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27

Beyond the Sprouts of Capitalism | MR Online

Beyond the Sprouts of Capitalism | MR Online

Comic on "The Opium Ban in China" from the weekly De Amsterdammer, December 2 1906

Beyond the Sprouts of Capitalism

Toward an Understanding of China’s Historical Political Economy and Its Relationship to Contemporary China

I

The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nature of the Chinese system,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discussion and debate in mainstream academic, media, and political circles, as well as on the left.1 Since the end of the 1970s, China has pursued policies of “reform and opening” (gaige kaifang, 改革開放) to develop its economy, a process that has resulted in the massive growth of production, China’s emergence as a major player in global trade, and the lifting of around 800 million people out of poverty, while at the same time generating serious problems of inequality, corruption, and environmental stress. At the heart of this project has been the decision by the Communist Party, originally under the guidance of Deng Xiaoping, then carrying on through successive changes of leadership, to use the mechanisms of the marketplace to develop the productive economy. How should this situation be characterized? Is it capitalism, state capitalism, market socialism?2

One can only make sense of contemporary China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economic history.3 A historical materialist analysis of the nature of China’s political economic order over the course of history, especially the last thousand years, can illuminate critical aspects of the present. A serious engagement with the complexities of China’s historical economic systems must take into account knowledge about the Chinese past that was not available to Karl Marx, allowing us to go beyond the vagaries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and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earlier theorizations of the “sprouts of capitalism” (ziben zhuyi de mengya, 資本注意的萌牙) by historians in China in the 1950s and ’60s.4 Applying categories and modes of analysis derived from Marx’s Capital and other writings to the understanding of China’s early modern history and exploring the relevance of that history to contemporary China are the main tasks of this essay.

From the period of the Tang-Song transition, roughly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China developed a commercial capitalist economy that encompassed a largely urban manufacturing sector and also reshaped agricultural production in much of the empire. A ruling class evolved that was a hybrid of the long-established landowning elite and the early modern commercial stratum, which managed the economic affairs of the country through a blend of private agency and the operations of the imperial state. Through much of China’s imperial past, the state maintained a complex, not always consistent, role in economic affairs, seeking both to support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promote prosperity, constrain the pursuit of private profit, and regulate the functions of markets. This historical relationship has inflected the developmental itinerary of the country and is reflected in the deployment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I

China’s recorded history goes back more than 3,200 years and can be usefully divided into four major periods: (1) antiquit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BCE; (2) the middle period, from the second century BCE to the tenth century CE; (3) the early modern period, from the tenth through the eighteenth centuries; and (4) modern China, from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5 Throughout antiquity, China was ruled by an elite of warriors who controlled the land, collecting tribute from their subjects. Economic activity was largely locally self-sufficient, with a small layer of high-value elite trade centered on the royal court(s). Over time, a professional administrative elite developed, often referred to as the literati because of their mastery of the written records of history and their shared literary culture. These administrative officials were often rewarded with grants of land, and over time these became hereditary property, though the sovereign always retained ultimate ownership.6

The middle period began with the unification of the empire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imperial system under the Han dynasty (202 BCE–220 CE). During this period, private ownership of land became a practical reality, while in theory the empire continued to belong to the ruler, now the emperor. Many officials in government service built up significant land holdings, while other great families emerged based on their local acquisition of agricultural assets. This was a complex, long-term process, with large landed estates forming by the later Han, which became the underpinning for the political influence of the landowning class. Over the centuries of the middle period, China developed an aristocratic elite, with quasi-official status and a strong transmission of wealth across generations. China went through periods of internal divis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Han dynasty in 220, and then renewed imperial unification under the Sui and Tang dynasties (589–618 and 618–907, respectively). Recruitment for service in the imperial government, which was largely pursued through a process of recommendation by serving officials, allowed established families to place their sons in careers in official life and perpetuate the power of the elite. This aristocratic class effectively dominated the state, which served to promote and protect its interests.7

Alongside the estates of the great families there was a sector of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ed around small holders, managed through a system of land tenure maintained by the imperial state, which regularly redistributed land to male heads of village households who, in turn, were taxed in grain and cloth products. The system varied in its specifics in different parts of the empire but was a clear example of state oversight and management of economic activity. This oversight also extended to urban centers and markets. Imperial law restricted the number and location of markets and established strict controls over their operations. This blend of aristocratic estates, state-managed distribution of small holdings, and tightly regulated urban markets was not in any sense feudal in its economic or political organization and functioning.8

By the ninth century, changes began to emerge in China’s cities and countryside. The Tang dynasty had been deeply shaken by the An Lushan Rebellion in 755–63, and the long-established aristocracy began to decline. But even before this, the very success of the imperial system of economic management had given rise to contradictions within the economy. Its potential for growth and development exceeded the parameters of state oversight, and new forces began to push beyond the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 The power of the dominant elite and the control of urban space by official overseers weakened. Markets began to spread outside areas that had been designated and monitored by the state and to become more integrated into residential areas. Private ownership of farmland expanded beyond the great estates and the land subject to government distribution. The imperial court maintained a role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ertain key commodities through government monopolies, a practice that had its roots centuries earlier in the Han dynasty. But the overall role of the state in economic affairs declined, just as the class basis of imperial rule was itself dramatically altered.

In the later ninth century, further rebellions destroyed much of the elite’s wealth and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at had legitimized and maintained its power and prestige. Rebellious peasants attacked the estates of the wealthy, killed many members of the elite, and burned the documents that validated their status and power. The fall of the Tang in 907 led to the chaos of the Five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with small regional states contending for power through chronic warfare and further destruction, until the Zhao brothers established the Song dynasty in 960 and reunified the empire over the ensuing decade. The warfare of this age of transition cleared the way for the further transformation of China’s economic and political order. The old aristocracy was gone, but the ownership of land and the control of agricultural production was still the primary mode of wealth accumulation.9

As the Song dynasty (960–1279) consolidated its power, a new elite emerged, formally based on the attainment of merit through education, but practically grounded in the riches produced on their estates. These provided the resources to support the education of sons in the Confucian classical traditions that formed the basis of the imperial civil examination system, which became the main vector for entry into service in the bureaucratic administration of the empire. Not all landowning families produced examination graduates or government officials. The class of landed wealth was more extensive than the group of literati who staffed the imperial state, and relations between members of this class in their capacity as local elites or as representatives of imperial power could be complex. This larger clas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gentry, and the overall landowning class may be designated, perhaps somewhat awkwardly, the literati/gentry.10

This reconfiguration of the landholding elite took place in tandem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a commercial economy in China. Markets proliferated, woven together by networks of long-distance trade spanning the empire and linking up with larger global systems. New forms of capital valorization and accumulation took shape within an increasingly monetized economy. Division of labor both within productive enterprises and on a regional geographic basis, as well as ongoing technological innovation, drove enhancements in productivity. New developments in banking and financial operations facilitated the mobilization and allocation of capital.11 This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early modern period that began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and continued, with dramatic advances and retreats, throughout the following eight hundred years, across several dynastic transitions, down to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at the turn of the nineteenth century. It is the emergence of China’s early modern capitalist commercial economy and its development over the following years that must be understood to enable a better comprehension of China’s recent pursuit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II

China’s “commercial revolution” in the Song dynasty has long been recognized, beginning with the work of Naitō Konan and the   Kyoto School of Marxist historians in Japan in the 1930s.12 But the intellectual constraints imposed by the orthodoxies of Soviet economic and historical thought, with the centrality of a stagist sequence of development that had to be applied to all societies around the world, meant that China could not be seen as having had a capitalist system before the arrival of European imperi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China was either viewed as part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which had remained essentially static and unchanging in a primitive form of feudalism over three millennia, or was assimilated into the succession of historical eras enshrined in Joseph Stalin’s 1938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13 Marx’s original formulation of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India and was based on partial and often faulty information. His knowledge of China was severely limited by both the imperialist biases of most writers and the minimal access to Chinese-language sources available then. It is time to place China’s early modern political economy in a clearer perspective. Let us consider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of production and circulation in early modern China in Marxist terms.14

In volume one of Capital, Marx investigates and delineates several key features of capitalism as it had developed in Europe, most particularly in England. In his preface to the first edition, he makes clear that while he is relying primarily on the analysis of the dynamics of capital as it developed in the West, he sees the characteristics that he discerns in that context as applicable to a broader definition of capitalism as a system.15 Beginning with the commodity and commodity production—that is, production for exchange on the market—he goes on to discuss money as the universal commodity, the process of the valorization of capital (M-C-M′) based on the exploitation of labor power, the mechanisms of wage labor, the division of labor as the means of maximizing that exploitation, and the ongoing imperative of accumulation of capital. These are key defining elements of a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16

All of these are present in China from the Song dynasty on. Markets flourished and proliferated, woven together into networks of exchange that spanned the empire and linked up to larger regional and global systems. Commodity production, with sophisticated divisions of labor both across space and within enterprises, expanded dramatically. The growth of China’s capitalist system of manufacturing—which ranged from the elaborate putting-out system of the silk and cotton textile industries to the massive complex of ceramic kilns at Jingdezhen, the largest industrial center in the world before the nineteenth century—also reshaped the sphere of agricultural production.17 China had a sophisticated system of private property in land, and the buying and selling of real property was carried on and documented through the use of legally binding contracts enforceable through the imperial judicial system.18 Farming became increasingly commercialized, with production for national market distribution coming to form significant portions of production in provinces like Sichuan and Hunan. Tenant farming and agricultural day labor grew in importance. Wage and contract labor were central to the manufacturing sector in Jiangnan and elsewhere, from spinners and weavers to ceramics workers and carvers of woodblock printing boards. Strikes and other forms of labor unrest were recurrent in cities like Suzhou and Wuxi.19

China is a large and complex geographic space, with considerable variation and distinctive regional subunits, called macroregions, as theorized by G. William Skinner.20 Each of these is as large as a major European state. Early capitalism in China was by no means equally developed across the empire. Some regions, such as the northwest or the southwest, were much less commercially developed than others, such as the Jiangnan area of the Yangtze River delta, the southeast coast, the corridor along the Grand Canal, or the long valley of the Yangtze. China’s early capitalism was most highly evolved in Jiangnan, where networks of urba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acilitated sophisticated system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deployment. In European history, given the fragmentation of political authority into small and conflicting territorial spaces, the consideration of the economy of England as a discrete unit of analysis, as opposed to a larger European whole, has been the norm. Given China’s vast territorial extent and complex internal macroregional variation,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nese capitalism as a distinctive formation within the overall expanse of imperial space seems like a more useful approach than attempting to fit the empire as a whole into a monolithic categorization.21

The point is not that China was just like Europe (or, more properly, the other way around, given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developments), but that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capitalism, as explicated in Capital, were also present there, in their own historically and culturally specific forms. China’s early modern political economy, a distinctive form of early capitalism, emerged in the Song dynasty and persisted through periods of growth and contraction across the following Yuan and Ming eras and into the final Qing dynasty. Two aspects of this historical trajectory are of particular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distinctive course of development that characterized China’s early modernity in contrast to the later path of European experience. One is the span of time, which extended over some eight centuries; the other is the nature of class formation and interaction.

IV

Early modernity in China was not a linear process of development leading to a fully modern industrial economy. Early Chinese capitalism, despite going through periods of dynamic growth and transformation, remained essentially commercial capitalism at the level of manufacture, as described in chapter 14 of the first volume of Capital.22 This was a more sophisticated system of production than simple handicraft activities by individual households, but, other than in the special case of the kiln city of Jingdezhen, was not organized into large-scale industrial enterprises. Produ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complicated networks of social relations, in workshops and households, while distribution was largely managed by networks of merchants spanning multiple provinces in interconnecting webs of commerce. Financial mechanisms of credit and banking facilitated long-distance trade.23 These structural features first arose in the Song dynasty and were elaborated and refin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ut the course of economic life, as of China’s history overall, was not one of smooth and tranquil progress. In the twelfth century, the Song lost control of the northern half of the empire to invaders from the northeast called the Jurchen, who established their own dynasty. In the thirteenth century, the rise of the Mongols plunged the remnant Southern Song into a decades-long war of resistance that ended in the collapse of the dynasty and the creation of the Mongol-ruled Yuan as its successor. These wars, and the often anticommercial policies of the Mongols during their century of rule, caused great destruction to China’s population and economy. The Mongols engaged in high-value international trade, but the domestic commercial economy declined during their time in power, though the most highly developed Jiangnan region seems to have fared better than other parts of the empire. When the Ming dynasty was founded in 1368, after central China had been further devastated by disease and the rebellions that overthrew the Yuan, the first emperor was actively hostile to merchant wealth and promoted a physiocratic vision of society based on small landholding and local self-sufficiency, although the empire-spanning network of roadways that he developed for imperial communications also facilitated the revival of long-distance trade.24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saw a dramatic revival of China’s early capitalism, as production and trade across the empire flourished and the international demand for Chinese goods such as tea, porcelain, and silk and cotton textiles drew increasing amounts of silver, first from Japan and then from the mines of the Spanish New World empire via the Manila galleon trade, into China.25 Ongo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drove improvements in productivity and quality that made Chinese manufactures ever more popular in global markets. But by the mid–seventeenth century, contradictions within Ming society and politics led to the collapse of the dynasty, and yet another invasion by a non-Chinese coalition led by the Manchus seized power and installed the Qing dynasty in 1644. In the eighteenth century, China recovered from the traumas of the dynastic transition, and a final era of early capitalist prosperity ensued.26

The Opium Ban in China” poster from De Amsterdammer, December 2, 1906 (via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al History). Rough translation of bottom caption: John Bull: “Such a heathen…as a dragon slayer! … I will feel that in my wallet!” Dutch Virgin (to Marianne): “And that this guy should give us an example ….”

In 1793, the British king George III sent a diplomatic mission to China, led by Lord George Macartney, to seek new trade relations. Foreigners were allowed to trade with China in a regulated system at the port of Guangzhou, known to Westerners as Canton, in the far south of the empire. The British, imbued with the new ideology of free trade and on the cusp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wanted China to open more ports and allow a permanent diplomatic presence in Beijing. The Qianlong emperor declined these requests and reminded the British, in a letter to King George, that China had all it needed within its own borders and had no wish for the inferior products of the West. But while this remained the case, a combin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was about to bring an end to China’s early modern capitalist age. Limits on the capacity of agriculture to sustain continuing population growth began to erode material standards of living. The rise of England’s modern industrial economy brought both inexpensive goods to compete with China’s domestic products and the military capacity to force the Qing government to open the empire to Western imperialism. A new era was beginning.

V

Early modern capitalism in China endured across many centuries, with periods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but with a persistent drive toward greater sophistication and productivity, and with the accumulation of wealth derived from the extraction of surplus value from labor power reviving after each era of destruction. This generated a wealthy stratum of merchants and investors, largely urban in residence, and distinct from the more traditional elite of landowning households that, through their domination of the Confucian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controlled the operations of the imperial government. Within the discursive field of Confucian thought there was a strong tradition of aversion to commercial wealth and disrespect for those who lived on the profits of trade. Merchants and their sons (and sometimes grandsons) were legally excluded from participation in the examination system, and thus effectively from political power. With the rise of early capitalism and the emergence of a wealthy commercial elite, these ideas began to be challenged and changed by some thinkers. While merchants never came to be fully entitled to an equal role in the examination system or to a political status matching that of the literati/gentry elite, a convergence of interests drove a slow process of cultural adjustment that created a hybrid class more complex than either a purely land- or commerce-based elite. This change in attitude, in political culture, was driven by the convergent material interests and actions of both agricultural and manufacturing producers.27

As China’s economy became more differentiated, with regional specialization in the production of certain commodities and the attendant growth of long-distance trade in both manufactured goods and foodstuffs, commercialized farming became increasingly profitable and landowning families sought new ways to invest their wealth. Merchants and investors in manufacturing activities also were generating wealth and seeking to further expand the valorization and accumulation of their capital. At the same time, many members of the commercial elite sought to position themselves socially as the equals of the literati/gentry in status and prestige by engaging in patronage of religious establishments, cultural pursuits such as the collecting of art or the assembling of libraries, or the building of elaborate mansions and gardens.28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ests and ambitions of landowning and commercial elites came about through the process of investment in economic activities. Members of the literati/gentry elite directed some of their wealth into the businesses of merchants and manufacturers, and shared in the profits of those enterprises. These economic strategies resulted in a convergence of interests rather than a relationship of antagonism. This is in some ways a stark contrast with the later history of class conflict between the rising bourgeoisie and the older feudal aristocracy in Europe, but it is not without parallel. Indeed, in an 1850 review of a book on the seventeenth-century English Revolution by the French politician François Guizot, Marx described a similar convergence of class interests:

This class of large landowners allied with the bourgeoisie…was not, as were the French feudal landowners of 1789, in conflict with the vital interests of the bourgeoisie, but rather in complete harmony with them. Their estates were indeed not feudal but bourgeois property. On the one hand, they provided the industrial bourgeoisie with the population necessary to operate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on the other hand, they were in a position to raise agricultural development to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at of industry and commerce. Hence their common interests with the bourgeoisie: hence their alliance.29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the landed literati/gentry and the largely urban commercial/manufacturing elite in China persisted, and perhaps deepened, across the span of early modern times. Both sides of this ruling-class collaboration of course remained dedicated to the extraction of surplus value from the labor of workers, whether on farms, in workshops, households, or the marketplace. This hybridity was also reflected in economic thought and government policy. The imperial state was not a strong advocate for commercial interests, but nonetheless often played a role in economic life that benefitted both manufacturing and exchange.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roads and canals facilitated the growth of long-distance trad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me critical commodity markets, especially grain, often served to stabilize prices and buffer the extremes of market fluctuations, thus protecting both the livelihoods of consumers and the ongoing operations of merchants.30 The interplay of elite interests and state policy varied over time but was always complex and could certainly be contentious. Fundamental to China’s Confucian political culture was the idea that the state’s primary purpose was to create and maintain conditions of stability and security that would allow the people to pursue their livelihoods in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Debates as to how best to achieve this ideal could be sharp, and different policy orientations predominated at various times, but the active role of the state in economic life was always a part of the mix.

This process of intellectual and cultural change went beyond the purely economic realm. In the preface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written in 1859, Marx notes that, in the social production of their existence, men enter into definite, necessary relations, which are independent of their will, namely, relations of production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e stage of development of their material forces of production. The totality of these relations of production constitutes the economic structure of society, the real foundation on which there arises a legal and political superstructure and to which there correspond definite forms of social consciousness.31

In China, as early capitalism developed from the Song dynasty onward, new “forms of social consciousness” reflecting these new material realities also took shape. This became especially apparent by the Ming dynasty as a new merchant culture, drawing on particular elements within the broad discursive field of Confucian thought, articulated the hybridity of China’s elite society. The integration of elite elements based in manufacturing and trade with the long-established land-based literati/gentry yielded new ideas that revealed the mutual influence of new realities and older cultural beliefs and behaviors. Merchants engaged in practices of cultural patronage and aesthetic consumption in emulation of existing “gentlemanly” norms, endowing Buddhist religious institutions, building gardens, and assembling library collections. Confucian thought was influenced by market cultur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ledgers of merit and demerit,” a form of moral accountancy in which individuals produced balance sheets for their conduct, or in the production of manuals of business practice that sought to navig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of profit and the maintenance of proper social relationships of community and stability. Imperial Confucianism remained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state, and within social elites, but it was adapted and adjusted to fit with the new material realities of commercial and manufacturing capitalism.32

The form of capitalism that emerged in China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was marked by distinctive forms of power relations. Rather than evolving an antagonistic contradiction between an urban bourgeois class of merchants and manufacturers and a conservative feudal aristocracy of landowning great families, China developed a hybrid elite in that landed and commercial interests converged and functioned as the ruling class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the imperial state. China’s historical itinerary did not lead to a bourgeois revolution taking power, but rather yielded a balance of elite forces and interests that remained hegemonic across repeated transitions in dynastic rule and that endeavored to shape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the imperial state in its own interests.

The government was tasked at a minimum with providing the security and stability needed to allow people to pursue their livelihoods, though the state could also play a more proactive role in economic life from time to time. Imperial dynasties built and maintained important infrastructure that facilitated long-distance trade, such as the Grand Canal and other water transport systems, or the imperial post roads that spanned the empire. Government monopolies in certain critical commodities were used to buffer some of the extremes of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curtail excessive profit seeking by private capital. Interventions in the all-important grain markets were deployed to sustain consumers in times of bad harvests and shortages. The imperial state was hardly a mercantilist actor, but it di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flourishing of China’s commercial capitalism.

VI

This understanding of China’s past can help illuminate some aspects of the country’s contemporary economic and political formations. China today is a society emerging from a long period of humiliation and oppression at the hands of Western imperialism, and from the turmoil and devastation of decades of revolutionary conflict and the Japanese invasion and occupation from 1937 to 1945. China’s early modern order proved unable to transcend its own limitations and was incapable of meeting the challenges of foreign intrusion and domination. By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he Qing empire had begun to face serious economic challenges, with population growth pushing against the limi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within the established systems of land tenure and productive technologies. While the Qianlong emperor could still reject Britain’s overtures for free trade in 1793 based on China’s superior economic position, contradictions within the existing mode of production were intensify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unleashed both immense productive capacities and powerful new military capabilities that, combined with the ideology of free trade promoted by the competitive imperatives of capitalist production and the ideas of Adam Smith and other political economists, transformed first the British and then other Europeans’ relations with the rest of the world in a wave of colonialist expansionism that fundamentally reconfigured the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order. China was subordinated to Western imperialism. Its long-vibrant commercial capitalism, already under pressure from internal difficulties, rapidly succumbed to foreign competition. European industrial capitalism reconfigured global relationships, creating a planetary division of labor within which China, though never made a colony of an individual Western power, assumed a subordinate role as a source of raw materials and as a market for European manufactured products. New Chinese capitalist elements began to appea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but they struggled against the dominance of foreign businesses and finance. Western capital and the national governments that served it developed and maintained their power based on a monopoly of industrial productive technologies. The colonial system, which included China’s semicolonial position, preserved this monopoly until the Soviet Union began to develop its own industrial capacity in the 1920s.

In the countryside, the landed elite maintained much of its power and cultural preeminence, but, even there, wealth dwindled and prolonged instability eroded social cohesion. The imperial system staggered to its final collap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nearly four decades of political conflict and foreign invasion followed, destroying countless lives and further impoverishing the country. In the absence of a coherent national government, the extraction of surplus from agricultural production by local elites intensified and was exacerbated by warlord taxation and the corrupt practices of the nationalist regime. The Japanese invasion of 1937 and the war of resistance that lasted until 1945 brought further hardship and destruction to both urban and rural China.

Only with the victory of the revolution led by the Communist Party and the Red Army could the construction of a new modern China get underway. Land reform between 1948 and 1952 swept away the last vestiges of the old gentry landowning class in the countryside and created the conditions for building a new agriculture based on collective ownership and planned development.33 The industrial economy was nationalized in stages in the early 1950s, then began to grow through the deployment of capital from surpluses in both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according to a series of five-year plans developed from the mid–1950s onward.

Experiments with varying forms of industrial management sought new way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dern socialist economy.34 Aid and technical assistance from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t states was crucial in the first decade of the People’s Republic. China was able begin developing a modern industrial sector distinct from the Western monopoly.

The path of socialist construction was contentious and deep divisions over how best to advance led to decades of struggle and conflict within the party and in society. The years from 1949 to 1979 saw successes and failures, advances and retreats. Dramatic improvements were made in public health, with average life expectancy rising significantly while infant mortality fell. National infrastructure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was massively expanded, as were reservoirs and other hydraulic resources, and overall economic growth averaged over 3 percent per year. Basic social services were provided and education was extended to most of the country’s young people.35

Nonetheless, by 1979 China remained a poor country as population growth negated some of the increases in production and a focus on heavy industry and infrastructure kept household consumption at basic levels. In a series of decisions at the end of the 1970s and the beginning of the ’80s, the Communist Party decided to embark on a path of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改革開放) aimed at rapidly developing the economy and reorienting production both to meeting the needs of domestic consumers and to creating an export sector that would generate further growth through profits and th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At the heart of this process was the decision to use the mechanisms of the market to develop the productive economy. In other words, a certain amount of private capital would be allowed to function within the economy, in tandem with or parallel to the continuing operations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other forms of socialist industry and agriculture. Foreign capital would be welcomed in joint ventures, initially limited to special economic zones but eventually spreading to the country at large.

This was not a blank check written to a new capitalist class. The decision to embrace the use of markets as a driver of development was premised on the ongoing key role of the Communist Party in China’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e party would continue to be the guiding force shaping policy and practice, and would oversee the country’s progress toward a level of prosperity where the needs of all people could be met and where a more equitable social order could be engendered. This is the vision that is characterized as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Zhongguo tese shehui zhuyi, 中國特色社會主義).36

Though not without shortcomings and contradictions, China’s economy entered into an era of remarkable expansion as a result of these policies and practices. The Chinese economy’s growth rates often exceeded 10 percent over the next three decades and, in the pre-COVID years, were still growing by more than 6 percent annually. Productive capacity expanded rapidly and modern technologies were acquired, in part through joint venture partnerships with foreign capital. China also began to invest heavily in research and development to be able to pursue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 reduced reliance on foreign inputs.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were lifted out of poverty, material standards of living rose dramatically, and China emerged on the world stage as an increasingly important player in global economic life.

China’s economy today is a hybrid of state and other collectively owned enterprises, ranging from huge national entities to county or township level factories or workshops (about 45 percent of asset ownership), and a private sector that includes both domestic businesses and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about 35 percent of asset ownership). Another 20 percent of businesses fall into an intermediate zone, with a blend of public and private ownership.37 State-owned enterprises, at both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form the core of the productive economy and infrastructure, predominate in banking and finance, and are the single largest source of government revenue, but the private sector has also assumed major proportions, with a number of world class corporations playing leading roles and an ever-growing number of billionaires. The private sector currently accounts for a little over half of all employment in industry, though more than 40 percent of China’s people still live and work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ere land is owned by the state and leased to households. Production in both the industrial and agricultural sectors, by both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is geared to a system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Much of China’s growth has come through its exports to the global economy, but domestic consumption is being increasingly expanded.

The rationale for the reform policies can be understood in part within the theoretical parameters of Marxist and Leninist experience. In the Communist Manifesto and many other writings, Marx and Frederick Engels were very clear on the power of capitalist markets to drive innovation and development. V. I. Lenin turned to market mechanisms under the New Economic Policies in the dark years after the Civil War in Russia to jumpstart the growth of the new Soviet economy. The creative power of markets always threatens to become a reckless monstrosity, like the demons conjured by the sorcerer’s apprentice. This is why the careful oversight of the party is critical to China’s future.38

In a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reform policies in November 2013, Xi Jinping set out the party’s position: “In 1992 the Party’s 14th National Congress stipulated that China’s economic reform aimed at establishing a socialist market economy, allowing the market to play a basic role in allocating resources under state macro control.” He noted tha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he market lacks order, and many people seek economic benefits through unjustified means.” He also emphasized that “we must unswervingly consolidate and develop the public economy, persist in the leading role of public ownership, give full play to the leading role of the state-owned economy, and incessantly increase its vitality, leveraging power and impact.”39 Over recent years,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have pursued an aggressive campaign against corruption, expanded regulatory oversight of industry and finance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promoted ideal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ist values. These policies and practices suggest the complexity and dynam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y, the state, and private economic actors.

Under the policies of reform, China now has capitalists, but it does not have a capitalist class that can control the state and shape it to its own interests.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leading role of the party can be seen in the ways in which the most dangerous aspects of capitalist economics are being buffered and constrained today. China continues to devote major resources to eliminating poverty, a key benchmark of which was achieved in November 2020 when the last few counties, in Guizhou province, that had lagged behind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definition of absolute poverty were finally designated as having emerged from that status. China must further improve the livelihoods of its people, but it is making steady progress in that direction.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peaked in the first decade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e being addressed, and China’s commitment to be carbon neutral by 2060 is a clear statement of the priority of ongoing engagement with the ecology of the country.40 China is also developing a culture of what are sometimes called “patriotic entrepreneurs”— capitalists who understand that, i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y have a place within a unique social system, a hybrid of markets and planning, a blend of public and private ownership, and that they have a responsibilit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not only of their own enterprises, but to the enhancement of the people’s livelihoods.41 The operations of the United Front Department of the party have been expanded in recent years as another means of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y and other social and political elements.42 The party and the state thus are pursuing practical policies and actions to direct social resources to further development, and a program of cultural politics to ensure that the operations of private capital are integrated within the overall goals of socialist development.

The political and legal infrastructure of the People’s Republic, in particular the public ownership of land and the system of household registration, ensures that, just as there is no bourgeoisie, there is also no true proletariat. Workers in China are not compelled to sell their labor power in the marketplace because they have no property. The system of socialist ownership means that everyone in China has economic resources for their maintenance. Individuals are registered in their native places and have access to land as a place to live and to at least minimal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care. The importance of this was clearly demonstrat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and beyond, when, with the downturn in demand for goods produced in and exported from China, some twenty million workers were laid off from factories in places like Shenzhen and Shanghai. These workers were not simply cast out and left to their own devices, but instead could return to their home villages, where they remained entitled to the support of the socialist system. As China adjusted to the new demand structure of the global economy, and as productive activity revived in the following years, workers could return to their former employment or seek new opportunities without having been reduced to poverty and immiseration. The provision of dibao (低保), the basic level of support in rural China, is not enough to maintain a truly comfortable way of life, which is why so many young people from the countryside have sought better economic opportunities in factory or construction work in the cities, but it did serve to bridge the period of unemployment caused by the global crisis.

Workers have also been able to use the mechanisms of socialist legality to pursue their economic interests within China’s rapidly developing economy. The All-China Federation of Trade Unions has represented workers across the country, and workers and citizens in general have exercised their rights to protest, petition, and litigate through the courts to address issues from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to corruption and abuse of power by officials to the danger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yond the operations of the union federation, Chinese workers have been militant in pursuing their interests through protests and wildcat strikes. Workers and other citizens take the law and their rights seriously and regularly engage in direct action to pursue their interests. This can be portrayed as a sign of alienation, but may perhaps more properly be seen as indicating thei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ir civil powers.43 China’s socialist government and the Communist Party thus serve both to restrain the potential excesses and abuses of new capitalist elements and to maintain the central role of the working class within economic and social life.

This is not to say that workers who leave their native villages to seek employment in factories or on constructions sites are not acting out of economic motivations, nor that their labor power does not generate surplus value that is, at this stag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appropriated by private capital or even state-owned enterprises and other kinds of collectively owned enterprises. This is part of the bargain, part of the experiment on which the Communist Party embarked to develop China’s productive economy and accumulate wealth that leads first to a socialism of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小康社會) and eventually to the level of material abundance that is the threshold and foundation of a communist future. There are risks and challenges along this path. The growth that has been achieved has not come without costs. The use of market mechanisms implied the acceptance of certain contradictions that are inherent in their operations. Inequality in the country has increased sharply, as, to paraphrase Deng Xiaoping, some people got rich first. Environmental stresses became a serious problem, with pollution of the air, water, and soil damaging people’s health and undermining the quality of life. Corruption became a critical legal and political issue. The Communist Party has made great efforts to address these contradictions, but also remains committed to the path of reform. The process of experimentation and innovation that has unfolded in the course of the reform era is sometimes called “crossing the river by feeling the rocks” (mozhe shitou guohe, 摸著石頭過河) and perhaps constitutes a course of “two steps forward, one step back” as history advances.

In her book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Lin Chun writes that “it is no easy task to ‘join the market in order to beat it’ via relinking, borrowing, and embracing.” She goes on to ask:

Might “private” capital be simultaneously “social” in a socialized market to serve public interests? Could such a market survive and eventually overcome the capitalist world market, and on what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basis? Imposing these questions, we can recognize the truism that even a socialist society cannot avoid being “structurally dependent on capital.”…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reserved demarcation between capital and capitalism indicates the feasibility of preventing the logic of profit from colonizing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pheres—that is, if the right agency and institutions can be put in place.44

The historical outcome of China’s experiment with building a socialist market economy,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remains an open question. China’s remarkable success at cop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mobilizing social resources to address public health as a human right, in contrast to the catastrophic failures of capitalist, profit-seeking health care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suggests that, while much work remains to be done, the country may indeed be on a path to socialist modernity.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since 1949 provides one view of the complexities of China’s pursuit of a modern industrial, socialist system.

VII

Another way to consider the current reform era and the nature of China’s twenty-first-century political economy is in the longer perspective of China’s early modern capitalist history. The “Chinese characteristics” of China’s socialism can be understood in part as a structural and cultural redeployment of features we have seen in the Song-Qing era. The complex dialectic of the state seeking to both encourage and constrain the dynamism of capitalist markets that was pursued by imperial bureaucrats, to varying degrees at different times, resonates with the hybridity of public and private economic agents in China today. The shaping of a culturally specific political and economic consciousness through the interplay of market dynamics and select themes and currents within the broad field of Confucian thought and values, subordinating the single-minded pursuit of short-term profit to a longer perspective of socially responsible accumulation, perhaps foreshadowed today’s evocation of the ideal of “patriotic entrepreneur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People’s Republic is simply a new version of the old empire, old wine in new bottles, but rather that both the interplay of market forces and government policy in later imperial China and the present system of market socialism, or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nstitute distinct modes of production that can be best understood in a historical materialist analysis that recognizes both their relationship to broader global processes of economic history and their developmental linkages to deep currents of continuity in Chinese material and cultural life. The key difference is of course the class nature of the state, which in imperial times was the instrument of class rule by the hybrid landed-commercial ruling elite, but is today, with the leading role of the Communist Party, the management committee for the building of a new social order, at least aspirationally, and to a significant extent, practically, based on the interests and wishes of the working class. This remains a work in progress, as history continues to move.

Appreciating the specificities of China’s history and its present path within the overall framework of a historical materialist perspective allows us to move beyond trying to assimilate all forms of capitalism, all paths toward socialism, all versions of early modernity, to a single universal template. It is the mode of analysis that must be universal, and the data must drive the conclusions. The analytical perspective derived from Capital and Marx’s other writings does not mean we need to seek and find the exact same totality in every place to be able to apply a precise definition of capitalism, and to fit the experience of different peoples in different places into a monolithic narrative flow. A nuanced application of Marx’s methods to the particularities of place and time will yield results of greater practical utility in both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and an engagement with contemporary developments.

Notes:

  1.  See, for example, Yan Xuetong, Leadership and the Rise of Great Power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Zhang Weiwei, The China Wave: Rise of a Civilizational State (Hackensack, NJ: World Century Publishing, 2012); Yukon Huang, Cracking the China Conundrum: Why Conventional Economic Wisdom is Wro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Wang Hui, China’s Twentieth Century (London: Verso, 2016); Charles Horner, Rising China and Its Postmodern Fate (Athens, GA: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9).
  2.  The argument that China has capitulated to a capitalist system has been made many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reform era. See, inter alia, William Hinton, The Great Reversal: The Privatization of China, 1978–1989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90); Eli Friedman, “Why China Is Capitalist: Toward an Anti-Nationalist Anti-Imperialism,” Spectre, July 15, 2020.
  3.  A basic overview is provided in Richard von Glahn, The Economic History of China: From Antiquity to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4.  For a good account in English of Chinese writing about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through the 1980s, see Timothy Brook,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in China (Armonk, NY: M. E. Sharpe, 1989). Chinese scholarship on economic history and the question of the “sprouts of capitalism” includes, inter alia, 傅衣凌。明清時代商人及商業資本。北京:中華書局,2007;李伯重。多視角看江南經濟史(1250–1850),北京:三聯書局,2003;萬明,主編。晚明社會變遷:問題與研究。北京:商業印書館, 2005.
  5.  Much writing on Chinese history continues to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imperial dynasties. Broader categorie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long-term trends and developments, yet there is not a consensus on the appropriate terminology. Most scholars accept the term antiquity, but some continue to refer to the middle period as medieval, while the term early modern is adopted by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but with varying period definitions. Some continue to prefer the term late imperial for this period. For a critical discussion of periodization and a characterization of the last thousand years of Chinese history, see Richard von Glahn, “Imagining Premodern China,” in The Song-Yuan-Ming Transition in Chinese History, ed. Paul Jakov Smith and Richard von Glah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3), 35–70.
  6.  Hsu Cho-Yun, Ancient China in Transition: An Analysis of Social Mobility, 722–222 BC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5).
  7.  Zhang Chuanxi, “Growth of the Feudal Economy,” in The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Qin, Han, Wei, Jin,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221 BCE–581 CE), ed. Yuan Xingpei, Yan Wenming, Zhang Chuanxi, and Lou Yuli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39–95. The use of the term feudal in this chapter title reflects the continuing influence of Soviet-era orthodoxies.
  8.  Joseph P. McDermott and Shiba Yoshinbu, “Economic Change in China, 960–1279,” 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5, part 2, Sung China, 960–1279, ed. John W. Chaffee and Denis Twitchet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21–436.
  9.  Nicolas Tackett, The Destruction of the Medieval Chinese Aristocrac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4).
  10.  The use of the term gentry is problematic, given its derivation from European social history, but is conventionally established in Anglophone Chinese history and is retained here in tandem with literati to delineate the dual nature of the landowning elite as both local and imperial.
  11.  Shiba Yoshinobu, Commerce and Society in Sung China (Ann Arbor: Center for Chinese Studies, 1992); William Guanglin Liu, The Chinese Market Economy, 1000–1500 (Albany: SUNY Press, 2015); McDermott and Shiba, “Economic Change in China, 960–1279.”
  12.  Joshua A. Fogel, Politics and Sinology: The Case of Naitō Konan (1866–1934)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13.  Joseph Stalin,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 and Other Writings (Graphyco, 2020).
  14.  Earlier efforts to situate China in relation to the European development of capitalism are summarized in Timothy Brook and Gregory Blue, eds., China and Historical Capitalism: Genealogies of Sinological Knowled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See also David Faure, China and Capitalism: A History of Business Enterprises in Modern China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6). For an exploration of the history of capitalism on a global basis, using non-Marxist definitions including private property rights, contracts enforceable by third parties, markets with responsive prices, and supportive governments, see Larry Neal and Jefferey G. Williamson, The Cambridge History of Capitalism, vol. 1, The Rise of Capitalism: From Ancient Origins to 184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15.  Recent scholarship has highlighted the ways in which Marx also articulated, in Capital, the Grundrisse, and elsewhere, a recognition that the course of European economic history and development was not the only or inevitable path for all societies around the world. Kevin B. Anderson, Marx at the Margins: On Nationalism, Ethnicity, and Non-Western Socie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 Marcello Musto, The Last Years of Karl Marx, An Intellectual Biograph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0).
  16.  Karl Marx, Capital: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vol. 1 (London: Penguin Books, 1990).
  17.  On the industrial complex at Jingdezhen, see Anne Gerritsen, The City of Blue and White: Chinese Porcelain and the Early Moder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8.  Valerie Hansen, Negotiating Daily Life in Traditional China: How Ordinary People Used Contracts, 600–1400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5); Madeleine Zelin, Jonathan K. Ocko, and Robert Gardella, eds., Contract and Property in Early Modern Chin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
  19.  Michael Marmé, Suzhou: Where the Goods of All Provinces Converg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G. William Skinner, ed., The C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5).
  21.  For an incisive discussion of the question of comparability, see Kenneth Pomeranz, The Great Divergence: China, Europe,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Econom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22.  Marx, Capital, vol. 1, 455–91.
  23.  These features of commercial capitalism in China are comparable to those in Europe, as outlined in Jairus Banaji, A Brief History of Commercial Capitalism (Chicago: Haymarket, 2020).
  24.  Timothy Brook, “Communications and Commerce,” 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8,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79–707.
  25.  Arturo Giraldez, The Age of Trade: The Manila Galleons and the Dawn of the Global Economy (Boulder: Rowman and Littlefield, 2015).
  26.  Jie Zhao, Brush, Seal, and Abacus: Troubled Vitality in Late Ming China’s Economic Heartland, 1500–1644 (Hong Kong: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8); Timothy Brook,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27.  Margherita Zanasi, Economic Thought in Modern China: Market and Consumption, c. 1500–193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28.  Timothy Brook, Praying for Power: Buddhism and the Formation of Gentry Society in Late Ming China (Cambridge, MA: Harvard-Yen-Ching Institute, 1996).
  29.  Karl Marx, Surveys from Exile (London: Verso, 2010), 254.
  30.  William T. Rowe, Saving the World: Chen Hongmou and Elite Consciousness in Eighteenth Century Chin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31.  Karl Marx, preface and introduction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76), 3.
  32.  Cynthia Joanne Brokaw, Ledgers of Merit and Demerit: Social Change and Moral Order in Late Imperial China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Richard Lufrano, Honorable Merchants: Commerce and Self-Cultivation in Late Imperial Chin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33.  William Hinton, Fanshen: A Documentary of Revolution in a Chinese Village (New York: Vintage, 1966).
  34.  Franz Schurmann,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Communist Chin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35.  Jean Chesneaux, China: The People’s Republic, 1949–1976 (New York: Pantheon, 1979).
  36.  The phrase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s itself gone through a process of transformation. It was originally developed in the 1950s in the context of Mao Zedong’s efforts to promote his vision of economic development as distinct from the Soviet experience. Deng Xiaoping redeployed the term in the 1980s and it has continued to be adapted to China’s ongoing policy developments. Under Xi Jinping, it has been expanded to become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37.  Nicholas Borst, “State-Owned Enterprises and Investing in China,” Seafarer, November 2019.
  38.  Domenico Losurdo, “Has China Turned to Capitalism? Reflections on the Transition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International Critical Thought 7, no. 1 (2017): 15–31.
  39.  Xi Jinping, The Governance of China, I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2014), 83–86.
  40.  Barbara Finamore, Will China Save the Planet? (Cambridge: Polity, 2018).
  41.  “Chinese Entrepreneurs Urged to Show Patriotism,” Apple Daily, December 14, 2020.
  42.  Takashi Suzuki, “China’s United Front Work in the Xi Jinping Era: Institutional Developments and Activities,” Journal of Contemporary East Asian Studies 8, no. 1 (2019): 83–98.
  43.  Ching Kwan Lee, Against the Law: Labor Protests in China’s Rustbelt and Sunbel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44.  Lin Chun,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6), 251–52.

2021/03/26

Kang-nam Oh 골프와 수도(修道)

(1) Facebook

Kang-nam Oh updated his status.
1tSponsfhoruedm  · 
골프와 수도(修道)
오강남(캐나다 리자이나대학교 종교학 명예교수)
골프에 대한 이야기로 마지막입니다.  1) 골프와 종교, 2) 골프와 인생, 이제 3) 골프와 수도입니다. 오늘은 첫날 약속한대로 골프가 도닦는 일과 관계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려합니다. 
골프의 정신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을 향해 서서 치려고 할 때, 정신을 통일하고 집중하는 점입니다. 영어로 “one-pointedness of mind”라 합니다. 이것은 바로 모든 종교에서 그렇게도 중요시하는 영혼의 훈련, 도 닦는 일입니다.  하나의 요가입니다.  정신을 집중하고 공을 치는 순간은 모든 것을 다 잊어버리는 몰아의 순간입니다.  이 순간이야말로, ‘참자아’,  ‘본마음’으로 되돌아가는 순간입니다. 껍데기로서의 나, ‘나’라고 하는 자의식이 죽고, 내면의 ‘나’, 진정한 의미의 속사람이 살아나서 움직이게 되는 순간입니다.
공을 치려는 순간, 이번에는 한 번 멋지게 쳐 봐야겠다든가, 상대방이 깜짝 놀랄 정도로 솜씨를 보여 주어야겠다든가, 이번만은 기어코 버디 아니면 파를 해야겠다든가, 이런 저런 욕심에서 나오는 ‘잡생각’을 가지면 공이 제대로 맞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입니다.  특히 putting을 할 때 잡생각을 가지면 성공할 수 없습니다.  영어로 “If you think, you cannot sink.”라 합니다.  저도 형님 두 분과 함께 골프를 치면 평소 제 실력보다 못한 점수가 나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형님들에게 후발주자로서의 본때를 보여주고자 하는 마음이 무의식 중에 작용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무튼 공을 향해 서는 순간에는 일체의 헛된 욕심, 망상,  쓸데 없는 기대, 자랑하려는 마음 등 우리의 일상적인 의식에서 나오는 잡념을 비우고, 마음을 깨끗하고 고요하게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마음을 청결하게 하는 연습, 자기를 비우는 연습, 자기에게 죽는 연습, 자기를 부정하는 연습, 도(道)와 하나가 되는 연습입니다.
동양의 스포츠에는 검술과 검도, 궁술과 궁도, 봉술과 봉도 등 ‘술(術)’과 ‘도(道)’를 구별합니다.  술은  요령과 지략과 테크닉(技)으로 하는 것이고, 도(道)는 이런 지적이고 계산적인 것을 초월해서  도(道)와 하나가 된 경지에서 나오는 자율적이고 신비스런 어떤 힘에 따라 하는 것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중국 고전 󰡔장자(莊子)󰡕에 옛날 중국 문혜(文惠) 왕의 요리사가 칼로 소의 각을 뜨는 이야기가 나옵니다.이 요리사는 얼마나 절묘한 솜씨로 칼을 쓰는지 칼에서 바람소리가 나는 듯 하고 손발, 어깨, 허리, 모두가 척척 맞게 움직이는 것이 마치 노랫가락에 맞추어 춤추듯 장단이 딱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왕이 “거 참 훌륭하도다. 그대의 기술이 흠잡을 데가 없도다.”라고 칭찬하자 그 요리사는 칼을 옆에다 놓으며 “제가 목표하고 따르는 것은 모든 기술을 초월하는 도(道)입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으려고 할 때는 눈앞에 소 한 마리가 온통 그대로 보였습니다.  3 년이 지나니 소가 더 이상 통째로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소를 잡을 때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신(神)으로 합니다. 감각이나 지각을 중지시키고 신이 원하는 대로 따라 움직일 뿐입니다.”라고 하면서  자기의 소 잡는 비법을 쭉 이야기합니다. 왕은 “훌륭하도다. 오늘 내가 요리사의 말을 듣고 양생을 배웠도다.”가고 감탄했습니다. (󰡔장자󰡕, 제3장).
여기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신(神)으로 한다”든가 “감각이나 지각을 중지시키고 신(神)이 원하는 대로 따른다”라고 했는데, 이 ‘신(神)’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신(神)이라면 서양 종교에서 말하는 초월적인 존재라고 하기보다는 우리 내면의 마음, 정신, 성령, 그 비슷한 것일 텐데, 요즘 심리학에서 말하는 무의식, 혹은 뇌의 우반구에서 나오는 힘이랄까, 내 속에 있는 제 3의 기능이랄까 하는 것이 아닐까요?  어쨋든 나의 일상적 의식과는 구별되는 무엇입니다. 우리가 일상 쓰는 말에도 무엇이든지 기가 막히게 잘하면, ‘신통하게 한다’거나 ‘신바람 나게 한다’고 하는 것이 여기서 연유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자기를 잊어버리고 ‘신(神)’이 나서 하는 경지가 ‘도(道)’를 따라서 하는 경지, 도통(道通)했다는 경지인입니다. 
얼마 전에 미국에서 오하이오에서 안씨라고 하는 태권도 사범 한 분을 만났습니다. 십 수년 간 태권도를 했지만 몇 년 전에야 비로소 태권도의 신비를 터득한 것 같다고 했습니다.  하나도 힘들이는 일 없이 자기도 모를 어떤 힘에 따라 그저 춤추듯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뿐이지만 상대방의 공격을 빈틈없이 막을 수 있고 상대방의 허점도 훤히 보이는 경험을 한다고 했습니다. 말하자면 태권술에서 참 의미의 태권도의 경지로 들어온 셈입니다.
골프의 기본 요건은 과도한 힘이나 완력을 쓴다고 잘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힘을 많이 줬다고 공이 멀리 나가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자기 힘의 70% 정도만 쓰라는 것입니다.  편안한 자세에서 전체적으로 리듬과 타밍이 맞고 유연하게, 다시 말해서 자연과 합일되는 무아의 경지에서 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머피(Merphy)는 이런 경지를 내면적인 힘으로 치는 것, ‘참된 중력(true gravity)’을 체득하고 거기에 맞춰서 치는 것이라 했습니다.  이것은 공과 골프채와 치는 사람의 몸과 정신이 모두 혼연 일체가 되어 아주 자연스럽게 골프를 치는 것입니다. 헤리겔(Herrigel)은 활쏘기에 있어서 활과 활 쏘는 사람과 화살과 과녁이 하나가 된 경지에서 쏘는 것은 내가 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쏘는 것이라 했습니다. 골프나 활쏘기뿐만 아니라  피아노를 치든지, 바이올린을 켜든지, 이렇게 자기를 비우고 잊어버리고, 무아가 된 상태에서 나의 참 근원, 진정한 나와 하나됨으로 내가 아닌 내가 움직이는 신비스런 경지를 터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모두 그대로 도(道)를 닦는 것입니다. 수도(修道)입니다. 경건한 예배(禮拜)입니다.
R 형, 푸른 초원에 ‘신(神)’을 뵈러 나간다면 벼락맞을 소리일까요? 영국의 그 유명한 서머힐(Summerhill)의 창설자 ‘니일’(A. S. Neil)는, 새 시대의 새 종교는 “일요일 아침을 수영하는데 보내는 것이 교회에서, 마치 하느님이 찬송가 소리를 들어야만 흐믓해 하시기나 하는 것처럼, 찬송가를 부르면서 보내는 것보다 더 거룩하게 지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새로운 종교는 “하느님을 하늘에서나 사방을 벽으로 둘러싸고 있는 건물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초원 위에서도 찾게 될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R 형, 건방진 소리같이 들릴지 모르겠습니다만, 일요일 새벽에 골프 치러 나갈 때  저는 ‘신(神)’을 찾으러, 마음 닦으러, 마음 비우러, 도닦으러 가는 심정으로, 종교의식에 참여하러 가는 기분으로 그렇게 나갑니다.  
종교라는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자기를 비우고 그 자리에 도(道)가 들어와서 자기를 움직여 가도록 하는 경지를 터득하는 것, 굳었던 마음을 아름답고 부드러운 마음으로, 흐렸던 마음을 맑고 향기 나는 마음으로 바꾸어 주는 것, 이것이 중요한 대목 아니겠습니까?  아무튼 이런 것을 골프장에서 배우고 연습할 수 있다는 마음에서 오늘도 골프채를 흔들어 봅니다.
R 형, 언제 한 번 같이 나가 봅시다.   
(뱀다리: 제 골프 실력이 신통하지 못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비거리가 줄어들었습니다.  LA 골프 티칭 프로는 이런 글을 쓴 사람이 아직 싱글 핸디캡 정도의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니 말이 안 된다고 하더군요.^^)

원불교 논산교당 10대 고세천 교무 부임:놀뫼신문 #http://www.nmnews.co.kr

원불교 논산교당 10대 고세천 교무 부임:놀뫼신문 #http://www.nmnews.co.kr


원불교 논산교당 10대 고세천 교무 부임


기사입력 2017/01/25 [00:35] 놀뫼신문












▲ © 놀뫼신문





원불교 논산교당 10대 교무로 고세천(高世千) 교무가 지난 1월 16일 부임하였다.



논산교당은 1975년 11월 원불교 총부에서 정책적으로 교당을 설립하여 초대 이경심 교무가 부임해온 이래 4대 오선관 교무가 1998년 지금의 교당 건물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화 교육 자선(복지)을 3대 사업으로 추진하는 원불교는 국내외 500여개의 교당(敎堂)과 원광대학교를 비롯한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유치원(어린이집) 등 150여개의 교육기관, 사회복지법인 대전 삼동회를 비롯한 200여개의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로 창립 102년을 맞이하는 원불교는 원음방송국을 운영하고 군부대에 군종장교를 파견하며 노무현, 김대중, 김영삼 대통령 국장(國葬) 종교의식을 주관하는 등 국내 4대종교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2)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2)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2)
작성자 바보새 16-01-07 11:02 조회365회 댓글0건

검색
목록


7. 모임공동체(2)



간소함

퀘이커 행동 규준의 네째인 간소함(simplicity)은 무엇보다도 먼저 그 예배모임에 나타나 있습니다. 그것은 내부 수장이나 건축에 아무 장식이 없는 환경 속에서 주님이 나타나시기를 기다리는 단순한 식의 것입니다. 18세기에는 간소함이 강조되었습니다. 그 시대의 모임집은 간소할 뿐 아니라 쓸모 있고 아름답고 균형잡힌 것이었습니다. 19세기에 와서는 이런 좋은 기준이 없어졌으나 최근의 건축은 다시 기능적인 간소함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간소함에 대한 관심이 생생하게 살아 있을 때에 그 표현이 고상하였으나 그것이 주로 전통적인 것이 되어버렸을 때 퀘이커의 모임집은 퀘이커 가정의 가구와 마찬가지로 그 모양과 양식이 퇴락돼버렸습니다.

친우들은 품질이 좋은데 반대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들의 반대는 ‘옷, 말, 행동’의 지나친 것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일반으로 친우들은 육체를 괴롭힘을 덕으로 생각하는 금욕주의자는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쾌락이 도를 지나쳐서 더 중대한 일에 방해가 될 때 그것을 아니라고 했을 뿐입니다. 다음에 인용하는 클라크슨(Clarkson)의 『퀘이커주의의 모습』(Portrait- ure of Quakerism)의 한 귀절이 그 태도를 설명해줍니다.

음악을 만일 친우회가 장려한다면 그것은 장성한 사람들이 지금 종교 예배에서 맛보는 위로의 시간을 빼앗아버리는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물러감(退修)을 퀘이커들은 크리스천의 임무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므로 그 회의 회원들은 예배장소에서만 아니라 가정에서나 또는 제 방에서, 그리고 날마다 하는 직업의 틈틈에서도 조용한 심정으로, 마음을 써서 하는 분주한 생각을 떠나서 일생의 의무를 다하기 위한 방향과 힘을 얻기 위해 때때로 침묵 가운데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퀘이커들은 한가한 시간을 즐기기 위하여 악기가 만일 허락되면 이러한 참된 물러남의 시간을 빼앗아버려서 크리스천으로서의 그들의 흥미와 성격에 많이 해를 끼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은 예술 일반에 대해서도 그러했습니다. 간소함은 옷과 말과 태도와 건축과 가구의 쓸데없는 장식이 일체 없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질로나 소용으로나 좋은 것을 쓸데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간소함에는 또 경제적 이유도 있었습니다. 월리엄 팬은 “세상의 쓸데없는 장식만을 가지고도 모든 헐벗은 사람을 다 입힐 수 있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존 울만은 말하였습니다.

하나님은 능력과 지혜와 선이 완전하시기 때문에, 사람이 이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하여 제각기 제 분대로 필요한 노동을 하려면 상당한 시간을 써야만 하게끔 만드셨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반대하여서 사치를 행하고 부자가 되려고 애를 쓰면 어느 정도 압박을 하고 자만심과 경쟁심을 가지게 되며 당과 싸움을 일으켜서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데 이르게 됩니다.

사치와 남아돌아감은 사람들의 노동량의 증가를 필요케 합니다. 그러므로 그 노동을 강요하기 위하여 압박이 필요하게 되고 압박에서 자만과 싸움이 일어납니다. 존 울만은, 사치품을 삼으로써 가난한 사람에게 직업을 주어서 돕는 일이 된다는 현대 논법을 결코 찬성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는 사치는 허영과 압박의 근원이요, 결국은 전쟁의 원인이 된다고 확신했습니다. 인간이 만일 겸손하게 그 욕망을 참으로 필요한 것에만 국한시킨다면 지나친 노동과 압박과 분쟁은 없을 것이고, 생활의 필수품은 누구에게나 넉넉히 돌아갈 것입니다.
존 울만은 그의『인간의 참된 조화에 대한 이야기』속에서 그의 신앙과 간소함의 밀접한 관계를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내가 혹시 교만심을 일으킨다고 생각되는 어떤 일에 내 힘을 쓸 때는 내 영혼을 거룩한 사귐 속에서 아버지와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해왔던 그 줄이 약해짐을 나는 느낍니다.

퀘이커의 옷에서는 스튜어드 왕조시대의 특색이었던 모든 장식이 다 없어졌습니다. 검소한 청교도들도 마찬가지의 증거를 보여주었습니다. 퀘이커들은 후에도 초기의 의복 양식을 그대로 계속했습니다. 결국은 그것이 표준이 되어 필요하지도 않은데 새것을 사도록 만드는 유행을 따르는 것은 세속의 길에 대한 쓸데없는 양보라는 이론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퀘이커의 이론에는, 자기 자랑이 됐다는 점을 내놓고는, 화려한 빛을 쓰지 말라는 말은 없습니다. 마가레트 폭스는 18세기초에 엷은 갈색만이 쓰이게 되는 것을 보고 반대했습니다.
평소에 제복을 입는 것은 세상에 대하여 그 사람의 선 자리가 어디인 것을 손쉽게 잘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퀘이커들은 그것이 자기네를 가서는 아니되는 곳에 가지 않도록 잘 지켜준다고 했습니다. 한 번 퀘이커 옷을 입으면 거기 맞게 살지 않으면 안다고 느꼈습니다. 후에는 현대의 옷이 대체로 간소하고 기능적이기 때문에 퀘이커 옷을 입는 것은 하나의 빈 형식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게 되었습니다.

말을 간소하게 하는 것도 철저한 친우의 두드러진 특색이었습니다. 수식적인 지나친 말은 말에서도 글에서도 쓰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퀘이커는 무뚝뚝하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모임에서나 어디서나 말을 할 때에 웅변조를 금했습니다. 퀘이커 책에는 명문을 쓰려고 한 흔적이 보이지 않습니다. 언제나 삼가서 자제하는 태도로 깊은 종교적 체험을 말했습니다. 월리엄 펜은 친우의 열두 가지 특색을 드는 가운데 그 여덟째로 “그들은 언제나 말을 적게 하여서 그 실지 모범으로 침묵을 권하고 있습니다” 했습니다.
간소함, 즉 쓸데없는 것을 제해버린다는 가르침은 생활의 모든 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결혼식, 장례식에 검소의 정신이 지켜지게 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됩니다. 백년 이상을 무덤의 비석은 쓸데없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표적으로 그것을 쓰게 된 후에도 그것은 조그맣고 보잘 것 없는 것으로만 썼습니다. 세간 살림 같은 것을 간소하게 하자는 초기 퀘이커의 생각을 현대에는 미적인 이유 때문에 최신 유행이 그것을 따르고 있습니다. 친우들이 예술에 반대한 것은 단순히 그것이 쓸데없다는 점에서뿐만 아니라, 또 그것은 다만 생활의 표현일 뿐인데, 생활 자체 노릇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령 예를 들면 연극을 하는 배우는 그가 실지로 느끼지 않은 감정을 느낀 듯이 나타내고 소설가는 실지로 생긴 일이 없는 사실들을 있는 듯이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음악은 실지 행동의 출구를 얻을 수 없는 감정을 일으키기 때문에 오히려 해가 될는지도 모릅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성 어거스틴은 노래를 부르는 것을 가리켜 “이것은 육의 만족이므로 영혼이 거기 사로잡히어 맥빠져버려서는 아니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술은 사실의 참이 아니요 그릇된 상을 길러냄으로써 그것을 따르는 사람을 하나의 상상적이요, 비진실적인 세계에 살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근대의 영화는 보는 자를 꿈나라에 살게 만드는 힘을 가진 예술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의 퀘이커들은 상상의 세계의 성질에 대하여는 확실히 잘못 생각 했습니다. 예술은 그 자신의 실재성을 가지고 보통의 행동이나 말로써는 가닿을 수 없는 어떤 의미를 전해주는 그 자신의 언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어떤 종류의 미를 감상하기를 피해왔기 때문에 친우회는 심미적으로는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지만, 근대의 친우들은 예술에다 적당한 지위를 주기를 서슴지 않습니다.
친우들은 쓸데없는 물건을 금했기 때문에 퀘이커 장사꾼들은 그런 물건을 팔 수 없었고, 그 때문에 그들의 사업은 여려 가지 제한되는 것이 많았습니다. 재단사, 모자장수, 책장수, 장의사, 인쇄업자, 은방, 무역상들은 이 주장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퀘이커 재단사 존 홀(John Hall, 1637~1719)은 “주님과의 평화를 잃기보다는 차라리 모든 소유를 잃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사업 그 자체가 거기 너무 취해버리면 시간의 허비가 되고 지나친 것이 될 수 있습니다. 거기 너무 정신을 뺏겨버리면 종교적인 의무를 다할 수 없어지는 것을 친우들은 깨달았습니다. 종교가 그의 제일의 관심사라면 그는 사업을 줄였습니다. 그것은 순회전도자의 경우에 가장 많이 그러했습니다. 거의 모든 퀘이커의 일기가 다 사업이 너무 커져서 종교에 써야 하는 시간까지도 거기 써야 하게 될 때에는 사업을 줄여버린 실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기 속에서 몇 개의 실례만 들면 사업을 제한하는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다니엘 휠러는 그의 직업인 씨앗장사가 너무 번창하여 친우로서의 생활에 방해가 되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는 몇 번이고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하나님의 능력 가까이, 그 안에, 그 힘에 있으려고 힘썼기 때문에 내 무엇을 희생하지 않으면 안되는 필요가 조만간 일어날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나는 지금 하고 있는 장사를 완전히 내던지고 가족과 한가지로 조그마한 사업으로 물러가는 것이 현재의 평화를 위하여서도 또 미래의 행복을 위하여서도 가장 좋다고 진심으로 믿게 됐습니다.

월리엄 에반즈(William Evans, 1787〜1867)는 큰 포목상을 같이 하자고 의논이 왔을 때 그것을 거절했습니다.

나의 현재 사업은 내가 잘 아는 조그만 것이기 때문에 쉽게 경영해갈 수 있습니다. 자본도 별로 필요치 않고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에 끌려들어가는 일도 없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아무 걱정이 없고, 별 방해받음이 없이 모임의 약속에 참석할 수 있고, 또 언제나 모임에 가지 않으면 안되겠다고 생각할 때에는 자유로 갈 수가 있습니다. 내가 만일 하라는 대로 직업 전환을 하면 나는 친우모임도 잃어버릴 것이고, 내 속의 종교적인 활동도 잃어버릴 것으로 보입니다……. 나는, 땅은 주의 것이요 일천 언덕의 소도 그의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서 내 앞길과 사업을 비록 작기는 하지만 새로운 평화와 만족을 가지고 내다보았습니다.

토머스 실리토(Thomas Shillitoe, 1756~1836)는 말했습니다.

내가 좋은 직업을 내버리고 집을 떠나 더 자유롭게 나의 종교적인 의무를 다 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하는 시간이 빨리 빨리 다가오고 있다는 생각이 때때로 내 마음속에 일어났습니다. 나의 거룩하신 주님이 새삼스럽게 내 귀에 외치신 말씀은 이것이었습니다. “네 모든 물건을 네 집에 모아넣으라, 나는 너의 남은 날들이 필요하다.”

토머스 실리토는 길러내야 하는 자녀가 다섯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들을 “우리를 풍성하게 돌봐주신 그 전능하신 능력”에 맡겼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는 “잘 되어가는 사업을 버려야 한다는 것은, 때로는 내 영혼에 대해 지독한 시련이었습니다” 했습니다.
마르다 루드(Martha Routh)는 그 학교가 건물에 비해서 커졌을 때에 더 큰집을 어떻게 찾아냈던가를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방에서 방으로 나가는 동안에 나는 문득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집이 수용 할 수 있는 수보다 더 많은 학생을 받을 필요는 없다는, 희미한 그러면서도 분명한 생각의 암시를 받았습니다. 그리하여 나는 그 생각을 완전히 버리고 맘의 평안을 얻었습니다.

어떤 때는, 퀘이커 학자들은 종교에 더 많은 시간을 쓰기 위하여 그 공부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 유명한 과학자 월리엄 알렌은 그의 일기 속에 이렇게 썼습니다.

오늘 아침은 유쾌했다. 나의 자연과학에 대한 강한 매력에 대하여 이렇게 생각이 밝아지는 듯했다. 즉 그것이 너무 강하여서 지배적이 되는 때면 거기 너무 빠지지 말고 거기에 바치는 시간을 줄이고 쉬는 것이 나의 의무라고.

아이어랠드의 의사요, 중요한 의학책의 저자인 존 러티(John Rutty)는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주여! 먹고, 마시고, 자고, 담배 피우고, 공부하기 위해 사는 살림에서 나를 건져주시옵소서.

말을 간소하게 한다는 것은, 지나친 말을 아니한다는 뜻만이 아닙니다. 그것은 또 순수와 진실을 의미합니다. 퀘이커들은 주저하는 나머지 이따금은 너무 사실 그대로를 말하려다가 웃음거리가 되는 수가 있습니다. 지나친 말을 하지 않으려고 말을 꺼리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대로는” “그렇게 틔지 않습니다” 하는 문구들이 질문서의 대답하는 가운데 씌어 있습니다. 친우는 “나는 반대입니다” 하지는 않고, 대개는 “나는 아무래도 동의할 수는 없습니다” 합니다. 참을 말하는 것의 부산물의 하나는 장사에서 정찰제를 시작한 것입니다. 17세기에는 장사꾼이 받을 값보다 많이 부르고, 손님은 줄 값보다 적게 부르는 것이 일반 습관이었습니다. 그래서 흥정을 한 결과 서로 맞는 값에 이르는 것이었습니다. 퀘이커들은 처음부터 꼭 받을 값을 불렀습니다. 그 결과 퀘이커는 사업이 번창했습니다. 퀘이커 상점에는 물건을 사기 위해 어린아이를 보내도 좋았습니다.
창조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움과 진실과 순수함을 아는 통찰력을 얻으려는 노력은 퀘이커들을 과학적 탐구로, 그리고 식물학과 새의 연구로 이끌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전문적인 과학자나 되기도 했습니다. 과학은 예술보다도 진실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가지가지의 오락을 내버린 대신 과학은 즐거움을 주었습니다. 지나친 교육도 다른 사치품과 마찬가지로 온전히 제외되어버렸습니다. 퀘이커의 도덕가 조나단 다이몬드(Jonathan Dymond)는 1825년에 이렇게 썼습니다.

문학보다는 과학이 낫습니다. 말의 지식보다 사물의 지식이 낫습니다.

종교에서와 마찬가지로, 교육에서도 글자나 형식에 거리끼는 것은 반대했습니다. 하나님의 창조로서의 자연에 대한 지식은 인간의 사업에 대한 지식보다도 사람을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이끄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다이몬드의 말을 다시 인용해봅니다.

호라티우스가 무엇을 썼는지 아는 것이나, 그리스 시집을 비평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이 무슨 법칙을 가지고 자연의 활동을 다스리시며, 또 무슨 방법으로 그러한 활동들을 생명의 목적에 소용되도록 하려는지를 아는 것보다는 중요한 것이 되지 못합니다.

퀘이커가 과학에 흥미를 가지는 것은 진실과 사실에 한층 더 가까이 가자는 노력의 직접 결과에서 오는 것이지만, 그러한 흥미 때문에 퀘이커 과학자의 수는 참 많았습니다. 루드 프라이(A. Ruth Fry)는『퀘이커의 길』(Quaker Ways) 속에서 말하기를 1851년으로부터 1900년 사이에 영국의 퀘이커는 영국 학사회(Royal society)의 회원으로 당선되는 율이 다른 사람들보다 46배가 많았다고 했습니다.

법정에서 선서를 거부하는 것보다도 더 심한 박해를 퀘이커에게 가져 오는 것은 없었습니다. 수많은 친우들이 이 증거를 지키노라고 여러 해를 더러운 감옥 속에서 지냈고, 그 안에서 죽은 사람도 있었습니다. 퀘이커가 맹세하기를 거절한 것은 적어도 두 가지 이유에서였습니다. 첫째, 맹세를 하는 것은 “도무지 맹세하지 말라”(「마태복음」5:34) 한 그리스도의 계명과, 둘째, “내 형제들이여,무슨 일이 있더라도 맹세하지 마시오”(야고보서 5:12) 한 야고보의 말에 반대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또 참에 대한 두 개의 표준을 세우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나는 법정 안에서 하나는 그 밖에서. 그러면 그것은 맹세가 없는 곳에서는 거짓을 말해도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퀘이커들이 재판에 끌려와 그들을 유죄로 결정하는 증거가 잘못되었거나 불충분한 때에도 그들은 충성을 맹세하라는 요구를 들으면 거절했고, 그 때문에 그들은 투옥을 당했습니다. 맹세하기를 거절했기 때문에 친우들은 또한 관세법을 지킬 수 있는 권리, 부채의 지불, 소송하는 권리, 법정에서 증인이 될 수 있는 권리, 재산에 대한 자격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 관리가 될 수 있는 권리를 잃어버렸습니다. 월리엄 펜의 경구 “사람들은 참을 말하기 위해 말하지만 그리스도는 그들이 맹세하지 않기 위해 참을 말하기를 바라실 것입니다” 라는 말은 퀘이커의 입장을 남김없이 말한 것입니다. 펜은 과거 100년 동안에 각 통치자들이 일정한 형식의 종교를 지지하기 위하여 맹세를 요구했고, 다음에 또 다른 통치자가 일어나서 또 다른 형식의 종교를 지지하라고 맹세를 요구하면, 수많은 승려들이 전에 한 맹세를 거침없이 버렸을 때에 어떻게 쓸데없는 맹세들이 세워졌던가 하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드디어 오랜 투쟁 끝에 1696년 승인을 허락하는 법령이 의회를 통과했습니다. 그러나 소수의 친우들이 그 새 형식 안에는 ‘엄숙히’(solemnly)이라는 종교상의 문구가 들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쓸 수 없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런던 연회는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있는 어구에 합의를 얻기 위하여 25년간 싸웠습니다. 이것은 다수파가 소수파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독히 참아온 하나의 좋은 예입니다. 결국 1722년에 이르러 한 안에 합의를 보아 그것이 법률로 제정되었습니다.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펜의 헌법이 승인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친우를 만족시키는 승인의 안을 허하는 식민지회의의 특별법이 국왕에 의하여 참 의원에서 비준된 것은 겨우 1725 년에 가서야 됐습니다.
퀘이커의 판사로서 선서를 요구했던 사람은 초기에는 모임에서 제명이 됐습니다.

조셉 돈튼(Joseph Thornton)은 자기가 맹세를 요구했던 것을 크게 잘못으로 알았기 때문에 이 앞으로는 그럴 필요가 있는 자리에는 취직하지 않기로 결심했으며, 이제는 맹세를 하는 것은 친우회의 규칙에도, 자기 마음의 깨달음에도 허락되지 않는 것임을 알았다고 선언했습니다. (미들타운 월회, 1762)

혁명전쟁 후 왕을 버리고 새 정부에 충성한다는 맹세 혹은 승인을 요구하는 법령이 제정되었습니다. 수많은 친우들이 이 맹세를 거부했기 때문에 박해를 받았고, 그 결과로 법률의 강행은 얼마 못 가서 폐지됐습니다. 승인은 허가되었지만 연회는 “우리들은 어떤 정부를 세우고 넘어뜨리는 기구 노릇을 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모임 공동체가 적절하게 제정된 행동기준에 따라 일을 하며 식민지시대에 있어서 그 발전의 최고도에 이르렀습니다. 그것은 그때에는 서로 경쟁되는 흥미의 가짓수도 적었고, 또 모임의 주위에 사는 사람들도 대부분이 퀘이커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시대의 의사록에는 간소함의 증거를 지키기 위하여 주의했던 여러 가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를 몇 개 듭니다,

우리 부인회는 엘리저베드 베넬이 의복과 말을 간소하게 하는데서 많이 떠나서 음악과 무용의 장소에 자주 출입하는 것을 불만으로 여기게 됐습니다. 존 밀하우스와 리버 페리스가 부인 친우회에 참가하여 그녀에 대하여 처리하고, 다음 모임에 그녀의 동향에 대하여 보고하기로 했습니다. (월밍론, 1778)

N.H.는 자기가 트럼프놀이를 한 것이 잘못이라는 편지를 보내왔으므로, 모 임은 그 편지를 받고 그에게 그 편지를 트럼프를 했던 그 장소에서 벤자민 프레드와 월리엄 할리데이 앞에서 읽으라고 했으며, 그의 교제하는 태도와 진리에 대한 성실성이 친우들을 좀더 만족하게 할 때까지 그는 사무모임에 오기를 중지하라고 했습니다. (뉴가든, 1725)

교만심을 눌러야 한다는 관심이 이 모임을 덮었습니다. 그것이 부인들이 철사 든 치마를 입는 데 얼마쯤 나타나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많은 친우들에게 걱정거리가 되었습니다. 모든 사람의 의견이 우리 중에 아무도 그런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것과 우리들의 목회자나 중견 되는 친우들이 회원들을 조사하여서 잘못이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말을 해줄 것과 그러한 철사 든 치마나 그밖에 적당치 못한 옷을 입는 사람을 제명할 것을 만장일치로 가결했습니다. (콩코드, 1739)

1695년과 1723년에 두 번 필라델피아 연회는 회원들에 대하여 점성술자, 요술쟁이, 그밖에 무슨 마술을 한다는 사람들과 교제하지 말라는 경고를 내렸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믿었던 사람은 모두 잘못을 고백하라고 하였습니다. 조셉 월터는 이런 고백을 했습니다. “내 말에 대하여 알려고 어떤 사람에게 갔습니다. 나는 분명히 말하지만 그가 어떤 나쁜 요술을 쓰기를 바라는 생각은 없었습니다.”(콩코드, 1738)
매우 이른 초창기부터 퀘이커 모임은 술을 너무 과도히 쓰거나, 혹은 그것을 만들고 파는 회원에 대하여는 매우 신속하게 처리했습니다. 다음의 질문서는 1755년부터 쓰였습니다.

친우들은 알콜분이 많은 주류를 너무 많이 사용하지 않도록, 술집과 오락장에 자주 드나들지 않도록, 생일 결혼식 장례식에서 진정으로 중용과 절제를 지키도록 힘쓰고 있습니까?

질문서는 점점 더 엄한 편으로 기울어갔습니다. ‘알콜분이 많은 주류’는 ‘모든 주류’로 변경됐습니다. 질문서에 ‘모든 주류’라는 말을 집어넣은 것은 1874년 필라델피아에서 모임의 정면에 앉은 늙은이들에 대해 일어난 젊은이들의 반항으로써 이루어졌습니다. 조수아 베일리는 이 이야기를 하면서 “그것은 마치 하원이 상원에 대해 반항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그리고 하원이 이겼습니다”라고 했습니다. 마침내 20 세기가 시작될 무렵에 와서야 그 질문은 절대 금주를 채용했습니다.
간소함에 대한 옛날의 가르침은 현재에는 한가와 휴양의 시간을 방해하는 지나친 활동을 줄이는 데 적용해야 할 것입니다. 시간 절약을 위하여 만든 여러 가지 방법은, 역설적이게도 일반 생활을 분주하고 복잡한 것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 어떤 보이지 않는 지휘자의 지휘봉이 생활의 속도를 점점 높여가는 듯합니다. 해결은 모든 위대한 종교의 성자와 선각자들이 지적해준 것같이, 우리의 재주를 높이는데 있기보다는 우리 욕망을 낮추는 데, 말을 바꾸어 하면 간소함에 있습니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1)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1) > 번역물 | 바보새함석헌


퀘이커 |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1)
작성자 바보새 16-01-07 10:57 조회411회 댓글0건

검색
목록


7. 모임공동체(1)

예배와 사무의 두 가지 작용을 하는 퀘이커의 모임은 하나의 공동체(community)를 이룹니다. 그것이 그 기능을 잘 발휘하기만 한다면 하나의 융합된 단체가 되어서, 그 안에서 개인은 마치 유기체 안에 있는 세포와 같이 전체와 결합하게 됩니다. 유기체(organism)란 말은 자기의식을 가지는 자유하는 인격들이 모여서 되는 단체 안에 있는 것 같은 그러한 통일을 가리켜서 말하기 위한 하나의 비유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각 부분 안에 아무 개성도 자유도 존재하지 않는 생물학적 유기체 안에 있는 결합과는 다릅니다. 처음 시작할 때에 한번만 하는 자유 선택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끊임없이 선택을 해감으로써 되는 통일은 비교적 조그만 단체에서만 어려움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거기서 성공하면 그 다음은 그 같은 개인들로 보다 큰 단체로 쉽게 확대되어 갈 수 있습니다. 조그만 단체 안에서 이루어진 행동의 습관은 반드시 더 넓은 모임 속으로 번져나가는 법입니다.

가령 예를 든다면,가정이란 것은 커다란 공동체 안에서 올바른 행동의 훈련장소가 될 수 있는 하나의 조그만 단체입니다. 정상적인 가정의 각 분자는 서로 협력을 하고 한집의 세간을 같이 나누기 때문에 약한 것들도 강한 것들이나 마찬가지로 필요한 것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식탁 위에 차려놓은 음식은 각각의 필요에 따라 분배되지, 움켜 갈수 있는 힘에 따라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행동은 저 생존경쟁의 세계에서 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가령 어떤 지방에서 석유가 발견됐다 해보십시오. 그러면 각 사람이 다른 사람은 생각할 여지없이 될수록 제가 많이 퍼가려고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가정 안에서 서로 협력하고 같이 나누는 습관을 익힌 한 사람 한 사람은 그 가정을 떠나 세상으로 나간 후에도 대개는 계속해 그 습관을 지키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 안에서의 행동기준과 가정 밖에서의 행동기준의 차이는 줄어들게 됩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종교단체도 그 안에서 교리와 습관의 직접적인 결과로 얻은 행동의 습관을 교단 밖에 나가서도 나타낼 수 있도록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초대 기독교회는 노예제도를 죄라고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빌레몬에게 편지를 내어서, 도망해 나가서 크리스찬이 된 그 노예를 다시 찾아오도록 하라고 권고할 때에, 교회 안에서는 주인이나 종이 평등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교회 안에서 가지는 평등이 기독교로 하여금 마침내 모든 노예제도는 죄라고 선언하게 했습니다.

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가장 오랜,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입니다. 그것은 인류의 역사보다도 오랜 것이요, 날 때부터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계속할 수 있습니다. 몸과, 마음과, 혼의 그러한 옹근 사람의 교육은 성격의 깊은 속에까지 스며드는 것입니다. 단체 활동에 참여함으로 말미암아 개인은 형식적인 교육보다도 살림에 의하여 배우게 됩니다. 물론 교육도 생활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되기도 할 수 있습니다. 전적인 생활에 참여하는 일은 관념의 지경보다도 더 깊이 의지를 움직이는 감정에까지 들어갑니다. 교실이나 책에서 받는 관념 그것만 가지고는, 이러한 더 깊은 과정으로 연결되지 않는 한, 그것은 행동을 하게 하는 힘이 되지 못합니다. 그것은 행동에 의하여 실력이 붙도록 되어야 합니다. 사상과 행동 사이에 걸쳐진 다리를 자주 건너다니게 되면 사상과 행동이 아주 하나로 녹아들어서 그 결과로 가장 깊고 영구적인 훈련이 이루어집니다.

사회적 관심의 기원
퀘이커의 실천에서 모임이 가지는 의미를 그림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로부터 흘러나는 빛이 기다리고 있는 모임 위에 내려옵니다. 그 빛은, 길이 열려 있기만 하면, 세 가지의 결과를 냅니다. 일치와 지식과 능력입니다. 그 결과 예배나 사무모임에 하나의 이상으로 생각할 만한 행동이 일어납니다. 그리스도의 빛의 특징으로 인하여 그 나타나는 행동은 아주 포괄적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대체로 네 가지로, 공동, 조화, 평등, 간소(簡素)라는 말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네 가지의 행동은 아주 밀접하게 서로 얽혀 있는 것이요, 첨에는 친밀한 단체 속에서 일어나서, 그 개인개인이 그 국한된 범위를 벗어나 넓은 세상으로 나아감에 따라 차차 넓게 적용되게 됩니다. 회원들은 그 모임 안에서 어떤 사업에 종사를 하든간에, 적어도 어느 정도는 남아 있을 수밖에 없는 습관을 붙이게 됩니다. 그러나 그 습관들은 조그만, 취미 맞는 비교적 동질적인 단체 안에서만, 별 반대 없이 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보다도 조건이 나쁜 일반 사회에서는 부득이 어느 정도의 적응과 타협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회원 중에서도 더 열심이 있는 사람은 타협을 아니하려고 할 것입니다.





속의 빛의 미는 힘의 결과로 퀘이커 공동사회 안에 일어난 관심은 일반사회로 향하게 됩니다. 관심은 이성이나 전통의 힘으로 일어나는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퀘이커의 방법의 전형적인 것은 아닙니다.

생기 있고 박력 있는 모임에서 예배 혹은 사무모임에서 어떤 관심이 일어날 때, 맨 처음 나타날 때는 그것은 회원에게만 적용될 것으로 보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조그만 범위를 떠나 널리 일반사회에서야 이루어질 것임을 알게 되고야 말 것입니다. 그와 같이 하여서 회원 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경제적인 원조를 해야겠다는 책임감이 어려움 중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경제적 원조를 해야 한다는 관심으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모임의 회원끼리 평화적으로 대하는 습관이 다른 사람들에게 대해서까지 평화적으로 하는 습관으로 되어갈 것입니다.
어떤 요구가 일어날 때 속의 빛이 개인의 영혼 위에 일한 결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어떤 권위의 강요하는 힘이나 이성 활동의 논리적 귀결로 인해서 오는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보통으로 하는 퀘이커의 방법과는 다른 과정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권위와 이성은 속의 인도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보조이기는 합니다. 물론 그것이 없으면 부족한 상태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아니됩니다. 특별한 실례를 든다면, 어떤 사람이 병역에 소집되기를 거부했을 때, 그 거부는 산상수훈(山上垂訓)을 지키는 결과로 왔을 수도 있고, 혹은 어떤 철학적 또는 과학적 이론의 결과로 왔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또 전쟁이 쓸데없다는 실례를 안 고로 왔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하나님이 임하시기를 기다리는 동안 거룩한 빛의 비쳐줌을 입은 양심의 지도로 됐을 수도 있습니다.

퀘이커들은 밝아짐을 입은 양심의 지도를 강조하고, 밝아진 이성과 권위는 그것을 증험하기 위하여 씁니다. 그의 입장은 그 자신의 눈에도, 이성과 존중할 권위에 반대되는 것같이 보이는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양심 안에 있는 빛이 분명한 지도를 주기만 한다면, 그는 그것을 종교 도덕의 진리를 확증해주는 근본 기관으로 여기고 거기 복종하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사색이 제 분야에서 인식하는 힘이 있듯이 양심은 또 제 분야에서 인식을 합니다. 심리학자 융은 정신의 주요 기능을 사고, 감정, 직관, 감각이라고 설명하며, 사고와 감정을 인식하는 힘으로 꼽고 있습니다. 감정은 우리에게 가치를 알려줍니다. 이점은 퀘이커의 생각과 일치합니다. 퀘이커의 예배나 사무모임에서는 말을 하는 사람이 “나는……생각합니다” 하는 일은 별로 없고 흔히 “나는……느낍니다”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과 동감일 때는 그는 아마 “내 느낌과 같습니다”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렇게 되면 나도 참 좋겠습니다” 혹은 아마 “매우 마음 편하겠습니다”라고 할 것입니다. 속에 일어나는 켕김 혹은 불쾌의 감정은 흔히 어떤 일이 되어져야 한다는 표정으로 해석이 됩니다. 속에 평화의 느낌이 일어나는 것은 일이 올바르게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권위와 이성은 다른 사람에게 옮겨쓸 수 있는 증험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납득시키는데 있어서 그것은 없어서는 아니되는 것들입니다. 양심의 고민에서 나오는 감정은, 마치 미적 판단을 다른 사람에게 옮겨 넣을 수 없듯이, 도저히 다른 사람에게 옮겨 넣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같은 빛이 모든 사람 속에 있어서 모든 양심을 동감으로 이끈다는 이론에 의하여 우리는 다른 사람의 양심에 호소할 수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한 사람 안에 있는 빛이 다른 사람 안에 있는 빛에, 조지 폭스의 비유의 말로, ‘대답’(answer)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답’은 어떤 조건 아래서도 일어날 수 있지만 가장 힘있게 되는 것은 조그만 예배모임에서입니다.

권위와 이성밖에, 또 실제적인 증험방법도 있습니다. 어떤 행동을 그 결과가 좋으면 옳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이 증험방법은 어떤 행동을 하려고 가정할 때 그 결과가 어떠할 것은 과거의 같은 행동에 비추어서 보는 수밖에 없으므로, 이성의 방법과 근사한 데가 있습니다. 이성은 비교를 해가지고 같은 조건에서 과거에 결과가 좋았으면 미래에도 좋을 것이고 과거에 나빴으면 미래에도 나쁠 것이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실제적인 증험법은 감정에도 그 근거를 두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가 결과의 좋고 나쁜 것을 판단하는 것은 감정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실제적인 증험방법만을 썼다면 우리는 아마 결정을 못 짓고 말았을 것입니다. 이유는 눈앞의 결과는 그 앞의 결과로 판단해야 하는 고로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무도 궁극의 결과가 어떠할 것을 내다볼 사람은 없기 때문에, 어떤 증험을 하려면 완전히 실제적인 것만은 아닌 어떤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친우들은 보통 그 하려고 하는 행동의 보람을, 나타나는 결과로만 판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두 가지 실례로써 설명할 수 있습니다. 과학자로 사업가로 양면에서 크게 성공을 한 월리엄 알렌(William Allen)은 그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내가 종교적인 일에서는 큰 것을 구하지 말고 늘 간소한 것을 따르며, 점점 더 이치를 대고 결과를 걱정하기를 그만두도록 하라는 가르침을 받아왔다고 생각합니다.

존 울만은 그 일기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요사이 여기저기를 여행하면서, 의무를 지키고 하나님의 섭리가 정해주는데 만족하는 것이 내가 배워야 할 가장 필요하고 가장 유익한 교훈이라는 것이 새삼 분명해졌습니다. 내 노력의 결과에만 주목하지 말고, 그 관심이 거룩한 사랑에서 나오느니만큼, 그것의 순수한 움직임과 참 모습에 더욱더 주목해야 하겠습니다.

하려고 하는 어떤 계획에 관하여 인도해주시기를 구할 때 우리는 스스로 네 가지의 주요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권위와 이성과 결과와 직감입니다. 네 가지가 다 일치되면 우리는 행동의 확실한 근거를 잡은 것입니다. 권위를 쓸 때는 우리는 그 하는 판단을 우리가 존경하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인물들이 이룬 통찰에 호소하는 것입니다. 우리 지식은 대부분 우리 자신의 경험보다도 다른 사람의 것에 근거를 두는 것이므로 이 테스트가 아마 가장 흔히 쓰이는 표준일 것입니다. 예를 든다면 과학자가 자기 과학 지식을 증험할 때에 자기 실험을 가지고 하는 것은 일마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는 다른 사람의 실험에서 얻은 지식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크리스찬도 성경의 기자들과 교부들과 자기네 종교 단체의 뛰어난 인물, 또 그밖에 자기가 성자로 존경하는 인물들의 깨달음에 의존해야 될 것입니다. 이성의 증험도 중요합니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그것은 일관성에 대한 테스트입니다. 실제적 증험도 유효합니다. “그 열매로 그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교도덕의 분야에 있어서는 궁극에 있어서 느낌의 증험을 믿는 수밖에 없다고 말해야 할 것입니다. 이 분야에서 느낌이라 할 때는 진리의 빛에 대한 우리의 직관적 파악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느낌에 의하여 우리는 어떤 권위를 받아들이고 어떤 것은 물리칩니다. 느낌에 의하여 우리는 어떤 전제를 우리 이론의 근거로 받아들이고 어떤 것은 물리칩니다. 느낌에 의하여 우리는 어떤 결과를 선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어떤 것은 악한 것으로 물리칩니다. 초기의 친우들이 빛을 성경이나 교회나 이성이나 얕은 체험의 결과보다도 위에 놓았을 때, 그들은 견고한 입장을 취한 것입니다.
퀘이커들이 만일 그 느낌의 증험의 기초를 순전히 개인적인 진리파악에만 두었더라면 그들 입장은 실천에 있어서 더 어려웠을 것입니다. 각개인의 속으로 받는 인도를 확실케 하기 위하여 모임 전체에 호소하는데 유효한 증험법이 마련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개인이 단체가 잘못이라고 분명히 강하게 느끼는 경우에는 그는 그 판단을 무시하는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퀘이커『일기』에 보면 단체에 호소하고 난 후에는 감정에 의한 증험 밖에는 모든 증험을 다 무시했던 실례가 드물지 않게 나와 있습니다. 토머스 실리토(Thomas Shillitoe)의 생애의 한 사건 같은 것이 그 한 견본입니다. 유럽에서 전도여행을 하다가 1821년에 그는 독일의 함부르크 시에 갔는데 사람들이 안식일에 종교 생각은 터럭만큼도 하지 않고 그 날을 즐겁게 노는 날로만 알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도시 안에 아는 사람은 하나도 없었고 그는 독일말도 몰랐습니다. 그러나 한참 동안 기도한 후 그는 그 모양을 고쳐보기로 결심을 했습니다. 그는 시민들을 대하여 하는 연설을 준비한 다음 그것을 런던으로 보내어 거기 있는 친우들의 찬성 불찬성을 물었습니다. 마침내 그의 연설문은 독일말로 번역이 되어 런던 친우들의 찬성이 덧붙여져 돌아왔습니다. 그는 자기가 직접 나서서 그 호소문을 온 시에 뿌렸습니다. 그가 잡힘으로써 그의 관심은 도리어 적지 않게 선전이 됐고 관청 직원들과 말할 수 있는 기회도 갖게 되었습니다. 그의 주요한 목적은 언제나 그의 마음속에 깨어있었습니다. 즉, “나의 주님 앞에서 언제나 깨끗한 나이고 싶은 것이 내 소원의 전부였습니다. 감옥에 잡혀 들어갔을 때 그는 “내 몸이 또 한 번 이와 같이 자유로운 것을 느끼고 내 마음은 기쁨에 날뛰었습니다” 했습니다. 이 자유는 그가 이제는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무거운 짐에서 벗어났다는 느낌에서 오는 것이었습니다. 토머스 실리토는 자기 한 일이 분명 아무 결과도 못 거두었는데도 불구하고 속의 평화를 느끼면서 함부르크를 떠났습니다. 그는 그의 이성이 그 일에 희망이 없다고 했을는지도 모르는 때에 그의 감정을 쫓아서 했습니다. 그는 자기 모임과 양심의 찬성을 얻었습니다. 그 결과는 하나님께 맡길 수가 있습니다.

실례를 하나만 더 들면 충분할 것입니다. 1762년 존 울만은 필라델피아에서 200 마일 되는 데 있는 인디언들을 방문하자는 ‘사랑의 움직임’을 느꼈습니다. 그것은, “그들 중에 벌써 어느 정도 하나님의 능력에 접하여 거칠고 사나운 짐승 같은 성격이 수그러진 사람들이 더러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그것을 월회, 사계회, 춘기 총회에 내놓아 그 찬동을 얻었습니다. 떠나기 바로 전에 그는 그 인디언들이 싸움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내 마음은 하나님을 향하여 거룩한 지도를 구했습니다……. 양심은 말할 수 없이 괴롭고 주를 향해 큰 소리로 부르짖는 이 영혼의 혼란 속에서 나는 옴짝 달싹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만 정결한 진리의 영의 움직임을 기다릴 뿐이었습니다.

여행을 계속해나감에 따라 영국 사람과 전쟁이 있는 여러 가지 증거를 보았습니다. 잡히고 고문을 당할 위험도 많았지만, 그는 “하나님이 크신 자비로 내게 내맡기는 마음을 주셨으므로 나는 평온하게 있을 수가 있었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인디언들과 만족할 만한 모임을 가지고, 존 울만은 무사히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한 여행으로 무엇이 이루어진 것이 있느냐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존 울만은 그의 전쟁 받음에 대해 한 순간도 의심한 일이 없었습니다. 옳은 전쟁을 받았다는 증거는 속에 끊임없이 있는 평화와 내맡김의 심정에 있지, 눈에 잘 뵈는 결과에 있지 않습니다.
존 울만이 노예를 소유한 친우들에게 노예를 놓아주기를 권고하는 한 위원회의 회원으로 있을 때에, 그의 한 호소에는 노예제도의 나쁜 결과를 말하는 것은, 전혀는 아니지만, 거의 없었습니다. 호소는 노예를 가지고 있는 자의 심정에 대해서 한 것이었습니다. 종으로 매어두는 사람들은 그 마음이 평안했을까? 노예 소유자들은 솔직히 마음이 평안치 못하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는 노예를 소유하는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하여 견디어나가려면 노예를 둘 수밖에 없다고 변명할 수 있었을 것이고, 노예 소유에 뒷받침을 해주는 권위 있는 말을 성경에서조차도 인용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심정은, 사실을 사실대로 인정한다면, 그에게 속의 평화를 줄 수 없었을 것입니다.

퀘이커가 행동을 지도하기 위해 취한 방법은 두 가지로 되어 있었습니다. 수준에 이르지 못한 사람을 위해 방문을 다니는 위원과 질문서입니다. 18세기 초에는 방문 위원은 점점 교회 일, 특히 도덕문제에 관한 일을 돌보기 위하여 임명된 목회자(overseers)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목회자(혹은 그 목적을 위해 임명된 특별위원)는 보통 모임에 속해 있는 가정들을 적어도 일년에 한 번은 방문했습니다. 도덕적으로 실수를 한 사람은 사랑과 동정으로 붙들어주고, 회개를 하면 그 잘못을 자백하는 글을 써서 자기 자신이 가지고 가서 월회에 내도록 했습니다. 잘못을 한 사람이 자백하기를 거절하는 때면 위원들은 적어도 일년 동안은 계속해서 그 사람을 위해 힘을 썼습니다. 그래도 고치거나 회개하는 빛이 없고, 또 그 잘못이 상당히 중대한 것일 때는 그 사람은 모임에서 제명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목회자들은 질문서에 따라서 일을 하였는데, 그것은 윗 모임이 물은 데 대해 아랫 모임이 대답을 한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지명된 대표가 구두로 하다가 후에는, 1775년부터는 문서로 하게 됐습니다. 질문서에 대한 대답은 회원 가운데 있는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을 잘 나타내도록 돼 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사계회는 월회의 상태를 알 수 있고 연회는 사계회의 상태를 알 수 있어서 필요한 조언이나 원조를 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서는 일종의 단체 고백 같은 것이어서, 그것으로써 각 개인 각 모임이 일년 혹은 그 이하의 일정한 기한을 두고 정기적으로 실제 행동을 이상적인 표준에 비추어 검증해볼 수 있었습니다. 질문서에는 견고한 친우로서 가져야 할 모든 것이 들어 있었습니다. 그것은 새로운 도덕적 사상이 우세해지고 낡은 증거들이 힘이 없어지게 됨에 따라 자주자주 개정됐습니다.
다음에 싣게 되는 사즈베리 월회 의사록(1780)으로 그 취해진 방법의 효과를 보여줍니다.

우리의 종교 모임에 틀림없이 꼭꼭 열심으로 나오는 일, 또 말과 행동과 옷차림, 세간살림 잡은 것을 간소하게 하는 일, 또 그 밖에 질문서 중에서 주의시켜주는 여러 가지 결점들에 관해 개선의 중대한 임무를 띠고 지명을 받은 위원들은 그들이 그 임무를 실행한 결과 많은 사람이 그 결점을 고치려 열심을 내고 있는 것을 보았으며, 쓸데없는 것으로 보였던 여러 가지 것이 이미 없어졌더라고 보고했습니다.

그러한 위원회가 성공을 거두려면 올바른 정신으로 일해 나가지 않으면 아니 됩니다. 1719년의 필라델피아 연회는 이렇게 발표했습니다.
이 모임은,누구누구와 말을 하거나 서로 일을 할 때에는 크리스천의 사랑과 친절의 정신으로 할 것이요, 잘못이 있는 사람에게는 힘써 겸손한 태도로그 잘못을 일러주어서 그들 자신으로 하여금 그것을 깨닫게하며 될 수 있으면 다시 돌아오도록 권고합니다. 잘못을 저지르거나 진리를 놓쳐버린 사람은 그가 그러한 상태에 있는 한, 비록 성급해지기가 쉽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어디까지나 참는 마음으로 겸손하게 그들을 가르치고 충고하지 않으면 아니됩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우리 자신 안에 평화의 증거를 가질 뿐 아니라, 또 상대하는 그 친우에게도 감화를 주어, 그로 하여금 우리가 그를 향하여 진정으로 크리스찬인 의무와 형제애의 책임을 다했다는 것을 느끼게 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공동체
퀘이커 모임은 본래부터 그래 왔고 지금까지도 어느 정도 그렇지만, 하나의 종교적 단위인 동시에 경제적 단위이기도 합니다. 회원들은 물질적으로 서로 붙들고 돕는 일이 많았습니다. 특히 초창시대에 벌금과 감옥살이로 재산을 많이 잃던 때에 그랬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기네의 주의 때문에 지금까지 해오던 직업을 버리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가령 예하면 사치품이나 무기를 만드는 일 같은 것입니다. 이러한 서로간의 경제적 의존은 지금도 어느 정도로는 남아 있어서 매년 하는 질문서의 제목이 되어 있습니다.
1737년 각 모임은 원조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으로 열명기(列名記)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이 회원명부의 시작이요, 이것으로써 정회원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회원의 아이들도 원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열명기에 올랐습니다. 이것으로 마침내 태어난 회원권이라는 규정이 생기게 됐습니다. 태어난 회원권이라는 것은, 한 모임은 그 회원들이 물질적인 필요를 위해서뿐 아니라 지식적 정신적인 복지를 위해서도 서로 의존하는 하나의 큰 가족 같은 것이라는 생각에서 결론되어 나온 것 입니다. 아이들은 가정에 태어났다는 것과 꼭 같은 의미로 모임에 태어난 것입니다. 가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성년이 되면 거기서 자유로 떠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부모들의 아이인 동시에 또 모임의 아이이기 때문에 그들의 교육은 모임의 책임입니다. 부모가 아이들의 학비를 못 내는 경우에는 모임이 내야 합니다. 적어도 그 책임을 져야 합니다. 아이들을 그날 때부터 모임의 회원으로 생각하는 것이 그들의 교육에 있어서 하나의 중대한 요소입니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가장 힘있는 교육의 한 방식입니다. 출생, 혼인, 사망, 생활의 모든 중요한 사건이나 위기가 다 모임의 관심거리요 따라서 거기 대한 주선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모임의 회원이 되는 것은 한 공동체의 분자가 되는 일이기 때문에 회원의 자격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공동체에 적응해갈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말입니다. 회원은 그 모임 속에 났든지, 그렇지 않으면 그 모임 특유의 살아가는 방식에 따라가기를 원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다 해서 입회한 사람들입니다. 회원 자격에 대한 시험은 어떤 특별한 종교적 체험이 있다거나 혹은 어떤 일정한 종교적 사회적 경제적 신조를 승인하여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진실된 종교적 체험과 올바른 종교 신앙은 중요는 하지만 그것은 모임의 활동에 참여해가는 동안에 자라가는 것입니다. 누구나 모임과 온전히 하나가 되어서 그가 전체를 도울 수 있고 전체가 그를 도울 수 있는 사람이면 다 회원 될 자격이 있습니다.
다음의 초기 의사록 발췌는 모임 공동체 안에 발달했던 경제적 상호 원조의 성격을 보여주는 수많은 것 중에서도 전형적인 것들입니다.

칼렙 퓨시와 월터 포세트에게 명해서 루디만 미망인에게 암소를 한 마리 삯으로 빌어오는 일을 주선해주도록 했고, 사계회는 그들에게 그 일을 위해 30실링을 주기로 했다. (체스터, 1689)

W.P.가 매우 가난하여 어렵다는 보고가 들어왔으므로, 모임은 A.B.에게 좋은 가죽 바지 한 벌과 좋은 저고리 하나, 조끼 하나, 양말과 구두를 한 켤레씩 사주게 하고 그 비용을 다음 모임에 보고하도록 했다. (폴스, 1701)

J.C.(버크 주의 한 친우)가 화재로 162파운드에 해당하는 재산을 잃었다는 상황이 보고되었으므로 이 모임은 매주일 모임에서 헌금을 모으기로 하고 두 사람이 그것을 받기로 했다. (체스터, 1690)

메리 무트에 관한 조사를 위해 지명됐던 친우들은 그가 우리 모임에 회원권을 가졌고 사실로 구조가 필요하다고 보고해왔으므로 우리는 이 모임의 가난한 사람을 돌봐주기 위하여 임명될 친우들에게 그를 해당자로서 추천한다. (콩코드, 1763)

다음의 의사록은 독립전쟁 때 뉴잉글랜드 연안의 봉쇄로 피해를 입은 회원 아닌 사람들을 친우회원들이 돌봐준 이야기입니다.

뉴잉글랜드의 가난한 사람 구제를 위하여 기부금을 모집하도록 임명된 친우 들은 33파운드 14실링의 신입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다비, 1775)

모임은 어려운 사람을 구제할 책임이 있었으므로, 늘 가난을 방지하는데 힘썼습니다. 회원들이 사업에서 지나친 모험을 하지 않도록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 많지 않도록 늘 주의를 주었습니다. ‘친우들은 그 분에 맞게 살림을 하며 장사나 사업에서 중용을 지켜갑니까?’ 하는 것이 오래 두고, 매년 하는 질문서 내용의 하나였습니다. 다음에 보는 연회 의사록은 1710년에 낸 것입니다.

이 모임은 몇 개의 사계회에 대해서 우리 가운데 가산이 기울고 있다고 보이는 집이 있는 경우에는 실력 있는 친우들을 지명해서 방문을 하도록 권고한다.

모임이 전회원을 다 한 가정의 가족으로 감독하고 있었던 것은 다음에 드는 잘못에 대한 고백을 보아서도 알 수 있습니다.

로버트의 아들 월리엄 월리엄즈와 제임즈 퓨의 딸 조안이 모임 앞에서 자기네가 서로 결혼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밝혔고, 그는 자기가 그 아버지의 승낙의 얻기 전에 젊은 여자에게 자기 속을 말했던 것은 잘못이었다고 자백했다. 그러나 일을 진행시켜도 좋다고 허락했다. (고센, 1723)

내 아내가 죽은 지 넉 달도 못 되어 젊은 여자와 교제를 하고 청혼을 서두른 것은 잘못이었음을 이제 깨달았습니다. (뉴 가든, 1740)

18세기 처음에는 사무모임은 분별력이 높은 사람들만이 초청을 받아서 하였고, 그래서 가난, 개인적인 과실, 회원 사이의 싸움에 대한 조언 같은, 공개돼서는 아니되는 일들은 비밀리에 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지금은 사무회는 회원 누구에게나 또 일반에게까지도 공개되어 있으므로 개인적인 일은 특별한 위원회에서 따로이 종용하게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모임의 이러한 일에 대한 실례는 옛날 의사록에서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모임 공동체는 사회 안정의 한 요소로 옛날보다도 오늘은 더 한층 요구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이 불안정한 경제조직에 있어서 사회를 휩쓸고 있는 폭풍에 맞서 버티어나가기에는 우리 가정은 너무도 작고 무력 합니다. 많은 아이들은 말할 것도 없고 때로는 조부모, 숙모, 숙부까지 포함하는 커다란 족장 가족의 시대에는 이렇지는 않았습니다. 결혼하지 않은 여자를 위해서는 친우회는 언제나 전력해서 교육적 사회적 종교적 의미 있는 일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해왔었습니다.
오늘날은 국가가 어느 정도 경제적 보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는 너무 크기 때문에 그 기능은 인격적인 것이 되지 못합니다. 그것은 경제적 지지는 해줄 수 있지만,마찬가지로 필요한 심리적 지지를 해 줄 수는 없습니다. 가정은 너무 작은 단위고 국가는 너무 커서 모임이나 교회 같은, 그 안에서는 모든 분자가 서로서로의 복지에 관해 강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종교 단체야말로 그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가장 합당한 것일 것입니다. 그러한 단체 안에서는 가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애정과 이해를 가지고 필요한 원조를 해줄 수 있습니다. 사회구조가 갈수록 더 원자화 분산화해가는 오늘에 있어서 그것을 메우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경제적 상호 의존을 하는 이러한 정도의 크기와 성격을 가지는 단체는 더욱더 필요합니다. 농촌식의 살림, 올라가서는 오랜 대가족주의 살림이 없어짐에 따라, 근대 사회는 고독한 개인의 갈가리 찢어진 물커리가 되고 말았습니다.

조화
모임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방법은 이미 사무모임에서의 결의 방법에 관련해서 말한 것입니다. 조화라는 말의 의미는, 개인의 권위라든가 소수파에 대한 다수파의 압력이라든가 하는 어떠한 강제도 쓰지 않고 일치한 행동에 이르도록 하자는 평화주의의 기술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일치의 근원으로 속의 빛에 호소할 때 그것은 한 개인이나 한 당파가 다른 어느 개인이나 당파를 이겼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가 이겼다는 그러한 뜻입니다. 그런데 그 진리는 약한 편에 있는 때가 많습니다.
친우회 안에서 가장 오래 계속해서 쓰여온 질문서는 이것입니다. ‘당신들 가운데 사랑과 통일이 유지되어옵니까?’ 이것은 1682년에 시작됐습니다. 단체 안에 있는 분쟁이나 불화는 어떤 것이든지 모임의 관심거리였고, ‘불일치가 일어났으면 그것을 빨리 끝내려고 힘쓰고 있습니까’ 하는 오래 된 질문서는 대개 긍정으로써 대답할 수가 있었습니다. 다른 퀘이커와의 불일치를 소송으로 해결하는 것은 퀘이커 수양법에 위반되는 것이었습니다. 그가 진정한 퀘이커라면 그는 모임에 호소해야 합니다. 모임이 그 충돌을 어떻게 해결했느냐 하는 것은 실례를 몇 개보면 알 수 있습니다.

조셉 리처드와 찰즈 아샴 사이에 토지 측량에 대해 불화가 있다고 들었으므로 생각한 결과, 전기 조셉이 이 이상 더 문제를 일으키지 말고 거기 대하여 찰즈에게 돈을 물어줄 것에 의견이 일치됐다. 그것이 그들 사이에 끝이 나고 모임이 보는 앞에서 돈은 물어줬다. (콩코드, 1684)

조셉 리처드와 월리엄 우드만시 사이의 불화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모임에 내놓았다. 월리엄 우드만시는 자기가 어리석게도 그를 런던의 쓰리장이 같다고 말했던 것을 자백하고, 거기 대해 유감되고 미안하게 생각한다 했으며, 조셉 리처드는 그것을 받아들여 처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온 싸움이 끝이 나기를 바라고 원한다고 했다. (체스터, 1686)

친우들이여, 나는 내 권리라 생각하고 어떤 시냇물의 길을 그 본래의 방향으로 돌리려 하다가 내 이웃인 쉬리엄 쉽풀리와 다툼을 일으켜서 서로 불화에까지 이르렀고, 싸움을 하는 동안에 화를 참지 못하고 그를 늪 속에 집어넣었습니다. 나의 그러한 행동은 친우의 올바른 길에 반대되는 것이므로 나는 그것을 미안하게 생각하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입어 앞으로 그와 화목하고 살기를 원합니다. 여러분의 벗 조수아 웨이로부터. (월밍톤, 1751)

어떤 때는 모임이 서로 싸움을 했던 친우들이 화해했노라고 발표하는 것을 믿지 않은 적도 있습니다.

우리는 콩코드의 친우들이 존 러킨과 로버트 파일의 사건에 있어서 제 할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사람은 속으로는 서로 악의를 품고 있으면서 겉으로만 둘 사이에 사랑과 우정을 회복한 것처럼 가장하고 있는데 그것을 그냥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언제까지나 진리의 증거가 침해를 당해서는 아니되는 것이므로, 우리는 지금까지보다 좀더 사랑이 그들 사이에 나타나지 않는 한 친우들이 그들에 대해 분명히 옳지 않다는 것을 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보고는 규칙을 범한 그들과 두 해 동안이나 두고 고심해오던 끝에 1769년 콩코드 월회의 열두 사람의 위원에 의하여 서명이 됐습니다. 두 사람은 결국 회원에서 제명이 됐습니다.

평 등
평등은 퀘이커들의 한 사회적 증거의 맨 첫번 것입니다. 퀘이커들이 평화주의자가 되기 전에 벌써 퀘이커 군인들이 장교들을 상관으로 대접하지 않는다 해서 군대에서 쫓겨났습니다. 이 증거는 아마 얼마쯤은 퀘이커 전에 있었던 매우 강하게 평등감을 가지고 있던 종교단체인 레빨 러즈(Levellers)나 디거즈(Diggers)들에게서 전해받은 것일 것입니다. 레밸러즈의 지도들을 릴번(Lilburne)은 퀘이커가 됐고 디거즈의 지도자 원스턴리(Winstanley)는 되지 않았습니다. 원스턴리의 생각은 그 공산주의적인 점을 내놓고는 조지 폭스의 것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퀘이커의 평등론은 능력이나 경제적 자원이나 혹은 사회적 신분의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평등한 존경, 따라서 계급적 인종적 사회적 차별로부터 오는 모든 말과 행동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그것은 사업주와 고용인, 주인과 심부름꾼을 경제적으로 평등하게 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퀘이커들은 각 사람은 제 천직(天職)을 지켜야 한다는 데서 청교도와 일치합니다. 천직이란 각자의 능력과 흥미에 따라 어떤 특정한 직업을 담당해 하도록 하나님으로부터 부르심을 입었다는 종교적인 말입니다. 평등의 교리를 따르면 서로 다른 직업 사이에 있는 귀천의 생각이 없어지게 됩니다.
심부름꾼의 대우에 대한 충고가 벌써 1656년에 한 교회 훈련에 대한 성명 가운데 나와 있습니다. 듀스버리는 어떤 편지 속에서 “이제는 마님과 식모는 좋은 친구라 해야 할 것입니다” 합니다. 초기 퀘이커의 가장 유명한 여자 전도자 중의 몇 사람은 식모였습니다. 술탄과 터키 궁정을 향해 연설을 했던 메리 피셔(Mary Fisher)가 그 한 사람이고, 또 뉴욕 시가에서 설교를 했다 해서 피터 스타이브산트(Peter Stuyvesant)에게 잡혀 감옥에 들어갔던 도로디 와우(Dorthy Waugh)도 그런 사람 중의 하나입니다. 주인과 심부름꾼이 서로 이름을 맞불렀고 심부름꾼이 가족과 한식탁에서 식사를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모임 안에서는 나이나 남녀의 성이나 재능에 상관없이 누구나 동등하게 참석할 수 있다는 데 평등이 나타나 있습니다. 모임에서 의논을 할 때 그 천품이 뛰어난 까닭으로 해서 남보다 더한 무게를 차지하는 사람이 있는 수가 있지만 아무도 특별한 권리를 가진 사람은 없습니다.

모임 밖에서는 이 교리 때문에 퀘이커는 평판이 대단히 좋지 못했습니다. 그때 일반으로 통행되는 모든 습관은 고도로 계급화한 영국 사회에 뿌리박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친우들은 이러한 풍습을 무시하지 않으면 아니 됐기 때문에 거칠게, 버릇없게 뵈는 때가 많았습니다.
친우들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높다는 의미로 하는 존칭의 사용이나 절하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거기에는 세 가지의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퀘이커들은 계급이나 인종에 근거를 두는 모든 사회적 차별을 인정하는 생각을 철폐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둘째, 어떤 형식으로든 자만심을 길러주기 쉬운 아첨을 하지 않으려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셋째로, 대개의 존칭은 사실과는 틀리기 때문입니다. 그랬기 때문에 17세기에 일반으로 통용되던, 높은 사람에 대해 너(thou)라고 하지 않고 어른들(you)이라고 부르는 것을 그만두었습니다. 바클레는 한 사람을 보고 어른들(you)이라고 하는 데 대해 이렇게 썼습니다.

이러한 말법(語法)은 교만심에서 나오는 것입니다……왜냐하면, 사람들은 보통 거지나 심부름꾼을 보고는 단수를 씁니다. 그런데, 그것만입니까. 또 기도할 때 하나님보고도 그럽니다. 그래서 인간의 교만은 하나님과 거지를 같은 표준에다 놓았습니다.

친우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어른들(you)이라는 말을 써서 이 차별을 없이할 수도 있었겠지만, 그 당시의 말법으로는 그것은 아첨으로 보였습니다. 또 ‘어른들’(you)은 복수기 때문에 진실치 못한 것으로 보였을 것입니다. 같은 이유로, ‘미스터’니 ‘미세스’니 하는 존칭은 낮은 사람에게는 쓰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두었습니다. ‘각하’(your honor), ‘전하,(your highness) ‘귀하’(sir), ‘귀관’(your honor) ‘천한 종,(your humble servant), ‘존사’(the reverend)’ ‘폐하’(your majesty), ‘충성된 종’ (your obedient servant) 하는 칭호 등은 아첨 일 뿐만 아니라 저 쪽을 거짓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폐해버렸습니다. 덧붙여서 쓰는 ‘성’ (saint) 이란 말은 지명에서 까지 빼버렸습니다.

정말로 존경할 사람은 누구입니까? 바른 사람 아닙니까? 거룩한 사람 아닙니까? 겸손하고 온유한 사람이 아닙니까? 그래 그런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 노동자, 어리숙한 어부 중에는 없겠습니까?

‘평범한 말씨’ (plain language)라는 속에는 달이나 요일의 이름을 대개 평범 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인 보통 쓰이는 명칭을 쓰지 않고 수자로서 이방 것도 들어 있었습니다.(출애굽 23:13) 한때는 ‘평범한 말씨’를 쓰는 것은 ‘평범한 옷’을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신적 위기에 따라 일어난 것이었고, 새 생활 방식과 ‘십자가를 지는’ 표지였습니다. 지금은 평범한 말씨는, 목적격의 ‘네게’(thee)를 주격으로 쓰는 것까지 포함시켜서, 미국에서는 신앙 간증으로보다는 가족적인친밀감, 종교적 우정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쓰입니다.
퀘이커들은 이런 일 저런 일로 재판을 받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런 경우 그들은 재판관을 존경하는 의미로 하는 모자 벗는 일을 거부했기 때문에 노염을 사서 가혹한 대우를 받곤 했습니다. 그들은 사람 앞에서는 그가 누구이거나 모자를 벗은 일이 없지만, 예배시간에 소리 내어 기도할 때는 하나님에 대한 공경으로 머리를 내놨습니다. 젊은 개종자들이 부모 앞에서 모자를 썼기 때문에 엄한 책망을 듣고 매를 맞는 일까지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토머스 엘우드(Thomas Ellwood)란 젊은이는 잠깐 동안에 모자를 셋이나 잃었습니다. 어떤 때는 스티븐 그렐레가 교황 앞에 뵈었을 때 됐던 것같이, 사환이나 관리의 손으로 살짝 묘하게 벗기 우는 일도 있었습니다. 연회에서 낸 권고는 모든 ‘절과 무릎 꿇음’ 과 온갖 형식의 비굴한 짓을 잘못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친우들은 노예들을 놔주기 전에도 그들을 점잖게 대우하고 있었습니다. 서인도제도에서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었건만 노예를 모임에 데리고 갔고, 그 아이들을 백인 아이들과 함께 학교에 보내는 일도 많았습니다. 친우들이 노예는 심부름꾼 같은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데는 시간이 좀더 지나야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극히 적은 수의 예외, 1695년에 공산주의적인 공동체의 살림을 제안했던 존 밸러즈(John Bellers)라든가 로버트 오원(Robert Owen)과 한가지로 뉴 라나크(New Lanark)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던 월리엄 알렌(William Allen) 같은 사람을 제외하고는, 친우들은 사회제도를 극단적으로 변혁하는 데는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선한 사람이 운영하기만하면 어떤 제도도 좋습니다” 하고 월리엄 펜은 말했습니다. 친우들은, 울만이 그의『부자에의 명심록』(Remembrance to the Rich)에서 말하듯이, 소유욕 속에 전쟁의 씨가 들어 있다고 보는 때에 가장 극단적인 사회주의에 가까왔습니다.

최근의 질문서는 현대의 친우들이 사회질서 개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증거해줍니다. 퀘이커의 사업가들이 그들의 공장경영에 상당한 정도로 노동자를 참가시킨 실례가 적지 않게 있기는 하지만, 특별히 주의할 만큼 널리 행해진 것은 아닙니다.” 퀘이커 구제사업가들은 자신을 자기네가 그 속에 들어가 일하는 그 사람들과 평등하게 놓으려는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이것은 특히 미국 친우회 봉사단의 경우에 그렇습니다. 인종적 평등은 오늘날 친우회의 학교에서 조금씩 되어가고 있으나, 아직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많은 퀘이커들이 온갖 종류의 인종차별을 없애기 위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긴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은 위원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셉 존 거니(Josehp John Gurney)가 말한 ‘피부의 귀족주의’를 없애기 위한 노력이 점점 높아가고 있습니다. (계속)

퀘이커 300년 (1-19) | 바보새함석헌

번역물 1 페이지 | 바보새함석헌




19 퀘이커 퀘이커 300년- 부록 1955년 필라델피아 신앙반성질문서 바보새 01-07 306 0
18 퀘이커 퀘이커 300년- 10. 퀘이커 사상과 현대 바보새 01-07 351 0
17 퀘이커 퀘이커 300년- 9. 퀘이커 역사와 종교형식(2) 바보새 01-07 463 0
16 퀘이커 퀘이커 300년- 9. 퀘이커 역사와 종교형식(1) 바보새 01-07 446 0
15 퀘이커 퀘이커 300년- 8. 모임과 세계(2) 바보새 01-07 354 0
14 퀘이커 퀘이커 300년- 8. 모임과 세계(1) 바보새 01-07 401 0
13 퀘이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2) 바보새 01-07 365 0
12 퀘이커 퀘이커 300년- 7. 모임공동체(1) 바보새 01-07 411 0
11 퀘이커 퀘이커 300년- 6. 결의에 이르기까지 바보새 01-07 323 0
10 퀘이커 퀘이커 300년- 5. 감화 바보새 01-07 332 0
9 퀘이커 퀘이커 300년- 4. 예배모임(2) 바보새 01-07 328 0
8 퀘이커 퀘이커 300년- 4. 예배모임(1) 바보새 01-07 330 0
7 퀘이커 퀘이커 300년- 3. 사상으로서의 속의 빛(2) 바보새 01-07 314 0
6 퀘이커 퀘이커 300년- 3. 사상으로서의 속의 빛(1) 바보새 01-07 360 0
5 퀘이커 퀘이커 300년- 2. 속의 빛의 체험 바보새 01-07 311 0
4 퀘이커 퀘이커 300년- 1. 주님을 우러러보기 위해 바보새 01-07 922 0
3 퀘이커 퀘이커 300년- 머리말 바보새 01-07 333 0
2 퀘이커 퀘이커 300년- 한국판 서문 바보새 01-07 315 0
1 퀘이커 퀘이커 300년- 퀘이커 300년 옮긴이의 말 바보새 01-07 395 0


목록

동학이야기 - YouTube

동학이야기 - YouTube



Home

Explore

Subscriptions

Library







PLAY ALL

동학이야기
7 videos17 viewsLast updated on Oct 12, 2020







세상사는이야기


SUBSCRIBE









1

22:52NOW PLAYING



녹두꽃 혁명 전봉준! 사람이 하늘이다

전주MBC Original





2

43:27NOW PLAYING



녹두꽃 동학혁명의 정신적 뿌리가 된 선조들의 이야기ㅣ닫힌 공간, 열린 세계 [다큐멘터리 유배 3부]

광주MBC





3

4:14NOW PLAYING



동학이야기

Hayong Shim





4

3:29NOW PLAYING



녹두장군 전봉준! 1차 동학농민운동 조선 역사 애니메이션 ★지니스쿨 역사

지니스쿨 역사 GeniSchool History





5

8:13NOW PLAYING



(75)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녹두장군 해몽 전봉준

사람이야기 역사캐리터치





6

4:59NOW PLAYING



백범 김구 이야기 1부 [출생부터 동학농민운동까지]

역사라디오





7

16:41NOW PLAYING



#동학농민운동 그 가슴아픈 이야기 (#응답하라1894)#최제우부터#우금치전투까지

역사길잡이최재원샘


Namgok Lee ‘우사정(우리사회정의)’ 도대체 정의가 무엇입니까 협치

Facebook

Namgok Lee
13nti FeiSlbrpguoaonrcnsioolyig 2rl0edf19oeo  · 
어제 ‘우사정(우리사회정의)’ 모임에 다녀왔다.
이 모임은 “요즘 모두 정의, 정의하는데 도대체 정의가 무엇입니까?”
“요즘처럼 주구장창 정의를 외치는 우리 사회는 왜 이렇게 포악한가?”라는 물음을 가진 사람들이 작년 2월부터 시작한 모임이다.
나도 도법 스님과 조성택 교수와의 인연으로 이 모임에 참가하였다.

어제는 함돈균 교수의 발제가 있었고, 그에 대한 진지한 논의들이 있었다.
내가 공자의 말을 논어에서 자주 인용하다보니까 나를 ‘유학자’로 소개해서 그 소개는 빼달라고  했다.

나는 인문운동가로서 다만 공자의 시대를 넘어 들리는 지혜를 소개할 뿐, 유학을 비롯한 동양 고전들에 대해서 공부한 적이 없는 사람이고, 60이 넘어 논어와 공자를 접하면서 크게 감동한 것에 불과하다.

어제도 ‘정의’와 관련하여 공자의 말을 소개했다.
<공자 말하기를, 
군자는 세상 모든 일에 옳다고 하는 것이 따로 없고 옳지 않다고 하는 것도 따로 없이, 
오직 의를 좇을 뿐이다.”                         (제4편 이인)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이 말을 대수롭지 않게 읽고 지나치는 것 같다.
나에게는 ‘정의’ 논의에 대해 정곡을 꿰뚫고 있는 말로 들린다.
첫째, ‘이것이 정의다’라고 단정함이 없이 출발한다.
둘째, 불가지론(不可知論)이나 ‘이런들 어떠리 저런들 어떠리’에 빠지지 않고 ‘오직 의(義)를 좇을 뿐’이라고 말한다.
이 둘의 사고방식의 중요함을 대부분 의식하지 못하고 지나친다.
현실을 보면 이 둘이 함께 이루어지는 일이 드물다.

‘이것이 정의’라고 자기 생각을 틀림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정의를 소리 높여 이야기하고, ‘이것이 정의’라고 단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회의주의나 불가지론이나 시세영합에 빠지는 경우를 많이 본다.
 단정하지 않으면서 끝까지 정의를 추구하는 ‘결합’을 2500년 전 공자는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무지의 자각’이라는 인간 의식의 진화가 필요하다.
 <공자 말하기를, “내가 아는 것이 있겠는가?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나에게 물어오더라도, 텅 비어 있는 데서 출발하여 그 양 끝을 들추어내어 끝까지 밝혀 가겠다.”                                                                    (제9편 자한)
子曰, 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


인간은 실체를 그대로 인식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또는 자기가 속한 집단)의 감각과 판단을 통해 실체를 인식할 뿐이라는 자각이다.
그래서 공자에게는 이른바 자기 생각과  다른 것을 이단(異端)이라고 공격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다만 극단(極端)과 단정(斷定)을 벗어나 실체에 접근하자는 것이다.
<공자 말하기를, “이단을 공격하는 것은 해로울 뿐이다.” (제2편 위정) 
子曰, 攻乎異端 斯害也已>
그런데 이것을 ‘이단을 행하면 해로울 뿐’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공자를 왜곡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유교(유학)가 국가 권력과 결합하여 사회의 정체를 가져온 대표적 사례가 아닌가 생각된다.
나는 우리나라가 지향해야할 목표의 하나가 '협치국가'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기 위한 인문적 토대를 위해 미미하나마 역할을 하는 것이 인문운동가의 길이라고 생각해서 드리는 말씀들이다.
어제를 돌아보며, 아침의 단상이다.
-----------
Comments
김재경
선생님.
감사합니다.
 · Reply · 2 y
김경일
정의란 이미 틀지워 진 어떤 것이 아니라 어떤 사안이 생겼을 때
원래 없는 텅빈 양심에 의지하여 일의 형세를 두루 보고 판단한 생각같은 거 아닐까요?
정의를 실체화하면 꼭 이단논쟁이 일어남을 봅니다.
 · Reply · 2 y · Edited
박재명
김경일 고정된 것을 넘어서 오늘 지금 시대에 가장 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
 · Reply · 2 y · Edited
김경일
박재명 감사합니다
다만
범부는 텅빈 양심이 가려있어서 최적의 대안을 내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냈다해도 다시 그것에 갇힌다면
성인은 텅빈 양심에 바탕해서 사태를 파악하므로 최적의 방안을 낼 뿐만 아니라 그것에 묶이지도 않는 것이 다른 듯 합니다
 · Reply · 2 y · Edited
박재명
김경일 최적의 길이라고 생각해도 살피고 논의하고 열린 마음으로 함께 걸어가야 한다는 것으로 봐도 될 듯합니다만...
 · Reply · 2 y · Edited
김경일
동감입니다
 · Reply · 2 y

조성택 교수의 “소통적 정의(Communicative Justice), 화쟁” 한국의 원죄(原罪)

(5) Facebook
Namgok Lee
fStS23 epitMaorhcha 2dnsuhu019osroedf  · 
어제 서울 ‘정의 연구모임’에 다녀 왔다.
새벽 5시 집을 나서 집에 돌아온 시간이 오후 5시였다.
역시 나에겐 강행군이었다.
그래도 가는 것은 벗님들과의 만남과 정의 연찬에 대한 끌림이 있어서다.

어제는 조성택 교수의 “소통적 정의(Communicative Justice), 화쟁”이라는 주제의 발제에 이어 연찬이 이루어졌다.
잘 정리된 발제였고, 나는 거의 동감하였다.
나는 내가 발견한 논어의 공자와 통하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본격적 발제에 앞서 조 교수는 혁명의 시간이 있고, 변혁의 시간이 있는데 지금은 혁명(revolution)의 시기라기보다 변혁(transformation)의 시간이라는 말을 했다.

혁명이 변혁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결국 모든 혁명이 배반되는 역사의 경험들을 생각하게 한다.
지금 우리의 경우를 잘 지적하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어제 연찬 중에 여러 생각들이 진지하게 검토되었다.

특히 원효의 개시개비(皆是皆非)의 화쟁이 악한 세력의 자기합리화로 이용될 위험성에 대한 지적이 있었고, 그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는 안타까움이 있지만, 대단히 지금의 현실에서 중요한 연찬이었다고 생각한다.

 누구 말인지는 잊어버렸지만, 우리 현실이 어려운 원죄(原罪)로 
  • ‘일제의 지배’ 
  • ‘한국전쟁’ 
  • ‘독재’의 세 가지를 이야기한데 대해 

중앙일보 양선희 선생의 지적이 나에게는 크게 다가왔다.

그 세 가지 이전에 ‘조선조 500년을 지배한 유교(성리학)의 폐단’이 보다 더 원죄(原罪)가 아닌가 하는 취지였다.
나라를 넘겨주고, 동족 간의 전쟁을 하게 만든 그 원죄(原罪)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남을 반성시키거나 참회하게 할 수는 없다.
반성은 스스로 할 수 밖에 없다.

조 교수의 발제문 마지막 문장이다.
“정의로운 싸움을 위해서는 늠름한 적(敵)을 선택해야 하고 적을 늠름하게 대해야 한다”
싸울 때는 적을 잘 골라야 한다는 취지다. 싸우면서 적과 닮아가기 때문이다.

좋은 말이다.
내가 덧붙였다.
“지금은 늠름한 적(敵)을 발견하기 힘들다. 내가 먼저 늠름하게 되어, 늠름한 적(敵)을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닌가?”
----
Comments
최선영
선생님, 원죄의 맥락에서 일제의 지배라는 (일반적인) 표현대신에 '조선의 식민지화'라고 대체하는 것은 어떨지 조심스럽게 여쭤봅니다:)
 · Reply · 2 y
Namgok Lee
최선영 저도 그런 생각이 드는군요.
 · Reply · 2 y
Write a reply…

엄수정
어제 마을활동가 교육에서 "storytelling"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storytelling"의 예로 어느 회사 광고와 광고를 만드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봤습니다.
저는 그 광고를 보는 동안 가슴과 머리가 따로였습니다.
광고의 소재가 아기의탄생여서 가슴 찡함이 있었지만 머리로는 광고의 목적이 돈이라는 생각에 동영상을 보는 동안 농촌마을활동가교육에는 적합하지 않은 동영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광고, storytelling들이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허구라고는 하지만 저는 마을 활동을 하면서 기업적 허구가 과연 필요한 것일까?!..
마을활동에는 사실을 바탕으로한 진실이면 된다는 생각입니다.
교육이 끝나고 동료들과 얘기 나누는 자리에서 저의 의견을 말했는데 다른 의견들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동료들의 다른 의견을 듣는 동안 마음이 불편해졌습니다.
문제는 동영상이 아니라 대화에 임하는 저의 모습이었습니다.
말로는 의견이라고 했지만 의견으로 포장한 주장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선생님의 글을 읽으면서 '연찬'이라는게 있었지~~
'연찬'일상의 대화방식으로 해가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 아침에 무거운 물음일까봐 조심스럽습니다.
 · Reply · 2 y
Namgok Lee
엄수정 솔직한 말이 좋습니다.
주장도 당연히 해야지요.
다만 내 생각이 틀릴 수 있다는 자각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Reply · 2 y
엄수정
이남곡 내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자각을 빠트렸습니다. 연습해 보겠습니다..^^
명쾌한 답 감사합니다~💐

연찬문화연구소 | 불교는 자유의 종교다.(펌) - Daum 카페

연찬문화연구소 | 불교는 자유의 종교다.(펌) - Daum 카페
불교는 자유의 종교다.(펌)

남곡추천 0조회 27020.01.15 07:20댓글 0북마크공유하기기능 더보기
불교는 자유의 종교다.

조 성택(고려대 철학과)

 

서양의 고전 『오디세이아』의 대주제는 ‘귀환’이다.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에서 오디세우스가 겪는 ‘어드벤처’는 주제를 돋보이게 하는 양념일 뿐이다. 영원한 삶과 재물을 보장해주겠다는 칼립소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었던 것도,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오디세우스의 집념 때문이었다. 인류의 문명사를 보면 ‘집’은 늘 돌아갈 곳이었다. 삶을 여행에 비유하곤 하지만 그 여행의 목적은 집을 떠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집으로 돌아오고자 하는 데 있다.


『오디세이아』는 인류가 정주문화를 시작한 이래 집을 ‘떠남’에 대한 인간의 근원적인 불안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농사를 짓기 위해 집을 잠시 떠나더라도, 또 장사를 하기 위해 집을 몇 해씩 떠나더라도 늘 인간들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집’을 삶의 중심으로 여기고 있는 것은 고대 동아시아의 유교적 세계관에서도 마찬가지다. 수신修身과 제가齊家 그리고 치국治國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집’은 늘 세계의 중심이다. 군신의 관계가 부자의 관계로 환원될 수 있는 것도, 효와 충이 동일시 될 수 있는 것도 결국 ‘집’이 세계의 출발점이자 완성태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등장은 ‘집’에 대한 인류의 생각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문명사적 사건이었다. 청년 싯다르타에게 ‘집’은 돌아갈 곳이 아니라 떠나야 할 곳이었다. 처자식은 자아를 실현하기 위한 ‘장애’였다. 집을 떠나고자 하였던 것은 싯다르타만이 아니었다. 당시 인도의 많은 젊은이들이 집을 떠났다. 그들을 사문沙門 즉 ‘추구하는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싯다르타를 비롯한 젊은이들이 추구하였던 것은 진정한 자아의 실현이었다. 이를 위해 ‘집’을 떠나고자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에게 ‘집’이란 과연 어떠한 것이었을까?


문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세기경』에는 ‘집’을 바라보는 불교적 입장의 문명관이 잘 드러나 있다. 이에 따르면 ‘집’이란 개인의 욕망을 은폐하는 곳이자 재화를 축적하는 장소다. 요컨대 집은, 당시 사문들의 관점에서 보자면 욕망의 ‘발전소’이자 욕망을 재생산하는 장소였다. 집 그리고 가족이란 자신을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지켜주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곳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탐욕을 정당화하고 다른 사람을 적대시하게 되는 근거이기도 한 것이다. 나아가 타인에 대한 진정한 사랑과 참된 자아실현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곳이기도 하다.


『성경』의 「마태복음」에서 “나보다 자기 부모를 더 사랑하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고, 나보다 자기 자식을 더 사랑하는 사람도 적합하지 않으며…”라고 하는 예수의 언급 또한 바로 이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불교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불교의 경우는 보편적 사랑의 실천을 위한 ‘출가’를 정신적 의미에서만이 아니라 수행의 과정으로 제도화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집’을 ‘돌아가야 할 곳’으로 생각하는 문화와 ‘떠나야 할 곳’으로 생각하는 문화는 인류의 문명사를 통해 늘 일정한 대립관계를 유지해왔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귀환의 문화’가 늘 주류였고, ‘출가의 문화’는 늘 소수에 속하는 비주류의 문화였다. ‘집’이 신체적·정신적 쉼터의 역할을 지나쳐 욕망의 근거지이자 탐욕의 은신처가 될 때, 출가의 문화는 우리에게 자아실현의 진정한 의미를 각성하게 해주었다.


불교가 동아시아문화권에서 늘 불온시 되었던 것도 불교에 내재되어 있는 ‘출가’라고 하는 지향점 때문이었다. 흔히 인류의 문명을 유목민의 이주문화와 농경민의 정착문화로 나누고 있는데, 여기에 숨어 있는 문명적 코드가 바로 ‘출가의 문화’와 ‘귀환의 문화’다. 이주와 정착은 단지 생산 수단과 방법의 차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자아실현의 장소로서 ‘집’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서로 다른 입장이 내포되어 있다.



청년 싯다르타의 출가, 수행, 깨달음 그리고 전법의 여정은 그대로 전통으로 계승되어 지금까지 불교의 제도적 기반이 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출가제도’ 그 자체는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다. 동아시아 근대불교의 과정에서 출가제도를 폐기하고자 하는 일련의 시도들이 산발적으로 있었지만 세계불교 전체를 보면 출가제도는 흔들림 없는 불교 전통으로 유지되고 있다.


출가라는 제도가 현대불교에서도 유효하며 부처님의 정법을 이어가는 바람직한 전통이냐 아니냐의 논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혹자는 가톨릭의 예를 들어 종국에는 ‘독신주의’의 종교가 종말을 고할 것이라고 하면서 불교의 출가제도 또한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가톨릭의 독신주의와 불교의 출가제도는 그 기원이나 성격에 있어 근본적으로 다르다. 불교의 출가제도는 교조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의 삶을 그대로 따르고자 하는 데서 출발한 것으로, 수행의 일부이자 불교적 정체성 그 자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출가자의 역할 특히 재가와의 관계 등에 관해서는 시대에 따라 새롭게 변혁이 되어야 할 것이지만, 불교전통이 유지되는 한 출가제도 또한 함께 존속할 것이라고 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일 것이다.


그러나 출가의 의미에 대해서는 새롭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초기불교 이래 지금까지 ‘출가’는 세간을 벗어나는 일로 여겨지고 있다. 출가는 ‘집’을 중심으로 한 혈연적 관계는 물론 사회에서의 일상적 의무와 권리 또한 벗어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야말로 출가란 몸과 마음이 다 함께 세간사로부터 떠나는 것으로, 모든 시간과 노력은 오로지 ‘해탈’을 위한 수행에 집중되었다.


실제로 모든 출가수행승이 그러하지는 않다 하더라도 적어도 ‘이론적’으로나 세간의 일반적 기대는 그러하여 왔다. 대승불교의 보살사상이 등장하면서 초기불교의 ‘출가중심주의’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고는 하지만, 출가에 대해 세간을 떠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여전하였다. 이 점은 동아시아 불교에서 더욱 더 강조되었다. 세간사회의 질서를 유교가 담당하는 가운데 불교가 차지할 수 있는 영역은 세간의 ‘바깥’으로 한정되었다.


이제 우리는 청년 싯다르타의 ‘출가’에 내재되어 있는 또 다른 문명의 코드를 읽어내야 한다. 그것은 ‘자유’라고 하는 코드다. ‘출가’를 단지 세간을 떠나는 것으로만 이해하였던 것은 사회를 세간과 초세간으로 이분하여 나누었던 고대인도의 종교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문명사적 관점에서 볼 때 싯다르타의 출가는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집’ 혹은 가족으로 표상되는 생물학적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전통과 관습이라고 하는 사회적·제도적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었다.


부처님의 탄생게로 잘 알려진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 당시 브라흐마니즘(Brahmanism, 바라문교)이 제공하였던 신神중심적 세계관과 사제司祭중심의 사회적 질서로부터 벗어난 ‘자유로운 나’를 선언한 것이다. 나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신이거나 사제가 아니다. 내 삶은 나의 것이라고 하는 소위 ‘인본주의’의 선언이었다. 이는 곧 종교, 관습 그리고 전통이라는 이름의 굴레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정신적 자유의 선언에 다름 아니었다.


또한 싯다르타에게 있어 출가는 ‘나’의 생물학적 한계를 벗어나는 ‘자유’의 첫걸음이었다. 혈연적 관계는 본능과 욕망을 정당화하거나 당연시하는 근거이며 인간의 한계이기도 하다. 더구나 싯다르타는 ‘집’을 통해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재생산되며 탐욕이 은폐되는지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집’을 벗어난다는 것은 욕망과 탐욕의 한 근거를 없애는 일이었다. 또한 혈연을 중심으로 한 가족애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생명에 대한 보편적 사랑의 실천은 가능하지 않았다. 싯다르타의 깨달음이 ‘뭇 생명의 안녕과 행복’을 위한 보편적 사랑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혈연’이라는 이름의 생물학적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는 자유로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제도적 종교로서 불교를 생각할 때 ‘출가제도’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듯이, 출가를 생각할 때 출가에 내재되어 있는 자유의 정신과 실천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기독교가 ‘사랑’의 종교라면, 불교는 보편적 사랑의 실천을 위한 ‘자유’를 추구하는 종교다. 출가는 자유의 첫 걸음이며, 깨달음 그리고 ‘뭇 생명의 안녕과 행복’은 바로 그 자유의 완성이자 실천이다.


최근 새로운 문명의 코드로 등장하고 있는 ‘노마디즘(Nomadism, 유목주의)’은 어쩌면 지금 21세기 인류의 문화가 ‘출가의 문화’로 바뀌고 있는 징표는 아닐까? 그러고 보면 지난 2천여 년간 인류는 너무 오래 동안 ‘집’에만 안주해온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