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30

Henry Cadbury - Wikipedia

Henry Cadbury - Wikipedia

Henry Cadbur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Henry J. Cadbury
Henry Joel Cadbury sitting at a desk photo from AFSC archive.jpg
Photo from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archives.
Born1 December 1883
Died7 October 1974
Alma materHaverford College
Harvard University
AwardsNobel Peace Prize (on behalf of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Scientific career
FieldsNew Testament
History of Christianity
InstitutionsHaverford College
Andover Theological Seminary
Bryn Mawr College
Harvard Divinity School

Henry Joel Cadbury (December 1, 1883 – October 7, 1974) was an American biblical scholar, Quaker historian, writer, and non-profit administrator.

Life[edit]

A graduate of Haverford College, Cadbury was a Quaker throughout his life, as well as an agnostic.[1] Forced out of his teaching position at Haverford for writing an anti-war letter to the Philadelphia Public Ledger, in 1918, he saw the experience as a milestone, leading him to larger service beyond his Orthodox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He was offered a position in the Divinity School at Harvard University, from which he had received his Ph.D, but he first rejected its teacher's oath for reasons of conscience, the Quaker insistence on telling the truth, and as a form of social activism. He later accepted the Hollis Professorship of Divinity (1934–1954). He also was the director of the Andover-Harvard Theological Library (1938–1954), and chairman (1928–1934; 1944–1960) of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which he had helped found in 1917. He delivered the Nobel lecture on behalf of the AFSC when it, together with the British Friends Service Council, accepted the Nobel Peace Prize in 1947 on behalf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2] He was also awarded an honorary Doctor of Laws (LL. D.) degree from Whittier College in 1951.[3]

Controversial remarks[edit]

In 1934, Cadbury encouraged Jews to engage Nazis with good will, according to The New York Times, which characterized his stance as, "Good will, not hate or reprisals, will end, or offset, the evils of Hitler government's persecution of Jews."[4] The suggestion was repudiated by the rabbis he made it to, led by Stephen S. Wise.[5]

Select works[edit]

Thesis[edit]

  • Cadbury, Henry J. (1919). The Style and Literary Method of Luke: Appendix to part III. Some inferences as to the detection of sources (Ph.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OCLC 17893716.

Books[edit]

  • ——— (1920). National Ideals in the Old Testament. New York: Scribner’s. OCLC 3672266.
  • ——— (1927). The Making of Luke-Acts. New York: MacMillan. OCLC 2709946.
  • ——— (1937). The Peril of Modernizing Jesus. Lowell Institute lectures 1935. New York: MacMillan. OCLC 2697178.
  • ——— (1947). Jesus: What Manner of Man. Shaffer lectures, 1946. New York: MacMillan. OCLC 646147.
  • ——— (1955). The Book of Acts in History. Lowell Institute lectures, 1953. London: A. & C. Black. OCLC 759775493.
  • ——— (1957). Quakerism and Early Christianity. Swarthmore lecture, 1957. London: George Allen & Unwin. OCLC 1139773.
  • ——— (1964). The Eclipse of the Historical Jesus. Pendle Hill Pamphlet133. Wallingford, P: Pendle Hill Publications. OCLC 1303599.
  • ——— (1971). John Woolman in England: A Documentary Supplement. Supplement ... to the Journal of the Friends Historical Society. 31. London: Friends Historical Society. OCLC 548894.

Edited by[edit]

  • ———, ed. (1948). George Fox's Book of Miracles. Cambridge, MA: University Press. OCLC 867954049.
  • ———, ed. (1972). Narrative Papers of George Fox. Richmond, IN: Friends United Press. ISBN 9780913408063OCLC 481263.

Journal articles[edit]

References[edit]

  1. ^ "My Personal Religion", lecture given to Harvard divinity students in 1936.
  2. ^ Duncan, Lucy (August 15, 2018). "Civility Can Be Dangerous"Friends Journal.
  3. ^ "Honorary Degrees | Whittier College"www.whittier.edu. Retrieved December 6, 2019.
  4. ^ "Urges Good Will By Jews For Nazis"The New York Times. New York City: New York Times Company. June 14, 1934. Retrieved June 29, 2018.
  5. ^ "Good Will Barred to Nazis by Rabbis; Wise Leads Wave of Objection to Advice by Cadbury, of Society of Friends"The New York Times. New York City: New York Times Company. June 16, 1934. Retrieved July 10, 2019.
  • Bacon, Margaret H., Let This Life Speak: The Legacy of Henry Joel Cadbury. U of Pennsylvania P, 1987. ISBN 0-8122-8045-8.

External links[edit]

Henry Cadbury, AFSC, and Haverford College - Friends Journal

Henry Cadbury, AFSC, and Haverford College - Friends Journal


Henry Cadbury, AFSC, and Haverford College


April 1, 2017

By David Harrington Watt and James Krippner

The Perils of Pacifist Dissent During World War IFounders Hall of Haverford College, Pennsylvania. © Tlonorbis via Wikimedia.

On April 28, 1917, the Senate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both approved bills that instituted a military draft. The two bills were reconciled on May 16 and signed into law by President Woodrow Wilson two days later. The law Wilson signed—the Selective Service Act—did not explicitly bar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from drafting members of the peace churches into the military. Instead, it left open the possibility of their being drafted into the military and assigned noncombatant duties. What did and did not count as noncombatant duties was left to the discretion of the President.

On April 30, 15 Quakers met in Philadelphia and created what was first called National Friends Service Committee. (The name was changed to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that May.) The committee adopted a minute that said the following:


We are united in expressing our love for our country and our desire to serve her loyally. We offer our services to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in any constructive work in which we can conscientiously serve our country.

The idea, of course, was to suggest that the nation ought to be able to find ways of having Quakers serve their country that did not involve serving in the military.

The meeting was convened by a 33-year-old Quaker named Henry J. Cadbury. Cadbury was an associate professor of biblical literature and Greek at Haverford College. He had recently married an outspoken young Quaker, Lydia Caroline Brown. Two months after AFSC was created, Lydia gave birth to a daughter and named her Elizabeth. Both Lydia and Henry came from well-known Quaker families. Henry was related to the branch of the Cadbury family who had made a fortune manufacturing and selling chocolate in England. His immediate family in the United States was also fairly prosperous. He had been educated at William Penn Charter School, Haverford College, and Harvard University, and was highly regarded as a scholar of the New Testament with particular expertise in the books of Luke and Acts. In 1918, there were few if any Quaker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whose scholarly credentials were stronger than Cadbury’s.

It seems entirely fitting that Cadbury convened the first meeting of what soon becam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Cadbury (together with his brother-in-law Rufus Jones) played a huge role in shaping the early history of AFSC, chairing the committee from 1928 to 1934 and from 1944 to 1960. When Quakers were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in 1947, it was Cadbury who traveled to Oslo to accept the award on behalf of AFSC. (It is also significant to note the historic role that Haverford College faculty played in founding AFSC, which is celebrating its hundredth anniversary this month.)




The year after he helped to create AFSC, Henry Cadbury spoke out advocating for peace, and thus became embroiled in a controversy that led to his being forced to resign from the faculty of Haverford College. It was occasioned by peace overtures that the leaders of Germany sent to the Allies in the autumn of 1918. Many Americans viewed these efforts with deep suspicion. The war was going well for the Allies, and they sensed a decisive victory might be close at hand. And in the autumn of 1918, many Americans were filled with a deep hatred of the German nation.

Consider, for example, an editorial that was published in one of Philadelphia’s leading newspapers—the Public Ledger—on October 7. It praised the many Americans who were demanding “a short, sharp, and plain” rejection of the German peace feelers. It asserted that the peace that the Kaiser was offering was nothing more than a “Judas peace.” “The Hun tribes” had, the editorial said, wreaked havoc wherever they fought. Their cruelty had to be punished harshly.

Five days later, the Public Ledger published a letter from Cadbury strenuously denouncing Americans’ reluctance to look for ways to bring the war to a halt:


Sir—As a Christian and patriotic American may I raise one cry of protest in your columns against the orgy of hate in which the American press and public indulges on the receipt of peace overtures from the enemy. Whatever the immediate result of the present German request for an armistice, the spirit of implacable hatred and revenge exhibited by many persons in this country indicates that it is our nation which is the greatest obstacle to a clean peace and the least worthy of it. Never in the period of his greatest arrogance and success did the German Kaiser and Junkers utter more heathen and bloodthirsty sentiments than appear throughout our newspapers today. Intoxicated with the first taste of blood and flushed with victory, the American public hastens to condemn in advance the soberly phrased pleas of a conciliatory foe. While the English press wisely refrains from comment until an official answer can be given, Americans with insatiable lust for vengeance cry, “More, more!” Every concession on the part of the enemy is counted a mark of weakness and is made an excuse for more humiliating and unreasonable demands. While the war-weary people of Europe long for peace, we conceited newcomers into the fight prefer to sacrifice their youth and ours by the millions more in order that we may dictate a peace to suit our insane hysteria. Surely it behooves us at this hour, when not relation for the past but the assurance of a safer and saner international fellowship is the world’s need, distinguishing justice and mercy from blind revenge, to keep ourselves in the mood of moderation and fair play. A peace on other terms or in any other spirit will be no peace at all, but the curse of the future.



Cadbury’s letter caused an immediate uproar. A government official met with him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writing the letter constituted an act of sedition. (The official concluded that the letter was not seditious.) The minister of a prominent Presbyterian church asserted that Cadbury was quite wrong to think that he had any right to think of himself as either a patriot or a Christian. A Baptist layperson said that Cadbury was wrong to say that Americans’ hostility toward the Germans was irrational. That hostility was, the Baptist said, a perfectly reasonable response to the atrocious way that Germans had conducted themselves during the war.

In 1918, most of Haverford’s faculty were Quakers. The president of the college at the time, William Wistar Comfort, was also a member of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So were all of the members of the Board of Managers that oversaw the work of the college. Some of the members of the board came from families that had contributed money to AFSC. The board, whose chair was a Quaker businessman named Asa S. Wing, had allowed AFSC to set up a camp where young Quakers could be trained for non-military forms of service. The board had refused to allow its campus to be used as a site for military training. Nevertheless, despite the institutional prominence of Quakers at Haverford College in this era, significant support for militarism existed on campus and throughout the country. The college tried to reconcile its Quaker origins and ideals with views of the larger community of which it was a part.

Even at this relatively early date, many Haverford College students and alumni were not Friends. Some of them were already in the military; others were in the process of joining it. And some of the college’s students and alumni were shocked by the letter that Cadbury had written to the Public Ledger. Twenty-seven of the college’s alumni, all of whom had graduated from Haverford between 1880 and 1908, wrote the board a note expressing their displeasure. Those men said that they believed that peace was good, but that the kind of peace they wanted to achieve was one that was “just and righteous.” They said that in light of the “bestial” actions of the Germans, the views Cadbury expressed in his letter amounted to “treason.” Cadbury was, in their opinion, “unworthy” to be a member of the college’s faculty. They advised the board to ask for Cadbury’s immediate resignation from the faculty. One of the other letters referred to Cadbury as a “canker.” Another argued that if the college supported Cadbury, then it would alienate many of its most important alumni. Alienating those men was not, the letter writer warned, something that the college could afford to do.



Cadbury seems to have been taken aback by the furor his letter created. He seemed not to have contempl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letter would cause such consternation and so many calls for him to leave the college. Within days, however, Cadbury’s position at the college had become completely untenable. On October 21, he wrote a letter to the college’s board in which he offered to resign from the faculty. In the letter he praised the board for their deep devotion to the religious traditions on which Haverford was founded and expressed his profound regret for having caused the college so much public embarrassment.

The next day, the board began discussing what they referred to as the “grave situation resulting from the reception of Professor’s Cadbury’s letter.” President Comfort told the members of the board that Cadbury possessed “certai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mbative tendencies which lessened his usefulness as a member of the faculty.” He also told them that Cadbury was a hard worker, a fine scholar, and a man of integrity.

The board members’ response to the situation was anything but straightforward. Several voiced a commitment to academic freedom and said that they did not want it to look as if Haverford was subject to the sway of “excited public opinion.” But members of the board strongly disapproved of the letter Cadbury had written, and they suspected that accepting his resignation might well b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college. They believed that “the habit of temperate judgment and consideration for the feelings of others with whom one has associated one’s self should always characterize the utterances of a scholar.”

So in the autumn of 1918, the members of the board could not agree on whether or not Cadbury’s letter of resignation should be accepted. The board stopped short of firing Cadbury but suspended him from teaching with pay, and appointed a committee of respected board members to investigate the matter more thoroughly.

In March 1919, Cadbury wrote a second letter of resignation in which he said that he was resigning because he wanted to teach at another school. Haverford’s board accepted the second letter of resignation and also adopted a minute which expressed its admiration for the way that Cadbury had responded to the controversy his letter had sparked.



Shortly after resigning from Haverford’s faculty, Cadbury informed the leaders of AFSC that he was moving away from Philadelphia and was thus obliged to resign his position as a member of the board of AFSC. In June of 1919, AFSC accepted his letter of resignation with “deep regret.” The end of the war was still months away, but the efforts of AFSC to ameliorate civilian suffering in Europe had already begun. The possibility of Quakers performing wartime service without being inducted into the military had been widely recognized, a victory for all conscientious objectors in the United States.

After his departure from Haverford College, Cadbury landed on his feet. He taught at Andover Theological Seminary from 1919 until 1925 and at Bryn Mawr College from 1926 until 1934. In 1935 Cadbury joined the faculty of Harvard Divinity School and taught there until 1954. At Harvard, Cadbury continued to do important work on the New Testament and also launched a series of thorough investigations into Quaker history.

Over the years, Haverford College has taken a number of steps to show that it holds Cadbury in high esteem. When Cadbury was still in midcareer, the college awarded him an honorary doctorate. After his retirement, Haverford asked Cadbury to return to its campus to teach courses on Quakerism. (Cadbury accepted that invitation.) Haverford also arranged to have a portrait of Cadbury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college’s archives. But, as far as we know, Haverford has never issued a formal apology for—or even a detailed analysis of—the way Cadbury was treated during World War I.

Given how little we know about the inner workings of the board, it is tempting to let its actions recede quietly into the background and to focus more attention on what Cadbury said and did. But yielding to that temptation would get in the way of ou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Quakerism in the early decades of the last century. Quakerism was then, as it is now, a complicated admixture of prophetic impulses and pragmatic proclivities. Little is gained and much is lost when we pretend otherwise.



Correction: When Cadbury left Haverford College, he began teaching at the Andover Theological Seminary, not Phillips Academy as stated in the original article.

Are Quakers Christians?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 /기독교사상2011년6월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 /기독교사상2011년6월


<기독교사상> 2011년 06월호

http://www.clsk.org/gisang/gisang_view.asp?tab=sasang_theologry&flag=01&board_idx=665&page=5&block=0&theologry_sec=&set_year=2013&set_month=01&view_year=2011&view_month=06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1)

퀘이커리즘으로의 초대

- 정지석-


퀘이커가 아닌 사람이 퀘이커리즘에 빠지다

나는 퀘이커 교도가 아니다. 감리교 신앙으로 세례 받고, 장로교 신학을 공부한 목사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회에서 목회하기보다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회교육원 같은 에큐메니칼 연합기관에서 주로 일했기에 나 자신 종교적 정체성을 말하자면 ‘에큐메니칼’이라고 말하고 싶다. 종파와 교파의 구분에 관계없이 하나님을 믿고, 교회와 세계가 하나의 큰 포괄적인 하나님의 집에 속하듯이, 나도 하나님의 큰 집에 소속해 있다고 믿는 기독교인이다. 이런 에큐메니칼 기독교인의 관점에서 나는 퀘이커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10여 년 전 나는 퀘이커리즘이라는 소종파를 공부할 기회를 가졌다. 감리교와 장로교 신앙, 그리고 에큐메니칼 정신의 세례를 받은 나에게 퀘이커리즘은 매우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퀘이커’(Quaker) 또는 ‘친우’(Friend)라고 부르는 이들의 신앙 추구의 모습, 교회와 공동체에 대한 이해, 역사와 세계에 대한 태도 등에서 기존 교회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게 되면서도, 나는 그것이 이질적인 거부감으로 느껴지기 보다는 뭔가 우리가 오랫동안 잃어버려 온 기독교 신앙의 원형과 본질을 상기시켜 준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이것은 오래된 진리를 만나는 각성과 같은 경험이었고, 마음 깊이 숨겨진 빛을 발견하는 기쁨 같은 것이었다. 확신하건데, 오늘 절망적 위기에 빠진 한국교회 안에서 새로운 영성을 찾는 이들에게 퀘이커리즘은 영적으로나 실천적 삶의 면에서 의미 있는 방향과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퀘이커리즘의 세계는 비록 소종파지만 역사적 전통이 깊고 상당히 다양한 면모를 갖고 있다. 그래서 나는 몇 차례에 걸쳐 퀘이커리즘을 소개할 때, 오늘의 한국교회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에 초점을 맞춘다. 현대 퀘이커리즘의 주요한 면모로서 침묵의 영성, 예언자적 영성, 그리고 평화의 영성이 차례로 소개될 것이다. 퀘이커리즘은 신학의 종교라기보다는 영적 체험의 종교이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를 나는 앞으로 퀘이커리즘을 소개하면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경험의 종교를 소개함에 있어서 나는 신학적 토론보다는 내가 경험한 것을 이야기 식으로 풀어가는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최근 나는 10년 만에 미국 펜들힐(Pendle Hill)에 다시 와 있다. 펜들힐은 미국 퀘이커들이 퀘이커리즘을 경험하고 공부하는 ‘공동체형 성인교육 기관’이다. 공동체형 성인교육기관이란 말이 우리에게는 잘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지만, 도식적으로 설명하자면 수도원과 학교와 휴양소를 하나로 모아놓은 것이라 할 것이다. 나는 펜들힐 같은 공동체형 성인 교육기관이 우리 사회와 교회에도 꼭 필요하다고 믿는다. 그래서 이번에 이곳 펜들힐에 다시 와서 자세히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미국에 펜들힐이 있다면 퀘이커 운동의 발상지인 영국에는 우드부룩(Woodbrook)이 있다. 한국 퀘이커였던 함석헌은 이 두 곳을 모두 가 본 후에, 퀘이커리즘을 경험하려면 펜들힐에 가고 공부하고자 한다면 우드부룩에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나도 10년 전 이 두 곳에 머물면서 퀘이커리즘을 공부하고 경험했다. 영국 버밍험에 있는 우드부룩은 퀘이커 대학원으로서 아카데미즘을 강조한다면 미국 펜들힐은 퀘이커리즘과 공동체의 경험을 강조한다. 나는 한국에 펜들힐 같은 공동체 형 교육기관에 우드부룩의 아카데미즘을 도입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구체적인 추진을 모색 중이다. 펜들힐의 비전은 20세기 초반 퀘이커들이 내외적인 위기감을 느끼면서 설립한 것인데, 오늘날 우리 한국교회 갱신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 생각되기에 퀘이커리즘을 소개하는 지면을 빌려 상세하게 소개할 것이다.

‘퀘이커’란 낯선 이름의 종교인
퀘이커리즘에 대한 나의 첫 기억은 좋지 않은 것이었다. 고등학교 시절 다니던 교회 전도사는 군대를 반대하는 이상한 종교들이 있으니 그 꼬임에 빠지면 안된다고 설교했는데 퀘이커라는 이름이 그 중에 들어 있었다. 군대에 가지 않으면 누가 나라를 지킨단 말인가. 참으로 허무맹랑한 교리를 전파하는 그런 종교는 이단 종파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왜 그 기독교 종파들은 그런 허무맹랑한 주장을 하는 것인가? 누구도 그런 질문도 대답도 하지 않았다. 교회 목사님과 전도사님은 단지 그런 종교에 대해서는 알려고도 하지 말고 가까이 가려고도 하지 말라는 엄한 금지령만을 내릴 뿐이었다.


나는 마을 입구에 있던 감리교회에 다니면서 기독교에 입문했다. 나에게는 감리교가 제일 좋은 기독교이고 옆 마을에 있던 장로교회조차 이상한 신앙을 가르치는 교회로 보였다. 가톨릭교회는 천주교로서 기독교와는 다른 종교라고 알던 시절이었다. 조금 더 자라나서 알게 된 성공회, 구세군, 침례교, 순복음 교회들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내가 다니는 교회만이 진짜 교회라고 믿고, 다른 교파 교회에 대해서는 부지불식간에 경계심과 경쟁심을 품고 지내던 때였다. 이런 터무니없는 자기 종교 우월감에 빠진 청소년기에 애국심은 또 얼마나 열렬하고 무조건적인가. 이런 민감한 사춘기 시절에 이름도 이상하고 낯선 ‘퀘이커’라는 종교가 기독교 신앙의 이름으로 군대를 비판하고 부정하는 주장을 하고 돌아다닌다고 하니 좋지 않은 인상은 마음 깊이 심어졌다. 최근 종교적 병역거부 문제로 많이 알려진 여호와의 증인을 퀘이커와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이런 이유에서 일 것이다. 그러나 둘은 종교적 배경에서나 전통에서 많이 다른 종파이다.

종교적 동아리 의식과 사회정의 운동
종교적 배타심을 품고 사회 정의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인가. 이 점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를 해보자. 고등학생 시절 받은 신앙 교육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대학에 가서도 교회는 감리교뿐인 줄 알고 지냈다. 친구를 만나도 감리교회 신자라고 하면 다른 교파 교회나 종교를 가진 친구보다는 무언가 더 친근한 신앙적 동질감을 느꼈다. 장로교 신자라면 왠지 다른 종교 신자처럼 느껴졌다. 단지 같은 교파 교회에 속해 있다는 것 이외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 더 친근함을 느끼는 이런 감정적 유대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종교적 신앙은 동종 집단을 결속시키는 반면 이종 집단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배타적인 동아리 의식을 결속하는 묘한 마법 같은 힘이 있다. 이것은 예수 신앙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비본질적인 것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강력한 힘이다. 나 역시 그런 배타적 신앙문화 흐름에 편승하고 있었다. 대학시절 나는 민주화와 인권 운동에 가담했다. 이것은 사회의식에 따른 것이었지만 보다 궁극적 동기는 신앙적인 것이었다. 사회 불의와 인권 탄압에 저항하는 것은 이웃 사랑의 예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나는 믿고 사회 참여 운동에 가담했다. 종교적 배타심을 갖고 있으면서 사회 정의와 평등 운동에 참여한다는 것이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지내던 때였다. 이 점은 지금 생각해도 참 신기하다. 마음속으로는 다른 종파 교회와 경쟁적인 라이벌 의식을 가지면서, 사회 평등과 정의를 외칠 수 있다는 것이 참으로 묘한 심리상태일 것임이 틀림없다. 아마도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 수준이 이런 정도에 있지 않나 싶다. 뭔가 정리되지 않고 일관성이 없이 시세(時勢)에 따라 춤을 추던 시절이었다.


함석헌을 알게 된 것도 이 시절이었다. 함석헌의 책을 읽고 강연을 들으면서 나의 신앙과 생각의 껍질들이 한 꺼풀씩 벗겨져 나갔다. 우물 안 개구리가 우물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험이었다. 우물 밖에 나와 본 하늘이 너무 넓고 광막하여 다시 우물 안으로 들어가 나만의 하늘을 갖고 싶은 심적 갈등과 유혹도 많았던 때였다. 그때 나는 감리교회도 한 우물이란 것을 깨달았다. 절대적인 것으로 삼아 온 것이 상대적인 것임을 알게 되었을 때의 상실감은 참 쓰라린 것이었다. 그러나 보상도 있었다. 그동안 바라보지 않았던, 그러려고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다른 것들을 바라보려는 마음의 여유가 생긴 것이다. 그리고 교파의식, 교단의식이라는 마음속의 담이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는 단순히 의식의 변화로 그치지 않았다. 감리교 신자로서 감리교회만이 진짜 교회인줄 알았던 내가 장로교 신학교에 입학했다. 소문으로 듣기에 굉장히 자유로운 신앙과 진보적(liberal) 신학을 한다는 한신 신학대학원의 분위기는 엄숙하고 무거운 느낌이었다. 신학 풍토 역시 정통신학이 주를 이뤘다. 해방신학과 민중신학 같은 비정통 신학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곳이었지만 퀘이커리즘 같은 소종파 신앙 전통에 대해서는 들을 기회가 없었다.

퀘이커리즘과의 만남
내가 퀘이커리즘을 다시 들을 수 있었던 것은 시간이 꽤 흐른 뒤였다.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장학생으로 아일랜드 에큐메니칼 평화 대학원에서 공부하게 되었을 때 나는 평화교회전통(Peace Church Tradition)을 이어오는 기독교 종파 가운데 퀘이커리즘이 있다는 것을 들었다.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퀘이커리즘을 다시 듣게 된 순간이었다. 그리고 고등학생 시절 가졌던 질문이었던 왜 그 사람들은 군대를 거부하는지, 그것이 기독교 신앙과는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당시 나는 어렴풋하게나마 예수를 잘 믿고 따른다면 폭력을 쓰지 말아야 하고, 예수의 정신은 군대 정신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느끼면서도, 나라를 스스로 지키기 위해서는 강한 군대가 있어야 하고, 국민의 일원으로서 나라를 지키는 군 복무는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군대에는 군목과 교회도 있고, 군대와 기독교 신앙은 깊이 생각할 것 없이 서로 잘 협력하여 나라를 잘 지키는 일에 봉사하면 되는 것이다. 국가의 명령을 위반하는 종교는 뭔가 잘못된 종교이다. 불교도 호국불교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가. 그런데 평화교회는 이런 생각과는 다른 신앙을 말하고 있다. 나로서는 처음 듣는 이야기였다. 진보적 열린 신학을 추구한다는 한신 신대원에서도 듣지 못하던 이야기였다. 국가와 정부가 잘못하면 교회가 예언자적 비판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알고 있었지만, 폭력, 군대, 전쟁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 양심과 일치 될 수 없다고 믿고 또 그 믿음을 실천해 왔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은 것이다.


일찍이 대학시절 나는 함석헌이 퀘이커 교도라는 소문은 들어 알고 있었으나 퀘이커리즘에 대한 관심은 없었다. 함석헌도 대중 앞에서 퀘이커리즘을 설파하거나 병역 거부를 선동한 적은 없다. 1997년 늦은 가을날 저녁, 평화교회 강의를 듣고 돌아 온 아일랜드 더블린의 학교 기숙사에 앉아 나는 퀘이커리즘과 함석헌, 그리고 고등학교 시절의 퀘이커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퀘이커리즘과의 만남을 계시처럼 받아들였다.

역사적 평화교회, 퀘이커
나는 예수와 군대 사이에는 일치할 수 없는 본질적 차이가 있음을 느끼면서도 깊이 파고들지 못했다. 신앙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일들이 이 세상에는 많이 있음을 아는 현실주의자였기 때문에 나라를 지키는 데는 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었다. 예수의 십자가 희생을 본받아 나라를 위해 희생하는 군인의 삶으로 대치되었다. 군대는 예수 신앙과 맞서는 것이라는 생각은 추호도 하지 못했다. 남북한이 싸우고 있는 상황에서, 외세의 침입과 지배를 당한 아픈 역사를 갖고 있는 우리 민족에게 군사력을 강하게 하는 길이 올바른 신앙이요 기독교인의 태도이지 이에 반하는 그 어떤 주장은 비록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라 할지라도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만큼 현실적인 주장이 우리 신앙생활에 강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이런 현실주의적 사고가 매우 그럴듯한 감화력을 가지지만 실제로는 모순이고 비극적인 악순환의 틀에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가진 미국이 최고로 안전한 나라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 전 세계 국가의 군사비 예산을 다 합친 것보다 미국의 군사비 예산이 많은데도 미국은 국가 안보와 시민 안전을 위해 군사비 예산을 계속 증액시키고 있다. 현실주의자들이 만드는 현실은 끝없는 비극과 공포와 불안의 연속이다. 기독교인은 다만 덜한 악(less evil)에 기여할 수 있을 뿐이라고 겸손한 신앙에 머물러 있기에는 이 세상의 전쟁과 폭력은 위태하고 심각한 지경에 있다.


이런 생각을 하니 나는 더욱 평화교회에 끌렸다. 기독교 역사에서 평화교회로 이름 붙여 말할 수 있는 교회 가운데 특별히 퀘이커, 메노나이트와 브레드린 교회들을 가리켜 사람들은 역사적 평화교회라고 부른다. 이들에게 그런 이름을 붙여준 집단은 20세기 초부터 활발하게 일어났던 서구의 현대 에큐메니칼 기독교 그룹이다. 나는 이들 세 기독교 종파들 가운데 퀘이커에 마음을 두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의 평화 사상가인 함석헌이 퀘이커였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퀘이커가 다른 두 집단들에 비해 현실 역사 참여를 활발히 하는 신앙 전통을 가졌다는 것이다. 나중에 이들의 평화신앙과 실천론을 좀 더 상세히 소개하는 시간에 말하겠지만, 메노나이트 교회는 재세례파 신앙에 기반한 교회로서 일반 교회와 같이 교회 제도와 체제를 갖추고 신학도 견고하지만 전통적으로 현실 참여가 약하다. 그에 비해 퀘이커리즘은 교회 체제와 형식도 없고, 신학보다는 개인의 영적 경험의 증언을 존중하기 때문에 신학적 연구 대상으로 삼기에 난감한 면이 있으나 현실참여 활동이 활발하다. 최근 퀘이커 연구자들은 퀘이커 신학(Quaker Theology)이란 말도 사용하지만, 그들은 신학자(theologian)란 말보다는 역사가(historian)란 말을 선호한다.

펜들힐과 함석헌
퀘이커 평화 신학을 연구하기로 결정한 후 나는 퀘이커 운동의 발생지인 영국에서 퀘이커리즘을 읽는 시간을 갖고, 20세기 퀘이커 평화운동이 보다 실천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났던 미국에 건너갔다. 이것은 영국 지도교수의 제안에 의해서였다. 영국에서는 우드부룩 퀘이커 대학원(1999년, 2002~2003년)에서 있었고, 미국에서는 펜들힐(1999~2000년)에서 머물렀다. 두 곳은 퀘이커리즘을 공부하고 경험하기에 더없이 적합한 곳이다. 함석헌 선생이 처음 퀘이커리즘을 경험하고 공부한 곳이 펜들힐(1962년 가을학기)이고 우드부룩(1963년 겨울학기)이다. 함석헌이 이 두 곳에서 머문 지 40년 가까이 지난 후에 나도 퀘이커리즘을 이곳에서 공부하게 된 셈이다. 함석헌은 미국 펜들힐을 특히 좋아했다. 펜들힐에서 만난 미국 퀘이커들도 함석헌의 종교성을 높이 존경했다. 함석헌 이후로 한국의 젊은이들이 드문드문 펜들힐에 찾아오기 시작하여, 내가 머물었던 2000년에는 5명의 한국인이 머물렀다. 한국 초대 여성 총리였던 한명숙도 이 기간에 가족과 함께 펜들힐에 머물렀다. 펜들힐은 퀘이커만 머무르는 곳은 아니다. 어느 종파이든, 심지어는 종교를 갖지 않은 비종교인에게도 열려있는 곳이다. 이번에 10년 만에 다시 찾아 온 펜들힐에서 들으니 2000년 이래로 제법 많은 한국인 구도자들이 펜들힐을 찾아와 머물렀다고 한다. 아는 이들의 이름도 있고 모르는 이들의 이름도 있다. 소리 없이 새로운 영성을 찾아 돌아다니는 이들이 우리 사회에도 알게 모르게 많이 존재함을 느낀다.


함석헌과 퀘이커리즘 사이의 얽힌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자. 함석헌이 펜들힐에 온 때는 그의 나이 62세였다. 할아버지가 다 되어서 온 것이다. 일단 펜들힐에 오게 되면 학생 신분이 된다. 함석헌도 학생 신분이었다. 그가 이렇게 늦게라도 이곳에 오게 된 배경이 흥미롭다. 함석헌은 무교회 신앙을 신봉하다가 그의 나이 40대를 거치면서 동양 사상과 종교를 읽으면서 보편적 기독교 신앙으로 나아갔고, 동시에 역사적 예수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무교회주의 신앙을 넘어선다. 그리고 한국 전쟁 이후 장준하가 시작한 <사상계>에 사회비판과 종교비판, 특히 날카로운 기독교 비판의 글을 쓰면서 한국 사회에 널리 알려지는데, 5·16 군사 쿠데타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글은 그 후 그의 삶을 반 군사독재 투쟁의 선봉에 서게 한다. 그 당시 젊은 언론인이었던 송건호는 총칼의 무력시위를 호되게 꾸짖는 함석헌의 글을 읽고 정의의 예언자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 또 이 글을 읽고 미 국무성은 함석헌을 미국으로 초대했다. 그들은 함석헌으로부터 한국의 정황을 듣고 싶었던 것이다. 함석헌은 이 초청에 응했는데, 그 본심은 미국의 퀘이커를 자세히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함석헌은 세계 전쟁 중에 퀘이커들의 신앙 양심에 따른 평화운동 이야기를 들으면서 퀘이커리즘에 큰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직접 퀘이커를 만난 것은 한국전쟁 후에 한국에 들어와 평화 구호활동을 하고 있던 영국과 미국의 퀘이커들을 만난 것이 처음이다. 미국에 와서 여행하는 동안 그는 주로 퀘이커들을 만났고, 펜들힐에서 한 학기동안 퀘이커리즘을 공부했다. 그 후 함석헌은 전 세계 퀘이커들과 가깝게 교제했고, 서울 퀘이커 모임을 이끌었다. 20세기 후반기를 산 우리나라 지식인들 가운데 함석헌을 아는 사람은 한번쯤 퀘이커란 이름을 듣게 된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영국과 미국의 퀘이커들은 2차 세계전쟁 이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함석헌을 두 차례에 걸쳐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영미권에서 퀘이커는 평화의 대명사, 정직한 기독교인의 모범으로 통한다. 우리나라 기독교인들 가운데는 아직도 퀘이커리즘을 이단 비슷한 기독교 종파로 생각하는 이들도 있지만, 영미권에서는 영적이면서도 지성적인 기독교인들로 인식된다. 10년 전 펜들힐에 머물면서 나는 함석헌과 퀘이커리즘간의 관계성과 20세기 미국 퀘이커들의 평화운동을 연구했다. 이것은 나의 박사 논문 주제였다.

“펜들힐을 불 살라라”
지금 펜들힐에서 ‘펜들힐 80년 역사’를 쓰고 있는 퀘이커 신학자 더글라스 귄(Douglas Gwyn)은 1960년대 펜들힐의 역사적 사건들과 인물들을 소개하면서 함석헌과 펜들힐에 얽힌 일화를 이야기 했다. 펜들힐에서 한 학기를 마치고 떠나는 환송의 자리에서 함석헌은 펜들힐 원장에게 상자 하나를 선물했다고 한다. 원장은 상자를 풀었다. 겉 상자를 풀면 속 상자가 나오고 그것을 열면 다른 상자가 계속 나오는 도깨비 상자 선물이었는데, 마지막 속에서 나온 것이 작은 성냥 상자였다. 함석헌은 거기에 메시지를 남겼다. “펜들힐을 불 살라라.” 영적인 불로 펜들힐을 태우라는 것이 펜들힐에 남긴 함석헌의 메시지였다. 함석헌의 ‘펜들힐 영적 방화 사건’을 기억하고 소개하면서 더글라스 귄은 상당히 고무된 표정이었다. 그는 초기 퀘이커리즘을 연구하는 학자인데, 함석헌의 이런 ‘영적 선동’에서 초기 퀘이커들의 부활을 느꼈던 것 같다. 펜들힐의 설립 초기 정신은 초기 퀘이커들의 불타는 영성을 회복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그 불길은 점차 사그라 들었던 것임에 틀림없다. 함석헌은 그것을 감지했을 것이고, 다시 펜들힐이 불타오르기를 희망했던 것이리라. 함석헌의 영적 방화사건 이야기는 펜들힐 역사에 의미 있는 에피소드로 기록될 것이다. 그런데 어찌 성냥을 그을 곳이 펜들힐 뿐이랴. 나 자신과 한국교회, 그리고 우리 사회 안에도 성냥을 그을 곳이 많지 않은가



정지석 l 목사는 영국 우드부록(Woodbrooke) 대학원에서 ‘퀘이커리즘과 함석헌의 평화 사상 비교 연구’로 박사(Ph. D.)학위를 받았다. KNCC,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회교육원, UNESCO-APEIU 국제이해교육원에서 평화교육가로 일했으며 성공회 대학과 한신대 신학대학원에서 평화윤리와 교육을 강의하였다. 한국 YMCA 생명평화센터 소장이며 현재 미국 펜들힐에서 연수중이다.
#퀘이커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글 요소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첫 댓글을 남겨보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3) /기독교사상2011년8월<기독교사상> 2011년 8월 http://www.clsk.org/gisang/gisang_view.asp?tab=sasang_theologry&flag=01&board_idx=681&page=4&block=0&theologry_sec=&set_year=2013&set_month=01&view_year=2011&view_month=08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3) 침묵의 영성 좋은 사람, 퀘이커 내가 경험한 퀘이커를 한마디로 표현하라면 ‘좋은 사람’ ‘좋은 크리스천’이란 것이다. 영국 우드부룩과 미국 펜들힐에서 만나고 사귄 퀘이커들에 대한 인..종교사상 이야기/퀘이커2013.02.14댓글수00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2) /기독교사상2011년7월<기독교사상> 2011년 7월호 http://www.clsk.org/gisang/gisang_view.asp?tab=sasang_theologry&flag=01&board_idx=676&page=5&block=0&theologry_sec=&set_year=2013&set_month=01&view_year=2011&view_month=07 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2) 평화의 사람들 - 정지석 - 역사적 평화교회를 배우자 카리브 해의 섬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열렸던 국제 에큐메니칼 평화회의(International Ecumenical Peace Convocation)에 참석했던 김..종교사상 이야기/퀘이커2013.02.14댓글수00
60대 노인이 상복 입고 해군기지 앞 지키는 이유? /제주의소리20121115<제주의 소리> 2012.11.15 11:49:37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22568 60대 노인이 상복 입고 해군기지 앞 지키는 이유? 문준영 기자 | moonsoyo@jejusori.net 오철근씨, 강정 해군기지 반대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동참 ▲ 강정을 지키며 매일 삼보일배를 펼치고 있는 오철근씨도 15일 강정마을회가 진행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동참하기로 했다. ⓒ강정마을회 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의 '삼보일..종교사상 이야기/퀘이커2013.02.11댓글수00
종교친우회(퀘이커) 서울모임-우리의 결의 선언문 (2011. 11.5~6)종교친우회(퀘이커) 서울모임 수양회(retreat)회에서 채택된 선언문 2011년 11월 5~6일 / 한국기독교수양관 ------------------- 우리의 결의 선언문 어제와 오늘 우리는, 한국전쟁 직후 혼란과 갈등과 절망의 시기에 평화와 봉사의 씨앗으로 들어온 미국·영국 친우봉사단을 비롯하여 세계친우들이 실천한 평화운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계속되고 있는 세계친우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평화 활동을 다시 공부하면서 우리자..종교사상 이야기/퀘이커2012.02.04댓글수00더 보기
이전글함석헌 평화통일 사상 /정지석2013. 2. 14. 20:47다음글퀘이커리즘에서 배운다(2) /기독교사상2011년7월2013. 2. 14. 21:20

아름다운 영혼과 용기 <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금강일보

아름다운 영혼과 용기 <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금강일보


<김조년의 맑고 낮은 목소리> 아름다운 영혼과 용기

기자명 김조년
입력 2012.10.22 00:25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SNS 기사보내기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바로가기 메일보내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김조년
한남대 명예교수

가끔 우리가 살아가면서 짜증스러운 소식과 소리를 들을 때도 있지만, 또 그보다 더 산뜻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들을 때도 있다. 아마도 아름답고 용기 있는 영혼들이 있어서 우리가 이만큼 품위가 있고 진전된 삶을 살아가는 것인지 모른다. 오늘날처럼 차차 국경이라는 것이 흐려지거나 없어지고, 경제와 재정, 국방과 정치와 문화와 종교, 그리고 의사소통과 생각과 학문의 교류가 한 국가단위나 종파단위 또는 민족과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자유스럽게 오고가는 때도 그렇게 흔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더 진전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제까지 당연하다고 하였던 가치들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아주 급속하게 거대한 강물처럼 흐를 것이란 말이다. 물론 그 반대의 흐름도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것들이 종국에는 어느 곳으로 흘러갈 것인가?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거대한 흐름으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강압된 분위기 속에서 깊은 속으로부터 ‘아니’라고 부르짖는 내면의 소리를 듣고 삶으로 표출한 사람들이 있었다. 아마도 역사는 그런 사람들의 작은, 그러나 용기 있는 몸짓 하나로 제대로 된 길로 접어들고 껑충 뛰어오르는지 모른다. 1955년 12월 1일 미국 앨러배마주의 몽고메리에 사는 흑인 여인이 봉재공장에서 일을 마치고 피곤한 몸으로 버스를 탔을 때다. 빈자리에 앉았으나 다음 승강장에서 백인이 올라왔다. 그가 앉을 자리가 없었다. 흑백의 구별이 명확하던 때, 그녀는 당연히 그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여야 했다. 그러나 그녀는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기사의 말을 ‘나는 내가 앉은 자리에서 일어날 수 없습니다’란 말로 거부하였다. 그녀는 경찰에 의하여 체포되었고, 구치소에 갇혔다가 나왔다. 바로 이 작은 사건은 380여일이 넘는 긴 기간 버스타기거부 운동으로 번졌고, 워싱턴까지 몇 년을 걸친 대행진이 이루어졌으며, 흑백을 구별하던 차별정책들이 속히 사라지게 하는 시작이 되었다. 오늘의 미국 대통령 오바마는 그래서 나오지 않았을까? 아름다운 영혼의 용기 있는 몸짓이 역사를 어떻게 짓는가를 말해준다.

2001년 9월 11일 아침에 미국 뉴욕시에 있는, 미국의 경제 권력을 상징하는 세계무역센터를 적이라고 여긴 세력의 두 대의 비행기가 공격하여 어마어마한 충격을 주었다. 미국 전 지역에 갑자기 옛 시대에나 있을 법한 국가주의와 애국주의가 거대한 파도처럼 춤을 추었다. 집집마다, 승용차와 거리를 달리는 모든 차들도 성조기를 달았다. 학교에서나 교회에서나 직장 어디에서나 알카에다가 존재하는 아프가니스탄을 바숴버려야 한다는 흐름이 거대하게 일고 흘렀다. 대통령은 그들을 향한 전쟁을 불사하겠다고 선포하고, 국민들은 들끓는 여론으로 지지하였다. 그 때 굉장히 빠른 속도로 미국의 퀘이커(Quaker)교도들과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교수는 아프가니스탄을 향한 공격전쟁을 일으키지 말라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그것은 반국가적인 듯한 행동이었다. 그러나 세계의 양심들은 그 성명을 크게 지지하고 받아들이면서 새롭게 일어나는 국가주의의 반이성적 흐름을 걱정하였다.


최근 일본의 우익정치가들의 수없이 많은 발언으로 독도를 사이에 둔 한·일 간의 긴장이 높아지고 센카쿠열도(尖閣列島) 또는 댜오위다오(釣魚島)를 중심에 둔 일본과 두 중국 사이의 긴장이 매우 날카롭게 대립한다. 한국의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하고, 그 문제되는 열도 주변에서 군사작전 비슷한 무력시위를 양 중국은 벌이기도 하였다. 일본은 그 섬을 사서 자기 영토로 등록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 때 일본의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가 아사히신문에 긴 글을 썼고,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와 1270여 명의 지성인들이 성명을 발표하였다. 논쟁이 되는 그 지역들은 한국과 중국이 약할 때 일본의 침략의 산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영토논쟁을 일으키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일본은 자신들이 잘못했던 과거로부터 해방되는 참신함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하여 중국의 작가 옌렌커(閻連科)가 응답하는 글을 썼다. 국제적인 지성인들의 모임이나 연대운동으로 정치가들이 바람을 일으키려는 국가주의의 흐름을 평화의 흐름으로 바꾸는데 함께 힘쓰자는 발언이었다. 이 두 발언들은 각각 자기 나라에서 소수에 속하거나 별로 듣는 사람이 많지 않은 작고 맑은 소리인지 모른다. 그러나 바닥 깊은 곳에서 나오는 참의 소리일지 모른다.

최근 우리나라 동부전선에서 북한을 탈출한 병사가 휴전선 양쪽으로 쳐진 철책선을 넘어 아무런 제재 없이 초소의 문을 두드려 귀순한 일이 보도되었다. 남과 북의 양측에서 철책선을 아주 철저하게 감시하고 지키지만 그것이 의미가 없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사건이었다. 그것의 의미가 무엇일까? 이것과 동시에 우리 정치권에서는 NLL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그 선들은 언제부터 있었으며, 누가 만들었으며, 언제까지 지속될까? 그것이 없었던 때와 사라진 뒤의 그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는 현재의 상황에서 살아가는 제한적 존재이기에 그것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동시에 미래와 꿈을 먹고 사는 존재들이다. 미래의 밝은 세계를 염두에 둘 때 현재의 복잡한 문제들이 풀릴 실마리가 생긴다. 남북의 경계들은 통일 된 뒤에는 하나의 아프고 슬픈 추억과 기억으로 남을 것들이다. 그것이 우리의 삶 전체를 지배한다는 것은 또한 비극이요 슬픔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건들을 미래의 자리에서 그 경계의 무의미성을 상징하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표를 의식하지 않고 근본문제를 바라보는 지점에 설 때 우리의 논쟁은 훨씬 더 창조적이고, 평화적이며, 밝은 미래를 바라보는 차원의 것이 되지 않을까?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0년전 한국 의료봉사 英 의사에 사후 훈장

60년전 한국 의료봉사 英 의사에 사후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