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3/02/17

W. Somerset Maugham - Wikipedia

W. Somerset Maugham - Wikipedia

W. Somerset Maugham

  • Article
  • Talk
  • Read
  • Edit
  • View history
Featured articl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W. Somerset Maugham

CH
Maugham by Carl Van Vechten, 1934
Maugham by Carl Van Vechten, 1934
BornWilliam Somerset Maugham
25 January 1874
Paris, France
Died16 December 1965 (aged 91)[n 1]
Nice, Alpes-Maritimes, France
OccupationPlaywright, novelist, short-story writer
EducationThe King's School, Canterbury
Alma mater
  • Heidelberg University
  • King's College London
Years active1897–1964
Spouse
Syrie Wellcome
​
​
(m. 1917; div. 1929)​
ChildrenMary Elizabeth (Liza) Wellcome

William Somerset Maugham[n 2] CH (/mɔːm/ MAWM; 25 January 1874 – 16 December 1965)[n 1] was an English writer, known for his plays, novels and short stories. Born in Paris, where he spent his first ten years, Maugham was schooled in England and went to a German university. He became a medical student in London and qualified as a physician in 1897. He never practised medicine, and became a full-time writer. His first novel, Liza of Lambeth (1897), a study of life in the slums, attracted attention, but it was as a playwright that he first achieved national celebrity. By 1908 he had four plays running at once in the West End of London. He wrote his 32nd and last play in 1933, after which he abandoned the theatre and concentrated on novels and short stories.

Maugham's novels after Liza of Lambeth include Of Human Bondage (1915), The Moon and Sixpence (1919), The Painted Veil (1925), Cakes and Ale (1930) and The Razor's Edge (1944). His short stories were published in collections such as The Casuarina Tree (1926) and The Mixture as Before (1940); many of them have been adapted for radio, cinema and television. His great popularity and prodigious sales provoked adverse reactions from highbrow critics, many of whom sought to belittle him as merely competent. More recent assessments generally rank Of Human Bondage − a book with a large autobiographical element − as a masterpiece, and his short stories are widely held in high critical regard. Maugham's plain prose style became known for its lucidity, but his reliance on clichés attracted adverse critical comment.

During the First World War Maugham worked for the British Secret Service, later drawing on his experiences for stories published in the 1920s. Although primarily homosexual, he attempted to conform to some extent with the norms of his day. He became a father and husband, marrying Syrie Wellcome in 1917, three years into an affair that produced their daughter, Liza. The marriage lasted for twelve years, but before, during and after it, Maugham's principal partner was a younger man, Gerald Haxton. Together they made extended visits to Asia, the South Seas and other destinations; Maugham gathered material for his fiction wherever they went. They lived together in the French Riviera, where Maugham entertained lavishly. After Haxton's death in 1944, Alan Searle became Maugham's secretary-companion for the rest of the author's life. Maugham gave up writing novels shortl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his last years were marred by senility. He died at the age of 91.

Life and career[edit]

Background and early years[edit]

William Somerset Maugham came from a family of lawyers. His grandfather, Robert Maugham (1788–1862), was a prominent solicitor and co-founder of the Law Society of England and Wales.[5] Maugham's father, Robert Ormond Maugham (1823–1884), was a prosperous solicitor, based in Paris;[6] his wife, Edith Mary, née Snell, lived most of her life in France, where all the couple's children were born.[n 3] Robert Maugham handled the legal affairs of the British Embassy there, as his eldest surviving son, Charles, later did.[8][9] The second son, Frederic, became a barrister, and had a distinguished legal career in Britain – The Times described him as "a great legal figure" – serving as a Lord of Appeal in Ordinary (1935–1938) and Lord Chancellor (1938–1939).[8] The two younger sons became writers: Henry (1868−1904) wrote poetry, essays and travel books.[5]

exterior of grand building in neo-classical style
Maugham's birthplace: the British Embassy in Paris

Shortly before the birth of the Maughams' fourth son the government of France proposed a new law under which all boys born on French soil to foreign parents would automatically be French citizens and liable to conscription for military service. The British ambassador, Lord Lyons, had a maternity ward set up within his embassy – which was legally recognised as UK territory – enabling British couples in France to circumvent the new law, and it was there that William Somerset Maugham was born on 25 January 1874.[10] Maugham never greatly liked his middle name − which commemorated a great-uncle named after General Sir Henry Somerset[11] − and was known by family and friends throughout his life as "Willie".[12]

Maugham's mother died of tuberculosis in January 1882, a few days after his eighth birthday. He later said that for him her loss was "a wound that never entirely healed" and even in old age he kept her photograph at his bedside.[13] Two and a half years after his mother's death his father died, and Maugham was sent to England to live with his paternal uncle Henry MacDonald Maugham, the vicar of Whitstable in Kent.[14]

After spending the first ten years of his life in Paris, Maugham found an unwelcome contrast in life at Whitstable, which according to his biographer Ted Morgan "represented social obligation and conformity, the narrow-minded provincialism of nineteenth-century small-town English life". He found his uncle and aunt well-meaning but remote by contrast with the loving warmth of his home in Paris; he became shy and developed a stammer that stayed with him all his life. In a 2004 biography of Maugham, Jeffrey Meyers comments, "His stammer, a psychological and physical handicap, and his gradual awareness of his homosexuality made him furtive and secretive".[15] Maugham's biographer Selina Hastings describes as "the first step in Maugham's loss of faith" his disillusion when the God in whom he had been taught to believe failed to answer his prayers for relief from his troubles. In his teens he became a lifelong non-believer.[16][n 4]

From 1885 to 1890 Maugham attended The King's School, Canterbury, where he was regarded as an outsider and teased for his poor English (French had been his first language), his short stature, his stammer, and his lack of interest in sport.[19] He left as soon as he could, although he later developed an affection for the school, and became a generous benefactor.[20] A modest legacy from his father enabled him to go to Heidelberg University to study. His aunt, who was German, arranged accommodation for him, and aged sixteen he travelled to Germany. For the next year and a half he studied literature, philosophy and German. During his time in Heidelberg he had his first sexual affair; it was with John Ellingham Brooks, an Englishman ten years his senior.[21] Brooks encouraged Maugham's ambitions to be a writer and introduced him to the works of Schopenhauer and Spinoza.[5] Maugham wrote his first book while in Heidelberg, a biography of the composer Giacomo Meyerbeer, but it was not accepted for publication and the author destroyed the manuscript.[22]

After Maugham's return to Britain in 1892, he and his uncle had to decide on his future. He did not wish to follow his brothers to Cambridge University,[23] and his stammer precluded a career in the church or the law even if either had attracted him.[24] His uncle ruled out the civil service, believing that it was no longer a career for gentlemen after reforms requiring applicants to pass an entrance examination.[22] A family friend found Maugham a position in an accountant's office in London, which he endured for a month before resigning.[25] The local physician in Whitstable suggested the medical profession, and Maugham's uncle agreed. Maugham, who had been writing steadily since he was 15, intended to make his career as an author, but he dared not tell his guardian.[25] From 1892 until he qualified in 1897, he studied medicine at St Thomas's Hospital Medical School in Lambeth.[5]

Early works[edit]

young man with neat dark hair and moustache, wearing a wing-collar and bow-tie in a dark suit
Maugham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his work as a medical student Maugham met the poorest working-class people: "I was in contact with what I most wanted, life in the raw".[26] In maturity, he recalled the value of his experiences: "I saw how men died. I saw how they bore pain. I saw what hope looked like, fear and relief; I saw the dark lines that despair drew on a face."[26]

Maugham took rooms in Westminster, across the Thames from the hospital. He made himself comfortable there, filled many notebooks with literary ideas, and continued writing nightly, while studying for his medical degree.[27] In 1897 he published his first novel, Liza of Lambeth, a tale of working-class adultery and its consequences. It drew its details from his obstetric duties in South London slums. He wrote near the opening of the novel: "... it is impossible always to give the exact unexpurgated words of Liza and the other personages of the story; the reader is therefore entreated with his thoughts to piece out the necessary imperfections of the dialogue".[28]

The book received mixed reviews. The Evening Standard commented that there had not been so powerful a story of slum life since Rudyard Kipling's The Record of Badalia Herodsfoot (1890), and praised the author's "vividness and knowledge ... extraordinary gift of directness and concentration ... His characters have an astounding amount of vitality".[29] The Westminster Gazette praised the writing but deplored the subject matter,[30] and The Times also conceded the author's skill – "Mr Maugham seems to aspire, and not unsuccessfully, to be the Zola of the New Cut" – but thought him "capable of better things [than] this singularly unpleasant novel".[31] The first print run sold out within three weeks and a reprint was quickly arranged.[32] Maugham qualified as a physician the month after the publication of Liza of Lambeth but he immediately abandoned medicine and embarked on his 65-year career as a writer. He later said, "I took to it as a duck takes to water."[33]

Before the publication of his next novel, The Making of a Saint (1898), Maugham travelled to Spain. He found Mediterranean lands much to his liking, for what his biographer Frederic Raphael calls their "douceur de vivre missing under grim English skies".[34] He based himself in Seville, where he grew a moustache, smoked cigars, took lessons in the guitar,[34] and developed a passion for "a young thing with green eyes and a gay smile"[35] (gender carefully unspecified, as Hastings comments).[36]

scene from a stage play with six characters - two women and three men - in Edwardian dress grouped in a luxurious drawing room
Lady Frederick, 1907

The Making of a Saint, a historical novel, attracted less attention than Liza of Lambeth and its sales were unremarkable.[37] Maugham continued to write assiduously and within five years he published two more novels and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and had his first play produced; but a success to match that of his first book eluded him. Between 1903 and 1906 he wrote two more plays, a travel book and two novels, but his next big commercial and critical success did not come until October 1907, when his comedy Lady Frederick opened at the Court Theatre in London.[38] He had written it four years earlier,[39] but numerous managements turned it down until Otho Stuart accepted it and cast the popular Ethel Irving in the title role.[40] It ran for 422 performances at five different West End theatres.[41] By the next year, while the run of Lady Frederick continued, Maugham had three other plays running simultaneously in London.[42]

drawing of Shakespeare in front of theatre posters for four different plays by Maugham all running in the West End
Shakespeare's ghost broods about Maugham's domination of the London stage (Punch, 1908)

Maugham later said that he made comparatively little money from this unprecedented theatrical achievement, but it made his reputation.[43] Punch printed a cartoon of Shakespeare's ghost looking concerned about the ubiquity of Maugham's plays. Between 1908 and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in 1914, Maugham wrote a further eight plays,[44] but his stage successes did not completely distract him from writing novels. His supernatural thriller The Magician (1908) had a principal character modelled on Aleister Crowley, a well-known occultist. Crowley took offence and wrote a critique of the novel in Vanity Fair, charging Maugham with "varied, shameless and extensive" plagiarism.[45][n 5]

Maugham was acutely conscious of the fate of Oscar Wilde, whose arrest and imprisonment took place when Maugham was in his early twenties.[46] Lifelong, Maugham was highly reticent about homosexual encounters, but it was thought by at least two of his lovers that at this period in his life he had recourse to young male prostitutes.[5] Nevertheless he had a wish to marry, which he later greatly regretted. Looking back, he described his early attempts to be heterosexual as the greatest mistake in his life. He told his nephew Robin, "I tried to persuade myself that I was three-quarters normal and that only a quarter of me was queer – whereas really it was the other way round".[47] In 1913 he proposed to the actress Sue Jones, daughter of the playwright Henry Arthur Jones;[48] she declined his offer.[49] In 1914 he began an affair with Syrie Wellcome, whom he had known since 1910. She was married to the pharmaceutical magnate Henry Wellcome, but the couple had formally separated in 1909, after which she had a succession of partners, including the retailer Harry Gordon Selfridge.[50]

First World War[edit]

By 1914 Maugham was famous, with thirteen plays and eight novels completed.[44] Too old to enlist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he served in France as a volunteer ambulance driver for the British Red Cross. Among his colleagues was Frederick Gerald Haxton, a young San Franciscan, who became his lover and companion for the next thirty years, but the affair between Maugham and Syrie Wellcome continued.[51]

In the weeks before the war began, Maugham had been completing his novel Of Human Bondage, a Bildungsroman with substantial autobiographical elements. The critic John Sutherland says of it:

press advertisement quoting a review: "The only novel of the year in which one can take cover from the sad, swift thoughts that sigh and wine about our heads in war-time"
One of the more favourable initial reviews, quoted in Maugham's British publisher's advertisement, August 1915
The hero, Philip Carey, suffers the same childhood misfortunes as Maugham himself: the loss of his mother, the breakup of his family home, and his emotionally straitened upbringing by elderly relatives. In addition, Carey has a club foot, a handicap which commentators equate with either Maugham's stammer or his homosexuality.[52]

According to some of Maugham's intimates, the main female character, the manipulative Mildred, was based on "a youth, probably a rent boy, with whom he became infatuated". Raphael comments that there is no firm evidence for this,[5][53] and Meyers suggests that she is based on Harry Phillips, a young man whom Maugham had taken to Paris as, nominally, his secretary for a prolonged stay in 1905.[54]

Maugham proofread Of Human Bondage at Malo-les-Bains, near Dunkirk, during a lull in his ambulance duties.[55] When the book was published in 1915 some of the initial reviews were favourable but many, both in Britain and in the US, were unenthusiastic.[56] The New York World described the romantic obsession of the protagonist as "the sentimental servitude of a poor fool".[56] The tide of opinion was turned by the influential American novelist and critic Theodore Dreiser, who called Maugham a great artist and the book a work of genius, of the utmost importance, comparable to a Beethoven symphony.[5][57] Bryan Connon comments 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After this it seemed that Maugham could not fail, and the public eagerly bought his novels [and] volumes of his carefully crafted short stories".[5]

In 1915 Syrie Wellcome became pregnant, and in September, while Maugham was on leave to be with her, she gave birth to their only child, Mary Elizabeth, known as Liza.[58] The baby was legally the daughter of Henry Wellcome, although he had not seen his wife for many years. He successfully sued for divorce in 1916, citing Maugham as co-respondent.[5][n 6]

Secret Service and marriage[edit]

After the birth of his daughter, Maugham moved to Switzerland. His fluency in French and German was an advantage, and for a year he worked in Geneva − at his own expense − as an agent for the British Secret Service.[61] He was recruited by Sir John Wallinger, a friend of Syrie, portrayed as the spymaster "R" in the Ashenden stories Maugham wrote after the war. Syrie and Liza were with him for part of the year, providing a convincing domestic cover, and his profession as a writer enabled him to travel about and stay in hotels without attracting attention.[62] His covert job, which was in violation of Switzerland's neutrality laws,[n 7] was to coordinate the work of British agents in enemy territory and dispatch their information to London.[62] In his overt capacity as an author he wrote Caroline, a three-act comedy, which opened in February 1916 at the New Theatre, London, with Irene Vanbrugh in the title role.[64]

white man in early middle age; he has a full head of neat dark hair and a small moustache
Maugham at the start of the First World War

In November 1916 Maugham was asked by the intelligence service to go to the South Seas.[65] Samoa was regarded as crucial to Britain's strategic interests, and Maugham's task wa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island's powerful radio transmitter and the threat from German military and naval forces in the region.[65] He was reunited with Haxton, who joined him as secretary-companion.[66] In addition to his intelligence work, Maugham gathered material for his fiction wherever he went. He was, by his own account, not a particularly imaginative or inventive person, but he studied people and places and used them, sometimes with minimal alteration or disguise, in his stories.[67] He was helped in this by Haxton – extrovert and gregarious in contrast with Maugham's shyness – who became what Morgan terms an "intermediary with the outside world". Maugham wrote of Haxton:

He had an amiability of disposition that enabled him in a very short time to make friends with people in ships, clubs, bar-rooms, and hotels, so that through him I was able to get into easy contact with an immense number of persons whom otherwise I should have known only from a distance.[68]

After the South Seas trip Maugham visited the US and was joined by Syrie. In May 1917 they married at a ceremony in New Jersey. He entered the marriage from a sense of duty rather than from personal inclination, and the two quickly began to grow apart.[69] She returned to England and he continued with his work as a secret agent. He was selected by Sir William Wiseman of British Intelligence to go to Russia, where the overthrow of the monarchy threatened to lead to a Russian withdrawal from the war. Maugham's job was to counter German propaganda, and to encourage the moderate republican Russian government under Alexander Kerensky to continue fighting.[70] He arrived in Petrograd in August, too late to influence the outcome: in November, Kerensky was supplanted by Lenin and the Bolsheviks, who took Russia out of the war.[71]

By that time Maugham was ill with tuberculosis. He returned to Britain and spent three months in a sanatorium in Scotland. While there he wrote a farce, Home and Beauty, which was presented at the Playhouse Theatre in August 1919 starring Gladys Cooper and Charles Hawtrey.[72] In the same year Maugham published one of his best-known novels,[73] The Moon and Sixpence, about a respectable stockbroker who rebels against conformity, abandons his wife and children, flees to Tahiti and becomes a painter.[73] It was well received: reviewers called it "extraordinarily powerful and interesting",[74] and "a triumph [that] has given me such pleasure and entertainment as rarely comes my way";[75] one described it as "an exhibition of the beast in man, done with such perfect art that it is beyond praise".[76]

1920s: travel and divorce[edit]

After the war Maugham had to choose between living in Britain or being with Haxton, because the latter was refused admission to the country. The lifelong ban followed his arrest and trial over a homosexual incident in 1915. He was acquitted, but was nonetheless registered as an "undesirable alien".[77] When in Britain, Maugham lived with his wife at their house in Marylebone, but the couple were temperamentally incompatible, and their relationship grew increasingly fractious.[78] He spent much time travelling with Haxton. They visited the Far East together in 1919–20, keeping Maugham away from home for six months.[79]

White woman in smart day clothes, including a hat, in a shop full of antiques and objets d'art
Syrie Maugham in her shop, 1921

In late 1920 Maugham and Haxton set out on a trip that lasted more than a year. In the US they spent time in Hollywood, which Maugham despised from the first, but found highly remunerative.[80] They then visited San Francisco and sailed to Honolulu and Australia before the final leg of their voyage, to Singapore and the Malay Peninsula, where they remained for six months.[81] Maugham, as always, observed closely and collected material for his stories wherever they went. His fellow author Cyril Connolly wrote, "there will remain a story-teller's world from Singapore to the Marquesas that is exclusively and forever Maugham".[82] In 1922–23 Maugham's next extended trip was in south and east Asia, with stops at Colombo, Rangoon, Mandalay, Bangkok and Hanoi.[83]

In Maugham's absence his wife found an occupation, becoming a sought-after interior designer. Her concentration on her work briefly lessened the domestic tensions at the couple's house when Maugham was in residence.[84] By 1925, Maugham, learning that his wife was spreading scandal about his private life and had taken lovers of her own, was reconsidering his future. After another long trip to the Far East, he agreed with Syrie that they would live separately, she in London and he at Cap Ferrat in the south of France.[85] They divorced in 1929.[n 8]

During the 1920s Maugham published one novel (The Painted Veil, (1925)), three books of short stories (The Trembling of a Leaf (1921), The Casuarina Tree (1926) and Ashenden (1928)) and a travel book (On a Chinese Screen, (1922)) but much of his work was for the theatre. He wrote seven plays during the decade: The Unknown (1920), The Circle (1921), East of Suez (1922), The Camel's Back (1923), The Constant Wife (1926), The Letter (1927) and The Sacred Flame (1928).[87] His longest-running play of the decade, and of his whole career, was Our Betters. It was written in 1915 and staged in New York in 1917, for a satisfactory but not unusual 112 performances, but when produced in the West End in 1923 it was played 548 times.[88][n 9]

1930−1940[edit]

middle aged white man, clean shaven, with receding hair, smartly dressed in a lounge suit, semi-profile
Hugh Walpole − caricatured as Alroy Kear in Cakes and Ale

In 1930 Maugham published the novel Cakes and Ale, regarded by Connon as the most likely of the author's works to survive.[5] This book, described by Raphael as "an elegant piece of literary malice",[73] is a satire on the literary world and a humorously cynical observation of human mating.[73] There was hostile comment in the press that the central figure seemed to be a tasteless parody of Thomas Hardy, who had died in 1928. Maugham further damaged his own reputation by denying that another character, Alroy Kear − a superficial novelist of more pushy ambition than literary talent − was a caricature of Hugh Walpole.[90] Few believed Maugham's denial and he eventually admitted it was a lie.[91] Hastings quotes a contemporary's view that Kear was Maugham's revenge on Walpole for "a stolen boyfriend, an unrequited love and an old canker of jealousy".[90]

By the early 1930s Maugham had grown tired of the theatre. He told Noël Coward in 1933:

I am done with playwriting. ... I cannot tell you how I loathe the theatre. It is all very well for you, you are author, actor and producer. What you give an audience is all your own; the rest of us have to content ourselves with at the best an approximation of what we see in the mind’s eye. After one has got over the glamour of the stage and the excitement, I do not myself think the theatre has much to offer the writer compared with the other mediums in which he has complete independence and need consider no one.[92]

Maugham's thirty-second and last play was Sheppey (1933). It was a departure from his previous style; its moral ambiguity and equivocal ending puzzled the critics and the public.[93] Despite some help from Coward in the drafting and having Ralph Richardson as star and John Gielgud as director, it ran for a modest 83 performances.[94] Maugham later wrote, "I grew conscious that I was no longer in touch with the public that patronises the theatre. This happens in the end to most dramatists, and they are wise to accept the warning. It is high time for them then to retire. I did so with relief."[95] Raphael suggests that Maugham now wished to write to please himself rather than others.[96]

view of leafy promontory into the Mediterranean Sea
Cap Ferrat, Maugham's home from 1927

Maugham's days of lengthy trips to distant places were mostly behind him, but at Kipling's suggestion he sailed to the West Indies in 1936. The British colonies there failed to provide him with anything like the material he had gathered in the Asian outposts in the 1920s, but the French penal settlement on Devil's Island furnished him with some stories.[97] During a visit to India in 1938 he found his interest prompted less by the British expatriates than by Indian philosophers and ascetics: "As soon as the Maharajas realized that I didn't want to go on tiger hunts but that I was interested in seeing poets and philosophers they were very helpful."[98] He visited the Hindu sage Ramana Maharishi at his ashram, and later used him as the model for the spiritual guru of his 1944 novel The Razor's Edge.[99]

Throughout the decade Maugham, with Haxton in attendance, lived and entertained lavishly at his house on Cap Ferrat, the Villa La Mauresque. His domestic staff there comprised thirteen servants.[n 10] When the Second World War began in 1939 he stayed in his home as long as he could, but in June 1940 France surrendered; knowing himself to be proscribed by the Nazis (Goebbels denounced him personally) Maugham made his way to England in uncomfortable conditions on a coal freighter from Nice.[102] Haxton, as a citizen of neutral America, was not in immediate peril from the Germans and remained at the villa, securing it and its contents as far as possible, before making his way via Lisbon to New York.[103]

Second World War[edit]

Maugham spent most of the war years in the US, based for much of the time at a comfortable house on the estate of his American publisher, Nelson Doubleday. His lifestyle was modest: he felt that despite his considerable wealth he should not live luxuriously while Britain was enduring wartime privations.[73] He saw little of Haxton, who undertook war work in Washington DC.[104] As always, Maugham wrote continually. His daily routine was to write between an early breakfast and lunchtime, after which he entertained himself.[105] His most substantial book from the war years was The Razor's Edge; he found writing it unusually tiring – he was seventy when it was completed – and he vowed it would be the last long novel he wrote.[106]

Haxton was holding down a responsible job in Washington and enjoying his new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107] Maugham was happy for him and was reconciled to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La Mauresque without him after the war. The possibility became a certainty when in November 1944, after a six-month illness initially diagnosed as pleurisy, Haxton died of tuberculosis.[108] Maugham was distraught; he told his nephew, Robin, "You'll never know how great a grief this has been to me. The best years of my life − those we spent wandering about the world − are inextricably connected with him. And in one way or another − however indirectly − all I've written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has something to do with him".[109]

Even before Haxton's mortal illness, Maugham had already chosen a replacement as secretary-companion, in anticipation that Haxton would not return to live at La Mauresque. This was Alan Searle, whom Maugham had known since 1928, when Searle was twenty-three.[110] He came from Bermondsey, a poor district of London. Morgan describes him:

... the son of a tailor, he dropped his aitches like one of the characters in Liza of Lambeth. He had already been taken up by older homosexuals, including Lytton Strachey, who called him "my Bronzino boy".[111]

Maugham's biographers have differed considerably about Searle's character and his influence for better or worse on his employer. Connon writes, "He was seen by some as a near saint and by others, particularly the Maugham family, as a villain";[5] Hastings labels him "a podgy Iago ... constantly briefing against [Syrie and Liza]", and quotes Alan Pryce-Jones's summary: "an intriguer, a schemer with a keen eye to his own advantage, a troublemaker".[112] Raphael calls him "a man of more reliable stamp" than Haxton;[73] Meyers describes him as "sober, efficient, honest and gentle".[113]

Post-war and final years[edit]

Before returning to the south of France after the war, Maugham travelled to England and lived in London until the end of 1946. While there, he established and endowed the Somerset Maugham Award, to be administered by the Society of Authors and given annually for a work of fiction, non-fiction, or poetry written by a British subject under the age of thirty-five.[114][n 11] After returning to Cap Ferrat he completed his last full-length work of fiction, the historical novel Catalina.[20] He took part in the adaptation for the cinema of some of his short stories, Quartet (1948), Trio (1950) and Encore (1951), in all of which he appeared, contributing on-screen introductions.[116] He did the same on American television, introducing the Somerset Maugham Theater series, which a reviewer said enjoyed "tremendous popularity ... and has won for him an audience of millions of enthusiastic fans".[117]

Maugham made many subsequent visits to London, including one for his daughter's second marriage in July 1948, where, in Hastings's words, "with professional ease he acted the part of proud father, managed to be civil to Syrie, and made a creditable speech at the reception at Claridge's afterwards".[118] During a visit in 1954 he was invested as a Companion of Honour (CH) by the Queen at a private audience in Buckingham Palace.[119] He was widely understood in literary circles to have turned down a knighthood and to have hankered after the more prestigious and exclusive British honour, the Order of Merit, saying to friends that the CH "means 'Well done, but ...'".[n 12] There is some suggestion that his known homosexuality may have militated against his receiving the higher honour.[119]

spines of handsomely leather-bound books with gold lettering, all of Maugham's own writings
Some of the 5,000 books Maugham gave to the library he endowed at The King's School, Canterbury in 1961[120]

In the post-war era, Maugham settled into a pattern of life that changed little from year to year:

Winter and spring at the Mauresque, a few weeks of foreign travel (Austria, Italy, Spain) with a stay at a spa (Vichy, Abano, Vevey), an intensely social summer on the Riviera, followed by the autumn in London in his regular suite at the Dorchester Hotel.[121]

In 1959 the foreign travel included a final trip to the far East.[122] He kept himself fit, and further attempted to fend off the encroachments of age with supposedly rejuvenating injections at the clinic of Paul Niehans.[123] Nonetheless, his final years, according to Connon, were marred by increasing senility, misguided legal disputes and a memoir, published in 1962, Looking Back, in which "he denigrated his late former wife, was dismissive of Haxton, and made a clumsy attempt to deny his homosexuality by claiming he was a red-blooded heterosexual".[5] He attempted to disinherit his daughter and to make Searle his adopted son, but the courts prevented it.[124]

Maugham died in the Anglo-American Hospital in Nice on the night of 15−16 December 1965 at the age of 91, of complications following a fall.[n 13] He was cremated in Marseille on 20 December. Two days later his ashes were interred in the grounds of The King's School, Canterbury, beside the wall of the Maugham Library, which he had endowed in 1961.[120] Morgan observes:

Maugham, the disbeliever in ecclesiastical ritual, was buried without ritual but on hallowed ground. Canterbury was the shrine of Thomas à Becket, murdered in 1170 in the cathedral, and the destination of Chaucer's storytelling pilgrims. It was a fitting burial place for a teller of tales.[125]

Works[edit]

Although most of Maugham's early successes were as a dramatist, it is for his novels and short stories that he has been best known since the 1930s.[73] He was a prolific writer: between 1902 and 1933 he had 32 plays staged, and between 1897 and 1962 he published 19 novels, nine volumes of short stories, and non-fiction books covering travel, reminiscences, essays and extracts from his notebooks.[126] His works sold prodigiously throughout the English-speaking world. His American publishers estimated that four and a half million copies of his books were bought in the US during his lifetime.[127]

drawing of a tall cross with two cross-bars and two curved shapes forming an arch over it
Ancient north African symbol, used on the covers of Maugham's books from 1901 onwards. He said it was a sign to ward off the evil eye.[128]

Maugham wrote that he followed no master, and acknowledged none, but he named Guy de Maupassant as an early influence.[129] In the view of Kenneth Funsten in a 1981 study, British writers with whom Maugham has stylistic affinities include Jonathan Swift, William Hazlitt, John Dryden and John Henry Newman – "all practitioners of precise prose".[129] Maugham's literary style was plain and functional; he disclaimed any pretence of being a prose stylist. He was not known as a phrase-maker; the 2014 edition of The Oxford Dictionary of Quotations cites him ten times, compared with nearly a hundred quotations from his contemporary Bernard Shaw.[130] H. E. Bates, praising many of Maugham's attributes as a writer, objected to his frequent reliance on clichéd phrases,[131] and George Lyttelton commented that Maugham "purchases a beautiful lucidity at the cost of numberless clichés", but rated the lucidity second only to that of Shaw.[132] Morgan comments:

In his effort to achieve a casual tone, "like the conversation of a well-bred man", he used colloquialisms that bordered on clichés. He did not use them, like Evelyn Waugh, to reveal character through dialogue, but in the narrator's voice. His characters "got along like a house afire", or "didn't care a row of pins for each other", or exchanged "sardonic grins" and "disparaging glances". A person was "as clever as a bagful of monkeys", the beauty of the heroine "took your breath away", a friend was "a damned good sort", a villain was "an unmitigated scoundrel", a bore "talked your head off", and the hero's heart "beat nineteen to the dozen".[133]

In his 1926 short story "The Creative Impulse" Maugham made fun of self-conscious stylists whose books appealed only to a literary clique: "It was indeed a scandal that so distinguished an author, with an imagination so delicate and a style so exquisite, should remain neglected of the vulgar".[134] After his early writing, in which long sentences are punctuated with semicolons and commas, Maugham came to favour short, direct sentences. In The Spectator the critic J. D. Scott wrote of "The Maugham Effect": "This quality is one of force, of swiftness, of the dramatic leap". Scott thought the style more effective in narrative than in suggestion and nuance.[135]

Plays[edit]

See also: W. Somerset Maugham on stage and screen § Plays
stage scene with grand dame centre, in large Edwardian hat, with men in evening clothes to her left and right
Jack Straw (1908), one of Maugham's most successful comedies: Charles Hawtrey seated and Lottie Venne centre

The biggest theatrical success of Maugham's career was an adaptation by others[n 14] of his short story "Rain", which opened on Broadway in 1921 and ran for 648 performances.[89] The majority of his original plays were comedies, but of his serious dramas East of Suez (1922), The Letter (1927) and The Sacred Flame (1929) ran for more than 200 performances.[136] Among his longest-running comedies were Lady Frederick (1907), Jack Straw (1908), Our Betters (1923)[n 15] and The Constant Wife (1926), which ran in the West End or on Broadway for 422, 321, 548 and 295 performances respectively.[138] Raphael remarks about Maugham as a playwright, "His wit was sharp but rarely distressing; his plots abounded in amusing situations, his characters were usually drawn from the same class as his audiences and managed at once to satirize and delight their originals".[73]

As in his novels and short stories, Maugham's plots are clear and his dialogue naturalistic.[139] The critic J. C. Trewin writes, "His dialogue, unlike that of many of his contemporaries, is designed to be spoken ... Maugham does not write elaborately visual prose: that is, it does not make a fussy pattern on the page".[139] Trewin quoted with approval Maugham's observation, "Words have weight, sound, and appearance; it is only by considering these that you can write a sentence that is good to look at and good to listen to".[139]

Three middle aged people in 1920s clothes, a woman centre, a man on each side, leaning towards her
The Circle (1921): E. Holman Clark, Lottie Venne and Allan Aynesworth

Unlike his elder contemporary Shaw, Maugham did not view drama as didactic or moralistic;[140] like his younger contemporary Coward, he wrote plays to entertain, and any moral or social conclusions were at most incidental.[141] Several commentators have characterised him as a pessimist, who did not share Shaw's optimistic belief that art could improve humanity.[142] Christopher Innes has observed that, like Chekhov, Maugham qualified as a doctor, and their medical training gave them "a materialistic determinism that discounted any possibility of changing the human condition".[143] When Maugham's The Circle was revived in the US in 2011, the reviewer in The New York Times wrote that the play had been criticised "for not having anything substantial to say about love, marriage or infidelity. Actually it has extremely complicated things to say about them, but its most important message may be that actions have real consequences, no matter how casually those actions may be taken".[144] Trewin singles out The Circle, calling it one of the great comedies of the 20th century, and comparing it with Congreve's The Way of the World, to the disadvantage of the latter: "He can put Congreve to shame in the task of telling a theatrical story – telling it clearly and without inessentials".[145]

A few of Maugham's plays have been revived occasionally. The Internet Broadway Database in 2022 records three productions since the author's death: The Constant Wife directed by Gielgud and starring Ingrid Bergman in 1975; The Circle, starring Rex Harrison, Stewart Granger and Glynis Johns in 1989–90; and another production of The Constant Wife, with Kate Burton in the title role.[146] In London, the National Theatre has presented two Maugham plays since its inception in 1963: Home and Beauty in 1968 and For Services Rendered in 1979.[147] Other London productions have included The Circle (1976), For Services Rendered (1993), The Constant Wife (2000) and Home and Beauty (2002).[148]

Novels[edit]

See also: List of works by W. Somerset Maugham § Novels and story collections
spine and front cover of hardbound book
Of Human Bondage, 1915 American edition, with the Maugham symbol on the cover

Maugham published novels in every decade from the 1890s to the 1940s. There are nineteen in all, of which those most often mentioned by critics are Liza of Lambeth, Of Human Bondage, The Painted Veil, Cakes and Ale, The Moon and Sixpence and The Razor's Edge.[149]

Liza of Lambeth caused outrage in some quarters, not only because its heroine sleeps with a married man, but also for its graphic depiction of the deprivation and squalor of the London slums, of which most people from Maugham's social class preferred to remain ignorant.[150] Unlike many of Maugham's later novels it has an unequivocally tragic ending.[151]

Of Human Bondage, influenced by Goethe and Samuel Butler,[52] is a serious, partly autobiographical work, depicting a young man's struggles and emotional turmoil. The hero survives, and by the end of the book he is evidently set for a happy ending.[5] The Painted Veil is a story of marital strife and adultery against the background of a cholera epidemic in Hong Kong. Again, despite the suffering of the main characters, there is a reasonably happy ending for the central figure, Kitty.[152]

Cakes and Ale combines humorous satire on the London literary scene and wry observations about love. Like Of Human Bondage it has a strong female character at its centre, but the two are polar opposites: the malign Mildred in the earlier novel contrasts with the lovable, and much loved, Rosie in Cakes and Ale.[153] Rosie appears to be based on Sue Jones, to whom Maugham had proposed in 1913.[154] He observed, "I am willing enough to agree with common opinion that Of Human Bondage is my best work. It is the kind of book that an author can only write once. After all, he has only one life. But the book I like best is Cakes and Ale. It was an amusing book to write."[155]

The Moon and Sixpence is the story of a man rejecting a conventional lifestyle, family obliga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y to indulge his ambition to be a painter.[156] The structure of the book is unusual in that the protagonist is already dead before the novel opens, and the narrator attempts to piece together his story, and particularly his final years in Tahitian exile. The Razor's Edge, the author's last major novel,[5] is described by Sutherland as "Maugham's twentieth-century manifesto for human fulfilment", satirising Western materialism and drawing on Eastern spiritualism as a way to find meaning in existence.[157]

Short stories[edit]

See also: List of works by W. Somerset Maugham § Novels and story collections
Mediaeval scene, with a figure in armour carrying a banner reading "Cupid and the Vicar of Swale by Wm Somerset Maugham"
Illustrated title of an early (1900) Maugham short story

For many readers and critics, the best of Maugham is in his short stories.[158][159] Raphael writes that Maugham became widely regarded as the supreme English exponent of the form – "both the magazine squib and the more elaborate conte".[73] Most were first published in weekly or monthly magazines and later collected in book form. The first volume, Orientations, came out in 1898 and his last, Creatures of Circumstance, in 1947, with seven others between the two. Maugham's British and American publishers issued and reissued various, sometimes overlapping, permutations during his lifetime and subsequently.[160]

The stories range from the short sketches of On a Chinese Screen, which he had written during his 1920 travels through China and Hong Kong, to many, mostly serious, short stories dealing with the lives of British and other colonial expatriates in the Pacific Islands and Asia. These often convey the emotional toll that isolation exacts from the characters. Among the best-known examples are "Rain" (1921), charting the moral disintegration of a missionary attempting to convert the sexual sinner Sadie Thompson;[161] "The Letter" (1924), dealing with domestic murder and its implications;[162] "The Book Bag" (1932), a story of the tragic result of an incestuous relationship;[163] and "Flotsam and Jetsam" (1947), set in a rubber plantation in Borneo, where a dreadful shared secret binds a husband and wife to a mutually abhorrent relationship.[164]

Among the short stories set in England, one of the best-known is "The Alien Corn" (1931), where a young man rediscovers his Jewish heritage and rejects his family's efforts to distance themselves from Judaism.[n 16] His aspiration to become a concert pianist ends in failure and suicide.[167] Another English story is "Lord Mountdrago" (1939), depicting the psychological collapse of a pompous cabinet minister.[168]

The polished, detached William Ashenden, the central figure of the eponymous collection of spy stories (1928), is a writer recruited, as Maugham was, into the British Secret Service. His stories – the first in the genre of spy fiction continued by Ian Fleming, John le Carré and many others[169] – are based so closely on Maugham's experiences that it was not until ten years after the war ended that the security services permitted their publication.[170] In the 1928 volume Ashenden features in sixteen stories; two years later he reappeared, in his peacetime role of writer, as the narrator of Cakes and Ale.[171]

Comic stories include "Jane" (1923), about a dowdy widow who reinvents herself as an outrageous and conspicuous society figure, to the consternation of her family;[172] "The Creative Impulse" (1926), in which a domineering authoress is shocked when her mild-mannered husband leaves her and sets up home with their cook;[172] and "The Three Fat Women of Antibes" (1933) in which three middle-aged friends play highly competitive bridge while attempting to slim, until reversals at the bridge table at the hands of an effortlessly slender fourth player provoke them into extravagantly breaking their diets.[173]

Adaptations[edit]

See also: W. Somerset Maugham on stage and screen § Film adaptations
film poster featuring head and shoulders of young white woman and man lovingly side by side
Patricia Ellis and Douglas Fairbanks Jr. in the 1933 film of Maugham's 1932 novel The Narrow Corner

The New York Times commented in 1964:

There are times when one thinks that British television and radio would have to shut up shop if there were not an apparently inexhaustible supply of stories by Maugham to turn into 30-minute plays. One recalls, too, the long list of movies that have been made from his novels − Of Human Bondage, The Moon and Sixpence, The Painted Veil, The Razor's Edge and the rest".[174]

In a study published thirteen years after Maugham's death, Robert L. Calder notes that the writer's works had been made into forty films and hundreds of radio and television plays, and he suggests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no other serious writer's work has been so often presented in other media".[175]

In Calder's view Maugham's "ability to tell a fascinating story and his dramatic skill" appealed strongly to the makers of films and radio programmes, but his liberal attitudes, disregard of conventional morality and unsentimental view of humanity led adapters to make his stories "blander, safer, and more narrowly moralistic than he had ever conceived them".[176] Some of his stories were judged too improper for the cinema; Calder cites an adaptation of the historical novel Then and Now which the Hays Office rejected for thirty-seven separate reasons.[177] In the first screen version of Rain (1928) expurgations fundamentally altered the characters;[178] an adaptation of "The Facts of Life" in the 1948 omnibus film Quartet omitted the key plot point that the scheming young woman on whom the young hero turns the tables is a prostitute with whom he has just spent a night;[179] in "The Ant and the Grasshopper" a young adventurer marries not a rich old woman who dies soon afterwards but a rich young one who remains very much alive.[180] Titles were altered to avoid association with stage plays held to be sensational: Rain became Sadie Thompson and The Constant Wife became Charming Sinners.[178]

Radio and television adaptations have, in general, been more faithful to Maugham's original stories.[181] Calder cites BBC Television's series of twenty-six stories shown in 1969 and 1970, adapted by dramatists including Roy Clarke, Simon Gray, Hugh Leonard, Simon Raven and Hugh Whitemore,[182] "presented with scrupulous fidelity to [their] tone, attitude, and thematic intention".[183] On radio, the BBC's connection with Maugham goes back to 1930, when Hermione Gingold and Richard Goolden starred in an adaptation of "Before the Party" from his 1922 volume The Casuarina Tree.[184] Since then BBC radio has broadcast numerous adaptations of his plays, novels and short stories − ranging from one-off presentations to 12-part serialisations − including six productions of The Circle and two adaptations apiece of The Razor's Edge, Of Human Bondage and Cakes and Ale.[184]

Awards and honours[edit]

Maugham was appointed Companion of Honour in 1954,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British prime minister, Winston Churchill,[119] and six years later – along with Churchill – he was one of the first five writers to be made a Companion of Literature.[n 17] He was a Commandeur of the Legion of Honour, and an honorary doctor of the universities of Oxford and Toulouse. On his eightieth birthday the Garrick Club gave a dinner in his honour: only Dickens, Thackeray and Trollope had been similarly honoured.[73] He was a 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Literature, a Fellow of the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an honorary mem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and an honorary senator of Heidelberg University.[186]

Reputation[edit]

The critic Philip Holden wrote in 2006 that Maugham occupies a paradoxical position in twentieth-century British literature. Although he was an important influence on many well-known writers, "Maugham's critical stock has remained low".[187] Maugham outsold, and outlived, contemporaries such as James Joyce, Virginia Woolf and D. H. Lawrence, but, in Holden's view, "he could not match them in terms of stylistic innovation or thematic complexity".[187] Nonetheless, Maugham is recognised as an influence on Coward, Lawrence, Kingsley Amis, Graham Greene, Christopher Isherwood, V. S. Naipaul and George Orwell.[188] His urbane spy, Ashenden, influenced the stories of Raymond Chandler, Ian Fleming, Georges Simenon and John le Carré.[188]

In The Summing Up (1938), Maugham wrote of his non-dramatic work, "I have no illusions about my literary position. There are but two important critics in my own country who have troubled to take me seriously and when clever young men write essays about contemporary fiction they never think of considering me. I do not resent it. It is very natural".[189] Some biographers have doubted Maugham's claim to be unresentful at being overlooked or dismissed by literary critics, but there is little doubt that he was right about it.[190] L. A. G. Strong acknowledged his craftsmanship, but described his writing as having an effect like "that of music expertly played in an expensive restaurant at dinner".[191] Virginia Woolf was friendly though a little patronising;[192] Lytton Strachey disparaged one of his books as "Class II, Division I".[193] Lee Wilson Dodd wrote, "Mr Maugham knows how to plan a story and carry it through. Competence is the word. His style is without a trace of imaginative beauty."[194] In a 2016 survey Don Adams remarks, "The gist of the criticism of Maugham's fiction, that it lack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fundity, is remarkably consistent throughout the decades."[195]

The "two important critics" Maugham referred to were probably Desmond MacCarthy and Raymond Mortimer;[190] the former particularly praised the short stories, tracing their roots in French naturalism, and the latter reviewed Maugham's books carefully and on the whole favourably in the New Statesman.[190] A rising critic of a younger generation, Cyril Connolly, praised Maugham for his lucidity and called him "the last of the great professional writers",[190] but Connolly's contemporary Edmund Wilson insisted that Maugham was second-rate and "disappointing".[196][n 18] Even an admirer such as Evelyn Waugh felt that Maugham's disciplined writing with its "brilliant technical dexterity" was not without disadvantages:

He is never boring or clumsy, he never gives a false impression; he is never shocking; but this very diplomatic polish makes impossible for him any of those sudden transcendent flashes of passion and beauty which less competent novelists occasionally attain.[198]

Maugham himself, although he never used the terms "second rate" or "mediocre" about his work,[199][n 19] was modest about his status. He said that lacking any great powers of imagination he wrote about what he saw, and that although he could see more than most people could, "the greatest writers can see through a brick wall – my vision is not so penetrating".[202]

Marking Maugham's eightieth birthday The New York Times commented that he had not only outlived his contemporaries including Shaw, Joseph Conrad, H. G. Wells, Henry James, Arnold Bennett and John Galsworthy but was now seen to rank with them in excellence, after years in which his popularity had caused critics to depreciate his work.[158] The tribute continued, "Best sellers that appeal to the mass reader are seldom good literature, but there are exceptions. Of Human Bondage is certainly one; Cakes and Ale probably; The Moon and Sixpence possibly. Some of the short stories will undoubtedly prove immortal".[158] In 2014 Robert McCrum concluded an article about Of Human Bondage − which he said "shows the author's savage honesty and gift for storytelling at their best":

Many would say that his short stories embody his best work, and he remains a substantial figure in the early-20th-century literary landscape. Although Maugham's former reputation has become somewhat eclipsed, Of Human Bondage can still be cited as his masterpiece, a 20th-century English classic with a devoted following.[159]

Notes, references and sources[edit]

Notes[edit]

  1. ^ Jump up to:a b According to the biographers Ted Morgan (1980) and Jeffrey Meyers (2004), Maugham died on 15 December;[2] Selina Hastings (2010) writes that he died in the early hours of 16 December.[3] The official registration gave the date as 16 December.[4]
  2. ^ Maugham usually published his works under the name of W. Somerset Maugham,[1] but in many biographies and studies of him, including those by Selina Hastings, Jeffrey Meyers and Frederic Raphael, he is referred to in the title as Somerset Maugham tout court.
  3. ^ Of their seven children, three died in infancy.[7]
  4. ^ Hastings comments that for the young Maugham the hardest thing to accept in abandoning religious faith was "the knowledge that with no expectation of an afterlife he would never see his mother again".[17] Maugham wrote in 1894, "I do not believe in God. I see no need of such an idea. It is incredible to me that there should be an after-life. I find the notion of future punishment outrageous and of future reward extravagant. I am convinced that when I die, I shall cease entirely to live; I shall return to the earth I came from".[18]
  5. ^ Crowley's Vanity Fair review is reprinted in Anthony Curtis and John Whitehead, eds., W. Somerset Maugham The Critical Heritage (Routledge Kegan & Paul, 1987), pp. 44–56.
  6. ^ The decree nisi was granted on the grounds of adultery on 14 February 1916,[59] and the divorce was finalised by the decree absolute issued on 30 August 1916, after which Maugham and Syrie were free to marry.[60]
  7. ^ A colleague in Lausanne had been imprisoned for two years for breaking Swiss law.[63]
  8. ^ Maugham gave his ex-wife a house in the King's Road, fully furnished, a Rolls-Royce and £2,400 pounds a year for her (equivalent to £155,225 in 2021) and £600 for Liza (equivalent to £38,806 in 2021).[86]
  9. ^ This was Maugham's longest-running original play, but a dramatisation of his short story Rain made by John Colton and Clemence Randolph in 1921 ran on Broadway for 648 performances.[89]
  10. ^ Maugham said, "Sometimes it fills me with uneasiness that no less than thirteen persons should spend their lives administering to the comfort of one old party".[100] Robin Maugham records that as late as the 1960s Maugham employed six indoor servants and four gardeners.[101]
  11. ^ The judges for the inaugural award were V. S. Pritchett, C. V. Wedgwood and Cecil Day-Lewis. Among winners during Maugham's lifetime were Doris Lessing (1954), Kingsley Amis (1955), Ted Hughes (1960), V. S. Naipaul (1961) and John le Carré (1964).[115]
  12. ^ Maugham considered himself a better writer than Thomas Hardy or John Galsworthy, who were among the few earlier novelists to receive the OM.[119]
  13. ^ Sources differ (see footnote 1) on whether Maugham died on 15 or 16 December, bu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o circumvent a law requiring autopsies in cases of death in hospital, he was taken by ambulance, shortly before or shortly after his death, to La Mauresque and it was announced that he had died there on 16 December.[2]
  14. ^ The adaptation was by John Colton and Clemence Randolph.[89]
  15. ^ The play was first presented in New York in 1917, running for 112 performances.[137]
  16. ^ Frederic Raphael in his biography of Maugham, comments that although Maugham has sometimes been accused of anti-Semitism, it is not in evidence in this story, which treats the Jewish characters with a sympathy "which is not to be found in more 'important' writers of the period".[165] Morgan and others nevertheless record slighting remarks, as well as complimentary ones, Maugham made elsewhere about Jews.[166]
  17. ^ The other three were E. M. Forster, John Masefield and G. M. Trevelyan.[185]
  18. ^ Wilson later admitted that he had not read Of Human Bondage, Cakes and Ale or The Razor's Edge.[197]
  19. ^ In his 1980 biography of Maugham, Ted Morgan mistakenly states that in The Summing Up Maugham wrote, "I know just where I stand – in the very first row of the second-raters".[197] As the later researchers Daniel Blackburn and Alexander Arsov have pointed out, this phrase does not appear in Maugham's book and there is no known evidence that he ever used it anywhere.[200] Nonetheless the phrase has been wrongly attributed to Maugham in press articles, biographies and dictionaries of quotations.[201]

References[edit]

  1. ^ Meyers, p. 9
  2. ^ Jump up to:a b Morgan, p. 617; and Meyers, p. 338
  3. ^ Hastings, p. 547
  4. ^ Morgan, p. 617
  5. ^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Connon, Bryan "Maugham, (William) Somerset" Archived 28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4. Retrieved 25 July 2022 (subscription or UK public library membership required)
  6. ^ Hastings, p. 5
  7. ^ Rogal, p. 157
  8. ^ Jump up to:a b "Lord Maugham", The Times, 24 March 1958, p. 14
  9. ^ Hastings, p. 7
  10. ^ Hastings, p. 8
  11. ^ Maugham (1975), p. 118
  12. ^ Meyers, p. 9; Maugham (1975), p. 15; Coward, pp. 227–228; Mander and Mitchenson, p. 204; and Lyttelton and Hart-Davis (1978), p. 195
  13. ^ Meyers, pp. 11–12
  14. ^ Meyers, p. 12
  15. ^ Meyers, p. 3
  16. ^ Hastings, pp. 15 and 28
  17. ^ Hastings, p. 28
  18. ^ Maugham (1984), p. 26
  19. ^ Morgan, pp. 17 and 24
  20. ^ Jump up to:a b Hastings, p. 497
  21. ^ Morgan, p. 24
  22. ^ Jump up to:a b Morgan, p. 26
  23. ^ Hastings, p. 25
  24. ^ Hastings, p. 35
  25. ^ Jump up to:a b Morgan, p. 27
  26. ^ Jump up to:a b Maugham (1938), p. 61
  27. ^ Hastings, p. 36
  28. ^ Maugham (1951), p. 8
  29. ^ "Some New Novels", The Evening Standard, 18 September 1897, p. 2
  30. ^ "Liza of Lambeth", The Westminster Gazette, 27 September 1897, p. 2
  31. ^ "Recent Novels", The Times, 28 December 1897, p. 11
  32. ^ "Liza of Lambeth", St James's Gazette, 6 October 1897, p. 2
  33. ^ Maugham (1954), p. 8
  34. ^ Jump up to:a b Raphael, p. 14
  35. ^ Maugham (1939), p. 99
  36. ^ Hastings, p. 61
  37. ^ Morgan, p. 68
  38. ^ "Lady Frederick", The Era, 2 November 1907, p. 19
  39. ^ Mander and Mitchenson, p. 6
  40. ^ Mander and Mitchenson, pp. 5 and 53
  41. ^ Mander and Mitchenson, p. 53
  42. ^ Mander and Mitchenson, p. 56
  43. ^ Maugham (1938), p. 33
  44. ^ Jump up to:a b Morgan, p. 669
  45. ^ Morgan, p. 120
  46. ^ Morgan, pp. 36−37
  47. ^ Maugham (1975), p. 240
  48. ^ Meyers, p. 77
  49. ^ Morgan, pp. 178–179
  50. ^ Hastings, p. 166
  51. ^ Morgan, p. 192
  52. ^ Jump up to:a b Sutherland, John. "Of Human Bondage" Archived 26 July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Literature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Retrieved 17 August 2022 (subscription required)
  53. ^ Raphael, p. 25
  54. ^ Meyers, pp. 60 and 111
  55. ^ Morgan, p. 188
  56. ^ Jump up to:a b Morgan, p. 197
  57. ^ Morgan, pp. 197–198.
  58. ^ Morgan, pp. 198–199
  59. ^ "Probate, Divorce and Admiralty Division", The Times, 15 February 1916, p. 4
  60. ^ Hastings, p. 195
  61. ^ Fowler, p. 114; and Meyers, pp. 113–115
  62. ^ Jump up to:a b Meyers, pp. 113–115
  63. ^ Meyers, p. 114
  64. ^ "London Theatres", The Stage, 10 February 1916, p. 22
  65. ^ Jump up to:a b Meyers, p. 117
  66. ^ Morgan, p. 207; and Meyers, p. 117
  67. ^ Maugham (1938), p. 29
  68. ^ Maugham (1938), p. 200
  69. ^ Morgan, pp. 221–222
  70. ^ Fowler, pp. 112–115
  71. ^ Morgan, p. 231
  72. ^ "Home and Beauty", The Times, 1 September 1919, p. 8
  73. ^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Raphael, Frederic. "Maugham, William Somerset" Archived 28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Retrieved 28 July 2022 (subscription or UK public library membership required)
  74. ^ "With Silent Friends", The Tatler, 4 June 1919, p. 268
  75. ^ "Mr Maugham's new novel", Westminster Gazette, 3 May 1919, p. 9
  76. ^ "Somerset Maugham's Great Allegory", Philadelphia Evening Public Ledger, 9 August 1919, p. 6
  77. ^ Hastings, p. 181
  78. ^ Hastings, pp. 236–237
  79. ^ Hastings, p. 241
  80. ^ Morgan, p. 249
  81. ^ Hastings, pp. 253 and 257–259
  82. ^ Quoted in Hastings, p. 258
  83. ^ Hastings, p. 285
  84. ^ Hastings, p. 282
  85. ^ Hastings, pp. 315 and 317
  86. ^ Morgan, p. 308
  87. ^ Morgan, p. 670
  88. ^ Mander and Mitchenson, p. 144
  89. ^ Jump up to:a b c Mander and Mitchenson, pp. 143 and 252
  90. ^ Jump up to:a b Hastings, p. 350
  91. ^ Maugham (1950), pp. ix–x
  92. ^ Coward, p. 227
  93. ^ Mander and Mitchenson, pp. 251–252
  94. ^ Coward, p. 226; and Mander and Mitchenson, pp. 245–246
  95. ^ Maugham (1952), p. xvii
  96. ^ Raphael, p. 64
  97. ^ Raphael, p. 67
  98. ^ Quoted in Raphael, p. 68
  99. ^ Zaleski, p. 219
  100. ^ Morgan, p. 307
  101. ^ Maugham (1975), p. 243
  102. ^ Raphael, pp. 72–73
  103. ^ Raphael, p. 73
  104. ^ Morgan, p. 469
  105. ^ Morgan, p. 113
  106. ^ Morgan, p. 475
  107. ^ Morgan, p. 476
  108. ^ Morgan, pp. 478 and 483
  109. ^ Maugham (1975), p. 58
  110. ^ Hastings, p. 344
  111. ^ Morgan, pp. 313–314
  112. ^ Hastings, pp. 539 and 543
  113. ^ Meyers, p. 276
  114. ^ Hastings, p. 495
  115. ^ Hastings, p. 496
  116. ^ Sutherland, John. "Maugham, W. Somerset" Archived 13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Literature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Retrieved 13 August 2022 (subscription required)
  117. ^ Jonas, p. 20
  118. ^ Hastings, p. 501
  119. ^ Jump up to:a b c d Hastings, p. 503
  120. ^ Jump up to:a b "Mr Somerset Maugham's Library for School", The Times, 30 March 1961, p. 6
  121. ^ Hastings, p. 507
  122. ^ Raphael, p. 119
  123. ^ Morgan, p. 420
  124. ^ Morgan, pp. 607–608
  125. ^ Morgan, p. 619
  126. ^ Morgan, pp. 669–671
  127. ^ Morgan, p. 555
  128. ^ Morgan, p. 86
  129. ^ Jump up to:a b Funsten, p. 1899
  130. ^ Knowles, pp. 515 and 719–721
  131. ^ Curtis and Whitehead, p. 424
  132. ^ Lyttelton and Hart-Davis (1984), pp. 6 and 97–98
  133. ^ Morgan, pp. 343–343
  134. ^ Maugham (1931), p. 255
  135. ^ Curtis and Whitehead, p. 442
  136. ^ Mander and Mitchenson, pp. 191, 205 and 210
  137. ^ Mander and Mitchenson, p. 143
  138. ^ Mander and Mitchenson, pp. 27, 59, 143 and 295
  139. ^ Jump up to:a b c Mander and Mitchenson, p. 1
  140. ^ Crawford Fred D. "Bernard Shaw's Theory of Literary Art",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34, No. 1 (Spring 1982), pp. 21 and 23 (subscription required) Archived 15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and Mander and Mitchenson, p. 15
  141. ^ Mander and Mitchenson, p. 15; and Richards, pp. 25 and 68
  142. ^ Sternlicht, p. 72; Innes p. 254; Rogal, p. 247 and Curtis, p. 398
  143. ^ Innes, p. 254
  144. ^ Gates, Anita. " In Fine Society, Infidelity and Its Consequences" Archived 15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New York Times, 19 June 2011, Section CT, p. 10
  145. ^ Mander and Mitchenson, p. 2
  146. ^ "W. Somerset Maugham" Archived 15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Internet Broadway Database. Retrieved 15 August 2022
  147. ^ "Somerset Maugham" Archived 29 July 2022 at the Wayback Machine, National Theatre archive. Retrieved 29 July 2022
  148. ^ "The Old Vic", The Times, 13 April 1993, p. 31; Nightingale, Benedict. "BN's best London shows", The Times, 2 December 2000, p. 53; and Johns, Ian. "Oh what a frivolous look at war", The Times, 31 October 2002, p. 23
  149. ^ "W. Somerset Maugham" Archived 17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Oxford Reference; "Maugham, W. Somerset" Archived 17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and Sutherland, John. "Maugham, W. Somerset" Archived 13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Literature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and 2009. Retrieved 17 August 2022 (subscription required)
  150. ^ Morgan, pp. 55 and 57
  151. ^ Morgan, p. 53
  152. ^ Meyers, pp. 164−165
  153. ^ Ross, pp. 117–118
  154. ^ Meyers, p. 199
  155. ^ Maugham (1950), pp. xi–xii
  156. ^ Morgan, p. 239
  157. ^ Sutherland, John. "Razor's Edge, The" Archived 17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Literature in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Retrieved 17 August 2022 (subscription required)
  158. ^ Jump up to:a b c Curtis and Whitehead, p. 434
  159. ^ Jump up to:a b McCrum, Robert. "The 100 best novels: No 44 – Of Human Bondage by W Somerset Maugham (1915)" Archived 11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Guardian, 21 July 2014
  160. ^ Morgan, pp. 669–670
  161. ^ Morgan, p. 252
  162. ^ Meyers, p. 252
  163. ^ Meyers, p. 366
  164. ^ Meyers, p. 289
  165. ^ Raphael, p. 60
  166. ^ Morgan, p. 140
  167. ^ Meyers, p. 208
  168. ^ Morgan, p. 438
  169. ^ Hastings, p. 228
  170. ^ Hastings, p. 226
  171. ^ Hastings, p. 345
  172. ^ Jump up to:a b Morgan, p. 354
  173. ^ Curtis and Whitehead, p. 342
  174. ^ Quoted in Curtis and Whitehead, p. 448
  175. ^ Calder, p. 262
  176. ^ Calder, p. 263
  177. ^ Calder, pp. 263−264
  178. ^ Jump up to:a b Calder, p. 264
  179. ^ Calder, pp. 264−265
  180. ^ Calder, p. 266
  181. ^ Calder, pp. 271−272
  182. ^ "W. Somerset Maugham" Archived 16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BBC Genome. Retrieved 16 August 2022
  183. ^ Calder, p. 272
  184. ^ Jump up to:a b "Somerset Maugham" Archived 28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BBC Genome. Retrieved 16 August 2022
  185. ^ "Companions of Literature", The Sphere, 27 May 1961, p. 329
  186. ^ "Maugham, (William) Somerset", Who's Who & Who Was 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Retrieved 29 July 2022 (subscription required) Archived 13 June 2021 at the Wayback Machine
  187. ^ Jump up to:a b Holden, Philip. "Maugham, W. Somerset" Archived 17 August 2022 at the Wayback Machine, The Oxford Encyclopedia of Brit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Retrieved 17 August 2022 (subscription required)
  188. ^ Jump up to:a b Morgan, p. 388
  189. ^ Maugham (1938), p. 147
  190. ^ Jump up to:a b c d Curtis and Whitehead, p. 1
  191. ^ Quoted in Curtis and Whitehead, p. 14
  192. ^ Morgan, p. 111
  193. ^ Morgan, p. 280
  194. ^ Curtis and Whitehead, p. 194
  195. ^ Adams, p. 45
  196. ^ Morgan, p. 500
  197. ^ Jump up to:a b Morgan, p. 501
  198. ^ Quoted in Curtis and Whitehead, p. 188
  199. ^ Blackburn and Arsov, p. 142
  200. ^ Blackburn and Arsov, pp. 140 and 149
  201. ^ Blackburn and Arsov, p. 149
  202. ^ Maugham (1984), p. 142

Sources[edit]

Books[edit]

  • Coward, Noël (2007). Barry Day (ed.). The Letters of Noël Coward. London: Methuen. ISBN 978-1-4081-0675-4.
  • Curtis, Anthony; John Whitehead (1987). W. Somerset Maugham: The Critical Herita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and Kegan Paul. ISBN 978-0-415-15925-8.
  • Fowler, Wilton B. (1969). British-American Relations, 1917-1918; The Role of Sir William Wisema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7650-1.
  • Funsten, Kenneth (1981). "W. Somerset Maugham". In Frank N. Magill (ed.). Critical Survey of Short Fiction. Vol. 5. Englewood Cliffs: Salem Press. OCLC 559531006.
  • Hastings, Selina (2010) [2009]. The Secret Lives of Somerset Maugham: A Biography. New York: Random House. ISBN 978-0-679-60371-9.
  • Innes, Christopher (2002). Modern British Drama: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1675-9.
  • Knowles, Elizabeth, ed. (2014). The Oxford Dictionary of Quotatio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6870-0.
  • Lyttelton, George; Rupert Hart-Davis (1978). Lyttelton–Hart-Davis Letters. Vol. 1. London: John Murray. ISBN 978-0-7195-3478-2.
  • Lyttelton, George; Rupert Hart-Davis (1984). Lyttelton–Hart-Davis Letters. Vol. 6. London: John Murray. ISBN 978-0-7195-4108-7.
  • Mander, Raymond; Joe Mitchenson (1955). Theatrical Companion to Maugham. London: Rockliffe. OCLC 1336174067.
  • Maugham, Robin (1975) [1966]. Somerset and All the Maughams. London: Penguin. ISBN 978-0-14-003906-1.
  • Maugham, W. Somerset (1931). First Person Singular. London: Heinemann. OCLC 702711668.
  • Maugham, W. Somerset (1938). The Summing Up. London: Heinemann. OCLC 270829625.
  • Maugham, W. Somerset (1950) [1930]. Cakes and Ale. New York: Random House. OCLC 228969568.
  • Maugham, W. Somerset (1951) [1897]. Liza of Lambeth. London: Heinemann. OCLC 903861310.
  • Maugham, W. Somerset (1952). Collected Plays. Vol. 3. London: Heinemann. OCLC 851722749.
  • Maugham, W. Somerset (1954). The Partial View. London: Heinemann. OCLC 1239777338.
  • Maugham, W. Somerset (1984) [1915]. A Writer's Notebook. London: Penguin. ISBN 978-0-14-002644-3.
  • Meyers, Jeffrey (2004). Somerset Maugham: A Life. New York: Knopf. ISBN 9780375414756. OCLC 754042769.
  • Morgan, Ted (1980). Maugham. New York: Simon and Schuster. ISBN 9780671505813. OCLC 1036531202.
  • Raphael, Frederic (1989). Somerset Maugham. London: Thames and Hudson. OCLC 658161005.
  • Richards, Dick (1970). The Wit of Noël Coward. London: Sphere Books. ISBN 978-0-7221-3676-8.
  • Rogal, Samuel J. (1997). A William Somerset Maugham Encyclopedia. Westport and London: Greenwood Press. ISBN 978-0-313-29916-2.
  • Sternlicht, Sanford (2004). A Reader's Guide to Modern British Drama. Syracuse: Syracuse University Press. ISBN 978-0-8156-3076-0.
  • Zaleski, Philip; Carol Zaleski (2006). Prayer: A History. 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ISBN 978-0-618-77360-2.

Journals[edit]

  • Adams, Don (March 2016). "Somerset Maugham's Ethically Earnest Fiction". The Cambridge Quarterly. 45 (1): 42–67. doi:10.1093/camqtly/bfv039. JSTOR 4407495. (subscription required)
  • Blackburn, Daniel; Alexander Arsov (January 2016). "W. Somerset Maugham's apocryphal second-rate status: setting the record straight". English Literature in Transition 1880–1920. 59 (2): 139–152. (subscription required)
  • Calder, Robert L. (Summer 1978). "Somerset Maugham and the Cinema". Literature/Film Quarterly. 6 (3): 262–273. JSTOR 43796106. (subscription required)
  • Jonas, Klaus W. (Winter 1959). "W. Somerset Maugham: An Appreciation". Books Abroad. 33 (1): 20–24. doi:10.2307/40097653. JSTOR 40097653. (subscription required)
  • Ross, Woodburn (December 1946). "W. Somerset Maugham: Theme and Variations". College English. 8 (3): 113–122. doi:10.2307/371434. JSTOR 371434. (subscription required)

External links[edit]

Library resources about
W. Somerset Maugham

  • Resources in your library
  • Resources in other libraries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William Somerset Maugham.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William Somerset Maugham.
Wikisource has original works by or about:
William Somerset Maugham
  • Works by W. Somerset Maugham in eBook form at Standard Ebooks
  • Works by Somerset Maugham at Project Gutenberg
  • Works by W. Somerset (William Somerset) Maugham at Faded Page (Canada)
  • Works by or about W. Somerset Maugham at Internet Archive
  • Works by W. Somerset Maugham at LibriVox (public domain audiobooks) 
  • W. Somerset Maugham at Internet Off-Broadway Database
  • National Theatre, Maugham's Theatrical Collection
  • National Theatre, Shakespearean Characters
  • William Somerset Maugham's stories on Malaya, Borneo and Singapore
  • W. Somerset Maugham at the Internet Book List
hide
  • v
  • t
  • e
Works by W. Somerset Maugham
Novels
  • Liza of Lambeth (1897)
  • Mrs Craddock (1902)
  • The Magician (1908)
  • Of Human Bondage (1915)
  • The Moon and Sixpence (1919)
  • The Painted Veil (1925)
  • Cakes and Ale (1930)
  • The Narrow Corner (1932)
  • Theatre (1937)
  • Up at the Villa (1941)
  • The Razor's Edge (1944)
  • Then and Now (1946)
  • Catalina (1948)
Short story collections
  • The Trembling of a Leaf (1921)
  • The Casuarina Tree (1926)
  • Ashenden (1928)
  • Ah King (1933)
  • The Mixture as Before (1940)
  • Creatures of Circumstance (1947)
Plays
  • Loaves and Fishes (1902)
  • Lady Frederick (1907)
  • Smith (1909)
  • Penelope (1909)
  • The Land of Promise (1913)
  • Our Betters (1917)
  • Caesar's Wife (1919)
  • The Circle (1921)
  • The Constant Wife (1926)
  • The Letter (1927)
  • The Sacred Flame (1928)
  • The Bread-Winner (1930)
  • For Services Rendered (1932)
  • Sheppey (1933)
Non-fiction
  • On a Chinese Screen (1922)
  • The Summing Up (1938)
  • Ten Novels and Their Authors (1954)
Related
  • Somerset Maugham Award
show
  • v
  • t
  • e
W. Somerset Maugham's The Painted Veil
show
  • v
  • t
  • e
W. Somerset Maugham's Of Human Bondage (1915)




====
Posted by Sejin at February 17, 2023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The Razor's Edge

THE RAZOR'S EDGE (1946) urges for escape from the rat race — Moviejawn

THE RAZOR'S EDGE (1946) urges for escape from the rat race — Moviejawn





HOME
ABOUT MJ
MJ SHOP
MJ PATREON
MJ PODCASTS
MJ MOVIES
MJ MAIL
CONTACT
SEARCH




THE RAZOR'S EDGE (1946) urges for escape from the rat race
JUNE 22, 2022 IN REVIEWS, ROSALIE KICKS, DISC REVIEW


Written by Lamar Trotti (screenplay), W. Somerset Maugham (novel) and Darryl Zanuck (uncredited)
Directed by Edmund Goulding
Starring Tyrone Power, Gene Tierney, Anne Baxter and Herbert Marshall
Running time 2 hours and 25 minutes
MPAA Rating
Available on DVD and Blu-ray from Signal One

by Rosalie Kicks, Editor in Chief and Old Sport

“The dead look so terribly dead when they’re dead.”

My perpetual state of existence, as of late, is that of being filled with the incredible desire for grabbing a bindle and running away from it all.




For the past six months or so I have spent a lot of time in contemplation mode. This noodle of mine has been cooking and the wheels have been spinning, yet it has been hard to convey what exactly I have been thinking about. One thing is certain though: I must escape. My nearest and dearest have inquired for further details into what I now have coined, “the grand fantastical magical escape”. Unfortunately, I don’t have a clear or concise response. Typically I have blueprints at the ready, task lists to be conquered, but this time is different. Instead, I find myself saying, “Welllll…. it is hard to explain.” In other words, I have no idea. But I promise to let you know as soon as I figure it out.

Which brings me to the motion picture The Razor’s Edge (1946). There are moments in life in which I feel are truly destiny (aka density… if ya know, ya know). An occasion that can only be described as fate. This is exactly my feeling about having this specific film come into life at this specific time. There is not a doubt in my mind that I heard the voices of angels as I opened the tray of my 4K player to insert the Blu-ray disc (or maybe my partner in crime Benjamin placed the disc in the player… either way, there were angelic sounds). I had requested to review the release from Signal One and am now forever thankful I did.

Based on the 1944 novel from W. Somerset Maugham, it tells the tale of Larry Darrell (Tyrone Power) and Isabel Bradley (Gene Tierney). We first meet these characters at a society party and Isabel is abuzz with nerves after learning her fiancée Larry has declined a position with a well known tycoon and his son, Gray Maturin (John Payne) at a prestigious firm. As she awaits his arrival, we are introduced to other players such as the author himself, W. Somerset Maugham portrayed by Herbert Marshall, who serves as the narrator through the duration of the film. We also make the acquaintance of their childhood friends, Sophie MacDonald (Anne Baxter) and Bob MacDonald (Frank Latimire) who appear as the picture of devotion.

Upon Larry’s arrival to the party, Isabel tries to make heads or tails of his decision to turn down the opportunity for a secure future. Larry explains, “Sitting in an office making a lot of money doesn’t interest me…”. Instead he would prefer to live like a tumbleweed and see where the wind takes him. He wants to travel, take chances and welllll… figure things out.

“What will you do in Europe?”

Isabel is absolutely perplexed by Larry’s decision to not only travel to Paris but to take a journey without a semblance of a plan. In response to her question about what he will do while there, Larry matter of factly responds, “Loaf!”. This was essentially the moment in the film where I felt seen. Sometimes, you don’t know where you’re going but you have to trust yourself that you will find where you are supposed to be.

Throughout the film, Larry continues to befuddle those around him. He especially makes himself the concern of Isabel’s uncle Elliot Templeton (Clifton Webb). Unfortunately, Elliot’s intentions are out of regard for the well being of his niece in terms of her monetary needs. He sees Larry as a fool that is squandering his life away and does not want to see Isabel become entangled with a failure. He sees her social status as of utmost importance and aspires for her to marry someone like Gray (who, by the way is completely infatuated with Isabel, despite her not giving him the time of day). Sadly, Isabel lives by these same materialistic ideals and is unable to see that there is more to life beyond wealth. When she makes a trip to Paris in attempt to sway Larry to come back with her to the States and pursue what she deems a logical path, Larry refuses. Isabel is confused. Why would he want to live in what she sees as squalor? She comes to terms (or at least she believes she does) with the fact that they are simply not going to see eye to eye. At that moment, they decide to go their separate ways but remain friends. For Isabel, this leads to the marriage to a man (Gray) for his money and stature while Larry continues his pursuit of the unknown. A marriage, I must add, that Isabel will later say she did as a “sacrifice” in the name of Larry’s aspirations. Those that thought Gene Tierney was ruthless in Leave Her to Heaven as Ellen, may be surprised to find that as Isabel she is able to capture an even more heartless, vile creature.

As mentioned earlier, this film struck a chord with me as I find myself at a bit of a crossroads. I know that I am searching for something and, despite not knowing what that exactly is, I know deep down that I have to make the escape. As I approach forty, I feel I owe it to myself to try. Time has never felt more imminent and welllll, this may be the last chance at doing something incredibly wild. I have always followed the rules and have done as expected of me. I got the corporate job and even managed to climb the ladder a bit, knowing full well, deep down, this is not what I was made for. Much like Larry, sitting in an office making a lot of money never interested me. This story may be from the 1940s, but I could not help finding it more relevant to the now than ever.

The film’s story makes a jump in time and the choices that each of the characters made start to catch up with them. For Sophia, she is dealt an unfortunate tragedy that, unlike the others, finds a path dictated for her not by her own choice. I would be remiss to not add here that Anne Baxter, who was awarded an Oscar for her role as Sophia, gives an astounding performance that will absolutely rip your heart out and stomp on it. Prior to this, I thought her most memorable role was in All About Eve, but after witnessing her in The Razor’s Edge, I now have a new favorite Anne role. Whereas Gene Tierney, who is equally a master in terms of her craft, will cause one to have daggers in their eyes.

There is so much in this film that will stay with me for quite some time and my only hope is that I have done it enough justice to convince others to seek it out. This is one of those movies that I am sure I will revisit, which makes me incredibly thrilled to have it added to my library. Despite the minimal special features, this is a picture that will not leave someone with a feeling that they were hoodwinked (cough cough, I am looking at you Warner Archive and your DIY menus) into purchasing it. This piece of cinema truly speaks for itself and what it has to say is incredible.

THE RAZOR'S EDGE, TYRONE POWER, GENE TIERNEY, EDMUND GOULDING, SIGNAL ONE
3 LIKES
SHARE
===






Review: The Razor’s Edge



The second half plays slightly better than the first, if only because it gives in unashamedly to its plot of melodramatic intrigue.
by Jeremiah Kipp
May 15, 2005
Photo: 20th Century Fox


Bohemian philosophers around the world have long felt validated by W. Somerset Maugham’s novel The Razor’s Edge, where soul-searching Larry Darrell’s quest for enlightenment sends him from high society to the mountains of the Himalayas. He finds Buddhism a useful tool for living a happy life and eventually returns to Paris to share his experiences with old friends, including Maugham himself as bemused narrator. It makes for an enjoyable read, but the search for spiritual wisdom is inherently more digressive than dramatic and Larry Darrell, a poster boy for human kindness, is a nearly unplayable role. The only way to even attempt it would be to cast a humorous wild card like Bill Murray, as they did in the unsuccessful 1984 remake, and not Zorro himself, Tyrone Power. Power tries to look thoughtful, but sometimes tries too hard.

A well made studio picture directed by Edmund Gouding, The Razor’s Edge takes delight in the characters surrounding Larry, who comes off as a bore. In the opening sequence, his indifferent lovemaking to Isabel (Gene Tierney) can’t be written off as World War I shellshock—no girl can sensually connect with a saint in the making. Tierney sinks her teeth into the role of a spoiled rich girl who can’t help falling for Larry, but won’t give up her social status in the name of love. Instead, she marries her second choice, Gray (John Payne), an earnest and hard-working stock broker. While Larry travels off to The World (big sets courtesy of producer Darryl F. Zanuck, complete with painted Himalayas in the Indian background), Isabel lives the high life with effete snob Uncle Elliott (Clifton Webb), suave closet homosexual Maugham (Herbert Marshall), and second-fiddle girly girl Sophie (Anne Baxter).

With all the characters in place, Goulding indulges in voluptuously lit scenes dominated by well-dressed extras, lots of carousing and booze, catty dialogue, and water fountains that upstage everybody. Goulding is in his element here. Cutting back to Larry and the monks feels like a real chore as they endlessly sermonize about virtue, and one dreads Larry’s return to high society, dominating scene after scene with his heart of gold—especially after the 1929 stock market crash knocks all the hypocritical sophisticates down a peg or two. Larry acts like a benevolent Jesus Christ when everyone else is desperately trying to hang on to their lives of freewheeling fun, even as it sends them to their graves.

The second half of The Razor’s Edge plays slightly better than the first, if only because it gives in unashamedly to its plot of melodramatic intrigue. Sophie’s husband and child die in a car accident, and the poor girl ends up in an opium den of sin. Larry attempts to save her from drinking herself to death, but Isabel (who still loves him) does everything in her bitch-queen power to send Sophie back to her squalid pimps. It also includes a prima donna deathbed scene for Uncle Elliott, vainly awaiting a dinner invitation to an upcoming soiree, and delicious “scheming” between Isabel and Maugham where Tierney gets to act imperial as Marshall purrs and preens.

The moralistic bent of The Razor’s Edge is impossible to translate into pure cinema. Therefore, screenwriter Lamar Trotti resorts to monologues and sermons, mostly coming from Larry. It’s all very well for a novel, but on-screen it’s a snooze—all the more reason for a comedian or unpredictable loose canon of the Marlon Brando/Montgomery Clift School to embody this part. For a movie about the meaning of life, it’s far less existential than Alfred Hitchcock’s classic thriller Notorious, released the same year. That film philosophized too, in a more visual and emotional way about such timeless ideas as love, sex, and death. But because Hitchcock’s movie was about spies and intrigue, it was written off as perhaps a less important work than the highfalutin Razor’s Edge. Yet Hitchcock’s film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films ever made, and this adaptation of Maugham’s novel is well intentioned, well made, but hopelessly dated.


Score: Cast: Tyrone Power, Gene Tierney, John Payne, Anne Baxter, Clifton Webb, Elsa Lanchester, Herbert Marshall Director: Edmund Goulding Screenwriter: Lamar Trotti Distributor: 20th Century Fox Running Time: 145 min Rating: NR Year: 1946 Buy: Video

Posted by Sejin at February 17, 2023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The Razor's Edge

알라딘: 면도날 The Razor's Edge 서머싯 몸

알라딘: 면도날
면도날  |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4
서머싯 몸 (지은이),안진환 (옮긴이)민음사2009-06-30
원제 : The Razor's Edge (1944년)




전자책
9,100원 

529쪽

책소개

<인간의 굴레에서> <달과 6펜스>와 함께 서머싯 몸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1930년대 유럽을 배경으로 꿋꿋이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한 젊은이의 구도적 여정을 그린다. 날카로운 면도날을 넘어서는 것처럼 고되고 험난한 구도의 길을 선택한 한 젊은이를 통해 삶이 무엇인지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작품의 가장 중요한 축은 주인공 래리의 구도적 여정이다. 비록 어려서 부모를 잃었지만, 유복한 후견인 집안에서 부족할 것 없이 자란 래리는 여느 젊은이들처럼 교회에도 나가고 골프도 즐기는 평범한 청년이었다. 어려서부터 사귀어 온 예쁜 여자 친구와의 결혼도 아무런 장애 없이 받아들일 만큼 그의 미래는 순탄해 보였다.

비행기를 탈 수 있다는 소박한 기대로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뒤로 래리의 삶은 보통 젊은이들과 다른 궤도에 들어선다. 부대에서 친해진 친구가 자신을 구해 주고, 눈앞에서 숨을 거두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 것이 계기였다.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온 래리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존재론적 질문들에 사로잡힌다.

작품 속 시대는 1차 세계대전에서 시작하여 대공황기를 거쳐 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진다. 서머싯 몸은 이 시기의 사회적 혼돈을 소모적인 허무주의나 현실 도피로 연결하지 않는다. 세속적인 허영과 불안에 주목하기보다 래리라는 인물을 통해 인간은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 몰입한다.


목차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작품 해설
작가 연보


책속에서


나는 순간, 직감이랄까, 이 청년의 내면에서 어떤 혼란스러운 갈등이 요동치고 있지 않은가 하는 느낌이 들었다. 그런 갈등이 어느 정도 깊은 생각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막연한 감정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나도 알 수 없었지만, 혼란과 불안감에 사로잡혀서 어딘지도 모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래리, 그거 알아? 당신은 나한테 맞지도 않는 삶을 요구하고 있어. 내가 관심도 없고, 또 관심을 갖고 싶지도 않은 삶 말이야. 난 그저 평범한 여자일 뿐이라고. 몇 번이나 말해야 알겠어? 난 이제 겨우 스무 살이야. 10년 후면 늙어 버릴 거고, 지금 시간이 있을 때 삶을 즐기고 싶어. 아, 래리, 난 당신을 너무나 사랑해. 하지만 당신이 말하는 삶은 시시해.  접기



˝사랑에 빠져 있을 때 이런저런 상황이 뜻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사람들은 지독하게 괴로워하면서 도저히 극복하지 못할 것처럼 생각해. 하지만 바다가 얼마나 유용한지 알면 놀라게 될 걸.˝
˝그게 무슨 뜻이에요?˝
˝사랑은 항해에 서투르기 때문에 바다에 나서면 약해지지. 이사벨과 래리 사이에 대서양이 놓이게 되면, 배를... 더보기 - LAYLA
여자의 직감은 그 여자가 믿고 싶어 하는 것과 너무도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도무지 믿을 수가 없다. - LAYLA
여자들은 정말 불행한 존재예요. 사랑에 빠지면 매력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잖아요. - LAYLA

난 단지 자기 확신이 얼마나 강력한 열정이 될 수 있는지 알려 주고 싶었을 뿐이야. 정욕도, 굶주림도 그 옆에서는 아주 하찮은 것이 되어 버리지. 자기 확신에 사로잡히면 그것으로 자신의 성격을 완전히 단정 짓게 되고, 그로 인해 스스로를 파멸로 몰고 갈 수도 있어. 그 확신의 대상은 중요하지 않아.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일 수도 있지. 어쨌든 그것은 그 어떤 술보다 중독성이 강하고, 그 어떤 사랑보다 사람을 지치게 만들고, 또 그 어떤 악덕보다도 강력하고 매혹적이야. 사람은 자신을 희생시키는 순간 하나님보다 훨씬 더 위대한 존재가 되지. 왜냐면 전지전능한 하나님도 자신을 희생시키지는 못했으니까. 기껏해야 자신의 독생자, 그러니까 예수만 희생시켰지.  접기 - LAYLA

===
 
추천글
취향의 차이는 모든 것의 차이일까? - 문아름 
책만 읽지 말라는 경고 - 서민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 <밥보다 일기> 저자) 
인생을 진정 쓸모 있게 사는 방법 - 임재청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피터 박스올 
 -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1권> (마로니에북스 刊)


저자 및 역자소개
서머싯 몸 (William Somerset Maugham) (지은이) 

세계적 문호 중 가장 능숙한 이야기꾼의 하나인 서머싯 몸은 1874년 프랑스 파리에서 영국 대사관 법률 고문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8세 때 어머니가 사망하고 2년 뒤 아버지마저 세상을 뜨자, 영국의 교구 목사인 작은아버지 밑에서 성장했다. 사립 중등학교 킹스 스쿨에 입학했으나 적응하지 못하고 그만둔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 이후 런던의 성 토머스 병원 부속 의과 대학에 입학했지만, 의사보다 작가가 될 꿈을 품고 1897년 첫 소설 『램버스의 라이자』를 발표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의업을 포기하고 소설과 희곡 집필에 몰두했으며, 1908년 그의 희곡 네 편이 런던 웨스트엔드의 극장에서 동시 상연되면서 극작가로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1915년 자신의 정신적 발전의 자취를 더듬은 자전적 성장 소설 『인간의 굴레』를 출간했으며, 1919년 화가 폴 고갱의 전기에서 모티프를 얻어 쓴 소설 『달과 6펜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크게 주목받았다. 그밖에 1921년 단편집 『나뭇잎의 떨림』을 출간하면서 단편 작가로도 명성을 쌓았으며, 이후로도 10권이 넘는 단편 선집을 더 출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몸은 영국 정부의 요청으로 비밀 요원이 되어 스파이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1917년에는 볼셰비키 혁명을 저지하라는 임무를 받고 혁명이 진행 중이던 러시아에 잠입하여 활약하기도 했다. 당시의 체험들을 바탕으로 1928년 연작 소설집 『어셴든, 영국 정보부 요원』을 출간했다. 몸이 자신의 실제 경험에 허구를 가미하여 집필한 이 작품은 현대 스파이 소설의 원조이자 고전으로 평가된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과자와 맥주』(1930), 『면도날』(1944) 등의 소설들과 「약속의 땅」(1913), 「공전」(1921) 등의 희곡들, 『서밍 업』(1938), 『작가 수첩』(1949)을 비롯한 회고록과 에세이 들이 있다. 몸은 1965년 프랑스 남부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접기
최근작 : <서머싯 몸 단편선 2>,<케이크와 맥주>,<서머싯 몸 단편선 1> … 총 1184종 (모두보기)


안진환 (옮긴이) 
경제경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전문번역가.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를 졸업했다. 주요 역서로 《전쟁의 기술》, 《넛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디즈니만이 하는 것》, 《스틱!》, 《스티브 잡스》, 《하드씽》, 《괴짜경제학》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영어실무 번역》, 《Cool 영작문》 등이 있다.
최근작 : <[CD] 난제해결 방정식 - 오디오 CD 1장>,<끌어당김의 지혜>,<끌어당김 Attraction> … 총 38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인간의 굴레에서>, <달과 6펜스>와 함께
서머싯 몸의 3대 장편소설 중 하나
비정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려는 모든 젊은이들에게 바치는 작품
평범한 삶의 위대함, 그 위대함을 넘어서는 고귀한 여정

“몸은 위대한 예술가다. 그는 천재다.” ― 시어도어 드라이저
“보기 드물게 뛰어난 몸의 스토리텔링 능력은 상상력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선데이 타임스》
“이 시대의 정직한 작가라면 서머싯 몸의 작품에 도저히 무관심한 척할 수가 없다. 몸은 작가로서 빛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 고어 비달


서머싯 몸의 장편소설 <면도날>은 1930년대 유럽, 그 풍요와 야망의 시대를 배경으로 꿋꿋이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한 젊은이의 구도적 여정을 그린다. <달과 6펜스>, <인간의 굴레에서>와 함께 서머싯 몸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아 온 <면도날>은 날카로운 면도날을 넘어서는 것처럼 고되고 험난한 구도의 길을 선택한 한 젊은이를 통해 삶이 무엇인지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몸은 ‘구원’이라는 다소 무겁고 진지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그 특유의 명쾌하고 간결한 문체와 유머를 잃지 않아, ‘소설은 재미를 위한 것’이라는 자신의 문학관을 이 작품에서도 성공적으로 보여 준다. 치밀한 구성으로 주인공 래리뿐 아니라 그 주변 인물들이 발산하는 젊음의 색깔들을 고르게 펼치는 <면도날>은 이 시대의 움츠러든 청춘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진중한 화두를 던진다.

■ 대중이 사랑한 20세기 작가 서머싯 몸

서머싯 몸은 자전적 회상록 <요약(The Summing Up)>에서 “나는 20대에는 비평가들의 잔인한 평을 받았으며, 30대에는 건방지다는 평을, 40대에는 냉소적이라는 평을, 50대에는 유능하다는 평을, 그리고 60대에는 천박하다는 평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많은 작품이 사랑받았고, 말년에는 명예 훈위, 문학 훈위 칭호까지 받은 작가에 대한 평가치곤 가혹하게 느껴지지만, 이 고백이 작가의 엄살만은 아니다. 실제로 그는 생전에 비평가들에게 외면당한 작가였고, 그 명성에 비해 작품에 대한 진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의외로 적다.
하지만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몸은 많은 독자들에게 재미와 감동, 통찰과 발견을 제공한 20세기 대표적인 작가이다. 그는 91세까지 사는 동안 장편소설 20편, 희곡 25편, 여행기와 평론집 11편, 단편소설 100편을 완성해 “정력의 작가”라는 별명을 얻었을 만큼 성실하게 작품 활동을 했는데, 문학을 향한 그의 높은 열정은 당대의 대중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졌다.
따라서 몸의 표현을 빗대어 그를 다시 소개하자면, 그는 살아서는 대중의 열광적인 사랑을 받았고, 죽어서는 불멸의 고전으로 기억되는 거장이 되었다. 특히 그의 몇몇 장편은 날카로운 관찰력과 생생한 인물 묘사를 바탕으로 심오한 세계를 창조해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그중 하나가 뒤늦게 우리나라에 정식으로 소개되는 <면도날>이다.

■ 평범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가장 고결한 가치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축은 주인공 래리의 구도적 여정이다. 비록 어려서 부모를 잃었지만, 유복한 후견인 집안에서 부족할 것 없이 자란 래리는 여느 젊은이들처럼 교회에도 나가고 골프도 즐기는 평범한 청년이었다. 어려서부터 사귀어 온 예쁜 여자 친구와의 결혼도 아무런 장애 없이 받아들일 만큼 그의 미래는 순탄해 보였다.
하지만 비행기를 탈 수 있다는 소박한 기대로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뒤로 래리의 삶은 보통의 젊은이들과는 다른 궤도에 들어선다. 부대에서 친해진 쾌활한 친구가 교전 중에 자신을 구해 주고는, 눈앞에서 숨을 거두는 장면을 목격하게 된 것이 계기였다.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삶의 날카로운 일면을 경험한 그는 무엇이라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존재론적 질문들에 사로잡힌다.

“나는 순간, 직감이랄까, 이 청년의 내면에서 어떤 혼란스러운 갈등이 요동치고 있지 않은가 하는 느낌이 들었다. 그런 갈등이 어느 정도 깊은 생각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막연한 감정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나도 알 수 없었지만, 혼란과 불안감에 사로잡혀서 어딘지도 모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았다.”

결국 래리는 안정된 직장과 결혼을 앞둔 약혼녀, 평범하게 상류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모두 버리고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인 답을 찾아 먼 길을 떠난다. 그 구도의 여정은 프랑스의 탄광과 수도원, 독일의 농장,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곳곳을 돌아 마침내 인도의 아슈라마에까지 이른다.
이 작품 속 시대는 1차 세계대전에서 시작하여 대공황기를 거쳐 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진다. 여러 굵직한 사건들로 인해 전통적 가치가 붕괴되고 새로운 가치는 미처 성숙하지 못한 사회적 혼란기이다. 하지만 <면도날>은 이 혼돈을 소모적인 허무주의나 현실 도피로 연결하지 않는다. 세속적인 허영과 불안에 주목하기보다 래리라는 인물을 통해 인간은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 몰입한다.
소설 속 래리의 구원은 동양적 세계관과 닿아 있다. 래리는 로이스부르크 같은 신비주의자의 책을 탐독하고, 개개인의 영성적 변화에서 구원을 찾으며, 방랑자적인 면모를 풍긴다. 이것은 서머싯 몸 자신의 관심과도 일치한다. 실제로 몸은 젊은 시절 인도 여행을 통해서 많은 철학적 영감과 얻었으며, 그 경험을 이 소설에서 생생하게 녹여 낸다.

■ 세속적 삶 속에 숨겨진 성스러운 씨앗

한편 래리의 약혼녀 이사벨은 인생의 갈림길에서 래리와 전혀 다른 결단을 내린다. 어려서부터 한동네에서 함께 자라서 래리에 대해서라면 모르는 게 없다고 자부하는 이사벨이지만, 전쟁에서 돌아온 래리가 예전과는 다른 사람처럼 낯설게 느껴져 불안해한다. 결혼은커녕 취직할 의지도 없이 “빈둥거리는” 래리를 보다 못한 이사벨은 파리에 가서 2년간 원하는 공부를 실컷 하고 돌아오라고 제안한다. 하지만 약속한 2년이 다 흐르도록 래리가 “바보 같은 소리”만 늘어놓자 미련 없이 그를 포기한다.

“하지만 래리, 그거 알아? 당신은 나한테 맞지도 않는 삶을 요구하고 있어. 내가 관심도 없고, 또 관심을 갖고 싶지도 않은 삶 말이야. 난 그저 평범한 여자일 뿐이라고. 몇 번이나 말해야 알겠어? 난 이제 겨우 스무 살이야. 10년 후면 늙어 버릴 거고, 지금 시간이 있을 때 삶을 즐기고 싶어. 아, 래리, 난 당신을 너무나 사랑해. 하지만 당신이 말하는 삶은 시시해.”

사랑 대신 안정되고 화려한 생활을 선택한 이사벨은 래리의 친구이자 재벌 2세인 그레이와 결혼한다. 하지만 작가는 이사벨을 단순히 악녀로만 묘사하진 않는다. 오히려 순수하고 욕망에 솔직한 사랑스러운 여성으로 그린다. 그녀뿐만 아니라 무리한 고집으로 사업을 벌이다 대공황 때 빈털터리가 된 그레이나, 남편과 아이를 잃고 미쳐 버린 소피, 몽마르트르 화가들의 첩으로 살아가는 닳고 닳은 수잔, 파리 사교계의 지독한 속물 엘리엇마저도 작가는 “사랑할 만한” 사람이었다고 말한다.
몸은 여러 가지 희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통해, 이 시대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치들을 아름답게 진열한다. 결국 그것이 개인적인 행복이나 이기적인 욕망을 위한 것이라 할지라도 <면도날>의 인물들은 적어도 자신이 원하는 것에 당당하고, 그것을 위해 성실하게 노력한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세속적 삶 속에 숨어 있는 성스러움의 씨앗을 볼 수 있다. 세속적 삶과 가장 동떨어진 래리조차도, 긴 여행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접점을 만들어 나간다. 이로써 작가는 시끌벅적하고 서로 부대끼는 구체적인 현실이 마냥 천박하고 비루한 것이 아니라 성스러움을 구현하는 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이야기 안팎을 오가며 펼쳐지는 생생한 입담

이 책의 독특함 중 하나는 작가 자신이 소설 속 인물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야기의 화자이자 작품 속 조연인 ‘서머싯 몸’은 때론 인물들의 가까운 이웃으로, 때론 몇 년 동안 연락이 닿지 않는 옛 친구로 그들의 삶을 전해 준다. 소설 속 서머싯 몸은 명백히 가공된 인물이지만 작가라는 직업과 이름이 똑같을 뿐 아니라, 취미, 버릇, 성격 등 실제 자신을 모델로 실감나는 이야기를 창조한다. 또한 이러한 참신한 설정을 활용해, 작가는 이야기 밖에서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기도 한다.

“지금껏 이렇게 염려스러운 마음으로 소설을 시작해 본 적이 없다. 내가 이 글을 소설이라고 부른다면 그것은 단지 마땅히 붙일 다른 이름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줄거리다운 줄거리도 별로 없고 결말이 죽음이나 결혼으로 끝나지도 않는다.”

말년의 몸은 여전히 독설가이고, 냉소적인 개인주의자이지만, 동시에 타인의 이기심에 관대하고, 아집을 포용하는 어른의 태도를 보여 준다. 작가는 <면도날>을 통해, 방황하는 모든 젊은이들에게 열성적인 후원자는 아닐지라도, 필요할 때 손을 내밀어 따뜻한 온기를 전한다.
<면도날>은 세상이 정해 놓은 레일을 뛰어 넘은 래리를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 준다. 누구에게나 잠재하는 숭고함의 씨앗은, 삶을 통해서 증명될 때 비로소 명징한 빛을 밝힐 수 있음을 역설하는 것이다. 동시에 작가는 자신이 창조한 숭고함을 절대시하기보다, 가치 판단은 독자들의 몫으로 남긴 채 각자의 자리에서 고군분투하는 모든 이의 삶에서 감동과 공감을 이끌어낸다. 접기

====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
긴 글
친구가 남긴 글내가 남긴 글
img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자. 1899년,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미국의 상류계층을 '유한계급'으로 지칭하며 그네들의 과시적인 낭비 행태를 풍자하는 책, 『유한계급론』을 출간하였다. 이 책을 두고 한 서평가는 이 책이 영국의 유한계급을 모방하고 영국 귀족과 결혼하려 드는 미국 상류층의 행태를 묘사한 점에서 미국 문학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 평가하였다. 공교롭게도 20세기 초 미국 '유한계급'의 행태는 1944년 영국의 작가 서머싯 몸의 『면도날』로 비슷하게 재연되었다.



총 7장으로 이루어진『면도날』은 작가인 서머싯 몸이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대공황 시기까지, 두 부류의 인물상을 관찰한 이야기다. 한편에는 미국인 속물들이라 할만한 엘리엣 템플턴과 조카딸 이사벨이 있다. 다른 한편에는 1차 세계대전에 공군으로 참전하였으나 눈 앞에서 친구의 죽음을 목격한 로랜스 대릴, 줄여서 래리가 있다. 래리는 삶의 의미를 찾아 한동안 세상을 등졌다가 다시 속세로 돌아온다.



몸은 이 책을 시작하면서 줄거리다운 줄거리도 없는 이런 글이 소설이라 부를 수 있는 가 우려한다. 

지금껏 이렇게 염려스러운 마음으로 소설을 시작해 본 적이없다. 내가 이 글을 소설이라고 부른다면 그것은 단지 마땅히 붙일 다른 이름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줄거리다운 줄거리도 별로 없고 결말이 죽음이나 결혼으로 끝나지도 않는다. p. 9


확실히 이 책에서 등장인물들이 일으키는 사건은 이 책에서 잠깐 언급되는 『달과 6펜스』의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가 일으키는 사건과는 거리가 있다. 스트릭랜드가 사고뭉치라면, 이 소설은 후반부의 한 사건만 빼고 끊임없이 화자인 몸이 엘리엇, 이사벨, 래리, 그외 소피, 수잔 루비에와 만나서 이야기를 듣고 헤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그 중심에는 래리가 있다.



이 책은 내가 이따금 만나서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던 한 남자를 회상한 내용이다. 나는 그가 나와 만나지 않았던 기간에는 어떤 일을 경험했는지 거의 아는 바가 없다. 나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그 기간에 있었을 법한 일을 그럴듯하게 꾸며 내 좀 더 조리 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러고 싶은 마음이 없다. 단지 내가 아는 한도 내에서 이야기를 쓰고 싶다. - P10


인물 간의 갈등(주로 이사벨과 래리 사이)이 빚어지긴 하지만, 주요 인물들 중 찰스 스트릭랜드에 비견될 만한 초대형사고를 치는 인물은 없다. 



이 책에서 긍정적으로 비춰지는 인물은 역시 주인공이라 할 인물은 래리이다. 래리는 끊임없이 공부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한다. 래리는 1차 세계대전에서 공군으로 참전한 후 동료가 한순간에 '핏덩이'가 되는 꼴을 보고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래리의 등장은 상당히 늦다. 



이 소설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물은 속물근성으로 가득찬 엘리엇 템플턴이다. 이 소설의 비중만 놓고보면 엘리엇 템플턴이 진짜 주인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할 만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엘리엇은 풍족한 재산을 지니고, 유럽의 사교계에 온 신경을 쏟아부으며, 사람을 대할 때 사회적 신분을 따지며 대하는 속물의 전형이다. 그가 머무는 방은 화려하게 치장되어 있다. 이 소설에서 그가 몸과 친해진 계기도 몸이 작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나중 가면 자신의 이니셜을 새긴 속옷을 몸에게 보여준다거나, 죽음을 앞두고서도 사교 파티 초대장에 답하려 하는, 나름 진지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예술품을 알아보는 교양과 안목이 있으며, 프랑스어와 영국식 영어에도 능통한 인물이다. 술집에서 다같이 대화를 나눌 때, 술에 관한 자신의 지식을 한껏 늘어놓는다. 



이 같은 엘리엇 템플턴의 면모는 베블런이 『유한계급론』에서 묘사한 유한계급의 모습과 많은 점에서 들어맞는다. 베블런은 유한계급이 쓸모없는 지식과 예의범절을 학습하느라 시간을 낭비했다는 과시적 여가, 역시 쓸모없이 소비하며 재산을 과시하는 과시적 소비, 이른바 과시적 낭비를 일삼는다고 지적하였다. 이처럼 시간과 재산을 낭비하는 과정에서, 유한계급은 쓸데없는 예의범절과 오로지 낭비로만 귀결되는 각종 지식을 남들 앞에서 보여준다는게 그의 요지다.



어느새 우리는 미술관에 도착했기 때문에 자연히 관심도 그림으로 옮겨 갔다. 나는 엘리엇의 박학다식함과 예술적 안목에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마치 관광객이라도 안내하듯 나를 이 방에서 저 방으로 데리고 다녔다. 그 어떤 미술교수라도 엘리엇만큼 훌륭하게 그림을 설명해 주지는 못했을 것이다. - P41
그때부터 엘리엇 생애에서 가장 화려한 시기가 시작되었다. 그는 파리에서 최고급 요리사를 불러왔고, 얼마 후 그의 집에 가면 리비에라 지방에서 가장 훌륭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는 평판이 자자해졌다. 집사와 하인에게는 어깨에 금줄 장식이 달린 흰색 제복을 입혔다. 그는 최대한 후하고 성대하게 손님들을 대접하되, 고상한 품위를 지키기 위한 한계선은 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 P207
내가 엘리엇을 보면서 무엇보다도 감탄한 점은, 그가 신분 높은 인사들을 대할 때 우아함과 예의를 한껏 갖추면서도,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난다고 가르치는 나라의 국민으로서 독립적이고 당당한 태도를 잃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 P208
이러한 엘리엇의 모습에서, 그가 남들이 알아채지 못한 사생활 속에서 얼마나 자신의 예의범절과 '교양'을 갈고 닦았는가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래리는 책의 첫 페이지에 인용되는 카타 우파니샤드의 구절, 넘어서기 어려운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건너 구원으로 나아가는 인물이다. 래리는 엘리엇과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 이후에나 등장한다. 3장과 6장에서 몸이 래리에게 이야기를 듣고 독자들에게 전달해주기는 하지만, 이 소설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래리는 대체로 몸, 엘리엇, 이사벨과 동떨어진 삶을 산다. 엘리엇과 이사벨이 소설 내내 파리에 머무는 동안, 래리는 파리 뿐만 아니라 유럽 각지를 떠돌다가 마침내 인도에 가 요가수행자를 만나 수행까지 하고 돌아온다.



엘리엇, 이사벨의 가치관과 래리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지점은 래리가 이사벨과 파혼하는 장면일 것이다. 이사벨은 부유하고 풍족한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나 래리는 정신적으로 의미있는 삶을 찾고자 한다.



이사벨과 래리의 관계에서도 주목할 측면이 있다. 이사벨은 그레이 매튜린과 결혼한 이후에도 래리를 향한 욕정을 내보이는가 하면, 래리가 소피 맥도널드와 결혼하려하자 이를 훼방놓는다. 이사벨은 어떻게든 래리를 소유하려하지만 이사벨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간다. 오히려 소피와의 결혼이 무산된 래리는 이사벨을 영영 떠나버리고 말았다.



래리라는 인물 자체에 문제가 없다고 볼 수는 없다. 6장에서 독자는 몸과 래리의 대화를 통해 인도철학을 일부 나마 접하게 된다. 이때 래리가 말하는 인도 철학은 래리의 관점으로 정제된 인도철학, 즉 '서양인의 관점에서 본 인도 철학'이다. 이 지점에서 에드워드 사이드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으로 해부해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소설이 쓰여진 당시에는 사이드가 말한 오리엔탈리즘 같은 관점으로 바라본다는 생각 자체를 못했을 테니 그러려니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소설의 배경은 20세기 초, 정확히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사이에 해당한다. 1944년에 발표되었으나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의 시점을 다룬 책인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물질주의적인 속물들, 엘리엇과 이사벨 그리고 그와 대비되는 래리를 통해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의문을 떠올리게 만든다.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풍족한 삶, 남들이 우러러 보는 삶이 의미있는 삶, 행복한 삶인가? 아니면 소설 후반부에서 래리가 선택한 것처럼 물질적으로는 평범한 삶, 어쩌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고, 고단할 수도 있는 삶을 살더라도, 선과 악이 혼재하는 이 세상에서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아 갈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삶, 행복한 삶인가? 결국 이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동시에 삶의 의미를 성찰 하는 것과도 같다.



래리와 몸의 대화 중 래리의 흥미로운 한 마디를 언급하면서 본 글을 마치고자 한다.

"우연히였죠. 적어도 그땐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몇 년간의 유럽 생활 끝에 치러야만 했던 필연적인 결과였던 것 같아요. 그동안 저한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던 사람들은 거의 모두 우연히 만난 사람들이었죠. 하지만 돌이켜 보면 결국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던 것 같아요. 마치 내가 그들을 필요로 할 때까지 그 자리에서 기다리고 있었던 것처럼 말이죠. - P409
가끔 우연과 필연에 대해 생각하곤 한다. 우리 삶이 우연에 우연이 겹친 결과인 줄 알았더니 사실 처음부터 그 결과가 래리 말마따나 필연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라면? 번번이 그에 대해 나 스스로 답을 내리지는 못하지만, 항상 재미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넘어서기는 어렵나니.
그러므로 현자가 이르노니, 구원으로 가는 길 역시 어려우니라.
- 카타 우파니샤드 - P7

그러곤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다. 바로 내 의도와는 달리, 이 글이 일종의 성공담이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내가 등장시킨 모든 인물들이 저마다 원하는 바를 얻지 않았는가? 엘리엇은 사교계에서 명성을, 이사벨은 막대한 재산을 확보하여 활동적이고 교양 있는 지역사회에서 확실한 지위를 얻었으며, 그레이는 안정적이고 수익성 높은 직업과 매일 아침 9시에 출근하여 6시에 나설 수 있는 사무실을 얻었다. 수잔 루비에는 안정을, 소피는 죽음을, 래리는 행복을 얻었다. - P515

Heath 2023-02-04 공감 (17) 댓글 (0)
img
뭔가 계획대로 되지 않았던 1월 달이었다. 결산도 이틀이나 늦고.







올해 처음 읽은 점에서 기념비적(?)이라 할까. 쉽게 읽히는 책이며 메타버스, AI 같은 최신 트렌드와 해당 트렌드의 맥락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분량면에서나, 내용면에서나 얇은 책이다. 그래서 그런지 ChatGPT를 접할 때 이 책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았다.



   



신장판은 6권이지만 구판은 무려 18권. 2부 6권까지는 폴 아트레이데스가 주인공이다. 폴 아트레이데스는 미래를 예지할 수 있지만 정해진 운명을 바꿀 수는 없었다. 2부 6권 마지막에 그려지는 폴의 모습은 씁쓸하다.







"듄의 아이들"이라는 제목 답게 이야기의 주역이 폴의 아이들, 레토 2세와 가니마에게로 옮겨갔다. 빨리 8, 9권도 읽어야 할텐데. 









요즘 핫한 ChatGPT를 쓰다 보면 이 글에서 제일 먼저 언급된 메타버스 사피엔스가 아니라 이 책부터 생각난다. 구글 검색을 할 때는, 구글이 엄청난 정보를 툭 던져 놓으면 사용자가 일일이 구글이 던져놓은 정보와 지식을 검토해야 했다. 그런데 ChatGPT를 써보면 (아직 한계가 있다지만) AI가 알아서 정보를 다 찾아와 입에 떠 먹여주는 수준이다. 그 점에서 단순 정보나 지식을 획득하는 수준을 넘어, 지혜에 이르는 공부를 일찍부터 강조한 이 책은 지금 시대, 다가오는 시대에 더 필요하다 해야 할까. 



 



20세기를 넘어 2022년 현재에도 여전히 열렬한 호응(?)을 받는 작가 살만 루슈디의 문제작. 이 작품을 통해 루슈디라는 작가에게 매혹되고 루슈디의 다른 작품들에도 관심이 가게 되었다. 한데 아쉽게도 루슈디의 다른 작품을 읽을 기회가 언제 올지는 모르겠다. 덧붙여 문학동네 개정판이 아니라 구판을 선택한 이유는 이 책을 빌릴 때 도서관에는 2022년 문학동네 개정판 2권이 없어서였다. 이번 2월 달에 "Victory City"라는 루슈디의 신작도 나온다고 하는데 과연 국내에는 언제 출간될지?







상상력의 코페르니쿠스 혁명을 일으킨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의 마지막 저서. 촛불을 보고 떠오르는 몽상은 무엇인가를 담은 책이다. 읽고 글 하나 써보려했다가 처음 포기한 책이기도 하다. 다음 기회만을 노리고 있다. 그때는 문예출판사에서 나온 다른 판본도 참고해보려 한다. 







에코가 여러 소설에서 보여준 관심사가 사실상 이 책 하나에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에코의 소설을 많이 접하고 에코의 소설을 많이 아는 사람일수록 이 책이 매력적일 것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원래 1월에 구상한 계획 중 하나가 서평 관련 책들을 읽은 후 모티머 애들러 식으로 말하자면 통합적 독서, 혹은 주제서평 쓰기 비슷한, 그런 걸 하는 거였는데 생각보다 진척이 안되고 있다. 일단 각각의 책들마다 리뷰부터 남겨야 할텐데.









삶의 의미를 물질적 부유함에서 이미 찾고 만족하는 엘리엇, 이사벨과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하는 주인공 래리가 대비되는 소설이다. 읽기는 금방 읽었지만 아직 리뷰를 쓰는 중이다.







책 읽는법과 서평 쓰는 법을 간단히 알려주는 동시에 실제 저자의 서평을 모아놓은 서평집이다. 덧붙여 만만찮은 분량에 달하는 에코의 『장미의 이름』서평이 덤으로 수록되어 있다.







전문서를 읽다보면 본문 아래에 조그맣게 달려 있는 각주의 역사를 추적한 책. 아직 읽고 있는 중이다. 다만 모든 분야의 각주를 다루지는 않고 '역사학에서의 각주'에 관한 역사서라고 볼 수 있다. 다른 분야는 간간히 언급만 된다.

Heath 2023-02-02 공감 (12) 댓글 (0)
img
지나친 묘사가 살짝 힘들고 지루했지만 역시나 탁월한 이야기꾼이다. 왜 사느냐, 무엇을 위해 살아가느냐,에 대한 고민이 많아진다.
munsun09 2022-07-19 공감 (36) 댓글 (0)
더보기
마니아 읽고 싶어요 (196) 읽고 있어요 (40) 읽었어요 (305) 

=====
평점 분포
    9.0

구매자 (27)
전체 (38)
공감순 
     
지나친 묘사가 살짝 힘들고 지루했지만
역시나 탁월한 이야기꾼이다.
왜 사느냐, 무엇을 위해 살아가느냐,에 대한 고민이
많아진다.  구매
munsun09 2022-07-19 공감 (36) 댓글 (0)
Thanks to
 
공감
     
역시 서머싯 몸, 재미 하나는 진짜 끝내준다. 그러나 래리가 인도로 가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서구인에게 갠지스강이란, 인도란 무엇인가. <인생의 베일>의 ‘키티’, <케이크와 맥주>의 ‘로지’ 그리고 이 책의 이사벨, 수잔, 소피 등 몸이 여성 캐릭터를 묘사하는 방식은 확실히 좀 남다르다.  구매
잠자냥 2022-02-07 공감 (28) 댓글 (4)
Thanks to
 
공감
     
한국 문학에 토종이 있다면
영국엔 백남 문학이 있구먼.
이 책은 가히 백남 문학의 정수라 할만한다. 토종하고 겨뤄 싸우면 누가 이길것인가..
재미는 있지만 백남 문학의 정수여...
보부아르가 왜 깠는지 너무 잘 알겠고요..  구매
다락방 2019-11-27 공감 (25) 댓글 (6)
Thanks to
 
공감
     
책을 읽고 있는 그 순간이 정말 행복했던 소설이다. 걸작!!!  구매
올리브 2013-08-07 공감 (9) 댓글 (0)
Thanks to
 
공감
     
면도날이라하기엔 조금 무딘......... 역시 인생이란 단순하고도 어려운 것이구나......  구매
오늘도 맑음 2016-03-01 공감 (5) 댓글 (0)


마이리뷰
구매자 (15)
전체 (56)

     
당신의 면도날은 무엇입니까? 새창으로 보기 구매
사람마다 인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는 다를 것이다. 어떤 사람은 돈을, 어떤 사람은 명예를, 어떤 사람은 성공이나 권력, 지위를 중요하게 여길 것이며 또 어떤 이는 건강, 사랑, 애정 같은 가치를 높이 사기도 할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맛있는 음식을 먹고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인생을 최고의 삶으로 여기기도 할 것이다. <면도날>에도 이렇게 인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관이 다양한 여러 인물이 등장한다. 작품의 시작은 최근 읽었던 몸의 또 다른 작품  <케이크와 맥주>와 비슷하다. <케이크와 맥주>처럼 작가가 대단히 속물적인 한 인물을 만나면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단 <면도날>의 화자로, 직업이 작가인 ‘나’는 서머싯 몸 그 자신이다(이 작품의 재미 중 하나는 이렇게 서머싯 몸이 작품 전면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나’(그러니까 서머싯 몸 그 자신)는 우연한 기회에 ‘엘리엇 템플턴’이라는 남자를 알게 된다. 그는 사람을 만날 때 사회적 신분 말고는 아무것도 관심 없는 인물로, 상류사회는 그에게 인생 전부이며 파티는 숨구멍과도 같다. 사교계의 명성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엘리엇에게 사실 일개 작가인 ‘나’는 처음에는 그다지 중요한 인물은 아니었다. ‘나’ 또한 그의 속물스러움에 때로는 진저리를 치기도 하지만 사람을 잘 챙기고 베풀기 잘 하고 배려심이 깊은 그를 종종 만나며 친분을 쌓는다. 이때까지만 해도 나는 이 작품이 엘리엇 템플과 화자인 ‘나’의 이야기인가 싶었는데, 이윽고 새로운 인물들-래리, 이사벨, 그레이 같은-이 등장하고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미국인인 엘리엇은 사교계의 명성을 좇아 이곳 유럽으로 건너와, 파리와 런던을 오가는 생활을 즐기는데 거기에 그의 조카딸인 이사벨 가족이 함께 하게 된다. 이제 막 스물 청춘인 이사벨과 래리는 약혼한 사이로, 아름다운 외모와 상냥하고 예의바른 태도로 주변 사람들의 호감을 사는 인물들이다. ‘나’ 또한 래리와 이사벨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들을 종종 만나면서 그들의 인생을 지켜보게 된다. 엘리엇은 조카딸을 사랑하는데 비해 그녀의 약혼자인 래리에게는 탐탁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데, 알고 보니 래리는 번듯한 외모와는 달리 빈둥빈둥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지내는 한량이기 때문이다.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후 고향에 돌아와 전쟁 영웅 대접을 받은 뒤 성공가도를 달릴만한 일에 뛰어들고도 남을 텐데 이 청년은 여기저기서 제안하는 좋은 일자리를 다 마다하고 벌써 꽤 오래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다.  래리가 보란 듯이 일자리를 얻어 예전처럼 활기차고 의욕적인 삶으로 뛰어들 것이 분명하리라 기대하던 이사벨도 초조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는 가운데 ‘나’는 래리와 단 둘이 이야기할 기회를 통해 그가 전쟁터에서 가깝게 지내던 친구의 죽음을 목격한 이후로 인생을 보는 시선이 달라졌음을 알게 된다. 누군가의 죽음을 눈앞에서 본 이후 삶의 목표를 잃어버린 래리- 그는 정신적인 삶에 몰두하면서 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해답을 찾아 나선다.





“난 증권 같은 걸 만지는 게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살고 싶어.”
“알았어. 그럼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하거나 의학 공부를 하는 건 어때?”
“아니, 그런 건 싫어.”
“그럼 뭘 하고 싶은데?”
“아무것도 안 하고 싶어.”
그는 차분하게 대답했다. (<면도날>, 80쪽)

“그런데 왜 취직을 안 하겠다는 거야?”
“왜냐고 난 돈에 관심이 없어.”
이사벨은 웃었다.
“래리, 말도 안 되는 소리 마. 사람은 돈이 없으면 살 수 없어.”
“난 조금은 있어.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을 만큼은 있다구.”
“빈둥거리는 거?”
“그래.” (<면도날>, 82쪽)




래리가 예전의 모습대로 돌아오기만을 바라던 이사벨은 급기야 툭 터놓고 그와 이야기를 나누는데, 돈에 관심이 없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빈둥거리고 싶다는 래리의 말에 충격을 받는다. 위의 짧은 대화만으로도 두 사람 사이에 얼마나 큰 간극이 있는지 알 수 있다. 래리는 하루 여덟 시간에서 열 시간 가까이 책을 읽고, 소르본 대학에서 하는 강의도 듣고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공부하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그러나 이사벨은 도무지 그런 약혼자를 이해할 수 없다. “그런 것들을 배워서 뭐하려고 그래?” “현실적으로 별로 쓸모없는 것들 같은데.” 말할 뿐이다. 정신적인 삶에 만족하는 래리를 ‘너는 미국인’이라고 다그치며 이제까지 없던 번영의 시기를 누리는 미국의 발전에 참여하고 이바지하는 삶을 살라고 종용한다. 그러나 래리는 ‘정신적 세계를 추구하는 삶이 얼마나 즐겁고, 얼마나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는지’ 이사벨에게 가르쳐 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안타깝기만 하다. 데카르트를 읽고 평온함과, 품격, 명석함에 전율하는 사람과 ‘커다란 쇼윈도가 줄줄이 이어진 콘크리트 보도를 걸으면서 모자나 모피코트, 다이아몬드 팔찌, 금장 화장품 케이스 등을 구경할 수 없으면 행복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이 결혼해 삶을 함께 공유한다는 것은 어쩐지 불가능해 보인다. 그들은 그래서 결국 각자의 길을 걷기로 선택한다.

서머싯 몸은 이 두 청춘, 이사벨과 래리를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지켜보며 그들이, 그리고 그 주변 인물들이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지, 원하는 바를 얻는지 재치 있는 입담으로 풀어나간다. 이 작품의 실질적인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래리는 그가 찾는 인생의 궁극적인 해답을 찾고자 안정적인 직장과 보장된 미래, 사랑하는 약혼녀도 모두 버리고 유럽 곳곳- 프랑스의 탄광과 수도원, 독일의 농장,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등지를 방랑하며 여러 사람을 만나고 그들로부터 영향 받기도 하고 또 때로는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러다가 마침내 그의 여정은 인도의 아슈라마에까지 이른다. 사실 이 작품을 흥미롭게 읽다가 래리가 인도로 갔다는 부분, 래리가 갠지스강을 바라보면서 정신적으로 무언가 큰 깨달음을 얻는 장면에서는 조금 실소가 터져 나왔다. 별 다섯에서 갑자기 별 넷으로 하락하는 시점…. 결국 서양인의 방랑의 끝, 방황의 끝은 인도인가, 갠지스강인가 싶어 그놈의 오리엔탈리즘은 입담꾼 서머싯 몸도 어쩔 수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나저나, 그래서 래리는 자신이 바라는 걸 정말 얻었을까?

물질적인 풍요도 중요하지만 정신적인 삶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나로서는 처음에는 래리의 선택에 사뭇 공감이 갔다. 하루 8~10시간 가까이 도서관에 틀어박혀 빈둥빈둥 책을 읽고 배우고 싶은 언어를 마음껏 배우고 여기저기 떠도는(여행하는) 삶이라니 얼마나 멋진가! 그런데 생각해 보면 그에게는 그런 삶이 가능하도록 뒷받침해 주는 부유한 환경이 있었다. 그는 비록 어려서 부모를 잃었지만, 유복한 후견인 집안에서 부족함 없이 자랐고 현재도 빈둥빈둥 놀면서 지내도 어려움이 없을 정도로 돈이 들어온다. 래리처럼 해마다 3천만 원 가까운 돈이 들어온다면 아무것도 안 하고 책 읽고 언어 공부하겠다는 사람들이 알라딘 서재에는 널리고 널렸을 것이다. 그러므로 래리의 정신적인 삶을 찾아 떠나는 방랑에는 얼마쯤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富)가 뒷받침되었기에 조금은 배부른 투정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물론 그는 어느 순간 그 돈마저도 굴레라고 말하면서 그 굴레를 벗어난다. ‘나’, 즉 서머싯 몸은 그런 래리를 어리석다며 뜯어 말리는데 이런 작가의 어느 정도 속물적인 모습은 참 인간적으로 다가와 슬며시 웃음이 나기도 한다.



돈과 명예, 화려한 삶을 좇는 이사벨도 내가 좋아할 만한 인간 유형은 아니지만 나쁜 여자로만 그려지지는 않는다. 이사벨뿐만이 아니라 래리를 스쳐지나가는 또 다른 여인들, 수잔이나 소피도 그들의 화려하고(?) 자유분방한 삶에 어떤 도덕적인 평가를 내리기보다는 나름 애정 어린 시선을 담아 그려간다. 이 여성인물들은 대부분 자기들의 욕망을 숨기지 않고 당당히 밝히고 그것을 선택한다는 점에서 <케이크와 맥주>의 ‘로지’와 닮았다. 물론 소피가 애초에 선택한 삶은 자기 뜻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그렇지만 “천국 같은 생활을 하다가 그것을 잃게 되니까 보통 사람들이 사는 보통 세상을 견디지 못하고 좌절해서 지옥으로 곤두박질친” 것처럼 “신들이 마시는 넥타를 마실 수 없다면 차라리 밀주를 마셔도 상관없다고 생각”(328쪽)하고 자기를 내던지듯 살아가는 그녀의 선택도 선택이라면 선택이 아닐까. 진짜 천국이 아니면 차라리 지옥을 선택하겠다는, 그 극단적이리만치 성스러움을 고집한 그녀의 모습에서 래리가 ‘결혼을 생각할 수 있었던 유일한 사람’이라고 말했던 게 아닐까.



“어쨌든 사는 게 엿 같잖아요. 그걸 잠시나마 잊게 해 주는 무언가가 있다면 당연히 누려야죠.” (<면도날>, 370쪽)


소피는 이렇게 말했다. 고단한 삶에서 그걸 잠시나마 잊게 해주는 그 ‘무언가’- 그것이 결국 여기 등장한 모든 인물들이 추구했던, 저마다 높이 샀던 그 무엇이 아니었을까. 엘리엇은 사교계의 명성을, 이사벨은 부와 성공을, 그레이는 안정적이고 수익성 높은 직장과 사무실을, 수잔은 다정하고 안정적인 삶을, 소피는 지옥이 된 현실을 벗어나기를, 그리고 래리는 정신과 영혼이 충만한 삶을…. 인생은 여전히 진행 중이기에 그들은 그 ‘무언가’를 찾아 계속 방랑할 것이고, 그러다가 정말 운이 좋은 그 누군가는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넘어설 수도 있을 것이다.



- 접기
잠자냥 2022-02-08 공감(40) 댓글(14)
=======
     
몸님 찬양

또 출장이다. 이제 정말 그만 하고 싶은데...지난번 출장때 공항에서의 에피소드도 쓰고 싶은데...이웅. 2주전 공항 그때의 그 의자에 앉아서 면도날을 읽기 시작했다. 어마나.....가독성, 흡입력, 재미, 게다가 깊이도 있는 이책. 미췬듯이 읽어내려갔다. 킨들을 한손에 쥐고, literally  눈에서 킨들을 뗄 수가 없었다. 우와. 몸님. 오랜만의 글자 중독질.
han22598 2022-04-26 공감(30) 댓글(8)
====
     
아, 담배 한 대만 주세요... 
면도날 ㅡ 서머싯 몸

그러던 어느 날 , 이런 짧은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던 길에 나는 뜻밖의 광경을 목격하고 말았다 . 샤르트르에 갔다가 파리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 그레이가 운전을 하고 래리는 조수석에 , 이사벨과 나는 뒷자석에 앉았다 . 긴 하루를 보낸 터라 모두들 지친 상태였다 . 래리는 조수석 등받이 위쪽으로 팔을 뻗어 걸쳐놓았는데 , 그 자세 때문에 셔츠 소매가 올라가면서 가늘지만 강인한 팔목과 팔뚝이 드러났다 . 팔뚝을 가볍게 뒤덮은 솜털 위로 햇살이 쏟아져 황금빛으로 빛났다 . 순간 나는 이사벨의 몸이 경직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 나는 그녀를 흘끗 보았다 . 그녀는 마치 최면에 걸린 듯 미동도 하지 않았다 . 호흡이 빨라지면서 두 눈은 금빛 솜털로 뒤덮인 강인한 손목에 고정되었다 . 그의 손가락은 길고 섬세하면서도 단단해 보였다 . 나는 사람의 얼굴에서 그토록 강렬한 욕정을 본 적이 없었다 . 마치 색욕의 가면 같았다 . 그 아름다운 얼굴에 그토록 방자하고 음탕한 표정이 떠오를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 그것은 인간이라기보다 짐승에 가까웠다 . 그녀의 얼굴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았다 . 음탕한 표정 때문에 섬뜩하고 무섭게 변해 있었던 것이다 . 마치 교미 중인 암캐의 얼굴을 보는 듯했다 . 구역질이 날 것 같았다 . 그녀는 내가 옆에 있다는 사실도 잊은 듯했다 . 그녀의 눈에 보이는 것은 오직 래리의 손뿐이었다 . 무심하게 등받이를 감싼 그 손이 그녀를 광란의 욕정으로 채워주고 있었던 것이다 . 잠시 후 , 마치 경련이 인 듯 그녀의 얼굴이 씰룩거렸다 . 그녀는 몸을 부르르 떨더니 두 눈을 감고 구석에 몸을 깊숙이 기대며 말했다 .

" 담배 한  대만 주세요 ."

ㅡ본문 313 /314 쪽에서 ㅡ

책을 읽고도 나는 제목이 주려한 느낌이나 뉘앙스를 제대로 찾지 못했다는 자괴감으로 조금 괴로웠던 상태였다 . 멍하니 오전이 지나가는 것을 두 눈만 뜬 채로 흘려보내다가 돌연하게 떠올린 것이 위의 문장이었다 . 순간 날카롭게 뭔가가 왔다갔는데 지금 다시 그 느낌을 잡으려하니 그 짧은 찰나가 신경성 위통처럼 고통스럽다 . 누군가 나를 보고있다면 나 역시나 이사벨이 느낀 꽁꽁 묶인 관능의 고통을 겪는 듯이 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함께 . 

래리는 글 속에서 거의 무성애자에 가까운 사람으로 그려진다 .  마치 성욕 같은 건 오로지 이 세상의 것이고 그 자신은 순수한 사랑 ( 박애) (에로스처럼) 그 이상도 이하도 꿈꾸지 않는 일종의 구도자처럼 느껴지는데 그런 모습을 보니 제목은 흐릿하지만 뚜렷하게 생각나는 명화 ㅡ 가 하나 있었다 .  

발랄하고 순진무구한 얼굴로 작은 활을 든채 화면을 작게 가로지르는 에로스와 그를 향한 나신의 여성(비너스?)이 좀 더 커다란 활을 들어 올리는 몸짓과 함께 둘 사이의 공기를 먼 데서 엿보는 듯하던  그 그림에 ,  그 이상적인 모성 발현으로 보일 수도 있는 장면이 내겐 몹시도 애로틱해 보여서 어리둥절 했을 뿐이었던 기억 ㅡ 그러니 어쩌면 이 작품의 배경엔 서머싯 몸이 명화 속 비너스와 에로스의 한 장면을 보며 연상한 것이 아닐까 하는 순전한 추측을 놓아본다 . 

운전석의 남성이 아닌 조수석의 남성 , 그레이의 육중한 몸과 래리의 날렵하고 강인해보이는 육체 , 이사벨은 매일 밤 그레이와 나란히 눕는 평온한 밤을 가졌지만 진심으로 오래도록 사랑해 온 래리는 끝내 자신의 것으로 삼지 못했다 . 어쩌면 그 지점이 래리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모성 쯤으로 변환시켜 자신을 설득할 수 있었던 거라면 , 위의 순간엔 마침내 모성을 걷어내고 한 이성을 순순한 욕구만을 드러내고 본다 . 인간의 욕망이란게 어디 멀리 갈 수 있는 게 아니지 않겠냐고 하듯이 , 맨 얼굴을 보이는 비너스의 파괴적인 순간 . 그러니 인간과 인간이 가진 욕망은 ,  그 틈은 면도날처럼 얇디 얇아서 스윽 베이고도 뒤늦게 맺힌 핏방울에  상처를 느끼고 비릿한 피 맛을 볼 뿐이란 이야기가 아닐까  . 

이사벨은 그 날 그 순간이 몹시 고통스러웠을 게다 . 다 가졌는데 바로 눈 앞에 있는데도 결코 가질 수 없는 한 인간을 보며 ,  들끓는 애욕으로 번다한 밤이 앞으로 내내 찾아오지 않을까 .  그레이의 얼굴을 몸을 끌어 안으면서도 그 뒤론 래리의 몸짓을  느끼고 싶어 갈망하는 밤 . 
욕망을 숨기는 우리의 가면은 실상 이렇게 보잘 것 없는 일(?) 들에 무너진다 .  아, 아 , 그러니 저도 담배 한 대만 주세요! 

- 접기
[그장소] 2017-03-13 공감(28) 댓글(10)
=====
     
두 번째 읽는 서머싯 몸의 소설 새창으로 보기


 정확히는 기억이 나질 않지만 서머싯 몸의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한 건 하루키씨의 소설을 보다가 였습니다. <상실의 시대>에서 주인공이 서머싯 몸의 책을 읽고 있는 게 인상깊었습니다. 서머싯 몸, 일단 이름부터 느낌있습니다.



 어느 날 스터디 카페에서 책을 읽다가 지루해졌습니다. 카페 내에 있는 책들을 둘러보던 중 서머싯 몸의 <달과 6펜스>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별로 끌리지는 않았지만 '흐음, 한 번 봐볼까?' 하고 책을 펼쳤습니다. 고갱을 모티브로 한 소설이더군요. 처음에는 그런 것조차 모르고 봤습니다. 엄청난 이야기의 흡입력이었습니다.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습니다. 한 달음에 다 읽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서머싯 몸을 기억하게 됐고 그의 다른 책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믿음사의 <면도날>을 구입했습니다. 책 표지도 그렇고 손이 잘 안 갔습니다. 책도 두꺼워서 더 손이 안 갔습니다. 그러다 마침내 '조금 봐볼까?' 하는 생각으로 <면도날>을 들었습니다. 역시나 이야기 속으로 깊숙이 빠져들었습니다. 서머싯 몸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면도날>을 읽고 서머싯 몸의 작품은 다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이런 생각이 드는 작가가 많은 편입니다. 실제로 다 읽는 경우는 드물지만요.



 아무튼 <면도날>을 재밌게 읽고 <인간의 굴레에서>1, 2 를 구입했습니다. 아직 본격적으로 읽지는 않아서 빨려들어가지는 않았습니다. 



 <면도날>은 한 젊은이의 여정을 그립니다. 전쟁의 상흔을 겪고 변해버린 젊은이는 자신도 설명할 수 없는 존재론적 질문들에 사로잡힙니다. 저도 주인공 래리라는 젊은이에 공감이 많이 가서 그런지 더욱 재밌게 봤습니다. 



 서머싯 몸의 소설은 재밌습니다. 추천드립니다!

- 접기
고양이라디오 2022-03-04 공감(24) 댓글(2)
====
     
날카로운 면도날을 넘어서는 사람은 과연 구원에 이를 수 있을까?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자. 1899년,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미국의 상류계층을 '유한계급'으로 지칭하며 그네들의 과시적인 낭비 행태를 풍자하는 책, 『유한계급론』을 출간하였다. 이 책을 두고 한 서평가는 이 책이 영국의 유한계급을 모방하고 영국 귀족과 결혼하려 드는 미국 상류층의 행태를 묘사한 점에서 미국 문학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 평가하였다. 공교롭게도 20세기 초 미국 '유한계급'의 행태는 1944년 영국의 작가 서머싯 몸의 『면도날』로 비슷하게 재연되었다.



총 7장으로 이루어진『면도날』은 작가인 서머싯 몸이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대공황 시기까지, 두 부류의 인물상을 관찰한 이야기다. 한편에는 미국인 속물들이라 할만한 엘리엣 템플턴과 조카딸 이사벨이 있다. 다른 한편에는 1차 세계대전에 공군으로 참전하였으나 눈 앞에서 친구의 죽음을 목격한 로랜스 대릴, 줄여서 래리가 있다. 래리는 삶의 의미를 찾아 한동안 세상을 등졌다가 다시 속세로 돌아온다.



몸은 이 책을 시작하면서 줄거리다운 줄거리도 없는 이런 글이 소설이라 부를 수 있는 가 우려한다. 

지금껏 이렇게 염려스러운 마음으로 소설을 시작해 본 적이없다. 내가 이 글을 소설이라고 부른다면 그것은 단지 마땅히 붙일 다른 이름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줄거리다운 줄거리도 별로 없고 결말이 죽음이나 결혼으로 끝나지도 않는다. p. 9


확실히 이 책에서 등장인물들이 일으키는 사건은 이 책에서 잠깐 언급되는 『달과 6펜스』의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가 일으키는 사건과는 거리가 있다. 스트릭랜드가 사고뭉치라면, 이 소설은 후반부의 한 사건만 빼고 끊임없이 화자인 몸이 엘리엇, 이사벨, 래리, 그외 소피, 수잔 루비에와 만나서 이야기를 듣고 헤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그 중심에는 래리가 있다.



이 책은 내가 이따금 만나서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던 한 남자를 회상한 내용이다. 나는 그가 나와 만나지 않았던 기간에는 어떤 일을 경험했는지 거의 아는 바가 없다. 나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그 기간에 있었을 법한 일을 그럴듯하게 꾸며 내 좀 더 조리 있는 이야기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러고 싶은 마음이 없다. 단지 내가 아는 한도 내에서 이야기를 쓰고 싶다. - P10


인물 간의 갈등(주로 이사벨과 래리 사이)이 빚어지긴 하지만, 주요 인물들 중 찰스 스트릭랜드에 비견될 만한 초대형사고를 치는 인물은 없다. 



이 책에서 긍정적으로 비춰지는 인물은 역시 주인공이라 할 인물은 래리이다. 래리는 끊임없이 공부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한다. 래리는 1차 세계대전에서 공군으로 참전한 후 동료가 한순간에 '핏덩이'가 되는 꼴을 보고 삶의 의미를 찾아 방황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래리의 등장은 상당히 늦다. 



이 소설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물은 속물근성으로 가득찬 엘리엇 템플턴이다. 이 소설의 비중만 놓고보면 엘리엇 템플턴이 진짜 주인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할 만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엘리엇은 풍족한 재산을 지니고, 유럽의 사교계에 온 신경을 쏟아부으며, 사람을 대할 때 사회적 신분을 따지며 대하는 속물의 전형이다. 그가 머무는 방은 화려하게 치장되어 있다. 이 소설에서 그가 몸과 친해진 계기도 몸이 작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나중 가면 자신의 이니셜을 새긴 속옷을 몸에게 보여준다거나, 죽음을 앞두고서도 사교 파티 초대장에 답하려 하는, 나름 진지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예술품을 알아보는 교양과 안목이 있으며, 프랑스어와 영국식 영어에도 능통한 인물이다. 술집에서 다같이 대화를 나눌 때, 술에 관한 자신의 지식을 한껏 늘어놓는다. 



이 같은 엘리엇 템플턴의 면모는 베블런이 『유한계급론』에서 묘사한 유한계급의 모습과 많은 점에서 들어맞는다. 베블런은 유한계급이 쓸모없는 지식과 예의범절을 학습하느라 시간을 낭비했다는 과시적 여가, 역시 쓸모없이 소비하며 재산을 과시하는 과시적 소비, 이른바 과시적 낭비를 일삼는다고 지적하였다. 이처럼 시간과 재산을 낭비하는 과정에서, 유한계급은 쓸데없는 예의범절과 오로지 낭비로만 귀결되는 각종 지식을 남들 앞에서 보여준다는게 그의 요지다.



어느새 우리는 미술관에 도착했기 때문에 자연히 관심도 그림으로 옮겨 갔다. 나는 엘리엇의 박학다식함과 예술적 안목에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마치 관광객이라도 안내하듯 나를 이 방에서 저 방으로 데리고 다녔다. 그 어떤 미술교수라도 엘리엇만큼 훌륭하게 그림을 설명해 주지는 못했을 것이다. - P41
그때부터 엘리엇 생애에서 가장 화려한 시기가 시작되었다. 그는 파리에서 최고급 요리사를 불러왔고, 얼마 후 그의 집에 가면 리비에라 지방에서 가장 훌륭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는 평판이 자자해졌다. 집사와 하인에게는 어깨에 금줄 장식이 달린 흰색 제복을 입혔다. 그는 최대한 후하고 성대하게 손님들을 대접하되, 고상한 품위를 지키기 위한 한계선은 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 P207
내가 엘리엇을 보면서 무엇보다도 감탄한 점은, 그가 신분 높은 인사들을 대할 때 우아함과 예의를 한껏 갖추면서도,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난다고 가르치는 나라의 국민으로서 독립적이고 당당한 태도를 잃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 P208
이러한 엘리엇의 모습에서, 그가 남들이 알아채지 못한 사생활 속에서 얼마나 자신의 예의범절과 '교양'을 갈고 닦았는가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래리는 책의 첫 페이지에 인용되는 카타 우파니샤드의 구절, 넘어서기 어려운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건너 구원으로 나아가는 인물이다. 래리는 엘리엇과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 이후에나 등장한다. 3장과 6장에서 몸이 래리에게 이야기를 듣고 독자들에게 전달해주기는 하지만, 이 소설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래리는 대체로 몸, 엘리엇, 이사벨과 동떨어진 삶을 산다. 엘리엇과 이사벨이 소설 내내 파리에 머무는 동안, 래리는 파리 뿐만 아니라 유럽 각지를 떠돌다가 마침내 인도에 가 요가수행자를 만나 수행까지 하고 돌아온다.



엘리엇, 이사벨의 가치관과 래리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지점은 래리가 이사벨과 파혼하는 장면일 것이다. 이사벨은 부유하고 풍족한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나 래리는 정신적으로 의미있는 삶을 찾고자 한다.



이사벨과 래리의 관계에서도 주목할 측면이 있다. 이사벨은 그레이 매튜린과 결혼한 이후에도 래리를 향한 욕정을 내보이는가 하면, 래리가 소피 맥도널드와 결혼하려하자 이를 훼방놓는다. 이사벨은 어떻게든 래리를 소유하려하지만 이사벨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간다. 오히려 소피와의 결혼이 무산된 래리는 이사벨을 영영 떠나버리고 말았다.



래리라는 인물 자체에 문제가 없다고 볼 수는 없다. 6장에서 독자는 몸과 래리의 대화를 통해 인도철학을 일부 나마 접하게 된다. 이때 래리가 말하는 인도 철학은 래리의 관점으로 정제된 인도철학, 즉 '서양인의 관점에서 본 인도 철학'이다. 이 지점에서 에드워드 사이드가 말한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으로 해부해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소설이 쓰여진 당시에는 사이드가 말한 오리엔탈리즘 같은 관점으로 바라본다는 생각 자체를 못했을 테니 그러려니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소설의 배경은 20세기 초, 정확히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사이에 해당한다. 1944년에 발표되었으나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의 시점을 다룬 책인 것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물질주의적인 속물들, 엘리엇과 이사벨 그리고 그와 대비되는 래리를 통해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의문을 떠올리게 만든다.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풍족한 삶, 남들이 우러러 보는 삶이 의미있는 삶, 행복한 삶인가? 아니면 소설 후반부에서 래리가 선택한 것처럼 물질적으로는 평범한 삶, 어쩌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고, 고단할 수도 있는 삶을 살더라도, 선과 악이 혼재하는 이 세상에서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아 갈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삶, 행복한 삶인가? 결국 이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동시에 삶의 의미를 성찰 하는 것과도 같다.



래리와 몸의 대화 중 래리의 흥미로운 한 마디를 언급하면서 본 글을 마치고자 한다.

"우연히였죠. 적어도 그땐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몇 년간의 유럽 생활 끝에 치러야만 했던 필연적인 결과였던 것 같아요. 그동안 저한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던 사람들은 거의 모두 우연히 만난 사람들이었죠. 하지만 돌이켜 보면 결국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던 것 같아요. 마치 내가 그들을 필요로 할 때까지 그 자리에서 기다리고 있었던 것처럼 말이죠. - P409
가끔 우연과 필연에 대해 생각하곤 한다. 우리 삶이 우연에 우연이 겹친 결과인 줄 알았더니 사실 처음부터 그 결과가 래리 말마따나 필연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라면? 번번이 그에 대해 나 스스로 답을 내리지는 못하지만, 항상 재미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넘어서기는 어렵나니.
그러므로 현자가 이르노니, 구원으로 가는 길 역시 어려우니라.
- 카타 우파니샤드 - P7

그러곤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다. 바로 내 의도와는 달리, 이 글이 일종의 성공담이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내가 등장시킨 모든 인물들이 저마다 원하는 바를 얻지 않았는가? 엘리엇은 사교계에서 명성을, 이사벨은 막대한 재산을 확보하여 활동적이고 교양 있는 지역사회에서 확실한 지위를 얻었으며, 그레이는 안정적이고 수익성 높은 직업과 매일 아침 9시에 출근하여 6시에 나설 수 있는 사무실을 얻었다. 수잔 루비에는 안정을, 소피는 죽음을, 래리는 행복을 얻었다. - P515

- 접기
Heath 2023-02-04 공감(17) 댓글(0)
Thanks to
 
===




홈 > 위드인 뉴스 > 책


구원을 찾는 여정 그리고 평범한 삶 ,소설 ‘면도날’
2018.12.07 
[위드인뉴스 홍승범]




인간에게 과연 ‘구원’이 있을까?




모든 것을 포기하고 구도의 길을 가는 것은 고되고 험난하다. 하지만 여느 성자들이 다 그러했듯이 구도의 길이 이끄는 엄청난 관성은 쉽게 떨쳐내기 어렵다.




한 사람의 인생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급작스럽게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그것이 누군가의 죽음 때문이라면 더더욱 큰 변화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전쟁에서 내 옆에 있던 누군가가 나를 구하고 죽는 순간은 삶과 죽음의 의미를 다시 한 번 깨우치게 만드는 순간이다. ‘면도날’은 자신의 삶을 뛰어넘어 존재에 대한 질문을 하는 한 인간





인간의 존재 근원에 대한 ‘면도날’의 날카로운 질문
면도날은 '인간의 굴레에서', '달과 6펜스'와 함께 서머싯 몸의 3대 장편소설 중 하나로 손 꼽힌다. 1930년대 유럽, 새로운 경험을 꿈꾸던 한 젊은이 래리는 제 1차 세계대전이라는 씻을 수 없는 전쟁의 상처를 목격한다. 그는 자신의 눈앞에서 동료가 죽는 것을 보고 자신이 살아왔던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된다.




어려서 부모를 잃었지만, 유복한 후견인 집안에서 부족할 것 없이 자란 래리는 평범한 미국청년으로 성장해 여자친구인 이사벨과 결혼을 생각할 만큼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하지만 그는 그저 유렵으로 향한다는 기대감 만으로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리고 그 곳에서 인간으로 보기 힘든 전쟁의 끔찍한 참상들을 그대로 목격하게 된다.




▲작가 윌리엄 서머셋 모옴은 ‘면도날’을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출처 = picryl)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온 래리는 이사벨과 재회하지만 래리는 이미 예전의 래리가 아니었다. 그는 미래에 윤택한 삶에 대한 목표는 멀리 하고 삶에 대한 진지한 질문들을 떠올리기 시작한다. 그런 래리를 보는 이사벨의 마음은 복잡하기만 하다. 결국 이사벨은 래리를 떠나고 래리 역시 자신이 걷고 있던 삶의 길에서 벗어나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찾아 길을 떠난다.




래리의 구도 여정은 그를 다시 유럽으로 이끈다. 프랑스의 탄광과 수도원, 독일의 농장, 스페인과 이탈리아를 돌아 래리는 인도에 까지 이르게 된다. 한편 래리와 이별한 후 이사벨은 재벌 2세인 그레이와 결혼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의 삶이 무조건 세속적이라 할 수 있을까? 소설은 래리와 이사벨 그리고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삶을 나열하며 무엇이 진정 인간다운 삶인가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다른 길을 찾아 떠난 래리와 이사벨, 정답은 있을까?
‘면도날’은 세상을 벗어나는 한 인간의 여정을 통해 존재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찬찬히 보여준다. 이 과정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처럼 숭고하고 아름답지만은 않다. 윌리엄 서머셋 모옴이라는 위대한 작가의 손길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그의 유머러스하고 간결한 문체는 구도의 길을 찾아나서는 래리의 여정을 너무 무겁지만은 않게 만들어준다.




특히 래리 뿐만 아니라 이사벨, 그레이 등 다양한 인물들이 인생을 만들어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삶과 인간 존재의 가치에 정해진 답이 없다는 것은 미묘한 은유로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특별한 ‘구도의 삶’과 ‘평범한 삶’이 어떤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다양한 인간 군상의 나열은 독자들에게 인생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게 해준다.




윌리엄 서머셋 모옴은 두 말할 필요가 없는 20세기의 대표적 작가다. 그는 91세까지 사는 동안 장편소설 20편, 희곡 25편, 여행기와 평론집 11편, 단편소설 100편을 써냈다. 끊임없는 작품에 대한 열정이 만들어낸 그의 창작은 대중들에게 그를 잊을 수 없는 작가로 만들어 주었다. 그런 그의 삶에 대한 정수를 ‘면도날’에서 볼 수 있다.

홍승범 withinnews@gmail.com




===


의미 찾아 떠난 여행, 서머싯 몸의 '면도날'


석지헌 기자

입력2017-10-15 

[글로벌이코노믹 석지헌 기자]

윌리엄 서머싯 몸(1874.1.25 ~ 1965.12.16)


"면도날의 날카로운 칼날을 넘어서기는 어렵나니. 그러므로 현자가 이르노니, 구원으로 가는 길 역시 어려우니라." -카타 우파니샤드

책의 제목이 조금은 어색하게 느껴질지 모르겠다. 면도할 때 쓰는 그 면도날이 맞다. 저자는 구원에 이르는 고행의 길은 면도날의 칼날처럼 날카롭고 아프다는 의미에서 책의 이름을 <면도날>로 붙였다고 한다. 이 책은 주인공 래리가 '자기완성'을 위해 진정한 자아를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렸다.

책에는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명성을 찾는 자, 돈을 좇는 자, 이상을 찾는 자, 죽음과 안정을 찾는 자. 이들은 사고방식도, 삶의 방식도 모두 다르다. 저자는 식상하게 명성이나 지위, 돈을 추구하는 인물들을 비판하지 않는다. 그들 삶의 방식이 모두 옳다고,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다만 한 인물의 삶에 유독 초점 맞추는데 그 인물이 바로 '래리'다. 10대의 젊은 나이로 1차 세계대전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했던 래리는 참전하기 전까진 아름다운 여자친구 '이사벨'과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살았지만 전쟁에 나가 자신을 구하려다 친구가 눈앞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본 후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죽은 사람은 정말로 죽은 사람처럼 보인다는… 그때 나도 그런 느낌이었어."

래리는 한 존재가 사라진 모습을 위와 같이 회상한다. 전쟁은 그를 완전히 새로운 사람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는 학교로 돌아가지도 않았고 돈을 버는 일이나 세상사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오로지 전쟁 속 참혹한 죽음을 통해 삶에 대해, 그리고 '나'라는 존재에 대해 깊은 성찰의 길에 들어선다. 목표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그는 나를 찾는 여행을 위해 탄광촌으로 인도로, 성자를 따라 명상과 배움의 길에 들어선다.

기나긴 여정 끝에 다시 나타난 그는 "인간을 초월한 어떤 인식이 나를 소유하면서 그동안 혼란스러웠던 모든 것이 명확해지고 골치 아팠던 모든 것이 설명되는 기분"이라며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묘사한다. 그는 분명 달라져 있었다.


서머싯 몸의 '면도날'."저는 인간이 세울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이상이 자기완성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 이상을 이루기 위해 '혼자' 노력한다고 해서,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것 같냐고 되묻는 누군가의 물음에 래리는 답한다.

"시도는 할 수 있잖아요. 물레도 한 사람의 머리에서 나온거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것도 한 사람이었어요. 이 세상에 일어나는 일들은 모두 작게나마 영향력을 갖고 있게 마련이죠. 연못에 돌 하나를 던져도 이 우주는 돌을 던지기 전의 우주와 똑같다고 할 수 없습니다. 한 인간이 고결하고 완벽해지면 그런 성품의 영향력이 널리 퍼져서 진리를 찾는 사람들이 자연적으로 그 사람에게 이끌리게 됩니다."

올 가을, 래리와 깨달음의 여정을 함께 하고 싶다면 <면도날>을 읽어보자.


석지헌 기자 cake@g-enews.com
===
면도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사랑하기
by 익독 2020. 5. 18.


『인간의 굴레에서』, 『달과 6펜스』와 함께서머싯 몸의 3대 장편소설 중 하나1930년대 유럽, 그 풍요와 야망의 시대를 배경으로 꿋꿋이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한 젊은이의 구도적 여정을 그��

www.yes24.com
 

 

얼마 전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는 책을 시작으로 문학의 맛을 조금씩 알아가는 중이다. 

 

나에겐 정말 고맙고 소중한 친구들이 있기에 참존가(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라는 책도 알게 되어 읽었지만, 이번 책 역시 그러하다. 

 

가슴이 뜨거워지고, 여행하고 싶어 지고, 삶의 의욕이 생기게 되는 책이라나?

 

친구들로부터 책에 대한 예찬과 추천은 끊이질 않았기에, 군대 휴가 나온 친구 집에 급하게 들러서 결국 빌려서 읽게 되었는데 그 책이 바로 오늘 소개할 서머싯 몸의 면도날이다. 

 

 

 

 


면도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사랑하기
 

책에 대한 친구들의 칭찬과 추천이 끊이질 않았던 책, 면도날.

 

가슴 속 피가 끓어오르고, 여행을 가고 싶어 지고, 래리(작중 인물) 같은 삶을 살고 싶어 지고 등등.

 

나도 그렇고 이 책을 추천해주는 나의 절친들은 평상시 과장을 좀 하는 것이 없지 않아 조금 있지만, 알면서도 그들의 이 책에 대한 간단한 서평과 느낀 점은 나로 하여금 흥분과 기대를 하게 만들기 충분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들의 말이 백번 맞았다.

 

그러나 이 책의 결말에서 작가는 특정한 상황과 어떤 충격적인 결말을 연출하지않고 작품의 처음과 끝이 동일한 리듬으로 묵묵히 전개된다. 

 

몰입도는 두말할 것도 없이 훌륭했기에, 비록 500여 페이지의 분량에 달하는 장편 소설이지만 하루 날만 잡았다면 사흘이 아닌 당일날 바로 다 읽었을 것 같다. 

 

이 훌륭한 전개와 몰입도는 나에게 책을 읽으면서 작중 인물들의 대화 속에 당장이라도 같이 끼고 싶다는 생각을 수도 없이 하게 했고, 이들의 생김새는 이미 내 머릿속에 깊이 각인되었다. 

 

특히, 이 소설에서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는 '래리'라는 인물의 삶과 그가 나아가려하는 여정은 나의 가슴속 열정을 부글부글 끓게 만드는 것을 넘어 그 위에 기름마저 부어버렸다.

 

시중에는 많은 자기계발서가 있다. 나는 자기 계발서를 딱히 싫어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좋아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자기 계발서가 하는 얘기는 대부분 거기서 거기로 똑같다. 우리가 다 아는 얘기이다.

 

그러나 자기계발서를 쓴 작가들은 우리가 아는 똑같은 얘기를 할 수밖에 없으니 자기 계발서가 지루한 것은 당연한 것이고, 자기 계발서에서 얻은 것을 행동으로 실천할 때에 비로소 얻음이 있다.

 

모든 자기계발서가 그렇듯, 이는 더운 여름날 갈증을 잠깐 해소하게 해주는 코카콜라고, 어두운 곳을 비춰주는 배터리가 얼마 안 남은 손전등이다. 그냥 순간적이다.

 

면도날은 천천히 조용히 가슴 속에 스며들어 나를 자극한다. 자기계발서처럼 나에게 어떤 행동과 실천을 강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강요하지 않음이 오히려 나로 하여금 움직이고 싶게 하고, 나를 사랑하게 하고, 멀리 그리고 더 높이 바라보게 한다.

 

 

 


면도날 목차. 총 7장과 작품 해설 그리고 작가 연보로 이루어져있다.

목차를 넘기면 나오는 장엄한 인용구
 

목차는 총 7장으로 구성되어있고, 목차를 넘기고 나면 장엄하게 한 문구가 쓰여있다.

 

그리고 이 책의 장엄한 여정은 저 말의 뜻을 찾기 위해 전개된다.

 

 

사회가 바라는 삶과 내가 바라는 삶
이 책의 뒤편에 이렇게 적혀있다. '비정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려는 모든 젊은이들에게 바치는 작품.'

 

왜 그럴까 생각해보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수많은 청년들이 고민하는 것에 대해 이 책이 어느 정도 이정표 역할을 해주기에 위와 같이 소개를 한 것 같다. 

 

극단적이지만,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사회가 바라는 삶과 내가 정말 추구하고 싶은 삶이라는 기로에 놓여 자주 방황한다. 

 

나는 어렸을 때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나이가 조금씩 들어가면서 알아가는 것이 많아지니 더욱 소극적이게 되고 사회에 들어갈 것이라는 두려움이 마음속에 천천히 뿌리내리는 것 같다. 

 

그렇기에 요즘 경제적으로 독립을 얻고 싶고, 얼른 직장도 다니고 싶고 등등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그러나 작중 인물 래리는 자신이 추구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는데, 그 삶은 정신적 세계를 추구하는 삶이다.

 

사실 표면적으로만 보면 터무니없고 고리타분한 주제이고 그것이 래리가 추구하는 삶이라고 볼 수 있으나, 작품을 읽으면서 후반부로 갈수록 나는 그냥 래리와 한 달만 동행하고 싶어 졌다.

 

그리고 진리란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경제적 독립"이 내가 바라는 목표이고 현재 나의 진리이다 라는 편협한 생각과 가치관에서 좀 더 멀리 바라볼 수 있는 시야가 생겨져 있었다.

 

정신적으로 해방되고 자유로움을 얻는다는 것은 어떤 세계인지 감히 가늠도 안 잡힌다.

 

 


 

 

 

 

 

윤회에 대한 나의 생각 
책의 후반부 6장에서는 래리와 작가가 나누는 길고 긴 얘기의 재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둘의 얘기라고 보기는 사실상 힘들고, 래리의 일방적인 스토리텔링과 작가의 경청이다. (작가는 래리만큼 멋있다. 정말 잘 들어준다.)

 

 


오늘 한강에서 마저 읽은 면도날. 날씨가 너무 화창하고 좋았다.
 

6장은 줄거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전혀 되지 않는다고 작가는 얘기하나, 이 대화가 없었더라면 나는 이런 책을 쓸 생각조차 안 했을 거라고 나를 책 속으로 더욱 잡아당긴다.

 

래리와 작가의 대화는 점점 절대자의 존재와 자유 그리고 진리 등 영원적인 것에 대한 것으로 흘러간다. 

 

읽으면서 감탄스러웠던 것은 6장에서 다뤄지는 사상과 내용은 절대 쉬운 것이 아닌데, 작가가 이만치 쉽게 풀어낸 것이 문득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저번 참존가에서는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이 책에서 다뤄졌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번 면도날에서도 한 사상이 다루어졌다. 그것은 바로 윤회이다. 

 

윤회는 간단히 말하면, 인간이 죽으면 다음 생에 다른 존재로 다시 태어나고 계속 돌고 돈다는 건데, 우리의 자아는 이를 끊임없이 반복한다. 말보다는 아래 책 속 한 부분을 첨부하는 것이 더 좋겠다.

 

 


p.444
 

바다에서 증발한 물이 다시 구름으로 올라가 소나기가 되어 내리고 이는 개천으로 흘러들어 가 강물을 굽이 따라가다 결국 다시 바다로 돌아온다. 윤회를 이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 말을 읽고 영혼은 세상을 돌고 돌아도 육신은 다르니 그것은 개성을 상실한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책 속 작가가 나를 대신해해 주었다.

 

그리고 래리는 결국 개성이라는 건 자아의식의 표출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대답으로 나에게 다가왔다.

 

이때 래리의 대답으로부터 내가 느낀 것은 윤회 사상, 자아실현과 추구 등의 추상적인 것은 오히려 더욱 아니었고, 

 

나의 육신이 현재(顯在)하듯, 나의 영혼 또한 그렇다는 것과 나의 영혼은 어디로 와서 나에게는 몇 번째로 왔는지는 몰라도 금생(今生)에선 나와 함께 있으며 나의 영혼에게 자유를 주고 싶고 잘해주고 싶어 졌다.

 

윤회? 사실은 잘 모르겠고, 이해가 안 된다. 아니 이해가 안 되는 게 아니라 와 닿지 않는다.

 

그러나 래리의 대답과 이 책은 나에게 외부적 방향성뿐만이 아니라 내부적인 갈등에 대한 방향성도 제시해주는 것 같다.

 

 

결론
책에 대해서 그리고 작중 인물인 래리에 대해 더 얘기하고 싶고 더 예찬하고 싶지만, 래리가 말했듯 침묵 또한 충분한 말과 대화가 될 수 있으니 나머지는 가슴속에 간직하려 한다.

 

결론을 얘기하자면 이 책은 나의 가슴을 뜨겁게 했지만, 냄비가 팔팔 끓어올랐다가 금세 꺼지는 듯한 뜨거움이 아닌 아주 천천히 뜨거운 온기로 나를 감싸 어딘가로 날아가게 해주는 열기구를 하늘로 띄우는 뜨거움이었다.

 

래리가 너무 멋있었다. 래리와 식사를 한번 해보고 싶어 졌고, 래리가 가는 곳을 동행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정말 많이 들었다. 

 

물론, 다른 작중 인물들도 멋있었다. 작가가 얘기하듯 앨리엇, 이사벨, 그레이, 소피, 수잔 모두 자신이 추구하는 삶, 원하던 곳으로 돌아갔다고 할 수 있다. (소피는 사실 잘 모르겠다.) 

 

그리고 래리만큼 멋있었던 것이 작가였다. 그는 모든 이들의 얘기를 잘 들어줬으며, 얘기를 잘 들어준다는 것만큼 누군가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도 없다. 작가는 그런 인물이었다.

 

소설에 대한 재미와 감동 그리고 뜨거움을 매우 잘 느꼈던 책이다.

 

파리가 매우 가고 싶어 지는 새벽 3시다. 

 

 

 






Posted by Sejin at February 17, 2023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The Razor's Edge

Finding God through Yoga by David J. Neumann - Ebook | Scribd

Finding God through Yoga by David J. Neumann - Ebook | Scribd

Ebook609 pages11 hours
Finding God through Yoga: Paramahansa Yogananda and Modern American Religion in a Global AgeShow full title


By David J. Neumann
Rating: 5 out of 5 stars

5/5


About this ebook

Paramahansa Yogananda (1893–1952), a Hindu missionary to the United States, wrote one of the world's most highly acclaimed spiritual classics, Autobiography of a Yogi,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46 and continues to be one of the best-selling spiritual philosophy titles of all time. In this critical biography, David Neumann tells the story of Yogananda's fascinating life while interpreting his position in religious history, transnational modernity, and American culture. Beginning with Yogananda's spiritual investigations in his native India, Neumann tells how this early "global guru"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20 and established his headquarters, the Self-Realization Fellowship, in Los Angeles, where it continues today.

Preaching his message of Hindu yogic philosophy in a land that routinely sent its own evangelists to India, Yogananda was fueled by a religious nationalism that led him to conclude that Hinduism could uniquely fill a spiritual void in America and Europe. At the same time, he embraced a growing belief that Hinduism's success outside South Asia hinged on a sincere understanding of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By "universalizing" Hinduism, Neumann argues, Yogananda helped create the novel vocation of Hindu yogi evangelist, generating fresh connections between religion and commercial culture in a deepening American religious pluralism.


Skip carousel
Carousel Next




Read now


Posted by Sejin at February 17, 2023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Hinduism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Pos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274)
    • ▼  July (9)
      • The head of Zhen Dao Pai school - Daoist School Zh...
      • Daoist Cultivation, Book 1: Fundamental Theory and...
      • Daoism for beginners - Daoist School Zhen Dao Pai
      • Daoist Cultivation (20 book series) Vitaly Filbert...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스크랩]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한문 원문과 해석
      • Sutra of Filial Piety - Wikipedia 부모은중경
      • 한길사 - ❝한길그레이트북스 196권 다 읽었다!❞ - 어부 독자 김기택 씨
      • The Filial Piety Sutra – The Deep Kindness of Pare...
    • ►  June (60)
    • ►  May (30)
    • ►  April (16)
    • ►  March (80)
    • ►  February (67)
    • ►  January (12)
  • ►  2024 (1380)
    • ►  December (21)
    • ►  November (38)
    • ►  October (46)
    • ►  September (81)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35)
    • ►  February (244)
    • ►  January (204)
  • ►  2023 (4078)
    • ►  December (154)
    • ►  November (138)
    • ►  October (312)
    • ►  September (370)
    • ►  August (552)
    • ►  July (582)
    • ►  June (522)
    • ►  May (478)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69)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3)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1)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59)
  • Grundtvig2 (14)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0)
  • Israel (1)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11)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W. Muesse (1)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99)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09)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19)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58)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1)
  • 김종건 (2)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학 (60)
  • 송규 (6)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5)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102)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8)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0)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0)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11)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24)
  • 죽음 공부 (1)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49)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井筒俊彦 (59)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