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31

希修 - 용서와 자비희사 . *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 . (A) khanti /...

希修 -

< 용서와 자비희사 >

.


*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

.


(A) khanti / forgiving / 용서: 원한을 원한으로 갚는다면 무수한 윤회동안 원한도 영원히 되풀이될 뿐이므로, 그 소모적인 무한반복을 중지시키기 위해 원한을 접는 것. 복수하고 싶다는 마음의 포기를 의미할 뿐, 관계 회복이나 화해와는 전혀 별개의 문제.

.


(B) mettā / goodwill / 慈: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업의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탐진치를 줄여 나감으로써) 스스로! 진정한 행복에 도달하기를 기원하는 마음. 상대방을 내 행동의 수혜자로 대우해 주는 것이 아니라 본인 운명의 주체로서 존중해 주는 것. 아비담마를 번역하신 각묵스님은 mettā를 '성냄 없음'으로 정의하셨음. 즉,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원하는 대로 해 주거나, 즐거운/편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일은 mettā의 핵심과는 무관하다는 얘기. (부정적인 방향으로 치우치기 쉽도록 인간이 진화해 왔기에 한 번쯤! 긍정적인 쪽으로도 생각해 보는 교정의 노력이 필요할 뿐, '긍정적' 자체가 목적/善임 것은 아님.) 본질적으로 감정도취=자기도취를 수반하며 서로를 옭아매는 온갖 기대, 원망, 집착, 소유욕 등으로 귀결되기도 너무 쉬운 pema / love / 사랑을 부처님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으셨음. 밥을 먹으면 똥이 남고 사랑을 하면 미움과 고통과 흐려진 정신이 남는다고 말씀하셨음 (b1). (mettā를 'lovingkindness'로 번역하기 보다, Thanissaro 스님처럼 'goodwill'로 번역하는 것이 적확하다고 내가 생각하는 이유. b2) 하지만 동시에, 강도가 자신의 팔다리를 하나씩 잘라내고 있는 와중에도 상대에 대해 유지해야 하는 태도가 mettā임. "네 행복은 네 손에 달렸으니, 업/윤회로부터 벗어나는 지혜로운 삶을 니가 살기 바란다"라는 진심만 유지한다면, 누군가와의 인연을 놓아 보내더라도 慈인 것.

.


(b1) #10~30: Unsentimental Goodwill. What the Buddha said about 'love'. Emotional/sentimental love or naive positive thinking about human nature is not the way.

https://www.facebook.com/keepsurfinglife/media_set…

.


(b2) "If you truly feel mettā for yourself and others, you can’t let your desire for warm feelings of love and intimacy render you insensitive to what would actually be the most skillful way to promote true happiness for all."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72471653124917&set=a.1042727616099321&type=3&theater

.


(C) karuṇā / compassion / 悲: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고통/불운을 종식시키기를 바라는 마음 or 그 과정에서 상대방을 돕고자 하는 의지. 즉, 고통 속에 있는 사람에게 적용한 mettā. 아기가 죽어 울고 있는 여인 Kisa Gotami에게 부처님은 따뜻한 위로 대신 "마을에 내려가 일가 친척 누구 하나 죽은 적 없는 가문을 찾아 내어 그 집에서 겨자씨를 빌려 가져오라"는 말씀을 하셨음. 그동안 윤회해 온 억겁의 세월에 비하면 이승에서의 100년은 찰나에 불과하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비교하는 자체도 무의미하니, 이런 괴로움이 싫다면 더이상 헤매지 말고 어서 해탈하라는 뜻. 불교의 karuṇā는 상식적 의미의 '연민'/'공감'과 다름. 틱낫한 스님은 karuṇā는 환자를 대하는 의사의 마음( =상대방의 고통이 그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 하셨고 (c1), 에크하르 톨레 역시 함께 슬퍼하거나 괴로와하는 행위는 공감이 아니라고 말함 (c2). 환자의 질병을 질병으로 정확히 진단하고 처방을 알려 주는 것이 의사가 환자에게 보일 수 있는 최대의 연민/공감이지, 환자의 질병에 속상해 하고 함께 울어 주는 것이 의사의 역할이 아님. (물론, 상대가 나의 소견/처방을 원하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


(c1) 'Compassion' usually means that you suffer together, but 'karuṇā' does not. A physician needs to understand his patients, but, if he suffers with his patients, he won't be able to help them. ... ... A bodhisattva should be able to have the kind of love (such) that (she) can (be) happy for her and understand the suffering of other people, in order to be able to help them out ... ... If you are a psychotherapist and if you have enough joy, love, patience and understanding in you, ... you won't be overwhelmed by the suffering of those who come to you. -- Thich Nhat Hanh


https://www.youtube.com/watch?v=C-wa1cvoJI0

.


(c2) A true compassion is not about commiserating. Avoid commiserating with other people’s problems, so that you don’t get caught in their mental construct. -- Eckhart Tolle


https://www.eckharttollenow.com/new-home-video/default.aspx…

.


(D) mudita / empathetic joy / 喜: 상대방이 지혜를 통해 스스로! 지은 행복에 대해 함께 기뻐하는 마음. 즉, 행복 속에 있는 사람에게 적용한 mettā.

.


(E) upekkha / equanimity / 捨: 현재의 노력만으로 당장 달라질 수 없는 부분 (현재에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도 더이상 희석되지 않는 과거 업의 결과, 타인의 선택 등)에 대한 인내심, 어리석음을 고집하는 이에 대한 평정심. 예를 들자면, 도박 끊을 생각조차 아예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평정심을 유지하고, 대신, 도박을 끊으려는 노력을 하기는 하는데 아직 못 끊고 있는 사람이나 도와 주라는 말.

.


(F) 31 윤회계의 모든 존재들에 대해 무한정으로 베풀어야 하는 마음이라는 뜻에서 자비희사의 넷을 四無量心이라고 부르는데, 이 넷과 용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랑', '공감', '착함', '좋은 관계' 등과 일치하지 않음. 우리는 또 부처님을 한없이 온화한 분이셨을 거라 생각하지만, 사실은 달랐음. 부처님과 대화중 자기 자신의 모순을 깨달아 민망하여 부처님의 질문에 대답않고 우물쭈물하는 사람에게 "여래가 물을 때 대답 않으면 그 머리가 7조각으로 쪼개질 것이다"같은 무시무시한 말씀도 하시고 (f1), 자신의 질문에 대답하시는 부처님의 말씀을 Udāyin이 중간에 끊자 옆의 제자 Ānanda에게 "Ānanda야, 이 쓸모 없는 인간 Udāyin이 내 말 끊는 것좀 보렴"같은 말씀도 하심 (f2). 상대방이 당장 감정적 '상처'를 입더라도 잘못된 견해/태도는 분명히 지적하여 바로잡아 주는 것이 진정한 자비요 연민이라고 생각하셨음 (f3). 바로 이것이, 당신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이 극소수에 불과할 거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부처님이 장장 45년동안이나 때로는 야단을 치고 때로는 더없이 신랄한 비판을 해 가면서 상세한 가르침을 펼치신 이유. 이게 부처님의 자비.

.


(f1) "If you don't answer, or evade the issue, if you keep silent or go away, your head will split into seven pieces." -- DN3, Ambaṭṭha Sutta.

.


(f2) "Look, Ānanda, at how this worthless Udāyin interrupts." -- MN136, Maha Kammavibhanga Sutta.

.


(f3) #68~69: Compassion.


https://facebook.com/keepsurfinglife/albums/1097318147306934/

.


(G) 사무량심과 용서는, 업의 인과관계를 정확히 이해만 하면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귀결되는 태도. 따라서 "불교 수행의 두 축은 지혜와 자비"라는 얘기에서 '지혜'와 '자비'는 사실상 동의어나 다름 없음 - 자비는 지혜의 당연한 결과이기에. 한 사람의 업과 관련한 문제들은 그 자신의 수행에 달렸을 뿐, 그 누구도, 심지어 부처님조차 어떻게 도와 줄 방도가 없다는 것이 불교의 기본 전제.

.

希修 added 194 new photos to the album "Skill in Questions" by Ṭhānissaro Bhikkhu.

#7~14: Right Speech.
............................................................................................................................................
#35~36: Socrates and the Buddha.
............................................................................................................................................
#58~64: The Buddha encouraged judging yourself and others. You can forgive once you judge accurately.
............................................................................................................................................
#64~66: Right speech can be harsh.
............................................................................................................................................
#66~67: Karma.
............................................................................................................................................
#68~69: Compassion.
............................................................................................................................................
#70~73: Integrity.
............................................................................................................................................
#74~93: Orthodoxy, criticisms and discussions. The Buddha's criteria for conversation/debate partners.
(#90~92: Only one path to the top of the mountain, only one 'right view'.)
............................................................................................................................................
#94~98: Cross-questioning, Socrates and the Buddha.
............................................................................................................................................
#101~102: Choosing and judging a teacher.
............................................................................................................................................
#103~113: Cross-questioning and judging one's own thoughts, words and actions is THE path.
............................................................................................................................................
#114~129: How a sense of self is helpful/useful and not a problem.
(#120~122: How one's practice benefits others, how interconnectedness is taken care of in Buddhism.)
............................................................................................................................................
#130: Heedfulness.
............................................................................................................................................
#131~134: A wise person's practice.
............................................................................................................................................
#135~136: Wrong livelihood.
............................................................................................................................................
#137~140: Rebirths of an actor and a person with a wrong view.
............................................................................................................................................
#141: Agnosticism.
............................................................................................................................................
#142~146: Four Inconceivables.
............................................................................................................................................
#147~150: The questions to be put aside.
............................................................................................................................................
#151~172: Four major contexts in which questions were put aside.
(#155~159: Oneness vs. duality/plurality.
#161~168: Existence vs. non-existence, self-made vs. other-made, ultimate/absolute truth vs. conventional truth.
#169~172: language, concepts, thoughts.)
............................................................................................................................................
#173~186: Attitudes required on the path.

Comments
 < 용서와 자비희사 > . * 사회적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얘기 * . (A) khanti /...

Sejin Pak - [불교공부] [위안부문제] 대한불교 조계종 <나눔의 집>에 사셨던 위안부할머니들은 조금이라도...

Sejin Pak - [불교공부] [위안부문제] 대한불교 조계종 <나눔의 집>에 사셨던 위안부할머니들은 조금이라도...

[불교공부] [위안부문제] 대한불교 조계종 <나눔의 집>에 사셨던 위안부할머니들은 조금이라도 불교의 가르침을 받았을까?

Image may contain: text
Comments
  • Park Yuha 배춘희할머니가 바로 그런 자비와 용서의 마음을 가지셨던 거 같아요.

(5) Sejin Pak 불교 원한

(5) Sejin Pak

Sejin Pak - [불교공부][위안부문제] 위안부 할머니들의 원한을 풀어주어야 한다? --- 나눔의집, 故 배춘희...

(4) Sejin Pak - [불교공부][위안부문제] 위안부 할머니들의 원한을 풀어주어야 한다? --- 나눔의집, 故 배춘희...

[불교공부][위안부문제] 위안부 할머니들의 원한을 풀어주어야 한다?
---
나눔의집, 故 배춘희 할머니 추모비 제막 (2014)
--
[부원장 호련스님은 “일제 식민지에서 해방된 지 69년이 다가오고 있지만 아직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게는 해방이 오지 않았다. 범죄자들은 법적 책임도 부인하고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며 “일본의 공식 사죄를 끝까지 받아내어 고 배춘희 할머님과 먼저가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의 원한을 풀어 명예와 인권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나눔의집 이옥선, 강일출 할머니,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 등은 지난 21일 미국으로 출국해 지난 27일 LA 글렌데일시에서 열리는 제3회 ‘위안부의 날’ 선포식에 참석했으며, 8월4일에는 뉴저지주 유니온시티에서 열리는 위안부 기림비 제막 행사에 참가하는 등 LA와 워싱턴, 뉴욕 등에서 17일간 일본군의 만행을 증언하고 오는 8월7일 귀국할 예정이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273

Image may contain: text that says "이 세상에서 원한은 결코 원한에 의해서는 풀어지지 않는다. 원한을 버릴 때에만 풀리나니 이것은 변치 않을 영원한 진리이다.  3"

Sejin Pak 불교 – Facebook Search

Sejin Pak 불교 – Facebook Search





박병기
19 September


번역에 관하여

예정대로라면 지난 봄 쯤 나왔어야할 이 번역서
(메튜 제이. 무어, 박병기, 이철훈 옮김, <불교, 정치를 말하다>, 씨아이알, 2020)가 여러 사연을 담고 다음 주 초에 출간된다. 역자 서문을 써보냈고, 출판사 책소개글 검토는 공역자인 이철훈선생이 맡았다. 그는 나의 대학원 제자이자 고등학교 윤리교사다.

"각자는 자기 언어로 그러나 타자를 번역함으로써 대화해야 한다. ... 번역은 문화들이 서로를 맞대면하면서 서로 간의 간극을 통해 각자의 사유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작업이다. 그런 점에서 '번역은 도래할 글로벌 세계에 가능한 유일한 윤리'이다."(프랑수아 줄리앙, 이근세 옮김, <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교유서가, 2020, 144-145쪽)

중국이라는 창을 통해 자신이 속한 유럽문화를 성찰하는, 수준있는 철학함의 경지를 보여주는 줄리앙의 번역이야기가 조금은 각별하게 다가선다. 그는 문화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라는 두 뿔 사이를 넘어서, 마주치는 두 문화 사이의 간극을 전제로 하는 대화를 통해 '공통의 것'을 조심스럽게 찾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화(dialog)에 포함된 디아dia와 로고스logos에 주목하면서 서로 간의 간극이 전제되지 않으면 진정한 대화는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당연하면서도 곱씹어볼 만한 지점이다.

<불교, 정치를 말하다>는 서양 정치철학과 이론이 한계에 봉착했음을 전제하면서, 정치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으로서 불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이다. 최근에 나온 방영준선배님의 저서(<붓다 정치철학 탐구>, 인북스, 2020)와 함께, 종교와 정치 사이의 관계 설정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른 우리 사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으로 자리하기를 빌어본다. ... 상사화가 흐드러지는 시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