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0

Toshihiko Izutsu: The Genius That Bridged East & West: Keio University

Toshihiko Izutsu: The Genius That Bridged East & West: Keio University



Toshihiko Izutsu:
The Genius That Bridged East & West

May 28, 2021




Toshihiko Izutsu, best known as the translator of the Quran—arguably the most famous translation of the sacred text from Arabic into Japanese—studied at Keio University, where he went on to become a member of the academic faculty. A linguistic prodigy and master of more than 30 languages, Izutsu made a lasting impact on scholarship through research that spanned Islamic studies, Eastern thought, and mysticism. Here, we follow the footsteps of this intellectual giant, who wielded an enormous wealth of knowledge on language and issues across many academic disciplines.


A commemorative photo taken on November 9, 1949, at the award ceremony of the first annual Fukuzawa Award and Keio Award, a tradition that continues today. Izutsu (seated at far right in the front row) won the Fukuzawa Award for his book Mystical Philosophy: The Greek Edition. (Photo courtesy of the Fukuzawa Research Center)



Encounter with Professor Junzaburo Nishiwaki Sets Izutsu on a Course Destined for Academia


Toshihiko Izutsu was born in 1914 in the Tokyo neighborhood of Yotsuya—modern-day Shinjuku City—just as World War I began to break out across Europe. Under the instruction of his father, a Zen Buddhist layman, he became familiar with Zen thought, and from a young age, read books on the subject and practiced zazen meditation.

He first encountered Christianity in middle school at Aoyama Gakuin, a school founded in Tokyo by Methodist missiona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At first, he felt a strong sense of aversion to Christian teaching, which challenged and even rejected the Zen philosophy he had grown up with, but the religion eventually piqued his interest. Izutsu, who was also a literary critic on the theory of poetry, loved reading the works of Junzaburo Nishiwaki, then a professor at the Keio University Faculty of Letters, which led Izutsu to enter the Keio University preparatory course in 1931. At first, he followed the path of his father, studying at the Faculty of Economics. Still, he could not bring himself to abandon his love of literature and eventually transferred to the English Department in the Faculty of Letters, where he studied under Prof. Nishiwaki. Recalling his first encounter with his mentor, Izutsu said, "When I first saw him [Prof. Nishiwaki] strolling through Mita Campus, my heart leaped in my chest." Izutsu is reported to have said that Prof. Nishiwaki was the only person he regarded as a mentor throughout his life.

Group photo taken in front of the Grand Lecture Hall on Mita Campus when Izutsu was a student. Izutsu is at far left, and his best friend Yasaburo Ikeda is second from right. Ikeda also enrolled in the Faculty of Economics but moved to the Faculty of Letters with Izutsu, later becoming a member of Keio's academic faculty alongside his old classmate. *

A Love of Language & Thirst for Knowledge Takes Izutsu Abroad

Izutsu attends Eranos in 1979 *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Izutsu continued to serve as an assistant to Prof. Nishiwaki. Recognized for his extraordinary language skills, he became director at Keio's on-campus language school. He also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Keio Language Institute (later The Keio Institute of Cultural and Linguistic Studies), established in 1942 by Nishiwaki and other faculty. While working on the history of Islamic thought and research into Greek mysticism at the Faculty of Literature, he taught Russian literature in addition to several languages such as Greek, Hebrew, Arabic, and Hindustani.


In 1954, Izutsu became a professor at the Faculty of Letters and began teaching "Introduction to Linguistics," a course he took over from his esteemed mentor Prof. Junzaburo Nishiwaki. The novel content of the lecture was so popular that it was famous for running out of seats if students didn't arrive early. Jun Eto, a literary critic who was a student at the time, recalls, "I never had a course that gave me so much intellectual excitement with every lecture." Izutsu later summarized the content of this lecture in his English-language book 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In 1959, Izutsu traveled abroad for the first time at the age of 45. With a scholarship from the Rockefeller Foundation, he spent two years visiting Islamic research centers in Lebanon, Egypt, Germany, France, and Canada, among other places. It was at this time, in 1961, that he was invited to serve as a visiting professor at Canada's McGill University, where he knew the academic faculty. In 1967, he began to participate in Eranos, a long-running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dedicated to humanistic and religious studies covering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religion, art, and science. Among the experts invited to speak was Izutsu, who presented many lectures on Eastern philosophy and theology.

The Spirit of Toshihiko Izutsu Still Embodied at Keio University

In 1969, Izutsu retired from Keio and became a full professor at McGill University. With the opening of the Tehran Branch of McGill's Institute of Islamic Studies, he moved to Iran's capital city. After working as a professor at Iran's Royal Institute of the Study of Philosophy, he returned to Japan in the wake of the 1979 Iranian Revolution. While most of Izutsu's writings had been authored in English until that point, he devoted himself to writing in Japanese until his death in 1993 in Kamakura, where he lived and authored books such as Islamic Culture.

The collection of books left by Izutsu at his Kamakura residence has since been entrusted to the Keio University Mita Media Center.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0,000 volumes of Japanese, Chinese, and Western-language books, the collection also includes roughly 3,700 volumes in Arabic as well as extremely valuable materials such as 90 Iranian lithographic books rarely seen outside of Iran.

In 2015, the Keio University Faculty of Letters established two academic awards named after Junzaburo Nishiwaki and Toshihiko Izutsu to commemorate the 125th anniversary of the faculty's founding. The Toshihiko Izutsu Prize is awarded to promising researchers who share Izutsu's spirit of inquiry, which spanned a wide range of academic disciplines that include philosophy, ethics, history, anthropology, archaeology, library sciences, sociology, psychology, pedagogy, and other human sciences. The prize aims to foster and encourage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who can rival Izutsu's passion for knowledge in the 21st century.

Izutsu in his study at Kita-Kamakura, where he spent his last years (photographed in 1980) *


*From "Toshihiko Izutsu Zammai," Keio University Press (October 2019).



*This article appeared in Stained Glass in the 2020 Summer edition (No. 307) of Juku.

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by Toshihiko Izutsu | Goodreads

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by Toshihiko Izutsu | Goodreads

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4.14  ·   Rating details ·  7 ratings  ·  2 reviews
The power of language has come to hold the central position in our conception of human mentality. Today, the man in the street has realised with astonishment how easy it is to be deceived and misled by words. The 'magical' power of the word has caught the attention of those who explore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and the structure of human knowledge. This work by the late Japanese scholar, first published in 1956, tackles this complex and difficult subject. He studies the worldwide belief in the magical power of language, and examines its influence on man's thought and action. The purpose of the author in this book is to study the world-wide and world-old belief in the magical power of language, to examine its influence on the ways of thinking and acting of man, and finally to carry out an inquiry, as systematically as may be, into the nature and origin of the intimate connection between magic and speech. About The Author Toshihiko Izutsu was Professor Emeritus at Keio University in Japan and an outstanding authority in the metaphysical and philosophical wisdom schools of Islamic Sufism, Hindu Advaita Vedanta, Mahayana Buddhism (particularly Zen), and Philosophical Taoism. Fluent in over 30 languages, including Arabic, Persian, Sanskrit, Pali, Chinese, Japanese, Russian and Greek, his peripatetic research in such places as the Middle East (especially Iran), India,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were undertaken with a view to developing a meta-philosophical approach to comparative religion based upon a rigorous linguistic study of traditional metaphysical texts. Izutsu often stated his belief that harmony could be fostered between peoples by demonstrating that many beliefs with which a community identified itself could be found, though perhaps masked in a different form, in the metaphysics of another, very different community. (less)

GET A COPY

Paperback199 pages
Published 2012 by Islamic Book Trust (first published 1956)
ISBN
9839541765  (ISBN13: 9789839541762)
Edition Language
English
Other Editions
...Less DetailEdit Details
Review ofISBN 9789839541762
Rating
Shelvesto-read 
1404th )
FormatPaperback edit
Status
April 19, 2022 – Shelved as: to-read
April 19, 2022 – Shelved
ReviewWrite a review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Language and Magic
54355902. uy100 cr1,0,100,100

Be the first to ask a question about Language and Magic

This book is not yet featured on Listopia. Add this book to your favorite list »

COMMUNITY REVIEWS

Showing 1-35
 Average rating4.14  · 
 ·  7 ratings  ·  2 reviews


 |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Mamluk Qayser
Feb 16, 2022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2022
This complex book sets out to delineate the magical nature of language.

Magical thinking, as often found in primitive societies, the peripheries of modern religions, or even in daily superstition thinking of the modern people could be loosely defined into the direct manifestation of effect via an indirect medium tha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effect. An example would be the concept of "jinxing", where something actually happened when one actually speaks about it.

Izutsu strived to demonstrate that the magical nature of language is not based from fallacious thinking of men, but rise from the very nature of language itself.

Language as understood by the modern positivists as an activity embedded in logic. Monstrosities rose from their hapless quest for a logical structure of language, until Wittgenstein called it a day by deciding that language is an active activity, where no set-to-stone carved in it. We created rules for almost everything, but not everything. We set the ground rules in football in order for it to be playable, but not to an extent to exactly define how high the ball should go etc., as long as these peripheries questions do not interrupt with the game itself.

Language thus, is not a one-to-one function with rigid logical framework behind it. It is half-referential (as in denotative function, to directly refers to things concrete and experiential without), and also half-emotive (as in connotative function, to indirectly refers things without i.e. feelings, emotions, memories, poetic usage of language). When we speak of a thing, we not only isolate the thing and to highlight upon it its existence, but also to imbued it with webs of evocative information.

This active and fluid nature of language is what makes language magical in the sense of creating awe behind lines of poetry of ejaculations of emotion. Those are the magical properties of language in our daily lives.

Isutzu also offers a theory of origin of language, not from communicative purposes, but rather that language originated from a festal origin. The primitive people would gather together in rituals, ceremonies that would facilitate the heightening of emotion. These rituals then acts as a medium where heightening of emotions could be then released with vocal raptures, allowing first associations between meaning and vocal ejaculations. It is the symbolic nature of men's mind that allows them to, in a way, pregnant the early gesticulations with meaning.
 (less)
Istvan Zoltan
A very insightful book combining ideas from linguistics, anthropology and sociology. With great sensitivity Izutsu identifies several social practices and institutions in which our traditional ways of thinking, our inherited appreciation for rituals, form the basis of what and how we do.

제3강 몸과 기억 - I 1교시; 세상은 과연 이미지들로 이루어지는가?

Untitled Document

제3강 몸과 기억 - I

1교시; 세상은 과연 이미지들로 이루어지는가?

< image? 명사)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남아 있는 인상이나 기억
마음속에 떠오르는 사물에 대한 감각적 영상, 심상(心象)

영어) 이미지/ 시각적 거울에 비친 모습이나 모양, 꼴
비슷한 모습, 초상, 조상, 우상/ 아주 비슷한 것/ 꼭 닮음
직유나 은유 등의 말의 꾸민 표현 / 심상, 표상, 관념

프랑스어) 이마주/ 거울 따위에 비친 상(reflet), 영상
사실 그대로의 재현이나 반영, 사진, 조상
비유나 상징, 심상, 이미지, 평판

Q) 인간의 시각 경험은 보는 눈과 보이는 대상을 전제로 하는 한 근본 적으로 이미지 경험이다. 보는 나와 보이는 것의 지속을 외면하고 이 둘을 병치시켜서 공간적으로 정지시킬 때 지성적인 이론활동이 가능하다. 대상으로부터 가능한 직접적이고 생동적인 이미지는 표상 (re-present- ation)이 되고 표상이 더욱 공간화/ 고정되고 경직될 때 개념이 된다.

- 샘물의 비유.
-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장자의 꿈의 비유/ 흄의 인상(impressions)
- 솔로몬의 독백(하늘 아래 영원하고 고장 불변된 것이 없음)

☞ 개념적 활동인 이론 학문은 대상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소여성으로부터 멀어지는 단점을 지니지만, 그 반면에 개별적이고도 불가공약적인 직접적 소여성/ 질적인 지속의 다양성으로부터 공감 가능한 소통의 장/ 다시 말해서 보편성을 추구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 베르그송의 지속의 철학의 존재론적 개념은 이미지다?

-이미지가 존재론적인 실재성을 장담할 수 없다면 반면에 지속이란 엄연하게 베르그송 철학의 존재론적인 실재 개념에 해당한다. 그런데 지속을 이해할 때 기존의 실체적인 실재개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지속은 고정 불변된 실체가 아닌 역동적인 새로운 실재 개념에 해당한다. 이점에서 베르그송은 전통적인 형이상학자가 아니고 새로운 형이상학자이며 현대적인 의미의 형이상학자라고 할 수 있다.

*

베르그송 철학에서 이미지라는 단어는 두 가지로 구분해서 사용된다.
첫 번째는 물질과 기억에서의 이미지 일원론적인 세계관에서의 그것이고
두 번째로는 직관의 표현과 전달 가능성에서 개념보다 더 직관에 근접할 수 있는 표현 수단으로서의 그것이다. 말하자면 전자의 이미지는 존재론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후자의 이미지는 인식론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질이란 이미지들의 총체이다. 이미지란 관념론자가 표상이라고 부르는 것 이상의, 그러나 실재론자가 사물이라고 부르는 것 이하의 어떤 존재를 의미한다. ~ 사물과 표상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이런 물질 개념은 간단히 말해서 상식적인 개념이다.”(MM. p.1.)

→ 관념론과 실재론은 둘 다 동일하게 지나친 이론들이다. 관념론과 실재론이 행한 분리 이전의 물질, 우리가 지각하는 그대로의 생동감 있는 물체는 하나의 이미지이다.(MM. p.2)

* 우리는 이미지들의 형태 아래서 만이 사물들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문제를 제기해야만 하는 것은 바로 이미지들에 제휴해서이고 이미지들 만에 의해서이다.

* 모든 이미지는 어떤 이미지들의 내부에, 그리고 다른 이미지들의 외부에 있다. 그러나 이미지들의 총체에 관해서 그것이 우리들의 외부에 있다거나 혹은 내부에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MM. p.21.)


< 『물질과 기억 et 』부제: 육체와 정신의 관계에 관한 시론 Essai sur la relation du corps a l'esprit

- 지속의 실재론이 전제하는 두 가지 실재성은?
① 정신의 실재성(la realite de l'esprit)
② 물질의 실재성(la realite de la )

☞ 베르그송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이원론의 구도를 전제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이원론은 데카르트의 토대주의처럼 실체론적인 이 원론이 아니다. 베르그송의 이원론은 이론의 전개와 이해를 수월하게 돕기 위한 이론장치로서 요청된다는 측면 하나와 - 언제나 이론상 혹은 원리상 혹은 권리상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일원론적인 지속의 전개 선상에서 분기(分岐)하는 다양성을 총칭하거나 묶는 수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제로 베르그송의 지속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가장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원론적인 것들이 맺는 그 관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 사실 실체 이원론을 주장한 데카르트도 마지막 저서인 『정념론』에서 인간을 이해할 때 실체 이원론이 유효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고심했다. ☞정념(les passions)이란 무엇인가? 외부의 감각 대상으로부터 인간의 정신이 수동적으로 겪는 심적 상태나 감정 등을 말한다.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우리의 정신이나 마음이 외부의 감각적인 물질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자족적인 실체라고 주장하면서도, 정념의 경우 정신의 자족성을 주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 송과선이 등장한다.- 정념을 육체로 인하여 비롯되는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표상으로 이해한다.

☞ 그렇다고 한다면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을 거부하는 베르그송철학에 있어서 정신과 육체의 관계성을 가장 여실히 드러내는 정념과 정념의 텃밭인 우리의 몸이야말로 중요한 철학적 문제의식이 아닐 수 없다.


< 정신과 물질, 양자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
☞ 기억이라는 분명한 보기에 양자의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 이 책은 ‘정신과 물질의 실재성’을 인정하고 기억이라는 분명한 보기에 의거하여 양자의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MM. p.1.) “선입견이 없이 사실의 영역으로 접근하는 사람에게 영혼과 육체 혹은 정신과 육체에 관한 이 오래된 문제는 즉시 기억의 문제로 축소되는 듯하다.”(MM. p.5)

"정신과 육체의 관계에 대한 문제는 철학사를 통해서 부단히 문제시되어왔을지언정 실제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MM. p.4.)

- 의식의 상태와 두뇌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의복과 그것이 걸려 있는 못 사이에도 또한 긴밀한 관계가 있는데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못을 잡아 뺀다면 의복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못의 모양이 의복의 모양을 결정한다고 말하자. 그렇지 않으면 어떤 방법으로 이를 예측하겠는가?

↔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즉 심리적인 사실이 두뇌의 상태에 걸려 있다는 사실로부터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두 현상의 병행론(le )을 결론지을 수는 없다. -이 둘 사이의 관계는 단순하거나 심지어 항상적인 것도 아니다. - 우리의 뇌의 상태는 우리의 심리생활을 행동으로 외재화하거나 또는 심리생활을 순수한 인식으로 내재화하는 경향이 있는가에 따라서 우리의 정신 상태를 다소 함유한다.
- 따라서 결국 정신생활(la vie mentale)의 상이한 어조들이 있는데 우리의 심리 생활(notre vie psychologique)은 ‘삶과 생명, 생활에(a vie) 대한 우리의 주의(attention)의 정도에 따라서 한편으로는 행동으로부터 멀리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행동 가까이에서 상이한 고도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 이 점이 바로 MM의 주요 사상 가운데 하나이자 본서의 출발점이다.(MM.pp.6~7 정리)


***본서의 두 가지 길잡이 원리

① 심리학적인 분석은 본질적으로 행동에로 향하는 우리의 정신 기능이 지닌 공리적 성격에 관하여 끊임없이 알아차려야만 한다.

② 행동 속에 배게 된 습관들이 사색의 영역 속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사색의 영역 속에서 인위적인 문제들을 창조해낸다. 형이상학은 이런 인위적인 문제들과 그 모호성들을 제거함에 의하여 시작해야만 한다.



2교시; 이미지들의 출입구인 우리의 몸

< 두뇌가 의식의 소여를 가공해낼 수는 없지 않은가? insane한 마인드의 경우처럼 헛것을 본다든가 환상, 환영을 보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삶의 온갖 직접적인 소여는 당연히 그 일차적인 관문으로 우리의 몸을 경유할 수밖에 없다. 물론 뇌신경계가 구심성과 원심성이라는 양 방향의 성질을 갖고 있지만 두뇌도 엄연하게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이미지들의 출입구는 우리의 몸이라는 표현을 해도 무리가 없다.

-우리의 눈이 보이는 것과의 만남을 주선한다면 우리의 몸은 보이는 것은 물론 이 세상이라는 직접적인 소여와의 만남을 주선하는, 말하자면 이미지들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출입구이며 출입문인 셈이다. 우리의 몸에 대한 중요성은 비단 그 몸의 주인공의 건강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그 몸을 지닌 주인공 자신은 물론 그가 처해 있는 세계를 발견할 수 있는 관건일 수밖에 없다.

-세상의 온갖 이미지들이 우리의 몸을 통하여 지금 이 순간도 출입하면서 왕래하고 있다.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어떤 생각을 유발하면서 혹은 우리들이 무슨 생각에 잠기면서 이미지들의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는 지속의 시간을.......? -말줄임표에 각자의 생각을 써 넣어보세요^ ^-ex) 맞이하고 보내고 만나고 헤어지고 망각하고 기억하고 외면하고 무시하고 초연하고 덤덤하고 무감각하고 태연하고 등등.


<C'est mon corps. ☞ 베르그송의 철학은 육체의 재발견이다!!!

"지각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감정에 의해서 내부로부터 내가 그 이미지를 안다는 의미에 있어서 다른 모든 이미지들과는 대조를 이루는 하나의 우호적인 이미지가 나의 육체(mon corps)이다.
나는 이런 감정들이 일어나는 조건들을 검사한다. 마치 최종적인 과정에다 나쁘게 결정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처럼 내가 외부로부터 받는 동요들 사이와 내가 실행하려고 하는 운동들 사이에 이런 감정들이 항상 개입되고자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나는 나의 다양한 감정을 검토한다. 각각의 감정은 제 나름대로 행동에의 부추김을 지니며 동시에 기다리도록 허락받고 그리고 심지어는 아무것도 하지 않도록 허락받은 듯이 보인다.(MM. pp.11~2.)"


" 내가 우주라고 부르는 이미지의 총체 속에서 마치 나의 육체를 통해서 나에게 제공되는 특수한 유형의 이미지의 중재에 의하지 않고서는 어떤 것도 새로 산출될 수 없다는 듯이 모든 것은 발생한다.”(MM.p.12)
(Tout se passe comme si, dans cet ensemble d'images que j'appelle l'univers, rien ne se pouvait produire de nouveau que par  de certaines images particulieres, don't le type m'est fourni par mon corps.)

“ 나의 육체는 그것이 받아들이는 바를 반환하는 방식을 어느 정도로는 선택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유일한 차이점을 지니면서, 물리적인 세계의 전체 속에서 다른 이미지들처럼 운동을 받으며 그리고 주면서 활동하는 하나의 이미지이다.”


“ 대상들을 움직이도록 의도된 물체인 나의 육체는 행동의 중심(un centre d'action)이다. 그것은 표상을 낳도록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나의 육체가 그것을 둘러싼 대상에게 실재적이고 새로운 행동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이라면 그것은 이것들에 대하여 특권적인 위치를 차지해야만 한다.”

“ 나의 시야가 넓어짐에 따라서 나를 둘러싼 이미지들은 보다 단조로운 바닥 위에로 나타나는 듯 보이고 그리고 내게는 무관해진다. 내가 이 시야를 좁힐수록 이것이 보는 물체들은 나의 육체가 그것들을 만지거나 움직이는 용이함의 정도에 따라서 더욱 또렷하게 계속 늘어선다. 그것들은 따라서 거울이 그렇게 할 것처럼, 나의 육체에다가 그의 우연적인 영향을 준다. 그것들은 나의 육체의 증대하는 혹은 감소하는 힘에 따라서 정돈된다. 나의 육체를 둘러싼 물체들은 그것들에 대한 나의 육체의 가능한 행위를 반영한다.” (MM.,pp.15~6.)


“유년시절을 연구한 심리학자들은 우리의 표상이 비인격적인 것이 됨으로써 시작된다는 사실을 잘 안다. 표상이 우리의 육체를 중심으로 채택하고서 그리고 나서 우리의 표상이 된다는 것은 서서히 귀납에 의해 드러난다. 이런 작용의 기제는 게다가 이해하기가 쉽다.”

“ 나의 육체가 공간 속에서 이동하는데 따라서 다른 모든 이미지들은 변한다; 이와는 반대로 나의 육체의 이미지는 확고하게 머문다. 때문에 나는 이것을 중심으로 삼아야 하는데 나는 나의 육체 이미지에다가 다른 모든 이미지들을 결부시킬 것이다.”

“ 경험이 입증하는 것처럼 이미지의 총체가 먼저 주어진다는 사실을 우리가 인정한다면 나의 육체가 어떻게 해서 이런 이미지의 총체 속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가를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처음에는 나의 육체와 다른 육체간의 구별일 뿐이었는데 어떻게 해서 내부와 외부라는 개념이 생기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 먼저 이미지 전체가 있다. 이 전체 속에는 ‘행동의 중심’이 있는데 이것에 기대어 연관된 이미지들은 반사 되는 듯하다. 이렇게 해서 지각이 생기고 행동이 준비된다. 나의 육체(mon corps)는 이런 지각의 중심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나의 인격(ma personne)은 이것에다 행동들을 결부시켜야 하는 그런 존재이다.”

“ 나의 육체로 불리게 될 이 행동의 중심을 점차로 제한하고 이것을 다른 모든 육체나 물체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실상 단번에 물질의 세계로 위치하는 것과는 달리, 왜 우리들은 이렇게 원하는가? 왜 우리들은 겉보기와는 달리 내가 나의 의식적인 자아(mon moi conscient)로부터 나의 육체에로, 그리고 이어서 나의 육체로부터 다른 육체들에로 나아가기를 원하는가?” (MM, pp.46~7)

제1강 왜 베르그송의 사상을 알고자 하는가?

Untitled Document
https://www.artnstudy.com/

https://www.artnstudy.com/PLecture/ksHong01/lecture/01_01.htm

제1강 왜 베르그송의 사상을 알고자 하는가?

< 첫 만남과 첫 인사 ;
“ 어디에 있다 왔습니까? 지금 이곳에 있기까지 특별히 기억하는 이미지들이나 사건들을 떠올리면서 말씀을 나 누어 보는 OT 시간을 갖읍시다.······

제가 좋아하는 자작시 한 편을 소개하면서 8주 동안, 16시간 동안 여러분과 함께 베르그송이 발굴한 너른 사 유의 대양을 함께 노 저어 갈 제 소개를 대신하기로 하겠습니다. 원하시는 분은 간단하게 본인을 소개하셔 도 좋습니다. 앞으로 16시간을 함께 보내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 시간을 견디면서 *

시간의 틈새로 내비친
삐죽 새어나오지 못 하게
꾹꾹 누르고 누른 이 아픔


이 믿기지 않을
삶의 서글픔을
가난이라는 불편함을
여자라는 아픔을


아니 너무도 서럽기에
서러우리만치 가난하기에
여자라고 푸념 해댈
여유조차 갖지 못 하기에
넋두리할 시간의 틈조차
허락받지 못 하는 일상은
넉넉한 기억조차 사치려니

기억의 흔적을 추스르기도 전에
아픔을 가슴으로 주워 담기도 전에
쉽사리 정리되어 운반되어지는 저 무심한
이삿짐 트럭의 뒷모습과도 같은 세월

아픔을 이겨내고자
가난을 이겨내고자
여자임을 달게 받고자
오늘 또 하루가 간다.


-『 시간과 나』중에서 발췌-



<베르그송의 시간철학을 만나기 위한 예비적인 시적(詩的) 고찰

* 두 번이란 없다


두 번 일어나는 것은
하나도 없고
일어나지도 않는다.

그런 까닭으로 우리는
연습 없이 태어나서
실습 없이 죽는다.

(중략)

어떤 하루도 되풀이되지 않고
서로 닮은 두 밤도 없다.
같은 두 번의 입맞춤도 없고
하나같은 두 눈 맞춤도 없다.

(하략)

☞ 네이버 검색창에 ‘비스와바 심보르스카’를 치고 시 전문을
음악과 함께 감상합시다!


Wisława Szymborska(1923~ )

폴란드의 여류시인인 심보르스카는 크라쿠프의 야기엘로니안 대학교에서 문학과 사회학을 공부했다. 그녀의 시는 1945년에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다. 1952년에 첫 시집이 나온 데 이어 1954년에 2번째 시집이 나왔지만, 심보르스카는 이 두 시집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맹목적으로 헌신했다는 이유로 이 시집들을 자신의 작품 목록에서 줄곧 제외해왔다. 동료 시인인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 및 타데우슈 로제비치와 함께 현대 폴란드의 투쟁, 즉 제2차 세계대전, 유대인 학살, 소련 점령,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스탈린주의, 계엄령, 민주화 등을 증언했다. 고도의 철학적 문제를 다루려는 욕망과 강렬한 휴머니즘으로 이것을 부드럽게 조율했으며, 1980년과 1996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교시 ; 인문학적인 사유란 무엇인가?


<인문학이란? 아 프리오리와 아 포스테리오리 / 선천적과 후천적

<인문학적인 사유란? 보편성과 특수성 / 전체성과 개체성

<중국고전 인용! 익선관

<철학의 유래? philos + sophia ; 애지학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비교- subject의 문제


* 철학의 현대성?

프랑스철학과 베르그송/ 도대체 자기 동일성이란 지속의 흐름 선상에서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 왜 이 시대 탁월한 사유의 마지막 보루라고 표현했는가? -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길목에서 반드시 거쳐야만 할 사유의 거장인 베르그송 - 현대프랑스철학의 impersonnelle한 사유로 넘어서는 길목에서 personnelle한 사유의 마지막 거장 베르그송!


지속을 이해할 때 자아의 자기 동일성은 무참히 위협을 받게 된다. 왜 그런가? 비유적으로 표현해 보자.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 등등은 물론 모두 나라고 불린다. 그러나 매번 동일할 수 없는 나의 사유는 동일한 나라는 공간적 사유의 대상 앞에서 현기증을 느낀다. 나는 나의 지속의 실재인 셈인데 사실 지속은 실체성이 있을 수 없는 실재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정신을 바짝 차릴 수 있는 확실하고도 분명한 이유는 지속의 실재가 몸에 닻을 내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실 우리들 인간이 인간적인 몸을 지니지 않는다고 한다면 기계나 유령에 다를 바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자기 동일성이란 이렇게 이해될 수 있다. 몸을 통하여 허락된 살아 있는 동안, 그만큼의 모습과 빛깔과 형상과 의미에 불과한 것이 곧 자기 동일성이란 사실이다. 이는 자기 동일성이 파기되고 거부 되는 현대 프랑스 철학으로 나아가는 길목에서 망연자실 하면서, 인간과 인간성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느끼면서, 탈인간주의로 인한 비인간화와 이로 인한 인문학의 무력화 분위기에 당당히 맞서서 베르그송의 지속의 발견을 경청해야 하는 분명한 이유이다.


2교시 ; 베르그송의 생애와 일화 및 주요 저서 소개


<생애와 결혼 및 딸과 가족 사진

<처조카인 프루스트와 윌리암 제임스와의 편지 교제

<지속의 시간관과 아인슈타인의 시간관과의 간략한 비교

<현대예술가들에게 미친 영향-동시성의 시간체험/ 시간과 공간의 종합예술인 영화예술/ 몽타주 등


“ 영화와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베르그송적 시간개념을 우리는 현대예술의 모든 장르와 경향에서 찾아본다. 무엇보다도 이른바 심적 상태의 동시성(simultaneite des etats d'ames)이 현대미술의 여러 경향을 연결시켜주는 기본 체험으로서, 이태리의 미래파에서 샤갈의 표현주의에, 피카소의 입체주의에서 살바도르 달리의 초현실주의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의 움직임에 일관된 것이다. 정신 활동 과정의 대위법과 그 내면적 상호연관의 음악적 구조를 발견한 것은 베르그송이었다.” -A.하우저 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현대편』 , 창작과 비평사, 248쪽.


<소르본느대와의 아쉬운 인연

<꼴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와 외교관 시절 및 노벨상수상과
금서목록 지정 등등.

<주요 저서/ 박사학위 / 노벨상 수상작 / 4대 주저 / 8권의 저서 및 7권의 발표작

<국내 번역서 및 연구서

<고 김 진성 교수님을 추모하면서

<마지막으로 『베르그송전집Oeuvres』 구입에 얽힌 이야기

<베르그송의 철학을 전공하기까지의 비하인드 스토리 ; 빨간색 표지의 책

<고 신일철 은사님과 최동희 은사님


베르그송의 유언장 ; “나는 반성하면 할수록 더 가톨릭에 가까이 가게 되었고, 거기서 나는 유대주의의 완벽한 완성을 본다. 만약 몇 해 전부터 반유대주의의 물결이 세계로 퍼져 나가는 것을 보지 않았다면 나는 개종했을 것이다. 나는 장차 박해받을 사람들과 함께 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나는 빠리 교구 추기경이 허락한다면 내 장례식에 가톨릭 신부가 와서 기도해 주기를 바란다. 허락하지 않으면 랍비에게 부탁해야 할 것이다. 그에게도 그리고 아무에게도 가톨릭에 대한 나의 정신적 귀의와 내가 가톨릭 신부의 기도를 우선적으로 원했다는 것을 숨겨서는 안 된다.”


-앙리 베르그송(최화 옮김),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아카넷, 2006, 305쪽. 옮긴이의 해제인 ‘베르크손의 생애와 철학, 그리고『시론』’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