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3

Nuclear Energy Pros and Cons - Energy Informative



Nuclear Energy Pros and Cons - Energy Informative



Nuclear Energy Pros and Cons

Below you will find a nuclear energy pros and cons list, which covers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ypical nuclear power plants.

There are 104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in the United States producing a whopping 806.2 TWh of electricity, in other words about 20 % of the entire electricity generation (2008). There is no doubt that the potential of nuclear energy is huge, but there are also downsides.



Before we get further into the pros and cons list, what exactly is nuclear energy? The basic gist is this: By separating an atom into two lighter atoms, there is a net loss of mass. This mass is not exactly lost, but rather transformed into massive amounts of energy. This is what is referred to as nuclear fission. By controlling these reactions we can harness the energy.
I’ve made a separate article going deeper into how we harness nuclear energy called Nuclear. If this is not entirely clear yet; you might want to consider reading this before you start with the pros and cons list below.
Advantages of Nuclear Energy


1 Relatively Low Costs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s of nuclear power plants are large. On top of this, when the power plants first have been built, we are left with the costs to enrich and process the nuclear fuel (e.g. uranium), control and get rid of nuclear waste,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the plant. The reason this is under advantages is that nuclear energy is cost-competitive. Generating electricity in nuclear reactors is cheaper than electricity generating from oil, gas and coal, not to speak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2 Base Load Energy

Nuclear power plants provide a stable base load of energy. This can work synergistic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wind and solar. The electricity production from the plants can be lowered when good wind and solar resources are available and cranked up when the demand is high.
3 Low Pollution

It is in most cases more beneficial, in terms of the climate crisis, to replace other energy harnessing methods we use today with nuclear power.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nuclear power are relatively light compared to those. However, nuclear waste is potential harmful for both humans and the environment.

How much money can a solar roof save you in South Australia?
Profit from your roof space: find local deals on solar in your area, eliminate your power bill, and join the solar revolution.Calculate My Savings!


4 Thorium

Reports show that with the yearly fuel consumption of today’s nuclear power plants, we have enough uranium for 80 years. It is possible to fuel nuclear power plants with other fuel types than uranium. Thorium, which also is a greener alternative, has lately been given an increased amount of attention. China, Russia and India have already plans to start using thorium to fuel their reactors in the near future.

It looks like nuclear fuel is of good availability if we combine the reserves of the different types together. In other words, hopefully enough time for us to find cost-competitive greener ways of harnessing energy.
5 Sustainable?

Is nuclear energy renewable or non-renewable? This is a good question. By definition, nuclear energy is not a renewable energy source. As I mentioned above,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fuel for nuclear power available. On the other hand, you could argue that nuclear energy is potentially sustainable by the use of breeder reactors and fusion reactors. Nuclear fusion is the holy grail of harnessing energy. If we can learn to control atomic fusion, the same reactions as those that fuel the sun, we have practically unlimited energy. At the moment, these two methods both have serious challenges that need to be dealt with if we are to start using them on larger scale.
6 High Energy Density

It is estimated the amount of energy released in a nuclear fission reaction is ten million times greater than the amount released in burning a fossil fuel atom (e.g. oil and gas). Therefore, the amount of fuel required in a nuclear power plant is much small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types of power plants.
Disadvantages of Nuclear Energy

While the advantages of using nuclear energy seem to be many, there are also plenty of negative effects of nuclear energy. The following are the most important ones:
1 Accidents Happen

The radioactive waste can possess a threat to the environment and is dangerous for humans. We all remember the Chernobyl accident, where the harmful effects of nuclear radiation on humans can even be witnessed today. Estimates conclude that somewhere between 15 000 and 30 000 people lost their lifes in the Chernobyl aftermath and more than 2.5 million Ukrainians are still struggling with health problems related to nuclear waste.

Just last year, on March 18, a major nuclear crisis happenend again in Japan. While the casualties were not as high as with the Chernobyl accident, the environmental effects were disasterous.

History shows that we can never really protect us 100% against these disasters. Accidents do happen.
2 Radioactive Waste

Does nuclear power cause air pollution? The nuclear power plants emit negligible amounts, if any, carbon dioxide into the atmosphere. However, the processes in the nuclear fuel chain such as mining, enrichment and waste management does.

There are many arguments both for and against nuclear power. All in all I would say that the future of nuclear power looks promising. With new generations of reactors, potential major breakthroughs such as nuclear fusion, the methods we use to harness nuclear energy will get better in the next coming years. The question is: Do we need nuclear power or are the renewables a better choice?

Top California Solar Installers

Fresno Solar Installers
Riverside Solar Installers
Los Angeles Solar Installers
San Diego Solar Installers
Temecula Solar Installers
If you want to read more on nuclear energy, go to the nuclear category in the top menu. To get a broader picture on the non-renewables and their importance in today’s society read Non-Renewable Energy Sources –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eel free to leave comments below.


Looking for lists of pros and cons for more types of energy sources?
Solar Energy Pros and Cons
Wind Energy Pros and Cons
Geothermal Energy Pros and Cons
Biomass Energy Pros and Cons
Tidal Energy Pros and Cons
Wave Energy Pros and Cons
Fossil Fuels Pros and Cons
Hydroelectric Energy Pros and Cons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Nuclear Energy? | Let's Talk Science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Nuclear Energy? | Let's Talk Science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Nuclear Energy?
Digital Development Team
January 23, 2019
Format
Video, Text, Images
Readability
9.1

Subjects
Environmental Science, Pollution, Climate change, Physics, Nuclear Energy, Technology & Engineering

2020/05/12

Resurrection (novel) - Wikipedia

Resurrection (novel) - Wikipedia



Resurrection (nove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Resurrection
Resurrection (cover).jpg
First US edition
AuthorLeo Tolstoy
Original titleВоскресеніе
CountryRussia
LanguageRussian
GenrePhilosophical novelpolitical fiction
PublisherFirst published serially in Niva
then Dodd, Mead (US)
Publication date
1899
Published in English
1900
Media typePrint (Hardcover, Paperback) and English-language Audio Book
Pages483 (Oxford World's Classics edition)
Resurrection (pre-reform RussianВоскресеніе; post-reform RussianВоскресениеtr. Voskreséniye), first published in 1899, was the last novel written by Leo Tolstoy. The book is the last of his major long fiction works published in his lifetime. Tolstoy intended the novel as an exposition of the injustice of man-made laws and the hypocrisy of the institutionalized church. The novel also explores the economic philosophy of Georgism, of which Tolstoy had become a very strong advocate towards the end of his life, and explains the theory in detail. It was first published serially in the popular weekly magazine Niva in an effort to raise funds for the resettlement of the Doukhobors.

Plot outline[edit]

The story is about a nobleman named Dmitri Ivanovich Nekhlyudov, who seeks redemption for a sin committed years earlier. When he was a younger man, at his Aunts' estate, he fell in love with their ward, Katyusha (Katerina Mikhailovna Maslova), who is goddaughter to one Aunt and treated badly by the other. However, after going to the city and becoming corrupted by drink and gambling, he returns two years later to his Aunts' estate and rapes Katyusha, leaving her pregnant. She is then thrown out by his Aunt, and proceeds to face a series of unfortunate and unpleasant events, before she ends up working as a prostitute, going by her surname, Maslova.
Ten years later, Nekhlyudov sits on a jury which sentences the girl, Maslova, to prison in Siberia for murder (poisoning a client who beat her, a crime of which she is innocent). The book narrates his attempts to help her practically, but focuses on his personal mental and moral struggle. He goes to visit her in prison, meets other prisoners, hears their stories, and slowly comes to realize that below his gilded aristocratic world, yet invisible to it, is a much larger world of cruelty, injustice and suffering. Story after story he hears and even sees people chained without cause, beaten without cause, immured in dungeons for life without cause, and a twelve-year-old boy sleeping in a lake of human dung from an overflowing latrine because there is no other place on the prison floor, but clinging in a vain search for love to the leg of the man next to him, until the book achieves the bizarre intensity of a horrific fever dream. He decides to give up his property and pass ownership on to his peasants, leaving them to argue over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y can organise the estate, and he follows Katyusha into exile, planning on marrying her. On their long journey into Siberia, she falls in love with another man, and Nekhludov gives his blessing and still chooses to live as part of the penal community, seeking redemption.
An illustration by Leonid Pasternak in one of the early English editions.

Popular and critical reception[edit]

The book was eagerly awaited. "How all of us rejoiced," one critic wrote on learning that Tolstoy had decided to make his first fiction in 25 years, not a short novella but a full-length novel. "May God grant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It outsold Anna Karenina and War and Peace. Despite its early success, today Resurrection is not as famous as the works that preceded it.[1]
Some writers have said that Resurrection has characters that are one-dimensional and that as a whole the book lacks Tolstoy's earlier attention to detail. By this point, Tolstoy was writing in a style that favored meaning over aesthetic quality.[1]
The book faced much censorship upon publication. The complete and accurate text was not published until 1936. Many publishers printed their own editions because they assumed that Tolstoy had given up all copyrights as he had done with previous books. Instead, Tolstoy retained the copyright and donated all royalties to the Doukhobors, who were Russian pacifists hoping to emigrate to Canada.[1]
It is said of legendary Japanese filmmaker Kenji Mizoguchi that he was of the opinion that "All melodrama is based on Tolstoy's Resurrection".[2]

Adaptations[edit]

Operatic adaptations of the novel include the Risurrezione by Italian composer Franco AlfanoVzkriesenie by Slovak composer Ján Cikker, and Resurrection by American composer Tod Machover.
Additionally, various film adaptations, including a Russian film Katyusha Maslova of director Pyotr Chardynin (1915, the first film role of Natalya Lisenko); a 1944 Italian film Resurrection; a 1949 Chinese film version entitled "蕩婦心" (A Forgotten Woman) starring Bai Guang; a Russian film version directed by Mikhail Shveitser in 1960, with Yevgeny MatveyevTamara Semina and Pavel Massalsky, have been made. The best-known film version, however, is Samuel Goldwyn's English-language We Live Again, filmed in 1934 with Fredric March and Anna Sten, and directed by Rouben Mamoulian. The Italian directors Paolo and Vittorio Taviani released their TV film Resurrezione in 2001. The Spanish director Alberto Gonzalez Vergel also released his TV film "Resureccion" in 1966. Kenji Mizoguchi,s film "Straights of love and hate" (1937) was also inspired by "Resurrection".
A 1968 BBC mini-series Resurrection, rebroadcast in the US on Masterpiece Theatre.[3] The Indian movie Barkha Bahar (1973) was based on this novel.

Notes[edit]

External links[edit]

2020/05/10

알라딘: [전자책] 나와 가족을 살리는 기전수

알라딘: [전자책] 나와 가족을 살리는 기전수






[eBook] 나와 가족을 살리는 기전수
이용설 문광호 (지은이)유페이퍼2012-09-26






기본정보

제공 파일 : ePub(948 KB)
TTS 여부 : 지원


책소개
[책소개]
명상(瞑想)으로도 많이 알려진 참선(參禪)과 뇌 호흡을 통한 신체의 리듬과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뇌 연구실에서 기 수련자 14명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 

무드 증대 및 통증 완화와 관련이 있는 호르몬인 베타엔돌핀이 
수련 전에는 평균 11.21pg/ml이었다가 수련 중에는 25.08로 약 2.3배 늘어나고, 
스트레스에 민감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CTH)은 평균 46pg/ml에서 44로 줄어든다는 놀라운 사실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1997년 1월 15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심신의학연구소에서 열린 학술세미나에 발표된 바 있습니다.

2020/05/09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을 출간했습니다.





25:0

여운택 이야기

이발사, 무학, 일본인 고객이 소개

끌려간 것이 아니라 연고를 동원하여 일본제철소에 취직

그러나 강제로 끌려갔다, 한푼도 받지못했다, 혹사당했다, 하고 이야기 하고 있다.


How did Michael Moore become a hero to climate deniers and the far right? | Michael Moore | The Guardian



How did Michael Moore become a hero to climate deniers and the far right? | Michael Moore | The Guardian



How did Michael Moore become a hero to climate deniers and the far right?
George Monbiot


The filmmaker’s latest venture is an excruciating mishmash of environment falsehoods and plays into the hands of those he once opposed
@GeorgeMonbiot
Thu 7 May 2020 20.28 AEST
---


Denial never dies; it just goes quiet and waits. Today, after years of irrelevance, the climate science deniers are triumphant. Long after their last, desperate claims had collapsed, when they had traction only on “alt-right” conspiracy sites, a hero of the left turns up and gives them more than they could have dreamed of.

Planet of the Humans, whose executive producer and chief promoter is Michael Moore, now has more than 6 million views on YouTube. The film does not deny climate science. But it promotes the discredited myths that deniers have used for years to justify their position. It claims that environmentalism is a self-seeking scam, doing immense harm to the living world while enriching a group of con artists. This has long been the most effective means by which denial – most of which has been funded by the fossil fuel industry – has been spread. Everyone hates a scammer.Climate denial is the latest hobby horse of the German far right | Bernhard Pötter

And yes, there are scammers. There are real issues and real conflicts to be explored in seeking to prevent the collapse of our life support systems. But they are handled so clumsily and incoherently by this film that watching it is like seeing someone start a drunken brawl over a spilled pint, then lamping his friends when they try to restrain him. It stumbles so blindly into toxic issues that Moore, former champion of the underdog, unwittingly aligns himself with white supremacists and the extreme right.


Occasionally, the film lands a punch on the right nose. It is right to attack the burning of trees to make electricity. But when the film’s presenter and director, Jeff Gibbs, claims, “I found only one environmental leader willing to reject biomass and biofuels”, he can’t have been looking very far. Some people have been speaking out against them ever since they became a serious proposition (since 2004 in my case). Almost every environmental leader I know opposes the burning of fresh materials to generate power.

There are also some genuine and difficult problems with renewable energy, particularly the mining of the necessary materials. But the film’s attacks on solar and wind power rely on a series of blatant falsehoods. It claims that, in producing electricity from renewables, “You use more fossil fuels to do this than you’re getting benefit from it. You would have been better off just burning fossil fuels in the first place”. This is flat wrong. On average, a solar panel generates 26 units of solar energy for every unit of fossil energy required to build and install it. For wind turbines the ratio is 44 to one.


Planet of the Humans also claims that you can’t reduce fossil fuel use through renewable energy: coal is instead being replaced by gas. Well, in the third quarter of 2019, renewables in the UK generated more electricity than coal, oil and gas plants put together. As a result of the switch to renewables in this country, the amount of fossil fuel used for power generation has halved since 2010. By 2025, the government forecasts, roughly half our electricity will come from renewables, while gas burning will drop by a further 40%. To hammer home its point, the film shows footage of a “large terminal to import natural gas from the United States” that “Germany just built”. Germany has no such terminal. The footage was shot in Turkey.

There is also a real story to be told about the co-option and capture of some environmental groups by the industries they should hold to account. A remarkable number of large conservation organisations take money from fossil fuel companies. This is a disgrace. But rather than pinning the blame where it lies, Planet of the Humans concentrates its attacks on Bill McKibben, the co-founder of 350.org, who takes no money from any of his campaigning work. It’s an almost comic exercise in misdirection, but unfortunately it has horrible, real-world consequences, as McKibben now faces even more threats and attacks than he confronted before.Once again Michael Moore stirs the environmental pot – but conservationists turn up the heat on him

But this is by no means the worst of it. The film offers only one concrete solution to our predicament: the most toxic of all possible answers. “We really have got to start dealing with the issue of population … without seeing some sort of major die-off in population, there’s no turning back.”


Yes, population growth does contribute to the pressures on the natural world. But while the global population is rising by 1% a year, consumption, until the pandemic, was rising at a steady 3%. High consumption is concentrated in countries where population growth is low. Where population growth is highest, consumption tends to be extremely low. Almost all the growth in numbers is in poor countries largely inhabited by black and brown people. When wealthy people, such as Moore and Gibbs, point to this issue without the necessary caveats, they are saying, in effect, “it’s not Us consuming, it’s Them breeding.” It’s not hard to see why the far right loves this film.

Population is where you go when you haven’t thought your argument through. Population is where you go when you don’t have the guts to face the structural, systemic causes of our predicament: inequality, oligarchic power, capitalism. Population is where you go when you want to kick down.

We have been here many times before. Dozens of films have spread falsehoods about environmental activists and ripped into green technologies, while letting fossil fuels off the hook. But never before have these attacks come from a famous campaigner for social justice, rubbing our faces in the dirt.

• George Monbiot is a Guardian columnist



Topics
Michael Moore
Opinion
Climate science denial
Climate change (Science)
Climate change (Environment)
Fossil fuels
Energy
Population
comment

신비 중의 신비 Kang-nam Oh

(2) Facebook



Kang-nam Oh

23 hrs · Public

신비 중의 신비





며칠 전 <새로운 종교, 새로운 기독교>라는 글에서 우리가 십자가에서 흘리신 예수님의 피 공로로 죄 사함을 받는 다는 대속 신앙(Atonement Theology) 대신에
우주에 편만한 신비를 체득하면서 경외심(awe)을 가지고 즐겁고 밝은 삶을 사는 것이 더 훌륭한 신앙생활이 아닌가 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런 글을 쓰면서 가르치려 드는 태도로 비칠까 걱정이 됩니다만, 그냥 이런 생각들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 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오늘은 우주의 신비 중 어떤 면에서 놀라움과 신기함을 느껴야 할까 한 번 생각해볼까 합니다.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정말 신비해 할 것이 많습니다.  시편 기자는 우리 몸이 “신묘막측”하게 지어졌음을 감탄해 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리 현상은 너무나 신기하고 신비스럽습니다.  그러나 오늘 주목해 보고 싶은 것은 우주 만물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영어로  interrelatedness, interdependence라 할 수 있습니다.  상호연관, 상호의존입니다.

상수도가 없으면 하수도가 있을 수 없지만 하수도가 없어도 상수도가 있을 수 없습니다. 출발이 없으면 도착도 없지만 도착이 없으면 출발도 없습니다.  계곡이 깊은 것은 산이 높기 때문이지만 산이 높은 것도 계곡이 깊기 때문입니다.  훌륭한 상품을 만드는 사업가가 없으면 고객도 없지만 고객이 없으면 사업가도 있을 수 없습니다.  음악에 음표가 중요하지만 쉼표가 없으면 음표도 의미 없다는 것입니다. 음(陰)이 없으면 양(陽)도 없고 양이 없으면 음도 없습니다.  이런 쌍들은 서로 배타적이나 반대가 아니라 서로 보완적(complementary)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자주 쓰는 말로 이것이냐 저것이냐 하는 "냐냐주의(either/or)"가 아니라 이것도 저것도 하는 “도도주의(both/and)”입니다.  거창한 용어로 하면 라틴말로 "coincidentia oppositorum"(대립의 일치, harmony of the opposites)라 합니다.

조금 복잡한 예를 듭니다.  우리가 먹는 밥이 있기 위해서는 벼가 있어야 하고 벼가 크기 위해서는 땅도, 물도, 공기도, 해도 있어야 합니다. 벼를 기르는 농부도 있어야 하고 농부의 부모와 조상도 있어야 하고, 그들이 사용하는 농기구가 있어야 하고 농기구를 만드는 대장간 사람도, 농기구의 쇠붙이를 캐내는 광부도 있어야 하고, 쇠붙이를 품고 있는 광산도 있어야 하고, 쇠붙이를 녹이는 불도 있어야 하고....  끝이 없습니다.  그렇게 보면 쌀 한 톨 속에 온 우주가 다 들어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쌀 한 톨 속에 우주가 다 있다면 내 속에도 우주가 다 들어와 있습니다.   우리는 홀로 외로이 떠다니는 부평초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예 한 가지만 더 듭니다.  문이 없으면 완전한 집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집이 없으면 물론 문이라는 것도 무의미합니다.  문과 집은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창문이 없으면 집이 없고 집이 없으면 창문도 있을 수 없습니다.  문이나 창문이라는 말 속에는 집이라는 것이 포합되어 있고 집이라는 말에는 문이나 창문이 이미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이 없으면 집이 없고 집이 없으면 창문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문에는 창문이, 창문에는 문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 외에 지붕, 벽 등과도 이와 같은 관계가 성립됩니다.  이 모든 것은 서로 연관되고 서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불교 화엄(華嚴) 철학에서는 이것을 “법계연기(法界緣起)”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우주의 모든 것은 서로서로 얼키고 설켜서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화엄에서 쓰는 말로 상입(相入, interpenetration) 상즉(相卽, mutual indentification)입니다. 노자의 <도덕경>에서도 이 비슷한 세계관을 펼치고 있습니다. 신비 중의 신비(玄之又玄)라고 했습니다.

이런 신비스러운 사실을 깨닫게 되면 나 혼자 잘났다고 독불장군처럼 거들먹거릴 수가 없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서로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알면 이웃의 아픔이 나의 아픔이 되고, 내가 대접받기 원하는 대로 이웃을 대접하고,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하지 않는 마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사랑할 원수조차도 없어지기 마련입니다.

이런 놀라운(awesome) 진실을 깨닫는 사람들이 많으면 이 세상이 그만큼 평화스럽고 더 살기 좋은 곳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경우 humanist들이 말하는 "Can we be good without God?"에 뭐라고 대답해야 할까요..

2020/05/06

탈북청소년 위한 한겨레학교를 아십니까? - 오마이뉴스



탈북청소년 위한 한겨레학교를 아십니까? - 오마이뉴스




탈북청소년 위한 한겨레학교를 아십니까?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학교 - 1편
08.07.04 10:19l최종 업데이트 08.07.04 10:19l
장영주(kp4075)



크게l
작게l
인쇄l
URL줄이기
스크랩

0


원고료로 응원하기
공감2 댓글댓글달기













탈북자 청소년 대안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교장 곽종문)는 세계에 하나밖에 없는 분단학교다. 한겨레학교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10-1번지에 소재한 대안 자율학교로 새터민(탈북자)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겨레학교 교포의 붉은색, 청색은 태극을 상징하며 녹색은 하나 된 일원임을 나타낸다. 교포는 전체적으로 남과 북이 꿈틀되는 기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역동적 움직임 속에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우리나라가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서자는 포부를 담고 있다.







한겨레학교는 탈북한 새터민 가족 중 청소년을 대상으로 6개월에서 1년간 남한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기본 교육을 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지난 2003년 영지성지학원이 설립되고, 2006년 1월 특성화중고등학교로 지정되었으며, 그해 3월에 개교하여 2007년 2월 1회 졸업생 5명을 배출했다. 그해 9월 이병태 제2대 이사장이 취임했고 지난 2월 제2회 졸업생 16명을 배출했다.


한겨레학교는 통합학교다. '학교법인 전인학원'이 설립한 특성화 자율학교이다. 남북한 교육체제(대표적인 예로 남한 초등학교 6년, 북한 소학교 4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완충지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일반 학교로 편입될 경우, 학습내용과 교과과정 등 남과 북이 다른 점들이 많아 대다수의 탈북청소년들이 적응하기 힘들어 한다. 한겨레학교엔 중학교 3학급, 고등학교 3학급이 있으며 학급당 정원 20명이다.


전국에 있는 새터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해서 수시로 모집하고 있다. 최근 이 학교를 선호하는 새터민들이 늘어 법정 정원을 훨씬 초과한 학생을 수용하고 있다. 정원제를 강력히 시행할 수 없는 형편이라 한다. 120명 정원에 현재 178명이 재학하고 있다. 최소 1년 정도 남한사회 적응 교육을 받아야 전학에 용이하고, 대학 입학(특례입학)에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겨레학교 학생들은 남북한의 교과편성의 차이와 편성된 교과의 구성 및 내용의 상이함과 용어의 차이로 학습 인지능력이 매우 떨어지며 제3국(북한 이탈 이후 중국 체류자가 전체의 70%임)에 오래 체류한 이들이 많아 상당수 학생들이 중국어 활용 능력은 뛰어나다. 하지만 북한에서의 통제된 생활습성으로 자율적 능력이 매우 떨어져 교사들의 체계적인 수업 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나이 고하를 막론하고 기초기본학습이 부진하기 때문에 학년을 편성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하나원 퇴소 후 바로 편입이 이루어지므로 전반적으로 남한사회를 이해하는 정도가 매우 떨어진다. 이들은 남북한의 학제의 차이와 긴 탈북과정으로 인해 남한 학생들에 비해 개개인의 연령이 높지만 배움에 대한 갈망은 매우 높다.

현재 북한에서 소학교 졸업 5~10%, 고등중학교 졸업 5~10% 이외에 80~90%는 중퇴자(북한에서는 생활이 어려워 학생들이 학교 졸업에 대해 무딘 경향이 있다. 고등중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바로 들어가는 것을 직통제라 한다)로 학력심의위원회에서 학령을 배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전 교과 이동수업을 하는 데 교사는 특별교실에 근무하고 학생들이 이동하며 수업을 받는다. 전학생 기숙사(10명 단위 1명 지도교사 숙식 참여) 생활을 하며 학생 1인당 월 18만원 정도의 기숙사비를 국고에서 지원받는다.


교육은 교과과정 40% 지원과정 30% 적응과정 30%로 편성 운영하는데 30% 적응과정은 지하철타기, 동사무소 일보기, 도서관 활용하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에 활용하며 1박 2일 간 문화기행(10명 1조, 1명 지도교사)은 서울에서 체험활동으로 진행된다.

















북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남한에서 부여받은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통일교육은 화공교육(화합하여 공존하자는 뜻)이라 하는데 학교장의 교육철학이 중요하며 2006년 개교 이래 적응 능력이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있다.


곽종문 교장은 "가뭄이 든 황토밭에 물을 뿌리면 100% 빨리 빨아들이는 힘과 같이 이들도 이를 악물고 남한사회에 적응하려 노력하고 있다"며 "솔직히 학력은 부족하다, 1년 이후 일반학교에 전학 가려면 많은 애로 사항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도 똑 같은 한국인이다, 이념적으로 갈려 있는 상태가 아니"라며 "그들은 조금만 가르쳐 줘도 학력이 최대한 향상된다, 배움에 한이 맺혀서 갈증을 느끼기에 그들의 요구 해소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중고등학교는 현재 주민들과 상당히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기적성 교육은 외부강사를 활용하며 자원봉사자도 모집하고 있다.


한겨레중고등학교의 교훈은 '맑고 밝고 훈훈하게'다. 교사훈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이다. 학교 상징인 교목은 소나무(푸름은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함), 교화는 연꽃(진흙 속의 깨끗함과 온화함), 교색은 하늘색(희망, 평화, 화합, 단결)이다.


이 학교는 북한에서 생활하던 청소년들이 자유를 찾아 남한에 터전을 잡고 통일을 열망하며 생활하는 동안 남과 북이 하나되는 공간이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제주인터넷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74세 나이에도 매일 영어 공부하는 노력가 - 중앙일보



74세 나이에도 매일 영어 공부하는 노력가 - 중앙일보




74세 나이에도 매일 영어 공부하는 노력가
[중앙선데이] 입력 2010.04.25 02:07 | 163호 31면 지면보기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김환영 기자

『맹자』에 나오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은 ‘불쌍히 여겨 언짢아하는 마음’을 이른다. 누구에게나 측은지심이 있지만 그 마음이 실천으로 이어지기는 힘들다. 이기심 때문에 외면하거나 잊어버리기 일쑤다. 측은지심이 실천이 되기 위해서는 그 자신이 측은지심을 유지하고, 남의 측은지심을 행동으로 옮기게 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원불교 박청수 원로교무가 바로 그런 성직자다.





내가 본 박청수 원로교무남의 불행은 박청수 원로교무를 불행하게 한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면 그는 밤잠을 설친다. 측은지심은 박 원로교무로 하여금 캄보디아 지뢰 제거 활동을 후원하고 이라크 전쟁 피해자를 돕고 아프가니스탄에 의족·의수를 지원하게 했다. 중앙아시아에서 연해주로 돌아온 고려인에서 자연재해를 당한 중남미 사람까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는 본능적으로 못 견딘다.

박청수 원로교무가 말하기 시작하면 대상자들이 그의 측은지심을 같이 느끼기 시작한다. “자기가 한 일에 대한 보람과 대가, 성취감을 수확하고 싶지 않습니까”라고 그는 묻는다. 그는 우리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따뜻한 가슴, 소외 계층을 살피려는 마음을 자극한다.

박청수 원로교무의 엄청난 설득력은 그가 공부하는 성직자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가 스물두 살 무렵이었을 때 어른 교도들이 ‘요즈음은 교당에 와도 교무님 설교 내용이 들을 것이 없다’고 수군거리는 것을 듣게 됐다.

그래서 그는 ‘교무가 되려면 반드시 큰 실력을 갖추어야 되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그는 독서 계획에 따라 각종 고전을 독파하기 시작했다. 학창 시절 박청수 원로교무는 ‘휴식을 두려워하는 학생’이었다.


박청수 원로교무는 74세인 지금도 매일 아침 5~10분은 영어 공부를 한다. 20년 동안 계속된 습관이다. 박 원로교무는 영어로 강연도 하고 축사도 할 수 있다. 원고 없이 즉석에서 30~40분 동안 자신의 체험과 하고 싶은 말을 중심으로 강연하는 게 가능하다.

50년 원불교 성직자 생활과 세계 55개국에 걸친 봉사활동으로 박청수 원로교무는 유명 인사가 됐다. 그는 2000년 12월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식에 초청받아 손님으로 참석했다. 박청수 원로교무는 청와대에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청와대 사람들은 그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국외에서도 인지도가 높다. 인도 라다크의 상가세나 스님은 1997년 『거룩한 어머니(The Divine Mother)』라는 제목의 책을 펴냈다. 박청수 원로교무가 히말라야 지역 라다크 사람들을 도운 미담을 영문으로 저술한 것이다.

박청수 원로교무는 2007년 은퇴했다. 그러나 그의 봉사활동은 멈출 수 없었다.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하늘 사람』이라는 박 원로교무의 저서에 대한 추천사에서 이렇게 썼다. “박청수 교무를 아는 사람으로서 정년퇴임이 그의 봉사활동에 마침표를 찍으리라 예상하는 이는 없으리라 믿는다.” 아니나 다를까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그에게 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 이사장 자리를 맡겼다.
관련기사“작더라도 좋은 일 시작해보세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출가 50년 인생 70년...원불교 박청수교무 자서전 '하늘사람'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출가 50년 인생 70년...원불교 박청수교무 자서전 '하늘사람'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출가 50년 인생 70년...원불교 박청수교무 자서전 '하늘사람'



도휘정

승인 2007.02.20 23:02





[문화]전체기사 문화일반 문학ㆍ출판 전시ㆍ공연 영화ㆍ연극 문화재ㆍ학술 종교 방송ㆍ연예



“사람들은 때로 나를 두고 말할 때, 남을 위해 좋은 일 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런 말을 들을 때면 나는 마음 속으로 내가 그들 ‘남’을 위해서 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남’들이 내 삶을 가꾸는 텃밭이 돼주고, 때로는 넓은 농경지도 되어 내 삶에 의미를 충족시켜 주고 성취감과 보람까지 안겨주는 고마운 인연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마더 테레사’로 불리는 원불교 박청수 교무(70). 올 초 정년퇴임한 그가 자서전 「하늘사람」(여백)을 펴냈다. “열아홉에 출가하여 살아온 나의 출가 50년을 마치 단숨에 살아버린 것 같다”며 꺼내놓은 출가 50년, 인생 70년의 이야기다.



1937년 남원 수지면 홈실 산골마을에서 태어난 박교무는 56년 전주여고를 졸업하고 그해 4월 원불교 교무가 되기 위해 출가해 정녀가 됐다. 흰저고리 검정치마를 입게된 것은 ‘정녀로서 너른 세상에서 큰 살림을 살라’하신 어머니의 뜻을 따른 것.



가톨릭 성 라자로 마을과 인연을 맺고 나환자들과 형제의 정을 나눈 31년, 인도와 캄보디아, 아프리카 등 종교의 벽을 넘어 인종의 벽도 초월한 나눔의 삶, 북인도 히말라야 설산 라다크에 기숙학교와 무료 구제병원을 세우고 캄보디아 빈민들을 위해 참여한 지뢰 제거운동 등 「하늘사람」에는 그의 희생과 봉사가 잔잔하게 담겨있다.



무지와 가난, 질병 퇴치를 위해 세계 55개국에서 ‘빈자의 어머니’로 살아온 박교무. 상명대 양종훈 교수는 그의 퇴임에 맞춰 박교무의 삶이 기록된 신문과 방송, 잡지 기사 등을 모아 「언론이 본 박청수 교무」(이제)를 엮어내기도 했다.



교역 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현재 원불교 대안학교인 성지송악중, 헌산중, 탈북주민 자녀를 위한 한겨레초·중·고등학교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관음 나무위키

관음

최근 수정 시각: 
1. 觀音2. 觀淫
2.1. 인터넷 용어로써
3. 관음도

1. 觀音[편집]

불교용어 관세음보살을 줄인 관음보살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2. 觀淫[편집]

Voyeurism

음란한 것을 본다는 뜻. 성도착증의 일종인 관음증의 관음도 이런 뜻이다.

2.1. 인터넷 용어로써[편집]

넓은 의미로는 오지랖, 훔쳐보기, 엿듣기, 남의 사생활을 알려고 하기 등을 모두 관음이라 일컫게 되었고, 조금 더 좁은 의미로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혹은 싫어하는) 대상의 이야기를 몰래 엿듣는 행위. 같은 말로 염탐(廉探)이 있다.

흔히 일본에서 한국에 대해 다룰 때 한국에서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작은 사건에 대해 자기들끼리 대토론을 하고 있다든지, 혹은 자기네 국회에서 날치기[1]가 일어나고 있는데 일본 방송국에서는 대한민국 국회의 탄핵 표결을 생중계한다든지, 전혀 상관없는 주제에서 뜬금없이 한국 소식을 끌고온다든지, 국내의 해외 반응 사이트는 현재 가생이닷컴 한 곳만 남은 데 비해 일본에서는 한국 반응만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사이트가 수십 곳이 넘는다든지 하는, 한국 소식에 비이성적으로 집착하는 일을 가리킬 때 쓴다.

이들에게 "한국한테 관심이 많구나." 하고 말하면 기겁하며 "우리는 한국을 감시하는 것뿐이다!" 하는 정신승리 반응이 돌아오는 것이 특징.

대표적인 예시로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NHK에서 출구조사 결과가 나오자 정규 방송을 끊고 속보로 전했으며 이후 개표가 진행되자 정규 방송 하단에 문재인홍준표안철수 후보의 득표상황을 생중계했었다. 문재인의 당선이 확정되자 대부분의 방송사에서는 혐한 방송인들(...)을 모아다가 토론을 하기도 했다. 게다가 2019년에는 조국의 청문회를 생중계를 가지는 등 그야말로 관음의 절정을 다했는 점에서 일본 내에서도 비난의 목소리가 많다.# 시청률도 한국만 나오면 높다는 것이다.#


혹자들은 한국 역시 일본을 관음하고 있는데, 일본더러 관음을 운운하기에는 오바가 아닌가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한국도 일본에 대한 관음을 매우하며 지금 이것도 좀 나아진거지 국가 수준 차이가 확나던 2000년대 전에 훨씬 심했다.[2]그리고 라이벌 의식이라고 포장했다. 유명한 말로는 최지룡의 만화 여로에 나오는 한국인들은 세계의 누구보다 일본인을 사랑하면서 왜 본심을 숨기는 것일까?등이 있을정도. 가생이 닷컴개소문 닷컴 등 해외 반응을 퍼나르는 사이트가 많았으나 지금은 크게 위축된 상태.

2010년대에 들어서는 한국은 일본에 감정적으로 공격하는 경우가 예전에 비해 줄었으며, 오히려 일본 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질 뿐더러 일본을 알고 제대로 된 비판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일본에서는 국수주의가 성장하며, 2000년대 한국에 버금갈 정도로 한국을 의식하고 공격하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와 별개로 게임 플레이중 상대해야할 적을 주시했음에도 무시하거나 보고만 있는 상황일때도 쓰인다.

3. 관음도[편집]

파일:관움도오.jpg
울릉도와 관음도. 우측 상단에 보이는 섬은 죽도.
파일:0구역.jpg
울릉도의 해변에서 바라본 관음도와 현수교.

관음도는 죽도독도와 함께 울릉도의 3대 부속 도서이며 관할을 받는 지역은 울릉군이다.
죽도나 독도와는 달리 무인도이지만 관광 명소가 되었다. 2012년 울릉도의 숙원사업이었던 일주도로와[3] 연관하여 보행 전용 현수교가 개설되었다. 근처 주차장에 주차한 뒤 걸어갈 수 있다. 울릉도-관음도간 140m 현수교 준공(연합뉴스 기사)[울릉도 vs 울릉도] ① 일주도로 따라 한 바퀴(연합뉴스 기사)[아무튼, 주말] 55년만에 완전 개통된 울릉도 일주도로… 가까이 온 원시의 풍경(조선일보 기사),

세상에서 뒤처진 사람 돕는 게 보은이고 사랑이죠 - 여성신문

세상에서 뒤처진 사람 돕는 게 보은이고 사랑이죠 - 여성신문





세상에서 뒤처진 사람 돕는 게 보은이고 사랑이죠

박길자 / 여성신문 기자
승인 2015.04.07 14:51
수정 2015-04-15 09:21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자서전 출간한 원불교 박청수 교무
학교 9곳, 병원 2곳 설립… 세계 55개국 도운 봉사의 삶
고 박완서 작가 “박 교무에게 돈 드려야 이기적으로 산 게 참회돼”
“난 평생 길쌈했던 여인… 염원이 종자가 되어 이룬 일이죠”







최근 자서전을 낸 원불교 박청수 교무는 “천주교는 사랑, 원불교는 보은, 불교는 자비로 이 세상에서 뒤처지고 못난 사람을 돕는 것”이라며 “종교마다 하는 일이 달라 보여도 사실은 같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50년의 긴 세월 동안 세계 55개국을 돕고 나라 안팎에 학교 9곳과 병원 2곳을 세웠어요. 그 하나하나의 일은 늘 천신만고 끝에 이루어졌어요. 애간장이 녹는 지경에 이르러서야 결실을 냈어요. 낮도 밤도 없이 궁리하느라 출퇴근도 없었지요. 길쌈하던 여인을 보면 새벽에도 실꾸리를 감고 물레질을 하잖아요? 나는 평생 쉼 없이 길쌈했던 여인이었어요.”

원불교 박청수(79) 교무가 최근 자서전을 냈다. 『박청수-원불교 박청수 교무의 세상 받든 이야기』라는 제목의 711쪽짜리 방대한 책이다. 박 교무의 삶을 통해 올해 100년을 맞은 민족종교 원불교 역사도 엿볼 수 있다.








자서전은 열화당 출판사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열화당 영혼도서관’ 시리즈 중 하나로 파주 헤이리예술마을에 건립 추진 중인 ‘안중근 기념 영혼도서관’에 소장될 예정이다. 박 교무는 “그동안 출간한 저서 중 4권에서 글을 뽑아 다듬고 여기에 지난해 여름 400장 분량의 원고를 새로 써서 보탰다”며 “열화당에서 자서전을 선물로 받은 것 같다”며 웃었다. 열화당에선 박 교무의 수필, 칼럼, 기행문 등을 모은 쌍둥이 문집이 나올 예정이다.

박 교무는 “제 글을 읽은 이인호 KBS 이사장이 빼야 될 곳도, 보탤 곳도 없이 간결하고 순수하다고 하더라”며 “나는 글 공부도 안 했고 스승 한 명 없다. 내 맘대로 글을 썼는데 이렇게 말해주니 고마웠다”고 했다.


그는 평생을 나눔의 삶을 살아온 데 대해 “아주 철없던 시절에 무아봉공(無我奉公)해서 숭배받는 사람이 돼야겠다고 생각한 것이 삶의 큰 무게가 됐다”고 말했다. 무아봉공이란 나를 없애고 공익을 위해 성심성의를 다한다는 뜻으로 원불교의 네 가지 기본 강령 중 하나다. 특히 그는 종교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왔다. 천주교 시설인 성라자로마을의 한센인들을 40년간 챙겼고 법정 스님의 ‘맑고 향기롭게’ 운동에도 힘을 보탰다. 붓글씨로 쓰인 책 제목은 법정 스님이 박청수 교무에게 보낸 손 편지에서 뽑은 것이다.

‘한국의 마더 테레사’로 불리는 박 교무는 2007년 강남교당에서 퇴임한 후 지금은 경기도 용인의 대안학교 헌산중학교 이사장으로 조용히 살고 있다. 그는 그동안 북인도 히말라야 라다크,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 등 세계 55개국에서 무지, 빈곤, 질병 퇴치를 위해 힘썼다. 수백만 개의 지뢰가 묻힌 캄보디아 땅에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한 후원금을 보낸 일부터 미얀마의 196개 마을과 캄보디아 74개 마을에 맑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공동 우물이나 식수 펌프를 마련해 준 일, 아프리카 12개국에 긴급 의약품을 후원한 일까지 이루 열거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일을 해냈다.


히말라야 설산에 세운 마하보디불교기숙학교는 25명으로 출발해 지금은 학생이 830명이나 된다. 이 아이들은 대학에도 진학하고 미국 유학도 다녀왔다. 박 교무는 “아이들에게 밝은 앞길이 열리게 돼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며 환하게 웃었다.

그는 “천주교는 사랑, 원불교는 보은, 불교는 자비로 이 세상에서 뒤처지고 못난 사람을 돕는 것”이라며 “종교마다 하는 일이 달라 보여도 사실은 같은 일”이라고 말했다. 봉사를 하느라 바빠서 TV 드라마 한 편 여유롭게 못 봤다. “그런 일에 마음을 쓰고 정신을 소모할 겨를이 없었어요. 지난번 출판기념회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입으면 모금이 안 될 것 같아 평생 잘 먹고 잘 입지 못했다’고 말했더니 사람들이 맛난 음식을 사주겠다며 줄을 섰어요.(웃음)”

그가 평생 모금해 지원한 액수는 105억원. 여기에 정부 지원액을 포함하면 350억원 규모다. 후원자들은 박 교무에 대한 신뢰가 강하다. 누구보다 투명하게 일을 하기 때문이다. 평소 종잣돈을 많이 대준 고 박완서 작가는 “박청수 교무에게 돈을 드리면 전액이 목적지로 간다”고 말하곤 했다. 또 박 교무에게 돈을 내야 이기적으로 산 게 참회가 된다며 웃곤 했다.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여사와의 특별한 인연도 눈길을 끈다. 박 교무가 “한센인들이 먹는 약이 독해 해독제로 설탕물을 타서 마셔야 한다”고 강연을 했는데 홍 여사가 이 말을 들은 후 34년 동안 이 회장의 생일 때마다 성라자로마을 식구들이 먹고도 남을 만큼 설탕과 푸짐한 먹거리를 선물해왔다고 한다.

그는 “마음 눈이 밝아야 인생을 잘 살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혜가 있어야 인생을 잘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했던 일 가운데 회의를 거친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나의 염원이 종자가 되어 이루어진 일들입니다. 아마 회의를 거쳤더라면 두 나라도 돕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오로지 직관에 의지해 살았어요. 그러려면 내가 오롯한 마음을 가져야 하고 생각이 산만해선 안 돼요.”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길자 / 여성신문 기자 muse@womennews.co.kr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