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01

알라딘: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알라딘: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길희성,류제동,정경일 (지은이)동연출판사2020-09-17







정가
16,000원
판매가



책소개
‘비판불교의 대승불교사상 비판’과 ‘비판불교의 일본 사회 및 종교 비판’을 다룬 책이다. 종교학자 세 분, 길희성, 류제동, 정경일 선생이 장기간에 걸쳐 연구와 토론을 통해 나온 결실로서, 일본의 불교와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한국과 세계 불교계의 동향을 바라보는 일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_ 5

머리글╻일본 사회, 종교문화 그리고 비판불교 _ 길희성

제1부 _ 비판불교의 대승불교사상 비판 _ 류제동

1장╻대승불교사상 비판 (1)
1. 유가행파 비판
1) 본성주종성(本性住種性)에 관하여
2) 진여소연연종자(眞如所緣緣種子)에 관하여
3) ‘식’(識)에 관하여
2. 여래장(불성)사상 비판
3. 본각사상(本覺思想) 비판
1) 하카마야 노리아키의 본각사상 비판
2) 마츠모토 시로의 본각사상 개념에 대한 비판과 불성현재론(佛性顯在論)
3) ‘본각사상’과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장╻대승불교사상 비판 (2)
1. 길장(吉藏)의 공사상 비판
2. 󰡔유마경󰡕 비판
3. 선불교 비판
1) 󰡔육조단경󰡕 비판
2) 󰡔임제록󰡕 비판
3) 도겐(道元) 선사의 12권본 󰡔정법안장󰡕(正法眼藏) 비판

제2부 _ 비판불교의 일본 사회 및 종교 비판 _ 정경일

3장╻비판불교의 일본 사회 비판
1. 비판의 시작: 마치다사건
2. “일본”에 대한 신앙
3. 사회 비판으로서의 종교 비판
4. 현실 긍정과 차별의 (비)불교적 논리: 본각사상과 공간적 연기 이해
5. 비판불교의 사회 비판에 대한 문제제기
1) 여래장/불성, 본각사상과 사회적 평등
2) 사회윤리적 실천의 비판불교적 근거

4장╻비판불교의 일본 종교문화 비판
1. 세속적 일본 사회의 종교혼합주의
2. 신도와 외래 종교
3. 역사적 고찰: 신불습합에서 신불분리까지
4. 비판불교의 종교혼합주의 비판
5. 결론을 대신하여: 비판불교가 더 답해야 할 것

5장╻비판불교에 대한 세계 불교학계의 반응
1. ‘폭풍’이 지나간 자리
2. 비판불교의 소위 ‘보편성’ 문제
3. 비판의 태도에 대한 비판
4. 서양 불교학계의 관심: ‘신앙’
5. 비판불교는 근본주의적 ‘불교신학’인가?
6. 비판불교의 ‘기체론’ 비판과 ‘사회 비판’에 대한 비판
7. 비판불교의 자기비판: 무아(無我)의 길

종합적 비평╻ 비판불교와 한국 종교 _ 길희성
1. 비판불교, 불교 근본주의, 학문의 가치중립성의 문제
2. 붓다의 연기설과 무아설 그리고 사회윤리적 비판의식
3. 기체설과 사회 비판의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비판불교의 불교 내적 비판 정신은 어디에 기인하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간단히 말해서 그것은 비판불교가 붓다의 근본 사상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거기에 입각해서 비판불교는 그 후에 전개된, 좀 더 정확히 말해, 인도 대승불교 중기 이후로부터 전개된 유식사상(唯識思想), 특히 여래장(如來藏)사상과 불성(佛性)사상... 더보기
“여래장사상은 불교가 아니다”라는 마츠모토의 주장은 그 자신의 술회에 따르면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첫째로 여래장사상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여래장사상이라고 보는가, 둘째로 불교란 무엇이며, 무엇을 불교라고 보는가, 셋째로 첫째와 둘째가 동일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가운데서 불교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불교학이 탐구하는 ... 더보기
많은 사람들이 무상(無常)을 하나의 곡선이 끊임없이 매순간마다 미묘하게 변화하고 있어서 잠시도 멈춤이 없는 것처럼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이 곡선은 직선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곡선이며, ‘끊임없는 변화’(constant change)라는 것이다. 그러나 곡선에서 직선을 완전히 배제하려고 하면 곡선은 최종적으로 하나의 원으로 귀착... 더보기
마츠모토에 따르면 ‘순수한 일본주의’를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사람은 미시마 유키오다. 마츠모토는 미시마의 이상적이고 일관적인 일본주의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그에게 일본은 절대적 가치였고, 너무나 그러해서 그는 일본이 없는 자기 자신의 존재 내지 천황이 없는 일본의 존재는 상상도 할 수 없었고, 그것의 논리적 결론은 천황이... 더보기
종교적 혼합주의가 사회적 차별과 억압을 초래한다는 비판불교의 주장은 다른 종교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예를 들면, 신불습합은 신도와 불교의 역할분담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조셉 스패는 일본의 신도는 피안의 일은 불교에 넘기고 차안의 일에 전념했다고 한다. 여기서 스패가 강조하는 것은 그리스도교와 달리 신도는 세계를 변화시키지... 더보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 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현재 강화도 고려산 자락에 ‘심도학사-공부와 명상의 집’을 열어 종교간 울타리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영성을 추구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종교에서 영성으로』, 『종교 10강』,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인문학의... 더보기


최근작 : <일본의 정토 사상>,<지눌의 선禪 사상>,<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 총 39종 (모두보기)

류제동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불교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강사로 있다. 주요 저서로 『하느님과 일심: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학과 대승기신론의 만남』(2007), 『텅 빈 충만: 공의 하느님』(John Cobb 외 저, 황경훈 류제동 역, 2009), 『보리수 가지치기: 비판불교를 둘러싼 폭풍』(역서, 2015) 등이 있다.


최근작 :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 총 2종 (모두보기)

정경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유니온신학대학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참여불교와 해방신학을 비교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새길기독사회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민중신학회, 연구공동체 ‘평화와 신학’, ‘대구와 카레’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Terrorism, Religion, and Global Peace, 『사회적 영성』, 『고통의 시대, 자비를 생각한다』, 『한국적 작은 교회론』, 『종교 안에서 종교를 넘다』,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등이 있고, 역서로는 『신성한 목소리가 부른다』, 『... 더보기


최근작 :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아픔 넘어> … 총 1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비판불교가 바라본 일본의 불교와 사회문화

제목으로 제시된 “비판불교”라는 어구는 이 책이 불교를 비판하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지만, 그것은 이제 고유명사가 된 일본의 학문적인 조류을 지칭한다. 일본 고마자와대학 불교학 교수인 마츠모토 시로는 1986년에 개최된 국제학술대회에서 “여래장사상은 불교가 아니다”라는 도발적인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불교의 근본 사상에 대한 논쟁을 일으키기 시작했고, 수년 뒤 같은 대학의 하카야마 노리아키 교수가 쓴 『비판불교』라는 책 제목이 그대로 이러한 학문적 운동의 이름이 되었다. 세계 학계가 이런 흐름을 주목한 이유는 이 운동이 단지 학문적인 불교 연구에 그치지 않고, 불교사상과 연계된 일본의 토착문화와 사회, 나아가 혼합주의적 종교문화까지 비판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 제1부에서는 ‘비판불교의 대승불교사상 비판’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비판불교의 일본 사회 및 종교 비판’을 다룬다. 그리고 머리글과 종합적 비평을 전과 후에 배치해 구성했다. 이 책은 종교학자 세 분, 길희성, 류제동, 정경일 선생이 장기간에 걸쳐 연구와 토론을 통해 나온 결실로서, 일본의 불교와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한국과 세계 불교계의 동향을 바라보는 일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