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0

양주의 사상 - Google Search

양주의 사상 - Google Search



양주 사상의 핵심은 극심한 사회적 위기의식 속에서 상호간의 불간섭주의와 개개인의 생명의 존엄과 온전함을 추구한 그의 경물중생輕物重生(삶을 중시)에 있습니다. 중생重生은 양주의 사상입니다.Apr 18, 2013


맹자孟子가 그토록 비난한 양주楊朱는 누굽니까?
blog.aladin.co.kr › popup › printpopup › print_paper


작성자 : kwangwoo    작성일 : 2013년 04월 18일


맹자孟子가 그토록 비난한 양주楊朱는 누굽니까?


전국시대 사상가 맹자孟子(기원전 371~289)는 자신을 논쟁을 좋아하는 호변가好辯家라고 여기는 세간의 평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제자 공도자公都子에게 “내가 어찌 논변을 좋아하겠느냐, 어쩔 수 없이 그런 것”이라고 두 번이나 변명했습니다. 맹자는 자신이 논변을 하는 이유로 두 사람을 꼽으면서 말했습니다.

양주楊朱와 묵자墨子(기원전 480?~390?, 이름은 적翟. 그의 행적은 분명하지 않습니다)의 이론이 전국시대에 가득 차 여론이 양주의 이론을 찬성하거나 묵자를 찬성하는 쪽으로 돌아갔다. 양주는 위아爲我(이기주의)를 말하는데 이는 임금을 무시하는 것이고, 묵자는 겸애兼愛를 내세우는데 이는 자신의 아비를 무시하는 것이다. 자기 아비를 무시하고 임금을 무시하는 것은 금수禽獸나 하는 짓이다.

맹자는 양주楊朱(기원전 395-335)에 대해 “자신의 털 한 가닥을 뽑으면 온 천하가 이롭게 된다 해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서 극단적 이기주의자로 몰아붙였습니다. 맹자에 따르면 양주는 남을 위해 죽을 일이 전혀 없으며, 특히 나라나 임금을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할 줄 몰라 무군無君의 무리라는 것입니다.
맹자가 그토록 비난한 양주의 생존 연대는 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겸애설로 유명한 묵자와 맹자가 활동하던 시기에 생존한 인물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양주의 사상은 <맹자>, <장자>, <한비자> 등에 의하면, 이미 독립 학파를 이루고 묵가와 대립하여 활발한 논쟁을 벌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당대의 중요한 사상의 발전을 평가하여 기술한 <장자>의 ‘천하天下’편과 <순자>의 ‘비십이자非十二子’편에는 양주 사상에 대한 언급이 없어 양주의 사상이 다른 사상으로 극복 혹은 통합되면서 자체의 학술적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짐작하게 해줍니다.
양주 사상의 핵심은 극심한 사회적 위기의식 속에서 상호간의 불간섭주의와 개개인의 생명의 존엄과 온전함을 추구한 그의 경물중생輕物重生(삶을 중시)에 있습니다. 중생重生은 양주의 사상입니다. 맹자는 양주를 위아爲我, 즉 철저한 이기주의로 소개하고 있지만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저술한 책 <회남자淮南子>를 보면 그 사상의 핵심은 전생보진全生保眞입니다. “본성을 온전히 하고 천진함을 보전하며, 바깥의 사물 때문에 몸을 얽어매지 않으려는 것은 양자(양주)가 세워놓은 것이다.” <회남자>는 양주의 이론이 “겸애하고 능력 있는 자를 높이고 귀신을 존중하며 운명을 거부한” 묵자를 비판하면서 나온 것이라 했고, 양주의 이론을 다시 맹자가 비판한다고 했습니다. 양주는 묵자가 지나치게 개인보다 공동체를 앞세우고 있다는 판단 아래 이런 이론을 세웠고, 맹자는 양주가 지나치게 개인을 중시한다고 보아 양주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므로 맹자의 입장에서는 양주 사상을 위아주의라고 평가할 수 있지만 그것이 정확한 것이 아닙니다. <한비자>에 따르면 “바깥의 사물을 가볍게 여기고 삶을 중시한輕物重生”는 것이 양주학파에 대한 당시의 일반적 평가였습니다.
양주의 사상과 노자의 사상은 유사한 점이 있지만 다릅니다. 이름이나 재물보다 목숨을 더 중시하는 중생 사상은 같지만 양주는 본성에 따름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하려는 데 비해 노자는 자족하여 생명을 오래 보존하기를 원했습니다. <여씨춘추呂氏春秋> ‘맹춘기·본생’편에는 입이 달다고 하면 삼키고 쓰다고 하면 뱉는 것, 눈으로 보아 즐거우면 보고 괴로우면 보지 않는 것을 “본성에 이로우면 취하고 본성에 해로우면 버리는”, "본성을 온전히 하全性 도“라 했는데, 이런 도가 양주가 주장한 것입니다. 노자에게는 이런 분방함이 없습니다. 노자가 선택하는 것은 본성의 즐거움이 아니라 오래 살아남는 것이었습니다.
<여씨춘추呂氏春秋> ‘정욕情欲’편에 있는 글은 양주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지름길이 됩니다.

하늘이 인간을 만들어내니 탐욕이 있고 욕구가 있게 되었다. 욕구에는 진정情이 있다. 진정에는 절도가 있다. 성인은 절도를 닦아서 욕구를 억제하여 진정만을 나타낸다. 진실로 귀가 모든 아름다운 소리五聲를 욕구하고, 눈이 모든 아름다움五色을 욕구하고, 입이 모든 좋은 맛을 욕구하는 것은 진정情이다. 이 세 가지는 귀인, 천인, 우민, 지식인, 현인, 저능인을 막론하고 하나같이 욕구하는 것이다. 비록 신농神農, 황제黃帝라도 걸桀, 주紂와 똑같다. 성인이 다른 까닭은 그가 진정情을 얻은 점에 있다. 생명生命을 귀하게 보고서 행동하면 진정을 얻게 되고, 생명을 귀하게 보지 않고서 행동하면 진정을 잃게 된다. 이 두 사실이 사느냐 죽느냐. 있느냐 없어지느냐 하는 근본이 된다.



양주 (사상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 wiki › 양주_(사...


양주(楊朱)는 중국 전국 시대 초기의 사상가이다. 자(字)는 자거(子居). 위(衛) 사람이다. 개인주의 사상인 위아설(자애설)을 설하였다. 양주(楊朱)의 전기는 모호하다. 묵적(墨翟)과 아울러 그 사람의 설이 천하에 가득 차 있었다고 하는 것이 《맹자(孟子)》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 그 학설이 유행했던 듯하다. 펑유란(馮友蘭)은 도가 사상 묵자(墨子) 이후에 출현하였다고 생각하여 양주(楊朱)를 그 시초를 삼으나 아직 불확실하다. 양주의 학설은 《맹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 《회남자》에 보인다. 양주(楊朱)는 하나의 생명이야말로 가장 귀중하다고 생각하여 생활의 일체는 이 하나의 생명을 기르고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생명의 주체는 '나(我)'다. 그 '나'를 소중하게 하는 바로 그것이 최요하다고 주장한다. 노자(老子)는 무아를 말하여 무아속에 개인의 존속을 도모하려고 하였으나 양주는 무엇이든 나를 위해서만 해야 한다는 위아(爲我)설을 노골로 설하였다. 그것은 극단인 개인주의이기도 하였으므로 묵자(墨子)가 말하는 '겸애'의 생각과 상이해 대비된다. 양주의 이 주장은 한 마디로 '전성보진(全性保眞)'의 설이라고 평가받는다(《淮南子》氾論訓의 楊朱評). 《여씨춘추》〈不二篇〉에 양주를 평하여 '양생(楊生)은 나[己]를 귀히 한다'고 이르는 것도 양주 사상의 특색을 한 마디로 논한 것이다.





양주(전국시대) - 나무위키
namu.wiki › 양주(전국시대)


楊朱
기원전 440년~ 기원전 360년?

1. 개요2. 사상
2.1. 반(反) 대의주의적 해석2.2. 위아주의적 해석
3. 이후

1. 개요[편집]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 높이는 말로 '양자'(楊子)라고도 불렸다. 김충열 등의 연구기록에 따르면 양주는 노자의 제자였는데, 스승을 못 마땅해하여 뛰쳐나가 자신의 사상을 세웠다고 한다.[1] 회남자여씨춘추한비자 등에 양주의 사상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의 철학은 간단히 요약하면 권력자를 위한 대의·명분에 반대하고 자연으로부터 받은 자신의 신체(또는 개인의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의 연구 체계를 기반으로 문헌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동양철학의 특성 상, 양주의 철학은 생명주의로 해석되기도 하고 개인주의로 해석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노자와 장자를 잇는 도가의 역사적 교량 정도로 간주되는데, 서양에서 동양철학을 연구한 권위자인 앤거스 그레이엄 같은 경우는 양주의 사상을 아예 '양가(楊家, Yangism)'로 따로 분류해 양주 사상의 카테고리 안에 도가를 집어넣기도 한다.

2. 사상[편집]

맹자에 따르면 '내 터럭 하나를 뽑아 천하에 이익이 되더라도 하지 않겠다.'라는 주장을 남겼다고 하는데, 이에 따르면 위아설(爲我說), 즉 이기/개인주의의 선구자였다고 볼 수 있다. 묵자(墨子)의 겸애설(兼愛說)과도 흔히 비교된다. 전국시대 당시에는 꽤 인기가 있었던지, 맹자집주에서도 '양주와 묵적과 같은 이단'이라고 비판하는 대목이 나온다.[2] 맹자는 묵가의 사상을 '무부(無父)'라 칭하며 아비도 없는, 즉 가정 개념도 없는 몹쓸 사상이라 맹비난하였는데, 양주의 사상에 대해서도 '무군(無君)', 군주(왕)도 없는, 즉 나라 개념도 없는 궤변 같은 사상이라며 맹비난하였다. 하지만 사실 이에 대한 이야기를 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루는 양주가 외출을 했다가 집으로 돌아왔는데, 집 앞에 논객 한 명이 양주를 기다리고 있다가 그에게 물었다. "만약 선생께서 저에게 털 한가닥을 뽑아줘 제가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다면, 선생께선 저에게 털 한가닥을 뽑아 주시겠습니까?" 이에 양주는 "어떻게 털 한가닥으로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거절했다. 그러자 논객은 끈질기게 "만약에 털 하나로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럼 털 하나를 뽑아 줄 수 있겠습니까?" 라고 다시 물었다. 그러자 양주는 대답을 하지 않고 그냥 집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잠시 후에 양주의 제자가 양주의 집으로 들어가려다가 그 논객을 만났다. 논객은 방금 전에 있었던 일을 이야기 해주면서 당신의 스승은 나와의 설전에 할 말이 없어서 도망쳤다며 비웃었다. 그러자 제자는 논객에게 이렇게 말했다. "스승께서는 단지 말장난을 하고 싶지 않았을 뿐입니다. 괜찮다면 내가 스승님을 대신해서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만약에 당신의 털 하나를 뽑아 주면 내가 금 백냥을 주겠다고 하면 뽑아 주시겠습니까?" 논객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제자는 계속해서 물었다. "그럼 당신의 팔 하나를 주면 내가 금 천냥을 주겠다고 하면 팔을 내주시겠습니까?" 그러자 논객은 아무말도 못하고 고개를 숙이고 돌아갔다.

2.1. 반(反) 대의주의적 해석[편집]

이중톈은 '이중톈의 백가쟁명'에서 이 이야기를 이렇게 해석하고 있다. 제자와 논객의 문답에서 마지막에 논객이 제자의 말에 대답을 못한 이유는 명확하다. 털 하나와 팔 하나의 거래에 응하고 나면 그 다음에는 제자가 "금 만냥을 줄 테니까 당신의 목을 달라"는 식의 제안을 할 텐데, 그 제안을 받아들일 수도 없고, 거절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논객은 털 하나를 뽑아서 천하를 이롭게 하겠다고 했는데, 어떻게 털 하나를 가지고 천하를 이롭게 할 수가 있겠는가?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식의 논법은 그럴싸한 대의명분을 내세워서, 처음에는 작고 별 것 아닌 것들을 요구한 다음에 똑같은 명분으로 점점 더 큰 것을 요구하는 교활한 수작을 묘사한 것이다.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일이지만 특히 양주가 살던 전국시대에는 이런 식의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났다.

즉, 지배층은 '너희들이 털 하나를 뽑아준다면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다'라고 백성들을 속여서 자신들의 사익을 챙긴다. 그렇기 때문에 양주는 이런 식의 논법에는 처음부터 단호하게 거절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양주가 살았던 전국시대 뿐만 아니라 현대 민주주의 사회를 포함한 어떤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이다. 다만 이런 이론이 '천하를 위해서 털 하나를 뽑으라고 해도 싫다'라는 극도의 이기주의인 것처럼 왜곡되어 잘못 전달되었을 뿐이다.[3] 그러니 사실상 양주의 철학을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반(反)대의주의' 혹은 '반(反)명분주의'라 할 수 있다.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라', '나라를 위해 전쟁터에서 싸우다 죽어라' 라는 식으로 대의명분이란 허울을 통해 백성을 꾀어내는 통치집단에 반대하는 사상인 것이다. 대의라는 것은 거진 다 통치자, 지배계급의 이득을 돌려 말하는거지, 모든 이를 위한 뜻 같은 게 아니기 때문에 피지배집단, 약자집단인 백성이 그에 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백성들이 목숨걸고 싸워 천하통일하면 백성들이 황제되나? 절대 아니다. 그나라 왕이 황제되고 그 아들이 그 다음 황제된다. 몸만 축난 백성은 대대손손 몸만 계속 축나고 개뿔 얻는 것도 없다.

때문에 양주의 주장을 단순히 극단적인 이기주의라고 치부하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당대는 부국강병의 미명하에 개개인에게 국가를 위한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양주는 이런 풍조를 비판하며 인간이 남(국가)을 위해 무조건적으로 희생하거나 남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비인간적인 것이고, 인간이 스스로를 위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나아가 공동체를 위하는 것이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당시의 실례에 비춰 보자면 "천하 대의를 위한 전쟁 그딴 거 너라는 개인을 도외시하고 실상은 지배층들의 잇속을 챙겨줄 뿐이니 그런 건 개나 주고 그 시간에 네 터럭 하나나 더 챙기라"[4]는 말과 같다.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는 분명히 다른 개념이고 양주의 사상이 이기주의라는 것은 그의 사상에 대한 몰이해와 후대 권력층의 사상적 탄압 및 왜곡으로부터 비롯된 경향이 크다. 즉, 양주는 당대의 현실에 대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혹은 공동체주의에 대한 개인 혹은 소수의 희생이 당연시 되는 당대 사회에 대한 해답을 내놓은 것일 뿐이다. 장자 역시 그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2.2. 위아주의적 해석[편집]

그러나 위의 해석은 이중톈의 견해로, 일단 상기해야 할 것이 이중톈은 대중의 인기를 얻은 중문학자지 철학을 전문적으로 파고든 철학자가 아니다. 이중톈의 견해는 나름의 독창성과 사회적 시사성을 갖추고 있어 그 파급력이 크다 할 수 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TV스타의 신선한 영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즉, 고전의 본의를 면밀히 살펴 도출된 치밀한 논리에 기반을 둔 해석이 아닌, 비약적 해석이라는 것. 양주의 사상은 평범한 위아주의에 그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위아주의 이야기는 《열자列子》 〈양주楊朱〉 편에 나오는 일화인데, 쓸데없는 논란을 피하고자 한국 한문학계의 권위자로 여겨지는 김학주 교수의 번역을 그대로 옮기겠다.
양주가 말했다.
"백성자고(伯成子高)[5]는 자기 몸의 한 개의 터럭을 뽑아 남을 이롭게 할 수 있는 일이라 하더라도 하지 않고, 나라를 버리고 숨어 살면서 밭을 갈았다. 우(禹)[6]임금은 자기 한 몸을 이롭게 하는 일은 하지 않아 자신의 몸을 지치고 깡마르게 만들었다. 옛날 사람들은 자기 몸에서 한 개의 터럭을 뽑음으로써 천하가 이롭게 된다 해도 뽑아 주지 않았고, 천하를 다 들어 자기 한 사람에게 바친다 하더라도 받지 않았다. 사람마다 자기 몸에서는 한 개의 터럭도 뽑지 않고, 사람마다 천하를 이롭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면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이다."
금자(禽子)[7]가 양주에게 물었다.
"선생님 몸에서 한 개의 터럭을 뽑음으로써 온 세상을 도울 수가 있다면 선생님은 그런 행동을 하시겠습니까?"
양자(楊子)[8]가 말했다.
"세상은 본시부터 한 개의 터럭으로 도울 수 있는 게 아니지요."
금자가 말했다.
"가령 도울 수 있는 경우라면 하시겠습니까?"
양자는 대답하지 않았다.
금자가 나와서 맹손양(孟孫陽)[9]에게 말하자 맹손양이 말했다.
"선생은 우리 선생님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셨습니다. 제가 그에 대해 말씀드리지요. 선생의 살갗을 손상시킴으로써 만금萬金을 얻을 수가 있다면 선생은 그 일을 하겠습니까?"
"하지요."
맹손양이 말했다.
"선생의 몸 한 마디를 끊음으로써 한 나라를 얻을 수가 있다면 선생은 그 일을 하겠습니까?"
금자는 한동안 말을 못하고 가만히 있었다.
맹손양이 말했다.
"한 개의 터럭은 살갗보다 작은 것이며 살갗은 몸의 한 마디보다도 작은 것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한 개의 터럭이 쌓여서 살갗을 이루고 살갗이 쌓여서 몸의 한 마디를 이루게 됩니다. 한 개의 터럭은 본시가 한 몸의 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어찌 그것을 가벼이 여길 수 있겠습니까?"
금자가 말했다.
"나는 선생에게 대답을 드리지 못하겠소. 그러나 선생의 말에 대해 노자(老子)나 관윤(關尹)[10]에게 가서 물어본다면 그 분들은 선생의 말이 옳다고 할 것입니다. 나의 말에 대해 우禹임금이나 묵자墨子에게 가서 물어본다면 그 분들은 나의 말이 옳다고 하실 것입니다."
맹손양은 그의 말을 듣고는 그의 제자들을 돌아보면서 다른 일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

해당 기사에서 보이듯이, 양주와 그 제자는 이중톈의 해석처럼 반대의주의라는 거창한 것이 아니라 그냥 내 몸이 킹왕짱 소중하니까 남을 위한답시고 쓸데없이 힘쓰지 말고 제 몸이나 챙길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중톈은 무슨 정부의 수탈이니, 명분 정치니 운운하지만, 이미 보이듯이 기사의 논지상 정부에 대한 비판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고, 비판의 대상을 찾는다면 경쟁 사상계인 '묵가'인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핵심 논지와 더불어, 양주가 묵가에서 숭상하는 '노동자 왕' 우 임금을 악례로 든 것, 맹손양의 논적으로서 묵가의 대표자인 금활리가 출연하고 사실상 맹손양에게 패퇴한 것 등 정황을 살펴보면 해당 기사가 묵가에 대한 비판의 역할을 하는 것은 명확하다.

공리를 중시하는 묵가의 금활리는 털 한 올 정도라면 기꺼이 내어줄 만하다 여긴다. 살갗 또한 허용 범위 내일 것이다. 그러나 개인의 보신을 중시하는 양주학파는 이에 반대하여 '당신은 몸 한 마디, 즉 팔다리를 소중히 여겨 내주고 싶어하지 않는데, 이는 그것이 몸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몸의 일부인 살갗이나 털 한 올은 왜 소중히 여기지 않는가?' 식의 논조로 털 한 올이나 살갗, 팔다리나 모두 내 몸의 일부이므로 어느 것도 함부로 할 수 없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금활리는 여기에 할 말을 잃고 만다. 그것이 이 기사의 전부이다: 위아주의 선언 겸 묵가적 공동체주의에 대한 비판.

사족이지만, 이 기사의 연출을 보자면 양주학파의 논리는 사실 치밀하진 않다. '옛날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말로 '오래된 권위'를 가장하여 찍어누르고, 보신의 영역을 치천하의 영역과 결부시킨 뒤에는 뚜렷한 전거도 없이 비약적 결론을 내린다. 또, 애초에 살갗은 털이 쌓여서 되는 것이 아니요, '한 터럭 = 극소한 것, 살갗 = 보다 큰 것, 몸 한 마디 = 더 큰 것' 식의 비유법으로 이해하여 쌓여서 된다 쳐도 (즉, '터럭이 쌓여 한 마디가 된다' = '극소한 것이 쌓여 큰 것이 된다.') 이미 쌓여서 된 것이므로 털 한 올에 견줄 정당한 대상이 아니며, 털 한 올은 뽑아내는 데 큰 고통이 없고 쉬이 재생되지만 팔다리는 그렇지가 않음을 의도적으로 간과하고 있다. 금활리가 묵가로서 문제 삼을 건덕지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럼에도 금활리는 아무 것도 반박하지 못하고 다만 '우리의 견해가 다르군요' 하며 순순히 물러나고 만다.

물론 대소경중에 대한 가치 판단의 문제는 개개인에 달린 것이어서 금활리가 다만 저같이 말할 수밖에 없었다 여길 수도 있지만, 이것은 분명 '사람마다 자기 몸에서는 한 개의 터럭도 뽑지 않고, 사람마다 천하를 이롭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면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이다'라는 선언과 '선생님 몸에서 한 개의 터럭을 뽑음으로써 온 세상을 도울 수가 있다면 선생님은 그런 행동을 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경세학(經世學)의 담론이라서 금활리가 충분히 묵가의 논리로써 반박을 시도할 수도 있는 부분이다. 물론 털 한 올로 어떻게 온 세상을 도울 수 있겠느냐마는, 여기서 '털 한 올'은 당연히 '아주 극소한 것'의 대변인 것이다. 양주학파는 그런 아주 극소한 것이라도 내 몸에 있는 이상 희생되어서는 안 되고, 사람마다 이러한 생각을 견지하여 남에게 참견하지 말고 자기 몸이나 챙기는게 최고라고 주장한다. 묵가의 겸상애, 교상리 원리와 정면으로 대립이 되는 주장이다. 그럼에도 금활리는 순순히 물러나고 마는 것이다.

또한 논지의 전개부터가 이상하기 짝이 없다. '금자'는 "터럭으로 세상을 도울 수 있다면 하겠느냐?"라는 질문을 하였다. 그런데 그 말을 받는 맹손양은 "선생의 몸 한 마디를 끊음으로써 한 나라를 얻을 수가 있다면 선생은 그 일을 하겠습니까?"라 받고 있다. 이를 현실의 예로 비유하면 금자는 "니가 한 시간 일하면 아프리카 아이들 10명의 끼니를 챙겨줄 수 있지. 그럼 할래?" 라는 질문을 한 것이고, 거기에 맹손양은 "니 팔 자르면 1억 준다. 할래?"라고 대꾸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금자와 맹손양의 질문은 동등할 수 없다. 금자의 질문은 내 것을 써서 남을 도울 수 있다는 이타주의 혹은 공리주의의 선상에 있다. 그러나 맹손양의 질문은 내 것을 써서 내가 이득을 얻는다는 이기주의의 선상에 있다. '터럭, 살갗'이라는 신체의 손해만 공통점으로 묶여 있을 뿐 맹손양의 발언은 전형적인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이다. 이기적 유전자[11] 수준의 논지를 들어 이타주의를 비판한다면 몰라도 맹손양의 '한 개의 터럭은...(하략)' 발언에서 이미 그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중톈은 맹손양의 발언을 반 대의주의로 평가했는데, 이건 이중톈이 맹손양의 훈제 청어를 열심히 집어먹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맹손양이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를 범했다 볼 확정성은 없다. 1) 금자의 주장 'X', 2) 맹손양이 'X'를 변질시킨 'Y', 3) 'Y'에 대한 맹손양의 '공격 작업'이 있어야지 맹손양이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를 범했다 할 수 있는데, 'X'는 전후 맥락을 통해 유추하여(우 임금이나 묵자에게... (후략)) '한 터럭을 써 온 세상을 도울 수 있다면, 그리 해야 한다.' 쯤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이것의 변태인 'Y'와 그에 대한 '공격 작업'은 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Y'를 '선생의 몸 한 마디 ...(하략)' 대목의 중심 내용을 주장화한 '몸 한 마디를 끊어 나라를 하나 얻을 수 있다면, 그리 해야 한다.' 쯤으로 '볼' 수도 있으나, 맹손양은 저런 주장을 전면 제시한 적이 없고, 그러한 주장이 논리적으로 금자의 주장 'X'와 동등하다는 인식을 내보인 적도 없다. 맥락상으로 보아도, 그가 그렇게 인식한 것 같지는 않다(후술). 따라서 'Y'의 확정성은 없고 실재성은 불분명하다. 'Y'의 확정과 실재에 의존하는 'Y에의 공격 작업'의 경우 역시 그러하다.
'Y'가 확정된 실재자인 양 '보여지는' 이유는 위 인용문의 주된 대목이 '맹손양이 금자의 질문에 내재된 금자의 입장(주장) 'X'를 간파하고, 그 논리를 직접적으로 맞받아 논파하려 했다'는 식으로 오독된 탓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맥락상 보이건대, 맹손양은 금자의 입장을 직접 논파하려 든 것이 아니다.
맹손양의 근본적 발화 목적은 스스로 밝히듯 금자에게 양주의 마음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그는 효과적인 이해 돕기를 위해 공감을 유도하는 기법을 쓰고 있다. 곧 그의 '몸 한 마디 ' 운운하는 말은 금자의 논리의 부조리함을 찾아 보려는 시도가 아니라 양주의 논리를 금자에게 이해시키고 수긍케 하려는 시도이다. 양주의 논리란 바로 그의 기본 입장, 곧 그의 위아주의 사상, 곧 극단적인 보신 철학의 논리인데,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굳이 이타주의 예문을 들 필요가 없으며, 그런 예문을 들지 않는다고 해서 오류가 되는 것도 아니다. 이미 논점은 양주의 사상이지 금자의 사상이 아니다. 양주의 사상은 위아주의이므로 위아주의 예문을 든다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다. 맹손양의 말과 금자에 말에 '신체의 손해' 라는 공통 분모만 있다고 했는데, 맹손양의 발화 목적에 따르면 그런 공통 분모로 충분한 것이다. 전술했듯, 맹손양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양주의 '보신' 철학이기 때문이다. 물론 양주의 보신 철학의 대원칙에 수긍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금자의 묵가적 이타주의를 부정하게 될 테이며, 맹손양도 이것을 어느 정도 의도했을 터이다.
정리하면, 금자와 맹손양의 대담 전개 모양은 [원주장 'X' 출현 → ''X'의 변태형 주장 'Y' 출현 → 'Y'에 대한 '공격 주장' 출현]의 모양으로 보기는 어렵고, 그저 [주장 'A' 출현 → 주장 'B' 출현]의 모양으로 보는 것이 옳은 것으로 보인다.

금활리는 묵자에 이어 묵가의 거자(巨子)[12]가 된 자로서 묵가 사상과 그 논리학에 정통한 사람인데, 그런 그가 이렇게도 간단히 물러선다는 것은 아무래도 미심쩍은 일이다. 이 기사는 《열자》라는 책이 전반적으로 그러한 평가를 받고 있듯이, 아마도 도가 계열의 사상적 우월성을 주장하고자 후대에 만들어진 가탁물일 것이다. 《장자》에서 공자와 그 제자들이 도가의 학설에 승복하거나 스스로 도가의 학설을 주장하는 역할로서 굴욕적인 출연을 하듯이, 여기서는 양주를 높이기 위한 역할로서 금활리가 이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이후[편집]

위 철학적 토론들과 별개로 현실에서는 (특히 유학이 대세를 탄 이후) 얄짤없이 오랜 시간 동안 '양주 = 천하를 위해서 제 터럭 하나조차 희생하지 않겠다는 싸가지(...)'로 치부되었고, 아가리파이터들이 입씨름 할 때 상대방의 주장이 좀 이기적이다 싶으면 "얼씨구 이 놈 이거 봐라 말하는 게 아주 양주 같네?", "너 그러다 양주 되겠다?" 등으로 나쁘게 활용하였다.[13]

양주는 연구 자체가 어렵다. 직접 남긴 저서는 하나도 남지 않았고 장자묵자맹자 등이 남긴 저서에서 같이 논쟁하면서 간간히 언급되는게 다라서 온전한 양주의 철학을 알기가 힘들다.[14]
[1] 다만 노자라는 인물이 실존했는지도 모르는 판에, 양주가 노자의 제자였는지 밝힐 길은 현재로서는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사상적 측면에서는 분명히 예악에 대한 비판의식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2] 사실 전국시대에 유가의 인기는 미미하였다. 전국시대 하층민들 사이에서 인기 사상은 묵가였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개인주의적/보신주의적 도가가 유행하였다. 맹자 시대에 들어 유가의 타 학파 비판이 두드러지게 공격적이게 된 것은 여기에 기인한다.[3] 양주의 주장은 '천하를 위해서'라는 말부터 이미 , 즉 위선이라는 뜻이다.그냥 나를 위해서라고 솔직히 지껄여라 지배계급들아[4] 이러한 해석은 양주 본인이 직접 설명하지는 않았고, 양주의 제자 중 한 명이 양주에게 뜻을 물어보러 온 문객에게 설명한 내용이다.[5] 당요(唐堯) 때 사람. 요임금이 천하를 다스릴 때 제후(諸侯)였다고 한다. 요임금이 순(舜)에게 선양하고, 순임금이 우(禹)에게 선양하자 제후를 사직하고 농사를 지었다. 우임금이 하풍(下風)에 와서 치도(治道)를 물었다. 이에 이제부터 덕은 쇠하고 형(刑)이 대신할 것이며 후세의 어지러움도 여기서 시작될 것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6] 하 왕조의 시조.[7] 묵자의 제자 금활리(금골희(禽滑釐))인 것으로 보인다. 허나 금활리와 양주가 실제로 면식이 있었는지, 그 이전에 생존 연대가 들어맞는지는 불명이다.[8] 양주 선생.[9] 양주의 제자이다.[10] 윤희(尹喜, ?~?)는 중국 주나라와 전국시대 진나라의 도가(道家) 철학자이다. 그가 맡았던 관직의 이름을 따서 관윤(關尹)이라 부르기도 한다. 관씨 연원에 따르면 윤희가 관직 이름을 따서 관(關)을 성으로 하였다고 전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에 의하면 노자가 주(周)의 쇠함을 보고 주를 떠나려고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관령(關令)인 윤희(尹喜)에게 부탁받아 《도덕경(道德經)》 5천여 자를 저술하였다고 한다. 이 관령 윤희가 즉 관윤(關尹)으로 노자의 제자가 된다고 한다. 《장자(莊子)》의 〈천하편(天下篇)〉에 관윤의 말이라 하여, "사람은 아집(我執)을 버리면 자연(自然)대로의 동작이 발휘된다"는 말을 인용하고 있다. 그리고 다시 "동(動)하기 물과 같고, 그 고요함이 거울과 같으며, 적(寂)함이 청(淸)과 같다"라고 한 말을 인용하고 있다. 잡가(雜家)의 대표작인 《여씨춘추(呂氏春秋)》 〈불이편(不二篇)〉에는 "관윤(關尹)은 청(淸)을 귀히 여긴다"고 평하고 있다.ㅡ위키백과.[11] 이타적인 것처럼 보이는 행위도 사실 이기주의적 행동원리에 근거한다는 논리.[12] 묵가의 우두머리. 묵가 무리들은 거자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하여 자신과 가족의 죽음마저 불사했다.[13] 유학자이며 조선 초기 정치가였던 정도전만 해도 묵자 : 쓰레기. 양주 : 쓰레기. 석가모니 : 묵자와 양주보다 더 그럴듯한 말을 하기 때문에 더 쓰레기(...) 등의 얘기를 한 바가 있다. 결론은 공자님 킹왕짱.[14] 하지만 저서가 전하지 않거나 많은 부분이 소실된 것은 양주뿐 아니라 다른 유명한 제자백가 학자들도 비슷했다. 이는 진시황과 항우가 서적 등을 불태워버리며 이연타를 날렸던 영향이 크다.

Translate this page
Jul 29, 2020 — [2] 맹자는 묵가의 사상을 '무부(無父)'라 칭하며 아비도 없는, 즉 가정 개념도 없는 몹쓸 사상이라 맹비난하였는데, 양주의 사상에 대해서도 '무군(無君)' ...

Noble Strategy [7] Renunciation of sensual

 7] Trading Candy for Gold - Renunciation as a Skill

Buddhism takes a familiar American principle—the pursuit of happiness—and inserts two important qualifiers. The happiness it aims at is true: ultimate, unchanging, and undeceitful. Its pursuit of that happiness is serious, not in a grim sense, but dedicated, disciplined, and willing to make intelligent sacrifices.

What sorts of sacrifices are intelligent? The Buddhist answer to this question resonates with another American principle: an intelligent sacrifice is any in which you gain a greater happiness by letting go of a lesser one, in the same way you’d give up a bag of candy if offered a pound of gold in exchange. In other words, an intelligent sacrifice is like a profitable trade. This analogy is an ancient one in the Buddhist tradition. “I’ll make a trade,” one of the Buddha’s disciples once said, “aging for the ageless, burning for the unbound: the highest peace, the unexcelled safety from bondage. (Thag 1:32)”

There’s something in all of us that would rather not give things up. We’d prefer to keep the candy and get the gold. But maturity teaches us that we can’t have everything, that to indulge in one pleasure often involves denying ourselves another, perhaps better, one. So we need to establish clear priorities for investing our limited time and energies where they’ll give the most lasting returns.

That means giving top priority to the mind. Material things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unstable and easily affected by forces beyond our control, so the happiness they offer is fleeting and undependable. But the well-being of a well-trained mind [불교적?]can survive even aging, illness, and death. To train the mind, though, requires time and energy. This is one reason why the pursuit of true happiness demands that we sacrifice some of our external pleasures.

Sacrificing external pleasures also frees us of the mental burdens that holding onto them often entails. A famous story in the Canon (Ud 2:10) tells of a former king who, after becoming a monk, sat down at the foot of a tree and exclaimed, “What bliss! What bliss!” His fellow monks thought he was pining for the pleasures he had enjoyed as king, but he later explained to the Buddha exactly what bliss he had in mind:

“Before … I had guards posted within and without the royal apartments, within and without the city, within and without the countryside. But even though I was thus guarded, thus protected, I dwelled in fear—agitated, distrustful, and afraid. But now, on going alone to a forest, to the foot of a tree, or to an empty dwelling, I dwell without fear, unagitated, confident, and unafraid —unconcerned, unruffled, living on the gifts of others, with my mind like a wild deer.”

A third reason for sacrificing external pleasures is that in pursuing some pleasures—such as our addictions to eye-candy, ear-candy, nose-, tongue-, and body-candy—we foster qualities of greed, anger, and delusion that actively block the qualities needed for inner peace. [spiritual] Even if we had all the time and energy in the world, the pursuit of these pleasures would lead us further and further away from the goal. Pleasures of this sort are spelled out in the path factor called right resolve: the resolve to forego any pleasures involving sensual passion, ill will, and harmfulness. “Sensual passion” covers not only sexual desire, but also any hankering for the pleasures of the senses that disrupts the peace of the mind. “Ill will” covers any wish for suffering, either for yourself or for others. And “harmfulness” is any activity that would bring that suffering about.

sensuality

  • the enjoyment, expression, or pursuit of physical, especially sexual, pleasure.
  • "he ate the grapes with surprising sensuality"
  • the condition of being pleasing or fulfilling to the senses.

Of these three categories, the last two are the easiest to see as worth abandoning. They’re not always easy to abandon, perhaps, but the resolve to abandon them is obviously a good thing. The first resolve, though—to renounce sensual passion—is difficult even to make, to say nothing of following it through. [불교적?] 

  • abandon feeling? sensual = feeling or 
  • passion열정strong and barely controllable emotion.
  • asceticism? 금욕주의, 
  • 중독-의존적이 되지 않는 정도면 되지 않나?   
  • simple modest pleasures about simple life not OK? flowers, sunset, simplicity itself
  • sex life, homosexuality, touch
  • falling in love, loving someone, spreading love, beautiful intimacy

Part of our resistance to this resolve is universally human. People everywhere relish their passions. Even the Buddha admitted to his disciples that, when he set out on the path of practice, his heart didn’t leap at the idea of renouncing sensual passion, didn’t see it as offering peace. But an added part of our resistance to renunciation is peculiar to Western culture. Modern pop psychology teaches that the only alternative to a healthy indulgence of our sensual passions is an unhealthy, fearful repression. Yet both of these alternatives are based on fear: repression, on a fear of what the passion might do when expressed or even allowed into consciousness; indulgence, on a fear of deprivation and of the under-the-bed monster the passion might become if resisted and driven underground. Both alternatives place serious limitations on the mind.

The Buddha, aware of the drawbacks of both, had the imagination to find a third alternative: a fearless, skillful approach that avoids the dangers of either side.

To understand his approach, though, we have to see how right resolve relates to other parts of the Buddhist path, in particular right view and right concentration. In the formal analysis of the path, right resolve builds on right view. In its most skillful manifestation, it functions as the directed thought and evaluation that bring the mind to right concentration. Right view provides skillful understanding of sensual pleasures and passions, so that our approach to the problem doesn’t go off-target. Right concentration provides an inner stability and bliss so that we can clearly see the roots of passion and, at the same time, not fear deprivation at the prospect of pulling them out.

There are two levels to right view, focusing 

(1) on the results of our actions in the narrative of our lives and 

(2) on the issues of stress and its cessation within the mind. 

The first level points out the drawbacks of sensual passion: sensual pleasures are fleeting, unstable, and stressful; passion for them lies at the root of many of the ills of life [beauty, love] , ranging from the hardships of gaining and maintaining wealth, to quarrels within families and wars between nations. This level of right view prepares us to see the indulgence of sensual passion as a problem

The second level—viewing things in terms of the four noble truths—shows us how to solve this problem in our approach to the present moment. It points out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not in the pleasures but in the passion, because passion involves attachment, and any attachment for pleasures based on conditions leads inevitably to stress and suffering, in that all conditioned phenomena are subject to change. In fact, our attachment to sensual passion tends to be stronger and more constant than our attachments to particular pleasures. This attachment is what has to be renounced.

How is this done? By bringing it out into the open. 

Both sides of sensual attachment—as habitual patterns from the past and our willingness to give into them again in the present—are based on misunderstanding and fear. 

As the Buddha pointed out, sensual passion depends on aberrant perceptions: We project notions of constancy, ease, beauty, and self onto things that are actually inconstant, stressful, unattractive, and not-self. These misperceptions apply both to our passions and to their objects. 

We perceive the expression of our sensuality as something appealing, a deep expression of our self-identity offering lasting pleasure. We see the objects of our passion as enduring and alluring enough, as lying enough under our control, to provide us with a satisfaction that won’t turn into its opposite.[불교예술?

Actually, none of this is the case, and yet we blindly believe our projections because the power of our passionate attachments has us too intimidated to look them straight in the eye. Their special effects, as a result, keep us dazzled and deceived. As long as we deal only in indulgence and repression, attachment can continue operating freely in the dark of the sub-conscious. But when we consciously resist it, it has to come to the surface, articulating its threats, demands, and rationalizations. So even though sensual pleasures aren’t evil, we have to systematically forego them as a way of drawing the agendas of attachment out into the open. This is how skillful renunciation serves as a learning tool, unearthing latent agendas that both indulgence and repression tend to keep underground.

At the same time, we need to provide the mind with strategies to withstand those agendas and to cut through them once they appear. This is where right concentration comes in. As a skillful form of indulgence, right concentration suffuses the body with a non-sensual rapture and pleasure that can help counteract any sense of deprivation in resisting sensual passions. 

In other words, it provides higher pleasures—more lasting and refined—as a reward for abandoning attachment to lower ones. At the same time, it gives us the stable basis we need so as not to be blown away by the assaults of our thwarted attachments. This stability also steadies the mindfulness and alertness we need to see through the misperceptions and delusions that underlie sensual passion. And once the mind can see through the processes of projection,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to the greater sense of freedom that comes when they’re transcended, the basis for sensual passion is gone.

At this stage, we can then turn to analyze our attachment to the pleasures of right concentration. When our understanding is complete, we abandon all need for attachment of any sort, and so meet with the pure gold of a freedom so total that it can’t be described. 

The question remains: How does this strategy of skillful renunciation and skillful indulgence translate into everyday practice? 

People who ordain as monastics take vows of celibacy and are expected to work constantly at renouncing sensual passion, but for many people, this is not a viable option. 

So the Buddha recommended that his lay followers observe day-long periods of temporary renunciation. Four days out of each month —traditionally on the new-, full-, and half-moon days—they can take the eight precepts, which add the following observances to the standard five: [Good idea]

  • celibacy, 
  • no food after noon, 
  • no watching of shows, 
  • no listening to music, 
  • no use of perfumes and cosmetics, and 
  • no use of luxurious seats and beds.

The purpose of these added precepts is to place reasonable restraints on all five of the senses. The day is then devoted to listening to the Dhamma, to clarify right view; and to practicing meditation, to strengthen right concentration. Although the modern workweek can make the lunar scheduling of these day-long retreats impractical, there are ways they can be integrated into weekends or other days off from work. In this way, anyone interested can, at regular intervals, trade the cares and complexities of everyday life for the chance to master renunciation as a skill integral to the serious pursuit of happiness in the truest sense of the word.

Georges Bernanos - Wikipedia

Georges Bernanos - Wikipedia


Georges Bernano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Georges Bernanos

Born Louis Émile Clément Georges Bernanos
20 February 1888
Paris, France
Died 5 July 1948 (aged 60)
Neuilly-sur-Seine, France
Occupation Writer
Nationality French
Period 20th century
Genre Novel


Louis Émile Clément Georges Bernanos (French: [ʒɔʁʒ bɛʁnanɔs];[1] 20 February 1888 – 5 July 1948) was a French author, and a soldier in World War I. A Roman Catholic with monarchist leanings,[2] he was critical of elitist thought and was opposed to what he identified as defeatism. He believed this had led to France's defeat and eventual occupation by Germany in 1940 during World War II.[3] Most of his novel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nd frequently published in both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Contents
1Life and career
2Works and English translations
3Adaptations of selected works
4References
5Further reading
6External links

Life and career[edit]

Bernanos was born in Paris, into a family of craftsmen. He spent much of his childhood in the village of Fressin, Pas de Calais region, which became a frequent setting for his novels. He served in the First World War as a soldier, where he fought in the battles of the Somme and Verdun. He was wounded several times.

After the war, he worked in insurance before writing Sous le soleil de Satan (1926, Under the Sun of Satan). He won the Grand Prix du roman de l'Académie française for The Diary of a Country Priest (Journal d'un curé de campagne), published in 1936.

A man of Royalist leanings and a member of the Camelots du Roi (Action Française's youth organization) when he was younger, Bernanos broke with Charles Maurras and the Action Française in 1932. He initially supported Franco's coup at the outset of the Spanish Civil War.[4] However, after he observed the conflict in Majorca and saw 'a terrorized people,' he became disgusted with the nacionales and criticized them in the book Diary of My Times (1938). He wrote, "My illusions regarding the enterprise of General Franco did not last long—two or three weeks—but while they lasted I conscientiously endeavoured to overcome the disgust which some of his men and means caused me."[5]

With political tensions rising in Europe, Bernanos emigrated to South America with his family in 1938, settling in Brazil. He remained until 1945 in Barbacena, State of Minas Gerais, where he tried his hand at managing a farm. His three sons returned to France to fight after World War II broke out, while he fulminated at his country's 'spiritual exhaustion,' which he saw as the root of its collapse in 1940. From exile he mocked the 'ridiculous' Vichy regime and became a strong supporter of the nationalist Free French Forces led by the conservative Charles De Gaulle. After France's Liberation, De Gaulle invited Bernanos to return to his homeland, offering him a post in the government. Bernanos did return but, disappointed to perceive no signs of spiritual renewal, he declined to play an active role in French political life.[6]

Works and English translations[edit]

Sous le soleil de Satan 1926.
The Star of Satan. London: The Bodley Head, 1927 [New York: Macmillan, 1940; H. Fertig, 1975].
Under the Sun of Satan. New York: Pantheon, 1949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1].
Les Ténèbres (diptyque): L'Imposture (1927) & La Joie (1928)
Joy. New York: Pantheon Books, 1946 [London: The Bodley Head, 1948; Toronto: Thomas Nelson, 1948].
The Impostor.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9.
Un crime 1935.
The Crime. London: Hale, 1936 [New York: E.P. Dutton, 1936].
Journal d'un curé de campagne 1936 (also issued serially 1935-36)
The Diary of a Country Priest 1936 in Paris, France; London: The Bodley Head, 1937 [New York: Macmillan, 1948, 1962; Carroll & Graf, 1983, 2002.
Nouvelle histoire de Mouchette 1937
Mouchette. London: The Bodley Head, 1966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6; New York Review Books, 2006].
Les grands cimetières sous la lune 1938
A Diary of My Times. New York: Macmillan, 1938 [London: The Bodley Head, 1945].
Monsieur Ouine 1943
The Open Mind. London: The Bodley Head, 1945.
Monsieur Ouine.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0.
Dialogues des carmélites 1949.
The Fearless Heart. Toronto: Thomas Nelson, 1952 [London: The Bodley Head, 1952].
Un mauvais rêve (posthumously 1950)
Night Is Darkest. London: The Bodley Head, 1953.
Plea for Liberty. New York: Pantheon, 1944 [London: Dobson, 1946].
Sanctity Will Out. London and New York: Sheed & Ward, 1947.
Tradition of Freedom. London: Dobson, 1950 [New York: Roy, 1951].
The Last Essays of Georges Bernanos. Chicago: Henry Regnery Co., 1955 [Conn.: Greenwood Press, 1968].

Adaptations of selected works[edit]

The Diary of a Country Priest: this was the first novel by Bernanos to be adapted as a film, called Diary of a Country Priest (1951); it was directed by Robert Bresson, and starred Claude Laydu in his debut role.[7]
Mouchette was adapted into a film of the same name by Robert Bresson, released in 1967.
Under the Sun of Satan: his novel was adapted as a film of the same name, produced in 1987 in France. The film won the Palme d'Or prize at the 1987 Cannes Film Festival.
Dialogues des Carmélites: in 1947, Bernanos had been hired to write the dialogue for a film screenplay, through Raymond-Léopold Bruckberger and the scenario writer Philippe Agostini, based on the novella Die Letzte am Schafott by German novelist Gertrud von Le Fort, about the 1794 execution of the Carmelite Nuns of Compiègne. The screenplay was judged unsatisfactory at the time. Following Bernanos' death his literary executor, Albert Béguin, discovered the manuscript. To assist Bernanos' heirs, Béguin sought to have the work published, requesting permission from Baroness von Le Fort for publication. In January 1949 she agreed, gifting her portion of the royalties over to Bernanos' widow and children. However, the Baroness requested that Bernanos' play be given a different title from her novella.[8] Béguin chose Dialogues des Carmélites, and the work was published in 1949. It was translated into German, published there in 1951 as Die begnadete Angst (The Blessed Fear) and first staged in Zurich and Munich that year.[9] The French stage première took place in May 1952 at the Théâtre Hébertot. The composer Francis Poulenc adapted Bernanos' work into an opera of the same name, which was first performed at La Scala Milan in 1957. A film based on Bernanos' play and starring Jeanne Moreau was released in 1960.


References[edit]

^ "Bernanos",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 Allen, W. Gore (1948). "George Bernanos: A Mystic in the World," The Irish Monthly, Vol. 76, No. 903, pp. 414-416.
^ Tobin, Michael R. (2007). Georges Bernanos: The Theological Source of his Art.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 Hellman, John (1990). "Bernanos, Drumont, and the Rise of French Fascism," The Review of Politics, Vol. 52, No. 3, pp. 441-459.
^ Georges Bernanos. A Diary of My Times, London: Boriswood, 1938, p. 85.
^ Liukkonen, Petri. "Georges Bernanos". Books and Writers (kirjasto.sci.fi). Finland: Kuusankoski Public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3.
^ Robert Bergan (2011-08-07). "Claude Laydu obituary". The Guardian. Retrieved 2014-06-15.
^ Gendre, Claude, 'The Literary Destiny of the Sixteen Carmelite Martyrs of Compiègne and the Role of Emmet Lavery'. Renascence, 48.1, pp 37-60 (Fall 1995).
^ Gendre, Claude, 'Dialogues des Carmélites: the historical background, literary destiny and genesis of the opera', from Francis Poulenc: Music, Art and Literature (Sidney Buckland and Myriam Chimènes, editors). Ashgate (Aldershot, UK), ISBN 1859284078, p 287 (1999).
Further reading[edit]
von Balthasar, Hans Urs (2011). Bernanos: An Ecclesial Existence. Ignatius Press.
Blumenthal, Gerda (1965). The Poetic Imagination of Georges Bernanos: An Essay in Interpretation. The Johns Hopkins Press.
Braybrooke, Neville (1954). "Georges Bernanos," The Irish Monthly, Vol. 83, No. 969, pp. 174–179.
Bush, William (1969). Georges Bernanos. Twayne Publishers.
Field, Frank (1975). Three French Writers: Studies in the Rise of Communism and Fascism.
Hebblethwaite, Peter (1965). Bernanos, an Introduction. London: Bowes and Bowes.
Molnar, Thomas (1960). Bernanos: His Political Thought and Prophecy. New York: Sheed and Ward.
Molnar, Thomas (1995). "The Case of Georges Bernanos," Modern Age 38 (1), pp. 61–68.
Noth, Ernst Erich (1949). "The Prophetism of Georges Bernanos," Yale French Studies, No. 4, Literature and Ideas, pp. 105–119.
O'Malley, Frank (1944). "The Evangelism of Georges Bernanos," The Review of Politics, Vol. 6, No. 4, pp. 403–421.
Reck, Rima Drell (1965). "George Bernanos: A Novelist and His Art," The French Review, Vol. 38, No. 5, pp. 619–629.
Speaight, Robert (1973). Georges Bernanos: A Study of the Man and the Writer. London: Collins & Harvill Press [New York: Liveright, 1974].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Georges Bernanos.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Georges Bernanos

French Wikisource has original text related to this article:
Georges Bernanos

Works by Georges Bernanos at Faded Page (Canada)
English language biography (version in Archive.org)
The Pilgrimage of George Bernanos
Georges Bernanos (1888-1948)

2020/10/09

영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전한의 정치가에 대해서는 영성 (전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영성(靈性 · Spirituality)은 심령주의(心靈主義 · Spiritualism)와는 다른 개념이다.

-----

영성(靈性, Spirituality)은 이 낱말이 사용되고 있는 문맥에 따라 다음의 것들을 의미한다:
궁극적 또는 비물질적 실재(實在, reality),[1]
자신의 존재의 에센스(essence, 정수)를 발견할 수 있게 하는 내적인 길(inner path)
의거하여 살아야 할 준칙으로서의 가장 깊은 가치들과 의미들[2]

명상기도묵상 또는 관조(contemplation)를 포함한 영적 수행들(spiritual practices)은 각 개인 자신의 내적인 삶(inner life, 내적인 생명)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행한다. 영성(靈性, Spirituality)을 믿고 이에 의거하여 실천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영적 수행들은 바르게 수행되었을 때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경험들에 도달하게 한다고 여겨진다:[3]

  • 더 커다란 실재와 연결 또는 합일되는 경험을 통해 더 커다란 자아(自我, self)에 이르는 것
  • 다른 사람들 또는 사람들의 공동체와 연결 또는 합일되는 경험
  • 자연이나 우주(cosmos)와 연결 또는 합일되는 경험
  • 신성(神性)의 영역(divine realm)과 연결 또는 합일되는 경험

영성(靈性, Spirituality)은 종종 삶에서 영감을 주고 삶의 방향을 알려주는 원천인 것으로 경험되고 있다.[4] 또한, 영성은 비물질적 실재들을 믿는 것이나 우주 또는 세상의 본래부터 내재하는 성품(immanent nature) 또는 초월적인 성품(transcendent nature)을 경험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Ewert Cousins, preface to Antoine Faivre and Jacob Needleman, 《Modern Esoteric Spirituality》, Crossroad Publishing, 1992.
 Sheldrake, P. 《A Brief History of Spirituality》. Wiley-Blackwell, 2007. 1-2.
 Margaret A. Burkhardt and Mary Gail Nagai-Jacobson, 《Spirituality: living our connectedness》, Delmar Cengage Learning, xiii쪽
 Kees Waaijman, 《Spirituality: forms, foundations, methods》 Leuven: Peeters, 2002, 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