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일본불교.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일본불교. Show all posts

2023/06/04

이찬수 지음 (메이지의 그늘)을 읽었다

불교평론 2023
[불교평론(2023년 여름 94호) 목차]
종교와 일본 국가주의 관계를 파헤치다
-이찬수 지음 (메이지의 그늘)
이명권 코리안아쉬람 대표, 비교종교학자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 동 대학원 홍교하과에서 박사와 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 원 1연구교수, 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 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임 본 난산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고> <사회는 왜 아픈가> 등 에어 컨의 단행본(공저서, 번역서 포함)과 90여 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이찬수 교수의 책 《메이지의 그늘>을 읽었다. 부제는 '영혼의 정 치와 일본의 보수주의다. 종교학을 전공한 저자가 '평화학을 시도 하면서 일본이 근현대사에서 보여준 보수 정치가 어떻게 '영혼의 정치'와 연결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 이찬수*는 <영혼의 정치학: 천황제와 신종교의 접점>(2013), 〈천황제, 군국주의, 그리고 선(배): 스즈키 다이세츠로 선을 되문기>(2021) 등의 논문에서도 잘 보여주었듯이, 종교학자로서 출발한 일본 연구의 성과를 베이지 시대에 나타나는 부정적 국가 이미지에 대하여 '영혼의 정치라는 환점에서 한 권의 책으로 담아내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메이지 시대 이래 국가를 위해 죽은 이의 영혼, 이른바 '호국영령' 을 국가적 차원에서 제사하며 제사 대상의 정점에 있는 천황을 중심 으로 국가를 통합시켜 온 지난 백여 년 이상의 일본 정치문화를 정리 했다.
총 7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메이지 시대와 그 그늘을 분석하면서 한국과 일본은 왜 꼬였는지를 묻고, 일제 강점기와 임진왜란, 그리 고 그 후 메이지 천황을 내세운 메이지(매) 정부(1868-1912)는 한국에게 여전히 억압적인 영향으로 남아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조선 정벌의 정한론(44.C)을 내세운 일본 보수 세력이 정일 전쟁을 일으킨 것도 그 연장선에 있다. 일본 보수주의 정치가 종교 와 관련하여서도 어떤 방식으로 작동했는지에 대해 저자는 일본 전 체에 해당하는 '정치적 종고, 혹은 종교적 정치'의 방정식을 풀어낸 다. 그것이 '호국영령과 애국주의와의 관계다. 죽은 이의 영혼을 국 가 차원에서 제사를 지내는 '제사의 정치'로 사회와 국가를 통합하 면서 정부 정책을 정당화해 간 것이다.

이 같은 군국주의의 길은 민간의 오랜 정령숭배 전통인 신도(해
30)를 환용한 것이었다. 천황(제보)은 (일본서기)의 건국신화에 나 오는 천상의 주재신 아마테라스의 자손으로 중배되고, '신도의 세 계관은 국가적 통합정책에 이용된다. 신도의 세계관은 위로받지 못하고 죽은 원형(25%)이 인간에게 것들면 불행이 생긴다는 민중적  사고방식의 일본 전통: 중고다. 그리하여 호국영령도 전물자의 원령이 국가의 수호신이 될 수 있게 하는 메이지 정부의 '종교적 정치라 는 점은 저자는 보여준다. 이러한 :종교적 정치'는 야스쿠니신사에

2022/12/16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 특집 < 기사목록 - 불교평론 2016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 특집 < 기사목록 - 불교평론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목록( 총 :7건)

기사목록 보기 형태
제목형 요약형 포토형

동일본대진재 이후 일본의 참여불교와 시민사회운동 시민사회운동 / 이현경
1. 시작하는 글2011년 3월 11일 금요일 오후 2시 46분 동일본대진재(東日本大震災)가 발생한 지 올해로 10년이 지났다. 대규모 쓰나미 발생으로 인해 해안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 다수의 해안지역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진도 6 이상이 발생한 미야기(宮城), 후쿠시마(福島), 이바라키(茨城), 토치기(栃木), 이와테(岩手), 군마(群馬), 사이타마(埼玉), 치바(千葉) 등 8현(県)을 중심으로 재해구조법이 적용된 곳만 해도 241시구정촌(市区町村)에 이른다.2020년 3월 1일 현재, 동일본대진재로 인한 사망자 수는 19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이현경 2021.06.27 23:05


21세기에도 ‘장식(葬式)불교’는 엄존하는가 / 김성순
들어가며: 일본불교에서 ‘장식(葬式)’의 문제의례는 교의에 근거하여 목적성과 정기성을 가지고 실천되는 일련의 조직화된 행위를 말한다. 종교 교단 안에서는 의례를 통해 구성원 간의 연대성을 창출하고, 종교 감정을 고양시키며, 신앙적 일체감을 확인하기도 한다.종교 의례 중에서도 죽음을 다루는 의례, 즉 상장례는 그 종교의 사후세계관 내지 내세관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장송의 방식에서는 망자와 그 친족이 믿는 종교의 타계관(他界觀)이 드러난다. 이처럼 장송의례는 한 민족 내지 문화권의 생사관이나 타계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의식이라고 할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김성순 2021.06.27 23:01


모노(物)공양: 불교문화 콘텐츠의 일본적 변용 / 박규태
1. 들어가는 말: 개와 로봇에게도 불성이 있다?인간의 본성과 관련하여 주자학이 본연지성(本然之性)을 말한다면 불교에서는 불성을 내세운다. 일찍이 정조는 다산에게 개와 소와 사람의 성이 본연지성인지 기질지성(氣質之性)인지를 물은 적이 있다. 이에 대해 다산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라는 주자학적 이원론 자체를 해체시키면서 “사람의 성은 사람의 성이고 개나 소의 성은 금수의 성일 따름”이라 하여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분명히 구분했다. 하지만 모리 마사히로(森政弘)라는 일본의 공학자는 동물을 “틈새가 없는 기계”라고 보면서 사람과 마찬가지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박규태 2021.06.27 22:59


교토학파의 사상과 교학적 성과 / 최용운
1. 머리말교토학파(京都學派)라는 명칭이 최초로 공적인 기록에 등장한 것은 이 학파의 개조(開祖)인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 1870~1945)의 제자 토사카 준(戸坂潤, 1900~1945)이 1932년 한 신문에 게재한 〈교토학파의 철학〉이라는 기고문으로 알려져 있다. 교토학파가 지향한 학문적 특성이 불교 또는 일본적 관점에서 서양사상을 해석하고 비교하며 새로운 사상체계를 구축하는 것 등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철학, 불교학, 종교학 그리고 신학 등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두는 학자들이 속한 분야도 다양하다. 이뿐만 아니라 이 학파에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최용운 2021.06.27 22:11


신불습합과 불교계의 신종교 / 권동우
1. 들어가는 말1868년 3월 28일, 메이지 정부는 ‘신불판연령(神佛判然令)’을 내리고 공식적으로 신불분리 정책을 실시한다. 이후 일본사회에서는 폐불훼석(廢佛毁釋) 사건과 더불어 신사와 사원을 분리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되었다. 우두천왕(牛頭天王)을 제신(祭神)으로 했던 교토(京都)의 기온샤(祇園社)가 스사노오노미코토(速須佐之男命)를 제신으로 하는 야사카신사(八板神社)로 바뀐 것을 그 대표적 사례로 들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기온샤의 제신이 스사노오노미코토로 됐다는 것 자체가 중세 ‘신불습합(神佛習合)’의 결과를 수용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권동우 2021.06.27 22:05


일본불교 교단의 현황 / 제점숙
1. 일본인의 종교의식과 일본불교와의 관계2020년 일본 문화청에서 편찬한 《종교연감》을 살펴보면 일본 종교의 대략적인 현황을 알 수 있다. 이 조사에서는 일본 종교를 크게 신도계, 불교계, 그리스도계, 제교(諸敎)로 대별하여 그 현황을 정리하고 있다. 신자 수를 살펴보면 신도계가 88,107,772명, 불교계가 84,835,110명,그리스도계가 1,907,757명, 그 외의 종교가 7,403,560명에 이른다. 여기서 신도가 종교인가에 대한 학자 간의 이견은 차지하더라도 일본인이 생각하는 대표적 종교가 신도와 불교임은 분명한 듯하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제점숙 2021.06.27 22:01


천황제, 군국주의 그리고 선(禪) / 이찬수
1. ‘천황교’의 탄생19세기 중반까지 일본은 봉건적 지방 분권 체제인 막부 체제였다. 그러다가 부국강병을 추구하던 규슈(九州) 지방의 무사들이 메이지 천황을 앞세우며 메이지 정부(1868~1912)를 탄생시켰다. 이 정부에서는 천황을 권력의 정점으로 삼으면서 서양식 정교분리형 근대국가를 이루고자 했다. 국가의 이념적 통일을 위해 ‘일본적인 것’으로 신도(神道)를 내세우며, 일본인이라면 일본의 기원이 되는 신과 그 후손인 천황을 숭배해야 한다는 강력한 정책을 펼쳤다. 이를 위해 제사를 강조했고, 그 ‘제사의 정치학’의 정점에는 천황


일본불교의 특성과 실상 이찬수 2021.06.27 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