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02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질문: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답변: 우리가 거듭날 때, 우리는 구속의 날을 위해 우리를 인치시는 성령을 받게 됩니다 (에베소서 1:13, 4:30). 예수님은 성령께서 우리를 "모든 진리" (요한복음 16:13) 가운데로 인도하실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 진리의 일부는 하나님의 일들을 취하여 그것을 우리의 삶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그런 적용이 이루어질 때, 신자는 성령께서 자신을 다스리도록 허락하는 선택을 한 것입니다. 진정한 기독교 영성은 거듭난 신자가 자신의 삶을 성령의 인도와 다스림에 맡기는 정도에 근거합니다.

사도 바울은 신자들에게 성령으로 충만하라고 말합니다. “술 취하지 말라 이는 방탕한 것이니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 (에베소서 5:18). 이 구절의 시제는 진행형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는 의미입니다. 성령으로 충만하다는 것은 우리 자신의 육체의 소욕을 따르지 말고, 그저 성령님께서 우리를 통치하도록 허락하는 것입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비교를 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술의 지배를 받게 될 때, 그는 술에 취해 혀가 꼬부라진 말을 하거나, 불안정하게 걷거나, 의사 결정이 둔해지는 등의 어떤 특징들을 드러냅니다. 술 취한 사람의 특징 때문에 그가 술에 취한 것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성령에 의해 다스림을 받는 거듭난 신자는 성령의 특성을 드러낼 것입니다. 우리는 그 특성들을 갈라디아서 5:22-23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소위 “성령의 열매”라고 불리는 것들입니다. 이것이 신자 안에서, 그리고 그 신자를 통해 일하시는 성령에 의해 맺혀지는 진정한 기독교 영성입니다. 이러한 성품은 인간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성령에 의해 다스림을 받는 거듭난 신자는 건전한 말과 일관된 영적인 행보를 보이고, 또한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의사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독교 영성은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서 성령의 사역에 복종함으로써,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매일의 관계에서 “알고 성장하기” 위한 선택을 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신자로서 우리가 자백을 통해 (요한일서 1:9) 성령님과의 분명한 소통을 유지하겠다는 선택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죄로 인해 성령을 근심하게 할 때 (에베소서 4:30; 요일 1:5-8),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담을 쌓는 것입니다. 성령의 사역에 복종할 때, 우리와 하나님의 관계는 막힘이 없습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9). 기독교 영성은 육체와 죄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스도의 영과 의식적으로 교제하는 것입니다. 거듭난 신자가 지속적으로 계속해서 성령의 사역에 순종하기를 선택할 때, 그리스도인의 영성이 개발됩니다.
--

성경적인 영성이란? | LEE SANG JUN



성경적인 영성이란? | LEE SANG JUN

성경적인 영성이란?

앞으로 성령님 안에서 사는 삶에 대해서 글을 쓰려고 한다. 목차는 정해놓지 않았다. 그냥 생각나는 주제들을 정리해서 글을 올릴 것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영성'(靈性, spirituality)이란 무엇인지를 바르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사실 영성을 바르게 정의를 내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느 학자가 말했듯이 21세기 교회가 관심을 가져야할 세 단어(영역)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1) 영성, (2) 치유, (3) 가정이다. 과학 문명과 자본주의가 발전하면 할수록 영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것 같지만 사람은 원래부터 영적인 존재이므로 영적인 목마름과 갈망을 가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영성에 대한 시도는 계속해서 일어날 것이다. 교회는 그 가운데서 성경적인 영성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야 하고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영성이 무엇인지를 바르게 정의 내려야할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영역 중에 하나가 영성 분야일 것이다. 최근에 어느 글을 보니 ‘영성’이라는 단어는 성경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적인 단어는 ‘경건'(예를 들어 딤후 4:8)이라는 것이다. 영성이란 단어는 일반 종교에서는 사용하는 단어로서 동양의 신비종교나 자기초월, 뉴에이지(New-Age)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독교 안에서 영성운동을 하는 여러 리더들이 모두 그런 선상에 있는 사람들이라는고 비난하는 것을 보았다. 그렇게 보면 전혀 틀린 주장만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영성이라는 단어를 바르게 정의하면 구지 영성과 경건을 구분해서 영성운동을 하는 지도자들을 비난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그렇다면, 영성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정의(사전적인 정의)를 살펴보면 ‘신령스러운 풍성이나 성질’이라고 정의한다. 그런데 이것을 다시 구체적으로 풀어서 정의하면 ‘어떤 종교의 가르침이나 정신대로 살아가는 삶’을 말한다. 이것을 브래들리 한센은 “영성이란 인간의 삶의 본질과 목적에 관한 확신에 따라서 사는 한 개인이나 한 공동체의 삶의 스타일이다”라고 말하였다(안영권, ‘빛과 소금’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1993. 10). 즉 영성이란 ‘삶의 스타일’이며 ‘삶의 방식’을 의미한다. 모든 종교가 나름의 교리와 주장하는 것들이 있다. 그 가르침과 교리(정신)를 따라 살아가는 삶이 바로 영성인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모든 종교에 영성이 존재한다. 불교의 영성이 있고, 이슬람의 영성이 있고, 기독교의 영성이 있는 것이다. 석가모니의 가르침대로 살면 그것이 바로 불교의 영성이고, 코란의 가르침대로 살면 그것이 바로 이슬람의 영성인 것이다. 기독교는 성경의 가르침대로 살면 그것이 바로 기독교의 영성이라는 것이다. 영성이란 기독교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모든 종교에 영성이 존재한다. 어쩌면 불교, 이슬람, 기독교 중에 가장 영성훈련을 잘 받고, 영성이 가장 깊은 종교는 이슬람일 것이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코란의 가르침을 몸소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 때문에 전 세계가 혼란스럽게 되었지만 말이다.

우리는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그것은 “그렇다면, 다른 종교와 기독교의 영성이 다른 것은 무엇인가?”이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질문이다. 일반 종교와 기독교 영성의 차이점을 알지 못하면 큰 혼란에 빠지고,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단어를 정의하는 차원에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거기엔 본질적인 차이가 하나 있다. 일반 종교의 영성에는 ‘관계'(relationship)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에는 ‘관계’가 존재한다. 아니 기독교 영성에서 ‘관계’를 빼 버리면 그것은 더 이상 기독교 영성이 아니다. 그것은 일반 종교의 영성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런 영성을 ‘율법주의’라고 부른다. 율법주의란 다른 것이 아니다. 성경의 가르침대로 자신의 노력과 의지로 열심히 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기독교 영성은 그런 것이 아니다. 철저하게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성경적인 영성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교제)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앞에서 다루었던 영성의 정의를 다시 ‘관계’라는 측면에서 정리해 보자. 불교의 영성은 석가모니(불경)의 가르침대로 사는 것이다. 그럼 거기에 석가모니와 교제 한다는 개념이 있을까? 단연코 없다. 왜냐하면 석가모니는 살아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오래 전에 죽었고 무덤이 존재한다. 그의 많은 가르침은 기록되어 남아 있지만 더 이상 교제할 수 있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또한 이슬람은 어떠한가? 그들은 유일신을 믿는다. 그들이 믿는 ‘알라’는 전능한 신이면서 유일신이다. 하지만 코란을 통해서 알라와 교제한다거나 알라와 대화한다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제할 수 있는 그런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반 종교의 영성에는 반드시 자기 초월적 개념이 등장해야 한다. 인간의 영역 안에는 신이 존재하지도 않고 만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신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나아가기 위해 인간이라는 존재를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 점을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런 자기 초월적 경험을 위해서 많은 종교들이 소위 ‘영성훈련’을 실시한다. 그들의 영성 훈련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신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고, 신처럼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불교적 영성 혹은 가톨릭적 영성이라고 부른다. 불교적 영성은 자기 학대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서 신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고, 가톨릭적 영성은 영적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서 신처럼 되는 것이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 성경적인 영성은 그런 개념이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기독교 영성은 인간의 자기 초월을 통해서 신의 영역으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다. 그런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인간으로 오셨기 때문이다(성육신, 요 1:14). 그래서 성경은 예수님의 두 번째 이름을 ‘임마누엘'(마 1:23,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이라고 부르신다. 또한 신구약 성경 곳곳에 하나님은 인간 가운데 임재하시고 강림하시는 분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 성막이고 성전인 것이다. 하나님은 저 높은 하늘에 계신 분이시면서 동시에 인간 가운데 임재하시는 분이시다. 더 놀라운 것은 예수님을 통해 완성된 구원의 목적이 성령님의 내주에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부패한 인간의 마음에 예수님을 영접할 때 실제적으로 우리 내면에 임재하시는 분은 바로 성령님이시다. 그래서 성경은 우리 몸을 성령님이 거하시는 성전이라고 말씀하신다(고전 3:16, 6:19).

이것을 우리는 십자가 영성, 복음 중심적인 영성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우리가 살아계신 하나님과 친밀하게 교제하기 위해 아무 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이며, 할 필요도 없다는 의미이다. 우리 자신을 더 나은 존재를 만들 필요도 없다. 우리가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오직 십자가에 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게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어느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할 필요가 없다. 더 많은 도를 닦을 필요도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교회 안에 불교적 영성이 존재하고, 가톨릭적 영성이 마치 성경적인 영성인 것처럼 가르쳐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더 나은 존재로 만들 필요가 없다. 아니 만들수도 없다. 그것은 성경적인 가르침이 아니다.

인간 타락의 원인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라.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이 왜 타락하게 되었는가? 창세기 3장 5절을 보면, 뱀이 하나님이 만드시 여자에게 이렇게 말한다. “하나님은, 너희가 그 나무 열매를 먹으면, 너희의 눈이 밝아지고, 하나님처럼 되어서, 선과 악을 알게 된다는 것을 아시고,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다.”(새번역) 뱀이 여자를 유혹할 때, 그 유혹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나님처럼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자는 그 유혹에 넘어가 하나님이 금하신 선악과를 먹은 것이다. 곧 인간 자신이 하나님처럼 되려고 시도한 것이 바로 타락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그 결과 타락한 인간은하나님처럼 되려는 시도를 빈번하게 시도한다. 타종교의 영성도 그러하다. 모양은 다르지만 모든 종교의 영성은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기독교의 영성은 하나님처럼 되는 것이 아니다. 기독교 영성은 핵심은 살아계신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는 것이다. 그것이 영성의 본질이고 핵심이다. 그럴 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수 있는 것이다. 온전한 순종은 친밀한 관계 가운데서 나오는 것이다. 성경적인 영성은 무엇을 보거나 무엇을 체험해서 더 나은 존재가 되려는 것에 있지 않다. 삶 가운데서 하나님과 동행하며, 그 분과 교제함으로 말씀에 온전히 순종하는 것이다. 그 중심에 십자가가 있고, 예수 그리스도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예수님과 십자가를 빼놓고 영성을 논할 수 없다. 그것은 기독교 영성이 아니다. 앞으로 계속해서 다루겠지만 한국 교회 안에 잘못된 영성이 깊이 박혀져 있다. 샤머니즘적 영성, 불교적 영성, 가톨릭적 영성이 마치 기독교 영성인 것처럼 인식되어져 있다는 말이다.

성령님과 동행하는 삶에 대해서 나누기 전에 영성을 먼저 다루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잘못된 영성의 이해 때문에 성령님과 동행하는 삶이나 은사가 많이 오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영성에 대한 바른 성경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것을 먼저 바르게 정리하지 않으면 아무리 성령님에 대해서 가르친다해도 잘못된 토양 위에 나무를 심는 것과 같은 꼴이 되는 것이다. 나무가 아무리 좋은 품종이라도 해도 토양이 좋지 않으면 좋은 열매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한국 교회 안에 성령님에 대한 오해와 불신, 미신이 팽배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영성에 대한 오해와 성경적 관점을 정리하도록 하자. 그럼 다음에 성령님에 대해서 더 깊은 이해와 성경적 관점을 정리해 보자.





(Visited 10,889 times, 1 visits today)



14 Responses to 성경적인 영성이란?
채진광 says:
2016년 1월 31일 at 1:14 오전


안녕하세요, 저는 영남신학대학교 학생입니다.
영성에 관한 자료를 찾던중 본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설교에, 영성에 대해서 본 글을 바탕으로 조금 언급하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응답
이상준 says:
2016년 2월 2일 at 5:09 오후


응답이 너무 늦었네요. 필요하신대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김봉중 says:
2016년 10월 4일 at 10:00 오후


이것은 지식적인 영성을 말하는 것이고.. 진짜 하나님이 특별계시와 자연계시를 통해서.. 우리인간의 인체에다가.. 특별한 능력을 주실수 있다는 사실을 믿지 않으십니까?
응답
이상준 says:
2016년 10월 4일 at 11:48 오후


하나님이 인간에게 특별한 능력을 주신다는 말씀이 어디에 있나요?
응답
김봉중 says:
2016년 10월 4일 at 10:03 오후


저는 개인적으로 영성은 특별계시와 자연계시를 둘다 통해서.. 영성을 훈련시켜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도 예수님의 영성을 따라가지 위해서.. 정말이지.. 어떤 은사가 저에게 주어졌을까??에 대해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사랑의 영성에 대해서 기도하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은사죠.. 모든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고.. 포용할수 있는 능력 말입니다.
사랑의 영성이란 무엇이라 생각을 하십니까?
응답
이상준 says:
2016년 10월 4일 at 11:49 오후


죄송하지만 사랑은 은사가 아닙니다. 사랑이 은사라고 말하면 심각한 오류에 빠지게 됩니다. 사랑은 명령이죠.
응답
오영 says:
2016년 10월 29일 at 10:06 오전


좋은 말씀 감사 드립니다.
교회는 다니고 있지만 많은 혼란과 갈등이 있는데 저의 많은 혼란과 갈등을 해소 할 수있는 기준의 말씀을 주셔서
감사 합니다. 하지만 저히 같은 사람이 오해 할 소지가 있는 부분이 성경에 있는데 사도행전에 나오는 내용 중에 초대 교회 때 사도들이 성령이 임 한 후에 기적을 행한 말씀이 있는데 이런 사건은 어떻 관점으로 보시는지 궁금 합니다.
감사 합니다.
응답
이상준 says:
2016년 11월 5일 at 10:49 오전


요즘 제가 바뻐서 답글을 이제야 남깁니다. 주일이 지나서 다음 주에 시간을 내어서 이 부분에 대한 답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오영 says:
2016년 10월 29일 at 10:13 오전


죄송 합니다 오타가 있어서
응답
이화숙 says:
2017년 1월 21일 at 1:41 오후


잘 배웠읍니다. 감사합니다. 이분의 다른 글들을 어디에서 더 볼수 있습니까?
응답
이상준 says:
2017년 1월 24일 at 10:10 오후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이 글은 제가 쓴 글인데… 뭐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
응답
이화숙 says:
2017년 2월 4일 at 3:25 오전


성령님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관점에 대한 말씀을 다음에 하신다고 해서 더 배우고 싶어서요.
응답
이상준 says:
2017년 2월 4일 at 10:35 오전


죄송합니다! 제가 처음에는 정리해서 올리고 싶었는데, 글로 올린다는 것이 참 쉽지가 않더라구요. 시간이나 여러 상황상 제약이 많네요. 제가 어떻게 도움을 드려야할까요?
응답
이상준 says:
2017년 3월 19일 at 4:00 오후


제가 곧 정리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영성이란 무엇인가? - 가톨릭일꾼



영성이란 무엇인가? - 가톨릭일꾼
영성이란 무엇인가?

참사람되어
승인 2016.04.27 16:06


영성과 활동의 관계-1


영성이란 허위로부터 진실로 나아가는 인간적 성장의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영성이 형성되는 데에는 3가지 요소가 있다.

† 표현: 진정한 영성은 인간과 하느님과의 신비스러운 관계를 다루는 것이어야 한다. 이 관계는 연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나 적어도 개념적으로 혹은 상징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단어나, 제스처, 기념제등 어떠한 형태의 인간적 행동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런데 표현이란 하느님에 대한 인간의 체험을 온전히 또 적절하게 나타낼 수 없으므로 영성에 있어 이러한 한계는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 인격적 성장: 인격적 성장은 항상 변증법적인 것이다. 영적성장은 어떤 것에 대하여 “예” 하는 것인 동시에 다른 어떤 것에 대하여 “아니요” 하는 것이다. 진실로 나아가는 매단계마다 허위를 거부하는 행동이 요구된다.

† 진실과 허위: 진실과 허위는 영적성장의 과정에 있어 양대극이다. 허위란 자기고립 혹은 자기중심적인 것이다. 진실이란 자기 초월 혹은 타인 중심이다. 영성이란 이 절대적인 양극에 대한 표현이다.

어떤 특정한 영성을 분석할 때에 어떤 방법을 쓸 것인가? 영성의 분석에 있어 먼저 요구되는 것은 그 영성이 나타난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대한 자각이다. 개인이나 그룹의 영성에 영향을 미쳤던 주요 역사적 사건은 무엇인가? 그러한 영성의 종교, 문화적 배경은 무엇인가? 등등

영성이란?

‡ 영성이란 어떤 개인이 자신의 목표와 최종적인 영감, 결정 등에 따라 삶 전체에서 습관적으로 행동하고 반응하는 자세를 말한다.

‡ 그리스도인의 영성이란 성령의 힘 안에서 자신의 역사를 변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영성이란 신적인 것에 뿌리를 박고 사람들의 삶에 관하여 하느님께 대한 책임감을 인식하는 것이다.

‡ 영성이란 성령에 인도되어 복음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자세를 말한다. 그것은 ‘주님 앞에’ 살아가는 분명한 길이며 ‘주님과 함께’ 전 인류 앞에서 모든 사람과 연대하여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 영성은 한 사람이 삶을 살아가는 자세 전체와 관련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하느님께 응답하는 중심에는 그 사람의 근본적이며 도덕적인 선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선택은 그 사람의 삶 전체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드러난다. 영성이란 살아가는 방식이다.

‡ 영성이란 하느님께로 향하는 우리의 내적인 자세로서 의식적으로 훈련되어 삶 안에 구체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하느님과의 연결성은 영성으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두 개의 대조적인 경향의 혼합물로서 모습을 드러낸다. 이 두 가지 대조적인 경향은 창조의 순간에 우리 안에 내재되었다. 한 가지는 우리를 겸허하게 하는 창조성이요 또 하나는 우리를 들어 올리는 창조성이다.

(출전: <영성과 사회적 관계>, 참사람되어 2012년 6월)

영성이란 무엇인가? - 기독교타임즈



영성이란 무엇인가? - 기독교타임즈

영성이란 무엇인가?최선순 목사의 영성기행-3

기독교타임즈
작성 2012.11.14


#세계적 팝의 디바 휘트니 휴스톤(Whitney Huston)은 구리 빛나는 아름다운 미모와 멋진 목소리로 팬들을 오랫동안 사로잡았습니다. 그런 그녀가 고인이 되기 전, 마약 중독으로 흉측하게 변한 모습이 매스컴에 공개되었을 때 만인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고든 맥도날드(Gorden McDonald)는 미국의 중년 남자들의 절반 이상이 치명적인 과거의 비밀을 하나씩 갖고 있다는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빌리 그래함은 하나님이 쓰시고자 했던 지도자 가운데 3/4이 사단의 성적 유혹으로 넘어졌음을 토로했습니다.

우리는 매일같이 무너지는 소리를 안팎에서 듣습니다. 그것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입니다. 개중에는 “나는 아니겠지”라고 여겼던 이들이 화자가 되는 것을 듣고 또한 놀랍니다. 윌레스 해밀턴(Wallace Hamilton)은 진지하게 “우리 각자 속에는 고삐를 풀고 싶어 하는 야생마 한 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연약함은 쉽게 노출되어 낙마의 위험 속에 있습니다.

영성이란 무엇입니까? 우리는 영성을 대할 때마다 영성의 대가를 연상합니다. 그러나 영성은 어떤 개인을 지칭하거나, 어느 고행과 훈련을 집어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영성은 우리의 삶 자체입니다. 영성은 “궁극적인 가치를 향한 인간의 탐구 혹은 가장 고상한 가치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우리에게 익숙한 로렌스형제(Brother Lawrence)는 영성을 “하나님의 임재에 들어가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며 그의 가르침을 실천하며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삶입니다. 
  • 마조리 톰슨(Marjorie Thomson)은 “우리 안에 하나님의 성령의 생명력과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고 정의했습니다. 
  • 달라스 윌라드는 “우리의 스승 되신 예수님과 동행하면서 신의 성품들이 점차 우리를 지배하고 우리 안에 배어드는 과정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정의를 정리해 볼 때 영성은 크리스천의 삶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달리 말해서 영성은 변화된 참 삶입니다. 
그것은 잃어버린 것, 멀어진 것, 익숙하지 못한 것들이 이제는 찾아지고, 가까워지고 친숙해지는 삶입니다. 
그 삶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와 함께 그를 위하여 살 때 찾게 됩니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와 그리스도와의 관계입니다.

그리스도 없는 삶은 오래가지 않아 중단되거나 모양만 낼 따름입니다. 
진정한 삶은 그리스도께서 우리 안에 거하실 때 이루어집니다. 
삶의 초점을 그리스도께 맞추면 우리의 삶은 비로소 제자리를 찾게 됩니다. 
이런 그리스도와의 관계는 자아와의 관계,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회복시켜줍니다.

 그렇게 변화될 때,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게 되며,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삶을 살게 됩니다.
 그런 점에서 헨리 나우웬은 
  • 영적인 삶을 산다는 것은 하나님의 현존 가운데 사는 것이다… 
  • 나는 중심에서 예수님과 더불어 사는 것이라고 답하겠다”
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살 때, 우리 안에 계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그의 충만하신 형상으로 이루어 나가실 것입니다.


기독교타임즈 webmaster@kmctimes.com

2019/10/01

Peace journalism - Wikipedia

Peace journalism - Wikipedia



Peace journal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eace journalism has been developed from research that indicates that often news about conflict has a value bias toward violence. It also includes practical methods for correcting this bias by producing journalism in both the mainstream and alternative media, and working with journalists, media professionals, audiences, and organizations in conflict.
This concept was proposed by Johan Galtung[1] Other terms for this broad definition of peace journalism include conflict solution journalism, conflict sensitive journalism,[2] constructive conflict coverage, and reporting the world.[3]
War journalism is journalism about conflict that has a value bias towards violence and violent groups. This usually leads audiences to overvalue violent responses to conflict and ignore non-violent alternatives. This is understood to be the result of well documented news reporting conventions. These conventions focus only on physical effects of conflict (for example ignoring psychological impacts) and elite positions (which may or may not represent the actual parties and their goals). It is also biased toward reporting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parties, (rather than similarities, previous agreements, and progress on common issues) the here and now (ignoring causes and outcomes), and zero sums (assuming that one side's needs can only be met by the other side's compromise or defeat).[4]
Peace journalism aims to correct for these biases. Its operational definition is "to allow opportunities for society at large to consider and value non-violent responses to conflict".[5] This involves picking up calls for, and articulations of, non-violence policies from whatever quarter, and allowing them into the public sphere.

Origins[edit]

Used with permission of Assoc Prof. Jake Lynch
Peace journalism workshop in Mindanao, the Philippines
Peace journalism follows a long history of news publication, originating in non-sectarian Christian peace movements and societies of the early 19th century, which published periodicals.[6] Sectarian organizations also created publications focused on peace as part of their proselytizing in the 19th century, as did utopian communities of the period. From the 20th century, a prominent example of sectarian journalism focused on peace was Dorothy Day's Catholic Worker.[7]
Besides being an element in the histories of pacifism and the social movement press, peace journalism is a set of journalism practices that emerged in the 1970s. Norwegian sociologist, peace researcher and practitioner Johan Galtung proposed the idea of peace journalism for journalists to follow to show how a value bias towards violence can be avoided when covering war and conflict.[8] Christian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The World Association for Christian Communication also practice peace journalism.
Peace journalism aims to shed light on structural and cultural causes of violence, as they impact upon the lives of people in a conflict arena as part of the explanation for violence. It aims to frame conflicts as consisting of many parties and pursuing many goals rather than a simple dichotomy. An explicit aim of peace journalism is to promote peace initiatives from whatever quarter and to allow the reader to distinguish between stated positions and real goals.

Necessity[edit]

Peace journalism came about through research arguing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ypical conflict reporting. Research and practice in peace journalism outlines a number of reasons for the existence and dominance of war journalism in conflict news.[9]

Other interests[edit]

Firstly, the notion that media elites always act to preserve their favored status quo, and their own commercial and political interests, is given relatively little weight. Shared characteristics of the socio-economic class, which heavily influences the production of journalism, are important. For example, their shared ideological pressures, perceptions, attitudes, and values form the basis of a "dominant reading" of facts that are selected to appear in news. These can then act to fix and naturalize meaning and hide the actual creation of meaning.[10]
However, even in the presence of powerful elite media interests against war, war journalism often dominates conflict discourse. Lynch and McGoldrick show examples from Britain, Ireland, Georgia, and Iraq, where war journalism dominated coverage despite key influential media interests against war.[11]

Journalistic objectivity[edit]

Used with permission of Assoc Prof. Jake Lynch
Peace journalist Jake Lynch covering protests against joint US-Australia military exercises in Australia.
Therefore, not only political and economic,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dominance of war journalism in conflict reporting. With the growth of mass media, especially from the 19th century, news advertising becam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media revenue.
Whole audiences needed to be engaged across communities and regions to maximize advertising revenue. This led to "Journalistic objectivity as an industry standard…a set of conventions allowing the news to be presented as all things to all people".[12] And in modern journalism, especially with the emergence of 24 hour news cycles, speed is of the essence in responding to breaking stories. It is not possible for reporters to decide "from first principals" every time how they will report each and every story that presents itself.[13] It follows that convention governs much of journalism.
The rise of journalistic objectivity was part of a larger movement within western academia to a more empirical "just report the facts” epistemology and research paradigm. By the 1890s it was focused on the ideal of “objectivity”.[14] And although it came into fashion around the same period, Journalistic Objectivity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Scientific Objectivity. For example the experimental sciences uses as "best practice":
  1. Inter-laboratory replication;
  2. Random assignment of subjects to conditions;
  3. Efforts to ensure that human subjects and experimenters are ignorant of the expectations (hypotheses)of the research: to avoid the Observer-expectancy effect
  4. The Subject-expectancy effect;
  5. Anonymous peer review, a form of peer review, to promote open and systematic exploration of meaning without subjective, "political" bias;
  6. Careful analysis to ensure that research subjects are adequately representative of the general population, that is not overly atypical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population.
While it is arguable whether these experimental science safe guards provide “true objectivity”, in the absence of these safeguards, journalism around conflict relies on three conventions to maintain its own form of "objectivity" ( also see journalistic objectivity), and is therefore distinct from Scientific Objectivity.

Conventions[edit]

Firstly, to sell audiences to advertisers, reporting must appeal to as broad an audience as possible and therefore focuses on “facts” that are the least controversial. Conflict processes are often controversial, so coverage of them risks alienating potential consumers, who may be sensitive to the exposure of structural or cultural predisposing factors.[15]
Secondly, a bias in favor of official sources means that, while it may appear uncontroversial, as there is only one official representative for the government on any given issue[16] and since only the official government is usually allowed to wield legal, sanctioned force within its territory[17] coverage will tend to privilege violent responses to conflict over non-violent, social-psychological, context-informed responses.[18]
Journalists Annabel McGoldrick and Jake Lynch argue that non-critical reporting of official sources is often rewarded by those sources. Through "information transactions", these same official sources allow uncritical journalists privileged access to information in the future.[19]
Thirdly and lastly, 'dualism' biasses journalistic objectivity towards violence: "A decision to tell a story in that [bipolar] way can slip past, unnoticed, without drawing attention to itself because of its close resemblance, in shape and structure, to so much of the story-telling we already take for granted".[20]

Gatekeeping[edit]

These conventions also form “gates” by which “gatekeepers” in journalism include or exclude various aspects of reality in final publication.[21]
In this way, proponents of peace journalism argue that in the media meaning occurs according to: “a set of rules and relations established before the reality or the experience under discussion actually occurred”.[22] In war journalism the objectivity conventions serve this purpose, but are shadowy and unacknowledged.[23] “Gatekeeping” is therefore likely to be secretive and haphazard. This means they distort, and also fix, meaning in conflict coverage and obfuscate the production of meaning[clarification needed].[24]
A recent example demonstrates how peace journalism evaluative criteria might be applied to show how much conventional conflict reporting is biased in favor of violence and violent groups. The example is the coverage leading up to the September 2009 meeting between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Palestinian President Mahmoud Abbas, and US President Barack Obama.
Reporting was highly reactive and focused on the visible effects of the conflict, such as announcements and public disagreements between official spokespeople that appeared to disrupt peace efforts.[25]


Coverage was oriented to elites with little mention of non-official peace efforts by individuals and groups such as the Hand in Hand network of schools, the Israeli/Palestinian The Parents Circle Families Forum, Peace Now, Breaking the Silence, Physicians for Human Rights, Machsom Watch, and Checkpoint Watch, Hanan Ashrawi (non-violent activist for human rights, founder of the Palestinian Initiative for the Promotion of Global Dialogue and Democracy, and member of the Palestinian Legislative Council).[26][27]

Also ignored were programmes that promote cultural exchange, for example (the Israeli-Palestinian Aussie Rules football team The Peace Team), see here for official 2011 team details) which played in the 2008 and 2011 AFL International Cups. Another is the current programme of Palestinian children's visits to the Old Yishuv Court Museum in the Jewish Quarter of Jerusalem. Events demonstrating non-violent responses to the conflict were also ignored, a new example being the March 12, 2011, Conference on Civil Disobedience in the West Bank marking the centenary of International Women's Day.[28] Projects working for peace among Arabs and Israelis lists further organizations working for peace in the region, whose activities are generally excluded from news on the Conflict.
Reporting leading up to the September 2009 meeting between Netanyahu, Abbas and Obama focused almost solely on highly divisive issues, such as Israeli illegal settlements in the West Bank and Jerusalem, and the diplomatic/official status of Jerusalem. Coverage was also oriented towards differences, with a focus on the here and now. Potential benefits in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security of peaceful relations were ignored, and “progress” towards peace was portrayed as having to come with one or more parties compromising and surrendering their positions on key issues, which is of course a zero sum orientation.[29] Coverage generally ignored the background or context of positions. Positions were presented as unchangeable on any peaceful settlement, rather than the public "face" of unmet needs that often drive violent conflicts. Because of distrust between parties these needs are often not honestly expressed publicly.[30]
Thus a pattern of war journalism emerges, largely stemming from the objectivity conventions applied to conflict reporting. Peace journalism argues that this is likely to have important and consistent effects on the way audiences understand a conflict.
In war journalism, violence is typically presented as only its own cause, ignoring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or psychological causes. Since violence is assumed to have no cause or explanation (such as the deprived needs of parties), conventional conflict reporting may leave viewers to conclude that the only “natural” or reasonable response to violence is more violence.[31] That “more violence—‘the only language they understand'—is an appropriate remedy”, and that non-violent responses are irrelevant or 'unrealistic'.[15]
This focus on only physical violent behavior is an example of what leading Conflict Analyst and Peace Researcher, Johan Galtung identifies as a major flaw in responses to inter-communal conflict: the “Conservative Fallacy”.[32]
This bias towards prioritizing violent actors with coverage is then expected by violent groups, through what is called a Feedback Loop.[33] Parties to a conflict often try to use the media to advance their position, rather than being passive subjects, unaware of being observed, as assumed in sciences where humans are not the subjects. Journalist, and journalism Associate Professor, Jake Lynch notes that "it is not the influence of news on public opinion as such, but assumptions by parties to conflict about its likely or possible influence, that condition their behaviour".[34]
In this way war journalism is an example of the role of power in representation and of the media trying to fix meaning, in this case about violence and its causes, for “it to become naturalized so that is the only meaning it can possibly carry…where you cannot see that anybody ever produced it."[35]
Thus, war journalism is understood as reporting on conflict in a way which imposes an artificially confined closed space, and closed time, with causes and exits existing only in the conflict arena.[36] Peace journalism can then be understood as journalism that avoids this outside imposition, which more objectively assesses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taking place in open space, and open time with any number of causes and exits.

Effects[edit]

The Salvadoran Civil War, largely a peasant revolution, took place 1980–92. The USA supported the right-wing government. During the war 75,000 people were killed, 8,000 more went missing and another million exiled. On 17 March 1980, the village of Ingenio Colima was attacked by paramilitaries who murdered all its occupants. At the time, the country’s media gave a biased account of what took place. The intention today – in the face of open hostility from today’s political leaders is to investigate and clarify what happened and to contribute to a national process of truth and reconciliation.[37]
The emotional effects of war journalism also make it more difficult for audiences to be aware of this biased presentation of conflict. War journalism takes advantage of the emotional “high” humans can get from fear through evolutionary psychological mechanisms.[38] In a similar way, war journalism appeals to "lower order" needs for security and belonging.[39] The pre-frontal cortex, governing working memory, rational attentive functioning, and complex thought is inhibited by activation of the brain’s fear centre, the limbic system.[40]
Audiences are thus deprived of cognitive resources with which to recognize the role of fear in encouraging war journalism consumption. This cognitive deprivation also further fixes meaning and increases the role of “automatically activated attitudes” which according to cognitive psychology: "guide attention toward attitude-consistent information, provide a template with which to interpret ambiguous information, and…guide behaviour in a relatively spontaneous fashion".[41] Therefore viewers are primed to pay more attention to future inform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automatically activated attitudes formed by war journalism. Research into the ever present framing[clarification needed] in the media supports this conclusion: “Certainly people can recall their own facts, forge linkages not made explicitly in the text, or retrieve from memory a causal explanation or cure that is completely absent from the text. In essence, this is just what professors encourage their students to do habitually. But Zaller (1992), Kahneman and Tversky (1984), and Iyengar (1991), among others, suggest that on most matters of social or political interest, people are not generally so well-informed and cognitively active, and that framing therefore heavily influences their responses to communications”.[42]
Research shows that war journalism can have negative emotional impacts on audience members. These include feelings of hopelessness and powerlessness, compounded by increased anxiety, mood disturbance, sadness and a sense of disconnection with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Research by Galtung and Ruge (1965) finds negativity bias in foreign news. This has also been confirmed more recently by Nohrstedt and Ottosen (2008).[43] This can affect reactions towards the conflict itself, and an audience’s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biasses their view of the world as excessively chaotic and may cause serious anxiety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a sense of disempowerment and disconnection.[44] Vicarious trauma can increase these negative effects, where "even ‘normal’, intelligent, educated individuals can become highly suggestible towards violent acts in formerly unexpected contexts".[45]
These negative emotional states may discourage audience members from criticism and challenge of the biassed information presented through war journalism. These public concerns may appear to be "someone else’s problem" and best left to "experts", who alone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time, and emotional endurance. The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may also discourage creative engagement with the conflict and conflict parties. This is especially troubling considering the critical role of creativity in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building.[46]

Feedback loop[edit]

Peace journalism analysis suggests that typical news on conflict, with its value bias towards violence and violent groups, has important effects on the parties to conflict. Firstly, peace journalism proponents argue that the bias in favour of publicity for violence and violent actors, "plays into" the interests of violent actors to intimidate and disrupt the peace process.[47] This is an important example of the Feedback Loop effect: "it is not the influence of news on public opinion as such, but assumptions by parties to conflict about its likely or possible influence, that condition their behaviour".[34] This bias also weakens and punishes, with less publicity, non-violent groups affected by a conflict, for their lack of violence. Nohrstedt and Ottosen (2002) note: "if traditional media themselves are unable to transmit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voice the danger is that those […] that feel marginalised will turn to terror in order to make a difference in the media agenda".[48]
The most visible actions of a group, of which one is not a member, are often considered representative of that group’s behaviour (an effect called the “availability heuristic”).[49] Therefore war journalism's over-selection of violent, as opposed to non-violent, responses to conflict may actually foster a misperception of excessive threat between parties. This is then generally exaggerated by other inter-group social-cognitive biases within war journalism. These include biases towards: seeing an outgroup as more homogeneous (with less internal variety) than it really is, ignoring the variety of attitudes towards the conflict;[50] seeing ambiguous situations, or negative group behavior, as playing out internal, and stable, group characteristics rather than external, and variable, circumstances,[51] favourable ingroup/outgroup comparison to increase collective self esteem;[52] and members of groups who perceive themselves to be under threat to be more pressured internally to conform with and reinforce dominant group norms;[53] premature and immediate resistance to ideas on positive responses to violence offered by members of outgroups.[54]
Indeed Dr. Louis Kriesberg, a sociologist at Syracuse University, and expert on conflict resolution points out that: "conventional thinking among partisans in a fight generally attributes destructive persistence in a conflict to the enemy's character, asserting that the enemy is aggressive by nature, has evil leaders, or adheres to a hostile ideology".[55] And Professor of World Religions, Diplomacy and Conflict Resolution, Marc Gopin, agrees with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escalating conflict: "being hated normally generates deep injury and corresponding anger in most recipients is what I call a "conflict dance" of action/reaction".[56]
peace journalism perspective also highlights another effect of typical conflict journalism on the groups engaged in a conflict: war journalism's common focus on the human drama and tragedy of violence. Hamber and Lewis (1997) note war journalism "often involves painting doomsday scenarios of victims who are irreparably damaged and for whom there appears to be no solution and no future".[57] This creates an increased impediment for the victims of unreported crimes. And the positive experiences of those who have embarked upon a process of recovery is often ignored in war journalism.[58] For example in Israel/Palestine, victims of suicide bombing, house demolition, land and house theft, are often portrayed as defenceless, disempowered victims with no prospect of healing or positive response to their predicament.[59]
Effective non-violent bridge building between communities such as the Hand in Hand Arab/Jewish school network in Israel, are routinely ignored in war journalism coverage. Non-violent initiatives illustrate what can be possible through peaceful responses to conflict but this information is artificially "filtered out" through the coverage biases of war journalism.[60] Parties are therefore presented with a biassed picture of the entire conflict, favouring violent responses to the conflict. Parties are led to believe that that violence is the only way their needs can be met, thereby reinforcing and escalating cycles of dangerous retaliation between groups. Peace journalism would also charge that this pattern of conventional conflict reporting submerges the emotional cost of violent conflict and therefore make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cycles of revenge subtle, and so more difficult to prevent.[61]
All of this missed information could represent a crucial movement away from violence, as the only option for threatened groups towards peace. But only if they are not hidden by journalistic assumptions that they are irrelevant, and should not be reported. This is of special concern, given that the collective trauma suffered by a population, and the fear that this generates, can lead to a reduced capacity for decision making and action.[62]

Response[edit]

In response to war journalism’s value bias in favour of violence, peace journalism promises two key benefits: for those concerned with objectivity in journalism, it aims to avoid and counteract the persistent bias of valuing violence and violent parties. Secondly, as all journalism must in some way appeal to the values of their audiences, for those who value the promotion of peace and social justice over violence, it provides a practical methodology.[63]
The 'fixation of meaning'[clarification needed] in war journalism is often hidden by the “scattered opposition facts” that often occur in its coverage. However th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