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崔明淑 신경과학자 대니얼 월퍼트 - Yahoo Search Results

신경과학자 대니얼 월퍼트 - Yahoo Search Results

blog.naver.com › rahive › 221565332742
뇌가 존재하는 이유 (The Real Reason for Brains, Daniel Wolpert)
오늘은 신경과학자 다니엘 월퍼트의 테드 강연(2011년 7월) 내용의 일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아래는 테드...
==
valuable12.com › entry › 행동이-먼저이고-뇌는-그행동이 먼저이고 뇌는 그다음 변한다: 
신경과학적 탐구
Apr 24, 2025 · 출력 (행동)이 입력 (감각)보다 중요한 이유신경과학에서는 뇌의 주요 역할이 행동을 생성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유명한 뇌과학자 다니엘 월퍼트 (Daniel Wolpert)는 “뇌가 존재하는 유일한 이유는 복잡

지나스 윌퍼트등은 동물이 뇌가 존재 하게 된 궁극적인 이유가 움직임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해서라고 본다. 지니스는 환경에서 움직임을 통제하고 조율하며 결과를 예측 하는 주체가 떠오르는데 그것이 자의식, 자아라고한다.중앙화된 예측이 자아의 본질.
 
의문과 독서의 방향

AI에게는 스스로의 어떤 욕구에 의한 움직이기 위한 의도가 없다. 복잡한 정보처리를 위한 종합적 사령탑에 해당하는 부분이 AI에게 생성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AI 의식이 생성 될 수 있다라고 생각하는 연구자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궁극적인 차이는 AI는 몸을 기반으로 한 욕구, 의도가 없다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Sejin Pak

다니엘인 것 같군요.


Author崔明淑

Sejin Pak
520번 월퍼트라는 학자와 519번 학자 LIinas…표기가 좀 이상한데 리나스가 아니라 책에는 지나스로 적혀있습니다.






==


==

====


====

Rodolfo Lliná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odolfo Llinás
Rodolfo Llinás Riascos
Born16 December 1934 (age 90)
Bogotá, Colombia
NationalityColombian and American
Alma materPontificia Universidad Javeriana an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Known forPhysiology of the cerebellum, the thalamusThalamocortical dysrhythmia as well as for his pioneering work on the inferior olivary nucleus, on the squid giant synapse and on human magnetoencephalography (MEG)
AwardsRalph W. Gerard Prize (2018)
Scientific career
FieldsNeuroscience
InstitutionsNYU School of Medicine
Doctoral advisorSir John Eccles

Rodolfo Llinás Riascos (born 16 December 1934) is a Colombian neuroscientist. He is currently the Thomas and Suzanne Murphy Professor of Neuroscience and Chairman Emeritus of the Department of Physiology & Neuroscience at the NYU School of Medicine. Llinás has published over 800 scientific articles.[1]

Early life

Llinás was born in Bogotá, Colombia. He is the son of Jorge Enrique Llinás (a surgeon of Spanish descent, whose family arrived in Colombi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2] and Bertha Riascos. He was motivated to study the brain by watching his grandfather Pablo Llinás Olarte working as a neuropsychiatrist. Llinás describes himself as a logical positivist.[3]

Education and early research

Llinás went to the Gimnasio Moderno school in Bogotá and graduated as a medical doctor from the Pontifical Xavierian University in 1959.[4] During his medical studies he had the opportunity to travel to Europe and there he met several researchers in Spain, France and finally Switzerland, where he participated in neurophysiology experiments with Dr. Walter Rudolf Hess, Nobel Prize in Physiology, Medicine, professor and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the Institute of Physiology of the University of Zurich. Additionally, while studying medicine he made a theoretical thesis on the visual system under the tuition of neurosurgeon and neurophysiologist Fernando Rosas and the mathematician Carlo Federici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Colombia.[5] He received his PhD in 1965 from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working under Sir John Eccles.[4]

Personal life

By graduation in Australia, he was very interested in the biological basis of the mind. During this time he met his future wife who was studying philosophy. His two sons, Drs. Rafael and Alexander Llinas, are also physicians. His wife, Gillian Llinas (née Kimber) is an Australian philosopher of mind. Llinás was a scientific advisor dur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active science museum located in Bogotá, Colombia called Maloka Museum. In 2018, Llinás donated a T-Rex skeleton to the museum and helped to design a model of the nervous system for the dinosaur fossils.[6][7]

Work

He has studied the electrophysiology of single neurons in the cerebellum, the thalamus, the cerebral cortex, the entorhinal cortex, the hippocampus, the vestibular system, the inferior olive and the spinal cord. He has studied synaptic transmitter release in the squid giant synapse. He has studied human brain function using magnetoencephalography (MEG) on the basis of which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Thalamocortical dysrhythmia.[8]

Career

Llinás has occupied a number of positions.[citation needed]

  • Research fellow, Massachusetts General Hosp.-Harvard University, 1960–61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fellow in physi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1961–63
  •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Minnesota, Minneapolis, 1965–66
  • Associate member,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titute Biomed. Research, Chicago, 1966–68
  • Member,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titute Biomed. Research, Chicago, 1970
  • Head neurobiology unit,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titute Biomed. Research, Chicago, 1967–70
  • Associate professor neurology and psychiatry, Northwestern University, 1967–71
  • Guest professor physiology, Wayne State University, 1967–74
  • Professorial lecturer pharmacology, University Ill.-Chgo., 1967–68
  • Clinical professor, University Ill.-Chgo., 1968–72
  • Professor physiology, head neurobiology div., University of Iowa, 1970–76
  • Prof., chairman physiology and biophysics,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City, 1976—2011
  • Thomas and Suzanne Murphy professor neuroscience., New York University, 1985—
  •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Neuroscience and Physiology., New York University, 2011—

Contributions

Llinás is known for his many contributions to neuroscience, however,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are the following:

Memberships and honors

Llinás is a member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6),[1]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996),[2]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96),[29] the Royal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Spain) (1996) and the French Academy of Sciences (2002). Dr. Llinás has received honorary degrees from the following universities:

Dr. Llinás has received the following awards:

He was the chairman of NASA/Neurolab Science Working Group, in 2011 received University Professor Distinction from New York University [5] and in 2013, the NYU Neuroscience Institute created the Annual Rodolfo Llinás Lecture Series in recognition of his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neuroscience.[35]

Filmography

  • Llinas, el cerebro y el universo. Documentary film, by Gonzalo Argandoña, Cabala Producción Audiovisual, (2018) RTVCplay.[36]

Selected bibliography

Llinás is the author of more than 20 book chapters and has edited several books on neuroscience.

Books

Book chapters

  • Llinas R, Rivary U. Perception as an oneiric-like state modulated by the senses. Chapter 6. In: Koch C. Large-scale neuronal theories of the brain. Bradford Book. (1994). ISBN 9780262111836
  • Llinas RR., Walton KD. Cerebellum. Chapter 7. In: Shepherd GM.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 brain. 4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ISBN 0195118243
  • Llinas RR., Walton KD., Lang EJ. Cerebellum. Chapter 7. In: Shepherd GM.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 brain. 5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ISBN 0195159551
  • Llinas, R. R. Neuroscientific basis of consciousness and dreaming. Chapter 3.6. In: Kaplan and Sadock'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th ed. (2005).
  • Llinás, R. Electrophysiology of the Cerebellar Networks. Comprehensive Physiology (2011). Supplement 2. Handbook of Physiology, The Nervous System, Motor Control. doi:10.1002/cphy.cp010217 ISBN 9780470650714
  • Llinas RR., Walton K. Central pain: a thalamic deafferentation generating thalamocortical dysrhythmia. Chapter 4. In: Saab CY. Chronic pain and brain abnormalities. Academic Press-Elsevier (2014). ISBN 9780123983893
  • Llinas, RR. Oscillation in the inferior olive neurons: Functional implication. Chapter 39. pp. 293–298. In: Essentials of Cerebellum and Cerebellar Disorders: A Primer for Graduate Students. Springer (2016) ISBN 978-3-319-24551-5
  • Llinas, R. R. Consciousness and Dreaming from a Pathophysiological Perspective: The Thalamocortical Dysrhythmia Syndrome. Chapter 3.5. In: Kaplan and Sadock'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th ed. (2017). ISBN 978-1-4511-0047-1

Selected review articles

References

  1.  NYU Health Sciences Library: Faculty Bibliography. Retrieved June 14, 2021
  2.  ""La pregunta difícil": La vida y obra de Rodolfo Llinás"elespectador.com (in Spanish). 25 November 2017. Retrieved 16 May 2021.
  3.  P. (2016). Rodolfo R. Llinas - Can Science Talk God? Retrieved August 26, 2016, from https://www.closertotruth.com/series/can-science-talk-god
  4.  Squire, Larry R (2006). The history of neuroscience in autobiography. New York, New York: Elsevier. p. 413. ISBN 978-0-12-370514-3.
  5.  Correa, Pablo (2017). Rodolfo Llinás. La pregunta difícil (in Spanish). Aguilar. ISBN 9789585425408.
  6.  Tiempo, Casa Editorial El (2018-07-24). "Maloka se reinventa y estrena atracción: un tiranosaurio rex"El Tiempo (in Spanish). Retrieved 2019-05-22.
  7.  EL TIEMPO (2018-07-26), Rodolfo Llinás regaló un T Rex a Maloka | EL TIEMPO, retrieved 2019-05-22
  8.  Llinás R, Ribary U, Jeanmonod D, Kronberg E, Mitra P (1999). "Thalamocortical dysrhythmia: A neurological and neuropsychiatric syndrome characterized by magnetoencephalography"Proc. Natl. Acad. Sci. U.S.A96 (26): 15222–7. Bibcode:1999PNAS...9615222Ldoi:10.1073/pnas.96.26.15222PMC 24801PMID 10611366.
  9.  Llinas, R; Terzuolo CA (1964). "Mechanisms of supraspinal actions upon spinal cord activities. Reticular inhibitory mechanisms on alpha-extensor motoneurons". The Journal of Neurophysiology27 (4): 579–491. doi:10.1152/jn.1964.27.4.579PMID 14194959.
  10.  Llinas, R; Terzuolo CA (1965). "Mechanisms of supraspinal actions upon spinal cord activities. Reticular inhibitory mechanisms upon flexor motoneurons". The Journal of Neurophysiology28 (2): 413–422. doi:10.1152/jn.1965.28.2.413PMID 14283063.
  11.  Llinás, Rodolfo; Walton, Kerry D; Lang, Eric J (2004) [1st pub. 1974]. "Chapter 7: Cerebellum". In Shepherd, Gordon M (ed.).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 brain.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71–310. ISBN 978-0-19-515955-4.
  12.  Llinas, RR (1969). "Functional aspects of interneuronal evolution in the cerebellar cortex". UCLA Forum Med Sci11329–48. PMID 5397400.
  13.  Baker, R.; Llinás, R. (1971-01-01). "Electrotonic coupling between neurones in the rat mesencephalic nucleus"The Journal of Physiology212 (1): 45–63. doi:10.1113/jphysiol.1971.sp009309ISSN 0022-3751PMC 1395705PMID 5545184.
  14.  Llinás, R.; Steinberg, I. Z.; Walton, K. (1976-08-01). "Presynaptic calcium currents and their relation to synaptic transmission: voltage clamp study in squid giant synapse and theoretical model for the calcium gate"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73 (8): 2918–2922. Bibcode:1976PNAS...73.2918Ldoi:10.1073/pnas.73.8.2918ISSN 0027-8424PMC 430802PMID 183215.
  15.  Llinás, R.; Steinberg, I. Z.; Walton, K. (1980-09-01). "Transmission in the squid giant synapse: a model based on voltage clamp studies". Journal de Physiologie76 (5): 413–418. ISSN 0021-7948PMID 6256531.
  16.  Llinas, R; Sugimori (1980).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in Vitro Purkinje Cell Somata in Mammalian Cerebellar Slices"The Journal of Physiology305171–195. doi:10.1113/jphysiol.1980.sp013357PMC 1282966PMID 7441552.
  17.  Llinás, R.; Sugimori, M. (1980-08-01).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in vitro Purkinje cell dendrites in mammalian cerebellar slices"The Journal of Physiology305197–213. doi:10.1113/jphysiol.1980.sp013358ISSN 0022-3751PMC 1282967PMID 7441553.
  18.  Buckey, Jay C. (2003). Neurolab Spacelab Mission: Neuroscience Research in Space. Houston, Texas: NASA. ISBN 978-0-9725339-0-4.
  19.  Llinás, R.; Yarom, Y. (June 1981). "Electrophysiology of mammalian inferior olivary neurones in vitro. Different types of voltage-dependent ionic conductances"The Journal of Physiology315549–567. doi:10.1113/jphysiol.1981.sp013763ISSN 0022-3751PMC 1249398PMID 6273544.
  20.  Llinás, R.; Yarom, Y. (June 1981).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ionic conductances generating electroresponsiveness of mammalian inferior olivary neurones in vitro"The Journal of Physiology315569–584. doi:10.1113/jphysiol.1981.sp013764ISSN 0022-3751PMC 1249399PMID 7310722.
  21.  Roy, Sisir; Llinás, Rodolfo (2007). "Dynamic geometry, brain function modeling, and consciousness". Models of Brain and Mind - Physical, Computational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Progress in Brain Research. Vol. 168. pp. 133–144. doi:10.1016/s0079-6123(07)68011-xISBN 9780444530509PMID 18166391.
  22.  Llinás, Rodolfo (1990). «Intrinsic Electrical Properties of Mammalian Neurons and CNS Function». Fidia Research Foundation Neuroscience Award Lectures, 1988-1989 (Raven Press) 4: p. 175.
  23.  Llinas, R; Sugimori, M; Silver, R. (1 May 1992). "Microdomains of high calcium concentration in a presynaptic terminal". Science256 (5057): 677–679. Bibcode:1992Sci...256..677Ldoi:10.1126/science.1350109PMID 1350109.
  24.  Rezai, A. R.; Hund, M.; Kronberg, E.; Deletis, V.; Zonenshayn, M.; Cappell, J.; Ribary, U.; Llinás, R.; Kelly, P. J. (1995). "Introduction of magnetoencephalography to stereotactic techniques". Stereotactic and Functional Neurosurgery65 (1–4): 37–41. doi:10.1159/000098894ISSN 1011-6125PMID 8916327.
  25.  Llinas R., Yarom Y. (1986). "Oscillatory properties of guinea-pig inferior olivary neurones and their pharmacological modulation: an in vitro study"J. Physiol376163–182. doi:10.1113/jphysiol.1986.sp016147PMC 1182792PMID 3795074.
  26.  Alonso A., Llinas R. (1989). "Subthreshold Na+-dependent theta-like rhythmicity in entorhinal cortex layer II stellate cells". Nature342 (6246): 175–177. doi:10.1038/342175a0PMID 2812013S2CID 1892764.
  27.  Llinas, R. R.; Leznik, E.; Makarenko, V. I. (July 2004). "The olivo-cerebellar circuit as a universal motor control system".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29 (3): 631–639. Bibcode:2004IJOE...29..631Ldoi:10.1109/joe.2004.833212ISSN 0364-9059S2CID 21127267.
  28.  Bandyopadhyay, Promode R. (2016). "11. Highly Maneuverable Biorobotic Underwater Vehicles". In Dhanak, MR (ed.). Springer Handbook of Ocean Engineering.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 1287. doi:10.1007/978-3-319-16649-0ISBN 978-3-319-16648-3S2CID 133526257.
  29.  "APS Member History"search.amphilsoc.org. Retrieved 2021-12-10.
  30.  "Press Releases"NYU Langone News. Retrieved 2024-11-21.
  31.  "Instituto Cajal – Noticias"cajal.csic.es/. Retrieved 2025-03-09.
  32.  "11ª Edición. Prof. Rodolfo Llinás"www.uco.es. Retrieved 2024-11-21.
  33.  "Professor Rodolfo Llinas |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www.anu.edu.au. 2016-03-11. Retrieved 2024-11-21.
  34.  "Society for Neuroscience Confers Rodolfo Llinás the Ralph W. Gerard Prize in Neuroscience"www.sfn.org. Retrieved 2024-11-21.
  35.  "Neuroscience Institute Events".
  36.  "Llinás, el cerebro y el universo"RTVCPlay (in Spanish). Retrieved 2024-11-21.

Newspaper articles







이병철 -몽골 생태영성순례 6,7,8,9

(1) Facebook

이병철
peodrSosntlilg1hi46ct52930ft39ah5h7m86c81034g18f31a74if44huh ·
 
-몽골 생태영성순례 9, 어머니 바다에 몸을 담그고 일출을 맞이하다/

홉스골 호수로 들어서는 들머리에, 차탄족의 삶과 문화를 보여주는 작은 민속촌 같은 곳이 있다.
순록을 이렇게 가까이 대하기는 처음인데, 참 유순하게 생겼다. 커다란 눈망울 때문일까, 몸집에 비해 뿔이 너무 크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 높고 큰 뿔도 전혀 위협으로 느껴지질 않는다.
순록 가죽으로 만든 차탄족의 거주지 오르츠는 나무 막대를 원형으로 둘러세우고, 그 끝을 함께 모은 원뿔형 천막 형태로, 마치 북미 인디언의 티피(tipi)와 흡사하다. 인디언 티피가 대부분 들소(버팔로) 가죽이나 천이라는 차이를 제외하면 그 형태가 거의 같아 보인다. 시베리아 유목민의 이런 주거 형태를 '촘'이라고 하는데, 이로 미루어보면 그 원형이 같을 것이라 싶다. 모두 바이칼 인근에서 그렇게 이동했다는 설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순록과 함께 살아가는 이 부족은 지금은 소수만이 남아 있다고 하는데, 이 부족을 직접 만나려면 타이가 숲속을 이틀 거리로 걸어가야 한다고 한다.
이 부족이 사실상 시베리아 샤먼의 원형을 만날 수 있는 마지막 사람들이라고 하니 찾아가 한번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오래전에 북미 인디언들과 한 달 가까이 지내면서 의례에 직접 참석했던 적이 있어, 바이칼을 중심으로한 북시베리아 샤먼의 형태들이 궁금하기도 했지만, 전문 연구자도 아니니 바깥으로 보여주는 형태에 만족할 수밖에 없다.
오늘 아침은 이곳 홉스골에서 맞이하는 첫 아침이다. 어머니 바다, 그 맑고 시린 푸른 물에 몸을 담근다.
세심정혼(洗心淨魂), 몸을 씻어 마음과 혼도 정화될 수 있다면 좋겠다.
아침 5시 조금 지난 시각, 홉스골 푸른빛 호수, 그 어머니 바다에서 일출을 맞이한다. 맑고 시린 물이 혼을 화들짝 일깨우는 것 같다.
아침 조율 시간, 어머니 바다의 자갈 해변에 서서 함께 108배를 올린다. 오랜만에 함께 올리는 108배다.
이 어머니 바다의 물빛과, 온몸으로 느껴지는 그 시린 물의 촉감과 푸른 바람소리는 우리의 몸에, 가슴 깊은 곳에 하나의 씨앗처럼 심겨져 뿌리내리며 자랄 것이라 믿는다.
낮에는 타이가 울창한 낙엽송 숲 사이로 말을 타고, 호수에서 푸른 물을 헤치며 카약을 즐기다가, 어둠이 내리는 시각 함께 모여 명상춤을 추었다.
불교 생태학자인 조애나 메이시가 이 춤을 체르노빌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사용하면서부터 널리 알려지게 된 ‘느릅나무 춤(The Elim Dance)’이라는 서클댄스의 하나인데, 24명의 원무가 호수와 숲과 저녁하늘과 잘 어울렸다.
밤이 좀 더 깊어 모닥불을 지피고, 둥글게 모여 앉아 함께 노래한다.
60대가 중심인데도 모두 절로 동심으로 돌아간 것 같다. 활활 타오르는 모닥불에 비치는 얼굴들이 모두 환하고 정겹다.
자연이, 이 공간이 주는 치유의 힘이라 싶다.
언제 다시 이곳에 올 수가 있을까. 이 호수, 어머니 바다에 몸을 담글 수 있을까. 한 마리 신령한 짐승이 되어 이 숲속을 뛰놀 수 있을까.

-아침을 여는 시와 기도문/

호흡의 기도/틱낫한
숨을 들이쉬며 내 몸을 고요히 하네.
숨을 내쉬며 웃음 짓네.
지금 이 순간에 머물면서 이것이 놀라운 순간임을 나는 아네.
-아침을 여는 시/
-바람이 불어오면
바람이 불어오면 바람이 되기를
나무를 만나면 나무가 되기를
당신을 만나면 당신이 되기를
빈 거울처럼
흐르는 물처럼














이병철

oSrodpsntede17915Y 02a5t:t01ru04a6u3il4 yh0l7asua5tiah0010e6 ·


-몽골 생태영성순례 8,
홉스골에서 천제를 올리고 샤먼의 의례에 참가하다/

어제 천제(天祭)를 모셨다. 신성의 바다 홉스골 호숫가에 24명의 순례단이 모여, 하늘에 고하는 간단한 의식을 함께했다.
어머니 바다, 그 신성의 호숫가 검은 빛 굵은 모래와 가는 자갈이 깔린 곳에서 모닥불을 지피고, 풀을 태워 정화의식을 한 다음에 저마다 가져온 과자와 과일을 진설하고 향을 피우며, 맑은 술 보드카를 잔에 따라 올린 후 함께 삼배했다.
천제를 여는 시를 낭송하고, 고천문(告天文)을 하늘과 땅과 어머니 바다와 타이가 숲에 고하며, 신령한 짐승으로 살기를 다짐했다.
그리고 저마다의 소망을 담은 소지문을 올리고 삼배한 뒤, 고천문과 소지 종이를 불살랐다.
음복주를 나누며 고천제를 마무리했다.
명상춤을 준비했으나 차탄족 샤먼의 의식에 참여하기 위해 다음 날로 미루었다.
이곳 샤먼과의 일정이 뒤늦게 조율된 탓에 샤먼과 함께하는 의례는 진행하지 못하고, 대신 저녁 늦은 시간에 샤먼들의 캠프를 찾아가 이곳 샤먼이 정령과 접신하여 의뢰자에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굿풀이에 참관하는 형태로 진행했다.
이곳 샤먼의 의례는 약초를 태워 굿판과 무구와 의례자를 정화하고, 특유의 방울과 짧은 쇠막대를 매단 무복(巫服)을 입고, 독수리 깃털 장식의 관과 가면을 쓰며, 순록 가죽의 신발과 순록 가죽으로 만든 커다란 북을 두드리며 진행되었다.
이런 무복과 무구(巫具)는 모두 정령과 접신하기 위한 기본 수단인데, 특히 순록가죽으로 만든 큰북은 가장 중요한 무구로 쓰여졌다.
빠르고 느리게, 강하고 약하게 두드리는 북소리는 정령을 부르고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체 같았다
의뢰자의 청을 들은 뒤 접신 의식이 이루어졌다. 부정거리를 할 때 우리와는 달리, 정화수 대신 우유를 사용했다.
남녀 두 명의 샤먼이 굿풀이를 했는데, 부부 사이로, 부인은 어머니로부터 내림굿을 받은 세습무당이고, 남편은 강신무(降神巫)라고 했다.
우리나라의 무속과는 그 원류를 같이하지만, 형태에서는 몇 가지 달라 보였다. 무속 또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동의 의례를 함께할 수 없는 것이 아쉽긴 했지만, 사정이 그럴 수밖에 없었다.
이 지역의 샤먼들도 사회주의 시대에 박해를 받아 거의 사라졌는데, 지금은 민속문화 보존 차원에서 그 명맥을 간신히 이어가고 있는 듯했다.
굿풀이가 끝난 뒤 두 분의 샤먼과 함께 몇 가지 궁금한 부분에 대해서도 질의 응답 형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상적인 내용 가운데 하나는 의뢰인의 문제가 너무 커서 샤먼 혼자의 능력으로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7명의 샤먼이 함께 큰 굿을 하면 모든 문제가 다 풀린다고 한다.
내가 이곳 샤먼의 의례에 특별히 관심을 갖는 것은 이른바 '생태영성'의 바탕을 모든 존재물 속에 저마다의 신령함이 있다는 샤머니즘의 정령신앙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이칼에서도 그곳 샤먼과 함께 정화의식을 했던 것도 그런 까닭이었다.
모든 생명, 모든 존재물 속에 깃든 신령함, 그 하늘을 보고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앞에서도 삼가며 모심의 마음을 지녔던 사람들, 그런 삶의 가짐이 곧 생태영성적 삶이 아니겠는가.
신령함이 사라진 자리에 정령도 사라지고, 땅과 하늘을 이어주며 소통하던 존재들 또한 사라졌다.
어머니 바다 앞에서 천제를 올리며 아뢰었던 고천문을 함께 나눈다.
이 고천문은 순례단의 일원인 ‘마음의 씨앗 하나’의 영훈씨가 썼다.
-고천문(告天文)/
하늘이시여!
여기 한반도에서 온 스물네 명의 영성 순례단이 겸손한 마음으로 아뢰고 바라나이다.
생명의 근원이신 하늘께서는
빛과 어둠, 불과 물, 비와 바람, 구름과 안개, 강과 바다, 꽃과 풀, 나무와 숨, 들과 산으로 현현하여 생명을 품으셨고,
뭇 생명들이 지금 여기까지 살 수 있게 하셨습니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모든 세상은 하늘의 드러남이고,
세상에 생명 가득함이 바로 하늘임을 알게 됩니다.
하늘은 경계 없는 무궁함이기에
모든 인류가 나누어도 충분한 풍요로움임에도
인간의 무지와 욕심은 감사와 기쁨을 느끼지 못하고
결핍에 시달리며 빼앗고 채우고 다 소유하려 하며 파괴하고 있습니다.
하늘이시여!
무지와 욕심에 사로잡힌 우리들의 부끄러운 마음과 욕심의 언행을 고백하오니, 용서하여 주옵소서.
하늘 아래 선 우리들은 이제 새로이 눈을 뜨고자 합니다.
거짓 탐욕의 눈에서, 무지와 분노의 마음에서 벗어나,
한없는 하늘이 허락하신 생명을 감사와 기쁨으로 느끼고
이 풍요로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싶습니다.
부디 지혜의 눈을 뜨도록 도우시어
들숨과 날숨으로 하늘을 받아들여
생명의 풍요를 깊이, 깊이 체득하게 하옵소서.
하늘 아래 모든 것이 하늘에서 나왔고
모든 생명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다르게 보이는 모습과 형상이지만
하나의 온생명임을 언제나 자각하게 하소서.
쌀 한 톨에 햇빛과 달빛, 바람과 비, 땅과 공기의 가득함을 볼 수 있게 하소서.
그리하여 생명을 귀하게 모심에서부터
우리가 바라고 원하는 평화로운 세상,
평등한 세상,
기쁨의 세상,
사랑 가득한 세상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언제 어디서나
마음에서부터 살아 있음에 대한 감사와 기쁨을 느끼고,
생명을 모시고 나누는 일이 곧 평화요, 평등이요, 사랑임을 각인하게 하소서.
여기 모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에서
생명 모심이 절로 우러나올 수 있게 하늘께서 도우소서.
지금, 여기 우리 앞에 펼쳐진 이 생생한 하늘 아래
자명한 마음 모아 올립니다.
“하늘의 진리됨과 선함과 아름다움이
우리의 몸과 마음을 통하여 세상에 구현되기를 바라오니,
이 진실한 마음 흠향하여 주옵소서.”
2025년 6월 30일
스물네 명의 영성 순례단의 마음 올립니다.






이병철

oSrodpsnteyl179156t02a50ut01lu18a6u3il49ah0l: u 5Jiah0110u6 ·


-몽골 생태영성순례 7, 홉스골 호수/

이번 몽골 생태영성순례의 중심은 홉스골 호수다. 홉스골 호수는 몽골 북부, 러시아 국경 근처에 위치한 몽골 최대의 담수호이다.
이 호수는 ‘몽골의 푸른 진주’라 불릴 만큼 맑고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간직한 곳으로, 면적은 제주도의 약 1.5배(2,760㎢)에 이르고 깊이는 최대 262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깊은 호수 중 하나이다.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바이칼 호수와 지질학적으로도 연결되어 '바이칼의 동생'으로 불린다고 한다.
몽골 전체 담수의 약 70%를 차지하고, 아시아에서도 가장 깨끗한 물 중 하나로 꼽히는 이 호수 주변은 몽골의 가장 큰 삼림 지역으로, 시베리아 타이가 (taiga)지대의 남단에 해당한다. 시베리아 낙엽송이 주종인 울창한 타이가 숲이 호수와 맞닿아 있다.
이 지역은 숲과 초원, 순록 유목민인 차탄족의 삶터로서 샤머니즘의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기도 하다.
튀르크어로는 ‘푸른 물의 호수’, 몽골어로는 ‘어머니 바다’라는 이름을 지닌 이 호수는 정령이 깃든 곳으로 간주되어 함부로 더럽히지 않는 성스러운 호수이다. 그래서 홉스골 호수는 몽골인들 사이에서 정화와 치유의 장소로, 특히 샤먼들은 이 호수를 신성한 존재로 여기고 기도와 제의를 올리는 곳이라고 한다.
그런 점에서 이 호수는 유목민들에게 있어 ‘생명의 근원’이자 ‘대지 어머니의 젖줄’로 여겨지며, 샤먼들의 성지로 신성시되는 곳이라 하겠다.
이번 몽골 생태영성순례의 목적지를 이곳으로 삼은 것은, 지구 행성의 성스러운 바다로서 시베리아 샤먼의 성지인 ‘바이칼’과 그 의미가 다르지 않기 때문이었다.
울란바타르에서 홉스골 호수까지 도로 주행의 직선 거리로는 600km 남짓인데, 우리는 1,200km가 넘게 에돌아 4박 5일 만에 도착했다.
우리는 여기서 이틀을 머물며 천제를 올리고, 샤먼의 의례에 참여하며 ‘어머니의 바다’에 몸을 담그려고 한다.
(25.06.29)

-아침의 기도/

-자비의 기도(자비경)
모두가 탈 없이 잘 지내기를.
모두가 참으로 행복하기를.
살아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하나도 빠짐 없이
약한 것이거나 강한 것이거나
길거나 크거나 또는 중간치이거나
짧거나 미세하거나 또는 거대하거나
눈에 보이거나 안 보이거나,
멀리 살거나 가까이 살거나
태어났거나, 태어나려 하고 있거나
모든 이들이 탈 없이 잘 지내기를,
참으로 행복하기를.
-아침을 여는 시,
이 아침 절합니다 (敬)/
이 아침 엎드려 절합니다
모두가 당신이었습니다
그리움과 설렘으로 달려갔던
미움과 원망으로 돌아섰던
이번 생의 숱한 그 인연들 모두
나를 위한 당신의 크신 역할이었습니다
이 아침 무릎 꿇어 절합니다
모두가 나였습니다
하나이고자 애탔던 당신도
아니라며 내쳤던 당신도
기쁨과 고통의 그 모든 것을
당신의 모습으로 내가 그리 한 것이었습니다
이 아침 천지사방에 절합니다
모두가 참으로 행복하기를
살아있는 것만으로 충분한 그 마음 모아
주저함 없는 그 사랑되어
저를 올립니다
고맙습니다
==



===
-몽골생태영성순례 6,  들꽃, 야생에 대한 축복/

어제 잠자리를 청한 곳은 테르힝 차강 노르다. 몽골말로 '저 많은 흰빛 호수'라고 한다. 이 호숫가에 게르형태의 숙소들이 있다. 일종의 몽골식 리조트라 하겠다.
호르고 화산의 화산의 용암이 흘러내리다가 그 멈추어 이 호수를 이루었다고 한다.
이곳 초원의 5월과 6월은 들꽃, 그 야생화 천지이다. 눈과 얼음이 녹고 초원에 파랗게 풀들이 돋아나면 들풀들은 저마다 서둘러 꽃을 피운다. 들꽃이다. 그렇게 이 초원도 야생화 그 들꽃들의 세상이 되는 것이다.
몽골의 들꽃은 아주 작다. 그 크기가 대부분 한 치 안팎에 불과하다. 그 작고 앙증맞은 꽃들이 선명한 원색으로 초원을 수놓는 것이 밤하늘에 초롱한 별이 빛나는 것 같다. 특히 고원 평원에 작은 들꽃들이 하얗게 무리지어 피어있는 풍경이 마치 밤새 싸락눈이 내린 것 같은 느낌이다.
새노랗게 피어난 들꽃과 눈을 마주하며 정말 아름답다고, 이렇게 피어나 주어 고맙다고 말한다.
'당신이 마음 모아 풀 한 포기를 축복하면이 지상의 모든 풀들이 당신을 축복할 것이다.' 대지의 사람들 북미 인디언들의 오랜 잠언 가운데 하나이다.
오는 길에 몽골에서 가장 유명한 몽골 최대의 전통 민속축제인 나담 축제 현장을 만났다. 이 축제는 몽골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상징하는 축제로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몽골의 독립기념일에 맞춰 전국적으로 열리는데, 경기는 남자들의 말타기(경마), 씨름, 활쏘기(궁술)을 겨루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유목민 생활의 기술이자 전사의 기본 자질을 상징한다고 한다. 우리가 오면서 본 이 축제는 마을단위 축제로 전국 출전을 위한 예선 대회인 것 같다. 이런 축제를 구경할 수 있다는 또한 귀한 선물이다.
오전 9시에 출발하여 오늘 숙소인 홉스콜주 수도 므릉까지 350km의 대부분이 고원의 평원을 가로지르는 비포장길이다. 비가 오락가락하는 젖은 길을 달려 숙소인 호텔에 도착하니 밤 11시가 넘었다. 도중의 식사시간을 제외하고는 쉼없이 달려왔는데도 11시간이 넘게 걸린 것이다. 그 11시간 동안 제대로 된 마을다운 마을은 한 곳만 지났을 뿐이다. 오직 푸른 빛의 대평원과 그 위의 점처럼 움직이는 말과 야크와 양떼들의 한가로운 모습과 간간히 보이는 하얀 게르가 전부이다. 그런 인적없는 대평원과 고원의 비에 젖고 뚜렷하지 않는 흙길을 따라 오르고 내리면서 달려온 것이다.
차가 앞 뒤로 뛰었다가 좌우로 요동하는 것이 차를 탄 것이 아니라 숫제 말이나 보트를 탄 느낌이다.
놀라운 것은 그런 길을 용케도 차가 갈 수 있다는 것이고, 그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런 길을 운전한 두 분 기사님의 실력이었다. 덕분에 몽골의 대평원과 고원은 온몸으로 싫토록 경험할 수 있었다.
이번 체험만으로도 몽골 생태 체험 은 충분하였다. 아마도 이번 생에서 이런 경험을 다시 하기는 쉽지 않으리라. 몸은 솜처럼 지치지만 마음은 더 없이 맑고 충만하다.
아침 조율 시간에 나눈 시와 기도문이다.

대종경(大宗經) > 제1 서품(序品) > 1장

대종경(大宗經) > 제1 서품(序品) > 1장

대종경(大宗經)
제1 서품(序品)

Namgok Lee | 대종경 읽기 시작했다.

(3) Namgok Lee | Facebook

Namgok Lee
====
어제 영광에 있는 영산성지를 다녀왔다.
이진홍 님과 함께 해서 편안하게 다녀왔다.
감경일 교무님의 친절한 안내로 소태산 대종사님이 탄생하신 집과 대각(大覺)을 이룬 곳을 참배하면서 소태산 대종사님의 어린 시절과 구도(求道)의 과정 그리고 큰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이야기를 들었다.
당시 이 땅의 선각자들이 어떻게 서로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새로운 세계를 열어갔는지, 
수운, 증산, 소태산으로 이어지는 큰 정신의 흐름에 대해 그 현장에서 이야기를 들으니까  실감으로 다가왔다.
특히 깨달음을 얻은 후 그를 따르는 도반들과 처음 한 일이 간척(干拓) 등의 협동을 통한 경제적 사업이었다는 것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원불교의 구호가 나오게 된 배경으로 이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별한 스승이 없이 깨달음의 과정을 열어가고, 특히 그 시대를 감안할 때, 
물질과 정신 그리고 정신과 제도 등에 대해 미래를 예견한 현실적이고 과학적인 입장을 취하신 것이 경이로 다가온다.
단지 그 개인이 아니라, 그 격변의 시대 선인들의 사상과 비원(悲願)의 흐름 속에서 꽃이 피었지 않나 생각한다.

어제 김 교무님으로부터 소태산 대종사님의 돈망(頓忘)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돈망(頓忘)을 거쳐 돈오(頓悟)에 이른다는 것이다.

나는 명상을 해본 적이 없어서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없지만, 전에 그런 경험을 하신 분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시간이 멈추는 경험이다.
이제 늙은 나이에 그런 경험을 기대하는 것은 언감생심이지만, 사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명상’을 나름으로 생활화해보는 것이다.
마침 박 석 교수의 도움도 있어서 늦게나마 그 맛을 보았으면 한다.

어제 김경일 교무님으로부터 새만금에 대한 역사를 들었다. 

시대의 화두(話頭)로 들렸다.
 호남(湖南)에 대한 여러 전망이나 역할 같은 것에 대해 스쳐지나가는 이야기 정도였지만, ‘미륵 벨트’라는 말이 귀에 남는다.
문명전환과 정치전환이 절박하게 요청되는 시대에 호남의 시대적 역할은 역시 ‘미륵벨트’를 현실화하고 구체화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말하는 ‘미륵벨트’가 단지 ‘관광벨트’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벗님들께서는 짐작하실 것이라고 생각한다.
=====
  · 
원불교 익산성지.
김경일 교무님의 안내로 대종경부터 읽기 시작했다.

 십인일단十人一團의 초기 교단의 결성과 그 방식을 전세계로 확대하려한 웅지를 느낀다.
최초의 사업이 조합을 만들어서 간척사업을 했다는 구절을 읽으면서 소태산 대종사님의 비전을 생각한다.
여러 위기가 중첩되어 있는 오늘, 큰 서원을 실현하려는  십인일단의 현대적 전개를 그려본다.
풍경소리를 들으며, 송대 마루에 앉아 이 글을 쓴다.
성지 가까이 이사를 온 행운을 누린다
산수유가 먼저 피었고,
청매는 변덕스러운 날씨 때문에 이제 한 두 송이 피기 시작했고, 수선화도 피기 시작한다.

초고로 읽는 대종경 –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초고로 읽는 대종경 –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초고로 읽는 대종경
2022-04-01
15:00
저서
126 views

[초고로 읽는 대종경]현산 고시용(원국) 교수

대종경 편찬과정과 초고 비교
소태산 대종사의 언행록인 『대종경』의 편집역사와 초고(草稿)의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 『초고로 읽는 대종경』이 출판됐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고원국 교무(교수)가 집필한 이 책은 『대종경』의 성립과 편수 과정, 수필 문헌 등을 살펴, 초고에 해당하는 『대종경 필사본』을 연구·분석했다. 지금의 대종경이 나오기까지 변천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책의 서두에는 이공전 선진이 교서 결집의 실무를 담당하게 된 내용이 소개됐다. 정산종사가 이공전에게 『대종경』 초안 목록 정리를 명하면서 『대종경』 편수위원회 발족까지 이뤄진 일화들도 밝혀져 있다. 또한 정화사 설립과 『대종경』 초안 작업, 재편수 과정 등의 세세한 역사를 고증했으며, 연표로 간략히 정리돼 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편집했다. 특히 『대종경 필사본』의 각 품과 각 장을 지금의 『대종경』 원문과 비교해 문체나 한자어 등의 변화된 내용을 세세히 살펴볼 수 있다. 각 품의 변천 과정에 대해서도 어느 부분이 분리 또는 통합되고 추가됐는지를 드러냈고, 등장하는 인물의 경우에도 실명 삭제 이유나 인물들의 상세한 활동 배경도 기록했다.

저자는 『대종경 필사본』이 사료로서의 높은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며, “소태산 당시의 정기간행물(『월말통신』, 『월보』, 『회보』)에 수록된 법설과 소태산의 친견 제자들의 수필 문헌 등의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가칭)『대종경』 증보(增補) 편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자는 원불교학 전공·연구자로서 원불교 교리성립사에 대해 천착해왔다. 「소태산의 봉래주석기에 대한 연구」, 「원불교 교리성립사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러한 연구 과정에 다양한 초기교서들과 관련 자료를 분석했다.

출처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
책 소개

대종경 필사본』은 소태산의 법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대종경』 결집과정에서 확인되는 저본들 중에서 정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편차(編次)를 따라 각 장의 요지가 있어서 소태산 법설의 핵심내용을 알 수 있다.
『대종경 필사본』에는 새 시대의 새 종교로서 원불교를 개교한 당위성과 독창성, 주체성이 드러난다.
원불교 교리해석에 있어서 논쟁을 명쾌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 있다.
『대종경 필사본』을 참고함으로써 『대종경』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통합·분리되기 전 상황이나 법문의 연기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고시용

인물정보
종교인
대표작으로 『마음과 행복』이/가 있다.

마음과 행복
마음과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