 역사가 시작될 것을 기대한다.

2012 - 은호기/함석헌은 누구인가

자료실 - 은호기/함석헌은 누구인가

은호기/함석헌은 누구인가

http://www.hanism.org/han/7012013.01.24 14:40:53 63453143

함석헌, 누구인가? -그의 삶과 씨사상

은호기 <미국·시사평론>


=====

함석헌의 삶과 한국현대사 100년

함석헌은 1901년에 태어나 1989년, 89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삶 90여년은, 실패의 연속이었고, 고난의 역사이었던 한국현대사 100년에 그대로 포개진다. 조선조의 멸망, 일본의 식민지, 해방, 외국점령군의 통치, 분단, 동족상잔, 분단체제의 국제화, 분단독재. 이 모순과 고난의 역사를 함석헌은 온몸으로 안고, 부딪치며 살아왔다. 힘들고 거친 세월이었다. 이 역사의 고비마다에서 그는 자신을 무섭도록 단련하고 확인해왔다. 넓게 공부하고, 깊게 생각하면서도, 흰 수염 휘날리는 겉모습과는 달리 꾸밈없는 들사람의 모습으로 계산 없이 대들며, 부딪치며 살았다. 그 고비, 고비마다에서 그의 삶은 여러 모습으로 세상에 각인되었으니, 교육자, 종교인, 사상가, 언론인, 시인 등의 호칭을 얻게 되었으며, 감옥을 마다하지 않은 그의 올곧음은 민족운동가, 민주화운동가의 자리매김을 확실히 하였다. 이는 그 자신이 뜻한 바나 원한 바가 아니었다. 순전히 사회가 만들어 불러준, 호칭들이다. 지난 100년의 역사에서 이토록 가열차게 산, 실천적 지성인이 몇이나 될까? 많이 배우고, 경지를 이룬 분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거개가 시대의 권력에 구부러지거나 꺾여 살았다. 자기이기를 포기한 삶. 우리의 슬픈 역사다. 함석헌의 삶이 돋보이는 까닭이기도 하다.

그러면 무엇이, 무슨 생각이 그를 그토록 치열하게 살게 하였을까? 차분히 그의 삶을 살펴보면, 한 낱말이 그의 삶을 관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씨. 그렇다, 씨이다. 씨의 존재를 확인하고, 씨을 억압하는 무리나 장치를 뚫고 나아가 온전히 되어지려는 뜻의 역동이었다. 그렇기에 시대의 모순과 고난은 오히려 씨에게는 도전과 축복이었으며, 하나님과 소통하고 한 몸이 되려는 사랑과 희망이었다.


함석헌의 씨

씨이란 무엇인가? 민(民)을 말한다. 민초(民草), 풀뿌리 삶을 말한다. Grass root다. 인민을 뜻한다. People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인민대중의 민중을 뜻한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씨의 값에 적확(的確)하진 않다. 함석헌의 씨은 이미 보통명사의 의미를 넘어 함석헌 사상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으며, 함석헌 사상의 대표어이기 때문이다.

씨알이란 말은 전혀 새로울 게 없다. 민초들이 흔하게 쓰는 말이다. 씨알이란 종자를 일컫는다. 내일의 농사를 위해서 끝까지 남겨두어야 하는 밑천이다. 구태여 떼어 설명하자면, 씨는 식물의 종자요, 알은 동물의 모체이다. 그러니까 씨알은 만물의 근원이며, 시작이랄 수도 있다.

이 씨알이란 말을 사회학적으로 처음 쓴 분이 함석헌의 스승 유영모이었다 한다. 동양 고전에 나오는 민(民)을 씨알로 번역, 해석한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함석헌의 씨은 유영모의 씨알과는 차원을 달리하고 있다. 민(民)의 번역어를 뛰어넘는다. 달리 말하면, 함석헌은 평생을 씨이라는 말과 씨름하면서 살았다. 그 의미를 따지고 내용을 정리하는 데 온 힘을 기우렸다. 따라서 씨이라는 말에는 함석헌의 모든 것이 담겨있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씨은 함석헌 사상의 출발이며, 과정이며, 목표이다. 함석헌의 전부이다. 그러기에 《씨의 소리》사 편집진과 함석헌 연구가들은 ‘씨알’ 아닌 ‘씨’로 쓸 것을 주문하며, 의 ‘ㅇ'은 초월적인 하늘을, 'ㆍ'은 내재적인 하늘 즉 자아를, 'ㄹ'은 활동하는 생명의 의미임을 강조한다.

씨과 종교

함석헌은 기독교인이다. 자신의 말마따나 “하나님의 발길에 차여서”일까, 별난 기독교인이다.

그는 동경 유학시절, 김교신, 송두용, 정상훈 등과 함께 우치무라 간지(內村鑑三)가 지도하는 무교회(無敎會)주의 성서연구모임에 참여, 공부하였다. 후에 무교회주의를 내건 <조선성서연구회>를 만들었으며, 김교신 주도로 《성서조선》을 창간하였다. 무교회주의란 말 그대로 성직이나 조직을 거부하는 신앙이다. 종교란 ‘하나님의 뜻을 알려는, 그 뜻을 찾아가는 씨의 몸부림이며, 버릇’이다. 따라서 씨은 종교의 주체이며, 하나님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다. 그 사이엔 아무 것도 끼어들 틈이 없으며, 끼어든다는 것은 오히려 하나님과의 거리를 멀게 할뿐더러 신앙을 오도할 염려 때문일 터이다.

함석헌은 1961년, 오철, 이행우 등과 함께 한국퀘이커 모임을 만듦으로써 퀘이커인이 된다. 퀘이커교는 성직도 설교도 없다. 명상과 토론 중심의 모임이다. 그럼에도 영국, 미국 퀘이커는 세계평화에 많은 노력을 기우려왔으며, 그 공헌을 인정받아 1947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퀘이커는 남북의 화해문제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다.) 함석헌이 노벨평화상 후보에 두 차례나 올랐던 것도 미국퀘이커의 추천에 의해서였다.

종교는 곧 ‘생명의 버릇’이라는 그의 정의는 모든 종교에 적용된다. 그러기에 함석헌은 불교도 노장사상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노불(老佛)사상을 억지로 기독교성서적으로 해석하려들지도 않을뿐더러 기독교성서를 노불사상으로 해석하려 하지도 않는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교섭과 조화, 즉 인류평화의 근간으로 삼고자 한다. 생명의 근본원리를 ‘고(苦)’라 한 점이나 억지로 꾸며 해서는 안 된다는 ‘무위’(無爲)사상의 강조는 그의 이해의 폭과 깊이를 말해준다 하겠다.

함석헌은 동경 유학시절부터 과학의 가치를 받아들였다. 발전된 과학을 인정하지 않고 배척하면 ‘낡은 종교’로 떨어지게 된다며 과학을 수용하고 소화하는 것이야 말로 신앙의 성장이라 주장하였다. 그에게는 과학과 종교가 적대적이고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다. ‘사물’의 세계인 과학과 ‘의미’의 세계인 종교가 구분되긴 하지만 다같이 씨의 되려는 움직임이라는 것이다. 이 점에서 그는 진화론을 인정하고 있으며, 창조론과 대립시키지 않는다. 진화론을 인정하되 그 과정과 뜻은 하나님에게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현상을 무한히 끝없는 변천과정”으로 본다는 점에서 과정철학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끝으로, 함석헌의 종교이해는 인류공통체에 가 닿고 있다. 씨은 모두 같으며, 그 씨들의 몸부림이 곧 종교일진데 가는 길이 인류공동체인 것은 당연하다. 어느 한 종교나 국가가 만들어가는 공동체가 아니라 씨의 어우러짐이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도 평화적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함석헌을 세계주의자, 평화주의자로 보는 까닭이다.


뜻으로 본 역사

함석헌은 식민지 때 오산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면서 조선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정리, 《성서조선》(발행인 김교신)에 연재하였다. 해방 후, 이를 단행본으로 엮어낸 것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1950, 서울)이다.

일본은 조선의 식민지배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기 위하여 ‘새롭고,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상’을 들이밀었다. 이 새롭고,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조는 문학, 예술, 학문 등의 모든 분야에서 바람을 일으켰다. 이 과학적인 분석에 의해 조선의 모든 것은 헛것이 되었고, 미신으로 배척되었다. 역사도 마찬가지였다. 과학적인 실증사학(實證史學)에 의해 이제까지의 조선역사는 서당훈장의 고리타분한 이야기로 전락되었다. ‘실증 없는 역사는 역사가 아니다’라는 과학적인 접근법에 의해 5천년의 조선역사는 2천년 역사로 쪼그라들었고, 스스로 국가를 경영할 수없는 형편없는 민족으로 규정되었다. 생존경쟁에서 강한자만이 살아남듯이 국제사회에서도 강한 민족(국가)이 약한 민족(국가)을 지배, 보호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사회진화론을 내밀었다. 그럴까? 우리도 우리 역사를 다시 쓰기 시작했다. 위대한 역사적 인물들을 내세워 우리 역사의 위대함을 증명하려 했고 (영웅사관), 광활한 땅에서 웅혼(雄渾)한 역사를 펼쳤던 상고사를 강조하기도 했다.

함석헌의 생각은 좀 달랐다. 그는 처음부터 조선역사를 “고난의 역사”로 규정하였으며, 고난의 역사에는 분명 ‘뜻’이 있을 것이라며 그 뜻을 “믿는 자의 의지와 나라에 대한 사랑과 과학적이려는 양심”을 가지고 해석해 본 역사가 바로 이 역사서다. “사실(史實)의 역사, 기술의 역사, 연구의 역사”는 역사가에게 맡긴다면서 “역사가 이렇게 흐르게 하는 밑의 정신, 뜻”을 밝히려 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역사서는 전혀 색달라서 분노와 힘을 솟구치게 하지만, 비판이 따르기도 한다.

함석헌은 이 역사서를 쓸 당시에는 그 ‘뜻’을 하나님의 말씀에 국한하였다. 그래서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였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 씨사상이 발전하면서 기독교의 울타리를 뛰어넘는다. “종교는 생명의 버릇”이며, “정신의 숨쉼이 곧 종교”라는 깨달음에서 “모든 종교는 하나”라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그 ‘뜻’이 기독교 하나님의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종교의 것일 수도 있다는, 넓어진 시각에서 『‘뜻’으로 본 한국역사』로 바뀌었고, 내용도 이에 따라 손질되었다.


함석헌의 우리말 사랑과 언론

함석헌은 1958년 여름, 《사상계》 8월호에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를 기고한다. 막바지로 치닫고 있던 이승만 독재정권에 들이댄 칼날이었다. 이 글 한 편으로 그는 당장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실로 오랜만에 침묵을 깬 것이다. 북조선의 해방공간에서 새나라 교육의 꿈을 안고 평안북도자치위원회 문교부장의 일을 맡았으나 신의주학생사건(반소, 반공항쟁, 1945. 11.)의 배후로 지목되어 소련군 당국에 체포, 구금되었다가 풀려나자 월남(1947. 2.)한 그는, 초야(草野)에 묻혀 손수 농사를 지으며 있는듯없는듯 살아온 터였다. 그러나 그 글 때문에 그는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반공법 위반. 서대문형무소는 그가 일제당국에 의해 감옥살이를 했던 곳, 그곳에 ‘해방된 우리의 정부’에 의해 다시 투옥되었으니. 이를 계기로《사상계》와의 관계는 깊어졌다. 발행인 장준하의 튼실한 버팀목이었다. 장준하가 머뭇거릴 때면 그가 먼저 치고 나갔다. <5.16을 어떻게 볼 것인가> (《사상계》 1961. 7.), 소위 ‘5.16군사혁명’을 맨처음 비판한 이도 함석헌이었다. 두려울 게 없었다. 그는 한낱 씨이었으니까. 군사정부와의 모질고 기나긴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체포, 구금, 재판의 연속이었다. 함석헌의 팔자가 사나운 것일까, 역사가 미쳐 지랄을 한 것일까? 일제식민지 때에도 감옥살이, 해방된 북조선에서도 감방살이, ‘자유 대한’ 남한에서도 감옥살이.

조선 식민지 통치에 앞장섰던 일본군장교 출신 박정희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싸운 광복군 출신 장준하를 파멸시킨다. 《사상계》는 강제 폐간되었다. 그나마 말길이 막혔다. 함석헌이 나섰다. 1970년,《씨의 소리》를 창간, 온갖 시련을 이겨내고 지금껏 이어지고 있다.

지치지 않고 강연을 하며 글을 썼고, 잡지를 창간, 운영했음에도 그는 언론인 체하지 안했다. 시집을 냈어도 시인이 아니었고, 종교인이면서도 성직을 부정하였다. 사상가이면서도 대학 강단에 서질 안했다. 그가 꼿꼿이, 당당하게 자기를 내세우며 섰던 곳은 오직 재판정뿐이었다.

함석헌은 민중(씨)의 말투와 말씨에 철저하였다. 글도 순 한글로, 말하듯 썼다. 《사상계》에 처음 실렸던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도 구어체의 순 한글로 쓰였다. 이른바 지식인 잡지로 평가 받았던 《사상계》는 물론이려니와 일간신문조차도 사회면을 빼고는 온통 한문투성이의 글로 메우던 그 때에 순 한글로 말하듯 글을 썼으니 그것만으로도 충격이었다. (함석헌의 이 글은 《월간조선》(2000. 7.)이 선정한 <한국의 명문>에 들었다.) 이 역시 씨의 확인이요, 씨과 함께하려는 노력이었다.


함석헌 삶의 참값

한국현대사에서 함석헌만큼 동서양의 종교, 사상을 폭넓게 안으면서 여러 분야를 아우르고 있는 지성인도 흔치 않다. 기독교인이면서도 불교와 노장사상을 받아들이고, 종교와 과학의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고 있다. 과학으로서 진화론을 수용하고, 하나님의 존재를 중심에 두면서도 과정철학적 접근을 허용한다. 한마디로 규정하고 특정지울 수 없는, ‘근대 백년 논쟁의 인물’ (<교수신문>2010. 4.)이다.

그럼에도 그의 삶의 참값은 실천적 삶에 더 있다. 그렇다, 실천적 삶, 행(行)이다. 공부하고 생각하면서 다지는 것도 값있는 일이지만, 보다 값진 일, 누구나 할 수 없는 가치는 행(行)에 있다. 배우되 생각하지 않으면 어둡고, 생각만하고 공부하지 않으면 위태롭다(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공자)했거니와 이에 더해 행이 따라야 한다. 행(行)이 따르지 않는 학(學), 사(思)는 씨을 밀어내고 억압하는 도구로 떨어진다는 사실(史實)을 역사는 누누이 밝히고 있다. 학과 사는 행을 전제하며, 행을 거쳐서만이 학과 사가 더 튼튼해지고 힘을 얻게 될 터이다. 행은 다른 말로 하면 부딪침이다. 세월 좋을 때, 과연 역사에서 세월 좋은 때가 얼마나 있었을까, 만은 그 세월과 함께 쫄랑대고 나대는 것이 실천이 아니다. 어렵고 힘들 때, 어렵고 힘들게 만드는 무리들과 그들이 만들어 논 장치에 대드는 것, 참 실천이다. 일제에 대들고, 외군통치에 대들고, 독재체제에 대들었던 것이 참실천이다. 따지고 보면, 역사적 성과를 늘 지배층의 공으로 둔갑시키고 있지만, 실은 씨이 대든 역사 아니던가?

당연히 함석헌은 평생을 들사람[野人]으로 살았다. 시대와 타협하고 상황에 그럴듯하게 부합하지 않았다. 뒤집어서 말하면, 그가 살았던 시대와 상황은 그로서는 도저히 타협하고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 사실, 그는 일제의 엘리트 교육을 받았던, 당시로는 드믄 인재였다. 그가 다녔던 평양고보(제2고보)는, 경성고보(제1고보), 대구고보(제3고보), 함흥고보(제4고보), 전주고보(제5고보) 등 일제가 각도에 세웠던 엘리트 식민교육기관이었으며, 동경고등사범학교 역시 일본에서도 손꼽이는 대학이었다. 그렇지만 식민교육기관을 통해서 새로운 학문을 받아들이고 세계를 넓혀갔을지언정 그는 일제의 식민교육목적을 거부하였다. 이미 평양고보 3학년 때 3.1운동에 참여함으로써 퇴학을 당하였음은 물론 일본인 교장이 제시한 복교조건(반성문)을 단호히 거부한 데서 그의 결기를 읽을 수 있다. 해방 후에도 일제하의 학벌과 경력이 그대로 힘을 발휘했음에도 이를 거부하고 야인의 길을 고집하였다. 그의 학력이 세상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까닭이기도 하다.

함석헌, 그는 진정 씨, 그 자체였다. 씨인 그는 언제나 씨과 함께였으며, 씨의 되어짐에 온 정신과 마음과 몸을 쏟아 부었다. 그리고 이승을 떠났다. 그의 허연 수염, 흰 두루마기는 씨의 다짐이었으며, 끊임없는 자기확인에 다름 아니었다. (*)



*이글은 <LA사람사는세상>이 마련한 <함석헌탄신111주년기념강연회>(로스앤젤레스, 2012. 3. 9.) 강연원고이다. 소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인용주는 생략하였다.





엮인글 주소 : http://www.hanism.org/han/701/c71/trackback

Movement for a New Society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ovement for a New Society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ovement for a New Societ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Movement for a New Society (MNS) was a U.S.-based network of social activist collectives, committed to the principles of nonviolence, who played a key role in social movements of the 1970s and 80s.
According to a description from the MNS publication, Building Social Change Communities (1979),
Movement for a New Society (MNS) is a nationwide network of groups working for fundamental social change through nonviolent action. Together we are developing an analysis of present-day society; a vision of a decentralized, democratic and caring social order; a nonviolent revolutionary strategy; and a program based on changed values and changed lives.

History[edit]

The precursor to the MNS was A Quaker Action Group (AQAG), founded by Lawrence Scott in 1966. Dissatisfied with the response of the mainstream Quaker church to the United States involvement in theVietnam War, Scott founded AQAG with the intention of sparking a renewed commitment to the Quaker Peace Testimony.
Frustrated by their failure to achieve this end, AQAG members including Scott and Quaker George Willoughby, refashioned the group as the Movement for A New Society in 1971. Other founding members included Bill MoyerGeorge Lakey and Lillian Willoughby.
The members of MNS consciously sought to develop tools and strategies that could be employed to bring about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nonviolent means. The three-part focus of MNS included training for activists, nonviolent direct action and community. The main location for MNS activity was in West Philadelphia. Other locations included Boston, Minneapolis, Seattle, Tucson, Western Massachusetts, and more.
During the 1970s and early 1980s Philadelphia was the base for weekend, two-week and nine-month programs that trained US and international activists in direct action organizing, group process, consensus decision-making, liberation/oppression issues and more. Activist training also happened in other locations and through traveling trainers programs.
MNS did not focus its energies exclusively on one issue or injustice. Its members were involved in working for social change on many fronts, most notably in the movement to end U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and during the citizen-led opposition to the expansion of the US nuclear industry in the mid to late ‘70s. MNS members were also active in the anti-nuclear weapons movement, the Pledge of Resistance (anti-US intervention in Central America), feminism, GLBTQ, community organizing, and food/worker cooperatives.
MNS was unusual in combining feminist group process, broad analysis of interrelated people's struggles including class and culture, and personal empowerment techniques ranging from music and street theater as political organizing tools to Re-Evaluation Counseling. With their group process skills, MNS members often played roles of facilitating meetings and training peacekeepers for large protests. Several MNS techniques, including small-to-large-group consensus decision making, an action structure based on affinity groups, and the idea that proper training was key to successful actions, were widely adopted by several social change movements, starting with theClamshell Alliance occupation of the Seabrook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site, continuing through the network of affinity-group-based alliances that took direct action for safe energy nationwide and worldwide, and also influencing later movements such as the 1999World Trade Organization protests in Seattle and the Occupy movement of 2011-2012. Gene Sharp, a theoretician of nonviolence with ties to MNS, was a major influence in social justice movemen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nonviolent liberation of South Africa and the Arab Spr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important to MNS members and many lived in cooperative households, practiced Revaluation Co-counseling, and went through waves of exploring issues of race, clas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Learning from these experiences informed the training for activists. In Philadelphia many MNS members lived in cooperative houses loosely networked as the Life Center Association. Initially several buildings in Philadelphia were land trusted to serve as training centers and an organizational office and, as class consciousness grew, a number of cooperative houses were transferred to the land trust from private ownership. The land trsut was incorporated as a non-profit Life Center Association[1] and survives to this day.
Through the cooperatively owned and managed New Society Publishers, MNS members published numerous pamphlets and books providing practical advice on working for social change, as well as republishing important works on non-violence (e.g. We Are All Part of One Another a Barbara Deming Reader in 1984[2]). The publications of NSP, most notably the cooperatively authored Resource Manual for a Living Revolution (known affectionately within movement circles as the “monster manual”) were a primary source of inspiration and guidance for citizens across the United States as opposition to nuclear expansion grew, and influenced movements as far afield as the Tasmanian Wilderness Society’s campaign to prevent the damming of the Franklin River. NSP also published Marshall Rosenberg's Handbook on Nonviolent Communication which became the basis for Rosenberg's work with the Center for Nonviolent Communication.
After several years of decline, MNS was dissolved by its members in 1988. Other social change organizations declined and/or folded during this time. During harder economic times for activists during the years of the Reagan presidency, many moved from being active members of revolutionary organizations such as MNS to more mainstream organizations or to college and graduate school. Internal issues included its inability to achieve its objective of becoming multi-cultural, the lack of unifying focus for its activism, and the decline of the training programs in Philadelphia as many skilled trainers moved away. It could also be argued that MNS had achieved its primary goal of making Gandhian style non-violent action a primary method that American social change activists use to effect change.

Legacy[edit]

New Society Publishers, now based in British Columbia, continues to publish social-change related titles, with an increased emphasis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Douglas & McIntyrebought New Society Publishers in 2008. It was repurchased by the original Canadian New Society publishing group in 2013.
In 1995, members of the New Society Publishers Philadelphia office started a website, Nonviolence.org, which continues to publish resources, inspiration and analysis. Until his death in October, 2002, Bill Moyer continued to teach his influential eight-stage model for social change movements, the Movement Action Plan, to activists around the US and around the world. George Lakey, as founder of the Philadelphia-based Training for Change organisation, continued to promotenonviolence as a powerful technique for resisting injustice, along with other MNS members Betsy Raasch-Gilman and Erika Thorne. Other former MNS members (Felice Yeskel, Chuck Collins, Betsy Leondar-Wright, Jerry Koch-Gonzalez, Anne Slepian Ellinger, Christopher Mogil Ellinger) were key in founding and sustaining organizations focused on class issues, such as United for a Fair Economy, Class Action, Bolder Giving, and the Program on Inequality and the Common Good. Other MNS alumni have taken leadership in creating a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ocially conscious business culture, including Shel Horowitz, Herb Ettel, and D. Dina Friedman.

References[edit]

Further reading[edit]

  • Cornell, Andrew (2011). Oppose and Propose: Lessons from Movement for a New SocietyAK PressISBN 978-1-84935-066-2
  • Coover, Virginia ... [et al.] (1985). Resource Manual for a Living Revolution. Philadelphia, PA : New Society Publishers. ISBN 0-86571-015-5

External links[edit]

Grassroots and Nonprofit Leadership: A Guide for Organizations in Changing Times: Berit Lakey, George Lakey, Rod Napier, Janice Robinson: 9781329936850: Amazon.com: Books

Grassroots and Nonprofit Leadership: A Guide for Organizations in Changing Times: Berit Lakey, George Lakey, Rod Napier, Janice Robinson: 9781329936850: Amazon.com: Books

George Lakey | Training for Change

George Lakey | Training for Change

George Lakey, 76, was co-founder of Training for Change with Barbara Smith, and directed the group for 15 years before retiring.  He has led 1,500 workshops on five continents, taught peace studies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authored seven books on nonviolent social change, peace,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Here he was photographed in 2013 while being arrested while occupying PNC Bank to protest its funding of mountaintop removal coal mining in Appalachia.
He has led activist organizations on local, stat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His first time arrested wa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nineteen-sixties.  During the Vietnam War he sailed into the war zone on a Quaker peace ship, to deliver medicines for suffering Vietnamese and protest the war.  More recently he was part of the first team of Peace Brigades International giving protective accompaniment in Sri Lanka to human rights activists threatened with assassination.
Lakey's most recent books are Facilitating Learning Groups and Moving toward a Living Revolution. Other books include Powerful Peacemaking and Grassroots and Nonprofit Leadership: A Guide for Organizations in Changing Times.  His first book, A Manual for Direct Action, was a handbook for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60s.  In 2003 he co-authored the most extensively researched train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ivilian peacekeeping: Opening Space for Democracy (634 pp., seewww.TrainingforChange.org).  He writes a regular column for the on-line blog, WagingNonviolence.org.
He is visiting professor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at Swarthmore College, 2006- .  He has taught peace studies at Haverford College, Templ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 addition to giving lectures and leading seminars at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His training work took him illegally to a guerrilla encampment in the jungles of Burma, to the coal mine fields of West Virginia to prepare miners nonviolently for the Pittston Strike, most hard-fought coal strike in recent history, and to Cambodia within hearing range of Khmer Rouge fighting.   He led peacekeeping workshops in South Africa in the midst of pre-election violence in that country.  
On ten training trips to Thailand (1989-1998) he worked with pro-democracy students, environmentalists, Buddhist monks, labor organizers, and feminist organizers.  Also in the 1990s he made repeated trips to the former Soviet Union to train a network of consultants and trainers for civil society.
He's led strategy workshops for labor, neighborhood, and community organizers in Taiwan and student organizers in the United Kingdom.  For the United Nations Institute for Training and Research (UNITAR) in Switzerland he trained indigenous leaders in nonviolent strategy, and also worked with the Mohawk Nation near Montreal, Canada on peacekeeping techniques. 
He was a presenter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nviolence training (Perugia, Italy, 1965) and more recently trained young adult leaders from several Balkans countries at a program sponsored by the University of Bologna, Italy.
E-mail him at GeorgeLakey@yahoo.com

비폭력직접행동 - 비폭력직접행동국제전문활동가겸 훈련가 조지 레이키 방문-사진

비폭력직접행동 - 비폭력직접행동국제전문활동가겸 훈련가 조지 레이키 방문-사진

2008.05.05 08



우로부터  Daniel Hunter, George Lakey, 박성준 선생, 이행우 선생,  박성용 선생


2008.4.26. 길담서원에서
====================
George Lakey: 국제적으로 저명한 비폭력 직접행동 훈련가겸 활동가, 퀘이커

- 베트남전 반대 평화운동이후 5개 대륙에 걸쳐 대학과 시민사회에서 1500회 이상의 강연, 650곳의 워크숍, 60여 곳의 국제적인 훈련을 위해 여행. 
-정의, 평화, 환경, 민주주의를 위한 활동가 훈련 전문기관인 Trainging for Change의 설립자
-저서: Powerful PeacemakingGrassroots and Nonprofit Leadership: A Guide for Organizations in Changing TimesOpening Space for Democracy  
- 첫 저서인 A Manual for Direct Action은 60년대 시민운동의 유명한 경전이 되었음.
- 현재 Swarthmore College의 방문교수로서 평화와 사회변화를 가르침.
=====================
Daniel Hunter: 비폭력 직접행동 전문 훈련가

- Training for Change 소장 역임
- 현재 Philadelphia Casino Free movement 담당자
- Opening Space for Democracy 공동저자
==================

이행우 선생: 해외 평화통일 원로/ NAKA 의장/ 퀘이커
- 종교친우봉사회(AFSC) 이사로서 존 페퍼등을 통해 한국에 갈등해결 프로그램 연결(90년말 2000년초)
- 통일운동 3자연대 미주 대표로서 그리고 AFSC대표로서 60년대부터 북한 30여차례 방문, 해외국제기구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에 농장지원. 
-함석헌 선생의 제자
- 퀘이커 훈련센터인 펜들힐(Pendlehill)의 이사
- 미국에서 한국문제를 위한 친한국 의원들을 조직하여 한국문제를 위한 모임과 포럼 진행
=======================

박성준 선생: 퀘이커, 비폭력 평화물결 공동대표, 길담서원 대표

박성용 선생: 비폭력평화물결 공동대표, 비폭력훈련 훈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