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25

The Man Who Planted Trees



The Man Who Planted Trees




The Man Who Planted Trees
By Reviewed by Jason Blake
November 30, 2010 — 3.00am


Opera House, November 27. Until Friday.

MY SIX-YEAR-OLD is into outlandishly armed robot gladiators. For my three-year-old, it's SpongeBob, nothing else. To see them captivated by an environment-themed puppet show from Scotland about a French shepherd who devotes his life to planting trees was beyond surprising.


Seeds of renewal ... homespun props and puppets tell a tale of friendship.

But then Puppet State Theatre's adaptation of the French author Jean Giono's 1953 story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is one of the most touching and effective pieces of children's theatre I've seen for a long time. In fact, it's the most completely satisfying piece of theatre playing in Sydney right now.

The story begins in 1910 with the narrator Jean (Richard Medrington) running into a shepherd, Elzeard Bouffier, and his tatty dog (voiced and operated by Rick Conte) on the denuded, dried-out hillsides of Provence. Bouffier, he learns, is planting trees to replace those cut down by generations of charcoal burners. Every day, without fail, he plants 100 seeds in the morning, 100 in the evening. A friendship develops - make that two - that spans four decades, two world wars and the growing of a huge forest.

The language and cadence of the show is pitched at adults; there's no talking down to the audience. Conte is terrifically droll as Dog, whose canine joie de vivre extends into an improbable old age.

The story is heartwarming, the message clear and the comic banter woven through it is lively and unforced. It's hard to believe the two have performed this show more than 1500 times. All the relationships - between man and dog, between performer and audience and human and puppet - are beautifully crafted and full of telling detail. Ailie Cohen's homespun props, puppets and set, Barney Strachan's nature soundscapes, and the scent of lavender and mint wafting over the audience make this a pleasure for all the senses.

The Man Who Planted Trees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The Man Who Planted Trees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Translation:The Man Who Planted Trees


The man who planted trees
by Jean Giono, translated by Wikisource
A letter from the author

information about this edition. 1953


For the character of a human to reveal truly exceptional qualities, one needs to have the good fortune of being able to observe his actions over many years. If his actions are free of all egotism, if his guiding principle is unequalled generosity, if it is absolutely certain that no reward was sought anywhere and his ideas have left a visible impression on the world; one has, without any doubt, found an unforgettable character.

About forty years ago, I went on a long hike, in heights unknown to tourists, in these ancient regions of the Alps which extend to Provence.

This region is bordered to the south and south-east by the central course of the Durance, between Sisteron and Mirabeau; to the north by the upper course of the Drôme, from its source until Die; in the west by the plains of Comtat Venaissin and the foothills of Mont Ventoux. It encompasses the whole northern part of the department of Basses Alpes, the southern part of the department of Drôme, and a small enclave of the department of Vaucluse.

At the time, when I undertook my long stroll through this desert, at 1200 to 1300 meters above sea level, it was a barren and monotonous area. Nothing but wild lavender grew there.

I crossed this country along its largest extent and, after three days, I found myself in a most desolate spot. I camped besides the remains of an abandoned village. I had exhausted my water supply the day before and desperately needed to find a source. These buildings, even if they were just ruins, agglomerated like an old wasps' nest, made me think that there must have been once a well or a spring. Indeed there was a well, but all dried out. The five or six houses, without roofs, eroded by wind and rain, the old chapel caved in, were neat and tidy like houses and chapels in inhabited villages, but all life had disappeared.

It was a beautiful and sunny day in June, but on these high plains without shelter, a brutal wind blew unbearably. As it soughed through the carcasses of these old houses, it roared like a wild animal disturbed while feeding.

I had to break my camp and move on. After five hours, I still had found no trace of water, and I despaired to find any. Everywhere the same dryness, the same woody herbs. In the distance, I thought I saw a small black silhouette, upright, which I took for the trunk of a lone tree. More by chance than by determination, I continued my way in its direction. It was a shepherd. About thirty sheep rested close to him on the hot ground.

He let me drink from his water bottle, and then guided me to his cabin, hidden behind a low mound on the plain. He got his—excellent—water from a deep natural hole, above which he had installed a rudimentary winch.

This man barely talked. Such is the way of loners, but one felt that he was sure of himself and confident of his self-assessment. It was strange in this country stripped of everything. He did not live in a shack but in a true house made of stone, and one could see easily where and how he had restored the ruin he must have found there when he had first arrived there. The roof was solid and tight. The wind blowing across the tiles made the sound of waves washing ashore.

He kept a proper household, his dishes were done, the floor was swept clean, his gun well greased, his soup boiling over the fire. I also noticed that he was freshly shaved, his buttons carefully sewed on, and his clothing had been darned with the great care that renders the repairs nearly invisible.

He shared his soup with me, and when I offered him my tobacco pouch, he said he didn't smoke. His dog, quiet like the man himself, was friendly and without baseness.

It had been silently understood right away that I would spend the night there; the next village was still a day's march and a half away. Furthermore, I knew the character of these villages perfectly well. There are four or five, spread apart on the slopes of this high plain amidst thickets of white oak, at the very end of the navigable roads. They are inhabited by charburners making charcoal. These are bad places to live. Living close to one another in this rough climate, Summer and Winter alike, the families being cramped together in close quarters increases their selfishness and leads to excessive unreflected ambition in their constant desire to escape these places.

The men bring the coal to the city in their trucks and then return. Even the best qualities are eroded by this perpetual contrast bath. The women are embittered, always bearing a grudge. These people compete about anything, from the coal sale to the place on the church bank, about the virtues of the women and the vices of the men, and about the general fray of the vices and the virtues, without rest. On top of that, the equally incessant wind strains the nerves. Suicide is epidemic, and there are many cases of madness, nearly always deadly.

The shepherd, who did not smoke, fetched a small bag from which he poured a pile of acorns onto the table. He began examining them closely one after the other, separating the good ones from the bad ones. I smoked my pipe. I offered to help. He told me this was his business. And indeed, seeing with how much care he performed the job, I did not insist. That was our whole conversation. Once he had separated enough of the good acorns, he counted them in packets of ten, eliminating in the process the smaller ones or those that were slightly chapped, for he truly scrutinized them. Once he had lying one hundred perfect acorns in front of him, he stopped and we went to bed.

The company of this man instilled peace. I asked him the next morning whether I might stay and relax the whole day there at his place. He found it completely normal, or, more exactly, he gave me the impression that nothing could disturb him. I didn't really need the rest, but I had become curious and wanted to know more. He collected his flock of sheep and led them to their pastures. Before leaving, he dunked the small bag in which he had collected the carefully chosen and counted acorns into a bucket of water.

I noticed that instead of a stick he carried an iron rod, thick like a thumb and about a meter and a half long. I just leisurely walked along, on a path parallel to his. The pasture of his animals was in a small depression. He left his dog in charge of the flock and climbed back up to me. I feared he would reproach me for my intrusion, but not at all: it was his usual route and he invited me to accompany him if I had nothing better to do. He walked for about two hundred meters.

When he had arrived where he had wanted to go, he planted his iron rod into the ground. In the hole he put an acorn, which he then covered again. He was planting oaks. I asked him if this land was his property. He answered in the negative. Did he know whose land it was? He didn't know. He assumed it was common property, or maybe it belonged to someone who didn't care about it. He didn't worry about knowing the landowners. In this way, he planted extremely carefully one hundred acorns.

After we had eaten at noon, he began again to sort his seeds. I must have asked insistingly enough, for he answered my questions. For three years he had been planting trees in this solitude,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acorns. Of these one hundred thousand, twenty thousand had grown. He expected to lose half of these twenty thousand, due to rodents or simply the unpredictables in the nature of destiny. Remained ten thousand oaks that would grow in this place where there had been nothing before.

At that point, I suddenly wondered how old this man was. He was visibly older than fifty years. Fifty-five, he told me. His name was Elzéard Bouffier. He once had owned a farm in the valley. He had accomplished his life. He had lost his only son, then his wife. He had retreated to this lonely place, where he was content and happy to live a slow life, with his sheep and his dog. He ha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is country was dying for want of trees. He added that, since he had no more important business, he had decided to remedy this situation.

As I was at that time, despite my youth, leading a solitary life, I knew that the heart of a recluse had to be touched delicately. Nevertheless, I made a mistake. Precisely because of my young age, I could not help but imagine the future according to myself and a certain search for happiness. I told him that in thirty years, these ten thousand oaks would be magnificent. He answered simply that, if God lent him life, in thirty years, he would have planted so many others that these ten thousand would be like a drop of water in the sea.

Moreover, he was already experimenting with the reproduction of beeches, and he had behind his house a seedbed with trees grown from beech-nuts. Protected from his sheep by a fence made of wire netting, they were splendid. He was also thinking about birches for the depressions where, so he told me, there was moisture only a few meters below the surface.

We parted the following day.

The next year, the war of 14 broke out, in which I served for five years. An infantryman had no time to think about trees. To tell the truth, the encounter had not lasted with me: it had been no more than a hobby-horse, like a stamp collection, and I had forgotten it.

Discharged after the war, I found myself with only a small demobilization premium, but with a big desire to breathe a little pure air. Without an exact plan—except this one—I retraced my steps through this barren region.

The country had not changed. But still, beyond the dead village, I saw in the distance a kind of grey fog covering the heights like a carpet. Since the last evening, I had been thinking again about this shepherd tree planter. "Ten thousand oaks," I said to myself, "occupy a really large space."

I had seen too many people die in the last five years not to imagine easily the death of Elzéar Bouffier, even more so because at twenty, one considers anyone of fifty years to be an old man with nothing left but death. He had not died. He was even extremely spry. He had switched trade. He only had four sheep, but, on the other hand, a hundred bee hives. He had gotten rid of the sheep which put in danger his tree plantations. Because, he told me (and I realized it), he had not worried at all about the war. He had continued imperturbably to plant.

The oaks from 1910 were then ten years old and taller than me or him. The sight was awe-inspiring. I was literally at a loss of words, and, as he did not talk either, we spent the whole day walking in silence though his forest. It was, in three sections, eleven kilometers long and up to three kilometers wide. Remembering that all this had come from the hands and the soul of this man—without technical support—one understood that man could be as effective as God, not only in the field of destruction.

He had followed his plan, as witnessed by the beeches, which reached my shoulders, spread as far as one could see. The oaks were thick and had grown beyond the stage where they were at the mercy of rodents; and regarding the nature of destiny itself, it would have to use cyclones to destroy this work. He showed me admirable thickets of birches going back to five years, i.e., of 1915, of the time when I fought at Verdun. He had planted them in the depressions where he suspected, with good reason, that water was available just beneath the ground. They were tender like youths and very determined.

The creation seemed furthermore to cause some secondary effects. He didn't worry about it, he just very simply obstinately continued his task. But when I descended to the village, I saw water flowing in brooks that, within living memory, had always been dry. It was the most impressive chain reaction that I have ever had the opportunity to see. These brooks had formerly, in ancient times, already carried water. Some of the miserable villages I have mentioned above had been built on the sites of old gallo-roman settlements of which there were still traces and in which archaeologists had excavated. They had found fish hooks in places where in the twentieth century, one needed to build cisterns to have a little water.

The wind also disseminated some seeds. With the return of the water, willows, osiers, grasses, meadows, gardens, flowers and a reason for living came back.

But the transformation proceeded so slowly that it was accepted without astonishment in the daily life. The hunters who climbed the heights in pursuit of hares or wild boars had well noticed the proliferation of the small trees, but they had attributed it to the freaks of nature. Therefore, nobody disturbed the work of this man. If they had suspected it was his doing, they would have interfered. He was above suspicion. Who could have imagined, in the villages and in the administrations, such perseverance in the most splendid generosity?

From 1920 on, I visited Elzéard Bouffier each year. I never saw him feel down or doubting. And still, only God knows if God himself pushed him! I did not take the account of his vexations. But one can easily image that for such a success, it was necessary to overcome adversity; that to ensure the victory of such a passion, despair had to be fought. In one year, he had planted more than ten thousand maple trees. They all died. The next year, he abandoned the maples and returned to the beeches, which grew even better than the oaks.

To get a better idea of this exceptional character, one must not forget that he performed his feat in total solitude, so total that, towards the end of his life, he lost the habit to speak. Or perhaps he considered it unnecessary?

In 1933, a dumbfounded forest ranger came to visit him. This functionary served him an order not to make fire outside to not endanger the growth of this natural forest. This was the first time, said this naive man, that a forest was observed to grow all alone. At that time, he used to plant beeches twelve kilometers away from his house. To avoid having to return each evening—for he was seventy-five years old—he contemplated building a small stone cabin at the place where he was planting then. He did so the next year.

In 1935, a true administrative delegation came to examine the "natural forest". There was a big shot from the National Forestry Commission, an elected representative, technicians. Lots of useless words were spoken. It was decided to do something, and luckily, nothing was done except the only useful measure: the forest was plac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state and it was prohibited to go make charcoal there. It was impossible not to be subjugated by the beauty of these young healthy trees. The forest exerted its seductive power even on the representative himself.

I had a friend among the forestry managers, who was a member of this delegation. I explained the mystery to him. One day the next week, we both went to visit Elzéard Bouffier. We found him at his work, twenty kilometers away from the place of the inspection.

This forestry manager was not my friend for nothing. He knew about the value of things. He knew when to remain quiet. I offered some eggs I had brought as a present. We shared our snack amongst us three and passed several hours in silent contemplation of the landscape.

The area we had come from was covered by trees between six to seven meters tall. I remembered how this area had looked in 1913: a desert... The peaceful and regular work, the fresh mountain air, his simple life and most of all the serenity of his soul had given this old man an almost solemn health. He was an athlete of God. I wondered how many hectares more he would cover with trees.

Before we left, my friend made only a brief suggestion concerning certain trees for which this ground might provide a healthy habitat. He didn't insist. "For the simple reason," he told me afterwards, "that this man knows more about it than I." After another hour of walking—having mulled over the idea—he added: "He knows more about it than the whole world. He has found a great way of being happy!"

Thanks to this manager, not only the forest, but also the happiness of this man were henceforth protected. He appointed three foresters to enforce the protection and terrorized them such that they remained insensitive to all bribery attempts of any loggers.

The work was endangered seriously only during the war of 1939. The cars then ran on gas generators fueled by charcoal or wood, and there was never enough wood. They began logging the oaks of 1910, but the region is so far away from all traffic lines that the enterprise was a huge financial failure. It was abandoned. The shepherd never saw anything of it. He was thirty kilometers further away, peacefully continuing his task, ignoring the war of 39 as he had ignored the war of 14.

I saw Elzéard Bouffier for the last time in June 1945. He was then eighty-seven years old. I had returned to the desert, but now, despite the dilapidated state in which the war had left the country, there was a bus service between the valley of the Durance and the mountains. To this relatively fast means of transport I attributed my not recognizing anymore the country of my earlier strolls. It also seemed to to me that the route made me pass by new places. Only by the name of a village could I assert that I was right in that same formerly sorry and ruined region. I got off the bus at Vergons.

In 1913, this hamlet of ten to twelve houses had three inhabitants. They were savage, detested each other, and lived from trapping: they lived in about the physical and moral state of prehistoric men. Nettles devoured the abandoned houses around them. They were in a hopeless condition. They could only wait for death: a situation that hardly predisposes one to virtue.

All had changed. Even the air itself. Instead of the dry and brutal gusts of wind which had greeted me formerly, a soft breeze charged with aromatic odors blew. A sound similar to that of water came from the heights: it was that of the wind in the forests. Finally and most astonishingly I heard the true sound of water plashing in a basin. I saw that there was indeed a fountain, that it was abundant, and, which touched me most, that someone had planted a lime tree next to it, which might already have been four years old, already thick; an undeniable symbol of resurrection.

Elsewhere, Vergons showed the traces of maintenance work for which hope was a necessity. Hope had thus returned. One had cleared the ruins, had cut down the dilapidated sections of wall and had rebuilt five houses. The hamlet now counted twenty-eight inhabitants, including four young families. The new buildings, freshly plastered in roughcast, were surrounded by kitchen gardens where there grew, mixed but neatly aligned, vegetables and flowers, cabbage and roses, leek and snapdragons, celery and anemones. It had become a inviting place where one would have liked to live.

From there on, I made my way by foot. The war having just ended, life had not yet fully recovered, but Lazarus had risen from the grave. On the lower flanks of the mountains, I saw small fields of barley and of rye; at the bottom of the narrow valleys there were green pastures.

In no more than the eight years that have passed since then the whole region became resplendent with health and prosperity. In place of the ruins I had seen in 1913, there are now neat farms, well plastered, suggesting a happy and comfortable life. The old sources, fed by the rain and the snow held back by the forests, are running again. Their water is caught and channeled. Besides each farm, in groves of maple, the fountains overflow onto carpets of fresh mint. The villages have been rebuilt piece by piece. New people have come from the plains, where real estate is expensive, and have settled in the region, bringing youth, movement, and the spirit of adventure with them. In the streets, one meets well-fed men and women, boys and girls who can laugh and who have rediscovered a taste for country festivals. Including the old inhabitants, unrecognizable since they live gently with the new arrivals, more than ten thousand people owe their happiness to Elzéard Bouffier.

When I think that one single man, reduced to his own simple physical and spiritual resources, was sufficient to turn this desert into this land of Canaan, I consider the human condition admirable after all. But when I account for all the unwavering nobility of the soul and the determined generosity necessary to achieve this result, I feel a deep respect for this old peasant without culture who managed to conclude this work worthy of God.

Elzéard Bouffier died peacefully in 1947 at the nursing home of Banon.

알라딘: 나무를 심은 사람



알라딘: 나무를 심은 사람




나무를 심은 사람 - 개정2판
장 지오노 (지은이),최수연 (그림),김경온 (옮긴이)두레2018-03-10원제 :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1983년)





































미리보기


정가
10,000원
판매가
9,000원 (10%, 1,000원 할인)


어른들을 위한 동화 주간 42위|
Sales Point : 6,125

8.8100자평(39)리뷰(68)

양장본
104쪽
154*192mm
306g

책소개
'희망을 심고 행복을 가꾼' 한 사람이 메마르고 황폐한 땅에 홀로 수십 년 동안 나무를 심어 황무지를 생명이 살아 숨쉬는 숲으로 바꾸어놓는 이야기로,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첫 원고를 쓴 뒤 20여 년 동안 다듬어 완성한 작품이다. 1953년 처음 발표된 이래 지금까지 25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이토록 짧은 작품이 우리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주는 이유는 깊은 문학적 향기와 더불어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기 때문이다. 공기와 물과 땅이 죽어가고 뭇 생명이 고통받는 파멸의 시대에, 생명을 사랑하며 그것을 가꾸는 숭고한 한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현대 문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르쳐주는 한 편의 탁월한 '우화'이기 때문이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위해, 공동의 선을 위해 아무런 대가와 보상도 바라지 않고 자신을 바쳐 일한 한 사람의 고결한 정신과 실천이 이 '지구의 모습'을 바꾸어놓고 '세상'을 바꾸어놓는 기적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우리의 마음속에 '희망의 나무'를 심어주고, 우리의 메마른 영혼 속에 푸른 떡갈나무를 키워낼 내일의 도토리를 심어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삽화가인 최수연 작가의 아름다운 컬러 삽화를 넣어 새롭게 펴냈다.


목차


나무를 심은 사람 9

부록
편집자의 말: 『나무를 심은 사람』의 문학적 향기와 메세지 73
옮긴이의 말: 장 지오노의 작품 세계 82
장 지오노의 약력 93


추천글

“20세기의 프랑스 작가 가운데 세 사람을 꼽으라고 한다면 나는 지오노, 몽테를랑, 그리고 말로를 꼽고 싶다.”
- 앙드레 말로 (소설가, 정치가)

“1930년부터 1946년까지 암흑기의 프랑스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는 앙드레 지드도, 폴 발레리도 아니고 광휘에 싸인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그 누구도 아니다. 그들은 바로 농민 아나키스트인 지오노이며, 참다운 크리스천이라 할 베르나소스, 그리고 쉬르레알리스트 브루통이라 말할 수 있다. 이 세 사람은 큰 영향력을 가지고 낡은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했으며, 깊은 도덕성을 가지고 현대의 가치관에 저항했다.”
- 허버트 리드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 김연경

“이 작품은 헌신적으로 자기를 바쳐 일한 사람의 이야기이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나 절망에 빠져 있는 사람들에게 이 작품이 큰 격려가 되기를 바란다.”
- 프레데릭 백

한걸음씩, 자연과 함께
- 최혜정




저자 및 역자소개
장 지오노 (Jean Giono)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20세기 프랑스 소설사에서 전원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1895년 남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작은 도시 마노스크에서 구두를 수선하는 사람의 아들로 태어나 그곳에서 자라고 그곳에서 작품 활동을 한 프랑스의 저명한 작가다. 가난하여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16살 때부터 은행에 들어가 일했다. 17살 때는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5년 동안 전쟁터에 나가 싸웠으며, 전쟁의 참상을 몸소 겪은 뒤엔 평화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혼자 독학으로 많은 고전을 읽고 습작을 하면서 작가가 되었다. 1929년 34살 때 첫 작품 『언덕(Coll... 더보기


최근작 : <나무를 심은 사람>,<나무는 나무라지 않는다 세트 - 전2권>,<나무를 심은 사람> … 총 108종 (모두보기)

최수연 (그림)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일러스트레이터. 현재 신문, 잡지 등 여러 매체에서 일러스트를 그리고 있으며, 소설과 어린이 책 등 많은 단행본에 그림을 그렸다. 그린 책으로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사랑이 있는 곳에 신이 있다』, 『교환학생』, 『괜찮아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야』, 『청개구리는 왜 엘리베이터를 탔을까?』, 『마테오 팔코네』 등이 있다. siotillust.tumblr.com


최근작 : … 총 28종 (모두보기)

김경온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12대학에서 폴 발레리의 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폴 발레리 시의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 연구」, 「백남준의 콜라주 미학과 다빈치의 시각적 사유」가 있으며, 주요 역서로는 『시: 형식과 기능들』, 『비평의 비평』, 『영화의 환상성』, 『장화 신은 고양이와 열 편의 이야기』 등이 있다.


최근작 : <나를 이기는 게 진짜 성공이에요> … 총 2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전 세계 25개 언어로 번역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문명과 환경의 심각한 위기 속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르쳐주고,
사람과 세상을 변화시키는 감동적이고 가슴 따듯한 소설!
국내 대표적인 삽화가 최수연의 아름다운 컬러 삽화로 다시 펴낸 개정판

문학적 향기와 메시지가 어우러진, 한 편의 탁월한 우화!
이 소설은 ‘희망을 심고 행복을 가꾼’ 한 사람이 메마르고 황폐한 땅에 홀로 수십 년 동안 나무를 심어 황무지를 생명이 살아 숨쉬는 숲으로 바꾸어놓는 이야기로,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첫 원고를 쓴 뒤 20여 년 동안 다듬어 완성한 작품이다. 1953년 처음 발표된 이래 지금까지 25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이토록 짧은 작품이 우리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주는 이유는 깊은 문학적 향기와 더불어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기 때문이다. 공기와 물과 땅이 죽어가고 뭇 생명이 고통받는 파멸의 시대에, 생명을 사랑하며 그것을 가꾸는 숭고한 한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앞으로 현대 문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르쳐주는 한 편의 탁월한 ‘우화’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이처럼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위해, 공동의 선(善)을 위해 아무런 대가와 보상도 바라지 않고 자신을 바쳐 일한 한 사람의 고결한 정신과 실천이 이 ‘지구의 모습’을 바꾸어놓고 ‘세상’을 바꾸어놓는 기적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우리의 마음속에 ‘희망의 나무’를 심어주고, 우리의 메마른 영혼 속에 푸른 떡갈나무를 키워낼 내일의 도토리를 심어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삽화가인 최수연 작가의 아름다운 컬러 삽화를 넣어 새롭게 펴냈다.

“나무 심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쓴 소설”
장 지오노는 1953년 모나코 상을 받고, 1954년 아카데미 공쿠르의 회원으로 선출되고, 한때 노벨 문학상 후보로까지 이름이 오르내린 데서도 잘 드러나듯 그가 프랑스 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앙드레 말로가 “20세기의 프랑스 작가 가운데 세 사람을 꼽으라고 한다면 나는 지오노, 몽테를랑, 그리고 말로를 꼽고 싶다”고 말한 데서도 지오노가 프랑스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지오노는 평소 자신의 작품들이 설교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작품을 발표할 때는 “사람들이 나무를 사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더 정확히 말하면 나무 심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서” 이 작품을 썼다고 설명했다. 지오노의 바람은 사람들에게 그대로 전해져 이 책은 세계 곳곳에서 지구녹화운동의 자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한 편의 훌륭한 문학작품을 넘어 청소년들을 위한 정신(도덕) 교육자료로도 널리 읽히고 있다.

‘우리’를 위해, 공동의 선을 위해 헌신한 사람의 감동적인 이야기
프로방스 지방의 어느 고원지대. 옛날 이곳은 숲이 무성했고, 사람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었다. 그러나 이기심과 탐욕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모든 것을 두고 다투고, 돈을 벌기 위해 나무를 마구 베어내는 바람에 황량한 바람만 부는 폐허의 땅으로 변해버렸다. 결국 사람들도, 새와 동물들도 모두 그곳을 떠나고 말았다.
나무가 없어 버림받은 땅이 되었다는 것을 깨달은 한 늙은 양치기는 이 고산지대에 들어와 나무 심는 일을 시작한다. 아내와 외아들이 모두 죽어 홀로 남은 이 남자는 산중에서 고독하게 살면서 매일 도토리와 자작나무 심는 일을 계속했다.
그렇게 끊임없이 나무를 심은 지 40여 년, 황폐했던 땅이 아름다운 거대한 숲으로 뒤덮이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난다. 메말랐던 땅에 물이 다시 흐르고, 수많은 꽃들이 다투어 피며, 새들이 돌아와 지저귀었다. 사람들도 하나둘 다시 이곳을 찾아오며 밝은 웃음소리가 울려 펴진다. 황무지가 생명이 살아 숨쉬는 땅이 된 것이다. 이기주의를 버리고 자기를 희생하여 공동의 선을 위해 일하지만 아무런 보상도 바라지 않는 사람의 고결한 정신과 실천이 기적 같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20여 년 동안 다듬어 완성한 작품
이 단편소설은 장 지오노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장 지오노는 오트-프로방스를 여행하다가 한 특별한 사람을 만났다. 혼자 사는 양치기였는데, 끊임없이 나무를 심어 황폐한 땅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었다. 작가는 여기에서 큰 감명을 받아 이 작품의 초고를 썼으며, 그 후 약 20년에 걸쳐 글을 다듬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 엘제아르 부피에는 거룩한 뜻을 품고 그것을 실천하면 누구나 ‘기적’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을 심어준다. 누구나 ‘평범한 삶’을 ‘비범한 삶’으로 바꾸어놓을 수 있다고 말해준다. 또한 우리가 존경해야 할 진짜 영웅이 누구인지를 새삼 깨우쳐준다. 참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이 세계를 아름답게 바꾸어놓는 사람은 권력이나 부나 명성을 누리는 사람들이 아니라 남을 위해 소리 없이 일하는 사람, 침묵 속에서 실천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말없이, 서두르지 않고, 속도를 숭배하지 않고, 자기를 희생하며 굽힘 없이 선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깨우쳐준다.
한편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져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세계적인 화가 프레데릭 백이 그림을 그리고, 캐나다 국영방송이 제작한 동명의 애니메이션은 아카데미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상뿐만 아니라, 안시, 로스앤젤스, 루아양, 히로시마, 바야돌리드, 오타와 영화제 등 수많은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그의 소설이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사랑을 받는 이유는 물질을 숭배하는 현대문명의 위기에서 지오노의 자연주의 사상이 더욱 빛나기 때문이다. 환경오염과 지구의 파괴, 인간정신의 황폐화와 인간의 물질화 등으로 인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대문명을 유지해왔던 낡은 세계관이 한계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을 가리켜 오늘의 문명의 위기 속에서, 썩어가는 물질문명의 타락 속에서 우리의 영혼을 정화시켜주고 새롭게 눈뜨게 해주는 한 편의 묵상자료라고 평가한다. 접기


북플 bookple



8.8






한사람의 꾸준한 노력이 우리 자연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보여주는 경이로운 이야기
월드논술샘 2011-04-18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그림책이 있지만 판화 그림이 좋아서 구입했다. 고학년 이상.
소나무집 2009-07-0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나무를 심은 사람은 인간의 영혼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흐르는 강물처럼 2007-11-16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학교추천도서네요
lee710404 2010-05-23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방학숙제를 위해서 샀어요
늦둥이맘 2009-08-05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17)
전체 (68)

리뷰쓰기

공감순





장 지오노의 감동적인 소설..‘나무를 심은 사람‘




‘나무를 심은 사람’은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뒤 열렬한 평화주의자가 된 장 지오노의 사상이 집약된 소설이다. 장 지오노는 1895년에 태어나 1970년에 세상을 뜬 프랑스의 작가이다. 이 책의 출간 연도는 1953년으로 이 시기는 환경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이전이다.



그렇기에 환경 문제에 대한 작가의 과학적 또는 철학적 의식이 반영되지 않았다. 하지만 깊은 감동을 준다는 점에서 그런 의식의 반영 이상이라 할 수 있다. 환경 문제를 본격 거론한 책으로 꼽히는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이 1962년 나왔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작품의 화자는 여행길에 나선 사람이다. 그가 여행한 곳은 한때 인간이 살고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마른 거친 풀이 자랄 뿐인 어느 광활한 황무지이다. “알프스 산맥이 프로방스 지방으로 뻗어 내린 아주 오래된 산악지대”였다.



그곳은 야생 라벤더 외에는 아무 것도 자라지 않는 땅이었다. 햇빛이 눈부시게 쏟아지는 6월의 어느 아름다운 날 그는 그곳에서 한 사람이 홀로 나무를 심고 있는 모습을 발견한다. 양치기였다. 화자는 물을 찾을 수 없어 고생을 한다.



작품에는 시간 배경이 약 40년 전으로 설정되어 있다. 양치기는 화자에게 도르래로 깊은 천연의 우물에서 건져올린 물을 건넸다. 뜻 밖에도 그곳은 숯을 만들어 파는 나무꾼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은 모든 것을 놓고 경쟁했다. 경쟁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다. 양치기는 도토리(떡갈나무)를 심었다. 그가 나무를 심는 땅은 자신의 땅이 아니었다.



그는 그곳이 누구의 땅인지도 알지 못했다. 그는 3년 전부터 나무를 심어 왔다. 그가 심은 것은 도토리 10만개였고 그 가운데 2만 그루의 싹이 나왔다. 그는 자신의 나이를 55세로 밝혔다. 엘제아르 부피에란 이름을 가진 사람이었다.



아들과 아내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고독 속으로 물러나 양, 개들과 함께 한가롭게 살아갔다. 그는 너도밤나무 재배법을 연구해 오고 있으며 자작나무도 심을 것이라 했다. 화자와 양치기는 헤어지는데 그 이듬해 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다.



화자는 5년간 전쟁을 치르고 다시 양치기를 만난다. 그 사이 그는 양들을 내 마리만 남기고 그 대신 100통의 벌을 치게 되었다. 전쟁 전 양치기가 심은 나무는 열 살이 되어 키가 두 사람보다 컸다. 화자는 인간이란 파괴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는 하느님처럼 유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화자가 전쟁을 치르던 때 양치기가 심은 나무는 자작나무 숲이 되었다. 화자는 창조란 꼬리를 몰고 새로운 변화를 몰고 오지만 엘제아르 부피에는 그런 데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았다고 썼다. 화자는 늘 말라 있던 개울에 물이 흐르는 모습을 목격하게 된다.



엘제아르 부피에가 1년에 걸쳐 심은 1만 그루의 단풍이 모두 죽기도 해 그는 단풍나무를 포기하고 떡갈나무들보다 더 잘 자라는 너도밤나무를 심었다. 엘제아르 부피에는 75세의 나이에 집에서 12km 떨어진 곳에까지 가 너도밤나무를 심었다.



55세부터 계산해도 그가 나무를 심은 세월은 20년이 넘었다. 화자는 엘제아르 부피에를 하느님이 보내준 일꾼이라 칭했다. 엘제아르 부피에가 조성한 숲은 1939년 2차 세계대전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는다. 당시는 많은 자동차들이 목탄(木炭) 가스로 움직였다. 그러나 그 나무들은 경제성이 없어 살아 남았다.



엘제아르 부피에는 1차 대전에 마음 쓰지 않았던 것처럼 2차 대전에도 마음을 쓰지 않았다. 화자는 1946년 6월 87세의 엘제아르 부피에를 마지막으로 본다. 엘제아르 부피에의 노고로 인해 숲이 만들어졌고 마을이 살아났다.



화자는 부활의 상징이란 말을 한다. 화자는 한 사람이 오직 정신적, 육체적 힘만으로 황무지를 가나안 땅으로 만든 것을 보며 인간에게 주어진 놀라운 힘을 느낀다. “위대한 혼과 고결한 인격”이란 말은 엘제아르 부피에에게 하기에 충분한 말이 아닐 수 없다.
- 접기
벤투의스케치북 2018-04-24 공감(9) 댓글(0)
Thanks to
공감




장 지오노 <나무를 심은 사람> - 천국 은유




월요일 저녁, 왓슨이 홈즈의 사무실로 들어선다.



왓슨 : 홈즈, 주말 잘 보냈나?



홈즈 : 나야 뭐 늘 똑같네. 사건 조사로 바빴어. 자네는?



왓슨 : 가족들과 유채꽃이 만발한 강변에 다녀왔다네.



홈즈 : 유채꽃이 아직 있더란 말이지?



왓슨 : 우리가 거의 마지막이었어. 강둑을 노랗게 껴안은 유채꽃이 정말 아름답더군.



홈즈 : 그렇다면... 자네 저기 내 서가에 있는 유리병 보이나? 가져가서 자네 아이들에게 주게. 홈즈 아저씨가 주는 작은 선물이라고 전하고.



왓슨 : 아, 유리병이 참 앙증맞군 그래. 홈즈, 이 안에 있는 건 무슨 씨앗인가? 좁쌀만 한데.



홈즈 : 마을 저수지 둑에 피었던 유채에서 받은 씨앗이네. 작년 6월쯤 이었을거야. 그 유리병 다섯 개에 들어 있는 씨앗이 몇 개쯤 될 것 같나?



왓슨 : 글쎄, 한 병에 적어도 백 개는 넘겠어.



홈즈 : 그게 말이야 유채 하나에서 나온 씨앗이야. 씨앗 하나를 심어 다시 받은 씨앗이 수백 개라는 거지.



왓슨 : 음, 근데 자네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건가?



홈즈 : 하하, 왓슨. 사실 지난 주말에 사건 조사는 하지 않았네. 요즘 사건 의뢰가 통 없거든. 무료하게 앉아서 보낼 순 없어서... 심혈을 기울여 책을 좀 읽었네.



왓슨 : 그러니까 책 이야기를 하고 싶어 이렇게 뜸을 들인거구만. 그래, 무슨 책인가?



홈즈 :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이네.



왓슨 : <나무를 심은 사람>이라면 나도 몇 번이나 읽은 책이군. 자네도 처음 읽었을 리는 없을텐데.



홈즈 : 맞네. 아끼는 책이지. 여러번 봤고 말이야. 사건이 없었던 지난 주말, 다시 읽고 또 읽었네.




왓슨 : 그런 줄 알았으면 우리랑 같이 유채를 보러 갔으면 좋았을텐데. 그래 무슨 중요한 실마리라도 찾았나?



홈즈 : 왓슨, 오래된 미제 사건 하나를 해결했다네. 자네도 알다시피 내가 해결하지 못한 사건은 거의 없었잖나?



왓슨 : 그야 그렇지.



홈즈 : 자네도 여러번 읽었다고 했으니 <나무를 심은 사람>의 브리핑을 부탁하네.



왓슨 : 하, 나 이거 참. 좋아, 재미삼아 한 번 해 봄세.



홈즈 : 부탁하네.



왓슨 : 그럼 두 가지로 정리해보겠네. 책의 내용과 작가로 나누어서 말이야. 먼저, 책은 엘제아르 부피에라는 한 늙은 양치기가 프로방스 지방의 황무지에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나무를 심고 가꾸어 울창한 숲을 이루었고 그랬더니 향긋한 바람이 불고 시내에 물이 흐르고 생명의 기운이 다시 살아나고 떠났던 사람들은 마을로 돌아와 희망과 행복의 삶을 회복한다는 내용이네.



홈즈 : 굿, 귀에 쏙 들어오네.



왓슨 : 우리가 이 책에서 주의를 집중하고 주목해서 봐야 하는 것은...



홈즈 : 오우, 기대되는군. 뭔가?



왓슨 : ‘단지 육체적 정신적 힘만을 갖춘’채 ‘황무지에서 이런 가나안 땅을 만들어낸’ 엘제아르 부피에라는 늙은 양치기의 ‘위대한 영혼 속의 끈질김과 고결한 인격 속의 열정’이라네.



홈즈 : 그렇지. 책의 맨 끝에 나오는 내용이구만. 엘제아르 부피에의 위대함은 인내와 열정에 더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에서 나온다네. 씨앗을 땅에 심고 나무가 자라는 긴 세월 동안 그는 계속 씨앗과 묘목을 심었지. 좌절하거나 회의에 빠지 않았네.



왓슨 : 맞네. 클릭만 하면 결과가 튀어나오는 인터넷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한테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미덕이야. 오늘 씨앗을 심고 내일 나무 그늘에서 쉬기를 바라는 사람은 더디게 가는 시간과 계절에 지쳐버리겠지. 할 수만 있다면 마법을 부려서라도 자연의 시간을 단축하려 할테고 말이야.



홈즈 : 왓슨, 사실 엘제아르 부피에는 마법을 부렸다네. 드러내지 않고 아무도 모르게 자신의 마음 속에 말이야. 월리엄 블레이크가 그의 시(詩) <순수의 전조>에서 ‘한 알의 모래에서 세상을 보고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보라 그대 손바닥 속 무한을 쥐고 순간 속에서 영원을 보라’라고 읊었듯이 말일세.



그래서 나는 삼십년 후면 1만 그루의 떡갈나무가 아주 멋진 것이 될 것이라는 말을 하고 만 것이다. 그는 아주 간단하게 대답했다. 만일 삼십년 후에도 하느님이 그에게 생명을 주신다면 그 동안에도 나무를 아주 많이 심을 것이기 때문에 이 1만 그루는 바다 속의 물방울 같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 34p



왓슨 : 이제 작가인 장 지오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네. 지오노는 왜 이 책을 썼을까?



홈즈 : 계속 해보게.




왓슨 : 지오노는 말일세, 정말 책을 읽은 누군가가 엘제아르 부피에처럼 황무지에 나무를 심어 주기를 바랐네. 그의 바람대로 이 책은 전세계적으로 환경운동단체의 교육자료로 채택됐어. 수많은 사람들이 읽고 행동했네. 또 세계적인 화가 프레데릭 바크는 <나무를 심은 사람>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지. 이를 통해 캐나다에서는 나무심기 운동이 벌어져 무려 2억 5천만주의 나무가 심겼다고 하네.





홈즈 : 빙고, 대단한 성공이군 그래. 드러난 것만 보자면 말일세.



왓슨 : 대개 감동적인 실화를 바탕으로 소설을 쓰거나 영화로 찍거나 하는데 지오노는 역발상을 했던 것 아닐까? 실제로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먼저 써 놓고 이루어지기를 바랐던 거지. 물론 지오노는 이루어질 거라고 확신했겠지만 말이야. 노스트라다무스 같은 예언가처럼 말일세.



홈즈 : 예언가라...흥미롭군. 하여간 지오노의 황무지는 ‘산업화, 기계화 되면서 희망이 사라져 버린 사람들의 마음’이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하리라 생각하네만.



왓슨 : 오호, 예리하군 그래.



홈즈 : 정리하면 지오노의 씨앗은 <나무를 심은 사람>이라는 책이고, 그의 황무지는 사람들의 마음이었네. 희망이 심겨진 마음은 행동을 불러 일으키지. 풍요로운 열매가 열리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지오노는 정말이지 ‘완벽한 상태의 도토리’를 골라 심은 거라네.



왓슨 : 동의하네, 홈즈. 내 브리핑은 여기까지네. 이 정도로 끝낼 건 아니겠지? 이제 미제 사건 이야길 좀 해보게.



홈즈 : 하하, 알겠네. 왓슨, 이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하네.



왓슨 : 쉽게 이야기하게. 쉽게.



홈즈 : 지오노는 눈에 보이는 것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하고 있네. 그러니까 숲의 회복을 통해 결국 인간 내면에 상실한 그 어떤 것의 회복을 말하고 있지 않은가 말이야. 은유라네.



왓슨 : 허, 어렵군 그래.



홈즈 :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은 사실은 천국의 은유야.



왓슨 : 천국? 그건 또 무슨 말인가?



홈즈 : 천국, 극락, 무릉도원, 파라다이스, 유토피아...뭐라고 해도 좋네. 인간이 꿈꾸는 가장 완전한 이상향이라고 보면 되겠지.



왓슨 : 아, 그러니까 엘제아르 부피에가 만든 울창한 숲과 그로 인해 회복된 마을 공동체가 천국을 은유한다는 말인가?



홈즈 : 물론 그것도 천국의 일부라고 해야겠지. 내가 말하는 천국의 은유는 책 제목에 있네.



왓슨 : <나무를 심은 사람>이 제목 이잖나?



홈즈 : 그렇지.



왓슨 : 거 참, 그럼 나무가 천국인가? 사람이 천국인가? 하, 웃음이 나오는구만.



홈즈 : 둘 다야.



왓슨 : (어깨만 으쓱한다)



홈즈 : <나무를 심은 사람>을 읽고 있자니 문득 어린 시절 성경에서 읽은 천국 이야기가 생각나더군. 마태복음 13장이었지 아마. 저기 책장에 있는 성경을 꺼내 한 번 읽어주겠나?



왓슨 : 그러지, 여기 있구만.



“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베풀어 가라사대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뿌린 사람과 같으니(마태복음 13:24) 또 비유를 베풀어 가라사대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나물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마태복음 13:31~32)”



홈즈 : 그렇지. 천국은 사람이고 겨자씨고 나무라고 되어 있지. 무슨 말인지 어려워서 이해되지 않았었는데... 마치 미제 사건을 푼 것처럼 깨닫게 됐지. 지오노도 지오노의 화신인 엘제아르 부피에도 천국 그 자체였던 거야. 그들이 뿌린 씨앗이 지금 어떻게 되었는지 보게. 거대한 나무가 되었지? 그러니까 ‘씨앗이 자란 나무’도 천국이고 ‘나무가 되기 전의 씨앗’도 천국인 거야. ‘씨앗을 손에 쥐고 나무와 숲과 새를 마음에 품고 있는 사람’도 천국이고. 좀 알아듣겠나?



왓슨 : 아하, 완전히 은유였군. 손에 잡히는 천국, 눈 앞에 보이고 만져지는 천국을 지나치다니 말이야. 반전 드라마처럼 정신이 번쩍 드는데. 아, 그래서 나한테 이 유채 씨앗이 담긴 병을 선물하는거구만.



홈즈 : 올 가을에 자네 앞 마당에 천국을 심게.



왓슨 : 그러지 내년 봄에 노란게 물든 천국의 진면목을 보여주겠네. 하하.
- 접기
BOOK소리 2015-05-01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우리, 나무가 되어 숲을 이루자.




숲을 보며 나무 한 그루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무 한 그루가 숲을 이룰 것을 상상하는 이는 더러 있다. 아니, 제법 있다.

하지만 그것이 내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 이는 아마도 엘제아르 부피에가 유일한 사람일 것이다.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이야기였다. 누군가가 좋은 예화로 쓰기 위해 만들어낼 법한.

그래서 한번쯤 봐두어 좋을 그런 이야기.

그러나 이 안에 실제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 끝까지 책을 놓을 수 없게 하는 가장 완벽한 트릭이다.



그는 단순히 나무 한그루로 숲만 이루어낸 것이 아니다.

그는 자연과 사회를 바라보는 기준을 허물었고 소망의 지경을 확장시켰다.

장 지오노가 부피에를 통해 우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비단, 자연과 문명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이 전부가 아닐 것이다.

독자 스스로가 찾기를 원하는. 또 책이 원하는 바는 이것이 아닐까?

"바로 당신이 나무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나무로 살아갈 때 이 사회는 진정한 숲이 된다.

생기없던 땅에 생명을 상징하는 물이 흐르고,

인적드문 땅에 웃음소리가 들리고,

마른 먼지뿐이던 땅에 온갖 들꽃들과 벌 나비들이 깃드는 그런 숲이 되는 것이다.

불과 1개월, 1주, 엊그제 일어난 사건들이 하루밤 하루낮 사이에 잊혀지고..

사건 속 사람들의 애타는 마음은 달래주는 이 하나없이 나날이 바짝바짝 타들어간다.

결국 메마른 사람들이 또 다른 메마른 가슴을 낳고, 또 또 그렇게 되풀이.



책을 보며 내내 생각했다.

나부터 나무가 되자.

너와 나 한그루 나무가 되면 어느새 숲이 되어 있지 않겠는가.

(조동화 시인의 '나하나 꽃 피어' 패러디 이다.^^ )



이 사회는 소망이 있다. 나무가 되려는 이들이 있는한.

용산의 사람들, 화왕산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 또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울고 웃으며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는 아직 소망이 있다.






- 접기
소리꽃 2009-02-25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확신과 의지




이 책의 이야기는 실로 단순하다.

'척박한 땅을 일궈 숲을 만드는 양치기 이야기' 이 한줄로 모든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한줄로 이 감동을 담기엔 매우 벅차다.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양치기 아저씨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된다.

책 소개를 보니 환경과 연관짓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난 환경보다는 한 사람의 확신과 의지가 얼마나 큰 일을 이룰 수 있는지에 더 끌렸다.

이 책을 단숨에 읽고나서 머릿속이 이런 생각들로 가득차 버렸다.

" 내 삶에 대한 최종 목표는 뭐였지? "

" 내가 지금 확신을 갖고 의지적으로 하고 있는 일이 있나? "

새해를 맞아 한해 계획을 야심차게 세웠지만 벌써 삐걱거리고 있다.

이 책을 읽고나니 왜 그동안 세웠던 계획들이 틀어졌는지 알게되었다.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확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내 인생에서 이루고 싶은 최종 목표는 어떤 걸까?

양치기 아저씨 처럼 내 삶의 목표를 확고이 할 때가 된것 같다.

내일도 아니고 모레도 아니고 지금 당장!
- 접기
thohomrs 2009-01-14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솔직한 감상을 쓰려고 한다.




너무나 유명한 작품이고 누구나 한 번씩은 보았던 작품이다.

그러나 솔직한 나의 감상을 쓰려고 한다.

처음 이 글을 읽은건 교과서에서였다. 국어 교과서에서 처음 이글을 접했다. 당연히 전부가 아닌 지극히 일부분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우습게도 TV였다. 모 프로그램에서 동화로 나왔다. 거기서 다시 한번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책으로 다시 읽었다.

좋다.

읽고 있으면 가슴이 따뜻해지고, 또 두근거린다.

거대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그러면서도 읽기를 멈추지 못하게 하는 마력을 가지고 있다. 은은한 향의 커피를 마시는 기분이다.

그러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메시아.

나는 이 글에서 메시아를 보았다. 나무를 심은 사람. 아니, 나무를 심는사람은 이 글에서 메시아로 비추어졌다.

산업화로 인간의 욕심으로 황폐화되어가는 세상에서 오로지 단 한사람만이 누구도 관심갖지 않은 일을 시작한다. 우공이산이라 했던가? 긴 시간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그 사람으로 인해 세상이 변화한다.

전세계로 보면 극히 일부일지 모르나, 그건 가능성이었다.

여기서 나는 메시아를 보았고, 종교적 색체를 느꼈다.

개인적으로 종교적인 색이 강한 글을 좋아하지 않는지라 거부감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 글은 분명 읽어봐야 할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어쩌면 이 작품이 지금까지 마음을 울릴 수 있는 이유는 이득만을 쫓는, 욕심으로 가득차버린 지금의 세상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던 이 감상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감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