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전생.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전생. Show all posts

2024/03/07

Karma, 업 - 위키백과, 業(ごう)、業報(ごうほう)

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業), 업보(業報), 업력(業力), 응보(應報), 카르마(산스크리트어कर्म 카르마)는 인도계 종교에서의 인과율 개념이다. 본디 행위를 뜻하는 말로서 인과(因果)의 연쇄관계에 놓이는 것이며 단독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의 행위는 그 이전의 행위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며, 그것은 또한 미래의 행위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거기에는 과거 · 현재 · 미래와 같이 잠재적으로 지속하는 일종의 브라만교 사회에서는 어떤 특정의 카스트에 태어난다는 것도 그에 상응하는 전생의 행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업 사상은 광범위하게 인도 제종교의 전체 속에 들어 있어서 불교 및 자이나교에서도 특색 있는 업설(業說)을 전개하였으나, 인도사상의 정통(正統)인 브라만교나 힌두교에서 가장 강조되었다. 초월적인 힘이 감득(感得)되어 있으며 흔히 시간(時間: Kala) · 천명(天命: Daiva) · 천성(天性: Svalhava) 등의 말로 표현되고 있다.

각 종교별 윤회[편집]

힌두교[편집]

힌두교에서 카르마는 그 자신의 행위의 결과에 따른 것으로 '윤회'를 낳는다. 이러한 잠재적 세력으로서의 카르마는 현재와 미래의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하여 모든 카르마는 미래의 카르마의 씨앗이 되어 행위의 결과에 따른 그 열매로서의 결실은 기쁨과 슬픔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카르마는 도덕적 세계의 행위와 반작용의 법칙, 즉 뿌린대로 거두는 업의 법칙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인간이 이 카르마의 법칙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인간은 이 카르마의 속박에서 벗어날 것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스스로 자기의 의식 속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인간이 스스로의 내면에 참 자아인 아트만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신에게 복종하고 선한 카르마를 낳고 나쁜 카르마를 소멸시킴으로써 카르마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렇게 하여 일단 깨달음의 해탈에 이르게 되면 새로운 카르마는 형성되지 않는다.[1] 

그러므로 《마하바라타》에서는 "업은 어떤 사람도 피할 수가 없으며 그림자가 형체에 따라다니듯이 업은 서 있는 자의 곁에 서 있고 가는 자의 뒤를 따라가며, 행위하는 자에게 작용을 미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입각한 행위론은 당연히 선업선과(善業善果) · 악업악과(惡業惡果)와 같은 윤리적인 인과의 법칙을 낳게 하였다.

불교[편집]

자이나교[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業  業(ごう)、業報(ごうほう)、業力(ごうりき)、応報(おうほう)、[要出典]カルマ(梵: कर्मन् karman[注釈 1])



(ごう)、業報(ごうほう)、業力(ごうりき)、応報(おうほう)、[要出典]カルマकर्मन् karman[注釈 1])に由来し、行為、所作、意志によるの活動、意志による身心の生活を意味する語[2]。原義においては単なる行為(action)という意味であり、「良い」「悪い」といった色はなく、暗いニュアンスもない[3]

インド哲学正統派、および異端派の一部(仏教など)の説では、またはの業を作ると、因果の道理によってそれ相応のまたはの報い(果報)が生じるとされる[2][4]。業は果報と対になる語だが、業の果報そのものを業という場合もある[4]

業の思想はインド発祥の宗教(とりわけヒンドゥー教仏教ジャイナ教シーク教)と道教において、輪廻と強く結びつく概念である[5] これらの多くの説では、善意と善行は良いカルマと幸福な転生をもたらし、悪意と悪行は悪いカルマと悪い再生をもたらすとされる[6](善因善果、悪因悪果)[7]

インド哲学[編集]

業はインドにおいて、古い時代から重要視された。ヴェーダ時代からウパニシャッド時代にかけて輪廻思想と結びついて展開し、紀元前10世紀から4世紀位までの間にしだいに固定化してきた。

善をなすものは善生をうけ、悪をなすものは悪生をうくべし。浄行によって浄たるべく。汚れたる行によって、汚れをうくべし
善人は天国に至って妙楽をうくれども、悪人は奈落に到って諸の苦患をうく。死後、霊魂は秤にかけられ、善悪の業をはかられ、それに応じて賞罰せられる

— 『百道梵書』 (Śatapathā-brāhmana)

あたかも金細工人が一つの黄金の小部分を資料とし、さらに新しくかつ美しい他の形像を造るように、この我も身体と無明とを脱して、新しく美しい他の形像を造る。それは、あるいは祖先であり、あるいは乾闥婆(けんだつば)であり、あるいは諸神であり、生生であり、梵天であり、もしくは他の有情である。……人は言動するによって、いろいろの地位をうる。そのように言動によって未来の生をうる。まことに善業の人は善となり、悪業の人は悪となり、福業によって福人となり、罪業によって罪人となる。故に、世の人はいう。人は欲よりなる。欲にしたがって意志を形成し、意志の向かうところにしたがって業を実現する。その業にしたがって、その相応する結果がある

— 『ブリハッド・アーラニヤカ・ウパニシャッド』

インド哲学の正統派では、業は輪廻転生の思想とセットとして展開する。この輪廻と密着する業の思想は、因果論として決定論宿命論のような立場で理解される。

異端派と沙門たち[編集]

この正統派の説に反発する人々は、異端派として、決定的な厭世の圧力からのがれようとした。従来のバラモン教に所属しない、様々な自由思想家たちがあらわれていた。かれらは高度な瞑想技術を持っており、瞑想によって得られた体験から、様々な思想哲学を生み出し、業、輪廻宿命解脱認識論などの思想が体系化されていった。この中に業の思想も含まれていた。

それが沙門とよばれ、釈迦と同時代の哲学者として知られた六師外道と仏教側に呼ばれる人々であった。

ある人は、霊魂と肉体とを相即するものと考え、肉体の滅びる事実から、霊魂もまた滅びるとして無因無業の主張をなし(順世派)、また他の人は霊魂と肉体とを別であるとし、しかも両者ともに永遠不滅の実在と考え、そのような立場から、造るものも、造られるものもないと、全く業を認めないと主張した(アージーヴィカ教)。

なおバラモン教における輪廻思想の発生を、従来考えられているよりも後の時代であるとする見解もある。例えば上座仏教では、釈迦在世時に存在したバラモン経典を、三つのヴェーダまでしか認めておらず[注釈 2]、釈迦以前のバラモン教に輪廻思想は存在しなかったとする。もちろん、当時の自由思想家たちが輪廻思想を説いていたことは明白であるが、彼らはバラモン教徒ではなかったことに注意すべきである。

仏教[編集]

仏教用語
業 , カルマ
パーリ語kamma
サンスクリット語karma
(Dev: कर्मन्)
チベット語ལས།
(Wylie: las;
THL: lé;
)
日本語業 or ごう
英語karma
テンプレートを表示

仏教はすべての結果について「偶然による事物の発生」「(原因なく)事物が突然、生じること」「神による創造」などを否定し、その原因を説く[8][9]。業は果報(報い、果熟)を生じるとなるので、業のことを業因や因業ともいう[2][注釈 3]。釈迦は業に基づいた理論にて、バラモン教が説く生まれによるカースト制を否定した[10]

Na jaccā brāhmaṇo hoti na jaccā hoti abrāhmaṇo Kammanā brāhmaṇo hoti kammanā hoti abrāhmaṇo.

人は生まれによってバラモンとなるのではなく、生まれによって非バラモンとなるのではない。
業によってバラモンとなるのであり、業によって非バラモンとなるのである[11]

業による報いを業果(Karmaphala)や業報という[2]。業によって報いを受けることを業感といい、業によるである報いを業苦という[2][注釈 4]過去世に造った業を宿業または前業といい、宿業による災いを業厄という[2]。宿業による脱れることのできない重い病気を業病という[2]。自分の造った業の報いは自分が受け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自業自得という[2]

Kammasakkā māṇava, sattā kammadāyādā kammayoni kammabandhu kammapaṭisaraṇā. Kammaṃ satte vibhajati yadidaṃ hīnappaṇītatāyāti.

青年(スバ)よ、衆生は、業を自分のものとし、業を相続し、業を胎とし、業を親族とし、業をよりどころとする。業が衆生を分類し、優劣をつける[12]

  • 自分のもの(sakkā)- 死によって失われるものではなく、来世についてくる所有物[12]
  • 相続する(dāyādā)- 身・口・意の三業から引き継がれる[12]
  • 生まれる(yoni)- 生命を生み出すのは、自ら行った行為からで、すべて業より生まれる[12]
  • 切り離せない(bandhu)- 生命は業との繋がりを切ることはできない[12]
  • よりどころとする(paṭisaraṇā)- 生命のよりどころである[12]
  • 優劣をつける(satte vibhajati yadidaṃ hīnappaṇītatāyāti) - 生命に優劣をつける要素の一つである[12]

分類[編集]

仏教における業は、様々に分類される。ここでは主に部派仏教ないし上座部仏教の諸経典に基づいて記す。中観派密教等の大乗諸宗派では教義における比重、意味合いが異なる可能性に注意すること。[要出典]

三業[編集]

Cetanāhaṃ bhikkhave kammaṃ vadāmi, cetayitvā kammaṃ karoti kāyena vācāya manasā,

比丘たちよ、意思(cetanā)が業(kamma)である、と私は説く。
思って(cetanā)から、身体(kāya)・言語(vāk)・(manas)によって業をなす[13]

業は一般に、身(しん)・口(く、もしくは語)・意(い)の三業(さんごう)に分けられる[2]においても十悪業として、三業に分類して説かれる。

  • 身業(しんごう, kāya-karman[14]、カーヤ・カルマン) - 身体に関わる行為[15]。身体的行為[14]
    • 説一切有部においては、身業とは、その行為・動作をする瞬間瞬間に身体が示す形状であるとする[16]。たとえば、人を打つという行為は、映画のフィルムの1こま1こまの画面の変化のように、こぶしを振り上げてそれを相手の頭上に振り下ろすという過程の瞬間瞬間に、身体の形状が少しずつ変化していくことによって完遂される[16]。その各瞬間の身体の形状、すなわち眼識の対象)こそが身業であるとする[16]
    • 十悪業においては、身の三業は殺生(せっしょう)・偸盗(ちゅうとう;盗み)・邪淫(じゃいん;不倫、道に外れた性行為[17])となる[18]
  • 口業(くごう, vāk-karman[14]、ヴァーク・カルマン) - 言語に関わる行為[15]。言語表現[14]。語業(ごごう, vāk-karman[19]、ヴァーク・カルマン)ともいう[20]
    • 説一切有部においては、一瞬一瞬に発音される声音の積み重なりが言語をなすのだから、声(耳識の対象)こそが口業であるとする[16]
    • 十悪業においては、口の四業は妄語(もうご; 嘘をつく)・両舌(りょうぜつ; 二枚舌を使う)・悪口(あっく; 悪口を言う)・綺語(きご; 無益なおしゃべり)となる[18]
  • 意業(いごう, manas-karman[14]、マナス・カルマン) - 意志に関わる行為[15]。心意作用[14]
    • 十悪業においては、意の三業は貪欲(貪り)・瞋恚(怒り)・愚痴(愚かさ)となる[18]

思業と思已業[編集]

Manopubbaṅgamā dhammā manoseṭṭhā manomayā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vā karoti vā Tato naṃ dukkhamanveti cakkaṃ'va vahato padaṃ.

ものごと(諸法)は、(manas)が先行し、意が最大の原因であり、意をもとに作りだされる(=意業)。
もしも、けがれた意によって、話したり(=語業)、行動するならば(=身業)、苦しみがついてくる。 荷を運ぶ牛の足跡に車輪が従うように。

業は、意志の活動である思業(しごう, cetana kamma)と、思業が終わってからなされる思已業(しいごう, cetayitva kamma)との2つに分けられる[21][2]

説一切有部阿毘達磨大毘婆沙論では、第一段階を意業(思業)とし、第二段階は身業・口業のみ(思已業)とした[22][21]

一方で阿含経では、行為が行われる場合は、第一段階:(cetanā; 意志の発動)の心作用、第二段階:実際の行為(身業・口業・意業)があるとしている[16]。ここでは、(第二段階の意業だけでなく)、第一段階の思をも業のなかに含めて理解している[16]。そればかりでなく、第一段階こそが業の本質的なものだとして重要視している[23]

なお、経量部大乗仏教は、三業すべての本体を思(意志)であるとする[2][21]

表業と無表業[編集]

説一切有部は、身業と語業には表(ひょう)と無表(むひょう; avijñapti[24]、アヴィジュニャプティ)とがあるとし、これらは表業(ひょうごう; vijñapti-karman[25]、ヴィジュニャプティ・カルマン)と無表業(むひょうごう; avijñapti-karman[24]、アヴィジュニャプティ・カルマン)ともいわれる[2]。表業は、「知らしめる行為」[26]、外に表現されて他人に示すことができるもの[2]、行為者の外面に現われ他から認知されるような行為[26]を意味する。無表業は、他人に示すことのできないもの[2]、善悪の業によって発得される悪と善を防止する功能(習性)[27]、行為者の内面に潜み他から認知されないような行為[26]を意味する。また、無表業は無表色(むひょうしき、avijñapti-rūpa[28]ともいう。

阿毘達磨倶舎論において、業を起こした時の心が心ならそれと異なる不善あるいは無記の心を乱心といい、業を起こした時の心が不善心ならそれと異なるあるいは無記の心を乱心という[29]。また、無想定滅尽定に入って心の生起が全くなくなった状態を無心という[29]。この上で無表色は、 阿毘達磨倶舎論 の分別界品第一においては、これらの「乱心と無心等(この2つに不乱心および有心を含めた4つを四心という[30]。著者の世親はこれによって全ての心の状態を示し得たと考えている[31]。)の者にも随流(が連続生起して絶えない流れをなすこと[29]。なお、随流は相続(pravāha)ともいう[32]。)であって、浄や不浄にして、大種(四大種)によってあるもの」と定義されている[33]。分別界品第一の定義は四分随流ともいう[27]。なお、無表色は四大種の所造であるが極微の所成ではない[34]。また、法処法界に属しながら色法であり[34]五根の対象とはならず、ただ意根の対象である[34]

無表業とは、説一切有部の伝統的解釈によれば「悪もしくは善の行為を妨げる習性」で、具体的には律儀、不律儀、非律儀不律儀の三種であり(これは阿毘達磨倶舎論の分別業品第四の所説であり、この所説が無表業全体を解明しているという考え方がある[27] 。)、いわゆる「戒体」と同じものである[27]。 また、無表色は身無表と語無表の二種に分けられ、殺生、偸盗、邪淫の三つの身業と妄語、綺語、離間語、悪口の四つの語業を合わせた七支に関わるものである[30]。明治大正期より、近代仏教学者によって経部の種子説との混同や[35]、大乗仏教の立場から有部の無表業を誤謬として規定したり[36]、「仏教元来の無表」を想定することによって、無表色を「業の結果を生ぜしめるもの」とする理解が流行したが、文献学的に論証されたものではなく、根拠に乏しい[36]

身表と身無表、語表と語無表の四つに意業を加えて五業という[2]

引業と満業[編集]

総体としての一生の果報を引く業を引業(牽引業、総報業、引因とも)という[2]。これは人間界とか畜生界などに生まれさせる強い力のある業のことを指す[2]。他方、人間界などに生まれたものに対して個々の区別を与えて個体を完成させる業を満業という[2]。引業と満業の2つを総別二業という[2]

共業と不共業[編集]

山河大地(器世間)のような、多くの生物に共通する果報をひきおこす業を共業(ぐうごう)といい、個々の生物に固有な果報をひきおこす業を不共業(ふぐうごう)という[2]無著「大乗阿毘達磨集論」においては、共業による影響は、これを結果に対する増上縁 (adhipati-pratyaya) と考え、直接的な結果、すなわち異熟 (vipāka) とは考えない[37]

三性業[編集]

善心によって起こる善業(安穏業)と、悪心によって起こる不善業(悪業、不安穏業とも)と、善悪のいずれでもない無記心によって起こる無記業の3つがあり、この3つを三性業という[2]

三時業[編集]

業によって果報を受ける時期に異なりがあるので、業を下記の3つに分ける[2]。この3つを三時業という[2]。三時業の各々は、この世で造った業の報いを受ける時期がそれぞれ異なる[2]

  • 順現業(順現法受業、じゅんげんぽうじゅごう[要出典]、dṛṣṭadharma-vedanīya-karman[38]) - この世で造った業の報いを、この世で受ける[2]
  • 順生業(順次生受業、じゅんじしょうじゅごう[要出典]、upapadya-vedanīya-karman[39]) - この世で造った業の報いを、次に生まれかわった世で受ける[2]
  • 順後業(順後次受業、じゅんごじじゅごう[要出典]、aparaparyāya-vedanīya-karman[40]) - この世で造った業の報いを、次の来世より先の世で受ける[2]

三時業は報いを受ける時期が定まっているので定業といい、報いを受ける時期が定まらないものを不定業(順不定業、aniyata-karman[41])という[2]。三時業に不定業を加えて四業という[2]

業因と業果との関係[編集]

善悪の業を造ると、それによっての報い(果報、果熟)が生じることを、業因によって業果(Karmaphala)が生じるという[2][注釈 5]。この業因と業果との関係について諸説がある[2]

説一切有部は、業そのものは三世実在するとし、業が現在あるときにはそれがとなっていかなる未来の果を引くかが決定し、業が過去に落ちていってから果に力を与えて果を現在に引き出すとする[2]

経量部は、業は瞬間に滅び去るとするが、その業は果を生じる種子(しゅうじ)をの上にうえつけ、その種子が果をひきおこすことになるとする[2]

業道[編集]

業がそこにおいてはたらくよりどころとなるもの、あるいは、有情を苦楽の果報に導く通路となるものを業道という[2][注釈 6]。業道には十善業道と十悪業道の2つがある[2]

業識、業障[編集]

業識(ごっしき)とは、業をとして生じた、または無明のために動かされた識のこと[42]。業障(ごっしょう)とは、業の障りのことを指し、業識障(ごっしきしょう)ともいう。善業および悪業を含む前世からの宿業により様々に生まれつくこと[43]。また、業識性(ごっしきしょう)は、惜しい・欲しい・憎い・可愛いという煩悩妄想を指す[44]

仏典や宗派ごとの扱い[編集]

パーリ経典[編集]

大四十経においては釈迦は八正道を説き、十事正見として、果報の否定を「邪見」と断じている。阿毘達磨発智論においても五悪見のひとつとして排している。

阿毘達磨[編集]

『総合仏教大辞典(1988)』によれば、阿毘達磨では[どこ?]十二支縁起の第十支の「有」は業を意味するものと解釈されている[2]。これを業有という[2]

浄土教[編集]

一般に、念仏して阿弥陀仏浄土往生しようと願うことを浄業という[2]

密教[編集]

ジャイナ教[編集]

西洋[編集]

西洋では、ドイツの思想家ゴットホルト・エフライム・レッシング(1729年 - 1781年)の時代から、生の繰り返しによる学びを通した個人の段階的な完成として、東洋よりはるかに楽観的な転生思想が唱えられてきた[45]

心霊主義[編集]

フランス人アラン・カルデック19世紀に創始した心霊主義のキリスト教スピリティズム(カルデシズム)では、転生が信じられており、神から与えられた自由意思によって、転生する間に過ちを起こしてカルマを形成し、この負債であるカルマによって、その人に災いが起こると考えられた[46][47]。人間の苦しみの原因は自らが過去生で蓄積した負債であり、地上の生はこの負債の返済のためにある[46]。また人生の苦しみは神の恩寵でもあり、苦しみを通じて負債が軽減されることは神の期待に沿うことであり、苦しみを乗り越えることは大きな栄光であると考えられている[46]。スピリティズムにおいて、自由意思は負債の原因であると同時に救いを可能にするものであり、個人が救済されるか否かは全て個人の自由意思次第であり、救いは慈善活動、他者救済のみによって可能となる[46]

エドガー・ケイシー(後述)と同時代には、心霊主義の霊媒モーリス・バーバネルがおり、彼に憑依した霊であるという「シルバー・バーチ」という人格によると、転生とは償いや罰が問題ではなく、進化のためにあり、「業という借金」は「教訓を学ぶための大切な手段」であるとされ、懲罰的な意味合いは中心から外されているか、完全になくなっている[48]

神智学[編集]

19世紀に近代神智学を創始したロシア人オカルティストのヘレナ・P・ブラヴァツキーは、身体的な進化のベースに霊的な進化があると主張し、人間は転生の繰り返しを通して神性の輝きに向かって進化するもので、連続する生はカルマの法則によって統括されていると考えた[49]

ニューエイジ[編集]

近代神智学から直接生まれ変わりの思想を受け継いだニューエイジでは、転生やカルマが信じられている[50][51]。津城寛文によると、ニューエイジを一般に広めた女優のシャーリー・マクレーンなどの「スピリチュアルな」重要人物たちは、心霊診断家のエドガー・ケイシーを最大の権威として参照しており、ケイシーは現代アメリカの転生思想に最も大きな影響がある[52]。催眠状態のケイシーが語る「リーディング」で伝えた原則的な教訓は、「蒔いたものは刈り取らねばならない」という新約聖書の言葉を標語にするもので、死後も存在が続くと意識することによって生じる内面の正義を目的とする倫理である[52]。リーディングでは、カルマという用語で説明された[52]。ヒンドゥー教から用語を借りつつも、キリスト教内部に元々あった教えであることが暗に示されている[52]。ケイシーの教えには、カルマを活用することで生まれ変わりの機会を改善するという志向がある[52]。リーディングには、割り当てられた問題を今生で解決し、もう地球に転生しないかもしれないというごく少数の事例もあり、彼らは死後より高次の惑星に移行するとされている[52]。ケイシーはアトランティス大陸滅亡を歴史的事実として語り、その時のカルマにより現代社会の滅亡が近いという終末論を唱えた[53]

ニューエイジの「カルマの法則」は、原因と結果に関する宇宙の法則、互いに結びつき道徳的な均衡へと向かう宇宙の傾向の一部であり、しばしば道徳的な意味で宇宙の進化と同じと考えられた[50][51]。悪や苦しみは幻影であるとされ、カルマは悪や苦しみとは無関係の概念になっている[50]。今の人生の課題は前世のカルマによって決められているという考え方は、生きる指針を見失い喪失感に苦しむ現代アメリカ人たちから、広い支持を得た[54]

脚注[編集]

注釈[編集]

  1. ^ 原語の karman は、サンスクリットの動詞語根「クリ」(√kṛ)、為す) より派生した[1]羯磨(かつま)と音写する[2]
  2. ^ 原始仏典である阿含経典(二カーヤ)において、ウパニシャッドは言及すらされておらず、まったく存在していなかったと考えるからである[要出典]。登場するヴェーダも三つまでである[要出典]
  3. ^ ただし、業因には、煩悩などの「業を起こさせる原因」という意味もあり、因業には「因と業」すなわち「主と助」という意味もある[2]
  4. ^ 業とその苦である報いのことを業苦という場合もある[2]
  5. ^ 非善非悪の無記業は業果を引く力がない[2]
  6. ^ 経量部大乗仏教では、身・語を動初(どうほつ)する(意志)の種子(しゅうじ)のことを指して業道という場合もある[2]

出典[編集]

  1. ^ 宮元啓一「インドにおける唯名論の基本構造」『RINDAS ワーキングペーパー伝統思想シリーズ19』、龍谷大学現代インド研究センター、2014年、6-8頁。}
  2.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総合仏教大辞典 1988, p. 363-365.
  3. ^ スマナサーラ 2014, 11%.
  4. a b 広辞苑 1986, p. 789.
  5. ^ Parvesh Singla. The Manual of Life – Karma. Parvesh singla. pp. 5–7. GGKEY:0XFSARN29ZZ 2011年6月4日閲覧。
  6. ^ Halbfass, Wilhelm (2000), Karma und Wiedergeburt im indischen Denken, Diederichs, München, Germany
  7. ^ スマナサーラ 2014, No.91/359.
  8. ^ スマナサーラ 2014, 16%.
  9. ^ スマナサーラ 2012, No.893/1930.
  10. ^ 志賀浄邦「インド仏教復興運動の軌跡とその現況」『京都産業大学世界問題研究所紀要』第25巻、2010年、23-46頁、NAID 110007523445
  11. ^ 長友泰潤「原始仏典に見る人間観 : チャラカ・サンヒターの人間観との比較研究」『南九州大学研究報告. 人文社会科学編』第44巻、2014年、21-28頁、NAID 40020099536
  12. a b c d e f g チャンディマ・ガンゴダウィラ『新しい生き方を切り拓く7つの実践 『小業分別経』』Sukhi Hotu、2020年、22%。ASIN B0852RN3Q3
  13. ^ 馬場 2018, pp. 121–122.
  14. a b c d e f 岩波仏教辞典 1989, p. 314.
  15. a b c 岩波仏教辞典 1989, p. 246.
  16. a b c d e f 櫻部・上山 2006, p. 117~118.
  17. ^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邪淫・邪婬』 - コトバンク
  18. a b c 松久保 2001, p. 77.
  19. ^ 櫻部・上山 2006, p. 索引頁「仏教基本語彙(3)」.
  20. ^ 櫻部・上山 2006, p. 117.
  21. a b c 池田練太郎「思業と思已業」『印度學佛教學研究』第30巻第1号、1981年、298-302頁、doi:10.4259/ibk.30.298
  22. ^ 櫻部・上山 2006, p. 120.
  23. ^ 櫻部・上山 2006, p. 117-18.
  24. a b 岩波仏教辞典 1989, p. 788.
  25. ^ 櫻部・上山 2006, p. 索引頁「仏教基本語彙(7)」.
  26. a b c 櫻部・上山 2006, p. 121.
  27. a b c d 青原 2017, p. 847.
  28. ^ 櫻部・上山 2006, p. 索引頁「仏教基本語彙(9)」.
  29. a b c 櫻部 1989, p. 63.
  30. a b 青原 2017, p. 846.
  31. ^ 加藤 1967, p. 120.
  32. ^ 工藤 1981, p. 130.
  33. ^ 阿部 1995, p. 35.
  34. a b c 櫻部 1989, p. 66.
  35. ^ 青原 2017, p. 844-846.
  36. a b 青原 2017, p. 844-843.
  37. ^ 干潟龍祥「業(ごう)の社会性-共業(ぐうごう)-について (昭和五十年二月十二日提出)]」『日本學士院紀要』第33巻第1号、1975年、1-7頁、doi:10.2183/tja1948.33.1
  38. ^ 「順現法受業」 - 佛光大辭典 (慈怡法師主編)
  39. ^ 「順次生受業」 - 佛光大辭典 (慈怡法師主編)
  40. ^ 「順後次受業」 - 佛光大辭典 (慈怡法師主編)
  41. ^ 清水 2011, p. 17.
  42. ^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業識』 - コトバンク
  43. ^ 山本 1960, p. 16.
  44. ^ 秋月 2002, p. 33.
  45. ^ 教皇庁 2007, pp. 36–37.
  46. a b c d 山田政信 「新宗教のブラジル伝道(14)キリスト教の変容 ⑪」天理大学
  47. ^ 山田政信 「改宗を正当化する語りの論理」 ラテンアメリカ研究年報No.19(1999年)
  48. ^ 津城 2005, p. 76.
  49. ^ Tingay, 宮坂清訳 2009, pp. 428–434.
  50. a b c 教皇庁 2007, p. 119.
  51. a b York, 井上監訳 2009, pp. 428–434.
  52. a b c d e f 津城 2005, pp. 71–73.
  53. ^ 大田 2013. 位置No.1173/2698
  54. ^ 大田 2013. 位置No.1165/2698

参考文献[編集]

関連項目[編集]


===

 (고), 업보 (고호), 업력 (고우리키), 응보 (우호),  출전 ] 카르마 (  : कर्मन् karman [주석 1] )에서 유래해, 행위 , 소작, 의지 에 의한 신념 의 활동, 의지에 의한 신심의 생활을 의미하는 단어 [2] . 원의에서는 단순한 행위(action)라는 의미이며, 「좋다」 「나쁘다」라고 하는 색은 없고, 어두운 뉘앙스도 없다 [3] .

인도 철학 정통파 및 이단파의 일부( 불교 등 ) 의 설에서는  또는 악의 일을 만들면 인과의 도리에 의해 그 상응의 편 이나 고의 보상( 과보 )이 생긴다고 한다 [2 ] [4] . 업은 과보와 쌍을 이루는 단어이지만, 업의 과보 그 자체를 업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4] .

업의 사상은 인도 발상의 종교 (특히 힌두교 , 불교 , 자이나교 , 시크교 )와 도교 에서 윤회 와 강하게 연결되는 개념이다 5] . 환생  가져오고, 악의와 악행은 나쁜 갈마와 나쁜 재생을 가져온다고 여겨진다 [6] (선인선과, 악인악과) [7] .

인도 철학 편집 ]

사업은 인도 에서 오래된 시대부터 중요시되었다. 베다 시대부터 우파니샤드 시대에 걸쳐 윤회 사상과 연결되어 전개해, 기원전 10세기부터 4세기위까지의 사이에 확실히 고정화해 왔다.

선을 이루는 것은 선생을 얻고, 악을 이루는 것은 악생을 부양한다. 정행에 의해 정화할 수 있도록. 더러운 행에 의해, 더러움을 풀어
선인은 천국에 이르고 묘악을 받지만, 악인은 나락에 도달해 여러 가지 고환을 받는다. 죽은 후, 영혼은 칭찬을 받고, 선악의 사업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처벌받는다.

— 『백도 범서』 (Śatapathā-brāhmana)

마치 금세공인이 하나의 황금의 작은 부분을 자료로 하고, 더욱 새롭고 아름다운 다른 형상을 만들듯이, 이 우리도 몸과 무명을 벗고, 새롭고 아름다운 다른 형상을 만들었다. 그것은, 또는 조상, 혹은 건해파, 혹은 제신, 생생, 범천, 또는 다른 유정이다. … … 사람은 언동함으로써, 여러 가지 지위를 받는다. 그렇게 언동에 의해 미래의 삶을 얻는다. 진정으로 선업의 사람은 선이 되고, 악업의 사람은 악이 되고, 복업에 의해 복인이 되고, 죄업에 의해 죄인이 된다. 그러므로 세상의 사람은 말한다. 사람은 욕심보다 된다. 욕심에 따라 의지를 형성하고 의지의 향하는 곳에 따라 사업을 실현한다. 그 사업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있습니다.

— '브리하드 알라냐야카 우파니샤드'

인도 철학의 정통파에서는, 업은 윤회전생의 사상 과 세트로서 전개한다. 이 윤회와 밀착하는 업의 사상은 인과론 으로서 결정론 이나 숙명론과 같은 입장에서 이해된다.

이단파와 사문들 편집 ]

이 정통파의 설에 반발하는 사람들은 이단파로서 결정적인 왕세의 압력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했다. 기존의 바라몬교 에 소속되지 않은 다양한 자유사상가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고도의 명상 기술을 가지고 있어 명상에 의해 얻은 체험으로부터 다양한 사상철학을 만들어내고, 업, 윤회, 숙명, 해탈, 인식론 등  사상  체계화 되어 갔다 이 중에 업의 사상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것이 사문 이라 불리며 석가와 동시대의 철학자로 알려진 육사 외도 와 불교 측에 불리는 사람들이었다.

어떤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상속한다고 생각하고, 육체의 멸망 사실로부터, 영혼도 또 멸망한다고 무인무업의 주장을 하고(순세파), 또 다른 사람은 영혼과 육체  다른 라고 하고, 게다가 양자 모두 영원 불멸의 실재라고 생각해, 그러한 입장으로부터, 건설하는 것도, 건설될 것도 없으면, 전혀 업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아지비카교 ) .

덧붙여 바라몬교에 있어서의 윤회 사상의 발생을, 종래 생각되고 있는 것보다 후의 시대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예를 들어 상좌불교 에서는 석가재세시에 존재했던 바라몬 경전을 세 개의 베다까지 밖에 인정하지 않고 [주석 2] 석가 이전의 바라몬교에 윤회사상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물론 당시의 자유사상가들이 윤회사상을 설고 있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들은 바라몬교도가 아니었음에 주의해야 한다.

불교 편집 ]

불교 용어 산업
, 카르마
파리어kamma
산스크리트어karma
Dev : कर्मन्)
티베트어ལས།
Wylie : las;
THL : lé;
 )
일본어업 or 고우
영어카르마
템플릿 보기

불교 는 모든 결과에 대해 「우연에 의한 사물의 발생」 「(원인 없이) 사물이 갑자기 생기는 것」 「하나님에 의한 창조」등을 부정하고 그 원인을 설명한다 [8] [9] . 업은 과보(보상, 과숙)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업을 업인이나 인업이라고도 한다 [2] [주석 3] . 석가는 사업에 근거한 이론에서 바라몬교가 설교하는 태생에 의한 카스트제를 부정했다 [10] .

Na jaccā brāhmaṇo hoti na jaccā hoti abrāhmaṇo Kammanā brāhmaṇo hoti kammanā hoti abrāhmaṇo.

사람은 태어나서 바라몬이 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서 비바라몬이 되는 것은 아니다.
업에 의해서 바라몬이 되는 것이고, 업에 의해 비바라몬이 되는 것이다 [11] .

— 파리 불전 , 스타니파타 653, Sri Lanka Tripitaka Project

업에 의한 보상을 업과(Karmaphala)나 업보라고 한다 [2] . 업에 의해 보상을 받는 것을 업감이라고 하며, 업에 의한 괴로운 보상을 업고라고 한다 [2] [주석 4] . 과거세 에 만든 사업을 숙업 또는 전업이라고 하며, 숙업에 의한 재앙을 업액이라고 한다 [2] . 숙업에 의해 벗어날 수 없는 무거운 질병을 업병이라고 한다 [2] . 자신이 만든 사업의 보상은 자신이 받아야 하는 것을 자업자득이라고 한다 [2] .

Kammasakkā māṇava, sattā kammadāyādā kammayoni kammabandhu kammapaṭisaraṇā. Kammaṃ satte vibhajati yadidaṃ hīnappaṇītatāyāti.

청년(수바)여, 중생은 , 업을 자신의 것으로, 업을 상속하고, 업을 태로 하고, 업을 친족으로 하고, 업을 보다 커지로 한다. 사업이 중생을 분류하고 우열을 붙인다 [12] .

  • 자신의 것 (sakkā) - 죽음에 의해 잃는 것이 아니라 내세에 오는 소유물 [12] .
  • 상속한다(dāyādā)-신·입·의의 삼업 으로부터 계승된다 [12] .
  • 태어나는(yoni)-생명을 낳는 것은, 스스로 행한 행위로부터로, 모두 업보다 태어난다 [12] .
  • 분리할 수 없다(bandhu)-생명은 사업과의 연결을 끊을 수 없다 [12] .
  • 더 어려운 (paṭisaraṇā) - 생활의 보다는 커다란 것이다 [12] .
  • 우열을 붙인다(satte vibhajati yadidaṃ hīnappaṇītatāyāti) - 생명에 우열을 주는 요소의 하나이다 [12] .

분류 편집 ]

불교의 사업은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여기에서는 주로 부파불교 내지 상좌부불교 의 여러 경전에 근거하여 적는다. 중관파 , 밀교 등의 대승 제 종파 에서는 교리의 비중, 의미가 다를 가능성에 주의할 것. 요출전 ]

삼업 편집 ]

Cetanāhaṃ bhikkhave kammaṃ vadāmi, cetayitvā kammaṃ karoti kāyena vācāya manasā,

히오카들아, 의사 (cetanā)가 업(kamma)이라고, 나는 말한다.
생각하고(cetanā)부터, 신체(kāya)·언어(vāk)·  (manas)에 의해 업을 이룬다 [13] .

업은 일반적으로, 몸(신)·입(쿠, 혹은 말)·의(이)의 삼업(산고)으로 나뉜다 [2] . 계명 에 있어서도 십악업 으로서 삼업으로 분류하여 설명된다.

  • 신업 (신고,kāya-karman [14] , 카야 칼만) - 신체에 관련된 행위 [15] . 신체적 행위 [14] .
    • 설 일절 유부 에 있어서는, 신업이란, 그 행위·동작을 하는 순간 순간에 신체가 나타내는 형상이라고 한다 [16] . 예를 들어, 사람을 치는 행위는 영화 필름의 1코마 1코마의 화면 변화와 같이 주먹을 휘두르고 그것을 상대의 머리 위로 내려간다는 과정의 순간 순간에 신체의 형상이 조금씩 변화해 나가는 것에 의해 완수된다 [16] . 그 각 순간의 신체의 형상, 즉 색법 ( 안식 의 대상)이야말로 신업이라고 한다 [16] .
    • 십악업 에 있어서는, 몸의 삼업은 살생(せしょょう)·정도(츄토;도둑질)·사음(쟝; 불륜, 길에 빠진 성행위 [17] )가 된다 [18] .
  • 구업 (쿠고,  : vāk-karman [14] , 버크 칼만) - 언어 관련 행위 [15] . 언어 표현 [14] . 어업(고우,vāk-karman [19] , 버크 칼만)이라고도 한다 [20] .
    • 설 일절 유부에 있어서는, 일순간 한순간에 발음되는 성음의 겹침이 언어를 이루기 때문에, 성법(이식의 대상)야말로 구업이라고 한다 [ 16 ] .
    • 십악업에 있어서는, 입의 4업은 망어(벌써; 거짓말을 한다)・양혀(료제트; [ 18 ] .
  • 의업 (이고,  : manas-karman [14] , 마나스 칼만) - 의지에 관련된 행위 [15] . 심의작용 [14] .

사업과 사교업 편집 ]

Manopubbaṅgamā dhammā manoseṭṭhā manomayā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vā karoti vā Tato naṃ dukkhamanveti cakkaṃ'va vahato padaṃ.

모든 것( 제법 )은  (manas)가 선행하고, 의가 최대의 원인이며, 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의업).
만약, 부상당한 뜻에 의해, 이야기하거나(=어업), 행동한다면(=신업), 고통이 따라온다. 적재하는 소의 발자국에 바퀴가 따르도록.

사업은 의지의 활동인 사업(시고, cetana kamma)과 사업이 끝난 후 이루어지는 사교업(시고, cetayitva kamma)의 2가지로 나누어진다 [21] [2] .

설 일절 유부의 아비 타츠마 오비타마 사론 에서는, 제1 단계를 의업(사업)으로 하고, 제2 단계는 신업·구업만(사교업)으로 했다 [22] [21] .

한편 아함경 에서는, 행위가 행해지는 경우는, 제1단계:  (cetanā; 의지의 발동)의 심작용, 제2단계:실제의 행위(신업·구업·의업)가 있다고 하고 있다 [16] . 여기에서는 (제2단계의 의업뿐만 아니라), 제1단계의 생각도 업 속에 포함하여 이해하고 있다 [16] . 그뿐만 아니라, 제1단계야말로 업의 본질적인 것으로 중요시하고 있다 [23] .

또한, 경량부나 대승 불교 는 삼업 모든 본체를 생각(의지)이라고 한다 [2] [21] .

표업과 무표업 편집 ]

설 일절 유부 는 , 신업과 어업 에는 표(효) 무표 ( 무효 vijñapti-karman [25] , 비쥬냐푸티 칼만 ) 과 무표 업 무효 고 표업은 「알리는 행위」[26] , 밖에 표현되어 타인에게 나타낼 수 있는 것 [2] , 행위자의 외면에 나타나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지되는 행위 [26] 를 의미한다. 무표업은 타인에게 보여줄 수 없는 것 [2] , 선악의 일에 의해 발득되는 악과 선을 방지하는 공능(습성) [27] , 행위자의 내면에 숨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지되지 않는 것 같은 행위 [26] 를 의미한다. 또한, 무표업은 무표색(무효시키,avijñapti-rūpa ) [28] 이라고도 한다.

아비 타츠 마이 샤론에서 사업을 일으켰을 때의 마음이 선심 이라면 그것 과 다른 불선 또는 무기의 마음 을 난심이라고하며, 일을 일으켰을 때의 마음이 불 선심 이라면 그것 과 다른 선 또는 무기의 마음 을 난심이라고 [29] . 또한 무상정 이나 멸종정 에 들어가 마음의 생기가 전혀 없어진 상태를 무심이라고 한다 [29] . 이 가운데 무표색은, 아비타리 마야사론 의 분별 계품 제1에 있어서는, 이러한 「난심과 무심등(이 2개에 불란심 및 유심을 포함한 4개를 4심이라고 한다. ] 저자의 어머니 는 이것이 모든 마음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 한다 31 ] . 유동은 상속(pravāha )이라고도 하는 [32] .)이며, 정이나 부정하게 하고, 대종( 4대종 )에 의해 있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33] . 분별계품 제1의 정의는 사분수류라고도 한다 [27] . 또한, 무표색은 4대종 의 소조이지만 극미한 소성은 아니다 [34] . 또한, 법처 , 법계 에 속하면서 색법 이며 [34] , 오근 의 대상 이 되지 않고, 단지 의근  대상이다 [34] .

무표업이란, 설 일절 유부의 전통적 해석에 의하면 「악 또는 선의 행위를 방해하는 습성」으로, 구체적으로는 율의, 불율의, 비율의 불률의의 3종이며(이것은 아이다毘達磨倶舎論의 분별업품 제4의 소설이며, 이 소설이 무표업 전체를 해명하고 있다는 생각이 있다[27].), 이른바 「계명」과 같은 것이다 [ 27 ] . 또, 무표색은 신무표와 어무표의 2종으로 나누어져 살생, 뱃사람, 사음의 3개의 신업과 망어, 철어, 이간어, 욕의 4개의 어업을 합친 칠지에 관련된 것이다 [30] . 메이지 다이쇼기부터 근대불교학자에 의해 경부의 종자설과의 혼동이나 35] ,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유부의 무표업을 오모로 규정하거나 '를 상정함으로써, 무표색을 '업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하는 이해가 유행했지만, 문헌학적으로 논증된 것이 아니라 근거가 부족하다[36 ] .

신표와 신무표, 어표와 어무표의 네 가지에 의업 을 더해 오업이라고 한다 [2] .

인업과 만업 편집 ]

총체로서의 일생의 과보를 당기는 업을 인업(견인업, 총보업, 인인 모두)이라고 한다 [2] . 이것은 인간계 나 축생계 등에 태어나게 하는 강한 힘이 있는 업을 가리킨다 [2] . 한편, 인간계 등에 태어난 것에 대하여 개별의 구별을 주어 개체 를 완성시키는 업을 만업이라고 한다 [2] . 인업과 만업의 2개를 총별 2업이라고 한다 [2] .

공업과 불공업 편집 ]

야마가와 대지( 기세간 )와 같은, 많은 생물 에 공통되는 과보를 끌어올리는 사업을 공업(구우고)이라고 하며, 개별 생물에 고유한 과보를 끌어내는 사업을 불공업(후구우고)이라고 한다 [2] . 무저 "대승 아비 다리마 집론"에서는 공업의 영향은 이것을 결과에 대한 증상 가장자리 (adhipati-pratyaya)로 생각하고 직접적인 결과, 즉 이숙 (vipāka)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 37 ] .

삼성업 편집 ]

선심에 의해 일어나는 선업(안온업)과, 악심에 의해 일어나는 불선업(악업, 불안온업 모두)과, 선악의 어느 것도 아닌 무기심에 의해 일어나는 무기업의 3개가 있으며, 이 3개를 삼성 사업이라는 [2] .

삼시업 편집 ]

업에 의해 과보를 받는 시기에 차이가 있으므로, 업을 아래의 3개로 나눈다 [2] . 이 3개를 3시업이라고 한다 [2] . 3시업의 각각은, 이 세상에서 만든 업의 보상을 받는 시기가 각각 다르다 [2] .

  • 순현업(순현법 수업 , 준겐포주고 요출전 ] , dṛṣṭadharma-vedanīya-karman [38] ) - 이 세상에서 만든 사업의 보상을 이 세상에서 받는다 [2] .
  • 순생업(순차생수업 , 준지쇼쥬고 요출전 ] , upapadya-vedanīya-karman [39] ) - 이 세상에서 만든 업의 보상을, 다음으로 태어난 세상에서 받는 [2] .
  • 순후업(순후차 수업 , 준고지쥬고 [ 요 출전 ] , aparaparyāya - vedanīya-karman [40] ) ] .

3시업은 보상을 받는 시기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업이라고 하며, 보상을 받는 시기가 정해지지 않는 것을 부정업(순부정업, 梵: aniyata - karman [41] )이라고 한다 [2] . 3시업에 부정업을 더해 4업이라고 한다 [2] .

실업과 실적 간의 관계 편집 ]

선악의 업을 만들면 그에 의해 편의 와 고통 의 보상(과보, 과숙)이 생기는 것을, 업인에 의해 업과(Karmaphala)가 생긴다 [2] [주석 5] . 이 업인과 업과의 관계에 대해 여러 설이 있다 [2] .

설 일절 유부는, 업 그 자체는 3세 에 실재 한다고 해, 업이 현재 있을 때에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어떠한 미래의 과일을 끌어낼까가 결정해, 업이 과거에 떨어지고 있어 과일에 힘을 주어 과일을 현재로 끌어낸다고 한다 [2] .

경량부는, 업은 순간에 멸망한다고 하지만, 그 업은 과일을 생기는 종자( 슈지 )를  의 위에 붙이고, 그 씨앗이 과일을 끌어내게 된다고 한다 [2] .

도로 편집 ]

업이 거기에 있어서는 일보다 더 커지는 것, 혹은, 유정을 고락의 과보로 이끄는 통로가 되는 것을 업도라고 한다 [2] [주석 6] . 업도에는 십선업도와 십악업도의 2개가 있다 [2] .

업식, 사업 편집 ]

업식이란, 업을 인연 으로 생긴  , 또는 무명을 위하여 움직인 식이다 [42] . 업장(고장장애)이란, 업의 장해를 가리키고, 업식장(고식장애)이라고도 한다. 선업 과 악업을 포함한 전세계 숙업에 의해 다양하게 태어나기 [43] . 또, 업식성(고시키쇼)은, 아쉽다·원한다·미워·귀엽다고 하는 번뇌 망상 을 가리킨다 [44] .

불전과 종파별 취급 편집 ]

파리 경전 편집 ]

대사십경 에 있어서는 석가는 팔정도를 설해, 십사 정견으로서, 과보의 부정을 「사견」이라고 단절하고 있다. 아오타쓰마 발지론 에 있어서도 오악견의 하나로서 배제하고 있다.

아오 타츠마 편집 ]

『종합불교대사전(1988)』에 의하면, 아비타츠마 에서는 어디? ] , 십이지연기 의 제십지의 「유」는 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2] . 이것을 사업이라고 한다 [2] .

정토교 편집 ]

일반적으로 염불 하여 아미타불 의 정토 에 왕생 하려고 하는 것을 정업이라고 한다 [2] .

밀교 편집 ]

자이나교 편집 ]

서양 편집 ]

서양에서는 독일의 사상가 고트 홀트 에브라임 레싱 (1729년 - 1781년)의 시대부터, 생의 반복에 의한 배움을 통한 개인의 단계적인 완성으로서, 동양보다 훨씬 낙관적인 환생 사상이 주창 된다 온 [45] .

심령주의 편집 ]

프랑스인 알란 칼덱 19세기에 창시한 심령주의 기독교 스피리티즘 (칼데시즘)에서는 환생이 믿어지고,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 자유 의사에 의해 환생하는 동안 잘못을 일으켜 갈마를 형성하고, 이 부채인 카르마에 의해, 그 사람에게 재앙이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46] [47] . 인간의 고통의 원인은 스스로가 과거생에서 축적한 부채이며, 지상의 생은 이 부채의 상환을 위함이다 [46] . 또 인생의 고통은 하나님의 은총이기도 하며, 고통을 통해 부채가 경감되는 것은 하나님의 기대에 따르는 것이며, 고통을 극복하는 것은 큰 영광이라고 생각되고 있다[46 ] . 스피리티즘에서 자유 의사는 부채의 원인인 동시에 구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개인이 구제되는지 여부는 모두 개인의 자유 의사에 달려 있으며, 구원은 자선 활동, 타자 구제만으로 가능하다 [46] .

에드거 케이시 (후술)와 동시대에는, 심령주의의 영매 모리스 버버넬이 있어 , 그에게 빙의 한 영이라고 하는 「실버 버치」라고 하는 인격에 의하면, 전생과는 보상이나 벌이 문제가 아니고 , 진화를 위해 있고, 「업이라는 빚」은 「교훈을 배우기 위한 소중한 수단」이라고 여겨지고, 징벌적인 의미는 중심에서 벗어나거나 완전히 없어지고 있다[48 ] .

신지학 편집 ]

19세기에 근대 신지학을 창시한 러시아인 오컬티스트의 헬레나 P. 브라바츠키 는 신체적인 진화의 베이스에 영적인 진화가 있다고 주장하고 인간은 환생의 반복을 통해 신성의 빛을 향해 진화하는 것으로, 연속하는 생은 카르마의 법칙에 의해 통괄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49] .

뉴에이지 편집 ]

근대 신지학 으로부터 직접 환생의 사상을 계승한 뉴에이지 에서는, 환생이나 카르마가 믿어지고 있다 [50] [51] . 쓰시로 관문에 따르면, 뉴 에이지를 일반적으로 전파한 여배우 셜리 맥클레인 등의 "영적"중요한 인물들은 심령 진단가의 에드거 케이시를 최대의 권위로 참조하고 있으며, 케이시  현대 미국 의 환생 사상에 가장 큰 영향이 있다 [52] . 최면 상태의 케이시가 말하는 '리딩'에서 전한 원칙적인 교훈은 '뿌린 것은 깎아야 한다'는 신약성경의 말을 표어로 하는 것으로, 사후에도 존재가 계속된다고 의식함으로써 생긴다 내면의 정의를 목적으로 하는 윤리이다 [52] . 독서에서는 카르마라는 용어로 설명되었다 [52] . 힌두교에서 용어를 빌리면서도 기독교 내부에 원래 있던 가르침임이 암묵적으로 나타났다 [52] . 케이시의 가르침에는 카르마를 활용하여 환생의 기회를 개선한다는 지향이 있다 [52] . 리딩은 할당된 문제를 지금 생으로 해결하고 더 이상 지구로 환생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극소수의 사례도 있고, 그들은 사후보다 고차 행성으로 이행한다고 되어 있다[52 ] . 케이시는 아틀란티스 대륙 멸망을 역사적 사실로 말했고, 그 때의 카르마에 의해 현대사회의 멸망이 가깝다는 종말론을 주창했다 [53] .

뉴에이지의 '카르마의 법칙'은 원인과 결과에 관한 우주의 법칙, 서로 연결되어 도덕적 균형으로 향하는 우주의 추세의 일부이며, 종종 도덕적 의미에서 우주의 진화와 동일하다고 여겨진다. [50] [ 51] . 악이나 고통은 환영이라고 여겨지며, 카르마는 악이나 고통과는 무관한 개념이 되고 있다 [50] . 지금의 인생의 과제는 전세의 카르마에 의해 정해져 있다는 생각은, 살아가는 지침을 잃고 상실감에 시달리는 현대 미국인들로부터, 넓은 지지를 얻었다[54 ] .

각주 편집 ]

주석 편집 ]

  1. ^ 원어의 karman는, 산스크리트 의 동사 어근 「크리」(√kṛ), 위스)보다 파생했다 [1] . 연마 (가다랭이)와 음사한다 [2] .
  2. ^ 원시불전인 아함경전(二カヤ)에 있어서, 우파니샤드는 언급조차 되지 않고,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요 출전 ] . 등장하는 베다도 3개까지이다 요출전 ] .
  3. 다만 , 업인에는 번뇌 등의 「업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하는 의미도 있고, 인업에는 「인과 업」 즉 「 주인 [ ] .
  4. ^ 업과 그 고통인 보상을 업고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2] .
  5. ^ 비선 비악의 무기업 은 업과를 당기는 힘이 없다 [2] .
  6. 경량부나 대승 불교 에서는, 몸·어를 동초(무호) 하는 생각 (의지)의 종자 (슈지)를 가리키고 업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2] .

출처 편집 ]

  1. 미야모토 케이이치「인도에 있어서의 유명론의 기본 구조」 「RINDAS 워킹 페이퍼 전통 사상 시리즈 19」, 류야 대학 현대 인도 연구 센터, 2014년, 6-8페이지. }
  2.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종합 불교 대사전 1988 , 363-365 페이지.
  3. ↑ Sumana Salla 2014 , 11 %.
  4. b 광사원 1986 , p. 789.
  5. ↑ Parvesh Singla. The Manual of Life – Karma . Parvesh singla. pp. 5–7. GGKEY:0XFSARN29ZZ 2011년 6월 4일에 확인함.
  6.  Halbfass, Wilhelm (2000), Karma und Wiedergeburt im indischen Denken, Diederichs, München, Germany
  7. ↑ Sumana Salla 2014 , No.91/359.
  8. ↑ Sumana Salla 2014 , 16 %.
  9. ↑ Sumanasara 2012 , No.893/1930.
  10. 시가 정방 「인도 불교 부흥 운동의 궤적과 그 현황」 「교토 산업 대학 세계 문제 연구소 기요」 제25권, 2010년, 23-46페이지, NAID  110007523445 .
  11. 나가토모 타이준 “원시 불전에 보는 인간관 : 차라카·산히터의 인간관과의 비교 연구” “남규슈 대학 연구 보고. 인문 사회 과학편” 제44권, 2014년, 21-28페이지, NAID 40020099536 . 
  12. g 찬디마 간고다우이라 『새로운 삶의 방식을 개척하는 7개의 실천 『소업분별경』』 Sukhi Hotu, 2020년, 22%. ASIN  B0852RN3Q3 .
  13. ↑ 바바 2018 , pp. 121–122.
  14. f 암파 불교 사전 1989 , p. 314.
  15. ↑ c 이와나미 불교 사전 1989 , p. 246.
  16. f 사쿠라 부 · 우에야마 2006 , p. 117-118.
  17.  정선판 일본국어대사전, 쇼가쿠칸 『사음・사위』 - 코트뱅크
  18. c Matsukubo 2001 , p. 77.
  19. ↑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p. 색인 페이지 "불교 기본 어휘 (3)".
  20. ↑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p. 117.
  21. c 이케다 네리타로 “사업과 사교업” “인도 학부교학 ​​연구” 제30권 제1호, 1981년, 298-302페이지, doi : 10.4259/ibk.30.298 .
  22. ↑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120쪽.
  23. ↑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117-18면.
  24. ↑ b 이와나미 불교 사전 1989 , p. 788.
  25. ↑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p. 색인 페이지 "불교 기본 어휘 (7)".
  26. c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p. 121.
  27. d 아오하라 2017 , p. 847.
  28. 사쿠라 부, 우에야마 2006 , p. 색인 페이지 "불교 기본 어휘 (9)".
  29. c 사쿠라 부 1989 , p. 63.
  30. b 아오하라 2017 , p. 846.
  31. ↑ Kato 1967 , p. 120.
  32. ↑ 쿠도 1981 , p. 130.
  33. 아베 1995 , p. 35.
  34. c 사쿠라 부 1989 , p. 66.
  35. ↑ 아오하라 2017 , p. 844-846.
  36. b 아오하라 2017 , p. 844-843.
  37. ↑ 갯벌 용상 「업(고우)의 사회성-공업(구우고)-에 대해서(1975년)」 , 1-7 페이지, doi : 10.2183/tja1948.33.1 .
  38. ↑ 「순현법 수업」 - 불광대욕전(자이법사 주편)
  39. ↑ 「순차생 수업」 - 불광대욕전(자이법사 주편)
  40. ↑ 「순후차 수업」 - 불광대욕전 (자이 법사 주편)
  41. 시미즈 2011 , p. 17.
  42.  정선판 일본국어대사전 「업식」 - 코트뱅크
  43. ↑ 야마모토 1960 , p. 16.
  44. ↑ 아키즈키 2002 , p. 33.
  45. ↑ 교황청 2007 , pp. 36–37.
  46. ↑ d 야마다 마사노부 「신종교의 브라질 전도(14) 기독교의 변용 ⑪」천리대학
  47.  야마다 마사노부 「개종을 정당화하는 이야기의 논리」 라틴 아메리카 연구 연보 No.19(1999년)
  48. ↑ 쓰시로 2005 , p. 76.
  49. ↑ Tingay, 미야자카 세이역 2009 , pp. 428–434.
  50. ↑ c 교황청 2007 , p. 119.
  51. ↑ b York, 이노우에 감역 2009 , pp. 428–434.
  52. ↑ f 쓰죠 2005 , pp. 71–73.
  53. ↑ 대전 2013. 위치 No.1173/2698
  54. ↑ 대전 2013. 위치 No.1165/2698

참고 문헌 편집 ]

  • 신촌출(편) 「히로사엔」(제3판) 이와나미 서점, 1986년 10월.
  • 종합불교대사전 편집위원회(편) 「종합불교대사전」법장관, 1988년 1월.
  • 나카무라 전 외「이와나미 불교 사전」(제2판) 이와나미 서점, 1989년. ISBN 4-00-080072-8 . 
  • 사쿠라부건 , 우에야마 하루헤이『존재의 분석<아비다르마>―불교의 사상〈2〉』카도카와 서점  카도카와 소피아 문고〉, 2006년. ISBN 4-04-198502-1 .  (초출: 『불교의 사상』 제2권 카도카와 서점, 1969년)
  • 아오하라 령지 「이른바 「무표업의 오해」 대해서 」 _848 .
  • 시미즈 슌사 「부정업과 기유업 : 유부와 상좌부의 업이론」 「불교대학 대학원 기요 문학연구과편」 제39호, 불교대학대학원, 2011년, 17-34페이지.
  • 쿠도 미유 「세친의 무표업의 해석을 둘러싸고」 「인도학 불교학 연구」 제31권 제1호, 일본 인도학 불교 학회, 1981년, 130-131페이지, doi: 10.4259 / ibk.31.130 .
  • 아베 신야 「여사론에 있어서의 무표에 대해」 「인도학 불교학 연구」 제87권 제1호, 일본 인도학 불교 학회, 1995년, 35-37페이지, doi : 10.4259/ibk.44.35 .
  • 가토 쥰쵸 「신사쓰하타」「인도학부교교 연구」 제16권 제1호, 일본인도학불교학회, 1967년, 120-121페이지, doi : 10.4259/ibk.16.120 .
  • 마츠쿠보 히데카타 『유식 초보 : 마음을 바라보는 불교의 토모에』 스즈키 출판, 2001년. ISBN 978-4-7902-1103-7 . 
  • 야마모토 현봉 「무문 관제창」대법 윤각, 1960년. ISBN 978-4-804-61019-1 . 
  • 아키즈키 류마「무문관을 읽는다」고단샤 학술 문고, 2002년.
  • 쓰시로 관문 『<령 >의 탐구 : 근대 영적 리듬과 비교 종교학』춘추사, 2005년, 1-283페이지. ISBN 4-393-29194-8 . 
  • 교황청 문화 평의회/교황청 제종교 대화 평의회 『뉴에이지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 가톨릭 중앙 협의회 주교 협의회 비서실 연구 기획 번역, 가톨릭 중앙 협의회, 2007년.
  • 『현대 세계 종교 사전—현대의 신종교, 섹트, 대체 영성』 크리스토퍼・파트릿지( 영어판  , 이노우에 준효 감역 , 이노우에 준효・이노우에 마도카・후가자와 가나・미야자카 청역 년.
    • Michael York 쓰기 "뉴에이지의 전통".
    • Kevin Tingay 쓰기 "신지학 협회".
  • 대전 준관『현대 오컬트의 근원 - 영성 진화론의 빛과 어둠』 치쿠마 서방 <치쿠마 신서>, 2013년. ISBN 978-4-480-06725-8 . 
  • 알보무레 스마나사라 '무아의 견해 ('나'에서 자유로워지는 삶의 방식)'(kindle) 상가, 2012년. ISBN 978-4905425069 . 
  • 알보무레 스마나사라『Power up Your Life 힘차게 살기 위해 부처가 설한 카르마의 법칙』(Kindle) 상가, 2014년. ISBN 978-4904507230 . 
  • 바바 기수 「초기 불교―― 붓다의 사상을 따르는」〈이와나미 신서〉 2018년. ISBN 978-4004317357 . 

관련 항목 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