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Dorothee Soll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Dorothee Solle. Show all posts

2021/08/21

Suffering : Sölle, Dorothee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Suffering : Sölle, Dorothee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Want to Read

Rate this book
1 of 5 stars2 of 5 stars3 of 5 stars4 of 5 stars5 of 5 stars


Suffering

by
Dorothee Sölle (Foreword)
4.11 · Rating details · 116 ratings · 13 review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f theology and ethics, combining in a fascinating way biblical, theological, pastoral, and socioethical themes. . . The study is of immense value because it identifies the modern idolatry that views suffering as absurd and devoid of meaning. . . The book is a marvelous exercise in cultural self-analysis that is preliminary to any meaningful exorcism and redirection." --Kenneth Vaux Theology Today "Passionate, imaginative, learned, literary, pithy, and at every point searching, Suffering is a notable achievement, not least because it pricks the heart and conscience, making the reader share in the deep experience of suffering that lies behind its writing." --James A. Carpenter Anglican Theological Review (less)

GET A COPY
Kobo
Online Stores ▾
Book Links ▾

Paperback, 188 pages
Published January 1st 1975 by Augsburg Fortress Publishing (first published 1973)
Original Title
Leiden
ISBN
0800618130 (ISBN13: 9780800618131)
Edition Language
English

Write a review

Jan 03, 2014Carter West rated it it was amazing
Anyone who by experience or imagination has come up against the bitter reality of suffering and the issues it raises for a belief in God will take to this book like a desert wanderer to an oasis. Sölle will never throw an ameliorative veil over a harsh fact; neither will she fail to walk beside you all the way through your examination of the great questions she raises under the shadow of Jesus' cross. Her responses may startle and disturb, but they ring true to our experience of loneliness, trial, and groundless hope. She confronts the conventions that name God as the author of our sufferings to punish, teach, or test us, and dares to call them what they are: sadism. She looks for the Holy One, not on the heights of theism, but within existential presence, and finds comfort there. Her reply to sufferers brings solace enough, for it is lasting: "Where no help is possible [Christ] appears not as the superior helper but only as the one who walks with those beyond help." Her theme of presence hearkens to psychiatrist and Holocaust survivor Viktor Frankl's emphasis on meaning. Both truths are inalienable: like the love of God, we can be separated from neither.

In this short book, Sölle does not connect her thought to prevailing theological edifices - nor does she need to. As it stands, her suggestiveness brings urgency to persistent questions: Is God more person or process? Is God's power supernatural or something deep within all things? How should we approach the mythological elements in Scripture, particularly the emphasis on miracles? I find myself wanting to search out Rudolf Bultmann's work to see if Sölle's might stand in conversation with that renegade old Lutheran. Interestingly enough, Sölle consistently allies herself with mysticism, notably Eckhart and Tauler, as life immersed in personal engagement with the holy, an alternate stream of tradition eroding the pretensions of Christendom. That thorny modern mystic Simone Weil figures large also, all the way through. A cloud of witnesses! Sölle seeds that cloud thoroughly and truth rains down, filling the bowls of the oppressed and the afflicted.
(less)
flag6 likes · Like · 4 comments · see review



Dec 15, 2020Ryan Ward rated it it was amazing
Moving and profound meditation on the meaning of suffering. At times almost unbearable in its evocation of compassion for those who suffer for seemingly no reason in the world. Sölle has gifted earnest seekers a way into understanding how suffering as an active act of solidarity and love instead of a passive acceptance of pain and injustice can transform minds and hearts and move the world closer to a full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and communion. She eviscerates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suffering and the consequent ideas of the nature of God and Christ that have evolved as a result, in the end rejecting traditional Christian orthodoxy in favor of a mysticism that incorporates God into humanity's progress towards a realization of complete love and communion on earth, rather than as a distant personification of omnipotence and power under whose inscrutable will we must submit. This one will remain with me for a long tim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23, 2020Deborah Brunt rated it it was amazing
An outstandingly beautiful examination of suffering, both that which is chosen for the sake of justice, and the unjust suffering unchosen, unbidden which befalls humanity, one individual life at a time.

Soelle moves us through phases of suffering, from silence, incapacity to comprehend, repression through to an ability to grieve and lament and give voice to the suffering. She rejects the championing of the meaning of suffering for a higher purpose, but demonstrates that conscious suffering can lead us to solidarity with others who suffer, using Jesus' farewell address, and his words and actions during his passion for justice, which led him inevitably to the cross.

She beautifully expresses the idea of us participating in suffering with others, and of us being the hope of a future world, of living now as though the end of suffering is possible and has com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Feb 21, 2016Brenda Funk rated it really liked it
I loved this book, nevertheless I had difficulty in following some of the very philosophical argument. Will have to read it again to fully comprehend what I have read.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Aug 16, 2014Jason rated it really liked it
Stimulating, provocative, quirky, critical, and alert - good ingredients for theology.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22, 2020Luke Hillier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academic-religion, christianity, theology
Having grown up in the shadow of the Holocaust, suffering seems to sit at the center of all of Soelle's work. She is driven by a need to bear witness to it and to articulate a theology that affirms God does the same, as well as one that refuses to allow for apathy or resignation in the face of it. There is a complexity to Soelle's argument here that could make it read as incohesive (I'm also not entirely sure the translation is the best it could be). At the heart of her sense of suffering is the call to accept reality as it currently stands, suffering and all. She embraces mystic sensibilities in this way, trying to embrace the whole of life rather than run from or deny any particular part of it. However, crucially, she rejects what she calls "Christian masochism" that says suffering should be perceived at the hands of a God who must use it to better us. She also even more passionately denounces the idea that suffering related to systemic injustice should be bowed to, and in fact much of her argument hinges on the idea of mobilization against just that. For Soelle, "acceptance" does not imply passivity but awareness, a clear-eyed knowing of what reality actually entails for the purpose of most effectively changing it, and knowing it needs changed in the first place. She presumes that suffering makes one stronger and more alert to injustice, but only when it is accepted. If one tries to deny their own suffering, she describes them as "mute" and suggests lamentation as the pathway from such silence into transformative speech seeking change.

Although she refutes classical theist theodices and I don't know if she'd agree with me, I definitely see this book as an embrace of process theodicy. She doesn't engage in Whiteheadian metaphysics but instead emphasizes Jesus's cosuffering nature as it climaxed on the cross to ground her claims that God does not stop suffering because God can't, and instead suffers with others in a way that offers dignity and strength. The strength of a martyr is one of the more compelling ideas that she develops here, and I am curious of more formal engagement has occurred between Soelle's ideas of suffering and womanist theologians rejection of "redemptive suffering." I think Soelle lives at the border of that concept, as her sentiments seem to be descriptive rather than prescriptive. She writes that "The cross is reality," not to encourage everyone to seek it out but to acknowledge that the charge for Christians is to stop the crucifying powers of our time and pursue compassionate solidarity with those still being hanged on crosses.

If it sounds a bit grim...well, I don't know what else you'd expect from a book with this title, however she also makes a few notes on the importance of joy amid resistance, which is made possible because acceptance of suffering is not just that, but rather an embrace of the whole of reality, a love for all of life. This is the thread of paradox that also runs through the work; hope is found in a God who is hopeless to save, transformation comes from those most desperately in need of transformation with the least means to achieve it. She writes that "there is no alien sorrow" –– we are all interconnected in a mystical solidarity and the acceptance of reality leads one into fuller awareness of that. This results in deeper and deeper sorrow, heartbreak, and devastation but also wider and wider love, resilience, and commitment. And amid it all, God is there among all who suffering, imbuing the strength to endure. It is a great book, though one that feels a bit less polished than her later work. There were elements that felt clunky, confusing, or redundant at times, but that is only a minor knock.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Jul 10, 2020Bobbi Salkeld rated it really liked it
I love her, but I'm not sure I love this translation. (less)
flagLike · see review



Oct 01, 2020Ian Janssen rated it liked it
Shelves: 2020-reading-list
For my review, please see https://www.facebook.com/notes/ian-ja...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06, 2014Micah added it
Very dense. Concentrated. Has very systematic moments, some of which are incisive and some of which are terrible (ill-fated infatuation with North Vietnam). Best theological treatment of extreme suffering I've ever read.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31, 2012Paul Charles rated it really liked it
Worth the read if you've ever wondered why the theodicies may not be the best way to help people who've experienced extreme suffering. Well thought through examples and pertinent suggestions that should help anyone involved in pastoral work. (les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J.M.H.
1.0 out of 5 stars Deep...really deep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7, 2010

Not light reading and not for a developing or mind. You must be firm in your faith to get through and frankly I see no value in this book for faithful answers to suffering. Perhaps a good read for those in that deep world of philosophy, but for a common peasant like me, didnt like it.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JJ
2.0 out of 5 stars Obscurantism with litle existential comfor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1, 2016
If you cannot communicate something clearly, t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you do not understand the issues involved... If you are a seeker looking to find answers to your personal suffering, especially as it relates to faith in an omnipotent and omnibenevolent deity, then look elsewhere.


2019/10/01

오강남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신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오강남 > 연구논문 | 바보새함석헌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 신비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오강남 (리자이나대학교 명예교수 종교학)

들어가는 말


제가 함석헌 선생님을 뵌 것은 몇 번에 지나지 않지만 제가 받은 강력한 인상으로 인해 이런 만남들을 아직까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1963년 8월 대광 고등학교에서 시국 강연을 하실 때 수많은 청중에 끼어서 흰 두루마기를 입으신 함 선생님의 모습을 처음으로 뵈었고, 그 후 대중 강연 때 몇 번 뵌 적이 있습니다. 특히 1978년 제가 캐나다 에드먼튼에 있는 알버타 대학에서 가르칠 때 친구 김영호 교수의 주선으로 함 선생님이 알버타 대학 강당에서 교민들을 위해 강연하시고, 그 날 밤 저의 집에 묵으시고, 다음날 교수회관에서 종교학과 교수들과 대화하시던 모습은 지금도 눈에 보이는 듯합니다. 돌아가시기 얼마 전에 김영호 교수, 황필호 교수와 함께 우이동 댁으로 찾아 뵈었을 때 동경 유학시절 겪으셨던 관동지진 때의 경험을 들려주신 것도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런 몇 번의 행복한 만남에도 불구하고, 또 함 선생님의 글을 열심히 읽은 편이기는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저는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을 전문적으로나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했습니다. 작년 5월 이 모임에 참석했다가 박재순 교수님과 김성수 교수님이 저에게 이번 강연을 맡으시라고 강권하시는 바람에 전문가도 아닌 주제에 얼떨결에 수락하였다가 지난 1년 본격적으로 충분히 연구할 여유를 얻지도 못한 채 1년 내내 걱정만 하면서 시간을 다 보냈습니다. 이렇게 여러 전문 연구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비전문가로서 말씀드리는 것이 송구스러울 따름입니다. 그저 평소 제가 비교종교학을 가르치면서 관심을 가지고 있던 몇 가지 문제와 연관해서 함 선생님 사상의 종교사적 의의를 부각시켜보려고 합니다. 제가 발표를 한다기 보다 그저 말머리를 트고 여러분의 고견에서 많은 것을 배우려는 마음으로 몇 마디 말씀드리는 것이라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무엇보다 먼저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다석 류영모 선생님이나 심천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은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현재 세계의 많은 종교학자들이나 사상사 전공인들이 일본의 니시다 기타로(西田畿多郞, 1870-1940)나 스즈끼 다이세츠(鈴木大拙, 1970-1966))에 대해 이야기하고 연구하는 것을 보면서, 저는 류영모 선생님이나 함석헌 선생님에 대한 연구도 이에 못 미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몇 년 전 서울신대의 최인식 교수가 미국 종교학회에 참석했을 때 저는 그분에게 미국종교학회 연회에 함석헌 패널을 하나 만들어 함석헌 연구자들이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한 적이 있는데, 최인식 교수의 노력도 불구하고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곧 그런 일이 성사되기 빕니다.


저는 이 논문에서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을 세계 종교사에서 면면히 흐르는 ‘신비주의’의 맥락에서 한번 구체적으로 짚어보고 그 의의를 되새겨 보고 싶습니다. 함 선생님이 스스로를 신비주의자로 의식하셨는지, 혹은 정말로 신비주의자이셨는지, 저로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는 천안에서 씨알농장을 경영할 때 거기 모인 사람들과 매일 새벽 여섯시에 일어나 30분씩 명상의 시간을 가졌고,1) 또 퀘이커 교도로서 적어도 매주 한 시간씩의 침묵 예배, 곧 명상을 실천한 분이었습니다.훌륭한 종교라면 그 속에 ‘신비’가 있어야 함을 말씀하셨고,2) “나는 지금도 ‘그이’가 내 속에 말씀하시는 것을 듣는다”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그러나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무엇보다 그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그것이 세계 종교 전통의 심층에 보편적으로 흐르는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 짧은 글에서 신비주의에 대해 약간 언급하고, 제가 언제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네 가지 관점에서 함 선생님의 사상이 어떻게 신비주의 전통들과 맞닿아 있는가를 잠시 살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 네 가지 관점이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완전히 독립된 항목들은 아니지만 편의상 그냥 네 가지 정도로 간추려 보는 것뿐입니다.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신비주의’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기 일쑤입니다. ‘신비주의’라는 말의 애매성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똑 같은 말은 아니지만 신비주의라는 말 대신 ‘영성’이라는 말이라든가, 라이프니츠가 창안한 ‘영속철학(perennial philosophy)’이라는 말을 쓰는 이도 있지만 이런 말들도 모호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3)

이런 애매함이나 모호함을 덜기 위해 독일어에서는 신비주의와 관련하여 두 가지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뜻으로서의 신비주의를 ‘Mystismus’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영매, 육체이탈, 점성술, 마술, 천리안 등 초자연 현상이나 그리스도교 부흥회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광적 흥분, 신유체험 등과 같은 것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런 일에 관심을 보이거나 거기에 관여하는 사람을 ‘Mystizist’라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종교의 가장 깊은 면, 인간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순수한 종교적 체험을 목표로 하는 신비주의‘Mystik’이라 하고 이와 관계되거나 이런 일을 경험하는 사람을 ‘Mystiker’라 합니다. 함석헌 선생님의 사상이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때 제가 말씀드리는 신비주의는 물론 후자에 속한 것입니다.

신비주의에 대한 정의로 중세 이후 많이 쓰이던 ‘cognitio Dei experimentalis’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느님을 체험적으로 인식하기’입니다. 하느님, 절대자, 궁극실재를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때 ‘안다’고 하는 것은 이론이나 추론이나 개념이나 논리나 교설이나 문자를 통하거나 다른 사람이 하는 권위 있는 말을 믿는 믿음을 통해서 아는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의 영적 눈이 열림을 통해, 내 자신의 내면적 깨달음을 통해, 직접적으로, 체험적으로 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 “종교에서 이런 신비주의적 요소가 없는 종교는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라 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4) 그래도 ‘신비주의’라는 말이 거슬린다고 생각하시면, 일단은 그것을 ‘심층 종교’나 ‘열린 종교’ 등으로 바꾸어 읽으셔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


1. 문자주의를 극복하고 신앙에서 자라가라



“경전의 생명은 그 정신에 있으므로 늘 끊임없이 고쳐 해석하여야 한다.... 소위 정통주의라 하여 믿음의 살고 남은 껍질인 경전의 글귀를 그대로 지키려는 가엾은 것들은 사정없는 역사의 행진에 버림을 당할 것이다. 아니다, 역사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네가 스스로 역사를 버리는 것이다.”5)


“신앙은 생장기능(生長機能)을 가지고 있다. 이 생장은 육체적 생명에서도 그 특성의 하나이지만, 신앙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신앙에서 신앙으로 자라나 마침내 완전한 데 이르는 것이 산 신앙이다.”6)



종교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이해하려는 “근본주의적 태도”는 종교의 더욱 깊은 뜻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됩니다. 이런 근본주의적 문자주의는 어느 종교에나 다 있는 일이지만 특히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7) 신학자 폴 틸리히가 적절히 지적한 것처럼, “성경을 문자적으로 읽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없고, 심각하게 받아들이려면 문자적으로 읽을 수 없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미국의 종교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는 신비 체험의 네 가지 특징 중 하나가 ‘말로 표현할 수 없음(ineffability)’이라고 하였습니다.8) <도덕경>1장 첫머리에 언급된 것처럼 “말로 표현한 도는 진정한 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궁극 실재나 진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말의 표피적이고 문자적인 뜻에 사로잡히지 말고 그야말로 ‘불립문자(不立文字)’의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계의 여러 신비 전통에서는 언제나 표피적인 의미와 심층적인 의미를 분간하고 표피적인 의미를 지나 심층적인 뜻을 간파하라고 가르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예로 경전이나 의식 등 외부적인 것들은 결국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라고 강조하는 선불교의 가르침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여기서 특히 소개하고 싶은 것은 종교적 진술의 뜻을 좀 더 세분하여 네 가지 차원이 있다고 하는 초기 그리스도교 영지주의(Gnosticism)의 가르침입니다.9) 그리스도교 영지주의, 혹은 영지주의적 그리스도교에서는 모든 종교적 진술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차원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1) 물리적(physical, hylic, 땅) 차원,
2) 심리적(psychological, psychic, 물) 차원,
3) 영적(spiritual, pneumatic, 공기=영) 차원,
4) 신비적(mystical, gnostic, 불) 차원입니다.



첫째 차원은 종교와 별로 관계가 없는 일상적 차원입니다. 이른바 육이나 땅에 속한 사람들이 종교와 상관없이 살아가면서 눈에 보이는 데 따라 극히 표피적으로 이해하는 세상입니다. 이들이 종교에 관심을 갖고 물로 세례를 받으면 둘째 차원으로 들어가는데, 이 단계에서는 예수의 죽음, 부활, 재림 등의 종교적 진술이나 이야기를 ‘문자적’인 뜻으로 받아들이고 이런 문자적인 의미에서 일종의 심리적 기쁨이나 안위를 얻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외적 비밀(the Outer Mysteries of Christianity)’에 접한 것입니다. 여기서 나아가 영으로 세례를 받으면 예수의 죽음과 부활과 재림 등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셋째 차원의 뜻, 곧 ‘은유적(allegorical)’ 혹은 ‘신화적(mythical)’ 혹은 영적 의미를 파악한 영적 사람이 됩니다. 이들이 바로 그리스도교의 내적 비밀(the Inner Mysteries of Christianity)에 접한 사람들입니다. 이들이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 불로 세례를 받으면 그리스도와 하나 됨이라는 신비 체험에 이르고, 더 이상 문자적이나 은유적이나 영적인 차원의 뜻이 필요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입니다.10)


함 선생님은 이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삶의 단계 혹은 의식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생명에는 세 단계가 있다. 맨 밑은 물질이고 그 다음은 마음이고 맨 위에 영 혹은 정신이다. 우리의 생명은 육체에서 시작하여 영에까지 자라는 것이다. 육체에는 자유가 없다. 온전히 물질에 의존한다. 영은 순전히 자유하다.

“평화운동은 전체의식이 없이는 될 수 없다. 우리는 하나다 하는 자각이 모든 가치활동의 근원이 된다.... 그 의식이 없을 때 그것을 이루는 각 분자는 이기주의에 떨어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배타적이 되므로 거기는 싸움이 일어나고야 만다.”11)

저는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크리스마스와 산타크로스 이야기를 즐겨 사용합니다. 어릴 때는 내가 착한 어린이가 되면 크리스마스 이브에 산타 할아버지가 와서 벽난로 옆에 걸린 양말에 선물을 잔뜩 집어넣고 간다는 것을 문자 그대로 믿습니다. 산타 이야기는 그 아이에게 기쁨과 희망과 의미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일 년 내내 싼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위해 착한 아이가 되려고 애를 씁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기 동네에 500집이 있는데, 싼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그 많은 집에 한꺼번에 찾아와 선물을 주고 갈 수 있는가, 우리 집 굴뚝은 특별히 좁은데 그 뚱뚱한 싼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굴뚝을 타고 내려올 수 있는가, 학교에서 배운 바에 의하면 지금 오스트랄리아에는 여름이라 눈이 없다는데 어떻게 썰매를 타고 갈 수 있을까 하는 등의 의심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은 자기 아빠 엄마가 양말에 선물을 넣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아, 크리스마스는 식구들끼리 서로 사랑을 나누는 시간이구나. 나도 엄마 아빠, 동생에게 선물을 해야지.”하는 단계로 올라갑니다. 싼타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를 넘어선 것입니다. 예전처럼 여전히 즐거운 마음으로 똑 같이 “징글벨, 징글벨”을 불러도 이제 자기가 싼타 할아버지에게서 선물을 받는다는 생각보다는 선물을 서로 주고받는 일이 더욱 의미있고 아름다운 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좀 더 나이가 들어 크리스마스와 싼타 이야기는 교회 교인 전부, 혹은 온 동네 사람들 전부가 다 같이 축제에 참여하여 서로 선물이나 카드를 주고받음으로 즐거움을 나누고 사회적 유대를 더욱 강화하는 기회가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좀 더 장성하면, 사실 장성한다고 다 이런 단계에 이르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더욱 성숙된 안목을 갖게 되면 크리스마스 이야기는 하느님이 땅으로 내려오시고 인간이 그를 영접한다는 천지합일의 신비적 의미를 해마다 경축하고 재연한다는 의미도 있을 수 있구나 하는 것까지 알게 됩니다.

물론 이 예화에서 싼타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 윤리적 의미, 사회공동체적 의미, 신비적 의미 등 점진적으로 심화된 의미를 알아보게 되는 과정이 영지주의에서 말하는 네 가지 발전단계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깊은 신앙이란 문자주의를 극복하고 이를 초월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점에서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함 선생님의 기본 가르침이 이처럼 문자주의를 극복함으로 종교의 진수에 접하라는 권고라고 생각합니다. 함 선생님은 젊은 시절부터 성서를 읽되 문자적으로 읽기를 거부하고 성서에서 그 당시 조선인들에게 성서가 줄 수 있는 더 깊은 ‘뜻’을 찾아내려고 했습니다. 성서뿐만 아니라 그의 전 생애를 통해 동서고금의 종교 문헌을 섭렵하면서 그런 문헌의 문자 뒤에 담긴 뜻을 우리에게 전하려고 했습니다. 이 말은 그가 문자주의의 제한성을 넘어서 종교적 진술이나 예식을 “상징적으로” “은유적으로” 읽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문자주의를 극복할 때 우리의 신앙은 계속 자라나 “완전한 데” 이를 수 있다고 보신 것입니다.


2. 참나를 찾으라


“하나님의 구체적인 모습이 민중이요 민중 속에 살아 있는 산 힘이 하나님이다.”
“하나님은 다른 데선 만날 데가 없고, 우리 마음속에, 생각하는 데서만 만날 수가 있다.”
“자기를 존경함은 자기 안에 하나님을 믿음이다....그것이 자기발견이다.”12)


영국 사상가로서 The Perennial Philosophy 라는 책을 쓴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는 세계 여러 종교의 신비주의 전통에서 발견되는 공통점들을 열거하면서 힌두교에서 말하는 “tat tvam asi,” 곧 범아일여(梵我一如) 개념을 첫 번째 항목으로 들었습니다.13) 헉슬리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신비주의 전통들을 살펴보면 한결같이 “신이 내 속에 있다,” “가장 깊은 면에서 신과 나는 결국 하나다” 하는 생각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런 신관은 신의 내재(內在)만을 주장하고 신의 초월(超越)을 무시하거나 신과 나를 전혀 구별하지 않고 양자를 완전히 동일시하는 범신론(汎神論, pantheism)과 분명히 구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비주의 전통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입장은 나와 신을 구별하여 신의 초월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신의 내재성을 함께 수납하는 이른바 범재신론(汎在神論, panentheism)적 신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범재신론은 다른 모든 사물에서와 마찬가지로 “내 ‘속에’ 신적인 요소가 있다,” “나의 바탕은 신적인 것이다”, “나의 가장 밑 바탕은 신의 차원과 닿아 있다” 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말하자면 신의 초월과 동시에 내재를 함께 강조하는 ‘변증법적 유신론’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14) 세계 신비전통에 나타나는 이런 유형의 신관 몇 개 만 예로 들어 봅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내 속에 불성이 있다”고 하는 것을 강조하는 불교의 불성 사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 사상입니다. ‘장(garbha)’이라는 말은 ‘태반(matrix)’과 ‘태아(fetus)’라는 이중적인 뜻을 가지고 있기에 우리는 모두 생래적으로 여래 곧 부처님의 ‘씨앗’과 그 씨앗을 싹트게 할 ‘바탕’을 내장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인간이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이 잠재적 요소를 깨닫고 성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와 덧붙여 한마디 할 수 있는 것은 부처님이 출생하자 말자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했다는 말을 두고서도 여기의 ‘나(我)’란 ‘고타마 싯다르다’라는 역사적 개인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내 속에 있는 불성, 혹은 ‘참나’를 가리키는 말이므로 이 참나야 말로 천상천하에서 오로지 높임을 받아 마땅한 것이라 풀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만약 이런 풀이가 가능하다면 예수님이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했을 때 그 ‘나’도 결국 역사적 예수를 지칭하는 것이라 보기보다 “아브라함 보다 먼저” 있었던 그리스도, 그의 바탕이 되는 신적 요소, 그의 참나를 가리키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라 봅니다.15)


물론 예수님도 직접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요14:10)고 했습니다. 사도 바울도 “나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습니다. 이제 살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살고 계십니다.”(갈2:20)고 했습니다. 이런 것을 보면 그리스도교 초기부터 신성의 내재라는 신비주의적 특색을 강조하는 저류가 강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록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그리스도교 내에서 이런 신비적 흐름이 억눌리고 문자주의적 그리스도인들이 득세하는 비극이 초래되기는 했지만 이런 사상은 그리스도교 전통 속에 면면히 이어져 온 것 또한 사실입니다. 중세 가장 위대한 그리스도교 신비 사상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도 “영혼 속에는 창조되지도 않았고 창조될 수도 없는 무엇이 있다”고 했고 그 외의 많은 신비주의 그리스도 사상가들이 우리 속에 있는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씨앗, 그리스도의 탄생 등에 대해 계속 이야기합니다. 특히 지금까지 기독교 신비 전통의 한 가닥을 이어가고 있는 퀘이커교에서는 우리 속에 있는 신적인 요소를 ‘신의 한 부분(that part of God)’ 혹은 ‘내적 빛(inner light)’이라는 말로 표현합니다.

어느 종교보다도 신의 초월을 강조하는 이슬람교에서조차 신의 내재를 동시에 역설하는 수피(Sufi) 전통이 있습니다. 그들은 신이 내 “우리의 핏줄보다도 우리에게 가까운 분”이라는 쿠란의 말을 근거로 하여 신의 내재성과 ‘신에로의 몰입’을 주장합니다. “만물 안에 내재한 그 일자(一者)를 보라”고 가르칩니다.

동양 사상 중 특히 ‘우리가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사상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고 봅니다.

저는 우리 속에 있는 신적 요소, 혹은 내재적 하느님 사상을 학생들에게 더욱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물론 얼마간의 무리와 오해의 위험이 있음을 알면서도, 저 나름대로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리가 ‘나’라고 할 때 제일 먼저 나를 나의 ‘몸’과 동일시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몸이 아프면 바로 ‘내가’ 아픈 것입니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나의 몸’이라고 하는 것은 나와 몸이 하나가 아니고 몸은 ‘나’라고 하는 무엇이 가지고 있는 소유물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몸을 소유하고 있는 나는 무엇인가? 마음인가? 그러나 여기서도 역시 ‘나의 마음’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마음의 소유자, 주인이 마음과 별도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영혼이 나인가? 역시 마찬가지로 ‘나의’ 영혼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영혼이 주인이 아니고 영혼을 소유하고 있는 ‘나’라고 하는 더 근본적인 주인이 따로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나의 몸도, 마음도, 영혼도 아닌 그 근본 주인, 그 소유자, 그 바탕이 무엇인가? 우리는 그것을 ‘참 나,’ 혹은 내 속에 있는 ‘신적 요소,’ ‘내 속의 하느님’이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하고 설명해 봅니다.


중세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 제노아의 성 캐더린(St. Catherine of Genoa)의 말: “나의 나는 하느님이다. 내 하느님 자신 이외에 다른 나를 볼 수 없다.”(My Me is God, nor do I recognize any other Me except my God Himself.)16)고 한 것은 나의 진정한 나는 결국 신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잘 표현한 것이라 여겨집니다.17)


물론 이런 이론적 설명이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이런 설명과 함께 명상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깊은 명상 속에서 우리는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 상태를 관찰하는 ‘또 하나의 나’를 의식하게 됩니다. 다시 가만히 보면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 상태를 관찰하는 그 또 하나의 나를 관찰하는 또 다른 관찰자를 의식합니다. 이런 식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한이 없기에 이쯤에서 일단 이렇게 나의 몸이나 감정이나 마음을 관찰하는 또 하나의 나를 의식하고, 이 또 하나의 나는 일상적이고 일차적인 나와 다른 나가 아닌가, 이 나가 하느님의 일부이든가 아직 하나님의 일부가 아니면 하나님에 가까운 나, 혹은 내 속에서 하느님과 맞닿은 부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고 말해주기도 합니다. 함 선생님도 이와 비슷하게 하나님을 만나는 것은 “시간·공간을 다 잊어버리고 내 마음을 될수록 순수하게, 잡념을 없애고”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함석헌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씨알’이라는 것도 이런 관점에서 다시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18) 물론 ‘씨알’이라는 말이 때 묻지 않은 ‘맨사람,’ 근본을 잃지 않고 인위적인 것으로 덧씌워지지 않은 민중을 뜻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씨알의 알은 하늘에서 온 것이다. 하늘은 한 얼이다. 하늘에서 와서 우리 속에 있는 것이 알이다.”19)하는 말이나 “정말 있는 것은 ‘알’ 뿐이다.... 그 한 ‘알’이 이 끝에서는 나로 알려져 있고, 저 끝에서는 하나님, 하늘, 뿌리로 알려져 있다.”20)고 한 말을 보면 적어도 씨알의 ‘알’은 우리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한 신적 요소, 혹은 신과 인간이 맞닿아 있는 경지를 일컫는 말이라 이해해도 무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몇 가지 관점에서 볼 때 함석헌 선생님의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세계 신비주의 전통 속에서도 가장 중요시되는 신인합일, 신인무애(無礙), 신과 만물의 융합, 라틴어로 ‘unio mystica’의 사상을 함의하고 있다고 하여 틀 릴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서 함 선생님의 이런 사상이 그리스도교적 표현으로 압축된 것 같아 인용합니다:


나는 역사적 예수를 믿는 것이 아니다. 믿는 것은 그리스도다. 그 그리스도는 영원한 그리스도가 아니면 안 된다. 그는 예수에게만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내 속에도 있다. 그 그리스도를 통하여 예수와 나는 서로 다른 인격이 아니라 하나라는 체험에 들어갈 수 있다. 그 때에 비로소 그의 죽음은 나의 육체의 죽음이요, 그의 부활은 내 영의 부활이 된다. 속죄는 이렇게 해서만 성립된다. <하나님의 발길에 채여서>


3. 우주공동체에서 평화를 체현하라


“평화주의가 이긴다.
인도주의가 이긴다.
사랑이 이긴다.
영원을 믿는 마음이 이긴다.“21)


세계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나와 하느님이 하나임을 말함과 동시에 나와 다른 이들, 다른 사물들과도 결국 일체임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가 말했습니다. “어떤 경우가 천박한 이해인가? 나는 답하노라. ‘하나의 사물을 다른 것들과 분리된 것으로 볼 때’ 라고. 그리고 어떤 경우가 이런 천박한 이해를 넘어서는 것인가? 나는 말할 수 있노라. ‘모든 것이 모든 것 안에 있음을 깨닫고 천박한 이해를 넘어섰을 때’ 라고.”22)


물론 이런 사상을 가장 극명하고 조직적으로 개진하는 사상체계는 중국 불교의 화엄종(華嚴宗)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화엄에서는 이사무애법계(理事無礙法界)사사무애법계(事事無礙法界)라는 기본 원칙을 강조합니다. 보편적 원리로서의 이(理)와 개별적 사물로서의 사(事)가 아무 거침이 없이 서로 융통한다는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 생각을 기초로 하여, 이제 모든 사물 자체가 상즉·상입(相卽相入)한다는 것까지 강조하고 있습니다. 요즘 말로 고치면 모든 사물은 상호연관, 상호의존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나와 하느님만이 하나가 아니라 나와 너, 나와 만물이, 만물과 만물이 궁극적 차원에서는 하나라는 가르침입니다. 유기체적(organic), 통전적(holistic) 세계관입니다.


함 선생님은 “내 속에 참 나가 있다,” “이 육체와 거기 붙은 모든 감각·감정은 내가 아니다,” “나의 참 나는 죽지도 않고, 늙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고 더러워지지도 않는다”고 하면서,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나와 일체가 하나임을 알아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나는 나 혼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남과 같이 있다. 그 남들과 관련 없이 나는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나와 남이 하나인 것을 믿어야 한다. 나·남이 떨어져 있는 한, 나는 어쩔 수 없는 상대적인 존재다. 그러므로 나·남이 없어져야 새로 난 ‘나’다. 그러므로 남이 없이, 그것이 곧 나다 하고 믿어야 한다. 다른 사람만 아니라, 모든 생물, 무생물까지도 다 티끌까지도 다 나임을 믿어야 한다.”23)


저는 이런 유기체적이고 통전적인 세계관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자기 뺨을 만져보라고 합니다. 거기에서 부모님을 발견하고 조부모님, 증조부모님, 나아가 수없이 많은 조상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했던 공기, 물, 비, 구름, 햇빛, 음식, 음식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 도구를 만든 사람들, 그들이 농사짓는데 필요했던 토양, 씨앗, 시간과 공간 등등 이런 모든 것이 지금 내 뺨에 함께 존재하는 것을 느껴보라고 합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나는 온통 나 아닌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나’라는 개인은 이 모든 것과 상즉상입의 관계를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도 없고 의미도 없는 셈입니다. 저는 이렇게 온 우주가 서로 연관되었음을 깨닫는 것이 바로 ‘우주 공동체’를 새로이 발견하는 일이라 주장합니다.


이렇게 나와 너, 만물이 서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실제 삶과 무슨 연관이 있는가 반문할 수 있습니다. 사실 세계 여러 신비주의 전통에서 가르치는 것들은 단순히 논리 정연한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이 아닙니다. 일견 복잡하기 그지없이 보이는 교설들도 사실은 이른바 ‘구원론적 의도(soteriological intent)’를 가진 것입니다. 헉슬리가 말한 것처럼 “진정한 신비주의자들은 이론적이면서도 동시에 실제적”입니다.24)


이런 통전적, 유기적 세계관에서 어떤 실제적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까? 여러 가지를 들 수 있겠지만, 저는 만물의 일체감에서 세계의 고통을 ‘함께 아파하는’ 자비(compassion)의 마음을 가질 수 있고, 이런 아픔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평화로운 세상의 구현을 위해 힘쓰게 된다는 점을 특히 부각하고자 합니다.


함 선생님도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평화운동이 감상적이거나 윤리적 차원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하나’라고 보는 더욱 근본적인 우주관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면서, “평화운동은 전체의식 없이는 될 수 없다. 우리는 하나다 하는 자각이 모든 가치 활동의 근원이 되어야 한다.... 그 의식이 없을 때 그것을 이루는 각 분자는 이기주의에 떨어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배타적이 되므로 거기는 싸움이 일어나고야 만다.”25) 고 한 말이나 “사랑은 하나 됨이다. 둘이면서 하나 됨이다. 둘이면서 둘인 줄을 모를 뿐 아니라, 하나면서 하나인 줄을 모를이만큼 하나여야 할 것이다.”26)고 한 그의 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하나 됨으로 남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여기고 남이 아플 때 나도 아파하는 일종의 보살 정신입니다. 틱낫한 스님이 제창한 참여불교(Engaged Buddhism) 운동처럼 올바른 세계관에 입각한 사회참여의 정신입니다. 함 선생님은 제가 보기 ‘행동하는’ 신비주의를 몸소 보이주고 실천하신 분이라 생각합니다.


4. 종교 상호간의 보완과 조화를 중시하라


“우리의 생각이 좁아서는 안 되겠지요. 우주의 법칙, 생명의 법칙이 다원적이기 때문에 나와 달라도 하나로 되어야지요. 사람 얼굴도 똑같은 것은 없지 않아요? 생명이 본래 그런 건데, 종교와 사상에서만은 왜 나와 똑 같아야 된다고 하느냐 말이야요. 생각이 좁아서 그렇지요. 다양한 생명이 자라나야겠는데....”27)

앞에서 말한 우주공동체에서의 평화운동과 궤를 같이 하는 이야기이지만 여기서 특히 종교다원주의적 자세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자기만 옳다고 하는 독선적 주장이 별로 없습니다. 앞에서 지적한 것과 마찬가지로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궁극적 실재가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파악될 수 없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말이나 문자로 표현된 것에 절대적 타당성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한 가지 예로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 사상은 궁극 실재에 대한 우리 인간의 견해(見解)는 그 타당성이 전혀 없다, ‘비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사상 체계입니다. 모든 견해가 이럴 진데 나의 견해만 예외적으로 절대로 옳다고 주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와 함께 신비주의 전통에서는 단순한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하고 사물을 더욱 깊은, 더욱 높은, 더욱 넓은, 더욱 많은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관점에서 본 한 가지 의견을 절대적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것입니다. 궁극 실재가 무한히 크면서 동시에 무한히 작다고 하는 ‘역설’의 논리가 무리 없이 수용됩니다. <장자>의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조삼모사(朝三暮四)’ 이야기 중 원숭이 훈련사의 경우처럼 양쪽을 다 보는 ‘양행(兩行)’의 태도를 보입니다. 똑 같은 커피 잔이 위에서 보면 둥글지만 앞에서 보면 네모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런 태도를 요즘말로 바꾸면 시각주의(perspectivalis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은 어느 시각, 어느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연히 함 선생님처럼 “글쎄요”의 태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28) 하나의 시각, 하나의 관점을 절대화할 수 없고 다원적인 시각의 상대적 타당성을 인정할 뿐입니다.


이런 태도를 다종교(多宗敎) 현상에 적용하면 자연스럽게 종교 다원주의적 태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어느 한 종교의 가르침만을 절대적 진리라 주장하는 배타적 태도를 견지할 수 없게 됩니다.29) 이런 의미에서 신비주의와 종교 다원주의적 태도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 혹은 나무와 그 열매와 같은 관계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 선생님이 세계 신비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는 말은 함 선생님은 세계 종교들을 다룰 때 다원주의를 견지할 수밖에 없는 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30)


여기서 이 문제를 길게 논의하는 대신 함 선생님의 말씀 하나를 인용하고 그칩니다:


“나는 갈수록 퀘이커가 좋습니다. 좋은 이유는...‘우리 교회에 오셔요’, ‘이것 아니고는 구원 없습니다’ 식의 전도가 없고, 있다면 그저 밭고랑에 입 다물고 일하는 농부처럼 잘됐거나 못됐거나, 살림을 통해서 하는 전도가 있을 뿐입니다....그들은 자연스럽고, 속이 넓으면서도 정성스럽습니다. 누가 와도, 불교도가 오거나, 유니테리안이 오거나, 무신론자가 온다해도, 찾는 마음에서 오기만 하면 환영입니다. 그러니 좋지 않습니까?”31)


나가는 말


20세기 가장 위대한 가톨릭 신학자로 알려진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는 21세기 그리스도교가 신비주의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되고 말 것이라 예견했습니다. 그리스도교가 신비주의적 차원으로 심화되지 않으면 망하고 만다는 뜻입니다. 어찌 그리스도교뿐이겠습니까? 저는 모든 종교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경지는 결국 신비주의적 차원이라 확신합니다.32)


물론 지금까지 이런 신비주의적 차원에 접한 종교인들은 그 숫자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거의 모든 종교의 신도들이 문자주의적, 교리 중심적, 기복주의적, 자기중심적, 배타주의적 종교에 속해 있으면서도 그것이 참된 종교가 이를 수 있는 구경의 경지가 아니라는 사실도 모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제 이런 비극적 사태가 개선되므로 더욱 많은 이들이 종교의 신비주의적 차원에 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독일 여성 신학자 도로테 죌레(Dorothee Soelle, 1929-2003)는 최근에 펴낸 그의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라는 책에서 신비주의 체험이 역사적으로 특수한 몇몇 사람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무엇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도 보편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하며, 이른바 ‘신비주의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mysticism)’를 주창했습니다.33) 저도 이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는 이번 이 논문을 쓰기 위해 함석헌 선생님의 글을 다시 읽으면서 다시 한 번 함 선생님의 신비주의적 사상이 바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이끌 수 있는 사상이며, 함석헌 선생님이야 말로 이런 ‘신비주의의 민주화’에 앞장서신 분이었구나 하는 확신을 더욱 공고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여기에 바로 함석헌 선생님의 비교사상사적 의의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1) 김성수, <함석헌 평전> (삼인, 2001), p. 105 참조.

2) “하워드 브린튼이 퀘이커리즘을 서양에서 난 종교들 중 가장 동양적인 것을 가진 종교다 그랬는데....하여간 비슷하게 동양적인 그런 게 있는 것은 사실이오. 신비를 인정하는 거지요.” (<함석헌 전집15>p. 51), 김성수, 위의 책 p. 126에서 재인용.

3) 또 다른 분류법으로 종교의 ‘표의적(exoteric)’ 차원과 ‘밀의적(esoteric)’ 차원을 말하는 사람들이 있고, 필자도 다른 글에서는 표피적(surface) 차원 vs. 심층적(depth) 차원, 닫힌 종교 vs. 열린 종교로 분류했다. 졸저 <예수가 외면한 그 한가지 질문>(현암사, 2002), Frithjof Schuon, The Transcendent Unity of Religions (New York: Quest Books, 1984) 등 참조.

4) 필자는 이 말을 대학 시절 읽은 김하태 박사의 글에서 접하고, 그 이후 신비주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신비주의와 신비체험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 방면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William James,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ce (New York: Collier Books, 1961), Aldous Huxley, The Perennial Philosophy (New York: Harper & Row, 1944) 외에 최근의 책 John Macquarrie, Two Worlds Are Ours: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Mysticism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4), pp. 1-34 등을 참조할 수 있음.

5) 김진 엮음, <너 자신을 혁명하라: 함석헌 명상집>(오늘의 책, 2003), p. 160에서 인용.

6) <함석헌 전집 9>, p. 200.


7) 문자주의의 문제성과 해독에 대해서는 졸저 <예수는 없다>(현암사, 2001) pp. 63-115 참조. Timothy Freke & Peter Gandy, The Laughing Jesus (New York: Harmony Books, 2005)는 기독교와 이슬람의 문자주의의 해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8) 다른 세 가지 특성은 ‘얼른 지나감(transiency)’ ‘직관적(noetic quality), ‘피동성(passivity)’이라고 했다. 그의 앞의 책 참조할 것.

9) ‘Gnosticism’을 보통 ‘영지주의(靈知主義)’라고 번역하는데 필자는 이를 “깨달음주심주의”라 번역하고 싶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서 여기서는 그대로 ‘영지주의’라는 말을 사용하기로 한다. 영지주의에 대한 최근의 책으로 하버드 대학교 교수 Karen L. King이 쓴 What Is Gnosticis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그리고 일반 독자를 위해 읽기 쉽게 쓴 Richard Smoley, Forbidden Faith: The Gnostic Legacy (San Francisco: HarperSanFranscico, 2006)을 참조할 수 있다.

10) Timothy Freke & Peter Gandy, The Jesus Mysteries (New York: Three Rivers Press, 1999), pp. 127-129 참조.

11) 김진, 앞의 책, p. 74-5에서 인용. 인간의 의식 발달을 물질, 마음, 영의 세 단계, 이른바 pre-subject/object consciousness, subject/object consciousness, trans-subject/object consciousness로 분류한 예는 Ken Wilber, Up From Eden (Boston: Shambala, 198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12) 각각 김진, p. 129, 172, 95에서 인용.

13) Aldous Huxley, 앞의 책, pp. 1-21 참조.

14) 이 용어는 옥스퍼드 대학교 신학자인 John Macquarrie가 채택한 용어다. 범재신론을 다루는 책으로 최고로 좋은 그의 책 In Search of Deity: An Essay in Dialectical Theism (New York: Crossroad, 1985) 참조.

15) 함 선생님도 이와 비슷한 말을 하셨다. “그러면 ‘나[自我]가 곧 나라’요, ‘나[自我]를 본 자가 아버지[民族, 世界, 하늘]을 본 것이다.’ 그 나는 새삼스러이 있을 것도 아니요 없을 것도 아니요, 보라, 여기 있다 저기 있다 할 것도 아니요, ‘아브라함이 있기 전부터 있는 나’, 참 나,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인 나다.” 김진, 앞의 책 241에서 인용.

16) Huxley, 앞의 책 p. 11에서 재인용.

17) 중세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들은 자기의 작은 자아가 없어지고 신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는 뜻에서 인간의 ‘신성화(deification)’를 자주 이야기하고 있다.

18) ‘씨알’의 다중적 의미와 씨알 사상의 ‘바탕생각’에 대해서는 김경재, “21세기 씨알사상과 그 운동”(http://soombat.org) 참조. 함 선생님은 ‘씨알’이란 말이 류영모 선생님이 <大學> 첫머리에 나오는 “大學之道在明明德 在親[新]民 在止於至善”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한 배움의 길은 속알 밝힘에 있으며, 씨알 어뵘에 있으며, 된데 머무름에 있나니라.”고 한 데서 나왔다고 했다. 김용준, <내가 본 함석헌> (아카넷, 206), pp. 193-194, 이정배, “함석헌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속에 나타난 ‘민족’ 개념의 신학적 성찰” ) 씨알사상연구회 2006년 5월 월례발표회 논문, p. 11.

19) 김진, p. 115.

20) <함석헌 전집 3> “씨알의 설움”

21) 김진, p. 135.

22) Huxley, 앞의 책, p. 57에서 인용.

23) 김진, p. 84.

24) Huxley, 앞의 책 p. 5.

25) 김진, pp. 74-75.

26) 같은 책, p. 202.

27) 김성수, 179-180 재인용.

28) 필자가 함 선생님과 개인적으로 대화하면서 제일 먼저 느낀 것이 “글쎄요”라는 말을 아주 많이 하신다는 사실이었다. 이 사실을 <도덕경> 45장 “완전한 웅변은 눌변으로 보입니다(大辯若訥)”라는 구절을 해석하면서 언급한 적이 있다. 도에 입각한 말은 판에 박힌 이분법적 달변이 아니라 여러 관점을 동시에 보기 때문에 ‘글쎄요’가 나오지 않을 수 없다고 풀이한 것이다. 졸저 <도덕경>(현암사, 1995), p. 197.

29) 종교간의 관계에 대한 상이한 태도를 논의하는 책으로 Paul F. Knitter, Introducing Theologies of Religions (Maryknoll: Orbis Books, 2002) 참조. 여기에서 Knitter는 네 가지 기본태도를 논하는 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남의 종교를 내 종교로 대체해야 한다는 대체론(Replacement model), 2) 남의 종교의 모자람을 채워주어야 한다는 충족론(Fulfillment model), 3) 서로의 공통점을 찾자고 하는 상호론(Mutuality model), 4) 서로의 다름을 그대로 인정하고 그 다름에서 배우자고 하는 수용론(Acceptance mode).

30) 신비주의와 종교다원주의와의 관계, 특히 그리스도교와 불교가 신비주의에서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졸저, <불교, 이웃종교로 읽다>(현암사, 2006), pp. 340-355 참조. 함 선생님의 다원주의적 태도를 좀 더 상세하게 다룬 것으로 김성수, 앞의 책, pp. 179-185를 참조할 수 있다.

31) <함석헌 전집 8> pp. 377-378. 김성수, 앞의 책, pp. 130-131에서 재인용.

32) 종교를 분류할 때 힌두교, 불교, 그리스도교, 유대교, 이슬람 등 각각의 전통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런 종교 전통 중에서 그 심천을 기준으로 하여 표의적 종교와 밀의적 종교로 나눈 슈온의 분류법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Schuon, 앞의 책 참조할 것.

33)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p. 11.

====

함석헌 사상의 비교사상사적 의의-오강남
작성자 바보새 
15-09-20
====

2019/09/26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by Dorothee Sölle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by Dorothee Sölle | Goodreads


Want to Read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Author: Dorothee Soelle (Author)


Description
Exploring the religious impulse known as mysticism — the "silent cry" at the heart of all the world's religions.

Mysticism, in the sense of a "longing for God," has been present in all times, cultures, and religions. But Soelle believes it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than in this age of materialism and fundamentalism. The antiauthoritarian mystical element in each religion leads to community of free spirits and resistance to the death-dealing aspects of our contemporary culture. Religion in the third millennium, Soelle argues, either will be mystical or it will be dead.

Therefore, Soelle identifies strongly with the hunger of New Age searchers, but laments the religious fast food they devour. Today, a kind of "democratized mysticism" of those without much religious background flourishes. This mystical experience is not drawn so much of the tradition as out of contemporary experiences. In that sense, each of us is a mystic, and Soelle's work seeks to give theological depth, clarity, and direction.

This, her magnum opus, conjoins Soelle's deep religious knowledge and wisdom with her passion for social justice into a work destined to be a classic of religious literature.

Price: $29.00
Release date: April 17, 2001
Pages: 336

Endorsements

"Soelle, author of the best-selling Against the Wind: Memoirs of a Radical Christian, explores mysticism as a major stream of Christian faith. She explores contexts that often give rise to mystical experiences, and then probes the ways mysticism creates a powerful resistance to materialism, violence, and globalization. Soelle sees mysticism as the silent cry at the heart of all authentic spirituality; the place from which visions of creative resistance and alternatives come."

— The Other Side

Read how " Best This Month" reviews this book.
— Frederic and Mary Ann Brussat, The Lutheran July 2001

Excerpts

Excerpt from the Introduction


Why, when God's world is so big,
did you fall asleep in a prison
of all places?
— Rumi



For many years I have been drawn to and borne by mystical experience and mystical consciousness. Within the complex phenomenon of religion, they appeared to be central. All living religion represents a unity of three elements that, in the language of the great Catholic lay theologian Friedrich von Huegel (1852–1925), we may call the institutional, the intellectual, and the mystical (see chapter three). The historical-institutional element addresses itself to mind and memory; in Christianity it is the "Petrine" dimension. The analytical-speculative element is aligned with reason and the apostle Paul. The third element, the intuitive-emotional one, directs itself to the will and the action of love. It represents the Johannine dimension. The representatives of all three elements tend to declare themselves to be absolute and to denigrate the others as marginal; however, without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elements, religion does not stay alive. Reciprocity between institutional, intellectual, and mystical elements of religion may take the form of polarization, or the exchange may be dialectical.

What enticed me to the lifelong attempt to think God was neither the church, which I experienced more as a stepmother, nor the intellectual adventure of post-Enlightenment theology? I am neither professionally anchored nor personally at home in the two institutions of religion—the church and academic theology. It is the mystical element that will not let go of me. In a preliminary way, I can simply say that what I want to live, understand, and make known is the love for God. And that seems to be in little demand in those two institutions. At best, what Protestant theology and preaching articulate in what they designate as "gospel" can be summed up as follows: God loves, protects, renews, and saves us. One rarely hears that this process can be truly experienced only when such love, like every genuine love, is mutual. That humans love, protect, renew, and save God sounds to most people like megalomania or even madness. But the madness of this love is exactly what mystics live on.

What drew me to mysticism was the dream of finding a form of spirituality that I was missing in German Protestantism. What I was seeking had to be less dogmatic, less cerebral and encased in words, and less centered on men. It had to be related to experience in a two-fold sense of the word: how love for God came about and what consequences it has for life. I was not looking for what Thomas Müntzer refers to as "made-up, fictitious faith," that is, something that is fine for the head and keeps the institution functioning. Instead, I searched for the mystical element of faith; in the Bible and other sacred writings,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but also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lived union with God or the divini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round of being perceived in personal terms, or, in transpersonal terms, need not concern us here. For are "mindfulness" or "pure attentiveness" of Buddhist tradition not other words for what the Abrahamic traditions call "love for God"?

Often an expression like "longing for God"—which could be a different rendering of "mysticism"—evokes embarrassment; yet, tradition declares that our greatest perfection is to need God. But it is precisely that longing that is taken to be a kind of misguided indulgence, an emotional excess. In recent years, when two of my friends converted to Roman Catholicism, I could not approve. In the first place, the denominational divisions of the sixteenth century are no longer substantive for me. Second, in the Roman institution—with its unrelenting "nyet" to women, to a humane sexuality, and to intellectual freedom—I only find in double measure the coldness from which both my friends were fleeing. But what these two women were seeking they found, above all, in the liturgy of the Catholic Church. The experience of mysticism made them feel at home. That is what I am looking for, too, and that is what this book is about.

The history of mysticism is a history of the love for God. I cannot conceive of this without political and praxis-oriented actualization that is directed toward the world. At the beginning of the seventies, I wrote Death by Bread Alone (Die Hinreise), a book with autobiographical undertones. Many of my friends on the political and Christian left became worried. "Dorothee is leaving," I heard them say in Holland, "will she ever return?" But that was not my worry; what I was particularly trying to do was to hold together what Roger Schütz, the founder of the Protestant monastic community in Taizé, calls "lutte et contemplation" (struggle and contemplation). I did not want to travel on two distinct pathways. What in the late sixties we named "politicization of conscience," at the time of the political evensong of Cologne, has in the meantime become widely generalized. More and more Christians and post-Christians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setting out and then coming back again (Hinreise and Rückreise). They need both.

There has been very littl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ystical experience and social and political behavior. Social-historical enquiry always recedes—especially in today's mysticism boom—in favor of a "perennial philosophy" (to borrow the name of Aldous Huxley's famous anthology), a way of thinking that is outside time. It looks at God and the soul alone, without any social analysis. To say the least, such an approach is an abridgment. What interests me is how mystics in different ages related to their society, and how they behaved in it. Was the demeanor of flight from the world, separation, and solitude adequate for mysticism? Were there not also other forms of expressing mystical consciousness to be found in the life of communities as well as individuals? Did mystics not have a different relation, communally and individually, to the "world," to the whole of society, both in practice and in theory? The prison, of all places, in which we have fallen asleep (Rumi)—is this what we are supposed to regard as the world's eternal condition, unaffected by real history?

My questioning is focused on social reality. This means that for the sake of what is within, I seek to erase the distinction between a mystical internal and a political external. Everything that is within needs to be externalized so it doesn't spoil, like the manna in the desert that was hoarded for future consumption. There is no experience of God that can be so privatized that it becomes and remains the property of one owner, the privilege of a person of leisure, the esoteric domain of the initiated. In my search for concepts that depict the possibilities open to mystics of their relation to the world, I find a series of different options. They lie between withdrawal from the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through revolution. But whether it be withdrawal, renunciation, disagreement, divergence, dissent, reform, resistance, rebellion, or revolution, in all of these forms there is a No! to the world as it exists now. The reformer Teresa of Avila; the Beguines of Flanders, who created their own new forms of life; Thomas Müntzer, the revolutionary leader of peasants; and Daniel Berrigan, the Jesuit destroyer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ll of them lived their mysticism in the repudiation of the values that ruled in their worlds. For those who want the world to remain as it is have already acceded to its self-destruction and, consequently, betrayed the love of God and its restlessness before the status quo.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Part I: What Is Mysticism?

1. We Are All Mystics
Mysticism of Childhood
Are Mystics Completely Different?
Mystical Sensibility
"I Am What I Do": C. S. Lewis

2. Ecstasy
Stepping Out and Immersing Oneself
Commotion and Unity: Martin Buber
Rabi'a and Sufi Mysticism
Mansur al-Hallaj: Agnus Dei Mohamedanus
We Have Not Been Created for Small Things

3. Definitions, Methods, Delimitations
From the Hermeneutic of Suspicion to a Hermeneutic of Hunger
Pluralism of Methods and Contextu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Genuine and False Mysticism

4. Finding Another Language
The Cloud of Unknowing and the Cloud of Forgetting
Sunder Warumbe: Without a Why or Wherefore
A Language without Dominance
The Via Negativa, the Way of Negation
The Paradox
Silence

5. The Journey
Ladders to Heaven and Stations on Earth
Purification, Illumination, Union: The Three Ways of Classic Mysticism
Traces of a Different Journey: Thomas Müntzer
Being Amazed, Letting Go, Resisting: Outline of a Mystical Journey for Today

Part II: Places of Mystical Experience

6. Nature
Places and Placelessness
A Morning Hymn: Harriet Beecher Stowe
Monotheism, Pantheism, Panentheism
Sharing and Healing: A Different Relation to the Earth

7. Eroticism
Heavenly and Earthly Love and Their Inseparability
The Song of Songs
Marguerite Porète and the Enrapturing Far-Near One
The Bitterness of Ecstasy: D. H. Lawrence and Ingeborg Bachmann
Sacred Power

8. Suffering
Job: The Satanic and the Mystical Wager
Between Dolorousness and Suffering
"Even When It Is Night": John of the Cross
"Better in Agony than in Numbness": Twentieth-Century Mysticism of Suffering

9. Community
The Hidden Sacred Sparks: Hasidim
Community, the Sinai of the Future: An Examination of Buber's Relation to Mysticism
Without Rules and Poor, Persecuted, and Free: The Beguines
The Society of Friends and the Inner Light

10. Joy
The Mystical Relation to Time: Thich Nhat Hanh
Publicans, Jesters, and Other Fools: The Abolition of Divisions
Dancing and Leaping: The Body Language of Joy
The Relation of Mysticism and Aesthetics

Part III: Mysticism Is Resistance

11. As If We Lived in a Liberated World
The Prison We Have Fallen Asleep In: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ut of the Home into Homelessness
Acting and Dreaming: Becoming Martha and Mary
The Fruits of Apartheid

12. Ego and Ego-lessness
The Ego: The Best Prison Guard
"Go Where You Are Nothing!"
Asceticism: For and Against
Tolstoy's Conversion from the Ego to God
Freedom from the "Ring of Cold": Dag Hammarskjöld
Success and Failure

13. Possession and Possessionlessness
Having or Being
Naked and Following the Naked Savior: Francis of Assisi
John Woolman and the Society of Slave Owners
Voluntary Poverty: Dorothy Day
Middle Roads and Crazy Freedoms

14. Violence and Nonviolence
The Unity of All Living Beings
The Duty of Civil Disobedience: Henry David Thoreau
Mahatma Gandhi and Ahimsa
"Our Weapon Is to Have None": Martin Luther King Jr.
Between Hopes and Defeats

15. A Mysticism of Liberation
The Death and Life of Severino: João Cabral
Kneeling Down and Learning to Walk Upright: The Theology of Liberation
"When You Dance with Death, You Must Dance Well": Pedro Casaldáliga
The Voice of the Mute: Dom Helder Camara
Learning to Pray and a Different Mysticism

Notes

Bibliography

Index



====
Goodreads Reviews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by 
Dorothee Sölle
Martin Rumscheidt (Translator), 
Barbara Rumscheidt (Translator)
====

4.43 · Rating details · 120 ratings · 15 reviews
Exploring the religious impulse known as mysticism - the "silent cry" at the heart of all the world's religions. Mysticism, in the sense of a "longing for God," has been present in all times, cultures, and religions. But Soelle believes it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than in this age of materialism and fundamentalism. The antiauthoritarian mystical element in each religion leads to community of free spirits and resistance to the death-dealing aspects of our contemporary culture. Religion in the third millennium, Soelle argues, either will be mystical or it will be dead. Therefore, Soelle identifies strongly with the hunger of New Age searchers, but laments the religious fast food they devour. Today, a kind of "democratized mysticism" of those without much religious background flourishes. This mystical experience is not drawn so much of the tradition as out of contemporary experiences. In that sense, each of us is a mystic, and Soelle's work seeks to give theological depth, clarity, and direction. This, her magnum opus, conjoins Soelle's deep religious knowledge and wisdom with her passion for social justice into a work destined to be a classic of religious literature. (less)

Paperback, 325 pages
Published May 1st 2001 by Augsburg Fortress Publishing (first published 1997)
Original Title
Mystik und Widerstand: "Du stilles Geschrei"


COMMUNITY REVIEWS
Showing 1-30
4.43 · 
Rating details
· 120 ratings · 15 reviews





More filters

Sort order

Jan 08, 2015Andrew Marr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religionsocial-issues
A powerful overview of mysticism, mostly Christian but with helpful references to Hasidic rabbis &amp; Sufi masters as well. What is unique about this book is that the author is a committed social activist &amp; her interest in mysticism is centered on the intersection between mysticism &amp; social outreach. This is a very intense book that should set the heart on fire for mystical prayer and social concerns both.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l 17, 2017Dawna Richardson rated it really liked it
I found this to be a thought provoking read. It is somewhat dated in terms of current world issues but the essence of the mysticism of oneness remains the same. Mysticism is indeed the experience of the oneness and wholeness of life where one acts without any why or wherefore.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Nov 24, 2013Glen Grunau rated it really liked it
I chose this book because it was recommended by a small group of Soulstream partners who read it together and then shared their enthusiasm with the rest of us. A highlight for me was the broad introduction given to mysticism throughout the ages in many different Christian traditions as well as in other religions. The world wide mystical community is breathtaking in its expanse. To be a part of this tradition is an encounter in unitive consciousness.

A chapter was devoted to each of several places where mystical encounter is often likely to be discovered: in nature, eroticism, suffering, community, and joy.

Contrary to popular opinion, mysticism embraces activism - resistance. Mysticism is by definition activist. It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any society of consumerism, which by its very nature, is rife with injustice. Soelle makes the case that we resist such injustice best when we seek ego-lessness, possessionlessness, non-violence, and liberation.

Such mystical resistance is relatively new territory for me. I have until present, often been content simply to "hold an opinion" on such matters of injustice. I was struck by the criticism of Henry David Thoreau against all who are merely content to hold an opinion and unwilling to engage in "a deliberate denial of the state's authority".

Yet I was also taken by the suggestion that any focus on what my efforts of resistance may achieve is superfluous in the face of mystical prayer which is free of any investment of outcome. It is the silent cry which "gives away its own ears and eyes to let itself be given those of God" .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Feb 25, 2017Petra Steinmair-Pösel rated it it was amazing
One of my favourite books ever!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29, 2015Carter West rated it really liked it
This arresting volume offers us a view into the heart of one of the most dynamic theologians of the last 50 years. Sölle's last work brings together her longtime passions for the self's Christ-realization and for social transformation, demonstrating their inseparability. Her mastery of the literature of classical Christian mysticism is especially impressive – Meister Eckhart is a constant companion. She keeps returning to Eckhart's call to act "*sunder warumbe* (without a why and wherefore)" as one essential lever to lift one's understanding of the contemplative life. Such holy gratuitousness proves essential in building a bridge between mysticism and political engagement. "Resistance" is the key theme here, and there Sölle rightly perceives a commonality between the two. Both are lives lived across the grain of the culture of dominance, the former in hope of a self authenticated in love, the latter determined to bring about whatever liberating power is available to us. A serene carelessness for any "must" as to consequences and outcomes in either realm enables the disciple to claim maximum freedom of action and maximum sustained effort. In those two spheres of living, Sölle perceives one united human spirit, and she is very persuasive.

As much as I feel compelled to affirm this book as an essential work for the development of my faith, though, I had to give it only four stars (only!). The final few chapters, those dealing with the witness of several politically engaged mystics, tended to lose their focus. The incisive analysis of the "mystics" of the book's first two-thirds gave way to a more loose and wandering style, making it difficult at points to boil her prose down to the essence of the thought of each figure (Henry David Thoreau, e.g., or Dom Helder Camara). Her rambling here, though, only served at last to highlight the vitality of the first sections of the book. Reading it, I realized how long I'd been in need of an author who could bring together the social and the personal, the political and the mystical. Sölle fills that bill admirably.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20, 2012Naum rated it really liked it
Mysticism. Suffering, Resistance.

In an age of materialism and fundamentalism, "mysticism" is of essence to Jesus followers.

The word itself may be confusing to Americans, and I am not sure the early plodding in this book succeeded in expository. Or it could be until my reading synced with the writer style, a difficult chore I find with works translated from German. But wading through the early chapters was well worth the effort, as the read kept getting better and better, until final parts detail stories of saints engaged in "mysticism" resistance and liberation -- St. Francis, John Woolman, Dorothy Day, MLK and others with foreign spelled names that I would mangle at the tip of my keyboard.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Aug 22, 2012Curtis rated it it was amazing
Best Soelle that I've read yet. Although it is also the longest. For those with less time to read, Theology for Skeptics is great as well. This one, however, establishes mysticism as an important focus for postmodern religion as well as fuel for resistance.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27, 2013Russ Booton rated it it was amazing
I loved this book. Solle connects the dots between mysticism, liberation theology, and political activism, with examples from the lives and writings of prominent figures. In my mind, this is a perfect sequel to the writings of Evelyn Underhill. I heartily recommend it.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14, 2012Carrie rated it it was amazing
Amazing book to understanding suffering and human real people to reference. A core base for my theology of jeong.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Sep 09, 2014Bob Seabury rated it liked it
very intense and dense. I feel this might turn out to be an important book in my life, but there was too much to absorb in one reading. will most likely go back to it.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Sep 28, 2007Monica marked it as to-read
my kind of woman, dorothee i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28, 2008Debbie Blane rated it it was amazing
Finished at long last! This book is STUPENDOUS! It is well written and thought provoking, and a perfect read for me on my way out of China and on my way towards Sudan.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Sep 08, 2012Dougw rated it it was amazing


Brilliant analysis of mysticism and it's place in contemporary culture. The ideas in this indispensable book bear deep reflection. A book to be read and re-read.
flagLike · see review



Jan 16, 2012Steve Allison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mysticismwomen-authors
I read this several years ago. Gave away my hardcopy. So, recently downloaded to Kindle and plan to read again. More later.

===

Exploring the religious impulse known as mysticism - the "silent cry" at the heart of all the world's religions. Mysticism, in the sense of a "longing for God," has been present in all times, cultures, and religions. But Soelle believes it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than in this age of materialism and fundamentalism. The antiauthoritarian mystical element in each religion leads to community of free spirits and resistance to the death-dealing aspects of our contemporary culture. Religion in the third millennium, Soelle argues, either will be mystical or it will be dead. Therefore, Soelle identifies strongly with the hunger of New Age searchers, but laments the religious fast food they devour. Today, a kind of "democratized mysticism" of those without much religious background flourishes. This mystical experience is not drawn so much of the tradition as out of contemporary experiences. In that sense, each of us is a mystic, and Soelle's work seeks to give theological depth, clarity, and direction. This, her magnum opus, conjoins Soelle's deep religious knowledge and wisdom with her passion for social justice into a work destined to be a classic of religious literature.


From the Publisher


From the Foreword (pre-publication version): 

What is more splendid than gold?  asked the king. 
The light,  replied the serpent. 
What is more refreshing than light?  the former asked. Conversation,” the latter said. 

Goethe, The Fairy Tale
---

When I began writing this book, Fulbert Steffensky read the first pages of the manuscript and spontaneously made some critical comments. I responded and the following spousal conversation ensued.

Fulbert: What bothers me about mysticism is that it’s really not something for simple folk. I can’t imagine that my mother or my father could get anything from what you’re trying to do here.

Dorothee: (humming) Into his love [In seine Lieb versenken] I will wholly plunge myself, [will ich mich ganz hinab,] my heart is to be his [mein Herz will ich ihm schenken] and all that I have. [und alles was ich hab.]

Fulbert: Piety, yes, but mysticism?

Dorothee: I suppose that mysticism is always piety, even when it takes on utterly degenerate forms such as Satanic Masses. If I understand the meaning at all of this Christmas carol by Friedrich von Spee (1591-1635), then I can also talk about syntheresis voluntatis. Your mother wouldn’t have known what to do with that, but perhaps it could be useful to her clever grandchildren, who live without Christmas carols but not without philosophy.

Fulbert: Back again to my mother. I believe that she can appropriate every sentence of the New Testament tradition as nourishing bread on which one can live a normal and burdened life. But what is she to do with the curious religious ingenuities of a Jacob Böhme, or John of the Cross? Surely, the Gospel itself deals more with the simple and sensible desires of people: to be healthy and not having to despair of life, to be able to see and hear, to live for once without tears and to have a name. It’s not about spiritual artistry but about the possibility of simply living.

Dorothee: But aren’t mystics concerned precisely with the bread of life? As I see it, the problem is that people, including your mother, but certainly her children and grandchildren, encounter not just the Gospel but something that has been distorted, corrupted, destroyed and long been turned into stone.

Mysticism has helped those who were gripped by it to face powerful but petrified institutions that conformed to society; it still helps them today, albeit in a manner that is often very odd. What you call spiritual artistry may figure in it, but the essence of mysticism is something very different. One evening, without knocking first, I entered your mother’s room. And there she was, the old lady, sitting on her chair with her hands folded--no needlework! I don’t know whether to call what she was doing “praying” or “reflecting.” But great peace was with her. That is what I want to spread abroad.

Fulbert: Perhaps my reticence towards mystics is not meant so much for them as it is for a certain craving for mysticism prevalent in the present religious climate. The high regard for categories of religious experience is in an inflationary growth rate. The religious subject wants to experience the self without mediation, instantly, totally and authentically, in the manner she or he shapes personal piety. Experience justifies substance and becomes the actual content of religiousness. And then direct experience stands against institution, against the slowness of a journey, against the crusty, dark bread of the patient dealing with oneself. In this craving for experience, everything that occurs suddenly and is direct rather than institution-mediated becomes ever so interesting; everything that’s oriented to experience and promises religious sensation. I know, genuine mysticis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is. But that’s how it’s perceived.

Dorothee: I’m also concerned when immediacy becomes the chief category. I think that the great figures of the tradition of mysticism have chewed on some of your crusty, dark bread. As Huxley once said, there is no “instant Zen-Buddhism.” The “now” of the mystics is an experience of time that is no common experience. This has nothing to do with a teenage sense of life, the “right this moment” of wanting a certain kind of sneaker or ice-cream.

I cannot agree with your covert pleading for the institution--as if the bread it baked were edible! I think there must be a third entity, next to voguish “religious sensation,” and the homespun institutions that are in charge of such things. You are seeking something like that yourself, except that you call it spirituality.

Fulbert: When I speak of spirituality I always rule out the ideas of particularity and extraordinary experience. It’s the name, more than anything else, that makes “spirituality” so alluring. What spirituality itself actually is has much to do with method, order and repetition. It’s a matter of constituting the self, in the midst of banality and everydayness. And everyone who is not utterly beaten down by life can work at it. Spirituality is not a via regia, an elevated pathway, but a via laborosa, a labor-intensive regimen for determining one’s own vision and life-options. And so I stick doggedly to the notion that something is important only when it’s important for everyone.

But it’s possible that in mysticism, what manifests itself in dramatically concentrated form and artistic expression, so to speak, is what constitutes the nature of piety and faith. This would mean that mysticism may in fact be neither the road of all nor of many. Rather, it may be that in poetic density the nature of a faith that is meant for all is revealed within mysticism.

Dorothee: My most important concern is to democratize mysticism. What I mean to do is to reopen the door to the mystic sensibility that’s within all of us, to dig it out from under the debris of trivia--from its self-trivialization, if you like. An older woman in New York told me about meeting a guru. When she told her black minister about this, he asked only one question. It’s a question I too want to ask: “Didn’t he tell you that we’re all mystics?”

---
About the Author

Dorothee Soelle studied philosophy, theology, and literature at the University of Cologne and served as Professor of Theology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City from 1975 to 1987. Among her most influential writings are Christ the Representative (1967), Suffering (1975), To Work and to Love (1984), and Theology for Skeptics (1994). Soelle is a peace and ecological movements activist and lives in Hamburg, Germany.See all Editorial Reviews

---
Product details

Paperback: 336 pages
Publisher: Fortress Press (May 1, 2001)
Language: English
-----


Amherstbelle

5.0 out of 5 starsScholarly, Incisive, Fresh, Mind EspandingMarch 3, 2014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This is by no means an easy read, but if you are a student of the Christian Wisdom tradition, a practioner of Centering Prayer or a fan of Cynthia Bourgeault or Richard Rohr, you will be glad to explore this boo, even if you can only get through a portion of it.

6 people found this helpful


Larry Klinker

5.0 out of 5 starsenjoy this walk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mystism and political ...July 13, 2017

So, enjoy this walk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mystism and political action.


James H Smith

5.0 out of 5 starsProfound writingMarch 5, 2013

I've read through this book and really like the concepts presented by Soelle. She's a mystic and radical in the best sense. I'm reading it again, slowly to savor her astute observations. Definitely recommended reading for "followers" of Jesus, but it will upset most Christian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Sweetooth

5.0 out of 5 starsComplex review of mysticismFebruary 7, 2019

Academic review of many theories on mysticism. Thought provoking.


HelpfulComment Report abuse

RSG

5.0 out of 5 starsThe Curch and Social IssuesJune 24, 2013

Dorothee Soelle writes fluently and goes to the point. She makes very simple to understand why mystic are so concern with social issues. A must read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Social aspects of the Church and Christianity.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Peace Maven

4.0 out of 5 starsFour StarsAugust 2, 2016

An interesting integration of two path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Dr. Samuel Mahaffy

5.0 out of 5 starsLonging for the Divine: Questioning of Instituted ReligionMarch 19, 2014

This is a work of great depth that will deepen your longing for the Divine. It may also lead you to question presuppositions we make in faith traditions. In this work, Dorothy Soelle speaks with the genuine voice of the mystic. We do well to leave the towers and edifices of religious institutions and journey to the wilderness to listen to such voice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Rainga

5.0 out of 5 starsExcellent bookJuly 8, 2013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This book was highly recommended to me. It is easy to read and is a very good study of mysticism in general.

2 people found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