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7

Head& Heart Together 2] No Strings Attached

  Ṭhānissaro Bhikkhu 

 No Strings Attached

The Buddha’s Culture of Generosity

“How can I ever repay you for your teaching?”

Good meditation teachers often hear this question from their students, and the best answer I know for it is one that my teacher, Ajaan Fuang, gave every time:

“By being intent on practicing.”

Each time he gave this answer, I was struck by how noble and gracious it was. And it wasn’t just a formality. He never tried to find opportunities to pressure his students for donations. Even when our monastery was poor, he never acted poor, never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ir gratitude and trust. This was a refreshing change from some of my previous experiences with run-of-the-mill village and city monks who were quick to drop hints about their need for donations from even stray or casual visitors.

Eventually I learned that Ajaan Fuang’s behavior is common throughout the Forest Tradition. It’s based on a passage in the Pāli Canon where the Buddha on his deathbed states that the highest homage to him is not material homage, but the homage of practicing the Dhamma in accordance with the Dhamma. In other words, the best way to repay a teacher is to take the Dhamma to heart and to practice it in a way that fulfills his or her compassionate purpose in teaching it. I was proud to be part of a tradition where the inner wealth of this noble idea was actually lived—where, as Ajaan Fuang often put it, we weren’t reduced to hirelings, and the act of teaching the Dhamma was purely a gift.

So I was saddened when, on my return to America, I had my first encounters with the dāna talk: the talk on giving and generosity that often comes at the end of a retreat. The context of the talk—and often the content—makes clear that it’s not a disinterested exercise. It’s aimed at generating gifts for the teacher or the organization sponsoring the retreat, and it places the burden of responsibility on the retreatants to ensure that future retreats can occur. The language of the talk is often smooth and encouraging, but when contrasted with Ajaan Fuang’s answer, I found the sheer fact of the talk ill-mannered and demeaning. If the organizers and teachers really trusted the retreatants’ good-heartedness, they wouldn’t be giving the talk at all. To make matters worse, the typical dāna talk—along with its companion, the meditation-center fundraising letter—often cites the example of how monks and nuns are supported in Asia as justification for how dāna is treated here in the West. But they’re taking as their example the worst of the monks, and not the best.

I understand the reasoning behind the talk. Lay teachers here aspire to the ideal of teaching for free, but they still need to eat. And, unlike the monastics of Asia, they don’t have a long-standing tradition of dāna to fall back on. So the dāna talk was devised as a means for establishing a culture of dāna in a Western context. But as so often is the case when new customs are devised for Western Buddhism, the question is whether the dāna talk skillfully translates Buddhist principles into the Western context or seriously distorts them. The best way to answer this question is to take a close look at those principles in their original context.

It’s well known that dāna lies at the beginning of Buddhist practice. Dāna, quite literally, has kept the Dhamma alive. If it weren’t for the Indian tradition of giving to mendicants, the Buddha would never have had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find the path to Awakening. The monastic Saṅgha wouldn’t have had the time and opportunity to follow his way. Dāna is the first teaching in the graduated discourse: the list of topics the Buddha used to lead listeners step-by-step to an appreci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often from there to their own first taste of Awakening. When stating the basic principles of karma, he would begin with the statement, “There is what is given.”

What’s less well known is that in making this statement, the Buddha was not dealing in obvious truths or generic platitudes, for the topic of giving was actually controversial in his time. For centuries, the brahmans of India had been extolling the virtue of giving—as long as the gifts were given to them. Not only that, gifts to brahmans were obligatory. People of other castes, if they didn’t concede to the brahmans’ demands for gifts, were neglecting their most essential social duty. By ignoring their duties in the present life, such people and their relatives would suffer hardship both now and after death.

As might be expected, this attitude produced a backlash. Several of the samaṇa, or contemplative, movements of the Buddha’s time countered the brahmans’ claims by asserting that there was no virtue in giving at all. Their arguments fell into two camps. One camp claimed that giving carried no virtue because there was no afterlife. A person was nothing more than physical elements that, at death, returned to their respective spheres. That was it. Giving thus provided no long-term results. The other camp stated that there was no such thing as giving, for everything in the universe has been determined by fate. If a donor gives something to another person, it’s not really a gift, for the donor has no choice or free will in the matter. Fate was simply working itself out.

So when the Buddha, in his introduction to the teaching on karma, began by saying that there is what is given, he was repudiating both camps. Giving does give results both now and on into the future, and it is the result of the donor’s free choice. However, in contrast to the brahmans, the Buddha took the principle of freedom one step further. When asked where a gift should be given, he stated simply, “Wherever the mind feels inspired.” In other words—aside from repaying one’s debt to one’s parents—he imposed no obligation to give. This means that the choice to give is an act of true freedom, and thus the perfect place to start the path to total release.

This is why the Buddha adopted dāna as the context for practicing and teaching the Dhamma. But—to maintain the twin principles of freedom and fruitfulness in giving—he created a culture of dāna that embodied particularly Buddhist ideals. To begin with, he defined dāna not simply as material gifts. The practice of the precepts, he said, was also a type of dāna—the gift of universal safety, protecting all beings from the harm of one’s unskillful actions—as was the act of teaching the Dhamma. This meant that lavish giving was not just the prerogative of the rich. Secondly, he formulated a code of conduct to produce an attitude toward giving that would benefit both the donors and the recipients, keeping the practice of giving both fruitful and free.

We tend not to associate codes of conduct with the word “freedom,” but that’s because we forget that freedom, too, needs protection, especially from the attitude that wants to be free in its choices but feels insecure when others are free in theirs. The Buddha’s codes of conduct are voluntary—he never coerced anyone into practicing his teachings—but once they are adopted, they require the cooperation of both sides to keep them effective and strong.

These codes are best understood in terms of the six factors that the Buddha said exemplified the ideal gift:

“The donor, before giving, is glad; while giving, his/her mind is inspired; and after giving, is gratified. These are the three factors of the donor….

“The recipients are free of passion or are practicing for the subduing of passion; free of aversion or practicing for the subduing of aversion; and free of delusion or practicing for the subduing of delusion. These are the three factors of the recipients.” — AN 6:37

Although this passage seems to suggest that each side is responsible only for the factors on its side, the Buddha’s larger etiquette for generosity shows that the responsibility for all six factors—and in particular, the three factors of the donor—is shared. And this shared responsibility flourishes best in an atmosphere of mutual trust.

For the donors, this means that if they want to feel glad, inspired, and gratified at their gift, they should not see the gift as payment for personal services rendered by individual monks or nuns. That would turn the gift into wages, and deprive it of its emotional power. Instead, they’d be wise to look for trustworthy recipients: people who are training—or have trained—their minds to be cleaned and undefiled. They should also give their gift in a respectful way so that the act of giving will reinforce the gladness that inspired it, and will inspire the recipient to value their gif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recipients, however, are even more stringent. To ensure that the donor feels glad before giving, monks and nuns are forbidden from pressuring the donor in any way. Except when ill or in situations where the donor has invited them to ask, they cannot ask for anything beyond the barest emergency necessities. They are not even allowed to give hints about what they’d like to receive. When asked where a prospective gift should be given, they are told to follow the Buddha’s example and say, “Give wherever your gift would be used, or would be well-cared for, or would last long, or wherever your mind feels inspired.” This conveys a sense of trust in the donor’s discernment—which in itself is a gift that gladdens the donor’s mind.

To ensure that a donor feels inspired while giving a gift, the monks and nuns are enjoined to receive gifts attentively and with an attitude of respect. To ensure that the donor feels gratified afterward, they should live frugally, care for the gift, and make sure it is used in an appropriate way. In other words, they should show that the donor’s trust in them is well placed. And of course they must work on subduing their greed, anger, and delusion. In fact, this is a primary motivation for trying to attain arahantship: so that the gifts given to one will bear the donors great fruit.

By sharing these responsibilities in an atmosphere of trust, both sides protect the freedom of the donor. They also foster the conditions that will enable not only the practice of generosity but also the entire practice of Dhamma to flourish and grow.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fruitfulness also govern the code the Buddha formulated specifically for protecting the gift of Dhamma. Here again, the responsibilities are shared. To ensure that the teacher is glad, inspired, and gratified in teaching, the listeners are advised to listen with respect, to try to understand the teaching, and—once they’re convinced that it’s genuinely wise—to sincerely put it into practice so as to gain the desired results. Like a monk or nun receiving a material gift, the recipient of the gift of Dhamma has the simple responsibility of treating the gift well.

The teacher, meanwhile, must make sure not to regard the act of teaching as a repayment of a debt. After all, monks and nuns repay their debt to their lay donors by trying to rid their mind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They are in no way obligated to teach, which means that the act of teaching is a gift free and clear. In addition, the Buddha insisted that the Dhamma be taught without expectation of material reward. When he was once offered a “teacher’s fee” for his teaching, he refused to accept it and told the donor to throw it away. He also established the precedent that when a monastic teaches the rewards of generosity, the teaching is given after a gift has been given, not before, so that the stain of hinting won’t sully what’s said.

All of these principles assume a high level of nobility and restraint on both sides of the equation, which is why people tried to find ways around them even while the Buddha was alive. The origin stories to the monastic discipline—the tales portraying the misbehavior that led the Buddha to formulate rules for the monks and nuns—often tell of monastics whose gift of Dhamma came with strings attached, and of lay people who gladly pulled those strings to get what they wanted out of the monastics: personal favors served with an ingratiating smile. The Buddha’s steady persistence in formulating rules to cut these strings shows how determined he was that the principle of Dhamma as a genuinely free gift not be an idle ideal. He wanted it to influence the way people actually behaved.

He never gave an extended explanation of why the act of teaching should always be a gift, but he did state in general terms that when his code of conduct became corrupt over time, that would corrupt the Dhamma as well. And in the case of the etiquette of generosity, this principle has been borne out frequently throughout Buddhist history.

A primary example is recorded in the Apadānas, which scholars believe were added to the Canon after King Asoka’s time. The Apadānas discuss the rewards of giving in a way that shows how eager the monks composing them were to receive lavish gifts. They promise that even a small gift will bear fruit as guaranteed arahantship many eons in the future, and that the path from now to then will always be filled with pleasure and prestige. Attainments of special distinction, though, require special donations. Some of these donations bear a symbolic resemblance to the desired distinction—a gift of lighted lamps, for instance, presages clairvoyance—but the preferred gift of distinction was a week’s worth of lavish meals for an entire monastery, or at least for the monks who teach.

It’s obvious that the monks who composed the Apadānas were giving free rein to their greed, and were eager to tell their listeners what their listeners wanted to hear. The fact that these texts were recorded for posterity shows that the listeners, in fact, were pleased. Thus th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cting in collusion, skewed the culture of dāna in the direction of their defilements. In so doing they distorted the Dhamma as well. If gift-giving guarantees Awakening, it supplants the noble eightfold path with the one-fold path of the gift. If the road to Awakening is always prestigious and joyful, the concept of right effort disappears. Yet once these ideas were introduced into the Buddhist tradition, they gained the stamp of authority and have affected Buddhist practice ever since. Throughout Buddhist Asia, people tend to give gifts with an eye to their symbolic promise of future reward; and the list of gifts extolled in the Apadānas reads like a catalog of the gifts placed on altars throughout Buddhist Asia even today.

Which goes to show that once the culture of dāna gets distorted, it can distort the practice of Dhamma as a whole for many centuries. So if we’re serious about bringing the culture of dāna to the West, we should be very careful to ensure that our efforts honor the principles that make dāna a genuinely Buddhist practice. This means no longer using the tactics of modern fundraising to encourage generosity among retreatants or Buddhists in general. It also means rethinking the dāna talk, for on many counts it fails the test. In pressuring retreatants to give to teachers, it doesn’t lead to gladness before giving, and instead sounds like a plea for a tip at the end of a meal. The frequent efforts to pull on the retreatants’ heartstrings as a path to their purse strings betray a lack of trust in their thoughtfulness and leave a bad taste. And the entire way dāna is handled for teachers doesn’t escape the fact that it’s payment for services rendered. Whether teachers think about this consciously or not, it pressures them subtly to tell their listeners what they think their listeners want to hear. The Dhamma can’t help but suffer as a result.

The ideal solution would be to provide a framework whereby serious Dhamma practitioners could be supported whether or not they taught. That way, the act of teaching would be a genuine gift. In the meantime, though, a step in the direction of a genuine culture of dāna would be to declare a moratorium on all dāna talks at the end of retreats, and on references to the Buddhist tradition of dāna in fundraising appeals, so as to give the word time to recover its dignity.

On retreats, dāna could be discussed in a general way, in the context of the many Dhamma talks given on how best to integrate Dhamma practice in daily life. At the end of the retreat, a basket could be left out for donations, with a note that the teacher hasn’t been paid to teach the retreat. That’s all. No appeals for mercy. No flashcards. Sensitive retreatants will be able to put two and two together, and will feel glad, inspired, and gratified that they were trusted to do the math for themselves.

Head& Heart Together 1] The Lessons of Gratitude

 Ṭhānissaro Bhikkhu 



Contents

  1. The Lessons of Gratitude
  2. No Strings Attached
  3. The Power of Judgment
  4. Think Like a Thief
  5. Strength Training for the Mind
  6. Mindfulness Defined
  7. The Joy of Effort
  8. Head & Heart Together
  9. The Wisdom of the Ego
  10. Ignorance
  11. Food for Awakening
  12. The Buddha via the Bible
  13. Freedom from Buddha Nature
  1. The Lessons of Gratitude

“These two people are hard to find in the world. Which two? The one who is first to do a kindness, and the one who is grateful and thankful for a kindness done.” — AN 2:118

In saying that kind and grateful people are rare, the Buddha isn’t simply stating a harsh truth about the human race. He’s advising you to treasure these people when you find them, and—more importantly—showing how you can become a rare person yourself.

Kindness and gratitude are virtues you can cultivate, but they have to be cultivated together. Each needs the other to be genuine—a point that becomes obvious when you think about the three things most likely to make gratitude heartfelt:

1) You’ve actually benefited from another person’s actions.

2) You trust the motives behind those actions.

3) You sense that the other person had to go out of his or her way to provide that benefit.

Points one and two are lessons that gratitude teaches kindness: If you want to be genuinely kind, you have to be of actual benefit—nobody wants to be the recipient of “help” that isn’t really helpful—and you have to provide that benefit in a way that shows respect and empathy for the other person’s needs. No one likes to receive a gift given with calculating motives, or in an offhand or disdainful way.

Points two and three are lessons that kindness teaches to gratitude. Only if you’ve been kind to another person will you accept the idea that others can be kind to you. At the same time, if you’ve been kind to another person, you know the effort involved. Kind impulses often have to do battle with unkind impulses in the heart, so it’s not always easy to be helpful. Sometimes it involves great sacrifice—a sacrifice possible only when you trust the recipient to make good use of your help. So when you’re on the receiving end of a sacrifice like that, you realize you’ve incurred a debt, an obligation to repay the other person’s trust.

This is why the Buddha always discusses gratitude as a response to kindness, and doesn’t equate it with appreciation in general. It’s a special kind of appreciation, inspiring a more demanding response. The difference here is best illustrated by two passages in which the Buddha uses the image of carrying.

The first passage concerns appreciation of a general sort:

“Then the man, having gathered grass, twigs, branches, & leaves, having bound them together to make a raft, would cross over to safety on the far shore in dependence on the raft, making an effort with his hands & feet. Having crossed over to the far shore, he might think, ‘How useful this raft has been to me! For it was in dependence on this raft that, making an effort with my hands & feet, I have crossed over to safety on the far shore. Why don’t I, having hoisted it on my head or carrying on my back, go wherever I like?’ What do you think, monks? Would the man, in doing that, be doing what should be done with the raft?”

“No, lord.”

“And what should the man do in order to be doing what should be done with the raft? There is the case where the man, having crossed over to the far shore, would think, ‘How useful this raft has been to me! For it was in dependence on this raft that, making an effort with my hands & feet, I have crossed over to safety on the far shore. Why don’t I, having dragged it on dry land or sinking it in the water, go wherever I like?’ In doing this, he would be doing what should be done with the raft.” — MN 22

The second passage concerns gratitude in particular:

“I tell you, monks, there are two people who are not easy to repay. Which two? Your mother & father. Even if you were to carry your mother on one shoulder & your father on the other shoulder for 100 years, and were to look after them by anointing, massaging, bathing, & rubbing their limbs, and they were to defecate & urinate right there [on your shoulders], you would not in that way pay or repay your parents. If you were to establish your mother & father in absolute sovereignty over this great earth, abounding in the seven treasures, you would not in that way pay or repay your parents. Why is that? Mother & father do much for their children. They care for them, they nourish them, they introduce them to this world.

“But anyone who rouses his unbelieving mother & father, settles & establishes them in conviction; rouses his unvirtuous mother & father, settles & establishes them in virtue; rouses his stingy mother & father, settles & establishes them in generosity; rouses his foolish mother & father, settles & establishes them in discernment: To this extent one pays & repays one’s mother & father.“ — AN 2:32

In other words, as the first passage shows, it’s perfectly fine to appreciate the benefits you’ve received from rafts and other conveniences without feeling any need to repay them. You take care of them simply because that enables you to benefit from them more. The same holds true for difficult people and situations that have forced you to develop strength of character. You can appreciate that you’ve learned persistence from dealing with crabgrass in your lawn, or equanimity from dealing with unreasonable neighbors, without owing the crabgrass or neighbors any debt of gratitude. After all, they didn’t kindly go out of their way to help you. And if you were to take them as models, you’d learn all the wrong lessons about kindness: that simply following your natural impulses—or, even worse, behaving unreasonably—is the way to be kind.

Debts of gratitude apply only to parents, teachers, and other benefactors who have acted with your wellbeing in mind. They’ve gone out of their way to help you, and have taught you valuable lessons about kindness and empathy in the process. In the case of the raft, you’d do best to focus gratitude on the person who taught you how to make a raft. In the case of the crabgrass and the neighbors, focus gratitude on the people who taught you how not to be overcome by adversity. If there are benefits you’ve received from things or situations you can’t trace to a conscious agent in this lifetime, feel gratitude to yourself for the good karma you did in the past that allowed those benefits to appear. And be grateful for the good karma that allows you to receive and benefit from other people’s help in the first place. If you had no good to your credit, they wouldn’t be able to reach you.

As the Buddha’s second passage shows, the debt you owe to your benefactors needn’t be tit for tat, and shouldn’t be directed solely to them. Now, the debt you owe your parents for giving birth to you and enabling you to live is immense. In some passages the Buddha recommends expressing gratitude for their compassion with personal services.

Mother & father,

compassionate to their family,

are called

Brahma,

first teachers,

those worthy of gifts

from their children.

So the wise should pay them

homage,

honor

with food & drink

clothing & bedding

anointing & bathing

& washing their feet.

Performing these services to their parents,

the wise

are praised right here

and after death

rejoice in heaven. — Iti 106

However, AN 2:32 shows that the only true way to repay your parents is to strengthen them in four qualities: conviction, virtue, generosity, and discernment. To do so, of course, you have to develop these qualities in yourself, as well as learning how to employ great tact in being an example to your parents. As it happens, these four qualities are also those of an admirable friend (AN 8:54), which means that in repaying your parents in this way you become the sort of person who’d be an admirable friend to others as well. You become a person of integrity, who—as the Buddha points out—has learned from gratitude how to be harmless in all your dealings and to give help with an empathetic heart: respectfully, in a timely way, and with the sense that something good will come of it (MN 110AN 5:148). In this way, you repay your parents’ goodness many times over by allowing its influence to spread beyond the small circle of the family into the world at large. In so doing, you enlarge the circle of their goodness as well.

This principle also applies to your teachers, as the Buddha told his disciples:

“So this is what you think of me: ‘The Blessed One, sympathetic, seeking our well-being, teaches the Dhamma out of sympathy.’ Then you should train yourselves—harmoniously, cordially, and without dispute—in the qualities I have pointed out, having known them directly: the four frames of reference, the four right exertions, the four bases of power, the five faculties, the five strengths, the seven factors of Awakening, the noble eightfold path.” — MN 103

In other words, the way to repay a teacher’s compassion and sympathy in teaching you is to apply yourself to learning your lessons well. Only then can you spread the good influence of those lessons to others.

As for the debts you owe yourself for your past good karma, the best way to repay them is to use your benefits as opportunities to create further good karma, and not simply enjoy the pleasure they offer. Here again it’s important to remember the hardships that can be involved in acting skillfully, and to honor your past skillful intentions by not allowing them to go to waste in the present. For example, as Ajaan Lee once said, it’s not easy to attain a human mouth, so bow down to your mouth every day. In other words, respect your ability to communicate, and use it to say only what’s timely, beneficial, and true.

These are some of the lessons about kindness and empathy that well-focused gratitude can teach—lessons that teach you how to deal maturely and responsibly in the give and take of social life. Small wonder, then, that the Buddha cited gratitude as the quality defining what it means to be civilized (AN 2:31).

But well-focused gratitude can also teach lessons that apply further to the training of the mind.

First are the lessons touching on the nature of human action itself. The sense that you’ve benefited from another person’s action underscores the point that action does give results; the importance you give to the other person’s motives in helping you underscores the point that the quality of the action lies in the intention behind it; and the sense that the other person went out of his or her way to help you underscores the sense that action isn’t totally determined: You feel indebted to the people who helped you because you sense how easily they might have denied that help, and how difficult your life might have been if that’s what they had chosen to do. Your parents, for instance, didn’t have to raise you, or arrange for someone else to raise you; they could have aborted you or left you to die. So the fact that you’re alive to read this means that somebody chose, again and again, to help you when you were helpless. Sensing that element of choice is what creates your sense of debt.

All three of these points—the efficacy of action, the importance of intention, and the existence of choice—were distinctive elements in the Buddha’s teaching on action. And the emotional resonance that gratitude and empathy give to these points may be the reason why, when the Buddha introduced the basic outline of this teaching, he cited topics connected with these emotions: the value of giving, and the debt owed to one’s parents (MN 117). He couldn’t offer his listeners proof for his three points—that would come only with their experience of Awakening—but by showing how his teaching on action allowed for generosity to be a meaningful action, and gratitude a meaningful emotion, he offered his listeners an emotionally satisfying reason for accepting his words.

Gratitude also gives practice in developing qualities needed in meditation. As the Buddha noted, the practice of concentration centers on the power of perception. Training in gratitude shows how powerful perception can be, for it requires developing a particular set of perceptions about life and the world. If you perceive help as demeaning, then gratitude itself feels demeaning; but if you perceive help as an expression of trust—the other person wouldn’t want to help you unless he or she felt you would use the help well—then gratitude feels ennobling, an aid to self-esteem. Similarly, if you perceive life as a competition, it’s hard to trust the motives of those who help you, and you resent the need to repay their help as a gratuitous burden. If, however, you perceive that the goodness in life is the result of cooperation, then the give and take of kindness and gratitude become a much more pleasant exchange.

Similarly, gratitude requires mindfulness, in the Buddha’s original sense of the word as keeping something in mind. In fact,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qualities extends to language itself. In Pāli, the word for gratitude—kataññū—literally means to have a sense of what was done. In SN 48:10, the Buddha defines mindfulness as “remembering & able to call to mind even things that were done & said long ago.” Our parents’ instructions to us when we were children—to remember the kindnesses of others—are among our first lessons in mindfulness. As we develop our sense of gratitude, we get practice in strengthening this quality of mind.

However, not all the lessons taught by gratitude and empathy are of a heartwarming sort. Instead, they give rise to a sense of saṁvega—which can be translated as dismay or even terror—over how risky and precarious the goodness of the world can be. To begin with, there’s the fact that you can’t choose beforehand whose kindness you’ll be indebted to. There’s no telling what kind of parents you’ll get. As the Buddha rightly notes, some parents are stingy, immoral, and foolish. Not only are they abusive to their children, but they also might not be content or even pleased with the type of repayment the Buddha says is best for them. They may demand an unreasonable level of repayment, involving actions that are downright harmful for you, themselves, and others. And yet this doesn’t cancel the debt you owe them for the simple fact that they’ve enabled you to live.

You’ve probably heard of the passage in which the Buddha says,

“A being who has not been your mother at one time in the past is not easy to find…. A being who has not been your father … your brother…. your sister…. your son…. your daughter at one time in the past is not easy to find. Why is that? From an inconceivable beginning comes transmigration.”

When you think about how difficult each of these relationships can be, it’s no surprise that the Buddha didn’t say this to make you feel warmhearted to all the beings you meet. He said it to induce saṁvega:

“Long have you thus experienced stress, experienced pain, experienced loss, swelling the cemeteries—enough to become disenchanted with all fabricated things, enough to become dispassionate, enough to be released.” — SN 15:14-19

Even the debts of gratitude you owe to yourself for the good actions you’ve done are enough to induce a sense of dis-ease. You know that not all your past intentions have been skillful, and yet these are the things that will shape the conditions of your life now and into the future. You’re in a precarious position—enough to make you want to find a way out even of the network of kindness and gratitude that sustains whatever goodness there is in the world.

This desire grows even stronger when you allow your empathy to spread to those who have had to make unwilling sacrifices to keep you alive. Every day, the Buddha advised, you should reflect on the fact that life depends on the requisites of food, clothing, shelter, and medicine. Many are the beings who have had to die and suffer other hardships because of your need for these things. Contrary to the song that concludes Mahler’s Fourth Symphony, lambs don’t gleefully jump into the stewpot to feed you. And even if—when you’re in the fortunate position to be able to decide what kind of food you eat—you adhere to a vegetarian diet, you still owe an enormous debt to the farmers and workers who have had to slave under harsh conditions to provide the requisites you need.

The sense of indebtedness that these reflections induce goes far beyond gratitude, and is certainly not pleasant to think about. This may be why so many people try to deny that they owe anyone a debt of gratitude at all. Or why those who do encourage the contemplation of gratitude as a source of happiness tend to reduce it to a generic sense of appreciation and contentment—in the words of one writer, “wanting what you have,” “knowing that you have, and are, enough”—devoid of any sense of debt. Gratitude of this sort tends to focus on things, because gratitude to things is so much easier than gratitude to benefactors. Things don’t make demands. They don’t suffer, and they don’t mix their kindness with abuse.

Yet there’s no getting around the fact that our very lives depend on the kindness and hardships of others, and that we can’t get out of the resulting debts by callously denying them or blithely wishing them away. If we don’t repay them now, we’ll have to repay them—sometimes at high interest—later, for even death doesn’t erase our debts or free us from coming back to incur more.

So to avoid these entanglements, we need another way out—a way the Buddha found through training his mind to reach a happiness that no longer needs to depend on the kindness and sacrifices of others. And although this happiness provides an escape, it isn’t escapist. It settles your debts in a responsible and generous way.

This is because unconditional happiness allows you to abandon the cravings and attachments through which you repeatedly take on the identity of a being. To identify yourself as a being means having to find food—both physical and mental—to keep that identity going. This is why, when you’re a being, you need to depend on a network of kindness, gratitude, and sacrifice. But when you can abandon the need for that identity, the mind no longer has to feed. It’s no longer a burden to anyone. As for the body, as long as you’re still alive, those who provide for its needs reap merit many times over for the gifts they provide. This, in fact, is one of the motivations for gaining awakening:

“We will undertake & practice those qualities that make one a contemplative… so that the services of those whose robes, alms-food, lodging, and medicinal requisites we use will bring them great fruit & great reward.” — MN 39

At the same time, the example of your behavior and freedom of mind is a gift to others, in that it shows how they, too, can free themselves from their debts. This is why the Buddha said that only those who have attained full awakening eat the alms food of the country without incurring debt. They’ve even paid off their debt to the Buddha for having taught the way to release. As he said, the only homage he requested was that people practice the Dhamma in line with the Dhamma—i.e., to develop the disenchantment and dispassion that lead to release (DN 16SN 22:39-42)—so that the world will not be empty of awakened people. In this way, attaining full release is not a selfish act; instead, it’s the highest expression of kindness and gratitude.

Of course, it’s a rare person who will take this route to freedom, but that doesn’t lessen its value or relevance. As with gratitude and benefaction, it’s an opportunity to become rare and distinctive that’s open to anyone with the discernment to appreciate it and the determination to become truly kind and debt-free.

알라딘: [전자책] 깨달음과 역사

알라딘: [전자책] 깨달음과 역사

깨달음과 역사 - 개정증보판  epub
현응 (지은이)불광출판사2017-02-16

책소개

<깨달음과 역사> 개정증보판. 개정증보판에서는 '깨달음 논쟁'을 촉발시킨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를 비롯해,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반론에 대한 답변>,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원고를 새롭게 추가했다. 또한 표지 디자인에 획기적인 변화를 주어, 불교의 원형질을 이루는 유전자인 무상, 무아, 연기, 공, 자비를 변화와 관계성의 이미지로 추상화하여 현대적으로 형상화했다.

이 책의 중심 내용은 불교를 구체적인 우리의 삶과 역사에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이지만, 또 다른 중요한 가치는 불교는 어렵고 난해하다는 인식을 바꿔주는 데 있다. 특히 1장 '사제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에서는 어렵게만 느껴지던 불교 용어와 교리를 쉽고 진솔하게 풀어주고 있어 불교입문서 역할을 톡톡히 해준다. 깨달음, 연기, 공, 윤회, 대승과 소승 등 애매하고 모호하게 다가왔던 개념들이 명확한 실체로 다가온다.

---

목차

서문 『깨달음과 역사』를 다시 펴내며



1장 사제(師弟)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

1월_ 대승과 소승

2월_ 무심시도(無心是道)

3월_ 확연무성(廓然無聖)

4월_ 윤회와 해탈

5월_ 색즉시공 공즉시색

6월_ 공(空)의 이중적 구조

7월_ 대도무문(大道無門)

8월_ 깨달음과 역사

9월_ 돈오점수설, 돈오돈수설에 대해

10월_ 마음·부처·중생

11월_ 보살만행(菩薩卍行)

12월_ 불국정토(佛國淨土)



2장 각(覺) - 깨달음



3장 깨달음을 위한 산책



4장 돈오점수, 돈오돈수설 비판



5장 역사에 다가가는 불교

불교와 사회

불교의 사회적 실천

민중불교운동의 대승적 전개를 위하여



6장 기본불교와 대승불교



7장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깨달음과 역사, 그 이후’ 반론에 대한 답변

----

접기

책속에서

이 책에 수록된 내용들은 일관된 문제의식과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깨달음(Bodhi, 연기적 관점)’과 ‘역사(Sattva, 인생과 세상)’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역사를 연기적으로 파악하는 시각’을 말하며, 역사란 ‘깨달음의 시각으로 비춰보고 실현하는 현실적 삶’을 뜻한다.

이러... 더보기

P. 20 나는 불교만큼 오해를 받는 가르침도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부처님의 중요한 가르침은 거의 모두 곡해되고 굴절되어 이해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 하나가 바로 불교는 무심한 종교라는 것입니다. 모든 시비분별을 떠난 초연한 은자로서의 태도는 불교인의 독특한 성격처럼 되어버렸습니다. 조는 듯 잠자는 듯한 침묵과 웃을 듯 말 듯 달관한 듯한 무관심이 적멸과 열반의 경지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접기

P. 34 사제님도 동의할 줄 압니다만, 나는 윤회라는 것을 비단 어떤 사람이 칠십 년쯤 살고는 죽고 그리고 다시 태어나고 하는 식의, 심지어는 개로도 태어나고 새로도 태어나는, 그런 계속되는 생명의 쳇바퀴 현상으로만 보지 않습니다. 염불 구절에도 나오는 바,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이니 하루에도 수만 번 나고 죽는 일을 계속 하는 것이 바로 윤회의 실상이 아니겠습니까? 곧 윤회란 변화를 뜻하는 말이며 그 내용은 끊임없는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말합니다.  접기

P. 191 깨달은 사람이 깨달음의 영역에 자족하지 않고 왜 역사의 길에 나서게 되는가? 존재에 대한 사랑[慈]과 연민[悲] 때문이다. 자비야말로 역사적 행위의 원동력으로서 깨달음과 역사를 묶어 내는 고리이다. 이 자비가 구체적으로 표출된 모습이 방편(方便), 원(願), 역(力)이라 부르는 불교적 행동양식이다. 원(願)이란 역사에 대한 어떤 목표 설정에 해당되며, 역(力)이란 원(願)을 최종적으로 성취하게 하는 불굴의 신념을 뜻하며, 방편이란 원(願)을 성취하는 구체적 방법론과 실천을 말한다. 따라서 원력과 방편은 자비의 역사적 표출에 다름 아니다. 깨달음만 있는 사람은 아라한(Arhan)이라 부른다. 깨달음에다 자비와 원력을 덧붙인 사람은 보살(Bhodhisattva)이라 부른다. 아라한이란 ‘깨달음’이라는 단일 언어로 이루어져 있고, 보살이란 ‘깨달음(보디)’과 ‘역사(사트바)’의 복합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아라한은 소승의 삶이라 불리고 보살은 대승의 삶이라 불린다.  접기

P. 315 부처님은 깨달음을 고도로 수련된 높은 정신세계를 이루는 것이라 하지 않았다. 깨달음은 ‘잘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셨다. 깨달음이란 ‘잘 이해하는 것(understanding)’이라 말하면 수준이 떨어지는가? 깨달음을 ‘~에 대한 이해’로 볼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몸과 마음의 완성된 그 어떤 경지’로 볼 것인가에 따라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방법도 크게 달라질 것이다. 깨달음을 얻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기간은 말할 것 없이 크게 차이날 것이다. 만일 깨달음을 ‘올바른 이해’라고 한다면 그러한 깨달음을 얻는 데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 부처님 자신도 고행을 통해서도 아니요 선정을 통해서도 아닌, 논리적인 사유와 성찰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었다. 부처님이 녹야원의 첫 설법에서 다섯 수행자에게 당신의 깨달음의 세계를 설명하고 납득시키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며칠이 걸렸을 뿐이다. 그리고 ‘납득시킨다’는 말을 썼듯이 깨달음은 이해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납득시키는 방법도 선정삼매를 통한 것이 아니라 밤낮 없는 대화와 토론이었다.  접기

P. 325 대폭 상승된 깨달음의 모습은 모호하게 추상적인 용어로 표현되거나, 언어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신비하고 불가지한 경지로 묘사된다. 철학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반증할 수 없는 깨달음의 경지를 설정하는 것이다(‘눈 있는 자는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 등불을 가져오듯,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리를 밝혀주셨습니다.’라고 찬탄한 부처님의 태도와 대조적이다). 이렇게 되는 순간 깨달음은 엄청난 도그마가 되어 이젠 수행자도, 그 집단들도 통제 불능한 권위가 되어 천년, 이천년을 흘러가는 것이다. 아마 불교의 수행자들이 평생을 걸쳐 수행해야 하거나, 그렇게 해도 대다수 ‘그런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까닭은 깨달음이라는 그 내용을 잘못 설정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접기

P. 332 깨달음과 역사는 다른 차원의 영역이지만 이 둘을 결합하면 ‘보디사트바(보살)’가 된다. 연기와 공을 잘 이해하는 깨달음을 얻어 존재들의 변화성과 관계성을 통찰함으로써 실재의식으로부터 해탈한 자유정신을 얻은 자가 곧 아라한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에 도달한 아라한이 그가 살고 있는 역사에 현실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적인 마음을 내어서 실제로 각종 바라밀행(다양한 방편행)을 하는 사람, 이를 일러 보살이라 한다.  접기

P. 352 깨달음은 스케일, 부피와 무게, 깊이, 색깔과 디자인 면에서 점점 더 커지고 넓어지고, 깊어지고, 다양해지고, 멋있어져야 한다는 게 나의 견해이다. 그 이유는 시대와 중생계와 자연계가 점점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가르침의 폭과 내용 또한 덧붙여지고 다양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P. 357 간결하면서도 직관적이며, 본질을 꿰뚫는 선(禪)적인 안목은 오늘날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들을 단숨에 재정리하여 새롭게 통합시키는 안목을 낳는다. 이러한 조계선풍은 이제 산중의 선원 울타리와 일부 매니아들의 취향을 넘어서 현대사회의 문명적 흐름과 같이 해야 한다고 본다. 수년 전부터 나는 ‘자비의 날개를 단 선(禪)’을 펼치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여기서의 자비란 ‘사회’요 ‘역사’요, ‘우리의 삶의 현장’이다.  접기

P. 358 오늘날 한국불교는 2,600년 간의 모든 불교를 선(禪)의 정신으로 회통했다. 그러나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은 중생계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대승불교도, 선불교도, 조계선풍도 진부할는지 모른다. 그러나 실현되지 않은 것은 아직 새롭다.

저자 및 역자소개

현응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55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났다. 불교에 인연이 있어 1971년 해인사로 출가해 종성(宗性) 화상을 은사로 수계했다.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하고 봉암사, 해인사 등 제방 선원에서 정진하기도 했다. 해인사승가대학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대승불교승가회, 선우도량 등 불교 단체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장, 중앙종회의원, 불교신문사 사장, 해인사 주지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장으로 재임중이다.

최근작 : <Enlightenment and History : Theory and Praxis in Contemporary Buddhism>,<깨달음과 역사> … 총 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미 고전의 반열에 오른, 최초의 불교역사철학 에세이!



조계종 교육원장 현응 스님의 『깨달음과 역사』 초판은 26년 전인 1990년 해인사출판부에서 출판됐다. 민주화의 열기가 봇물처럼 넘쳐나던 1980년대 중후반에 쓴 원고를 모아 엮은 것으로, “불교의 인식론과 존재론을 깨달음(보디)의 영역으로, 현실과 실천의 범주를 역사(사트바)의 영역으로 거두어들인 최초의 불교역사철학 에세이. 완전히 새롭게 불교해석을 함으로써 불교도에게 세상을 보고 역사를 인식하는 안목을 열어주고, 보살행 실천의 지침을 제공해 주는 역작.”이라는 찬사와 함께 한국불교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세월이 흘러 출판사 사정으로 절판된 뒤로는 복사본을 만들어 돌려보는 등 독자들의 한결같은 성원에 힘입어, 2009년 20년 만에 불광출판사에서 새롭게 개정판으로 나왔다. 개정판은 4쇄를 찍으며 여전히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후 2015년 9월 열린 『깨달음과 ... 더보기
---

공감순

   

그동안의 강의내용을 정리해서 모아놓은책. 이 시대에 불교인이 나아가야할 점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다. 대승과 소승, 돈오와 점수,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하는 기본적이지만 사실은 자세히 얘기하길 꺼려왔던 문제에 대해서도 정리해놔서 소장가치가 있다고 봄.  구매

타는목마름으로 2016-09-16 공감 (1) 댓글 (0)
---

베우미 2020-03-25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1)

---

   

[마이리뷰] 깨달음과 역사 새창으로 보기 구매

그동안 불자로 지내면서 어색했던 부분들을 일소해 쓸어버리는 듯 강렬한 인상을 준 책이다.

2500년 전의 가르침이 지금도 이어진다는 거야 고전을 읽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이야기겠지만, 나는 그 가르침 자체보다 그것이 전수되는 방식이 늘 같기는 커녕 더 어려워지는 듯 하여 어색했었다. 때로는 그간의 문화, 문명, 지식수준의 변화를 간과할 수 있는가 의문을 갖기도 했다.



쉽게 말해서 지금 사람들이 2500년 전 사람들보다 훨씬지식도 뛰어나고 이해력도 좋고, 배경 환경도 비교안될 정도로 좋은데, 그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는 건 왜 더 오래걸리느냐의 문제였다.



현응스님은 이런 문제에 대해 답할 뿐만아니라 대승불교의 진정한 의미까지..

내가 생각하고 대충 그러려니.. 하는 문제들까지 싹 정리해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이 책이 왜 논란이 됐는지 알만했다.



밑줄치기를 중단했다. 모든 페이지에 밑줄을 쳐야할 것만 같아서다. 두고두고 읽어봐야겠다.



아, 현응스님의 답이 궁금한가?

부처님의 가르침, 즉 깨달음은 연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습득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왕조시대고 책도 많이 없던 부처님 당시로서는 놀라운 이야기지만 지금은 그다니 혁명적인 이야긴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일은? 우리의 수행은 끝인가?

그리고 그간 열심히 공부하며 수행하는 사람들은 헛수고인가?

그렇게 이분법적으로 볼 일이 아니다.

이 책이 놀라운 점은 이런 걸 융합한다는 데에 있다.

두고두고 봐야하는 이유다.

- 접기

모닥불 2018-01-01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알라딘: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알라딘: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 생명현상과 연기 그리고 공 

유선경,홍창성 (지은이)운주사2020-02-10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미리보기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1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신간도서 단 1권도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오늘(17~21시) 수령

최근 1주 88.8%(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799

 8.7 100자평(2)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36쪽148*210mm (A5)437gISBN : 9788957465882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도서 > 2020년

이벤트



과학 분야 도서 구매 시, <남극이 부른다> 남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핸드북



인문ON 앱레터 수신 신청하면 추첨 적립금



8월 특별선물! 지워지는 볼펜.형광펜.온습도계.큐브 메모지(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자성自性의 존재를 주장하는 본질주의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을 연구해 온 서구의 생명과학은 이미 많은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진화론이나 분자생물학의 눈부신 과학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다분히 서구의 본질주의라는 철학적 토대에서 기인한다. 이에 대해 필자들은 불교의 연기법과 공의 관점으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재해석함으로서 이런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본질주의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방법론을 선보인다.

목차

들어가면서 5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1. 생명현상과 붓다의 가르침 23

진화의 산물인 생명체 23 | 상호의존적 생명체 24 | 무상한 생명체 25 | 본질 없이 공空한 생명체 27 | 공空한 생명체의 의미 29

2.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 34

연기 34 | 무상 38 | 공 40 | 공한 생명체 43

3. 깨달음과 자비, 그리고 생명현상 45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45 | 불자들의 행위의 기준 49 | 생명현상과 자비행 52



II. 생명과학과 깨달음

4. 깨달음, 세계관의 혁명적 변화 61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 62 | 현응스님의 돈오 66 | 생명과학혁명 69

5.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1 73

환원이란 무엇인가 74 | 환원론에 대한 오해 76 | 미시구조적 환원 81

6. 깨달음과 생명과학 방법론: 환원론에 대한 오해 2 85

환원론에 대한 또 다른 오해 85



III. 개체

7. 발생의 불교적 이해 1 99

발생과 연기 99 | 발생과 생명 105

8. 발생의 불교적 이해 2 113

본질 없이 공空한 배아줄기세포 113

9. 노화의 불교적 이해 123

노화에 대한 오해 123 | 노화는 없다 125 | 노화도 공空 133

10. 병듦의 불교적 이해 136

병이란 무엇인가 137 | 병의 불교적 해석과 극복 142

11. 죽음의 불교적 이해 1 149

죽음이란 무엇인가 149 | 논리적 개념으로서의 ‘죽음’ 151 | 세포의 죽음(cell-death or apoptosis) 154 | 죽음과 윤회 161

12. 죽음의 불교적 이해 2 162

죽음과 나 162 | 생명체들이 죽어야 하는 이유 163 | 태어나지 않았으니 죽지도 않는다 167 | 죽음에 대한 불교적 낙관주의 169



IV. 종種(Species)

13. 종種의 불교적 이해 1 177

종과 본질주의 178 | 다윈의 종과 미완의 반反본질주의 180 | 종 개념의 문제 183

14. 종種의 불교적 이해 2 188

동일성을 찾으려는 인간의 집착 188 | 본질에 대한 집착의 연장 194



V. 유전자

15. 유전자 개념과 그 변천의 역사 201

고정불변한 유전자 203

16. 유전학에 대한 이분법과 불교적 반론 211

도그마의 붕괴 212 | 유전자의 상실 217 | 이분법적 유전학의 한계 218

17.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1 223

본질 없이 공空한 유전자 224 | 연기하는 유전자 226 | 기능적 속성으로서의 유전자 228 | 실체가 없이 개념으로만 존재하는 유전자 231 | 개별자로서의 유전자 233

18. 유전자의 불교적 이해 2 234

활발발活潑潑한 유전자의 기능과 분자망(molecular net) 235 | 유전자 개별자와 분자 네트워크 239



VI. 진화

19. 진화란 향상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 249

18세기까지 ‘진화’의 개념 250 | 다윈의 진화 255

20. 결정론도 아니고 비결정론도 아닌 연기의 과정 260

굴드의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 261 | 결정론 264 | 제약들(constraints) 267 | 철학적 고찰 269

21. 우연과 필연의 재해석 272

모노의 우연과 필연 273 | 모노의 문제 274 | 우연과 필연을 넘어 연기로 280

22. 다윈이 남긴 과제 283

다윈이 남긴 과제 하나 283 | 다윈이 남긴 과제 둘 289

23. 불교의 진화 1 296

연기 297 | 사성제와 팔정도로 진화한 연기 300 | 연기로부터 진화한 무상, 무아, 고苦의 삼법인 302 | 방편方便과 진화 307

24. 불교의 진화 2 310

남전불교와 북전불교 310 | 연기와 공 312 | 윤회가 열반이다 314 | 선禪 316 | 현대의 불교 318 | 다시 연기로 322



미주 325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20년 2월 14일자 '새책'

중앙SUNDAY

 - 중앙SUNDAY 2020년 2월 15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유선경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분자생물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미국 브라운대학교 세포분자생물학 박사과정 및 텁스대학교 철학과 석사과정을 수학하였으며, 미국 듀크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교(Minnesota State University, Mankato)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과학철학과 과학철학 및 인지과학 분야의 논문을 영어와 한글로 발표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 『생명과학의 철학』이 있고, 홍창성 교수와 함께 현응 스님의 『깨달음과 역사』를 영역했다.

최근작 :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생명과학의 철학> … 총 2종 (모두보기)

홍창성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저자는 지난 20여 년간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Minnesota State University Moorhead)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형이상학과 심리철학, 불교철학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저자는 지난 2015년에 시작되어 국내 불교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깨달음 논쟁’ 당시 누구보다 많은 분량(8편)의 글을 기고하며 논쟁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이후 월간 『불광』, 『불교문화』를 비롯한 매체에 불교철학 관련 글을 연... 더보기

최근작 :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미네소타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 … 총 4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운주사

출판사 페이지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불교의 이해>,<성운대사가 들려주는 불법의 참된 의미>,<방거사 어록·시 역주>등 총 435종

대표분야 : 불교 7위 (브랜드 지수 87,539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1.

존재하는 어느 것도 아무 원인과 조건 없이 무無로부터 나온 것은 없다. 사물은 조건이 모이고 흩어지는 데 따라 생겨나고 소멸한다. 즉 사물은 조건에 의존해서(緣) 생겨난다(起). 이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緣起이다.

이 책은 생명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불교에서의 연기와 공空의 관점으로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필자들은, 연기와 공의 관점이 단순히 기존 방법론과 양립 가능한 정도가 아니라, 연기와 공의 관점으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예측해야만 제대로 된 생명과학 연구가 가능하고, 따라서 생명현상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생물학을 창시한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수천 년 동안 서구에서는 고정불변한 자성自性의 존재를 주장하는 본질주의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을 연구해 왔다. 하지만, 연기하기 때문에 무상無常하여 변화할 수밖에 없는 생명 세계를, 불변하는 본질(自性)의 존재를 바탕으로 연구하는 생명과학은 19세기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20세기 분자생물학의 눈부신 성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난관에 직면해 왔다. 이에 이 책은 존재 세계를 꿰뚫는 연기법과 그것의 대승불교적 해석인 공의 관점으로 서구적 본질주의와 실재론이 직면한 난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생명과학과 불교의 새로운 만남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2.

이 책의 논의는 크게 여섯 주제로 나누어져 있다.

첫 주제인 ‘I. 불교로 이해하는 생명과학’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연기, 무상, 공, 깨달음, 그리고 자비의 가르침을 설명하면서 이 가르침들이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연기법과 그로부터 도출된 불교의 가르침이 존재 세계를 관통하는 진리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일부인 생명현상도 꿰뚫는 가르침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주제인 ‘II. 생명과학과 깨달음’에서는 과학이론의 교체가 마치 정치체제의 근본적 교체와 같이 혁명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생명과학의 혁명적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서구적인 본질주의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벗어나 연기와 공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셋째 주제인 ‘III. 개체’에서는 생로병사의 실존적 문제를 생명과학 안에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 논의한다. 생로병사라는 현상을 생명과학적으로 고찰하다 보면 결국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에서 관조해 보면, 생로병사가 실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자연계의 변화 과정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그래서 불교적 생명과학이 주는 통찰로도 우리가 생사生死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넷째 주제는 ‘IV. 종種’이다. 여기서는 다윈의 진화론을 소개하면서 생명 세계에 존재한다고 믿어져 온 고유한 본질을 가졌다는 종의 존재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다윈 스스로도 종에 대한 본질주의를 철저히 배격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지금까지 생명과학자들이 보고해 온 종 본질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종과 관련한 생명현상도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이해해야만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섯째 주제인 ‘V. 유전자’에서는 유전자 개념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진행한다. 먼저 유전자의 개념이 역사상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분자생명과학이 전제하는 DNA 분자로서의 유전자 개념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논의한다. DNA 분자들이 생명현상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보기 때문에 수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현재의 유전자 중심 결정론은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수정 보완되거나 새로운 이론으로 교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여섯째 주제는 ‘VI. 진화’로서, 먼저 진화란 향상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이라는 다윈의 주장을 설명하면서 진화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를 불식시킨다. 그리고 진화와 관련된 섬세하고 진지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다윈이 해결하지 않고 과제로 남겨 놓은 두 가지의 문제를 논의한다. 그리고 불교가 지난 2,500년 동안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를 보여주면서 논의를 마무리한다.



3.

이처럼 이 책은 본질주의라는 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자성을 가진 인과법칙의 존재를 전제한 채 발전해 오면서 난관에 부딪힌 서구의 과학, 특히 생명과학의 문제에 대해, 불교의 연기와 공의 관점을 바탕으로 한 전혀 다른 형이상학으로 이런 문제들을 조명하고 새로운 해결점을 모색하고 있다.

생명현상에 대한 불교철학적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드물고, 또 아직까지 충분히 진지한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이 책은 생명과학과 불교철학의 만남을 본격적으로 시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불교철학을 폭넓게 사고하고자 하는 독자들이나 과학 혹은 생명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들 모두에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독자들은 불교를 통해 생명현상(과학)을 이해하고, 생명현상을 통해 불교를 이해하는 색다른 지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0) 읽었어요 (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1.1% 20대 9.6%

5.3% 30대 5.3%

7.4% 40대 12.8%

7.4% 50대 24.5%

1.1% 60대 25.5%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1)

전체 (2)

공감순

   

불교라는 합리적이고 심오한 도구로 현대 첨단과학의 하나인 생명과학의 세계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과 불교적인 안목에서의 보완점을 제시한 흥미로운 책

바우 2020-05-0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불교란 전정가위로 생물학의 나무를 마구 잘라대 잎사귀 떨군 나무는 앙상해지고 가위에는 피가 묻은 모습...  구매

LJK 2020-03-21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생명과학과 불교는 어떻게 만나는가 새창으로 보기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이것이 없을 때 저것이 없고,

이것이 소멸하며 저것도 소멸한다. (-34-)





온전한 깨달음을 위해서는 진리 자체에 대한 깨달음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진리를 완전히 내면화해서 삶과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을 철저히 바꾸어야만 붓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7-)





환원이란 물체나 속성이 부분과 그들 각각이 이루고 있는 관계로 남김없이 분석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분해되어 없어진다고 볼 필요까지는 없다.그런데 분석을 통해 논리적으로 잘게 잘라진 부분을 계속 환원해 나가다 보면 결국 모든 물체는 소립자들과 그것들의 관계들로 환원될 것이다. (-83-)





우리가 세계를 색깔로 인식한다고 해서 세계에 색깔이 새로 생겨나 실재한다고 착각한다면 이느 우리가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것인데, 이덕은 불교의 연기관에 어긋나는 생각이다. 우리가 이 세계를 우리의 인식체계가 만드는 색깔이라는 틀을 통해 경험한다는 점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색깔이 창발되어 실재로 존재한다는 생각은 불교적이지 않고 또 철학적 논증으로도 견지될 수 없는 견해다. (-111-)





질병과 장애를 구분하고 지칭하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생체 내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질병이라고 정의하고, 이런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표현형인 신체적 구조나 기능의 변화를 기형이나 장애라고 이해한다.그러나 실제로는 질병과 장애를 뚜렷이 구분하기 어렵다. (-139-)





이렇게 우리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현재의 자연현상을 과거에 반복해서 일어났던 동일하거나 비슷한 자연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그런데 만약 자연에 법칙이 있다는 전제가 틀리거나 문제가 있다면, 생명현상이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발현된다는 근거가 없어지게 된다.그리고 각각의 동일한 무엇이 개개의 생명체 안에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발현된다는 근거도 없어지고 만다.그리하여 각각의 생명체 집단인 종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무색해지게 된다. (-191-)





다윈은 굵은 줄기에서 여러 가지가 뻗어 나가듯이 생명체의 조상인 종에서 새로운 종이 생겨난다고 생각했다.장미나무를 상상해 보자. 장미나무 가지들은 모두 밑동에서부터 뻗어난다.어느 가지는 다른 가지들보다 굵고 어느 가지는 다른 가지들보다 높이 뻗어나 자란다. 이런 가지 가운데 어느 가지가 다른 가지보다 고등하다고 판단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주어진 가지가 밑동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고, 이 가지가 다른 가지들과 함께 어떤 특정한 가지에서 분리되었는가 하는 사실 뿐이다. (-256-)





인간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본질은 삶과 죽음 즉 태어남과 소명되어짐을 반복하게 된다. 그럴 때 우리는 무에서 유로 바뀐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우리는 생명과학에 대해서 새로운 이론과 가치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여기서 저자는 서구의 기준으로 생명과학을 보지 않고, 동양의 불교에서 강조하는 연기와 공의 개념으로 생명과학을 분석하고 있었다.즉 우리가 마주하는 서구관에 입각한 생명과학은 그 본질에서 벗어나 있으며, 다윈의 진화론조차 진화가 아닌 변이의 개념으로 살펴 보고 있었다. 즉 생명은 태생과 소멸을 반복해 나가면서 그 안에서 새로운 가치들을 얻게 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 생명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모든 생명체는 변화 속에서 우연적인 사건과 필연적인 계획에 의해 ,어떤 조건과 부합하게 되면, 형질은 변화하게 되는 이유였다.즉 이 책은 바로 우리가 만들어낸 수많은 개념들은 왜 생겨났으며, 그것이 가지고 있는 과학적 이해,우리 실생활에서 과학이란 어떤 의미인지 알 수가 있다'.





즉 인간은 수많은 개념들은 습관적으로, 때로는 집착과 인간이 만든 기준에 따라 분류해 나가고 있었다.그런데 인간의 기준으로 볼 때 상식처럼 보이지만, 자연의 기준으로 보면 지극히 비상식적이며, 깨달음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되는 이유가 된다.. 또한 생명과학, 지구에 생명이 탄생될 수 있었던 이유를 불교의 연기론에 입각해 본다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즉 수많은 조건과 인과관계의 의해 지구라는 특정한 공간에서 생명체는 나타나게 되었고,그 생명체가 서로 생성과 발생,노화와 소멸과정을 거듭하면서, 생명체는 다양해졌다.또한 인간의 노화는 불교의 연기론에 입각하면 지극히 당연한 것이며, 지구의 생명체가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또한 세포가 생성과 소멸을 할 수 있었기에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하나의 생명체가 만들어지고 각각의 기관이 분리되어 새로운 형태의 온전한 존재가 만들어지게 된다.



- 접기

깐도리 2020-03-16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한국의 선 수행


밑에서 부터 읽기
----

[불교공부] 의정(疑情 의심) - 낙공 (落空)
---
의정(疑情) - 사전에는 없는 선불교용어,
(참고로 https://cafe.naver.com/bgong/18503
이 글은 너무 길어서 여기서는 적합하지않다.)
- 밑의 글에서는 지적, 심적 관심이 아니라, <체험적>인 느낌이라는 점을 강조. 지적 호기심도 아니고, 왠지모르게 사람이나, 자연의 아름다움에 끌리우는 것도 아니고, 실존적인 (?) 의심 - 공허함 (?).
낙공 - (사전적 의미) 계획이나 희망 따위가 수포로 돌아감.



[불교공부] <이 뭣고?> - 화두를 드는 목적은 의심을 일으키기 위한 것
---
- 우리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에 대한 의심일수록 더욱 좋겠다.
- 우선은 욕망, 다음은 애정, 등. 부모, 자식, 손주, 사랑하는 사람들.
- 위안부문제나 친일청산, 민족, 통일, 모든 사회이슈에 대한 각자의 포지션이 의문의 대상이 될 수 있겠다.
- <이 뭣고?>
- 그런데 이런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삶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게 되는 사람도 있다. 나도 20대에. 그러나 그걸 또 잊어버리고 살게 된다. 의문, 의심을 다시 살린다, 살리자.
---
로버트 버스월의 <한국의 선 수행>에서






[불교공부] <마음의 생태학> - <대아>는 곧 <무아>
---
로버트 버스월의 <한국의 선 수행>에서




[불교공부] 설명이 없는 알게 됨 - 마음 상태로 알음 - 스스로 깨달음
---
- 같은 마음 상태에 있으면 같은 것을 알게된다.
- 말로 설명하려고 하지 않고, 같은 상태로 가게 한다.
- 스스로 깨달게 하는 것이다.
---
로버트 버스월의 <한국의 선 수행>에서



[불교공부] 깨달음이란
--
- 깨달음이란 우리 모두에게 내재되어있어서, 수행을 통해 "얻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라고 한다.
- 말이 되나?
- 되는 것 같다.
- 그런데 그게 장시간의 수행을 통해서 얻는 것이라고 한다. ㅋ
- 이렇게 소리내어 생각하면 좋은 것 같다.
---
로버트 보스웰의 <한국의 선 수행>에서





[독서생활] 로버트 버스웰의 <한국 선 수행기> -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
---
- 아마도 가장 중요한 제7장 <한국에서의 참선 수행>을 여기 올린다. 이런 자료, 이런 설명은 어느 언어로도 드믈거라고 생각된다.
- 한국인은 이렇게 쓰지 않는다.
- 외국인은 이런 경험이 없다. …
See more

삼매 - 성성적적[惺惺寂寂]



삼매

[ samādhi , samadhi음성듣기 , 三昧 ]

구분 철학용어
관련문헌 금강삼매경론
관련철학자 원효


산스크리트어 사마디(samadhi)의 음역으로서 
마음이 산란되지 않고 고요하게 머물러 있는 상태, 
혹은 그러한 수련을 가리킨다. 

원효(元曉)는 그의 『금강삼매경론』에서, 
삼매는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된 상태를 이르므로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고 하고, 
의식을 일정하게 파지하고 있으므로 등지(等持)라고 하며, 
심신이 고요하기 때문에 적정(寂靜)이라 하고 선정(禪定)이라 한다. 
그러나 심신의 고요함만을 삼매라고 일컫지는 않는다.

고요하면서도[寂] 의식이 맑게 깨어 있는 상태[惺]라야 비로소 삼매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성성적적[惺惺寂寂]이라 하며, 모든 수행의 근본을 삼는다. 
왜냐 하면 삼매를 통해 비로소 업식(業識)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 사물의 진실한 모습[緣性, 空性 혹은 諸法實相]을 볼 수 있고, 그것이 곧 해탈에 이르는 길이기 때문이다.
---

출처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http://philinst.snu.ac.kr/


[네이버 지식백과] 삼매 [samādhi, samadhi, 三昧]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