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7

Christian humanism - Wikipedia

Christian humanism - Wikipedia

기독교 인문주의   위키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Vitruvian Man)
기독교 인문주의 (Christian humanism)란 보편적 인간 존엄성, 개인주의, 행복의 중요성과 같은 인본주의적 원리를 예수가 가르쳤던 필수적이고 주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사상이다. 

이 용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사상을 르네상스 또는 교부 시대 로 추적하여 자신의 신념을 '휴머니즘'이라고도 하는 학문적 운동 과 연결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 인본주의의 발전을 형성하는 주된 힘은 
하나님이 인간을 구속하기 위해 예수의 인격으로 인간이 되셨다는 기독교 교리였으며, 
그리스도의 삶을 실천하기 위한 공동체 교회가 참여해야 하는 명령이었다.[1] 

이러한 아이디어 중 많은 부분이 교부들 사이에서 나타 났고 15 세기 후반에 기독교 인본주의로 발전하였다. 보통 인간성, 보편적 이성, 자유, 인격, 인권, 인간 해방과 진보 등과 같은 개념들이 발전하였다.[2][3] 인본주의는 대중 문화에서 불가지론 및 무신론과 공통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이 연관성은 20 세기에 발전하였으며, 비인간주의적 형태의 불가지론과 무신론의 비인간주의 적 형태가 오랫동안 존재 해 왔다.[4] 이 용어에 대한 비평가들은 크리스천 휴머니스트들은 20세기 관점에서 무신론적 휴머니스트를 반대한다.[5]








Christian human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Leonardo da Vinci's Vitruvian Man (c. 1490) shows the correlations of ideal human body proportions with geometry described by the ancient Roman architect Vitruvius in his De Architectura. Vitruvius described the human figure as being like the principal source of proportion among the Classical orders of architecture.

Christian humanism regards humanist principles like universal human dignityindividual freedom, and the importance of happiness 

as essential and principal or even exclusive components of the teachings of Jesus. 

Proponents of the term trace the concept to the Renaissance or patristic period

linking their beliefs to the scholarly movement also called 'humanism'.

Theologians such as Jens Zimmerman make a case for the concept of Christian humanism as a cogent forc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Zimmerman's account, Christian humanism as a tradition 

emerges from the Christian doctrine that God, in the person of Jesus, became human in order to redeem humanity, and from the further injunction for the participating human collective (the church) to act out the life of Christ.[1]

The term has been criticised, with some noting that it is used to argue for the "exceptionalism" of Christianity, or other understandings of humanism are inauthentic. Some go so far as to say that ideas "common humanity, universal reason, freedom, personhood, human rights, human emancipation and progress, and indeed the very notion of secularity (describing the present saeculum preserved by God until Christ's return) are literally unthinkable without their Christian humanistic roots."[2][3][4]

Definitions[edit]

The initial distinguishing factor between Christian humanism and other varieties of humanism is that Christian humanists not only discussed religious or theological issues in some or all of their works (as did all Renaissance humanists) but according to Charles Nauert,


 Christian humanists 

made a connection between their humanistic teaching and scholarship on classical languages and literature,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ir study of ancient Christianity, including the Bible and the Church Fathers... Even more important, they associated their scholarly work (classical as well as biblical and patristic) with a determination to bring about a spiritual renewal and institutional reform of Christian society. That connection between their scholarly efforts and their longing for spiritual and institutional renewal is the specific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Christian humanists" as a group from other humanists who just happened to be religious.[5]

기독교 인본주의자는 한편으로는 고전 언어와 문학에 대한 그들의 인본주의적 가르침과 학문,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경과 교부들을 포함한 고대 기독교에 대한 연구 사이를 연결했습니다. 기독교 사회의 영적 쇄신과 제도적 개혁을 가져오겠다는 결의로 그들의 학문적 작업(고전적, 성서적, 교부적). 그들의 학문적 노력과 영적, 제도적 쇄신에 대한 갈망 사이의 연결은 "기독교 인본주의자"를 우연히 종교적이게 된 다른 인본주의자들과 구별하는 특정한 특징입니다.

 

History[edit]

Renaissance[edit]

Origins[edit]

Christian humanism originated towards the end of the 15th century with the early work of figures such as Jakob WimpfelingJohn Colet, and Thomas More and would go on to dominate much of the though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with the emergence of widely influential Renaissance and humanistic intellectual figures like Jacques Lefèvre d'Étaples and especially Erasmus, who would become the greatest scholar of the northern Renaissance.[5] These scholars committed much of their intellectual work to reforming the church and reviving spiritual life through humanist education, and were highly critical of the corruption they saw in the Church and ecclesiastical life. They would combine the greatest morals in the pre-Christian moral philosophers, such as Cicero and Seneca with Christian interpretations deriving from study of the Bible and Church Fathers. The Waldensians have been viewed as a humanistic synthesis of Christianity.[6]

Jakob Wimpfeling[edit]

Although the first humanists did little to orient their intellectual work towards reforming the church and reviving spiritual life through humanist education, the first pioneering signs and practices of this idea emerged with Jakob Wimpfeling (1450–1528), a Renaissance humanist and theologian. Wimpfeling was very critical of ecclesiastical patronage and criticized the moral corruption of many clergymen, however, his timidity stopped him from converting his work from speech to action for fear of controversy. Though he loved reading many of the classics of the writings of classical antiquity, he feared introducing them to mainstream Christianity and sought to use the works of the Latin Church Fathers and a few Christian poets from the Late Roman Empire towards creating a new form of education that would provide church leaders educated in Christian religion, prominent Church authors and a few important classical writings and hence improve Christendom's condition.[7]

John Colet[edit]

Portrait of John Colet

John Colet (1467–1519) was another major figure in early Christian humanism, exerting more cultural influence than his older contemporary, Jakob Wimpfeling. Being attracted to Neoplatonic philosophers like Marsilio Ficino and Pico della Mirandola and gaining an appreciation for humanistic methods of analyzing texts and developing detailed ideas and principles regarding them, he applied this humanistic method to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In 1505, he completed his doctorate in theology, and then became a dean at St. Paul's Cathedral. From there, he used his fortune to found near the cathedral St Paul's School for boys. The school was humanistic, both in its teaching of Latin and moral preparation of its students, as well as its recruitment of prominent humanists to recommend and compose new textbooks for it. The best Christian authors were taught, as well as a handful of pagan texts (predominantly Cicero and Virgil), however, Colet's restrictions on the teaching of other classical texts was seen as anti-humanistic and quickly reverted by the school's headmasters. After his death, the school at St. Paul's become an influential humanistic institution. He was very critical of many church leaders.[8] Colet fail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stering Greek when it came to the application of humanistic methods to biblical texts, which would be the greatest strength of the work of Erasmus.[9]

Jacques Lefèvre d'Étaples[edit]

Jacques Lefèvre d'Étaples (1453–1536) was, alongside Erasmus, the first of the great Christian humanists to see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hristian learning, in both the patristics and biblical writings, with many of the best intellectual achievements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classical thought. He was educated in the University of Paris and began studying Greek under George Hermonymus due to his interest in contemporary cultural changes in Italy. He taught humanities as Paris and, among his earliest scholarly works, was writing an introduction to Aristotle's Metaphysics. He would write many other works on Aristotle and promote the use of direct translations of Aristotle's work from the original Greek rather than the medieval Latin translations that currently existed. His focus then began to shift to the Greek Church Fathers whom he personally considered abler sources for the pedagogy of spiritual life than medieval scholasticism, and his goal became to help revive spiritual life in Europe, retiring in 1508 to focus on precisely this. He began publishing various Latin texts of biblical books such as the Psalms and Pauline epistles and was keen to study textual variations between surviving manuscripts. According to Nauert, these "biblical publications constitute the first major manifestation of the Christian humanism that dominated not only French but also German, Netherlandish, and English humanistic thought through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10][11]

Erasmus[edit]

Portrait of Desiderius Erasmus of Rotterdam with Renaissance Pilaster

Erasmus (1466–1536) was the greatest scholar of the northern Renaissance and the most widely influential Christian humanist scholar in history, becoming the most famous scholar in Europe in his day. One of the defining components of his intellectual success was his mastery of Greek. As early as December 1500 while in England, he had written in a letter that his primary motivation for returning to the continent was to pursue studying Greek,[12] and quickly mastered it without a tutor and access to only a small number of Greek texts. In 1505, he translated Euripides's Hecuba, and in 1506, he translated Euripides's Iphigenia in Aulis, both being published in 1506. Erasmus wrote that his motivation in creating these translations was to restore the "science of theology", which had lost its great status because of the medieval scholastics. Two years earlier, he had written that he was going to invest his entire life into the study of scripture through his Greek work;

Hereafter I intend to address myself to the Scriptures and to spend all the rest of my life upon them. Three years ago, indeed, I ventured to do something on Paul's Epistle to the Romans ... and would have gone on, but for certain distractions of which the most important was that I needed the Greek at every point. Therefore for nearly the past three years I have been wholly absorbed by Greek; and I do not think my efforts have been altogether wasted.[13]

He had published his Handbook of a Christian Knight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in 1503, writing about his new intellectual direction towards Christ's philosophy, though this text did not gain much popularity. However, when it was published on its own in 1515, it became incredibly popular with 29 Latin editions between 1519–1523 and receiving translations into English, Dutch, German, French, and Spanish. "The secret of its spectacular popular success was its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emphasis on personal spiritual experience rather than external ceremonies, frank criticism of many clergymen for moral corruption ... and insistence that true religion must be expressed in a morally upright life rather than in punctilious observance of the external trappings of religion."[14] The title, Enchiridion, could mean both "dagger" and "handbook", and hence had a double meaning implying its use as a weapon in spiritual warfare.[15] The popularity of Erasmus and his work was further amplified by the success of his literary works like The Praise of Folly, published in 1511, and Colloquies, published in 1518. He also gained incredible success as a textual scholar, interpreting, translating and editing numerous texts of Greek and Roman classics, Church Fathers and the Bible. This textual success began when he discovered and published Lorenzo Valla's Annotations on the New Testament in 1504–1505, and in a single year, in 1516, Erasmus published the first Greek edition of the New Testament, an edition of the works of the Roman philosopher Seneca, and a four-volume edition of St. Jerome's letters. His criticisms of many clergymen and injustices were widely popular and renowned for decades to come, and he succeeded in having truly and fully founded Christian humanism.[14]

Contemporary[edit]

Incarnational humanism is a type of Christian humanism which places central importance on the Incarnation, the belief that Jesus Christ was truly and fully human. In this context, divine revelation from God is seen as untrustworthy precisely because it is exempt from the vagaries of human discourse.

Jens Zimmermann (philosopher) argues that "God's descent into human nature allows the humans ascent to the divine".[16] "If God speaks to us in the language of humanity, then we must interpret Gods speech as we interpret the language of humanity."[17] Incarnational humanism asserts a unification of the secular and the sacred with the goal of a common humanity. This unification is fully realized in the participatory nature of Christian sacraments, particularly the Eucharist. The recognition of this goal requires a necessary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where both "spheres are unified in their service of humanity." Critics suggest it is quite wrong to establish a separate theology of the incarnation, and that proponents tend to abstract Jesus from his life and message.

Criticism[edit]

Andrew Copson refers to Christian humanism as a "hybrid term... which some from a Christian background have been attempting to put into currency." Copson argues that attempts to append religious adjectives like Christian to the life stance of humanism are incoherent, saying these have "led to a raft of claims from those identifying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 whether culturally or in convictions – that they too can claim a 'humanism'. The suggestion that has followed – that 'humanism' is something of which there are two types, 'religious humanism' and 'secular humanism', has begun to seriously muddy the conceptual water."[18]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Zimmerman, Jens. "Introduction," in Zimmermann, Jens, ed. Re-Envisioning Christian Hum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5.
  2. ^ Zimmermann, 6-7.
  3. ^ Croce, Benedetto Croce. My Philosophy and Other Essays on the Moral and Political Problems of Our Time (London: Allen & Unwin, 1949)
  4. ^ Zimmermann, Jens. Humanism and Religion: A Call for the Renewal of Western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Jump up to:a b Nauert, Charles, "Rethinking “Christian Humanism” in Mazzocco, Angelo, ed. Interpretations of Renaissance humanism. Brill, 2006, 155-180.
  6. ^ Bernholz, P.; Streit, M.E.; Vaubel, R. (2012). Political Competition, Innovation and Growth: A Historical Analysi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 167. ISBN 978-3-642-60324-2. Retrieved 2023-03-05.
  7. ^ Nauert, 170-171.
  8. ^ Nauert, 171-172.
  9. ^ Gleason, John B. John Colet. Univ of California Press, 1989, 58-59.
  10. ^ Rice Jr, Eugene F. "The Humanist Idea of Christian Antiquity: Lefèvre d'Etaples and his Circle." Studies in the Renaissance 9 (1962): 126-160.
  11. ^ Nauert, 173-174.
  12. ^ Erasmus to Batt, Orléans, 11 December 1500, Ep. 138 (CWE 1:294–300; Allen 1:320–24)
  13. ^ Erasmus to Colet, [December?] 1504, Ep. 181 (CWE 2:86–87; Allen 1:404–5)
  14. Jump up to:a b Nauert, 176-180.
  15. ^ Anne M. O’Donnell, ‘Rhetoric and Style in Erasmus’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Studies in Philology 77/1 (1980), 26.
  16. ^ "Incarnational Humanism: A Philosophy of Culture for the Church in the World"University of Waterloo. Retrieved 5 April 2019.
  17. ^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By David Gibson"Commonweal. Retrieved 5 April 2019.
  18. ^ Copson, Andrew, and Anthony Clifford Grayling, eds. The Wiley Blackwell handbook of humanism. John Wiley & Sons, 2015, 2-3. Chapter: What is Humanism?

Further reading[edit]

  • Bequette, John P. Christian Humanism: Creation, Redemption, and Reintegrati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7.
  • Erasmus, Desiderius, and Beatus Rhenanus. Christian Humanism and the Reformation: Selected Writings of Erasmus, with His Life by Beatus Rhenanus and a Biographical Sketch by the Editor. Fordham Univ Press, 1987.
  • Jacobs, Alan. The Year of Our Lord 1943: Christian Humanism in an Age of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 Oser, Lee. "Christian Humanism and the Radical Middle." Law & Liberty. November 5, 2021. https://lawliberty.org/christian-humanism-and-the-radical-middle/
  • Oser, Lee. Christian Humanism in Shakespeare: A Study in Religion and Literatur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22.
  • Oser, Lee. The Return of Christian Humanism: Chesterton, Eliot, Tolkien, and the Romance of History.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7.
  • Shaw, Joseph et al. Readings in Christian humanism. Fortress Press, 1982.
  • Zimmermann, Jens. Humanism and Religion: A Call for the Renewal of Western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 Zimmermann, Jens. Re-Envisioning Christian Hum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External links[edit]

2023/06/15

알라딘: 기독교 미학의 향연 심광섭

알라딘: 기독교 미학의 향연
기독교 미학의 향연 
심광섭
(지은이)
동연출판사2018-12-24



Sales Point : 121

4.7 100자평(2)리뷰(1)
이 책 어때요?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는 말

1. 길
제1장 왜 기독교 미학인가?
제2장 영적 감각과 신앙
제3장 예술의 진리와 신학적 진리

2. 신과 인간
제4장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아름다움
제5장 십자가의 아름다움 - 숭고
제6장 아름다운 인간, 다윗

3. 예술
제7장 시학적 신학
제8장 폴 틸리히의 예술혼과 표현주의 미술신학
제9장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음악신학
제10장 모차르트의 에로스, 자유와 초월자의 흔적
제11장 놀이의 신학: 놀이하는 하나님 - 놀이하는 인간
제12장 춤과 신학
제13장 대중문학의 신학 - K-Pop을 중심으로
제14장 감각과 초월의 장

참고문헌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심광섭 (지은이)
감리교신학대학 및 대학원 졸업(1985)
독일 베텔신학대학(Kirchliche Hochschule Bethel) 신학박사(1991)
감리교신학대학교 은퇴교수(조직신학, 예술신학)
(사)한국영성예술협회-예술목회연구원 원장

지은책
기독교 미학의 향연(2018)
공감과 대화의 신학 F.Schleiermacher (2015,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예술신학 (2011, 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기독교 신앙의 아름다움 (2003)
탈형이상학의 하느님. 하이데거, 바이셰델, 벨테의 신론 연구 (1998)
신학으로 가는 길 (1996) 접기

최근작 : <초월자의 감각>,<십자가와 부활의 미학>,<기독교 미학의 향연> … 총 10종 (모두보기)




저자와 그의 학문적 활동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

선비네 2019-01-12 공감 (9) 댓글 (0)




학문적인 활동과 개인적 삶의 문제는 무관한가?
Gordon 2019-03-14 공감 (2) 댓글 (0)

마이리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신앙



기독교 신학은 오랜 시간 동안 외면받아 왔습니다. 신학을 배워야 목사가 되고 목회를 할 수 있지만 목회자들에게도 신학은 젊은 시절 잠깐 하는 지적인 말놀이에 불과할 때가 많습니다. 수많은 교회가 있고 목회자가 있지만 꾸준하게 자신의 신학적 소양을 넓혀 가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목회자가 그러하니 교인들에게 신학은 정말 머나먼 나라의 이야기입니다. 신학은 소수의 신학자들이 자신들만의 활동 무대에서 펼치는 관객 없는 공연과 같았습니다.




“기독교 미학의 향연”은 우리나라 기독교 신학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머리만 커져서 어려운 얘기만 나불나불하던 신학에 눈과 코와 귀를 달아 주고 팔, 다리를 붙여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을 제대로 향유하지 못하고 편협한 사고에 빠져 하나님이 만든 세상과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아름다움을 부정하던 신앙을 새로운 길로 안내합니다.




“나는 기독교 미학의 새로운 명제로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신앙’을 제시한다. 이 명제는 안셀무스의 명제인 ‘지성을 추구하는 신앙’을 보완하고 넘어서 신앙의 다채로운 구체성과 역동적 생동성, 보편성과 초월성을 동시에 드러낼 수 있다.” (29)




“기독교 미학의 향연”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신앙, 그리고 기독교 미학을 통한 신학의 재구성, 예술에서 발견되는 신학과 하나님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책은 전체 세 개의 큰 파트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 ‘길’에서는 기독교 미학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다루고 있습니다. 특별히 1부의 2장에서는 ‘영적 감각과 신앙’에서 주로 듣는 것에 익숙했던 현대 기독교의 영적 경험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신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일곱 개의 영적 감각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저는 ‘시간과 신앙: 하나님을 봄’을 인상 깊게 읽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기독교 신앙이 하나님의 말씀을 머리로 듣고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지각하고 경험하며, 하나님의 참 선한 아름다움을 보는 배움의 길에서 완전에 이르게 된다고 믿는다.” (84)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독교 신앙은 옳은 말을 듣고 옳은 말을 하는 것으로부터 아름다운 것을 보고 아름다운 것을 보여 주는 신앙으로 발전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부의 주제는 ‘신과 인간’입니다. 여기서는 기독교 신학의 핵심인 삼위일체와 십자가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기독교 신학의 여러 가지 주제가 있지만 삼위일체와 십자가를 중심 주제로 다룬 것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을 잘 보여 주는 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다가 진짜 중요한 것을 놓칠 때가 많은데 “기독교 미학의 향연”은 미학의 관점에서 기독교 신학의 핵심을 제대로 건드리고 있습니다. 삼위일체 한 부분만 읽더라도 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3부의 주제는 ‘예술’입니다. 시학적 신학, 미술신학, 음악신학, 놀이의 신학, 춤과 신학, 대중문화와 신학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의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신학적 분석이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고전적인 예술 분야는 기독교의 영향이 워낙 컸기 때문에 당연히 다뤄질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대중문화와 신학(K-Pop을 중심으로)은 별다른 기대 없이 읽었는데 저자의 시선이 매우 신선해서 좋았습니다. 저자가 하나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단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권위에 찬 종교적 외경과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피조물과 섞이고 함께 노는 행복한 하나님, 아름답고 조화로운 세계다. 신성모독이라기보다는 세상의 작은 생명과도 같은 자리에 앉아 휴식을 즐기는 모습으로, ‘홀로 거룩하신’ 권위적이고 독선적인 신의 모습이 아니다.” (441)

신학적 깊이와 학문적인 글의 완성도, 그리고 대중성의 측면에서도 이 책은 보기 드문 수작입니다. 저는 ‘기독교 미학’에 대해 좀 부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먹고 살기도 바쁜데 예술이라니… 참 팔자 좋은 신학이네’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을 보고 기독교 미학은 여유 있는 사람들의 여가 활동이 아닌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하나님의 창조물들이 보고, 듣고, 느끼고, 춤추고, 노는 와중에 경험하는 하나님의 아름다움이라는 사실을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대중을 바쁜 꿀벌 혹은 벌꿀로 만들어 인간과 세상의 아름다움을 향유하지 못하게 만들고 싶었던 일부 권력자들의 음모에 놀아났던 과거에서 벗어나 아름다움을 느끼고 아름다움을 함께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그리스도인들이 넘쳐나는 새로운 세상을 기대해 봅니다.

설박사 2019-04-23 공감(8) 댓글(0)

교단과 세대를 뛰어넘은 여성들의 연대

교단과 세대를 뛰어넘은 여성들의 연대 < 사역기획국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교단과 세대를 뛰어넘은 여성들의 연대
<뉴스앤조이> 여성 사역자 네트워크 파티 '함께 걷는 길' 후기



기자명 박요셉 기자
승인 2023.06.15


"언니 믿고 따라와~!"

[뉴스앤조이-박요셉 사역기획국장] 민숙희 사제(대한성공회 광명교회)가 옆에 앉은 김정원 목사(한국기독교장로회 여름교회)를 향해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며 말합니다.


"와하하하!"

민 사제의 예상치 못한 '언니'라는 말에 사람들이 박장대소합니다. 김 목사도 10년 차 선배의 말을 거듭니다. "네, 언니 믿고 따라갈게요." 긴장과 어색함으로 가득할 뻔했던 분위기가 녹아내리는 순간이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여성'이라는 동질감과 연결감도 한껏 부풀어 올랐고요.

사역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교단도 다르고 나이도 다릅니다. 사역하면서 한 번도 마주치지 못했을 정도로 활동 영역이 겹치지 않는 분도 있습니다.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 여성이라는 것. 그리고 교파와 세대를 초월해, 이들이 경험해 온 고통과 좌절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입니다.

<뉴스앤조이>는 6월 12일 서울 용산구 효창교회 카페효리에서 '당신의 안부가 궁금합니다'라는 주제로 '여성 사역자 네트워크 파티 - 함께 걷는 길(함길)'을 열었습니다. 교회나 기관에서 사역하거나 신학교에서 공부하는 여성 목사·전도사 등 20여 명이 함께했습니다.

'함길'은 <뉴스앤조이> 가 지난해 보도한 기획 '비하인드 스토리 - 여성 안수 투쟁사'의 후속 모임입니다. 이 기획은 여성들이 목사·장로가 될 자격을 얻어 내고, 교단 내 차별 조항을 없애는 과정을 다뤘습니다. 지금도 여전히 존재하는 성차별적 현실들도 조명했습니다.

후속 모임은 대화를 나누는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했습니다. 기획에는 6개 교단 사역자 10명이 인터뷰이로 참여했는데, 그중 6분을 대화자로 모셨습니다. 주제를 넓히기 위해 1980~1990년대생 사역자 두 분을 새로 섭외했습니다.

김지선 목사는 파란색 클리어 파일을 들고 나왔습니다. 안에는 오늘 이야기할 내용이 담긴 서류들이 담겨 있었습니다. 뉴스앤조이 최승현

안수를 얻어 내기까지:
조직, 연대, 운동


첫 번째 시간에는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김지선 목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 이수경 목사(새사랑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예장합동) 출신 강호숙 박사가 대화자로 나왔습니다.

안수는 운동의 결과였습니다. 김지선·이수경 목사는 여성 목사·장로 자격을 얻기까지 모이고 말하기를 수도 없이 반복했다고 말했습니다.

여성 교인과 교역자들은 뜻을 모아 단체를 조직했습니다. 여성을 상대로 교육하며 문제의식을 공유했습니다. 목소리를 모아 교단에 제도 개혁을 요구했고요. 김지선 목사는 연대와 교육을 무기로 계속해서 싸웠을 때 비로소 변화가 가능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수경 목사도 동료들과 목회자 모임이나 기도회가 열리면 지역을 가리지 않고 달려갔다고 했습니다. 남성들에게 호소하고, 뒤따라오는 모진 말에도 웃으면서 받아쳤습니다. 이 목사는 이런 과정을 감내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하나님께 받은 부르심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목사로 부르셨다는 확신이 분명했기에 그 길이 어려워도 개척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사람들이 왜 하나님의 음성을 똑바로 듣지 못하고 여성들을 힘들게 하는지 가슴 아플 때도 있었지만, 하나님께서 도와주실 것을 믿고 기도하며 싸워 왔습니다."

이수경 목사는 처음부터 '목사'가 목표가 아니었습니다. '목회'라는 사명을 좇다 결국에는 여성 안수 운동에 뛰어들게 됐습니다. 뉴스앤조이 최승현

안수는 성취이자 과제입니다. 안수는 앞서 두 목사에게는 이미 이룩한 결실이지만, 강호숙 박사에게는 아직 풀어야 할 숙제이기 때문입니다.

강 박사는 평소 여성 리더십을 강조해 오다가, 총신대학교에서 부당 해고를 당했습니다. 그는 남성 중심의 성경 해석이 여성에게 차별적인 교리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총신대에서 여성 안수를 반대할 때 한 유명한 말이 있어요. 여자가 어떻게 기저귀를 차고 강단에 오르느냐고요. 그러면 저처럼 폐경한 여자는 올라가도 되는 건가요? 월경 전인 여자들은 올라갈 수 있는 건가요?


저는 교단이 남성 중심 가부장적 해석에 치우쳤다고 봐요. 시대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진리를 분별하지 못해요. 물컵 하나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 다르게 보여요. 사복음서도 마찬가지잖아요. 네 저자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말하지만 관점이 다 달라요. 그런데 어떻게 남성의 눈으로 본 해석만이 진리가 될 수 있겠어요?"

강 박사는 교단 목회자들이 문화가 바뀌는 것을 마치 진리가 변하는 것처럼 오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뉴스앤조이 최승현


안수 이후의 과제:
자기 증명


두 번째 시간에는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 김명희 목사, 대한성공회 민숙희 사제, 기장 김정원 목사, 기독교반성폭력센터 이은재 전도사가 대화자로 나왔습니다.

안수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었습니다. 결혼·출산·육아를 이유로 안수를 반대하던 사람들은 제도가 바뀌어도 생각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똑같은 이유를 들며 여성 사역자들의 목회를 힘들게 했습니다.

감리회는 '결혼한 여성 목사는 담임 목회를 할 수 없다'는 차별 조항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 법을 없애는 데 앞장선 김명희 목사는, 결혼부터 임신·출산까지 주변 목회자들로부터 불편한 시선과 말을 받아야 했다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회의 출석 여부나 지각 등 작은 행동 하나에도 트집을 잡았습니다. "여성이라서." 김 목사는 그런 말을 듣기 싫어서 남들보다 두세 배 더 열심히 살았다고 했습니다. 만삭이었을 때 새벽에 양수가 터졌는데도, 오전 교역자 회의에 참석한 뒤 응급실로 달려가 출산했을 정도였으니까요.

김명희 목사는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망각'이라는 선물을 주지 않았다면, 버티기 힘들었을 거라고 말했습니다. 뉴스앤조이 최승현

민숙희 사제는 <뉴스앤조이>와 인터뷰하면서 "여성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고 했습니다.


"인정받기 위해 노력할 필요 없어요", "문제가 있다면 그건 우리에게 있는 게 아니라 상대에게 있는 거죠", "그냥 잘하는 것, 할 수 있는 것만 합시다", "그래도 싫어하면 어쩔 수 없는 거고요."

솔직하고 거침없는 민 사제의 '띵언'은 다른 사역자들이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알려 주는 등불 같았습니다. 그 역시 선배들이 밝혀 준 빛을 따라 걸어왔다고 했습니다. 신학대학원에서 여성을 받아 주지 않던 시절, 교계 연합 기구에서 김지선·김명희 목사를 보면서 '여성도 목회자가 될 수 있다'는 꿈을 키워 왔다고요.

이날 MVP는 단연코 민숙희 사제(사진 왼쪽)였습니다. 그의 거침없고 솔직한 입담에 모두가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뉴스앤조이 여운송


젊은 사역자들의 고민:
평등, 생존


공동의 목표였던 안수는 개개인의 과제로 남았습니다. 젊은 사역자들은 안수를 받을지 고민합니다. 신학교에서 여성으로서 경험했던 어려움들을 떠올리며 목회를 계속할 수 있을지 갈등하고, 여성이 설 수 있는 자리가 비좁은 교계 현실을 바라보며 주저합니다. 실제로 다른 길을 선택하는 이들도 있고요.

김정원 목사는 신학교에서 경험했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제도는 만들어졌지만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사역자라는 의식과 문화는 아직 형성되지 못한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가 속한 기장 교단이 비교적 진보 성향을 띠고 있기 때문에 다른 곳과 다를 것 같지만, 오히려 장점이 단점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교단의 문제는 이런 거예요. '우리는 진보야', '우리는 차별하지 않고 제도를 빠르게 도입했어'라는 자의식 때문에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아요. 성평등 의식도 전반적으로 조금 떨어져 있고요. 명확하지 않지만 암묵적인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감리회에서 소속된 이은재 전도사는 담임 목회를 하며 목사 안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학번인 그는 가끔 교단 리더들이 "네게 여성 목회의 미래가 달려 있다"며 대표성을 부여하는 모습이 불편하고 힘들다고 했습니다. 남성 전도사에게는 그런 부담을 주지 않는데 말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아요. 저는 제 사역을 하기도 바쁘고, 안수를 받을지 말지 고민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 말을 들으면 마치 제 실패가 곧 여성의 실패가 되는 것 같거든요. 가급적 그런 생각을 안 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젊은 사역자 김정원 목사(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와 이은재 전도사(사진에서 맨 오른쪽)가 대화자로 참여해 준 덕분에 대화가 풍성해질 수 있었습니다. 뉴스앤조이 여운송

분위기 좋아 보이죠? 뉴스앤조이 최승현

'함길'을 준비하면서 단순 대화 형식의 모임이 어떤 분위기를 자아낼지 예측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막상 모임이 시작하자, 대화가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들고 세대와 교단을 묶어 준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과거를 소환하고 현재를 돌아보는 공간도 만들어 주었고요. 이것을 우리는 다른 말로 '연대'라고 부릅니다.

사실 토크쇼에서는 '젊은 사역자들이 왜 여성 연합 모임에 잘 참여하지 않느냐'는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민감한 주제일 수 있고 세대 차이만 확인하고 끝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후배들은 자신들의 상황과 필요를 거짓 없이 말했고, 선배들은 몸을 숙여 경청했습니다. 김명희 목사의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애써 잘할 필요가 없어요."

'함길'은 이렇게 끝났습니다. 한 참석자는 다음 모임 날짜가 언제냐고 물었는데요. 죄송하지만 아직까지 계획된 건 없습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나왔던 고민과 다짐이 이대로 끝나지 않길 바라고 있습니다. <뉴스앤조이>도 여성 사역자들이 겪는 문제에 집중하며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