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5

바가바드 기타 | 함석헌

번역물 1 페이지 | 바보새함석헌


25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8장 내버림에 의한 해탈 바보새 01-29 1154 0
24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7장 세 종류의 신앙 바보새 01-29 744 0
23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6장 거룩한 바탈과 귀신바탈 바보새 01-29 680 0
22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5장 滅不滅을 초월하는 至上 자아 바보새 01-29 826 0
21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4장 3성분별 바보새 01-29 780 0
20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3장 밭과 밭알이와 그 분별 바보새 01-29 764 0
19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2장 박티 요가 바보새 01-29 1424 0
18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1장 일체상(一切相) 바보새 01-29 896 0
17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0장 거룩하신 능력 바보새 01-28 1036 0
16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9장 왕지식과 왕신비 바보새 01-28 818 0
15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기타 -제8장 브라마 요가 바보새 01-28 1671 0
14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7장 즈나나 비즈나나 요가 바보새 01-23 2511 0
13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6장 진정한 요가(2) 바보새 01-22 774 0
12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6장 진정한 요가(1) 바보새 01-22 1420 0
11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트 기타- 제5장 내버림의 요가(2) 바보새 01-22 719 0
10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5장 내버림의 요가(1) 바보새 01-22 823 0
9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4장 즈나나 카르마 산야사 요가(2) 바보새 01-21 970 0
8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4장 즈나나 카르마 산야사 요가(1) 바보새 01-21 916 0
7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3장 카르마 요가(2) 바보새 01-20 843 0
6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3장 카르마 요가(1) 바보새 01-20 1398 0

5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2장 샴카 요가(2) 바보새 01-20 4615 0
4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2장 삼캬 요가(1) 바보새 01-20 1687 0
3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제1장 아르쥬나의 고민 바보새 01-20 6157 0
2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 책을 읽기 전에 바보새 05-27 1853 0
1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바가바드 기타를 읽는 독자들에게 바보새 05-27 1296 0


목록처음 1 2

바가바드 기타 | 바가바드 기타-바가바드 기타를 읽는 독자들에게
작성자 바보새 14-05-27 11:51 조회1,296회 댓글0건
검색목록
바가바드 기타를 읽는 독자들에게
 
 
「바가바드기타」는 힌두교 경전 중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간디는 그것을 늘 끊지 않고 읽었습니다. 그는 스스로 어떤 어려운 문제에 부딪칠 때 마다「기타」를 읽노라고 했습니다. 그는 젊어서 공부할 때 이것을 외기 위해 아침마다 세수할 때는 그 한 절씩을 써 붙여놓고 칫솔질을 하는 동안 그것을 속으로 외었다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글이 우리 사회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은 참 아쉬운 일입니다. 나는 젊어서 서양 사람의 책을 읽노라면 그 속에「기타」소리가 자주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뭔지 내용은 모르지만 흔히 그것을 소개하기를 “기독교의 신약 같은 지위에 있다”고 하는 것을 보면 굉장히 중요한 글인 것은 분명한데 어디서 찾을 길이 없었습니다. 물론 그 것은 나의 독서 범위가 좁고 열심이 적었던 때문이지만 또 어디서 곧 찾아볼 수 있으리만큼 소개해준 사람이 없던 탓도 있습니다. 불교와도 깊은 관계가 있는데 몇 천 년 불교신앙의 역사를 가지면서 왜 그것을 몰랐는지, 알고도 귀한 것이기 때문에 가만 숨겨두었던가? 확실히 그런 점도 있습니다. 하나님 소리를 그렇게 많이 하지 않았던들 사람들이 좀 더 진지하게 그를 찾았을는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하나님은 항상 더럽힘을 당해서 하나님입니다. 더럽혀도 더럽혀도, 수정에 흙물을 끼얹은 듯, 조금도 더럽혀지지 않는 데 하나님의 하나 된 점이 있습니다. 진리는 귀족적일 수 없습니다. 어떤 천하고 못나고 악한 것도 부르고 들어보고 만져볼 수 있는 것이 진리 아니겠습니까?
 
마음에는 항상 기억하면서도 못 보고 있었는데 6·25전쟁에 쫓겨 부산 가 있는 동안 하루는 헌책 집을 슬슬 돌아보고 있었는데 우연히 어느 집 책 틈에 에브리맨스 문고판의 「바가바드기타」가 한 권 끼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때의 나의 놀람, 기쁨! 주도 설명도 하나 없으니 옳게 이해했을 리가 없습니다. 그래도 읽고 또 읽으니 좋았습니다. 그 이래 오늘까지 놓지 않고 읽습니다. 그런데 그러고도 그 꼴 이냐? 하고 책망하겠지만 그런 줄 스스로도 알면서 나는 이것을 감히 권하고 싶습니다. 성자만 전도하란 법 없습니다, 망나니도 해야지. 그래서 바울이 한숨 쉬며 감사하지 않았습니까? 어떤 사람은 참으로 전도하고 어떤 사람은 나를 더 괴롭히기 위해 하지만 어쨌거나 그리스도의 이름이 전파되니 좋다고 그랬습니다. 꿀은 옥단지에 담아도 꿀이요 깨진 바가지 쪽에 담아서 더럽고 다 흘러빠져도, 그래서 단 한 방울이 남아도 꿀이 꿀인 데는 변동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둔하고 아무리 악독한 인간이라도 진리의 말씀을 완전히 변질 말살 왜곡 은폐할이만큼 타락 할 수는 없습니다.
 
내가 경험해봤으니 설명 없이는 알기 어려울 줄을 압니다. 해제나 서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서툰 내가 하는 것보다는 잘한 이의 것을 비는 것이 옳을 듯해 스와미 프라바바난다(Swami Prabhavananda)와 크리스토퍼 이셔우드(Christopher Isherwood)의 공동 번역에 실린「기타와 마하바라타」 「기타의 우주론」두 장을 우선 실어서 앞으로 읽어가는 데 도움이 되게 할까 합니다.
 
                                                                                             함석헌
====
바가바드 기타 | 바가바드 기타- 책을 읽기 전에
작성자 바보새 14-05-27 12:17 조회1,853회 댓글0건
검색목록
책을 읽기 전에
 
 
「기타」와「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Mahabharata)는 세계에서 가장 긴 시라고 한다. 그 맨 첨의 원형대로는 2만 4천 절로 되어 있었는데 그것이 갈수록 차차 늘어서 나중에는 10만 절에 이르게 됐다. 구약성서와 마찬가지로 이것도 단일한 작품이 아니고 여러 개의 이야기가 모여서 된 것이다. 그 중심 되는 제목은 그 이름이 보여주는 대로, 인도 옛날의 바라타 대왕족의 이야기다. 마하(maha)란 크다는 뜻이다.
「마하바라타」에 의하면 판두(Pandu) 왕이 죽은 다음 그 자리를 그 동생 되는 드리타라슈트라(Dhritarashtra)가 이어 들어서서 판두의 다섯 왕자, 즉 판다바스(Pandavas)들을 거두어 자기의 일백 왕자들과 함께 양육하게 됐다. 그들이 차차 자라 어른이 되자 판다바스들은 그 경건심과 영웅적인 인격에서 두드러져 나타나게 됐다. 그러자 드리타라슈트라의 맏아들 두료다나(Duryodhana)는 샘을 일으켜 그들을 죽일 계획을 하게 됐다.
무료다나는 계책을 꾸며서 한 멀리 있는 성에 궁궐을 짓고는 판다바스들을 초청해서 어떤 종교적 명절 동안을 그 안에서 지내게 했다. 그 궁궐은 아주 불붙기 쉬운 자료로 지어졌으므로 두료다나의 부하들은 손쉽게 거기 불을 놓을 수 있었다. 그러나 궁궐은 다 타 재가 됐지만 판다바스들과 그들의 어머니 쿤티(Kunti) 왕비는 마침 알려주는 사람이 있어서 무사 히 도망할 수가 있었다. 두료다나는 그들이 다 죽은 줄로만 알고 있었다.
 
판다바스들은 산림 속에서 브라만(Brahman)족처럼 변장을 하고 지내는 동안 가지가지의 고난을 겪었고 모험을 했다. 어떤 날 그 근처의 국왕이 자기 딸을 위해 사위를 고르는 식을 한다는 말을 들었는데 거기 뽑히려면 굉장히 강한 활을 당기어 밟아서 아주 조그만 과녁을 맞혀야 한다고 했다. 판다바스들은 한번 해보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변장한 모습으로 그 성에 갔다.
지망자가 전인도 사방에서 모여들었다. 두료다나도 그 속에 있었다. 그 시험에 모든 사람이 하나씩 하나씩 다 떨어져나가고 맨 나중에 판다바스의 셋째인 아르쥬나(Arjuna)가 일어나서 조금도 힘들어하는 기색 없이 그 활을 꾸부려 밟아가지고 그 과녁을 맞혔다. 공주 드라우파디(Draupadi) 는 그에게 승리의 화관을 씌웠다. 그러나 거기 모였던 왕자들은 겉보기 에 미천하고 무사답지 못한 브라만 사람에게 그런 모욕을 당하고 그냥 있을 수 없었다. 마침 그 자리에 있었던 크리슈나(Krishna)가 두 사이에 들어 조정을 하고 아르쥬나가 신부를 차지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설득을 시키지 않았던들, 마치 율리시즈 이야기 모양으로 큰 싸움이 일어날 형세였다. 크리슈나는 판다바스의 사촌이면서도 드리타라슈트라 왕의 아들은 아닌 사람이었다.
5형제는 드라우파디를 데리고 산림 속으로 돌아가 기다리고 있는 쿤티게로 나가서 큰 목소리로 “어머니, 우린 아주 놀라운 보배를 얻어왔어요” 했다. 쿤티는 “얘들아, 부디 똑같이 나눠가져야 해” 하고 대답했다. 그러고 보니 한 처녀가 아닌가. 그래 어쩔 줄을 모르며 부르짖었다. “아이구머니나, 내가 무슨 소리를 했지!” 그러나 이미 늦었다. 그 어머니의 말은 그 아들들에게는 거룩한 것이었다. 그래서 드라우파디는 그 다섯 형제들과 다 같이 결혼을 하게 됐다.
 
드리타라슈트라와 그의 아들들은 이제 판다바스들이 살아 있을 뿐만 아니라 결혼을 통해 강한 임금과 결탁을 하게 된 것을 알았다. 두료다나는 그 국토를 다 차지하려고 했지만 드리타라슈트라가 어질게도 그 숙부 비슈마(Bhishma)의 조언을 들어 그 5형제를 오라 청하여 왕국의 절반을 갈라주기로 했다. 그리해서 왕국을 둘로 갈랐는데 판다바스들은 쟈무나(Jamuna) 강 유역에 있는 가장 나쁜 황무지를 가지게 됐다. 그들은 그것을 개척하여 훌륭한 도시를 건설하고 맏형 유디슈트라(Yudhishtra)를 세워 왕으로 삼았다.
이제 5형제는 승리와 영광의 시대를 맞게 되는 반면 두료다나는 그들을 점점 더 미워하게 됐다. 그는 샘 끝에 또 다른 흉계를 꾸며 그들을 해하려 했다. 경건하고 점쟎은 유디슈트라 왕이지만 한 가지 위험한 약점이 있었는데, 노름을 좋아했다. 그래 두료다나는 그를 보고 아주 꾀많고 사기꾼인 사쿠니(Sakuni)와 같이 골패를 치자고 도전을 했다. 그러면 왕은 체면에 걸려 승낙 아니하지는 못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골패를 쳤는데 사쿠니가 협잡을 했기 때문에 왕은 매번 져서, 전재산을 대다가, 왕국을 대다가. 나중엔 자기의 모든 형제, 드라우파디, 자기 자신까지 대서 다 졌다. 마침내 그들은 다 무료다나의 노예가 되어 원수 갚음으로 하는 갖은 모욕과 학대를 받게 됐다. 나중에 드리타라슈트라가 견디다 못해 나서서 중재를 해서 비로소 그들은 자유를 얻고 왕국을 돌려받게 됐다.
그렇지만 무료다나는 끝내 그 아버지에게 졸라서 또다시 골패를 한번 치는 허락을 얻었다. 지는 사람은 제 왕국을 내놓고 산림 속에 은거하여 12년을 지내야하고 그 다음 1년은 성내에서 살되 들키지 않아야 한다. 만일 들키면 그 유배의 기간을 다시 반복해야 한다. 그런데 유디슈트라는 이번 내기에도 졌다. 그래서 판다바스들은 산림 속으로 쫓겨났다. 그들은 그 불행을 복으로 살려 그동안에 정신적으로 수련을 하며 많은 영웅적 행동을 쌓았다.
 
한번은 그들이 방랑을 해서 다니는 동안 목이 말라 죽게 되는 지경을 당했다. 막내동생 나클라(Nakula)를 시켜 물을 찾아보라 했다. 그는 찾다가 호수를 하나 발견했는데 맑기가 수정 같았다. 엎드려 마시려 하자 소리가 하나 들려오는데 “가만있어, 얘야. 우선 내 질문에 대답을 해. 그런 다음 마셔라” 했다. 그러나 나쿨라는 너무 목이 타 죽을 지경이므로 그 소리를 들은 척도 않고 물을 마셨다. 그러자 곧 죽어버렸다. 그 손위 형 사하데바(Sahadeva)가 그를 찾으러 나갔다가 역시 그 호수를 발견하고 같은 일이 벌어졌다. 그 모양으로 해서 4형제가 다 죽었다.
맨 나중 유디슈트라 차례가 왔다. 그는 그 시체들을 보고 울기 시작했는데 그때에 그 목소리가 말하기를 “얘야, 우선 내 질문에 먼저 대답해. 그러면 내가 네 슬픔과 목마름을 다 고쳐줄 것이다” 했다. 그가 얼굴을 돌이켰을 때 그는 의무와 덕의 화신인 다르마(Dharma)가 한 마리 학의 형상으로 자기 옆에 선 것을 보았다.
그 학은 물었다.
“천당에 올라가는 길은 무엇이냐?”
“진실입니다.”
“사람은 어떻게 하면 행복을 얻을 수 있느냐?”
“올바른 행실로입니다.”
“슬픔을 이기기 위해 무엇을 정복해야 하느냐?”
“자기 마음입니다."
“사람은 언제 사랑을 받을 수 있느냐?”
“허영심이 없을 때입니다.”
“세상에 놀라운 모든 것 중 가장 놀라운 것이 무엇이냐?”
“자기 둘레에서 모든 사람이 죽는 것을 보면서도, 한 사람도 제 죽을 것을 믿는 사람은 없는 일입니다.”
“사람이 어떻게 하면 참 종교에 이를 수 있느냐?
“토론에 의해서도 아닙니다. 경전에 의해서도, 교리에 의해서도 아닙니다. 그것들은 유익이 없습니다. 종교에 이르는 길은 성인들이 밟아간 그 길입니다.”
 
다르마는 흐뭇이 여겨 자신을 유디슈트라에게 나타낸 다음 4형제를 살려주었다.
유배의 기한이 다 된 다음 유디슈트라는 그의 왕국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두료다나는 거절했다. 유디슈트라는 자기를 위해서 다만 한 부락과 자기 형제들을 위해서 각각 한 부락씩이면 만족하겠다고 했지만 탐욕에 정신이 빠진 두료다나는 그것조차도 동의하려 하지 않았다. 왕실의 장로들이 중재에 힘썼으나 소용이 없었다. 그리하여 전쟁은 불가피하게 됐다. 인근의 왕국들도 그 싸움에 말려들기 시작해 나중에는 전인도에 미치게 되었다. 양쪽이 다 크리슈나의 도움을 원했지만 크리슈나는 양쪽에 대해 꼭 같은 조건을 내놓고 택하라고 했다. “내 친족 브리슈니스(Vrishnis) 사람들 모두의 도움을 받든지 그렇지 않으면 나 하나만이든지. 그러나 나는 싸움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두료다나는 브리슈니스를 택했고 아르쥬나는 크리슈나 자신을 자기의 차부로 택했다.
싸움을 하게 된 곳은 유명한 순례지인 쿠루크쉐트라(Kuru-kshetra) 들이었다.「바가바드기타」에 기록되어 있는 크리슈나와 아르쥬나 사이의 대화는 여기서 바로 전쟁이 맞붙기 직전에 이루어진 것이다.
전쟁은 18일 동안 계속됐고, 두료다나가 전사하고 승리가 온전히 판다바스에게 돌아가는 것으로 끝이 난다. 그후 유디슈트라는 인도의 완전한 통치자가 되어 36년간을 다스렸다.
 
이 얘기는 드라우파디와 판다바스가 하나님이 계신 히말라야에 순례를 가는 것으로 끝이 나는데, 그 도중에서 왕비와 네 형제가 다 죽는다. 그들은 인간의 몸을 가진 채 천당에 올라가기에 넉넉하리만큼 온전히 순결치는 못하기 때문이었다. 다만 성자 왕인 유디슈트라만이 자기의 충성스런 개를 데리고 하늘로 올라간다. 그들이 천당에 다다랐을 때 모든 신들의 왕인 인드라(Indra)는 그를 보고 개는 들어갈 수 없다고 했다. 유디슈트라는 대답하기를 만일 그렇다면 자기도 천당 밖에 머무르겠다고 했다. 그 이유는 자기는 자기를 믿어주었고 즐겨 자기를 보호해주었던 어떤 물건이라도 그것을 거친 들에 버릴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끈질긴 토론 끝에 마침내 개와 임금이 다 허락되어 함께 들어갔다. 그러자 그 개가 바로 다르마로 나타났다. 이것이 유디슈트라의 정신적 위대를 드러내는 또 하나의 시험이었다. 그 다음 하나 더 있다. 왕이 사방을 돌아보니 하늘에는 그의 죽은 대적들로 가득 차 있었다. 그는 그의 형제들과 동무들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다. 인드라는 그를 데리고 한 음산하고 끔찍한 곳으로 갔다. 바로 지옥구덩이다. 유디슈트라는 “저도 여기 있을랍니다. 제게는 그들이 있는 여기가 곧 천당입니다” 했다. 그때에 그 암흑과 끔찍한 것은 사라졌다. 유디슈트라와 다른 판다바스들은 그 나타나 뵈는 지옥과 천당을 지나 참 하나님의 사심 속으로 들어갔다. 그것이 곧 영생이다.
 
「바가바드기타」는 글자대로 하면 신의 노래라는 뜻인데 힌두교에서는 스루티(Sruti) 곧 신이 직접 인간에게 계시해준 경전으로는 알지 않고 스므리티(Smriti) 곧 화신이나 성자, 예언자가 경전에 대해 주를 달아서 한 가르침으로 안다. 그렇지만 이것이 힌두 종교에서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책이다. 말하자면 인도의 복음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로부터 긴 세월을 두고 인도의 정신적 문화적 지적 정치적 생활에 광범한 영향을 주어왔고 지금도 주고 있다. 인도의 사상가 지도자의 정신적 취사(趣舍)를 이해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이것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타」의 연대는 보통 학자들에 의해 기원전 4세기와 5세기 사이에 놓여 있는데 그들의 대부분의 의견은 이것이 본래는「마하바라타」의 한 부분이 아니었다는 데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반드시 이것이 편집 된 것이 그 서사시보다 후라는 말은 되지 않을 것이다. 한동안 이것은 독립적으로 있었던 듯하다.「기타」안의 대화에는 네 사람이 말을 하고 있다. 드리타라슈트라 왕, 산쟈야(Sanjaya), 아르쥬나, 크리슈나다.
 
드리타라슈트라는 소경이었다. 전설로 전해오는 말에 「기타」의 저자라고 하는 성자 브야사(Vyasa)가 왕에게 쿠루크쉐트라의 싸움을 볼 수 있도록 눈을 뜨게 해주마 하는 것을 왕은 거절했다고 한다. 그는 그의 친족의 죽음을 차마 볼 수 없어서 그랬다는 것이다. 그래서 브야사는 드리타라슈트라의 신하요 마부인 산자야에게 뚫어봄 뚫어들음의 능력을 주었다. 그래서 그들은 궁중에 앉아 있으면서 산쟈야가 저 멀리 전장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고 듣는 대로 왕에게 알려주었다. 그의 입을 통해 크리슈나와 아르쥬나의 말은 영매적(靈媒的)으로 보도가 됐고 이따금씩 끊고 자기 자신의 설명을 첨부하기도 한다.
크리슈나소(Krishna)님은 인도의 그리스도라 부름받는다. 사실「바가바드 기타」와 그 밖에 관계되어 있는 크리슈나의 생애와 나사렛 예수의 생애와의 사이에는 놀랄이만큼 비슷한 점이 있다. 양쪽이 다 전설과 사실이 섞여 있다. 그러나 역사적 문제는「바가바드기타」의 가르침을 맛보는 데는 아무 상관이 없다. 영적 진리를 찾기 위해「기타」나 산상수훈을 읽는 독자에게 역사적인 크리슈나나 역사적인 예수가 정말 존재했든지 말았든지 그것은 그리 큰 문제가 아니다.
「기타」의 주된 문제는 크리슈나 개인에게는 있지 않다. 그러나 브라만으로서의 그의 모습은 구경(究竟)의 실재 그것이다. 크리슈나가 아르쥬나에게 말할 때 어떤 때는 하나의 개인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신 자신으로서 말을 한다.
 
나는 브라만이다.
이 몸 안에 있으면서
영원히 죽지 않는 생명이니
꺼질 날이 없느니라.
나는 진리요
영원한 즐거움이다.
 
아르쥬나도 크리슈나에 대하는 그의 자세에 있어서 두 가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크리슈나는 아르쥬나가 택해서 섬기는 비슈누(Vishnu)의 거룩한 화신이다. 아르쥬나도 그것을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때로는 자비로운 무지에 의해 그것을 잊어버린다. 사실 그로 하여금 잊어버리게 한 것은 크리슈나 자신이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으로서는 계속 하나님과 같이 있는 그 긴장을 견뎌낼 수 없기 때문이다. 11장에 기록되어 있는 크리슈나의 거룩한 환상을 본 다음 아르쥬나는 우주의 주를 자기가 “친구요 죽을 수밖에 없는 같은 동류로” 대접했다는 것을 깨닫고 두려워한다. 그는 크리슈나에게 엎디어 용서를 빈다. 그러나 그의 두려움은 곧 가셔버린다. 다시 그는 잊어버린다. 우리는 예수의 변화의 환상을 보고 난 다음 예수와 그 제자들 사이에도 같은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드리타라슈트라 왕은 오직 한번 말할 뿐이다. 사실로「기타」전편의 이야기는 다 그의 시작하는 한 마디 질문에 대한 산쟈야의 대답이다.
 
「기타」의 우주론
다른 모든 힌두교의 문헌과 마찬가지로「기타」도 분명하게 짜인 체계적인 우주론 위에 서 있다. 이 우주론의 홀로 하나인 중심적인 참 것을 브라만(Brahman)이라 부른다. 곧 실재자이다. 브라만은 총체적인 신성(神性)이다. 그것은 도저히 정의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것이다.「우파니샤드」(Upanishad)는 브라만을 존재요 지식이요 지극한 즐거움(existence, knowledge, bliss)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속성(屬性)은 아니다. 브라만은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 브라만은 존재 그 자체다. 브라만은 어진 것도 행복한 것도 아니다. 그보다도 절대적인 지식이요 절대적인 즐거움이다. 아마 우리 인간의 마음에 가장 받아들이기 쉬운 표현방법은 “브라만은 이런 것도 아니고, 저런 것도 아니다……” 해서 나중에 현상적인 우주 전체가 다 없어지고 오직 브라만이 홀로 남게 되는 일일 것이다.
브라만은 절대적으로 현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생체, 모든 물체 속에 다 있다. 신성은 사람 속에도, 쥐 속에도, 돌 속, 번개 속에도 나타나 있다. 그렇게 생각할 때의 브라만은 아트만(Atman)이라고 부른다. 다만 편의상 그렇게 부르는 것이지 조금도 어떤 다름이 있다는 뜻은 아니다. 아트만과 브라만은 하나다.
또 브라만을 이 우주와의 관계에서 생각할 때는 하나의 인격적인 신, 곧 이슈바라(Ishvara)라고 한다. 이슈바라는 속성을 가진 신이다. 그는 모든 거룩한 성격 곧 사랑, 자비, 정결, 정의, 지식, 참을 가지고 있다.
 
브라만은 절대이기 때문에 모든 행동을 초월한다. 그러므로 브라만이 창조했다거나 파괴했다고 할 수는 없다. 이 우주를 창조하고 지지하고 무너뜨리는 것은 이슈바라, 곧 브라만이 자기의 능력과 하나가 된 분이다. 이렇게 말함은 반드시 이원론(二元論)은 아니다. 브라만의 능력을 브라만에서 갈라낼 수 없는 것은 마치 불의 열을 불에서 갈라낼 수 없는 것과 한가지다. 그러나 철학적 분석이 우리를 그 놀라운 신비 속에 더 들어가게 하지는 못한다. 이슈바라란 생각은 인간의 지능이 신에 대해 알 수 있는 한계를 나타낼 뿐이다. 브라만은 절대적인 의미에서, 의식적인 마음으로는 도저히 알 수 없다. 브라만은 성자들에 의해 도달된 초의식적인 지경에서 체험 될 수 있을 뿐이다. 그 지경을 사마디(samadhi) 혹은 신과의 합일(合ᅳ)이라고 한다.「바가바드기타」안에는 이 지경에 이르는 방법이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식별(識別), 정신적 훈련, 명상에 의해서 바깥 세계와의 감관(感官)의 접촉이 온전히 끊어질 때 마음을 안으로 돌이켜 스스로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되고, 그리하여 거기 아트만, 곧 속에 와 계시는 신성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것이 모든 신비로운 수양의 하는 방법이요 이날까지 모든 진실한 종교에 의해 가르쳐져온 것이다.
힌두교는 더 나가서 이슈바라의 세 기능 혹 세 모습을 인격화하여, 브라마(Brahma)와 비슈누(Vishnu)와 시바(Shiva)라 부른다. 브라마는 거룩한 창조의 능력을 표시하고 비슈누는 지지(支持)를, 시바는 분해(分解)를 표시 한다. 시바를 흔히는 파괴자라고 하지만 그것은 오해다. 이 우주가 파괴 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우주는 브라만의 영원한 능력 밑에 속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과정의 한 부분이다. 그 영원한 과정은 가능성과 나타남의 두 시대를 번갈아 되풀이하고 있다. 그 돌아가는 바퀴의 끝, 혹은 칼파(Kalpa)가 오면 우주는 분해되어 풀어져 가능성의 시대, 곧 씨의 상태로 들어가서 다음 창조를 기다리게 된다.「기 타」8장에는 이 과정이 설명되어 있다. 크리슈나는 이 나타남의 시대를 ‘브라마의 낮’이라 부르고 가능성의 시대를 ‘브라마의 밤’이라 불렀다. 이 세계에 살면서 이 바퀴에 속해 있는 모든 산 물건들은 다음에 오는 우주 낮, 우주 밤에 따라 끊임없이 다시 나고 또다시 풀어진다. 그러나 이 풀어짐을 결코 신에 돌아가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아니된다. 그 산 물건은 다만 자기를 내보냈던 브라만의 능력으로 돌아가서 다시 나타나는 때가 올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을 뿐이다.
 
브라만의 능력은 모든 마음과 물질의 근본이다. 그것을 프라크리티(prakriti) 혹은 마야(Maya)라고 한다. 그 명칭은 서로 왔다갔다한다.「기 타」에 의하면 이슈바라는 언제나 그가 인간 속에 나고 싶을 때는 프라크리티에서 자기를 위한 몸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는 신이기 때문에 인간의 형상으로 있으면서도 여전히 프라크리티의 주로 남아 있다. 이것이 신의 화신이 보통 인간과 다른 점이다. 사람도 프라크리티와 연합한 아트만이다. 그러나 사람은 프라크리티에 눌려서 미혹(迷惑)되어가지고 자기는 아트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트만과 연합한다는 것은 그 미혹을 벗어버리는 일이며 살고 죽음의 길에서 해방되는 일이다. 해탈한 사람은 다시 날 수가 없다. 그는 벌써 프라크리티의 세력 밑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신의 화신은 절대 그 세력에 속하는 일이 없다. 그는 자유자재로 우주에 들고 난다.
힌두교는 크리슈나, 부처, 예수를 포함해서 ‘많은 화신을 믿는 것을 용납하고 또 앞으로도 많이 있을 것을 예상한다.
 
나는 언제나 다시 돌아온다.
거룩한 자를 건지기 위해
죄인의 죄를 멸하기 위해
정의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프라크리티는 구나(gunas)라는 세 가지의 힘(性)으로 구성됐다고 한다. 사트바(sattva, 善性)와 라자스(rajas, 動性)와 타마스(tamas, 暗性)다. ‘브라마’ 의 밤 곧 가능성의 시대 동안은 이들 ‘성’들은 온전히 균형을 이루어 있으므로 프라크리티는 아무 요동이 없이 가만있다. 창조는 이 균형이 깨지는 데서 나온다. 그때에 성들은 가지가지로 서로 다른 마음과 물체에 따라 이루 헬 수 없는 종류의 배합을 이루어 그 안으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그들의 성격은 심령적 물질적 세계에 나오는 그들의 소산물에 따라 알 수 있을 것이다.
물질계에서는 선성은 모든 순수하고 고운 것을 나타내고, 동성은 날쌘 것을, 암성은 굳고 맞서는 것을 나타낸다. 어떤 것 속에나 세 성은 다 들어 있다. 그러나 언제나 그중 하나가 지배적이다. 가령 예 든다면 선성은 햇빛 속에서 우세하고 동성은 폭발하는 화산 속에서, 암성은 화강암덩이 속에서 우세하다.
성은 또 어떤 물건이 진화의 어느 단계에 있는가를 표시하기도 한다. 선성은 실현될 형태의 본질이고, 암성은 그 실현에 대해 속에 들어 있는 장애고, 동성은 그 장애를 물리치고 그 본질을 드러나게 하는 힘이다.
 
사람의 마음에서는 선성은 심리적으로 침착, 정결, 평온을 드러내고, 동성은 열정, 불안정, 도전적 활동을 나타내고, 암성은 우둔, 게으름, 타성적임을 나타낸다. 어떤 때는 이 성이, 어떤 때는 저 성이 우세해짐에 따라 그 사람의 기분과 성격이 달라진다. 그러나 사람은 그 행동, 사상, 생활양식에 따라 그중 어떤 성도 배양해낼 수가 있다. 우리는 동성을 배양함에 따라 암성을 이겨낼 수 있고, 선성을 배양함에 따라 동성을 이겨 낼 수 있다고 가르침을 받는다. 그렇지만 구경의 지경은, 선성까지도 초월해서, 성의 위로 성의 저쪽인 아트만에 이르는 일이다.
프라크리티에서 나와서 천차만별의 만물에 이르는 진화의 과정을 더듬으려면 우리는 개인 지성의 근본이 되는 마하트(mahat)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 다음은 물체를 식별 분류하는 힘인 부디(buddhi), 그 다음은 아함카라(ahamkara), 곧 자기감각이요, 아함카라는 세 가지 기능으로 갈린다. ① 마나스(manas), 이것은 감각에서 오는 인상을 받아 그것을 부디로 보낸다. ② 감각의 5관(五官)인 눈, 귀, 코, 혀, 몸과 행동의 5기(五器)인 손, 발, 혀, 생식기, 배설기, ③ 다섯 탄마트라(tanmatras) 즉 빛, 소리, 냄새, 맛, 촉각의 본질이 되는 것, 이 기묘한 탄마트라들이 서로 얽히고 다시 얽혀서 소위 5 대 (五大)라는 지 (地) 수(水) 화(火) 풍(風) 공(空)을 낳는데 이것으로 이 영원한 우주는 이루어져 있다. 그 체계를 그림으로 그린다면 표와 같다.
 
                                           프라크리티
 
                                              마하트
 
                                              부디
 
                                            아함카라
 
1.마나스                          2.감각의 5관,행동의 5기                          3. 5탄마트라-5대
 
우리는 물론 현대의 서양 과학의 가설을 인도의 세계 그림에다 억지로 맞추려 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그러나 또 그 둘 사이에 어떤 서로 합하는 점이 있는 것을 몰라서도 아니될 것이다.
 
현대 과학은 물론 절대적인 실재의 관념에 대해서는 아무 관심이 없다. 그것은 브라만을 알아보려고 하지 않는다. 또 신비주의자들의 초의식에 대한 주장을 확인해주지도 않을 것이다. 그 하는 말은 결국 이런 것이다. “어쨌거나 현재로서는 그러한 종류의 체험을 조사해볼 만한 기술을 가진 것이 없다. 당신들이 브라만을 아노라고 할 때는 당신들은 과학 세계 밖의 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만일 프라크리티와 성을 생각해본다면 과학과 베단타는 한 가지 말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과학도 역시 일원론적인 우주를 분명한 것으로 말하고 있다. 모든 물질은 화학적인 원소들의 각각 다른 결합으로 되어 있는데 그 원소들은 같은 단원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은 시종일관 이 세계와 하나요 가장 먼 별과도 하나다.
 
과학은 마음과 물질 사이에 근본적인 구별을 하지 않는다. 마음은 어디서나 가능성이 있다. 과학자는 아직은 돌 속에도 마음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지는 못 하더라도 그는 그것은 아직 그가 그렇게 할 수 있는 적당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 그는 진화의 어느 섬에서 생명이 들어갔다는, 어느 점에서 인격이 갑자기 태아나 유아 속에 생기게 됐다는, 그 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우리게 말하기를 진화는 완전히 영속적인 것이요 또 일반적인 방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사람의 이상이나 가치는 상대적인 것이요 끊임없이 변천해 가는 것이다. 목적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방향은 분명하다. 그리고 인간의 진화적 사명은, 마치 콜룸부스가 알 수 없는 서쪽을 향해 항해를 했듯이, 그것을 향해 끊임없이 나가는 일이다. 과학적 견지에서 한다면 인간의 사명은 환경과 자기의 관계에 대한 보다 더 큰 지식을 얻어서 그것을 점점 더 잘 통제해갈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그것은, 사실 그 환경이란 자신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르쥬나와 과학자는 둘 다 같은 질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무엇이냐?”
====

퀘이커 300년 | 함석헌 Ch 1-18

번역물 1 페이지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300년- 부록 1955년 필라델피아 신앙반성질문서 바보새 01-07 303 0
----
18 퀘이커 퀘이커 300년- 10. 퀘이커 사상과 현대 바보새 01-07 348 0
17 퀘이커 퀘이커 300년- 9. 퀘이커 역사와 종교형식(2) 바보새 01-07 459 0
16 퀘이커 퀘이커 300년- 9. 퀘이커 역사와 종교형식(1) 바보새 01-07 442 0
15 퀘이커 퀘이커 300년- 8. 모임과 세계(2) 바보새 01-07 347 0
14 퀘이커 퀘이커 300년- 8. 모임과 세계(1) 바보새 01-07 397 0
13 퀘이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2) 바보새 01-07 359 0
12 퀘이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1) 바보새 01-07 403 0
11 퀘이커 퀘이커 300년- 6. 결의에 이르기까지 바보새 01-07 313 0
10 퀘이커 퀘이커 300년- 5. 감화 바보새 01-07 327 0
9 퀘이커 퀘이커 300년- 4. 예배모임(2) 바보새 01-07 324 0
8 퀘이커 퀘이커 300년- 4. 예배모임(1) 바보새 01-07 322 0
7 퀘이커 퀘이커 300년- 3. 사상으로서의 속의 빛(2) 바보새 01-07 312 0
6 퀘이커 퀘이커 300년- 3. 사상으로서의 속의 빛(1) 바보새 01-07 351 0
5 퀘이커 퀘이커 300년- 2. 속의 빛의 체험 바보새 01-07 303 0
4 퀘이커 퀘이커 300년- 1. 주님을 우러러보기 위해 바보새 01-07 917 0
3 퀘이커 퀘이커 300년- 머리말 바보새 01-07 332 0
2 퀘이커 퀘이커 300년- 한국판 서문 바보새 01-07 307 0
1 퀘이커 퀘이커 300년- 퀘이커 300년 옮긴이의 말 바보새 01-07 389 0


목록

회원가입약관 | 바보새함석헌

회원가입약관 | 바보새함석헌
바보새 함석헌 Web site

함석헌 선생님에 대하여 그의 사상과 철학을 공부하고 따르고자 하시는 분은 누구라도 회원으로 참여하여 바보새 함석헌 홈페이지를 통하여 모든 정보와 자료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바보새 함석헌 사이트는 함석헌 선생님과 관련된 자료를 회원들과 공유하여 그분의 사상을 이어받기 위한 공간입니다.
 

2. 회원의 자격

    함석헌 선생님의 철학과 사상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은 누구라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3. 연구회원과 일반회원으로 구별합니다.
  
    연구회원은 이 홈페이지 운영에 함께 참여하고 공동으로 제작하는 회원입니다.

4. 회원 가입은 인터넷 상에서만 가능합니다.
     
     회비를 받거나 또는 금전적 부담이 전혀 없으면 어떠한 요청도 하지 않습니다.

퀘이커 감화 - Google Search

퀘이커 감화 - Google Search




퀘이커 300년- 5. 감화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ssialsori.net › bbs › board


· Translate this page
16 Jan 2007 — 감화는 퀘이커 예배에서 중요하나 본질적인 것은 아닙니다. 이론으로 나 실지로나 완전한 침묵의 예배는 말이 나오는 예배와 마찬가지로 귀한 것 ...



퀘이커(종교) - 나무위키

namu.wiki › 퀘이커(종교)· Translate this page
17 Feb 2021 — 참교회는 예배에 모여서 조용히 성령께서 즉흥적인 기도나 설교나 증거를 하도록 감화해 주시길 기다렸다. 성직은 무급으로 임명없이 남녀 누구나 ...



[김나미의 열린마음, 열린종교] 13. 퀘이커 (Quakers) - 중앙일보
news.joins.com › article


20 Aug 2004 — 영국인 퀘이커에 감화받은 사람들이 가정집을 돌며 예배를 시작한 게 벌써 50년이 됐다. 퀘이커 한국모임은 1960년대 함석헌 선생의 영향으로 붐을 ...


퀘이커, 내면의 빛을 찾아가는 평화주의자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www.catholicnews.co.kr › articleView

7 Jan 2014 — 새해에 처음으로 만난 종교는 종교친우회, 즉 퀘이커 서울모임입니다. ... 이런 비움과 경청의 시간 속에서 빛이 주는 무언가에 감화 받은 이들은 ...


퀘이커란 - 퀘이커 서울 모임입니다
www.quakerseoul.org › quakers_5

그들은 이것이 자신들의 공통된 퀘이커 유산인 평화 증언의 활동을 강화시키는 일이라고 믿고 있는 것입니다. 1651년 죠지 폭스는 크롬웰의 군대에서 지휘관 자격의 ...


1.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됐나 - 퀘이커 서울 모임입니다
www.quakerseoul.org › ...

감화를 자유롭게 표현합니다. * 기독교 종파 가운데 가장 자유로운 신앙을 가진 것 같군요. ― 예. 그렇지요. * 남?녀 동등권 문제가 제일 먼저 퀘이커교에서 나오는 등 ...


서울 퀘이커모임 : 순례기 : 휴심정 : 뉴스 : 한겨레모바일
www.hani.co.kr › arti › well › pilgrim

· Translate this page
5 Dec 2005 — 감화'로 불리는 이런 메시지를 한 사람이 두 번 할 수 없고, 남의 말에 꼬투리를 잡거나 논쟁을 하지 않는 것만을 원칙으로 한다. 교회·목사·설교 없이 ...

퀘이커 300년- 5. 감화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300년- 5. 감화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

퀘이커 | 퀘이커 300년- 5. 감화
페이지 정보작성자 바보새 16-01-07 

목록
본문

5. 감화

감화는 퀘이커 예배에서 중요하나 본질적인 것은 아닙니다. 이론으로 나 실지로나 완전한 침묵의 예배는 말이 나오는 예배와 마찬가지로 귀한 것입니다.
“우리 중에 아무도 한마디라도 말을 한 사람은 없었지만 그것은 마음을 내놓은 시간이었습니다”라고 리처드 조르단은 그의 일기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 감상은 얼마든지 인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으로 영감에서 나오지 않는 말을 하는 것보다는 말없는 모임 편을 좋게 봅니다. 그러나 경험이 보여주는 바로는 오랫동안 감화가 매우 적거나 도무지 없는 모임은 오는 사람도 줄고 힘이 없어집니다. 모임 중에 어떤 사람은 감화를 별로 필요하게 여기지 않기도 하지만 또 어떤 사람에게는 그것이 매우 필요하기도 합니다. 진리와 생명을 찾는 것은 개인으로도 하지만 또 단체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나가는 길에서 훨씬 앞선 사람도 다른 사람과 같이 모이는 데서 힘도 얻고 용기도 나게 됩니다.

저자는 일본서 선불교의 참선에 참여하곤 한 일이 있습니다. 그 모임은 사람이 많아서 선방 안에 몇 줄씩 줄을 지어 앉는데, 거기에 완전한 침묵이 있었습니다. 흡사히 친우들의 모임 같으나 거기 중요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거기는 교통이 전혀 없었습니다. 각 개인은 혼자서 진리와 실재를 찾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명상자는 이따금 방을 나가서 노사, 즉 스님을 만나는 수가 있고, 그러면 그는 어떤 지도를 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명상자는 다시 명상으로 돌아갑니다. 이 스님이 퀘이커의 방식과는 매우 다르지만 전도상 필요한 것을 해주고 있습니다.
가톨릭의 정신적 지도자는 그것과도 또 다른 방식으로 골방에서 혼자 정신적 수련을 하고 있는 사람을 돕고 지도합니다.

친우들 사이에 있는 전도자는 선교의 지도자나 가톨릭의 지도자와는 다롭니다. 그는 예배하는 무리의 직접 대변자로 말을 합니다. 그의 진리에 대한 깨달음은 모임 가운데 임해 계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발표함에 이르게 됩니다. 마치 전기의 힘이 어느 점에 올라가면 극에서 극으로 불꽃이 왔다갔다하게 되듯이 모임 전체의 영적 힘이 점점 올라가서 어느 점에 이르면 침묵의 경계선을 깨뜨리고 말이 나오게 됩니다. 퀘이커의 감화에는 제일인칭단수 대명사가 나오는 일은 별로 없고, 말하는 사람이 더 널리 일반적인 진리를 밝히게 되지 않는 한 자기 개인적인 체험을 말하는 일도 없습니다. 찰즈 램(Carles Lamb)이 어떤 퀘이커 전도자가 말하는 것을 듣고 “그는 말을 하기보다는 말을 듣고 있었다”라고 했던 것과 같습니다.

퀘이커의 전도의 원리는 간단한 것입니다. 예배자들이 주를 우러르기 위해 침묵 중에 같이 앉았을 때 그중의 누가 생각 가운데 메시지가 떠오르는 것을 느끼고, 그것이 자기 혼자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는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 그는 말할 의무가 있고, 또 다하고 나면 끊어야 할 것입니다. 그는 그 긴급성을 깨달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요구라는 증거입니다. 어떤 생각이 올 때에 이상한 생명과 능력을 가지고 오게 되면, 그는 그것을 하나님이 말하라고 하시는 표적이라 생각해도 좋습니다. 어떤 때는 잘못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나 그밖에 또 다른 무슨 일에 있어서나 그것이 하나님의 지시라는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도와 겸손한 기다림을 통해서 ‘고요하고 가는 소리’를 듣게 됐다면 그는 부름이 있을 때에 알아듣는 능력을 점점 더 충실하게 가지게 될 것입니다.
다른 근원에서 오는 말은, 가령 예한다면 자기의 힘이나 지식을 자랑 하자는 생각 혹은 단순히 억제하지 못해 하는 것 같은 말은 아무리 거짓 꾸민 모양을 하고 오더라도 곧 알아보고 물리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대체로는 자기 마음에 있는 것이 모임에 유익이 되겠나 아니 되겠나를 아는 법입니다. 이따금은 참 근원에서 오면서도 모임 전체를 위한 것이 아니고, 페닝톤이 주의하여 말한 것같이 ‘집에서 먹을 빵으로’, 즉 받은 사람이 가만히 지켜두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친우 일기에서 보면 말을 하기 전에 마음이 무겁고 불안을 느끼는 일 이 종종 있습니다. 말하는 사람은 될수록 엄숙한 침묵을 깨치고 싶지 않습니다. 제 스스로의 결단으로 그러한 중대한 책임을 지려 한다는 것은 교만하기 때문인 듯이 제 눈에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책임은 전혀 자기 것만이 아니고 자기를 부르신 거룩하신 주의 것이라고 깨닫게 될 때, 그가 만일 신실한 사람이라면, 그 요구에 응하게 될 것입니다. 퀘이커 일기 중에는 그 부르심에 복종한 뒤에 오는 온전한 평화의 느낌에 대해 쓴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늘 화평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따금은 아주 존경받는 친우들도 불안감과 ‘인도해주심을 벗어났다’는 느낌에 주저앉는 수가 있습니다. 존 울만이 처음으로 모임에서 말을 하고 난 때의 체험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그는 그후 매우 오래 있다가야 다시 말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 흔치는 않으나 매우 잘 알려져 있는 친우들이 많은 사람이 자기에게서 듣기를 기대하고 모였는데 말할 수 없어 속이 마르고 고통스러운 느낌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있습니다. ‘고통의 침묵 속에 앉았다’고 좁 스코트의 일기에 종종 적혀 있습니다. 어떤 때는 이렇게 말 못하는 것이 옳은 때가 있습니다. 리처드 조르단은 “나는 끝내 그 모임 속에 잠잠히 앉았었다. 틀림없이 많은 사람이 크게 실망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내가 조바심을 치고 있는 귀를 즐겁게 하는 일을 않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했다”라 고 했습니다.

퀘이커들의 감화의 목적은 강단에서 하는 설교의 목적과는 다릅니다. 강단에서 하는 설교의 주목적은 성경을 해석해서 가르치고 사람들에게 구원의 길을 설명하는 데 있습니다. 설교자는 듣는 사람에게 그것을 신앙으로 받아들이라고 권면합니다. 내세에만 관심을 두었던 구식의 구원론은 오늘날은 종종 현세 생활을 위한 사회적 구원론으로 바뀌는 일이 많습니다.
교육적인 설교가 친우모임에도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것은 그 목적을 위해 특별히 마련해놓은 데서만 하게 됩니다. 진정 예언자적인 능력을 가지는 사람이 말을 할 때는 교훈적인 것은 엄숙히 주님을 우러르는 가운데 적당히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종교사, 교리 실천에 관한 보다 더 자세한 가르침은 다른 어디서나 마찬가지로 친우회에서도 필요하지만 그것은 예배모임보다는 강좌에서 하는 것이 더 적당합니다.

조지 폭스는 말하기를 퀘이커의 전도 목적은 “사람들을 모든 설교가 끝나는데까지 이끌어 가는데 있다”고 했습니다.” 페닝톤은 또 그리스도의 전도자의 할 큰일은 양심을 언제나 그리스도를 향해 열려 있도록 함이다”라고 했습니다. 설교가 헤매이는 마음을 한데 모으게 하는 명상의 제목을 줄 수는 있지만 설교하는 사람은 듣는 자가 자기에게 의지하게 되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가톨릭의 영적 지도자에 대한 지도서에 보면 지도가 자신이 너무 지나치게 책임을 지거나 너무 자세한 지도를 해서는 아니 된다는 경고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보다도 그는 자기에게 맡겨진 그 사람 속에 있는 하나님의 영에까지 뚫고 들어가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십자가의 성 요한은 말합니다.

영적 지도자는……여기서 주로 활등하시고 영혼의 참 지도자가 되시는 이는 성령이란 것, 그리고 그는 언제나 그들을 돌보기를 쉬지 않고, 그들이 유익을 얻고, 될수록 빨리 가장 좋은 길을 얻어 하나님 앞으로 가게 하기 위하여 온갖 방법으로 게으름 없이 일하고 계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됩니다. 그들은 명심해야 합니다. 자기네는 일하는 자가 아니라 다만 영혼들을 신앙의 원리와 하 나님의 법에 의하여 인도하는 기구일 뿐인 것을……그러므로 저들의 목적은 저들에게 좋게 저희 마음대로 영혼들을 인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 인도하시는 그 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러한 조언은 퀘이커 모임의 말하는 사람에게도 적용할 말입니다. 전도자는 성령의 기계입니다. 그 성령은 자기 속에만 아니라 듣는 자의 속에도 있습니다. 그가 만일 그 중심 되는 그이에게 가까이 있기만 하다면 그는 거기서 나가는 바퀴살을 따라 누구에게도 이를 수가 있을 것입니다.
퀘이커의 감화에는 어떤 규칙을 세울 수가 없습니다. 성령은 자기 마음대로 인도하십니다. 대체로 그 하는 말은 진리에 대해 단순하게 증거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요, 변론을 해서는 아니될 것입니다. 예수님이 하신 방법은 듣는 사람이 각별한 토론이 필요없이 받아들일 만한 진리를 선포하는 것이었습니다. 마치 미술가가 제 그림을, 시인이 제 시를 아무 이유 캘 것 없이 그대로 받아주기를 바라고 내놓듯이, 그렇듯이 말하는 사람도 그저 제 속에 있는 빛이 남의 속에도 있는 빛에 응답할 것을 믿고 제 감화를 내놓아야 할 것입니다.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로 흘러가는 생명은 그 의지를 움직이지만 그 의지가 변론에 의하여 강요당하게 되면 설혹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그 움직임은 완전히 제 안에서 우러나서 한 것이 못됩니다.

종교적인 체험을 해부하는 분석적인 감화는 마치 식물 동물의 해부와 같아서 생명을 죽이는 것이 됩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 속의 생명을 직접적인 직감으로 알듯이 우리는 영혼 안에 있는 하나님의 생명을 알 수 있습니다. 분석은 독특한 과학적인 가치를 가지지만 마치 불길이 이 석탄덩이에서 저 석탄덩이로 뛰어가듯이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에게로 건너가는 성령은 진리를 스스로 제 안에 통일을 가지는 하나의 산 것으로 옹근 채로 파악합니다. 그러한 체험은 마치 여러 종류의 새들에 관해 토론을 하고 있는 조류학자들의 모임 안에 정말 어떤 진귀한 새가 한 마리 날아들었을 때에 일어날 그 일과 비슷합니다.
친우들의 모임에서 하는 감화는 자연스러운 것이어서 아무도 모임에 올 때 미리 말해야겠다든지 그런 각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레미야의 비유를 빌어서 한다면 우리의 종교는 샘에서 솟아나와야 할 것이지 물웅덩이에서 길어먹는 것이어서는 아니됩니다. 감화는 그 모임의 생명에서 신선하게 순수하게 솟아올라야 합니다. 비유를 바꾸어 말한다면, 싹이 트기 전에 적당한 조건이 오기를 기다리기 위하여 씨를 일찍 뿌려 두어야 합니다. 나중에는 감화로까지 자라서 말로 발표되어 나오는 그 관심거리는 아마 어떤 때, 일상 잡무를 하고 있는 동안 혹은 혼자 물러가기도 하고 예배를 드리기도 하는 동안에 마음에 떠올랐을 것입니다.

익어서 이제 말할 때가 왔다고 분명히 느껴지는 때까지 그것을 잘 간수 해두어야 할 것입니다.
메리 잉글랜드(Mary England)라는 18세기의 한 친우가 이런 꿈을 꾼 일이 있습니다. 물동이를 샘에 넣어 물을 길어서 곧 가지고 가려 하니 물이 다 쏟아져나와버렸습니다. 그러나 그 다음엔 동이를 한참 물속에 담갔다가 천천히 했더니 물이 쏟아지지 않았습니다. 이것을 보고 그는 모임에서 말하자는 생각이 났을 때, 너무 서둘러서는 아니 된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감화 말이 있은 다음에는 침묵이 계속되므로 듣는 사람들 자신들이 더 이어서 생각할 기회가 있습니다. 친우모임에서 하는 말은 있는 말을 다 한다기보다는 함축성이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어느 정도 모호할 수까지도 있습니다. 정신적 진리는 과학적 진리처럼 줄을 그어서 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스스로 의식하는 사상의 수평선을 넘은 황무지의 어둑한 변자리에 있습니다. 영계의 말은 상징적이요, 그 암시하는 것은 사실이기보다는 자신을 뛰어넘어 모든 존재의 밑바닥을 가리키는 부호들입니다. 어떤 때는 그 영의 음성은 전혀 말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한 숨으로 겨우 발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완전한 침묵밖에 없는 수가 있습니다.

퀘이커 모임에서 하는 말은 어떤 문제에 관한 것이라도 좋습니다. 다만 분명히 종교적인 범위 안에 속하는 것이어야 할 것입니다. 수학에서, 한 좌표 안에서 동그라미인 것이 다른 좌표 안에서는 길죽 동그라미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세속적인 배경 안에서는 이렇게 뵈는 것이 종교 적인 범주 안에서는 매우 다른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의 차이는 곱고 미움과 선하고 악한 사이의 차이와 같이 아마 말로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대개의 사람은 그것을 알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교적인 입장에서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할 것이냐”가 아니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이냐”입니다.
종교적인 발언으로는 틀에 박힌 도덕의 말보다는 살아 계신 그리스도 의 영 안에 살라고 단순히 외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그 영 안에 사는 사람은 자연히 역사적 그리스도의 교훈을 따르게 됩니다. 우리가 만일 우리 가운데 그리스도가 임하여 계시는 것을 진실히 체험한다면, 모든 말이 다 그의 영에 잘 들어맞은 것일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어떤 인격과 사업에서 존경을 받는 사람과 말을 한다면 그 하는 모든 말이 그 사람에게 맞도록 되는 법입니다. 누가 말했듯이 아무리 가시덤불을 뒤진다 해도, 불붙는 가시덤불을 뒤질 사람은 없습니다.

죄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식의 설교는 퀘이커의 전형적인 설교는 아닙니다. 영혼을 완전한 데로 인도하는 것은, 선을 즐겨함으로써 되지, 악을 무서워함으로써 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스티븐 그렐레트(Stephen Grellet)에 대하여 월리엄 앨린슨(William Allinson)은 말하기를 그의 감화는 설득력이 있고 예언자적이요 권면적인 동시에 엄숙하고, 박력있고, 경고적이었다고 했습니다. 빛이 맨 먼저 하는 일은 죄를 드러냄입니다. 누구나 장애물이 그 빛을 가리어서 생기는 그 깜깜한 그림자를 지적하기를 서슴어서는 아니됩니다.
죄악의 무서운 실제를 깨닫고, 그 결과로 오는 겸손과 의지하는 느낌이야말로 새로남의 첫걸음입니다. 그것 없이 정신적 여행의 출발은 아니됩니다. 그러나 영혼은 언제까지 그 캄캄한 속에만 있어서는 아니됩니다. 예배모임의 목적은 그 암흑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암흑을 이기는 빛을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배가 그 목적으로 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요, 사람 영혼 속에 있는 하나님의 생명으로 인도해야 합니다.
그 생명만이 그 목적에 도달하는 힘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에서 예로 든 조지 폭스가 병들고 마음에 많은 괴로움을 가졌던 크롬웰의 딸 클레이폴 부인(Lady Claypole)에게 보낸 편지는 바로 그러한 종류의 것이었습니다.

어떠한 유혹과 정신 빠짐과 어지러움을 그 빛이 드러내어 보여주더라도 그 유혹, 어지러움, 타락을 들여다보지 마십시오. 그보다 그것을 드러낸 그 빛을 보십시오. 그것은 아래로 죄, 타락, 헤매임만 들여다보면 거기 삼키워 버리지만 그것을 드러내준 그 빛을 들여다보면 스스로 그것을 넘어설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서간 1: 488)

예배모임에서 나오는 가장 높은 말은 기도입니다. 예배하는 사람이 그 모임에서 기도의 영이 자기를 통하여 말씀을 하고자 하는 것을 깨달았을 때 그는 그 모임의 입이 되어 하나님께 기도를 올리게 될 것입니다. 그의 기도의 말은 ‘내’가 아니고 ‘우리’ 입니다. 자기를 위한 기도는 대개 침묵 중에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나 기도는 어디까지나 자기의 일이요, 친밀한 것이기 때문에 들리는 말로는 할 수가 없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진실치 못하고 형식적인 것 같아서 그것을 피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겸손하게 올리는 참된 기도처럼 모임 전체를 힘있게 돕는 것은 없습니다. 많은 사람이 자기는 능히 하지 못하는 말을 듣고 감사를 느낍니다.

예배모임에서 말을 하라는 명령은 교육 있는 사람, 없는 사람, 늙은 이, 젊은이, 남자, 여자, 누구에게나 올 수 있습니다. 300년 동안의 퀘이커 역사는 말하는 은혜는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령한 은혜를 받았다는 증거밖에 또 다른 무슨 임명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조지 폭스의 젊은 시절의 ‘열림’은 그에게 전도자가 되기 위하여 옥스포드나 케임브리지에서 훈련을 받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가르쳐주었습니다. 초기의 퀘이커 전도자 중에는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도 더러 있었으나 대부분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성경시대의 사도나 예언자들도 그러 했습니다. 초대의 친우들은 누구보다도 더 옥스포드, 케임브리지, 에던버러, 애버딘 대학 학자들에게 가장 혹독한 학대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친우들이 전도의 선결 조건으로서 학문의 지위를 낮게 보는 것에 분개해서 그랬던 것입니다. 그들이 성경을 원어로 읽을 줄도 모른다고 비웃음을 받았을 때 친우들은 조지 폭스가 한 것처럼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야말로 원어입니다……거룩하게 하는 것도 말씀입니다. 남자나 여자나 사람을 거룩하게 만들고, 그들을 하나님의 성질 속으로 인도하는 것도 말씀입니다. (서간 249:1667)

친우들이 남자나 여자나 인생활동을 위하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그들이 설립한, 유지하고 있는 학교들을 보아서 알 수 있습니다. 교육은 정신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또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말로 전도하는 데 그것이 절대 필요조건은 아닙니다.
맨 처음부터 퀘이커 여자들은 남자들과 같이 감화를 말했습니다. 여자도 남자와 마찬가지로 진정한 부르심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친우들은 다만 그 결과를 지적하면 그만이었습니다. 바클레는 말합니다.

하나님은 이날에 정말 많은 영혼들을 여자들의 감화를 통하여 회개시켰고, 또 그들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혼을 위로하시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것은 실지 체험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는 바울의 교훈은(고린도 전서 14:34) 같은 서간 안에 있는, 예언할 때에 여자들의 머리 수건에 관하여 한 교훈의 말과 비추어서 읽었습니다.(고린도 전서 11:5,13) 여자들의 전도하는 지위를 두둔하기 위하여 친우들이 매양 쓰곤 한 성경 귀절은 오순절에 베드로가 인용한 선지자 요엘의 말이었습니다. “내가 내영을 모든 육체에 부어주리니, 너희 아들과 딸들이 예언을 하리라.”(사도행전 2:17)
폭스는 말하기를 남녀의 불평등은 타락의 결과로 온 것이나, 그리스도의 회복으로 말미암아……이제는 타락 전과 같이……그들은 서로 돕는 자입니다.(서간 291)
전도의 책임을 특별히 준비하여 대표로 세운 개인, 혹은 몇 사람에 두지 않고 모임 전체에다 두는 방법은 분명히 아주 어려운 문제입니다. 퀘이커 모임에서의 전도는 이날까지 문제였고 앞으로 계속 문제일 것입니다. 체험도 옅고 가장 높은 동기에 이르지도 못하여 전도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 자유라는 틈을 타가지고 나옵니다. 조지 폭스는 ‘조마조마 한, 토라진, 덤비는, 안절부절하는 마음’으로 설교를 해서는 아니된다고 경고를 하고 있습니다. (서간 131) 어떤 사람은 모임이 종교적 성질의 것이라는 점도 모르고, 주를 우러르기 위한 모임보다도 토론회나 강연회에나 알맞을 만한 말을 끄집어냅니다. 그리고 지난날에는 분명 은혜를 받았으나 지금은 이미 그것을 잃어버린 줄을 모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말을 너무 많이 하면 사람들이 말에 너무 의지하게 됩니다.
수아 에반즈(Joshua Evans)는 그 일기에서 말합니다.

요즘은 우리 모임에 전에 목사였던 네 사람의 친우가 나왔습니다. 나는 이런 생각이 났습니다. 시절이 가물 때에 우리는 비가 올까 하고 구름을 바라보았습니다. 어떤 때는 구름은 많아도 비는 조금밖에 아니 오는 때가 있습니다. 마찬 가지로 여러 설교자가 정면석에 나타나면 사람들이 그들만 바라보고 정말 영혼의 주교는 향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실망하는 때가 많습니다.

씨뿌리는 비유에 어떤 씨는 굳은 땅에 떨어져서 싹이 나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땅이 굳어진 것은 씨를 뿌리느라고 너무 밟고 오르내려서 그럴 것입니다.
친우모임에 나오는 사람은 적당치 않다 생각되는 것도, 적어도 자기에게는 그렇더라도, 그런 것도 많이 들어 버릇해야 합니다. 빛을 향해 맹목적으로 애를 쓰면서 길을 못 찾고 있는 설교자를 존경하여 참는 그 자체가 벌써 값있는 훈련입니다. 만일 잘못된 감화 때문에 모임이 잘못되고 있는 경우라면, 모임의 각 분자들은 모임의 질의 일부분은 자기와 자기의 충성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는 또 친우들의 모임은 데모크라시와 마찬가지로 통제 대신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그 값을 치러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친우들의 모임은 잘 짜인 표준에 의하여 진행되도록 제정되어 있는 교회의 예배보다는 높이 올라갈 수도 있고 낮게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자유로운 프로그램 없이 자발적으로 하는 감화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 것같이 직업적 프로그램으로 되는 설교는 아마 마찬가지로 또 다른 중대한 문제를 일으킬 것입니다. 성직과 평신도의 차별은 교회의 통일을 돕지 못합니다. 평신도 편에 책임이 없는 것은 영의 자람을 돕지 못합니다.
설교를 미리미리 준비하는 일은, 바클레가 말하는 ‘두루 찾아 주워 모은 것’(변호론 352) 혹은 조지 폭스가 말하는 ‘머리로 짜낸 고린내나는 것’(서간275: 1669)이 돼버리고 말수 있습니다. 친우들은 이것을 어떤 때는 ‘물마른 방아질’이라고 했습니다. 말하는 것이 예배자의 생활과 연구에서 새로이 솟아날 때에 그것은 더 생기가 있습니다. 퀘이커 모임에서 깊은 깨달음의 반짝하는 불꽃에 따라 나오는 한마디 말이 길다란 설교보다 더 힘이 있을 것입니다.
직업 전도자들이 보수를 받는다고 친우들이 비난하던 것은 이제는 그쳤습니다. 사실 그들이 넉넉하지도 못한 보수를 받고 있는 것을 잘 압니다. 그러나 그 보수를 받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진실한 소감의 발표로 되는 그의 설교까지도 억울하게 그 효과의 감소를 당할 수가 있습니까? 그는 또 다른 약점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 메시지가 듣는 사람의 가슴 속에 깊이 스며들려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고요한 시간이 너무도 없는 때가 많습니다.

순서 없이 모임을 하려면 거기 여러 가지 어려운 점들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퀘이커의 전역사 과정을 통해서 장로를 세움으로써 어느 정도 막아낼 수가 있었습니다. 장로의 주요한 책임은 모임에서 말을 하는 사람에게 조언을 해주는 것이었습니다.
친우모임의 자유로 인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는 후에보다도 초기에 더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운동이 아직 유동적이요, 조직이 잘 짜여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운동이 무엇을 목표하는지 매우 부분적으로밖에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거기 관계를 하고 있었습니다. 회원 명부의 제도가 서기도 전에 친우들은 제명 성명을 하지 않으면 아니됐었습니다.
친우회의 시작부터 최근까지 모임에서 감화를 자주 하는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모여서 서로 충고를 하고 서로 도와왔습니다. 이러한 감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친우들의 월회, 사계회, 연회는 모임의 정신생활의 실력을 길러내는 데 많은 힘을 썼습니다. 이것이 정말 ‘예언자의 학교’였습니다. 차차 시일이 감에 따라 친우들은, 이렇게 자주 말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들끼리도 그러하거니와 또 청중으로부터도 비평을 듣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다음에 보는 1714년 필라델피아 연회의 의사록은 이러한 모임들의 중요한 변화가 아메리카에서 일어나기 시작하고 있었던 것을 보여줍니다.

이 모임은 설교자의 모임을 현재 가지고 있거나 혹은 앞으로 가지려는 월회는 둘 혹은 그 이상의 친우를 지명하여 선교자들 모임에 같이 참석하게 할 것을 결의한다. 주의할 것은 그 뽑히는 친우는 근신 견실한 친우일 것.

이들을 장로(elders)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선교자의 모임을 ‘선교자’와 장로의 모임이라고 했습니다. 선교자는 ‘찬성’ ‘추천’ 혹은 ‘등록’이 된 때, 즉 모임이 그들의 전도에 공식적으로 동의를 표명했을 때 그 모임에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그러한 선교자들이 다른 모임을 방문하고 싶을 때는, 그 모임이 만일 그 방문을 찬성한다면, 선교자에 동의한다는 것을 표명한 의사록을 줍니다. 이 의사록이 신임장 혹은 소개장의 역할을 합니다. 대개 장로 한 사람이 그 선교자를 따라 인도자, 원조자, 비평자로서 같이 여행을 합니다.
‘돌봄’ (eldering)은 자유의 원리 위에 놓여 있는 모임에는 없어서는 아니되는 요소입니다. 그 목적은 단체 전체의 자유를 될수록 크게 하기 위하여 개인의 자유를 될수록 제한하는 데 있습니다. 친우모임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조정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것이 개인의 자유와 전체의 자유와의 사이의 조절입니다. 개인이 만일 단체의 구속을 너무 받는다면 그 단체는 개인만이 줄 수 있는, 듣기 거북은 하겠지만, 새로운 진리를 얻을 기회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단체 각 개인들의 맘대로 하는 것이 돼버려도 아니됩니다. 그렇게 되면 같이 모이는 원목적이 방해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단체나 개인이나 둘 다 진리의 거룩한 빛에 겸손히 복종해서만 제각기 제 할 일을 다할 수 있고 하나로 같이 살 수 있습니다.
‘돌봄’ 이란 말이 충고란 말과 같은 뜻이 돼버렸지만 사실 격려가 필요한때도 많습니다. 친우들의 모임에서 말을 하는 것은 자진하여 지는 책임이기 때문에 겸손하고 마음이 약한 사람은 자연히 움츠러들게 됩니다. 젊은 사람이 더욱 그렇습니다. 1723년 필라델피아 연회는 그 의사록에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우리 모든 자비의 근원이신 하나님이 우리 여러 젊은이들에게 산 전도의 거룩한 생을 열어주시었고, 또 지금도 열고 계신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그러므로 선교자들이나 장로들이 이 젊은이들, 아직 선교에 익숙치 못한 이들 젊은이들에게 자녀들을 길러내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마음이 되어주기를 간곡히 바라는 바이다.

1765 년에는 이렇게 씌어 있습니다.

선교자들과 장로들은 선교에 미숙한 젊은이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하여 서로서로 돌보아주며 최선을 다하기를 간절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권고한다. 생명과 능력은 없이 말에만 빠지려는 너무 지나친 분위기들은 눌러주어야 할 것이고, 목소리 몸짓을 꾸며서 하는 것과 그밖에 예배에 해가 될 만한 모든 것에 대하여는 타일러야 할 것이며, 그러면서도 지친사람에게는 적절한 한마디 말을 주어 겸손하고 조심성 있는 여행자를 격려해주어야 할 것이다.

장로 노릇을 참으로 건설적으로 한 좋은 실례를 월리엄 팬이 보여주는 것이 있는데 그것을 그 받은 사람이 기록한 것이 있습니다. 어떤 큰 모임에서 중요한 감화를 지도적인 친우들이 하려니 하고 일반이 기대하고 있었던 때에 사람들이 이름도 잘 모르는 존 리처드슨(John Richardson) 이라는 청년이 길다랗게 말을 해버렸습니다. 그런 다음, 팬이 그 사람에게 말을 했습니다.

오늘 예배의 중요한 일은 네가 했다. 우리는 그것을 보고, 비록 보기에 하나의 관목(灌木)같이 밖에 아니 뵈는 너를 통해서 주어지기는 했지마는, 우리는 즐겨 평안한 마음으로 그 진리에 순종하였다. 또 주님이 자기가 원하는 사람을 쓰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존 러티(John Rutty)는 의사요, 의학책도 쓴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더블린 모임의 장로의 한 사람이기도 했습니다. 그의『영의 일기』에는 많은 짤막짤막한 기도가 들어 있습니다. 그 안에(1796) 이런 것이 있습니다.

주여, 제가 만일 영의 집의 잡은 것 중 칼이 될 수 없다면 숫돌로라도 되게 해주옵소서.

장로가 되는 사람은 하나님이 자기 진리를 전하기 위하여 쓰시는 기구를 개선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아니 됩니다. 그래서 폭스는 이런 충고를 합니다.

친우 여러분, 여러분은 하나님의 땅에서 돋아올라오는 연한 식물들 속에 발을 들여놓을 때 조심하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하나님의 포도원을 짓밟고 상하고 망가뜨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월리엄 뮤스버리 (William Dewsbury)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네가 무슨 은사를 받았거나……찬송이거나 예언이거나 권면이거나간에 내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아서 네게 명령하는 바이지만, 너는 주의 영을 끄지 말고 네 은사를 하나님의 제단에 가져다놓고, 빛 안에 있는 주의 생명의 힘으로 그것을 하나님 앞에 제물로 바치어라. 그리하여 네 재주가 늘고, 어린것이 자라게 될 것이다. 사랑하는 하나님의 백성아, 서로서로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영의 지극히 연한 숨에도 민첩히 하고, 모두 고쳐주시는 영으로 입혀주심을 입을 때 까지 기다리라.

전도자에게 필요한 모든 조언의 알짬이라고도 할 만한 말을 존 월리엄즈가 했습니다.

시작도 생명으로, 계속도 생명으로, 끝맺음도 생명으로

친우회의 감화는 어떤 때는 예언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물론 어떤 친우도 자기를 예언자라 부르지는 않습니다. 그들의 감화가 예언이라는 것은 다만 이러한 의미에서입니다. 즉 인간적인 아무런 준비 없이 직접성령의 인도로 이루어진 거라고 믿는 가운데서 나왔다는 것. 그런 외침은 어떤 때는 예언이 라는 확신을 줍니다. 사무엘 포더길()에 대해 이런 기록이 있습니다.

그의 감화는 어떤 때는 불길같이 내쏘아서 저 맨 밑바닥의 어둡고 굳은 구렁에까지 뚫고 들어가는 일이 많습니다. 우리 하늘 아버지의 심으시는 연한 초목 위에 이슬같이 내리며, 영의 깊은 동정으로 아픔을 같이 나눕니다.

1658년 처음으로 아메리카를 방문한 조시아 콜(Josiah Coale)에 관해서 역사가 시웰(Sewel)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가 죄악의 세상을 향하여 말할 때는 엄숙하고 무거운 표정이 그 얼굴에 나타나고, 그 말은 쇠뭉치와 같고 날카로운 칼 같습니다. 그는 우뢰의 아들이지만 그러나 또 경건한 혼들을 위로하고 어루만져줄 때는, 그 입에서 사랑스런 말이 시냇물처럼 흘러나옵니다.

신약 교회에 예언자들이 있었던 것은 가장 중요한 전례라고 퀘이커들은 생각했습니다. 바울은 여러 가지 영의 은사를 그 중요성의 순서에 따라 모조리 들면서 이렇게 썼습니다. “……첫째는 사도요, 둘째는 예언자요, 셋째는 교사요, 그 다음은 능력이요, 그 다음은 병을 고치는 것과, 서로 돕는 것과, 다스리는 것과, 각종 방언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다시 말하였습니다. “신령한 것을 사모하되 특히 예언을 하려고 하라.”(「고린도전서」12:28,14:1)그러나 기독교사의 제 1세기에서 그렇게 높은 지위에 있던 예언의 능력은 곧 제사제도 밑에 들게 되었고, 제 2세기에 와서는 전혀 없어지고 말았습니다. 예언주의를 다시 일으키려고 2세기에 일어났던 몬타누스파와 같은 운동은 혹독한 탄압을 받았습니다. 예로부터 있는 그리고 구약성경에 있어서 여러 가지 극적 사건들의 원인이 되는 제사와 예언자와의 싸움은 기독교에 있어서는 일찍부터 제사의 승리로 돌아가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것은 두 가지 까닭 때문입니다. 건전한 교리를 유지해갈 필요와 성례전을 차지하는 특별한 자격을 가진 사람의 중요성. 바울이 “예언하는 사람의 영은 그 예언하는 사람에게 통제를 받는 것입니다”(고린도 전서 14: 32) 한 지 60년도 채 못 돼서 이그나티우스(Ignatius)는 “너희는 그리스도에게 복종하듯이 제사에게 복종하라”고 했습니다.
장로 곧 후일의 제사는 예언자들의 외침이 무궤도적이고, 혼란을 일으키고 때로는 혁명적이기 때문에, 그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됐습니다. 제 1세기 마지막 3분의 1에 기독교가 어떤 발전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6세기 전에 히브리 예언자들이 제사세력에 대항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의 예언자들이 성직자제도의 경향에 대항했던 것은 있었음직한 일입니다. 마지막 만찬을 기념하기 위하여 하던 애찬, 즉「고린도 전서」11장에 적혀 있는 모양으로 같이 회식을 하던 것이 차차 의식적이 되고 그것을 위하여 어떤 특정한 사람이 임명되게 되었습니다.

초대 기독교회에서 예언이 쇠퇴되도록 만든 두 원인, 즉 성례전적인 종교와 정통적인 교리의 커짐은 퀘이커주의 안에는 없었습니다. 성례전이라면 친우회에서는 제사직을 통할 것 없이, 누구나 직접 할 수 있는 내적인 체험으로 해석했습니다. 친우들은 필요하다면 언제나 자기 믿는 바를 말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으며, 회원이 되는 조건으로 아무런 신앙개조를 제정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외적 권위로 속박이 되지 않는, 자유로운, 자진해 하는 예언적인 감화를 장려하도록 된 예배형식을 유지해왔습니다. 그 결과 예언적인 감화가 친우회 안에서는 교회에서보다 더 오래 계속되었습니다.
모든 종교단체에서 다 그런 것같이 친우회 안에도 제사식의 사고방식을 가지는 사람이 나타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초대 교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친우회에서도 장로가 어떤 제사적인 직능을 하고 있었습니다. 비록 초대 교회에 비하여 그 정도가 낮고 다른 방식으로였지마는 18세기 동안에 장로의 세력은 차차 신장되어갔습니다. 그들의 일은 중요하고도 필요한 것들이었습니다. 이 시대의 퀘이커주의는 하나의 독특한 문화형, 곧 규칙적인 생활양식을 발전시켰습니다. 퀘이커는 그 말 하는 것, 옷 입는 것, 행동하는 것을 보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장로 들은 전통의 보호자가 됐고 모든 제사적 경향을 가진 사람이 다 그런 것같이, 그들은 새 진리의 발견보다는 낡은 진리를 보존하는 데 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퀘이커주의가 이렇듯이 속으로 여무는 시기를 통과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요, 또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이것으로서 퀘이커 종교는 모임 집과 시장으로부터 가정으로 생활의 모든 면으로 들어갔습니다. 장로들은 마침내 너무 지나쳐서 전통에 거슬려서 일어나는 새 생활을 억누르는 데로 기울어졌습니다. 그러나 19세기의 첫 사반세기, 필라델피아 장로들이 신학 학설에 통제를 가하려고 하기 전까지는 장로의 권위에 대해 일치된 반항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영국에서는 그러한 분열이 없이 보다 자유로운 양식의 훈련으로 옮겨갔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친우회가 둘로 갈라지게 됐습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친우회 중에서도 자유롭고 프로그램 없는 예배를 유지해가려는 파 중에서 예언자적인 전도가 쇠하게 된 책임을 장로들에게 돌릴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생명의 샘을 모든 더러운 것에 물들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극력 주의했습니다. 그 쇠약은 주로 모든 종교단체에 나타났던 고도의 지식주의와 세속주의에서 온 것입니다. 고등교육, 특히 대학교육이 더 일반화되었습니다. 그 결과로서 자아의식적인, 합리주의적인 인생관이, 흔히 인도주의에 접근하면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감화에도 지식적인 내용이 늘어갔습니다. 이것은 대체로는 좋은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거기 따라 영적 내용이 줄어드는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지식적인 것과 영적인 것이 서로 도우면서 발전할 수 없다는 진정한 이유는 없습니다. 인간 이성과 인간 이상인 영은, 둘다 없어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한세대도 못되는 동안에, 아무리 일반식이 거슬리고 불합리하더라도 속의 인도에 완전히 내맡겨야 한다는 것을 그 특성으로 하던 옛날식의 예언자적인 전도가 가장 보수적인 퀘이커 중에서도 거의 다 없어졌습니다. 다른데에서는 더 일찍 없어졌습니다. 퀘이커 예언자들은 독특한 개성의 인물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느끼는 대로 말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하나하나의 남자나 여자가 다 윌리엄 펜이 조지 폭스를 가리켜 했던 말로 형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는 독창이지 누구의 모형이 아니었다.” 그들은 듣는 사람의 귀에 거슬릴 바른 말도 참 사랑 하는 맘으로 했기 때문에, 아무도 성내는 일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거룩한 뜻에 복종함으로 말미암아 속의 모든 갈등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얼굴이 하나님의 화평으로 빛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기네의 약점 때문에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자기네 분에 넘치는 일을 요구하시지 않는다는 확신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군중 심리적으로 되어 있는 현대에서는 그러한 독특한성격의 인물을 내는 일이 별로 없었습니다. 공장만 아니라 대학에서도 일정한 틀을 거쳐서 제품을 내고 있습니다. 정신적이거나 기업적이거나 겉에 있는 기구의 세계가 너무 발달됐기 때문에 인간 구경의 목적에 관계되는 궁극의 의미의 깊은 세계는 눈앞에서 사라져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정신은 아직도 살아 있습니다. 마치 뚫고 들어가 길어내 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지하수와도 같습니다.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심하고 있는 전도도 내버려서는 아니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을 하나님과, 또 사람 서로서로와 연결시킴으로써 해결하려는 그러한 정도로서 깊어지고 강화되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휘티어의 소네트「외침」(Utterance)은 예배모임에서 말을 하라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이 직면하는 문제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가장 깊은 속의 진리를 더듬는 데 이 불완전한 말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
눈멀고 약한 몸으로써 누가 능히 길을 가리키고 앞장을 서며
평범한 말로 진리의 신비를 어찌 풀 수 있느냐?
그러나 네 것은 아닌 어떤 무엇이
그 밑에서는 우리 모든 제도, 신조, 예배, 의식이
꿈밖에 아니 돼버리는 거룩한 뜻의 그림자가
황송하게도 네게 알려지는 때면
너는 숨김없이 외치라, 비록 네 입술에서는
참도 거짓으로, 아름다움도 더러움으로 변해버릴까 두려워
가볍게 입을 열 수 없을지라도
그리하여 네 의무를 기도의 저울에 달아
네게 주어졌다 믿는 바를 전하라, 그러면 너는 알리라.
그것은 고대하는 밭고랑에 떨어진 한알의 선한 씨임을.



---------------

목록

번역물 카테고리
전체
===



感話 | 学校生活 | 恵泉Keisen 女学園 中学・高等学校

感話 | 学校生活 | 恵泉Keisen女学園 中学・高等学校
恵泉 Keisen 여자 중고등학교
-----

感話 
 
1] 예배의 <感話>  

쓰기 능력, 말하기 능력 · 듣기 능력을 살려 삶을 대하는 자세를 생각 

恵泉Keisen 교육의 특징 중 하나에 <感話>가 있습니다. 평소 느끼거나 생각하거나 한 것을 정리 하여 예배 때 1 년에 3 번 다른 학생 앞에서 언급합니다. 1 학년 때는 원고지 3 장에서 4 장, 6 학년이되면 7 장에서 8 장을 쓰는 학생도 있습니다. 

<感話>를 쓴다는 것은 자기를 바라보고 생각하는 작업 임에 틀림 없습니다. 
따라서, 그것은 때로는 진지한 고백이되어 듣는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 놓습니다. 
무엇을 이야기해도 수용한는 恵泉
Keisen 
 환경이 있어야만 비로소 성립되는 것입니다. 
이상적인 삶, 친구와의 트러블, 유학에서 배운 철학과 예술에 관하여 ...... 민감한 시기에 <感話>를 쓰고, 또 듣고, 계속하여 성실하게 인생을 맞이하는 것을 배웁니다. 

2] 매일 아침 예배 

본교의 하루는 예배로 시작합니다. 그것은 학생 개개인이 자기를 바라 보는 고요히 생각하는 시간, 찬송가를 부르고 성경을 읽고 함께 기도하는 시간입니다. 또한 부활절 예배, 어버이 날 예배, 추수 감사절 예배 크리스마스 예배, 가와이 길 기념 예배 등의 특별 예배에서는 강사를 초청하여 이야기를 듣습니다. 

3] 자기와 맞이하기

학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느낀 점이나 생각한 것을 말하는 <感話>는 자신을 응시하며 내면을 탐구하는 소중한 기회로, 한사람 한사람에게 주어진, 恵泉
Keisen 
예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듣는 사람에게도 새로운 가치관을 만나 계발되고, 선배나 동급생의 경험을 재현 · 공감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4] 풍부한 표현력의 육성 

 <感話>를 쓰는 것은 논리적 사고 능력의 육성에 도움이됩니다. 글쓰기를 싫어하는 학생들도 문장의 퇴고를 반복하는 중에 글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입니다. 또한 타인의 <感話>를 듣는 것도 사물을 다면적으로 파악하는 힘으로 이어져 소논문 입시에도 큰 도움이됩니다. 

<感話>은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고 상대를 받아들이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쳐줍니다. 

<感話>를 언급 할 때, 자신의 의견이 상대에게 받아드려 질 수 있을지 불안했습니다만, 제대로 귀를 기울여 들어 줄 것으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발신 할 수 있고, 무슨 일에도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행동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의 <感話>를 듣고, 그 사람의 입장이나 놓여져있는 상황에 따라 같은 주제도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새삼 알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억 누르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알고 받아들이는 소중함을 알았습니다. 

 C.Y. 씨 고등학교 1 학년 
---------------------

感話 =

礼拝での感話=

書く力・話す力・聞く力を生かして、生き方を考える=

恵泉教育の特徴のひとつに「感話」があります。日頃感じたり考えたりしたことをまとめたもので、礼拝のときに年に3回他の生徒の前で述べます。1年生のときは原稿用紙で3枚から4枚、6年生になると7枚から8枚を書く生徒もいます。感話を書くということは、自己を見つめ、考える作業にほかなりません。従って、それは時に真剣な告白となって聞く者の心を揺さぶります。何を述べても受け容れられるという恵泉の環境があってこそ、はじめて成り立つものなのです。理想とする生き方、友人とのトラブル、留学から学んだこと、哲学や芸術について……多感な時期に感話を書き、また聞き続けることで、誠実に人生に向き合うことを学びます。

毎朝の礼拝

本校の1日は礼拝から始まります。それは、生徒一人ひとりが自己を見つめる静思の時。讃美歌を歌い、聖書を読み、共に祈る時間です。また、イースター礼拝、母の日礼拝、感謝祭礼拝、クリスマス礼拝、河井道記念礼拝などの特別礼拝では、講師を招いてお話を伺います。==
自己と向き合う=

生徒が日々の生活の中で感じたことや考えたことを述べる「感話」は、自己と向き合い、内面を掘り下げる大切な機会として、一人ひとりに与えられている、恵泉の礼拝の特色のひとつです。聞く者にとっても、新しい価値観に出会い啓発され、上級生や同級生の経験を追体験・共感できる場です。==
豊かな表現力の育成==

「感話」を書くことは、論理的思考能力の育成につながります。文章を書くことが苦手な生徒でも、文章の推敲を繰り返すうちに、文章で自分の考えを表現する力が自然と身につきます。また、他人の感話を聞くことも、物事を多面的に捉える力につながり、小論文入試にも大きく役立っていきます。=


感話は、自分の考えを持って行動し、
相手を受け容れることの大切さを教えてくれました。=

感話を述べる際、自分の意見が相手に受け容れられるかどうか不安でしたが、きちんと耳を傾けて聞いてもらえたことで、自分の意見を積極的に発信でき、何事にも自分の考えを持って行動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また、いろいろな人の感話を聞くことで、その人の立場や置かれている状況によって、同じテーマでも考えが違うことを改めて知ることができました。自分の考えを押しつけるのではなく、相手のことを知り、受け容れる大切さを知りました。=

C.Y.さん 1年生=
感話 新着記事2020/12/09

アンサング・シンデレラを通して2020/12/09

トトロを観て2020/11/06

ヘアドネーションからわかるボランティア2020/11/06

ハッピーエンド2020/10/23

人生は選択の連続
感話記事一覧



感話

感話 記事一覧
2020/06/24新しい自分像の発見    6年 M.H.さん


社会で活躍する卒業生に
恵泉の「書く力・話す力・聞く力」の3つの力について聞きました。


「考え方の土台」を作ってくれたのが恵泉でした。
新聞記者としての視野の広さは恵泉で学びました。

 私にとって、恵泉女学園で過ごした6年間は、自分という人間の「土台」を作ってくれたかけがえのない時間でした。
毎朝の礼拝や、いろいろな分野で活躍しておられる方々の講演会などを通して、自分は社会のために何ができるかを考え、人として何をするのが正しいかということを自然に学んでいきました。そして、そのことが、私が今、新聞社で何を社会の問題として記事にすべきか判断する時に大きく影響しています。
さらに、恵泉の教育は広い世界へと視野を広げてくれました。教科書を使う授業だけではなく、日本人と米国人の先生方による英会話や英作文の授業は、いつも待ち遠しいくらいに楽しいものでした。これらの授業が、その後私が英語で記事を書くようになる基礎力を作ってくれました。
また、女子校ゆえに、何事も自分達で案を出し合い、協力し、計画を実行していくことで、人間として自立していったと思います。一緒に多感な時期を過ごした友人達は私の一生の宝物です。

1984年卒業 菅ヶ谷 浩子さん
慶應義塾大学法学部政治学科に在学中、大学派遣交換留学生としてメリーランド州立大学に留学。卒業後、ロイター通信社(現トムソン・ロイター)で記者として勤務。現在、英字新聞ジャパンタイムズ報道部デスク。慶應義塾大学メディ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研究所非常勤講師。


「感話」は刺激的。読む・書く・考えるが磨かれました。

恵泉女学園での国語教育は現在の私の基礎になっています。
とにかく、読む、書く、考える、を徹底的に指導された記憶があります。とりわけ、皆の前で読む感話は、自分を見つめ直すのと同時に、ぼんやりと考えていることを簡潔な言葉で表現する訓練にもなりました。朝の礼拝の空気やどきどき鳴る心臓、いつもよりちょっぴり真面目な同級生の顔とともに、今でも胸に残っています。誰かの感話を聞くのも「へえ、彼女はこんなことを考えているんだ」と新しい発見があり、刺激的で好きでした。
現在、私は小説を書いています。年四冊くらいのペースで新刊を発表しています。デビューから四年、とにかく目の前の仕事をこなすのに精一杯でしたが、最近は自分の書きたいもの、胸の奥にずっとあるものを、真摯に表現しようと考え始めています。朝の感話のように、気取らないで素直に、初心に戻って書いてみようと思っています。

1999年卒業 柚木 麻子さん
立教大学文学部フランス文学科卒。
2008年「フォーゲットミー、ノットブルー」で第88回オール讀物新人賞を受賞。2013年「嘆きの美女」が、2015年には「ランチのアッコちゃん」がNHK BSプレミアムでテレビドラマ化。2013年「伊藤くんAtoE」で直木賞候補に。2014年「ランチのアッコちゃん」が本屋大賞候補に。2014年「本屋さんのダイアナ」が直木賞候補に。2015年「ナイルパーチの女子会」が山本周五郎賞受賞、直木賞候補に。2017年「BUTTER」で直木賞候補に。

===
인권과 차별에 대해 
3 년 M.T 

5 월 25 일 흑인이 백인 경찰관이 수갑을 채 목을 압박 질식사 한 시간을 기억하고 있습니까? 이 사건은 'Black Lives Matter "라는 메시지를 내건 대규모 시위의 발단이되었습니다. "Black Lives Matter"은 "흑인의 생명 · 생활 · 인생은 (소홀히 될 것이 아니라) 중요하다"라는 뜻입니다. 흑인 차별에 대한 의식은 옛날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뿌리 깊게 남아 있습니다. 유명한 예가 짐 크로 법입니다. 짐 크로 법은 한 87 년대에서 한 1964 년까지 계속 된 흑인 분리 주법입니다. 학교, 버스, 공원, 수도, 화장실 등이 백인에 대한 흑인 용으로 분리되어있었습니다. 또한 카즈야 1960 년 대법원 판결에서 "구별은 차별이 없다"는 판결이되어 56 년 전까지 흑인 차별 법으로 정해져있었습니다. 법률적인 차별은 분실 된 지금도 백인 경찰이 흑인을 살해 할 사항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은 기소되어야하는 사건으로 기소되지 않거나 처벌이 가벼워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왜 피부색이나 태어난 나라, 문화의 차이로 차별하는 것입니까? 피부색이 흰색에서 흑인을 죽여서 좋다 차이 別して 통증 붙여도 좋을까요? 나는 여름 방학에 학교의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내 클래스에는 아홉 명의 유학생이오고있었습니다. 매우 다양하고, 우리와 같은 아시아에서 온 사람도 있고 캐나다, 파키스탄, 불가리아, 가스 디아나 등에서 온 사람도있었습니다. 흑인 남성도 두 명있었습니다. 나는 아홉 명의 국제 학생들과 이야기했습니다. 모두 매우 친절하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부드럽게 가르쳐 주거나, 문장이나 이야기 속에서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그건 이런 뜻이야로 알기 쉽게 설명해 주기도했습니다. 지금까지 외국인과 관련된 기회가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나 유학생 분들이 토론 때 자신의 의견을 주저없이 발신하고 있었던 것에 놀랐 자신의 나라의 문화와 배경을 받아들이고 자신 속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가지고있다라고 느꼈습니다 했다.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통해 PC를 가지고있는 사람을 피부색이나 태어난 나라, 문화가 다르다고 차별하거나 손상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새삼 실감했습니다. 인간은 인권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인권은 사람이 선천적으로 가진 권리입니다. 인권은 침해해서는 안됩니다. 그러나 흑인 차별은 훌륭한 인권 침해입니다. 그들은도 같은 인간인데 심한 취급을하는 것은 잘못 있습니다. 하지만 흑인은 차별을하지 않아도된다는 의식은 현대의 사람들 안에도 남아에서 지금 그 의식을 없애이는 불가능합니다. 우선 흑인 차별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알아보고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까지했다. 그리고 실제로 이야기 해 보면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라도 커뮤니케이션을 취하는 것은 상대를 잘 알게 연결됩니다. 실제로 이야기 봄으로써 내면의 의식이 변화 할지도 모릅니다. 이제는 다양성의 시대입니다. 반드시, 외국인과 이야기 할 기회가 많이있을 것입니다. 혼자의 힘으로 차별을 無くすこ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말을 보는 것으로 사람들의 의식이 약간 변화 할지도 모릅니다. 언젠가,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손을 잡고 웃을 그런 세상이되어 있으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자유 사용"
3 년 M.I 씨 

우리가 방학 때마다 과제로서 나오는 느낌 이야기. 그 대부분은 느낌 이야기의 내용이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개인의 자유 화제를 결정해야합니다. 나는 이번 느낌 이야기의 화제를 "자유"라고했습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은 '자유라고 묻자 무엇을 생각하십니까? 사전에 조사한 결과,'자유 '는 다른 사람에서 속박되지 않습니다. 생각대로 행동 할 수라고 쓰여져있었습니다. 누구로부터도 지시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대로 할 수 있다고하면,보기 좋고 훌륭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나는 갑자기 "당신은 자유롭게하고 좋아요"라고 말해 져도 곤란하고, 첫번째로 "무엇을하면 좋은 거지? '라고 생각하게됩니다. 그렇다고해서 "지금부터 할 일은 내 자유"라고 생각 사람을 죽이거나 도둑질 일은 비록 자유라고해도 절대로 일을해서는 안됩니다. 살인의 예는 조금도가 불과했지만, 무슨 일에도 초과하지 말라 경계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 경계선이라는 것이 귀찮은하고 명확하게 이것은 좋고 이것은 안하는 선이 어디에도 없다. 그것을 자각 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자숙입니다. 뉴스에서 인터뷰를하고 있던 사람이 "どこま 외출해야할지 몰라 다른 사람에게 흰 눈에 보이는 것이 무섭다」라고하는 것을 말하고 있었다 것이 특히 인상에 남아 있습니다 . 나는이 것은 클래스 중에서도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의제가 그것을 클래스에서 토론한다 때 적어도 내 의견이 맞고 있는지 몹시 불안합니다. 별도로 논의 뭐야에서 잘못 있어도 좋은 것은 아닌지? 생각하는 사람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나에게 공감 해주는 사람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인은 일반적으로 총명하게 자기 주장이 서투르다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자숙을하고도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외출 등의 자신의 자유를 스스로 정하는 같은 분위기는 방금 말한 인터뷰는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더 클래스 회의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주장 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상대에게 공감하고 바라는 마음이 강한 것 같습니다. 즉, 우리는 '자유'라는 단어가 주어져도 무의식적으로 상대와 동일하거나, 사실은 다른 것을 생각하고 있지만, 찬성하는 사람이 많은 분들에게 흘러 경향입니다. 이제는 아무리 '자유'를받을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자유'를 어떻게 써야할까요?. 최근 다시 '자유'에 대해 생각하게되는 사건이있었습니다. 5 월 23 일 여자 프로 레슬러의 기무라 씨가 22 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기무라 씨가 출연했던 '테라스 하우스'는 낯선 남녀 6 명이 한 지붕 아래에서 공동 생활을 보내고 그 안에서 태어나 사랑과 청춘을 영화내는 드라마였습니다. 뉴스에서는 드라마에 관한 비방이 SNS 의해 쇄도 기무라 씨의 정신을 추 언제 메타 고 보도했습니다. 지금의 시대 SNS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 할 수 있습니다.でもそ れ을 상처에 사용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모두가하고 있기 때문에, 흘러 주어 버린다 있을까요. 그런 자유롭게 사용하는 사람에게 책망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헌법도있다, 언론 자유, 표현의 자유를 잘못 사용하여 왕따 나 자살이 아직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나는 '자유'는 누구로부터도 지정되지 않는 대가로 사람에 휩쓸려 아니라 스스로 잘 생각해 사람을 다치게 아니라 모두를 위해, 모두의 이익이되도록 사용해야한다 고 생각있었습니다.

===
자신을 소중히하는 
3 년 M.Y. 

"완벽하지 않아도 돼."나는이 말에 매우 구원을 받았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습관 교사 등의 타인으로부터 기대되는 것, 의지 할 수있는 것은 매우 기쁘고 영광으로 느끼고 과거의 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기대되는 것으로 아무 일도 열심히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누군가에게 뭔가를 묻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그 이상을 반환하지 말라 항상 완벽 없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이상적인 자신과 현실의 자신의 차이를 받아 들일 수없는 경우가 많았다 입니다. 게다가 컨디션도 나쁘지되어 버립니다 학교에 잠시 다니기 힘든시기가 최근까지 계속되고있었습니다. 그럴 때 "완벽하지 않아도 돼."이 말을 만날 것입니다. 타인으로부터 자신은 완벽하다고 생각하라. 완벽 없으면 말라. 어설픈 사람이라고 생각되고 싶지 않다. 그런 생각이 마음 속에서 사라져가는 것을 느꼈습니다. 예를 들어, 뭔가해야 할 일이 있고, 결국 좋은 결과를 남길 수 없었다고합니다. 그 때 주위 사람들이 자신에게 좋은 평가를 붙일 가능성은 낮다 것입니다. 하지만 좋은 결과를 남기려고 많은 노력을 한 것입니다. 그것을 주위의 평가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이해하고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을 위해 살아있는 것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가를받을 위해 살아있는 것도 아니고, 자신을 위해 살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기대에 부응 할 수 있었다. 는 행복보다 최종 결과는 어떻든 노력한 자신이있다. 하고 말하는 것이 자신에게 의미가 행복한 것이라고 정신이있었습니다. 친구처럼 학교에 다닐 수없는 완벽하지 자신을 받아 들일 어렵고 괴로운 생각도 많이 했어요. 그렇지만 완벽 않았다 때문에 자신을 소중히하는 것이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고 배울 수있었습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돼."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합니다. 이 느낌 이야기도 누군가에게 좋은 문장이라고 생각해 줄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마주 위해 쓰고 있습니다. 생각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가장 이해는 다름 아닌 자신입니다. 자신의 꿈을 이룰 수있는 것도 자신을 바꿀 수있는 것도 자신을 행복하게 할 수있는 것도 모두 자신 한 명 밖에 없습니다. 완벽하게 되려고 노력한 그 노력을 알고있는 것도 완벽하지 자신을 받아주는 것도 나 자신입니다. 사람의 기대에 부응한다. 누군가를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 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타인을 소중히하기 위해서도 먼저 자신을 소중히하지 않으면 안된다. 누군가 행복하게 해주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뿐만 아니라 자신도 행복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앞으로도 자신을 소중히하는 자신을 소중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위의 가족이나 친구도 소중히 할 수있는 멋진 사람이되고 싶습니다.

===
人権と差別について
3 年 M.T
5 月 25 日、黒人男性が白人警察官に手錠をかけられたまま頸部を圧迫され窒息死した時間を覚えていますか?
この事件は「Black Lives Matter」というメッセージを掲げた大規模な抗議活動の引き金になりました。「Black
Lives Matter」とは、「黒人の命・生活・人生は(ないがしろにされるべきものではなく)大切だ」という意味です。
黒人差別に対する意識は昔から今に至るまで根深く残っています。有名な例が、ジム・クロウ法です。ジム・クロウ法
とは一八七〇年代から一九六四年まで続いた黒人分離の州法です。学校、バス、公園、水道、トイレなどが白人用と
黒人用に分離されていました。また、一八九六年の最高裁判決で「区別は差別ではない」という判決がされ、56 年
前まで黒人差別が法律で定められていました。法律的な差別は無くなった今でも、白人警察官が黒人を殺害する事
件が多く起きています。しかし、普通なら起訴されるはずの事件でも起訴されなかったり罰が軽くなったりしています。
人々はなぜ、肌の色や生まれた国、文化の違いで差別するのでしょうか。肌の色が白いから黒人を殺してもいい、差
別して痛みつけてもいいのでしょうか。
私は夏休みに学校のエンパワーメントプログラムに参加しました。エンパワーメントプログラムの私のクラスには九人
の留学生が来ていました。とても多様で、私たちと同じアジアから来た人もいればカナダ、パキスタン、ブルガリア、ガ
ーナなどから来た人もいました。黒人の男性も二人いました。私は九人の留学生全員と話しました。みんなとても親切
で、分からないところがあると優しく教えてくれたり、文章やお話の中で難しいところがあると、あれはこういう意味だ
よと分かりやすく説明してくれたりしました。私は今まで、外国の方とかかわる機会があまりありませんでした。しかし、
留学生の方々がディスカッションの時に自分の意見をちゅうちょせずに発信していたことにおどろき自分の国の文化
や背景を受け入れて自分の中で核となるものをもっているのだなと感じました。エンパワーメントプログラムを通して
個を持っている人を肌の色や生まれた国、文化が違うからといって差別したり傷つけたりしてはいけないということを
改めて実感しました。
人間には人権というものがあります。人権とは人が生まれながらにして持つ権利のことです。人権は侵害してはいけ
ません。しかし、黒人差別は立派な人権侵害です。彼らだって同じ人間なのにひどい扱いをされるのは間違っていま
す。ですが、黒人は差別をしても良いという意識は現代の人々の中にも残ったままで、今すぐにその意識を取り除くこ
とは不可能です。まずは、黒人差別について知ることが大切だと思います。私も、調べてみて知らない事が多くありま
した。そして、実際に話してみることが重要だと思います。少しでも、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とることは相手をよく知ること
につながります。実際に話してみることで、自分の中の意識が変わるかもしれません。
これからは、多様性の時代です。きっと、外国の方と話す機会が多くあるでしょう。自分一人の力では差別を無くすこ
とはできません。しかし、自分から話しかけてみることで人々の意識が少しだけ変わるかもしれません。いつか、色々な
人種の人々が手をとって笑い合える、そんな世界になっていたらいいなと思います。

===
「自由の使い方」
3 年 M.I さん
私たちが長期休暇のときに必ず課題として出される感話。その大半は感話の内容が指定されていませ
ん。つまり個人の自由で話題を決めなければなりません。私は今回の感話の話題を「自由」としました。
改めて、みなさんは「自由と聞くとどんなことを思いますか?辞書で調べたところ、「自由」とは他から束
縛されないこと。思いどおりに行動できることと書かれていました。誰からも指示されず自分の思うまま
にできるというと、一見とても良くすばらしいことのように思えます。しかし私はいきなり「あなたは自
由にしていいですよ」と言われても困るし、第一に「何をすればいいんだ?」と考えてしまいます。かと
いって「今からやることは私の自由だ」と思い人を殺したり、盗みをはたらくことはたとえ自由だとして
も絶対にやってはいけません。
殺人の例えは少し度がすぎましたが、何事にも超えてはいけない境界線というものがあります。その境
界線というのがやっかいで明確にこれはよくてこれはだめという線がどこにもないのです。それを自覚し
たのが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による自粛です。ニュースでもインタビューをされていた人が「どこま
で外出してよいかわからず、他の人に白い目でみられるのが恐い」というようなことを話していたことが
特に印象に残っています。
私はこのことはクラスの中でもあることだと思っています。何らかの議題があり、それをクラスで話し
合うとき少なくとも私は自分の意見が合っているのかどうかすごく不安になります。別に話し合いなんだ
から間違ってても良いのでは?と考える人はいると思います。それに私に共感してくれる人もいると思い
ます。
日本人は一般的に思慮深く自己主張が苦手だとよく言われます。確かに自粛をしていても自分がいいと
思うから外出したなどという自分の自由を自ら定めるような雰囲気は先ほど言ったインタビューには感じ
られませんでした。さらにクラス会議でも自分の意見を主張するというよりも、自分の意見を相手に共感
してほしいという気持ちが強いように思います。
つまり、私たちは「自由」という言葉が与えられても無意識に相手と同じにしたり、本当は違うことを
考えているけど、賛成している人が多い方に流されがちなのです。これではいくら「自由」をもらえても
結果は変わりません。それでは、私たちは「自由」をどのように使うべきなのでしょうか。先日改めて
「自由」について考えさせられる出来事がありました。
5 月 23 日女子プロレスラーの木村さんが 22 歳の若さでこの世を去りました。木村さんが出演していた
「テラスハウス」は見知らぬ男女 6 人が一つ屋根の下で共同生活を送りその中で生まれる恋愛や青春を映
し出すドラマでした。ニュースではドラマに関しての誹謗中傷が SNS により殺到し、木村さんの精神を追
いつめたと報道していました。今の時代 SNS を使って誰でも自由に意見交換することができます。でもそ
れを人を傷つけるために使用する人が少なからずいます。みんながやっているから、流されてやってしま
うのでしょうか。そのような自由の使い方をする人に責められている人がたくさんいます。憲法にもあ
る、言論に自由、表現の自由を間違った使い方をして、いじめや自殺がいまだに絶えることなく続いてい
ます。
この出来事を通して私は「自由」は誰からも指定されない代償に人に流されてではなく自分でよく考
え、人を傷つけるためではなく、みんなのために、みんなの利益になるように使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思
いました。

===
自分を大切にすること
3年 M.Y.
 「完璧じゃなくていい。」私はこの言葉にとても救われました。
 家族や友人、習い事の先生などの他人から期待されること、頼ってもらえることはとても嬉しく光栄に感じ、過去の私は他人から期待されることで何事も頑張れていました。
 しかし同時に、誰かに何かを求められたらそれ以上のものを返さなくてはいけない、常に完璧でいないといけないと考えていて、理想の自分と現実の自分の差を受け入れられないことが多かったのです。それに加えて体調も悪くなってしまい、学校にしばらく通えない時期が最近まで続いていました。
 そんな時に、「完璧じゃなくていい。」この言葉に出会えたのです。他人から、自分は完璧だと思われたい。完璧でいないといけない。いい加減な人だと思われたくない。そんな思いが心の中から無くなっていくのを感じました。
 例えば、何かするべきことがあって、最終的に良い結果を残せなかったとします。その時周りの人が自分に良い評価をつける可能性は低いでしょう。しかし、良い結果を残そうと沢山の努力をしたはずです。それを、周りの評価する人ではなく、自分が理解していることが大切だと思います。
 私は他の誰かの為に生きているわけでも、他人から良い評価をもらう為に生きているわけでもなく、自分の為に生きています。
 誰かの期待に応えることが出来た。という幸せよりも、最終的な結果はどうであれ努力した自分がいる。ということの方が自分にとって意味があり、幸せなのだと気が付けました。
 友人と同じように学校に通えない完璧でない自分を受け入れることが難しく、辛い思いも沢山しました。けれど、完璧でなかったからこそ、自分を大切にすることが他のどんなことよりも大事だと学ぶことが出来たのです。「完璧じゃなくていい。」心からそう思います。
 この感話も誰かに良い文章だと思ってもらえるように書いているのではなく、自分と向き合う為に書いています。考えている過程で様々なものを得られるからです。
 自分の一番の理解者は他ならぬ自分です。自分の夢を叶えられるのも、自分を変えることが出来るのも、自分を幸せに出来るのも全て自分一人しかいません。
 完璧になろうと頑張ったその努力を知っているのも、完璧でない自分を受け入れてくれるのも、私自身です。
 人の期待に応えること。誰かの為に努力すること。これらも大切なことだと思います。しかし、他人のために自分を犠牲にする必要は全くありません。他人を大切にするためにも、まずは自分を大切にしなくてはいけないのです。誰か幸せにしてあげたい人がいるなら、同様に自分も幸せでないといけません。
 これからも、自分を大切にする自分を大切にしていきます。そして、周りの家族や友人も大切に出来る素敵な人になりたいです。
===

===

우찌무라 간조의 일기 12월 21일 (목) 감화(感話)의 제목은, ‘들어주신 기도의 체험’이었다.

12/17 ~ 12/23 : 네이버 블로그


우찌무라 간조의 일기  12월 21일 (목) 맑음

오후 6시 반부터, 今井館(이마이칸)에서 기도회를 열었다. 연말로 바쁜데도 불구하고, 참석자는 50명 정도 되었다. 大森(오모리), 巣鴨(스가모), 中延(나카노부) 등 먼 곳에서 온 사람도 많았다. 吉岡(요시오카) 노 목사가 추위를 무릅쓰고 또한 먼 곳에서 참석해 주셔서 기뻤다.


감화(感話)의 제목은, ‘들어주신 기도의 체험’이었다. 

기도는 모두 들어주시며, 들어주시지 않은 경우에도 구하는 것 이상으로 들어주시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수의 감화가 있었고, 변함없이 은혜로운 집회였다.

연말로 바쁘다고 해서 기도회에 참석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바쁘기 때문에 참석해야만 한다. 하나님과 교제하여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이 세상의 일에 임하지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연말의 기도회는 각별히 필요하다.

[출처] 12/17 ~ 12/23|작성자 화이트플러스

感話とは - コトバンク

感話とは - コトバンク

感話(読み)かんわ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の解説

〘名〙 人を感化する目的で行なう話。教会で行なう説教や、僧の法話など
※思出の記(1900‐01)〈徳富蘆花〉四「祈祷の中間(あひ)に四十五六の沈鬱な顔をした大男が立って『感話』とか云ふものをしたが」
--
느낌 이야기 (읽기) 
 일본 국어 대사전의 설명 

〘이름〙 사람을 감화 하는  목적으로 행하는 이야기. 
교회에서 행하는 설교와 승려의 法話 등. 
※  추억의 기 (1900-01) <徳富 로카> 4. 
"기도의 중간 (아히) 사십 56의 침울 한 얼굴을 한 큰 남자가 서"느낌 이야기 "라고 운 휴 것을했지만 "

2021/03/04

13] The Uses of Right Concentration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13] The Uses of Right Concentration | The Noble Eightfold Path : 13 Meditation Talks

The Uses of Right Concentration

December 2, 2014

It takes a fair amount of effort to get the mind into right concentration—so much so, that many of us don’t want to hear that there’s still more to be done. We’d rather stop right here and rest. But while it may be true that right concentration is the last factor of the path, that doesn’t mean that right concentration by itself finishes the job. You have to bring the other factors of the path to bear on it again to carry things all the way through.


When the Buddha talks about right concentration and its seven requisites, part of the meaning of “requisite” is that you have to develop the first seven factors of the path, such as right view and right resolve, in order to get the mind into right concentration to begin with. But it also means that, once you’ve attained right concentration, you continue applying all seven factors to it: in particular, to further develop mindfulness and alertness, along with the right view that puts an end to all your defilements and actually gets you to the goal.


Remember that when the Buddha gave his first Dhamma talk, all he talked about in detail was right view. He mentioned the eight factors of the path but then focused just on the first factor, right view about suffering, its cause, its cessation, and the path to its cessation. That was enough for Ven. Añña Kondañña to experience the Dhamma eye, the first level of awakening.  We can assume that Añña Kondañña followed through from right view to develop the other factors of the path, too—because, after all, the Buddha said that you can’t attain the first level of awakening without developing all eight factors. But Añña Kondañña’s case shows how crucial right view can be.

Ven. Sariputta’s was a similar one. He heard a very short verse that boiled right view down to its most basic terms—that whatever has a cause will end when the cause ends—and there he was: He experienced the deathless. We’re not as sharp and as quick-witted as either of these two, so we have to put a lot more work into getting the mind into right concentration and then applying the other factors to that concentration to get the same kinds of results. That’s why we have to learn about how to use concentration to complete the work.

The Buddha talks about the four proper uses of concentration, or in his terms, the four developments of concentration

Some people interpret this as meaning that you have to develop four different kinds of concentration, with jhana as only one of the four, 

but when you look at the passages in the Canon where the Buddha talks about working beyond concentration, in every case it’s a matter of getting the mind into any one of the four jhanas and then working from there.

The first use for concentration is as a pleasant abiding. In other words, you get into jhana and you just stay there. You settle in. All too often at this point, when we know that there are steps beyond concentration, we get antsy and say: “Well, now that we’ve got the mind to settle down, what’s next?” Here it’s important to tell yourself, “This is what’s next. Just keep on doing what you are doing so you get really familiar with it.”


One of the reasons for just staying here is that you can nourish the mind in this way. The mind often comes to the practice in a very frazzled state and needs to be soothed. It needs to be strengthened. Remember that concentration, as the Buddha said, is like food. So feed your mind well because you need this nourishment to help you stick with the practice as a whole. Your ability to tap into a sense of wellbeing inside is what makes it easier to follow the precepts, easier to pull yourself out of sensual attachments, easier to do whatever is required.

So, as the Buddha often says: Settle in and indulge in the pleasure or the equanimity of that particular state of concentration. Learn to enjoy it. You’ll find that this is something that you can really delight in. And you should try to notice that feeling of delight, because it’s going to play an important role later when you use concentration to develop discernment. In the meantime, you use the delight to get good at your concentration. As Ajaan Fuang used to say, you have to be really crazy about the meditation in order to do it well. You have to be intrigued by the intricacies. Whatever gets in your way, tell yourself: “I want to figure out some way around this obstacle.” Treat it as your sport, and be like someone who’s really devoted to a sport, who wants to figure out and master all of the little problems and challenges, and finds them really engaging. You want to develop that same kind of engagement with your concentration.


The second use for concentration is for developing psychic powers

Now this, of the four uses, is the optional one—and you can’t determine ahead of time that you’re going to develop this power or that. These things may come, or they may not. 

As the Buddha says, they come when, after you’ve gotten the mind into concentration, there’s an opening onto that particular power. It might be the ability to remember your previous lives, or to read other people’s minds. Or the opening may never come. A number of the forest ajaans are famous for these abilities, whereas some of them seem to have had very few. As Ajaan Fuang says, Ajaan Lee had all of them except for the ability to levitate. This had a lot to do with his kamma: The kamma was what determined whether the opening came or no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f the opening comes for you, you have to ask yourself: What’s the best use of this? Are you going to use the power to develop unskillful states of mind such as pride and conceit, or are you going to use it to develop dispassion?


This is where the other two uses for concentration come in. 

The first is to use the concentration to develop mindfulness and alertness, to see how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arise and pass away. The concentrated mind is a really good place to see the arising and passing away as it’s happening. Sometimes this occurs while you’re staying in place. Sometimes it comes from simply moving from one level of concentration to another. You notice: “Oh, something changed here.” The breath changed. Your perception changed. A feeling changed, from rapture to a more easeful pleasure, or from pleasure to equanimity.

As you get the mind in and out of concentration, try to notice these changes, because this skill enables you to notice how perceptions and feelings have an impact on your sense of your body and mind. They determine how you experience the breath, how you experience your body, how you experience yourself in the context of the world. So you want to be able to notice when these perceptions and feelings come, when they go, which particular perception or feeling has replaced an earlier one. Then you begin to notice other things about perceptions and feelings as well: When a particular perception is in your mind, what level of stress or disturbance accompanies it in the mind? Or in the body? When a particular feeling of pleasure comes, is it good for the mind or not?

When the Buddha talks about what he calls the entry into emptiness, you start out with a very normal state of mind: the mind that has left the village, has gone into the wilderness, and settles into a perception of “wilderness”—like what we’re doing right now. We’re sitting out here, surrounded by the chaparral, surrounded by quiet. You can think back to when you were home, with your family and friends. The mind was a lot more disturbed then. 

Now you’re here, away from them. What’s the difference? If you wanted to, you could dig up the issues you’ve had with your family, you could still chew them over like a dog with a bone, but you don’t. You can hold another perception in mind: that you’re here, away from those things. They don’t loom so large any more, and the mind is a lot lighter as a result. Right there you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that tells you that you’re among these people and that their issues are important, and the perception that you’re away from them and the issues are not so important at all. These perceptions have a different impact on the level of disturbance in your mind.

So the perceptions don’t just come and vanish like lines drawn in the water. They have an impact. You want to see that, so that you get a sense of which perceptions are skillful and which perceptions are not, by watching their coming and going, along with the rise and fall in stress that results from their coming and going. This, the Buddha said, is what helps foster mindfulness and alertness.

The final use of concentration goes deeper than that: You use the concentration to put an end to the mental effluents of sensuality, becoming, and ignorance. To do that, you want to see the origination and the passing away of the five aggregates: form, feeling, perception, fabrications, and consciousness. On the surface this may sound like the same sort of thing as developing mindfulness and alertness, but the word “origination” here signals something different. It points not to the fact that things come and go, but to the fact that they come because of a reason. That’s the meaning of “origination,” and the origination of the aggregates is the delight you take in them. 

It’s because we delight in form, for example—we want form, we want to have this experience of the body—that we take the potentials for form, coming from our past kamma, and turn them into an actual experience of form. Whatever potential there is to augment that experience and to verify it, we go for it. We turn it into an actual experience. The same with feelings: We want feelings. And perceptions: We want to have perceptions. We want to be able to label and identify things. And there’s a certain delight in all of this. The delight is what drives us to fabricate these things again and again. This applies to all of the aggregates. We fashion them into real experiences because we delight in them and in the process of fashioning and fabrication that we use to make them into something.

Where do you see this most clearly? In your own state of concentration. It’s the same concentration, the same jhana you’ve been practicing, but now you’re looking at it from a different angle and with a different purpose. You’re trying to figure out how you fabricate it so that you can find something that’s even better than the jhana, something that provides a happiness that doesn’t have to be fabricated. So you apply perceptions—such as the perceptions of inconstancy, stress, or not-self—that dig out the delight that you find in the various aggregates as they make up the concentration: the form of the body; the feeling of pleasure or equanimity; the perceptions that hold you with the breath, or with space, or whatever the object may be; whatever verbal fabrications there may be around that, commenting on the concentra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all these things. You apply the perceptions of inconstancy, stress, and not-self to question the delight that you take in these aggregates that you’re fabricating into jhana. Are they really worth it?

Now if your concentration isn’t strong enough, then when you use this analysis, your concentration will fall apart and you’ll be back in an ordinary mind state. Or you may slip into another level of concentration. But if your concentration is strong enough, things fall apart in a different way. You realize: There must be something other than these fabricated states. The mind then turns toward not creating anything new. You don’t want to stay where you are, but you don’t want to go anywhere else, either, because that would be fabricated, too. You see that whatever activity or place you’re going to create for the mind to stay just ends up with more of these aggregates. So how about something that’s not created? Is that possible? And if things come together right, if the opening happens, you find that, Yes, it is possible. Everything fabricated falls apart and fades away. The Buddha was right. There really is an unfabricated, unconditioned happiness.

Of the different uses for concentration, this last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it’s what actually takes this last factor of the path and moves it on toward the goal. That was the Buddha’s whole purpose in using this image of a “path”: It leads to something beyond the path. It has a goal that’s different from the path. Don’t believe people who say that the path is the goal, or that the path leads to right view. When they say that, it’s a sign that they haven't experienced the goal. We don’t practice for the sake of right view, or for the sake of right concentration, or for no sake at all. We fabricate and use these things as steps toward a goal that lies beyond them: the deathless, total freedom from fabrication, from suffering and stress. This is what makes everything else in the path, all the effort that goes into fabricating and mastering all the factors, worthwhile.

The Buddha doesn’t talk much about the goal. After all, it’s not something you can create, so there’s no point in describing it too much, for otherwise you might try to take the description and clone it, which doesn’t work. He talks about the goal just enough to make you understand that it’s worth pursuing: the ultimate happiness, the ultimate freedom, totally outside of any physical or mental location in space or time. As he says, if you hold to a perception that the goal might be accompanied by any kind of suffering or regret, drop that perception. Don’t listen to it. The deathless is totally satisfying and ends all your hungers. Once your hungers are satisfied, that solves all your other problems as well.

That’s where this path is going. And it’s the right path. Right view is right view; right resolve is right resolve; all the factors are right all the way down the line. They’re right, not because the Buddha said they were right, but because they actually work, in the same way that, if you want milk, squeezing a cow’s udder is the right way to get milk out of the cow. It gives you the results you want. If you try to get milk by squeezing the cow’s horn, it’s wrong—because it doesn't work. Right and wrong are really two different things because they give different results.

And the path is really noble—because it takes you to a goal that’s noble: something not touched by aging, illness, or death. As the Buddha said, there are two kinds of search. There’s the search for happiness in things that can age, or grow ill, and die. That’s the ignoble search. And then there’s the noble search for the things that lie beyond aging, illness, and death. Because the goal is noble, it makes the search noble. The path that succeeds in taking you there is noble as well.

When you put all the factors together properly, you become a noble person. But at that point you don’t really care whether you’re a noble person or not, because you’ve found something that’s even more valuable than trying to figure out who you are, or what you are, or how you rank with regard to other people. Ajaan Suwat had a nice comment about this. He said that the whole issue of self and not-self becomes totally irrelevant when the goal is reached. You use the perception of self skillfully to fabricate the path to find happiness. You use the perception of not-self to develop the dispassion needed to remove any desire to keep on fabricating experiences, so that there can be an opening to the unfabricated. But once there’s an opening to that deathless dimension, you drop all perceptions, and there’s the ultimate happiness. At that point, you don’t worry about whether or not there’s a self experiencing it or no self experiencing it, because the experience is there. And that’s all you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