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6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이정배

알라딘: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 
이정배 (지은이)신앙과지성사2024-11-05

이전
다음






미리보기

피너츠 고블릿.친환경 노트 (택1, 대상도서 1권 포함 종교 분야 15,000원 이상)

정가
39,000원
판매가
35,100원 (10%, 3,900원 할인)
마일리지
1,9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504쪽

책소개
기독교 묵시의식과 수운의 종교체험인 한국 개벽사상을 역사적 유비로 회통 하여 신학적 상상력으로 엮어진 독창적 연구서로서 방대한 500여 쪽의 저서는 한국 사회의 종교, 경제, 정치제도에 대한 현실사회의 이중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연속과 단절의 쌍곡선적 변주곡의 향연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이정배 교수는 50여 년의 신학적 노정에서 한국 종교체험인 개벽사상(Great Openig)을 통해 서구사상과 서구 자본주의 그리고 서구 대의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空·公·共의 해석학적 화두를 웅장하게 전개한다.


목차


추천하며
문명론적 시대사조에 대한 한국적 응답 _4

책을 펴내며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공(空)·공(公)·공(共) _6

1장 개벽신학의 세 토대로서
空·公·共
동학 개벽사상 연구사의 흐름 _14
기독교 신학의 개벽적 전회 _27
역사유비와 개벽사상 _45
개벽신학의 세 토대로서 공(空)·공(公)·공(共) _53

2장 空
개벽사상가로서 성 프란치스코 _74
동학과 다석 사상, 그 필연적 만남 _116
대속과 자속의 불이성 _158
理氣 우주론 관점에서 본 초월적 자연주의 _173

3장 公
자본세 속의 ‘자본’ 기독교에서 회복력(탈성장) 시대를
위한 개벽 기독교로 _204
탈성장 시대와 개벽적 기독교 _241
포스트휴먼으로서 ‘호모 데우스’ , 그것이 개벽일까? _269
개벽, 토발(土發)적 시각에서 본 함석헌 _303

4장 共
항일과 친일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_332
개벽신학으로서의 통일신학 _349
좌우 이념을 넘어선 영구 중립화 _419
‘DMZ 民+평화 손잡기’ 운동 _443

마지막 글
개벽신학의 세 차원: 空·公·共으로 본 동학 _450

주 _470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정배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5년 7월 15일 서울 출생으로 2024년 올해 고희를 맞았다. 유교적 가치와 민간신앙을 지녔던 부모 밑에서 성장했으나 대광중고교를 다니면서 기독교에 눈을 떠 감리교신학대학교에 입학했다. 올해로 신학 공부 50년 세월이 쌓였다. 아내 이은선을 만나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에서 함께 학위를 마친 후 모교에서 30년 가르치다 명예퇴직했다.
재학 중 일아(一雅) 변선환 선생을 만나 토착화신학 전통을 잇게 된 것은 신학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이었다. 세월호 사건의 영향으로 다소 일찍 대학을 떠났으나 선생과의 첫 만남에서 얻은 감동을 지금껏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토착화신학은 교회 비판을 넘어 시대정신과의 갈등이었고 문명 재창조의 학문이었다. JPIC 정신에 입각하여 ‘작은교회’ 운동을 시작했고 기후붕괴 시대에 ‘탈성장’ 가치를 선언했으며 다석 유영모 사상을 연구했고 그리고 최근 〈개벽신학〉을 주창한 일 모두는 동일 정신의 다른 표현들이다.
그간 수십 권의 책을 썼으나 고희를 맞아 동시에 출간한 두 책 속에 앞서 말한 모든 것이 담겼다. 『실패한 제자들 그 이후』(명작 2024)와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신앙과지성사 2024)이 바로 그것이다. 지향점이 같으나 전자는 마음으로 썼고 후자는 치열한 논리의 결과물이다. 신학자 이신을 만나 ‘역사유비’를 생각했고 그것을 동학사상과 연결시켜 〈개벽신학〉이라 말했으며 이런 의식을 펼치는 학문공동체의 탄생을 염원하며 ‘이후’라는 말로 표현했다.
자식의 앞날을 달리 생각하며 희생을 마다치 않은 부모님께 한없이 죄송하여 염치(?)없지만 신학 공부 50년 세월을 하느님께 감사하고 있다.

저서
『우리는 하느님을 거리에서 만난다』(동연 2019)
『이정배의 수도원 독서』(신앙과지성사 2019)
『코로나바이러스, 사람에게 묻다』(밀알기획 2021)
『유영모의 귀일신학』(신앙과지성사 2021)
『종교개혁 500년과 ‘이후’ 신학』(모시는사람들 2017)
『3.1운동 100주년과 ‘이후’ 신학』((모시는사람들 2019)
『한국전쟁 70년과 ‘이후’ 교회』(모시는사람들 2020)
『역사유비로서의 이신의 슐리얼리즘 신학』(동연 2023)
『이신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동연 2021)
『스승의 손사래』(늘봄 2023)
『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신앙과지성사 2024) 접기

최근작 : <실패한 제자들, 그 이후>,<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개벽사상과 종교공부> … 총 58종 (모두보기)


알라딘: 개벽의 사상사 - 최제우에서 김수영까지, 문명전환기의 한국사상

알라딘: 개벽의 사상사

알라딘: 개벽의 사상사


개벽의 사상사 - 최제우에서 김수영까지, 문명전환기의 한국사상 
강경석,김선희,박소정,백영서,이정배,장진영,정혜정,조성환,허남진,허수,황정아 (지은이)창비2022-05-20
다음




































미리보기

종이책전자책 13,860원
정가
Sales Point : 295 

 8.0 100자평(2)리뷰(0)

304쪽
책소개
최근 우리 고유의 문명관이자 자생적인 변혁사상으로 재소환되고 있는 ‘개벽’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상사의 큰 줄기를 파악한 책이다. 그간 서구 담론에 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근대전환기 개벽사상을 소개하는 한편, 수운 최제우, 만해 한용운, 도산 안창호 등 널리 알려진 근현대 주요 사상가들을 개벽파의 시각에서 탐구했다. ‘근현대 한국사상’이라고 칭할 만한 연구 작업이 많지 않은 실정에서 11명의 연구자들이 3년간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 근대사상의 흐름을 천착해 얻은 결실이라는 점에서 특히 의의가 크다.

여기 소개된 사상가들은 종교, 철학, 정치, 문학 등 각자의 분야에서 자아와 사회뿐 아니라 세계로까지 시야를 넓혀 체계적 사유를 펼쳤다. 특히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이르는 백년의 변혁기에 부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독창적이고 변혁적인 사상을 내보였다. 외부 열강의 압력이 높아지던 19세기는 조선 말기의 혼란상에 지친 민중의 저항과 새 세상을 꿈꾸었던 변혁의 사상들이 움튼 시기이기도 하다. 이렇게 시작된 변혁의 사상은 식민지배와 독립, 분단을 거치는 과정에서도 면면히 이어져 ‘한반도 개벽파’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계보를 형성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근대전환기 새 세상을 꿈꾸다
1장 최성환의 무상단의 권선서 출판과 통속 윤리의 제안 / 김선희
2장 · 탁사 최병헌의 문명론과 국가건설사상 / 허남진
3장 · 동학공동체의 ‘철학적 근대’: “개벽” 개념의 성립과 계승 및 변용 / 박소정
4장 · 근대 전환기 동학・천도교의 개벽론: 불온성과 개념화의 긴장 / 허수
5장 · 김형준의 ‘동학사회주의’와 ‘네오휴머니즘’ / 정혜정
6장 · 정산 송규의 개벽사상과 그 전개: 일원개벽에서 삼동개벽으로 / 장진영

2부 근대적 국민국가 수립과 그 너머
7장 · 도산의 점진혁명론과 그 현재성 / 강경석
8장 · 만해 한용운의 님의 형이상학: 한국사상사의 맥락에서 본 『님의 침묵』 / 조성환
9장 · 경계를 횡단하는 조소앙과 변혁적 중도주의 / 백영서
10장 · 함석헌 사상 속의 비판적 쟁점들: 개벽, 소위 토발적 시각에서 살피다 / 이정배
11장 · 김수영과 근대의 ‘이중과제’ / 황정아


공저자 소개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 한겨레 신문 2022년 5월 27일자 '책&생각'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22년 5월 27일자 '새책'
세계일보 
- 세계일보 2022년 5월 28일자 '새로 나온 책'



저자 및 역자소개
강경석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문학평론가이자 근대문학 연구자. 200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비평활동을 시작했고, 현재 『창작과비평』 편집위원 겸 세교연구소 기획실장으로 있다. 저서로 『리얼리티 재장전』 『개벽의 사상사』(공저) 『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공저) 등이 있다.

최근작 : <안창호>,<개벽의 사상사>,<촛불의 눈으로 3.1운동을 보다> … 총 10종 (모두보기)

김선희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저서로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욕구, 선택, 결행 : 서학을 통한 다산의 인간론 전환에 대한 재검토」, 「금대 이가환의 서학(西學) 연구와 그 파장」, “Seongho Yi Ik’s New Approach to Zhijue知覺 and Weifa未發 : Stimulation by Western Learning and the Expansion of Confucianism” 등이 있다.

최근작 : <서학의 파장과 조선 유학의 대응>,<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 총 32종 (모두보기)

박소정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교수, 한국철학문화연구소장 및 K학술확산연구센터 센터장. 동학과 비교철학, 음악미학에 걸쳐서 한국어와 영어 및 중국어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음.

최근작 : <개벽의 사상사> … 총 2종 (모두보기)

백영서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 더보기

최근작 : <한국의 미를 읽다>,<아시아의 20세기 지역변동과 지역상상>,<동아시아담론의 계보와 미래> … 총 55종 (모두보기)

이정배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5년 7월 15일 서울 출생으로 2024년 올해 고희를 맞았다. 유교적 가치와 민간신앙을 지녔던 부모 밑에서 성장했으나 대광중고교를 다니면서 기독교에 눈을 떠 감리교신학대학교에 입학했다. 올해로 신학 공부 50년 세월이 쌓였다. 아내 이은선을 만나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에서 함께 학위를 마친 후 모교에서 30년 가르치다 명예퇴직했다.
재학 중 일아(一雅) 변선환 선생을 만나 토착화신학 전통을 잇게 된 것은 신학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이었다. 세월호 사건의 영향으로 다소 일찍 대학을 떠났으나 선생과의 첫 만남에서 얻은 감동을 ... 더보기

최근작 : <실패한 제자들, 그 이후>,<역사유비로서의 개벽신학 空·公·共>,<개벽사상과 종교공부> … 총 58종 (모두보기)

장진영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소장. 원불교 교무이며, 법명은 진수이다. 동국대에서 화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음의 구조와 치유의 원리, 마음공부 방법론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 「일상생활의 마음공부」, 「마음치유의 원리」, 「마음공부 통합모델」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개벽의 사상사』, 『마음공부공동체를 찾아서』, 『마음챙김, 미국을 깨우다』(공역), 『마음챙김의 불교적 토대』(공역) 등이 있다.

최근작 : <지혜, 타고나는가 배워지는가>,<소태산이 밝힌 정신개벽의 길>,<개벽의 사상사> … 총 10종 (모두보기)

정혜정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국대 갈등치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저서로 『동학의 심성론과 마음공부』 『‘몸-마음’의 현상과 영성적 전환』 『백년의 변혁: 3・1에서 촛불까지』(공저), 『개벽의 사상사』(공저), 역서로 『동학문명론의 주체적 근대성』 등이 있음.

최근작 :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개벽의 사상사>,<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 … 총 10종 (모두보기)

조성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원광대학교 교수. 서강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에서 수학과 철학을 전공하였다.
『월간 공공철학』과 『다시개벽』의 편집인을 역임했고, 지금은 『사상계』편집주간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한국 근대의 탄생』,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키워드로 읽는 한국철학』, 『한국의 철학자들』, 『K-사상사: 기후변화 시대 철학의 전환』,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공저)가 있고, 번역서로『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인류세란 무엇인가?』(공역)가 있다.

최근작 : <한국철학 다시읽기>,<세속주의를 묻는다>,<한국의 철학자들> … 총 26종 (모두보기)

허남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종교학을 공부했다. 현재는 기후위기 시대 인문학을 모색하기 위해 지구인문학, 공생철학, 에너지 철학 등에 관심이 많다. 지은 책으로는 『개벽의 사상사』(공저), 『지구적 전환 2021-근대성에서 지구성으로 다시개벽의 징후를 읽다』(공저) 등이 있다.

최근작 :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개벽의 사상사>,<한국 종교교단 연구 XIII> … 총 9종 (모두보기)

허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저서로 『이돈화 연구』 『식민지 조선, 오래된 미래』 『개벽의 사상사』(공저) 등이 있음.

최근작 : <개벽의 사상사>,<근대적 일상과 여가의 탄생>,<근대로의 전환> … 총 10종 (모두보기)

황정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D. H. 로런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평론가로서 현대 영국소설과 한국소설 및 비평이론에 관한 글을 쓰고 있으며,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개념비평의 인문학』 『다시 소설이론을 읽는다』(편저) 『개벽의 사상사』(공저) 『코로나 팬데믹과 한국의 길』(공저) 『소설을 생각한다』(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단일한 근대성』 『아메리카의 망명자』 『도둑맞은 세계화』 『이런 사랑』 『컬러 오브 워터』 『내게 진실의 전부를 주지 마세요』 『쿠바의 헤밍웨... 더보기

최근작 : <개벽의 사상사>,<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큰글자도서] 코로나 팬데믹과 한국의 길 > … 총 33종 (모두보기)


출판사 소개
창비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고등 세트 (최신 개정판) - 전4권>,<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고등 소설 - 하 (최신개정판)>,<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고등 수필·비문학 (최신 개정판)>등 총 3,903종
대표분야 : 청소년 인문/사회 1위 (브랜드 지수 273,684점), 국내창작동화 1위 (브랜드 지수 3,061,954점), 청소년 소설 1위 (브랜드 지수 1,376,94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