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4

Gustavo Gutiérrez - Wikipedia

Gustavo Gutiérrez - Wikipedia


Gustavo Gutiérrez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Gustavo Gutiérrez
Gutiérrez in 1988
Born
Gustavo Gutiérrez Merino

8 June 1928
Died22 October 2024 (aged 96)
Lima, Peru
Alma materCatholic University of LeuvenCatholic University of Lyon
Occupation(s)Priest and professor
EmployerUniversity of Notre Dame
Known for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1]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AwardsPacem in Terris AwardPríncipe de Asturias awardLegion of Honor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Ecclesiastical career
ReligionChristianity
ChurchRoman Catholic Church
Ordained1959
Congregations served
Iglesia Cristo Redentor, Rimac

Gustavo Gutiérrez Merino OP (8 June 1928 – 22 October 2024) was a Peruvian philosopher, Catholic theologian, and Dominican priest,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1][2] He was the John Cardinal O'Hara Professorship of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and a visiting professor at many major universiti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3]

Gutiérrez studied medicine and literatur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an Marcos, where he also became involved with Catholic Action, which greatly influenced his theological arguments. At the Theology Faculty of Leuven in Belgium and Lyon, France, he began studying theology. He taugh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HarvardCambridgeUC Berkeley, and University of Montréal and other schools.[4]

His theological focus connected salvation and liberation through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impoverished. Gutierrez proposed that revelation and eschatology have been excessively idealized at the expense of efforts to bring about the Kingdom of God on Earth.[5] In this way, his methodology is often critical of the social and economic injustice he believes to be responsible for poverty in Latin America and the clergy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central pastoral question of his work is: "How do we convey to the poor that God loves them?"[6]

In 1974, Gutiérrez founded the Lima branch of the Bartolomé de Las Casas Institute. The Institute, in its mission statement, sought to use theology as a means of address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educating through research, engagement with lawmakers, and collaboration with grassroots organizations.[7]

Gutiérrez was a member of the Peruvian Academy of Language. In 1993, he was awarded the Legion of Honor by the French government for his tireless work. In 2000, Brown University awarded Gutiérrez an honorary Doctor of Divinity.[8] In 2002, Gutiérrez was elected 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and in 2003, he received the Príncipe de Asturias award. In 2014, he was awarded the Joseph B. and Toby Gittler Prize from Brandeis University.[9] In 2016, he received the Pacem in Terris Award from St. Ambrose University.[10]

Early life and education

[edit]

On 8 June 1928, Gustavo Gutiérrez was born in Lima to mestizo parentage, being half-Hispanic and half-Indigenous.[11] He was afflicted with osteomyelitis as an adolescent and was frequently bed-ridden. He had to use a wheelchair from age 12 to 18.[12] However, he described this time as a formative experience, claiming it instilled the value of hope through prayer and the love of family in friends. Gutierrez lived in Barranco, and studied at Colegio San Luis; among his close friends during those years was Javier Mariategui, both will later study medicine together. As he describes it, this experience had a profound impact on his interest in theology.[13]

He initially studied medicin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an Marcos in Peru in order to become a psychiatrist, then he realized he wanted to become a priest.[14] He completed his theological studies in the Theology Faculty of Leuven in Belgium and at Lyon in France, where he studied under Henri de LubacYves CongarMarie Dominique Chenu, Christian Ducoq, and several others.[15] It was also here where Gutiérrez was introduced to the Dominican and Jesuit ideologies, and was influenced by the work of Edward SchillebeeckxKarl RahnerHans Küng, and Johann Baptist Metz.[16] His time in Europe influenced Gutiérrez to discuss the openness of the Church to the contemporary world. He was also influenced by Protestant theologians such as Karl Barth and social scientists such as François Perroux and his idea of development.[17][18] In 1959, Gutiérrez was ordained a priest.[19]

While studying in Europe, Gutiérrez was exposed to other, non-religious thinkers who had a profound impact on his ideology and the eventual formation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13] At the Faculty of Theology in Lyons, France he studied Karl MarxSigmund Freud - who he did a philosophy licentiate on at the University of Louvrain - and evolutionary theorists traditionally opposed or discouraged by the church.[20] Marx's discussion of class struggle and the material conditions of poverty provided Gutiérrez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o-economic inequality.[20]

Gutiérrez was at one time a parish priest of the Iglesia Cristo Redentor (Church of the Holy Redeemer) in Rimac, Peru.[19]

Foundations of liberation theology

[edit]

When he returned to Peru, Gutiérrez began to formulate his understanding of Latin American "reality" – the foundation and driving force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21] He states: "I come from a continent in which more than 60% of the population lives in a state of poverty, and 82% of those find themselves in extreme poverty."[22] Gutiérrez focused his efforts on the rediscovery of love thy neighbor as the central axiom of Christian life.[23][24] He felt the European theology he had studied did not reflect the oppressive material conditions in Latin America. In 2003, Gutiérrez reminisced that his "parishioners in Lima would... teach me volumes about hope in the midst of suffering". This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would inspire his book On Job, published in 1987.[13]

Gutiérrez in 2007

An outline of Gutiérrez's theological proposal was drafted in his conference "Towards a Theology of Liberation" during the Second Meeting of Priests and Laity in Chimbote, Peru, between 21 and 25 July 1968.[25] In this proposal, he cites on multiple occasions Vatican II's Gaudium et Spes and Paul VI's Populorum Progressio. To Gutiérrez, the source of the problems of Latin America was the sin manifested in an unjust social structure. His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to emphasize the dignity of the poor by prioritizing the glory of God present in them.[15] This perspective would be refined over the next three years, until Gutiérrez published A Theology of Liberation in 1971.[26]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thus emerged as a biblical analysis of poverty. Gutiérrez distinguished two forms of poverty: a "scandalous state" and a "spiritual childhood." He noted that, while the former is abhorred by God, the second is valued. Gutiérrez identified that each form of poverty was present in Latin America, wherein one hungers for bread and for God. It is only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a committed faith that the purposes of God can be manifested to man, regardless of the color or social class under which he was born. Liberation theology insists on prioritizing the gift of life as the supreme manifestation of God.[27]

Gutiérrez asserts that his understanding of poverty as a "scandalous state" is reflected in Luke's beatitude "Blessed are you poor, for the kingdom of God is yours", whereas his interpretation of it as "spiritual childhood" has precedent in Matthew's verse,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He argues that there are forms of poverty beyond economic.[28]

Writings on the option for the poor

[edit]

Gutiérrez calls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poor, and contends that being poor is not simply lacking the economic resources for development.[29] On the contrary, Gutiérrez understands poverty as "a way of living, of thinking, of loving, of praying, of believing and waiting, of spending free time, of fighting for life." He simultaneously emphasizes that poverty is the result of flawed social institutions.[29] While many theologians oversimplify poverty's social roots, for Gutiérrez the origin of poverty is much more complex. In Latin America, it originates from the times of the conquest and to that is added several political, geographical, and personal factors.[29]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the midst of the unjust situation in Latin America leads to a praxis based on principles derived from the word of God. In the article Theology and Poverty, Gutiérrez recalls that this option should lead to three well-defined actions, with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unfolding as a fundamental axis of the Christian life on three levels:[29][30]

  1. The announcement and testimony of the reign of God denounces poverty.
  2. The intelligence of faith reveals essential aspects of God and provides a perspective for theological work.
  3. Walking in the footsteps of Jesus, otherwise known as spirituality, is, on the deepest level, the basis on which everything else rests.

The main biblical foundation for this praxis lies in the kenotic incarnation of Christ. To Gutiérrez, the ministry of Christ among the rejected and despised of his time is a clear example for the contemporary Church. Furthermore, "the incarnation is an act of love. Christ becomes mandies and rises to liberate us, and makes us enjoy freedom. To die and be resurrected with Christ is to overcome death and enter into a new life. The cross and the resurrection seal our freedom." The freedom of Christ is seen by Gutiérrez as the source of spiritual and economic freedom.[31]

Theological reflection on liberation extends beyond a simple discourse lacking in practical and concrete implications. Reflection on the situation of the poor leads to what liberation theologians call "liberating praxis", where they attempt to rectify the process by which the faith of the Church builds the economic, spiritual and intellectual liberation of socially oppressed peoples as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The liberating praxis, then, has its basis in the love that God manifests for us and in the sense of solidarity and fellowship that should exi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children of God. These are concepts that Gutiérrez developed in concert with education activist/philosopher Paulo Freire, whose 1968 seminal work Pedagogy of the Oppressed explored the concept of praxis and a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32][33]

Death

[edit]

Gutiérrez died from pneumonia in a convent in Lima on 22 October 2024, at the age of 96.[34][35]

Legacy

[edit]

Gutiérrez was an influential figure within 20th century theology, and responses to his work have been polarized. Arthur F. McGovern identifies liberation theology as an anomaly within theologian fields, arguing that theology discourse is generally limited to academic circles. He argues that Gutiérrez's theories, however, have considerable and tangible impacts on the Latin America's socio-economic conditions.[36]

Liberation theology was intended as a call to all believers in Latin America to act on the biblical commitment to the poor. Gutiérrez's message on material and economic conditions serves to place inequality in both religious and political discourse. Gutiérrez's thought has influenced theology, both in Latin America and abroad. This influence can be observed from the evangelical proposal of the "integral mission" developed years after the origin of liberation,[37]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inistries within the evangelical churches in the last decades.[38]

Among his most prominent followers are Hugo Echegaray and Luis Felipe Zegarra Russo. His friends include the German theologian Gerhard Ludwig Müller, the former Prefect of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On the subject of Gustavo Gutiérrez's thought, of which he was a student, Müller stated: "The theology of Gustavo Gutiérrez, how it is considered, is orthodox because it is orthopractic and teaches us the correct Christian way of acting, since it derives from authentic faith."[39] On Gutiérrez's 90th birthday, in 2018, Pope Francis thanked him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church and humanity through your theological service and your preferential love for the poor and discarded of society."[40] While Gutiérrez's positions were never censored by the Church, he had been asked to modify some of his propositions.[41]

Criticisms

[edit]

In the early 1970s, Gutiérrez gave a controversial lecture in Córdoba, Argentina upon being invited by the Movement of Priests for the Third World.[42] He refused to speak unless Father Jerónimo Podestá - a fellow liberation theologian who, unlike Gutiérrez, fought for the right of priests to marry - left the room.[42] Years after, Podestá's widow and fellow critic of mandatory celibacy within the church, Clelia Luro [es] deemed Guiterrez's attitude towards the issue to be discriminatory and wrote to him:[43][44]

I am Clelia Luro, the partner of Jerónimo Podestá, if you remember? You came to Córdoba for a Movement of Priests for the Third World talk. Jerónimo had been invited for the first time by Marimichi. He went to Córdoba very happy, this having been the first time the Priests invited him. The next day Jerónimo came back home. I asked him what happened, and he answered "Gustavo didn't want to start if I was in the room", without hiding any pain. I thought, "liberation Theology, what liberation did he offer?" The clerical liberation of false values? And I pitied you. I know you also behaved the same way towards Leonardo Boff, the best theologian the Church has today. Last Saturday Francis called me, and I reminded him of that incident, and he replied that he remembered because I had already told him back when he was still our Cardinal Bergoglio. Gustavo, if liberation theology leads us to judge our brothers, we would have to liberate ourselves from that theology.

In 1984, the Holy See, under Pope John Paul II, criticized aspects of liberation theology, taking particular issue with its use of Marxist economic theory. Cardinal Joseph Ratzinger asked Peruvian bishops to examine Gutiérrez's writings, voicing concerns that Gutierrez's arguments embodied a concerning "idealization of faith".[45] As a result, he and liberation theology were the subjects of 36-page Vatican report, which declared Marxism to be incompatible with Catholic teachings. The Catholic Church in Peru then held a vote to rebuke Gutiérrez's ordination within the group, which ended in a tie.[20]

According to Arthur F. McGovern, assessing the movement and its critics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it became the subject of popular controversy outside of theological and academic circles, including stories and advertisements in the popular press that evoked passionate responses by identifying liberation theology with Communism and fear of radicalism in Latin American politics.[46]

Selected works

[edit]
  • On the Side of the Poor: The Theology of Liberation. Co-authored with Cardinal Gerhard Ludwig Müller. Orbis Books, 2015: ISBN 978-1626981157[47]
  • In the Company of the Poor: conversations between Dr. Paul Farmer and Fr. Gustavo Gutiérrez. Ed. Michael Griffin and Jennie Weiss Block. Orbis Books, 2013: ISBN 978-1626980501[48]
  • Las Casas: In Search of the Poor of Jesus Christ, trans. Robert R. Barr (Maryknoll: Orbis, 1993). Originally published as En busca de los pobres de Jesucristo: El pensamiento de Bartolomé de las Casas (Lima: CEP, 1992).[49]
  • The God of Life, trans. Matthew J. O'Connell (Maryknoll: Orbis, 1991). Originally published as El Dios de la vida (Lima: CEP, 1989).[50]
  • On Job: God-Talk and the Suffering of the Innocent, trans. Matthew J. O'Connell (Maryknoll: Orbis, 1987). Originally published as Hablar de Dios desde el sufrimiento del inocente (Lima: CEP, 1986).[51]
  • The Truth Shall Make You Free: Confrontations, trans. Matthew J. O'Connell (Maryknoll: Orbis, 1990). Originally published as La verdad los hará libres: Confrontaciones (Lima: CEP, 1986).[52]
  • We Drink from Our Own Wells: The Spiritual Journey of a People, 20th anniversary ed., trans. Matthew J. O'Connell (Maryknoll: Orbis, 2003; 1st ed., Maryknoll: Orbis, 1984). Originally published as Beber en su propio pozo: En el itinerario espiritual de un pueblo (Lima: CEP, 1983).[53]
  • A Theology of Liberation: History, Politics, and Salvation, 15th anniversary ed., trans. Caridad Inda and John Eagleson (Maryknoll: Orbis, 1988; 1st ed., Maryknoll: Orbis, 1973). Originally published as Teología de la liberación: Perspectivas (Lima: CEP, 1971).[54]

See also

[edit]

References

[edit]
  1. Jump up to:a b Løland, Ole Jakob (July 2021). Usarski, Frank (ed.). "The Solved Conflict: Pope Francis and Liberation Theology" (PDF)International Journal of Latin American Religions5 (2). BerlinSpringer Nature: 287–314. doi:10.1007/s41603-021-00137-3eISSN 2509-9965ISSN 2509-9957.
  2. ^ Cornell, George W. (6 August 1988). "Founder of liberation theology deals with acclaim and criticism"Lawrence Journal-World. Retrieved 1 September 2010.
  3. ^ "Gustavo Gutierrez, O.P." Department of Theology: People. University of Notre Dame. Retrieved 1 September 2010.
  4. ^ "Bigorafía de Gustavo Guitiérrez"unmsm.edu. Universidad Nacional Mayor de San Marco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9. Retrieved 18 November 2019.
  5. ^ Müller, Gerhard. ""La teología de la liberación hoy"". In Gutiérrez (ed.). Iglesia pobre y para los pobres. Lima.
  6. ^ Gutiérrez, Gustavo (1995). Hablar de Dios desde el sufrimiento del inocente. Una reflexión de el libro de Job. Lima: Instituto Bartolome de Las Casas.
  7. ^ "Las Casas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October 2018. Retrieved 6 November 2019.
  8. ^ "Honorary Degrees"Corporation | Brown University. Retrieved 9 May 2024.
  9. ^ "Gustavo Gutiérrez"www.brandeis.edu. Retrieved 9 May 2024.
  10. ^ "Pacem in Terris Past Recipients"Catholic Diocese of Davenport. Retrieved 4 November 2016.
  11. ^ Humphrey, Kimberly (2011). "Gustavo Gutierrez's Liberation Theology"Denison Journal of Religion10. Retrieved 2 November 2019.
  12. ^ Hartnett, Daniel (3 February 2003). "Remembering the Poor: An Interview with Gustavo Gutiérrez"America Magazine. Retrieved 1 September 2010.
  13. Jump up to:a b c Hartnett, Daniel (3 February 2003). "Remembering the Poor: An Interview With Gustavo Gutiérrez"americanmagazine.org. America Magazine. Retrieved 20 November 2019.
  14. ^ "Gustavo Gutierrez biography (spanish)"Gustavo Gutiérrez (1928). Steven Casadont. Retrieved 11 October 2010.
  15. Jump up to:a b Botella Cubells, Vicente (8 de noviembre de 2011)). «Gustavo Gutiérrez, padre de la Teología de la Liberación». Facultad de Teología. Valencia.
  16. ^ Gutiérrez, Gustavo (2001) "Quehacer teológico y experiencia eclesial"; J.J.Tamayo y J.Bosch, eds., Panorama de la Teología Latinoamericana, Estella.
  17. ^ Gorringe, Timothy (12 August 1999), "Theology and Human Liberation", Karl Barth, Oxford University Press, pp. 268–290, doi:10.1093/acprof:oso/9780198752462.003.0007ISBN 978019875246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18, retrieved 20 July 2018
  18. ^ Sagasti, Francisco R.; Alcalde, Gonzalo (1999). Development Cooperation in a Fractured Global Order: An Arduous Transition. IDRC. p. 14. ISBN 978-0-88936-889-7.
  19. Jump up to:a b "Gustavo Gutiérrez"www.britannica.com.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 November 2019.
  20. Jump up to:a b c Klabier, Jeffery (July 1989). "Prophets and Populists: Liberation Theology, 1968-1988". The Americas46 (1): 1–5. doi:10.2307/1007391JSTOR 1007391S2CID 147016879.
  21. ^ "Gustavo Gutiérrez: Essential Writings"; Nickoloff, James. Fortress Press, 1996
  22. ^ Gutierrez, Gustavo (1991). "Juan de la Cruz desde America Latina". Retrieved 9 March 2015.
  23. ^ Hahnenberg, Edward P. (1 July 2010). Awakening Vocation: A Theology of Christian Call. Liturgical Press. ISBN 9780814657331.
  24. ^ "Gutiérrez highlights Pope's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 The Observer"The Observer. 26 September 2014. Retrieved 20 July 2018.
  25. ^ Gutiérrez, Gustavo (1968) "Hacia una teología de la liberación. Consultado el 23 de julio de 2014.
  26. ^ "R.I.P. Gustavo Gutiérrez, the prophet who revolutionized Catholic theology for the poor". America Magazine. 23 October 2024. Retrieved 23 October 2024.
  27. ^ "Gustavo Gutierrez and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National Catholic Reporter. 8 November 2011. Retrieved 20 July 2018.
  28. ^ Gagliarducci, Andrea. "Fr Gustavo Gutierrez: the poor are the starting point of liberation theology"catholicnewagency.com. Retrieved 4 November 2019.
  29. Jump up to:a b c d "A THEOLOGY OF LIBERATION" (PDF). Orbis Books. Retrieved 23 October 2024.
  30. ^ "A Hermeneutic of Hope" (PDF). Vanderbilt.edu. Retrieved 23 October 2024.
  31. ^ Gutiérrez, Gustavo. Essential Writings. Fortress Press. p. 300. ISBN 9781451410242.
  32. ^ Smith, Christian."The Emergence of Liberation The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33. ^ Freire, Paulo; Macedo, Donaldo (1 September 2000). Pedagogy of the Oppressed, 30th Anniversary Edition. Translated by Ramos, Myra Bergman (30th Anniversary ed.). Continuum. ISBN 9780826412768.
  34. ^ "Peruvian theologian the Rev. Gustavo Gutiérrez, father of influential liberation theology, has died"Associated Press. 23 October 2024. Retrieved 23 October 2024.
  35. ^ Friskics-Warren, Bill (23 October 2024). "Gustavo Gutiérrez,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Dies at 96"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3 October 2024.
  36. ^ Duncan, William (1995). "The Political Philosophy of Gustavo Gutiérrez"Graduate Faculty of University of Texas. Retrieved 20 November 2019.[page needed]
  37. ^ "Latin America Consultation on Integral Mission | Micah Network"www.micahnetwork.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18. Retrieved 20 July 2018.
  38. ^ "Latin America – World Council of Churches"www.oikoumene.org. Retrieved 20 July 2018.
  39. ^ Vatican Insider: "Un teologo della liberazione al Santo Ufficio?" 15 October 2011
  40. ^ "Francis wishes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on 90th birthday"La Croix International. 8 June 2018. Retrieved 22 October 2024.
  41. ^ Kirchgaessner, Stephanie; Watts, Jonathan (11 May 2015). "Catholic church warms to liberation theology as founder heads to Vatican"the Guardian. Retrieved 20 July 2018.
  42. Jump up to:a b Luro, Clelia (12 September 2013). "Carta abierta a Gustavo Gutiérrez"atrio.org. Atr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19. Retrieved 20 November 2019.
  43. ^ "Una aclaración necesaria: Gustavo Gutiérrez ¡no estaba!" (in Spanish). Amerindiaenlared.org. 25 January 2019. Retrieved 23 October 2024.
  44. ^ "Carta abierta de la indignada esposa de un ex obispo al 'retrógrado' Gustavo Gutierrez" (in Spanish). Religion Confidenical. Retrieved 23 October 2024.
  45. ^ "Gustavo Gutiérrez,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dead at 96". Angelus News. Retrieved 23 October 2024.
  46. ^ McGovern, Arthur F. (1989). Liberation Theology and its Critics: Toward an Assessment. Wipf & Stock. p. ix.
  47. ^ "On the Side of the Poor: The Theology of Liberation". Good Reads. Retrieved 23 October 2024.
  48. ^ "Gutierrez and Farmer's 'In the Company of the Poor'". NCR Online.org. Retrieved 23 October 2024.
  49. ^ "Las Casas: In Search of the Poor of Jesus Christ". Google Books. Retrieved 23 October 2024.
  50. ^ "The God of Life". The Gospel Coalition. Retrieved 23 October 2024.
  51. ^ "On Job: God-Talk and the Suffering of the Innocent". Good Reads. Retrieved 23 October 2024.
  52. ^ "The Truth Shall Make You Free". Google Books. Retrieved 23 October 2024.
  53. ^ "We Drink from Our Own Wells: The Spiritual Journey Of A People". Good Reads. Retrieved 23 October 2024.
  54. ^ Maduro, Otto (2008). "Liberation Theology". In Darity, William A. Jr.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4 (2nd ed.). Detroit, Michigan: Macmillan Reference USA. pp. 434–437. ISBN 978-0-02-866117-9. Retrieved 31 March 2022 – via Encyclopedia.com.

Further reading

[edit]
  • Christian Smith (2002). "Las Casas as Theological Counteroffensive: An Interpretation of Gustavo Gutiérrez's Las Casas: In Search of the Poor of Jesus Christ".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41: 69–73. doi:10.1111/1468-5906.00100.
  • Alexander Nava (2001). The Mystical and Prophetic Thought of Simone Weil and Gustavo Gutiérrez: Reflections on the Mystery and Hiddenness of God. SUNY Press. ISBN 0-7914-5177-1.
  • Robert McAfee Brown (1980). Gustavo Gutierrez: Makers of Contemporary Theology. Atlanta: John Knox Press. ISBN 0-8042-0651-1.
[edit]

===
https://www.aljazeera.com/news/2024/10/23/gustavo-gutierrez-champion-of-christian-liberation-theology-dies

Gustavo Gutierrez, champion of Christian liberation theology, dies

An advocate for the world’s ‘poor and exploited’, Gutierrez promoted ideals that revolutionised the Latin American church.


Peruvian theologian Gustavo Gutierrez attends a press conference at the Vatican, Tuesday, May 12, 2015. The founder of the once-criticized liberation theology has praised the "new climate" at the Vatican under Pope Francis that has focused the church's attention on serving the poor. Rev. Gustavo Gutierrez made his first appearance at an official Vatican press conference Tuesday. (AP Photo/Alessandra Tarantino)
Peruvian Christian theologian Gustavo Gutierrez focused on supporting the poor and exploited [File: Alessandra Tarantino/AP]

Published On 23 Oct 2024
23 Oct 2024
Peruvian priest Gustavo Gutierrez, regarded as the father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has died aged 96.


He passed away on Tuesday night in Lima, said the Dominican Order of Peru, without giving a cause.

Gutierrez was an eminent Catholic theologian and philosopher, whose 1971 book – titled A Theology of Liberation – deeply influenced church doctrine and practice in Latin America.


It holds that Christian salvation goes beyond spiritual matters, also demanding that people be freed from material or political oppression. He famously wrote: “The future of history belongs to the poor and exploited”.


Archbishop Carlos Castillo, Lima’s cardinal-designate, remembered Gutierrez, who in his younger years served as a local parish priest in Lima, as a “a faithful theologian priest who never thought about money, or luxuries, or anything that seemed to make him superior”.

“Small as he was, he knew how to announce the Gospel to us with strength and courage in his smallness,” said Castillo.

US politics, Canada’s multiculturalism, South America’s geopolitical rise—we bring you the stories that matter.

Gutierrez’s thinking attracted many who were outraged by the inequality and dictatorships in several Latin American countries in the 1960s and 1970s. He inspired figures like Salvadoran Archbishop Oscar Romero, who was assassinated in 1980 after taking a stand against rights abuses in his country’s civil conflict.


Initially, the Vatican harshly denounced liberation theology, claiming it held Marxist undercurrents, and spent decades disciplining some of its advocates.


Gutierrez, who himself was never disciplined, told reporters in 2015 that liberation theology as a whole was never condemned, but he acknowledged that the Holy See had engaged in “very critical dialogue” with its proponents and that there were “difficult moments”.


The arrival of the first Latin American pope, Pope Francis, focused the Vatican’s attention on social justice and the poor and led to something of a rehabilitation of liberation theology.


When Gutierrez turned 90 in 2018, Pope Francis wrote him a letter thanking him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Church and to humanity, through your theological service and your preferential love for the poor and the discarded of society”.==
https://www.catholicnewsagency.com/news/260021/gustavo-gutierrez-peruvian-dominican-priest-and-liberation-theology-pioneer-dies-at-96

Gustavo Gutiérrez,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dies at 96
facebook sharing buttontwitter sharing buttonwhatsapp sharing buttonemail sharing buttonsharethis sharing button
Gustavo Gutirrez Merino OP Photo courtesy of Notre Dame Matt Cashore CNA 5 8 15
Father Gustavo Gutierrez Merino, OP, who is regarded as the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 Credit: Photo courtesy of Notre Dame/Matt Cashore
Walter Sánchez Silva
By Walter Sánchez Silva


ACI Prensa Staff, Oct 23, 2024 / 04:35 am


Gustavo Gutiérrez Merino, the Peruvian Dominican priest considered the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died Oct. 22 at the age of 96.


The Dominican Province of St. John the Baptist of Peru announced the death of Gutiérrez, noting he was the author of the influential 1971 book “A Theology of Liberation: History, Politics, and Salvation.”


“We ask for your prayers to accompany our dear brother so that he may enjoy eternal life,” stated the announcement signed by Father Rómulo Vásquez Gavidia, OP, the provincial prior.




The Dominicans indicated that Gutiérrez’s remains would lie in state at the Santo Domingo convent in Lima’s historic center.


The Vatican and liberation theology
The theology of liberation is a school of thought that explored dimensions of liberation from the standpoint of Catholic social teaching. In some of its radical expressions, in particular in Latin America, liberation theology embraced many elements of Marxist theory and advocated for social change through various forms of revolution. At times, it also cast Christ as a form of revolutionary figure.




Its more orthodox expressions emphasized a closeness with the poor and the suffering and called for authentic liberation in Christ.


In a January 2017 interview with Spanish newspaper El País, Pope Francis said: “Liberation theology was a positive thing in Latin America. The Vatican condemned the part that opted for Marxist analysis of reality. Cardinal Joseph Ratzinger [the later Pope Benedict XVI] issued two instructions when he was prefect of the [then-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One very clear about the Marxist analysis of reality, and the second taking up positive aspects.”


During St. John Paul II’s papacy, the Congregation (now Dicastery)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conducted an investigation that resulted in two documents: “The Instruction on Certain Aspects of the ‘Theology of Liberation,’” Libertatis Nuntius (1984), and the “Instruction on Christian Freedom and Liberation,” Libertatis Conscientia (1986).


Over many years, the Vatican examined Gutiérrez’s writings. In 2006, the Peruvian bishops’ conference reported that the Vatican had “concluded the path of clarification of problematic points contained in some works of the author” in 2004, with a revised second version of Gutiérrez’s article “Ecclesial Koinonia.”


Life and writings
Born on June 8, 1928, Gutiérrez was ordained a priest in 1959 and joined the Dominican order in 2001. He studied medicine and literatur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an Marcos while participating in Catholic Action. He later studied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Louvain in Belgium and the Institut Catholique of Lyon in France.




Gutiérrez served as the John Cardinal O’Hara Endowed professor of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in Indiana. His books have been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John Cavadini, the former head of Notre Dame’s theology department, recruited Gutiérrez to his post.


“Unlike a number of liberation theologians, Father Gustavo was concerned to remain with the boundaries of orthodox Catholic faith and ecclesial discipline. As a result, he expanded ecclesial sensibilities in ways that permanently affected, you could say, developed, Catholic social teaching and beyond that, into its theological presuppositions,” Cavadini told the National Catholic Register, CNA’s sister news partner, on Wednesday.


“Father Gustavo practiced what he preached,” Cavadini added. “He always worked with the poor, offering catechesis and connection with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Thomas Aquinas (among others), adapted for their educational level whatever it might be. May he rest in peace!”


(Story continues below)


Subscribe to our daily newsletter


Email*


First name*
Last name*








I agree to receive other communications from EWTN and consent to the terms of the Privacy Policy.*


One of Gutiérrez’s last international appearances was in Rome in October 2019 at a congress held at the Jesuit General Curia. There, at the invitation of the Pontifical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CAL), he delivered a lecture on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A year earlier, in June 2018, Pope Francis sent Gutiérrez a letter for his 90th birthday, thanking him “for what you have contributed to the Church and humanity through your theological service and your preferential love for the poor and the discarded of society.”


Jonathan Liedl of the National Catholic Register contributed to this report.


This story was first published by ACI Prensa, CNA’s Spanish-language news partner. It has been translated and adapted by CNA.




Tags: Catholic News, Liberation Theology, Fr. Gustavo Gutierrez
Walter Sánchez Silva
Walter Sánchez Silva is a senior writer for ACI Prensa (https://www.aciprensa.com).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he has reported from important ecclesial events in Europe, Asia and Latin America during the pontificates of Benedict XVI and Pope Francis. E-mail: walter@aciprensa.com

==
https://www.nytimes.com/2024/10/23/world/americas/gustavo-gutierrez-dead.html


Gustavo Gutiérrez, Father of Liberation Theology, Dies at 96

Once considered revolutionary, his notion of empathy and advocacy for the poor has become a central tenet of Catholic social teaching.

Share full article



The Rev. Gustavo Gutiérrez in an undated photo. In his teaching and writings, he asserted that the God of the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exhibits a preferential commitment to the poor.Credit...Bettmann/Getty Images


By Bill Friskics-Warren
Oct. 23, 2024Updated 3:47 p.m. ET


Gustavo Gutiérrez, the Peruvian priest and scholar who was regarded as the father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a far-reaching school of thought and action born of solidarity with poor and marginalized people, died on Tuesday at a convent in Lima, Peru. He was 96.

The cause was pneumonia, said a friend and former assistant, Leo Guardado, who is now a theology professor at Fordham University.

Father Gutiérrez, a Dominican priest, was best known as the author of “Teología de la Liberación,” a landmark work of social and theological analysis originally published in Spanish in 1971 and first available in English in 1973 as “A Theology of Liberation.” In that book, he asserted that the God of the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exhibits a preferential commitment to the poor.

The book anticipated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to establish housing and health care as basic human rights, and it continues to be taught in seminaries and universities.


AdvertisementSKIP ADVERTISEMENT




Father Gutiérrez argued that the salvation of the poor was not achievable only in an otherworldly afterlife, as the church had long taught, but could also be realized within history. To know God, he insisted, people must work to eliminate poverty and unjust conditions on earth. The church must concern itself with life in this world, not the next.

To speak of a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was not “a question of idealizing poverty,” Father Gutiérrez wrote, “but rather of taking it on as it is — as evil — to protest against it and to struggle to abolish it.”

Image
Father Gutiérrez’s landmark book, first published in 1971, anticipated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to establish housing and health care as basic human rights. It continues to be taught in seminaries and universities.Credit...Orbis Books, Maryknoll, NY; Sculpture by Edilberto Mérida Rodríguez; Photo by Joseph Vail, MM


Once considered revolutionary, the notion of empathy and advocacy for the poor is now a central tenet of Roman Catholic social teaching.

“We love God by loving our neighbor,” Father Gutiérrez contended. “Only then will God be with us.”

Like the Jesus of the gospels, who lived with the outcasts of his day, he worked much of his life in the Rímac barrio of Lima, Peru’s capital, where, as a parish priest and the director of the Bartolemé de Las Casas Institute, he ministered to the poor.


AdvertisementSKIP ADVERTISEMENT




His experience amid the squalor of Rímac led him to view poverty as a form of evil that has not only an economic dimension but also a spiritual one. To be poor, he said in a 2016 interview with America, a magazine published by the Jesuits, is to be invisible and, all too often, to suffer a premature and unjust death.



How The Times decides who gets an obituary. There is no formula, scoring system or checklist in determining the news value of a life. We investigate, research and ask around before settling on our subjects. If you know of someone who might be a candidate for a Times obituary, please suggest it here.
Learn more about our process.

“A Theology of Liberation” immediately gained traction among clergy and lay people struggling against oppressive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in Father Gutiérrez’s native Latin America. The book inspired multitudes in Asia and Africa as well.

His ideas even found resonance outside the church, in the work of global activists like Paul Farmer, the physician, Harvard University professor and United Nations deputy special envoy for Haiti, who founded the nonprofit organization Partners in Health, which provides health care to poor people throughout the world.

Father Gutiérrez’s theology was not without its detractors. It was criticized by scholars living in capitalist countries for its use of Marxist social analysis to expose unjust political systems in the third world, many of them supported by first world powers.

Image
Father Gutiérrez in 2014 with Cardinal Gerhard Ludwig Müeller of Germany (wearing a Peruvian poncho) during a book presentation in Vatican City.Credit...Domenico Stinellis/Associated Press


His work also came under fire from feminists for not explicitly addressing the sexual oppression of poor women in Latin America. And despite being steeped in the theological populism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sessions of which Father Gutiérrez attended in Rome in the early 1960s, his writings fell under the scrutiny of the Vatican for deviating from Catholic orthodoxy.


AdvertisementSKIP ADVERTISEMENT




More recently, his theology found favor with Pope Francis, the first Latin American pontiff, who invited him to a meeting at the Vatican in 2013. In L’Osservatore Romano, the semiofficial newspaper of the Vatican, the pope declared that liberation theology can no longer “remain in the shadows to which it has been relegated for some years, at least in Europe.”

Gustavo Gutiérrez Merino, a mestizo of Hispanic and Quechua Indian descent, was born on June 8, 1928, in the Montserrat barrio of Lima. He had polio as a child and spent most of his teenage years confined to bed. His infirmity inspired him to pursue a career in medicine — he earned a degree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Peru in 1950 — before ultimately choosing the priesthood.

Father Gutiérrez did his graduate work in Europe, where he studied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t universities in Belgium, France and Italy. Returning to the slums of Lima in the late 1950s, he discovered that the dominant theology of the Northern Hemisphere had little relevance in the context of Latin America.

“The history of humanity has been written ‘with a white hand,’ from the side of the dominators,” he observed, echoing the writings of his friend and fellow Peruvian José María Arguedas, to whom, along with the Brazilian priest Henrique Pereira Neto, “A Theology of Liberation” was dedicated. “History’s losers have another outlook.”


AdvertisementSKIP ADVERTISEMENT




“The theology of liberation,” Father Gutiérrez insisted, “begins from the questions asked by the poor and plundered of the world, by those ‘without a history.’”

This necessity of reading history from the underside, and of having theology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oppressed people rather than being imposed from without by the academy or the church, became a hallmark of liberation theology. Likewise was Father Gutiérrez’s commitment to grass-roots ecclesial communities, as the locus of the struggle for liberation.

Image
Father Gutiérrez received an honorary doctor of divinity degree from Yale University in 2009. He shook hands with Peter Salovey, the university’s provost.Credit...Douglas Healey/Associated Press


The fundamental themes of Latin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were first given voice in documents drafted by Father Gutiérrez and Oscar Romero — the Salvadoran archbishop assassinated in 1980 for speaking out against social injustice — after a historic series of meetings of priests that culminated in a gathering of bishops in Medellín, Colombia, in 1968.

Father Gutiérrez also wrote much of what emerged from the Latin American Episcopal Council held in Puebla, Mexico, in 1979. Ironically enough, he would not receive his doctorate in theology,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Lyon in France, until 1985, almost 15 years after the initial publication of “A Theology of Liberation.”


AdvertisementSKIP ADVERTISEMENT




Father Gutiérrez wrote more than a dozen books and taught at several institutions over the years, including the Pontifical University of Peru and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in Indiana, where he was the John Cardinal O’Hara professor of theology from 2001 until his retirement in 2018, when he was named professor emeritus. He was made a member of the French Legion of Honor in 1993 and inducted in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2002.

Even into his 80s — and long after he was recognized as one of most influential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 Father Gutiérrez spent half of each year away from Notre Dame working in the slums of Lima.

He is survived by an older sister.

Father Gutiérrez always knew that his vision of human redemption, with its summons to political action in solidarity with the oppressed, would be controversial; he was, after all, calling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capitalist-bred churche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o moral and political account.

“Latin American misery and injustice go too deep to be responsive to palliatives,” he wrote in 1983 in “The Power of the Poor in History.” “Hence we speak of social revolution, not reform; of liberation, not development; of socialism, not the modernization of the prevailing system. ‘Realists’ call these statements romantic and utopian. And they should, for the rationality of these statements is of a kind quite unfamiliar to them.”

Ash Wu contributed reporting.

See more on: Roman Catholic Church Sex Abuse Cases, University of Notre Dame

Share full article

==
Philo Kalia

peordoStns9gcli1iaagf0m5i7il0amlg9tu442254t2l661715h130a1i16 ·



구스타보 구티에레즈(Gustavo Gutiérrez,1928년 6월 8일~2024년 10월 22일)

페루 출신 해방신학자가 그제 10월 22일 善終하셨다는 소식에, 그분을 기리고 싶은 마음 굴뚝같아 한자 적는다.
이 책 『해방신학』은 1971년도에 출간되어 우리말로는 1977년도에 번역되었고 나는 제대한 후 1980년도 쯤 입수한 것 같다. 그 당시 이 책은 금서였다. 나는 이 책을 두고두고 읽었는데, 서양의 그 어떤 신학자의 저서보다 예수의 말씀과 행위에 더 가깝게 접근하여 신학을 전개한다는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독일 유학시절 1986년 뮌스터 대학에서 “Latin Amerika und Deutschland im Dialog”가 열렸고 당시 브라질에서 온 유학생과 이틀 그 심포지엄에 참여했다. 빌레펠트에서 뮌스터까지는 한 시간 반 거리였다. 한 강연회에서 난 구티에레즈를 보았다. 그가 서두에 한 말을 이렇게 또렷이 기억할 수 있을까! 유럽의 철학(헤겔)은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 밤에 사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지만(미네르바의 올빼미는 석양이 진 후에야 날개를 펴고 날기 시작한다),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신학은 한낮의 일터에서 신학을 한다(Doing Theology).
그리고 또 이 말이 더 결정적이다. 예수께서 사흘 후 부활하셔서 제일 먼저 하신 일이 무엇이냐? 갈릴리 호숫가에서 아침에 잡은 고기를 제자들과 함께 드신 일이다. 삼 일간 굶으셨기 때문에 배고파, 제일 먼저 먹을 것을 찾아 함께 아침을 먹었다는 얘기였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와서 조반을 먹으라 하시니 제자들이 주님이신 줄 아는 고로 당신이 누구냐 감히 묻는 자가 없더라”(요한 21:12) 이렇게 점잖게 표현되어 있지만 먹는 자리에서 당신이 누구요, 따지고 물을 이유가 없다. 먹는 자리에선 당신들이 바로 나의 주님이 된다. 이론이고 믿음이고 깨달음이고 나발이고... 다 잠재운다. 모든것을 무화시켜 이기는 것은 육체의 배고픔이고 밥이다.
육체보다 정신, 정신보다 영과 영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뇌까리는 사람 중 한 사람이지만, 육체가 가장 먼저고 원초적이다. 표층적이냐 심층적이냐는 구분보다는 육체의 배고픔이냐 정신의 산만한 풍요로움이냐의 구분이 더 중요하다.
“밥이 하늘이다”(김지하), 식일완만사지(食一碗萬事知, 해월), 배부른 부자도 권력자도 배가 쪼륵쪼륵 고파 간신히 밥 한 그릇 얻어먹게 될 그때, 만사의 이치를 알게 될 것이니, 한 그릇의 밥에 하늘의 땀과 알곡이 몽땅 담겨 있음이다.
나에게 신학의 주제와 방법과 방향에 새로운 깨달음을 주신 분, 구티에레즈!
그의 책에서 밑줄 친 몇 개를 인용한다.
“그러나 수세기 동안 교회는 진리를 정식화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보다 나은 세계를 건설하는 데는 아무것도 한 바가 없다. 달리 말해서 교회는 정교(正敎)에다 전력을 집중하고 정행(正行)은 비신자들과 교회 성원이 아닌 사람들의 손에 맡겨 왔다.”
그리스도교는 “사생활을 강조하고 개인적 가치를 개척하는 데 역점을 두었고, 정치 분야는 저차원의 것, 소위 공동선이라는 제목만 붙여 놓고는 되도록 회피하고 외면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해방의 영성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교회가 발언하지 않는다는 것은 또하나의 ‘침묵의 교회’가 된다는 뜻이다. 약자들이 권력자들에게 착취당하고 약탈당함을 보고서도 입을 봉하고 있는 침묵의 교회가 된다는 뜻이다.”
“우리가 투쟁하는 대상은 빈곤과 불의와 착취이지만, 그같은 대상을 ‘넘어서’ 혹은 ‘통해서’ 우리의 목표가 되는 것은 ‘새인간의 창조’임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일한다는 것, 이 세계를 변혁시킨다는 것은 곧 인간이 된다는 것, 인간다운 사회를 건설한다는 것이며, 다시 말해서 구원받는다는 것이다.”
“구원은 萬人을, 全人을 포함한다. 그리스도의 구원행위는 바로 인류역사의 한가운데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의의 사회를 구현하려는 노력은 곧 구세사의 일익을 이루고 있다.”
“죄는 인간적이고 사회적이며 역사적인 실재이다. 죄는 사회적으로, 역사적으로 일정한 상황에 처해 있는 자유 그 자체에서 유래한다.”
“구원사업을 단지 ‘종교적’ 영역에만 국한시키고 그 보편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야말로 구원을 유야무야로 환원시키고 격하시키는 자들이다.... 그리스도의 구원은 모든 형태의 비참과 모든 형태의 착취와 모든 형태의 소외에서 인간을 풀어주는 철두철미한 해방이다.”
“오늘날 남미 대륙에서 ‘가난한 자들’과 연대를 갖는 일은 개인적 모험, 때로는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는 일이다. ... 가난을 거부하고, 가난에 대항하기 위해서 스스로 가난해질 때에 비로소 교회는 ‘정신적 가난’이라는 것을 선포할 수 있다.”
“가난한 자들의 우선적 선택”(preferential option of the poor)!
하느님은 예언자나, 신자들을 선택하신 것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가난한 자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셨다. 이제 비인간을 포함한 가난한 자, 곤경에 처한 피조물의 탄식과 자유의 외침과 전체적인 해방은 역사의 방향이고 자연의 마땅한 흐름이 될 것이다.












All reactions:74You, 임덕수, 강길모 and 71 others

Comment
Share
Most relevant

임덕수
아. 훌륭하신 분이시네요. 밑줄 말씀 만으로도 감동입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Like
  • Reply
2
Philo Kalia replied
 
1 reply
49 minutes ago
우희종
특정 종교를 떠나 신앙의 본질을 꿰뚫은 말씀…!
  • Like
  • Reply
2
Philo Kalia replied
 
1 reply
49 minutes ago
김무웅
직접 이 분을 만나뵀었군요. 무려 30여년이 지난 그날의 기억을 뚜렷이 하시네요. 저도 2016년 독일 출장 때 뮌스터에 가보긴 했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Like
  • Reply
Philo Kalia replied
 
1 reply
45 minutes ago
Young Ho Chun
참으로 훌륭하신 분이고 창의적이고 경건한 신학자이십니다. 제 기억으로느 이 그의 해방신학 (그가 처음으로 표현한 언어이고 그 이듬해에 James H. Cone 이 흑인들의 신학적 표현에 적용)이 1971년도에 출간되었고 영문 번역서가 1973에 나옴. 훌륭한 서평과 중요성에 감사.
Philo Kalia replied
 
1 reply
44 minutes ago
이용성
선생님의 포스팅을 유심히보고, 다양한 시각으로 생각하며 연구하며 선교교육을 하는 모습이 좋아보입니다. 다만,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100배는 더 많아 보입니다.
주진우 유투브 방송에서 전광훈 집회 동영상을 봤습니다. 10월 3일 개천절을 아예 하나님의 날로 둔갑을 시키고,이승만을 신격화 하며,모든 민주세력을 척살하자고,일반인 노인네들이 외쳐대는데,100%기독교인입니다. 증오의 종교, 역사와 현실을 부정하는 종교, 돈의 위력을 알고 극단적 휘몰이에 권력이 있다하며,우매한 민중을 양산하는 종교가 정상일까요?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것도 참담하고,평범한 아저씨 할머니 할아버지라는 것도 소름끼치고, 이따구 발언들을 서슴없이 하는것을 보니,중국의 동북공정,일본의 역사왜곡등을 욕할 것 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들은 그냥 미친 군중들로 보입니다..
Philo Kalia replied
 
1 reply
13 minutes ago
백선기 
Follow
The Ref Oh No, referee covering his eyes sticker
이준협
학부 때 교수님 "해방신학" 수업에서 구티에레즈의 "해방신학"을 몇 번이나 정독하며 큰 도전을 받았습니다. 교수님께서 구티에레즈를 현대의 토마스 아퀴나스라고 극찬하시던 기억이 납니다.
==

Amazon.co.jp: 人は何のために「祈る」のか 生命の遺伝子はその声を聴いている (祥伝社黄金文庫) : 村上 和雄, 棚次 正和: Japanese Books

Amazon.co.jp: 人は何のために「祈る」のか 生命の遺伝子はその声を聴いている (祥伝社黄金文庫) : 村上 和雄, 棚次 正和: Japanese Books




by 무라카미 카즈오( ), 선반 다음 마사카 (저)
4.3 4.3 out of 5 stars 89 ratings

「기도」는 엄청난 힘을 담고 있다!
그것은 우리의 잠재적 가능성을 깨우는 행위이다. 「기도와 유전자」라는 장대한 테마에 세계적 과학자와 제일선의 종교학자가 도전했다! 
● ' 기도 '

이콜 종교적 행위는 아니다
. 때 ● 무언가에 강한 기대와 욕망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마음에 그 실현을 염두에 둡니다. 염려하는 것은 기도와 비슷한 점이 있기 때문에, 강한 기대는 기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중략> 「열렬한 생각은 하늘에 통한다」라고 합니다만, 생각은 날개가 아니고, 세포 속의 유전자에 직접 작용합니다. (본문에서) ● 현대인에게 결정적으로 부족한 것은 직관지 쪽입니다.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버릇을 붙인 이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믿고 싶지 않습니다. 그 결과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인간은 원래 들고 있던 예민한 오감을 둔하게 해 버렸습니다. 이것은 큰 문제입니다. (본문에서)

Publisher ‏ : ‎祥伝社 (April 22, 2008)
Publication date ‏ ‎ ‎ April 22, 2008
Language ‏ : ‎ Korean
Tankobon Hardcover ‏ : ‎ 264 pages
ISBN-10 ‏ ‎ ‎ 4396411057
ISBN-13 ‏ ‎ ‎ 978-4396411053Amazon Bestseller: #453,080 in Korean Books ( See Top 100 in Korean Books )#2,729 in Introduction to Ethics
#86,878 in Nonfiction (Japanese Books)
#130,623 in Literature & Literary Criticism (Japanese Books)Customer Reviews:
4.3 4.3 out of 5 stars 89 ratings

5.0 out of 5 stars 훌륭한 내용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3, 2017
Verified Purchase
기도의 효용을 과학적으로 실험하기 때문에 정신세계를 유전자의 작용으로 파악하고 기도의 훌륭함과 유전자에 쓰여진 인간 능력의 가능성의 훌륭함이 적혀있다. 있어 매우 재미있게 읽어 주셨습니다.
삶의 방식에도 참고가 되고, 보다 많은 사람에게 읽어 주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에이토

4.0 out of 5 stars 기도에 대해 알기 쉬웠다.Reviewed in Japan on May 22, 2019
Verified Purchase
기도하고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기도를 모르는 사람에게도 읽고 싶은 작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모모차

5.0 out of 5 stars 기도는 부작용이 없는 만능약Reviewed in Japan on July 7, 2023
Verified Purchase
무라카미 교수의 이야기와, 이 책에 나오는 사실에 끌려갔습니다.
실제로 기도를 계속해 보니, 뜻밖의 형태로 기적이 있었습니다.

썸싱 그레이트, 신, 또는 대자연을 창조한 누구?
그 존재를 가까이 느낀 순간이었습니다.
이 책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사람은 무엇을 위해 '기도'하는가?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6, 2017
Verified Purchase
멋진 책을 만날 수있었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에게는 이해할 수 없겠지요.
기도 이외에 사람은 도울 수 없다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기도는 반드시 효과가 있습니다. 나는 기적을 체험했을 뿐이 책을 읽어 모두 납득 했습니다.
멋진 선생님을 만난 것에 감사합니다.
부디 앞으로도 연구를 계속해 주십시오. 기도하고 있습니다.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마사키 카노부

3.0 out of 5 stars 본문의 상태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4, 2022
Verified Purchase
라인 마커가 있다는 것을 명기해 주었으면 한다.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나카하라 미라클

4.0 out of 5 stars 기도의 하우투 책처럼 되어 버리고Reviewed in Japan on May 21, 2022
Verified Purchase
플라시보 효과에 흥미가 있어, 「기도와 유전자」라고 하는 프레이즈에 반응해 구입.
2008년 간행의 2010년 문고화.
제5장에 “기도의 연구는 일본에서는 아직 막 시작되었고, 연구 실적이 적기 때문에 수치적인 것을 보여줄 수 없습니다.”라고 한다.
거기가 알고 싶었던 것의 하나이기도 했으므로, 조금 기대는 어긋나.

장 타이틀을 들으면… 프롤로그
기도

하면 유전자
가 온이 된다 불가결한 것인지
제4장 자신을 위해 기도할지, 타인을 위해 기도할 것인가 제5장 어떻게 하면 잘 기도할 수
있을까 에필로그 , 기도의 하우투 책과 같이 되어 버리고 있어, 그 근처도 조금 유감. 가설이라도 좋기 때문에, 유전자와 기도의 관계 상태가 좀 더 쓰여지고 있다고 좋았지만. 본서는, 무라카미씨(분자 생물학자)와 선반차씨(종교학자)의 의견 교환을 무라카미씨가 정리한 것이라고 하지만, 두 사람의 대화의 형태로 해도 좋았을까,라고 생각한다.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you11

5.0 out of 5 stars 종교와 과학이 융합하는 시대의 개막Reviewed in Japan on September 20, 2008
Verified Purchase
무라카미 선생님의 강연을 NHK 라디오에서 듣고 나서
유전자가 마음의 방식에 따라 변화한다는 가설에 관심이 있었다.
이 책은 사람이기도하는 의미와 소중함이
구체적인 사례를 섞어서 언급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향후 과학의 본연의 방식과 삶의 방식에
매우 중요한 힌트를 주는 책이다.

기도에 의해 자신의 유전자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유전자에도 변화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확실히 믿기 어려운 이야기이지만, 실제로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도 기도와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책은 기도와 유전자라는 연구 테마와 조사 결과가
받아들여지기 쉬운 기반 만들기에도 필요했다는 것이다.

나는 대학 시대에 종교와 과학이 더 접근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이 희미해져 왔을 무렵에 이 책을 손에 넣을 수 있어
매우 고맙다고 생각하고 있다.


3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책을 읽고.Reviewed in Japan on March 11, 2018
Verified Purchase
기도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고마워요.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 more reviews


by 무라카미 카즈오( 저 ), 선반 다음 마사카 (저)
4.3 4.3 out of 5 stars 89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첫 책 구입으로 10%포인트 선물
「기도」는 엄청난 힘을 담고 있다!
그것은 우리의 잠재적 가능성을 깨우는 행위이다. 「기도와 유전자」라는 장대한 테마에 세계적 과학자와 제일선의 종교학자가 도전했다! ● ' 기도 '


이콜 종교적 행위는 아니다
. 때 ● 무언가에 강한 기대와 욕망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마음에 그 실현을 염두에 둡니다. 염려하는 것은 기도와 비슷한 점이 있기 때문에, 강한 기대는 기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중략> 「열렬한 생각은 하늘에 통한다」라고 합니다만, 생각은 날개가 아니고, 세포 속의 유전자에 직접 작용합니다. (본문에서) ● 현대인에게 결정적으로 부족한 것은 직관지 쪽입니다.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버릇을 붙인 이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믿고 싶지 않습니다. 그 결과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인간은 원래 들고 있던 예민한 오감을 둔하게 해 버렸습니다. 이것은 큰 문제입니다. (본문에서)
















Read less
Report an issue with this product
Print length
264 페이지
Language
일본어
Next slide of product details
Top
About this item
Reviews
Customers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Page 1 of 12Page 1 of 12
Previous set of slides
[문고] 생명의 암호 (선마크 문고 E-37 에바 시리즈)
[문고] 생명의 암호 (선마크 문고 E-37 에바 시리즈)
무라카미 카즈오
4.4 out of 5 stars 430
Paperback Bunko
¥ 628
19pt (3%)
¥ 1,752 배송
Only 19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바보는 하나님의 희망 (산 마크 문고 무 1-7)
바보는 하나님의 희망 (산 마크 문고 무 1-7)
무라카미 카즈오
4.3 out of 5 stars 248
Paperback Bunko
¥ 660
20pt (3%)
¥ 1,760 shipping
Only 20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신 (삼싱 · 그레이트)로 보이지 않는 세계 (쇼덴샤 신서 308)
신 (삼싱 · 그레이트)로 보이지 않는 세계 (쇼덴샤 신서 308)
야작 나오키
4.2 out of 5 stars 156
Paperback Shinsho
¥ 858
26pt (3%)
¥ 1,775 배송
Only 18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생명(생명)의 암호 2 (선마크 문고 E- 49)
생명(생명)의 암호 2 (선마크 문고 E- 49)
무라카미 카즈오
4.2 out of 5 stars 90
Paperback Bunko
¥ 628
19pt (3%)
¥ 1,760 shipping
Only 8 left in stock (more on the way).
Next set of slides
Products related to this itemPage 1 of 49Page 1 of 49
Sponsored
Previous page of related Sponsored Products
해조류(람난)로 건강 수명을 연장한다! 람난황산이 바이러스 감염이나 생활습관병으로부터 혈관을 지킨다
해조류(람난)로 건강 수명을 연장한다! 람난황산이 바이러스 감염이나 생활습관병으로부터 혈관을 지킨다
스즈키 히로지
9
Tankobon Softcover
¥ 1,540
47 pt (3%)
강운의 법칙
강운의 법칙
니시다 후미로
430
Tankobon Hardcover
¥ 16,500
495 pt (3%)
Pre-order now
Life is Wellness 「건강한 삶의 방법」의 과학
Life is Wellness 「건강한 삶의 방법」의 과학
이시무라 토모미
Tankobon Softcover
¥ 1,870
19 pt (1%)
소중한 사람을 잃은 당신에게 알고 싶은 다섯 가지
소중한 사람을 잃은 당신에게 알고 싶은 다섯 가지
이데 토시로
193
Tankobon Hardcover
¥ 1,430
43 pt (3%)
케어 윤리
케어 윤리
모리무라 슈
9
Tankobon Hardcover
¥ 1,980
60 pt (3%)
Next page of related Sponsored Products
Product Details
Publisher ‏ : ‎祥伝社 (April 22, 2008)
Publication date ‏ ‎ ‎ April 22, 2008
Language ‏ : ‎ Korean
Tankobon Hardcover ‏ : ‎ 264 pages
ISBN-10 ‏ ‎ ‎ 4396411057
ISBN-13 ‏ ‎ ‎ 978-4396411053
Amazon Bestseller: #453,080 in Korean Books ( See Top 100 in Korean Books )
#2,729 in Introduction to Ethics
#86,878 in Nonfiction (Japanese Books)
#130,623 in Literature & Literary Criticism (Japanese Books)
Customer Reviews: 4.3 4.3 out of 5 stars 89 ratings
About the authors
Follow authors to get new release updates, plus improved recommendations.
Previous page
선반 다음 정화
Follow
선반 다음 정화
Discover more of the author's books, see similar authors, read book recommendations and more.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무라카미 카즈오
Follow
무라카미 카즈오
쓰쿠바 대학 명예 교수. 미국 오레곤 의과 대학, 교토 대학 농학부, 미국 밴더빌트 대학 의학부 등을 거쳐 1978년부터 쓰쿠바 대학 응용 생물화학계 교수. 동대 유전자 실험 센터장, 첨단 학제 영역 연구 센터장 등을 맡아 99년에 퇴관. 83년 고혈압의 흑막인 효소 '레닌'의 유전자 해독에 처음으로 성공,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다. 90년, 맥스 플랑크 연구상, 96년, 일본 학사원상을 수상(「BOOK 저자 소개 정보」보다:본 데이터는 「그렇다! 』가 간행된 당시에 게재되고 있던 것입니다)


See more on the author's page
다음 페이지
Products related to this itemPage 1 of 28Page 1 of 28
Sponsored
Previous page of related Sponsored Products
Just released
건강 수명을 늘리십시오! 정형 외과 의사의 몸의 통증 상담실
건강 수명을 늘리십시오! 정형 외과 의사의 몸의 통증 상담실
이지리 신이치로
Tankobon Softcover
¥ 1,980
60 pt (3%)
구도 - 일본적 생활 방식의 실천 -
구도 - 일본적 생활 방식의 실천 -
이노우에 케이야스
26
Tankobon Softcover
¥ 1,430
43 pt (3%)
알아두고 싶은 친밀한 전자파 피폭
알아두고 싶은 친밀한 전자파 피폭
오쿠보 사다리
11
Tankobon Hardcover
¥ 1,540
15 pt (1%)
"나"가 사는 의미를 알 수있는 원네스 교과서
"나"가 사는 의미를 알 수있는 원네스 교과서
叶 레이미
20
Tankobon Softcover
¥ 1,760
53 pt (3%)
해조류(람난)로 건강 수명을 연장한다! 람난황산이 바이러스 감염이나 생활습관병으로부터 혈관을 지킨다
해조류(람난)로 건강 수명을 연장한다! 람난황산이 바이러스 감염이나 생활습관병으로부터 혈관을 지킨다
스즈키 히로지
9
Tankobon Softcover
¥ 1,540
47 pt (3%)
Next page of related Sponsored Products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Very poor Neutral Great
고객 리뷰
4.3 out of 5 stars
4.3 out of 5
89 글로벌 ratings
5성급
56%
4성급
28%
3성급
11%
2 star
2%
1성급
3%
How are ratings calculated?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Sponsored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Japan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훌륭한 내용
Reviewed in Japan on December 3, 2017
Verified Purchase
기도의 효용을 과학적으로 실험하기 때문에 정신세계를 유전자의 작용으로 파악하고 기도의 훌륭함과 유전자에 쓰여진 인간 능력의 가능성의 훌륭함이 적혀있다. 있어 매우 재미있게 읽어 주셨습니다.
삶의 방식에도 참고가 되고, 보다 많은 사람에게 읽어 주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에이토
4.0 out of 5 stars 기도에 대해 알기 쉬웠다.
Reviewed in Japan on May 22, 2019
Verified Purchase
기도하고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기도를 모르는 사람에게도 읽고 싶은 작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모모차
5.0 out of 5 stars 기도는 부작용이 없는 만능약
Reviewed in Japan on July 7, 2023
Verified Purchase
무라카미 교수의 이야기와, 이 책에 나오는 사실에 끌려갔습니다.
실제로 기도를 계속해 보니, 뜻밖의 형태로 기적이 있었습니다.


썸싱 그레이트, 신, 또는 대자연을 창조한 누구?
그 존재를 가까이 느낀 순간이었습니다.
이 책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사람은 무엇을 위해 '기도'하는가?
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16, 2017
Verified Purchase
멋진 책을 만날 수있었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에게는 이해할 수 없겠지요.
기도 이외에 사람은 도울 수 없다고 실감하고 있습니다.
기도는 반드시 효과가 있습니다. 나는 기적을 체험했을 뿐이 책을 읽어 모두 납득 했습니다.
멋진 선생님을 만난 것에 감사합니다.
부디 앞으로도 연구를 계속해 주십시오. 기도하고 있습니다.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마사키 카노부
3.0 out of 5 stars 본문의 상태
Reviewed in Japan on October 24, 2022
Verified Purchase
라인 마커가 있다는 것을 명기해 주었으면 한다.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나카하라 미라클
4.0 out of 5 stars 기도의 하우투 책처럼 되어 버리고
Reviewed in Japan on May 21, 2022
Verified Purchase
플라시보 효과에 흥미가 있어, 「기도와 유전자」라고 하는 프레이즈에 반응해 구입.
2008년 간행의 2010년 문고화.
제5장에 “기도의 연구는 일본에서는 아직 막 시작되었고, 연구 실적이 적기 때문에 수치적인 것을 보여줄 수 없습니다.”라고 한다.
거기가 알고 싶었던 것의 하나이기도 했으므로, 조금 기대는 어긋나.


장 타이틀을 들으면… 프롤로그
기도

하면 유전자
가 온이 된다 불가결한 것인지
제4장 자신을 위해 기도할지, 타인을 위해 기도할 것인가 제5장 어떻게 하면 잘 기도할 수
있을까 에필로그 , 기도의 하우투 책과 같이 되어 버리고 있어, 그 근처도 조금 유감. 가설이라도 좋기 때문에, 유전자와 기도의 관계 상태가 좀 더 쓰여지고 있다고 좋았지만. 본서는, 무라카미씨(분자 생물학자)와 선반차씨(종교학자)의 의견 교환을 무라카미씨가 정리한 것이라고 하지만, 두 사람의 대화의 형태로 해도 좋았을까,라고 생각한다.










Read less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you11
5.0 out of 5 stars 종교와 과학이 융합하는 시대의 개막
Reviewed in Japan on September 20, 2008
Verified Purchase
무라카미 선생님의 강연을 NHK 라디오에서 듣고 나서
유전자가 마음의 방식에 따라 변화한다는 가설에 관심이 있었다.
이 책은 사람이기도하는 의미와 소중함이
구체적인 사례를 섞어서 언급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향후 과학의 본연의 방식과 삶의 방식에
매우 중요한 힌트를 주는 책이다.


기도에 의해 자신의 유전자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유전자에도 변화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확실히 믿기 어려운 이야기이지만, 실제로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도 기도와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책은 기도와 유전자라는 연구 테마와 조사 결과가
받아들여지기 쉬운 기반 만들기에도 필요했다는 것이다.


나는 대학 시대에 종교와 과학이 더 접근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이 희미해져 왔을 무렵에 이 책을 손에 넣을 수 있어
매우 고맙다고 생각하고 있다.
Read less
3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Amazon 고객
5.0 out of 5 stars 책을 읽고.
Reviewed in Japan on March 11, 2018
Verified Purchase
기도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고마워요.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보고서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 more reviews

棚次正和 - Wikipedia 『人は何のために「祈る」のか 生命の遺伝子はその声を聴いている』

棚次正和 - Wikipedia


棚次正和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棚次 正和(たなつぐ まさかず、1949年(昭和24年) - )は、日本の宗教学者京都府立医科大学教授

香川県生まれ。1973年京都大学文学部哲学科卒。79年同大学院文学研究科宗教学博士課程単位取得退学。1992年筑波大学哲学・思想学系助教授(宗教学・比較思想学)。95‐96年シカゴ大学神学校・高等宗教研究所シニア・フェロー。1998年「祈りの現象学」で京大博士(文学)。98年筑波大学教授。2002年京都府立医科大学教授。

著書

[編集]
  • 『宗教の哲学』創言社、1991
  • 『宗教の根源 祈りの人間論序説』世界思想社、1998
  • 『祈りの人間学 いきいきと生きる』世界思想社、2009
  • 『医療と霊性(スピリチュアリティ) スピリチュアルにヘルシー・エイジング』医学と看護社 元気と美しさをつなぐヘルシー・エイジング・シリーズ、2013
  • 『超越する実存 人間の存在構造と言語宇宙』春風社、2014
  • 『新人間論の冒険 いのち・いやし・いのり』昭和堂、2015

共編著

[編集]
====








医療と霊性(スピリチュアリティ) ─スピリチュアルにヘルシー・エイジング─ - 医学と看護社

医療と霊性(スピリチュアリティ) ─スピリチュアルにヘルシー・エイジング─ - 医学と看護社



医療と霊性(スピリチュアリティ)
─スピリチュアルにヘルシー・エイジング─


ISBN 978-4-906829-24-8

홈  >  모든 상품

의료와 영성( 스피리츄어리티 )

 
비과학적, 반과학적이고 받아들여진 영성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뒤집는 현대의료에 대한 경종!
책 정보
저자 교토 부립 의과 대학 대학원 교수 (의학생 생명 윤리학) 선반 차 정화
정가(본체 4,200엔+세)
B5판/112페이지/그림 38점
ISBN 978-4-906829-24-8
발행일 2013년 8월 31일(제1판)


이 설명서의 특징
제Ⅰ장에서는 「에이징(老化・経年)」을 포함하여 이 인생에서 불가피한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Ⅱ장에서는 “건강(건강)”에 관해 그 어원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헬스의 원래적인 관념을 밝힙니다.
제Ⅲ장, 제Ⅳ장에서는, 「스피리츄얼」에 대해서, WHO 헌장의 「건강」 정의 문제나, 스피리츄얼 페인에 대한 스피리츄얼 케어의 문제를 고찰의 단서로 하면서, 일본의 의료계에서 「스피리츄얼」인 것에 어느 이렇게 대응해야 할지, 그럴 만한 방향성을 찾습니다.

제Ⅴ장, 제_장, 제_장에서는 영적 건강에 중요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이는 “기도”를 다룹니다. 기도의 치유 효과나 기도와 기도 유사 행위와의 차이 등에 대해 설명을 더하는 것으로, 「스피리츄얼」인 것에 대한 이해를 보다 한층 깊게 하기 위한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목차
Ⅰ. 「에이징」, 그것은 불가피한 일
1. 생로병사의 한계 상황
2. 생로병사의 사고
3. 한계 상황과 사고에 대한 대응의 사회적 변화 - 종교의 맥락에서 의료의 맥락으로 -

Ⅱ. 「건강」이라는 관념, 「건강」이란 어떤 것인가
1. WHO 헌장전문의 '건강' 정의 문제에서 보이는 것
2. 다양한 의료 체계와 그 생명관
3. 「건강」이라는 관념
4. 「치유」의 사상

Ⅲ. 수작업의 영적 케어
1. 의료·간호에 요구되는 스피리츄얼 케어
2. 우리나라의 영적 케어 현황
3. 영적 창고와 영적 관리

Ⅳ. 영적 케어의 진정한 문제
1. 「스피리츄얼」의 본질을 묻는다
2. 생명·마음·몸

Ⅴ.기도의 치유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
1.기도의 치유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래리 도시의 저작보다
2. 기도의 과학적 연구에 관한 선구자 ─ 스핀드 리프트 리서치 ─
3. 벤슨의 연구가 미친 파문 - 무심한 기도는 정말 무효인가?
4. 벤슨의 연구가 괄호 안에 넣은 것, 그것은 무엇인가
5. 기도 연구에서 어떤 미래가 보일까

_. '기도'는 '이기도하고 사는' 것
1. 기도란 무엇인가
2. 평화란 무엇인가
3. 기도의 시대가 도래했다

_. 건강하고 아름답게 살기 위한 <기도 활용법>─무스비를 대신해─
1. 이른 아침 기도와 취침 전 기도
2. 순간기도, 기억하면 기도

독자 대상
전과 의사, 의학·간호 학생, 간호사·약제사·영양사 외 의료 스탭, 종교학, 철학, 사상학, 일반


====
非科学的、反科学的と受け止められている霊性への認識を根底から覆す、現代医療への警鐘!
書籍情報著者 京都府立医科大学大学院教授(医学生命倫理学) 棚次正和
定価(本体4,200円+税)
B5判/112頁/図38点
ISBN 978-4-906829-24-8
発行日 2013年8月31日(第1版)


2024/10/23

김상봉 | 철학자 - 교보문고

김상봉 | 철학자 - 교보문고


영성 없는 진보

서양철학의 수용과 탈식민철학의 가능성

재난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실천

고통에 응답하는 평화로운 화요일

비판기 이전 저작 3: 1763~1777

인문학, 정의와 윤리를 묻다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

비판기 이전 저작 2: 1755~1763

네가 나라다

만남의 철학

철학의 헌정

교사 입시를 넘다

당신들의 대통령

호모 에티쿠스: 윤리적 인간의 탄생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

Sejin 서재
====
영성 없는 진보-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생각함
김상봉 지음 / 온뜰 / 2024년 2월
===
[eBook] 다음 국가를 말하다- 공화국을 위한 열세 가지 질문
박명림.김상봉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2월
====

2024/10/22

알라딘: 갈릴래아 예수 - 가난한 사람들과 예수의 갈등 | 김근수

알라딘: 갈릴래아 예수
갈릴래아 예수 - 가난한 사람들과 예수의 갈등 | 김근수 예수전 1
김근수 (지은이)동연출판사2024-10-16






미리보기



책소개
김근수 예수전(The Biography of Jesus)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예수전은 신학에서 말하는 ‘그리스도론’과 달리 역사적 인물, 현실 사회 속에 살던 예수를 탐구하며, 그 예수가 어떤 인물인지를 규정하는 것이다. 즉, 신으로서의 교리적 예수가 아닌 역사 속에서 살았던 예수는 어떤 활동을 했고, 무엇을 고심했으며, 당대 사회 속에서 어떤 목소리를 냈는지 등에 관심을 집중한다.

‘갈릴래아’(갈릴리)라는 지역의 표상은 ‘민중’, 즉 가난한 사람들, 사회적 약자 그리고 피식민지의 정치적 억압 상황에서 피폐해진 민초의 삶을 가르킨다. 그래서 이미 ‘갈릴래아 예수’라고 할 때 예수를 단지 종교적인 인물이 아닌 정치경제학, 사회문화 속에서의 인물임을 전제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쓸 때 1974년 초판이 나온 동명의 제목 “갈릴래아 예수”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고 안병무 박사가 쓴 “갈릴래아 예수”는 ‘갈릴래아’(갈릴리)로 표상되는 ‘민중’과 예수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아픔을 이해해 주는 구원자와 이에 대한 환호에서 점차 실망해 가는 과정, 결국 십자가 처형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사실 역사적인 인물로서 예수를 다루는 책 중에서도 ‘갈릴래아 예수’로 접근한 책은 이 책 말고도 여럿 있다. 그중에서는 세계적인 역사적 예수 연구의 권위자인 게르트 타이센과 빌리발트 뵈젠도 있다. 이들도 모두 각기 상이한 관점에서 종교적, 교리적으로 덧입혀진 예수가 아닌 역사 속 예수의 실상을 찾으려 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에서 갈릴래아 민중은 처음부터 예수의 가르침에 그리 환호하지도 않았다고 말하며 오히려 그 가난한 사람들과 예수는 애초부터 갈등이 많았다고 고증한다. 바로 그 점이 이 책이 지닌 차별성이자 저자의 핵심 관점이다.


목차


책 머리에

1부╻나사렛 예수
1. 누가복음 서문(누가 1,1-4)
2. 세례자 요한 출생 예고(누가 1,5-25)
3. 예수 탄생 예고(누가 1,26-38)
4. 엘리사벳 방문하는 마리아(누가 1,39-45)
5. 마리아 노래(누가 1,46-56)
6. 세례자 요한 출생(누가 1,57-80)
7. 예수 탄생(누가 2,1-7/마태 1,18-25)
8. 아기 예수 방문하는 목자들(누가 2,8-20)
9. 아기 예수 방문하는 동방박사들(마태 2,1-12)
10. 예수 족보(누가 3,23-38/마태 1,1-17)
11. 이집트에 피난하고 귀환하는 아기 예수(마태 2,13-23)
12. 성전에서 봉헌되는 아기 예수(누가 2,21-40)
13. 어린 시절 예수(누가 2,40-52)
14. 세례자 요한의 선포(마가 1,1-8/누가 3,1-18/마태 3,1-12/요한1,19-28)
15. 세례받는 예수(마가 1,9-11/누가 3,21-22/마태 3,13-17)
16. 유혹받는 예수(마가 1,12-13/누가 4,1-13/마태 4,1-11)
17. 세례자 요한의 죽음(마가 6,14-29/누가 9,7-9/마태 14,12)

2부╻갈릴래아 예수
18. 예수 복음 선포 시작(마가 1,14-15/누가 4,14-30/마태 4,12-17; 13,53-58)
19. 제자 부르심(마가 1,16-20/누가 5,1-11/마태 4,18-22/요한 1,35-51)
20. 마귀 몰아낸 예수(마가 1,21-28/누가 4,31-37)
21. 병자 치유하는 예수(마가 1,29-34/누가 4,38-41/마태 8,14-17)
22. 전도 여행(마가 1,35-39/누가 4,42-44/마태 4,23-25)
23. 나병환자 치유하는 예수(마가 1,40-45/누가 5,12-16/마태 8,1-4)
24. 중풍환자 치유하는 예수(마가 2,1-12/누가 5,17-26/마태 9,1-8)
25. 세리 부르심(마가 2,13-17/누가 5,27-32/마태 9,9-13)
26. 단식 논쟁(마가 2,18-22/누가 5,33-39/마태 9,14-17)
27. 안식일 논쟁(마가 2,23-28/누가 6,1-5/마태 12,1-8)
28. 안식일에 치유(마가 3,1-6/누가 6,6-11/마태 12,9-14)
29. 하느님께서 택하신 종(마태 12,15-21)
30. 메시아 비밀(마가 3,7-12)
31. 열두 제자 선발(마가 3,13-19/누가 6,12-16/마태 10,1-4)
32. 마귀와 예수(마가 3,20-30/누가 11,14-23;12,10 /마태 12,22-32)
33. 누가 예수 가족인가(마가 3,31-35/누가 8,19-21/마태 12,46-50)
34. 예수에게 몰려든 사람들(누가 6,17-19/마태 4,23-25)
35. 행복 선언과 저주 선언(누가 6,20-26/마태 5,1-12)
36. 원수를 사랑하라(누가 6,27-36/마태 5,38-48)
37. 자선을 감추어라(마태 6,1-4)
38. 올바른 기도(누가 11,1-13/마태 6,5; 6,9-13; 7,7-11)
39. 남을 판단하지 말라(누가 6,37-42/마태 7,1-5)
40. 열매 보고 나무 안다(누가 6,43-45/마태 7,16-20; 12,33-37)
41. 거룩한 것을 모욕하지 말라(마태 7,6)
42. 용기 내어 기도하라(누가 11,5-13/마태 7,7-11)
43.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누가 6,31-36; 마태 5,17-20)
44. 들은 말씀을 실천하라(누가 6,46-49/마태 7,24-27)
45. 불과 소금(마가 9,49-50/누가 14,34-35/마태 5,13-16)
46. 살인하지 말라(마태 5,21-26)
47. 간음하지 말라(마태 5,27-30)
48. 맹세하지 말라(마태 5,33-37)
49. 단식하는 자세(마태 6,16-18)
50. 예수 권위(마태 7,28-29)
51. 로마 장교의 부하를 치유함(누가 7,1-10/마태 8,5-13/요한 4,43-54)
52. 과부의 아들을 되살림(누가 7,11-17)
53. 세례자 요한에 대한 예수 생각(누가 7,18-35/마태 11,2-19)
54. 예수에 대한 세례자 요한 생각(요한 1,29-34; 3,22-30)
55. 가나 혼인 잔치(요한 2,1-12)
56.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요한 4,1-42)
57. 믿지 않는 제자들(요한 6,60-65)
58. 용서받은 죄 많은 여인(누가 7,36-50)
59. 예수를 도운 여성들(누가 8,1-3)
60. 뿌려진 씨앗 비유(마가 4,1-20, 33-34/누가 8,4-15/마태 13,1-23)
61. 등불 이야기(마가 4,21-25/누가 8,16-18/마태 5,15)
62. 씨 뿌리는 사람과 자라는 씨앗 비유(마가 4,26-29)
63. 겨자씨 비유(마가 4,30-32/누가 13,18-19/마태 13,31-32)
64. 보물, 진주, 그물 비유(마태 13,44-52)
65. 비유로 가르치는 예수(마가 4,33-34/마태 13,34-35)
66. 가라지 비유(마태 13,24-30, 36-43)
67. 풍랑 가라앉힌 예수(마가 4,35-41/누가 8,22-25/마태 8,23-27)
68. 마귀와 돼지 떼(마가 5,1-20/누가 8,26-39/마태 8,28-34)
69. 하혈병 치유된 여인(마가 5,24-34/누가 8,43-48/마태 9,20-23)
70. 회당장 딸을 살린 기적 (마가 5,21-23, 35-43/누가 8,40-42, 49-56/마태 9,18, 23-26)
71. 못 듣는 사람을 고침(마가 7,31-37)
72. 말 못 하는 사람 고침(마태 9,32-34)
73. 목자 없는 양 비유(마태 9,35-38)
74. 고향에서 존중받지 못한 예수(마가 6,1-6/누가 4,22-30/마태 13,53-58)
75. 열두 제자 파견(마가 6,7-13/누가 9,1-6/마태 10,5-15)
76. 치유하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마태 12,15-21)
77. 오천 명 먹인 기적(마가 6,30-44/누가 9,10-17/마태 14,13-21/요한 6,1-14)
78. 물 위를 걸은 예수(마가 6,45-52/마태 14,22-33/요한 6,15-21)
79. 겐네사렛에서 병자 고침(마가 6,53-56/마태 14,34-36)
80. 전통 논쟁(마가 7,1-23/마태 15,1-20)
81. 이방인 여인의 믿음(마가 7,24-30/마태 15,21-28)
82. 사천 명을 먹임(마가 8,1-10/마태 15,32-39)
83. 기적을 요구하는 유다인(마가 8,10-21/마태 16,1-12)

맺음말
인용 문헌
접기


책속에서


누가 1,32c-33이 말한 예수의 세 가지 역할은 왕관θρόνος(누가 1,32c), 다스리다βασιλεύειν(누가 1,33), 나라βασιλεία(누가 1,33) 단어로 표현되었다. 세 단어는 시간적으로 서로 연결되었다. 다윗 왕권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왕권(열왕기상 2,33; 이사야 6,9; 예레미야 13,13)을 가리키는 단어로 자리 잡았다. 누가복음 저자는 이스라엘을 다스리는 예수 왕권을 부활과 하늘로 드높임(승천)에서 찾았다(누가 23,42; 24,26; 사도행전 13,33). 그는 예수 왕권을 정당화하기 위해 예수가 다윗 가문 출신(누가 18,38; 사도행전 2,30; 13,23)이라고 강조한다. 야곱의 후손οἶκος Ἰακὼβ(누가 1,33)은 이스라엘(탈출기 19,3; 이사야 48,1)과 동의어로 쓰였다.
<3. 예수 탄생 예고(누가 1,26-38)> 중에서 접기
누가복음 저자는 마가복음과 예수 어록 두 자료를 보면서 악마의 유혹 이야기를 썼다. 이집트에서 탈출하여 광야를 헤매던 이스라엘 백성이 모조리 유혹에 넘어가 버린 쓰라린 역사를 누가복음 저자는 기억하였다. 구약성서 그리스어 번역본에서 인용된 어휘(누가 4,4, 8, 12)를 보면, 악마의 유혹 이야기(누가 4,1-13)는 처음부터 그리스어로 설명되고 기록된 듯하다. 예수가 세례받고, 성령이 예수에게 내려오고,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로 선포된 사건은 서로 연결되어 작성되었다.
하느님께 선택된 유다인은 하느님께 시험받는다는 생각이 있었다. 가끔 악마나 반대자에게 유혹받기도 한다(열왕기상 10,1-3; 요한 6,6). 그런 이야기에 유다인 아닌 사람은 등장하지 않았고, 유혹받는 사람의 죄는 언급되지 않았다. 하느님이 가끔 시험받기도 하시고(누가 4,12; 8,13; 11,4c), 인간이 자신을 스스로 시험하기도 한다(고린토후서 13,5).
<16. 유혹받는 예수(마가 1,12-13/누가 4,1-13/마태 4,1-11)> 중에서 접기
누가복음 저자는 마가복음 저자와 마태복음 저자보다는 좀 더 군중과 열두 제자를 구분하였다. 선택하다ἐκλέγομαι(누가 6,13c) 단어는 예수(누가 9,35), 열두 제자(사도행전 1,2; 15,7), 다른 사도(사도행전 1,24; 6,5; 15, 22)에도 쓰였다. 사도들이 어떻게 뽑혔냐는 주제보다 그들이 예수 곁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누가복음 저자에게 더 중요했다. 예수가 장엄하게 열두 제자를 뽑아 사도라는 호칭을 공식적으로 선사했다고 누가 6,13이 말하는 것은 아니다. 열두 제자는 군중보다 앞에 있지도 않고, 위에 있지도 않다. 지도자 없는 공동체는 없지만, 지도자 단어는 역할을 가리키지 존엄을 가리키지 않고, 봉사를 뜻하지 권력을 뜻하지 않는다.
<31. 열두 제자 선발(마가 3,13-19/누가 6,12-16/마태 10,1-4)> 중에서 접기
“여러분은 남에게서 바라는 대로 남에게 해주시오”(마태 7,12a) 이 황금률이 유다교에서 일찍부터 퍼진 것은 아니었다. 최초의 황금률 언급은 그리스 영향을 받은 토비트서나 예수 당대의 유다인 철학자 필론의 저작에서 보인다. 예수운동 외부의 문헌에서 황금률은 주로 부정적 문장 형식으로 있다. 이웃 사랑 계명인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아껴라”(레위 19,18)와 황금률의 결합은 유다교의 작품이다. 한쪽 발로 서 있는 동안 토라 전체를 요약하라는 어느 유다인 아닌 사람의 요구에, 예수 당대에 유명한 유다교 랍비 힐렐은 황금률을 말했다고 전해진다.
<43.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누가 6,31-36; 마태 5,17-20)> 중에서 접기
바리사이파 사람과 죄지은 여인(누가 7,36-50) 이야기는 예수가 세리들과 죄인들의 친구임(누가 7,34b)을 보여준다. 죄와 거리가 먼 바리사이의 집에 죄인으로 소문난 여자가 들어왔다는 사실(누가 7,37)이 충격이다. 먹보요 술꾼(누가 7,34b) 예수를 바리사이가 자기 집에 식사 초대한 사실도 충격이다. 바리사이가 예수를 왜 자기 집으로 식사 초대했는지 설명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본문에서 중요하지 않다. 죄인으로 소문난 여자는 성 노동자 여성으로 여겨졌다. 그녀가 성 노동자 여성인지 아닌지 여부는 본문에서 중요하지 않다.
여인은 자발적으로 오직 예수를 위해 행동했다. 초대받지 않은 손님인 그녀는 초대받은 손님인 예수와 함께 식사하진 않았다. 그녀는 향기 나는 기름μύρον(누가 7,37)이 담긴 병을 들고 식사 자리에 누운 예수의 발치에 앉는다. 전형적인 여종의 자세다. 예수 발치에 선 여인이 울며, 예수 발을 자기 머리카락으로 닦고, 발에 입 맞추며, 향유를 발라 드린 네 가지 동작을(누가 7,38) 예수는 여인의 위대한 사랑이라(누가 7,47b) 해석했다. 발에 입 맞추며, 향유를 발라 드린 여인이 사회 통념을 깨트리는 도발적인 행동을 한 것은 아니다.
<58. 용서받은 죄 많은 여인(누가 7,36-50) > 중에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근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전북 전주에서 10킬로 떨어진 산동네 천주교 교우촌 출신이다. 전주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광주가톨릭대학교를 2년 다닌 후 독일 마인츠대학교 가톨릭신학과에서 신약성서를 전공했다. 가난한 사람들과 억압받는 사람들의 대변자 오스카 로메로(Oscar Romero) 대주교가 살았던 중남미 엘살바도르 중앙아메리카대학교에서 해방신학의 대가 혼 소브리노(Jon Sobrino) 신부에게 가르침을 받은 아시아인 최초의 제자가 되었다. 2002년에 제주도로 이주하여 영어를 가
르치는 강사로 일해 왔다. 예수 등장부터 요한복음까지 1세기 예수 운동 역사와 신학을 집중 공부하고 있다. 2014년 8월 방한했던 프란치스코 교황을 알현하고, 저서 『교황과 나』(2014)를 헌정하고, 스페인어로 대화를 나누었다. 유튜브 〈양희삼TV 찍먹신약, 김근수 . 해방신약〉에서 신약성서를 강의한다. 〈시민언론 민들레〉 창간위원이자 칼럼니스트이다.
저서로 마가복음 해설서 『슬픈 예수』(2013), 마태복음 해설서 『행동하는 예수』(2014), 누가복음 해설서 『가난한 예수』(2017), 요한복음 해설서 『평화의 예수』(2018), 『예수평전』(2021), 『여성의 아들 예수』(2021), 『로마서 주석』(2022), 『바울 전기』(2022), 『예수운동 ― 역사와 신학』(2024)이 있고, 공저로 『교황과 98시간』(2014), 『지금, 한국의 종교』(2016), 『쇼! 개불릭』(2016)이 있다. 번역서로는 『희망의 예언자 오스카 로메로』(2015), 소브리노의 대표작 『해방자 예수』(2015)가 있다. 접기

최근작 : <갈릴래아 예수>,<예수운동>,<바울 전기> … 총 22종 (모두보기)
김근수(지은이)의 말
예수를 잘 이해하려면, 사람, 사건, 말씀 순서로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예수 주위에 어떤 사람들이 있었는가, 예수와 그 사람들 사이에 어떤 사건들이 있었는가, 예수와 사람들은 사건들에서 어떤 행동과 말씀을 주고받았는가, 예수 활동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갈릴래아 예수 활동의 전반부에 예수의 행동과 말씀이 사람들에게 주로 소개되었다면, 후반부에는 예수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주로 소개되었다.
예수 주위에 크게 세 부류의 사람들이 있었다. 가난한 사람들, 제자들, 반대자들이다. 예수는 세 그룹 모두에게 꾸준히 다가섰지만, 예수에 대한 세 그룹의 반응은 다양하게 드러났다. <갈릴래아 예수>는 예수의 활동과 말씀에 대한 세 그룹의 반응을 주목한다. 마가복음, 누가복음, 마태복음과 요한복음은 <갈릴래아 예수>를 각각 어떻게 평가하는가. 네 복음서의 공통점과 차이를 동시에 주목한다.책 머리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예수 당대 갈릴래아 민중들은 왜 예수를 배척했는가?

이 책은 김근수 예수전(The Biography of Jesus)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다. 예수전은 신학에서 말하는 ‘그리스도론’과 달리 역사적 인물, 현실 사회 속에 살던 예수를 탐구하며, 그 예수가 어떤 인물인지를 규정하는 것이다. 즉, 신으로서의 교리적 예수가 아닌 역사 속에서 살았던 예수는 어떤 활동을 했고, 무엇을 고심했으며, 당대 사회 속에서 어떤 목소리를 냈는지 등에 관심을 집중한다.
‘갈릴래아’(갈릴리)라는 지역의 표상은 ‘민중’, 즉 가난한 사람들, 사회적 약자 그리고 피식민지의 정치적 억압 상황에서 피폐해진 민초의 삶을 가르킨다. 그래서 이미 ‘갈릴래아 예수’라고 할 때 예수를 단지 종교적인 인물이 아닌 정치경제학, 사회문화 속에서의 인물임을 전제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쓸 때 1974년 초판이 나온 동명의 제목 “갈릴래아 예수”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고 안병무 박사가 쓴 “갈릴래아 예수”는 ‘갈릴래아’(갈릴리)로 표상되는 ‘민중’과 예수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아픔을 이해해 주는 구원자와 이에 대한 환호에서 점차 실망해 가는 과정, 결국 십자가 처형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사실 역사적인 인물로서 예수를 다루는 책 중에서도 ‘갈릴래아 예수’로 접근한 책은 이 책 말고도 여럿 있다. 그중에서는 세계적인 역사적 예수 연구의 권위자인 게르트 타이센과 빌리발트 뵈젠도 있다. 이들도 모두 각기 상이한 관점에서 종교적, 교리적으로 덧입혀진 예수가 아닌 역사 속 예수의 실상을 찾으려 했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에서 갈릴래아 민중은 처음부터 예수의 가르침에 그리 환호하지도 않았다고 말하며 오히려 그 가난한 사람들과 예수는 애초부터 갈등이 많았다고 고증한다. 바로 그 점이 이 책이 지닌 차별성이자 저자의 핵심 관점이다.

2024/10/20

496 Magill Road, Magill, SA 5072 - Buddha House



496 Magill Road, Magill, SA

5072 - realestate.com.au


496 Magill Road
Magill, SA 5072
====

IB Introduction to Buddhism Nov 2024
Book Now
Book Now

IB Introduction to Buddhism Nov 2024



Commencing with a brief history of the Buddha’s life, the course will cover the 4 Noble Truths, Impermanence, how to free yourself from the delusions that cause suffering, Karma, Rebirth, Refuge, Bodhicitta, Daily Practice, Purification and more...

Sessions will be held at Buddha House over four weeks.

Facilitated by senior student Denny Moffat.

Facility fee: $80 non-member, $60 member/concession
Sat 10:00am-12:00pm 2 Nov - 23 Nov

Location

Buddha House
496 Magill Road, Magill SA 5072

"여성의 자국어 기록문학 '한글 제문'...제사 남성 통념 깨" < 오케이뉴스

"여성의 자국어 기록문학 '한글 제문'...제사 남성 통념 깨" < 사람들 < 기사본문 - 오케이뉴스

"여성의 자국어 기록문학 '한글 제문'...제사 남성 통념 깨"
기자명 전정희 문화전문 기자
입력 2024.10.19
===

ㆍ신간 '이승과 저승을 소통하는 한글 제문' 저자 이복규
ㆍ18~20세기 작성된 한글 제문 발굴해 40여 편으로 정리
ㆍ여성이 장례 참여해 '한글 제문' 낭독…자국어의 힘 '눈물바다'

‘아 애통하며 애통합니다. 
우리 어머니는 순후하신 덕행과 자상하신 성품을 지니셨지요…
운명은 어이 그리도 기구하셨으며…사람이라면 누군들 한이 없겠습니까만…
골수에 맺힐 원한, 잊지 못할 그일. 
임자년에 우리 아버지가 바람에 날리는 낙엽처럼, 어느 날 표연히 떠나 버렸지요. 
그 후로 소식이 뚝 끊어졌으니 살았는지 돌아가셨는지 그 누가 안단 말입니까. …
덧없는 여자의 일생을 독수공방하며…이래 저래 병이 되어 골수에 깊이 들었던가요. …
갑술 년 시월에 천만 뜻 밖에도 어머니 상을 당했습니다. 
꿈인가요 생시인가요. 천지가 무너지고 해와 달이 빛을 잃었습니다.’

어머니를 잃은 딸의 피토하는 제문이다. 부친이 바람처럼(?) 떠나버리고 독수공방하며 남편을 기다리며 딸 아들 장하게 키운 친정 어머니가 돌아가셨던 것이다. 딸은 친정에 돌아와 이같은 ‘한글 제문’으로 영전에 낭독했다.

위 내용은 최근 출간된 ‘이승과 저승을 소통하는 한글제문’(책봄 펴냄)에 수록된 40여 편 중 하나이다. 이복규 교수(서경대 명예)가 그의 제자 정재윤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와 편저했다. 
가부장적 조선 사회에서 여성이 제사에 참여하고, 제문을 읽었다는 것 자체가 놀랍다.

이승과 저승을 소통하는 한글 제문'의 편저자 이복규 교수(서경대 명예)가 18~20세기 작성된 한글 제문 40여 편을 모아 분석했다. '한글 제문'을 통해 여성이 장례 및 제례 참여가 활발했음을 알리고 있다. 사진=전정희 기자

----
편저자 이복규 교수를 지난 10일 경기도 화성의 한 갤러리에서 만났다. 이 교수는 “전북 순창에 ‘설공찬전’과 관련한 공무원 대상 콘텐츠 강의에 다녀오는 길”이라고 했다. ‘설공찬전’은 순창을 배경으로 한 조선 초기 고전 소설이다.

이 교수가 1997년 ‘묵재일기’ 속에서 ‘설공찬전’ 한글 번역본을 발견함으로서 구전을 사실로 입증했다. ‘설공찬전’ 한문 원본이 불교의 윤회화복설을 담고 있었다. 중종이 백성을 혹세무민한다하여 왕명으로 소각을 명령, 전해지지 않았던 것이다.

시집 간 딸이 아버지 기일에 적어 낭독한 한글 제문(1897년 12월 16일).

 '하나같이 기르실 때 매 한 대 안때리며 꾸중 한 번 안하셨어요'라는 문장도 있다. 8남매를 키운 친정 아버지이다.



- ‘설공찬전’ 발굴이 국문학계 및 한국학에 대단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번 편저도 우리 역사의 고정 관념을 뒤집은 저작물입니다. 그간 제문은 한자가 전부인 걸로 알고 있었습니다. 보통 ‘유세차’로 시작되는….

“제문은 고인의 영전에서 낭독된 추도문입니다. 말씀처럼 한문 제문만 있었지요. 그런데 한글 창제 후 18~19세기 한글 제문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한글 제문이 널리 퍼진 것은 1900년대예요. 가깝게는 1970년대까지 집에서 장례를 치르면서 어찌 보면 보편화했다 할 정도였지요. 장례식장이 우리 사회에 자리 잡으면서 사라졌다고 보면 됩니다.”



- 40여 편 가운데 여성이 제례에 참여해 한글 제문을 읽는 것이 놀랍습니다.

“발견된 한글 제문을 분석해 보면 여성이 남성과 거의 같은 비중이에요. 여성의 한글 제문은 주로 경북 안동·예천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이른바 ‘영남 내방가사’ 지역이라 유교적 교양과 가풍을 자랑하는 집안이 많았고 그 지역에선 양반집 여성만이 아니라 양민 여성도 한글 제문으로 참여하는 문화가 형성된 거죠.”



- 남녀 차별이 심했던 전통 사회에서 이 정도의 여성 참여는 기존 통념을 깨는 현상 같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같은 시기(18~20세기)에 여성이 남성과 대등하게 고인을 추도하는 자국어 기록문학을 창작해 낭독한 현상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세계 각국의 지역 문학 전공자들한테 두루 탐문해 봤어요. 한데 아직 어디서도 이와 같은 사례가 없습니다. 안동·예천의 경우 소상과 대상 때 여성 모두가 한글 제문을 낭독할 수 있었어요.”



- 한문 제문과 달리 한글 제문이 갖는 특징이 있을까요.

“우리말로 적은 겁니다. 그러니 모두가 듣고 반응할 수가 있어요. 한문 제문은 어순이 다른 외국어예요. 문어죠. 우리가 살아오면서 제사 때 겪으며 살았잖아요. 한문 제문을 낭송하면 이해를 못했었잖아요. 그런데 한글 제문을 읽으면 빈소에 있던 사람 모두 눈물바다가 됩니다. 생활 정감이라고 해야 하나요.”


- 예를 들자면요.

“한 한글 제문에 작성자가 평소 고인을 제대로 모시지 못한걸 자책하면서 ‘우풍우풍 마귀년’ ‘야속하다 하나님, 아 무심하다 저 귀신아’ ‘완나완나(왔구나 왔구나)하시며 반기시고…겨우 하룻밤 자고(가려고) 갈나 하이(하니)…’ 등 생활 감정이 여과 없이 나오지요.”



- 한글 제문 대상은 꼭 부모이며 제문 작성자는 모두 여성입니까.

“아뇨. 언니, 올케, 고모 등 아주 다양합니다. 또 남성도 아내, 형수, 며느리, 자형 등이 나타나고 있어요. 신기한 건 장모에 대한 제문은 있으나 시어머니에 대한 제문은 찾아보기 어려워요. 시집살이 용어가 존재하는 한국 상황의 반영 아닌가 싶습니다.



- 그간 한글 제문이 공개되거나 연구되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이번 책이 600쪽의 두터운 분량인데….

“개인 소장의 경우가 많았어요. 그걸 취합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기까진 힘이 못 미쳤던 같습니다. 40여 편도 소장자들이 제공해 주셔서 한데 모을 수 있었습니다.”

====

2024/10/19

『도덕경』, 우리가 살길(道), 우리가 살 힘(德) - 대학지성 In&Out

『도덕경』, 우리가 살길(道), 우리가 살 힘(德) - 대학지성 In&Out

『도덕경』, 우리가 살길(道), 우리가 살 힘(德)
이명아 기자
승인 2023.03.26 

노자 도덕경과 동아시아 인문학: 자연은 소유하지 않는다 | 
조성환·김현주·한승훈·박일준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88쪽



동아시아 삼국은 물론 동서양을 넘나들며, 고금을 통틀어 많은 영감을 제공한 『도덕경』을 읽으며, 동아시아의 공생을 모색하는 지혜를 찾아내고,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지구적 위기에 대한 통찰을 발견하고자 재해석과 확장을 시도한 책이다. 노자(老子)와 그의 『도덕경(道德經)』이 전후 2천여 년, 동아시아라는 시공간 속에서 철학, 종교, 신학 등의 제 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해석되고 영향력을 발휘한 이력에서부터, 그 미래적, 지구학적인 의미와 오늘 우리 삶에 시사하는 바를 담아냈다.

세계 여타의 권역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의 주요 국가(한/중/일)는 건국 이래 현재까지 문화의 전달과 교류를 하는 한편으로 끊임없이 갈등하며 때로는 전쟁으로 서로에게 파괴적 결과를 낳으며 정립(鼎立)하고 있다. 근대 이후에 동아시아의 갈등은 세계적 지평의 갈등과 분쟁의 축소판이거나 혹은 그 분쟁선(紛爭線)으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세계가 G2 체제로 굳어져 가면서 미중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확고한 반중친미의 노선에 선 일본과 달리 미국에 기울어진 운동장 위에서 중국과 이어진 끈 또한 놓칠 수 없는 한국은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거듭하는 어릿광대와 같은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사적인 지평의 대립 에너지가 아니더라도 동아시아 삼국은 ‘동아시아 문화’를 공유하면서도 그 내적으로는 문화적 이질성이 더욱 큰 바가 있어 서로에 대한 오해와 곡해 사이에서 갈등의 골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다른 한편 오늘날 우리 인류의 삶은 ‘지구적인 차원’에서 진행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질이다. 이것은 ‘거대한 세계, 광범위한 차원’의 문제여서 한 개인에게는 무의미한 언술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는 일상 생활용품의 가격이나 품질, 그리고 그 정의로운 소비 문제에서부터 코로나19가 지나가더라도,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를 벗지 못한 채 ‘호모 마스쿠스’(마스크-인간)로 살아가야 하는 문제가 모두 ‘전 지구적’ 생산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다. 또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가중되는 불안과 공포, 그리고 환경적 재난과 식량위기 등의 실질적인 위협에 이르기까지 ‘지구적인 차원’은 우리 삶에 밀접히 연관을 맺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우리는 비로소 ‘지구인’으로 등극하였다. 이는 하나의 ‘현상’일 뿐만 아니라 현대인―이른바 문명사회인, 도시인이든 아니면 아마존의 원주민이든―이 직면한 생생한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동아시아는 공통의 과제에 직면하여 이에 대하여 공동 대응해 나가야 하는 공생체(共生體) 관계이기도 하다

.

이러한 동아시아의 지역적,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유래한 위기와, 생명과 생존과 생활의 위협 및 전 지구적인 재난의 일상화 시대에 즈음한 위기의 이중고에 직면하여 동아시아의 전통으로부터 치유와 대안 모색을 위한 지혜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크게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런 가운데 2000여 년의 장구한 역사 속에서 동아시아 전역에 깊은 지혜를 제공해 온 『도덕경』이 위기의 탈출구를 제시하는 지혜의 보고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다음 같은 구절이다; “하늘과 땅이 오래가고 유구할 수 있는 것은 자기만 살지 않기 때문이다. 성인은 자기 몸을 뒤로 하는데 몸이 앞서고 자기 몸을 던지는데 몸이 보존된다. 이는 거기에 사(私)가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도덕경』 제7장) 전자가 ‘공생’의 도로써 완생과 상생을 구현한 것이라면 후자는 사(私)를 버림으로써 공(公)을 이루고 결과적으로 오히려 전체로서의 사(私)를 이루는 데로 나아가는 역설을 보여준다.

오늘 전 지구적 위기에 직면하여 인류가 『도덕경』으로부터 새삼스럽게 배우는 것은 사람은 혼자서만 살 수는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일 뿐 아니라, 자연과도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깨닫고 있다.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보면 한-중-일 삼국의 관계도 일방이 타방을 전유(專有)하거나 점유(占有)하려 할 때는 파멸과 파탄으로 귀결될 뿐이며 상호 교류와 문화의 수수(授受)가 활발하여 공생(共生)과 상생(相生)을 추구할 때 문화적 번성(繁盛)을 이루었던 역사적 사례가 한두 차례가 아닌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이 책은 『도덕경』이 일찍이 고대의 전통적인 질서가 흔들리고 최악의 사회적 혼란이 거듭되던 시기에 이를 극복하는 방법-길로서 더불어 살아야 길이, 널리 살 수 있다는 지혜를 발견한다. 또 인위(人爲)와 허위(虛僞)로 구축한 문명이 결국은 스스로를 죽이는 독약임을 체득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순수 지향적인 무위(無爲)와 무사(無私)의 새로운 질서를 제시했던 『도덕경』 탄생의 원천을 재조명한다. 나아가 갈등과 대립과 투쟁 그리고 자연, 자원, 자생의 힘을 남용함으로써 절멸과 파멸의 위기를 자초한 구세계를 닫고 사람과 만물이 서로 위하고 살리는 새 세계를 여는 동아시아 공동, 나아가 인류 공통의 지혜의 경전으로 『도덕경』을 조명한다.

그리고 『도덕경』이 도(導)로서의 도(道)로서 우리를 동아시아 평화, 상생과 공생과 완생의 지구 시대로 나아가는 방법이자, 그 길을 살아갈 갈 생명 에너지(德)를 제공하는 원천이라는 점을 다양한 관점으로 제시한다.

민속원 - 샤머니즘사상연구회 학술총서 2 『샤머니즘의 윤리사상과 상징』 샤머니즘사상연구회 엮음, 신국판, 양장,... | Facebook

(1) 민속원 - 샤머니즘사상연구회 학술총서 2 『샤머니즘의 윤리사상과 상징』 샤머니즘사상연구회 엮음, 신국판, 양장,... | Facebook




민속원

stnrdpoSeogthci62f1h339f7tm1h28605f6950cmlu24900cm2ac8a0mahi ·
샤머니즘사상연구회 학술총서 2
『샤머니즘의 윤리사상과 상징』
샤머니즘사상연구회 엮음, 신국판, 양장, 372쪽, 2014년 6월 30일 발행.

샤머니즘은 민중들의 폭넓은 믿음과 종교행위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것의 윤리적 성격은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불교학이 불교의례, 불교민속, 불교사상 등 다방면으로 연구되듯이 샤머니즘도 이제 사상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그동안 샤머니즘 연구는 의례 위주로 연구되었으며 구비문학적, 민속학적, 문화예술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다. 
샤머니즘의 윤리사상에 대한 연구는 윤리학, 철학 등 인접학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윤리학이나 철학에서 한국의 종교윤리사상을 논할 때 불교와 유교 중심으로 논의를 한다. 
샤머니즘은 고유문화(종교)의 범주에 속하지만 연구된 자료가 미흡하여 이들 학문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만약 현장관찰과 질적연구를 통해 샤머니즘의 사상에 대한 자료를 활발하게 축적한다면 윤리학, 철학과 같은 분야에서 샤머니즘사상을 다루기가 한결 수월해 질 것이다.

※ 자세한 내용은 이 책과 민속원 홈페이지 (http://www.minsokwon.com/) 참조.



2024/10/17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 김용옥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다
혁신교육감 시대를 위한 도올의 교육입국론 l ② 공부론

수정 2014-06-17 



우리말에 “공부”라는 말이 있다. 이 “공부”라는 말은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교육을 생각할 때, 그 함의의 99%를 차지한다. 나의 자녀를 “교육시킨다”는 말은 “공부시킨다”는 말과 거의 같다. 나의 자녀에 대한 자랑도 “우리 아이는 공부를 잘해요”라는 명제로 표현된다. “공부를 잘한다”는 뜻은 과연 무엇일까?

“공부를 잘한다”는 의미를 복잡하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 우리 일상언어의 가장 평범한 의미체계를 정직하게 밝히는 것이 상책일 것이다. 그것은 “학교 시험 점수가 높다”는 뜻이다. 우리 아이 공부 잘한다는 의미에 실제로 딴 뜻이 없다. “학교 시험 점수가 높다”는 것은 대학입시에 유리하다는 뜻이고, 대학입시에 유리하다는 것은 서울의 몇몇 일류대학에 입학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우리의 파란만장한 인생역정을 생각하고 저 현묘한 허공에 무한히 펼쳐진 갤럭시를 생각할 때, “공부”가 겨우 요따위 밴댕이 콧구멍만한 서울의 시공에 집약된다는 것은 감내하기 어려운 위선이요 치졸함이건만, 우리 5천만 동포의 현실적 가치관은 공부의 다른 의미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공부의 본래적 의미를! 공부를 한자로 쓰면 “工夫”가 된다. 이것은 아무리 뜯어보아도 그 자형에서 “공장 인부” 정도 이상의 의미를 발견할 수 없다. 참으로 이상하다! 그런데 이 “工夫”는 우리 현대어에서 실제로 영어의 “to study”라는 말과 상응한다. 그 라틴어 어원인 “studēre”도 “학문을 한다”는 뜻으로, 무엇인가를 열심히 노력해서 습득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그것은 실제로 개념적 지식의 한계를 넓힌다는 뜻으로 인간 이성의 확충이라는 의미와 관련되어 있다. 엘리트주의적 함의를 갖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동양 삼국의 서양언어 번역이 일치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 “스터디”의 번역어는 일본에서는 “벤쿄오스루”(勉強する)


로 되어 있고, 중국어에서는 “니엔수”(念書)로 되어 있다. 일본말의 “벤쿄오스루”는 “억지로 힘쓴다”는 뜻이니, 사실 공부라는 것이 억지로 해야만 하는 괴로운 것이라는 매우 정직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니엔수”는 “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실제로 “스터디”의 실제 행위 내용을 정확히 표현한 말이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선비를 “뚜수르언”(讀書人)이라고 불러왔던 것이다. “스터디”의 번역어로서는 일본어나 중국어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왜 한국만이 유독 “공부”(工夫)라는 요상한 자형을 선택했을까? 일본어나 중국어에는 “공부”라는 말이 없을까? 물론 있다! 그러나 그 의미는 “스터디”와는 거리가 먼 다른 함의를 지니고 있다. 일본어의 “쿠후우스루”(工夫する)는 “요리조리 궁리하고 머리를 짜낸다”는 뜻이다. 그리고 중국어의 “工夫”는 그것을 과거의 웨이드자일시스템으로 표기하면 “kung-fu”가 되는데, 그것을 그냥 표기된 영어로 발음하면 “쿵후”가 된다. 다시 말해서 중국말의 공부는 이소룡이나 견자단이 펼치는 “쿵후,” 즉 무술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말의 “공부”의 원의는 사실 중국어의 “쿵후”가 보존하고 있는 의미를 계승한 것이다.

“工夫”라는 글자는 선진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당나라 때 고승들의 어록에 처음 등장하는데, 당대에 이미 구어로서 정착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工”은 “功”의 약자이고, “夫”는 “扶”의 약자이다. “工夫”는 “功扶”를 의미한다. 무엇인가를 열심히 도와서(扶) 공(功)을 성취한다는 뜻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성공한다”는 말도 단순히 “출세한다”는 뜻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공을 성취한다”는 뜻이다. “공을 이룬다”(成功)는 말을 신체의 단련을 통하여 어떤 경지를 성취한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한국인의 다양한 무술적 성취야말로 공부의 한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공부”라는 개념을 가장 많이 활용한 사상가가 바로 신유학의 에포크를 마련한 주희(朱熹, 1130~1200)라는 인물이다.

주희는 그가 편찬한 신유학의 앤톨로지인 <근사록>(近思錄) 속에서 송학(宋學)의 선구자 정명도·정이천 두 형제의 사상을 표현하면서 “공부”라는 말을 자주 썼다. 그리고 그의 <어류>(語類)에서 그 자신의 독특한 수양론을 펼치면서 “공부”라는 말을 무수히 활용하고 있다. 우리가 서양 언어인 “스터디”를 번역하는데 “공부”를 고집한 것도, 바로 우리나라가 정통 주자학의 완강한 전통을 연속적으로 담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인이 사용하고 있는 백화적 표현에서 “꽁후우”(나의 씨케이시스템으로 표기한 “쿵후”)는 쿵후라는 좁은 무술의 개념으로만 쓰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신체적 혹은 정신적 단련을 통하여 달성하는 모든 신묘한 경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선반공이 쇠를 정교하게 깎는다든가, 용접공이 철판 용접을 감쪽같이 해낸다든가, 서예인이 능란하게 붓을 휘두른다든가, 어느 학동이 암산을 귀신같이 한다든가, 도축업자나 요리사가 식칼을 자유자재로 놀린다든가 하는 것을 중국인들은 “他的工夫不錯”(그 사람, 공부가 대단하다)라고 표현한다. 희랍철학에서 덕(德)이라는 것을 “아레떼”(aretē)라고 표현하는데, 아레떼는 바로 칠예(七藝)의 모든 방면에서 한 인간이 신체적·정신적 단련을 통하여 달성하는 탁월함(excellence)을 의미한다. 공부와 아레떼는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듣는 옛 한석봉의 고사에서 한석봉이 학업을 중단하고 집에 돌아왔을 때 그의 모친이 어두운 밤중에 떡을 써는 장면이 있다. 다시 말해서 모친이 도마 위에서 떡을 써는 것과 아들이 종이 위에 글씨를 쓰는 것은 동일한 “공부”의 경지로서 비교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판소리 소리꾼들이 득음을 하는 수련을 “소리공부”라고 하는데, “갸는 공부가 되얏서”라고 내뱉는 소리꾼의 명제는 바로 “공부”라는 말의 원의를 충실하게 표현하고 있다 할 것이다.

왜 한국만이 유독 ‘공부’(工夫)라는
요상한 자형을 선택했을까?
중국어 ‘工夫’를 영어로 발음하면
‘쿵후’가 된다.
중국말의 공부는
이소룡이 펼치는 ‘쿵후’
즉 무술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말의 ‘공부’의 원의는
중국어 ‘쿵후’의 의미를
계승한 것이다.

우리가 지금 “도덕”(道德)이라는 말을 서양말의 모랄리티(morality)에 해당되는 말로서 의식 없이 쓰고 있는데, “도덕”이라는 말은 본시 노자(老子)의 사상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것은 도(道)와 덕(德)의 합성어이다. <도덕경> 51장에 보면, “도는 생(生)하는 것이고 덕은 축(畜)하는 것이다”(道生之, 德畜之)라는 함축된 명제가 있다. 도는 생생(生生)하는 천지 그 자체를 일컫는 것이라면 덕이란 그 천지의 생생지덕을 몸에 축적해나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도는 스스로 그러한 것(自然)이다. 그것은 교육의 대상이 아니다. 교육이란 축적해 나가는 과정, 즉 덕(德)의 측면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가 자인(Sein)이라면 덕은 졸렌(Sollen)이다. 축적이란 시간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교육이란 시간의 예술이다. 이것은 교육의 모든 주체가 철저히 시간성에 복속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교육에는 “선험적 자아”는 부재한 것이다.

“공부”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음미해보자! 어느 남학생이 여학생에게 데이트를 신청하기 위하여 “시간(짬) 있니?”라고 말하는 것을 현대 중국어로 표현하면, “你有沒有工夫?”가 된다. 다시 말해서 “공부”는 디시플린(=아레떼)을 의미하는 동시에 시간(時間)·틈(暇)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공부”가 반드시 시간을 요한다는 철칙을 말하는 것이다. 그것은 이성의 선험적 구성이나 비시간적 깨달음이 아니다. 그것은 축(畜)되어야만 하는 덕(德)이다. 그 덕이 바로 교육이요, 우리가 말하는 도덕(morality)의 핵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수의 산상수훈에 이런 말씀이 있다: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는 자마다 마음에 이미 간음하였느니라.”(마태 5:28) 생각만으로 이미 간음죄를 범하였다는 것인데, 사실 한 인간의 내면적 상상에 관해서는 우리가 측량할 길이 없다. 정죄란 그것이 사회적 행위로 표현될 때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행동 이전의 사유에 대하여서도 도덕성을 요구하였다는 의미에서 우리는 예수에게 경의를 표할 수 있다. 그런데 더 본질적인 문제는 저 여자를 음탕하게 쳐다보는 것이 나의 몸의 요구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저 여자를 음탕하게 쳐다보지 않는 것은 마음속에서 상상하고 지우는 관념적 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몸의 공부(쿵후), 즉 몸의 단련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기나긴 시간을 통하여 공부를 축적해 나갈 때만 가능한 것이다.

퇴계의 말년 걸작인 <성학십도>(聖學十圖)에는 우주와 인간 전체가 상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명”(天命)이라는 단어가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즉 인간에게 명령하는 하늘, 인격적 주재자의 가능성으로서의 천(天)이라는 관념이 소실되어 버린 것이다. “천명, 즉 하늘의 명령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퇴계는 명쾌히 대답한다: “천(天)은 리(理)일 뿐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죄를 사하여 줄 수 있는 천(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의 모든 행위는 나의 책임일 뿐이라는 것이다. 하늘은 곧 나의 마음이다. 나의 마음은 곧 리(理)며 성(性)이다. 나의 마음은 나라는 존재의 일신(一身)을 주재한다. 그런데 그 마음을 주재하는 것은 경(敬)이다. 그래서 퇴계의 철학을 경의 철학이라 말하고 그의 교육론을 경의 교육론이라 말한다. 주희(朱熹)는 학자의 공부로서 거경(居敬)과 궁리(窮理)의 이사(二事)를 말했는데, 그는 암암리 이 양자가 호상발명한다고 말하면서도 궁리, 즉 객관적 사물의 탐구에 더 역점을 두었다. 퇴계는 거경과 궁리를 근원적으로 포섭하는 경의 철학을 확립하고 철저히 우리 몸의 내면의 본질을 파고든 것이다.

경이란 우리가 여기서 말한 “몸의 공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은 천명이 사라진, 이 지상에 던져진 고독한 인간이 스스로의 자각에 의하여 스스로의 주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Process)인 것이다. 경(敬)은 우리말에서 보통 “진지함”(earnestness) “공경함”(reverence)을 뜻한다. 그런데 신유학의 독특한 용어로서는 일차적으로 “주일무적”(主一無適)의 의미가 된다. 그것은 마음의 상태가 하나에 전념하여 흐트러짐이 없는 것이다. 경은 현대심리학에서 말하는 “어텐션”(attention)으로 환치될 수 있는데, 그것은 곧 “집중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집중력이야말로 모든 학습의 효율성을 지배하는 근원적 마음의 상태를 의미한다. 학생이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의 양이 곧 공부의 양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집중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 하는 것이 공부의 핵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집중하는 마음의 상태가 경(敬)인 것이다. 이러한 경의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공부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우리 민족사상사의 획기적인 분수령을 기록한 동학의 창시자 최수운(崔水雲, 1824~64)의 좌잠(座箴)에 이런 말이 있다: “나의 도는 넓고 넓지만 또 간략하기 그지없다. 많은 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별다른 도리가 아니요, 성(誠), 경(敬), 신(信) 세 글자일 뿐이다.”(吾道博而約, 不用多言義. 別無他道理, 誠敬信三字) 성(誠)은 우주적 운행의 성실함(Cosmic Authenticity)을 말하는 것이요, 경은 집중하는 진지한 마음상태를 말하는 것이요, 신(信)이란 신험 있는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수운은 제자들에게 성·경·신 이 세 글자 속에서 “공부”(工夫)를 할 것을 당부한다. 그의 <동경대전>은 “공부”라는 용어의 전통적 의미를 충실하게 보존하고 있다. 그러한 의미의 맥락에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이라고 거시적 테제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민족의 교육의 역사는 “공부의 역사”였던 것이다.

공부는 몸(Mom)을 전제로 한다. 몸이란 정신(Mind)과 육체(Body)의 이분법적 분할을 거부하는 인격 전체를 말하는 것이다. 공부란 몸, 그 인격 전체를 닦는 것이니, 그것이 곧 “수신”(修身)이다. 공부는 몸의 디시플린을 의미하는 것이다. 몸의 단련이란 몸의 다양한 기능의 민주적 균형을 말하는 것이며, 또한 어느 부분의 기능도 그 탁월함(아레떼)에 도달했을 때 가치상의 서열을 부여할 수 없다. 개념들의 연역적 조작에 영민한 학생이 수학을 탁월하게 잘하는 것이나 운동선수가 탁월한 신체적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나 음악성이 뛰어난 학생이 악기를 다루는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는 것이나, 이 모든 것을 동일한 가치의 “공부”로서 인정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몸”이라는 우주의 총체적인 조화로운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아니 된다. 일어나고, 세수하고, 밥 먹고, 걷고, 생활하고, 독서하고, 놀이하고, 쉬고, 잠자는 모든 일상적 행위가 경(敬)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그 진지함 속에 개인과 사회와 우주의 도덕성이 내재한다는 것을 교육의 원리로서 자각해야 한다. 자녀에게 성 모랄을 가르치려고 애쓰기보다는 자기 방을 깔끔하게 정돈하고 매사에 질서를 유지시키는 것을 스스로 공부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몸의 모랄을 깨닫게 하는 더 유용한 도리가 될 것이다. 우리는 서구적 자유주의의 파탄을 넘어서서 우리 민족의 유구한 일상적 규율의 원리를 회복해야 하는 것이다. (이 글의 외래어 표기는 씨케이시스템에 의함)

김용옥 철학자

Amazon.co.jp: 生きる場からの哲学入門 : 花崎 皋平, 三浦 隆宏, 細谷 実, 大越 愛子, 河上 睦子, 百木 漠, 木村 倫幸, 藤田 隆正, 田畑 稔, 大阪哲学学校, 平等 文博: Japanese Books

Amazon.co.jp: 生きる場からの哲学入門 : 花崎 皋平, 三浦 隆宏, 細谷 実, 大越 愛子, 河上 睦子, 百木 漠, 木村 倫幸, 藤田 隆正, 田畑 稔, 大阪哲学学校, 平等 文博: Japanese Books



生きる場からの哲学入門  2019
by 花崎 皋平 (著), 三浦 隆宏 (著), 細谷 実 (著), & 8 more
4.6 4.6 out of 5 stars    3 ratings

「すべての人は哲学者である」

生活の場で地に足をつけ、そこにある問題と向き合い、深く広く考え抜くことで、よりよく生きる力を支える哲学の実践=「哲学すること」のために──。

哲学とは、哲学者の専有物ではなく、すべての人が自らの生活の場に根ざして、世界と自分を批判的吟味の俎上にのせる知的営みでなければならない。
「生きる場と哲学の結合」を謳い、在野の実践を続けてきた哲学学校によるユニークな哲学入門書。
花崎皋平、大越愛子、田畑稔ほか17講義を収録。

2024/10/16

K샤머니즘 전문 이스라엘 교수 "한국은 교인도 점 보는 나라"

K샤머니즘 전문 이스라엘 교수 "한국은 교인도 점 보는 나라"



K샤머니즘 전문 이스라엘 교수 "한국은 교인도 점 보는 나라"
손영하2024. 10. 16. 12:30

<방치된 믿음 : 무속 대해부>
리오라 사파티 텔아비브대 교수 인터뷰
'현대 한국 샤머니즘' 쓰고 24년간 연구
심리학자 대신 무당을 비밀 나눌 상대로
"과학적 사고하면서도 무속 즐겨 인상적"

편집자주
하늘과 땅을 잇는 원초적 존재, 무당은 우리와 함께 살아간다. 미신으로 치부되기도 하고 범죄의 온상이 될 때도 있지만, 사람들은 그들을 통해 위로를 받기도 한다. 한국일보는 석 달간 전국의 점집과 기도터를 돌아다니며 우리 곁에 있는 무속의 두 얼굴을 조명했다. 전국 어디에나 있지만, 공식적으론 어디에도 없는 무속의 현주소도 파헤쳤다. 문화 코드로 자리 잡은 무속이 나아갈 길에 대해서도 모색했다.

리오라 사파티 텔아비브대 교수가 지난 8월 25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본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한국에선 모든 종교가 공존할 수 있어요. 심지어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무속'을 즐길 수 있죠."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동아시아학과장 리오라 사파티(53) 교수는 지난 8월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무속이 성행하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분석했다. 특히 종교에 매우 엄격한 이스라엘과 비교하며 "한국에선 종교인이 무당을 찾아가는 걸 문제 삼지 않는 게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사파티 교수는 한국의 눈부신 경제 발전이 무속에 대한 인식을 바꿔놨다고도 했다. 과거에는 무속이 '전근대성의 상징'이었지만, 지금은 '무당을 찾아간다고 한국이 과거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믿음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영화, 드라마 등 미디어의 역할도 있었다고 말했다.

'현대 한국 샤머니즘'. 온라인 캡처

사파티 교수는 24년간 한국 무속을 연구했고, 2021년 '현대 한국 샤머니즘: 제례에서 디지털로'(Contemporary Korean Shamanism: from ritual to digital)라는 책을 출간했다. 올해에도 인류학 저널에 한국 무속 관련 글을 기고하는 등 K샤머니즘에 대한 연구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한국 무속을 연구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불교에 관심이 많았다. 학부에서 선불교와 일본어를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전공했다. 그런데 세미나에서 한국 무당의 치유와 공연, 전통에 대한 글을 읽고 굿 영상을 보게 됐다. 정말 마음에 들었다. 전공을 바꿔 한국어와 한국 문화, 역사를 공부했다. 한국 샤머니즘이 나를 한국으로 이끈 것이다."

-영화 '파묘' 등이 인기를 끌었는데.

"미디어에서 무당을 다루는 방식이 확실히 변하고 있다. '파묘'에서 무당은 무섭게 묘사되지만, 다른 사람을 돕는 역할이다. 반면 1977년 김기영 감독의 '이어도'에선 무당이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사람들은 섬을 관광지로 만들고 싶어 하지만, 무당은 '신들이 화를 내고 있다'며 반대한다."

영화 '파묘'에서 배우 김고은이 연기한 무당 캐릭터가 극중에서 악귀를 쫓기 위한 굿을 치르고 있다. 영화 '파묘' 스틸컷

-미디어가 무속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고 보나.

"원인인 동시에 인식 변화의 산물이다. 사람들이 무속에 관심이 없다면 미디어에서 무당을 다루지 않을 거다. 과거에는 금기였지만, 지금은 금기가 아니다."

-한국에서 왜 무속이 성행한다고 보나.

"한국은 종교에 있어 다원주의적 특성이 강하고 개방적이다. 이스라엘에선 종교를 '100% 믿어야 한다'고 말한다. '90%만 믿는다'는 건 있을 수 없다. 한국에선 절에 가서 부처님께 기도한 뒤 곧바로 무당을 찾아가도 괜찮다. 기독교인 중에도 무당을 찾는 사람들이 있다. 여러 믿음이 서로 싸우지 않고 공존할 수 있다. 심지어 과학적 사고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무속을 즐길 수 있다. 무당들도 손님이 병원을 건너뛰고 점집에 오길 바라지 않는다."

-경제 성장과 무속이 관련이 있나.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에는 '우리가 무속 같은 전통을 계속 믿으면 나라가 퇴보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그때는 전통과 과학, 무당과 병원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이제는 그렇지 않다. 경제적으로 성공했고, 글로벌 선도국가가 됐다. 무속을 믿는다고 한국이 과거로 돌아갈 것이라고 걱정하는 사람은 없다."

리오라 사파티 텔아비브대 교수가 지난 8월 25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본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사람들이 무당을 왜 찾아가는 것 같나.

"이스라엘과 미국에선 젊은 사람들이 심리학자를 많이 찾아간다. 불안하거나 우울한 사람들이 그들과 대화하며 도움을 받는다. 한국은 아직 그런 문화가 자리 잡지 못했다. 부모나 친구들에게 얘기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경쟁이 치열해서 자신의 문제를 드러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무당을 찾는 이유다. 어느 무당은 '한국인이 모두 심리학자를 찾아가면, 우리 일거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무당을 찾는 것은 '신'을 믿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신뢰하는 사람에게 비밀을 털어놓고 싶은 행위에 가깝다."

-다른 나라도 샤머니즘을 많이 믿나.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몽골 등에 샤머니즘이 많이 퍼져 있다. 멕시코, 과테말라, 페루에도 샤먼들이 있다. 하지만 한국처럼 특별하고 독립적인 문화로 자리 잡은 곳은 없다."


■한국일보 엑설런스랩
팀장 : 이성원 기자
취재 : 손영하·이서현 기자, 이지수·한채연 인턴기자
사진 : 하상윤·정다빈 기자
영상 : 김용식·박고은·박채원 PD, 김태린 작가, 전세희 모션그래퍼, 이란희·김가현 인턴PD




■ 목차별로 읽어보세요① 굿판을 걷어차다• 귀신같이 알아맞힌 그 말, 삶을 저당잡는 미끼였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1310190005377)
• 가족들 위해 신내림 받았지만... 두 딸은 차례로 정신병에 걸렸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2410010004985)
• 달나라 가는 AI 시대에 무속이 공존하는 이유는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2316280000067)

② 사람 잡는 무속• "굿하면 다 낫는다" 고통을 먹잇감 삼아…귀신 대신 사람 잡은 무당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1310220004372)
• "유튜브 영상 속 무당 점사는 짜고 치는 쇼"… 대역 배우의 폭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92910270005517)

③ 기도터 가는 이유• '기도발' '복' 그리고 '쩐'... 무당 70명이 그날 대관령 오른 이유는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1310240005656)
• K샤머니즘 전문 이스라엘 교수 "한국은 교인도 점 보는 나라"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00213390005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