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25

Tigers' significance in Korean Buddhism

Tigers' significance in Korean Buddhism
Tigers' significance in Korean Buddhism
Posted : 2022-01-25 00:33
Updated : 2022-01-25 09:12



A tiger pictured in temple art at Juwol Temple in Uise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By Dale Quarrington

The Lunar New Year is upon us, and for 2022 ― and according to the Chinese zodiac ― it's the Year of the Tiger. In Korea, the tiger is a symbol of bravery and fearlessness, and has numerous symbolic and foundational meanings in Korean Buddhism, too. 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tigers manifest themselves at Korean Buddhist temples such as in creation myths and legends, the Sanshin (Mountain Spirit), "Tiger and Magpie" painting motifs and other ways as well.

Just like a tiger is integral to the Dangun myth that's central to Korea's creation story, so too do many Korean Buddhist temples have tigers that are central to their creation myths and legends, as well.



A tiger pictured at Gyemyeong Hermitage in Busan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One of the more interesting tiger foundation legends can be found at Bulhoe Temple in Naju, South Jeolla Province. According to this legend, a monk named Seyeom (? ― 1415), who was living at Bulhoe Temple, encountered a tiger and saved its life by pulling out an ornamental hairpin that was stuck in the tiger's neck. To express its gratitude, the tiger presented the monk with a maiden. However, the monk knew that this maiden was from the Andong Kim in modern-day North Gyeongsang Province, so he brought her back to her home. In gratitude, the Kim clan repaid the monk by providing him the funds he needed to expand the temple.



A tiger brings a maiden to a monk at Bulhoe Temple in Naju, South Gyeongsang Province.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Another manifestation of a tiger that you can see at a Korean Buddhist temple, and perhaps the most common in temple artwork, is in imagery of the Sanshin. Historically, Koreans prayed to mountains and Sanshin for good weather, a bountiful harvest, good health and good fortune.

When Buddhism finally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4th century, it showed deference to the native shaman deities, who were the original figures of veneration and worship throughout the land. Buddhism absorbed shamanic beliefs not only out of respect, but also to gain favor with the locals who continued to worship such shaman deities like Sanshin. To this day, you can find these shaman shrine halls, like the Samseonggak and the Sanshingak, at Korean Buddhist temples.



A depiction of the Sanshin at Seonam Temple in Busan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Predominantly, Sanshin appears as a man, but sometimes Sanshin can also appear as a woman (though rarely). There are thousands of different images and incarnations of Sanshin, but with that being said, Sanshin does tend to exhibit certain characteristics. Usually, Sanshin is depicted as a seated figure. Just as typically, he's an old man with long flowing white hair and a flowing white beard. And even though he's old, he still looks strong and healthy. The clothes that he wears are regal in appearance. Almost always, Sanshin will hold something in one or both of his hands, like a fan or a walking stick which symbolizes health, longevity, virility or spiritual attainment. But perhaps the easiest way to identify this shaman deity is that Sanshin is always joined by at least one tiger. Just like Sanshin is the king of the Korean mountains, so too is the tiger. And the tiger acts as Sanshin's enforcer to do his bidding.

Yet another place where you can see tigers at Korean Buddhist temples is in "Tiger and Magpie" artwork. This is a popular theme in Korean folk art, especially pieces made between 1400 and 1800 during the Joseon Kingdom. The magpie in this painting symbolizes good luck, while the tiger is meant to symbolize the expelling of evil spirits. So it's most common to see this style of painting in the Myeongbujeon (Judgment Hall) at temples.



A painting of a tiger and magpies in the Myeongbujeon of Tongdo Templ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Another incarnation of this style of painting finds a tiger looking up at a magpie. There is an especially famous painting of this motif on the exterior wall of the Haejangbogak at Tongdo Templ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ccording to the folk tale associated with the painting, a tiger is wandering in the forest when it gets stuck in a big puddle. Unable to free itself from the puddle, the tiger waits for three days to be rescued. On the third day, a man cutting wood happens to encounter the tiger by accident. The tiger begs the man to save his life. The good-natured man helps the tiger out of the puddle, but the tiger ― finally freed, and perhaps hungry from his three days of confinement ― attempts to eat the man. The man turns to a nearby ox and pine tree and asks them to judge the situation and hopefully dissuade the tiger from eating him. However, the ox and the pine tree side with the tiger. In desperation, the man turns to a magpie for its opinion. The magpie asks both the man and tiger to reenact what has already transpired, so it can better judge the situation. Foolishly, the tiger goes back into the puddle and gets stuck once again, which helps free the man from its jaws. As a result, this image and story are meant to represent the magpie as being a friend to humans.



A painting of a tiger and a magipe on the wall of the Haejangbogak at Tongdo Templ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 Courtesy of Dale Quarrington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of the tigers you can find in and around Korean Buddhist temples. However, this list certainly isn't exhausted, as you can also find the tiger in the form of the Twelve Spirit Generals, the smoking tiger and even in temple wall art, to name but a few.

So the next time you're at a Korean Buddhist temple, have a closer look at some of the intricate artwork that adorns all of these holy sites. With that being said, here's to a happy and prosperous 2022, the Year of the Tiger!


Dale Quarrington has visited over 500 temple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and published three?books on Korean Buddhism. He runs the popular website, "Dale's Korean Temple Adventures."

『毎日クスリを飲むあなたへ 週刊現代別冊 おとなの週刊現代 2020 Vol.1 クスリの危ない飲み方、選び方』(週刊現代)|講談社BOOK倶楽部




『毎日クスリを飲むあなたへ 週刊現代別冊 おとなの週刊現代 2020 Vol.1 クスリの危ない飲み方、選び方』(週刊現代)|講談社BOOK倶楽部



毎日クスリを飲むあなたへ 週刊現代別冊 おとなの週刊現代 2020 Vol.1 クスリの危ない飲み方、選び方

毎日クスリを飲むあなたへ 週刊現代別冊 おとなの週刊現代 2020 Vol.1 クスリの危ない飲み方、選び方
マイニチクスリヲノムアナタヘシュウカンゲンダイベッサツオトナノシュウカンゲンダイ2020Vol1クスリノアブナイノミカタエラビカタ
編:週刊現代
電子あり

書店在庫を見る
オンライン書店で見る
自分メモ


内容紹介


病院で処方されるクスリ、お医者さんに言われるまま飲んでいませんか?
正しく使えば効果のあるクスリも、ほかの持病や飲み合わせによっては毒になる。
クスリの飲み方、止め方、減らし方から、最新研究で判明した新たな副作用など、
手放せなくなったクスリとの健康的な付き合い方をお教えします。

主な内容

第1部 クスリと上手く付き合う方法

・日本医師会と日本老年学会が作成した、65・70・75歳以上には「効きすぎて」危ないクスリ
・私はクスリと病院をかえて元気になった
・死ぬ瞬間に「こんなにつらいなら飲むんじゃなかった」と後悔するクスリ
・特別インタビュー矢作直樹・東大名誉教授「クスリを飲むか、飲まないか その数値は人によって違う」
・原因不明の咳が止まらない/おしっこが出にくい/手足がむくむ/食事の味がおかしい……
 あなたの症状からわかる「クスリの副作用」逆引きリスト


第2部 クスリを毎日飲んでいる、あなたのための「新常識」

・東大教授も警告 死にます! 病院のクスリはやっぱり危ない
 医者から処方されたクスリとサプリメントは一緒に飲んではいけない
 絶対飲み合わせてはいけないクスリとサプリメント一覧
 いちばん怖いのは「睡眠薬と鎮痛剤」
 クスリをやめて認知症から復活
 いまさらですが「クスリは5種類まで」、それ以上は命の保証ができません
・日本では処方するけど、欧州の先進国では「使ってはいけないクスリ」


第3部 生活習慣病とクスリ 本当の話

・慈恵医大・横山啓太郎教授 高血圧・高コレステロール・高血糖「人生100年時代の新しい治療法」
・生活習慣病「治るクスリ」「治らないクスリ」あなたはどちらを飲んでいますか
・高血圧「なってから」生活術
・降圧剤とEDの密接な関係


第4部 自宅のクスリ箱をチェック! 市販薬の正しい飲み方、選び方

・商品名を大公開! 名医に聞いた「わが家の『常備薬』」 この組み合わせが最強です
・イギリスの論文に医学界が激震 市販の「かぜ薬」で認知症になる
・くしゃみ・鼻水は止まるが、心臓も止まる 花粉症のクスリで心筋梗塞になる人
・名医はこんな「健康食品」「サプリ」を使っている


【特別付録】
いま、病院でよく使われている「100のクスリ」とその副作用 令和2年最新保存版

製品情報


====
薬の9割はやめられる|日本初「薬やめる科」の医師が提唱する「減薬・断薬のすすめ」
健康
健康法

2018/12/26

文/鈴木拓也

病院に行くことが、「薬をもらう」こととほぼ同義になっている、現代医療の趨勢に異を唱える医師がいる。その人の名は、松田医院和漢堂の松田史彦院長。

松田院長は、6年ほど前に世界で初めて「薬やめる科」を開設。減薬・断薬によって健康を回復させる診療を行っている。

投薬治療を完全否定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が、「コレステロールが少し高い。じゃあ、お薬飲みましょう」などと、ポンポンと薬を出す風潮は問題あり、としている。

そして、著書の『日本初「薬やめる科」の医師が教える 薬の9割はやめられる』(SBクリエイティブ)の中で、持論の根拠として「薬が不要な3つの理由」を挙げている。

理由の1つめは、「明らかに病気ではないのに、病気と診断され薬を飲んでいるケースがよくある」こと。

2つめは、ほとんどの薬には副作用があり、このせいで新たな不調が発生すること。

3つめは、「なぜか突然、〇〇症候群、〇〇病といった新しい病気が提唱され、テレビで宣伝され、まるでそれに合わせたかのように、新しい薬が準備されている」という、ウラのありそうな社会現象の多さ。

こうした理由から、「薬が病気をつくる」ことが多々あると論じている。
■高血圧の薬は必要か?

例えば、高血圧。厚労省の調査(2015年)では、高血圧の患者は約1千万人。高血圧に相当する人は4300万人と推計されている。こんなに患者が多いのは、WHOと国際高血圧学会が定める適正な血圧の基準値が、時代とともに厳しくなっているというのが背景にある。

他方、日本人間ドック学会が提示した緩やかな基準だと、高血圧の人の推計は4300万人から一気に860万人に減る。

松田院長は、「基準を少し変えるだけで、高血圧とされる人が一気に増えたり、減ったりする。基準とはその程度のもの」とし、「そもそも高血圧は病気なのか」と指摘する。

本書では、慶大医学部による百寿者(100~108歳)を対象にした調査では、食事やトイレなどの自立度が高いのは、収縮期血圧が156~220のグループであったという。また、認知症の程度も「血圧の高い人のほうが軽かった」と報告されている。

中年期以降の年齢層の人たちが血圧が高いのは、動脈硬化で狭くなった血管で血流をスムーズに流すための適応であり病気ではない。よほど高い血圧でない限り、「医師から処方された降圧剤を、ありがたがって無理に服用することもない」と、松井院長は述べている。

同様のことは、血糖値やコレステロール値についても言えるそうで、少々数値が高くても問題ないとしている。
■薬をたくさん飲むほど不調が増える

松田院長は、「副作用のない薬はない」と言う。とりわけ問題なのは、「抗〇〇薬」や「〇〇拮抗剤」といった名前のついた薬剤。体内の酵素や神経伝達物質などの働きを部分的にブロックして、症状を抑える作用がある。こうした薬について、松田院長はこう警告する。


「何か体に不具合があって出る症状は、だいたいがそこを自然治癒させようとして生じるもの。健康になるために必要な体内システムの働きです。それを薬でムリヤリ止めるのは、自然な治癒力を奪うことにもなります。また、体に悪さをする物質を『選択的に』ブロックするとはうたっていますが、そう都合よくいくものではありません。人体はたった一つの細胞が繰り返し分裂してできたものですから、薬として内服した化学物質は胃腸で吸収され、全身に行き渡ります。結果、悪くない臓器まで傷めてしまう場合もあります」(本書54pより)

薬がはらむ別の問題は、シニア層に多い多剤併用。何種類もの薬を飲んで、かえって身体を悪くしている患者がたくさんいるという。さらに、他の医師が出した薬の副作用を病気の症状と勘違いして、新たな薬が出されるといったこともまかり通っているとも。
■市販薬は一時的な使用と心得る

ドラッグストアで気軽に買える風邪薬や胃腸薬などは、どうなのだろうか?

これらについては、松田院長は「緊急対応として、短期間服用する」のが原則だとしている。例えば、頭痛や咳など風邪の諸症状がひどくて、とにかく緩和したいときに風邪薬を服用するのはいいが、「大した症状も出ていないのに予防を兼ねて飲むとか、もう症状がおさまっているのに飲み続ける」のはNG。やがて薬が効かなくなるリスクもあるという。
■薬を減らす・やめるで健康に

本書で薬の問題を切々と訴えている松田院長が創設した「薬やめる科」は、その名のとおり、薬をやめる、もしくは減らすことに軸足を置き、健康を取り戻すことをねらう。そして、できるだけ安全な薬(漢方薬が主)や代替療法に切り替えてゆくのが方針だという。
方針でキーとなるのは、「腸内フローラの改善」、「化学物質、有害金属などのデトックス」、「体温の維持と免疫力の向上」など9つの治療ポイント。また、気功のような他の医師が踏み込まない手法も否定せず、積極的に取り込んでいる。

具体的な施療については、通院する必要があるが、エッセンスについては本書からでも得るものは多い。「自分は薬を飲み過ぎている」と自覚している方は、読んでみることをお勧めしたい。

【今日の健康に良い1冊】
『日本初「薬やめる科」の医師が教える 薬の9割はやめられる』

https://www.sbcr.jp/products/4797395570.html

(松田史彦著、本体1,300円+税、SBクリエイティブ)



文/鈴木拓也
老舗翻訳会社役員を退任後、フリーライター兼ボードゲーム制作者となる。趣味は散歩で、関西の神社仏閣を巡り歩いたり、南国の海辺をひたすら散策するなど、方々に出没している。
==



건강한
건강법

2018/12/26



문/스즈키 타쿠야

병원에 가는 것이, 「약을 받는다」 것과 거의 동의가 되고 있는, 현대 의료의 추세에 차이를 주창하는 의사가 있다. 그 사람의 이름은 마츠다 의원 와한도의 마츠다 사히코 원장.

마츠다 원장은, 6년 정도 전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약 그리기과」를 개설. 감약·단약에 의해 건강을 회복시키는 진료를 실시하고 있다.

투약 치료를 완전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콜레스테롤이 조금 높다. 그럼, 약 마시자」등과, 퐁퐁과 약을 내는 풍조는 문제 있어, 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저서의 '일본 최초 '약 그리기과'의 의사가 가르치는 약의 9할은 그만둔다'(SB 크리에이티브) 중 지론의 근거로 '약이 불필요한 3가지 이유'를 꼽고 있다.

이유 중 하나는 "분명히 아프지 않지만 질병으로 진단되어 약을 마시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것.

둘째, 대부분의 약에는 부작용이 있으며, 이 때문에 새로운 부조가 발생하는 것.

셋째는, 「왠지 갑자기, 〇〇증후군, 〇〇병이라고 하는 새로운 병이 제창되어, 텔레비전에서 선전되고, 마치 그것에 맞춘 것처럼, 새로운 약이 준비되고 있다」라고 하는, 우라의 있을 것 같은 사회 현상의 많음.

이런 이유로 '약이 병을 만든다'가 많이 있다고 논하고 있다.
■ 고혈압 약은 필요합니까?

예를 들어, 고혈압. 후로성 조사(2015년)에서는 고혈압 환자는 약 1천만 명. 고혈압에 해당하는 사람은 4300만명으로 추계되고 있다. 이렇게 환자가 많은 것은 WHO와 국제고혈압학회가 정하는 적정한 혈압의 기준치가 시대와 함께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 배경에 있다.

한편, 일본인간독 학회가 제시한 완만한 기준이라면 고혈압 사람의 추계는 4300만명에서 단번에 860만명으로 줄어든다.

마츠다 원장은 “기준을 조금 바꾸는 것만으로 고혈압이 되는 사람이 단번에 늘어나거나 줄이거나 한다. 기준과는 그 정도의 것”이라며 “원래 고혈압은 병인가”라고 지적한다.

본서에서는 경대의학부에 의한 백수자(100~108세)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식사나 화장실 등 자립도가 높은 것은 수축기 혈압이 156~220인 그룹이었다고 한다. 또, 치매의 정도도 「혈압이 높은 사람이 가벼웠다」라고 보고되고 있다.

중년기 이후의 연령층의 사람들이 혈압이 높은 것은, 동맥 경화로 좁아진 혈관으로 혈류를 원활하게 흘리기 위한 적응이며 병이 아니다. 그렇게 높은 혈압이 아닌 한 “의사로부터 처방된 강압제를 고맙게 무리하게 복용하지도 않는다”고 마쓰이 원장은 말했다.

같은 것은 혈당치나 콜레스테롤치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고 하고, 조금 수치가 높아도 문제 없다고 하고 있다.
■약을 많이 마실수록 부조가 늘어난다

마츠다 원장은 "부작용이 없는 약은 없다"고 말한다. 특히 문제인 것은, 「항〇〇약」이나 「〇〇길항제」라는 이름이 붙은 약제. 체내의 효소나 신경전달물질 등의 작용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증상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이러한 약에 대해 마츠다 원장은 이렇게 경고한다.


“무언가 몸에 결함이 있어 나오는 증상은 대체로 거기를 자연치유시키려고 생기는 것. 건강하게 되기 위해 필요한 체내 시스템의 작용입니다. 힘을 빼앗는 것도 됩니다.또, 몸에 나쁨을 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면 좋지만, 그렇게 편리하게 가는 것은 아닙니다.인체는 단 하나의 세포가 반복 분열해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약으로서 내복한 화학물질은 위장에서 흡수되어 전신에 건너갑니다.결과, 나쁘지 않은 장기까지 손상해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본서 54p보다)

약이 받는 또 다른 문제는 수석층에 많은 다제 병용. 여러 종류의 약을 마시고 오히려 신체를 나쁘게 하는 환자가 많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다른 의사가 낸 약의 부작용을 병의 증상과 착각해, 새로운 약이 나온다고 하는 것도 확실히 다루고 있다고도.
■시판약은 일시적인 사용으로 마음을 얻는다

약국에서 부담없이 살 수 있는 감기약이나 위장약 등은, 어떠한 것일까?

이들에 대해서는, 마츠다 원장은 「긴급 대응으로서, 단기간 복용한다」가 원칙이라고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두통이나 기침 등 감기의 여러 증상이 심해서, 어쨌든 완화하고 싶을 때 감기약을 복용하는 것은 좋지만, 「대단한 증상도 나오지 않는데 예방을 겸해 마시거나, 이미 증상이 멈추어 하고 있는데 계속 마셔"는 NG. 이윽고 약이 효과가 없을 위험도 있다고 한다.
■ 약을 줄이고 · 그만두고 건강하게

본서에서 약의 문제를 절대로 호소하고 있는 마츠다 원장이 창설한 「약 그만두는 과」는, 그 이름대로, 약을 그만두거나 혹은 줄이는 것에 축족을 두고, 건강을 되찾는 것을 겨냥한다. 그리고 가능한 한 안전한 약(한약이 주)이나 대체요법으로 전환해 가는 것이 방침이라고 한다.
방침에서 키가 되는 것은, 「장내 플로라의 개선」, 「화학물질, 유해 금속 등의 디톡스」, 「체온의 유지와 면역력의 향상」등 9개의 치료 포인트. 또 기공과 같은 다른 의사가 짓밟지 않는 수법도 부정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캡처하고 있다.

구체적인 시료에 대해서는, 통원할 필요가 있지만, 에센스에 대해서는 본서로부터도 얻을 수 있는 것은 많다. 「자신은 약을 너무 많이 마시고 있다」라고 자각하고 있는 분은, 읽어 보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오늘의 건강에 좋은 1권】
『일본 최초 「약 그리기과」의 의사가 가르치는 약의 9할은 그만둔다』

https://www.sbcr.jp/products/4797395570.html

(마츠다 사히코 저, 본체 1,300엔+세금, SB 크리에이티브)



文/鈴木拓也
老舗翻訳会社役員を退任後、フリーライター兼ボードゲーム制作者となる。趣味は散歩で、関西の神社仏閣を巡り歩いたり、南国の海辺をひたすら散策するなど、方々に出没している。


==

주간 현대 2020 Vol. 1 쿠스리의 위험한 마시는 방법, 선택하는 방법

매일 쿠스리를 마시는 당신에게 주간 현대 별책 어른의 주간 현대 2020 Vol. 1 쿠스리의 위험한 마시는 방법, 선택하는 방법
마이니틱스 리오놈 아나타 헤슈우칸겐다이베사츠오토나노슈우칸겐다이 2020 Vol1 쿠스리노아브나이노미카타에라비카타
편 : 주간 현대
전자 있음

서점 재고 보기
온라인 서점에서 보기
자신 메모


내용 소개


병원에서 처방되는 쿠스리, 의사에게 말하는대로 마시지 않습니까?
바르게 사용하면 효과가 있는 쿠슬리도, 다른 지병이나 삼켜에 따라서는 독이 된다.
쿠스리의 마시는 방법, 멈추는 방법, 줄이는 방법으로부터, 최신 연구로 판명된 새로운 부작용 등,
놓을 수 없게 된 쿠스리와의 건강한 사귀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주요 내용 제1부 쿠스리 와

능숙하게 사귀는 방법 죽은 순간에 「이렇게 힘들다면 마시지 않았어」라고 후회하는 쿠스 리・특별 인터뷰 야작 나오키・히가시다이메 명예 교수 / 오줌이 나오기 어려운 / 사지 발가락 / 식사의 맛이 이상하다 ...... 당신의 증상에서 알 수있는 " 쿠스  리의 부작용"역할 목록 교수도 경고 죽습니다! 병원의 쿠슬리는 역시 위험한  의사로부터 처방된 쿠스리와 보충제는 함께 마시지 말아야 한다  절대  마셔서는 안 되는 쿠스리  와  보충제 「쿠스리는 5 종류까지」, 그 이상은 생명의 보증을 할 수 없습니다

















・일본에서는 처방하지만,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쿠스리」


제3부 생활 습관병과 쿠스리 진짜

이야기 새로운 치료법」 ・생활 습관병 「치유하는 쿠스
리」 「치유되지 않는 쿠스리」 당신은 어느 쪽을 마시고 있습니까? 확인! 시판약의 올바른 마시는 방법, 선택 방법 ·상품명을 대공개! 명의에 들은 「우리 집의 『상비약』」 이 조합이 최강입니다 ・영국의 논문에 의학계가 격진 쿠스리로 심근 경색이 되는 사람 ·명의는 이런 “건강 식품” “사프리”를 사용하고 있다 【특별 부록】 지금, 병원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100의 쿠스리”와 그 부작용

















상품명 매일 쿠스리를 마시는 당신에게 주간 현대 별책 어른의 주간 현대 2020 Vol. 1 쿠스리의 위험한 마시는 방법, 선택하는 방법
저자 이름 편 : 주간 현대
발매일 2019년 12월 9일
가격 정가:1,000엔(본체 909엔)
ISBN 978-4-06-518644-2
심판 B5
페이지 수 116화
시리즈 코단샤 MOOK


저자 소개
편: 주간 현대(슈우칸겐다이)

관상기도, 성경적 가르침과 거리가 멀다 - 아이굿뉴스

관상기도, 성경적 가르침과 거리가 멀다 - 아이굿뉴스

관상기도, 성경적 가르침과 거리가 멀다

표성중 기자
승인 2010.09.07 



■ 기독교학술원, 개혁주의 측면에서 관상기도 조명


말씀보다 인간의 전통이나 개인적 경험 지나치게 강조
올바른 관상은 상상력 동원이 아닌 성령님이 주시는 생각

최근 한국 교회 안에 널리 퍼져 있는 ‘관상기도’에 대한 부정적 시각 및 비판에 관한 신학적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관상기도는 동양적 신비주의 사상과 가톨릭 신비주의를 물려받았고, 불교와 힌두교의 영향도 받으며 이교적이고 혼합종교적인 배경을 갖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교단적으로 실시하는 이번 가을 정기총회에는 관상기도가 성경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이교도들이 시행하고 있는 명상 형태를 개신교가 도입한 것인지 등에 대해 검증하려는 교단도 있을 정도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독교학술원(원장:김영한 박사)도 지난 7일 오전 7시 반도중앙교회(이영엽 목사)에서 ‘영성과 기도-관상기도에 대한 대안’을 주제로 월례발표회를 진행하며, 관상기도에 대한 성찰 및 성경적이고 개혁주의적인 기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 종교개혁적 전통에 충실하지 않아
‘관상기도 성찰과 올바른 기도’를 주제로 발표한 신현수 교수(평택대)는 “관상기도는 세상적 가치에 바탕을 둔 한국 교회의 기복적 기도 행태에 대한 반작용으로 일어난 기도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며 “관상기도는 사람의 세속적 필요를 채우거나 외형적이고 시끄러운 기도가 아닌 조용히 기도자의 내면에서 하나님을 바라보고 하나님과 신비적 합일을 강조하는 기도”라고 설명했다.

이날 신 교수는 세상적 복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리는 기도 형태에 경종을 울린 점, 기도의 본질 가운데 중요한 요소인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성을 강조한 점, 인격의 중심인 마음에서 하나님과의 지속적 사귐을 강조한 점, 기도는 내 뜻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실현되게 하는 통로라고 본 점 등 관상기도의 긍정적 측면을 설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관상기도가 갖고 있는 신학적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 관상기도는 오직 말씀의 종교개혁적 전통에 충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것, 곧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성령의 사역이다. 그러나 관상기도의 방식에 대한 강조는 성령의 감동으로 된 성경 말씀의 충족성을 약화시키며 새로운 영지주의에 빠질 위험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둘째, ‘오직 성경’의 관점에서 관상기도는 하나님의 주권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은혜이지 인간이 인위적으로 하는 어떤 행위에 바탕을 둔 신비적 체험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관상기도를 주창하는 사람들은 이를 인정하지만 습득적이고 능동적이며 통상적인 관상인 지기 비움이 이를 조건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 성경적 가르침에 어긋난다
신 교수는 “관상기도는 인간의 종교적 필요, 즉 하나님과의 합일을 인위적으로 충족시켜 보려는 인본주의적 발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셋째, 성경적 세계관, 성경의 가르침과도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관상기도는 사물의 본질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그것을 사물의 현상과 분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말이다. 결국 영의 세계는 선하고, 육의 세계는 악하다고 보는 영지주의적 사고의 혼합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기도의 유일한 기준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다. 하지만 성경은 결코 어떤 기도의 방식이나 특히 그 방식을 통해 관상에 이룰 수 있음을 가르치지 않는다”고 피력했다.

특히 “예수님이 관상기도의 본을 보이셨다는 주장은 예수님의 성육신을 증거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된다”며 “신약성경의 사도들이나 예수님은 기도를 할 때 촛불을 켜거나 종을 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셨다. 성경의 가르침을 넘어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방식에 따라 영적 생활을 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보다 인간의 전통이나 경험을 위에 두는 잘못을 저지르는 행위라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비판적 입장과 달리 ‘관상기도와 개혁주의적인 기도’를 주제로 발표한 오방식 교수(장신대)는 관상기도의 현대적인 지평과 자세를 소개하며 관상기도가 현대인의 기도생활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했다.

# 하나님의 뜻 이루는 하나의 깊은 기도로 이해해야
오 교수는 “기독교적인 관상이해를 위해서는 관상이 신구약 성경의 가르침과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 위에 발전된 개념이며, 기독교 관상은 개혁주의 전통에 충실한 기도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하나님과 인간 피조물의 질적인 차이를 부인하지 않고, 나아가 하나님을 아는 관상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총이며 성령의 조명을 통해 주어지는 것이라는 신학적인 전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상의 어원, 기독교 전통에서의 관상의 의미, 관상의 성경적 기초 등을 설명한 오 교수는 “기독교 관상은성경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시는 하나님을 체험적으로 아는 것”이라며 “관상을 추구하는 삶은 하나님과 우리 자신의 개인적인 만남이나 개인의 내면적인 변화만을 소극적으로 추구하지 않고, 행동과 관상의 조화로운 일치를 강조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상기도는 현대인의 삶 속에서 하나님을 철저하게 순수하게 추구하고, 하나님의 뜻만을 온전히 이루어 하나님께만 영광돌리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하나님을 깊이 만나고,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이루어 나가는 하나의 길, 깊은 기도로 이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칼빈의 영성의 핵심은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연합에 있듯이 관상기도를 포함한 영성훈련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루어진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합일을 완성해 나가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독교학술원 원장 김영한 박사는 “개혁주의 전통에 충실한 기도는 말씀에 따른 기도이며, 말씀에 대한 묵상”이라며 “관상이란 상상력을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묵상하는 가운데 자연스레 성령이 주시는 생각을 보는 것이므로 주관적으로 투사하거나 전위하거나 동일시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는 “개혁주의 전통은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다. 관상이란 오로지 말씀을 보는 것이며, 주님을 보는 것이다. 주관적 감정을 인위적으로 도입할 필요는 없다”며 개인의 상상력을 지나치게 활용하는 능동적인 관상은 주관주의에 빠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날 발표회에는 이주연 목사(산마루교회)도 발제자로 참여해 '한국적 영성에 적합한 기도'를 주제로 발표했으며, 발표회 전 가진 기도회에는 박봉배 박사(전 감신대 총장)가 메시지를 전하고, 장현승 목사(과천소망교회), 이준일 목사(예장합동 전 인천노회장), 배본철 박사(성결대 교수) 등이 한국 교회 및 사회, 한반도 통일과 아시아 세계의 영성을 위해 각각 기도했다.


저작권자 © 아이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표성중 기자다른기사 보기

관상 기도에 대하여 < 신학 오디세이아 < 신학과 영성 < 기사본문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관상 기도에 대하여 < 신학 오디세이아 < 신학과 영성 < 기사본문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관상 기도에 대하여

기자명 박정은
입력 2013.02.12 

[신학 오디세이아]

토마스 머튼의 책 <명상의 씨>를 처음 읽은 것은 대학교 3학년 때였는데, 그때 나는 정말 한 줄도 이해할 수 없었다. 명상이란 그저 트라피스트 수도원의 수사님들만 하는 걸로 알았다. 당시 나에게 하느님 나라는 내가 가르치는 주일학교 어린이들과 주고받는 웃음이었고, 저녁 무렵 창밖으로 들려오는 새 소리였고, 모든 사물을 아름답게 비추는 햇살이었기에, 명상이란 거창한 말은 내게 조금도 의미 있게 다가오지 않았었다.

어느 5월의 저녁이었다. 교사회의에서 내가 느끼는 하느님과 그 나라에 대해 기도했었는데 그때 지도 수녀님이 "소피아는 나중에 영성작가가 되면 좋겠어"라고 하셨다. 영성작가! 그 말이 무척 마음에 들었지만, 그때는 그게 어떻게 하면 되느냐고 묻지도 못했다. 그 당시로는 너무 엄청난 말, 가령 “수녀원에 가야 해”라든가 “평생 기도만 해야 해”라는 말이 나올까 봐 무서웠기 때문이다.


ⓒ박홍기



관상기도, 세상의 아픔과 결코 괴리될 수 없는 것

결국, 나는 수녀원에 들어갔고, 영성서적을 혼자 읽고 공부도 했는데, 사실 뭐가 뭔지도 모르면서 닥치는 대로 읽어 댔었다. 그때 다시 <명상의 씨>를 만났다. 이번에는 알 것도 같고 모를 것도 같았다. 그러나 당시 나를 매료시켰던 것은 토마스 머튼이라는 사람과 그의 삶이었다. 세상에서의 삶을 접고 수도원에 들어가서도 세상의 움직임과 고통에 예민할 수밖에 없었던 이 영성가가 수도원의 규칙을 깨고 침대 매트리스 밑에 뉴욕 타임즈를 숨겨 놓고 읽었다는 이야기가 마음 깊은 곳을 울렸다. 진정한 명상이란, 진정한 관상기도란, 세상의 아픔과 결코 괴리될 수 없다는 것을 처음으로 배웠다. 세상을 떠나 수도 생활을 하기에 세상은 너무 아름답다고 느꼈던, 그래서 늘 세속적인 수녀일 수밖에 없었던 나는 관상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관상이란 무엇일까? 깊은 내면의 침묵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는 일이라는 일반적인 이 정의에 반대할 이유는 없지만, 그렇다면 침묵은 무엇인지 또 하느님을 만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관상을 뜻하는 영어 ‘Contemplation’은 12세기 불어 ‘contemplatio’에서 온 말로, ‘무엇을 깊이 주목하여 바라보다’, ‘깊이 생각하다’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한자로는 ‘볼 관(觀)’ 자에 ‘서로 상(相)’ 자를 쓰는데, 여기서 相자는 木(나무 목)과 目(눈 목) 두 요소로 구성되어 묘목이 자라는 것을 관찰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즉, ‘눈여겨 잘 본다’는 뜻이다. 그런데, 웹스터사전을 보면 관상에는 그 관찰에 따른 행위라는 부분이 있다. 그러니까 관상은 무엇보다 잘 보는 마음가짐과 그 행위라고 하겠다.

관상, 실재를 바라보는 길고 느린, 그리고 사랑스러운 시선


▲ 산타크루즈의 어떤 골목길 ⓒ박정은일상생활에서 내가 관상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 정의는 예수회원 월터 벌가르트(Walter Burghardt)의 정의다. 그는 관상을 ‘실재를 바라보는 길고 사랑스런 시선(A Long, Loving Look at the Real)’이라고 하였다. 첫 번째로 ‘긴 시선’을 한번 생각해 보자. 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는 모든 것이 참 빠르다. 그러다 보니, 긴 시선을 가지기가 쉽지 않다. 어떤 정보나 글도, 인터넷 공간에서는 쉽게 지나쳐 버린다. 순간의 이미지가 많은 것을 좌우한다. 긴 시선이란 마치 잘 준비된 만남처럼, 오랜 기다림 후의 해후처럼, 오래오래 천천히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원 수업을 하면서, 진지하고 조용한 수업을 살짝 빠져나와 화장실에 다녀온 적이 있다. 친구들에게 방해되지 않으려고 발끝을 들고 가능한 빨리 소리 내지 않고 자리에 앉으려고 했지만, 잘 되지 않았다. 빨리 가서 앉고 싶었지만, 소리를 내지 않고 조용히 하기 위해서 나는 하는 수 없이 천천히 슬로우 모션으로 걸어야 했다. 그러니까 조용하려면, 우선 걸음을 천천히 했어야 하는 것이었다. 마음이 바쁘면 모든 것이 빨라진다. 그러면, 사물과 나를 바라보는 시선이 잘리고 부서진다. 그러니까 긴 시선이란 고요한 응시, 천천한 마음의 움직임, 그리고 한결같은 관계들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둘째, 사랑의 응시를 생각해 보자. 내가 혹은 나의 내면이 고요해 지면, 모든 것들이 아름답게 보이기 시작한다. 있는 그대로 참 아름답다. 발렌타인데이 카드를 사려고 카드 가게를 기웃거리는 할머니의 주름진 손이 아름답고, 시들어 죽어가는 나뭇잎들이 아름답고, 꼬질꼬질한 동네 꼬맹이가 아름답다. 살면서 우리가 만난 사랑의 응시는 얼마나 될까? 나는 어릴 때 몸이 자주 아팠다. 몸이 아파 괴로울 때마다 무릎을 꿇으신 채 내 머리맡을 지키며 간호해 주시며 내게 보내시던 아버지의 시선도 떠오르고, 길에서 우연히 만난 친구의 정겨운 시선도 마음에 떠오른다. 성서에서도 하느님이 인간을 만드시고 ‘보시니 참 좋더라’ 하셨다. 사랑의 응시는 아마도 거기로부터 시작되는 듯하다.

그렇다면, 이 응시는 무엇에 대한 응시인가? 앞서, 관상은 실재에 관한 아주 길고 사랑스런 응시라고 했다. 어떤 착각이나 환상이 아니라 우리 앞에 펼쳐지는, 우리 안에 놓인 실재를 그렇게 응시하라는 것이다. 이 말은 분명히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아름답고 긴 시선으로 응시하라는 것인데, 그렇다고 또 있는 그대로의 현실만을 보라는 것은 아니다. 그 너머로 존재하는 의미, 희망, 그리고 비전을 함께 바라보는 것이다. 즉 실재를 본다는 것은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바라봄’을 말한다.


▲ 영화 <천국의 빛깔>가끔, 관상은 어떤 감정의 동요도 없는 그런 절대 침묵을 연상하는 것 같은데, 사실 관상을 산다는 것은 그 반대이다. 사랑으로 보는 데 눈물이 없을 수 있을까? 가난한 자의 아픔을 보는데 슬픔이 없을 수 있을까? 그러면서도 무능한 나를 보는데 좌절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렇게 관상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관상이 결국 기쁨인 것은 내 안에 주어진 실재에는 나의 한계 또한 고스란히 담기는데, 그런 나의 찌질한 실재에 보내는 하느님의 그 길고 느린, 그리고 자비로운 응시를 만나기 때문이다.



내가 아는 한 가장 아름답게 관상하는 영혼을 그린 영화는 이란의 마지드 마지디 감독이 만든 <천국의 빛깔 (The Color of Paradise)>인 것 같다. 아름다운 이란 북부의 자연이 특히 돋보였던 이 영화의 주인공 소년 무하마드는 맹인이다. 그러나 그는 많은 것을 보고 느끼며 또 행동한다. 어느 날, 이 소년은 작은 새가 둥지에서 떨어진 것을 ‘느낀다’. 그는 고양이를 따라가 떨어진 새를 주워 나무 위 둥지에 다시 올려 놓아준다. 그는 또 바람이 불면 고향의 들판이 얼마나 아름답게 흔들리는지, 하늘이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이 되는지, 자신이 사랑하는 여동생들의 얼굴이 어떻게 반짝이든지 너무나 잘 ‘바라본다’.

캄보디아의 아이들을 느리고 깊은 시선으로 '관상'했던 조카

지난여름 조카와 캄보디아 여행을 다녀왔다. 나는 앙코르와트 사원이 중요 목표였고 내 조카는 젊은이답게 같이 가자는 나의 말에 순순히 콜을 했었다. 압도적이고 아름다운 사원도 사원이지만 거기서 본 캄보디아 어린이들의 가난이 무척 마음이 아팠었다. 그러나 어린이들의 가난을 그냥 본 나와 달리, 조카는 그들을 느리고 사랑스런 시선으로 바라본 듯 하다. 여행 후 조카는 “어린이들이 너무 사랑스러웠고 자꾸 떠오른다”며 모든 것을 정리하고 이년간 르완다의 양호 선생님으로 떠났다. “아이들 너무 예쁘지?” 하고 물으니, “그럼요” 하고 답한다. 그리고 한 마디 덧붙인다. “이모, 여기는 지난 내전으로 한 마을이 다 엄마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엄마란 말 하면 안된대...” 같은 시간과 공간에 있었어도 체험이 마음을 울리는 깊이는 다른 듯 하다. 내 사랑스런 조카는 캄보디아에서 ‘관상’을 했고, 그 관상의 연장으로 아프리카 르완다에 사는 꼬마 친구들을 또 천천히 그리고 사랑스런 응시로 만나고 있는 것이리라.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뵙게 되리니!








박정은 수녀 (소피아, 홀리 네임즈 수녀회)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연구하며, 이방인이자 경계인으로 살아가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신학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고, 지구화된 세상에서의 '이주' 문제, 동양 종교의 몸 수행에 관한 책을 써 왔다. 현재는 캘리포니아 소재 홀리 네임즈 대학의 영성학 교수이며, '여성의 원'이라는 피정도 지도한다.

요즘 관상기도·향심기도가 늘어나는데… 내려놓음의 기도 vs 신비주의적 색채-국민일보

[생각해봅시다] 요즘 관상기도·향심기도가 늘어나는데… 
-국민일보



[생각해봅시다] 요즘 관상기도·향심기도가 늘어나는데… 내려놓음의 기도 vs 신비주의적 색채
입력 : 2017-07-31

영성훈련과 더불어 관상·향심기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한 성도가 성경과 촛불을 두고 묵상을 준비하는 모습. 국민일보DB

관상기도나 향심기도와 같은 침묵기도가 
일부 개신교인들 사이에서 영성을 깨우는 기도 방법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이름은 달라도 내용적으로 유사한 이 기도들은 기도자의 필요만을 구하는 기도가 아니라 ‘내려놓음’을 지향하는 기도다. 
초기 기독교에서부터 이어져 온 관상기도는 
개신교인들에게도 친숙한 헨리 나우웬이나 토머스 머튼과 같은 가톨릭 신학자들, 
관상기도를 연구했던 개신교 신학자 본회퍼 등에 의해 현대에 이르러 재해석돼 왔다. 
하지만 개신교 일부에서는 “신비주의와 맞닿아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들 기도법의 특징은 ‘비우고 버리며 하나님과 동행한다’는 데 있다. 
‘복을 받게 해 주세요’ ‘사업에 성공하게 해 주세요’ ‘건강을 주세요’와 같은 이른바 ‘주세요 기도’와는 성격이 다르다. 

최근 향심기도 가이드북인 ‘더 깊은 사귐’을 펴낸 유해룡 장로회신학대(영성신학) 교수는 “관상기도나 향심기도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침묵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며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머무르고 하나님께 집중하는 훈련”이라면서 
“하나님과의 영적인 교감을 위해 필요한 기도로 
사실 우리가 하는 모든 기도를 관상적 기도라 볼 수 있다”고 규정했다.

관상기도를 가톨릭교회의 전통으로 규정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라는 의견도 있다. 
‘관상기도 전도사’로 자처하는 이민재(서울 은명교회) 목사는 
“관상기도는 가톨릭교회의 기도이고 
통성기도는 개신교회의 기도라는 식의 구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면서

“관상기도는 초기 기독교의 소중한 유산으로 
하나님과 동행하는 기도라는 본래 취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경에도 관상기도를 설명하는 여러 구절들이 나온다. 이 목사는 마태복음 6장 6절의
 “기도할 때 골방에 들어가 은밀한 중에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는 ‘침묵’을, 
마태복음 5장 3절의 ‘심령이 가난한 자’는 비움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관상기도는 신비주의적이고 가톨릭에 뿌리를 두고 있다며 선을 긋는 교단들도 있다. 호흡법을 강조하거나 예수 그리스도를 주문처럼 외게 하는 일부 관상기도법이 논란을 확대시켰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총회는 2011년 9월 열린 제96회 정기총회에서 
관상기도가 신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교단 산하 교회 교인들의 참여를 금하는 ‘참여금지’ 결의를 했다. 예장합신 총회도 같은 해 열린 총회에서 참여금지를 결정했다.

예장합동 총회 신학부는 당시 연구보고서에서 
“관상기도는 신비주의와 종교다원주의, 이교적 영향이 혼합돼 있어 
복음의 순수성을 해친다”면서 “성경과 개혁주의 신학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연구에 참여했던 총신대 교수 김남준(안양 열린교회) 목사는 
“복음주의 안에서도 학자들이나 목회자들마다 관상기도에 대해 다른 판단을 하고 있다”면서 
“분명한 것은 관상기도가 역사적으로나 신학적으로 기독교 신비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김 목사는 “역사적으로 볼 때 기독교 신비주의가 심화되면 이교적 신비주의와 유사점이 많아지고 종교다원주의에도 쉽게 노출된다”며 무비판적 수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91514

관상기도 - 나무위키

관상기도 - 나무위키

관상기도

최근 수정 시각: 

관상(觀想)기도는 마음의 상[1]을 보는 기도를 뜻한다.

1. 개요[편집]

정신을 집중하고 마음의 상을 보며 침묵으로 기도를 하는 것
기존의 신에게 의지하고 소리내어 부탁하는 일반적인 기도와는 다르게 나를 다시 돌아보고 신에게 감사와 반성 그 이외에 지향기도도 바칠 수 있는 기도이다.

가끔 떼제와 관상기도는 같은것으로 잘못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 둘은 엄연히 다르다.

2010년 들어 한국 개신교가 타락하며 교회가 외적 성장 보다는 내적 성장에 중심을 두자며 여러 목사들에 의해서 국내에 잘 알려졌다.

2. 관상기도와 일반 기도와의 차이점[편집]

1) 구송(口誦)기도(vocal prayer). 간청하는 기도, 우리들이 소리를 내거나 마음속으로 소망을 주님께 아뢰든지 간에 말로 주님께 간청하는 기도를 말한다.

2) 명상기도(meditation). 기독교 신자들이 말씀을 읽고 묵상하는 큐티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경건생활로 행하는 큐티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만약 큐티가 끝나고 나서 침묵 가운데 하나님 속에 편히 쉬는 시간을 보내는 관상기도를 한다면 큐티의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3) 관상 기도(contemplative prayer). 이 말은 ‘하나님 안에서 쉼’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주님과의 일치(communion, 친교, 합일)를 지향한다. 관상 기도를 크게 둘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째는 능동적(active) 관상기도는 신자인 우리가 시간을 들여서 의지력으로 주님께 나아와 기도를 하는 것을 말한다. 관상기도를 한다고 할 때 이 단계의 관상기도를 수련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의지적으로 주님께 지향하며 침묵 가운데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2]

3. 이교도 종교예식?[편집]

한국의 개신교의 대부분이 생각하는 기도는 방언기도, 통성기도 등 입으로 소리내어 기도하는 기도가 한국의 개신교의 일반적인 기도방식이다.
그러나 소리내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마음의 상을 보는 기도는 불교나 여타 다른 종교의 신비주의적인 해탈과 비슷하다는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관상기도는 1세기 초 부터 기독교신자들은 렉시오 디비나(거룩한 독서, 성독)를 하며 신앙생활을 해왔다. 당시에는 지금같이 성경이 인쇄되지 않아서 흔치 않았기에, 회당에 비치된 성경말씀을 듣기만 했다.
그래서 이들은 첫번째로 말씀을 듣고(Lectio) 두번째는 말씀을 묵상하고(meditatio) 세번째는 이 말씀에서 우러나오는 기도를 하고(oratio) 네번째는 말씀과 주님의 현존 안에서 쉼(contemplatio)의 4단계를 거치는 영성생활을 거쳤다고 한다. [3]
이 외에도 사막 교부들의 가르침 등이 알려지면서 이 논란은 빠르게 사그라드렀다.

4. 하는 법[편집]

기도에 정해진 방식이나 전례가 있는것은 아니나 대중적인 관상기도 방식은 이러하다.
1. 편안하고 조용한 자리에 앉아 편히 숨을 쉬며 안정을 취한다.
2. 내적으로 마음의 촛점을 맞춘다.
3. 마음과 정신이 연결되었을 때 혹은 그렇게 느낄때 정교회의 예수기도를 외운다.[4]
4. 떼제음악 등을 부르며 마친다.

이외에 성경을 읽거나 묵상을 하거나 성경 구절을 외우던 회개기도를 하던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건 우리가 사도신경이나 콘스탄티노플 니케아 신경을 외울때 '성령을 믿나니' 하는 그 성령과의 친교가 제일 중요한 것이다.
[1] 거울[2] 출처: 뉴스앤조이 관상기도란 무엇인가?[3] 관상기도를 대중화시킨 토마스 키딩의 책 中[4]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외아드님이시어 우리('우리' 대신에 기도가 필요한 이의 이름을 넣을 수 있다)를 불쌍히 여기소서====관상기도란 무엇인가?기자명 권명수  승인 2007.05.16 
▲ 관상기도를 어느 정도 해본 신자들은 관상기도를 매우 강력한 기도라고 말한다. ⓒ뉴스앤조이 자료사진요즘 <뉴스앤조이>에서 뜨겁게 진행 중인 관상기도에 대한 논쟁은 긍정적 현상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런 과정을 거치며 그간의 오해를 정리하고 이해도 높아지리라 여기는 까닭이다. 필자의 짧은 글이 이러한 논쟁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심스럽지만 평소 생각하고 가르치던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부족한 점은 다음 기회를 빌면서 말이다.
기도란?
관상기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도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기도란 무엇이냐?’는 질문에 가장 자주 듣게 되는 대답은 ‘하나님께 인간의 간구와 소원을 아뢰는 행위’다. 이 말에는 하나님께 인간의 실존적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를 간구하는 기도의 한 측면을 잘 드러낸다. 또 다른 기도 이해는 ‘하나님과의 대화’다. 대화로서의 기도 이해는 인간과 하나님께서 서로 말을 주고받는 쌍방적인 대화를 강조한다. 신자가 하나님께 간청하는 상향식의 대화와 이런 인간에게 찾아오셔서 응답하시는 하향식 대화의 영역이 있다. 하향식 기도에서는 인간의 간구기도에 대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응답을 경청과 순종하는 면이 강조된다. 첫 번째 기도 이해에서 부족한 면을 대화적 기도 이해에서 보충해준다. 기도가 하나님과의 ‘대화’라는 말에는 신자가 주님께 아뢰는 길과 주님께서 인간에게 사랑으로 응답하시는 길인 양자 간의 쌍방통행적 특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기도를 열심히 많이 하기로 소문이 나있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부족한 면은 기도의 두 번째 측면인 주님께서 인간에게 찾아오셔서 인간의 기도에 응답하시는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청종의 부분이다. 관상기도는 이와 같은 경청과 순종의 부분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필자는 믿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기독교인이 이러한 기도에 큰 관심을 보이는 것은 이제 한국교회의 상황이 경청의 기도의 경시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관상이란?
먼저 관상에 대한 논의를 해보자. 관상(觀想)이란 한자말은 ‘마음의 상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곧 조용히 눈을 감고 호흡을 가라앉히며 있노라면 마음속에 여러 가지 생각·영상·정서들이 흘러들어오는 것들을 글자 그대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관상은 영어로 ‘contemplation’이다. 영어 앞 단어인 ‘con’은 ‘함께’, ‘강하게’라는 뜻이고, 뒤의 ‘temple’은 ‘관찰하기로 표시된 특별한 장소’, ‘성전’ 등의 뜻이다. 이 단어의 뜻은 ‘주의를 기울여 집중적으로 바라보고 관조하기 위한 구별된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한다. 그리하여 관상을 통해 그 대상과 일치가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이러한 관상의 상태는 교회 역사상 여러 영성 전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크게는 긍정(kataphatic) 전통과 부정(apopathic) 전통을 통해서 관상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긍정 전통에서는 언어와 이미지와 논리를 통해서 주님과의 일치된 상태를 지향한다. 이 전통은 기독교 역사에서 주류를 이룬다. 이에 비해 부정 전통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나 이미지들을 하나님과 일치를 지향하기보다는, 이런 것 없이 가슴으로 수동적인 상태에서 직관적으로 주님과의 일치를 지향한다. 이 전통은 역사적으로 제도권 교회에서 그리 유력한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깊은 신앙심을 갖고 주님과의 일치와 헌신을 지향하는 신자, 수도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영성 생활의 방편이 되었다. 여기에는 헤지키즘, 관상기도 등이 있다.
관상과 관상기도 서로 구별해야
▲ 관상(觀想)이란 한자말은 ‘마음의 상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뉴스앤조이 자료사진관상과 관상기도를 구별해서 이해해야 한다. 관상 기도를 통해 관상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모두 자신들의 영성훈련 방법들이 주님과의 일치를 지향하는 관상기도를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곧, 그들의 영성수련을 통해 관상 상태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상기도를 이야기하며 영성수련의 방법을 소개하는 수련회나 책을 읽을 때, 그들의 뿌리와 지향점, 어느 방편을 통해 관상을 지향하는지를 분별하고 따라가야 함을 밝혀둔다. 어번 홈즈는 <그리스도교 영성 역사>란 책에서 기도의 현상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사색적(spepculative) 기도, 감정적(affective) 기도, 상상적(imaginative, kataphatic) 기도, 비우는(emptying, apophatic) 기도다. 사색적 기도는 성경을 묵상·공부·독서를 통해 주님의 뜻을 알아가는 것이다. 감정적 기도는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적 기도는 예수회의 영성 수련방법이나, 동방 교회의 성화를 보며 기도하는 방법 등이 이에 속한다. 곧, 십자가 위의 달려서 피를 흘리시는 주님을 상상하면서 우리의 신앙심을 키우고 기도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비우는 기도는 주님의 현존에 머무르며 가슴으로 기도하며 직관으로 주님의 뜻을 찾고 기도하는 방식이다.
독자들이 예상했다시피, 필자가 말하는 관상기도는 비우는 기도인 부정 전통의 기도를 말하고 있다. 외관상으로는 동양의 명상 전통과 별로 구별이 되지 않아서 오해를 많이 받고 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 전통에 익숙한 상상적, 사색적 전통의 기도를 해온 신자들이 비우는 스타일의 기도에 대해 여러 가지 부정적 태도와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이 기도 전통은 1세기부터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관상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관상기도란 용어에 대해 다뤄보기로 한다. 한국영성치유연구소 이만홍 소장은 관상기도를 묵상(黙想)기도라고 부른다. 관상이란 용어가 ‘동양 종교적’ 어감이 있기에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다. 또한 관상기도를 침묵기도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관상기도는 입으로 소리 내어 간구하거나 마음속으로도 주님께 간구하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고, 침묵 가운데 머무르며 주님께 가슴의 마음 문을 여는 행위를 지칭하기 때문이다. 또한 관상기도를 ‘명상기도’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이는 뭔가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눈을 감고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관상기도와 일반 기도와의 차이점
필자는 위에서 다룬 내용을 아빌라의 데레사가 경험적으로 고백한 기도의 7궁방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한다.
1) 구송(口誦)기도(vocal prayer). 간청하는 기도, 우리들이 소리를 내거나 마음속으로 소망을 주님께 아뢰든지 간에 말로 주님께 간청하는 기도를 말한다.
2) 명상기도(meditation). 기독교 신자들이 말씀을 읽고 묵상하는 큐티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경건생활로 행하는 큐티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만약 큐티가 끝나고 나서 침묵 가운데 하나님 속에 편히 쉬는 시간을 보내는 관상기도를 한다면 큐티의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3) 관상 기도(contemplative prayer). 이 말은 ‘하나님 안에서 쉼’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주님과의 일치(communion, 친교, 합일)를 지향한다. 관상 기도를 크게 둘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째는 능동적(active) 관상기도는 신자인 우리가 시간을 들여서 의지력으로 주님께 나아와 기도를 하는 것을 말한다. 관상기도를 한다고 할 때 이 단계의 관상기도를 수련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의지적으로 주님께 지향하며 침묵 가운데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도의 단계와 종류를 구분해 다루는 것은 개념적으로 구분해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제의 기도생활에는 위 세 기도가 뒤섞이며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신은 관상기도를 한다고 침묵 가운데 있으면서도, 외부적으로는 소리 내어 말을 하지 않지만 마음속으로는 간구기도를 하고 있을 때가 있다. 또는 특정 대상에 대해 사고하며 성찰하는 명상기도를 할 수 있다.
관상기도는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이기에 경험 있는 적절한 지도자에게 안내와 훈련을 받아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상기도와 관련된 몇 권의 서적을 읽고 기도를 실천할 때에 어려움이 있다.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 초기에는 열심히 얼마간은 기도할 수 있겠지만, 비슷한 현상이 반복되게 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오래 기도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관상기도의 성경적 근거
관상기도를 해야 한다는 성경적 근거는 무수히 많다. 지면 관계상 구약과 신약의 대표적 본문을 몇 개 언급하도록 한다.
영성의 분야에서 미국과 한국에서 많은 독자를 지니고 있는 유진 피터슨이 <관상적 목회자>란 책에서 목회자는 밖으로 분주하기보다는 주님 안에서 잠잠하여야 한다고 이사야서 30장 15절 “주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가 돌이켜 조용히 있어야 구언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거늘 너희가 원하지 아니하고”란 말씀의 예를 들어 책망했다.
시편은 관상기도의 성경적 근거 구절들이 많이 있다.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시 46:10) 여기서 ‘가만히 있어’의 영어 표현은 ‘be silent’로서, 침묵 가운데 있어서 내가 하나님 됨을 알라는 중요한 말씀이다. 또한 엘리아 선지가가 하나님의 호렙산의 동굴에서 ‘세미한’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열 19:1~18)고 성경은 기록했다.
신약에서는 예수님께서는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마 5:3)라고 산상수훈의 첫 구절을 말씀하셨다. 심령이 가난하다는 것은 마음을 비운 자가 가난한 자이고, 빈 마음에 성령께서 임하신다는 것이다. 요한복음에는 관상사상을 의미하는 구절이 많다. 요한복음 14장 10절, 14장 20절, 17장 21절 등에 반복적으로 나오는 “아버지가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라는 말씀은 관상기도를 통해 기도자가 마음을 비워 그곳에 주님을 모시고 그분이 내주하여 나의 주인이 되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로마서 8장 26~28절은 관상기도하는 신자의 내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우리는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도 알지 못하지만, 성령께서는 친히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여 주십니다”(롬 8:26)는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데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주신다는 구절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런 성령의 활동을 도와주는 일로서 조용히 침묵 가운데 마음을 비워드리는 일인 것이다. 이것이 곧 관상기도다.  
마지막으로 관상기도수련회 때마다 인용하는 구절인 요한계시록 3장 20절. “내가 문을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말을 듣고 문을 열면 나는 그로 먹고, 그는 나로 더불어 먹으리라.”(개역) 여기서 주님께서 문을 두드리실 때 ‘문을 연다’는 것은 우리가 침묵 가운데 머무르며 다른 생각을 멀리하고 주님께로 우리의 마음의 문을 열어놓고 주님을 초대하면 내 영혼 안에 들어오시겠다는 말씀으로 해석한다.
렉시오 디비나와 관상기도
1세기 초부터 기독교신자들은 렉시오 디비나(거룩한 독서, 성독)를 하며 신앙생활을 해왔다. 당시에는 지금같이 성경이 인쇄되지 않아서 흔치 않았기에, 회당에 비치된 성경말씀을 듣기만 했다. 그래서 이들은 1) 말씀을 듣고(Lectio) 2) 이 말씀을 명상하고(meditatio) 3) 이 말씀에서 우러나오는 기도를 하고(oratio) 4) 말씀과 주님의 현존 안에서 쉼(contemplatio)의 4단계를 거치는 영성생활을 거쳤다고 관상기도를 대중화시킨 토마스 키딩은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신자들이 많이 하는 큐티를 하고, 나중에 침묵 가운데 머물러 말씀의 능력과 주님의 현존 속에 머물러 말씀의 능력이 머리에서 가슴 판에 새겨지는 시간을 보낸다면 참으로 생명력 있고 생수가 풍부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의 관상의 단계를 실천하기 위해 관상기도 훈련을 하고, 이를 위해 관상기도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관상기도는 매우 강력한 기도다. 이 기도를 어느 정도 해본 신자들은 한결같이 말하고 있다. 침묵 기도의 힘은 크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기도 방법들을 경시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중보기도, 통성기도를 폐지할 수도 없고, 폐지해서도 안 된다. 인간은 언어를 매개로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언어적 기도의 힘을 밑에서부터 받쳐줄 침묵 속에서 우러나오는, 존재의 근원에 접촉으로 나오는 에너지가 받쳐주는 기도는 매우 힘이 있다. 필자가 바라기는 간구하는 기도를 20분 하고서, 주님의 응답을 기다리는 경청의 기도로서 관상기도를 20분 정도 하여 균형을 이루는 기도가 되길 바란다. 이제 많은 분들이 이 기도에 관심이 있는 것을 보면서 한국에서도 신자들의 기도와 영적 성숙이 트기 시작했음을 보는 것 같아 기쁘다.
권명수/ 한신대학교 교수===관상기도란 무엇인가?답변
먼저 "관상 기도"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상 기도는 단지 "기도하는 동안 묵상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마음으로 기도하도록 지시합니다 (고린도전서 14:15). 따라서 분명히 기도는 묵상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마음으로 기도하는 것이 "관상 기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상 기도는 많은 비성경적인 사상과 관행을 받아들인 이머징 교회 운동의 부상과 함께 점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실행하게 되었고,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관상 기도는 그렇게 퍼져 나간 실행방법입니다.
관상 기도는 실행자가 어떤 단어에 집중한 후 기도를 하는 동안 계속 반복하여 그 단어를 명상하는 "구심 기도"로 시작됩니다. 그 기도의 목적은 하나님의 음성을 더 쉽게 들을 수 있도록 외부의 관심에 대해 마음을 비우기 위한 것입니다. 구심 기도 후에, 실행자는 조용히 앉아서 하나님의 직접적인 음성을 들으며 그분의 임재를 느껴야 합니다.
이것은 해롭지 않은 방법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이러한 기도 유형은 성경적인 지지를 전혀 받지 못합니다. 사실, 그것은 성경에서 정의된 기도 방법과 정반대입니다.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다만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빌립보서 4:6). “그 날에는 너희가 아무 것도 내게 묻지 아니하리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아버지께 구하는 것을 내 이름으로 주시리라. 지금까지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아무 것도 구하지 아니하였으나 구하라 그리하면 받으리니 너희 기쁨이 충만하리라”(요한복음 16:23-24). 이 구절들과 여러 다른 구절들은 기도가 비밀스럽고 신비한 명상이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의사소통임을 명확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관상기도는 그 의도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신비 체험에 초점을 둡니다. 그러나 신비주의는 순전히 주관적이며 진리나 사실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신앙과 삶을 진리의 기초에 두도록 하기 위해 주어졌습니다 (디모데후서 3:16-17).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 아는 것은 사실에 근거합니다. 신자가 성경의 기록을 넘어서는 체험적인 지식을 신뢰하는 것은 신앙의 표준인 성경에서 벗어나는 길입니다.
관상기도는 동양 종교와 뉴에이지 사교에서 사용되는 명상 훈련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친히 구원은 오직 자신을 통해서만 온다고 말씀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요한복음 14:6) 관상 기도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자들은 여러 길을 통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주창하며서, 모든 종교의 헌신자들 가운데 열린 영성을 받아들입니다. 현대 기도 운동 가운데 실행되고 있는 관상 기도는 성경적인 기독교에 반대하는 입장이기에 우리는 그 기도를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English

What is contemplative prayer?

contemplative prayeraudio
ANSWER


It is important to first define “contemplative prayer.” Contemplative prayer is not just “contemplating while you pray.” The Bible instructs us to pray with our minds (1 Corinthians 14:15), so, clearly, prayer does involve contemplation. However, praying with your mind is not what “contemplative prayer” has come to mean. Contemplative prayer has slowly increased in practice and popularity along with the rise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a movement which embraces many unscriptural ideas and practices. Contemplative prayer is one such practice.

Contemplative prayer begins with “centering prayer,” a meditative practice where the practitioner focuses on a word and repeats that word over and over for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The purpose is to clear one’s mind of outside concerns so that God’s voice may be more easily heard. After the centering prayer, the practitioner is to sit still, listen for direct guidance from God, and feel His presence.

Although this might sound like an innocent exercise, this type of prayer has no scriptural support whatsoever. In fact, it is just the opposite of how prayer is defined in the Bible.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but in everything, by prayer and petition, with thanksgiving, present your requests to God.” (Philippians 4:6). “In that day you will no longer ask me anything. I tell you the truth, my Father will give you whatever you ask in my name. Until now you have not asked for anything in my name. Ask and you will receive, and your joy will be complete” (John 16:23-24). These verses and others clearly portray prayer as being comprehendible communication with God, not an esoteric, mystical meditation.

Contemplative prayer, by design, focuses on having a mystical experience with God. Mysticism, however, is purely subjective, and does not rely upon truth or fact. Yet the Word of God has been given to us for the very purpose of basing our faith, and our lives, on Truth (2 Timothy 3:16-17). What we know about God is based on fact; trusting in experiential knowledge over the biblical record takes a person outside of the standard that is the Bible.

Contemplative prayer is no different than the meditative exercises used in Eastern religions and New Age cults. Its most vocal supporters embrace an open spirituality among adherents from all religions, promoting the idea that salvation is gained by many paths, even though Christ Himself stated that salvation comes only through Him (John 14:6). Contemplative prayer, as practiced in the modern prayer movement, is in opposition to biblical Christianity and should definitely be avoided.



===

Grace in Christianity - Wikipedia 은총 恩寵 (キリスト教)

Grace in Christianity - Wikipedia

Grace in Christianit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In Western Christian theologygrace is the help given to us by God because God desires us to have it, not necessarily because of anything we have done to earn it.[1] It is understood by Christians to be a spontaneous gift from God to people – "generous, free and totally unexpected and undeserved"[2] – that takes the form of divine favor, love, clemency, and a share in the divine life of God.[3]

It is an attribute of God that is most manifest in the salvation of sinners. Christian orthodoxy holds that the initiative in the relationship of grace between God and an individual is always on the side of God.

The question of the means of grace has been called "the watershed that divides Catholicism from ProtestantismCalvinism from Arminianism, modern [theological] liberalism from [theological] conservatism."[4] The Catholic Church holds that it is because of the action of Christ and the Holy Spirit in transforming into the divine life what is subjected to God's power that "the sacraments confer the grace they signify": "the power of Christ and his Spirit acts in and through [each sacrament], independently of the personal holiness of the minister. Nevertheless, the fruits of the sacraments also depend on the disposition of the one who receives them."[5][6] The Sacred Mysteries (sacraments) are seen as a means of partaking of divine grace because God works through his Church. Catholics, Eastern Orthodox and Protestants agree that faith is a gift from God, as in Ephesians 2:8: "For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and that not of yourselves; it is the gift of God." Lutherans hold that the means of grace are "the gospel in Word and sacraments."[7][8] That the sacraments are means of grace is also the teaching of John Wesley,[9] who described the Eucharist as "the grand channel whereby the grace of his Spirit was conveyed to the souls of all the children of God".[10] Calvinists emphasize "the utter helplessness of people apart from grace." But God reaches out with "first grace" or "prevenient grace". The Calvinist doctrine known as irresistible grace states that, since all persons are by nature spiritually dead, no one desires to accept this grace until God spiritually enlivens them by means of regeneration. God regenerates only individuals whom he has predestined to salvation. Arminians understand the grace of God as cooperating with one's free will in order to bring an individual to salvation. According to Evangelical theologian Charles C. Ryrie, modern liberal theology "gives an exaggerated place to the abilities of people to decide their own fate and to effect their own salvation entirely apart from God's grace."[4]

Old and New Testaments of the Christian Bible[edit]

"Grace" is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Greek χάρις (charis) meaning "that which brings delight, joy, happiness, or good fortune."[11]

Old Testament[edit]

The Septuagint translates as χάρις the Hebrew word חֵ֖ן (ẖen) as found in Genesis 6:8 to describe why God saved Noah from the flood.[11] The Old Testament use of the word includes the concept that those showing favor do gracious deeds, or acts of grace, such as being kind to the poor and showing generosity.[11] Descriptions of God's graciousness abound in the Torah/Pentateuch, for example in Deuteronomy 7:8Numbers 6:24–27. In the Psalms examples of God's grace include teaching the Law (Psalm 119:29) and answering prayers (Psalm 27:7).[11] Another example of God's grace appears in Psalm 85, a prayer for restoration, forgiveness, and the grace and mercy of God to bring about new life following the Exile.

Roman Catholicism[edit]

In the definition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grace is favour, the free and undeserved help that God gives us to respond to his call to become children of God, adoptive son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nd of eternal life".[12] Grace is a participation in the life of God, which is poured unearned into human beings, whom it heals of sin and sanctifies.[12] The means by which God grants grace are many.[13] They include the entirety of revealed truth, the sacraments and the hierarchical ministry.[13][14] Among the principal means of grace are the sacraments (especially the Eucharist), prayers and good works.[15][16] The sacramentals also are means of grace.[17] The sacraments themselves, not the persons who administer or those who receive them, are "the means of grace",[18] although lack of the required dispositions on the part of the recipient will block the effectiveness of the sacrament.[19]

The Catholic Church holds that "by grace alone, in faith in Christ's saving work and not because of any merit on our part, we are accepted by God and receive the Holy Spirit, who renews our hearts while equipping and calling us to good works."[20][21] Both the Council of Orange (529) and the Council of Trent affirmed that we are "justified gratuitously, because none of the things that precede justification, whether faith or works, merit the grace of justification".[22]

The Council of Trent declared that the free will of man, moved and excited by God, can by its consent co-operate with God, Who excites and invites its action; and that it can thereby dispose and prepare itself to obtain the grace of justification. The will can resist grace if it chooses. It is not like a lifeless thing, which remains purely passive. Weakened and diminished by Adam's fall, free will is yet not destroyed in the race (Sess. VI, cap. i and v).[23]

The joint declaration between Catholics and Lutherans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ffirms:

We confess together that all persons depend completely on the saving grace of God for their salvation. Justification takes place solely by God's grace. When Catholics say that persons "cooperate" in preparing for and accepting justification by consenting to God's justifying action, they see such personal consent as itself an effect of grace, not as an action arising from innate human abilities.[24]

Sanctifying and actual grace[edit]

According to a commonly accepted categorization, made by St. Thomas Aquinas in his Summa Theologiae, grace can be given either to make the person receiving it pleasing to God (gratia gratum faciens) – so that the person is sanctified and justified – or else to help the receiver lead someone else to God (gratia gratis data).[25][26] The former type of grace, gratia gratum faciens, in turn, can be described as sanctifying (or habitual) grace – when it refers to the divine life which, according to the Church, infuses a person's soul once he is justified; or else as actual grace – when it refers to those punctual (not habitual) helps that are directed to the production of sanctifying grace where it does not already exist, or its maintenance and increase it where it is already present. According to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anctifying grace is an habitual gift, a stable and supernatural disposition that perfects the soul itself to enable it to live with God, to act by his love. Habitual grace, the permanent disposition to live and act in keeping with God's call, is distinguished from actual graces which refer to God's interventions, whether at the beginning of conversion or in the course of the work of sanctification.[27]

The infusion of sanctifying grace, says the Church, transforms a sinner into a holy child of God, and in this way a person participates in the Divine Sonship of Jesus Christ and receives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28] Sanctifying grace remains permanently in the soul as long as one does not reject one's adopted sonship by committing a mortal sin, which severs one's friendship with God. Less serious sins, venial sin, although they "allow charity to subsist", they offend and wound it."[29] However, God is infinitely merciful, and sanctifying grace can always be restored to the penitent heart, normatively in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or Sacrament of Penance).[30]

Augustine versus Pelagius[edit]

In the early fifth century, Pelagius, an ascetic who is said to have come from Britain,[31] was concerned about the moral laxity of society that he witnessed in Rome. He blamed this laxity on the theology of divine grace preached by Augustine of Hippo, among others.[32] He strongly affirmed that humans had free will and were able to choose good as well as evil. Augustine, drawing on the exaggerated statements of the followers of Pelagius rather than on Pelagius' own writings,[33] began a debate that was to have long-reaching effects on subsequent developments of the doctrine in Western Christianity. Pelagianism was repudiated by the Council of Carthage in 418, largely at Augustine's insistence. But what Pelagius taught was likely what has come to be called semi-pelagianism.[34]

In semi-pelagian thought, both God and the human person always participate in the salvation process. Humans make free will choices, which are aided by God through creation, natural grace, "supernatural" grace, God's restrictions on demonic influences. God continually brings the human person to real choices, which God also aids, in the process of spiritual growth and salvation. Semi-pelagianism is similar to synergism, which is the traditional patristic doctrine. John Cassian, in continuity with patristic doctrine, taught that though grace is required for persons to save themselves at the beginning, there is no such thing as total depravity, but there remains a moral or noetic ability within humans that is unaffected by original sin, and that persons must work together (synergism) with divine grace to be saved.[35] This position is held by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by many Reformed Protestants,[36][37] and in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Society of Jesus.[38][39]

Catholic versus Protestant[edit]

In 1547, the Council of Trent, which sought to address and condemn Protestant objections, aimed to purge the Roman Catholic Church of controversial movements and establish an orthodox Roman Catholic teaching on grace and justification, as distinguished from the Protestant teachings on those concepts. It taught that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elements of the same process.[40] The grace of justification is bestowed through the merit of Christ's passion,[41] without any merits on the part of the person justified, who is enabled to cooperate only through the grace of God[41] The grace of justification may be lost through mortal sin, but can also be restored by the sacrament of Penance.[41] The sacraments are, together with revealed truth, the principal means of the grace, a treasury of grace, that Christ has merited by his life and death and has given to the Church.[14]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groups of Christians have no treasury of grace at their disposal,[42] for,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clared, "many elements of sanctification and of truth are found outside of (the Catholic Church's) visible structure".[43]

Jansenists versus Jesuits[edit]

At about the same time that Calvinists and Arminians were debating the meaning of grace in Protestantism, in Catholicism a similar debate was taking place between the Jansenists and the JesuitsCornelius Jansen's 1640 work Augustinus sought to refocus Catholic theology on the themes of original sin, human depravity, the necessity of divine grace, and predestination, as he found them in the works of St Augustine. The Jansenists, like the Puritans, believed themselves to be members of a gathered church called out of worldly society, and banded together in institutions like the Port-Royal convents seeking to lead lives of greater spiritual intensity. Blaise Pascal attacked what he called moral laxity in the casuistry of the Jesuits. Jansenist theology remained a minority party within Catholicism, an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it was condemned as a heresy for its similarities to Calvinism, though its style remained influential in ascetic circles.

Grace and merit[edit]

Citing the Council of Trent,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tates: "With regard to God, there is no strict right to any merit on the part of man. Between God and us there is an immeasurable inequality, for we have received everything from him, our Creator. The merit of man before God in the Christian life arises from the fact that God has freely chosen to associate man with the work of his grace. The fatherly action of God is first on his own initiative, and then follows man's free acting through his collaboration, so that the merit of good works is to be attributed in the first place to the grace of God, then to the faithful. Man's merit, moreover, itself is due to God, for his good actions proceed in Christ, from the predispositions and assistance given by the Holy Spirit. ...The charity of Christ is the source in us of all our merits before God. Grace, by uniting us to Christ in active love, ensures the supernatural quality of our acts and consequently their merit before God and before men. The saints have always had a lively awareness that their merits were pure grace."[44]

Eastern Christianity[edit]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grace is identified with the uncreated Energies of God. Among Eastern Christians generally, grace is considered to be the partaking of the Divine Nature described in 2 Peter 1:4.[45] The Holy Mysteries (Latin, "sacraments) are seen as a means of partaking of divine grace because God works through his Church, not just because specific legalistic rules are followed; and grace is the working of God himself, not a created substance of any kind that can be treated like a commodity.[46][47]

Orthodox theologians reject Augustine's formulation of original sin and actively oppose the content and implications of John Calvin's conceptions of total depravity and irresistible grace, characteristic of Reformed Protestantism, as well as the Thomistic and scholastic theology which would become official Roman Catholic pedagogy unt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Eastern Christians typically view scholasticism and similarly discursive, systematic theologies as rationalistic corruptions of the theology of the Cappadocian and early Desert Fathers that led the Western Church astray into heresy.[48] Orthodoxy teaches that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for the human will to cooperate with divine grace for the individual to be saved, or healed from the disease of sin. This cooperation is called synergism (see also semipelagianism and monergism), so that humans may become deified in conformity to the divine likeness – a process called theosis – by merging with the uncreated Energies of God (revealed to the senses as the Tabor Light of transfiguration), notably through a method of prayer called hesychasm.[46][49]

Protestant Reformation[edit]

The Protestant Reformation reacted against the concepts of grace and merit as they were understood in late medieval Catholic theology.

Luther and Lutheran theology[edit]

Martin Luther's posting of his ninety-five theses to the church door in Wittenberg in 1517 was a direct consequence of the perfunctory sacramentalism and treasury doctrines of the medieval church. The act was precipitated by the arrival of Johann Tetzel, authorized by the Vatican to sell indulgences.

The effectiveness of these indulgences was predicated on the doctrine of the treasury of grace proclaimed by Pope Clement VI. The theory was that merit earned by acts of piety could augment the believer's store of sanctifying grace. Gifts to the Church were acts of piety. The Church, moreover, had a treasury full of grace above and beyond what was needed to get its faithful into heaven. The Church was willing to part with some of its surplus in exchange for earthly gold. Martin Luther's anger against this practice, which seemed to him to involve the purchase of salvation, began a swing of the pendulum back towards the Pauline vision of grace, as opposed to James's.

Luther taught that men were helpless and without a plea before God's justice, and their acts of piety were utterly inadequate before his infinite holiness. Were God only just, and not merciful, everyone would go to hell, because everyone, even the best of us, deserves to go to hell. Our inability to achieve salvation by our own effort suggests that even our best intention is somehow tainted by our sinful nature. This doctrine is sometimes called total depravity, a term derived from Calvinism and its relatives.

It is by faith alone (sola fide) and by grace alone (sola gratia) that men are saved. Good works are something the believers should undertake out of gratitude towards their Savior; but they are not sufficient for salvation and cannot earn anyone salvation; there is no room for the notion of "merit" in Luther's doctrine of redemption. (There may, however, be degrees of reward for the redeemed in heaven.) Only the unearned, unmerited grace of God can save anyone. No one can have a claim of entitlement to God's grace, and it is only by his generosity that salvation is even possible.

As opposed to the treasury of grace from which believers can make withdrawals, in Lutheranism salvation becomes a declaration of spiritual bankruptcy, in which penitents acknowledge the inadequacy of their own resources and trust only in God to save them. Accepting Augustine's concern for legal justification as the base metaphor for salvation, the believers are not so much made righteous in Lutheranism as they are considered covered by Christ's righteousness. Acknowledging that they have no power to make themselves righteous, the penalty for their sins is discharged because Jesus has already paid for it with his blood. His righteousness is credited to those who believe in and thus belong to him.

Calvin and Reformed theology[edit]

Calvin and Luther believed free will does not co-operate with God's grace which, according to them, cannot be rejected (see monergism). The Lutheran Augsburg Confession says of baptism, "Lutherans teach that it is necessary to salvation and that by baptism the grace of God is offered and that children are to be baptized, who by baptism, being offered to God, are received into God's favor."[50] The French reformer John Calvin expanded and further developed these Augustinian themes in his systematic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1536.

The logical structure of Calvinism is often expressed as an acronym. These five categories do not comprise Calvinism in its entirety. They simply encapsulate its central, definitive doctrines.[51]

The notion that God has foreordained who will be saved is generally called predestination.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peculiar to Calvinism, "double-predestination", (in conjunction with limited atonement) is the most controversial expression of the doctrine. According to Reformed theology, the "good news" of the gospel of Christ is that God has freely granted the gift of salvation to those the Holy Spirit causes to believe; what he freely grants to some (the "elect" individuals), he withholds from others (the "reprobate" individuals).

Calvin sought to provide assurance to the faithful that God would actually save them. His teaching implied what came to be known as the doctrine of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the notion that God would actually save those who were his Elect. The actual status and ultimate state of any man's soul were unknown except to God. When assurance of election was rigorously pressed as an experience to be sought, especially by the Puritans, this led to a legalism as rigid as the one Protestantism sought to reject, as men were eager to demonstrate that they were among the chosen by the conspicuous works-righteousness of their lives.

The relatively radical positions of Reformed theology provoked a strong reaction from both Roman Catholics and Lutherans.

In 1618 James Arminius departed from Calvin's theology and put forth a contrary position that sought to reaffirm man's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in salvation, as opposed to the immutable, hidden, eternal decrees of Calvinism. Arminius taught that God's grace was preveniently offered to all, and that all people have the real option to resist the call of the gospel. It is possible for a believer to backslide and abandon the faith, losing the salvation that believer truly once possessed. These positions came to be known as Arminianism. With respect to the Calvinist Reformed churches, they were firmly rejected by the Synod of Dort (1618–1619), and Arminian pastors were expelled from the Netherlands.

Wesley and Arminian theology[edit]

Later, John Wesley also rejected the Calvinist doctrine of predestination. His most comprehensive pronouncement on the subject was his sermon "Free Grace", [1] preached at Bristol in 1740. In Wesley's position, the believer who repents and accepts Christ is not "making himself righteous" by an act of his own will, such as would alter his dependency on the grace of God for his salvation. Faith and repentance, rather, are the believer's trust in God that he will make them righteous. Wesley appealed to prevenient grac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stating that God makes the initial move in salvation, but human beings are free to respond or reject God's graceful initiative.

John Wesley believed that God provides three kinds of divine grace:

  1. Prevenient grace is innate from birth. "Prevenient" means "comes before." Wesley did not believe that humanity was totally "depraved." He believed everyone is born with a modicum of divine grace – just enough to enable the individual to recognize and accept God's justifying grace.
  2. Justifying grace today is what is referred to as "conversion" or being "born again." God's justifying grace brings "new life in Christ." Wesley believed that people have freedom of choice – to accept or to reject God's justifying grace. Wesley defined his term Justifying grace as "The grace or love of God, whence cometh our salvation, is FREE IN ALL, and FREE FOR ALL."
  3. Sustaining grace. Wesley believed that, after accepting God's grace, a person is to move on in God's sustaining grace toward perfection. Wesley did not believe in the "eternal security of the believer." He believed people can make wrong (sinful) choices that will cause them to "fall from grace" or "backslide." He said it is insufficient to claim God's salvation and then stagnate, return to sinning deliberately, or not produce any evidence (fruit) of following Christ. Wesley taught that Christian believers are to participate in what Wesley called "the means of grace" and to continue to grow in the Christian life, assisted by God's sustaining grace.[52]

Wesley's opposition to Calvinism[53] was more successful than Arminius',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where Arminianism would become the dominant school of soteriology of Evangelical Protestantism, largely because it was spread through popular preaching in a series of Great Awakenings. The churches of New England, with roots in Puritan Calvinism, tended to begin to reject their Calvinist roots, accepting Wesley's expression of Arminianism, or overthrowing their historical doctrine entirely to depart into Socinianism or liberal theology. John Wesley was never a student of the influential Dutch theologian Jacobus Arminius (1560–1609). The latter's work was not a direct influence on Wesley. Yet, he chose the term "Arminianism" to distinguish the kind of Evangelicalism his followers were to espouse from that of their Calvinist theological opponents. Many have considered the most accurate term for Wesleyan theology to be "Evangelical Arminianism." It remains the standard teaching of Methodist churches, and the doctrine of prevenient grace remains one of Methodism's most important doctrines.[53]: p.100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ecclesiology[edit]

Protestantism in all three major schools of theology – Lutheran, Calvinist, and Arminian – emphasize God's initiative in the work of salvation, which is achieved by grace alone through faith alone, in either stream of thinking – although these terms are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systems. The Protestant teachings on grace suggest a question, however: what is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work of grace? Such Reformation churches taught that salvation is not ordinarily found outside of the visible Church; but with the increasing emphasis on an experience of conversion as being necessary to salvation, Sola fide began to be taken as implying that the individual's relationship with Jesus is intensely individual; we stand alone before God. Since Protestants accept that men are saved only and decisively by their belief in Christ's atonement, they often rank preaching that message more than sacraments which apply the promises of the gospel to them as members of the Church. The sermon replaces the Eucharist as the central act of Christian worship. The church's authority comes from the message it preaches, practically to the exclusion of the sacraments. This is often reflected in the arrangement of the pulpit and altar at the front the church; as preaching becomes more important, the pulpit moves from the side to the center, while the altar for the Eucharist shrinks to the size of a small coffee table or is eliminated entirely.

Classical Calvinism teaches that the sacraments are "signs and seals of the covenant of grace" and "effectual means of salvation", and Lutheranism teaches that new life, faith, and union with Christ are granted by the Holy Spirit working through the sacraments. However, for a large portion of the Protestant world, the sacraments largely lost the importance that Luther (and to a slightly lesser degree, Calvin) attributed to them. This happened under the influence of ideas of the Anabaptists which were ideas also seen in the Donatists in North Africa in 311 A.D.,[54] and these ideas then spread to Calvinists through the Congregationalist and Baptist movements, and to Lutherans through Pietism (although much of Lutheranism recoiled against the Pietist movement after the mid-19th century).

Where the sacraments are de-emphasized, they become "ordinances", acts of worship which are required by Scripture, but whose effect is limited to the voluntary effect they have on the worshipper's soul. This belief finds expression in the Baptist and Anabaptist practice of believer's baptism, given not to infants as a mark of membership in a Christian community, but to adult believers after they have achieved the age of reason and have professed their faith. These ordinances are never considered works-righteousness. The ritual as interpreted in light of such ideas does not at all bring about salvation, nor does its performance bring about the forgiveness of sins; the forgiveness which the believer has received by faith is merely pictured, not effectively applied, by baptism; salvation and participation in Christ is memorialized ("this do in remembrance of me" in the Lord's Supper and baptism picturing a Christian's rebirth as death to sin and alive in Christ), not imparted, by the Eucharist. The Church to the Baptists becomes an assembly of true believers in Christ Jesus who gather together for worship and fellowship and remembering what Christ did for them.

Churches of Christ[edit]

The Church of Christ believes that the grace of God that saves is the plan of salvation, rather than salvation itself. This plan includes two parts, 1) the perfect life,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of Jesus the Christ, 2) the gospel/New Testament/the faith.

Concerning Ephesians 2:8 which states: "For by grace are ye saved through faith; and that not of yourselves: it is the gift of God", it is noted that the word "it" is a pronoun and refers back to a noun. As the word "saved" is a verb, "it" does not refer to "saved" but to grace, giving the definition of grace as "the gift of God". Furthermore, as the book of James distinguishes between a dead faith (a faith without works) and a living faith (a faith accompanied by works of obedience), it is believed that God's gift operates through an individuals living faith resulting in that individual being saved.

  1. Grace is contrasted with the Law of Moses (Romans 6:14; Hebrews 10:4; John 1:17) and the church of Christ believes that Paul's contrast between work and faith is as described under the Efforts to resolve the tension section, a contrast between works of the Old Covenant and obedient faith under the New Covenant.
  2. Grace saves (Eph. 2:5); justifies (Rom. 3:24; Titus 3:7).
  3. Grace can not be added to (Gal. 5:4).
  4. Grace teaches (Titus 2:11); can be preached (Eph. 3:8).
  5. Grace calls us (2 Tim. 1:9; Gal. 1:15).
  6. Grace is brought by revelation (1 Pet. 1:13).
  7. Grace and truth came by Jesus Christ (John 1:17)
  8. Grace is sufficient for us (2 Cor. 12:9)

The Galatians were removed from the calling of the gospel (Gal. 1:6,7; 2 Thess. 2:14) unto another gospel (another message) which verse 7 says is not a gospel at all but a perversion.

The church of Christ believes that grace provides the following plan, which, if followed, results in salvation:

  • One must hear the gospel/word (Rom. 10:17).
  • Believe the gospel (Mark 16:15–16).
  • Repent of their past sins (Acts 2:38).
  • Confess their faith in Christ before men (Matt. 10:32; Rom. 10:9–10).
  • Be immersed in water into Christ for the remission of those sins (1 Pet. 3:21; Romans 6:3–18; John 3:3,5; 1 John 5:6,8; Acts 2:38; Mark 16:16; etc.)
  • Live faithfully even to the point of death (Rev. 2:10; Rom. 11:17–22; James 5:19–20).[citation needed]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Grace is favour, the free and undeserved help that God gives us to respond to his call to become children of God, adoptive son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nd of eternal lif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996"www.vatican.va. Retrieved 2019-04-06.
  2. ^ 'Grace', Komonchak et al (eds), Joseph A (1990). The New Dictionary of Theology. Dublin: Gill and oMacmillan. p. 437. {{cite book}}|last= has generic name (help)
  3. ^ Diderot, Denis (1757). Encyclopédie ou Dictionn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arts et des métiers. pp. Vol. 7, pp. 800–803.
  4. Jump up to:a b Ryrie, Charles C. The Grace of God. (Chicago: Moody Press, 1963), pp. 10–11.
  5.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www.vatican.va. Retrieved 2020-08-24.
  6. ^ "Sacraments"www.catholiceducation.org. Retrieved 2020-08-24.
  7. ^ "What We Believe"WELS. Retrieved 2020-08-24.
  8. ^ "The Means of Grace"clclutheran.org. Retrieved 2020-08-24.
  9. ^ What is a sacrament?
  10. ^ John Wesley, "Sermon on the Mount—Discourse Six", III.11, quoted in "This Holy Mystery: A United Methodist Understanding of Holy Communion"
  11. Jump up to:a b c d Roetzel, Calvin J., PhD. The HarperCollins Bible Dictionary, Paul J. Achtemeier, General Editor. HarperCollins, 1996. P.386-387
  12. Jump up to:a b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www.vatican.va. Retrieved 2020-08-24.
  13. Jump up to:a b Catholic Bishops' Conferences of England & Wales, Ireland and Scotland, One Bread One Body Archived 2013-06-12 at the Wayback Machine, p. 7
  14. Jump up to:a b George Joyce, "The Church"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15. ^ Matthew Bunson, 2009 Catholic Almanac (Our Sunday Visitor 2008, ISBN 978-1-59276-441-9), p. 143
  16. ^ Richard Brennan, The Means of Grace (Benziger Brothers 1894), p. 25
  17. ^ Brennan (1894), p. 337
  18. ^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1999, ISBN 978-0-87779-044-0), p. 386
  19. ^ The sacraments "bear fruit in those who receive them with the required dispositions"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131).
  20. ^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www.vatican.va. Retrieved 2020-08-24.
  21. ^ Deal W. Hudson, "Grace Alone"
  22. ^ "Sola Gratia, Solo Christo: The Roman Catholic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Richard A. White"www.philvaz.com. Retrieved 2020-08-24.
  23. ^ (reg), CO Now LLC, Chicago, IL. ~The Council of Trent - Session 6~. Retrieved 1 December 2017.
  24. ^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Retrieved 1 December 2017.
  25. ^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I-Iae, a. 111, q. 1. Retrieved 5 February 2014.
  26. ^ For example, in when a man is ordained a priest, the Church teaches that he receives the power to confect the Eucharist (to celebrate Mass) and to forgive sins in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This power does not sanctify the priest per se, but rather the people who benefit from these Sacraments.
  27.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2000.
  28. ^ Council of Trent. Decree on Justification. Retrieved 5 February 2014.
  29.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855.
  30.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856.
  31. ^ Bonner, Gerald (2004). "Pelagius (fl. c. 390–418), theologian"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21784. Retrieved 28 October 2012. (subscription or UK public library membership required)
  32. ^ "St. Augustine and Pelagianism | Stephen N. Filippo | Ignatius Insight"www.ignatiusinsight.com. Retrieved 2020-04-14.
  33. ^ "Pelagius". 2011-1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06. Retrieved 2020-04-14.
  34. ^ Beck, John H. (2007). "The Pelagian Controversy: An Economic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66 (4): 694. doi:10.1111/j.1536-7150.2007.00535.xS2CID 144950796.
  35. ^ Cassian, Inst. 12, Conf. 3, Conf. 13
  36. ^ Pomazansky, Protopresbyter Michael. Orthodox Dogmatic Theology. Platina CA: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1984. LCCN 84-051294 pp.257–261.
  37. ^ Kallistos (Timothy Ware). The Orthodox Church. London: Penguin Books, 1963. pp.226ff. ISBN 0-14-020592-6.
  38. ^ Robert A. Maryks, Saint Cicero and the Jesuits (Ashgate Publishing 2008 ISBN 978-0-7546-6293-8), p. 130
  39. ^ Orlando O. Espín, James B. Nickoloff,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2007 ISBN 978-0-8146-5856-7), p. 664
  40. ^ "Controversies on Grace""Sanctifying Grace".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6.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41. Jump up to:a b c "CT06"history.hanover.edu. Retrieved 2020-08-24.
  42. ^ Jeffrey T. Vanderwilt, Communion with Non-Catholic Christians (Liturgical Press, 2003, ISBN 978-0-8146-2895-9), p. 180
  43. ^ "Lumen gentium"www.vatican.va. Retrieved 2020-08-24.
  44.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www.vatican.va. Retrieved 2020-08-24.
  45. ^ Fr. Tadros Malaty, The Divine Grace PDF
  46. Jump up to:a b Pomazansky, Protopresbyter Michael. Orthodox Dogmatic Theology. Platina CA: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1984. LCCN 84-051294 pp.257–261
  47. ^ Gregory (Grabbe), Archbishop. The Sacramental Life: An Orthodox Christian Perspective. Liberty TN: St. John of Kronstadt Press, 1986
  48. ^ Timothy Ware. The Orthodox Church, Revised Edition Penguin Books, 1992. pp.239ff.
  49. ^ Kallistos (Timothy Ware). The Orthodox Church. London: Penguin Books, 1963. pp.226ff. ISBN 0-14-020592-6
  50. ^ John MacArthur, Jr. The Salvation of Babies Who Die—Part 1. 1986. Accessed September 7, 2009.
  51. ^ Matthew J. Slick.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September 7, 2009
  52. ^ "God's Preparing, Accepting, and Sustaining Grace." Official United Methodist publication. Sept, 7, 2009.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1-09. Retrieved 2007-08-02.
  53. Jump up to:a b Cracknell, Kenneth, and Susan J. White. An introduction to world Method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ISBN 978-0-521-81849-0. P.100
  54. ^ Jack Hoad, The Baptist, London, Grace Publications, 1986, page 32.

Further reading[edit]

Orthodox[edit]

Roman Catholic[edit]

  • Catholic Answers, Grace: What it is and What it Does
  • Catholic Teaching on Sin & Grace (Center for Learning, 1997), ISBN 1-56077-521-1
  • George Hayward Joyce, The Catholic Doctrine of Grace (Newman, 1950), ASIN B0007E488Y
  • "Grace."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6.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 Stephen J. Duffy, The Graced Horizon: Nature and Grace in Modern Catholic Thought (HPAC, 1992), ISBN 0-8146-5705-2
  • Vincent Nguyen, The Pauline Theology of Grace from the Catholic PerspectiveASIN B0006S8TUY

Protestant[edit]


==

은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총이란 헬라어로 카리스(χάρις) 히브리어로 헨(חֵ֖ן)(恩寵)이다. 가톨릭에서는 성총(聖寵), 개신교에서는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 그리고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자연, 인간, 문화, 역사 등에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을 뜻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수여되는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카리스)을 가리킨다. 또한 본래는 죄가 많아서 은혜를 입을 가치가 없는 인간이,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신으로부터 받는 사랑의 돌봄을 말한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속죄와 관련시켜 은혜를 해석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에서 하나님의 호의로 인간에게 '무상(無償)의 은총'이 주어졌다고 주장하고, 루터는 우리는 전적으로 하나님에 의한 수동적으로 은총을 받고 있을 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즉 오직 은혜(솔라 그라티아)를 주장하였다.

은혜는 하나님의 사역의 총체이기 때문에 그 의미 내용은 각양각색이다. 그러나 창조나 섭리와는 달리, 죄의 구제를 위해 행하여진 하나님의 능력이 십자가의 대속에 나타나 있어, 이를 은혜라고 인정하고 믿는 것이 기독교의 근본이다.

번역[편집]

은총(恩寵)과 성총(聖寵) 모두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임금의 은혜”를 가리키는 말이었음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헬라어로 카리스는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다.

같이 보기[편집]


==

恩寵 (キリスト教)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本項目では、キリスト教における恩寵(おんちょう、ギリシア語χάριςラテン語Gratia英語the divine graceロシア語Благодать)、すなわち神の人間に対する働きかけ[1]、神の人類に対する慈愛を意味する[2]概念につき扱う。恩恵聖寵神の恵み恵みとも表記される。

キリスト教の伝統においては、生の変革をも意味することとなっていった[2]

旧約聖書における記述[編集]

「恵み」(ヘブライ語ヘーン)の語彙は、ユダヤ教キリスト教正典とする旧約聖書にある。記述例としては

主、主、憐み深く恵みに富む神、忍耐強く、慈しみとまことに満ち、幾世代にも及ぶ慈しみを守り、罪と背きと過ちを赦す。(出エジプト記 34章6〜7節、新共同訳聖書から)

などがある。

各言語における表記および概念[編集]

「恩寵」と「憐み」は、関連付けられて論じられる事もあるが、日本語のみならず日本語以外の言語でも別の語彙として示される、厳密には別の概念を持つ言葉である。

[2]旧約聖書のヘブライ語における「ヘーン(hen)」は、七十人訳聖書では「χάρις(charis)」と訳され、日本聖書協会訳聖書では「恵み」「神の恵み」などと訳される。対して、ヘブライ語の「ヘセド(hesed)」には七十人訳聖書では「エレオス(ἔλεος, eleos)」が当てられ、日本聖書協会訳聖書では「憐み」などと訳される。

ヘブライ語ギリシア語
七十人訳聖書
英語日本語
ヘーン(hen)χαρις(charis)
ハリス(カリス)[3]
grace恩寵・神の恵み・聖寵・恩恵
ヘセド(hesed)ἔλεος(eleos)
エレオス
mercy憐み

ヘブライ語における諸概念[編集]

[1][2] 「恩寵(神の恵み)」の概念の祖形はヘブライ語旧約聖書およびギリシア語訳旧約聖書(七十人訳聖書)に存在する。ヘブライ語版旧約聖書において、「恵み」と、これに関連のある「憐み」とは、別の語彙で言い表されている。

  • ヘーン(「恵み」「恩寵」) - 恩恵的意味。神が敬虔な者・苦しんでいる者を好意を以て省みる事を意味する。旧約における多くの場合に、契約において明らかになったように、選ばれるに値しない民が神によって選ばれた事を言い表している。
  • ヘセド(「憐み」) - 契約に基づく親愛の関係。神の民に対する神の態度のみならず、人々が助け合う義務を負いながら互いに向け合う感情などについて、誠実な親切心といった心情を言い表すために用いられる。
  • ラハミーム - 罪のゆるしに言及する。

ギリシア語における諸概念[編集]

[2] 「恩寵(神の恵み)」「憐み」の概念については、キリスト教において、主にギリシア語を用いつつ発展した解釈がなされていく事となった。ギリシア語訳旧約聖書(七十人訳聖書)において、ヘブライ語の「ヘーン」「ヘセド」に、ギリシア語の"χάρις"、"ἔλεος"が対応して翻訳された。

キリスト教において概念の発展に伴い、人間の生の変革を意味するようになる。

恩寵、聖寵、神の恵みなどの日本語表記[編集]

キリスト教が日本に伝えられた際、"ギリシア語χάρις"(英語Grace)につき様々な訳がなされていった。

「神の恵み」は日本聖書協会口語訳聖書新共同訳聖書、他にも新改訳聖書などで一般的な表記であるが[4]正教会では恩寵(おんちょう)が一般的表記である[5]カトリック教会では、かつては聖寵(せいちょう)と訳され、例えば伝統的な祈祷文「アヴェ・マリア」の文語訳(天使祝詞)では「めでたし聖寵…」と唱えられていた。いまは「恩寵」と表記される例も稀にあるが[6]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や公式文書等では「恵み」「神の恵み」「恩恵」と表記されている[7]。また、プロテスタントにも「恩寵」の語彙を用いるものがある[8]。古くは「恩典」(中国語でも「恩典」)などともいった。

キリスト教[編集]

恩寵(神の恵み)については、キリスト教(ことに西方教会)において様々な議論がなされてきた。恩寵については、イエス・キリストの生涯、特に死と復活を通して示された神の愛を言い表す言葉であるという見解については教派を超えた一致がみられるが、その恩寵を巡る概念・神学については様々な見解・議論が起きてきた。

新約聖書における記述[編集]

概念についての諸見解[編集]

西方教会[編集]

アウグスティヌスは、恩寵(神の恵み、恩恵)を強調したので、「恩恵の博士」(doctor gratiae)と呼ばれる。ペラギウスの唱えたペラギウス主義が「功績による救済」であるのに対し、アウグスティヌスは「恩恵による救済」を教えた。アウグスティヌスは人間が全的に堕落し、救われるためには恩寵によらなければならないが、神はすべての人を救われるのではなく、救われるべき人々を神があらかじめ選ばれたという予定説を展開した。西方教会における論争で、アウグスティヌスの立場が正統であり、ペラギウスは異端であると認められたが、カルタゴ教会会議(418年)と第二オランジュ教会会議(529年)で、アウグスティヌスの予定に関する見解は、緩和された形で承認された[9][10]。ただし、アウグスティヌスを聖人と認めるカトリック教会正教会非カルケドン派正教会においては、アウグスティヌスの見解を予定説とはみなさない。

ベンジャミン・ウォーフィールドは、宗教改革はアウグスティヌスの教会論に対する彼の恩恵論の勝利であると言った。マルティン・ルターは、アウグスティヌスの恩恵論を信仰義認によって表現される、「教会が立つか、倒れるかの条項」とみなした。[11]

改革派の考え方では、恩寵は一般恩寵特別恩寵に分けられる。一般啓示は自然、人間の良心、歴史において啓示されており、一般の人々に知られているが、一般恩寵は堕落の結果を制御するもので、人を救いに導くものではない。特別恩寵は神の特別啓示である聖書に啓示されており、人を救いに導く神の特別な恵みである。[12][13]

正教会[編集]

祈り・歌・人名などにおける用例[編集]

祈祷文「アヴェ・マリア」では、ラテン語冒頭部分に"Ave Maria,gratia plena" と「恩寵」を意味する"gratia" が入っており、かつて日本のカトリック教会で唱えられていた文語訳の「天使祝詞」では「聖寵」と訳されていた。また現在の公式口語訳では「恵み」と訳されている[14]。また、「アメイジング・グレイス」は著名な賛美歌で歌詞中の"grace"は「恩寵」「神の恵み」の意味である。正教会の聖歌で「恩寵」が題名に含まれているものとしては「恩寵を満ち被る者」が、生神女に向けた聖歌として代表的である。

英語ではグレース(「恵み」、grace)の類語としてマーシー(「憐み」、mercy)がある。スペイン語ではグラシア(「恵み」、gracia)の類語としてメルセデス(「憐み」、mercedes)がある。英語のグレースマーシー、スペイン語その他のメルセデスなどは、西欧諸国で好んで女性名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また日本でも、クリスチャンの人々が子供に「恵」(男子はめぐむ、女子はめぐみ)、「恵子」(女子)などの命名をする例もある。

ヨーロッパの君主の称号においてはしばしば『神の恩寵による英語版』を冠する例が見られる。これは王権の源泉を神に求める王権神授説によるものである。

脚注[編集]

  1. a b 出典・引用元:『キリスト教大事典』(54頁・188頁・189頁、昭和48年、教文館)
  2. a b c d e 出典・引用元A.リチャードソン編、J.ボウデン編、古屋 安雄監修、佐柳 文男訳 『キリスト教神学事典』(35頁・36頁・75頁・76頁、1995年、教文館)ISBN 4-7642-4029-7
  3. ^ 現代ギリシア語:ハリス、古典ギリシア語:カリス
  4. ^ 文語訳聖書では「かみ恩恵めぐみ」(ローマ3:24など)
  5. ^ 天使と悪魔 -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公式サイト
  6. ^ カトリック岡谷教会[リンク切れ]
  7. ^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1996-2005、(日本語版)590-592頁 ISBN 978-4877501013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8. ^ 日本キリスト改革派 東京恩寵教会[リンク切れ]
  9. ^ アリスター・マクグラス『宗教改革の思想』教文館p.103-106
  10. ^ マクグラス『キリスト教神学入門』教文館p.608-610
  11. ^ マクグラス『宗教改革の思想』p.185
  12. ^ マーティン・ロイドジョンズ『キリスト者の戦い』いのちのことば社
  13. ^ 尾山令仁『聖書の教理』羊群社
  14. ^ 「アヴェ・マリアの祈り」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関連項目[編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