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3

알라딘: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자본, 자연, 미완의 정치경제학 비판 사이토 고헤이

알라딘: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자본, 자연, 미완의 정치경제학 비판   
사이토 고헤이 (지은이),추선영 (옮긴이)두번째테제2020-01-30
-----
524쪽

책소개

점점 심각하게 드러나는 환경 변화, 기후 위기로 전 세계가 들끓고 있다. 이제 환경 문제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대한 문제로 각인되었다. 역사상 처음 만나는 새로운 시기로, 인류세로 명명된 이 시대에 환경 위기를 초래한 진짜 원인은 인류에게 다각도로 분석하고 밝혀야 할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마르크스를 다시 소환한다.

이 책은 현실을 바탕으로 마르크스는 죽었다고 외치는 여러 목소리에 반대하며 “마르크스는 살아 있다!”고 단호하게 주장한다. 저자 사이토 고헤이는 꼼꼼한 문헌 분석과 새로운 자료 발굴, 19세기 시대사와 정치경제학, 철학, 농학사 연구를 통해서, 그동안 묻혀 있던 마르크스의 생태 사상을 다시 우리 앞에 펼쳐놓는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5
감사의 글 15
서론 17

Ⅰ 생태학과 경제학

1. 근대에 등장한 자연의 소외 41
2. 정치경제학에서의 물질대사 102
3. 물질대사 이론으로서의 『자본』 162

Ⅱ 마르크스의 생태학과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

4. 유스투스 폰 리비히와 『자본』 227
5. 비료는 강탈 농업을 방해하는 요소인가? 286
6. 1868년 이후 마르크스의 생태학 355

결론 422
옮긴이의 말 438
주 440
찾아보기 511

추천글
이 장대한 저술을 통해 마르크스가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수행한 지적 실험을 탐구하는 일이 지닌 경험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이토 고헤이는 마르크스의 생태학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40년에 걸친 마르크스의 작업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한편 생태사회주의자들의 마르크스 이해에 대해 적절하게 논평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처럼 탐독을 하는 것으로만 그쳐서는 안 될 귀중한 책이다. - 밥 제솝 
곧 출간될 마르크스의 노트 중 생태학에 관련된 새로운 주요 자료가 논쟁의 도마에 올랐다. 이러한 논쟁의 결과로, 마르크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해졌다. 오늘날의 자본주의가 직면한 경제 위기 및 생태 위기를 감안하면 참으로 적절한 시점에 나오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케빈 앤더슨 
생태 위기에 대한 전 지구적 경각심이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환기되고 있는 지금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가 번역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저자 사이토 고헤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자 가운데 하나로, 그의 이 저작은 마르크스는 반생태주의자였다는 세간의 오해를 바로잡을 뿐만 아니라 오늘의 생태 위기를 혁명적으로 넘어서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 김공회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사이토 고헤이는 사상 처음으로 마르크스의 노트를 심도 깊게 파고들어 마르크스의 연구 과정을 논의한다. 고헤이는 마르크스의 모든 저술을 완벽하게 섭렵했을 뿐 아니라 마르크스가 탐독한 자료도 깊이 탐독했다. 고헤이는 마르크스가 완성하지 못한 ‘정치경제학 비판’이 생태학적 문제와 얼마나 깊이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 주면서 독자를 흥미로운 여정으로 안내한다. - 미하엘 하인리히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체계적인 생태 이론이 없었다는 통념에 반대하며, 저자는 1844년 노트부터 ??자본??에 이르기까지 ‘물질대사’ 개념을 비롯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발견할 수 있음을 꼼꼼하게 밝혀낸다. 물론 마르크스와 후대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이론이 석유와 핵 발전, 자동차 자본주의 시대의 축적과 착취 양식을 제대로 파헤칠 수 있는지는 따져 보아야 할 일이다. 나아가서, 마르크스의 자산이 지금의 기후위기를 진단하고 극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기후위기 보고서들에서 보이는 ‘의식하지 못한 사회주의적 경향’, 그것에 힌트가 있을 것이다. - 김현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마르크스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했을까? 사이토 고헤이는 소외, 물질대사, 가치, 지대 개념 등을 기초로, 잘 알려지지 않은 마르크스가 작성한 연구 노트에 대한 궤적을 추적한다. 이 과정을 통해 마르크스의 생태학적 탐구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노년기 마르크스는 당대의 최신 자연과학적 논의를 접하면서 자연적 물질대사의 교란인 기후 변화를 습득하였다. 우리는 그동안 알고 있던 마르크스 이론의 지평을 확장한 이 책을 통해 ‘녹색 마르크스’를 만나 볼 수 있다. - 김민정 
마치 추리소설의 탐정처럼 마르크스의 발췌 노트에 남겨진 흔적을 세심히 검토하여, 환경에 대한 고민이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전체에서 불가결한 일부를 이룬다는 점을 치밀하게 논증한다. 마르크스의 사상, 19세기 과학기술과 사회상 간의 관계, 오늘의 환경 문제. 이 중 어느 하나에라도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을 통해서 중요한 사색과 실천의 실마리를 얻게 될 것이다. - 위대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함께 수학한 나의 친구이기도 한 사이토 코헤이의 이 책은 여러모로 매력적이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마르크스의 이론과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생태 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 시도로서 시의성을 갖는다. 더군다나 이 책은 아직 독일과 영미권은 물론 이웃나라 일본의 발전된 마르크스-엥겔스 이론 연구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그럼에도 소수 연구자들의 희생적 노력으로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는) 국내 학계에 적지 않은 활력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왜냐하면 이 책이 그러한 국제적인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의 논쟁들을 거쳐 비로소 자신의 주장을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는 다음과 같은 논쟁점들을 제기한다. 저자 사이토 고헤이는 마르크스 초기 저작을 둘러싼 기존의 휴머니즘 진영(프롬과 마르쿠제) 대 구조주의 진영(알튀세르) 사이의 논쟁을 넘어서, 『경제학 철학 수고』에 제시된 ‘인본주의=자연주의’라는 관점에서 드러나는 마르크스의 ‘자연’에 대한 관심, 그리고 직접적 자연, 특히 토지로부터 생산자의 소외가 초래하는 파괴적 귀결에 대한 그의 관심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자는 『자본론』의 서두에 등장하는 가치와 추상적 노동이라는 범주를 둘러싼 논쟁을 환기하면서, 추상적 노동을 ‘순수 사회적 형태’로 보는 일련의 (흔히 새로운 마르크스 독해Neue Marx-Lekt?re 경향으로 알려진) 독일어권 저자들의 관점에 대해 (일본 마르크스 연구의 성과를 빌려) 비판을 가한다. 오히려 추상적 노동에 내재한 ‘생리적’, 즉 ‘자연적’ 요소에 주목하지 못한다면 마르크스와 자연, 나아가 그의 자본주의 비판에 함축된 생태적 함축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에 실린 마르크스의 미출간 원고들을 검토하면서, 마르크스의 최후 자연과학과 농화학 연구에 드러난 생태주의적, 생태사회주의적 관점을 세심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이론적 엄밀함과 탄탄한 문헌적 근거 위에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이 갖는 생태사회주의적 함축을 설득력 있게 재구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를 ‘생산력주의’ 패러다임에서 읽어 왔던 지난날의 해석을 풍부한 문헌적 근거 위에서 반박하면서, 저자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에 내재한 반(反)자연적 성격을 얼마나 예민하게 비판했는지 논증한다. 따라서 이 책은 오늘날 생태적 위기와 경제적 불평등의 참상을 함께 사유하고자 하는 비판적 독자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 할 수 있다. - 한상원 (충북대 철학과 교수)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20년 2월 7일 학술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사이토 고헤이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오사카시립대학교 경제학연구과 교수, 일본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 편집위원회 편집위원이다. 국내에서는 경상대학교 ‘포스트자본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한국사회과학연구SSK 팀에서 공동연구원으로 교류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박사 학위 논문은 『자본에 반하는 자연: 미완의 자본주의 비판 속 마르크스의 생태학Natur gegen Kapital: Marx’ Okologie in seiner unvollendeten Kritik des Kapitalismus』(Frankfurt am Main: Campus, 2016)이라는 제목으로 독일에서 출간되었다. 이후 2018년 이 책의 영어판으로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진보적 저술에 주어지는 아이작 도이처 기념상을 최연소로 수상하였다. 새롭게 출간되고 있는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2019년 MEGA vol. IV/18를 출간했다. 특히 이번 MEGA 출간본은 지금껏 소개되지 않았던 마르크스의 생태학과 자본주의의 자연 파괴와 관련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국내에 몇 편의 논문이 「마르크스주의 연구」에 소개되었으며, 왕성하게 마르크스, 생태학, 철학, 정치경제학, 인류세와 관련한 여러 논문과 저작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추선영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전문 번역가. 다수의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과학 관련 서적을 번역했다. 옮긴 책으로 《아스팔트를 뚫고 피어난 꽃》, 《두 얼굴의 백신》, 《천재에 대하여》, 《복지의 배신》, 《퓰리처》, 《여름전쟁》, 《세상을 뒤집는 의사들》, 《감시사회: 안전장치인가, 통제 도구인가?》, 《의료 세계화: 자본은 우리를 어떻게 병들게 하는가?》, 《유엔: 강대국의 하수인인가, 인류애의 수호자인가》, 《에코의 함정》, 《추악한 동맹》, 《이슬람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이단자》의 개정판), 《녹색 성장의 유혹》, 《싸구려 모텔에서 미국을 만나다》, 《생태계의 파괴자 자본주의》, 《세계사, 누구를 위한 기록인가?》, 《자본의 세계화, 어떻게 헤쳐 나갈까?》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 총 31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2018년 아이작 도이처 기념상 최연소 수상작!
자본과 자연, 형태와 소재의 변증법, 미완의 정치경제학
꼼꼼한 원전 해설을 바탕으로 새롭게 밝혀진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환경 위기의 시대, 새롭게 발굴한 마르크스의 생태 사상!
기술 중심, 인간 중심 프로메테우스주의자로 비난받던 마르크스의 새로운 면모
형태와 소재의 변증법, 물질대사 이론을 통해 살펴보는 마르크스의 새로운 정치경제학 비판

점점 심각하게 드러나는 환경 변화, 기후 위기로 전 세계가 들끓고 있다. 이제 환경 문제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대한 문제로 각인되었다. 역사상 처음 만나는 새로운 시기로, 인류세로 명명된 이 시대에 환경 위기를 초래한 진짜 원인은 인류에게 다각도로 분석하고 밝혀야 할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마르크스를 다시 소환한다. 이 책은 현실을 바탕으로 마르크스는 죽었다고 외치는 여러 목소리에 반대하며 “마르크스는 살아 있다!”고 단호하게 주장한다. 저자 사이토 고헤이는 꼼꼼한 문헌 분석과 새로운 자료 발굴, 19세기 시대사와 정치경제학, 철학, 농학사 연구를 통해서, 그동안 묻혀 있던 마르크스의 생태 사상을 다시 우리 앞에 펼쳐놓는다.
1세대 생태마르크스주의자들을 비롯해 환경론자들에게 마르크스는 인간중심주의자, 기술중심주의자, 프로메테우스주의자에 지나지 않았다. 마르크스가 자연 자원의 희소성과 생태계에 가해지는 과부하 같은 생태 문제에 대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은 채 무제한의 경제 발전과 기술 발전을 역사의 자연법칙으로 전제하고, 자연에 대한 완전한 지배를 설파했다는 생각은 여전히 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생각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 마르크스의 사상에 환경을 위한 여지는 없었다는 주장으로 굳어졌고, 이제는 “마르크스는 잊어라”라는 문구로 전해졌다. 이제 마르크스주의는 지나간 인간 중심 철학의 몰락을 보여 주는 한 예로 여겨질 뿐이다.
과연 마르크스의 사상은 환경 위기 시대에 어떠한 통찰도 내놓을 수 없을까? 자본주의 체제 아래에서 엄청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인류에게 마르크스의 사상은 더 이상 아무런 의미를 전해 줄 수 없을까?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는 사람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이러한 오해를 벗겨내고, 기후 위기 시대의 진정한 책임은 자본주의 체제에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책은 이 위기를 벗어나서 자본주의 체제를 변혁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마르크스로 다시 돌아가자고 주장한다. 마르크스 당대의 농업과 자연과학 이론의 발달과 마르크스의 지적 여정을 치밀하게 추적하면서, 저자는 마르크스가 단순한 프로메테우스주의자가 아닌, 인간과 자연의 관계의 회복, 새로운 통합을 위한 방법을 고안해 내었고, 이러한 중대한 과제 덕분에 결국 주저『자본』과 정치경제학 비판 기획이 미완에 그치고 말았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논증한다.
저자는 마르크스의 풍부한 사상을 폐기하려는 움직임에 제동을 걸면서, 마르크스의 핵심 저술과 자연과학 노트를 바탕으로 ‘물질대사 균열’이라는 인식의 기원부터 그것의 활용과 이를 통해 마르크스가 어떻게 자본주의의 파괴적 성격을 밝혀내었는지 밝힌다. 또한 당대의 농학 이론의 발달과 유스투스 폰 리비히, 카를 프라스를 위시한 토지의 개량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했던 당대 농학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마르크스가 이들의 많은 저작들을 연구하면서 얼마나 그 당시 경제학적 위기와 환경 위기에 대해서 통찰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꼼꼼한 문헌 연구와 해석으로 치밀하게 논증한다
이 책은 2부로 나뉘어져 있다. 1부 생태학과 경제학에서는 마르크스가 포이어바흐의 인간학에서 벗어나 어떻게 정치경제학 비판으로 나아갔는지, 그 과정에서 자연의 ‘소재적’ 특성이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밝힌다. 더불어 물질대사 개념을 받아들이게 된 과정과 토지 소유의 문제가 자본주의에서 노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치밀한 분석으로 밝힌다. 2부 마르크스의 생태학과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에서는 마르크스 당대의 농업 이론가들(리비히, 프라스 등)이 토양을 둘러싼 여러 이론들을 내놓고 서로 주고받았던 논쟁들을 정리하면서, 데이비드 리카도의 수확체감의 법칙을 어떤 식으로 변주되었는지, 농화학파과 농업물리학파의 대립 속에서 토양 비옥도의 문제가 어떻게 자본주의 착취와 약탈 체제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힌다. 이렇게 해서 저자는 자본주의 체제의 복합적인 모순을 자연과학 연구를 통한 마르크스의 시선으로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 책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에 환경 위기가 내재해 있음을 알았다고 주장하면서, 마르크스가 남긴 유산이 지금까지 이해되었던 것보다 훨씬 풍부하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독자들은 이 책으로 마르크스가 수행한 비판과 지속 가능한 생태사회주의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데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국제적 교류의 중요성도 다시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접기
----------------------
전체 (2)
공감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지양을 정치경제학과 자연과학(생태학)을 통합하여 역사적으로 철저히 고증한 책. 학술논문의 귀감이라고 볼 수 있음. 와!!! 이러한 책을 쓸 수 있다니 진짜 대단, 부럽다. 
laboreran 2020-02-16 공감 (2) 댓글 (0)
=====================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사이토 고헤이
공방 RGCPPgongbang 2020. 10. 9. 19:03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65099.html#csidx07b01d65ff6e52c8c253c1838bb1205
생태사회주의의 문을 만나다
현대정치철학연구회 공방 현대정치철학연구… 구독하기
2021. 3. 13.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사이토 고헤이
https://space-x.co.kr/169 2/5


마르크스가 기술 진보와 생산력 발전을 무분별하게 칭송했다는 비판은 늘 있었다. 부르주아에 대한 존경심에서
솟아난 듯한 <공산당 선언>의 문장들은 마치 유토피아의 초대장으로 여겨질 정도다. “부르주아지는 백 년도 채
못 되는 그들의 계급 지배 동안 앞서간 모든 세대를 합친 것보다 더 많고 더 거대한 생산력을 창조했다.” “한마디
로 부르주아지는 자신의 형상대로 세계를 창조한다.” 자본의 진보적 성격에 대한 찬탄은 가을밤 불꽃놀이처럼
아름답기까지 하다.
그러나 강물이 바다 길목에 들어서면 소금의 기운이 번지고 다른 물이 되듯, 마르크스도 <자본>의 바다에 이르
자 다른 마르크스가 된다. 사이토 고헤이가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 속에서 마르크스가 변해가는 과정을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사이토 고헤이 지음 추선영 옮김 / 두번째테제2020
현대정치철학연구… 구독하기
2021. 3. 13.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 - 사이토 고헤이
https://space-x.co.kr/169 3/5
추적한 이 책 2부는 마르크스학의 백미다. 특히 1864년에서 1868년에 이르기까지 지대와 관련한 농학 저작들
에서 발췌한 노트, 각종 편지 등 전집의 처마 그늘을 뒤져 마르크스가 생태학에 눈뜨는 과정을 복원한 장면들은
눈부시다.
리카도부터 시작해보자. 리카도는 인구가 증가하여 식량 수요가 증가하면 비옥도가 더 낮은 토지를 경작할 수밖
에 없고, 동시에 같은 토지에 자본을 연이어 투자하면 그 토지에서 생산되는 생산량은 그 전보다 감소한다고 말
한다. 요컨대, 사람이 많아지면서 동시에 한정된 토지의 생산성도 떨어져 곡물 생산은 점점 줄어든다는 뜻이다.
이른바 수확 체감의 법칙. 그러나 마르크스는 여기에 의문을 제기한다. 역사적으로 그런 적이 없고 기술과 생산
성이 발전하면 이 문제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 그 마르크스다.
그러나 1865년 발췌 노트의 마르크스는 완전히 새로운 길로 들어서고 있었다. 농학자 리비히는 작물을 계속 재
배하려면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빼앗은 무기질 양분을 반드시 돌려주어 보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1868년
엥겔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마르크스는 “찰스 다윈보다도 먼저 다윈주의를 주장한 인물”인 농학자 프라스가
생산성에 기후가 큰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한 점에 주목한다. 예컨대 필요한 기온보다 낮은 지역에서 곡물을 경
작하면 그 곡물은 토양을 고갈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연의 한계를 알고 경작방식을 세심하고 의식
적으로 통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르크스는 이를 두고 “의식하지 못한 사회주의적 경향”으로 평가한다. 의식하지는 않았지만 프라스의 농학은
자본주의의 급소를 찌르고 다른 세계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적 관계 아래에서 고삐 풀린 채 이윤만을
지향하는 농업은 토양을 급격히 고갈시켜 장기 지속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심지어 그 토양 고갈에 대처하기 위
해 자본 투자가 증가하면 다시 생산비용만 상승시킨다. 자본이 인간과 자연 간 물질대사(Stoffwechsel)를 찢
고, 전 지구를 고갈시킨다.
마르크스는 리카도의 텅 빈 법칙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과학적 응답을 통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자연을 어
떻게 고갈시키는지를 깨달아간다. 사유의 툇마루에서 일어난 주체의 짜릿한 변형이다. 저쪽으로 넘어가는 문은
언제나 벽에 붙어 있는 법이다. 그러니 더듬어 벽에 닿아야 문도 만난다. 생태사회주의의 문을 만나기 위해 얼마
나 많은 벽에 부딪혔을 것인가.
강민혁 <자기배려의 책읽기> 저자, 철학자
==================

Daum 블로그
로그인알림친구
바로가기

사물의 풍경

자연과 문화 그리고 과학기술의 교차로에서 바라보는 사물/대상의 풍경



사진
동영상
알리미
방명록


사이토 코헤이: 인터뷰-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적 견해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2019. 6. 29.
과학, 근대성, 기후변화, 사이토 코헤이, 생태사회주의, 생태적 마르크스주의, 생태학, 세계관, 신진대사 균열, 자본주의, 철학,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적 견해 - 사이토 코헤이와의 인터뷰


The ecosocialist views of Karl Marx - An interview with Kohei Saito

Q: 당신은 『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Karl Marx's Ecosocialism)』이라는 책의 서문에서, 오랜 세월 동안 환경주의자들―게다가 심지어 많은 마르크스주의자―이 마르크스가 프로메테우스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자본주의 아래 발달한 기술에 무비판적이었음을 믿었다고 적고 있습니다. 이런 생각은 어디에서 비롯되었고, 그것이 오늘날까지 지속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A: 한 가지 명백한 이유는 마르크스가 『자본』을 마무리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말년에 마르크스는 자연과학을 열심히 공부하였지만, 자신이 새로 발견한 결과를 『자본』에 완전히 통합할 수 없었습니다. 마르크스는 제3권에서, 특히 자신의 지대론을 다시 쓰면서, 생태적 쟁점들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려고 계획했지만, 결코 그 작업을 매우 많이 진척시키지 못했고, 게다가 『자본』의 제2권도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마르크스는 자연과학에 관한 여러 권의 공책을 남겼을 뿐입니다. 불행하게도, 사실상 그것들에 주목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오늘날에도 그것들을 읽은 사람은 별로 없으며, 게다가 그것들은 오랫동안 출판되지도 않았는데, 이제야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이 제4부에 그것들을 출판합니다.




Q: 이런 무시가 왜 일어났습니까? 저는, 이른바 전통적 마르크스주의가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기획을 인간의 역사와 자연을 비롯하여 우주 속 만물을 설명하는 닫힌 변증법적 체계로 여겼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마르크스의 경제학 초고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고 그의 공책에는 훨씬 더 주목하지 않았는데, 요컨대 그 초고와 공책이 마르크스의 『자본』의 불완전한 특성을 입증합니다.




A: 물론, 이런 전능한 독법을 거부하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오늘날 "서구 마르크스주의(Western Marxism)"이라는 기치 아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전통적 마르크스주의를 거부하면서 엥겔스를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잘못된 창시자로 가혹하게 비난하는데, 엥겔스는 그릇되게도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비판을 우주의 과학적 체계로 확장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서구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엥겔스와 그의 자연 변증법을 축출하면서 자연과학과 자연의 권역도 자신들의 분석에서 배제합니다. 그 결과, 자연과학에 대한 마르크스의 진지한 관여는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자와 서구 마르크스주의자 모두에게 무시당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사실상 아무도 이처럼 만사를 포괄하는 마르크스 이론의 전능성을 믿지 않고, MEGA는 자연과학에 대한 마르크스의 관여를 명백히 가시적인 것으로 만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르크스의 텍스트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찾아내어야 하고, 게다가 그것은 새로운 자료로 마르크스 기획의 개방성을 생산적인 방식으로 활용할 기회입니다. 다시 말해서, 마르크스의 경제학 초고뿐 아니라 자연과학에 관한 공책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21세기에 자본주의에 대한 생태적 비판을 전개할 방법을 마르크스에게서 배울 수 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좌파에게 긴급한 실천적 및 이론적 과업인 이유는 현재 인간들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아래 심각하고 전지구적인 생태 위기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 당신의 책은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생태적 비판을 구조하는 데 전념하고 있는데, 요컨대 폴 버켓(Paul Burkett)과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 같은 생태사회주의자들이 수행한 작업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왜 마르크스의 분석이 오늘날 좌파와 환경주의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A: 그렇습니다. 제 접근법은 포스터와 버켓이 옹호한 "신진대사 균열(metabolic rift)" 이론을 분명히 계승한 것이고, 제 책의 목적 중 하나는 최근에 제이슨 W. 무어(Jason W. Moore)가 제기한 비판에 맞서 신진대사 균열이라는 개념을 옹호하는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자본주의 아래 대량 생산과 소비가 전지구적 풍경과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생태 위기를 유발한다는 점이 꽤 명백합니다. 그러므로 마르크스주의적 이론도 자본주의 너머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상해야 한다는 분명한 실제적 요구가 있는 상황에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한 물질적 조건과 자본주의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생태사회주의의 기본적인 통찰입니다.




저는, 나오미 클라인(Naomi Klein)의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This Change Everything)』가 신진대사 균열이라는 마르크스주의적 관념의 재생이 21세기의 생태사회주의적 기획을 위한 새로운 상상을 어떻게 개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매우 설득력 있고 구체적인 분석을 제공했다고 생각합니다. 클라인은, 그런 급진적 운동들이 이미 출현하고 있고 그것들의 목표가 실제로 추구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클라인이 주장하는 대로, 2100년에 평균 지구 온도가 섭씨 2도 이상 증가하지 않으려면, 산업 국가들은 지금부터 시작하여 매년 탄소 배출량을 크게 감축해야 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적 세계 엘리트 집단과 기업들이 이 요구를 수용할 수 없는 이유는 그들이 그런 기획은 자본 축적의 필요조건과 양립할 수 없음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에 파리 협약이 필요한 탄소 배출량의 감축을 달성하는 데 불충분하지만, 트럼프는 그런 수준의 탄소 감축도 수용할 수 없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는 기후 변화에 맞서 어떤 진지한 조치도 취할 수 없는 세계 엘리트 집단의 총체적 무능을 너무나 흔히 목격했습니다. 문제는 단순히 신자유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 자체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이런 까닭에 이제 클라인도 생태사회주의를 분명히 옹호합니다. "미래 세대에 대한 의무와 생명 전체의 상호 연결에 관한 토착적 가르침에서 배우는 겸손한 자세를 갖춘 새로운 형태의 민주적 생태사회주의가 인류가 집단으로 생존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인 듯 보인다." 적색과 녹색의 반목은 해소되어야 합니다.




Q: 당신의 책의 전반부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신진대사라는 마르크스의 관념에 집중합니다. 생태사회주의자들이 신진대사 균열 이론을 우리가 현재 목격하고 있는 다양한 생태 위기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말해주시겠습니까? 마르크스의 이론은 다른 종류들의 생태적 이론과 어떻게 다릅니까?




A: 마르크스는 자본의 파괴적인 힘을 명료하게 그리고 비판적으로 인식했기에 자연의 보편적 신진대사가 파괴되면 자유롭고 지속 가능한 인간 발달을 위한 물질적 조건의 기반이 반드시 약화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생산력의 자본주의적 발달에 특유한 약탈적 특질은 미래 사회로 이어지는 진보를 낳지 못합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의 논리가 영원한 자연적 순환에서 벗어나서 궁극적으로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신진대사적 상호작용에서 다양한 부조화를 초래하는 방식을 분석하려고 시도했습니다. 널리 알려진 대로, 마르크스는 이 점을 토양에서 양분을 그것에 되돌려주지 않은 채 가능한 한 많이 취하는 근대의 약탈 농경―라우바우(Raubbau)―에 대한 유스투스 폰 리비히(Justus von Liebig)의 비판과 관련지어 분석하였습니다. 약탈 농경은 이윤 극대화로 추동되는데, 그것은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한 토양의 물질적 조건과 결코 양립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본의 가치 평가 논리와 자연의 신진대사 논리 사이에 중대한 간극이 출현하는데, 요컨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서 신진대사 균열이 발생합니다.




『자본』에서 마르크스는 주로 신진대사 균열이라는 이 문제를 토양 소진과 관련지어 논의하지만, 그 범위를 그것에 한정할 필요는 결코 없습니다. 사실상, 말년에 마르크스 자신은 이런 이론적 개념을 벌목과 목축업 같은 다양한 쟁점에도 적용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러므로 마르크스는, 오늘날 이런 이론적 틀을 진행 중인 환경 위기를 분석하는 도구로서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음을 알게 되면 기뻐할 것입니다. 몇 사람을 거명하면, 해양 생태에 관한 론고(Longo), 목축업에 관한 리안 군더슨(Ryan Gunderson)뿐 아니라 기후변화에 관한 델 왓슨(Del Watson)이 마르크스의 신진대사 균열 이론을 생태사회주의적으로 적용한 탁월한 사례일 것입니다.





생태사회주의적 접근법과 다른 갈래들의 생태학적 이론의 접근법 사이에서 드러나는 한 가지 명백한 차이는, 자본주의적 체계가 지속하는 한 생산의 물질적 조건의 악화를 향한 불가피한 경향이 있다는 통찰이다. 다시 말해서, 가까운 미래에는 녹색 자본주의가 아무튼 가능할 것이라는 끈덕진 자유주의적 믿음과는 대조적으로 시장은 지속 가능한 생산을 위한 좋은 매개자로서 작용할 수 없습니다. 우리에게 남아 있는 시간은 매우 짧습니다.




이런 조건 아래, 탄소 거래나 다른 시장 교역이 기후변화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유주의자들의 희망은 우리가 실제 위험과 위협을 직면하지 못하도록 주의를 다른 곳에 돌리게 하는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 작용하는데, 마치 시장이 우리가 현존하는 생산 양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려고 의식적으로 개입하지 않아도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말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자유주의자들은 매우 위험합니다.




Q: 당신 책의 후반부는 자본주의 아래 "합리적 농경"을 성취할 가능성에 대한 마르크스의 견해와 그가 자신의 연구를 계속하면서 그 견해가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양상에 집중합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에 의해 유발된 생태적 파괴는 자본주의의 한계 내에서 해소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까?




A: 청년 마르크스는 기술과 자연과학의 자본주의적 발달에 관해 여전히 꽤 낙관적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그것이 사회주의에서 지속 가능한 농경을 위한 조건을 준비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자본』을 저술하면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주요 목적은 지속 가능한 생산이 아니라 자본의 가치 평가라는 점을 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마르크스는, 궁극적으로는, 자본 축적이 여전히 가능한 한 지구의 대부분이 생명에 부적절해지더라도 상관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따라서, 마르크스는 기술적 발달이 "자본의 생산력"으로 조직된다는 점을 깨달았는데, 그러하여 기술의 부정적 양태들이 전면적으로 실현되어서 기술은 사회주의적 사회를 위한 물질적 조건으로 작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 문제는 자본은 환경적 재난에서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에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향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신자유주의적 "재난 자본주의"가 행한 일에서 분명히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제임스 오코너(James O'Conner)가 "자본의 두 번째 모순"에 관한 자신의 이론에서 지적한 대로, 저렴한 자연의 종말이 자본 축적에 큰 어려움을 안길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결과적으로, 사실상 자본은 지구공학과 유전자 조작 유기체, 탄소 거래, 자연재해 보험 같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명함으로써 현재의 생태 위기에서 더 많은 이익을 계속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연적 한계는 자본주의적 체계의 붕괴를 초래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적 체계는 그 한계도 넘어서 지속할 수 있지만, 현재의 문명 수준은 어떤 한계를 넘어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이런 까닭에 지구온난화에의 진지한 관여는 자본주의에 맞서는 의식적인 투쟁을 동시에 요구하게 됩니다.




Q: 당신은, 말년에 마르크스가 사회가 자연을 비합리적으로 관리한 결과로서 초래될 기후변화의 위험을 깨닫게 되었다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마르크스가 150년 전에 글을 쓰고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믿을 수 없는 통찰입니다. 마르크스는 기후변화를 어떻게 이해했습니까?




A: 포스터는 마르크스가 온실 효과에 관한 틴달(Tyndall)의 강연에 참석하여서 오늘날 지구온난화에 대한 원인에 관해 알았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제 주장은 약간 다른데, 그 이유는 마르크스가 이런 화제에 친숙했음을 입증할 직접적인 증거가 없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저는 1868년 초에 마르크스가 읽은 칼 프라스(Carl Fraas)의 『시간에 따른 기후와 식물 세계(Climate and Plant World over Time)』에 관한 그의 공책을 검토했습니다. 이 책은 기후변화를 온실가스 배출이 아니라 지역의 공기 순환과 강우량을 변화시키는 과도한 벌목의 결과로 논의합니다. 프라스의 분석은 자본주의적 생산의 약탈적 특질에 대한 마르크스의 관심을 토양 소진 너머로 확장했고, 그래서 이런 의미에서 마르크스는 프라스의 이론을 리비히의 이론보다 훨씬 더 높이 평가했습니다.




마르크스는 오늘날 지구온난화의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했더라도, 그것이 주요한 결함이 아닌 이유는 마르크스가 만사를 설명했다고 주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마르크스는 자연과학의 새로운 발견을 신진대사 균열에 대한 자신의 분석에 통합하기를 매우 열렬히 원했습니다. 그는 이 목표를 완전히 달성할 수 없었고, 『자본』은 미완으로 남았습니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은 최근의 과학적 진보를 편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탄력적입니다.




신진대사 균열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이 현재의 전지구적 생태 위기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치경제학과 자연과학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자본주의에 대한 근본적 비판으로 전개함으로써 마르크스의 생태학을 21세기에 맞게 구체화하고 갱신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과업입니다. 이것이 바로 이미 언급한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브렛 클라크(Brett Clark)와 리처드 요크(Richard York) 같은 사람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일입니다.




Q: 영국 식민주의로 인하여 아일랜드의 토양이 소진된 사례를 활용함으로써 마르크스는 자본의 전세계적 팽창이 어떻게 식민 국가들의 생태 위기와 직접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는 이 사례에서 어떤 교훈을 끌어낼 수 있고, 그것이 규모가 훨씬 더 큰 오늘날의 전세계적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에 관해 무엇을 말해줍니까?




A: 신진대사 균열이라는 개념에 대한 핵심 구절에서 마르크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은 "토양의 자연법칙에 의해 처방된 자연적 신진대사와 사회적 신진대사의 상호 의존적 과정에 돌이킬 수 없는 균열을 일으키는 조건을 제공한다. 이것의 결과는 토양 활력의 탕진이고, 무역은 이런 약탈을 단일한 국가의 경계를 훨씬 넘어서 퍼뜨린다(리비히)." 자본주의적 축적이 확대됨으로써 신진대사 균열은 전지구적 문제가 됩니다.




마르크스의 이론은 옳은 것으로 판명되는데, 그 이유는 이런 사태가 바로,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언급한 대로, 기후변화는 자본의 체제를 종식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쨌든, 자본주의는 훨씬 더 탄력적입니다. 지구 전체를 파괴하고 세계 전역에 대량의 환경 프롤레타리아트를 산출하도록 생태 위기가 깊어지더라도 이런 사회적 체계는 살아남아서 자본을 계속 축적할 개연성이 있습니다.




부유한 사람들은 아마 생존할 것이고, 한편으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보다 당면 위기에 대한 책임이 훨씬 작은데도 기후변화에 훨씬 더 취약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다가올 기후변화의 파국적 결과에서 자신을 보호할 유효한 기술적 및 재정적 수단을 소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일랜드와 인도에서 이루어진 영국의 식민주의 사례에서 그랬던 것처럼 기후 정의를 위해 싸우는 것은 계급 투쟁의 한 요소를 명백히 포함합니다.




기후변화는 우리 삶과 관련하여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을 것이지만, 기후변화를 변화시키는 것은 자본주의를 바꿀 것입니다. 이것이 생태사회주의가 생태 위기와 신진대사 균열을 자본주의의 중심 모순으로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마르크스가 최초의 생태사회주의자 중 한 사람인 이유는 그가 과도한 벌목과 기후변화에 대한 칼 프라스의 경고에서 "사회주의적 경향"을 찾아내었을 때 이 점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자연으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하는 것은 적색과 녹색 둘 다의 주요한 과업인데, 이것은 "녹색 자본주의" 안에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넘어서고서야 실현될 수 있습니다.

좋아요5
공유하기
글 요소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알라딘: 인류세

알라딘: 인류세
인류세 - 거대한 전환 앞에 선 인간과 지구 시스템   
클라이브 해밀턴 (지은이),정서진 (옮긴이)이상북스2018-09-25원제 :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2017년)


18,000원
판매가


3월 특별 선물! 시그니처/캐릭터 에코백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45억 년 된 지구에 현생인류가 등장해 살아온 지 20만 년이 지나 역사상 현 시점, 즉 '인류세(Anthropocene)에 도닥했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암중모색하는 책이다.

인간의 힘이 너무 강력해져 지구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교란할 정도가 되어, 급기야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인 인류세를 초래했다고 본다. 문명이 번성할 수 있었던 홀로세의 온화한 조건들은 사라지고 있으며, 인류는 '깨어난 거인' 앞에 움츠러들고 있다.

폭염과 폭우, 세계 곳곳의 여러 이상현상과 불가항력적 사태를 일으켜 인류를 괴롭히며 마치 반격을 가하는 것처럼 보이는 지구에서 인류는 앞으로도 계속 살아갈 수 있을까? 인간과 지구의 미래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고찰과 전망을 쓴 책이다.
목차
저자 서문: 깨어난다는 것

제1장 ‘인류세’라는 균열
지구 역사의 균열 │ 자연의 의지 │ 지구 시스템 과학 │ 그릇된 과학적 해석 │ 에코모더니즘의 허울 │ 이름을 둘러싼 논란

제2장 새로운 인간중심주의
모든 것을 의심할 것 │ 인간중심주의의 귀환 │ 인류세의 이율배반 │ 새로운 인간중심주의 │ 세계를 만드는 존재 │ 신인간중심주의 vs 에코모더니즘 │ 기술을 찬양하며

제3장 친구와 적
다시 부활하는 거대서사 │ 포스트휴머니즘 이후 │ 자연의 이상현상 │ 잘못된 존재론적 전회 │ 우주론적 감각 되살리기?

제4장 행성의 역사
인간의 중요성 │ 역사에는 의미가 있을까? │ 계몽적 우화 │ “정치는 운명이다”

제5장 인간의 흥망성쇠
자유는 자연에 엮여 있다 │ 책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유토피아 없이 살아가기

주 │ 찾아보기

책속에서
첫문장
먼저 과학부터 살펴보자.
P. 28~29 ‘인류세’는 오독, 오해, 이념적 포섭에 빠르게 휩싸여 이 개념을 처음 접하는 대다수가 심각하게 오도되기 쉽다. ‘인류세’는 자연경관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거나 생태계를 변형시키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가 아니다. 인류세는 ‘지구 시스템 전반의 기능에 생긴 균열’을 설명하는 용어라는 것과 이 균열로 인해 현재 지구가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접기
P. 48 인류세를 개탄하거나 두려워할 게 아니라 축복해야 할 사건으로 바라보는 무리 중 가장 눈에 띄는 이들은 주로 미국에 집중되어 있는 자칭 ‘에코모더니스트’(ecomodernist)라고 하는 환경운동가들이다. 이들이야말로 주류 경제·정치 체제의 생각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전형이라 할 만하므로, 이들의 세계관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재계와 정계의 권력 정점에 있는, 세계경제포럼이 열리는 다보스에서 모일 거라 추정되는 이들이 인류세에 대한 견해를 피력하고자 한다면, 바로 이 에코모더니스트들에게서 힌트를 얻을 것이다.  접기
P. 85~86 인류세에서 “우리 공동의 터전은 우리를 안아주기 위해 두 팔을 벌리는 아름다운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함께 살아가는 자매와 같다”고 믿는 것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로마 교황의 회칙처럼 세계를 “남자와 여자들에게 맡긴” 것으로 보는 관점은 홀로세에서는 그럴듯한 작업가설이었다. 그러나 더 이상은 아니다. 오늘날 어머니 지구가 두 팔을 벌린다면, 우리를 안으려는 게 아니라 으스러뜨리기 위해서다. 우리의 목표는 “자연을 구하는” 게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서, 그리고 자 연으로부터 우리를 구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지구 시스템을 교란하는 모든 행위가 우리를 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춘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말이다.  접기
P. 90 우리는 지구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지구 시스템을 통제하려는 것(이를테면 행성 규모의 지구공학 기술을 통해)은 어리석은 시도다. 하지만 뒤로 물러나 모든 것을 혼란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고자 희망하기에는 이미 늦었다. 우리가 지구 시스템에 초래한 혼란 중 일부는 현재 되돌릴 수 없으며, 그로 인한 영향은 수천 년간 지속될 것이다. 홀로세로 돌아가기 에는 너무 늦었다  접기
P. 185 만약 인간이 지구의 심원한 시간 중 불과 20만 년을 살다가 종말을 맞이한다고 해도 강한 의미에서 인간 없이 지구는 존재할 수 없다. 이것은 분명한 사실로 남아 있다. 인간이 없다면, 지구의 존재는 생각조차 할 수 없다. 물론 인간이 없는 지구를 상상할 수는 있지만, 오직 지적인 존재만이 머릿속에 상상할 수 있다. 인간만이 지구상에서 세상을 만들며, 지구가 하찮은 우주적 존재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오직 인간만이 지구를 우주적 이해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지구에서 인간의 소멸은 우주적 의미를 갖는 비극이 될 것이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클라이브 해밀턴은 인류세의 개념에 관한 논쟁에서 독창적이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뚜렷한 목소리를 내왔다. 이 책은 인문학에서 인류세 개념을 둘러싼 각기 다른 해석들 사이의 거리를 좁혀주는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시대에서 인간으로 살아가는 의미에 대해 아주 독자적인 통찰력을 보여준다. 우리 시대의 필독서라 할 만하다.” - 디페쉬 차크라바르티 (역사학자, 시카고대학 교수) 
“지나치게 뜨거워진 행성 지구를 떠나 로켓을 타고 새로운 세계로 이주하거나 대기에 황 입자를 가득 뿌려 태양광을 차단하자는 생각에 열광하는 이들에게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우리의 진정한 책임에 대해 매우 설득력 있게 서술한 이 책을 소개한다.” - 빌 맥키븐 (《자연의 종말》(The End of Nature)의 저자)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8년 9월 22일자 '새로 나왔어요'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8년 9월 21일 교양 새책
연합뉴스 
 - 연합뉴스 2018년 9월 25일자 '신간'
저자 및 역자소개
클라이브 해밀턴 (Hamilton, Clive)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호주 캔버라의 찰스스튜어트 대학교 공공윤리 담당 교수. 호주국립대학교에서 역사학·심리학·순수수학, 시드니 대학에서 경제학 학위를 받았다. 1986년에는 영국 서섹스 대학 경제발전연구소에서 “한국의 자본주의적 산업화”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 지구적 현상인 성장 이데올로기를 치밀하고 예리하게 비판하는 경제학자이자 기후변화와 복지, 민영화 등 공공정책 분야에서도 진보적인 이론을 수립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실천하는 지식인이다.
국내에 소개된 《성장숭배》(Growth Fetish, 바오출판사), 《누가 지구를 죽였는가》(Requiem for a Species, 이책) 외에도 Earthmasters(2013), What Do We Want? The story of protest in Australia(2016), Silent Invasion: China’s Influence in Australia(2018)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접기
최근작 : <인류세>,<누가 지구를 죽였는가>,<성장숭배> … 총 36종 (모두보기)
정서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영 번역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대지의 아이들 1부: 동굴곰족》《신이 토끼였을 때》《스카이 섬에서 온 편지》《미식 쇼쇼쇼》《우리가 몰랐던 도시》《문명과 식량》《인류세》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22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이상북스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삶의 어느 순간, 걷기로 결심했다>,<신분피라미드사회>,<한 알의 모래에서 세계를 본다>등 총 47종
대표분야 : 환경/생태문제 21위 (브랜드 지수 4,579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점점 더 예측불가해지는 지구에서 앞으로 인류는 어떻게 살아갈까?
인간과 지구의 미래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고찰과 전망

해마다 기록을 갱신하며 우리를 괴롭히는 폭염과 폭우, 또 세계 곳곳의 이상기후 현상들을 접할 때마다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이 지구에 뭔가 문제가 생기고 있음을 상기한다. 게다가 얼마 전에는 ‘북극 최후의 빙하마저 녹기 시작했다’는 뉴스까지 전해졌다. 마지막 빙하기였던 약 2만 년 전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린란드 북쪽 지역 빙하의 면적이 1980년대와 비교해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여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한 결과 약 2030년 정도면 북극 빙하가 완전 소멸될 것이라는 말도 들린다. 빙하가 녹는 것은 지구 도처에서 일어나는 이상기온 현상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이 책은 45억 년 된 지구에 현생인류가 등장해 살아온 지 20만 년이 지나 역사상 현 시점, 즉 ‘인류세’(Anthropocene)에 도달했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암중모색하는 책이다. 암중모색(暗中摸索)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우리에게 닥친 변화가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빠르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두서너 세대는 족히 지나야 온전히 이해가 가능한 변화가 순식간에 일어났다. 우리 시대 최고의 과학자들은 지구의 생명유지 시스템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훼손되는 엄청난 재앙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직 국제층서위원회에서 인류세를 공식 도입하지는 않았지만, 많은 지구과학자들이 홀로세가 끝나고 인류세가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고, 그로 인해 지구 시스템(Earth System) 전반에 미친 엄청난 영향력 때문이다.
인간의 힘이 너무 강력해져 지구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교란할 정도가 되어, 급기야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인 인류세를 초래했다. 문명이 번성할 수 있었던 홀로세의 온화한 조건들은 사라지고 있다. 인류는 ‘깨어난 거인’ 앞에 움츠러들고 있다. 여러 이상현상과 불가항력적 사태를 일으켜 인류를 괴롭히며 마치 반격을 가하는 것처럼 보이는 지구에서 인류는 앞으로도 계속 살아갈 수 있을까? 우리 모두에게 길게 드리워진 인류세의 그림자를 똑바로 인식하고 나아갈 길을 모색해야 할 절박한 시점이다. 이미 지구 시스템은 돌이키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늦기 전에.


인간 vs 지구

과학계에서는 인간의 힘이 매우 강력해져 자연의 거대한 힘들과 겨루어 행성의 경로를 변화시킬 정도가 되었다고 말한다. 다른 일각에서는 홀로세 동안 잠들어 있던 자연의 힘들이 깨어나 더 위험하고 더욱 통제가 어려워지는, 장기간 지속될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이제까지 결코 지금처럼 강력했던 적도, 자연에 대해 지배력을 행사했던 적도 없다.
그러나 현재 우리 인간은 거대한 빙상이 마침내 물러나 인구가 번성하는 데 적합한 온대기후의 방대한 대지가 펼쳐진 이후 최소 1만 년 동안 경험해 보지 못한 자연의 힘 앞에 취약하게 놓인 상태다. 기후 시스템은 점점 강력한 힘을 발휘해 더 많은 폭풍과 들불, 가뭄, 폭염을 일으키고 있다. 기술이 인간으로 하여금 강의 흐름을 바꾸고 원자의 힘을 활용하게 이끌었지만, ‘가이아(Gaia)가 격노해’ 극심한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그 앞에서 우리 인간의 힘은 보잘것없어 보인다. 유력한 생물의 손아귀에서 기술이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잠재된 힘들이 분출되어 더욱 예측하기 어렵고 더 위험해졌으며, 결정적으로 인간의 지배를 덜 받게 되었다.
인간은 더 강해졌다. 자연도 더욱 강해졌다. 이 둘을 합쳐 생각하면 지구상에는 더 강력해진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인간과 지구 사이의 힘겨루기가 진행 중인 것이다. 이 줄다리기에서 인간 은 지구를 우리의 영향권 안으로 끌어당기려 애쓰고 있다. 지구는 우리를 자신의 영향권으로 잡아당기고자 한다. 일부 철학적 입장은 지구의 강력해진 힘만을, 다른 입장은 인간의 강력해진 힘만을 인정한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두 힘 모두를 인정하지 않는다. 지구와 인류의 이런 힘겨루기에서 단순하게 낙관 또는 비관하기보다 지구와 인간의 힘 모두를 인정할 때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클라이브 해밀턴은 인류세를 ‘우리가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하도록 요구하는 시대’로 규정한다. ‘깨어난 거인’ 지구의 도전과 그 앞에 선 인류의 운명을 이제 냉정하고 엄밀하게 반추해야 할 시간이다.

[미디어 소개]
☞ 매일경제 2018년 9월 28일자 기사 바로가기
☞ 연합뉴스 2018년 9월 25일자 기사 바로가기
☞ 동아일보 2018년 9월 22일자 기사 바로가기
☞ 한겨레 2018년 9월 21일자 기사 바로가기
☞ 부산일보 2018년 9월 28일자 기사 바로가기
☞ 세계일보 2018년 9월 29일자 기사 바로가기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23) 읽고 있어요 (2) 읽었어요 (7)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3% 10대 0%
7.3% 20대 5.6%
12.4% 30대 7.9%
18.5% 40대 16.0%
8.7% 50대 16.3%
0.6% 60대 6.5%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0)
공감순 
등록된 100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2)
리뷰쓰기
공감순 
     
새로운 시대를 열어버린 인류, 책임질 수 있을까 새창으로 보기
      우선 제목부터 설명해보자. 인류세란 인류에게 부과된 세금(稅)을 말하는 게 아니라, 인류로 인해 시작된 새로운 지질학적 시기(世)를 말한다. 학창시절 생물학에서 ‘종-속-과-목-강-문-계’라는 이름으로 생물들을 분류하는 기준을 외웠듯이, 지질학에서도 그 규모에 따라 ‘절-세-기-대-누대’의 순서로 지질학적 시대를 구분한다고 한다. 그 중에서 ‘세(世, Epoch)'는 절보다는 조금 더 큰 지질학적 변화를 가리킨다.

 

     현재 우리는 홀로세(Holocene), 혹은 현세(Recent)를 살고 있는데, 저자를 비롯한 한 무리의 학자들은 우리가 이미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인 ‘인류세’로 접어들었다고 말한다. 책의 상당 부분은 이 ‘인류세’의 정의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데 할애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제법 학식이 있는 학자들 가운데서도 이 용어의 정의에 대해 혼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때문에 저자는 그런 ‘잘못된 인식’들과의 대조를 통해 좀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린다.

 

     언뜻 최근 많이 언급되는 기상이변이나, 자연파괴 같은 용어들이 떠오르지만, 인류세란 단지 인간이 지구의 자연환경에 미친 큰 영향력 정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이는 산업혁명 즈음의 급격한 화석연료 사용증가로 초래되었고, 지구 시스템 전반에 걸친 지대한 충격과 이로 인한 급격한 변화(책에는 ‘균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를 가리키는 말이다.(‘인류’라는 용어가 지나치게 서구중심적이라고 바꾸려는 사람도 있고, 그냥 인간의 등장 자체가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보는 관점이나 아예 인간 자체에 별다른 중요성을 두지 않는 학파들―이쪽은 ‘운동’이라고 불러야겠지만―도 있다. 누가 뭐 하나 주장하면 거기에서 틈을 찾아 자기 생각을 끼워 넣으려는 ‘지식인들’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듯)

 

 

     책의 나머지 부분은 이 새로운 시대의 도래가 어떤 인문학적, 세계관적 함의를 지니는지를 설명하는 데 할애된다. 이 관점은 인류가 지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 나아가 중심임을 주장함으로써, 인간의 행위성을 축소하려는 신유물론자 등의 주장의 반대편에 선다. 또, 인류세라는 거대한 이야기 안에 국지적인 다양한 요소들이 모두 포함된다는 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파편성을 되돌린다. 물론 이 개념은 인간이 지구를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사실 이 부분은 약간 지루하게 이어지는데다가, 앞서 나왔던 내용들도 계속 반복되는 느낌이다. 학계에 새로운 개념 하나를 도입하는 것이 얼마나 큰 노력이 필요한지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긴 하지만, 애초에 기대했던 내용과는 좀 다른 방향이었던지라 눈에 잘 들어오지는 않는다.(책을 읽기 전 내 기대는, 인류세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나타났는지를 묘사하면서, 그 전망을 예측하는 식의 구성이었다)

 

 

     인류의 발자국이 지구의 시스템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주장이 굉장히 무겁게 다가온다. 핵융합으로 인공태양을 만들고, 인공강우 실험까지 추진되고 있는 상황은 과연 발전하고 있는 걸까. 심지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인류에게 지구 차원의 변화를 일으킬 힘이 없다고 굳게 믿고 있고(지구가 스스로 회복할 것이라는 식의 베리에이션도 꽤나 인기를 끄는 듯하다), 변화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고까지 하고 있으니...

 

     여러모로 우리는 대전환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것 같다. 문제가 이렇게 (전 지구적으로) 커지면 그 대처방식도 달라져야 할 텐데, 이게 쉽게 가능할 것 같지도 않고.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다는 성서의 진단(롬 8:22)이 문득 떠오른다. 온갖 이해관계가 뒤섞인 상황에서 인류는 과연 이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게 될까.


- 접기
노란가방 2019-12-05 공감(6) 댓글(0)
Thanks to
 
공감
     
신인간중심주의의 반휴머니즘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이 책의 저자인 클라이브 해밀턴의 주장을 집약한 것이 인류세 시대 신인간중심주의의 반휴머니즘이라 할 수 있다.
지질학적인 '인류세'라는 진단은 지구 시스템 자체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고 그 긍정과 부정이 동시에 드러난 시대가 인류세라는거. 특히 부정적인 기후재난과 지구 파멸의 미래가 강조되는 것은 물론이다.
인류세라고 진단하는 구체적인 부정적인 문제들은 인류세와 관련된 다른 책들(예를 들어 <<사피엔스가 장악한 행성>>, <<2050 거주불능 지구>>, <<인류세의 모험>> 등)이 더 상세하고 이 책은 그런 것에 관심을 두고있지 않다.
오히려 이 책은 인류세가 자연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바꿔 지구 시스템 자체를 교란하는 시대에 들어섰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의 상호 관계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등장한 에코모더니즘이나 포스터휴머니즘 등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지만 이 책은 오히려 인류세 문제의 책임회피에 관여한다고 진단한다.
물론 각각의 비판적 의미는 분명히 있지만 인간 중심의 유토피아도 디스토비아도 해결의 방법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어떤 방향이 인류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일까?
문제의 정확한 인식과 직면이다.
이와 같은 인류세는 인간 중심이 아니라고 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가 없다. 오히려 인간 중심이기 때문에 이루어진 시대다. 따라서 이 책은 새로운 인간중심주의, 즉 지구 시스템의 주체로서 책임을 가지는 새로운 인간중심주의에서 이 인류세의 문제를 극복하자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형용모순처럼 보이지만 지구 시스템의 중요한 주체인 인간과 자연을 모두 중심에 두고 기존의 휴머니즘도 인간외 다양성을 주장하는 포스터휴머니즘도 아닌 반휴머니즘의 측면에서 지구 역사를 바라보고 책임감을 지닐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 접기
장이 2020-09-16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장정일 칼럼] 인류세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들

[장정일 칼럼] 인류세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들


[장정일 칼럼] 인류세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들
입력 2019.05.16 04:40 1  0 

스웨덴 기후변화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운데) [EPA=연합뉴스]
작년과 올해 사이 몇몇 잡지가 인류세(人類世ㆍAnthropocene)라는 신조어로 특집을 꾸몄다. 인류세란 지난 1만 년 동안 지구의 기후가 매우 온화하고 안정적이었던 홀로세(Holocene)의 뒤를 잇는 새로운 지질연대 이름이다. 이 용어는 구 소련의 지질학자 알렉세이 파블로프가 1922년 처음 사용했으나 서방학계에서는 상용되지 못하다가, 노벨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천이 2000년 2월 멕시코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사용하면서 국제적인 유행어가 됐다.

45억년에 이르는 지구의 지질연대표에서 한 시대 단위에서 다른 시대 단위로의 이행을 만들어내는 힘은 자연이었다. 반면 인류세는 인간이 주도적으로 새로운 지질연대를 도입한 주역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연대와 구분된다. 지구과학자들은 산업혁명 초기 대량으로 석탄연료를 사용하면서부터 인간이 기후 시스템을 교란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그 이후 150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증했다. 1945년경부터 시작되었다는 인류세는 지구 시스템 전반에 연쇄적 영향을 미치면서 해양 산성화, 생물종의 멸종, 질소 순환의 혼란 등을 불러온다. 이런 예상은 인류세를 과학적 판본의 묵시록으로 만든다.

많은 생태주의자들은 자연을 타자로 간주한 기독교와 서양의 인간중심주의 철학을 인류세를 초래한 원인으로 지목한다. ‘성서’에 따르면 신은 인간이 사용하도록 자연을 창조했고, 이에 따라 자연을 지배하고 개발하는 것을 당연한 권리로 여기는 의식이 생겨났다. 또 헤겔과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연은 잠재적인 상태로만 존재하며, 인간의 과업은 자연을 극복하고 인간화함으로써 그 잠재성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기독교와 인간중심의 형이상학이 발전시켜온 서양 철학은 자연과 인간의 이원론을 상정하고 있는데, 그것을 칸트만큼 명료하게 정식화 해놓은 사람도 없다. 칸트 철학은 세계를 필연의 영역(자연과 자연법칙)과 자유의 영역(인간이 점유한 영역)으로 명료하게 구분하는데, 이런 구분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식민화를 부추긴다.

클라이브 해밀턴의 ‘인류세’(이상북스, 2018)는 허다한 생태주의 서적을 반복하고 있는 것 같지만, 이 책의 목적은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전지구적인 생태 위기를 새삼스레 경고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지은이는 지구 시스템의 종말과 동어의인 인류세의 의미를 곡해하거나 인정하려고 들지 않는 여러 형태의 담론과 일전을 벌이기 위해 이 책을 썼다. 그의 주적 가운데는 과학ㆍ기술의 힘으로 인류세를 극복할 수 있다는 에코모더니스트(ecomodernist)가 당연히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인류세를 자연을 개조하고 제어하는 인간의 능력을 과시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로 여기는 기술유토피아주의자들은 그의 주적이 아니다.

에코모더니스트와 기술유토피아주의자들의 인류세 부정은 노골적이어서 알아보기 쉬운데 반해, 그가 주적으로 삼은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과 생태주의 철학자들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에 따라 인간을 자연과 근본적으로 분리한 것이 근대성의 원죄”라고 말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류세 해결의 장애가 된다. 즉 이들은 인간과 자연을 한 덩어리의 전체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이 자연의 위대한 힘들을 압도하고 있다”는 과학적 주장에 대적한다. “인간의 힘과 특별한 위치를 부인”하는 이런 관점은 지구 시스템을 파괴해온 초행위자로서의 인간을 보이지 않게 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해밀턴은 인류세의 의미를 곡해하는 이들 가운데는 실존적 패배주의들도 있다면서, 가이아 이론(Gaia: 자기 조절하는 지구)으로 생태철학과 환경주의자들에게 커다란 영감을 제공한 제임스 러브록을 거기에 포함시킨다. 가이아 이론에서는 인류의 막대한 문화적ㆍ지적 성취가 먼지로 취급되고 말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러브록 같이 자연이나 생태계가 중심에 있는 “비인간중심의 관점”이 아닌, 더 많은 인간의 책임 의식과 정치만이 인류세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런 주장이 더욱 강화된 인간지상주의에 불과한지, 아니면 지은이의 말처럼 “전략”인지를 논의하는 것은 지금부터다. 많이 읽어 주었으면 좋겠다.

장정일 소설가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Hamilton, Clive: 9781509519750: Amazon.com: Books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Hamilton, Clive: 9781509519750: Amazon.com: Books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1st Edition
by Clive Hamilton  (Author)
4.0 out of 5 stars    20 ratings

Humans have become so powerful that we have disrupted the functioning of the Earth System as a whole, bringing on a new geological epoch – the Anthropocene – one in which the serene and clement conditions that allowed civilisation to flourish are disappearing and we quail before 'the wakened giant'.

The emergence of a conscious creature capable of using technology to bring about a rupture in the Earth's geochronology is an event of monumental significance, on a par with the arrival of civilisation itself.

What does it mean to have arrived at this point, where human history and Earth history collide? Some interpret the Anthropocene as no more than a development of what they already know, obscuring and deflating its profound significance. But the Anthropocene demands that we rethink everything. The modern belief in the free, reflexive being making its own future by taking control of its environment – even to the point of geoengineering – is now impossible because we have rendered the Earth more unpredictable and less controllable, a disobedient planet.

At the same time, all attempts by progressives to cut humans down to size by attacking anthropocentrism come up against the insurmountable fact that human beings now possess enough power to change the Earth's course. It's too late to turn back the geological clock, and there is no going back to premodern ways of thinking.

We must face the fact that humans are at the centre of the world, even if we must give the idea that we can control the planet. These truths call for a new kind of anthropocentrism, a philosophy by which we might use our power responsibly and find a way to live on a defiant Earth.



4.8 out of 5 stars 4,025
Hardcover
$19.54 
Editorial Reviews
Review
"Defiant Earth is a major contribution to a topic that is of vital if not pre-eminent importance today. The book is highly original in its synthesis of the scientific, philosophical and religious issues raised by the coming of the 'Anthropocene.' Hamilton mines each of these traditions for ways to make sense of the new and frightening epoch that is upon us." - Adrian Wilding, University of Jena, Germany

"For those entertaining the idea that we should just rocket away from an overheated planet to some new world, or perhaps fill the atmosphere with sulphur to block out the sun, here's a remarkably powerful accounting of our actual responsibility--past, present, and future." - Bill McKibben, author of The End of Nature

"Earth system scientists' idea of the Anthropocene has given rise to two seemingly rival camps of thought in the humanities: there are those who want to fold the idea back into new histories of global capital, and those who have used the debate to move towards a new philosophical anthropology. Clive Hamilton has been an original, important, and distinctive voice in this debate. Defiant Earth goes a long way towards bridging the distance between these rival camps while generating insights of its own into the meanings of being human in an age of planetary climate change. An essential reading for our times." - Dipesh Chakrabarty, University of Chicago

"Drawing his observations from the humanities as much as the sciences, Hamilton offers a robust view of the current state of play; not a warning – we’re past that stage – but an attempt at understanding." - Geographical Magazine

“The book is a deeply philosophical and intensively argumentative plea for all of us to reconcile ourselves with the looming planetary crisis that is now on our doorstep. It is not only beautifully written, but passionately argued … All books should aim for this stimulating provocation of thought, but it seems a rare accomplishment that few manage to achieve.”
Academic Council on the United Nations System, ACUNS 
About the Author
Clive Hamilton is Professor of Public Ethics at Charles Sturt University in Canberra and author of Requiem for a Species: Why we resist the truth about climate change and Earthmasters: The dawn of the age of climate engineering.
Product details
Publisher : Polity; 1st edition (June 26, 2017)
Language : English
Paperback : 200 pages
ISBN-10 : 1509519750
ISBN-13 : 978-1509519750
Item Weight : 9.5 ounces
Dimensions : 5.43 x 0.71 x 8.43 inches
Best Sellers Rank: #975,607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317 in Geography (Books)
#651 in Environmental Studies
#1,026 in Environmental Policy
Customer Reviews: 4.0 out of 5 stars    20 ratings
Videos
Help others learn more about this product by uploading a video!
Upload video
More about the author
› Visit Amazon's Clive Hamilton Page
Clive Hamilton
 Follow
Biography
Clive Hamilton is an Australian author and public intellectual. Since 2008 he has been Professor of Public Ethics at Charles Sturt University in Canberra.

For 14 years, until February 2008, he was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Australia Institute, a progressive think tank he founded.

Clive has held visiting academic positions at Yal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Cambridge, the University of Oxford, University College London and Sciences Po in Paris.

He has published on a wide range of subjects but is best known for his books, a number of which have been best-sellers. They include Growth Fetish (2003), Affluenza (with Richard Denniss, 2005), Requiem for a Species: Why we resist the truth about climate change, (2010), Earthmasters (2013), What Do We Want? The story of protest in Australia (2016) and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2017).
 Show Less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Very poor Neutral Great
Customer reviews
4.0 out of 5 stars
4 out of 5
20 global ratings
5 star
 56%
4 star
 5%
3 star
 21%
2 star
 18%
1 star 0% (0%)
 0%
How are ratings calculated?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Read reviews that mention
earth system climate change clive hamilton defiant earth anthropocene human message science previous argument important responsibility nature planet course deeper idea matter pages philosophy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R. Smith
2.0 out of 5 stars If you are an insomniac, this book is for you!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17, 2017
Verified Purchase
Yikes! I am a firm believer in climate change and how man is a part of nature and not separate from nature. But reading this book is sooo laborious. The syntax is way self absorbed. The author seems to be more interested in showing he can write sentences that are over 50 words in length than making a point. It is pure Ambien to read this book. If you are an insomniac... BUY THIS BOOK! You will be asleep inside of three pages once you are past the first 15 pages. The book begins nicely but becomes an incessantly boring read afterward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Margit Alm
5.0 out of 5 stars I loved it and found it hard to put my Kindle ...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27, 2017
Verified Purchase
I had read/heard two previous reviews from friends who were not highly favourable of the book. So I approached my reading with some scepticism.
Not for long. I loved it and found it hard to put my Kindle away.
I really appreciated the philosophical-intellectual approach that Clive Hamilton took.
But most important to me was the key message of the book: humans are the culprits. We have to mend our ways, adapt, change dramatically to live with the anthropocentrically altered earth systems. Clive Hamilton reminded the reader to take responsibility. That word is music to my ears. Whether it is on a personal level, community level or environmental/planetary level, responsibility appears to be a word that has given way to 'rights'. We have to recover it and place it before 'rights' - in my view.
On the downside (but the downside does not detract from my rating): the message could have been delivered in some fewer pages, but then that applies to most books. The message needs to be delivered to the young. So a simplified version of the book for older children and youth may be in the order. Finally, the planet's greatest problem: human overpopulation was not spelt out, although indirectly the message was present by the mere fact that humans are the culprits.
Helpful
Report abuse
Simon Kerr
5.0 out of 5 stars While at times repetitive, the message bears repeating, ...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8, 2017
Verified Purchase
While at times repetitive, the message bears repeating, again and again. It is a compelling account of the impact of the Anthropocene, the geologically new world we have both created and entered. It is a world that will not serve humans well. This book has disturbed me in a way deeper that I thought would happen. Not all the chapters will be relevant for everyone, and it does tackle various academic controversies that will mainly concer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scholars, but its main thrust is important. I wish it wasn't ... but we now have no choice to live on an increasingly defiant planet.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Raymond J. Salmond
5.0 out of 5 stars Global warming changes all previous understanding of what human beings are in the univers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5, 2017
An exciting and clear survey of the philosophy of humanity's role in the universe, leading to Hamilton reclaiming hope from the current trajectory of failure of human beings to take responsibility for saving the Earth from the rapidly approaching climate change inferno.

"What is this being who has changed the course of the Earth itself?" Hamilton asks at one point, and a consideration of possible answers to this question might be seen as the core strand of the book. Hamilton provides an exciting overview of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on such matters, culminating in responses which have been elicited by the Anthropocene rupture in the Earth System.

Hamilton comes to his own, desperately hopeful, answer: a being who has the power to disrupt a world, but not to master it; capable of coming to a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Earth which recognises our power and our vulnerability.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Tony Smith
5.0 out of 5 stars Persuasive case for humankind to seize responsibilit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19, 2018
I started reading Defiant Earth under sufferance but kept finding things to strongly agree with to the point that I should leave my mostly stylistic quibbles to the penultimate. Clive Hamilton is a well known provocateur from the progressive side of politics, a player in literary machinations and academia. He also has a nose for a problem and identifies the nomination of the Anthropocene as the geological epoch commencing in 1945 as a good focus for facing the intellectual and practical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and other vectors of industrial-scale planetary degradation.

Hamilton starts out explaining what the Anthropocene is, what an officially identified geological epoch is, and why it is appropriate that the Anthropocene has been recently confirmed. As epochs are typically measured in tens of millions of years, it may be questionable as to whether any geologists in the distant future would identify the Holocene (currently) Epoch as more than another Pleistocene interglacial, but we are left in little doubt that the geological mark of technologically and industrially empowered humans on the planet since WW2 is indelible. He is also quick to deflate the ecomodernist contention that the capacity to damage on this scale suggests a capacity to similarly repair, accurately identifying that that idea carries with it the same oversimplifying assumptions that are digging us deeper into the mess, the idea that we can build planetary systems which improve on nature's still largely uncharted riches.

His next step insists that as humans have made the problem, it is humans who have to fix it, but without fanciful assumptions about technological bandaids at industrial scale. He sees this as a new anthropocentrism, an argument in a different space to the increasing evidence that reduces the long assumed gap between humans and others, more in line with my long held view of humans as means not ends. Interestingly, Hamilton draws significantly on Melbourne's adopted postmodernist Bruno Latour in his efforts to insert his arguments into literary, scholastic and ultimately theological traditions. Hopefully this will enlarge the audience for his arguments as leaving it to administrators, politicians, engineers and scientists has not yet got us very far. No matter what disquiet some of those inclusions might have brought me, all was forgiven very rapidly in the final chapter where he showed in quick succession that he has gained a good handle on complexity and emergence and the rich local variability of the natural world; that he similarly recognised the cosmological responsibility of the human project as being the only known attempt to codify knowledge of the universe; and that the road ahead is uncertain, rocky and needing to be tackled regardless.

While he uses "humankind" and "human project" appropriately, my nagging annoyance was that he conflated those with special status and responsibility of all human individuals as the direct beneficiaries of the Enlightenment. My aforementioned view of humans as means is sufficient justification for protection, nurturing and autonomy of individuals without more massaging of irresponsible egos. Is it a price he needs to pay to placate those who provide his licence to pontificate, or is it an inability to see through problems closer to home? Regardless, it is just an annoyance and does not reduce the importance of Hamilton's core message which might almost be revolutionary enough if anyone is really listening. But humans have co-opted far more other species of animal and more so of plant into economic relationships than any other naturally co-dependent cluster and it will be significantly dependent on many not yet co-opted to deliver the regenerative response to the Anthropocene described in Charles Massy's  Call of the Reed Warbler: A New Agriculture - A New Earth  so implying the Enlightenment separates individual humans from life's web may not be helpful.

Defiant Earth should be read and thoroughly digested by all who are more comfortable with the world of words mediating their lived experience. We are already every Baby Boomer's lifetime into the Anthropocene and planetary systems aren't co-operating with the neoliberal agenda, that struggle only getting more uncomfortable as some humans fail to place any limits on their own demands for comfort while vast numbers of the still increasing human population get to enjoy at least some basic comforts, however briefly.
Read les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JohnG
2.0 out of 5 stars I really enjoyed 'Requiem for a Species' by the same author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November 21, 2017
Verified Purchase
I really enjoyed 'Requiem for a Species' by the same author. This book is, however, turgid and extremely repetitive, more like someone's MA Thesis than material for a full book. He goes on and on about how and how not to define 'The Anthropocene' to the point that you find yourself silently screaming: 'I don't care, please just get on with the book'. But he doesn't. I gave up around 2/3rds way through, once I'd finally figured that he was going to find yet another 101 ways of say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Report abuse
Simon
5.0 out of 5 stars Defiant Earth - read i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ne 13, 2017
Verified Purchase
I like this book. It has a huge perspective and helps understand the huge forces at work as humans enter the Anthropocene. It explains why we've moved from a fairly hospitable planet to one where unpredictability will be the new norm.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He doesn't mince words and we need voices like his.
Reviewed in Canada on August 17, 2017
Verified Purchase
Clive is an important voice in these environmental crisis times. He doesn't mince words and we need voices like his.
==============================
 
Review of Defiant Earth by Clive Hamilton  (London: Polity Press, 2017) 
 
By Peter Reason 
http://thomasberry.org/publications-and-media/review-of-defiant-earth-by-clive-hamilton
 
It was several years ago that I first came across the shocking idea that humans were moving more physical stuff around the planet than the natural processes of volcanos and earthquakes, rivers and tides. In the last few years, the idea of the Anthropocene has engaged both scientists and civil society: human activities have been sufficiently extensive to have moved Earth out of the Holocene, the epoch of the last 10,0000 years, into a new epoch in which human actions have fundamentally impacted planetary dynamics. In (2106) I reviewed Gaia Vince's award winning book Adventures in the Anthropocene for EarthLines Magazine, and found myself troubled by the lack of fundamental thinking through the implications of statements such as 'We must choose the kind of nature we want'. I was also troubled by what I saw as the arrogance of the 'ecomodernist' gloss (http://www.ecomodernism.org/), the notion that humans can create a 'good' or even 'great' Anthropocene—a perspective that seemed to imply we could get ourselves out of the ecological mess we have created through 'more of the same', which offended against my understanding of system dynamic. 
So I was pleas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hear Clive Hamilton speak at the University of Bristol in the spring of 2017. Hamilton, an Australian 'public intellectual', Professor of Public Ethics at Charles Stuart University in Canberra, has been central to the debate about the natur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Anthropocene, writing a series of books that have both stimulated and infuriated readers. He describes this latest book as ‘groping toward understanding what it means… to have arrived at this point in history’. 
Chapter One sets out three ideas clearly. First is that the Anthropocene names a very recent rupture in the processes of Earth.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as to when the new epoch started: some argue that humans have always been 'world-making' species, certainly since the invention of agriculture; others point to its origins in the carbon-based economy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amilton dates the 'turning point in the sweep of Earth's history' (4) to the 'great acceleration' that followed the Second World War, when resource use and waste volumes took a sharp upturn. This rupture is therefore recent in human history and far more so in planetary history. And it is permanent: human actions—not least the massive redistribution of carbon into the atmosphere—will impact on the planet for millennia to come. It is unlikely that Earth will ever return to an epoch as benign for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s the Holocene. 
This leads to the second big idea, that the Anthropocene brings together human history with Earth history for the first time, so that the future of Earth depends not just on 'natural' processes, but on decisions that are volitional, made by humankind aware of its action and their consequences. Earth and human history are entangled as never before, and the future course of the Anthropocene depends in part on human impacts on the Earth system that have not yet occurred (7) 
The third big idea is that the transition we must grasp is that the Anthropocene is not just a re-naming of ecological concerns that have troubled at least some since the publication of Rachel Carson’s Silent Spring, but rather a rupture in the process of a entity newly discovered by scientific research which he terms the Earth System—a concept envisioned to capture the qualitative leap from disturbances in ecosystems to disruption in the whole planet (13) and the co-evolution of its 'spheres'—the atmosphere, the hydrosphere, the cryosphere, the biosphere and the lithosphere. It was not even possible to think in such terms before the arrival of a 'new scientific paradigm' which has it roots in the systems modeling of the 
Meadows and his colleagues in The Limits to Growth; in the Gaia hypothesis proposed by 
James Lovelock and Lyn Margulis; and more recently on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merging fully at the turn of this century as the 'integrative meta-science of the whole planet understood as a unified, complex, evolving system beyond the sum of its parts' (11-12).  
The Earth System is thus a 'new object' (11); its study supersedes, Hamilton claims, 'ecological thinking' as a biological science of relationships; it transcends earlier objects of study such as 'landscape' and 'ecosystem'. The emergence of this new object has ontological meaning. ‘It invites us to think about the Earth in a new way' (21). This 'new way' offers the vision of 'an Earth in which it is possible for humankind to participate directly in its evolution by influencing the changing processes that constitute it.  
Hamilton is critical what he sees as the 'misreadings, misconceptions, and ideological co-optations' (9) of the idea of the Anthropocene. Both scientists and social scientists have put forward interpretations informed by their own disciplinary perspectives that have deflate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epoch and diminished its qualities as a threatening rupture. (1421) The term ‘Earth System’ is systematically derived from a body of scientific evidence; so ‘The invention willy-nilly of substitute terms is itself an epistemological mistake because it treats scientific analysis as if it were the same as social analysis’ (92).  
In the later pages of chapter one, Hamilton turns to two major issues that arise from this definition of the Anthropocene. First, he takes to task with ecomodern gloss that asserts that humans now have the capacity to control climate and regulate Earth as a whole; we can therefore have a 'good' or a 'great' Anthropocene. Hamilton points out that, even if this were morally and practical possible,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a fals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rupture that has occurred. We are no longer in the Holocene epoch; the dynamic between humans and the Earth System has been 'fundamentally altered' (25). Maybe the conditions prevalent during the Holocene were a platform for a good Anthropocene, but the systems dynamics are now irrevocably disruptive. We are no longer on a resilient planet in which ecosystems can 'bounce back' but, as he develops later, on an Earth that is responding with metaphorical defiance to human meddling. 
But is it right to call this epoch the Anthropocene, when most of the impact on the Earth System is the consequence of industrial development primarily in the global North? Can we speak coherently for an abstract humanity? Does this not shift us into implausible imagined universal qualities of the human species? Arguments have been put forward to naming the epoch, for example, the Capitalocene. Hamilton's response is that, while not minimiz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Global North for the mess that has been created, China and India will soon surpass the carbon emissions of the North if they have not already done so. But more important, the Earth System, conceived as a whole, can make no distinction between races, cultures, or nations; and if all societies have not contributed to the rupture, all will experience its impact. 'If the Anthropocene is a rupture in the history of Earth as a whole, then it is also a rupture in the history of humans as a whole'. (34) 
Chapter Two begins by emphasizing the profound nature of the rupture we are facing: 
the 'monstrous anthropocentrism’ and 'the wanton use of our freedom and technological power’ have led us to the brink of ruin.  We face a nature that 'refuses to be tamed and is increasingly unsympathetic to our interests'. While we must confront this human arrogance, now is not the time to ‘cut humans down to size’ (40). Since the future of the entire planet and many forms of life is now contingent on the choices and actions humans make, 'denying the uniqueness and power of humans becomes perverse’. He insists we consider ‘the vast scale of human achievement (40) in all its cultural and scientific dimensions. At the same time, it is clear that humans cannot and will never 'master' nature, for its power is too great. Hamilton calls for a 'new anthropocentrism': it is too late for us to abandon an anthropocentric standpoint; we must face up to the 'profound importance of humans, ontologically and now practically, to Earth and its future'.  
On the one hand, humans have never been more potent; and on the other, 'Gaia has been outraged' and awakened by human action, now more unpredictable, dangerous and less subject to human control. We can no more design the nature we wish to have as 
ecomodernists claim, nor retreat to allow Mother Earth to return to balance, as some forms of ecological philosophy would argue. Now a powerful humanity faces an active and fractious Earth System. This new reality places 'human beings at the centre of the Earth System's evolution' (51). Humans are necessarily 'embedded' in the Earth System, 'the possessor of autonomy, more powerful than ever, but always constrained by the processes that govern the Earth System, not just locally but at the level of the whole’. The new anthropocentrism insists that on an active and fractious Earth humans are not free to do whatever they want but must ‘restrain ourselves and restrict what we do'; it 'emphasizes the unique responsibility humans have to protect the Earth and, above all, the avoid dangerous disruption of the Earth System’. 
One of the criticisms of the idea of the Anthropocene holds that it is untenable to think about the responsibility of humanity as a species. There is nothing about the Anthropocene that can be attributed to 'mankind in general'; it is in the divisions in humanity rather than its homogeneity that we must look for the origins of the Anthropocene. In this view the 
Anthropocene originates primarily and originally in the choices made by nations of the global north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Better, some say, to call it a Capitalocene.  
Hamilton counters that we must 'locate the rise of industrial capitalism within the broader arc of the history of the species and its disconcerting entanglement with geology'. Humans didn't just stumble into the new techno-industrialism; it was part of our trajectory, not just as species like any other, but as a humankind with a 'world-making capacity'. (62) Humans become humans within worlds of social and material practices, worlds of lived experience embedded in a material environment. The Anthropocene has disclosed a new object, the Earth System; in doing so it also incites us to 'think of humans afresh' and our material-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a 'planet altering force' (63). It reveals a 'new kind of human'. Traditional ways of exploring the subject-object dualism are needed. No longer can we think of ourselves as separate from nature, nor simply another part of it. Humans must be seen as subjects struggling to operate within a world that is both of their own making and radically Other at the same time (64). The world-making creature has become an agent of geological change: 'if the subject is always embedded, the world in which it is embedded is an Anthropocene world’. 
This position contrast to that of ecomodernists, who see a 'humanized Earth' as inevitable and desirable. For while ecomodernists see humans as essentially benign, the new anthropocentrism sees them as 'capable of enormous creative renewal but equally capable of catastrophic hubris and overreach' (66): the 'humanized Earth' of the Anthropocene is what we have always had to fear, 'one made by the misuse of our own powers'. Hamilton traces the roots of ecomodernists to the theology of theodicy, which holds that evil acts are necessary for the functioning of the larger whole that is in the ultimate analysis benevolent. In contrast, he reaches for a more complex position, quoting Goethe that human creativity is a ‘divine gift’, but one that tests our character. Hamilton celebrates human creativity while warning against our tendency to hubris. 
Where does this argument for a ‘new anthropocentrism’ get us? I think it helps to see humanity as both independently creative and embedded in a more recalcitrant planet. This offers a novel, if uncomfortable resolution of the subject-object dualism—except it is not a resolution, only and uncomfortable and temporary, even frightening, toehold. It implies that humans in their world making capacities must always tread, not just lightly but cautiously and tentatively; there is no clear place to stand. Hamilton's arguments against ecomodernism are convincing, although the ecomodern point of view is so firmly embedded in western conservatism that I doubt his arguments will hold much sway with adherents. 
But given this, I wonder if Hamilton wants to too strongly to find a resolution. He begins Chapter Two telling us that we must doubt everything; that all the ways we have thought about the human place in the world need to be upended. And yet he does he not return to something very familiar with his embrace of a 'new anthropocentrism'? Surely humans are independent actors embedded in dynamic Earth System; surely we are worldmaking creatures; AND we are embedded, evolved out of and part of that same Earth System. It seems to me that what is called for is not a re-centering of the human, but a new centering and a continual re-centering of the question of the human-Earth relationship.  
As I read on, I am increasingly uncomfortable about the way Hamilton’s arguments slip into either/or, more/less reasoning. The proposal that a humanity that has wantonly exercised its capabilities in such a way to have disturbed and awakened later forces in the Earth System is reduced to questions of who has more or less power. And there is something about the nature of his dismissal of other points of view that I find awkward and unpersuasive. 
Hamilton is never quite able to articulate a deep sense of humans with their particular gifts and capacities as full participants in life on Earth, both ‘plain members of the biotic community’ (to borrow Aldo Leopold’s phrase that I am sure Hamilton would hate) with particular and peculiar capabilities for ‘world-making’. His arguments often tend toward either/or choices for example in ‘We can no more 'design the nature we wish to have' as ecomodernists claim, nor retreat to allow Mother Earth to return to balance, as some forms of ecological philosophy would argue’; or when he argues that humans possess an ‘autonomy, more powerful than ever, but always constrained by the processes that govern the Earth 
System, not just locally but at the level of the whole'. In the end, his new anthropocentrism 'elevates humans to a previously unimagined power over nature' and that this marks us out as 'the unique creature'. 
But one of the important lessons from Gaia theory, as articulated for example by Stephan Harding in Animate Earth, is that the close systemic coupling of living and non-living has created an Earth System ever more biologically productive and ever more. As Tim Flannery puts it in Life on Earth, life spends the vast energy budget derived from photosynthesis on increasing diversity and modifying the planet to make it more habitable. 
The arrival of the Anthropocene is indeed brutally challenging to the human, and in particular Western, view of itself. Clearly we cannot go on before, and clearly both the ecomodernist dream of a humanized Earth and the naïve ecological dream on a return to the balance of the Holocene are untenable. Humankind can neither advance into nor retreat from the mess it has made. But I suggest that what is needed is not a ‘new anthropocentrism’ that sets a creative humankind up against and recalcitrant Earth—for surely, there can be no validity in a worldview even that even hints we stand against the Earth out of which we evolved and remain a part. Rather we must search for a sense of deep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the planet. As Flannery puts it, the human superorganism might redeem itself, take part in and even enhance Gaian self-regulation.  
Surely the emphasis must be on a continual process of cultural and intercultural inquiry. Earth System science must be integrated with the human science in a new systems holism. We need to discover and create, not just how to resolve the practical problems that confront us in energy use and generation, in farming, in conservation, in manufacture; but also a new sense of humankind on Earth. Hamilton reaches for this, a sense of an emerging global anthropos, in the later stages of his book, but his attachment to a new anthropocentrism continually throws him back into unnecessary oppositional arguments. In the new and challenging dispensation of the Anthropocene, nothing can be central for long, certainly not anthropos. 
This is particular evident in Chapter Three where Hamilton explores Friends and Adversaries, placing hi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other thinkers. He starts by reflecting that 'grand narratives that order and explain human experience are out of fashion' and reflects on Leotard's phrase that a metanarrative was an 'apparatus of legitimation'. The Anthropocene, he reflects, is a totalizing narrative par excellence, of 'life lived and ordered under the shadow of a new geological epoch'. But it is not, he argues, a narrative that legitimizes the current dispensation or promises a happy ending. It legitimacy lies rather in its truth-telling function: it is a narrative of fiasco, of being too late; but it is also a narrative that holds out that the worst can still be avoided. No appeal to cultural perspectives can get us round the blunt truth of the Earth System: 'If the postmodern moves in a world of knowledge, language and text, the Anthropocene brings us back to Earth with a thud'. This has a curious resonance with the old story of Samuel Johnson: when asked how he would refute Bishop Berkeley's proof of the non-existence of matter, he answered by 'striking his foot with mighty force against a large stone, till he rebounded from it—"I refute it thus"'. Postmodernists and social constructions will question Hamilton's emphasis on the truth-telling qualities of science; the reality of the Earth System is a new object remains central through the book. He argues that the extended difficulties of negotiating a climate change agreement have led humanity toward the shared question, ‘How can we live together on this Earth?’ Totalizing forces are also evident in the globalization of economics and culture. Thus the Anthropocene arrives as a grand narrative that all humanity is obliged to live under: an unexpected and unwelcome unification of humankind. 
Hamilton then turns to explore the intellectual trends that this new epoch challenges. He has no truck with denialism and has already disposed of ecomodernism, which posits increased human power against a quietist Earth. He seeks to contrast his vision of an Anthropocene in which an increased human power confronts an activation of the dormant forces of the Earth System with what he calls 'posthumanism' or 'ontological pluralism' that he sees as dominating ecological thought. These theorists breakdown the modernist assumption that there is something special about humankind over against Earth and other species; they argue for humans as another species, for agency as residing in networks of material things. Moving away from a view of a passive nature open to human domination, he contends that by giving more power to nature, posthumanists take it away from humans in a manner that is untenable. 
His critique of the posthumanists includes Donna Haraway, Anna Tsing, Jane Bennett and Timothy Morten. He argues that they have extended the trend in the social sciences of deconstructing hierarchies of power beyond social relations to focus on anthropocentrism itself. He states that although this looks like the continuation of radical social criticism, the extension from social critique to a critique of humanity's relation to the natural world is an 'unwarranted epistemological leap that drains the approach of its legitimacy' (87), although he doesn’t elaborate this contention. Hamilton contends that posthumanism—the position that ‘human beings remain embedded, entangled affiliated and networked into the natural world’ (89)—fails to acknowledge that fact that Hamilton regards as central to the Anthropocene, which is that they are at the same time a force in nature. The posthumanist position is untenable because, with the arrival of the Anthropocene, while our deep connections with natural processes are inescapable, 'humans do occupy a position separate from nature and from there now stand against it'. Hamilton wants us to accept the unique and extraordinary power of humans to influence the future course of the Earth rather than emphasise our embeddedness in natural processes. 
This emphasis is troubling and limits the power of his arguments. Hamilton wants to come down on one side of the dualism rather than embrace the paradox of embeddedness and separateness that his analysis points to. His arguments are inconsistent. On the one hand he wants us to 'engage with and pass beyond posthumanism' (89) but soon afterward states that human impact on the functioning of the Earth System 'elevates humans to a previously unimagined power over nature' and that this marks us out as 'the unique creature' (90). In retort to Donna Harraway’s assertion that she want to ‘get in the way of man making himself the greatest story ever told’, Hamilton counters ‘the blunt truth of the Anthropocene is that, in the book of life, 'man is the greatest story ever told' (91), pointing to the vast achievements of the human project.  
There is something over-determined about this argument. Over two pages (90-91) he italicizes five words emphasizing his position. He accuses Donna Harraway, of 'terminological incontinence’ and of inventing terms ‘willy-nilly’. He writes that to dissolve the boundaries between the human and non-human and distribute agency within material networks is 'anthropomorphism by stealth'. (95) He pays lip service to their contribution to decentering the human of modernism while reaching for a new certainty, a sense of power over. He has no truck with Tim Morten suggestion that 'nonhumans are entangled with us in all kinds of strange ways'. Yet that ‘strange entanglement’ seems to me to articulate the paradox of the human condition more fully than Hamilton's assertion of the unique power of humans. 
One way of thinking about this might be to see the ‘posthumanists’ and deep ecologists as emphasizing the embedded side of the dialectic. Haraway, for example, appeals for a greater sense of kinship—and not just kinship between humans. Hamilton may have a point is saying they over-emphasize this. But, for all his talk of a new anthropos, creative and agentic, that is constrained by a material world, he can equally be seen as over-emphazising the separated side.  We need a new sense of participatory reality that honours both separateness and embeddedness.  
As I read what seems to be a rather intemperate critique, I find myself wondering how carefully Hamilton has studied those he criticizes. This suspicion is supported by his treatment of one writer with whose work I am particularly familiar, Thomas Berry. In my view, Hamilton simply gets him wrong.  Early in the book (59) he associates Berry with the 'mystical' and 'transcendent holism' of Teilhard de Chardin, which 'exalts humans to a unique place but detaches us from the actual world'. While Berry draws on Teilhard's articulation of the universe as an evolutionary whole, and indeed argues in The Great Work that as intelligent beings the human ‘activate one of the deepest dimensions of the universe’ (25) his concern is for the human as a member of Earth community. He devotes a whole chapter of Evening Thoughts to an effective critique of transcendent thinking as a source of the present predicament; and he is quite clear that the human has evolved as part of the Earth process: ‘Earth is primary and humanity is derivative’ (19). Hamilton claims, not unreasonably, that the 'story of the universe' articulated by Berry with Brian Swimme and Mary Evelyn Tucker places the human as 'the mind and heart of the vast evolving universe'; but his argument that they focus on the 'marvelous ability of the human species to transcend any obstacle and continue into inexorable rise to a golden future' (59) is a straightforward distortion. I read no sense of an ‘inexorable rise’ in Berry's writing. He articulates the tragedy of our present predicament in his earlier book The Dream of the Earth. On the first page of Evening Thoughts he writes of the task of creating a viable future for ourselves and the entire Earth community. In The Great Work he elaborates the need for a ‘transition from a period of human devastation of the Earth to a period when humans would be present to the planet in a mutually beneficial manner' which holds no sense of the inevitability of such a transition. 
Berry grounds his arguments, as does Hamilton, in the relatively recent discoveries of the nature of the universe and Earth as a self-creating, evolutionary system. Although he was writing before the concept of the Anthropocene was mooted, in some sense he forsees it in his suggestion we are entering an Ecozoic Era (GW 201). Where he differs from Hamilton is in his broadly panpsychic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s a ‘communion of subjects, not a collection of objects’, in which the whole and each of its individual components ‘has an intangible inner as well as tangible physical structure’ (ET 38). Every aspect of the universe expresses a psychic/spiritual as well as material dimension, so ‘It seems best to consider mind and matter as two dimensions of a single reality that comes into being in an immense diversity of expression through the universe by some self-organizing process’  
Berry places humans as both members of the community of subjects on Earth, and as having particular gifts and aptitudes that are our responsibility to use at this moment of danger and transition. We need, he argues, ‘to move from a human centered to and earthcentered norm and reality. And Brian Swimme’s concluding comment in the video of the story of the universe is hopeful but by no means points to an inevitable outcome: 'Maybe wonder will save us'. There is no sense in Berry's writing that 'God or the Universe has a higher plan', as Hamilton maintains (114).  
If Hamilton misreads so badly a writer with whom I am so deeply familiar so badly, what misreadings are hidden among those with whose writing I am less familiar? 
Despite his identification of Earth System as the significant ‘new object’ for our times, Hamilton’s thinking is not always very systemic. When he writes that 'humans now rival the great forces of nature in our impact on the Earth System then this fact elevates humans to a previously unimagined level of power over nature' (90), albeit tempered by an embeddedness in the material world, he misconstrues the nature of power in a systemic context. As Gregory Bateson pointed out many years ago, a system's integrity rests in ecological circuits that temper the tendency of any part to exponential growth. Any part of the system that attempts to have power over such circuits is likely to set off unintentional runaway growth, often in a part of the system that appears completely unrelated. 'Power over' is conceptual nonsense within a systemic context. 
Toward the end of the chapter he reaches for a new integration, arguing that 'humans are indeed embedded in nature and in recent decades in the Earth System itself, but the embedding is not destructive of agency.' He goes on to argue that 'We need an ontology founded on human-distinctiveness-within-networks' (99). He statement, 'No other force, living or dead, is capable of influencing the course of the Earth System and has the capacity to decide to do otherwise' seems to be both more tempered and more radical than claims of power over; but he immediately tips over an edge by claiming humans to be 'super-agents, powerful even beyond the imaginings of Moderns'. He ends the chapter with a plea that 'we accept the greatness of the human project and the extreme danger that goes with it', a position close to that articulated by Thomas Berry. Hamilton is frustratingly inconsistent in his use of language; this inconsistency point out just how challenging it will be to find the new ontology he points toward. 
In Chapter Four, Hamilton turns to making sense of planetary history. Do humans have significance after Nietzsche's death of God and now science has shown we are but a speck on a small planet? Hamilton makes the contentious statement that is it humans that give the Earth meaning and mark it out as a unique planet in the cosmos. He pushes against belittlements of the human project, which he now articulates as 'learning how to live wisely, cooperatively, and well within the limits of the planet' (114) which seems to me to imply that it is the planet as a whole the retains meaning. Hamilton argues that with the arrival of the Anthropocene we witness the birth of a 'new universal anthropos' (118) and the emergency of planetary history as a 'narrative of human-Earth history' (119). This anthropos, he argues, drawing on arguments that have origins in theodicity, is an imperfect creature, in the process of creation, entering the world in an 'underdeveloped intellectual and moral state'. Only through our own moral efforts may we 'evolve into beings able to exercise full moral autonomy' and through this discover how humankind can fullfil its potential in a manner that is not at odds with the processes of the Earth System. Humans have freedom. But 'Freedom is not the greatest thing; how we decide to use our freedom is the greatest thing’. 
In this chapter Hamilton returns to the power of his earlier arguments. He challenges us to think more deeply about the place of humans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He wants us to go beyond a traditional religious view and beyond nihilism, not afraid to use words like freedom, responsibility, destiny. It significant that in doing so he has quite explicitly drawn on the theological thinking of theodocity, developing a more secular articulation of anthroprocity: the human is both glorious and tragic; the meaning we bring to our lives depends entirely on the moral choices our freedom offers us.  
Whence comes this freedom? Hamilton addresses this question in his final chapter The Rise and Fall of the Super-agent. Freedom arises, not as Kant argued as a 'spontaneous outbreak of intellectual courage on the part of a handful of free thinkers' (136) but rather belongs to nature-as-a-whole, woven into the fabric of nature (137). This idea has it origins in Schelling, but makes more modern sense when we understand the Earth System as a 'selforganizing dynamic system characterized by emergent properties'. Freedom, in this view, is an emergent property of the whole system, and explains the contradictory way in which humanity identity is both separate from nature while remaining unshakably dependent on it. 
Human subjectivity ‘can never wrench itself free from its material roots’. (138) 
With this analysis, the Kantian categories of subject and object collapse. Freedom and spontaneity are no longer exclusively in the domain of the subject and necessity no longer owned by the object or nature. (139) We are no longer isolated subjects acting within and against an objective reality, but inhabiting an 'world animated, unruly, and irritable' (139). This view of freedom is both more and less anthropocentric: is less so because it is 'forever folded into nature'; it is more so because knowing freedom's source within nature as a whole comes with a heavy responsibility to live within limits as we make new worlds. Humankind is no longer of freak, but becomes the ‘key to nature-as-a-whole’. (141) 
I find myself persuaded and excited by Hamilton’s articulation of human freedom as an emergent property of a dynamic Earth System. But in asserting that the human is the key to nature-as-a whole he loses me. If the possibility of freedom is built into nature, and the world itself is animated, there is no reason why freedom of some kind is not manifest in the more that human world, in chimpanzees and dolphins, as posthumanists would argue, or even more widely in local ecosystems and in the Earth System as a whole living being. Humankind maybe a significant and powerful key to nature, but not necessarily the key. 
But this objection does not negate the thrust of Hamilton's argument. Responsibility lies in our embeddedness in the Earth System, not in abstract rules. It is not our split from nature that must be overcome, but our violence against it, which arises from our sense that the experienced split is a total severance. What kind of creature, he asks, ‘when in full knowledge of the damage done to Earth System continues on the same path’? Human creativity can be used to enhance the life-enriching capabilities of the Earth System, and 'beyond all purely human-oriented aspirations must be our cultivation of the planet to the enduring benefit of both' (145). 'Duty of care for the earth becomes and meaningful goal as well as a prudent one.'  
Hamilton gives short shift to those who would avoid this duty of care through geoengineering or fantasies of life on other planets. These fantasies, he argues, compound the guilt at humanities wanton neglect of the Earth, both 'reckless and self-indulgent' (151). We are beyond abstract intellectual ethics, rather searching for a 'different kind or orientation to Earth, one in which we deeply understand our extraordinary power and unique responsibility. Can we become 'beings guided by a new cosmological sense rooted in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humankind in the arc of the Earth'. In these later chapters Hamilton’s arguments feel much more nuanced. Gone are the assertions of power over and the dismissal of other perspectives. In the last pages he seeks both to explain the experienced split between humankind and Earth and to seek a new integration for the emerging imperfect anthropos. This is a brave,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infuriating book. Brave because Hamilton is not afraid to take a stance and open up the discourse. Important, because of his emphasis on the Earth System and the need for a new understanding of anthropos. 
Infuriating, because Hamilton, in his arguments for a new anthropocentrism, reaches too soon for a new resolution of the relationship of human subjects to the new ‘Earth System object’; there is an ambiguity here that Tim Morten’s sense of the strangeness of hyperobjects expresses more fully. 
Gregory Bateson long ago told us the most important task was to learn to think in new ways. ‘The arrival of the Anthropocene contradicts all narratives’ writes Hamilton in his final pages. We are living beyond the possibilities of any utopia, either those promised here on Earth or in a transcendent realm. There is no story of the ultimate triumph of humanity. Maybe, in some distant future, another humanity will emerge, 'contrite and wiser'. But this second civilization is too far off to be relevant to our times. But it seems impossible to imagine that 'this beautiful shining planet should flower with a form of life endowed with the ability to render the universe knowable, only to see it withdraw into the darkness of unconsciousness'. 
For Hamilton, this is where hope lies. 

===
클라이브 해밀턴: 오늘의 에세이-"좋은 인류세"의 신정론
댓글 0

https://blog.daum.net/nanomat/1022

2015. 7. 15.

격변론, 과학, 균일론, 근대성, 기독교, 기술, 기술 해결주의, 기후 변화, 생태근대주의, 신정론, 인류세, 자본주의, 정치, 지구 체계, 지질 시대, 철학, 클라이브 해밀턴, 탈인간주의, 화석 연료
 
"좋은 인류세"의 신정론

The Theodicy of the "Good Anthropocene"
―― 클라이브 해밀턴(Clive Hamilton)

---------------

그것을 처음 제안한 사람들이 경악하게도, 인류세는 한탄하고 두려워하기보다 축하해야 할 사건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기술산업적 오만에 의해 저질러진 피해에 대한 최종 증거 대신에, '생태근대주의자(ecomodernist)'들은 새로운 시대를 자연을 변형시키고 통제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징표로서 환영한다. 그들은 인류세를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결함에 대한 증거도 아니고 인류의 근시안과 탐욕에 대한 증거도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그 대신에 인류세는 인간들이 마침내 독자적인 시대로 진입할 기회로서 도래한다.

 

몇 년 전에 얼 엘리스(Erle Ellis)는 '좋은 인류세'에 관해 말하기 시작했는데, 그런 있을 법하지 않은 병치는 이제 <생태근대주의자 선언(An Ecomodernist Manifesto)>에서 "위대한 인류세"라는 관념으로 증폭되어 제시되었다. 인구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제적 발전을 제한할 행성적 경계들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역사가 우리의 유연성을 증명하기 때문에 '인간적 체계들'은 더 온난한 세계에서 적응하여 번성할 수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인류세에 진입함에 따라 우리는 자연적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인류에게 위대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유일한 장벽은 자기의심이다. 엘리스는 우리로 하여금 인류세를 위기가 아니라 '인간주도적 기회로 무르익은 새로운 지질 시대의 시작'으로 간주하도록 촉구한다. 낭만주의적 기술비평가들(그리고 그들이 기대는 우울한 과학자들)은 그런 전망의 실현을 가로막고 있다. 엘리스 및 그와 비슷한 사고방식을 갖춘 사람들의 경우에, 인류가 행성적 중요성의 더 고등한 수준으로 전이한 것은 '멋진 기회'이다. '인류세' 옆에 '좋은'이라는 형용사를 병치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은 그들은 '우리는 인류세에 우리가 만들어내는 지구를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스튜어트 브랜드(Stewart Brand)의 다음과 같은 말을 인용하기를 좋아한다. '우리는 신이고,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잘하게 될 것이다.'

 

생태근대주의자들은 인간주의자처럼 글을 적을지라도, 그들은 구조적으로 신정론, 즉 신의 궁극적인 자비를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학적 논변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시대를 해석한다. 기독교 호교론에서 고통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신의 선의에 대한 증명은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최초로 시도되었고, 나중에 계속해서 라이프니츠가 (<<신정론>>이라는 책에서) 더 큰 시각을 취하면 사악한 행위들이 전체가 작동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리에게는 신이 묵인하는 끔찍한 범죄로 보일지도 모르는 것이, 불가사의할지라도, 신의 더 큰 자비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라이프니츠의 명쾌한 아포리즘에 따르면, '모든 것은 최선의 것을 위해 일어난다.' 또는 알렉산더 포프의 당혹스러운 말에 따르면, '존재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옳다.' 그것은 볼테르가 매독에 걸린 거지의 지위로 전락한 후에 낙관주의적 전망에 매달렸던 팡글로스 박사의 모습으로 풍자한 정서이다. 남에게 사랑 받는 그의 개성적 특질은 기만적인 삶의 철학이 되었다.

 

그러므로 신정론은 자비로운 신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악의 현존에 대한 반응이다. 격렬한 신학적 논쟁이 세속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헤겔의 철학적 체계는 악을 세계 역사의 더 큰 운동 속에 포섭된 것으로 간주했는데, 세계 역사의 목적과 종점은 정신의 완전한 실현이다. 이런 견해를 취하기 위해 헤겔은, 지금처럼 그때도 일반적이었던, 세계는 어떤 '궁극적인 설계'―헤겔의 경우에는 자기의식의 전개―에 따라 움직인다는 관념을 고수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가 아무리 세계의 특수자들로부터 뒷걸음을 치더라도, 세계는 예정대로 영광스러운 대미에 이르는 경로를 따라 전개된다. 이런 식으로, 악은 형이상학적 권역으로 격상되어 더 이상 도덕적 의문에 불과한 것이 아니게 된다. 헤겔 이후에, 마르크스도 고통에 대한 도덕적 설명을 거부했지만, 그는 악을 형이상학적 권역에서 물질적 권역으로 끌어내렸는데, 프롤레타리아트의 궁핍화는 계급 없는 유토피아의 실현에 필요한 단계가 되었다.

 

'좋은 인류세' 주장은 전체의 궁극적인 선, 즉 결국에는 위협이 되는 듯 보이는 구조적 걸림돌, 고통 그리고 도덕적 과실들을 초월하고 패배시키는 선에 대한 믿음에 정초하고 있다. 이런 믿음이 드물게 표명된다는 점이 그것의 은밀한 힘에 대한 증거가 된다. 그 주장의 신정론과의 유사점들을 탐구하는 것은 그것을 헐뜯기보다는 이해하기 쉽게 해 주는 것이다. (나는 모든 유형들의 신정론의 기저에 놓여 있는 역사적 전개에 대한 감각에 반대하지는 않는다.) 좋은 인류세의 세계에서 새로운 지질 시대는 임박한 위험이 아니라, 엘리스의 표현대로, '지구에 대한 앞을 내다보는 전망'으로서, 또는 <생태근대주의자 선언>의 표현대로, '인간 역량과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적 견해', '생명다양성을 갖추고 번성하는 행성에서의 보편적인 인간의 품위'의 위대한 인류세로서 환영받는다.

 

기후 파괴는 근대화 과정의 해결 가능한 부작용―성장 과정 자체가 해결할 성장통―으로 간주된다. 라이프니츠의 신정론에서는 신의 의지가 모든 것이 선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보증하는 반면에, 생태근대주의자들의 경우에는 선이 지배할 것이라고 보증하는 것은 인간의 창의성과 개선 충동에 의해 추동되는 진보이다. 그래서 그들은 신(神)정론의 자리에 인간주도적 진보가 신의 자리를 차지하는 인(人)정론을 위치시킨다. 널리 보급될 선은 남성과 여성들의 마음이 아니라 사물의 질서, 인간들의 창의성과 임기응변의 재능을 동원하는 질서 속에 존재한다. 결국 좋은 인류세에 대한 생태근대주의자들의 신념은 섭리라는 종교적 관념의 세속적 표현인데, 신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의 운명을 인도한다. 우리는 미래를 보았고, 그것은 좋다.

 

그러므로 '좋은 인류세' 논증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헤겔적 신정론인데, 악―여기서 생태 파괴로 해석되는―은 절대적인 것―여기서 보편적 번영을 향한 멈출 수 없는 진보로 해석되는―의 실현을 향하여 역사를 전진시키는 데 필수적인 모순으로 해석된다. '사유하는 정신이 현존의 부정적 양태들과 화해할 수 있도록 우리로 하여금 악의 현존을 비롯한 세계의 모든 질병을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헤겔은 그의 신정론을 논리의 과정, 합리적 질서의 전개 속에 새겨 넣었다.

 

오늘날의 생태근대주의자들의 경우에, 기술적으로 정교한 인간들은 일시적인 환경 실패를 전적으로 초월할 수 있다. 엘리스의 경우에, '인간들은 지구를 공학적으로 조작하여 변형시킴으로써 급증하는 인구를 계속해서 전적으로 부양할 수 있는 듯 보인다.' 진보의 고유한 동학에 도움이 되도록 생태 파괴의 부정성은 변화를 위한 긍정적인 힘으로 동화되거나 지양된다. 사실상 그 결과는 지배권을 부여받은 창의적 종과 강인한 자연 사이의 협력의 산물이다. 신정론의 구조에서 인간은 신이 자신의 모습대로 만든 피조물이고, 그래서 항상 더 큰 힘의 지배를 받는다면, 생태근대주의자들의 인정론에서 인간은 자연이 최상위의 생명 형태로 만든 피조물이다. 그런데 자연은 인간를 지배하는 권력자가 아닌데, 상황이 반전되어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

 

그러므로 생태 위기로 드러나는 인류세의 표현은  퇴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극복을 통한 더 높은 단계로의 도약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것은 이 세상의 고통이 저 세상의 보상으로 보답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아니라, 단기적으로 견뎌야 할지도 모르는 고통이 좋은, 위대한 인류세에서 우리가 만들어낼 경이로운 세계에서 정당성을 입증받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우리는, 생태근대주의의 주요 대변인들의 표현대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건강하고, 자유로우며, 창의적인 삶을 영위할 만큼 충분히 유복할' 행성 정원을 조성할 것이다. 체계 비판가들이 스스로 부과한 낙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그들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대립은 화해시킬 수 있고, 그래서 기후 변화는 기술로 대처하여 이기게 될 재판이라는 점을 알게 될 것이라고 생태근대주의자들은 말한다. 유토피아를 단념하기에는 너무 이를 뿐 아니라, 인류세는 우리가 마침내 유토피아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실패이다.

 

18세기와 19세기에 신정론은 격렬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임마누엘 칸트는, 신정론이 우리가 신에 관해 알 수 있는 것을 넘어서기 때문에 비도적적이고 신성모독적인 것이라고 신정론을 공격했다. 우리는 신이 무엇을 바라는지 알 수 없고, 그래서 '전체에 대해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할 수 없다'. 좋은 인류세에 반대하는 어떤 칸트적 논증은, 지구 체계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우리 능력을 초월하며, 그리고 더 중요하게도, 그것을 통제하는 것은 우리 능력을 초월하기 때문에 우리는 인류세의 궁극적인 결과를 알 수 없다는 것일 것이다. 지구는 불가사의하고 파악할 수 없는 것(셸링의 '나눌 수 없는 잔여')을 언제나 보유하고 있고, 그래서 우리가 불완전하게 이해할 수밖에 없고 거의 조절할 수 없는 힘들이 충적세로부터 인류세로의 전환에서 촉발되었다.

 

또한 좋은 인류세 논증의 신정론과 유사한 구조는 그것의 본질적인 정치적 결함과 도덕적 결함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비판가들이 신정론을 비난한 까닭은 그것이 정적주의(quietism)를 낳았기 때문이다. 고통이 신의 더 큰 목적에 기여하기 때문에 정당화된다면, 우리는 고통을 조용히 받아들여야 하고 세상을 바꾸려고 시도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세상을 섭리에 맡겨야 하고, 인간의 운명을 신의 인도 아래 맡겨야 한다. 생태근대주의자들은 사색하면서 좋은 인류세의 도래를 기다리고 앉아 있는 정적주의자들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그것의 경로를 매끈하게 하기를 바란다. 그들의 정치적 참여는 정해져 있는 것의 달성을 촉진하는 쪽으로 정향되어 있다. 그들의 과업은 체계가 자체의 약속을 실현할 기회를 갖도록 체계를 보호하고 방어하는 것이다.

 

<<근대 사상에서의 악(Evil in Modern Thought)>>이라는 신정론에 관한 뛰어난 연구서에서 수잔 니먼(Susan Neiman)은 '섭리는 자신들이 억압하는 자들을 속여서 침묵의 인내 상태로 빠뜨리기 위해 부자들이 발명한 도구이다"라고 주장했다. 좋은 인류세의 발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체계에 항의하는 경향이 있는 희생자들에게 새로운 새벽에 대한 황금빛 약속은 그들을 속여서 침묵의 인내 상태로 빠뜨린다. 현재와 미래에 인간이 초래하는 가뭄, 홍수 그리고 열파에서 비롯되는 현재와 미래의 고통에 대한 좋은 인류세의 메시지는 이렇다. 당신은 더 큰 선을 위해 고통을 겪고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다면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도울 것이지만 당신의 고통은 정당한 이유가 있다.

 

좋은 인류세, 나쁜 과학

 

18세기 말과 19세기 전체에 걸쳐서 지질학이라는 새로운 과학은 균일론(uniformitarianism), 즉 지구가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지구를 변형시키는 느리게 움직이는 힘들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그 새로운 과학을 순간적인 무로부터의 창조에 관한 성서적 설명으로부터 분리하기로 결정한 신흥 전공자들은 지구 역사의 한 시기에서 다음 시기로의 전환은 어떤 자연적 발작 때문일 수도 있다는 격변론(catastrophism)이라는 이론을 수용하기를 꺼렸다.

 

결국 격변적 변화들에 대한 증거는 더 이상 견뎌낼 수 없었고, 그래서 지질학자들은 점진적 변화가 때때로 격변들에 의해 교란받을 수 있다는 점을 수용했다. 오늘날 지질학적 시간 척도는 격변적 사건들에 의해 초래된 한 시대로부터 다음 시대로의 여러 전환들을 포함한다. 그것들이 '격변적'인 까닭은 변화가 매우 빨라서 현존하는 대부분의 생명 형태들이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하기 때문이다.

 

생태근대주의자들은 19세기의 균일론으로 후퇴해 버렸다. 그들의 주요한 과학적 주장은 피터 카레이바(Peter Kareiva)와 동료들에 의해 이렇게 표현된다. '자연은 매우 탄력적이어서 가장 강력한 인간의 교란들로부터도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생태계들이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은 인류세에 대한 그들의 해석으로 이어진다. 엘리스는 다음과 같이 평이하게 서술한다. '지금까지 인간들은 자연적 체계들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 그럼에도 지구는 생산력이 더 풍부해져서 인간 개체군을 부양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커졌다. ... 오늘날까지 이런 동학이 근본적으로 바뀌어 버렸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이런 진술들은 인류세에 관한 과학에 대한 전면적인 오해를 반영한다. 인류세를 제안한 지구과학자들이 제기한 기초적인 주장은, 지난 이 내지 삼 세기 동안 인간들과 지구 사이의 동학이 근본적으로 바뀌어 버렸다는 것이다. 인류세 과학의 본질적인 요점은 엘리스의 이해와 정반대되는 것이다. 인류세는 인간들이 풍경이나 생태계들에 미치는 영향의 추가적 확산에 관한 서술이 아니라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시대, 즉 지구 체계 전체의 작동에 있어서의 위상 변화로서 제시된다. 그것은 과거의 연속이 아니라 지질학적 기록에서 불연속적인 변화이다.

 

이전의 불연속적인 변화, 즉 홍적세에서 충적세로의 변화는 지구 평균 온도에서 8℃의 변화, 해수면 높이에서 35미터의 변화 그리고 광범위한 멸종을 나타냈다. 지질학적으로 말하자면, 대단히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나고 있는 인류세 사건은 균일론이라기보다는 격변론의 사례이다.

 

이런 견지에서, 자연의 탄력성에 대한 증거로서 농경 체계들의 적응성에 관한 엘리스의 조사는 그 낱말의 정확한 의미에서 시대착오적이다. 엘리스와 다른 사람들이 '좋은 인류세'라는 관념을 옹호하는 데 사용하는 충적세 조건은 과거로 밀려가 버렸다. 충적세에서 그것의 타당성이 어떻든 간에, 생태계들이 취약하지 않고 탄력적이어서 인간의 교란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은 인류세와 어울리지 않는다. 우리는 연속적인 변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작은 변동을 목격하고 있지 않다. 우리는 지구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파열―영구적인 새로운 지질 시대로의 빠른 전환―을 목격하고 있다.

 

지구 역사 전체를 통해서 지구는 한 시대에서 이전 시대로 결코 '회복한' 적이 없다. 이제 지구는 귀환할 수 없는 지점을 건너가 버렸다. 지구의 거대한 순환들은 바뀌어 버렸고, 대기와 대양의 화학적 조성들은 돌이킬 수 없는 식으로 변해 버렸다. 21세기말 경에 지구는 이전 1500만 년 동안보다 더 더울 개연성이 매우 높을 것이다.

 

요약하면, 이제 지구 체계는 다른 양식으로 작동하고 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그 어떤 것도, 심지어 단기간 내에 화석 연료의 연소를 중단하는 것도 지구를 충적세로 '회복'시킬 수 없다. 지구는 결코 다시는 충적세처럼 보이지 않을 것이고, 그래서 충적세 조건에 기반을 둔 주장들은 정말 현혹하는 것들이다. 국소적인 수준에서 그것의 타당성이 어떻든 간에, 생태근대주의자들의 생태계 사유는 지구 체계 사유로 대체되어 버렸고, 그래서 그런 사유를 인류세에 적용하는 것은 양자 세계에 대하여 뉴턴주의적 주장을 제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캘리포니아는 눈 녹은 물의 고갈로 초래된 거대한 가뭄에 갇혀 있다. 그것은 점점 더 빈번해지고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그런 종류의 극단적인 날씨이다. 그것은 IPCC의 '영향' 보고서들에서 무섭도록 초연하게 공표된다. 나는 생태근대주의자들이 이런 이야기들을 읽거나 텔레비전에서 영상들을 볼 때 어떤 종류의 생각이 촉발되는지 자문한다. 거대한 가뭄 또는 허리케인 샌디 또는 물에 잠기고 있는 몰디브를 보여주는 영상들을 좋은 인류세에 관한 서사로 어떻게 뒤덮는가? 내게는 이것이 여전히 불가사의한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