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5

イブン・アラビー - Wikipedia [일어 한역] 이븐 아라비

イブン・アラビー - Wikipedia

イブン・アラビー

イブン・アラビー

イブン・アラビーアラビア語ابن عربيي‎ Ibn al-ʿArabī, アラビア語محي الدین 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بن علي بن محمد بن العربي الحاتمي الطائي‎ Muḥī al-Dīn Abū ʿAbd Allāh Muḥammad ibn ʿAlī ibn Muḥammad ibn al-ʿArabī al-Ḥātimī aṭ-Ṭāʾī 生没年 1165年7月28日 - 1240年11月10日[1])は、中世イスラーム思想家存在一性論・完全人間論を唱えてイスラーム神秘主義スーフィズムの確立に寄与し、後世に影響を与えた。

生涯[編集]

イスラーム教徒セビリア王国の支配下にあったアンダルシアムルシアアラブ系の名門に生まれる。12世紀後半はセビリアの統治者であったムワッヒド朝アブー・ヤアクーブ・ユースフ1世(在位:1163年 - 1184年)の治世であり、ユースフ1世は文化を重んじていたため宮廷にはイブン・ルシュド(アヴェロエス)やイブン・トゥファイルなどが集い、セビリアは当時を代表する文化都市のひとつであった。

父アリーはイブン・ルシュドと親しく、後年主著のひとつ『マッカ啓示』での記述によるとイブン・アラビーがイブン・ルシュドと面会したのは15〜16歳の時であったといい、老齢であったイブン・ルシュドはイブン・アラビーの洞察力に驚いたという。その後もイブン・ルシュドらとの交流は続き、1194年にイブン・ルシュドがコルドバで亡くなったときイブン・アラビーは30歳で、その葬儀に参列している。青年期にセビリア法学神学ハディース学を学ぶ。その頃、病床にあった彼は幻視体験からスーフィズム(taṣawwuf タサウウフ、タサッウフ)を学ぶようになった。以後の10年程をアンダルシア・マグリブ各地を遍歴して、スーフィー行者とともに修行した。この時期にイブン・アラビーが教えを受けたスーフィーの師匠として、アブー・ジャアファル・ウライニー(Abū Jaʿfar al-ʿUraynī)、アブー・ヤアクーブ・カイスィー(Abū Yaʿqūb al-Qaysī)、サーリフ・アダウィー(Ṣāliḥ al-ʿAdawī)、アブー・ハッジャージュ・ユースフ(Abū al-Ḥajjāj Yūsuf)などがおり、ファーティマ・ビント・ムサンナー(Fāṭima bint al-Muthannā)、シャムス・ウンム・フカラー(Shams Umm al-Fuqarā')といった女性スーフィー行者からも師として学んだことが知られている。

イブン・アラビーはその人生の大部分を旅に費やしている[1]ヒジュラ暦597年(1200年 - 1201年)にイブン・アラビーは夢告を受けてマッカ(メッカ)への巡礼を志して東方に旅立った。1202年カイロエルサレムを経てマッカ巡礼を果たした彼はそのまま同地に2年間滞在して、更なる研究に没頭する[1]1204年、彼はマッカにおける研究の集大成である『マッカ啓示』( الفتوحات المكية al-Futūḥāt al-Makkiyya)を著した。

1204年アナトリアを出てコンヤマラティヤの巡礼団を率いてきたマジュドゥッディーン・イスハーク(Shaykh Majd al-Dīn Isḥāq ibn Yūsuf)と出会い、イブン・アラビーの教説に感銘したイスハークの誘いを受けて、1205年にコンヤへの復路に同行することとなった。その後も帰還の巡礼団とともにバグダードモースルを経てイスハークの勧めもあってマラティヤに移住した。この時期にルーム・セルジューク朝カイホスロー1世がコンヤで復位(在位:1205年 - 1210年)し、イスハークがカイホスローの宮廷に招かれた際にイブン・アラビーも同時に伺候して謁見し、下賜品を授かった。このマジュドゥッディーン・イスハークの息子が、後にイブン・アラビーの直弟子のひとりとしてイブン・アラビーの教説の流布に奔走したサドルッディーン・クーナウィーṢadr al-Dīn al-Qunawī )である。翌年にもイブン・アラビーは近隣への旅を続け、エルサレム・カイロ・マッカなどを訪問し、1210年にはコンヤに再び戻った。1212年にバグダードに赴いているが、これはカイホスロー1世の後を継いだカイカーウース1世(在位 1211年 - 1220年)の即位の報告をカリフ宮廷に報告するため同地を訪れていたイスハークと同道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イブン・アラビーはカイカーウース1世のために実践的なアドバイスを書簡に残している。この時期イブン・アラビーはアレッポスィヴァスを訪ねているが、主にマラティヤで生活をしている。また1221年には息子サアドゥッディーン・ムハンマド(Saʿd al-Dīn Muḥammad 1221年 - 1258年)を儲けた。

晩年は支援者であった富豪の招きでダマスクスに居を定めた。遅くとも1230年には同地にいることが知られているが、ここでは彼の言説への反対者からの厳しい批判を浴びたものの、同時に多くの擁護者にも恵まれた。彼はそこで夢告によりアダムから預言者ムハンマドに至る27名の預言者の伝記・思想論集である『叡智の台座』( فصوص الحكم Fuṣūṣ al-Ḥikam)を著した。彼自身の言によると、夢の中に預言者ムハンマドが現れて手渡された書物の名が『叡智の台座』であったという。また、彼は詩人及びザーヒル派en:Ẓāhirīウラマーとしても知られて著作を残しており、その数は生涯で200を越える。彼の没後、郊外のカシオン山中腹に墓廟が築かれ、一部のイスラム教徒からは巡礼の対象地とされ、墓廟周辺は彼の名前にちなんだ「ムフイッディーン地区」という地区名で呼ばれているほどである[2]

思想と批判[編集]

「存在一性論」と「完全人間説」[編集]

彼はイスラーム神秘主義におけるもっとも重要かつ高度な思想家であった。イブン・アラビーの思想の特徴をまとめると、「存在一性論」(waḥda al-wujūd)という存在論と、「完全人間」(insān kāmil)という人間論にそれぞれ代表させる事が出来る。この世界はすべて一者の自己顕現(tajallī)として理解される。すなわち、この世界には自存している「無限定存在」(wujūd muṭlaq)である神アッラーフと、それそのものでは非存在であるがアッラーフに依拠する事で初めて存在し得る「被限定存在」(wujūd muqayyd)である被造物に大きく分けられる。イブン・アラビーはこれに加え、それらのいずれとも異なる第三要素として「真実在の真実性(ḥaqīqa al-ḥaqā'iq)」を想定する[3]。万物は見かけ上は全く違うように見えるが、実は全て神の知恵の中にある1形態に過ぎず、本質的には同一の物体であるとするのが「存在一性論」(Waḥda al-wujūd)である。 (ただし、「存在一性論」という用語自体はイブン・アラビー自身は使用しておらず、最初に「存在一性論」という用語を使用し始めた人物が誰であるが諸説ある。近年、その候補者としてイブン・アラビーの批判者であったイブン・タイミーヤが最初のひとりであるとする研究が出されている。)[4]

また、人間とは神が持つ全ての属性の集合体によって構成されており、その中でもそれを自覚した「完全人間」(insān kāmil)と呼ぶべき人が預言者であり、ムハンマドはその最後の人物であるとする「完全人間」(insān kāmil)によって構成されており、人間は元から神の一部である以上、心や意識に苦痛をもたらす禁欲的な探求を採ることは無意味であると唱えたのである。

宗教と信仰の言葉では「神」と呼ぶべきものを、イブン・アラビーは哲学用語の次元で「存在」(wujūd)と呼ぶ。これは現実にこの世に存在している「存在者」や「現実存在」(mawjūd)とは全く異なる原理存在であるとする。そしてその存在の究極位をプロティノスの「一者」と同じように「存在の彼方」に置くと同時に、それが全存在世界の太源であると考えた[5]。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は、無名無相、つまり一切の「…である」という述語を受け付けない。「神である」とも言えない。なぜなら神以前の神は、普通の意味の神ではないからである[6]。「存在」(wujūd)には、「自己顕現」(tajallī)に向かう志向性が本源的に備わっており、「隠れた神」は「顕れた神」にならずにはいられない。無名無相の「存在」が「アッラー」という名を持つに至るこの段階は、ヴェーダーンタ哲学における意味分節する以前の全体存在である「上梵」から言葉によって言い表すことができる経験的世界である「名色」へと移り変わる段階にあたる、と井筒俊彦は解説する[6]

彼の思想は弟子のサドルッディーン・クーナウィーṢadr al-Dīn al-Qunawī)らによって体系化され、全てのイスラーム教徒(及び一部のキリスト教思想家)に影響を与える一方で、イブン・タイミーヤに代表される反対論を唱える思想家を生み出し、イスラーム教の思想・歴史に大きな影響を与えることになる。

イブン・アラビー思想と「存在一性論学派」の展開[編集]

直弟子であったクーナウィー(1207年 - 1274年)は、思索の赴くままに叙述したイブン・アラビーの作品を整理し、それらに自ら注釈を施す等して体系化に勤めた。クーナウィーは『叡智の台座』の注釈を施した他に、同じく同書の注釈を著したジャンディー(Mu'ayyid al-Dīn al-Jandī ? -1291年頃?)や、イブン・アラビーの思想を哲学的さらに深化させたティリムサーニー(‘Afīf al-Dīn al-Tilimsānī 1291年)、ペルシア語神秘主義詩人として有名なイラーキー(Fakhr al-Dīn Ibrahīm ‘Irāqī )ら後進達の育成も行っている。なかでもイルハン朝ではクーナウィーとジャンディーから教えを受けたスフラワルディー教団に属すスーフィー思想家アブドゥッラッザーク・カーシャーニー(ʿAbd al-Razzāq al-Qāshānī :tr , ? - 1335年)は「存在一性論」の正しさを主張して、アッラーフの至高性を強く主張しイブン・アラビーを批判した同時代人のアラーウッダウラ・スィムナーニー(ʿAlā' al-Dawla Simnanī, 1336年没)と論争を行っている。カーシャーニーはイラン以東でのイブン・アラビーの思想の展開にも大きな足跡を残しており、カーシャーニーの弟子ダーウード・カイサリー(Dāwūd al-Qayṣarī 1260年頃- 1351年)、カイサリーの弟子ルクヌッディーン・シーラーズィー(Rukn al-Dīn al-Shīrāzī, 1367年没)がいるが、3者とも『叡智の台座』の注釈書を著しており、カーシャーニーとカイサリーの注釈書は地域を問わず広く読まれた。シーラーズィーの注釈書はペルシア語訳がされ、これがペルシア語訳『叡智の台座』の注釈書としては最古のひとつとなっている。

ダマスクスでイブン・アラビーやクーナウィーと親交を持ったサアドゥッディーン・ハンムーヤという人物の弟子、アズィーズ・ナサフィーが『完全人間』(Kitāb al-insān al-kāmil)というペルシア語によるイブン・アラビー思想の解説書を著し、これがペルシア語文化圏におけるイブン・アラビーの思想的影響を大きく残した。やはり同じ『完全人間』という書名のアラビア語による著書を残したアブドゥルカリーム・ジーリー(ʿAbd al-Karīm al-Jīlī1326年 - 1424年)がおり、イェメンラスール朝治下のザービドで後半生を過ごし、『マッカ啓示』の理解困難な箇所に注釈を施す等をしている。15世紀にはティムール朝時代に活躍したホラーサーン出身のスーフィー詩人ジャーミーが、『叡智の台座』やそれをイブン・アラビー本人が要約した『台座の刻印』(Naqsh al-Fuṣūṣ)にそれぞれ注釈を施している。ジャーミーはいわゆる存在一性論学派のなかでも最も有名な思想家のひとりである。

イランや中央アジアでのアラビー研究は主にペルシア語訳書や注釈書を介して中国にも伝播し、漢文によるイスラーム思想の著述がはじまる17世紀前後から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の影響が見られるようになる。『清眞大學』の著者王岱輿1570年頃 - 1657年頃)や『歸眞總義』の張中( 1670年没)、アズィーズ・ナサフィーやジャーミーの著作を漢訳した舍起靈(1710年没)らがいる。

一方、オスマン朝では創建当初からイブン・アラビーに傾倒する思想家が多く、オスマン朝時代の知識人、思想家の大半はなんらかの形でその思想的影響化あると言われている。 上述のダーウード・カイサリーがイズニクで建てられた最初のマドラサの初代学院長を勤め、その後も『マッカ啓示』やクーナウィーの著作等を注釈、ペルシア語、オスマン語に翻訳する ウラマーが陸続と現れ、オスマン朝の最初のシャイフル=イスラームとされているムッラー・ファナーリー(Mullā Shams al-Dīn Fanārī 1350年 - 1431年)も『マッカ啓示』やクーナウィーの著書『玄秘の鍵』(Miftāḥ al-Ghayb)の注釈書を著し、さらに同書や『叡智の台座』の釈講を行っている。

エジプトでは、イブン・アラビーに対する批判者も多かったが、マムルーク朝時代を中心に「存在一性論学派」の学統は隆盛した[7]

イブン・アラビーとその学派への批判[編集]

彼の教説は各地に熱狂的な支持者を生み出す一方、反対派も多く、カイロでは暗殺計画があったと言われている。

イブン・アラビーの完全人間論では、修行の途中において、人間は神アッラーフの名・属性(アッラーフの99の美名)はもとより、本質までも体験出来るとしている[8]。 唯一なる神アッラーフは人間とは絶対的に隔絶された高みにあるとする主張はスーフィズムの勃興期から存在し、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顕現論そのものは認めつつも、アッラーフの至高性を保つためには「本質まで体験し得る」という部分に反発する論者も多かった。その代表的な人物のひとりにイブン・タイミーヤがおり、15世紀のビカーイー(Burhān al-Dīn al-Biqāʿī 1406年頃 - 1480年)や同じくスユーティーJalāl al-Dīn al-Suyuṭī 1445年 –1505年)といった有名な学識者達がイブン・アラビー批判を展開したのも、主に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や「完全人間説」で説かれている「造物主であるアッラーフと被造物を区別しない」立場についてであった[9]

イブン・タイミーヤなどを含む多くの有名なウラマーがイブン・アラビーはムスリムではないと断じている。彼が著作中に示した思想にはイスラム教の枠を超えるものがあり、例えば彼は古代エジプトファラオが自身を神だとみなしていたことを正しいことだと主張している。これは「我こそは真理なり(anā al-Ḥaqq)」という有名なスーフィー的「酔言」(shaṭḥ シャトフ)を述べた逸話でも有名な9-10世紀のスーフィー修行者ハッラージュ(Abū ʿAbd Allāh al-Ḥusayn al-Ḥallāj 858年頃 - 922年)が、悪魔イブリースが地獄の劫火に焼かれ、ファラオもモーセの出エジプトにおいて海でも溺れさせられても翻意しなかった事をあげ、イブリースやファラオの行動にこそ真の信仰とみて両者を称えた逸話にちなんでいる。

スーフィズムの思潮は、スーフィーの修行によって感得した境地を「我こそは真理なり」や「アッラーフに讃えあれ」と呼ぶべきところを「我に讃えあれ」といった「酔言」によって表現したり、数々の「奇行」を残した上記のハッラージュやアブー・ヤズィード・バスターミー(Abū Yazīd (Bāyazīd) Ṭayfūr al-Basṭāmī 804年頃? - 874年877年)に代表される「酔ったスーフィー」と、スーフィーの修行を積みつつムスリムとしての道徳や規範を遵守すべきとするジュナイドAbū Qāsim b. Muḥammad b. al-Junayd al-Baghdādī 830年頃? - 910年)に代表される「醒めたスーフィー」におおよそ大別される。イブン・タイミーヤはジュナイドの系列の「醒めたスーフィー」こそ真に実践すべきスーフィズムであり、否定すべき不信仰者の代表である悪魔イブリースやファラオと敬虔なムスリムとの区別すら否定する、ハッラージュやその伝統に属するイブン・アラビーとその論者たちを厳しく批判した。ジュナイドはバスターミーの後輩にあたり、ハッラージュはジュナイドの弟子のひとりであったが、ジュナイド自身はシャトフやスクル(sukr 陶酔)といった陶酔型のスーフィズムを不十分なものとして批判し、師であるバスターミーが陶酔状態こそ最高の境地としたことに対して、スクルの後に来る第2の素面である「酩酊からの覚醒、酔い覚まし」をこそより高い境地とみなした。ジュナイドはスクル(sukr 陶酔)よりサフウ(ṣaḥw 覚醒)、ファナー(fanā' 消融)よりもバカー(baqā' 存続)を重視した。この「陶酔」と「覚醒」いずれが最高の境地であるかについては、スーフィズムの思想史上の大きな問題として後代まで議論され、イブン・タイミーヤのイブン・アラビー批判もその延長線上にあると見る事が出来る。

しかしながら、イブン・タイミーヤが名指しするイブン・アラビーらの「酔言」に対して懸念した点は、アッラーフによって滅ぼされたファラオやイブリースといったこれらの存在も(ハッラージュやイブン・アラビーらが主張するように)「正しい」「真の信仰者」としてしまっては、不信仰者(カーフィル)へのジハードハッド刑も認められなくなってしまう事であり、これを許容してしまうとイスラームにおける社会秩序が崩壊してしまうため、イブン・タイミーヤをはじめとする(スーフィー行者であっても)ムスリムの社会性を重視するウラマー達にとっては断じて認められなかった。(実際に、ハッラージュはその過激な言動や見解についてしばしば師のジュナイドから叱正された逸話がアッタールの『神秘主義聖者列伝』等で伝えられており、さらに当時異端視されていたザンダカ主義者であるとの批判や、同じくファーティマ朝アッバース朝のカリフを認めず一時バグダード征服を狙って叛乱を起こしたカルマト派との繋がりの嫌疑を受け、最終的にはカリフ・ムクタディル(:en)の治世(922年)にバグダードで逮捕・処刑されている) イブン・タイミーヤの主張では、昨今のモンゴル帝国の侵攻や人々のシャリーア無視の原因は、こういった「存在一性論」の論者達等の出現によるものである、としていた[9]

著作[編集]

約800の著作がイブン・アラビーに帰せられているが、明確に彼の著作だと定説化しているものは多くはない。最近の研究は彼の著作の100以上が写本として残いるものの、ほとんどの印刷版は決定訂といえるものではなく、誤りも多い。[10]

  • マッカ啓示(The Meccan Illuminations) (Al-Futūḥāt al-Makkiyya), 37歳の時の、彼の最大の著作で37巻560章からなり、現在では4または8巻本で出版されている。神秘哲学からスーフィーの行い、彼の夢や幻視など広い内容を論じている。[1]
  • 叡智の台座(The Ringstones of Wisdom) (The Bezels of Wisdomという訳題もある[11])、またはFuṣūṣ al-Ḥikam。 生涯の後編に編纂され、神秘主義的な信仰と教えの概略で、イブン・アラビーの著作でもっとも重要な著作であるとしばしば考えられている。神の啓示における諸預言者の役割を扱っている。[12][13][14] この著作の真の著者はイブン・アラビーなのか、最近ひとつの史料が提出され議論されている。[15] その史料は、イブン・アラビーのものとされている合計74章分のうち56章が"Al-Futūḥāt al-Makkiyya"で言及されていて、そこで言及されている残りの部分が引用しているのは、他書が言及しているもので、これらの部分は偽書であり、イブン・アラビーに帰属させることは誤りであると主張している。しかし、他の多くの学者は真正のものだと受け入れている。[16][17]
  • Dīwān、5巻からなる未編集の集成で、印刷版は原著1巻だけに基づいている。
  • The Holy Spirit in the Counselling of the Soul (Rūḥ al-quds)、マグリブ地方における異なった精神的指導者から学んだ彼の経験の概略を含む魂に関する論文。一部はSufis of Andalusiaとして翻訳され、回想と彼がアンダルス地方であった多くの興味深い人々に関する精神的な小話
  • Contemplation of the Holy Mysteries (Mashāhid al-Asrār) 、これは恐らく彼の最初の主要著作で、15の幻視から構成されている神との対話である。
  • Divine Sayings (Mishkāt al-Anwār), 101のアッラーからの啓示(hadīth qudsī)のIbn 'Arabīによって作成された集成
  • The Book of Annihilation in Contemplation (K. al-Fanā' fi'l-Mushāhada), 神秘主義的な消滅 (fana)の意味に関する短論文
  • Devotional Prayers (Awrād), 週の毎日毎晩の14回の祈りに関する幅広い集成読解
  • Journey to the Lord of Power (Risālat al-Anwār), "距離のない旅"に関する手順と技術的手法の詳細
  • The Book of God's Days (Ayyām al-Sha'n), グノーシス主義により経験された異なった種類の日々と時の自然に関する著作
  • The Fabulous Gryphon of the West ('Unqā' Mughrib),イエスマフディーにおける聖人とその極点の意味を論じた書
  • The Universal Tree and the Four Birds (al-Ittihād al-Kawnī), 完全な人間と4つの存在原理に関する詩集
  • Prayer for Spiritual Elevation and Protection ('al-Dawr al-A'lā), ムスリム政界で広く使われている短い祈り
  • 渇望の解釈者(The Interpreter of Desires)[18] (Tarjumān al-Ashwāq) 恋愛詩 (ghazals) で、イブン・アラビーが批判に応じて詩の象徴する意味の説明の注釈を入れて再版したもの
  • Divine Governance of the Human Kingdom (At-Tadbidrat al-ilahiyyah fi islah al-mamlakat al-insaniyyah).
  • The Four Pillar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Hilyat al-abdāl) 、精神的階梯の本質に関する短論

脚注[編集]

  1. a b c d The Meccan Revelations”. World Digital Library (1900-1999). 2013年7月15日閲覧。
  2. ^ 東長靖「第4章 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学派」『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108-113頁
  3. ^ 東長靖「第4章 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学派」『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113-115頁
  4. ^ 東長靖「第4章 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学派」『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114頁
  5. ^ 井筒俊彦『意識の形而上学』中公文庫、2001年、P.36頁。
  6. a b 井筒俊彦『意識の形而上学』中公文庫、2001年、P.37頁。
  7. ^ 東長靖「第4章 イブン・アラビーの存在一性論学派」『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117-122頁
  8. ^ 東長靖「存在一性論学派における存在論と完全人間論」『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143-145頁
  9. a b 東長靖「マムルーク朝初期のタサウウフの位置づけ」『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2013年、210-215頁
  10. ^ Ibn Arabi (560-638/1165-1240)
  11. ^ シドファル著谷口勇訳『アンダルシア文学史』(1983年芸立出版)では題名を『知恵の金剛石』と訳している
  12. ^ Naqvi, S. Ali Raza, THE BEZELS OF WISDOM (Ibn al-'Arabī's Fuṣūṣ al-Ḥikam) by R.W.J. Austin (rev.), Islamic Studies, Vol. 23, No. 2 (Summer 1984), pp. 146-150
  13. ^ Chittick, William C. "The Disclosure of the Intervening Image: Ibn 'Arabî on Death", Discourse 24.1 (2002), pp. 51-62
  14. ^ Almond, Ian. "The Honesty of the Perplexed: Derrida and Ibn 'Arabi on 'Bewilderme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Vol. 70, No. 3 (Sep., 2002), pp. 515-537
  15. ^ Al Futuhat Al Makkiyya, Dar Sader, Beirut, Lebanon, Book 1, pg 7
  16. ^ Chittick, William C. "The Disclosure of the Intervening Image: Ibn 'Arabi on Death" Discourse 24.1 (2002) 51-62
  17. ^ Notes on Fusus ul Hikam, Reynold A. Nicholson, Studies in Islamic Mysticism
  18. ^ シドファル著谷口勇訳『アンダルシア文学史』(1983年芸立出版)では題名を『情熱の解脱者』と訳している

参考文献[編集]

  • 東長靖「イブン・アラビー」『岩波イスラーム辞典』(岩波書店、2002年) ISBN 978-4-00-080201-7
  • 東長靖『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神秘主義・聖者信仰・道徳―』(名古屋大学出版会, 2013年2月)
同「第4章 イブン・アラビーと存在一性論学派」108-122頁
同「第10章 マムルーク朝初期のタサウウフの位置づけ ―イブン・タイミーヤの「スーフィズム」批判を中心として―」190-203頁
同「第11章 マムルーク朝末期におけるタサウウフをめぐる論争 ―ビカーイー・スユーティー論争を中心に―」190-203頁
  • リチャード・ヴァーダリー「イブン・アル・アラビー」『世界伝記大事典 世界編 1』(ほるぷ出版、1980年)
  • 古林清一「イブン=アルアラビー」『世界歴史大事典 2』(教育出版センター、1991年) ISBN 978-4-7632-4001-9
  • 井筒俊彦『イスラーム思想史』(中公文庫、1991年)
  • 井筒俊彦『意識の形而上学』(中公文庫、2001年)

===
[일어 한역] 이븐 아라비
이븐 아라비

이븐 아랍어 ( 아랍어 : ابن عربيي ‎ Ibn al-ʿArabī, 아랍어 : محي الدین 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بن علي بن محمد بن الع ḥī al-Dīn Abū ʿAbd Allāh Muḥammad ibn ʿAlī ibn Muḥammad ibn al-ʿArabī al -Ḥātimī aṭ-Ṭāʾī 생몰년 1165년 7월 28일 - 1240년 11월 10일 [1] )은 중세 이슬람 사상가 . 존재 일성론·완전 인간론을 외우고 이슬람 신비주의 ( 수피즘 )의 확립에 기여해, 후세에 영향을 주었다.

평생 편집 ]

이슬람교도 의 세비야 왕국 의 지배하에 있던 안달루시아의 무르시아 에서 아랍계  명문으로 태어난다. 12세기 후반은 세비야의 통치자였던 무와히드 아침의 아부 야 아쿠브 유스프 1세 (재위: 1163년 -1184년 )의 통치였으며, 유스프 1세는 문화를 중시했기 때문에 궁정 에는 이븐 루슈드 (아벨로에스)나 이븐 투파일 등이 모여 세비야는 당시를 대표하는 문화도시 중 하나였다.

아버지 알리는 이븐 루슈드와 친해졌으며, 후년 주저의 하나 '마카 계시'에서의 설명에 따르면 이븐 아라비가 이븐 루슈드와 면회한 것은 15~16세 때였다고 하며, 노령 이다 . 이븐 루슈드는 이븐 아라비의 통찰력에 놀랐다고 한다. 그 후에도 이븐 루슈드 등과의 교류는 이어 1194년 에 이븐 루슈드가 코르도바 에서 죽었을 때 이븐 아라비는 30세로 그 장례에 참렬하고 있다. 청소년기에 세비야 에서 법학 · 신학 · 하디스학을 배운다. 그 무렵, 병상에 있던 그는 환시 체험에서 수피즘 (taṣawwuf 타사우프, 타사우프)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의 10년정도를 안달루시아· 마그리브 각지를 편력해, 수피행자와 함께 수행했다. 이 시기에 이븐 아라비가 가르친 슈피의 스승으로서 아부 자아팔 우라이니(Abū Jaʿfar al-ʿUraynī), 아부 야아쿠브 카이시(Abū Yaʿqūb al-Qaysī), 사리프 아다위 ), 아부 하자주 유스프(Abū al-Ḥajjāj Yūsuf) 등이 있으며, 파티마 빈트 무산너(Fāṭima bint al-Muthannā), 샴스 움후카라(Shams Umm al-Fuqarā') 등 여성 수피 행자로부터 스승으로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븐 아라비는 그 삶의 대부분을 여행에 쓰고 있다 [1] . 히줄라 달력 597년( 1200년 -1201  )에 이븐 아라비는 꿈 고를 받고 마카 (메카)에의 순례를 뜻하며 동방으로 여행을 떠났다. 1202년 에 카이로 , 예루살렘을 거쳐 마카 순례를 완수한 그는 그대로 동지에 2년간 체재해, 한층 더 연구에 몰두한다 [1] . 1204년 , 그는 마카에서의 연구의 집대성인 ' 마카 계시 '( الفتوحات المكية al-Futūḥāt al-Makkiyya)를 저술했다.

다음 1204년 , 아나톨리아를 나와 콘야 , 말라 티아의 순례단을 이끌어 온 마주두딘 이스하크(Shaykh Majd al-Dīn Isḥāq ibn Yūsuf)를 만나, 이븐 아라비의 교설에 감명한 이스하크의 권유를 받아 1205년에 콘야로의 복귀에 동행하게 되었다. 그 후도 귀환의 순례단과 함께 바그다드 모슬을 거쳐 이스하크의 권고도 있어 말라 티아 로 이주했다. 이 시기에 룸 셀주크 아침 의 카이호스로우 1세가 콘야 에서 복위(재위: 1205년 -1210  )하고, 이스하크가 카이호스로우의 궁정에 초대되었을 때에 이븐 아라비도 동시에 엿보며 속견해, 하사품을 받았다. 이 마주 두딘 이스하크의 아들은 나중에 이븐 아라비의 직제자 중 한 명으로 이븐 아라비의 교설의 유포에 분주한 새돌딘 쿠나위(Ṣadr al-Dīn al- Qunawī ) 이다 . 이듬해에도 이븐 아라비는 인근으로의 여행을 계속해 예루살렘 카이로 마카 등을 방문해 1210년에는 콘야로 다시 돌아왔다. 1212년 바그다드에 가고 있는데, 이것은 카이호스로우 1세 이후를 이어받은 카이커우스 1 (재위 1211년 -1220  ) 즉위의 보고를 칼리프 궁정에 보고하기 위해 동지를 방문하고 있던 이스하크와 동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븐 아라비는 카이커우스 1세를 위한 실천적인 어드바이스를 서한으로 남기고 있다. 이 시기 이븐 아라비는 알레포 나 시바스를 방문하고 있지만, 주로 말라티아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 또 1221년 에는 아들 사아두딘 무하마드(Saʿd al-Dīn Muḥammad 1221년 -1258년 ) 를 벌었다.

만년은 지원자였던 부자의 초청으로 다 마스크스 에 살을 정했다. 늦어도 1230년 에는 동지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에서는 그의 언설에 대한 반대자로부터의 엄격한 비판을 받았지만, 동시에 많은 옹호자에게도 축복받았다. 그는 거기서 몽고에 의해 아담 으로부터 선지자 무하마드 에 이르는 27명의 선지자 의 전기·사상론집인 '지지의 받침대 '( فصوص الحكم Fuṣūṣ al-Ḥikam)를 저술했다. 그 자신의 말에 따르면 꿈 속에 선지자 무하마드가 나타나 건네받은 책의 이름이 '지혜의 받침대'였다고 한다. 또한 그는 시인과 자히르파 ( en:Ẓāhirī ) 우라머로 도 알려진 저작을 남기고 있으며, 그 수는 평생 200을 넘는다. 그의 몰후, 교외의 카시온 산 중복에 묘묘가 세워져, 일부의 이슬람교도에서는 순례의 대상지로 되어, 묘묘 주변은 그의 이름에 연관된 「무후이딘 지구」라고 하는 지구명으로 불리는 정도이다 [2] .

사상과 비판 편집 ]

「존재 일성론」과 「완전 인간설」편집 ]

그는 이슬람 신비주의에서 가장 중요하고 고급 사상가였다. 이븐 아라비의 사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존재 일성론'(waḥda al-wujūd)이라는 존재론과 '완전 인간'(insān kāmil)이라는 인간론으로 각각 대표시킬 수 있다. 

이 세상은 모두 한자리의 자기현현(tajallī)으로 이해된다. 즉, 이 세계에는 자존하고 있는 「무한정 존재」(wujūd muṭlaq)인 신 알라프와, 그 자체에서는 비존재하지만 알라프에 의거하는 것으로 처음 존재할 수 있는 「피한정 존재」( wujūd muqayyd)인 피조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븐 아라비는 이것에 더하여, 그들 중 어느 것과도 다른 제 3 요소로서 「진실재의 진실성(ḥaqīqa al-ḥaqā'iq)」을 상정한다[3 ] . 

만물은 겉보기에는 전혀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모두 하나님의 지혜 속에 있는 1형태에 불과하고,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물체라고 하는 것이 「존재 일성론」(Waḥda al- wujūd)이다. 

(단, 「존재 일성론」이라는 용어 자체는 이븐 아라비 자신은 사용하지 않고, 최초로 「존재 일성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인물이 누구인지 제설이 있다. 최근, 그 후보자로서 이븐 아라비의 비판자였던 이븐 타이미야 가 최초의 한 사람이라고 하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4]

또한 인간이란 하나님이 가지는 모든 속성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그것을 자각한 「완전 인간」(insān kāmil)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선지자이며, 무함마드는 그 마지막 인물 라고 하는 「완전 인간」(insān kāmil)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인간은 원래부터 신의 일부인 이상, 마음이나 의식에 고통을 초래하는 금욕적인 탐구를 취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주창한 것이다.

종교와 신앙의 말에서 '신'이라고 부르는 것을 이븐 아라비는 철학 용어의 차원에서 '존재'(wujūd)라고 부른다. 

이것은 현실에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존재자」나 「현실 존재」(mawjūd)와는 완전히 다른 원리 존재라고 한다. 

그리고 그 존재의 궁극위를 프로티노스 의 「한자」와 같이 「존재의 그분」에 두는 것과 동시에, 그것이 전 존재 세계의 태원이라고 생각했다[5 ] . 

이븐 아라비의 「존재」는, 무명 무상, 즉 일체의 「…이다」라는 술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신이다」라고도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신 이전의 신은 보통 의미의 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6] . 

'존재'(wujūd)에는 '자기현현'(tajallī)을 향하는 지향성이 본원적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숨겨진 신'은 '표현된 신'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무명의 '존재'가 '알라'라는 이름을 지니는 이 단계는, 베단타 철학에서 의미분절하기 이전의 전체 존재인 '상범'에서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경험적 세계인 '이름 "색"으로 바뀌는 단계에 해당한다고, 이즈츠 토시히코는 해설한다 [6] .

그의 사상은 제자의 서들딘 쿠나위 ( Ṣadr al-Dīn al-Qunawī ) 등에 의해 체계화되어 모든 이슬람교도 (및 일부 기독교 사상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 이븐 타이 미야 에게 대표되는 반대론을 주창하는 사상가를 만들어 내고 이슬람교의 사상·역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븐 아라비 사상과 「존재 일성 논학파」의 전개 편집 ]

직제자였던 쿠나위1207년 -1274년 )는, 사색이 가득 채서 서술한 이븐 아라비의 작품을 정리해, 그들에게 스스로 주석을 베푸는 등 체계화에 근무했다 쿠나위는 '지혜의 받침대'의 주석을 붙인 것 외에도 같은 책의 주석을 저술한 장디(Mu'ayyid al-Dīn al-Jandī ? - 1291년경?)나 이븐 아라비의 사상을 철학 적 더욱 심화시킨 티림 서니('Afīf al-Dīn al-Tilimsānī 1291년), 페르시아어 신비주의 시인으로 유명한 이라키(Fakhr al-Dīn Ibrahīm 'Irāqī) 등 후진달의 육성도 실시하고 있다 . 그 중에서도 일한 아침 에는 쿠나위와 잔디로부터 가르친 스프라와르디 교단에 속하는 수피 사상가 압둘라자크 셔니 의 정확성을 주장하고, 알라프의 최고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이븐 아라비를 비판한 동시대인 알라우다우라 심나니(ʿAlā' al-Dawla Simnanī, 1336년 몰)와 논쟁을 벌이고 있다 . 카셔니는 이란 이후의 이븐 아라비의 사상의 전개에도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으며, 카셔니의 제자 다우드 카이사리(Dāwūd al-Qayṣarī 1260년경 - 1351 ), 카이사리의 제자 루크누딘 시러즈이(Rukn al-Dīn al-Shiīrāzī, 1367  몰)가 있지만, 3자 모두 '지치의 받침대'의 주석서를 두고 있으며, 카셔니와 카이사리의 주석 책은 지역을 불문하고 널리 읽혔다. 시라즈이의 주석서는 페르시아어 번역이 되었으며, 이것이 페르시아어 번역 '이지의 받침대'의 주석서로는 가장 오래된 하나이다.

다마스크스에서 이븐 아라비나 쿠나위와 친교를 가진 사아두딘 한무야라는 인물의 제자, 아즈즈 나사피가 '완전 인간'(Kitāb al-insān al-kāmil)이라는 페르시아어에 의한 이븐 아라비 사상의 해설서 을 현저하게 하고, 이것이 페르시아어 문화권에 있어서의 이븐 아라비의 사상적 영향을 크게 남겼다. 역시 같은 '완전 인간'이라는 서명의 아랍어에 의한 저서를 남긴 압둘 카림 지리( ʿ Abd al- Karīm al-Jīlī , 1326년 -1424  )가 있어, 예멘 의 라술 조치하의  비드에서 후반생을 지내고, 「마카 계시」의 이해 곤란한 부분에 주석을 베푸는 등을 하고 있다. 15세기 에는 티무르 아침 시대에 활약한 호러산 출신의 수피시인 쟈미가 , 「지치의 받침대」나 그것을 이븐 아라비 본인이 요약한 「받침대의 각인」(Naqsh al-Fuṣūṣ)에 각각 주석을 베풀어 있습니다. 저미는 소위 존재 일성 논학파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사상가 중 한 명이다.

이란과 중앙아시아에서의 아라비 연구는 주로 페르시아 어역서나 주석서를 통해 중국에도 전파되어 한문에 의한 이슬람 사상의 저술이 시작되는 17세기 전후부터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의 영향을 보았다. 된다. 『청진대학』의 저자 왕다케마 ( 1570 년경 - 1657 년경 )와 『歸眞總義』의 장중( 1670 년몰), 아즈즈 나사피와 쟈미의 저작을 한역한 찬기령( 1710년 몰)들이 있다.

한편, 오스만 아침 에서는 창건 당초부터 이븐 아라비에 경사하는 사상가가 많아, 오스만 아침 시대의 지식인, 사상가의 대부분은 어떠한 형태로 그 사상적 영향화 있다고 한다. 상술한 다우드 카이사리가 이즈니크로 지어진 최초의 마드라사 의 초대 학원장을 근무하고, 그 후에도 『마카 계시』나 쿠나위의 저작 등을 주석, 페르시아어, 오스만어로 번역하는 우라마가 육속으로 나타나 , 오스만 아침 최초의 샤이플=이슬람으로 여겨지는 뮬러 파나리( Mullā Shams al-Dīn Fanārī 1350년 -1431년 )도 '마카 계시'나 쿠나위의 저서 '현비 의 열쇠'(Miftāḥ al-Ghayb) 주석서를 저술해, 한층 더 동서나 「지혜의 받침대」의 석강을 실시하고 있다.

이집트에서는, 이븐 아라비에 대한 비판자도 많았지만, 맘루크 아침 시대를 중심으로 「존재 일성론학파」의 학통은 융성했다[7 ] .

이븐 아라비와 그 학파에 대한 비판 편집 ]

그의 교설은 각지에 열광적인 지지자를 낳는 한편, 반대파도 많아, 카이로에서는 암살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이븐 아라비의 완전 인간론에서는, 수행의 도중에, 인간은 신 알라프의 이름·속성(알라프의 99의 미명)은 물론, 본질까지도 체험할 수 있다고 한다 [ 8 ] . 

유일한 신 알라프는 인간과는 절대적으로 격절된 높이에 있다고 하는 주장은 수피즘의 발흥기부터 존재하고, 이븐 아라비의 존재 현현론 그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알라프의 최고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는 '본질까지 체험할 수 있다'는 부분에 반발하는 논자도 많았다. 

그 대표적인 인물 가운데 이븐 타이미야가 있으며, 15세기의 비카이 (Burhān al-Dīn al-Biqāʿī 1406 년경 1480년 ) 와 마찬가지로 스유티 ( Jalāl al-Dīn al-Suyuṭī 1445 년 ) 라고 하는 유명한 학식자들이 이븐 아라비 비판을 전개한 것도, 주로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이나 「완전 인간설」로 설설되어 있는 「조물주인 알라프와 피조물을 구별 하지 않는다” 입장에 관한 것이었다 [9] .

이븐 타이미야 등을 포함한 많은 유명한 우라머가 이븐 아라비는 무슬림이 아니라고 단절했다. 그가 저작중에 제시한 사상은 이슬람의 틀을 넘는 것이 있고, 예를 들면 그는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가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여겼던 것을 옳다고 주장 하고 있다 . 이것은 ‘우리 진리나리(anā al-Ḥaqq)’라는 유명한 수피적 ‘취언’(shaṭḥ 샤토프)을 말한 일화로도 유명한 9-10세기 수피수행자 할라주( Abū ʿ Abd Allāh al- Ḥusayn al-Ḥallāj 858년경 - 922년 ) 이 악마 이브리스가 지옥의 불에 구워져 파라오도 모세의 출애굽에서 바다 에서도 익사되어도 의심하지 않은 것을 들고 이브리스와 파라오의 행동에 그야말로 진정한 신앙으로 보고 양자를 기리는 일화에 연관되어 있다.

수피즘의 사조는, 수피의 수행에 의해 감득한 경지를 「나야말로 진리가 된다」나 「알라프에게 칭찬해라」라고 부르는 곳을 「나에게 칭찬해라」라고 하는 「취언」에 의해 표현하거나, 수많은 의 「기행」 을 남긴 상기의 할라주나 아부야지드・바스타미( Abū Yazīd (Bāyazīd) Ṭayfūr al-Basṭāmī 804 년경 ? 수행을 쌓으면서 무슬림으로서의 도덕과 규범을 준수해야 하는 주나이드 ( Abū Qāsim b. Muḥammad b. al-Junayd al-Baghdādī 830 년경?)로 대표되는 '볶은 수피'로 대략 대별된다. 

이븐 타이미야는 쥬나이드 계열의 '성숙한 수피'야말로 진정으로 실천해야 할 수피즘이며, 부정해야 할 불신앙자의 대표인 악마 이브리스와 파라오와 경건한 무슬림과의 구별조차 부정하는, 할라주와 그 전통에 속하는 이븐 아라비와 그 논자들을 엄격히 비판했다. 주나이드는 버스터미의 후배이자, 할라지는 주나이드의 제자 중 한 명이었지만, 주나이드 자신은 샤토프나 스쿨(sukr 도취)과 같은 도취형의 수피즘을 불충분한 것으로 비판하고, 스승인 버스터미가 도취 상태야말로 최고의 경지로 한 것에 대해, 스쿨 뒤에 오는 제2의 소면인 '酩酊에서의 각성, 술취함'을야말로 더 높은 경지로 간주했다. 주나이드는 스쿨(sukr 도취)보다 사후(ṣaḥw 각성), 파너(fanā' 소융)보다 바커(baqā' 존속)를 중시했다. 이 '도취'와 '각성' 어느 것이 최고의 경지인지에 대해서는 수피즘의 사상 사상의 큰 문제로 후대까지 논의되어 이븐 타이미야의 이븐 아라비 비판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는 것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븐 타이미야가 지칭하는 이븐 아라비 등의 '취언'에 대해 우려한 점은 알라프에 의해 멸망된 파라오나 이브리스 등의 이러한 존재도 ) 「올바른」 「진정한 신앙자」로서 버려서는, 불신앙자(카필)에의 지하드나 허드형도 인정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일이며, 이것을 허용해 버리면 이슬람에 있어서의 사회 질서  붕괴 하기 때문에, 이븐 타이미야를 비롯한 (수피 행자여도) 무슬림의 사회성을 중시하는 우라마들에게는 단지 인정되지 않았다. (실제로, 할라지는 그 과격한 언동이나 견해에 대해 자주 스승의 주나이드에서 꾸짖은 일화가 아타르의 '신비주의 성자 열전' 등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또한 당시 이단시되고 있던 잔다 카 주의자 로 있다는 비판이나, 마찬가지로 파티마 아침 이나 아바스 아침의 칼리프를 인정하지 않고 일시 바그다드 정복을 노리고 반란을 일으킨 카르마트파와의 연결의 혐의를 받아 최종적으로는 칼리프 뮤크타딜( en )  통치 ( 922년 )에 바그다드로 체포·처형되고 있다) 이븐 타이미야의 주장에서는, 요즈음의 몽골 제국의 침공이나 사람들의 샤리아 무시의 원인은, 이러한 「존재 일성론」의 논자 들  의 출현으로 인한 것입니다.[9]

저작 편집 ]

약 800개의 저작이 이븐 아라비로 돌아갈 수 있지만, 명확하게 그의 저작이라고 정설화하고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최근의 연구는 그의 저작의 100 이상이 사본으로 남아 있지만, 대부분의 인쇄판은 결정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잘못도 많다. [10]

  • 맥카 계시(The Meccan Illuminations) ( Al-Futūḥāt al-Makkiyya ), 37세 때 그의 가장 큰 저작으로 37권 560장으로 이루어져 현재는 4 또는 8권 책으로 출판되고 있다. 신비철학에서 수피를 실시해 그의 꿈이나 환시 등 넓은 내용을 논하고 있다. [1]
  • 지혜의 받침대(The Ringstones of Wisdom) ( The Bezels of Wisdom 이라는 번역제도 있다 [11] ), 또는 Fuṣūṣ al-Ḥikam . 평생의 후편에 편찬되어 신비주의적인 신앙과 가르침의 개요로, 이븐 아라비의 저작에서 가장 중요한 저작이라고 자주 생각되고 있다. 하나님의 계시에서 여러 선지자의 역할을 다룬다. [12] [13] [14] 이 저작의 진정한 저자는 이븐 아라비인지, 최근 하나의 사료가 제출되어 논의되고 있다. [15] 그 사료는, 이븐 아라비의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합계 74장분 중 56장이 "Al-Futūḥāt al-Makkiyya"로 언급되고 있고, 거기에 언급되고 있는 나머지 부분이 인용한다 다른 책이 언급하고 있는데, 이들 부분은 가짜이며 이븐 아라비에 귀속시키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많은 학자들은 진정한 것이라고 받아들입니다. [16] [17]
  • Dīwān , 5권으로 이루어진 미편집의 집합으로, 인쇄판은 원저 1권만에 근거하고 있다.
  • The Holy Spirit in the Counselling of the Soul ( Rūḥ al-quds ), 마그리브 지역의 다른 정신적 지도자로부터 배운 그의 경험의 개요를 포함한 영혼에 관한 논문. 일부는 Andalusia of Sufis 로 번역되었으며 회상과 그가 안달루스 지방이었던 많은 흥미로운 사람들에 대한 영적 소화
  • Contemplation of the Holy Mysteries ( Mashāhid al-Asrār ), 이것은 아마 그의 첫번째 주요 저작이고, 15의 환시로 구성된 신과의 대화이다.
  • Divine Sayings ( Mishkāt al-Anwār ), 101 알라의 계시 (hadīth qudsī)의 Ibn 'Arabī에 의해 만들어진 집합
  • The Book of Annihilation in Contemplation ( K. al-Fanā' fi'l-Mushāhada ), 신비주의적 소멸 ( fana )의 의미에 관한 단논문
  • Devotional Prayers ( Awrād ), 매주 매일 밤 14 번의 기도에 대한 광범위한 독서
  • Journey to the Lord of Power ( Risālat al-Anwār ), "거리 없는 여행"에 대한 절차 및 기술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The Book of God's Days ( Ayyām al-Sha'n ), 그노시스주의 에 의해 경험된 다른 종류의 일상과 시간의 자연에 관한 저작
  • The Fabulous Gryphon of the West ( ' Unqā' Mughrib ) , 예수 와 머프디에서 성인과 그 극점의 의미를 논한 책
  • The Universal Tree and the Four Birds ( al-Ittihād al-Kawnī ), 완전한 인간과 4개의 존재 원리에 관한 시집
  • Prayer for Spiritual Elevation and Protection (' al-Dawr al-A'lā ), 무슬림 정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짧은 기도
  • 갈망 의 해석자(The Interpreter of Desires [ 18 ]
  • 인간 왕국의 신성한 통치 ( At-Tadbidrat al-ilahiyyah fi islah al-mamlakat al-insaniyyah ).
  • The Four Pillars of Spiritual Transformation ( Hilyat al-abdāl ) , 정신적 계단의 본질에 관한 단론

각주 편집 ]

  1. ↑ d “ The Meccan Revelations ”. World Digital Library (1900-1999). 2013년 7월 15일에 확인함.
  2.  동장 야스 “제4장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학파”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108-113쪽
  3.  동장 야스 “제4장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학파”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113-115쪽
  4.  동장 야스 “제4장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학파”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114쪽
  5. 이통 슌히코 「의식의 형이상학」중 공문고, 2001년, P.36페이지.
  6. b 井通 俊彦 「의식의 형이상학」중 공문고, 2001년, P.37페이지.
  7.  동장 야스 “제4장 이븐 아라비의 존재 일성론학파”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117-122쪽
  8.  동장 야스 “존재 일성론학파에 있어서의 존재론과 완전 인간론”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143-145쪽
  9. ↑ b 동장 야스 “마무루크 아침 초기의 타사우프의 위치설정” “이슬람과 수피즘” 2013년, 210-215페이지
  10. ↑ 이븐 아라비(560-638/1165-1240)
  11.  시드팔 저곡구 용역 「안달루시아 문학사」(1983년 예립 출판)에서는 제목을 「지혜의 금강석」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12. ^ Naqvi, S. Ali Raza, 지혜의 베젤(Ibn al-'Arabī의 Fuṣūṣ al-Ḥikam) by RWJ Austin(rev.), 이슬람 연구, Vol. 23, 2호(1984년 여름), 146-150면
  13. ^ Chittick, William C. "중재 이미지 공개: Ibn 'Arabî on Death", Discourse 24.1 (2002), pp. 51-62
  14. ^ 아몬드, 이안. "당황한 자의 정직: '당황'에 관한 Derrida와 Ibn 'Arabi', 미국 종교 아카데미 저널, Vol. 70, 3호(2002년 9월), 515-537쪽
  15. ^ Al Futuhat Al Makkiyya, Dar Sader, 베이루트, 레바논, 제1권, 7페이지
  16. ^ Chittick, William C. "중재 이미지 공개: Ibn 'Arabi on Death" 담론 24.1 (2002) 51-62
  17. Fusus ul Hikam에 대한 노트, Reynold A. Nicholson, 이슬람 신비주의 연구
  18.  시드팔 저곡구 용역 「안달루시아 문학사」(1983년 예립 출판)에서는 제목을 「정열의 해탈자」라고 번역하고 있다

참고 문헌 편집 ]

  • 히가시나가 야스 “이븐 아라비” “이와나미 이슬람 사전”(이와나미 서점, 2002년) ISBN 978-4-00-080201-7
  • 히가시나가야스 “이슬람과 수피즘 ―신비주의·성자 신앙·도덕-”(나고야 대학 출판회, 2013년 2월)
동「제4장 이븐 아라비와 존재 일성론학파」108-122면
동 「제10장 맘루크 아침 초기의 타사우프의 위치설정 ―이븐 타이미야의 「수피즘」비판을 중심으로 ―」190-203페이지
동「제11장 맘루크 조말기의 타사우프를 둘러싼 논쟁―비카이・스유티 논쟁을 중심으로―」190-203쪽
  • 리처드 버달리 「이븐 알 아라비」 「세계 전기 대사전 세계편 1」(호루푸 출판, 1980년)
  • 고바야시 키요이치 「이븐=알아라비」 「세계 역사대사전 2」(교육 출판 센터, 1991년) ISBN 978-4-7632-4001-9
  • 이츠키 슌히코『이슬람 사상사』(중공 문고, 1991년)
  • 이통 슌히코 「의식의 형이상학」(중공 문고, 2001년)

 

===
[한국어] 이븐 아라비

이븐 아라비

이븐 아라비(아랍어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بن علي بن محمد بن العربي الحاتمي الطائي, Abū ʿAbd Allāh Muḥammad ibn ʿAlī ibn Muḥammad ibn ʿArabī al-Ḥātimī aṭ-Ṭāʾī, 1165년 7월 26일 ~ 1240년 11월 16일)은 이슬람의 신비주의 사상가이다. '종교의 재생자', '최대의 스승'이라고도 불린다.[1]

생애[편집]

이븐 아라비는 1165년 에스파냐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여러 곳을 여행하며 신비주의자들과 교류하였다. 1202년 메카를 순례하러 떠난 후 고향으로 가지 않고 이집트헤자즈이라크터키를 전전하다가 1240년 다마스커스에서 사망하였다.[1]

사상[편집]

이븐 아라비는 가잘리에 의해서 부정된 플라톤주의를 신비주의에 도입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정통파들에게 이단시되어 사후에까지 많은 논쟁의 원인이 되었다. 그의 사상은 후대의 신비주의 교단과 페르시아 제국의 시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고, 시아파 신학에 도입되어 사파비 왕조하의 이란에서는 신학교에서 그의 사상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저서[편집]

저서가 800편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신비적 체험을 바탕으로 많은 글을 썼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메카 계시》와 《예지의 보석》이다. 《메카 계시》는 신비주의의 백과사전으로 일컬어지고, 천사로부터 계시받은 내용을 저술한 것이다.[1] 《예지의 보석》은 예언자 무함마드로부터의 계시를 저술한 것이고, 이후 100편이 넘는 주석서가 쓰였다.

참고 문헌[편집]

  • 學園出版公社 事典編纂局 편, 《學園世界大百科事典》, 서울: 學園出版公社, 1993.

각주




==

〈私〉だけの神――平和と暴力のはざまにある宗教 : by Ulrich Beck , 鈴木 直: Japanese Books

Amazon.co.jp: 〈私〉だけの神――平和と暴力のはざまにある宗教 : ウルリッヒ・ベック, 鈴木 直: Japanese Books





〈나〉만의 신――평화와 폭력의 거짓말에 있는 종교
 Tankobon Hardcover – July 29, 2011
by 울리히 베크 (저자), 스즈키 나오 (번역)
별 5개 중 4.7개 3개의 평가

근대화의 진행은 사회의 탈종교화를 가져온다--그렇게 믿어 온 우리의 눈앞에 있는 것은, 세계 각지에서 원리주의화를 수반하여 진행하는 종교에의 회귀 현상이다. 리스크화하는 세계 속에서 그 폭력적인 잠재력이 새로운 마찰과 분쟁의 불씨가 되고 있는 종교의 글로벌 액터로서의 가능성을 생각한다.

벡, 울리히
1944년생. 독일 사회학자. 전 뮌헨 대학 교수

스즈키/직
1949년생. 도쿄 대학 대학원 인문 과학 연구과 박사 과정 퇴학. 현재 도쿄경제대학 교수. 전공은 근대 독일 사상사·문학(본 데이터는 이 서적이 간행된 당시 게재되고 있던 것입니다)


제품 세부 정보
Publisher ‏ : ‎이와나미 서점 (July 29, 2011)
발행일 : 2011년 07월 29일
언어 : 일본어
Tankobon 하드커버 : 338 페이지

별 5개 중 4.7개 3개의 평가



아다치 유우

별 5개 중 5.0개 종교에서 베크의 위험론2011년 12월 15일 일본에서 검토됨
확인된 구매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리스크론을 전개하는 벡이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코스모폴리탄화된 종교에 대해 말한다.

'사회철학' 수업에서 저는 '종교와 공공성'을 다룰 때 이 텍스트를 다루었습니다.

나치에 살해된 유대인 에티 힐레스름의 '<나'만의 하나님'에서 타인에게 열려가는 공공성에 대해 끝을 내며 관용과 폭력 사이에 있는 종교의 문제에 대해 말한다 .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 이교도와 불신앙자의 비관용성.
조직이나 제도로서의 「종교」로부터, 개인의 자유에 의해 서 있는 「종교성」에.
이단인가, 「자신의 신의 발명」인가, 신의 「개인화」인가 「사인화」인가.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새로운 신종교 운동과 전통 종교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진리와 평화, 관용과 폭력의 거짓말에 있는 종교를 사회학자의 관점에서 논한다.

종교나 영적 폭력은 앵무새 사건뿐만 아니라 아무것도 지금 시작된 것도 아니고, 익명의 인터넷, mixi상의 일뿐만 아니라 중세 시대부터 이단 심문 등이 있었던 것이다.

기독교는 수립 당시부터 글로벌이었지만, 역사 속에서 '비신앙자' '이단자'에 대해 비관용과 폭력이라는 수단을 이용해 왔다.

에티의 「자신의 신」의 본연의 자세가, 포스트 모던 사회에 있어서의, 코스모 폴리타니즘의 모델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1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는보고서
리뷰를 영어로 번역


끝.

별 5개 중 4.0개 재귀적 근대 종교를 둘러싼 사회 이론2013년 11월 27일 일본에서 검토됨

 독일 사회 이론가 울리히 베크에 의한 재귀 근대화 (후기 근대화) 과정에서 종교 사회학 연구의 번역. 근대과학문명의 발달에 의해 종교의 해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되돌아보면 그런 일도 없이 종교부흥이나 영성 같은 형태로 영향력을 잃고 등이 없는 현상이 있다. 그 중에서 종교간 대립(세속사회와 종교의 대립도)이 문제시되지만, 세계 각지에서는 반대로 종교는 사회와 잘 접혀 있는 현상도 확실히 있어, 베크는 그것을 종교적 코스모 폴리타니즘이라고 부르며 평가한다. 그 현상은 재귀적 근대가 가져온 부차적 결과라는 것이 그의 논의의 골자이다.

 타이틀은 『〈나〉만의 신』이지만, 저자 자신도 말하고 있듯이, 현대를 직역하면 「자신의 신」이 된다. <나>라는 괄호 표기이므로, 신경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벡 자신은 스스로의 주장하는 사회 이론인 재귀적 근대화가 일으키는 개인화의 결과로서의 「자신의 신」을 나타내 하고 있기 때문에 <나>는 조금 부적당하다고 생각한다. 서구적 개념의 세속화가 그대로 일본이나 이슬람 지역에 적응하지 못하도록 공사 개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옛 세속화론이 종교부흥론에 의해 서구 중심주의적이라고 비판된 데는 사사화론과 개인화론을 구별하지 않았던 것에도 원인이 있다. 그 점에서 이 책은 개인화와 사사화의 구별에 의해 해결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원제대로 좋았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벡의 혜안을 본 것은 '세속화의 역설'이라는 시점이다. 세속화는 기존에는 종교가 사회적 현상이나 제도로부터 영향력을 잃어가는 과정으로 파악되어 왔지만, 베크는 "종교가 세속화를 강요받은 것이 21세기에 종교성 과 영성의 재활성화의 기초가 되었다”(p40)라고 한다. 즉, 하나님의 힘이 쇠퇴한다고 여겨졌던 세속화에 의해 역설적으로 하나님은 개인적인 것으로서 다시 그 영향력을 보이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이 시점이 벡의 사회이론과 종교사회학의 여러 이론이 연결되는 길거리골이 되고 있다.

의문도 있다. 실제로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종교간 대화·종교간 협동이나 패치워크적인 개인적 종교성(스피리츄어리티) 등을 포함하는 사회 이론을 목표로, 그 종교성(세속적 종교성 )의 개인화나 코스모폴리탄화를 종교의 「저것도 이것도」모델로서 그린다는 것이 이 책의 중심점이지만, 역시 이론적으로 지나 실제 현장에서의 세속적 종교성의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이다. 특히 세계 리스크 사회론의 일관성이기 때문에, 그것이야말로 세계 각지의 종교적 혼재가 있는 지역에서의 커먼즈로서의 종교가 예시되어 있으면 설득력이 있지만, 예가 세계 종교에 너무 치우치고 있어 정말로 코스모폴리탄에 적용할 수 있는지 의심스러운 곳이 있다. 벡도 본서 내에서 그 점에 대해 예방선을 쓰고 있지만, 이것으로는 낙관적으로 지나간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포스트세속화 상황을 그리는 저작으로는 차세대 종교사회학을 비판해 비판하는 의미 있는 저작이라고 생각한다.
스즈키 나오시씨의 번역에 관해서는 원전을 맞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말할 수 없지만, 일본어 번역을 읽는 한 알기 쉬운 것이 되어 있다.

9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키아라

별 5개 중 4.0개 독일인에게 '코스모폴리탄화'2012년 5월 25일 일본에서 검토됨

원제는 'Der eigene Gott; von der Friedensfahigkeit und dem Gewaltpotential der Relogionen'입니다. 

'Own God; of the ability for peace and the potential for violence of the regions'

일본어 서명은 약간 부정적인 뉘앙스가 있습니다. 종교의 「개인화」와 「코스모폴리탄화」의 문제를, 일본어 서명보다 훨씬 긍정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세계 종교'로서의 문제로서의 것이겠지만, 나에게는 독일의 기독교의 문제로서의 면이 인상에 남았습니다.
"개인화"라는 것은 "에고이즘"이 아니라고 저자 자신은 분명히 말합니다. 
오히려 소세키가 말하는 개념에 가까울지도. 「개인화」의 문제는, 지금의 일본에 공통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재미있습니다.
「코스모폴리탄화」라고 하는 것은, 「글로벌화」와도 다릅니다. 이 근처를 역설하고 있습니다만, 일본인의 입장에서 보면, 꽤 츳코미커녕 가득합니다. 철두 철미 일신교의 논리에 서 있고, 일본인의 종교나 「이중 종교」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단지 저자가 말하는 이교라는 것은 유대교와 이슬람교로 불교에 관한 논점이 매우 적습니다. 나카무라 모토씨를 인용은 하고 있습니다만, 결국 아브라함 종교 속에서의 것이 문제의 중심입니다.
확실히 불교를 더하면 힘들게 되지만, 역시 「코스모폴리탄」으로서 논한다고 하면, 빠뜨릴 수 없습니다.
국민국가론은 앤더슨으로 베버, 하버머스 등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두 에티 히레스무의 일기는 훌륭합니다.

6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나>만의 신 울리히 베크의
종교의 코스모폴리탄화 목표로

2011년 9월 25일 3:30


21세기에 들어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종교에 영향을 받은 새로운 세계사회가 형성되고 있다. 저자는 구미를 모델로 한 국민국가적인 근대성이 보편성을 갖지 않는 상황에서 세계 종교 간의 마찰을 어떻게 '문명화'하여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지 묻는다.


(스즈키 직역, 이와나미 서점·3300엔 ※서적의 가격은 세금 별도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헌팅턴처럼 문명을 말하면서 영토적인 단위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영토의 정합이 해체된 결과로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보편성에 대한 소망이 끊어져 가는 현실을 직시한다. 게다가 각 종교의 보편주의가 자괴작용을 일으켜 사회와 도덕에 관련된 확신이 무너져가는 점이야말로 마찰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관심은 명확하지 않다. “세속적인 보편주의의 종언(수련)과 함께 합리성의 기반 자체가 해체되어, 그에 의해 세계 종교나 세계 사회가 안고 있는 잠재적 마찰을 문명화하는 노력이 토대를 잃어가는 위험이야말로 다가와 있다”

따라서 저자는 일신교 사이의 세계 마찰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계 종교의 문명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종교를 개인의 영업으로 함과 동시에 진리가 아니라 평화를 목표로 하는 관용을 중시해야 한다고 제언하는 것이다. '진리'를 최고 목표로 하는 사람은 거기에 머리를 내리지 않는 사람을 모두 단죄하고 매혹하게 되어 충돌과 마찰을 확대할 뿐이기 때문이다. 핵전쟁과 '세계위험사회'의 공포에 직면하는 인류는 서로를 불신자나 사교자로 간주하는 것을 멈추고 '종교의 세계시민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을 구축해야 한다는 생각은 잘못되어 있다. 아니.

'기상파국'이라고도 불리는 비극의 저지는 기술적 혁신이 아니라 배제된 타인을 동료들에게 통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종교의 개인화에 의해 종교의 경계를 넘어 “진리 절대주의를 평화롭게 해체해 나가기 위한 훈련이 이루어진다”는 제안도 우선 옳다.

그러나 이 책을 아랍어로 읽을 수 있다면 저자의 발상의 틀을 이해할 수 있는 이슬람교도가 얼마나 있는지를 생각하고 암연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의 기술 코드야말로 구미 모델 그 자체이며, "논술의 세계 시민적 코스모 폴리타니즘"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도쿄대학교수 야마우치 마사유키)

[일본 경제 신문 조간 2011년 9월 25일자]

===
울리히 벡 "<나>만의 신" 서평 다른 신앙, 어떻게 공존하는가
평자: 마츠나가 미호 / 아침 신문 게재:2011년 09월 25일

<나>만의 신 평화와 폭력의 속에 있는 종교
저자: 울리히 베크
출판사: 이와나미 서점
장르:사회・시사・정치・행정
ISBN: 9784000257763
발매: 2011/07/29
사이즈: 20cm/321, 17p

근대화는 세계를 탈마술화하고 합리화하는 보편적인 과정이었는가. 종교에 대한 원리주의적인 회귀 현상은 그 본질적 필연적인가. 리스크화하는 세계 속에서 글로벌 액터로서의 종…

<나>만의 신-평화와 폭력의 하마에 있는 종교 [저] 울리히 베크
 세계를 진심시킨 동시 다발 테러로부터 10년. 세계는 한결같이 평화가 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최근에도 우익 사상의 청년이 노르웨이에서 테러 사건을 일으켰다. 글로벌화가 진행되는 사회 속에서 가치관이 다른 사람끼리 어떻게 공존해 나가야 하는가가 절실한 문제가 되고 있다.
 「개인화」 「리스크 사회」라는 키워드로 알려진 독일의 사회학자 벡은 본서에서 종교가 국경을 넘어 평화를 창출하는 힘을 가지는 한편, 신앙자와 불신앙자를 구별하고 불화와 폭력의 원인을 만들어 버릴 가능성도 지적하고,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현상 분석을 실시하면서, 「개인화」하는 종교의, 평화 창출의 가능성을 찾고 있다.
 독일에서는 20세기 전반경까지 부모의 종교를 아이가 계승하는 것은 당연했다. 무종교도 포함해 자신의 종교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개인화'에 의해 유럽의 그리스도 교회가 현저하게 쇠퇴한 것에 비해, 예를 들면 아프리카에서는, 기독교도가 눈부시게 증가하고 있다. 반대로 이민 유입으로 유럽에 사는 이슬람교도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좁은 지역에 여러 종교 신자가 혼주하는 것이 보통이 되고 있다.
 각 종교가 주장하는 '진리'가 신앙이 다른 자를 배척하지 않고 타인과 평화적으로 공존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자유와는 항상 사상의 다른 자의 자유」라고 하는 로자 룩셈부르크의 말이 생각나게 된다.
 베크는 유태인 에티 힐레스름이 기록한 하나님과의 대화와 간디의 '방법론적 개종', 독일의 극작가 레싱이 나타내는 3개의 반지의 비유(아버지가 똑같이 보이는 '가보의 반지') 사람의 아들에게 주는 이야기.「진리」와「종교」의 관계를 나타낸다)등을 들고 있다. 영적 공존을 생각하는데 많은 팁이있을 것 같다.
    ◇
 스즈키 직역, 이와나미 서점·3465엔/Ulrich Beck 44년생.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에의 길』 등.



松永美穂 (마츠나가미호)
와세다대학교수=독일문학
1958년생. 저서에 “독일 북방 기행” “오해입니다”, 번역서에 베른하르트·슈링크 “낭독자”(매일 출판 문화상 특별상) 등.

===





One's own God: On the Peaceability and the Violence Potential of Religions Hardcover – 19 May 2008
by Ulrich Beck (Autor)
4.7 4.7 out of 5 stars 5 ratings

All world religions see themselves exposed to radical transforma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ll world religions as well as all cultural creations and symbols coexist at the same time and are mostly, detached from their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open to general availability, to fundamentalist or individual appropriations. Globalization not only offers the great opportunity for the world religions to free themselves from the territorial ties of national society and the nation state and to rediscover and revitalize their transnational dimensions, networks and imaginations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e monopoly claims are called into question in this way. The world religions feel compelled to have to compet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boundless space of mass-media publicity and neighborhoods. The post-secular age has to overcome the modernity dispute between religions and secularisms in favor of civilizing civilization (the spiritual unity of the human race obliges the populations of different faiths to find a "common path"). How do individuals, as religious or non-religious citizens, how do Christians, Jews and Muslims relate to the “spirit” of world society? The post-secular age has to overcome the modernity dispute between religions and secularisms in favor of civilizing civilization (the spiritual unity of the human race obliges the populations of different faiths to find a "common path"). How do individuals, as religious or non-religious citizens, how do Christians, Jews and Muslims relate to the “spirit” of world society? The post-secular age has to overcome the modernity dispute between religions and secularisms in favor of civilizing civilization (the spiritual unity of the human race obliges the populations of different faiths to find a "common path"). How do individuals, as religious or non-religious citizens, how do Christians, Jews and Muslims relate to the “spirit” of world society?
Read less


275 pages

Product description

press reviews
»For Ulrich Beck, the return of religion is 'far more significant than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 The notion that with advancing modernization the religious will do away with itself cannot be easily operated out of sociological thinking, even if this prognosis were historically done." Alan Posener, WELT AM SONNTAG
05/18/2008

"Beck's study leads into the purgatory of individualized God management.«
Gregor Maria Hoff,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About the author and other contributors


Language ‏ : ‎ German
Hardcover ‏ : ‎ 275 pages
4.7 4.7 out of 5 stars 5 ratings

Ulrich Beck



Ulrich Beck is one of the world's most recognized sociologists. His book Risk Society, first published in 1986. On the way to another modernity brought a new age to the term. This concept made him known internationally and far beyond academic circles. Twenty years later he renewed and expanded his contemporary diagnosis in world risk society. In search of lost security in the face of terrorism, climate catastrophes and financial crises. Between 1997 and 2002 he was editor of the series "Edition Zweite Moderne" at Suhrkamp Verlag. Between 1992 and 2009, Beck w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Ludwig Maximilian University in Munich. From 1999 to 2009 Ulrich Beck acted as spokesman for the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 Reflexive Modernization funded by the German Research Foundation. In 2012,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 granted Ulrich Beck a five-year project on “Methodological cosmopolitanism using the example of climate change”. At the 2014 World Congress of Sociology in Yokohama, Ulrich Beck received the Lifetime Achievement Award – For Most Distinguished Contribution to Futures Research from the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Ulrich Beck was born on May 15, 1944 in Stolp in Eastern Pomerania. After studying sociology, philosophy, psychology and political science in Munich, he received his doctorate there in 1972. Seven years later he received his habilitation in sociology. His main scientific interest is the fundamental change in modern societies.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risk, he summarized these fundamental changes with concepts such as reflexive modernization, second modernity, unintended side effects and cosmopolitanism.

He has received several honorary doctorates from European universities and numerous prizes.

He died on January 1, 2015.

4.7 out of 5 stars

Top reviews from Germany



kpoac

5.0 out of 5 stars "To renounce God means to renounce man." (Lou von Salomé)Reviewed in Germany 🇩🇪 on 24 July 2008

"You don't have to travel across the seas, you
just have to go to meet your god up to yourself."
(Bernhard von Clairvaux, 1090-1153)

Ulrich Beck (1944-) is a professor of sociology and politics at the Universities of Munich and London. His view of the

1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 all reviews

====


A God of One's Own: Religion's Capacity for Peace and Potential for Violence (English Edition)
 Kindle Edition
English edition by Ulrich Beck (Autor), Rodney Livingstone (Übersetzer) Format: Kindle Edition


5.0 5.0 out of 5 stars 2 ratings


Religion posits one characteristic as an absolute: faith. Compared to faith, all other social distinctions and sources of conflict are insignificant. The New Testament says: 'We are all equal in the sight of God'. To be sure, this equality applies only to those who acknowledge God's existence. What this means is that alongside the abolition of class and nation within the community of believers, religion introduces a new fundamental distinction into the worl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ight kind of believers and the wrong kind. Thus overtly or tacitly, religion brings with it the demonization of believers in other faiths.

The central question that will decide the continued existence of humanity is this: How can we conceive of a type of inter-religious tolerance in which loving one's neighbor does not imply war to the death, a type of tolerance whose goal is not truth but peace?

Is what we are experiencing at present a regression of monotheistic religion to a polytheism of the religious spirit under the heading of 'a God of one's own'? In Western societies, where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has been internalized, individual human beings tend to feel increasingly at liberty to tell themselves little faith stories that fit their own lives to appoint 'Gods of their own'. However, this God of their own is no longer the one and only God who presides over salvation by seizing control of history and empowering his followers to be intolerant and use naked force.

242 pages
Language

English


Product description


A life of one's own, a room of one's own, a God of one's own: in the context of Western modernity, where the ethic of individual self-fulfilment has become a powerful current, religious faith, where it exists, has been channeled through the prism of one's own life, experience and self-knowledge. The individual uses religious experiences to construct his or her own religious shelter, making decisions about faith rather than simply deferring to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ns into which he or she was born. But faith - whether individualized or expressed within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ized religion - opens up a chasm between believers and non-believers and casts doubt on the ability of the religions to bring about peace. Today, argues Beck, our world has a chance of surviving only if the many faiths succeed in civilizing themselves and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principle of mutual tolerance.

Hence the central question that will decide the continued existence of humanity: How can we conceive of a type of inter-religious tolerance in which loving one's neighbour does not imply war to the death, a type of tolerance whose goal is not truth but peace?--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Über den Autor und weitere Mitwirkende
Ulrich Beck is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University of Munich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Ulrich Beck




Customer reviews
5.0 out of 5 stars
5 out of 5
Sponsored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Germany

There are 0 reviews and 0 ratings from Germany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muckheap
5.0 out of 5 stars clear explication of Beck's theory of reflexive modernisation with regard to religion and religions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 on 15 June 2015
Verified Purchase

accessible on the question of evolving attitudes towards religious commitment regarding both traditional religions or new religious movements, and the change from automatic and cultural religious adherence to a more individualist approach, hence the title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Report


Antonio Fanelli
895 reviews · 124 followers

Follow
October 22, 2018
An essay on religiosity in the third millennium can only be interesting, and if the author, who is also a sociologist, tries to use as rational a language as possible, it is even more interesting.
Unfortunately it doesn't go beyond three stars, because the writer is still a sociologist and has to use ridiculous terms, courtly periphrases, logical twists and so on.
I appreciate the effort.
Another flaw is the focus on Europe and reformed Christianity, reserving a couple of chapters for other religions and other continents.
Too little for such a pervasive topic.
religion
 
essays
 
sociology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Tucker.
Tucker
 
24 books · 179 followers

Follow
Read
July 24, 2011
Dense German theology/philosophy/sociology in English translation. Parts of the author's argument I caught: Religion is individualized once when people split it into denominations, and individualized a second time when it becomes so private that everyone seems to have a god of his or her own. Following one's own conscience rather than the dictates of a communal religion can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one's behavior, depending, it seems, on whether one is a good or bad person to start with. Following one's own intellect allows one at least to consider other religions, heresies, atheisms, etc. Religious bodies bid for people's hearts and minds by announcing inclusive, universalist trends. Unfortunately, they are never perfectly inclusive; someone is always left out and treated as "other", and this can have dangerous effects.

This book is in Lesley University's new Divinity School library, where I read it while marooned for 90 minutes. Aside from what I described, it went over my head.
====

Ulrich Beck’s ‘Reflecting Faith’: Individualization, Religion and the Desecularization of Reflexive Modernity
Simon SpeckView all authors and affiliations
Volume 47, Issue 1
https://doi.org/10.1177/0038038512448564

Contents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Ulrich Beck’s account of reflexive religiosity set out in his most recent work, A God of One’s Own: Religion’s Capacity for Peace and Potential for Violence. It traces the shift this represents in Beck’s thinking from an understanding of reflexive modernity as a project of radical secularization to one in which religion is a vital moral constituent. The article focuses on Beck’s description of a concurrent ‘individualization’ and ‘cosmopolitanization’ of religious belief which provides support for a cosmopolitan outlook necessary in an age of global risk. It argues that, whilst the religious deficit of the earlier account has been addressed and the acknowledgement of religious reflexivity is welcome, contemporary religious expression and experience cannot be so readily recruited to Beck’s cosmopolitan ethic.









2023/05/04

Wahdat al-Adyan: Sufi Idea or Western Thought? - IBTimes.ID

Wahdat al-Adyan: Sufi Idea or Western Thought? - IBTimes.ID



Wahdat al-Adyan: Sufi Idea or Western Thought?
By Angga Arifka

24/05/2022


Wahdat al-adyan (transcendent unity of religions) is one term. The term refers to the ideas of the Sufis who suggest that all religions essentially culminate in a transcendent or esoteric unity. Although not a few scholars who reject it, this term continues to be discussed. Let's also discuss it briefly.
Penisbatan Wahdat al-Adyan

Generally, the term wahdat al-adyan is first attributed to the tenth century Sufi martyr, al-Hallaj. One of his famous poems is:

Truly, I have thought carefully about religions,

And I have found the source, to whom all mankind is gathered.

You should never force a religion on someone,

Because truly it is a denial of eternal sources.

Only the eternal Source determines it,

Only to Him all majesty and meanings can be understood

(Mukti Ali, 2015: 324).

The context of this statement is that during his lifetime in Baghdad , al-Hallaj witnessed the disharmony of relations between Muslims and non-Muslims.

As the majority community, Muslims often recklessly harass non-Muslims. Al-Hallaj at that time, to be exact, saw a Muslim harassing a Jew.

The next day, when he met the Muslim, al-Hallaj said, “O my son, all religions belong to God. Know that Judaism, Christianity, Islam and other religions are just different symbols and names, while the target is not different." (Ibid.).

From his statement, al-Hallaj was later considered to be the originator of the idea of ​​wahdat al-adyan , although the term itself never came out of his mouth.
Ibn Arabi's view of Wahdat al-Wujud

Not only did al-Hallaj, the great Andalusian Sufi, Ibn Arabi, in many of his views, imply the idea of ​​the esoteric or inner unity of religions.

In fact, he doesn't just imply it. Instead, he made this view explicit in one of his poems. A poem that is often quoted by many people.

My heart can hold all forms,

to the deer is the savanna, to the monks is the monastery,

Temples for idols, Kaaba for pilgrims

Torah sheet, Al-Qur'an manuscript

I embrace the religion of Love;

wherever the camels of Love tread,

that's where my religion and faith roam

(Ibn Arabi, 1978: 67).
Also Read The Meaning of Happiness According to Philosophers

It cannot be denied that Ibn Arabi himself never mentioned the term " wahdat al-adyan ". Nevertheless, the verse we have just quoted shows that Ibn Arabi appears to be inclusive in accepting the truth of other religions.

Apart from being so inclusive, Ibn Arabi also did not hesitate to negate exclusivity.
Syair Wahdat al-Wujud dari Jalal al-Din Rumi dan Ibn al-Farid

Besides Ibn Arabi, the most worthy of mention is Jalal al-Din Rumi. he hums,

What can I do, O Muslims? I don't know myself.

I'm not a Christian, not a Jew, not a Zoroastrian, nor a Muslim.

Not from the East, not from the West. Not from land, not from the sea.

(Idries Shah, 1968: 103).

Just like Ibn Arabi's poem that we have quoted, Rumi also shows his position walking on the path of love. Ibn al-Farid, the Sufi poet from Egypt, nicknamed "sultan al-'ashiqin" (lord of the lovers), hummed,

The burning fire of the Qur'an is the light of the mosque's mihrab

it does not undermine the Bible which is the light of the Christian church

[and] the teachings of the Torah that speak to his people

who every night sings the prayer of prayer

prostrating, prostrating, and worshiping in front of the stone statue in the sculpture,

will not be blocked by the disobedience of fanaticism

I have issued a warning to those who deviate from the truth

and have expressed my apologies to all groups

no deviant religious doctrines,

and there are no deviant beliefs

Magi worshiped fire, and never went out,

Like a thousand blasphemy roar thundered.

(Mukti Ali, 2015: 349-350).
***

I think there are not a few Sufis who voice similar ideas. Hakim Sanai, for example, the twelfth century Persian Sufi poet, hums,

At his doo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uslim and Christian,

the good and the bad?

At its door all are seekers and He is sought.

And there are still many Sufi poets who will hum a similar idea, an idea called wahdat al-adyan .

Indeed, the Sufis, so far, have never explicitly mentioned the term wahdat al-adyan . Before we investigate further about the origins of this term, it is better for us to briefly review how contemporary Muslim scholars respond to the idea of ​​" wahdat al-adyan ". In this case, Muslim scholars are divided into three views (Media Zainul Bahri, 2021: 1-3).
Also Read Three Groups of Sufis According to Ibn Taimiyah
Repon for Sarjanawan

First , a view that even disbelieves the Sufis, which is loudly represented by 'Abd al-Rahman al-Wakil. This first view sees wahdat al-adyan as proof that the Sufis who stand up have slipped into error and have deviated from the true teachings of Islam.

Second , the view that rejects wahdat al-adyan comes from the Sufis. For this second view, the Sufis never actually taught or formulated the idea of ​​wahdat al-adyan . Those who understand this are just misunderstanding the thoughts of the Sufis.

This mis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m,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Western scholars in reading Sufism and especially by the influence of discussions on pluralism of religions originating from Western scholars. Thus, making Muslim scholars search for their treasures on this matter.

Those holding this second view include scholars from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and Civilization (ISTAC), Malaysia, especially senior Malaysian Muslim intellectuals from Indonesia, Syed Muhammad Naquib al-Attas, and Suad Hakim, an expert on Ibn Arabi from Lebanon.

Third , the view that affirms that indeed the Sufis spoke seriously about wahdat al-adyan . Although terminologically the term did not come from them alone. Scholars who hold this view include Henry Corbin, Nicholson, Annemarie Schimmel, and William C. Chittick.

If all we mention are them, surely we will immediately think that what is said by those who hold the second view is true. That these terms or ideas are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of Western scholars.
Those who Affirm Wahdat al-Adyan

Let's mention Muslim scholars who affirm wahdat al-adyan . Among them are Ahmad Amin, Muhammad Mustafa Hilmi, 'Abd Qadir Mahmud, and Abu al-Ala Afifi.
Read Also Looking at Gender Equality with the Perspective of Sufism

The latter, Abu al-Ala Afifi, a serious scholar of Ibn Arabi as well as contemporary commentator Fusus al-Hikam , does not use the term wahdat al-adyan in reading Ibn 'Arabi's texts, instead he uses the term "universal religion".

Muhammad Mustafa Hilmi, Professor of Philosophy and Sufism at Cairo University, in his work on Ibn al-Farid, Ibn al-Farid wa al-Hubb al-Ilahi , mentions al-Hallaj, Ibn Arabi, and Ibn al-Farid as adherents of wahdat al -adyan .

Mustafa Hilmi in his work uses references from Western scholars, namely Massignon and Nicholson.

According to Bahri (2012: 35), Massignon and Nicholson's work quoted by Mustafa Hilmi does not clearly mention the term " wahdat al-adyan ". Thus, he concluded that the scholar who first used the term was Mustafa Hilmi.

The Egyptian Sufi scholar Abd al-Qadir Mahmud, in his work al-Falsafah al-Sufīyah fi al-Islam , indeed also uses the term wahdat al-adyan and attributes the term to Ibn 'Arabi, who according to him is one of the natural children of the main teachings Ibn Arabi, wahdat al-wujud . However, he took this term from Hilmi's book.

So, he was not the first scholar to use this term. Thus, regarding the accusation that Muslim scholars misunderstood the idea of ​​wahdat al-adyan which was attributed to Sufis due to the infiltration of Western scholars' thoughts proven to be wrong, it is more or less influenced by the study of religious pluralism that is developing in the West.

According to one researcher, Anis Malik Thoha (2005: 18), discourse on religious pluralism in the West emerged only in the eighteenth century. So, the accusation that wahdat al-adyan was influenced by Western thought or discourse has been proven wrong. The Sufis have echoed, neither discourse nor pluralism, spiritual perceptions that all religions rest and meet in the same "pure space" or "inner space".

Editor: Yahya FR


West sufi
0
0



8 posts

Angga Arifka
ABOUT AUTHOR
Alumnus of Ushuluddin Faculty and Philosophy of UIN Sunan Ampel Surabayaarticle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slamic philosophy and Muslim philosophy? - IBTimes.I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slamic philosophy and Muslim philosophy? - IBTimes.I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slamic philosophy and Muslim philosophy?
By Angga Arifka

27/05/2022


What is meant by Islamic philosophy? Is there an Islamic philosophy? Religion, namely Islam on the one hand, and philosophy, on the other, are they compatible with each other?

Generally, when reading book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we can hardly find the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in them. The question is why? I think it happened because there was a big narrative built by the previous orientalists, that Islamic philosophy was just a duplication of Greek philosophy, so they ignored the contribution of Islamic philosophy itself.

Islamic philosophy is considered a kind of footnote to Greek philosophy. In addition, there are actually many terms used by Western scholars to refer to Islamic philosophy, namely Arabic philosophy ( Arabic philosophy), Muslim philosophy (Muslim philosophy ) , and philosophy in the Islamic world ( philosophy in the Islamic world) . ).

Definition of Philosophy

Before going any further, we need to see for a moment what philosophy means according to Muslim philosophers. Al-Kindi, the first Arab Muslim philosopher, defines that philosophy is the science that studies the essence of everything.

Furthermore, al-Farabi, who is called the second teacher of philosophy after Aristotle, explained that philosophy in its meaning and essence is a science that studies everything that exists as it is (Syamsuddin Arif, 2014: 6).

The term philosophy ( philosophia ) is absorbed into "philosophy" in Arabic. Unfortunately, in the Qur'an there is no word that mentions "philosophy". Even so, all Muslim philosophers understand that philosophy or philosophy is synonymous with "wisdom".

According to Ibn Sina , wisdom is the perfection of the human soul that succeeds in grasping the meaning of everything and is able to express the truth with reason and action in accordance with its abilities as a human being (Ibid, 5).

I think it's pretty clear what Ibn Sina meant. He intends to show that philosophical activity is not far from religious activity. That is, with reason, humans can reach the perfection of the soul. This is one of the opinions of Ibn Sina in answer to one of the questions above.
Read also Mulyadhi Kartanegara: Picking up the Future of Islamic Philosophy

By looking at the fact that history of philosophy books are common in which we can hardly find the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we can draw a tentative conclusion that the existence of Islamic philosophy is downplayed, and maybe “ignored completely”. Why?
Terminology Disputes

Let's begin to reconsider whether Islamic philosophy is worthy of the record. In the twentieth century, Islamic scholars from the West still did not have the same opinion to call what we are talking about now: Islamic philosophy, Arabic philosophy, Muslim philosophy, or philosophy in the Islamic world.

First , some scholars, such as Ernest Renan, Peter Adamson, and Dimitri Gutas, call it "Arabic philosophy". Their reason was that philosophy at that time used the same language, Arabic as the lingua franca of philosophical activity.

Indeed, not only Muslim philosophers who built the philosophical system at that time, but also Christian philosophers such as Yahya bin Adi and Jewish philosophers such as Maimonides participated in it.

Furthermore, the use of the term Arabic philosophy actually confirmed that the philosophical system at that time was not much different from previous Greek philosophy, and the only difference was the language, Arabic. In my opinion, such claims are half true, but the rest are not.

Actually, many themes were raised by Muslim philosophers without referring to Greek philosophy, such as prophetic philosophy, philosophy of sainthood, philosophy of eschatology, and especially ushul fiqh (philosophy of Islamic law). In addition, Islamic philosophy in its first appearance brought a new field in which there was a goal to harmonize philosophy with religion.
***

If so, shouldn't we call it "theology"? I don't think so, because that is the scope of "kalam" or Islamic theology which includes theological issues based on Islamic doctrine in the texts of both the Qur'an and hadith, while Islamic philosophy is anchored on the basis of reasoning.
Read also Mabadi' 'Asyarah Philosophy of Intelligence

Second , some scholars decided to use the term "Muslim philosophy". The reason is that the system of philosophy is based on its philosophers. The argument is quite weak.

In my opinion, there is no Muslim philosophy if there is no Islam itself. Therefore, the most basic is the influencer, while Muslim philosophers are influenced. If there were no Islam, there would be no Muslim philosophers.

Third , philosophy in the Islamic world. This term wants to underline the area of ​​the Islamic world at that time, the eighth, ninth, and so on, when philosophy developed in the Islamic world from Andalusia to Khurasan.

However, we may hesitate to agree with this term, because philosophical activity is not only carried out by Muslim philosophers, but also by non-Muslim thinkers living in the Islamic world.

Fourth , the majority of scholars use the term Islamic philosophy such as Montgomery Watt, Oliver Leaman, and others. This point wants to emphasize that it is completely unfair to conclude that Islamic philosophy is just a duplication of Greek philosophy.

Indeed, we cannot deny that Islamic philoso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Greek philosophy. But actually, the source of Islamic philosophy is the Hellenized philosophy of Alexandria (Alexandria). Therefore, the philosophical system is not strictly Greek. We know that Alexandria was then the center of scientific civilization. Which, combines several cultures and mystical traditions. Like Persia, Egypt itself, and Greece.
Islamic Philosophy as a System

The main point is that Islamic philosophy is directly framed in Islamic language (not Arabic). And, in the cultural context of Islamic society which is covered by Islamic doctrine as well. The first three terms, we can conclude, only consider philosophy as a product, while the last views philosophy as a system.
Also Read Suhrawardi Al-Maqtul, Islamic Illumination Philosopher Who Was Killed

We can defend against the last term, because philosophical action in Islam is guided by Islamic doctrine itself. In the Al-Qur'an, many verses that we can find recommend not only Muslims in particular but also humans in general to think, meditate, observe, contemplate, consider, and understand everything deeply in the world.

In short, Islamic philosophy really existed not because of the external influence of Greek philosophy, but mainly because of the guidance of Islamic doctrine in the Qur'an itself.


Islamic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