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Show all posts

2021/07/18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To Know as We Are Known: Education as a Spiritual Journey: Palmer, Parker J

To Know as We Are Known: Education as a Spiritual Journey: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To Know as We Are Known: Education as a Spiritual Journey Paperback – May 28, 1993
by Parker J. Palmer  (Author)
4.6 out of 5 stars    139 ratings

130 pages

This primer on authentic education explores how mind and heart can work together in the learning process. Moving beyond the bankruptcy of our current model of education, Parker Palmer finds the soul of education through a lifelong cultivation of the wisdom each of us possesses and can share to benefit others.


Editorial Reviews
Review
"A phenomenon in higher education."-- "The New York Times""An eye-opening critique of contemporary approaches . . . shows in concrete forms how to be a teacher and learner in the search for truth." -- Henri J. M. Nouwen"Palmer's book will engage anyone who's involved in teaching and learning either in secular or religious institutions . . . it compels us to underline and reflect at nearly every sentence and paragraph . . . it unfolds how exciting and joyful the search for knowledge is when guided by heart-seeking teachers." -- James Sparks,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Without a doubt the most inspiring book on education I have read in a long time." -- John H. Westerhoff III, Duke University
From the Publisher
A spirituality of education that challenges teachers to move beyond conventional idea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to develop vital new teaching methods incorporating insights from traditional contemplative wisdom.
About the Author
Parker J. Palmer, a popular speaker and educator, is also the author of The Active Life. He received the 1993 award for "Outstanding Service to Higher Education" from the Council of Independent Colleges.

Excerpt. © Reprint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Chapter One

Knowing Is Loving


The Violence of Our Knowledge

I have felt it myself. The glitter of nuclear weapons. It is irresistible if you come to them as a scientist. To feel it's there in your hands--to release the energy that fuels the stars. To let it do your bidding. To perform these miracles--to lift a million tons of rock into the sky. It is something that gives people an illusion of illimitable power and it is, in some ways, responsible for all our troubles, I would say--this what you might call technical arrogance that overcomes people when they see what they can do with their minds.1


These words were spoken by a celebrated physicist in The Day after Trinity, a film documentary about the team of American scientists who produced the first atomic bomb. "Trinity" was the ironic code name for that original explosion, and only on "the day after" did the scientists stop to analyze and agonize over the outcomes of their work.

The film is filled with images of horror. For me, the most horrifying is not that mushroom shape that appears in our dreams and lurks just over our waking horizon. Instead, it is the image of intelligent and educated people--the most intelligent and the best educated our society has produced-devoting themselves so enthusiastically to such demonic ends. They appear in the film as people possessed by a power beyond their control-not the power of the government that summoned their services, but the power of their knowledge itself. One scientist interviewed in the film reveals that "prior to the shot, back in the lab, there had been some speculation that it might be possible to explode the atmosphere--in which case the world disappears."2 But the "experiment" went on as scheduled, the irresistible outcome of the knowledge that made it possible.

Watching this film, reliving that history, I saw how our knowledge can carry us toward ends we want to renounce--but we renounce them only on "the day after." I understood then what Jonathan Schell says in The Fate of the Earth: "It is fundamental to the shape and character of the nuclear predicament that its origins lie in scientific knowledge rather than in social circumstances."3 I understood, too, what Robert Oppenheimer meant in his post-Hiroshima pronouncement, "The physicists have known sin."

We need images of hope to counteract our horror, knowledge of grace to counteract our knowledge of sin. That is what I want to offer in this book by describing a way of knowing and educating that might heal rather than wound us and our world. But in my spiritual life I have learned that hope and grace do not come cheap. They require honest self-scrutiny first, and then confession, an offering up of our own inner darkness to the source of forgiveness and transformation.

I am not a nuclear physicist, and I have never participated in a project with such vast implications as "Trinity," but I identify with those scientists. Their story is my story too, and when I am tempted to sit in judgment on them I am only evading the judgment that falls upon me. I value their confession of sin on a large scale because it helps me make my own confession of smaller but similar sins.

For all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scientists and me, we have one thing in common. We are well-educated people who have been schooled in a way of knowing that treats the world as an object to be dissected and manipulated, a way of knowing that gives us power over the world. With those scientists I have succumbed to the arrogance that comes when we see what our minds can do. The outcomes of my arrogance have been less than world-shaking because my powers are small. But in my own way I have used my knowledge to rearrange the world to satisfy my drive for power, distorting and deranging life rather than loving it for the gift it is.

In my late twenties, still impressed by what I could do with my mind, I wrote a book about how we know the world around us. (By grace, that book was never published--not, I suspect, because it was wrongheaded, but because my wrongheadedness was not packaged well enough to sell.) The themes of that book' may sound distant and abstract, but bear with me for a moment: I want to show how they shaped the way one educated person used his knowledge and lived his life.

In that book I argued that knowledge emerges as we impose a mental order on the chaos that surrounds us. The world, I said, presents itself to us as nothing more than a welter of sensory impressions--colors, tastes, smells, and textures; weights, heights, and lengths. To make sense of this chaos we use concepts to organize our impressions and theories to organize our concepts. The test of truth for any one of these mental constructs is simply how well it fits the data and helps us solve the intellectual or practical problem at hand.

Not only did my book imply that the world has no necessary shape or order of its own; it also suggested that the shape imposed on the world by our minds has no validity outside of a culture that happens to find that pattern congenial. Christians and Zen Buddhists, scientists and artists have different ways of ordering the world because they live in different cultures and have different problems to solve. By my scheme, knowing becomes an arbitrary process, subject only to the rules of whatever culture-game one happens to be playing at the time.

Looking back, I see how my theory of knowing helped form (or deform) my sense of who I was and how I was related to the world.


Customer Reviews: 4.6 out of 5 stars    139 ratings

Parker J. Palmer
 Follow
Biography
PARKER J. PALMER is a writer, teacher, and activist whose work speaks deeply to people in many walks of life. He is founder and Senior Partner Emeritus of the Center for Courage & Renewal. He holds a Ph.D. in sociology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s well as 13 honorary doctorates, 2 Distinguished Achievement Awards from the National Educational Press Association, and an Award of Excellence from the Associated Church Press. In 1998, the Leadership Project, a national survey of 10,000 educators, named him one of the 30 most influential senior leaders in higher education and one of the 10 key agenda-setters of the past decade. In 2010, he was given the William Rainey Harper Award (previously won by Margaret Mead, Marshall McLuhan, Paulo Freire, and Elie Wiesel). In 2011, the Utne Reader named him as one of "25 Visionaries Who Are Changing Your World.” For two decades years, the Accrediting Commission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given annual Parker J. Palmer “Courage to Teach” and “Courage to Lead” Awards to directors of exemplary medical residency programs. "Living the Questions: Essays Inspired by the Work and Life of Parker J. Palmer," was published in 2005. Born and raised in the Chicago area, he lives in Madison, Wisconsin.
 Show Less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Very poor Neutral Great
Customer reviews
4.6 out of 5 star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Zach
5.0 out of 5 stars Phenomenal book on knowing (epistemology) and teach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4, 2019
Verified Purchase
Parker Palmer has written out a fascinating and engaging approach to teaching that unearths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that endeavor. Though his approach and points are not necessarily “Christian,” I think his religious background does provide some key values and practices that can uniquely enable and encourage the growth he is calling for in this book. One of the themes which cuts through the book is Palmer’s pushback against and objectivist approach to the world. He really advocates for a personal and relational approach to knowing. He talks about engaging truth in troth, in a sort of covenanted, promissory way that trusts and believes in the relationship with truth.

By the end of the book Palmer is saying some things which might almost feel reminiscent of the “monk in a cave” sort of mysterious talk about knowing and truth, but by the time he gets to those statements he’s established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what knowing is, so the statements feel less “monkish” and more a pleading to know in this way.

One of the best aspects of this book is its length – it is not very long. The edition (1993) I had was barely 125 pages, with most chapters falling around the 15 page mark. The writing, though rich, is not too deep. This is a book I would highly recommend any teacher (especially high school teachers and above), and I think it would also provide some very good concepts and ideas (and practices) for pastors and church leaders/teachers. All in all, even if you are not a Christian, I think you can take away some really excellent things from this book about what it means to know (epistemology).
==
thelifemosaic
4.0 out of 5 stars My First Parker Palmer Book and NOT My Las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29, 2013
Verified Purchase
This is the first book I've read by Parker Palmer although I've read essays, chapter excerpts, and several authors who cite him several times over the years. I was excited to have a full work by Mr. Palmer to take in and I found it exceptional even if I perhaps found myself perplexed from time to time (I'm sure Mr. Palmer would say that's a good thing).

Immediately, Mr. Palmer presents a central metaphor of learning to do life "whole" by opening both the mind's eye which sees "a world of fact and reason" and the eye of the heart to see "a world warmed and transformed by the power of love." (Intro) A teacher, then, uses both eyes and becomes a "mediator between the knower and the unknown." (29) All throughout the book Palmer lends sound wisdom and keen insight into teaching in meaning-filled and meaning-creating ways. He reminds the reader of the need for a learning space to be one that has openness, boundaries, and hospitality. (70) Conventional classrooms offer hurdles of "hidden curriculum" to rethink such as focusing on someone else's (teacher's) vision of reality, a hesitation to be held up for inspection and scrutiny as the teacher / authority / expert, and a structure set up to build isolation easily and often. (34-39) No-brainer wisdom? Perhaps, yet Mr Parker presents these pieces in a whole that is unified in tone and written in accessible, beautiful prose that won't leave the reader saying, "I already knew that!" but instead, "Of course!"

This quote particularly struck me as something I've articulated several times in my life: "Several times in my teaching career I have become someone else's student, and each time the experience has had a marked impact on my own teaching. I was forcefully reminded that education is not just a cognitive process, not just the transmission of facts and reasons." (115) This duality is yet again a way Palmer hopes people will see the value in being a "whole person" seeing and living with both eyes open. It was as if Mr. Palmer looked at my life mixed with playing the student and the teacher role and said, "I know exactly what you mean."

As for occasionally feeling perplexed, I think I was surprised by how often I felt like the text was non-succinct even thought it has a relatively short page count and narrow focus. I had to fight moments when I was tempted to think, "Yes, you said that; please move on." One example is the story of Abba Felix which, while a great story, runs through the book more like a thick scratchy rope than a thread and while I was captivated by the many examples and stories in chapters 5-6 I had to push myself in earlier chapters. With that said, there are too many gems in this book to dismiss it as rough. Thanks for reading. 
4 people found this helpful
==
Alex Tang
4.0 out of 5 stars Knowing as a Journe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8, 2006
Verified Purchase
In a time when the morale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most countries is at an all time low, Palmer's book stand out as a beacon to warn and draw our attention to what education is truly about. The story about Abba Felix and that there are `no more words nowadays' stands at the heart of this book. In this short story about a Desert Father, Palmer has developed a spirituality of education in which obedience to God's words will lead to spiritual formation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First, Palmer rightly pointed out that objectivism and the pursuit of knowledge without reflection is dangerous. His illustration with the Manhattan project is instructive. However, he should have included the societ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s in his argument. One of the problems with education today is that instead of being a process of `reun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broken selves and world', it became a means to obtaining `paper'qualifications. Education has been hijacked to be an instrument in which students can achieve economic success and teachers became clogs in the machine that produce thousands of graduates annually who are only skilled in passing examinations.

Second, he mentioned `a learning space' as an antidote to `objectivist' teaching methods. This learning space has openness, boundaries and hospitality. I wonder how Palmer would translate that into an Asian context. Openness, boundaries and hospitality will be difficult in a culture of shame (`saving face') and hierarchal respect for elders, social ranks and qualifications.

Finally, `transformation of teaching must begin in the transformed heart of the teacher'. Palmer listed the disciplines of studying widely, silence, solitude and prayer as important in bringing about this transformation. However Palmer painted a bland picture of a `generic' God as the focus of these disciplines. I would that he be more Trinitarian in his approach.
Read less
8 people found this helpful
==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Lucy Skywalker
5.0 out of 5 stars What a definition of teach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November 27, 2014
Verified Purchase
Here are the book's Contents:
1. Knowing Is Loving
2. Education as Spiritual Formation
3. The Teaching Behind the Teaching
4. What Is Truth?
5. To Teach Is to Create a Space . . .
6. . . . In Which Obedience to Truth Is Practiced
7. The Spiritual Formation of Teachers

"To teach is to create a space . . . in which Obedience to Truth is practiced" - this is the most stunning aphorism of teaching I've ever encountered. For that alone I would award five stars.

This is a much-needed statement that redeems the heart of teaching in a materialistic, state-dependent educational setup. This book gently and powerfully leads us to reconnect with our own lost / forgotten / unnoticed / denied / hidden heart. Only out of such a place of love of honesty and truth can one grow in understanding and stature as a teacher, keep studying the universe with passion - and keep sharing the precious journey of discovery with integrity.
===
フィリップ&ティモシィー
5.0 out of 5 stars 「霊性」と「教育」を見事に関連付けた良書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16, 2008
Verified Purchase
近代教育学は「学習者が学ぶべき事柄を客観的に見つめる」ことを要請してきた。それを180度転換し、両者の人格的関係に気づいてこそ、本来の学習が成立するとした。「霊性の涵養」と「教育」の問題を見事に結びつけた良書。邦訳と照らし合わせると更に興味深い学びがなされる。
Report abuse
Translate review to English
===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반양장)   
파커 J. 파머 (지은이),이종태 (옮긴이)IVP2014-12-12
원제 : To Know as We Are 

책소개오늘날 교육에서 영성의 새로운 회복을 제안한다.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의 저자 파커 팔머가 오늘날 교육의 위기를 지배욕과 호기심에서 찾고 앎과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에서 영성을 다시금 주목한다. 사막 교부들과 수도원, 퀘이커교도 등의 전통에서 영성 훈련을 찾아 소개하는 등 기독교적 지식관, 진리관, 교수 방법 등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그 외 그리스도인 교사의 영성 훈련과 실제 수업 진행을 위한 방법론적 예시 등 수업 운영에 대한 제안도 담고 있다. 2000년 출간된 책의 개정판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993년판 서문_교육에서의 공동체 회복

감사의 글
들어가며

1. 안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이다
2. 영성 형성으로서의 교육
3. 가르침 배후에 숨겨진 가르침
4. 진리란 무엇인가?
5. 가르침이란 공간을 창조하는 일이다
6. 진리에 대한 순종이 실천되는 공간
7. 가르치는 이의 영성 형성

인명·주제 색인

책속에서
교육의 영성에 대한 책, 그것도 기독교적 관점에서 쓰인 이 책이 무슨 이유로 그렇게 다양한 독자들에게 읽혔던 것일까? 나는 그것이 부분적으로, 이 책은 다른 전통들을 존중하며 그들로부터 배울 자세를 갖춘 영성을 제공한다는 사실 때문이기를 바란다. 그러나 나는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음을 알고 있다. 그것은 어떤 분야든 오늘날 모든 교육자들은 극심한 고통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그 고통으로 인해 그들은 새로운 곳에서 도움을 찾게 되었던 것이다.…나는 교육 전체게 스며 있는 이러한 고통을 ‘단절의 고통’이라고 부른다. (...) 영적 전통은 그러한 고통중에 있는 우리에게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기 어려운 희망을 제공할 수 있다. - 본문 중에서  접기

추천글
가르침과 배움에 관한 현대 접근법들을 탁월하게 비평하는 이 책은, 어떻게 진리를 추구하는 교사와 학생이 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 헨리 나우웬 
교육은 지식의 전달 수단이 아니라 인격적 관계를 맺는 영성의 과정임을 보여 주는 이 책은, 참된 교육을 갈망하는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에게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 한기채 (중앙성결교회 목사, 前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저자가 주장하는 ‘영성 형성으로서의 교육’, ‘가르치는 이의 영성 형성’ 등의 내용이 오늘날 미국뿐 아니라 한국의 교육계, 특히 기독교 교육계에 큰 가르침과 깨우침을 줄 것이라 믿는다. - 이원설 (숭실재단 이사장, 한국기독교학교연맹 이사장) 
개인의 신앙과 교육 현장에서의 활동 사이의 괴리감으로 고민하는 이들에게 교육에 대한 깊은 성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공동체와 사랑, 영성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는 이 책은 도전과 자극이 되기에 충분히 탁월한 책이다. - 임종화 (영신여자실업고등학교 교사) 
오랜 세월 내가 읽은 교육에 관한 책 중 의심할 여지없이 가장 영감을 주는 책이다. - 존 웨스터호프 3세 (전 듀크대학교 신학부 교수) 

저자 및 역자소개
파커 J. 파머 (Parker J. Palmer)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 고등교육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미국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는 사회운동가. 작가이자 교사, 활동가로서 그의 가르침은 교육, 의료, 종교, 법률, 자선 사업, 정치, 사회 변혁 등에서 커다란 영감을 주고 있다. UC 버클리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워싱턴 DC에서 5년 동안 공동체 조직가로 활동했으며 성인 학습자와 구도자를 위한 ‘퀘이커 삶-배움 공동체’에서 10년간 일했다. 저서로는 《가르칠 수 있는 용기》《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모든 것의 가... 더보기
최근작 :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일.창조.돌봄의 영성>,<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 총 73종 (모두보기)
이종태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장신대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미국 버클리 GTU(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기독교 영성학으로 철학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순전한 기독교》, 《고통의 문제》, 《시편 사색》, 《네 가지 사랑》, 《인간 폐지》(이상 홍성사), 《다윗: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이상 IVP), 《당신은 무엇을 믿는가》(복있는사람) 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최근작 : <진정한 종>,<핵심포인트 시청각 실물설교집>,<확실한 새신자 교육방법> … 총 117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IVP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예수님의 기도 학교>,<IVP 1세기 기독교 시리즈 세트 - 전3권>,<하나님을 사랑한 사상가 10인>등 총 673종
대표분야 : 기독교(개신교) 4위 (브랜드 지수 1,505,096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교육에 있어서 일대 사건과 같은 책이다!”-뉴욕 타임스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에서 소외되었던 영성을 회복하라!
「비참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의 파커 파머가 지식이 소외되어 버린 우리 시대를 향해 주장하는 교육의 영성. 앎과 가르침과 배움은 단순한 학문 활동을 훨씬 넘어서는 의미를 가진다. 앎과 가르침과 배움은 깊은 인간적 의미를 지닌 활동, 위대한 인간적 목적을 가진 활동, 우리 자신과 이 세계의 변화에 기여하는 전인적 활동이다.

오늘날 교육의 위기를 지배욕과 호기심에서 비롯한 지식관에서 찾는 저자는, 이제 앎과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에서 소외되어 왔던 영성을 새롭게 회복해야 함을 역설한다. 궁극적인 지혜의 근원으로서 사랑을 탐구하고, 오래 전 사막 교부들과 수도원, 퀘이커교도 등의 전통에서 영성 훈련을 찾아 소개하며, 실제 수업 진행을 위한 방법론적 예시 등을 담고 있는 본서는 오늘 메마른 시대에 교육의 길을 모색하는 교사들에게 열정을 회복해 주는 위로와 자극이 될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7)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1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1% 10대 0.3%
8.9% 20대 6.9%
13.7% 30대 10.8%
20.3% 40대 13.7%
11.8% 50대 8.3%
2.0% 60대 3.2%
여성 남성
평점
분포
    10.0
    100%
    0%
    0%
    0%
    0%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1)
공감순 
등록된 구매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3)
리뷰쓰기
공감순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새창으로 보기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우는가. 우리는 어느 학문을 가르치고 배운다고 할 때, 무슨 내용(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전달하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주입식 교육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우리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정확한 암기력과 빠른 습득속도이다. 그런 사람들이 사회에서 인정을 받는다. 이런 교육이 잘못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몰라서 해오던 대로 계속 할 뿐이다.

진정한 앎이란, 지식 습득이 아니다. 그리고 교육의 목표도 그것이 되면 안 된다. ‘사랑’을 통해서 우리는 진짜 교육을 할 수 있다. 가르치는 학문을 사랑하고, 교사는 학생을, 학생을 교사를, 그리고 학생들 서로가 서로를 사랑할 때 진정한 앎이 일어난다.

나는 가르치는 자리에 있는 사람으로서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지 고민하게 됐다. 나는 내가 가르치는 학문을 진정으로 사랑하는가. 나는 학생들을 진정으로 사랑하는가. 그리고 가르치는 그 학문이 진실한 지 고민하고 있는가. 삶으로 살아내고 있는가. 교육은 공동체적이고 상호소통이 일어나야 하는데, 일방적으로 전달만 하려고 하지 않는가. 많은 질문들이 내 안에서 맴돈다.

학생이 스스로 생각하고 학문과 자신을 만나게 할 수 있도록 주입식 교육을 하지 않아야겠다. 그래서 학생들이 마음을 열어서 학문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안전한 터를 제공하는 교육자가 되고 싶다. 사랑하지만 무르지 않고, 가르치지만 배울 줄 아는 사람이 되자. 늦은 밤이라 정리되지 않은 글이다. 그래도 삶에서 지속적으로 돌아보고 고민해볼만한 좋은 책이란 것은 틀림없다.
- 접기
nulloveheng 2020-04-2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가르침과 배움의 깊이 새창으로 보기
가르침과 배움의 공동체의 외피를 뚫고 들어가는 인식, 수업의 철학, 그 바탕을 생각하게 한다.
미소나무 2016-08-1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리더들이 읽어야 할 책 새창으로 보기 구매
교수님 추천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읽는 동안 내내 감탄과 공감이 저를 흥분시켰고, 희열마저 느끼게 하였습니다. 진리가 무엇이고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상담을 하는 저에게 지침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마지막 페이지 마지막 글자를 읽고 책을 덮으면서 가슴이 뛰는 희열을 맛보았습니다. 그 감동에 사진을 찍고 주변 몇 사람에게 카톡을 보내면서 읽어보라고 권유를 하기도 했습니다. 교육자든 교육자 지망생이든, 상담자든 상담자 지망생이든 이 책에서 전달하는 진실의 메시지를 받아들인다면 자라나는 세대들의 앞날은 행복 그 자체일 것이라는 생각에 미리 가슴 벅참을 느꼈습니다. 부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교육의 참 길을 걸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리뷰를 남깁니다. 말주변이 없어 책의 내용은 전달하지 못하고 읽으면서 느꼈던 감동만 적으면서 다 전달하지 못함에 아쉽기만 한 것이  지금의 제 심정입되니다.

- 접기
요술손 2017-01-06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2021/05/08

알라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파커 J. 파머

알라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파커 J. 파머 (지은이),김찬호 (옮긴이)
글항아리2012-03-26
원제 :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2011년)
----
책소개

미국 고등교육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미국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고 있는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작이 국내에 출간되었다. 그간 인간미 넘치는 사회를 위한 내면의 노력과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해온 저자가 이번에 준비한 테마는 정치, 마음 그리고 민주주의다.

특히 이번 책은 『돈의 인문학』(문학과지성사, 2011) 『생애의 발견』(인물과사상사, 2009) 『사회를 보는 논리』(문학과지성사, 2001) 등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현장을 관찰하면서, 학문적 개념과 이론을 삶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김찬호 교수는 동료들과 함께 파커 파머가 주관하는 ‘용기와 회복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파머와의 인연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파머는 이 책이 처음 구상되는 단계에서 썼던 에세이를 김찬호 교수와 공유했고, 두 사람은 여러 차례 서신을 교환하며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처한 정치 상황을 돌아보고, 민주주의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음 깊은 교류의 시간을 거치면서 본 책의 국내 출간이 이뤄졌다.

====
목차

책에 대한 찬사 7

한국어판 서문 15

역자 서문 19

서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31

제1장 민주주의의 생태계 45
다양성, 긴장 그리고 민주주의 | 진실, 고통 그리고 희망 | 존 울만 이야기 |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

제2장 저절로 시민이 된 사람의 고백 71
시민성과 공공선 | 정치에서의 신념과 의심 | 깨어져 희망으로 열린 마음 | 이야기 뒤에 있는 이야기 | 미국에서의 토크빌 | 다섯 가지 마음의 습관 | 손을 잡고 오르기

제3장 정치의 마음 99
마음과 현실 정치 | 어느 농부의 마음 | 비통함의 힘 | 두 종류의 비통함 | 마음의 병을 진단하다 |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자아

제4장 민주주의의 베틀 127
긴장을 창조적으로 끌어안으려면 | 끝없는 논쟁 | 끝없는 도전 | 싸움 아니면 도주를 넘어서 | 민주주의와 자기 초월

제5장 낯선 자들과 함께하는 삶 155
낯선 사람은 사절 | 공적인 삶의 의미 | 공적인 삶의 장소와 목적 | 민주주의에서의 공적인 권력 | 공적인 삶의 쇠퇴 | 공적인 삶을 위한 공간의 회복 | 이웃의 약속 | 공공의 삶을 상상하기

제6장 교실과 종교 공동체 195
교실과 종교 공동체의 공통점 | 공교육과 내면 탐구 |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기 | 감춰진 커리큘럼 | 종교 공동체와 마음의 습관 | 이곳의 책임자는 누구인가 | 권력과 저녁식사 파티 | 의사결정과 상담 | 환대의 신학

제7장 근원적 민주주의를 위한 안전한 공간 239
미디어가 현실을 규정할 때 | 안으로부터 들려오는 뉴스 | 고독에서 신뢰의 서클로 | 서클의 힘 | 신뢰에서 정치적인 힘으로 | 공적인 서사의 절차 | 사이버 공간과 근원적 민주주의

제8장 쓰이지 않은 마음의 역사 275
신화 그리고 마음의 이야기 | 미국의 국가 신화 | 이미지와 현실이 충돌할 때 | 운동 그리고 마음의 역사 | 내적 해방에서 외적 변형으로 | 비극적 간극 속에서 희망을 갖고 행동하라

감사의 글 303

주 307
---------------------------
책속에서

첫문장
정치란 권력을 사용하여 삶에 질서를 함께 부여하는 행위로서, 심층적으론 하나의 인간적인 기획이다.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 바스티안
국경 너머의 타자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우리(나를 포함한 하나의 우리)가 서로를 이방인으로 만들기 시작하면서, 나는 분노와 절망의 소용돌이로 빠져들었다. 우리의 차이가 우리가 가장 가치 있게 여겨온 자산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어찌하여 잊어버리게 되었는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그 자체뿐˝이라는 선언은 어디로 갔는가?... 더보기 - 감나무
“활력있는 공적인 삶은 민주주의의 열쇠다, 공적 영역에서 우리는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함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159쪽) - 밥헬퍼


추천글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한 우아한 축가다. 이는 단지 투표의 민주주의가 아니라, 우리를 갈라놓는 모든 것을 넘어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에 대한 더 포괄적인 개념의 민주주의다.
- 피터 블록 (『풍부한 공동체: 가족과 이웃의 권력을 일깨우기』의 공저자) 
1965년 ‘피의 일요일’에 우리는 앨라배마 주 셀마에 위치한 에드먼드 페터스 다리에서 폭행을 당했다. 며칠 뒤 우리는 몽고메리를 향해 끊임없이 행진했다. 우리가 그 다리를 건너려고 출발한 것은 인종차별로 인한 분열을 막는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파커 파머는 우리에게 종용한다. 우리가 민권운동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그 다리를 함께 건널 때까지 “계속 걷고, 계속 이야기하라”고.
- 존 루이스 (미美 하원의원, 마틴 루서 킹 비폭력 평화상과 자유의 대통령 메달 수상자) 
이 책은 이 순간을 위해 탄생했다. 현명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면서 실용적이기도 한 이 책에서는 모두의 위엄과 자유를 토대로 새로운 정치를 꿈꾼다.
- 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 (환경운동가) 
마음의 습관에 대한 파커 파머의 명료한 응시는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로 시작하여, 우리의 민주주의를 거의 인식하기 어려울 만큼 마비시켜버린 분열을 돌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선언을 제시한다. - 빌 쇼어 (우리의 힘을 나누자 재단의 설립자) 
이 책을 덮으면서 당신은 자신이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얼마나 많은 것이 당신에게 달려 있는가를 새삼 알게 될 것이다.
- 다이애나 채프먼 월시 (웰즐리 대학 명예 총장) 
이 책은 우리의 삶을 다 함께 새로 빚어내는 데 필요한 안내서다. 마음을 그리고 우리의 자아와 민주주의의 핵심을 재발견하는 것 말이다.
- 크리스타 티펫 (저널리스트, 미국 공공 미디어의 라디오 진행자) 
파커 파머는 민주주의의 열망과 인간의 영혼을 존중하는 정치를 대변하고 있다.
- 로이 카프 (미美 하원의원) 
파머는 민주적 과정의 긴장들을 창조적이고 조심스럽게 끌어안는 정치적 대화에 대한 우리 모두의 갈망을 아름답게 풀어냈다.
- 캐리 뉴커머 (사회운동가) 
당신의 정치적인 신념에 관계없이 이 책은 우리가 서로를 만나 경청하고 존중하는 데 필요한 약이다. 이는 한 장인이 완성해낸 걸작이자 어두운 모든 장소에 빛을 비추는 원천들을 드러내는 수작이다.
- 마크 네포 (『일깨움의 책』 『마음이 볼 수 있는 한』의 저자) 
정치를 외면하는 이들에게 보내는 뜨거운 초대장 - 윤기돈 (녹색연합 사무국장)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2년 03월 24일 '200자 읽기'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12년 03월 24일자
-----
저자 및 역자소개
파커 J. 파머 (Parker J. Palmer) (지은이) 

미국 고등교육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미국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는 사회운동가. 작가이자 교사, 활동가로서 그의 가르침은 교육, 의료, 종교, 법률, 자선 사업, 정치, 사회 변혁 등에서 커다란 영감을 주고 있다. UC 버클리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워싱턴 DC에서 5년 동안 공동체 조직가로 활동했으며 성인 학습자와 구도자를 위한 ‘퀘이커 삶-배움 공동체’에서 10년간 일했다. 저서로는 《가르칠 수 있는 용기》《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역설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등이 있으며 ‘용기와 회복 센터’의 창립자다.

www.couragerenewal.org 접기
최근작 :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일.창조.돌봄의 영성>,<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 총 73종 (모두보기)


김찬호 (옮긴이) 

사회학을 전공하고 대학에서는 문화인류학, 사회학, 교육학 등을 강의하며, 대학 바깥에서는 부모교육, 노년의 삶, 교사의 정체성, 마을만들기 등 다양한 주제로 인문학적 글쓰기와 대중 강연을 하고 있다. 《모멸감》 《눌변》 《유머니즘》 《생애의 발견》 《돈의 인문학》 등을 썼다.
최근작 : <생애。전환。학교>,<나는 오늘도 교사이고 싶다>,<유머니즘> … 총 45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당신은,오늘날 정치 문제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는가?
정치는 여전히 권력을 잡기 위한 야바위 노름뿐이라고 생각하는가?

·정치에서 마음은 늘 중요한 동력이었다!
·링컨 대통령의 재임 시절, 오바마 대통령 당선 과정에 드러난 마음과 정치의 관계는 무엇인가
·택시기사, 공무원, 의사 등 다양한 시민과의 만남을 통해 민주주의의 위기와 미래를 말하다
·미국의 건국 신화, 9·11테러, 2011년 애리조나 투손 총격 사건까지 미국 정치사를 재조명하다
·한국의 사회학자와 미국의 사회운동가가 깊은 교류 속에 만들어낸 정치 에세이

이 책은 어떻게 출간되었는가

미국 고등교육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왕성한 저술과 다양한 강연으로 미국 각계각층의 뜨거운 지지를 얻으며 미국 시민들의 멘토로 추앙받고 있는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작이 국내에 출간되었다. 그간 인간미 넘치는 사회를 위한 내면의 노력과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해온 저자가 이번에 준비한 테마는 정치, 마음 그리고 민주주의다(참고로 이 책의 원제는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2011이다).
특히 이번 책은 『돈의 인문학』(문학과지성사, 2011) 『생애의 발견』(인물과사상사, 2009) 『사회를 보는 논리』(문학과지성사, 2001) 등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현장을 관찰하면서, 학문적 개념과 이론을 삶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온 사회학자 김찬호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김찬호 교수는 동료들과 함께 파커 파머가 주관하는 ‘용기와 회복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뒤 파머와의 인연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파머는 이 책이 처음 구상되는 단계에서 썼던 에세이를 김찬호 교수와 공유했고, 두 사람은 여러 차례 서신을 교환하며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처한 정치 상황을 돌아보고, 민주주의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음 깊은 교류의 시간을 거치면서 본 책의 국내 출간이 이뤄졌다.

책 소개

우리 사회는 왜 이 모양인가!
정치적 비통함으로 다가온 사건들

1963년 11월 22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자동차 퍼레이드 중 괴한의 총격으로 사망하는 일이 벌어진다. 저자는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백인 대학원생인 자신에게 “여러 역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누군가 물었다면 아버지, 배우, 교사, 작가 그리고 뭐든 수입이 되는 일들이었다고 말했을 것이다. 시민은 그 목록에 들어가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고백한다. 그러면서 시민이 된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를 그때서야 진중하게 생각해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2001년 9월 11일. 예순 살이 넘은 저자는 나이가 들어 찾아오는 상실감에 낙심하면서, 사회운동가인 자신에게 미국 문화와 21세기의 삶을 읽어낼 능력이 점점 사라지고 있음을 슬퍼한다. 그 순간 9·11테러는 저자에게 엄청난 충격임과 동시에 민주주의의 위기를 진단할 중요한 사건으로 다가온다. 저자는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에서 난민이 되었다는 표현으로 미국 정치의 혼돈을 설명한다. 사람들은 정부의 언사에 휩쓸려 아무런 관련 없는 한 나라와의 전쟁을 찬성하기 시작했다. 당시 한 저널에서 인용한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인 중 50퍼센트가 “정부는 테러리즘과 싸우기 위해 법원의 허가 없이 전화나 이메일을 모니터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다”고 답할 정도였다. 이런 분위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향해 정치인들은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매국노라고 서슴지 않고 비난했다. 저자는 이를 통해 매카시의 공산주의 마녀 사냥, 민권운동에 대한 반대, 1960년대의 각종 정치적 암살,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2000년 조지 부시와 엘 고어의 대통령 선거 결과를 두고 벌어진 와해 등 미국의 혼돈과 분열을 야기했던 역사적 사건을 떠올린다.
그리고 2011년 1월 8일. 이날은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된 지 거의 50년이 되어가는 시점이다. 애리조나 주 투손의 한 슈퍼마켓 바깥에서 어떤 사람이 총을 쏴 6명을 죽이고, 14명에게 중상을 입혔다. 그들은 애리조나의 제8선거구에서 뽑힌 하원의원 가브리엘 기퍼즈가 후원하는 “당신의 동네에서 의회를”이란 행사에 참석 중이었다. 사망자 가운데는 학교에서 학생 자치위원으로 선출되어 민주주의에 대해 더 배우고자 그 행사에 왔던 9살 크리스티나 테일러 그린이 있었다. 저자는 아주 어린 나이에 참여하는 시민이 되는 길을 잘 가고 있던 한 어린이의 죽음에서 현실 정치가 자아내는 연민의 실패, 공감과 존중의 결여를 발견하고선, 케네디 대통령이 죽었을 때 느꼈던 정치적 비통함을 다시 경험했다고 진술한다.

이 시대의 정치는 ‘분노의 정치’를 넘어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되어야 한다

미국 현대사를 수놓은 굵직한 사건들을 직접 경험해온 저자의 연륜 속에서 솟아난 오늘날 정치 상황에 대한 진단과 대안은 이러하다.

“이 시대의 정치는 비통한 자들의 정치다. 이 표현은 정치학의 분석 용어나 정치적 조직화의 전략적인 수사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인간적 온전함의 언어에서 그 표현이 나온다. 오로지 마음만이 이해할 수 있고 마음으로만 전달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 정치에도 그러한 측면이 있는데 우리 모두가 의지하는 일상생활을 잘 다듬어가려는 핵심적이고 영원한 인간적인 노력이 그것이다. 이것은 링컨이 인간적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향해 상한 마음을 개방해나갈 때 실행했던 정치다.”(38쪽)

오늘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발현되어야 할 이유를 저자는 근대성에서 비롯된 마음의 상태에서 찾는다. “무심한 상대주의, 정신을 좀먹는 냉소주의, 전통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경멸, 고통과 죽음에 대한 무관심 등이 그것이다.” 저자는 여기서 분노로 비롯된 정치적 앙심을 경계한다. 이른바 ‘분노의 정치’라고 부르는 데서 오는 ‘적의 악마화’는 오늘날 정치와 민주주의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분노는 비통함이 걸치고 있는 가면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라고 지적하면서 비통한 자들의 정치는 자신의 신념을 적에게 돌처럼 던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고통을 나누는 데서 출발한다고 말한다.

링컨 대통령의 우울증 극복기에서 발견한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다는 것의 중요성

이 책에서 저자가 유난히 강조하는 것은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 행위다. 파머가 미국의 정치적 혼돈과 훼손된 민주주의의 가치로 우울증을 겪고 있을 때 만난 책 한 권이 있었는데, 바로 조슈아 솅크가 쓴 『링컨의 멜랑콜리』였다. 미국의 16대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의 우울증 기행을 면밀하게 파헤친 이 책에서, 저자는 링컨이 자신에게 찾아온 우울함의 어두운 내면과 현실 그리고 보다 밝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당위 사이에서 줄곧 씨름해온 과정을 인상적으로 받아들인다. 저자는 링컨의 사례를 비유로 들며, 오늘날 정치 문제를 둘러싼 현실과 당위 사이에서 정치는 자신을 곤란하게 만들 것인가, 혹은 스스로의 삶을 개선할 기회인가라는 순간의 선택 그 자체를 회피하려는 사람들의 마음을 분석한다. 그러나 파머는 사람들을 꾸짖거나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가 정치와 시민의 관계 속에서 발견한 것은 정치가 상처에 대해 무관심하며, 이로 인해 정치에 낙담한 사람들은 점점 정치 세계에서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자신감을 상실하고, 내 요구를 담은 정치적 발언을 시도하면 다른 사람의 언어 공격에 의해 더 나쁜 일에 시달릴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빠졌다는 점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 과정에는 비통한 자들이 모여 만든 공적 서사가 있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정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 것인가. 파머는 우리의 일상에서 무척 간단하지만 용기를 필요로 하는, ‘정치적 갈등을 둘러싼 이야기하기의 공간 창조’를 제안한다. 이 공간은 정치 문제에서 이견을 가진 사람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마음 그 자체의 가능성이자, 그 마음을 실현시킬 물리적 장소를 뜻하기도 한다. 여기서 파머의 제안이 흔한 자기계발식 치유법이 강조하는 자기 책임의 측면과 다른 것은 당면한 정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대와 협력이 개입된 공공적 프로그램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 프로그램의 역사적 성공 사례를 테네시 주에 위치한 ‘하이랜더 연구와 교육 센터’의 흔들의자 모임에서 찾았다. 과거 ‘하이랜더 민족학교’라 불렸던 이곳은 인종차별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 상황과 비폭력적 사회 변화를 위한 이론, 전략, 전술을 연구하던 장소였다.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는 마틴 루서 킹과 로자 파크스는 바로 이 흔들의자 모임 출신이었으며, 파머는 이들이 추구했던 이야기하기의 노력을 조명하며, 사람들이 정치 문제에서 서로 이야기하는 행위를 안일하고 낭만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을 경계한다.
저자는 이와 유사한 사례로 2008년 오바마 캠프의 선거 전략에 나타난 ‘공적 서사’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오바마 캠프의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일환인 이것은 하버드대 교수이자 커뮤니티 조직가 마셜 간츠가 만들었다. 프로그램에서 강조하는 것은 사람들을 정치에 참여시키는 건 단순한 이익 추구가 아니라 가치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간츠는 이 가치 실현의 절차를 ‘공적인 서사’라고 불렀다. 공화당, 민주당의 양당 구도 속에서 양산되는 실망스러운 정치 행태, 갈수록 커가는 소수 세력의 부富 독점 등으로 인해 깊어가는 분열 구도 속에서 사람들은 “나 혼자만 그렇게 무기력하고, 고립되어 있고, 희망이 없다고 느끼는 것”인가라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 여기서 공적 서사 프로그램은 이런 어려운 시간을 기회로 삼아 나의 아픔을 정치적 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함께 이야기하기의 과정을 마련한다. 저자는 물론 책에서 오바마 캠프의 이 프로그램이 오바마가 당선될 수 있던 제1의 요소라고 과신하지 않는다. 다만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민주주의를 사실상 포기했고 투표도 거의 하지 않던 젊은이들과 유색인종들이 투표장으로 향했던 지점은 서로가 이야기함으로써 만들어가는 공공적 희망의 모색에 기반을 두었던 것임을 강변한다.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보드리야르의 『아메리카』……
그 계보를 잇는 새로운 정치적 삶을 향한 신미국 기행의 시작

이 책의 장점은 미국 현대사의 굴곡을 몸소 체험한 저자의 시각과 미국 전역을 다니며 다양한 문화를 시민들의 일상에서 관찰했던 풍부한 경험담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가장 긴박한 시사 동향은 택시기사에게 물어보라는 흔한 말은 비단 우리만의 경험은 아니며 거리의 심층 관찰자로 불리는 파커 파머의 경험담에서도 접할 수 있는 대목이다(제5장 「낯선 사람들과 함께하는 삶」참고). 파커 파머는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민주주의의 위기와 미래를 진단하며 사람들이 정치에 대해 희망을 품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기록해두었다. 이런 과정은 마치 1831년~1832년, 유럽 국가의 구태의연한 정치 체제에 회의를 느끼고 새로운 차원을 모색하던 토크빌이 미국을 여행하던 순간을 연상케 한다. 파머는 이 책에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나온 ‘마음의 습관’이라는 개념에 착안해 오늘날 상처받은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한 새로운 마음의 습관을 제안한다. 아울러 오늘날 미국 사회와 견주어 미국의 건국 신화에 숨겨진 허상을 비판하면서도, 그 신화의 근본정신에 깔려 있는 건국자와 민중의 열망에 대해 찬사하는 파머의 양가적 시선은 1970~1980년대 미국을 여행하며 그 현대성에 대한 냉소와 찬사를 동시에 표출했던 장 보드리야르의 『아메리카』를 떠올리게도 한다.

파커 파머가 한국 사회에 건네는 제언
숨 가쁜 속도로 휘몰아치는 정치 뉴스에 저항하라!
다른 의견은 민주주의의 위대한 선물이다!

“이 책에서는 민주주의를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두 가지를 기억해줄 것을 간청합니다. 첫째, 이른바 정치 뉴스를 숨 가쁜 속도로 광범위하게 보여줌으로써 결국 우리의 무력감을 자아내는 대중매체에 우리가 저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이 책에서 핵심적으로 담고 있는 두 번째 간청으로 이어집니다. 우리 국민은 많은 쟁점에서 언제나 이견을 드러내야 할 것입니다. 동의하지 않을 자유는 민주주의의 위대한 선물 가운데 하나이자, 그 위대한 힘 가운데 하나입니다.”
-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16, 17쪽)

파머는 미국 사회 내 정치, 경제, 교육, 언론, 종교 등을 전면적으로 비판하면서도 특히 7장 「근원적 민주주의를 위한 안전한 공간」에서 오늘날 대세가 되어버린 인터넷과 SNS가 정치와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저술 과정을 공개하면서 페이스북을 통한 정치적 견해의 동의와 마찰이라는 긴장감을 주목하고, 디지털 민주주의라고 일컫는 사람들의 웹 기반 정치 담화가 갖는 한계를 지적한다. 그는 디지털 미디어 덕분에 많은 사람이 정치적 견해와 정보의 생산자가 된다는 것은 민주주의에 보탬이 되지만, 스스로 정보의 소비자로서 읽은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다른 자료들과 비교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디지털 미디어는 민주주의에 전혀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 견해는 한국 사회에서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가 정치에 개입하는 가능성을 주목하기 시작한 시선에 견주어 참고할 만하다.
아울러 그는 ‘다른 의견’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특히 6장 「교실과 종교 공동체」에서는 교회 목회자를 비롯해 종교 지도자라는 권위 안에서 수직적으로 행해지는 인생의 아픔에 대한 고백 문화를 예리하게 비판한다. 파머는 교육자이자 종교 연구가로서 삶의 아픔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공개되는 교회라는 공간에서 종교 지도자의 권위에 주눅들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세심하게 고찰한다. 이러한 과정과 더불어 취업 중심의 교실 내 학습 분위기 속에서, 진정한 인문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데 필요한 주체적, 비판적 사유가 깃든 커리큘럼이 사라질까 우려한다. 이렇듯 자신의 일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일상생활의 장소들은 파머가 강조하는 이견이 접촉하는 정치적 긴장감을 끌어안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
파커 파머는 이 지점을 통해 사람들이 오늘날 정치 세계를 개선하고자 가져야 할 마음의 습관으로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을 제안한다. 여기서 “뻔뻔스러움이란 나에게 표출할 의견이 있고 그것을 발언한 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겸손함이란 내가 아는 진리가 언제나 부분적이고 전혀 진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 두 마음의 습관을 통해 우리는 원하는 민주주의의 비전을 지금 당장 이룰 수 있을까.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우리는 냉소주의와 이상주의라는 극한된 두 가치관 속에서 계속 유혹을 받을 것이다. 파머는 이럴수록 ‘효율적’이라는 말과 거리를 두자고 제안한다. 그의 표현을 따르자면, 민주주의는 끝없는 실험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정치제도, 지역사회와 결사체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지니는 강점과 약점 속에서 쉬지 않고 이뤄지는 실험이다. 그 성과는 결코 당연시될 수 없다.
우리가 그 실험실을 폭파시켜버리지 않는다면 민주주의의 실험은 끝없이 진행된다.”(43쪽)
---------------------------------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내가 남긴 글
img
정치라는 것이 모든 사람을 위한 연민과 정의의 직물을 짜는 것이라는 점을 잊어버릴 때, 우리 가운데 가장 취약한 이들이 맨 먼저 고통을 받는다. 그들이 고통을 겪을 때 우리 민주주의의 성실성도 고통을 겪는다.

인간의 마음은 민주주의의 첫 번째 집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묻는다.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만이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 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 <관여>


˝ 세월호 참사여파로 인한 소비위축이 올해 전체 경제 성장률의 발목을 잡을것으로 예상한다.˝

˝ 세월호가 살아나는 경기에 영향을 크게 줘서는 안되는데, 2분기 경제 성장률이 얼마나 떨어질지 걱정이다.˝

아이들이 바닷속에 있고, 온 나라가 정신적 공황에 빠져있을 때 정부와 경제 전문가는 이렇게 말한다.

비통한 사람들의 눈물이 대한민국에 흘러 넘치고 있을 때 정치는 그들을 외면했다.

고통받는 타인을 향해 마음이 열릴 때 폭력대신 생명력을 불러 일으키고, 민주주의의 인프라는 지속할 수 있다.

지금 한국사회가 고민하고 바라봐야 할 시점.

민주주의를 염려하고 절망해 본 당신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나와같다면 2018-05-04 공감 (26) 댓글 (7)
img
====

오랜 세월 이 나라에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없었다. 오직 소수의 권력자와 자본가와 지식인들을 위한 정치,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만 있었다. 그리고 4년 전 오늘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비통한 울음소리가 들릴 때마다 어떤 사람들은 시끄럽다, 그만하라 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함께 울었다. 더 이상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는 없어져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그 결과 정권이 바뀌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미국의 정치학자 파커 J. 파머의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대립과 분열의 정치를 극복하고 화해와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는 방안으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를 제시한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란 쉽게 말해 '마음을 다친 사람, 상처 입은 사람을 위한 정치'다. 정치적 입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들을 화해시키고 통합하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비통함'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기 어렵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을 때, 큰 사고를 당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생계의 위협을 받을 때, 불합리한 차별이나 편견에 부딪힐 때, 사람은 누구나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슬픔과 아픔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런 상황에 놓인 사람을 보면 연민을 느끼고 도와주고 싶은 감정이 드는 것도 '인간이라면' 당연하다. 



문제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느껴야 할 연민이나 동정을 조금도 느끼지 못하는 몰인정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우리는 그 예를 '너무 많이' 안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타인의 슬픔이나 아픔에 공감하는 마음을 잃거나 무관심한 이유로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를 든다. 모든 것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고 그에 따라 판단하는 소비주의는, 세월호 사고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목숨보다 사고 처리에 드는 세금이나 유족들에게 주어지는 보험금에 주목한 당시 일부 언론의 행태에 잘 드러난다. 또한 당시 정부가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에게 사과하기는커녕 유가족을 정부에 반항하는 반동분자 취급한 것은 희생양 만들기의 전형적인 예다.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가 반복되면 사람들은 자연히 정치에 대한 관심을 잃거나 정치 혐오에 빠진다. 인간관계와 시민 공동체는 금세 무너진다. 



자아와 세계의 관한 지식을 온 마음으로 붙든다면 마음은 때로 상실, 실패, 좌절, 배신, 또는 죽음 등으로 인해 부서질 것이다. 그때 당신 안에 그리고 당신 주변의 세계에 무엇이 일어나는가는 당신의 마음이 어떻게 부서지는가에 달려있다. 만일 그것이 수천 개의 조각으로 부서져 흩어진다면 결국에는 분노, 우울, 이탈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경험이 지닌 복합성과 모순을 끌어 앉을 위대한 능력으로 깨져서 열린다면, 그 결과는 새로운 삶으로 이어질 것이다. 마음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 (57쪽) 



저자는 민주주의 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는 결국 화해와 통합이며, 화해와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가장 많이 눈물 흘리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결코 '그들'과 화해하거나 통합할 마음이 없지만, 그들과 화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비통한 자들에 대한 연민과 공감이라는 사실에는 동의한다. 만약 그들이 지금이라도 잘못했다고, 미안하다고 사과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다고 죽은 사람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의 무너진 마음을 조금이나마 어루만지고 위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호 4주기인 오늘. 어떤 언론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라는 사설을 실었고, 어떤 정당은 추도식에 참석하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 나라에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제대로 자리 잡을 날은 아직 요원하다.

키치 2018-04-16 공감 (14) 댓글 (0)
img

큰기대없이 펼쳤다가 몇페이지를 채 넘기지않아 오랫동안 내가 읽고싶어했던 그런 종류의 책임을 알게됐다. 매일같이 처참한 뉴스들을 받아내며 일상이 휘청거리는 지금같은때, 우리에게 필요한건 결국 단련된 마음이다. 깊은 민주주의를 공부한 느낌. 우리나라에서도 시와 유머의 정치가 피어나길..

마니아 읽고 싶어요 (57) 읽고 있어요 (25) 읽었어요 (84) 
-----------------------------
평점 분포     9.2
구매자 (12)
전체 (26)
공감순 
     
큰기대없이 펼쳤다가 몇페이지를 채 넘기지않아 오랫동안 내가 읽고싶어했던 그런 종류의 책임을 알게됐다. 매일같이 처참한 뉴스들을 받아내며 일상이 휘청거리는 지금같은때, 우리에게 필요한건 결국 단련된 마음이다. 깊은 민주주의를 공부한 느낌. 우리나라에서도 시와 유머의 정치가 피어나길..  구매
농담같은오늘 2017-01-20 공감 (16) 댓글 (0)
Thanks to
 
공감
     
너무 번역이 이상하여 보는내내 힘들더군요, 저만 그런건지 의견 들어보고 싶습니다.  구매
cyh_lse 2018-04-02 공감 (10) 댓글 (2)
Thanks to
 
공감
     
한 사회가 권위주의적 통치체제로 흘러가기 시작할때 가장먼저 차단되는 장소는 공적인 삶이 영위되는 곳들이다. ...p156..
동료 시민들이(ㅎㅎㅎ) 이책을 많이들 봐줬으면 좋겠습니다.
공감가는 내용도 많고,배울점도 많습니다.생각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책!!

 구매
대아재산책 2018-04-19 공감 (9)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번 달 독서동아리 토론도서라 구입. 작금의 개인주의와 냉소주의를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할 수 있을지를 한번이라도 고민해보았다면, 반드시 읽어보아야 할 책이다.  구매
드림모노로그 2014-07-08 공감 (8) 댓글 (0)
Thanks to
 
공감
     
과거와 같이 혁명을 통해 급진적으로 세상을 바꿀 수 없는 오늘날. 우리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것인지 고심한 저자의 고뇌가 느껴진다. 파편화된 개개인을 다시금 아울러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중점을 둔다. 진부한 이야기지만 매우 설득력있게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구매
책수집가 2016-03-29 공감 (8) 댓글 (0)
Thanks to

===

삶으로서의 민주주의

권위주의적 통치체제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체포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 한 사람들은 길거리에 모일 수 없습니다. 결사적인 삶은 권력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공적인 삶이 영위되는 곳은 차단됩니다. 진짜 목소리를 내는 시위는 불법으로 선언되고 강제로 종식되며, 그들이 쫓겨난 무대는 엉터리 정치 집회로 채워집니다. 그러나 구성원 모두가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색을 사용하라고 명령하는 흑백사회를 거부하고, 총천연색 사회를 만들고자 한 사람들은 언제나 어느곳에서나 존재했습니다. 우리 땅에서 일어났었던 6월 항쟁 역시 그 중 하나였을 것입니다. 항쟁의 순간, 비통해하는 사람들 속에 분명히 민주주의는 존재했고, 그래서 우리는 민주화 운동이라고 부릅니다.

민주화 운동이 만들어낸 87년 체제로 인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지만, 중요한 것은 이름이 아닙니다. 민주주의가 절차적 수준에서 제도화되었지만, 그것이 권위주의적 유산의 청산을 의미하는 것은, 또한 영구한 민주주의 사회임을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파커 J. 파머는 민주주의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무엇이 아니라, 우리가 해야 할 무엇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민주주의 국가임을 자처하면서 민주주의적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이름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북한과 다를 바 없습니다. 피터 버거의 말처럼, 모든 상대주의에는 절대의 재래를 기다리는 광신이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불편합니다. 사람들 간에 긴장을 불러일으키도록 의도된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민주주의는 낯선 자와 만나고, 자신과 다른 의견에 대립하라고 말합니다. 자신이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믿음이 허물어지는것을 지켜봐야 합니다. 남들 눈에 교만하고 이기적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런 긴장관계는 분명한 스트레스의 일종입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긴장을 버티지 못하고, 에리히 프롬의 말처럼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전문가들, 권위자의 말을 맹신하고, 복종함으로서 자유를 포기하는 대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많은 유명 인사들, 정치인들과 관리들은 사람들이 가진 민주주의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합니다. 그들은 타자에 대한 두려음을 조장하고, 절대적 가치를 외치며 자신의 부와 권력을 획득합니다.


의심이 없는 한 민주주의도 없다. 절대적인 진리가 모든 형태의 전제정치의 핵심인 것처럼. 제도적 저항, 다당제, 대안 세력, 민주정치 체제의 핵심에 의심이 없다면 무엇이 있겠는가? 의심이 최종적이고 절대적으로 침묵한다면, 민주주의 그 자체가 종말에 이를 것이다. 더 이상 논쟁할 것이 아무것도 없는데 민주주의가 뭐가 필요한가? -《의심에 대한 옹호》p.170

그러나 우리는 민주주의를 포기할 수는 없습니다. 피터 린더트는 독재적 방식은 일시적으로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많은 부작용을 낳으며, 민주주의는 단기적으로는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되었다고 지적한바 있습니다. 동의하지 않는 시민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가피한 긴장을 창조적인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 민주주의가 가진 특별함입니다. 절대 권력자가 모든것을 진두지휘하며 명료하게 계획하는 것보다, 국회의원끼리 대립하고, 정부부처간에 견제하는 긴장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발전이야말로 아마르티아 센이 말한 진정한 발전, 자유로서의 발전입니다.

달리지 않는 자전거는 옆으로 넘어지는 것처럼, 민주주의 역시 계속 행동함으로서 유지됩니다. 민주주의는 헌법이 있다고 해서 생기는 것도,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단순히 선출직 공무원을 통해 국가를 운영하는것만으로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파커 J. 파머는 민주주의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선 마음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마음은 자아의 핵심이며, 근원적인 앎의 방식들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가장 핵심적 층위에서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긴장과 불확실성을 끌어안음으로서 민주주의적 행동을 습관으로 발현하는 시민은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 비통함을 느낄 수 있고, 정치로서의 민주주의를 이끌거나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으로 정치를 바라보면 우리는 그것을 전진하고 대항하는 체스 게임, 권력을 잡기 위한 야바위 노름, 서로 비난만 해대는 두더지 잡기 게임으로 보는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제대로 이해한다면 정치는 절대로 게임이 아니다. 그것은 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오래되고 고귀한 인간적인 노력이다. - p.41

민주주의적 마음의 습관을 지닌 시민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교실, 직장 또는 다른 자발적 결사체를 통해 교육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가정에서, 학교에서, 성인이 된 이후에 다양한 단체를 통해 민주주의적 가치, 갈등과 불확실성을 교육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아이는 부모의 권위에 저항하지 못합니다. 학교에서 학생은 선생의 권위에 의견을 내지 못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른들이 구성한 사소한 문제 이외의 사안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 능력이 없는 듯 취급됩니다. 대학생들은 충실한 정보로 가득 찬 민주적 가치에 관한 과목을 수강할 수는 있지만, 교사가 그 정보를 받아쓰게 하고 학생들이 그것을 달달 외워 시험에 적도록 한다면, 그들은 민주적인 가치를 배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독재의 추종자로 살아남는 것을 배우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를 성장시킨 교육은 우리를 사회의 배우가 아니라 관객의 일원으로 취급하며, 그 결과 어른이 되어서도 정치를 그저 관람할 뿐입니다.

손을 들어 질문하는것조차 꺼리는 사회에서, 갈등관계를 유발해 차이를 토론하고, 유머를 활용하고, 갈등을 타협할 수 있는 시민을 만들어내는 것을 바랄 수 없습니다. 낯선 자들과 함께하는 경험을 얻지 못한다면, 언제까지고 타자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일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행동해야 합니다. 거리에서, 술집에서, 광장에서 낯선 사람들이 모여 타자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사회적 연대감을 높이고, 공공적 책임을 외치는 것은 민주주의적 행동이며, 민주주의의 회복입니다. 국가의 펀더멘털은 단순히 엄청난 양의 금괴나 외환보유량만으로 평가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돈을 쌓고 계속해서 신제품을 생산하더라도, 그것은 확실한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파커 J. 파머는 가장 든든하고 확실한 국가의 자산은, 정부의 의견에 반발하고, 다른 사람과 의견 갈등을 벌이며, 불공정과 우둔함을 절대로 방관하지 않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는 시민에 있다고 말합니다.

- 접기
착선 2016-03-04 공감(22) 댓글(0)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울음 소리가 그치는 날까지 

오랜 세월 이 나라에는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없었다. 오직 소수의 권력자와 자본가와 지식인들을 위한 정치,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만 있었다. 그리고 4년 전 오늘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비통한 울음소리가 들릴 때마다 어떤 사람들은 시끄럽다, 그만하라 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함께 울었다. 더 이상 비통한 자들을 만드는 정치는 없어져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그 결과 정권이 바뀌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다시 시작되었다. 



미국의 정치학자 파커 J. 파머의 책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대립과 분열의 정치를 극복하고 화해와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는 방안으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를 제시한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란 쉽게 말해 '마음을 다친 사람, 상처 입은 사람을 위한 정치'다. 정치적 입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들을 화해시키고 통합하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비통함'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기 어렵다.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을 때, 큰 사고를 당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생계의 위협을 받을 때, 불합리한 차별이나 편견에 부딪힐 때, 사람은 누구나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슬픔과 아픔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런 상황에 놓인 사람을 보면 연민을 느끼고 도와주고 싶은 감정이 드는 것도 '인간이라면' 당연하다. 



문제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느껴야 할 연민이나 동정을 조금도 느끼지 못하는 몰인정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우리는 그 예를 '너무 많이' 안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타인의 슬픔이나 아픔에 공감하는 마음을 잃거나 무관심한 이유로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를 든다. 모든 것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고 그에 따라 판단하는 소비주의는, 세월호 사고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목숨보다 사고 처리에 드는 세금이나 유족들에게 주어지는 보험금에 주목한 당시 일부 언론의 행태에 잘 드러난다. 또한 당시 정부가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유가족에게 사과하기는커녕 유가족을 정부에 반항하는 반동분자 취급한 것은 희생양 만들기의 전형적인 예다. 소비주의와 희생양 만들기가 반복되면 사람들은 자연히 정치에 대한 관심을 잃거나 정치 혐오에 빠진다. 인간관계와 시민 공동체는 금세 무너진다. 



자아와 세계의 관한 지식을 온 마음으로 붙든다면 마음은 때로 상실, 실패, 좌절, 배신, 또는 죽음 등으로 인해 부서질 것이다. 그때 당신 안에 그리고 당신 주변의 세계에 무엇이 일어나는가는 당신의 마음이 어떻게 부서지는가에 달려있다. 만일 그것이 수천 개의 조각으로 부서져 흩어진다면 결국에는 분노, 우울, 이탈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경험이 지닌 복합성과 모순을 끌어 앉을 위대한 능력으로 깨져서 열린다면, 그 결과는 새로운 삶으로 이어질 것이다. 마음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준다. (57쪽) 



저자는 민주주의 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는 결국 화해와 통합이며, 화해와 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가장 많이 눈물 흘리고 아파하는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결코 '그들'과 화해하거나 통합할 마음이 없지만, 그들과 화해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비통한 자들에 대한 연민과 공감이라는 사실에는 동의한다. 만약 그들이 지금이라도 잘못했다고, 미안하다고 사과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다고 죽은 사람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겠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의 무너진 마음을 조금이나마 어루만지고 위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월호 4주기인 오늘. 어떤 언론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정치 이용은 할 만큼 하지 않았나'라는 사설을 실었고, 어떤 정당은 추도식에 참석하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았다. 이 나라에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가 제대로 자리 잡을 날은 아직 요원하다.

- 접기
키치 2018-04-16 공감(14) 댓글(0)
===
     
우리의 봄은 어디메쯤 오고 있는 것인가

 2012년 레지스탕스였던 스테판 에셀은 《분노하라》에서 민주주의의 최대의 적은 무관심이며 이 무관심의 표현 자체는 인간을 이루는 기본 요소를 잃어버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 분노하라' 한 단어가 그토록 강렬한 것인지 그때 처음 알았었다.   분노의 표출은 참여로만 증명될 수 있다고 하였던가. 그때 그 책을 읽었을 때만 해도 비장한 결의를 다지며 주먹을 불끈쥐고는 했으나  세월이 흘러가면서 감동은 시간의 썰물에 휩쓸려가 버렸다. 정치란 것이 그런 것 같다. 울분이 쌓이다가도 먹고 사는 일에 잠시 잊고 살아도 괜찮다는 변명을 하게 되는 것.

 

작년 고인이 되신 노장 스테판 에셀보다는 젊은 편에 속하지만, 지혜와 연륜이 바탕이 된 정치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책이다. 미국 현대사를 수놓았던 굵직한 사건들을 온 몸으로 겪었던 사회운동가이자 교육학자인 파머의 아홉번째 책으로 행간에 뿌려져 있는 '민주주의'의 통찰은 온몸에 전율을 느끼게 할만큼 강렬하다.  

 

이 시대의 정치는 ‘분노의 정치’를 넘어선 ‘비통한 자들의 정치’가 되어야 한다.

 

스테판 에셀은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분노하라’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파커J.파머는 ‘비통하라’라는 주문을 한다. 이 비통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시대의 정치는 비통한 자 the brokenhearted [직역을 하자면 마음이 부서진 자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의 정치다. 이 표현은 정치학의 분석 용어나 정치적 조직화의 전략적인 수사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인간적 온전함의 언어에서 그 표현이 나온다. 오로지 마음만이 이해할 수 있고 마음으로만 전달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
마음이 부서진 자, 저자는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분노' 의 단계를 넘어서 현 민주주의가 잃어가고 있는 '공화'라는 개념의 민주주의의 회복이 바로 이 '비통'이라는 마음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의 물결로 위협당하고 있는 개인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합리성과 덕성은 민주주의를 이루는 핵심개념이다.  '무한경쟁의 논리'를 표방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광풍은 자본의 비호아래 빈부 간의 극심한 격차를 가져왔다.  민주주의는 긴장을 끌어안기 위한 제도이다.  저자는 신자유주의가 표방하고 있는 '소비주의'와 민주주의의 거짓 치료제 역할을 하고 있는 '희생양만들기'를 경계하라한다. 이 두가지를 경계하며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마음의 역동을 다룰 줄 아는 건강한 자아를 지니라고 한다. 이러한  건강한 자아를 지닐 수 있는 근원은 우리 사회를 '비통한'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주어진다. 

 

 저자가 건강한 자아를 위해 권하는 다섯 가지 습관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는 이 안에서 모두 함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 우리는 다름의 가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3, 우리는 생명을 북돋는 방식으로 긴장을 끌어안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

4, 우리는 개인적인 견해와 주체성에 대한 의식을 가져야 한다.

5, 우리는 공동체를 창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 때 민주주의가 지닌 기본이념을 향한 노력은 공론의 장이 될 수 있다. 조용한 논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모순과 갈등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바로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파머는 이 지점을 통해 사람들이 오늘날 정치 세계를 개선하고자 가져야 할 마음의 습관으로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을 제안한다. 나에게 표출할 의견이 있고 그것을 발언한 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 뻔뻔스러움이고 내가 아는 진리가 언제나 부분적이고 전혀 진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겸손함이다. 이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은 '찢어진 민주주의의 직물을 다시 짜기 위한' 마음이다. 깨어있는 시민의 참 뜻은 바로 이렇게 자신의 견해와 생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 함께하는 공화주의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무심한 상대주의, 정신을 좀먹는 냉소주의, 전통과 인간 존엄성에 대한 경멸, 고통과 죽음에 대한 무관심, 자신과 의견이 다르면 배척과 따돌림을 불사하지 않는 극단주의자들이 넘쳐나고 있는 현실의 정치문화에서 말할 수 없는 비통함을 느끼고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길 권한다. 비통함의 틈새에서 발견하는 희망이란 , 비록 작을지라도 그 작은 힘이 역사의 물레방아를 돌리는 힘이라는 것을 믿게 된다. 세상의 중심에는 쓰이지 않는 역사가 있다. 그리고 그 쓰이지 않는 역사는 작은 냇물이 모여서 만드는 강물처럼 유구하다.

 

정치가 해야 할 일은 자연의 위대한 원리처럼, 사회의 가장 낮고 그늘진 곳, 빼앗기고 궁핍한 곳, 내팽개쳐지고 억눌리고 무시된 곳에 소생과 부활의 봄을 가져다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도정일 교수의 말은 그래서 더 둔중한 울림으로 남는다. 우리의 봄은 어디메쯤 오고 있는 것인가.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으로써가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살아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 접기
드림모노로그 2014-09-11 공감(9) 댓글(0)
====
     
'비극적 간극'을 견디며 살아간다는 것

우리는 공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너그러울 수 있는가? 우리는 단지 생각으로써가 아니라 전 존재로 경청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의견보다는 관심을 줄 수 있는가? 살아 있는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끊임없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동료 시민을 신뢰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는가?
                                                                             

본문 3장 ‘정치의 마음’에서


연일 통합진보당 사태가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통상적 의미에서 진보의 가치는 정치적 도덕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편에서 세상의 프레임을 보다 민주적이고 정의롭게 조정해나가는 데 있다. 따라서 반칙을 일삼는 개인 혹은 집단이 더 많은 이익을 얻는다는 우리 사회의 굳어진 속물적 통념을 깨뜨리고, 부정과 비리를 비판하고 고발할 때 진보세력은 존재 의미를 획득한다. 거기에 더해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구조가 진보세력의 활동을 장악하고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인 바람 내지는 믿음이 있다. 한국 정치사가 보여준 구태를 벗어던지기 희망하는 것이다. 통합진보당 사태가 모든 이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것은 바로 이러한 상식적 수준의 진보에 대한 믿음을 산산조각 냈기 때문이다. 독점적 세력의 권력 장악이라든가 선거조작과 그에 대한 진상조사를 저지하려는 폭력행사 등은 우리가 그간 질리도록 경험한 천박한 불의함 아니던가.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이러한 정치적 사태에 ‘비통함을 느끼는(heartbroken)’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영감을 준다. 일종의 정치학적 멘토라고 하면 적당할지 모르겠다. 대부분의 정치학이 사회적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면서 민주주의라는 목표에 도달할 이론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면 이 책은 그와는 정반대에서 시작한다. 바로 인간의 마음(가짐)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언뜻 김홍중의 『마음의 사회학』(문학동네, 2009)이 떠오르기도 한다. 김홍중이 80년대 한국을 경험한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서 논의를 시작한다면, 이 책은 9․11테러 사건 이후 벌어진 미국의 패권적 정치에 대한 통탄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데, 두 책 모두 정치가 야기한 대중의 우울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무엇이 우리를 비통하게 하는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가. 이 책은 ‘완전한 민주주의’라는 목표달성에서 그 해법을 찾기보다는 그것을 이뤄가려는 과정에서 실마리를 풀어간다.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한 평화라든가 민주주의는 환상이며 오히려 그것을 성취하는 과정에서의 긴장과 저항을 어떻게 풀어가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그 정치적 긴장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비폭력주의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정치행위의 과정이자 목표라고도 할 수 있는 비폭력주의는 어찌 보면 가장 지독한 방법론이다. 위에 인용한 것처럼 다른 입장을 가진 정치세력과의 투쟁에서 어떤 시련을 겪더라도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나 맞설 수 있어야 하나 그것은 방어적 폭력마저 허용하지 않기에 집요하고 무섭다. 비폭력주의가 근본주의적 종교의 색채를 띠기도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민주주의를 향한 싸움에서의 일상적 집요함을 요구한다고 하겠는데, 이 책이 말하는 것처럼 그러하기에 민주주의가 위대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것이 항시적으로 “비극적 간극”(298쪽)을 견뎌야 하는 것이라면 더욱더 그렇다. 이 책에 따르면 희망은 유토피아 속에 있는 것이 아닌 듯하다. 오히려 비참함을 찢고 일어서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이 희망 같다. 마찬가지로 정치가든 시민이든 참담한 정치적 현실을 딛고 다시 공동선을 향해 움직이려 할 때 우울한 무력감은 극복될 수 있지 않을까. 무한하게 반복되는 비극을 상수로서 받아들여야 하지만 희망 역시 여전히, 상수가 아닐까.
2012. 5. 31 작성


- 접기
꿀 2014-04-29 공감(7) 댓글(0)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민주주의를 위한 기초 체력 기르기

국민들의 반대 여론에도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강행되고 있고, 대선 때의 공약 중 지켜진 것은 거의 없다. 시위나 서명 운동에 참여하면서 목소리를 내어 봐도 국정에는 전혀 반영되는 것 같지 않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무엇을 한다 해도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민주주의가 힘을 잃어가는 지금의 상황 앞에서 우리는 비통해질 수밖에 없다.

미국의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의 저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이 시대의 정치가 ‘비통한 자들의 정치’라고 이야기한다. 지금 한국의 정치 상황이 우리를 비통하게 하는 것처럼, 민주주의 정신은 쇠퇴하고 국민들이나 정치인들이나 사사로운 이익에 골몰하는 미국의 정치 상황은 파머를 비통하게 한다. 지금의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어느 시대, 어느 곳에나 현실과 가능성 사이에는 절대 좁혀지지 않는 간극이 존재한다. 그 비극적 간극 앞에서 우리는 ‘비통한 자들’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저자는 우리가 비통한 자가 될 때, 우리 자신과 세상의 고통을 끌어안으면서 마음을 열게 된다고 말한다. 그는 비통함으로 인해 열린 마음들 안에서 병든 민주주의를 치유할 잠재력을 발견한다. 저자는 병든 민주주의를 치유하기 위해 민주주의에서의 마음의 역할로 눈을 돌린 것이다.

마음은 정치와는 상관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저자는 민주주의에서의 마음의 역할에 주목했을까?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고, 서로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나치가 유대인이라는 희생양을 통해 독일 사회 안의 긴장을 종식시켰던 것처럼 강제로 긴장을 종식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긴장을 종식시키기 위한 제도가 아니라 긴장을 끌어안기 위한 제도이다. 민주주의는 긴장을 끌어안고 그 안에서 서로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며, 끊임없이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간다. 그렇기에 비통함으로 인해 열린 마음으로, 긴장을 창조적으로 끌어안는 마음의 습관이 민주주의의 토대를 재건할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가 말하는 마음의 습관은 개인의 내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우리에게 자신만의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나아오라고 이야기한다. 거리나 지역 공동체 같은 공적인 영역으로 나와,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과 긴장을 넘어 타인과 만나고 대화할 때 우리는 다양성과 활력을 얻을 수 있다. 교실이나 종교 공동체처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공동체에서도 마음의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공동체에서는 교사나 종교 지도자 같은 전문가나 지도자에게 의사결정을 맡기고 의존하기 쉽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느리더라도, 의사 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긴장들을 견뎌내면서 합의를 추진한다면, 생각지 못한 훌륭한 해결책과 깊은 연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내면을 이야기하는 것에 따르는 긴장을 끌어안고 내면적 성찰을 공동체에서 공유할 때, 그 성찰은 더 심화되고 힘을 얻어 사회 변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의 습관들을 통해 이루어낸 정치적 실천이 ‘비통한 자들의 정치’인 것이다.

이 책이 말하는 ‘마음의 습관’이 지금 우리의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는 거대하고 복잡한 문제들에 비해 작은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정치 문제가 너무 거대하고 복잡하며 우리와 동떨어진 것이라고 생각될 때 우리가 위축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우리의 생활 가까이에 있는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큰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마음의 습관’이 우리가 당면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에서 벗어나 민주주의를 위한 기초 체력을 회복하려 할 때, ‘마음의 습관’은 좋은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마음의 습관’이 변화를 일으키기에는 너무 사소한 것이라고 생각될 때, 우리는 저자가 인용했던 미국의 역사학자 하워드 진의 말을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다.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정의를 위한 (모든) 투쟁의 핵심 요소는 잠깐 동안만이라도, 두려움에 휩싸여 있는 동안이라도 한 걸음 나서면서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심지어 가장 작고 비영웅적인 행동들이 불쏘시개로 쌓여나가다가 어떤 놀라운 상황에서 격렬한 변화로 점화될 수 있다.(p. 64.)
===





2021/01/30

문재인 대통령도 읽은 책…파커 파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경향신문

[김유진 기자의 크로스북리뷰]문재인 대통령도 읽은 책…파커 파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경향신문

문재인 대통령도 읽은 책…파커 파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김유진 기자 yjkim@kyunghyang.com

입력 : 2018.08.26 


지난 3월 파커 J 파머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저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이 문재인 대통령 앞에 놓여있는 사진을 게시하면서 이 책의 판매량이 급등했다. 페이스북 화면 캡처


이달초 문재인 대통령이 여름휴가 중 읽은 세 권의 책이 공개되자마자 일약 베스트셀러에 올랐습니다. 이른바‘문프(문재인 프레지던트) 셀러’의 위상을 보여줬다는 평이 나왔는데요.


미국의 사회운동가 파커 J 파머가 쓴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2012)도 그중 하나입니다. 지난 3월 파머가 페이스북에 2014년 8월 세월호특별법 제정 촉구 단식 농성을 벌이던 문대통령의 곁에 자신의 책이 놓여있는 사진 한 장을 게시하면서, 이 책의 판매량이 무려 40배나 뛰어오른 바 있죠.


미국에서 2011년 출간된 이 책의 원제는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직역하면‘민주주의의 마음을 치료하기’라는 뜻입니다. 파머는 수도, 전기, 철도 등이 국가의 기본 인프라를 이루듯이, 민주주의를 탄탄하게 만드는 인프라는 다름 아닌 마음이며,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위한 ‘마음의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뉴햄프셔대 교육학과 브루스 멀로리 교수는 미국 학술 저널‘민주주의와 교육’ 제20호에 기고한 서평에서 이 책이 “미국 민주주의의 현실과 교육 제도의 역할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는 21세기초에 나온 저작들 중 가장 중요한 책이다”며 특히 “숙의민주주의 운동의 참여자들, 효과적이고 활동적인 시민이 되려는 젊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이들, 현대 정치를 관통하는 흐름에 깊은 절망감을 느끼는 이들”을 거론했습니다.


한국어판 제목에 쓰인 ‘비통한 자들(the brokenhearted)’을 달리 해석하면‘마음이 부서진 자들’인데요. 저자는 “마음이 부서져 흩어진 게 아니라 깨져서 열린 사람들이 정치의 주축을 이룬다면, 보다 평등하고 정의롭고 자비로운 세계를 위해 차이를 창조적으로 끌어안고 힘을 용기있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18세기 중반 미국의 퀘이커 교도 존 울만은 부서진 마음이 지닌 정치적 잠재력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울만은 많은 상류층 퀘이커 신자들이 노예주라는 사실과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종교적 신념 사이에서 몹시 괴로워했지만, 분노를 토해내는 대신 노예주들이 스스로 모순을 직시하도록 끈질기게 설득했습니다. 결국 퀘이커 공동체는 미국 종교 공동체 중 최초로 노예 해방을 지지하게 됩니다. UC버클리대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를 받고 공동체 조직가로 일했던 파머는 그 자신이 독실한 퀘이커 교도이기도 합니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의 저자 파커 J 파머. 파머는 미국의 저명한 사회운동가이자 고등교육 전문가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이 책에서 파머는 9.11 테러 이후 미국을 지배하는 편집증적 공포, 특히 국경 너머의 타자들을 불신하고 서로를 이방인으로 만드는 현실을 심각하게 우려합니다. 출판전문지 퍼블리셔스 위클리는 “저자는 시민 참여의 위축. 과두제의 부상, 사려깊은 공적 토론의 실종 등 지금의 정치 환경을 대담하게 비판한다”면서 “공적인 삶의 본질적인 질문들과 씨름하는 일은 치유적이기도 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올해 79세인 파머는 1997년용기와 회복 센터’를 설립해 각계 각층 미국인들에게 인문학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4년 미국에서 페이퍼백으로 출간된 이 책의 개정판에서는 미국 헌법의 첫 문장인 ‘우리 미국인(We the People)’의 의미를 되새길 것을 강조했습니다. 민주주의를 완성하는 힘이 우리 각자의 마음의 습관에 달려 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입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8261507001&code=960205#csidxdeb19a459a8576bbd99f05bc408cf41

2016/05/29

민주주의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참된 영성이다 - 뉴스앤조이

민주주의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참된 영성이다 - 뉴스앤조이

민주주의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참된 영성이다 
파커 파머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

이원석  | 2015.12.14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는 <뉴스앤조이> '톨레레게' 12월 21일(월) 모임에서 나눌 책입니다. 톨레레게에 참가하길 원하시거나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편집자 주

===
 
교육학에 어느 정도 관심 있는 독자라면 거의 다 파커 파머(Parker J. Palmer)를 알 것이다. 기독교 교육학자로 시작한 그의 경력은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To Know as We Are Known>(IVP)을 통해 나래를 단다. 이 책은 비교적 얇은 지면 속에 교육의 영성적 차원에 대한 심오한 성찰을 담아낸 걸작이다(서문에 소개하듯이 여기에는 헨리 나우웬의 영향이 스며 있다). 이로 인해 교육학계의 구루로 거듭난 그의 포지션은 <가르칠 수 있는 용기 Courage To Teach>(한문화)로 귀결된다(아마도 이 제목은 폴 틸리히가 예일대에서 했던 테리 강연을 책으로 묶어 펴낸 저작, <존재에의 용기 Courage to Be>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정치, 영성, 마음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 파커 파머 지음 / 김찬호 옮김 / 글항아리 펴냄 / 328쪽 / 1만 5,000원

 
갈수록 확장되는 파커 파머의 영향력은 교육의 장을 넘어 사회 전체를 향하게 된다(또한 이에 따라 그의 접근 방식은 기독교적 언어와 개념을 넘어 개방적이고 포괄적으로 진전하게 된다). 그러한 결실이 바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이다. 민주주의를 열렬하게 추구하는 미국 시민의 한 명으로서 써낸 이 작품 이면에는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퀘이커 교도(202쪽)로서의 영혼이 불타오르고 있다. 따라서 "폭력은 절대로 답이 될 수 없다"(36쪽)는 게 그의 타협할 수 없는 신념이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정치를 다루지만, 실제로는 영성을 강조하는 책이다.

정치와 영성이 마음이라는 단어에서 수렴된다. 이와 관련해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의 원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원제('민주주의의 마음을 치유하기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를 구성하는 세 단어(민주주의, 마음, 치유) 모두가 중요하다. 사실 역서의 제목은 서문의 제목(The Politics of the Brokenhearted)을 풀어 옮긴 것이다. 파머는 마음이 상한 자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민주주의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은 곧 마음이 상한 자들이 정치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것은 링컨이 인간적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향해 상한 마음을 개방해 나갈 때 실행했던 정치다."(38쪽)

마음의 치유에서 정치적 용기로

마음(heart)은 "자아의 핵심을 가리"(38쪽)키며, 여기에서 지정의가 통합된다. heart의 어원은 라틴어 cor인데, 이는 courage의 어원이기도 하다. "우리가 자아와 세계라고 이해하는 모든 것이 마음이라고 불리는 중심부에서 하나가 될 때 자신이 아는 바에 따라 인간적으로 행동할 용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38쪽) 마음과 용기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치유가 발생한다. 마음이 상한 자들, 곧 비탄한 자들이야말로 우리와 너희, 당위와 현실의 간극을 오롯이 껴안으며 긴장을 감수하는 이들이다. 이때 필요한 덕성이 바로 용기이다. 원서의 부제가 보여 주듯이 우리에게는 '인간 영혼에 조응하는 정치를 창조하려는 용기'가 필요하다.

용기는 한 면으로 미국적 덕성이다. 미국 개척의 역사는 스스로 돌보고(self-help, 자기 계발), 스스로 지키는 태도를 미국적 삶의 기본자세로 만들었다. 하지만 다른 한 면으로 보면, 용기는 예언자적 덕성이다. 예언자는 강자 앞에서는 강하지만, 약자 앞에서 온유(배려)하다. 약자와 소수자를 대하는 태도는 우리에게도 중요하다. 예수님이 양과 염소를 가르는 기준이 바로 소자(약자)를 대하는 태도이기 때문이다. 강자 앞에 당당하게 서고, 약자 곁에 함께 서 있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이 용기이다.

나아가 용기의 미덕은 국가를 바르게 세우는 주요한 토대가 된다.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그 자체뿐'이라는 선언은 어디로 갔는가? 폭력은 문제를 해결하는 듯 보이지만 결국에는 적어도 그만큼의 다른 문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언제쯤 깨닫게 될까? (중략) 국가의 위대함을 가늠하는 척도는 강자가 얼마만큼 성공하느냐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약자를 얼마나 잘 지지하는가에 달려 있다는 것을 왜 이해하지 못하는가?"(33쪽) 약자를 지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렇게 예언자적으로, 아니 "인간적으로 행동할 용기"(38쪽)가 부재하는 이유는 마음의 통합(치유)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민주주의의 마음

상한 마음의 치유를 개인적 맥락으로 한정해서는 곤란하다. 원제가 말해 주듯이 민주주의의 마음 또한 치유되어야 하는 대상이다. 폭력이 가해지는 상황은 언제나 치유를 요청한다. "군인들의 마음에 가해진 폭력은 자아와 공동체에 대한 감각을 부숴 버린다. 그리고 폭력은 전쟁터에서만 가해지는 것이 아니다. (중략) 따라서 정치에서 상대방을 악마화하거나, 절박한 인간적 요구를 무시한 채 정치적으로 편리한 결정을 내릴 때, 우리는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다."(40쪽)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정치는 게임이거나 투쟁일 것이다. 하지만 참된 정치는 그저 자기 욕망을 따르는 게임도 아니고,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투쟁도 아니다.


"제대로 이해한다면 정치는 절대로 게임이 아니다. 그것은 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오래되고 고귀한 인간적인 노력이다. 거기에서는 강자만이 아니라 약자도 번영할 수 있고, 사랑과 권력이 협력할 수 있으며, 정의와 너그러움이 함께 실현될 수 있다." (41쪽) 이러한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의 마음이 치유되어야 한다.

우리는 "민주주의는 항상 위기에 처해 있다"(43쪽)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파커 파머는 "민주주의는 끝이 없는 실험이고, 그 성과는 결코 확신할 수 없다"(15쪽)고 말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민주주의가 "시민이 이룩한 최고의 정치적 성취"(18쪽)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렇게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두 가지가 요청된다. 한 면으로 대중매체가 시민의 정치적 무력감을 조장하는 방식에 저항해야 하고, 다른 한 면으로 창조적(생산적)으로 긴장(갈등)을 끌어안는 "마음의 습관"(17쪽)을 들여야 한다.

'마음의 습관'이라는 용어는 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한길사)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이 습관, 즉 우리를 통제하는 습속인 아비투스(Habitus)가 민주주의를 형성하고 지탱하는 것이다. 민주주의 형성을 위해 제도적 차원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마음의 차원이다. 파커 파머는 우리 생활을 지탱하는 여러 물리적 인프라가 소홀하게 취급되는 이상으로 무심하게 다루어져 왔던 민주주의 인프라의 두 층위에 주목한다. "인간의 마음이 지닌 보이지 않는 역동 그리고 그 역동이 형성되는 가시적인 삶의 현장들이 그것이다."(43쪽) 그러니까 민주주의가 부흥하기 위해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곳은 무엇보다도 마음이다.

우리의 마음이야말로 민주주의 형성과 지속, 그리고 부흥을 위한 참된 출발점이다. "각자 안에 존재하는 마음을 통해 우리는 두려움을 극복하고 우리가 서로에게 구성원임을 새롭게 발견하면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갈등을 끌어안을 수 있다."(43~44쪽) 정상적인 민주주의는 인간 사이와 집단 사이의 갈등을 전제한다. 이러한 갈등은 당연히 인간의 마음을 상하게 만든다. 하지만 파커 파머는 이렇게 마음이 깨어지는 가운데 마음이 열릴 수 있다고 본다. 바로 여기에서 정치가 시작되어야 한다. 마음이 열릴 때, 다시 말해 마음이 치유될 때에 인간적으로 행동할 용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정치란 권력을 사용하여 삶에 질서를 함께 부여하는 행위로서, 심층적으로 하나의 인간적인 기획이다. 마음이 부서져 흩어진 게 아니라 깨져서 열린 사람들이 정치의 주축을 이룬다면, 보다 평등하고 정의롭고 자비로운 세계를 위해 차이를 창조적으로 끌어안고 힘을 용기 있게 사용할 수 있다." (57쪽) 민주주의의 교육

정치의 영성적 차원을 다루는 파커 파머의 논의는 넓고 깊다. 각 장마다 풍요로운 통찰이 숨어 있어서 여기에서 자세하게 다루는 것조차도 벅차다. 여기에서는 민주주의 교육 공간에 대한 파머의 논의를 소개하는 것으로 한정 지으려고 한다. 민주주의의 형성과 지속은 창조적으로 긴장을 끌어안는 마음의 습관을 형성하는 데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한 양육 공간으로 그가 제시하는 것이 바로 학교와 종교 공동체이다. 교회와 학교는 우리를 내적으로 바로 형성하거나 일그러뜨릴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세계에 대한 심상을 내면화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 양육의 장은 동시에 시민 형성의 장이 된다.


"종교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우리는 미리 정해진 결과에 구애받지 않고, 내면 탐구를 수행하도록 여러 방법으로 도와야 한다. 그것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침과 자원들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는 그런 과정에서 민주주의를 가능케 하는 어떤 마음의 습관을 형성해 가고 있을 것이다." (203쪽)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먼저는 자신이 가르치는 "과목에 담겨 있는 '큰 이야기'를 학생의 삶에 있는 '작은 이야기'와 분명하게 연결시키(206쪽)"는 것이다. 학교에서 5·18 민주화 투쟁을 가르친다면 [?] , 한 면으로 지금 주변에서 일어나는 지역 차별 문제(현실 세계)에, 다른 한 면으로 어둠의 힘이 넘실거리는 학생의 내면세계에 이를 연결해야 한다. 또한 이에 더해 "학교 안에서 민주주의를 실행"(211쪽)해야 한다. "교사에게 요구되는 도전은 시민 교육적 가르침의 실천 모델을 창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를 그런 교육을 지지하는 장소로 바꾸는 투쟁에 앞장서는 것이다."(213쪽)

하지만 사실상 공교육이 무너지고 사교육이 그 권위를 찬탈한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이런 제안들을 실행하는 것이 도대체 가능해 보이지 않는다. 물론 홈스쿨링이나 마을 공동체에서의 공동 교육 등 해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좋은 대안 교육을 통해서 파머가 제시하는 그림에 근접하는 결실을 얻는 경우도 종종 목격한다. 이는 학교 안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교사와 동료 학생들로 이루어진 올바른 교육 공동체가 인간 형성에 선하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작은 희망의 증거로 대안 교육을 제시할 수 있다(물론 대안 학교가 또 다른 귀족 교육으로 전락한 위험성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적 맥락에서 볼 때 학교보다 더욱 심각한 것이 바로 교회다(지금 여기에서 다른 종교 공동체 현실까지 언급할 필요는 없다). 그저 '개독교'라는 단어 하나로 모든 것이 설명된다. 굳이 다른 말이 더 필요하겠는가. 안타깝게도 좋은 대안 학교를 찾는 것보다 좋은 지역 교회를 찾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운 실정이다. 개혁적 성향으로 잘 알려진 교회조차도 많은 경우에 "교회 생활 속에 감춰진 커리큘럼을 바꿔야"(221쪽) 하는 형편에 처해 있다. 목회자와 성도들의 관계 속에서 구현되는 위계적 현실이 강단에서 선포하는 복음적 메시지와 엇갈린다. 많은 설교가 공허한 울림으로 전락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모든 사람의 목소리가 들릴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지도자가 일관성 있게 끌어안게 되면 어떤 배움의 공동체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그 안에서 사람들은 민주주의가 필요로 하는 겸손함과 뻔뻔스러움의 혼합물을 터득할 수 있게 된다. 그 공동체가 강인해지면서 평신도는 일상생활로 돌아와 신앙과 경험이 서로에게 어떤 식으로 조응하고, 적절한 반응이 일어나는지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226쪽) 

민주주의 동력으로서의 고독과 공동체

미국 교회와 학교도 실은 한국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파커 파머는 미국 교육계와 종교계의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교육을 위해 학교와 교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지시한다. 이는 마음의 영역에 대한 성찰을 촉구한다. 제도의 민주주의는 마음의 민주주의를 전제한다. 파머는 마음을 변혁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의 문제를 제기한다. "우리를 해방시키거나 제한하는 관념의 공간은 늘 바깥에서만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안으로부터도 생겨난다. (중략) 관념의 공간이 솟아나는 샘은 인간의 마음이다. 그래서 테리 템페스트 윌리엄스는 마음을 가리켜 '민주주의의 첫 번째 집'이라고 불렀다."(242쪽)

마음 자체는 눈에 보이지 않으나, 타자를 압도하는 공포의 순간과 타자를 포용하는 은총의 순간에 그 영향력을 드러낸다. 더불어 다른 힘에 의해 영향 받기도 한다. 우리의 정치적인 개념의 공간을 채우는 것은 주로 대중매체이다. 우리가 스스로 마음을 잘 관리하지 않는다면 미디어가 정치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형성하게 마련이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현대인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자극적 뉴스에 중독되어 있다. 파커 파머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민주주의의 시민이 되고자 한다면 대중매체가 아닌 개인적 경험에 의해 규정되는 개념의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 공간에서 안으로부터 들려오는 뉴스를 접할 수 있다."(246쪽)

신화 연구가 조셉 캠벨에 따르면, 누구에게나 "자신이 누구이고,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를 온전히 경험하고 말할 수 있는 장소"(247쪽)가 필요하다. 마음속으로 더욱 들어가기 위해 홀로 머무르는 공간을 확보하라는 것이다. "세상의 뉴스는-천국 같은 것이든 지옥 같은 것이든 모두-마음속에서 시작된다."(247쪽) 자기 마음에 대해 알게 되는 만큼 세상을 더욱 잘 알게 된다고 파커 파머는 말한다. 따라서 고독한 묵상의 여정에 생을 바친 수도사 토마스 머튼을 주목하는 것이다. "수도사가 된다는 것은 세상으로부터 절연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으로 더욱 깊숙하게 들어가는 것"(247쪽)이다.

또한 고독을 위한 공간에서 더불어 있는 모임으로 나아가야 한다. "민주주의를 작동하게 하는 마음의 습관을 형성하는 차원으로 가면 고독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에게는 낯선 사람들과 함께하는 작은 모임의 안전한 공간도 필요하다."(251쪽) 이는 그런 공간 안에서 "우리가 타인과 함께 자신의 마음을 회복하고, 연습하고 개방할 수 있"고, "그 자리에 모여서 서로에게 더 잘 연결되고, 민주주의의 긴장을 창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만남을 위해 파커 파머는 '신뢰의 서클' 결성에 주력한다. 그는 또한 오바마 대선 캠프가 이러한 나눔을 위한 공간을 제공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영성

이제까지 보여 준 바와 같이 파커 파머는 교사의 교사에서 이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을 통해 정치의 교사로 우뚝 서 있다. 교육학계의 구루에서 민주주의의 구루로 진화한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파머는 우리에게 민주주의의 영성을 보여 준다. 민주주의는 종교개혁이 새롭게 천명한 복음의 능력을 정치적으로 전유한다. 민주주의는 인간적인 동시에 종교적이다. 영적인 동시에 윤리적이다. 민주주의에 기반한 삶은 곧 낯선 사람과 함께하는 삶이다. 이웃과 공존하고 타자를 환대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촉구하는 윤리적 삶이며, 종교적 사명이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효율성이라는 척도로 평가할 수 없고, 인격적 충실함이라는 기준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 "충실함이 우리의 기준이 될 때 결코 완수될 수 없는 과업에 계속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정의를 실현하고, 자비를 사랑하며, 사랑스러운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300쪽) 그렇기 때문에 민주주의는 하나님나라가 궁극적으로 완성될 때에야 온전히 실현된다. 민주주의의 완성은 하나님으로 말미암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민주주의 성취와 지속의 과업은 구원론적인 것이다. 우리의 최선에 주님의 은총이 임해야 한다. [?] 이것은 파머가 라인홀드 니버의 아래와 같은 인용문으로 책을 마무리하는 이유이다.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 가운데 그 어느 것도 우리의 생애 안에 성취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받아야 한다. 진실하거나 아름답거나 선한 것은 어느 것도 역사의 즉각적인 문맥 속에서 완전하게 이해되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는 믿음으로 구원받아야 한다. 우리가 하는 일이 아무리 고결하다 해도 혼자서는 결코 달성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사랑으로 구원받아야 한다." (301쪽) 그러니까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심리학으로 출발하여 신학에서 종결된다. 서문을 우울증의 세 번째 발병(33쪽)과 회복에 대한 회고로부터 시작하는 이 정치적 매뉴얼은 정치의 심리학(치유와 통합)이자 동시에 정치의 신학(구원과 종말)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둘은 하나다. 종교적 영성이 곧 심리적 치유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의 척박한 정치 현실에서도 역시 민주주의의 영성이 필요하다. 우리의 정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마음을 바로 세우는 것이다.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은 정치 변혁을 갈망하는 시민들의 내면 변혁을 위한 최고의 지침이다.


===

<뉴스앤조이> '톨레레게' 12월 2차 모임 참가 신청
12월의 주제는 '정치'입니다.
2차 모임에서는 파커 파머의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를 읽습니다. 이원석 작가가 모임을 인도합니다. 12월 21일(월) 저녁 7시 30분, <뉴스앤조이> 사무실에서 진행합니다.
톨레레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참가 신청서를 작성해 주세요^^
●일시: 12월 21일(월) 저녁 7시 30분
●장소: <뉴스앤조이> 사무실
*숙대입구역(4호선) 10번 출구에서 5분 거리, 남영역(1호선) 1번 출구에서 10분 거리. 오시는 길(클릭)
●진행: 이원석 작가
●도서: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글항아리)
●회비: 5,000원
●문의: 070-7872-2342, newsnjoy@newsnjoy.or.kr
verbs@hanmail.net(이원석 작가)
모임 참가 신청하기(클릭)


이원석 / 작가, 문화연구자, <뉴스앤조이> 편집위원. 한국 교회와 사회의 본질이 교양의 부재에 있다고 보기에 교양 사회의 구축을 사명으로 생각하며 집필과 강의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거대한 사기극>·<공부란 무엇인가>·<인문학 페티시즘> 등이 있다.


톨레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