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1

아뢰야식 Ālaya-Vijñāna | "storehouse" consciousness, Encyclopedia.com

Ālaya-Vijñāna | Encyclopedia.com

Ālaya-Vijñāna

Views 3,065,810
ĀLAYA-VIJÑĀNA

ĀLAYA-VIJÑĀNA (Tib., kun gzhi rnam par shes pa ; Chin., a lai ye shi ) is the Sanskrit term denoting, roughly, "storehouse" consciousness, a conception of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developed by the Yogācāra school of Indian Buddhism in the third to fifth centuries ce. 

Ālaya-vijñāna appears in such "Yogācāra" scriptures as the Sadhinirmocana Sūtra and the Lakāvatāra Sūtra, but is most systematically treated in the scholastic treatises of Asaga (c. 315390) and Vasubandhu (c. mid-fourth to mid-fifth centuries). It originally addressed problems surrounding the continuity of karmic potential (karma-upacaya ) and the latent afflictions (anuśaya ) that had been generated by the abhidharma emphasis upon momentary, manifest processes of mind. How, after all, could these two essential aspects of one's samsaric existencethe potential for karma to ripen and for the afflictions to arisebe uninterruptedly present until their elimination far along the path to liberation if one's mind (or, more precisely, one's "mental stream," santāna ) were comprised solely of whatever phenomena (dharma ) were manifest at the present moment? Their manifest presence would preclude any salutary states of mind from arising, and thus prevent progress along the path, while their complete absence would be tantamount to liberation itself. The ālaya-vijñāna thus came to comprise the various potentialities that must continuously underlie each moment of the traditional six modes of cognitive awarenessnow called manifest, arising, or functioning consciousnesses (pravtti-vijñāna ) in contradistinction to the continuous yet subliminal ālaya, the home, base, or storehouse consciousness (ālaya-vijñāna ).

Combining traditional analyses of consciousness (vijñāna ) as an awareness (not a faculty) that arises either in dependence upon karmic formations (saskārā ) or as a result of the concomitance of one's cognitive faculties and their correlative objects, ālaya consciousness is described in classical Yogācāra treatises as arising from moment to moment in dependence on the material sense faculties and the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formations (saskārā ) that constitute one's ongoing existence, as well as on its own subliminal cognitive object: an indistinct (aparicchinna ) or imperceptible (asavidita ) apprehension of an external world (bhājana-loka ). Ālaya-vijñāna is thus a complexly conditioned mode of cognitive awareness that simultaneously supports (āśraya ) and informs all occurrences of manifest consciousness.

Also consonant with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S II 65, 101; III 54), ālaya-vijñāna is said in the Sadhinirmocana Sūtra to "grow, develop, and increase" due to the seeds (bīja ) of karmic potential and the predispositions (vāsanā ) of the afflictions that have accumulated "since beginningless time" from the karmic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six modes of manifest cognitive awareness. The potential or "seeds" for the future arising of afflictions or of karmically resultant dharma s, such as sensations or consciousness itself, are thereafter "stored" in this evolving ālaya level of mind.

While this subliminal ālaya consciousness thus enjoys a simultaneous and causally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manifest modes of cognitive awareness, it still retained, in most Indian Yogācāra treatises, its original character as the locus of accumulated karmic potential and latent afflictions, virtually defining one's samsaric existence and serving, in effect, as the "subject" of sasāra (also similar to earlier notions of vijñāna ). Sentient beings therefore typically (mis)take ālaya consciousness as a substantive self (ātmadi ), a form of ignorance so continuously present that it too soon came to be conceived as a distinct strata of subliminaland karmically neutralafflictions called "afflictive mentation" (Skt., klia-manas ; Tib., nyon mongs pa can gyi yid ; Chin., ran wu yi), now considered a "seventh consciousness," making ālaya-vijñāna the eighth.  

More broadly, Asaga's Mahāyāna-sagraha describes how the "common aspects" (sādhāraa-lakaa ) of ālaya consciousness help to structure the arising of our common "world" (bhājana-loka ). Our distinctively human world appears similarly to us because we have accumulated similar karma, which results in both our similar cognitive faculties as well as whatever cognitive and affective formations similarly condition the arising of each individual's ālaya-vijñāna, such as the impressions of language (adhilāpa-vāsanā ). Together, these conditions delimit the range of stimuli that may instigate manifest consciousness, and thus also the very forms in which our common, species-specific world (loka ) typically appear. In this way, the ālaya-vijñāna "the mind with all the seeds" (sarvabījaka-citta ) that represents our accumulated potentialities for karmic results serves as the "com-mon support (samāśraya ) of all phenomenal experience (dharma)."

Although in its systematic treatments the ālaya-vijñāna is largely commensurate with traditional Indian Buddhist analyses of samsaric consciousness, as we have seen, the very metaphors used to describe the ālaya-vijñāna an evolving "repository" form of mind (citta ) that receives and "stores" karmic seeds and thereby serves as both support and cause (hetu ) of all dharmas invited its interpretation as a foundational mind serving as the sole basis or ground from which the entire phenomenal world arises. These tendencie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ertain Chinese and Tibetan traditions, influenced no doubt by the explicit identificationin scriptures such as the Lakāvatāra Sūtra and, more importantly, the apocryphal Awakening of Faith of ālaya-vijñāna with tathāgatha-garbha, the womb or matrix of the Tathāgatha. Although this identification went largely unchallenged in later Chinese Buddhism, it is not found in the classic treatises of Indian Yogācāra. The sixth-century Indian translator Paramārtha's response to this discrepancy was to preserve the ālaya-vijñāna as a defiled eighth consciousness, which is eliminated upon awakening, while interpolating into his translations an additional, undefiled ninth consciousness, an *amala-vijñāna, which persists after the ālaya-vijñāna ceases. One of seventh-century Xuanzang's aims in retranslating Yogācāra texts was to recover the earlier, and to his mind orthodox, interpretation of ālaya-vijñāna as a locus of defiled consciousness unrelated to the notion of tathāgatha-garbha. Similar tendencies occurred in the Tibetan schools that teach "extrinsic emptiness" (gzhan stong ), which extrapolating upon Indian Yogācāra models, posited a primordial ālaya wisdom (Skt., *ālaya-jñāna ; Tib., kun gzhi ye shes ) prior to and apart from all defiled and discursive modes of consciousness (Skt., vijñāna ; Tib., rnam shes ), such as ālaya-vijñāna.  

These varying notions of post- (or non-) samsaric forms of consciousness, typically expressed as transformations of vijñāna into jñāna, echo similar ideas found in the earliest Buddhist texts in which the consciousness of a buddha or arhat is no longer bound by grasping or appropriation (anupādāna ), but is said to be "non-abiding" or "unsupported" (appatihita-viññāa ; D III 105; S I 122; S II 66, 103; S III 54).

In sum, this core Yogācāra concept touches upon some of the central concerns of Buddhist soteriology and analyses of mind, but its interpretation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upon which century, which school, and even which text one is investigating.

See Also

AsagaDharmapālaSoteriologySoul, article on Buddhist ConceptsTathāgata-garbhaVasubandhuVijñānaYogācāra.   ad will end in 

Bibliography

Cook, Francis, trans. Three Texts on Consciousness Only. Berkeley, Calif., 1999. English translations from the Chinese of three Yogācāra treatises: two by Vasubandhuthe Triśika (Thirty verses) and the Viśika (Twenty verses); and one by Xuanzangthe Cheng wei-shi lun (Demonstration of consciousness only).

Hakamaya, Noriaki. Yuishiki Shisō Ronkō. Tokyo, 2001. A collection of fifty articles by a leading Japanese scholar analyzing many Yogācāra texts and concepts, including the ālaya-vijñāna, from a text-critical perspective.

Hakeda, Yoshito, trans. The Awakening of Faith, Attributed to AvaghoshaNew York, 1967. An apocryphal treatise immensely influential in Chinese interpretations of Yogācāra.

Keenan, John, trans. The Scripture on the Explication of Underlying Meaning (The Sadhinirmocana Sūtra ). Berkeley, Calif., 2000. A translation of Xuanzang's Chinese rendition of this indispensable Yogācāra text.

Lamotte, Étienne, trans. La somme du Grand Véhicle d'Asaga (Mahāyāna-sagraha ). Louvain, Belgium, 19381939. A definitive translation accompanied by extensive selections from its traditional commentaries.

Pruden, Leo, trans. Karmasiddhiprakaraa: Treatise on Action by Vasubandhu. Berkeley, Calif., 1980. An English translation of Lamotte's French translation of Vasubandhu's most abhidharmic treatment of the ālaya-vijñāna.

Schmithausen, Lambert. Ālayavijñāna. Tokyo, 1987. This groundbreaking and painstaking philological study reconstructs the initial occurrence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ālaya-vijñāna within Indian Yogācāra texts.

Stearns, Cyrus. The Buddha from Dolpo. Albany, 1999. A study of the founder of the Tibetan zhen stong view and the theory of primordial laya wisdom.

Suzuki, Daisetz Teitaro, trans. Lakāvatāra Sūtra. London, 1932.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is important Yogācāra scripture.

Waldron, William S. "Buddhist Steps to an Ecology of Mind: Thinking about 'Thoughts without a Thinker.'" Eastern Buddhist 34, no. 1 (2002): 152. Analyzes the ālaya-vijñāna in relation to scientific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 and arising of consciousness.

Waldron, William S.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Ālaya-vijñā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New York and London, 2003. Treats the antecedents to an early development of the ālaya-vijñāna, up to Asaga's Mahāyāna-sagraha.

William S. Waldron (2005)

아뢰야식 Ālayavijñāna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Nobuyoshi Yamabe 2018

(2) (PDF) Ālayavijñāna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Ālayavijñāna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Springer
April 2018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6(2) Follow journal
DOI: 10.1007/s10781-018-9347-5
LicenseCC BY 4.0
Nobuyoshi Yamabe
=====
Full-text available
September 2017
=====

Abstract
In 1987, Lambert Schmithausen published an important extensive monograph on the origin of ālayavijñāna (Ālayavijñāna: On the Origin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ācāra Philosophy).

 In his opinion, the introduction of ālayavijñāna was closely linked to nirodhasamāpatti, but it was not meditative experience itself that directly lead to the introduction of this new concept. Rather, according to Schmithausen, it was dogmatic speculation on a sūtra passage about nirodhasamāpatti. 

My own hypothesis is that the introduction of ālayavijñāna was more directly based on meditative experiences. Focusing on the “Proof Portion” of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of the Yogācārabhūmi,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is hypothesis. 

My examination reveals that ālayavijñāna is the physiological basis of the body, and as such it is correlated to the state of the body and mind. 

When one’s body and mind are transformed from an inert to a well-functioning state through meditative practice, the transformation seems to hinge on the transformation of ālayavijñāna itself. 

It appears that Yogācāra meditators intuitively realized this mechanism at the stage of darśanamārga. This paper also responds to some points raised by Schmithausen on my hypothesis in his recent monograph on early Yogācāra (The Genesis of Yogācāra-Vijñānavāda: Responses and Reflections, 2014).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and mind in meditative contexts and proposes that this was the key issue in the introduction of the ālayavijñāna theory.
====

아뢰야식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 불교신문

아뢰야식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 불교신문

아뢰야식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2005.10.22 

6식 너머 존재하는 ‘집착된 識’ 
아뢰야식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모든 법의 결과(습기) 저장 

설명

유식학파에서 말하는 아뢰야식에 관해 문의합니다. 유식학파에서 아뢰야식을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지, 또한 이 식을 아뢰야식이라고 명명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아뢰야식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 것인지 설명해 주세요. 


유식학파가 대승불교에서 독립된 학파로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은 역시 아뢰야식(阿賴耶識, a-laya-vijn~a-na)입니다. 이 식의 발견은 부파불교 이래 윤회의 주체에 대한 추구의 긴 여정에 종지부를 찍은 셈입니다. 

바라문교가 윤회의 주체를 아(我, a-tman)라고 하는 정신적인 상징을 설정한 반면, 불교는 무아(無我)를 주창하면서 윤회를 설명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놓이게 됩니다. 즉 전생의 업력에 의해 현재의 자신이 형성된다고 할 때, 전생의 자기와 현재의 자기를 동일체로 설정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 불교윤회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었던 것입니다. 

부파불교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십이지연기설(十二支緣起說)로 설명하는 것과 십이지연기설과는 별도로 윤회의 주체를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었습니다. 
설일체유부의 경우는 전자를 취해 십이지연기설에서 윤회의 주체를 오취온(五取蘊)으로 보았고, 상좌부의 유분식(有分識), 대중부의 근본식(根本識), 화지부의 궁생사온(窮生死蘊) 등과 같은 정신적인 기체를 윤회의 주체로 설정한 것은 후자의 경우입니다. 

유식학파에서는 처음에는 이 두 가지 방향이 모두 추구되었으나 후에 둘이 결합되어 십이지연기설 가운데 식을 아뢰야식으로 설정하기에 이릅니다. 

아뢰야식이라는 개념은 유식학파에 의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유식학파가 이 식을 발견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요가의 체험에서 나옵니다. 

요가는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몰두시켜 6식의 활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본질로 합니다. 이 6식의 활동이 멈추면 그 속에 잠재되어 있던 심층심리의 세계가 전개되는데 이 심층심리의 세계가 바로 아뢰야식의 세계인 것입니다. 

이 아뢰야식의 대상과 인식작용은 깊고 미세하여 지각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따라서 유식학파에서는 성문과 독각이 6식의 현상만을 관찰하는 것에 비해 대승의 보살은 심층의 현상도 관찰하여 모든 대상을 아는 일체종지(一切種智)를 증득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뢰야라는 개념은 원시불교경전에 나오며 ‘집착’이나 ‘집착의 대상’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부파불교에서는 집착의 대상으로 여러 가지 사물들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유식학파에서는 집착의 근원적인 대상으로 아뢰야식을 발견한 것입니다. 
따라서 집착의 근원적인 대상 즉 ‘집착되어 진 식’이라는 의미에서 아뢰야식이 만들어 졌습니다. 

아뢰야에는 이 이외에도 장(藏)이나 택(宅)으로 한역되는 ‘저장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아뢰야식은 모든 법을 습기(習氣)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습니다. 습기는 과거에 지은 행위의 인상이므로 모든 법을 결과로서 저장하고 있는 셈입니다. 

요가 수행자들이 이 식이 마치 습기를 저장하는 곳이나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아뢰야를 붙여 아뢰야식이라고 명명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아뢰야가 집착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유식학파에서는 집착보다는 저장 즉 섭장(攝藏)의 의미가 더욱 강조되었다고 보입니다. 이는 무착의 섭대승론에 아뢰야식의 어의 해석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슨 인연으로 이 식을 아뢰야식이라고 명하는가라는 질문에 이 식은 일체 중생의 잡염품법이 여기에 저장되어 과성(果性)이 되고 인성(因性)이 되고, 중생은 이 식을 섭장(攝藏)해서 자아로 삼기 때문에 아뢰야식이라고 명한다고 답하고 있습니다. 

하룻밤에 읽는 불교〉 저자

CHAPTER 4: ATTRIBUTES OF THE UNIVERSE: THE GUNAS - Mekosha

CHAPTER 4: ATTRIBUTES OF THE UNIVERSE: THE GUNAS - Mekosha

CHAPTER 4: ATTRIBUTES OF THE UNIVERSE: THE GUNAS

4.1 What is a Guna?

THE SANSKRIT WORD GUNA IS TRANSLATED AS “QUALITY, PECULIARITY, ATTRIBUTE, OR TENDENCY.

The term guna is an element, or tattva of reality that can affect ou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dition. These originated through Sankhya philosophy which saw gunas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universe. They continue to hold importance in Ayurvedic institutes today.

The three gunas are said to be constantly entangled and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in a restless state, which is referred to as maya or illusion. The patterns and attributes of the gunas help throw light on the qualities and lifestyle of an individual.

As per Yogic philosophy, every component in the universe arises from its fundamental state called Prakriti. The three gunas are – energy, matter, and consciousness – are born out of prakriti, and form nature. These gunas are tamas (darkness & chaos), rajas (activity & passion), and sattva (beingness & harmony).

“ajastamaśca manaso dvauca doṣāvudāhṛtau ॥
Ashtanga Hridaya 1:21”

This means that the psychosomatic disease can be because of tamas, ignorance in you, or rajas, desire or passion in you. Adequate awareness and conscious manipulation of the three gunas is powerful enough to drive away stress, achieve inner peace and achieve the path of enlightenment. There are three gunas (sattva, rajas and tamas) which affect your state of calm and well being.

4.2 The Three Gunas

The three gunas can be found all around you, yet they widely vary in quantity and composition. We have a unique ability to consciously control our guna levels. Our habit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are ultimately what influences the gunas.



4.2.1 Tamas Guna

Tamas is described as a state of darkness, inertia, inactivity, and materiality. Tamas arise from ignorance and and prevent a person’s path from spiritual truth. Noticeable tamasic qualities are laziness, anger, attachment, depression, dependency, self-doubt, guilt, boredom, irritation, addiction, apathy, confusion, grief, ignorance.

In order to reduce tamas, tamasic foods must be avoided. Oversleeping, overeating, inactivity and fearful situations should also be controlled. Tamasic foods generally include heavy meats and foods that are chemically treated, processed or refined and hence they tend to create a negative effect on your mind and body.

4.2.2 Rajas Guna

Rajas is described as a state of energy, action, change, and movement. Among Rajas qualities are those of attraction, longing and attachment. Rajas is responsible for binding you to the rewards of your actions. Noticeable rajasic qualities are anger, anxiety, fear, irritation, worry, restlessness, stress, courage, and chaos.

In order to reduce rajas, rajasic foods should be avoided. Over-exercising, overwork, loud music, excessive thinking and consuming excessive material goods should also be refrained from. Rajasic foods generally include fried and spicy food, and artificial stimulants.

4.2.3 Sattva Guna

Sattva is described as a state of harmony, balance, joy, and intelligence. Yogis constantly strive to achieve this guna as it reduces rajas and tamas and thus makes liberation possible. Sattvic qualities are happiness, peace, wellness, freedom, love, compassion, comfort, empathy, friendliness, focus, hard work, self-control, satisfaction, trust, positivity, fulfillment, calmness, bliss, sympathy, gratitude, selflessness.

To increase sattva in the body, tamas and rajas both need to be reduced. Eat sattvic foods and enjoy natural activities and an environment that produces happiness and positivity within the body. Some examples of such foods are whole grains and legumes, fresh fruits and vegetables that grow above the ground. Yogic practices were also developed to create the effect of sattva in the mind and body. Thus, practicing yoga and leading a yogic lifestyle can strongly cultivate sattva.

4.3 Omnipresence of the 3 Gunas

As stated in the Bhagavad Gita:

“When one rises above the three gunas that originate in the body;
one is freed from birth, old age, disease, and death; and attains enlightenment”

There cannot be pure sattva without rajas and tamas. There cannot be pure rajas without sattva and tamas. And finally, there cannot be pure tamas without sattva and rajas.

While sattva connects one with happiness, rajas connects one to fruitful activities, and tamas connects you to attachment with some delusion. As long as we are influenced by three gunas, we remain in bondage of Maya. In order to reach Samadhi or Enlightenment, the first step should be to increase sattva and decrease rajas and tamas in your lifestyle. This should be followed by the ultimate goal – to completely detach from the three gunas and see the reality, beyond maya. A person who has transcended the three gunas becomes absolutely indifferent to the duality of life like pain and pleasure. He/she stops getting affected by the gunas and knows that the gunas are merely a part of Maya, and not of the Universe’s reality- which is the inner self.

यथा चित्तं तथा वाचो यथा वाचस्तथा क्रिया ।
चित्ते वाचि क्रियायां च साधूनामेकरूपता ॥

Transliteration:
yathā cittaṃ tathā vāco yathā vācastathā kriyā ।
citte vāci kriyāyāṃ ca sādhūnāmekarūpatā ॥

English Translation:
As is the mind, so is the speech; as is the speech so is the action.
Of the good people there is uniformity in mind, speech and action.​

Now having understood the different states in which the body exists, the next chapter looks at the Koshas, or layers that form our bodies and existence. Let’s take a look at Chapter 5 here. 

You can refer back to the course outline here.

Scroll down below to ask questions.  

Article By:


Mekosha Ayurveda

"The Mekosha team works hard to put together curated knowledge to help you with your holistic healing journey. Subscribe now to receive more such useful articles."

로고스 - 나무위키

로고스 - 나무위키

로고스

최근 수정 시각: 
1. 철학 용어
1.1. 그리스도교에서의 의미
2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의 등장 세력3로펌4마법소녀 육성계획 시리즈에 등장하는 기술5마블 코믹스의 우주적 존재6매트릭스 트릴로지의 등장 메카닉7. 광주에 있는 클럽8키포지의 세력9. 관련 문서
9.1. 부정적 관점인 논리적 오류


λόγος

1. 철학 용어[편집]

로고스(Logos)는 그 어원 상 ''을 뜻하며 곧 말해질 수 있는 것, 이성의 원리. 즉 진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스토아 학파가 중시한 개념으로, 스피노자 등의 사상가들이 차용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서구 철학의 대전제이자 가장 주요한 개념 중 하나가 로고스였다. 소위 자연철학이라 여겨지는 밀레토스 학파의 저작에서도 이미 로고스 개념에 대한 탐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플라톤에 이르러서는 이성으로서의 로고스와 직관으로서의 누스의 구분이 보다 엄밀해졌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면 로고스는 미토스와 구분되는 하나의 세계관으로, 신화적 세계관과 이성적 세계관을 구분짓는 기준이 된다. 이후 근세 유럽을 휩쓸었던 계몽주의의 열풍은 바로 세계를 로고스가 지배하는 질서정연한 체계로 파악하고자 했던 시도였고, 이런 시도는 칸트와 니체에 이르러 각각 다른 방식으로 완성된다.[1]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라는 역사적 사건 이후, 로고스의 지배가 폭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품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20세기 중엽 이후 대두된 포스트모더니즘의 화두는 바로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의 해체였다. 아도르노나 자크 데리다[2]와 같은 학자들은 로고스 개념에 내재된 인식론적 폭력을 드러내고자 했고, 이러한 작업의 일환이었던 <계몽의 변증법(Dialektik der Aufklärung)>은 20세기의 고전으로서 현대까지도 그 비판적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1.1. 그리스도교에서의 의미[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로고스(기독교) 문서
 참고하십시오.

2.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의 등장 세력[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로고스(기동전사 건담 SEED) 문서
 참고하십시오.

3. 로펌[편집]

대한민국의 로펌 중 하나. 2000년 9월 1일에 개신교 신자인 변호사들이 모여 창립한 로펌이다. 평범한 변호사들이 들어오기는 하나, 가끔씩 고위직 출신 변호사들이 합류하여 화제가 되기도 한다.

조배숙 전 국회의원이 초기 구성원 중 하나였고, 김승규 부산고검장이 2003년에 검사 퇴직 후에 이 로펌의 공동대표로 합류했다가 법무부 장관직을 수행하면서 잠시 이탈했던 적이 있다. 윤영철 헌법재판소장도 소장 임기를 마치고 이 로펌에 합류했다. 2009년에는 문효남 부산고검장이 퇴직하자 그를 영입했다.[3] 2016년에는 김제식 전 국회의원을 영입했다. 2020년에는 이정미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2022년에는 황교안 전 대통령 권한대행을 영입했다.

시사프로그램 패널로 많이 출연하는 여상원 변호사도 로고스 소속이다.

이름은 1번 항목에서 유래했다.

4. 마법소녀 육성계획 시리즈에 등장하는 기술[편집]

마왕 팜이 날개를 이용한 기술로 지향성을 가진 파괴 음파지만 소니아 빈과 싸울 떼 소니아의 능력 때문에 그냥 소멸되었다.

5. 마블 코믹스의 우주적 존재[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로고스(마블 코믹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6. 매트릭스 트릴로지의 등장 메카닉[편집]

external/vignett...
영화 매트릭스에 등장하는 시온의 호버크래프트로 함장은 모피어스의 전 연인으로 알려진 나이오베(Niobe). 설명상으로는 시온의 다른 호버크래프트보다 크기가 작고 속도가 빠르다는 묘사가 있다...만 해머호의 사례로 볼 때 함장빨이 큰 것으로 보인다(…). 게임 엔터 더 매트릭스에서도 대활약한다.

매트릭스 2 리로디드 후반부에 센티널의 습격을 받았지만[4] EMP를 발사하는 통에 정지되어 있다가 이 쪽 소식을 들으러 파견된 해머호의 백업을 받아 함선을 되살릴 수 있었다. 이후 기계도시에 가려는 네오의 요청을 받아들여 로고스를 빌려주고 나이오베는 해머호를 몰아 시온으로 간다.[5]

네오와 트리니티가 타고 기계도시로 향하다가 기계들의 건물로 추정되는 곳에 헤딩하고 리타이어.

7. 광주에 있는 클럽[편집]

2017년 비스타로 이름이 바뀌었다. 비스타 문서 참조.

8. 키포지의 세력[편집]

로고스(키포지) 문서 참조.

9. 관련 문서[편집]

9.1. 부정적 관점인 논리적 오류[편집]

[1]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을 따르자면, 칸트가 완성한 계몽의 개념은 바로 자연을 지배하는 '동일한 이성의 담지자들 사이의 치열한 대립'을 토대로 성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대립에 근거하는 계몽은 언제나 야만으로 추락할 위험성을 갖고 있다. 또한 니체는 가장 무자비한 계몽의 완성자로서, 오히려 계몽과 '유토피아의 표피를 벗겨내고 그 본질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니체의 교리는 분명 무자비하지만, 어떤 의미로는 솔직하기도 하다. 칸트가 밝은 편에 선 낙관적인 계몽주의자라면, 니체는 계몽의 가장 무자비하고 어두운 편을 대표하는 계몽주의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2] 첨언하자면, 아도르노는 비판이론가지 포스트 모더니스트는 아니었다. 그가 비판했던 것은 헤겔에서와 같은 절대관념론의 로고스지배, 즉 모든 것이 로고스라고 하는 절대정신의 독단일 뿐 로고스 그 자체는 아니다. 그는 계몽과 이성을 믿었으며, 관념론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기에 포스트 모더니즘의 계기가 되는 철학자 정도로 평가해야 옳다. 로고스 그 자체에 본격적인 회의를 품는 작업은 이후 데리다와 같은 후기 사상가들에 의해 진행된다.[3] 다만 문효남 변호사는 2011년을 끝으로 법무법인을 나간 상태.[4] 느부갓네살과 비질런트를 원킬했던 폭탄도 여러 발 날라왔는데 살아남았다. 니오베의 정신나간 조종술과 승무원인 고스트의 신들린 사격 능력 덕에.[5] 철학에서 로고스는 이성을 의미한다. 네오는 이성을 뜻하는 배를 넘겨 받고 명백히 자살행위로 보이는 기계도시를 향해 간다. 나이오베는 '이성'을 넘기고 위험한 구 하수도를 통해 시온으로 가려고 한다. 절묘하다.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 인문학적 자료 - 시와 image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 인문학적 자료 - 시와 image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작성자鏡文|작성시간11.07.16|조회수961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고대 그리스철학이나 신학에서 기본을 이루는 용어로,
  • 로고스는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것을 가리키며
  • 파토스는 감각적ㆍ신체적ㆍ예술적인 것을 가리킨다.
인간의 인식과 행동의 방법은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로고스적이거나 파토스적인 것의 어느 한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고스와 파토스 그리고 에토스

성경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다.
모두기 헬라 철학에서 유래된 신학의 기본 용어들이다
  • 쉽게 말하면 로고스란 [옳은 것을 찾아가는 이성]을 말한다 : (理性)
  • 파토스란 주위 상황과 환경에 따라 변하는 감정이라 할수 있다. : (感性)
  • 에토스란 사회적 관습이나 개인이나 민족의 정신을 의미한다. : (慣習)

1. 로고스(LOGOS)

1-1. 헬라 철학적 정의
(1). 파토스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가?(本質存在)를 규정하는 법칙과 준칙을 인식하고 이를 따르는 분별과 이성을 말한다.
(2). 로고스는 말을 하고 사물의 존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인간의 분별과 이성을 뜻한다.
인간은 말을 함으로서 로고스를 가진 동물(이성적 동물)이라고 정의 한다.
(3). 로고스는 사물의 성립 즉 모양과 본성을 규정하고 한정 함으로서 다른 사물과 구별되게 하고 사물의 근거와 이유를 뜻하기도 한다.
즉 사물의 정의, 논증을 뜻하기도 한다.
(4). 로고스는 철학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이성(理性)이란 의미이다
(5). 스토아 철학에서는 로고스는 신적인 이성 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에 주어진 이성이라고 하였다.

1-2. 신학적 정의
(1). 로고스는 신약성경에서 말씀(말)을 뜻하는 헬라어이다.
(2). 기독교 사상에서 로고스는 천지창조 하나님에 대한 사상이며 구체적으로는 성부 하나님과 구별되는 제2의 위격인 [아들] 예수 그리스도이다

(3). 요한서신에서는 삼위일체중 제2위격을 뜻하는 말로 사용 되었다.
  • 요1:1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람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 이시니라]
  • 요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 요일1:1 [태초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로고스)에 관하여는 우리가 들은 바요 눈으로 본바요 주목하고 우리 손으로 만진 바라]
  • 계19:13 [또 그가 피 뿌린 옷을 입었는데 그 이름은 하나님의 말씀이라 칭하더라]
(4). 요한은 요1:1에서 로고스는 창조시에 이미 존재 하였다고 선언하고 있다
창조시의 모든 사역은 로고스를 통하여, 로고스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
(5). 로고스는 실로 하나님이셨다.
로고스는 생명의 근원이며(요1:4) 모든 사람들의 참빛이시며(요1:9) 하나님의 본성을 드러내셨다.(요1:14)라


2, 파토스(PATHOS)
(1). 철학적인 용어로 정념(情念), 충동, 정열등으로 번역되며 로고스와 상대되는 말이다,
(2). 윤리학에서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서 생기는 감정을 말한다.
현대에는 감정중에도 흔히 격앙된 감정, 격정을 뜻한다.
(3). 고대 그리스어 pachein(받다)에서 유래된 말로 근본적인 뜻은 [받은 상태] [받아서 마음의 변화상태]를 말한다
다시말해서 그때 그때 내외적인 상황에 따라 사람의 마음이 받는 기분, 정서를 총괄하는 말로서 감성이라고 한다.
(4). 파토스는 이성의 판단과는 다른 원천에서 오는 것이며 쾌(快),고(苦), 정(情)이 기본이 되고 덕(德)까지도 포함된다.
(5). 파토스는 로고스(올바른 이성)의 명령에 반항하기 때문에 스토아 철학에서는 이를 병(病)이라 하였다.
(6). 파토스는 내외부적 충동에 관계가 있다.
항시 충동관계에 놓여 있는 인간을 설명할 때 파토스는 인간존재의 표층적,근원적 존재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수 있다.

3. 에토스(ETHOS)
(1). 에토스는 성격이나 관습을 나타내는 헬라어이다
(2). 일반적으로 민족이나 사회적인 관습이나 정신을 말한다.
(3). 헬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가지는 능력은 동일한 행위를 반복함으로서 한 방향으로 지향하는 습성이나 습관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 습관이 에토스이다.
(4). 에토스는 지속적인 특성을 가지며 일시적인 특성을 가진 파토스[감정, 정의(情意) 또는 격정(激情)]와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5). 에토스는 개인 또는 민족 그리고 사회 전체 모두에게 있는 일련의 사고와 태도, 열망을 말하는 것이다.

===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문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예1). 현재 이 나라의 모습은 나라의 진로나 정책을 설명하는 로고스도 없고, 공정한 경쟁을 위한 에토스도 없고 오로지 감정의 파토스만 남은 정치판이 우리를 혼돈시키고 있다.

예2). 유명한 설교자는 자신의 감정과 체험을 드러내는 에토스를 통하여 청중을 설득한다. 억지로 주입시키는 로고스(말씀)는 청중이 외면하게 된다.
설교는 청중이 설교자를 신뢰하고 공분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제에 모범을 보이지 않는 설교자가 구제를 강론한다면 청중은 그 자리에서 마음이 떠날 것이다.
설교자는 자신의 에토스를 통해 로고스(진리)를 제시해 청중들이 파토스(공감)를 느끼게 하는 것이 유능한 설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