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2

Enlightenment (spiritual) - Wikipedia

Enlightenment (spiritual) - Wikipedia

Enlightenment (spiritua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Enlightenment (religious))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Enlightenment is the "full comprehension of a situation".[web 1] The term is commonly used to denote the Age of Enlightenment,[note 1] but is also used in Western cultures in a religious context. It translates several Buddhist terms and concepts, most notably bodhi,[note 2] kensho and satori. Related terms from Asian religions are moksha (liberation) in HinduismKevala Jnana in Jainism, and ushta in Zoroastrianism.

In Christianity, the word "enlightenment" is rarely used, except to refer to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its influence on Christianity. Roughly equivalent terms in Christianity may be illuminationkenosismetanoiarevelationsalvation and conversion.

Perennialists and Universalists view enlightenment and mysticism as equivalent terms for religious or spiritual insight.

Lord Mahavira attaining enlightenment.

Asian cultures and religions[edit]

Buddhism[edit]

The English term enlightenment is the western translation of the abstract noun bodhi, the knowledge or wisdom, or awakened intellect, of a Buddha.[web 2] The verbal root budh- means "to awaken," and its literal meaning is closer to "awakening." Although its most common usage is in the context of Buddhism, the term buddhi is also used in other Indian philosophies and traditions. The term "enlightenment" was popularised in the Western world through the 19th century translations of Max Müller. It has the western connotation of a sudden insight into a transcendental truth or reality.

The term is also being used to translate several other Buddhist terms and concepts, which are used to denote insight (prajnakensho and satori);[2] knowledge (vidhya); the "blowing out" (Nirvana) of disturbing emotions and desires and the subsequent freedom or release (vimutti); and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as exemplified by Gautama Buddha.

What exactly constituted the Buddha's awakening is unknown. It may probably have involved the knowledge that liberation was attained by the combination of mindfulness and dhyāna,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rising and ceasing of craving. The relation between dhyana and insight is a core problem in the study of Buddhism, and is one of the fundamentals of Buddhist practice.

In the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spiritual enlightenment has become synonymous with self-realization and the true self and false self, being regarded as a substantial essence being covered over by social conditioning.[3][page needed][4][page needed][5][page needed][6][page needed]

Hinduism[edit]

In Indian religions moksha (Sanskritमोक्ष mokṣa; liberation) or mukti (Sanskritमुक्ति; release —both from the root muc "to let loose, let go") is the final extrication of the soul or consciousness (purusha) from samsara and the bringing to an end of all the suffering involved in being subject to the cycle of repeated death and rebirth (reincarnation).

Advaita Vedanta[edit]

Advaita Vedanta (IAST Advaita VedāntaSanskrit: अद्वैत वेदान्त [ɐdʋaitɐ ʋeːdaːntɐ]) is a philosophical concept where followers seek liberation/release by recognizing identity of the Self (Atman) and the Whole (Brahman) through long preparation and training, usually under the guidance of a guru, that involves efforts such as knowledge of scriptures, renunciation of worldly activities, and inducement of direct identity experiences. Originating in India before 788 AD, Advaita Vedanta is widely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7] and most dominant[web 3][8] sub-school of the Vedānta (literally, end or the goal of the VedasSanskrit) school of Hindu philosophy.[9] Other major sub-schools of Vedānta are Viśishṭādvaita and Dvaita; while the minor ones include SuddhadvaitaDvaitadvaita and Achintya Bhedabheda.

Advaita (literally, non-duality) is a system of thought where "Advaita" refers to the identity of the Self (Atman) and the Whole (Brahman).[note 3] Recognition of this identity leads to liberation. Attaining this liberation supposedly takes a long preparation and training under the guidance of a guru, however Ramana Maharshi called his death experience akrama mukti, "sudden liberation", as opposed to the krama mukti, "gradual liberation" as in the Vedanta path of Jnana yoga.

The key source texts for all schools of Vedānta are the Prasthanatrayi—the canonical texts consisting of the Upanishads, the Bhagavad Gita and the Brahma Sutras. The first person to explicitly consolidate the principles of Advaita Vedanta was Shankara Bhagavadpada,[10] while the first historical proponent was Gaudapada, the guru of Shankara's guru Govinda Bhagavatpada.

Philosophical system[edit]

Shankara systematized the works of preceding philosophers.[11] His system of Vedanta introduced the method of scholarly exegesis on the accepted metaphysics of the Upanishads. This style was adopted by all the later Vedanta schools.[citation needed]

Shankara's synthesis of Advaita Vedanta is summarized in this quote from the Vivekacūḍāmaṇi, one of his Prakaraṇa graṃthas (philosophical treatises):[note 4]

In half a couplet I state, what has been stated by crores of texts;

that is Brahman alone is real, the world is mithyā (not independently existent),

and the individual self is nondifferent from Brahman.[12][note 5]

Neo-Vedanta[edit]

In the 19th century, Vivekananda played a major role in the revival of Hinduism,[13] and the spread of Advaita Vedanta to the West via the Ramakrishna Mission. His interpretation of Advaita Vedanta has been called "Neo-Vedanta".[14]

In a talk on "The absolute and manifestation" given in at London in 1896 Swami Vivekananda said,

I may make bold to say that the only religion which agrees with, and even goes a little further than modern researchers, both on physical and moral lines is the Advaita, and that is why it appeals to modern scientists so much. They find that the old dualistic theories are not enough for them, do not satisfy their necessities. A man must have not only faith, but intellectual faith too".[web 4]

Vivekananda emphasized samadhi as a means to attain liberation.[15] Yet this emphasis is not to be found in the Upanishads nor in Shankara.[16] For Shankara, meditation and Nirvikalpa Samadhi are means to gain knowledge of the already existing unity of Brahman and Atman,[15] not the highest goal itself:

[Y]oga is a meditative exercise of withdrawal from the particular and identification with the universal, leading to contemplation of oneself as the most universal, namely, Consciousness.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yoga of complete thought suppression.[15]

Vivekenanda's modernisation has been criticized:[14][17]

Without calling into question the right of any philosopher to interpret Advaita according to his own understanding of it, [...] the process of Westernization has obscured the core of this school of thought. The basic correlation of renunciation and Bliss has been lost sight of in the attempts to underscore the cognitive structure and the realistic structure which according to Samkaracarya should both belong to, and indeed constitute the realm of māyā.[14]

Neo-Advaita[edit]

Neo-Advaita is a new religious movement based on a modern, Western interpretation of Advaita Vedanta, especially the teachings of Ramana Maharshi.[18] Neo-Advaita is being criticized[19][note 6][21][note 7][note 8] for discarding the traditional prerequisites of knowledge of the scriptures[22] and "renunciation as necessary preparation for the path of jnana-yoga".[22][23] Notable neo-advaita teachers are H. W. L. Poonja,[24][18] his students Gangaji[25] Andrew Cohen,[note 9]Madhukar[27] and Eckhart Tolle.[18]

Yoga[edit]

The prime means to reach moksha is through the practice of yoga (SanskritPāliयोग, /ˈjəʊɡə/, yoga) which is a commonly known generic term for physicalmental, and spiritual disciplines which originated in ancient India.[28][29] Specifically, yoga is one of the six āstika ("orthodox") schools of Hindu philosophy. Various traditions of yoga are found in HinduismBuddhismJainism and Sikhism.[30][31][note 10]

Pre–philosophical speculations and diverse ascetic practices of first millennium BCE were systematized into a formal philosophy in early centuries CE by the Yoga Sutras of Patanjali.[33] By the turn of the first millennium, Hatha yoga emerged as a prominent tradition of yoga distinct from the Patanjali's Yoga Sutras. While the Yoga Sutras focus on discipline of the mind, Hatha yoga concentrates on health and purity of the body.[34]

Hindu monks, beginning with Swami Vivekananda, brought yoga to the West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1980s, yoga became popular as a physical system of health exercises across the Western world. Many studies have tri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yoga as a complementary intervention for cancer, schizophrenia, asthma and heart patients. In a national survey, long-term yoga practitioners in the United States reported musculo–skeletal and mental health improvements.[35]

Jnana yoga[edit]

Classical Advaita Vedanta emphasises the path of jnana yoga, a progression of study and training to attain moksha. It consists of four stages:[36][web 10]

  • Samanyasa or Sampattis,[37] the "fourfold discipline" (sādhana-catustaya), cultivating the following four qualities:[36][web 11]
    • Nityānitya vastu viveka (नित्यानित्य वस्तु विवेकम्) – The ability to correctly discriminate (viveka) between the eternal (nitya) substance (Brahman) and the substance that is transitory existence (anitya).
    • Ihāmutrārtha phala bhoga virāga (इहाऽमुत्रार्थ फल भोगविरागम्) – The renunciation (virāga) of enjoyments of objects (artha phala bhoga) in this world (iha) and the other worlds (amutra) like heaven etc.
    • Śamādi ṣatka sampatti (शमादि षट्क सम्पत्ति) – the sixfold qualities,
      • Śama (control of the antahkaraṇa).[web 12]
      • Dama (the control of external sense organs).
      • Uparati (the cessation of these external organs so restrained, from the pursuit of objects other than that, or it may mean the abandonment of the prescribed works according to scriptural injunctions).[note 11]
      • Titikṣa (the tolerating of tāpatraya).
      • Śraddha (the faith in Guru and Vedas).
      • Samādhāna (the concentrating of the mind on God and Guru).
    • Mumukṣutva (मुमुक्षुत्वम्) – The firm conviction that the nature of the world is misery and the intense longing for moksha (release from the cycle of births and deaths).
  • Sravana,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the sages on the Upanishads and Advaita Vedanta, and studying the Vedantic texts, such as the Brahma Sutras. In this stage the student learns about the reality of Brahman and the identity of atman;
  • Manana, the stage of reflection on the teachings;
  • Dhyana, the stage of meditation on the truth "that art Thou".

Bhakti yoga[edit]

The paths of bhakti yoga and karma yoga are subsidiary.

In bhakti yoga, practice centers on the worship God in any way and in any form, like Krishna or Ayyappa. Adi Shankara himself was a proponent of devotional worship or Bhakti. But Adi Shankara taught that while Vedic sacrifices, puja and devotional worship can lead one in the direction of jnana (true knowledge), they cannot lead one directly to moksha. At best, they can serve as means to obtain moksha via shukla gati.[citation needed]

Karma yoga[edit]

Karma yoga is the way of doing our duties, in disregard of personal gains or losses. According to Sri Swami Sivananda,

Karma Yoga is consecration of all actions and their fruits unto the Lord. Karma Yoga is performance of actions dwelling in union with the Divine, removing attachment and remaining balanced ever in success and failure. Karma Yoga is selfless service unto humanity. Karma Yoga is the Yoga of action which purifies the heart and prepares the Antahkarana (the heart and the mind) for the reception of Divine Light or attainment of Knowledge of the Self. The important point is that you will have to serve humanity without any attachment or egoism.[web 13]

Jainism[edit]

Jainism (/ˈnɪzəm/Sanskritजैनधर्म JainadharmaTamilசமணம் SamaṇamBengaliজৈনধর্ম JainadharmaTeluguజైనమతం JainamataṁMalayalamജൈനമതം JainmatKannadaಜೈನ ಧರ್ಮ Jaina dharma), is an Indian religion that prescribes a path of non-violence towards all living beings. Its philosophy and practice emphasize the necessity of self-effort to move the soul toward divine consciousness and liberation. Any soul that has conquered its own inner enemies and achieved the state of supreme being is called a jina ("conqueror" or "victor"). The ultimate status of these perfect souls is called siddha. Ancient texts also refer to Jainism as shramana dharma (self-reliant) or the "path of the nirganthas" (those without attachments or aversions).

In Jainism highest form of pure knowledge a soul can attain is called Kevala Jnana (Sanskrit: केवलज्ञान) or Kevala Ṇāṇa (Prakrit: केवल णाण). which means "absolute or perfect" and Jñāna, which means "knowledge". Kevala is the state of isolation of the jīva from the ajīva attained through ascetic practices which burn off one's karmic residues, releasing one from bondage to the cycle of death and rebirth. Kevala Jñāna thus means infinite knowledge of self and non-self, attained by a soul after annihilation of the all ghātiyā karmas. The soul which has reached this stage achieves moksa or liberation at the end of its life span.

Mahavira, 24th thirthankara of Jainism, is said to have practised rigorous austerities for 12 years before he attained enlightenment,

During the thirteenth year, in the second month of summer, in the fourth fortnight, the light (fortnight) of Vaisakha, on its tenth day, when the shadow had turned towards the east and the first wake was over, on the day called Suvrata, in the Muhurta called Vigaya, outside of the town Grimbhikagrama on the bank of the river Rjupalika, not far from an old temple, in the field of the householder Samaga, under a Sal tree, when the moon was in conjunction with the asterism Uttara Phalguni, (the Venerable One) in a squatting position with joined heels, exposing himself to the heat of the sun, after fasting two and a half days without drinking water, being engaged in deep meditation, reached the highest knowledge and intuition, called Kevala, which is infinite, supreme, unobstructed, unimpeded, complete, and full.[citation needed]

Kevala Jñāna is one of the five major events in the life of a Tirthankara and is known as Keval Jñāna Kalyanaka and celebrated of all gods. Lord Mahavira's Kaivalya was said to have been celebrated by the demi-gods, who constructed the Samosarana or a grand preaching assembly for him.

Western understanding[edit]

In the Western world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in a religious context acquired a romantic meaning. It has become synonymous with self-realization and the true self, which is being regarded as a substantial essence which is covered over by social conditioning.[note 12]

As 'Aufklärung'[edit]

The use of the Western word enlightenment is based on the supposed resemblance of bodhi with Aufklärung, the independent use of reason to gain insight into the true nature of our world.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more resemblances with Romanticism than with the Enlightenment: the emphasis on feeling, on intuitive insight, on a true essence beyond the world of appearances.[38]

Awakening: Historical period of renewed interest in religion[edit]

The equivalent term "awakening" has also been used in a Christian context,[39] namely the Great Awakenings, several periods of religious revival in American religious history. Historians and theologians identify three or four waves of increased religious enthusiasm occurring betwee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he late 19th century. Each of these "Great Awakenings" was characterized by widespread revivals led by evangelical Protestant ministers, a sharp increase of interest in religion, a profound sense of conviction and redemption on the part of those affected, an increase in evangelical church membership, and the formation of new religious movements and denominations.

Illumination[edit]

Another equivalent term is Illuminationism, which was also used by Paul Demieville in his work The Mirror of the Mind, in which he made a distinction between "illumination subie" and "illumination graduelle".[40][web 14] Illuminationism is a doctrine according to which the process of human thought needs to be aided by divine grace. It is the oldest and most influential alternative to naturalism in the theory of mind and epistemology.[web 15] It was an important feature of ancient Greek philosophyNeoplatonismmedieval philosophy, and in particular, the Illuminationist school of Islamic philosophy.

Augustine was an important proponent of Illuminationism, stating that everything we know is taught to us by God as He casts His light over the world,[web 16] saying that "The mind needs to be enlightened by light from outside itself, so that it can participate in truth, because it is not itself the nature of truth. You will light my lamp, Lord," [41] and "You hear nothing true from me which you have not first told me."[42] Augustine's version of illuminationism is not that God gives us certain information, but rather gives us insight into the truth of the information we received for ourselves.

Romanticism and transcendentalism[edit]

This romantic idea of enlightenment as insight into a timeless, transcendent reality has been popularized especially by D.T. Suzuki.[web 17][web 18] Further popularization was due to the writings of Heinrich Dumoulin.[43][44][web 19] Dumoulin viewed metaphysics as the expression of a transcendent truth, which according to him was expressed by Mahayana Buddhism, but not by the pragmatic analysis of the oldest Buddhism, which emphasizes anatta.[45] This romantic vision is also recognizable in the works of Ken Wilber.[46]

In the oldest Buddhism this essentialism is not recognizable.[47][web 20] According to critics it doesn't really contribute to a real insight into Buddhism:[web 21]

...most of them labour under the old cliché that the goal of Buddhist psychological analysis is to reveal the hidden mysteries in the human mind and thereb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transcendental state of consciousness beyond the reach of linguistic expression.[48]

Experience[edit]

A common reference in Western culture is the notion of "enlightenment experience". This notion can be traced back to William James, who used the term "religious experience" in his book,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49] Wayne Proudfoot traces the roots of the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further back to the German theologian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 who argued that religion is based on a feeling of the infinite. The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was used by Schleiermacher to defend religion against the growing scientific and secular critique.[5]

It was popularised by the Transcendentalists, and exported to Asia via missionaries.[50] Transcendentalism developed as a reaction against 18th-century rationalism, John Locke's philosophy of Sensualism, and the predestinationism of New England Calvinism. It is fundamentally a variety of diverse sources such as Hindu texts like the Vedas, the Upanishads and the Bhagavad Gita,[51] various religions, and German idealism.[52]

It was adopted by many scholars of religion, of which William James was the most influential.[53][note 13]

The notion of "experience" has been criticised.[4][57][58] Robert Sharf points out that "experience" is a typical Western term, which has found its way into Asian religiosity via western influences.[4][note 14] The notion of "experience" introduces a false notion of duality between "experiencer" and "experienced", whereas the essence of kensho is the realisation of the "non-duality" of observer and observed.[60][61] "Pure experience" does not exist; all experience is mediated by intellectual and cognitive activity.[62][63] The specific teachings and practices of a specific tradition may even determine what "experience" someone has, which means that this "experience" is not the proof of the teaching, but a result of the teaching.[64] A pure consciousness without concepts, reached by "cleansing the doors of perception",[note 15] would be an overwhelming chaos of sensory input without coherence.[65]

Nevertheless, the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has gained widespread use in the study of religion,[66] and is extensively researched.[66]

Western culture[edit]

Christianity[edit]

The word "enlightenment" is not generally used in Christian contexts for religious understanding or insight. More commonly used terms in the Christian tradition are religious conversion and revelation.

Lewis Sperry Chafer (1871–1952), one of the founders of Dispensationalism, uses the word "illuminism". Christians who are "illuminated" are of two groups, those who have experienced true illuminism (biblical) and those who experienced false illuminism (not from the Holy Spirit).[67]

Christian interest in eastern spirituality has grow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Notable Christians, such as Hugo Enomiya-Lassalle and AMA Samy, have participated in Buddhist training and even become Buddhist teachers themselves. In a few places Eastern contemplative techniques have been integrated in Christian practices, such as centering prayer.[web 23] But this integration has also raised questions about the borders between these traditions.[web 24]

Western esotericism and mysticism[edit]

Western and Mediterranean culture has a rich tradition of esotericism and mysticism.[68] The Perennial philosophy, basic to the New Age understanding of the world, regards those traditions as akin to Eastern religions which aim at awakening/ enlightenment and developing wisdom. The hypothesis that all mystical traditions share a "common core",[69] is central to New Age, but contested by a diversity of scientists like Katz and Proudfoot.[69]

Judaism includes the mystical tradition of KabbalahIslam includes the mystical tradition of Sufism. In the Fourth Way teaching, enlightenment is the highest state of Man (humanity).[70]

Nondualism[edit]

A popular western understanding sees "enlightenment" as "nondual consciousness", "a primordial, natural awareness without subject or object".[web 25] It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Neo-Advaita.

This nondual consciousness is seen as a common stratum to different religions. Several definitions or meanings are combined in this approach,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various traditions as having the same essence.[71] According to Renard, many forms of religion are based on an experiential o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Real"[72]

This idea of nonduality as "the central essence"[73] is part of a modern mutual exchange and synthesis of ideas between western spiritual and esoteric traditions and Asian religious revival and reform movements.[note 16] Western predecessors are, among others, New Age,[74] Wilber's synthesis of western psychology and Asian spirituality, the idea of a Perennial Philosophy, and Theosophy. Eastern influences are the Hindu reform movements such as Aurobindo's Integral Yoga and Vivekananda's Neo-Vedanta, the Vipassana movement, and Buddhist modernism. A truly syncretistic influence is Osho[75] and the Rajneesh movement, a hybrid of eastern and western ideas and teachings, and a mainly western group of followers.[76]

Cognitive aspects[edit]

Religious experience as cognitive construct[edit]

"Religious experiences" have "evidential value",[77] since they confirm the specific worldview of the experiencer:[78][4][17]

These experiences are cognitive in that, allegedly at least,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receives a reliable and accurate view of what, religiously considered,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ings. This, so far as their religious tradition is concerned, is what is most important about them. This is what makes them "salvific" or powerful to save.[79]

Yet, just like the very notion of "religious experience" is shaped by a specific discourse and habitus, the "uniformity of interpretation"[80] may be due to the influence of religious traditions which shape the interpretation of such experiences.[80][4][81][78]

Various religious experiences[edit]

Yandell discerns various "religious experiences" and their corresponding doctrinal settings, which differ in structure and phenomenological content, and in the "evidential value" they present.[82] Yandell discerns five sorts:[83]

  1. Numinous experiences – Monotheism (Jewish, Christian, Vedantic, Sufi Islam)[84]
  2. Nirvanic experiences – Buddhism,[85] "according to which one sees that the self is but a bundle of fleeting states"[86]
  3. Kevala experiences[87] – Jainism,[77] "according to which one sees the self as an indestructible subject of experience"[77]
  4. Moksha experiences[88] – Hinduism,[77] Brahman "either as a cosmic person, or, quite differently, as qualityless"[77]
  5. Nature mystical experience[87]

Cognitive science[edit]

Various philosophers and cognitive scientists state that there is no "true self" or a "little person" (homunculus) in the brain that "watches the show," and that consciousness is an emergent property that arise from the various modules of the brain in ways that are yet far from understood.[89][90][91] According to Susan Greenfield, the "self" may be seen as a composite,[92] whereas Douglas R. Hofstadter describes the sense of "I" as a result of cognitive process.[93]

This is in line with the Buddhist teachings, which state that

[...] what we call 'I' or 'being,' is only a combination of physical and mental aggregates which are working together interdependently in a flux of momentary change withi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and that there is nothing, permanent, everlasting, unchanging, and eternal in the whole of existence.[94]

To this end, Parfit called Buddha the "first bundle theorist".[95]

The idea that the mind is the result of the activities of neurons in the brain was most notably popularized by Francis Crick, the co-discoverer of DNA, in his book The Astonishing Hypothesis.[96][note 17] The basic idea can be traced back to at least Étienne Bonnot de Condillac. According to Crick, the idea was not a novel one:

[...] an exceptionally clear statement of it can be found in a well known paper by Horace Barlow.[96]

Entheogens[edit]

Several users of entheogens throughout the ages have claimed experiences of spiritual enlightenment with the use of these substances, their use and prevalence through history is well recorded, and continues today. In modern times we have seen increased interest in these practices, for example the rise of interest in Ayahuasca.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se substances have been subject to scientific research focused on understanding their physiological basis. While entheogens do produce glimpses of higher spiritual states, these are always temporary, fading with the effects of the substance. Permanent enlightenment requires making permanent changes in your consciousness.

See also[edit]

Notes[edit]

  1. ^ "Mankind's final coming of age, the emancipation of the human consciousness from an immature state of ignorance and error."[1]
  2. ^ When referring to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samma-sambodhi) and thus to the goal of the Buddhist path, the word enlightenment is normally translating the Pali and Sanskrit word bodhi
  3. ^ "Brahman" is not to be confused with Brahma, the Creator and one third of the Trimurtialong with Shiva, the Destroyer and Vishnu, the Preserver.
  4. ^ The authorship of this work is disputed. Most 20th-century academic scholars feel it was not authored by Sankara, and Swami Sacchidanandendra Saraswathi of Holenarsipur concurs.[citation needed]
  5. ^ slokārdhena pravaksāmi yaduktaṃ granthakotibhih, brahma satyaṃ jagat mithyā, jīvo brahmaiva nāparah
  6. ^ Marek: "Wobei der Begriff Neo-Advaita darauf hinweist, dass sich die traditionelle Advaita von dieser Strömung zunehmend distanziert, da sie die Bedeutung der übenden Vorbereitung nach wie vor als unumgänglich ansieht. (The term Neo-Advaita indicating that the traditional Advaita increasingly distances itself from this movement, as they regard preparational practicing still as inevitable)[20]
  7. ^ Alan Jacobs: Many firm devotees of Sri Ramana Maharshi now rightly term this western phenomenon as 'Neo-Advaita'. The term is carefully selected because 'neo' means 'a new or revived form'. And this new form is not the Classical Advaita which we understand to have been taught by both of the Great Self Realised Sages, Adi Shankara and Ramana Maharshi. It can even be termed 'pseudo' because, by presenting the teaching in a highly attenuated form, it might be described as purporting to be Advaita, but not in effect actually being so, in the fullest sense of the word. In this watering down of the essential truths in a palatable style made acceptable and attractive to the contemporary western mind, their teaching is misleading.[21]
  8. ^ See for other examples Conway [web 5] and Swartz [web 6]
  9. ^ Presently Cohen has distanced himself from Poonja, and calls his teachings "Evolutionary Enlightenment".[26] What Is Enlightenment, the magazine published by Cohen's organisation, has been critical of neo-Advaita several times, as early as 2001. See.[web 7][web 8][web 9]
  10. ^ Tattvarthasutra [6.1][32]
  11. ^ nivartitānāmeteṣāṁ tadvyatiriktaviṣayebhya uparamaṇamuparatirathavā vihitānāṁ karmaṇāṁ vidhinā parityāgaḥ[Vedāntasāra, 21]
  12. ^ Jean-Jacques Rousseau w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is idea. See for example Osho's teachings for a popularisation of this idea.
  13. ^ James also gives descriptions of conversion experiences. The Christian model of dramatic conversions, based on the role-model of Paul's conversion, may also have served as a model for Western interpretations and expectations regarding "enlightenment", similar to Protestant influences on Theravada Buddhism, as described by Carrithers: "It rests upon the notion of the primacy of religious experiences, preferably spectacular ones, as the origin and legitimation of religious action. But this presupposition has a natural home, not in Buddhism, but in Christian and especially Protestant Christian movements which prescribe a radical conversion."[54] See Sekida for an example of this influence of William James and Christian conversion stories, mentioning Luther[55] and St. Paul.[56] See also McMahan for the influence of Christian thought on Buddhism.[6]
  14. ^ Robert Sharf: "[T]he role of experie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has been greatly exaggerated in contemporary scholarship. Both historical and ethnographic evidence suggests that the privileging of experience may well be traced to certain twentieth-century reform movements, notably those that urge a return to zazen or vipassanameditation, and these reforms were profoundly influenced by religious developments in the west [...] While some adepts may indeed experience "altered states" in the course of their training, critical analysis shows that such states do not constitute the reference point for the elaborate Buddhist discourse pertaining to the "path".[59]
  15. ^ William Blake: "If the doors of perception were cleansed every thing would appear to man as it is, infinite. For man has closed himself up, till he sees all things thru' narrow chinks of his cavern."[web 22]
  16. ^ See McMahan,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ty"[6] and Rambachan, "The Limits of Scripture: Vivekananda's Reinterpretation of the Vedas"[17] for descriptions of this mutual exchange.
  17. ^ Crick, after his work on DNA focused his remaining research activities on the brain basis of consciousness.

References[edit]

  1. ^ Porter 2001, p. 1.
  2. ^ Fischer-Schreiber 2008, p. 5051, lemma "bodhi".
  3. ^ Carrette & King 2005.
  4. Jump up to:a b c d e Sharf 1995b.
  5. Jump up to:a b Sharf 2000.
  6. Jump up to:a b c McMahan 2008.
  7. ^ Indich 1995.
  8. ^ Zelliot 1980.
  9. ^ Deutsch 1988.
  10. ^ Collinson 1994.
  11. ^ Nakamura 2004, p. 680.
  12. ^ Shankara, Vivekacūḍāmaṇi
  13. ^ Dense 1999, p. 191.
  14. Jump up to:a b c Mukerji 1983.
  15. Jump up to:a b c Comans 1993.
  16. ^ Comans 2000, p. 307.
  17. Jump up to:a b c Rambachan 1994.
  18. Jump up to:a b c Lucas 2011.
  19. ^ Marek 2008, p. 10, note 6.
  20. ^ Marek 2008, p. 10 note 6.
  21. Jump up to:a b Jacobs 2004, p. 82.
  22. Jump up to:a b Davis 2010, p. 48.
  23. ^ Yogani 2011, p. 805.
  24. ^ Caplan 2009, p. 16-17.
  25. ^ Lucas 2011, p. 102-105.
  26. ^ Gleig 2011, p. 10.
  27. ^ Madhukar 2006, pp. 1-16, (Interview with Sri H.W.L. Poonja).
  28. ^ Baptiste 2011.
  29. ^ Yogani 2011.
  30. ^ Lardner Carmody & Carmody 1996, p. 68.
  31. ^ Sarbacker 2005, p. 1–2.
  32. ^ Doshi 2007.
  33. ^ Whicher 1998, p. 38–39.
  34. ^ Larson 2008, p. 139–140.
  35. ^ Birdee 2008.
  36. Jump up to:a b Puligandla 1997, p. 251-254.
  37. ^ Adi Shankara, Tattva bodha (1.2)
  38. ^ Wright 2000, p. 181-183.
  39. ^ Ruffin 2007, p. [page needed].
  40. ^ Demieville 1991.
  41. ^ Confessions IV.xv.25
  42. ^ Confessions X.ii.2
  43. ^ Dumoulin 2005a.
  44. ^ Dumoulin 2005b.
  45. ^ Dumonlin 2000.
  46. ^ Wilber 1996.
  47. ^ Warder 2000, p. 116-124.
  48. ^ Kalupahana 1992, p. xi.
  49. ^ Hori 1999, p. 47.
  50. ^ King 2002.
  51. ^ Versluis 2001, p. 3.
  52. ^ Hart 1995.
  53. ^ Sharf 2000, p. 271.
  54. ^ Carrithers 1983, p. 18.
  55. ^ Sekida 1985, p. 196-197.
  56. ^ Sekida 1985, p. 251.
  57. ^ Mohr 2000, p. 282-286.
  58. ^ Low 2006, p. 12.
  59. ^ Sharf 1995c, p. 1.
  60. ^ Hori 1994, p. 30.
  61. ^ Samy 1998, p. 82.
  62. ^ Mohr 2000, p. 282.
  63. ^ Samy 1998, p. 80-82.
  64. ^ Samy 1998, p. 80.
  65. ^ Mohr 2000, p. 284.
  66. Jump up to:a b Spilka 2003, p. 246-289.
  67. ^ Chafer 1993, p. 12–14.
  68. ^ Hanegraaff 1996.
  69. Jump up to:a b Hood 2001, p. 32.
  70. ^ Ouspensky n.d.
  71. ^ Katz 2007.
  72. ^ Renard 2010, p. 59.
  73. ^ Wolfe 2009, p. iii.
  74. ^ Hanegraaf 1996.
  75. ^ Swartz 2010, p. 306.
  76. ^ Aveling 1999.
  77. Jump up to:a b c d e Yandell 1994, p. 25.
  78. Jump up to:a b Yandell 1994.
  79. ^ Yandell 1994, p. 18.
  80. Jump up to:a b Spilka 2003, p. 259.
  81. ^ Berger 1990.
  82. ^ Yandell 1994, p. 19-23.
  83. ^ Yandell 1994, p. 23-31.
  84. ^ Yandell 1994, p. 24-26.
  85. ^ yandell 1994, p. 24-25, 26-27.
  86. ^ Yandell 1994, p. 24-25.
  87. Jump up to:a b Yandell 1994, p. 30.
  88. ^ Yandell 1994, p. 29.
  89. ^ Dennett 1992.
  90. ^ Ramachandran 2012.
  91. ^ Damassio 2012.
  92. ^ Greenfield 2000.
  93. ^ Hofstadter 2007.
  94. ^ Rahula 1959, p. 66.
  95. ^ Parfit 1987.
  96. Jump up to:a b Crick 1994.

Sources[edit]

Published sources[edit]

  • Aveling, Harry (1999), Osho Rajaneesh & His Disciples: Some Western Perceptions, Motilall Banarsidass
  • Baptiste, Sherry (2011), Yoga with Weights for DummiesISBN 978-0-471-74937-0
  • Berger, Peter L. (1990), The Sacred Canopy. Elements of a Sociological Theory of Religion, New York: Anchor Books
  • Birdee, Gurjeet S. (2008), Characteristics of Yoga User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I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Oct 2008, Volume 23 Issue 10. p.1653-1658
  • Caplan, Mariana (2009), Eyes Wide Open: Cultivating Discernment on the Spiritual Path, Sounds True
  • Carrithers, Michael (1983), The Forest Monks of Sri Lanka
  • Chafer, Lewis Sperry (1993), Systematic Theology1 (Reprint ed.), Kregel Academic, ISBN 978-0-8254-2340-6
  • Collinson, Diané; Wilkinson, Robert (1994), Thirty-Five Oriental Philosophers, Routledge, ISBN 0-415-02596-6
  • Crick, Francis (1994), The Astonishing Hypothesi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Damasio, A. (2012), Self comes to mind: Constructing the Conscious Brain, Vintage
  • Davis, Leesa S. (2010), Advaita Vedānta and Zen Buddhism: Deconstructive Modes of Spiritual Inquir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 Demieville, Paul (1991), The Mirror of the Mind. In: Peter N. Gregory (editor) (1991),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 Dennett, Daniel C. (1992), Consciousness Explained, Allen Lane The Penguin Press
  • Deutsch, Eliot (1988), Advaita Vedanta: A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8706-662-3
  • Doshi, Manu Doshi (2007), Translation of Tattvarthasutra, Ahmedabad: Shrut Ratnakar
  • Dumonlin, Heinrich (2000), A History of Zen Buddhism,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 Dumoulin, Heinrich (2005a),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 Dumoulin, Heinrich (2005b),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 Gleig, Ann Louise (2011), Enlightenment After the Enlightenment: American Transformations of Asian Contemplative Traditions, RICE UNIVERSITY/ProQuest, ProQuest 885589248
  • Greenfield, Susan (2000), The Private Life of the Brain: Emotions, Consciousness, and the Secret of the Self, New York: John Wiley & Sons
  • Hanegraaff, Wouter J. (1996),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Esotericism in the mirror of Secular Thought, Leiden/New York/Koln: E.J. Brill
  • Hart, James D., ed. (1995), Transcendentalism. In: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 Hofstadter, Douglas R. (2007), I Am a Strange Loop, Basic Books
  • Hood, Ralph W. (2001), Dimensions of Mystical Experiences: Empirical Studies and Psychological Links, Rodopi
  • Hori, Victor Sogen (Winter 1994),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Zen Rinzai Monastery"(PDF)Journal of Japanese Studies20 (1): 5–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10-25
  • Hori, Victor Sogen (1999), Translating the Zen Phrase Book. In: Nanzan Bulletin 23 (1999)(PDF)
  • Indich, William M. (1995), Consciousness in Advaita Vedānta, Banarsidass Publishers, ISBN 81-208-1251-4
  • Jacobs, Alan (2004), Advaita and Western Neo-Advaita. In: The Mountain Path Journal, autumn 2004, pages 81-88, Ramanasram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5-18
  • Kalupahana, David J. (1992), A history of Buddhist philosophy,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 Kapleau, Philip (1989), The Three Pillars of ZenISBN 978-0-385-26093-0
  • Katz, Jerry (2007), One: Essential Writings on Nonduality, Sentient Publications
  • King, Richard (2002), Orientalism and Religion: Post-Colonial Theory, India and "The Mystic East", Routledge
  • Lardner Carmody, Denise; Carmody, John (1996), Serene Compass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
  • Larson, Gerald James (2008),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Yoga: India's philosophy of meditat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349-4
  • Low, Albert (2006), Hakuin on Kensho. The Four Ways of Knowing, Boston & London: Shambhala
  • Lucas, Phillip Charles (2011), "When a Movement Is Not a Movement. Ramana Maharshi and Neo-Advaita in North America", Nova Religio15 (2): 93–114, doi:10.1525/nr.2011.15.2.93JSTOR 10.1525/nr.2011.15.2.93
  • Marek, David (2008), Dualität - Nondualität. Konzeptuelles und nichtkonzeptuelles Erkennen in Psychologie und buddhistischer Praxis (PDF)
  • Madhukar (2006). The Simplest Way (2nd ed.). Editions India. ISBN 978-8-18965804-5.
  •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 Mohr, Michel (2000), Emerging from Nonduality. Koan Practice in the Rinzai Tradition since Hakuin. In: steven Heine & Dale S. Wright (eds.)(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Newland, Terry (1988), MIND IS A MYTH - Disquieting Conversations with the Man Called U.G., Post Betim: Dinesh Publications
  • Ouspensky, P.D. (n.d.), In Search of the Miraculous
  • Parfit, D. (1987), Divided minds and the nature of persons. In C. Blakemore and S. Greenfield (eds.) (1987), "Mindwaves". Oxford, Blackwell. Pages 19-26
  • Porter, Roy (2000),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The Untold Story of the British Enlightenment
  • Rahula, W. (1959), What the Buddha taught, London & New York: Gordon Fraser & Grove Press.
  • Ramachandran, V. S. (2012), The Tell-Tale Brain: A Neuroscientist's Quest for What Makes Us Human, W. W. Norton & Company
  • Rambachan, Anatanand (1994), The Limits of Scripture: Vivekananda's Reinterpretation of the Vedas, University of Hawaii Press
  • Renard, Philip (2010), Non-Dualisme. De directe bevrijdingsweg, Cothen: Uitgeverij Juwelenschip
  • Ruffin, J. Rixey (2007). A Paradise of Reason: William Bentley and Enlightenment Christianity in the Early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2651-2.
  • Samy, AMA (1998), Waarom kwam Bodhidharma naar het Westen? De ontmoeting van Zen met het Westen, Asoka: Asoka
  • Sarbacker, Stuart Ray (2005), Samādhi: The Numinous and Cessative in Indo-Tibetan Yoga, SUNY Press
  • Sekida, Katsuki (1985), Zen Training. Methods and Philosophy, New York, Tokyo: Weatherhill
  • Sharf, Robert H. (1995b), "Buddhist Modernism and the Rhetoric of Meditative Experience"(PDF)NUMEN42 (3): 228–283, doi:10.1163/1568527952598549hdl:2027.42/438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4-12, retrieved 2012-10-28
  • Sharf, Robert H. (1995c), "Sanbokyodan. Zen and the Way of the New Religions" (PDF)Japanese Journal of Religious Studies22 (3–4), doi:10.18874/jjrs.22.3-4.1995.417-458
  • Sharf, Robert H. (2000), "The Rhetoric of Experience and the Study of Religion" (PDF)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7 (11–12): 267–8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5-13, retrieved 2012-10-28
  • Swartz, James (2010), How to Attain Enlightenment: The Vision of Non-Duality, Sentient Publications
  • Versluis, Arthur (2001), The Esoteric Origins of the American Renaissance, Oxford University Press
  • Warder, A.K. (2000), Indian Buddhism,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 Whicher, Ian (1998), The Integrity of the Yoga Darśana: A Reconsideration of Classical Yoga, SUNY Press, ISBN 978-0-7914-3815-2
  • Wilber, Ken (1996), The Atman Project
  • Wolfe, Robert (2009), Living Nonduality: Enlightenment Teachings of Self-Realization, Karina Library
  • Wright, Dale S. (2000), Philosophical Meditations on Zen Buddh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Yandell, Keith E. (1994), The Epistemology of Religious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Yogani (2011), Advanced Yoga Practices – Easy Lessons for Ecstatic LivingISBN 978-0-9819255-2-3
  • Zelliot, Eleanor; Berntsen, Maxine (1980), The Experience of Hinduism: essays on religion in Maharash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248-0271-3

Web-sources[edit]

  1. ^ "enlightenment - Definition from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Merriam-webster.com. 2007-04-25. Retrieved 2009-11-13.
  2. ^ Lauri Glenn (2018). "What is bodhi?". Bodhi Therapeutics. Retrieved 2020-05-21.
  3. ^ Gandhi And Mahayana Buddhism, Journal of Oriental Studies 35:2 (1996), pp. 84-105 (accessdate=2011-06-10)
  4. ^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Volume 2/Jnana-Yoga/The Absolute and Manifestation - Wikisource". En.wikisource.org. 2008-04-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ne 2011. Retrieved 2011-06-10.
  5. ^ Timothy Conway, Neo-Advaita or Pseudo-Advaita and Real Advaita-Nonduality
  6. ^ James Swartz, What is Neo-Advaita?
  7. ^ What is Enlightenment? September 1, 2006 Archived April 14, 2013, at Archive.today
  8. ^ What is Enlightenment? December 31, 2001 Archived March 10, 2013, at the Wayback Machine
  9. ^ What is Enlightenment? December 1, 2005 Archived April 14, 2013, at Archive.today
  10. ^ Shankara, Adi. "The Crest Jewel of Wisdom". Charles Johnston (Trans.). pp. Ch. 1. Retrieved 2008-04-28.
  11. ^ "Advaita Yoga Ashrama, Jnana Yoga. Introduction". Yoga108.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13. Retrieved 2012-09-10.
  12. ^ "Antahkarana- Yoga (definition)". En.mimi.hu. Retrieved 2011-06-10.
  13. ^ Sri Swami Sivananda, Karma Yoga
  14. ^ Bernard Faure, Chan/Zen Studies in English: The State Of The Field
  15.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6. ^ Illumination and Enlightenment
  17. ^ Robert H. Sharf, Whose Zen? Zen Nationalism Revisited
  18. ^ Hu Shih: Ch'an (Zen) Buddhism in China. Its History and Method
  19. ^ Critical introduction by John McRae to the reprint of Dumoulin's A history of Zen
  20. ^ Nanzan Institute: Pruning the bodhi Tree
  21. ^ David Chapman: Effing the ineffable
  22. ^ Quote DB
  23. ^ Contemplative Outreach: Centering Prayer
  24. ^ Inner Explorations: Christian Enlightenment?
  25. ^ "Undivided Journal, About the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8-23. Retrieved 2013-02-21.

External links[edit]

Compassion and Emptiness in Early Buddhist Meditation: Analayo, Bhikkhu: 9781909314559: Amazon.com: Books

Compassion and Emptiness in Early Buddhist Meditation: Analayo, Bhikkhu: 9781909314559: Amazon.com: Books


"This book is the result of rigorous textual scholarship that can be valued not only by the academic community, but also by Buddhist practitioners. This book serves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those who wish to learn about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and those who wish to learn from it. . . . As a monk engaging himself in Buddhist meditation as well as a professor applying a historical-critical methodology, Bhikkhu Analayo' is well positioned to bridge these two communities. . . . Exploring the meditative practices of compassion and emptiness, Analayo' casts fresh light on their earliest sources in the Buddhist tradition."—17th Karmapa Ogyen Trinley Dorje

"Arising from the author's long-term, dedicated practice and study, this book provides a window into the depth and beauty of the Buddha's liberating teachings. Serious meditation students will benefit tremendously from the clarity of understanding that Venerable Analayo's efforts have achieved."—Sharon Salzberg

"In this study, Venerable Analayo' brings a meticulous textual analysis of Pali texts, the Chinese Agamas and related material from Sanskrit and Tibetan to the foundational topics of compassion and emptiness. While his analysis is grounded in a scholarly approach, he has written this study as a helpful guide for meditation practice."—Jetsunma Tenzin Palmo

Bhikkhu Analayo' completed a PhD on the Satipatthanasutta at the University of Peradeniya, Sri Lanka, in 2000, published in 2003 by Windhorse Publications under the title Satipattha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At present Analayo' is a professor of Buddhist studies at the Sri Lanka International Academy in Pallekele.

Compassion and Emptiness in Early Buddhist Meditation Paperback – November 10, 2015
by Bhikkhu Analayo (Author)
4.8 out of 5 stars    28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from AUD 15.50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AUD 19.34 
12 Used from AUD 18.25
17 New from AUD 15.59

Read less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mation.
Customers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
Page 1 of 11Page 1 of 11
This shopping feature will continue to load items 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In order to navigate out of this carousel please use your heading shortcut key to navigate to the next or previous heading.
Back
Mindfulness of Breathing: A Practice Guide and Translations
Mindfulness of Breathing: A Practice Guide and Translations
Analayo
4.9 out of 5 stars 33
Paperback
AUD 29.92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Anālayo
4.6 out of 5 stars 107
Paperback
38 offers from AUD 17.75
A Meditator's Life of the Buddha: Based on the Early Discourses
A Meditator's Life of the Buddha: Based on the…
Bhikkhu Analayo
4.9 out of 5 stars 22
Paperback
AUD 21.95
Only 1 left in stock - order soon.Only 1 left in stock - order…
Next
Customers who bought this item also bought
Page 1 of 16Page 1 of 16
This shopping feature will continue to load items 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In order to navigate out of this carousel please use your heading shortcut key to navigate to the next or previous heading.
Back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Anālayo
4.6 out of 5 stars 107
Paperback
38 offers from AUD 17.75
Mindfulness of Breathing: A Practice Guide and Translations
Mindfulness of Breathing: A Practice Guide and Translations
Analayo
4.9 out of 5 stars 33
Paperback
AUD 29.92
A Meditator's Life of the Buddha: Based on the Early Discourses
A Meditator's Life of the Buddha: Based on the…
Bhikkhu Analayo
4.9 out of 5 stars 22
Paperback
AUD 21.95
Only 1 left in stock - order soon.Only 1 left in stock - order…
Loving-Kindness in Plain English: The Practice of Metta
Loving-Kindness in Plain English: The Practice of Metta
Bhante Henepola…
4.7 out of 5 stars 68
Paperback
33 offers from AUD 14.01
Boundless Heart: The Buddha's Path of Kindness, Compassion, Joy, and Equanimity
Boundless Heart: The Buddha's Path of Kindness, Compassion,…
Christina Feldman
4.6 out of 5 stars 48
Paperback
51 offers from AUD 12.13
Next
Special offers and product promotions
Amazon Business : For business-only pricing, quantity discounts and FREE Shipping. Register a free business account
Editorial Reviews
Review

“This book is the result of rigorous textual scholarship that can be valued not only by the academic community, but also by Buddhist practitioners. This book serves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those who wish to learn about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and those who wish to learn from it…. As a monk engaging himself in Buddhist meditation as well as a professor applying a historical-critical methodology, Bhikkhu Analayo is well positioned to bridge these two communities who both seek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texts.”
17th Karmapa Ogyen Trinley Dorje

“Arising from the author's long-term, dedicated practice and study, this book provides a window into the depth and beauty of the Buddha's liberating teachings. Serious meditation students will benefit tremendously from the clarity of understanding that Venerable Analayo's efforts have achieved.”
Sharon Salzberg, Co-Founder of the Insight Meditation Society and Author of Real Happiness.

“In this study, Venerable Analayo brings a meticulous textual analysis of Pali texts, the Chinese Agamas and related material from Sanskrit and Tibetan to the foundational topics of compassion and emptiness. While his analysis is grounded in a scholarly approach, he has written this study as a helpful guide for meditation practice.”
Jetsunma Tenzin Palmo



“This book is the result of rigorous textual scholarship that can be valued not only by the academic community, but also by Buddhist practitioners. This book serves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those who wish to learn about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and those who wish to learn from it…. As a monk engaging himself in Buddhist meditation as well as a professor applying a historical-critical methodology, Bhikkhu Analayo is well positioned to bridge these two communities who both seek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texts.”
17th Karmapa Ogyen Trinley Dorje

“Arising from the author's long-term, dedicated practice and study, this book provides a window into the depth and beauty of the Buddha's liberating teachings. Serious meditation students will benefit tremendously from the clarity of understanding that Venerable Analayo's efforts have achieved.”
Sharon Salzberg, Co-Founder of the Insight Meditation Society and Author of Real Happiness.

“In this study, Venerable Analayo brings a meticulous textual analysis of Pali texts, the Chinese Agamas and related material from Sanskrit and Tibetan to the foundational topics of compassion and emptiness. While his analysis is grounded in a scholarly approach, he has written this study as a helpful guide for meditation practice.”
Jetsunma Tenzin Palmo
About the Author
Bhikkhu Analayo completed a PhD on the Satipatthanasutta at the University of Peradeniya, Sri Lanka in 2000, published in 2003 by Windhorse Publications under the title Satipattha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He has also written a habilitation research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jjhimanikaya in the light of its Chinese, Sanskrit, and Tibetan parallels at the University of Marburg in 2007, published 2011. He published Perspectives on Satipatthana in 2014, by Windhorse Publications.

At present Analayo is a professor of Buddhist Studies at the Sri Lanka International Academy in Pallekele. He teaches at the Center for Buddhist Studies of the University of Hamburg and researches at the Dharma Drum Buddhist College in Taiwan. His main research area is early Buddhism and in particular the topics "Chinese Agamas," "Meditation," and "Women in Buddhism." Besides his academic pursuits, he spends about half of his time in meditation under retreat conditions and regularly teaches meditation courses in Asia and the West.
Product details
Item Weight : 14.4 ounces
Paperback : 232 pages
ISBN-13 : 978-1909314559
ISBN-10 : 9781909314559
Dimensions : 6.1 x 0.6 x 9.1 inches
Publisher : Windhorse Publications; Print edition (November 10, 2015)
ASIN : 1909314552
Language: : English
Best Sellers Rank: #461,506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2,344 in Buddhism (Books)
Customer Reviews: 4.8 out of 5 stars    28 ratings
Related video shorts (0)Upload your video

Be the first video
Your name here
More about the author
› Visit Amazon's Analayo Page
Analayo
 Follow
Biography
Bhikkhu Anālayo is a scholar-monk and meditation teacher whose published works include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Perspectives on Satipaṭṭhāna and Compassion and Emptiness in Early Buddhist Meditation. Mindfully Facing Disease and Death will be published in January 2017.


How would you rate your experience shopping for books on Amazon today





Very poor Neutral Great
Customer reviews
4.8 out of 5 stars
4.8 out of 5
28 global ratings
5 star
 86%
4 star
 9%
3 star 0% (0%)
 0%
2 star
 5%
1 star 0% (0%)
 0%
How are ratings calculated?
Review this product
Share your thoughts with other customers
Write a customer review
Read reviews that mention
compassion and emptiness analayo teachings practice practical profound pali text

Top review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Tecla Garcia
5.0 out of 5 stars The practical applications at the end of each section are some of the best meditation suggestions I have ever experience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4, 2017
Verified Purchase
Analayo does a very scholarly study of the most ancient Buddhist texts in an attempt to get closer to the actual words and means of what Buddha said. The book reads well surprisingly because the writing is simple but profound. The footnotes handle the details so they don't knower in the way. The practical applications at the end of each section are some of the best meditation suggestions I have ever experienced. I had struggled with focus for so long and during one of his radiating meditations my mind stopped chattering and there was no effort to remain focused for the first time. The variety provided for how to focus was just what I needed. He brings more elements into the Meditation to combine and study/experience together. Brought me to a new level of being at a very difficult period in my life.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Book Drawn
5.0 out of 5 stars Another Inspirational Book by Analayo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4, 2015
Verified Purchase
Scholarship and practicality perfectly meld together to provide fresh insights into compassion and emptiness and their interconnectedness. If you are a Buddhist practitioner or spiritually and intellectually curious and haven’t read a book by Analayo you are in for a treat. Those who have read Analayo’s inspirational book Satipattani or its follow-up, Perspectives on Satipattani will again be rewarded with this latest addition to a rapidly growing library of western Buddhist literature.

Within the first 10 pages of the first chapter Analayo adeptly discusses (1) the need for joy as an element of compassion, (2) an analysis of the near and far enemies of compassion (sadness and cruelty respectfully), (3) moral conduct as an expression of compassion, (4) how compassionate speech requires both truth and benefit (5) teaching the dharma by disclosing the four noble truths (the path of liberation) as the highest form of compassion, and (6) the Buddha as the supreme physician.

Subsequent chapters refine the concept of compassion within early teachings, discussing compassions place among the brahma viharas (divine abodes, higher mental states) and other traditional teachings including absorption, karma, and the awakening factors. The author then turns to the nature of emptiness, devoting a chapter each to matter, mind and self, before turning to practical meditation techniques beginning with foundational practices, moving into compassion practices and the divine abodes and finally concluding with emptiness. As fitting to teachings centering around the early Pali Canon teachings,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is a series of translations of original suttas frequently referenced in the earlier text.

If you are serious about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and practice centering around the Buddha’s teachings you should read and study from this book. Hear, reflect and meditate with it as your source and you will be rewarded. Two thumbs up. Put it on your must read list.
Read less
2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Don S. Asper
5.0 out of 5 stars Clarifies Buddhist meditation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y 11, 2018
Verified Purchase
In this beautiful, concise book Bhikkhu Anālayo clarifies several aspects of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 He shows how the Buddhist meditation on compassion (Brahmaviharas) is related to meditation on emptiness.
- He demonstr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emptiness practice holds across the Buddhist yanas, thereby showing that they are unified and coherent in this regard.
- His presentation of compassion and emptiness meditation provi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how the Buddhist awareness-related meditations (shamatha, vipashyana) relate to the meditative absorptions (jhana, dhyana).
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Catya Den
5.0 out of 5 stars Form is Emptiness and Emptiness is still Form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9, 2016
Verified Purchase
An very important book for lovers of the Dharma (Reality, Truth, Phenomena, how things really are) whichever of the many paths of Buddhism they are walking. Through deep scholarship, Analayo bridges the major historic branches of Buddhism, to show the commonality of Dharma in its essential insights. In doing so, he tells a better story of Buddhist history that is inclusive rather than the old-fashioned scholarship of difference.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Lotus_on_the_Ripple
5.0 out of 5 stars Very clear and profoun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4, 2020
Verified Purchase
This book focuses on the two important teachings of Buddhism, compassion and emptiness. After clearly and systematically deconstructing each of the concepts, the author blended the two together in a very well-interwoven way and finally suggested a practical meditation sequence for cultivating compassion. The important message is that it is possible to attain the wisdom of emptiness through the diligent practice of cultivating compassion.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LeighB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8, 2017
Verified Purchase
Brilliant, just like all of Ven Analayo's books,.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Malik
5.0 out of 5 stars Emptiness manifeste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 2016
Verified Purchase
A wonderful book by the Ven. Analayo which is empty of fashionable words which are often used by many authors to project a mystical flavour. It is also empty of a style that promotes the author. The presentation is measured and sober. It is the dhamma he presents so skillfully that speaks for itself. A book that needs to be read and reread many times over.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Massachusetts
5.0 out of 5 stars Extraordinar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12, 2020
Verified Purchase
The depth and breadth of this work are extraordinary. For experienced practitioners who are committed to awakening, this book is a treasure, with teachings that cannot readily be found in other places.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M. A. Ratcliffe
5.0 out of 5 stars Read, Reflect, Repea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pril 25, 2017
Verified Purchase
Another useful book by Analayo. Definitely one that warrants multiple re-readings. I especially like the first half of the book that soberly breaks down compass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ly Buddhism, and shows how important the other Brahma viharas are in the cultivation of genuine compassion in the Buddhist sense of the word.

Analayo manages to show how the Brahma viharas relate to the progression through the immaterial jhanas as the boundaries created by conceptual thought are brought down and positive emotion is made boundless.

Previously I did not connect with teachings on Brahma viharas and had emitted them from practice to a large extent, but this book has really helped me to begin to acknowledg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positive emotion in Buddhist practice. Friendliness, compassion and joy are indespensible in unifying experience; promoting focus and keeping the practitioner from becoming overwhelmed when dealing with hindrances and distractions.

I'm sure this book, along with Analayos others, will help many more practitioners to overcome doubts and misunderstandings that they might have in relation to classical Buddhism.

Analayos writing is such a blessing to anyone who cares to know.
Read less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William Neville
5.0 out of 5 stars Fantastic book by a practitioner/ academic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ne 21, 2019
Verified Purchase
Just so clear and well researched. Insightful, inspiring and thought provoking
Report abuse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Excellen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ne 24, 2018
Verified Purchase
Another sublime elucidation by the Ven. Analayo. His explanations, and skill at ‘leading the readers on’ is invaluable and the Practice section at the end felt like a guided meditation through the stages of emptiness.
Report abuse
Carole Melkonian
5.0 out of 5 stars Excellent guide for using the Buddhist teachings on the Brahmaviharas and emptiness to realize awakening
Reviewed in Canada on February 4, 2016
Verified Purchase
An excellent historical summary and practical guide to early Buddhist texts on compassion and emptiness substantiated from a number of Buddhist traditions.
2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Khosrow Aramech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April 29, 2016
Verified Purchase
Explains emptiness in a beautiful way.
2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알라딘: 자비와 공

알라딘: 자비와 공

자비와 공 - 아날라요 스님의 초기불교 명상 수업   
아날라요 비구 (지은이),이성동,윤희조 (옮긴이)민족사2018-11-25원제 : Compassion and Emptiness: In Early Buddhist Meditation (2015년)



자비와 공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 1,500원 할인)
마일리지
7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1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11월 23일 출고  
최근 1주 86.2%(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451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352쪽152*223mm (A5신)493gISBN : 9791189269036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이벤트

2020 올해의 책! 투표에 참여해주시는 분께 적립금 1천원!

11월 특별선물! 2021 다이어리, 달력(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자비(연민)와 공이라는 두 가지의 주제를 다룬다. 이 둘은 불교를 대표하는 핵심 개념이다. 특히 대승불교권인 한국불교는 자비 정신을 구현한 보살사상을 그 본질로 한다. 또 공은 연기(緣起), 무아(無我)와 더불어 불교를 대표하는 사상이다. 자비는 공이라는 불교적 지혜와 결합되지 않으면 잘못 이해될 수 있고, 공은 자비와 결합하지 않으면 완전해질 수 없다.

자비와 공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저자 아날라요 스님은 붓다의 초기 설법 가운데 자비와 공이라는 주제와 연관된 구절들을 빨리 경전, 한역 아함경, 산스끄리뜨 경전과 티베트 경전에서 발췌해 섬세하게 비교 검토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한국에 명상과 심리학 분야 책들을 꾸준히 번역 소개해 오고 있는 정신과 전문의 이성동 선생과 불교학자로서 불교심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윤희조 선생이 공동 번역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목차
17대 까르마빠 성하의 서문 … 004
옮긴이의 글 … 006
약어표 … 009

서론 … 014

I _ 연민의 함양
1. 연민의 특징 … 020
2. 연민과 윤리성 … 024
3. 연민과 사성제 … 027
4. 연민과 가르침 … 032
5. 연민과 안거 … 037
6. 명상에서 연민 … 044
7. 명상에서 보는 연민의 대상 … 050
8. 요약 … 054

Ⅱ _ 연민의 맥락
1. 자애 … 058
2. 일상 행동에서 자애 … 063
3. 공격성에 직면하여 … 068
4. 마음의 아름다움 … 070
5. 연민과 더불어 기뻐함 … 075
6. 연민과 평정심 … 079
7.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 088
8. 요약 … 091

Ⅲ _ 연민의 성숙
1. 자애의 이익 … 094
2. 확산하는 연민과 선정 … 101
3. 마음의 해탈로서 연민 … 107
4. 연민과 업 … 110
5. 연민과 통찰 … 115
6. 연민과 깨달음의 요소들 … 124
7. 연민과 무한한 공간 … 127
8. 요약 … 132

Ⅳ _ 공한 물질
1. 공하다는 것의 성질 … 136
2. 공을 향한 점진적인 진입 … 148
3. 땅 … 155
4. 무한한 공간 … 162
5. 무한한 공과 연민 … 171
6. 요약 … 174

Ⅴ _ 공한 마음
1. 무한한 의식[識無邊處] … 176
2. 의식의 특징 … 179
3. 의존적 발생 … 183
4. 바히야에게 주는 가르침 … 191
5. 일상생활의 공 … 199
6. 요약 … 212

Ⅵ _ 공한 자아
1. 무소유처(無所有處) … 216
2. 흔들림 없음 … 219
3. 무아(無我) … 226
4. 지각도 아니고 지각이 아닌 것도 아닌 것[非想非非想處] … 232
5. 무상(無相) … 236
6. 공의 실현 … 248
7. 공의 역동성 … 251
8. 요약 … 257

Ⅶ _ 실제적 가르침
1. 기반을 놓다 … 260
2. 연민과 다른 무량심들 … 264
3. 확산 수행 … 272
4. 공의 명상 … 278

Ⅷ _ 경전 번역
1. 「의도에 대한 경전」 … 290
2. 「공에 대한 짧은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 296
3. 「공에 대한 긴 경」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 302

참고문헌 … 318
찾아보기 … 331

접기
책속에서
P. 22 다른 사람이 괴로움을 받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과, 그 사람이 괴로움에서 자유롭게 되기를 바라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적인 괴로움에 마음을 두는 것은 괴로움[dukkha]을 성찰하는 것입니다. 이런 성찰은 연민을 명상하면서 함양하는 기반이 됩니다. 그러나 연민 그 자체를 기르는 것은 다른 사람이 괴로움에서 자유롭게 되기를 소망하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이렇게 하여 마음은 괴로움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삼게 됩니다. 이런 목적은 결과적으로 슬픔을 낳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인 마음, 때로는 희열에 가득 찬 마음을 이루게 됩니다.
이것이 핵심입니다. 왜냐하면 명상을 통해서 연민을 기르는 것은 긍정적인 마음이나 희열에 가득 찬 마음에서 이루어질 때에만 보다 깊은 집중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연민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슬픔을 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연민을 일으키는 것은 자연스럽게 슬픔에 젖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고통에 자신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적인 것은 다른 사람의 아픔과 괴로움에 진정으로 반응하는 마음의 문을 여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사람이 고통과 괴로움에서 자유롭게 되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가득 찬 긍정적인 마음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연민은 다른 사람이 괴로움을 겪는 만큼 동정심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되면 후기 불교 전통에서 연민의 “가까운 적”으로 간주된 것의 포로가 되어 버립니다.
『청정도론(Visuddhimagga)』에 의하면 잔인함은 연민과는 아주 반대된다는 의미에서 연민의 “먼 적”입니다. 반면 세간적인 슬픔은 연민의 “가까운 적”입니다. 말할 것도 없이 이 두 종류의 적은 모두 피하는 것이 최상입니다.  접기
P. 31~32 연민의 활동은 사성제가 제공한 이상적인 전망에 바탕을 두어야만 합니다. 결과적으로 드러나게 마련인 연민은 다른 사람의 실제적인 아픔과 고통을 보고(첫 번째 진리), 그뿐만 아니라 그런 괴로움을 낳는 상황(두 번째 진리), 그리고 거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상황(네 번째 진리)을 보게 됩니다. 연민을 움직이는 힘은 아픔과 고통에서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되는 것(세 번째 진리)을 바라는 소망입니다. 말하자면 사성제의 지혜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연민은 철저하게 불교적이게 되는 것입니다.  접기
P. 32~33 붓다는 연민으로 사성제를 가르쳤습니다. 초기설법에서 붓다가 연민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은 주로 다르마(Dharma)의 가르침을 통해서입니다. 연민과 가르침의 연관성은 아주 밀접하고 잘 확립되어 있어서, 가르침을 요청하는 것은 항상 “연민에 가득 찬 마음에서”라는 구절이 기준점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사용된 용어가 아누깜빠(anukamp?)인데 초기경전에서는 종종 연민이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표현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반면 까루나(karu??)는 연민의 명상 수행과 연관된 맥락에서 주로 선택되는 용어입니다. 실제적인 관점에서는 두 용어 모두 연민에 대한 초기불교 개념의 상보적인 측면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가르침을 구하는 자뿐만 아니라 가르침을 베푸는 자 모두 그 가르침을 연민의 한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붓다가 제자들에게 베푼 가르침은 종종 정감 어린 말씀, 즉 스승이 연민 어린 마음에서 제자들에게 해야만 하는 것을 하였노라는 식으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붓다가 일단 연민에 가득 찬 스승으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면, 그 다음 순서로 제자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으로 옮겼습니다.  접기
P. 74 자애의 함양이 얼굴에 미치는 신체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이 경전에서는 자애의 함양이 마음의 아름다움을 계발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아름다움이 어떤 신체적 형태를 통해서 눈부시게 빛날 수 있다고 하여도, 이런 신체의 아름다움은 현대의 표준적인 기준을 만족시키는 데는 부족합니다. 자애라는 마음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행동과 언어에 스며들어서, 자비에 튼튼하게 뿌리를 두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게 됩니다. 위의 경전 구절들은 자애를 함양하는 것이 연민을 함양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자애의 정신적 태도는 어떤 상황에서도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식사 후의 설거지와 같은 일상적 활동부터, 잔인한 노상강도의 손아귀에 놓인 무력하고 최악의 위협적인 상황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황에 적용됩니다. 자애를 이렇게 지속적으로 함양하게 되면 자애는 진정한 아름다움으로 나아가는 길, 연민의 아름다움에서 선두 주자가 됩니다.
연민은 자애라는 잘 확립된 토대에 기반하여 가장 잘 계발되고, 여기에 더하여 나머지 두 무량심, 즉 더불어 기뻐함(sympathetic joy, 喜心)과 평정심(equanimity, 捨心)이 연민을 보완해 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두 무량심은 어떤 면에서는 연민을 기르는 것을 마무리해 줍니다.  접기
P. 147 조건의 껍질 위에 껍질은 겉으로는 잘 이루어진 결정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차례로 벗겨 냈을 때 그 속에는 단단한 그 무엇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의도와 결정의 과정 뒤에 진정한 사람이나 자아는 없습니다. 그것은 단지 과거에서부터 축적되어 온 조건의 껍질 위에 껍질이 있을 뿐입니다.
정신적 경험의 기반을 형성하는 것인 의식은 어쨌든 자아 개념의 미세한 기반으로 쉽게 간주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마치 마술의 환영과 같은 것으로 드러나게 됩니다. 그러나 마술의 환영으로 형성된 것은 그것이 무엇이든지 아무런 실제적인 기반이 없는 것입니다. 지각이 신기루에 비견되고 그리하여 최소한 멀리 있는 사물 이미지의 이동에 기반을 두는 실제적인 빛의 현상인 반면, 의식은 철저히 망상적인 것이라서 마치 환각과 같은 것으로 어떤 실제적인 것도 총체적으로 비어 있습니다. 나는 의식의 공한 성질에 대해서 5장에서 더 자세하게 논할 것입니다.
종합해서 말하면 ‘나’와 ‘나의 것’으로 대개 생각하는 핵심적인 측면으로서 다섯 무더기[五蘊]는 철저하게 공한 것입니다. 몇 개의 포말, 몇 개의 물거품, 신기루, 파초의 껍질, 마술, 바로 이것들뿐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강력한 이미지들은 공한 것을 명상하는 보조물로서 아주 도움이 됩니다. 그것에 집착하고 동일화하는 자신의 경험을 다섯 무더기로 인식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서 이런 비유에서 사용된 이미지의 도움으로 철저하게 공한 것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아날라요 스님은 연민과 공이라는 근원적인 주제에 대해서 빨리 경전, 아함경, 그리고 산스끄리뜨 경전과 티베트 경전을 섬세한 텍스트 분석으로 연결하고 있다.” - 텐진 빠모 
“아날라요 스님은 초기불교의 가르침에서 연민과 공의 마음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보여 주면서 우리를 그 길로 초대한다.” - 잭 콘필드 (작가, 심리학자) 
“이 책은 스님의 이전 저서 사띠빠타나(satipatthana)처럼 빨리 경전을 아함경, 산스끄리뜨 경전, 티베트 경전과 비교하면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열어 가고 있다. 그 결과 초기불교가 의미한 수행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광범한 탐구로 나아간다.” - 리타 M. 그로스 
“수행을 진지하게 하는 사람들에게 아날라요 스님이 이루어 놓은 업적은 엄청난 도움이 될 것이다.” - 샤론 샐즈버그 (명상 지도자, 『하루 20분 나를 멈추는 시간』 저자) 
“불교수행자에게 도움이 되는 공과 자비의 가르침이 초기불교에 풍부하게 있다는 것을 그 어떤 책보다도 잘 보여 주고 있다.” - 툽텐 최된 
“이 책은 경전을 엄밀하게 고증한 결과물로서 학계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자들에게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불교의 사상과 수행에 대해 알고자 하고, 그것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 책은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한다.” - 까르마빠 오갠 틴래 도제 
저자 및 역자소개
아날라요 비구 (Bhikkhu Anālayo)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62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1995년 스리랑카에서 구족계를 받고 2000년 스리랑카에 있는 페라데니야 대학에서 「마음챙김의확립 경」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주된 연구 분야는 초기불교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한역 아함경과 관련된 주제, 명상, 불교 여성에 대한 주제의 저술이 많다.
현존하는 불교학자 중 가장 왕성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아날라요 비구는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에 있는 바레 불교연구센터에 거주하며 수행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국내에 출간된 책으로는 『마음챙김 확립 수행(Satipatthana Meditation:A Practice Guide)』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명상가 붓다의 삶>,<마음챙김 확립 수행>,<자비와 공> … 총 16종 (모두보기)
이성동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정신과 전문의로서, 현재 서울 명일동 소재 M의원 원장으로 있다.
옮긴 책으로는 『선과 뇌의 향연』, 『선과 뇌』, 『트라우마 사용설명서』, 『붓다와 아인슈타인』, 『불교와 과학, 진리를 논하다』, 『달라이라마-마음이 뇌에게 묻다』, 『스타벅스로 간 은둔형 외톨이』, 『정신분열병의 인지-행동 치료』, 『정신분열병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정신분석가-카렌호나이의 생애』, 『육체의 문화사』, 『호흡이 주는 선물』, 『공감하는 뇌-거울뉴런과 철학』, 『마인드풀니스』(공역), 『각성, 꿈 그리고 존재』(공역), 『자비와 공』(공역)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정신분열병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별과꽃> … 총 19종 (모두보기)
윤희조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약력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학 전공, 불교상담학 전공 주임교수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
불교상담개발원 이사
한국불교상담학회 부회장

주요 저작
『불교의 언어관』(씨아이알, 2012, 저서)
『불교상담학개론』(학지사, 2017, 역서)
『불교심리학사전』(씨아이알, 2017, 역서)
『붓다와 프로이트』(운주사, 2017, 공역)
『심리치료와 행복추구?상담과 철학의 만남』(씨아이알, 2017, 공역)
『자비와 공』(민족사, 2018, 공역)
『만다라 미술치료』(학지사, 2019, 공역) 접기
최근작 : <느낌, 축복인가 수렁인가>,<불교심리학 연구>,<자비, 깨달음의 씨앗인가 열매인가> … 총 17종 (모두보기)
역자후기
이 책의 번역은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한 명은 정신과 의사로서 불교와 뇌과학에 관련된 책을 여러 권 번역하였고, 한 명은 불교학자로서 불교심리학과 불교상담에 대한 논문과 책을 많이 발표하였습니다. 둘은 불교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교류하면서 아날라요(An?layo) 스님의 책을 공동 번역하는 뜻깊은 일에 함께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공동 번역을 통해 이 책이 갖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였습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훌륭한 책을 여러 권 저술하신 분으로서 교학과 수행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스님의 불교에 관한 저술 경력을 보면 놀라울 따름입니다. 불교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보면 스님의 부지런함, 성실함 그리고 공부에 대한 열정은 우리 스스로를 경책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킵니다. 스님은 남방불교를 공부하시는데, 빨리어 경전뿐만 아니라 한문, 산스끄리뜨어, 티베트어 경전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초기불교를 연구하면서 빨리어 경전과 한문 경전을 함께 다루는 전통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빨리어 경전이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스님의 방법론은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또한 남방 전통과 북방 전통을 함께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본서는 우리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연구방향을 보여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날라요 스님의 박사학위논문이 국내에 번역되어 있는데, 그 책은 빨리어 경전을 텍스트로 하고 있습니다. 스님의 박사학위 논문 이후의 연구 방법론은 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서가 다루고 있는 주제 또한 공역자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서구 심리학은 카밧진이 ‘마음챙김(sati, 알아차림)’을 도입한 이래 30년 동안 마음챙김에 기반한 수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현재는 그 관심분야가 ‘자비’로 옮겨가고 있는 중입니다. 마음챙김을 하고 난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을 붓다의 자비에서 찾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자비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제 막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공역자 중 윤희조는 자비와 관련된 논문을 2년 전에 쓴 적이 있지만, 서구에서 자비는 새롭게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자기 존중감 즉, 자존감이 기존의 패러다임이라면, ‘자기 자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자비라는 주제는 초기불교에서부터 다뤄지긴 하지만 대승불교에서 더욱 발전하게 됩니다. 공(空)도 마찬가지입니다. 공은 초기불교에서 처음 등장하는 주제이지만 대승불교의 핵심 개념입니다.
자비(연민)와 공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므로, 둘을 함께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과 자비의 상태는 아마도 같은 상태일 것입니다. 아날라요 스님께서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이 두 가지 주제는 초기불교에서 출발하여, 대승불교에서 더욱 활발하게 논의되는 개념으로서 오늘날의 사회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줍니다.
본서는 저자와 주제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신뢰와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서구 심리학의 맥락에서 자기 자비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는 자비의 불교적 맥락을 제대로 보여 주는 책이 될 것이고, 불교의 맥락에서는 스님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마음챙김에 관한 서구 심리학의 연구를 보면서 불교에 기반한 개념화 작업이 빠진 채, 심리학자들의 개념화 작업에 기대어 마음챙김을 연구하는 현실이 항상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본서를 통해서 자비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가 불교에 기반한 개념에서 출발하기를 새삼 기대해 봅니다. 여러모로 항상 바쁜 가운데서도 책이 나오기까지 애써 주신 민족사 윤창화 사장님, 그리고 사기순 주간님, 최윤영 편집자님께 깊은 감사와 존중의 뜻을 전합니다.
아날라요 비구(지은이)의 말
이 책에서 나는 연민과 공의 명상 수행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고자 합니다. 탐구 방법은 초기 설법 가운데 이런 주제와 연관된 구절들을 조사하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염처경 연구(Perspective on Satipa??h?na)』라는 제목의 이전 책과 유사하게, 이번에는 주로 빨리어 경전에 버금가는 한문으로 현존하는 경전을 통해서, 또한 때로는 산스끄리뜨어와 티베트어 경전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수행의 문제에 대해 접근하고자 합니다. 나의 연구 결과는 학문적인 방법론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이 책은 수행자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명상 수행과 연관된 것들이 이 탐구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1장에서 연민의 성격에 대해서 탐구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2장에서 표준적인 사무량심(brahmavih?ra)의 틀 안에서 연민이 어떤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살펴볼 것입니다. 3장에서는 연민을 성숙시킴으로써 기대되는 결과에 대해서 공부할 것입니다. 그 다음 세 장은 공(空)을 탐구하는 데 주력할 것입니다. 이것은 주로 「공에 대한 작은 경(C??asu??ata-sutta)」과 이에 대응하는 경전에서 언급한, 명상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공으로 나아가는 것에 기반을 둔 것입니다. 7장에서는 명상 수행을 하면서 연민에서 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할 것입니다. 8장에서는 「업에서 생긴 몸 경(Karajak?ya-sutta)」, 「공에 대한 작은 경」, 「공에 대한 큰 경(Mah?su??ata-sutta)」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번역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세 경전은 나의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합니다.
실제 수행에서 살아 있는 느낌을 생생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경전 구절들이 명상의 빛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였습니다. 몇몇 경우에는 학문적 연구 또는 명상의 스승들을 인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스승들의 가르침을 인용한 이유는 내가 논의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거나 내가 말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단지 나 자신이 수행을 하면서 인용한 스승들의 가르침이 도움이 되었고, 이런 스승들 문하에서 직접 수행을 하지 않았다면 그들의 가르침이 갖는 맥락과 함의를 완전히 검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한 것입니다. 앞으로 내가 제시하게 될 수행양식은 수행의 여러 접근 방식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초기경전을 이해하거나 언급하는 데 알맞은 유일한 방식이라고 암묵적으로 주장하는 것도 아닙니다. 나는 독자들이 자신만의 접근 방식을 찾도록 격려하는 여러 가능한 통로 중의 하나를 제시하고자 할 뿐입니다.
한역 및 다른 언어의 경전을 번역하면서 나는 빨리어 경전과 비교하여 어느 경전이 상대적으로 더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독자들이 다양하게 번역된 경전들을 보면서 이 경전들이 놓인 상황에 대한 직감적인 인상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역 아함경에 간직된 풍부함은 대체적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한역 아함경에 대한 번역본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나의 논의와 관련이 있는 한역 아함경의 일부 경전을 선택하여 번역을 시도하였습니다. 이 모든 번역은 내가 한 것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특정 구절에 대한 나의 이해가 기존의 번역과는 다르기도 합니다. 빨리어 경전에 대한 표준적인 영어 번역은 각주에 넣어 두었습니다. 이렇게 하는 목적은 개별적인 경전을 선택적으로 보는 것을 넘어서서 각 경전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제공하여, 다양한 언어의 경전들을 비교 검토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역사적인 붓다가 말한 것을 절대적인 확신을 갖고서 재구성하는 것은 학문적인 관점에서 보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확보하고 있는 원천 자료들의 한계 내에서 초기경전들을 다양하게 비교?검토하게 되면 붓다 가르침의 원음을 비교적 가깝게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것은 연민과 공에 대한 불교 초기 단계로 들어갈 수 있는 창이 됩니다. 불교의 이런 초기 단계가 다양한 불교 학파와 전통들의 공통적인 출발점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나의 연구가 모든 불교 전통의 계승자들에게 흥미로우리라는 희망을 가져봅니다. 이런 공통 기반을 제시하기 위해서, 나는 여러 학파의 경전에 간직된 자료들을 주요 기반으로 탐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드물게 이런 연구방식에서 이탈할 때도 있지만, 이때에는 인용된 경전 구절이 하나의 불교 전통에만 간직된 것이라고 언급하여 독자들에게 환기해 두었습니다.
발췌한 경전 구절들을 번역하면서, 나는 성별을 반영한 용어들은 피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나의 연구는 남성 수행자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경전에서는 종종 비구들을 대상으로 설법이 진행됩니다. 나는 이 책의 끝에 주요 세 경전을 전부 번역하면서 경전 원래의 형식을 고수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나의 영어 번역 능력의 범위 내에서 원전에 충실한 번역을 독자들이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본문에 나오는 번역 발췌문에서는 ‘남성 승려를 뜻하는 비구(monk)’라는 용어 대신 ‘사람(one)’이라는 단어로 대체하였습니다. 왜냐하면 명상에 대한 가르침은 어떤 독자들에게도, 예를 들면 승려이든 재가자이든, 남성이든 여성이든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과 다른 곳에서 한역 경전을 영어로 번역하면서 상호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빨리어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한역의 원 자료에서 사용된 언어에 더 비중을 두겠다는 의도는 아닙니다. ‘다르마(Dharma)’나 ‘니르바나(Nirvana)’와 같은 용어들은 예외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용어들은 이미 서구 출판물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판사 소개
민족사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림 신청
최근작 : <선시 삼백수>,<나옹선사 어록>,<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등 총 257종
대표분야 : 불교 4위 (브랜드 지수 142,237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자비와 공空―아날라요 스님의 초기불교 명상 수업』(이하 『자비와 공空』)이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책의 두 가지 주제는 자비(연민)와 공이다. 이 둘은 불교를 대표하는 핵심 개념이다. 특히 대승불교권인 한국불교는 자비 정신을 구현한 보살사상을 그 본질로 한다. 또 공은 연기(緣起), 무아(無我)와 더불어 불교를 대표하는 사상이다. 자비는 공이라는 불교적 지혜와 결합되지 않으면 잘못 이해될 수 있고, 공은 자비와 결합하지 않으면 완전해질 수 없다. 자비와 공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저자 아날라요 스님은 붓다의 초기 설법 가운데 자비와 공이라는 주제와 연관된 구절들을 빨리 경전, 한역 아함경, 산스끄리뜨 경전과 티베트 경전에서 발췌해 섬세하게 비교 검토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은 한국에 명상과 심리학 분야 책들을 꾸준히 번역 소개해 오고 있는 정신과 전문의 이성동 선생과 불교학자로서 불교심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윤희조 선생이 공동 번역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서구 심리학계에서는 마음의 공허와 상처를 치유하는 ‘마인드풀니스(마음챙김)’나 ‘마인드컨트롤’에 대한 관심도가 ‘자비’로 옮겨가고 있다. ‘마음챙김을 하고 난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을 붓다의 ‘자비’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기존의 패러다임이 ‘자존감 회복’이었다면, 이제 ‘자기 자비(self-compassion)’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자기혐오와 분노, 슬픔과 우울감에 지배당한 사람들에게 없는 게 바로 자기 자비다. 그들에게 자존감 회복을 처방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을 깎아내리거나 이용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고, 그게 실패했을 때 더 깊은 우울로 빠져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 자기 자비로써 실패조차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존중하고 성찰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까지 다독일 수 있다. ‘분노의 사회’인 오늘날에 자비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다.

이 책 『자비와 공(空)』 은 서구 심리학을 기반으로 자기 자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에게는 자비의 불교적 맥락을 제대로 보여 줄 것이고, 불교 수행자들이나 불교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빨리어, 한역, 산스끄리뜨어, 티베트어 경전을 동시에 다루고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전통을 아우르는 아날라요 스님만의 연구 방법론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스님의 경전 번역 및 연구 방법론은 『마인드풀니스』를 쓴 조셉 골드스타인을 비롯한 서구의 대표적인 명상가들, 그리고 불교를 공부하는 전 세계 수많은 이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또 스님의 글은 논리적?과학적으로 존재의 실상을 간파해 들어가면서도 가슴 깊은 울림을 준다. 교학과 수행을 겸비한 아날라요 스님이 직접 수행하면서 터득한 깨우침과 노하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1장에서는 연민의 성격에 대해 탐구한다. 2장에서는 표준적인 사무량심의 틀 안에서 연민이 어떤 맥락에 놓여 있는지를 살핀다. 3장에서는 연민을 성숙시킴으로써 기대되는 결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 다음 세 장은 공(空)을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 특히 명상을 통해 공으로 점차 나아가는 것에 대해 다룬다. 7장에서는 명상 수행을 하면서 연민에서 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8장에서는 「업에서 생긴 몸 경(Karajak?ya-sutta)」, 「공에 대한 작은 경(C??asu??ata-sutta)」, 「공에 대한 큰 경(Mah?su??ata-sutta)」에 대응하는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의 번역문을 실었다.


자비(연민)는 어떻게 깨달음의 발판이 될 수 있는가?

자비는 엄밀히 말하면 ‘자(慈)’와 ‘비(悲)’로 나눠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자(慈)’의 원어는 빨리어 ‘metta’로서, 친밀하다는 느낌과 우정의 태도를 뜻한다. ‘비(悲)’의 원어는 ‘karu?a’인데, ‘연민’을 뜻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자비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특히 ‘연민’으로 번역한 비(悲, karu?a)의 기능에 주목한다. 그리고 붓다의 초기 설법에서 연민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사무량심(四無量心)의 맥락 안에서 그것을 파악하면서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의 첫발을 뗀다.

붓다는 연민으로 사성제를 가르쳤습니다. 초기설법에서 붓다가 연민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은 주로 다르마(Dharma)의 가르침을 통해서입니다. (…) 가르침을 구하는 자뿐만 아니라 가르침을 베푸는 자 모두 그 가르침을 연민의 한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붓다가 제자들에게 베푼 가르침은 종종 정감 어린 말씀, 즉 스승이 연민 어린 마음에서 제자들에게 해야만 하는 것을 하였노라는 식으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붓다가 일단 연민에 가득 찬 스승으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면, 그 다음 순서로 제자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으로 옮겼습니다. (pp.32-33)

붓다를 의왕(醫王)이라고도 한다. 괴로움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치료하는 최고의 의사라는 뜻이다. 이런 행동의 바탕에 연민이 있었다. 초기불교 사상에서 연민의 활동은 다른 사람들을 번뇌에서 벗어나 자유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이런 활동은 붓다가 자신이 깨우친 진리인 사성제를 다른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가르쳤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붓다는 연민에 가득한 마음으로 제자들을 가르치고, 그들이 그 가르침을 실천에 옮기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연민은 윤리적 행위와 명상적 삶의 방식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그런데 이런 붓다의 연민을 자만심과 자기 우월감을 바탕으로 한 동정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또 연민을 슬픔의 정서로 이해해서도 안 된다. 연민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슬픔을 피해야 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연민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슬픔에 젖어들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명상으로 연민을 함양하는 것은 마음이 슬픔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괴로움과 고통에 빠진 사람들에 대해서 정신적으로 동정을 표하는 대신, 연민의 마음으로 우두커니 서서 다른 사람들이 괴로움과 고통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소망과 열망을 가지게 됩니다. 그런 소망은 슬픔과 탄식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고 또한 자유로워져야만 합니다. (pp.51~52)

연민은 다른 사람들이 고통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이런 소망은 슬픔 대신 긍정적인 마음, 때로는 희열에 가득 찬 마음을 이루게 된다. 이는 붓다의 가르침의 핵심이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다른 사람의 아픔과 괴로움에 진정으로 반응하는 마음의 문을 여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사람이 고통과 괴로움에서 자유롭게 되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가득 찬 긍정적인 마음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아날라요 스님은 연민이 빠질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피하는 한 가지 방법이 연민[悲, karu??]을 사무량심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애라는 마음의 아름다움은 우리의 행동과 언어에 스며들어서, 자비에 튼튼하게 뿌리를 두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게 됩니다. (…) 연민은 자애라는 잘 확립된 토대에 기반하여 가장 잘 계발되고, 여기에 더하여 나머지 두 무량심, 즉 더불어 기뻐함(sympathetic joy, 喜心)과 평정심(equanimity, 捨心)이 연민을 보완해 준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두 무량심은 어떤 면에서는 연민을 기르는 것을 마무리해 줍니다. (p.74)

붓다조차도 평정심이 때로는 적절한 태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런 예는 평정심이 무량심 중의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연민에 가득 찬 활동을 하였음에도 사려 깊지 못하거나 때로는 차가운 반응에 직면할 때, 그때는 평정심으로 옮겨가야 할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황을 지배하고 더 나은 것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시도를 포기해야 합니다. 그 대신 당사자들이 자신의 행동과 태도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여 평정심은 연민을 완성합니다. 왜냐하면 평정심으로 인해 연민에 가득 찬 행동이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었기 때문입니다. 연민에 가득 찬 행동은 필요한 경우 평정심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연민은 결과를 바라면서도 성공적인 결과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상황이 요구하는 바대로 연민은 평정심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p.85)

연민은 자(慈: 자애)?비(悲: 연민)?희(喜: 더불어 기뻐함)?사(捨: 평점심)라는 사무량심(四無量心, 네 가지 고귀한 마음)과 결합될 때 완전해진다. 연민이 기반하고 있는 자애[慈]는 특정 대상에 대한 사랑을 가리키는 애착과는 구분된다. 자애의 마음은 특정 대상에 한정되지 않고 무한하게 퍼져나간다. 이런 자애는 분노에 대한 해독제이다. 또 연민은 더불어 기뻐함[喜]과 평점심[捨]으로 보완되어야 하는데, 더불어 기뻐함은 다르마를 가르치는 연민에 가득 찬 활동과 연관되어 있다. 평정심은 연민의 대상인 중생은 혐오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더불어 기뻐함의 대상인 중생은 열정에서 자유로워지기를, 자애의 대상이 되는 중생은 무지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우리의 말과 행동, 생각하는 방식이 윤리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아날라요 스님은 연민이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에서 물러서 있는 것에서 드러난다고 말한다. 그리고 몸?말?정신적 행위에 친절함을 결합함으로써 본격적인 수행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게 된다고 한다. 이런 수행 방식은 선방에 앉아서 하는 좌식 수행의 틀을 떠나서 명상 수행이 어떻게 실제 생활에서 드러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명상으로 연민을 계발한 사람은 마음의 잔인함에 완전히 압도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일단 이것이 확립되면 불선(不善)한 행동이 일어날 여지도 거의 없다. 수면의 질이 좋아지는 등 일상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연민은 자기를 정화하고 내적 균형을 잡도록 도와주면서 다른 사람들을 더 잘 보살필 수 있도록 해 준다. 초기불교에서 안거 수행을 강조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안거 수행은 연민의 활동으로 전환된다. 자기 자신의 유익함과 다른 사람의 유익함을 위한 깨달음, 그것을 추구하는 열망이 가지고 있는 변화의 힘을 통해 이런 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민은 궁극적 해탈로 나아갈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자비와 공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

아날라요 스님은 까시나 수행이나 호흡 수행도 수행자를 집중으로 이끌어주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말한다. 반면 연민(자비) 수행은 집중은 물론 수행자의 태도와 정신적 상태까지 변화시킨다.

『디가 니까야』와 이에 대응하는 『장아함경』에서는 사선정을 수행자의 ‘행복’으로, 그리고 사무량심을 수행자의 ‘부(富)’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 두 경전의 미묘한 차이는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즉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행복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또한 부에 비견할 만한 정신적 상태에 도달하는 결과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런 차이에 내재된 핵심은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다른 정신적 평정보다 뚜렷한 이점을 갖는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 까시나(kasi?a)와 같은 대상 또는 호흡을 대상으로 명상하는 것은 물론 집중으로 이끄는 뛰어난 잠재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집중을 획득하는 것과는 별개로 그것이 까시나이든 호흡이든 명상의 대상으로 선택된 특별한 대상은 그 자체로는 해탈의 길로 나아가는 것을 지지해 주는 어떤 실질적인 유익함도 주지 못합니다. 반면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은 다릅니다. 깊은 집중으로 이끄는 능력에 더하여, 하나의 무량심이 명상의 대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이 그 사람의 태도와 정신적 상태에 변화를 야기하게 됩니다. (pp.121~122)

사무량심, 그중에서도 특히 연민은 다른 이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이전에 매력적으로 보이던 갈망과 감각적 욕망, 그리고 혐오로 반응하던 경향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집중이 아직 선정의 단계에까지 충분히 성숙되지 않았을 때 마음의 일시적 해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연민 수행에서 공 수행으로 나아가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스님이 서술하는 수행 방식은 사무량심의 함양이라는 맥락 안에 연민을 설정하고, 이후 계속해서 공을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아날라요 스님은 상좌부 불교에서 수행론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는 『빠띠삼비다막가(Pa?isambhid?magga, 無碍解道)』에서 볼 수 있는 네 가지 무량심과 관련된 수행법에 대해 서술하면서 그리고 무량심의 명상 수행에 대한 주요한 단계들을 자세히 살핀다. 이를 통해 자신이 바라는 통찰을 얻기 위해서는 사무량심의 확산 수행과 깨달음의 요소를 함양하는 수행이 결합되어야만 한다고 말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명상 수행에서 사무량심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깨달음의 요소를 함양하게 되고 깨달음에 진전이 있는 결과에 이르는 지 그 핵심을 간단히 요약해 준다.
깨달음의 진전에 필요한 정신적인 자질을 가리키는 칠각지[七覺支]에는 마음챙김 · 법에 대한 탐구 · 에너지 또는 정진 · 기쁨 · 평온함 · 집중 또는 선정 · 평정심이 있다. 마음이 느슨해질 때와 조급해질 때를 고려하여 칠각지를 적절하게 가져와야 한다. 일단 깨달음의 요소들을 함양하고 그것들이 조화를 이루게 되면 실제 수행은 끊음 · 사라짐 · 소멸 · 놓아버림이라는 네 가지 통찰과 관련된 주제들이 결합하여야만 깨달음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런 수행의 과정에서 연민을 포함한 사무량심을 함양하는 것은 자신의 수행을 증진시키고 깨달음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높인다. 아날라요 스님은 그 외에도 사무량심 수행이 주는 많은 장점들을 언급한다.
아날라요 스님은 공을 성공적으로 함양하면 감각적인 것에 대한 모든 흥미 그리고 동일화와 자만의 모든 형태들을 버리게 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은 없고, 자아에 속한 것도 없다는 것에 대한 명상으로 귀착된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와 관련된 『중아함경』의 해당 경전 구절들을 8장에 직접 번역하여 실어 놓았다.
아날라요 스님은 이 책에서 공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과정, 즉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의 전체 궤적을 단계별로 자세히 그려 보여 수행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의 독자들이 각자의 요구와 성향에 따라서 아날라요 스님이 제시한 수행 방법을 자유롭게 이용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각자의 삶이 자비(연민)의 발판 위에서 모든 욕망과 번뇌를 소멸하는 깨달음으로 가는 여정에 동참하게 되길 희망해 본다.


17대 까르마빠 성하의 서문

아날라요 스님의 저서에 서문을 쓸 기회를 갖게 되어 기쁩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사람들이 초기불교 명상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차원에 걸쳐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이 책은 경전을 엄밀하게 고증한 결과물로서 학계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자들에게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불교의 사상과 수행에 대해 알고자 하고, 그것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 책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는 이런 가교 역할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믿습니다. 경전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그것을 실제 삶의 현장에 적용하는 수행을 통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해집니다. 아날라요 스님은 불교 수행에 정진하는 승려이자 역사적·비평적 연구 방법을 탐구하는 교수로서 이 두 영역 사이에 다리를 놓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스님의 이런 관점은 경전에 대한 개별적 이해를 심화시킵니다. 다음으로, 나는 하나의 불교 전통에서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다른 불교 전통에서 보존된 경전을 잘 숙고하라는 권고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종종 언어의 장벽을 받아들여 다른 언어로 현존하는 경전을 간과하곤 합니다. 이 책은 빨리어, 산스끄리뜨어, 한문, 티베트어로 쓰인 경전 사이에 다리를 놓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연민을 함양하고, 공을 이해하는 데 얼마나 폭넓게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는가를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경전의 서로 다른 맥락에서 오는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숙고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연민과 공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하나의 작업틀 안에서 묶어 내고, 그 둘의 상호보완적 가치를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대승불교에서 말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명상 체험과 철학적 이해라는 두 날개가 잘 조화를 이루어 진정으로 비상할 수 있도록 아날라요 스님은 우리에게 확신을 줍니다.

17대 까르마빠 오겐 틴레 도르제(Ogyen Trinley Dorje)
인도 보드가야
2014년 11월 18일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