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19

Commons - Wikipedia

Commons - Wikipedia



Common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commons is the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accessible to all members of a society, includ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air, water, and a habitable earth. These resources are held in common, not owned privately. Commons can also be understood as natural resources that groups of people (communities, user groups) manage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benefit. Characteristically, this involves a variety of informal norms and values (social practice) employed for a governance mechanism.[1] Commons can be also defined as a social practice of governing a resource not by state or market but by a community of users that self-governs the resource through institutions that it creates .[2]

Definition and modern use[edit]

The Digital Library of the Commons defines "commons" as "a general term for shared resources in which each stakeholder has an equal interest".[3]
The term "commons" derives from the traditional English legal term for common land, which are also known as "commons", and was popularised in the modern sense as a shared resource term by the ecologist Garrett Hardin in an influential 1968 article called The Tragedy of the Commons. As Frank van Laerhoven and Elinor Ostrom have stated; "Prior to the publication of Hardin's article on the tragedy of the commons (1968), titles containing the words 'the commons', 'common pool resources', or 'common property' were very rare in the academic literature."[4]
Some texts make a distinction in usage between common ownership of the commons and collective ownership among a group of colleagues, such as in a producers' cooperative. The precision of this distinction is not always maintained.
The use of "commons" for natural resources has its roots in European intellectual history, where it referred to shared agricultural fields, grazing lands and forests that were, over a period of several hundred years, enclosed, claimed as private property for private use. In European political texts, the common wealth was the totality of the material riches of the world, such as the air, the water, the soil and the seed, all nature's bounty regarded as the inheritance of humanity as a whole, to be shared together. In this context, one may go back further, to the Roman legal category ''res communis'', applied to things common to all to be used and enjoyed by everyone, as opposed to res publica, applied to public property managed by the government.[5]

Type[edit]

Environmental resource[edit]

The examples below illustrate types of environmental commons.

European land use[edit]

Originally in medieval England the common was an integral part of the manor, and was thus legally part of the estate in land owned by the lord of the manor, but over which certain classes of manorial tenants and others held certain rights. By extension, the term "commons" has come to be applied to other resources which a community has rights or access to. The older texts use the word "common" to denote any such right, but more modern usage is to refer to particular rights of common, and to reserve the name "common" for the land over which the rights are exercised. A person who has a right in, or over, common land jointly with another or others is called a commoner.[6]
In middle Europe, commons (relatively small-scale agriculture in, especially, southern Germany, Austria, and the alpine countries) were kept, in some parts, till the present.[7] Some studies have compared the German and English dealings with the commons between late medieval times and the agrarian reform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UK was quite radical in doing away with and enclosing former commons, while southwestern Germany (and the alpine countries as e.g. Switzerland) had the most advanced commons structures, and were more inclined to keep them. The Lower Rhine region took an intermediate position.[8] However, the UK and the former dominions have till today a large amount of Crown land which often is used for community or conservation purposes.

Mongolian grasslands[edit]

Based on a research project by the Environmental and Cultural Conservation in Inner Asia (ECCIA) from 1992 to 1995,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compare the amount of land degradation due to livestock grazing in the regions of Mongolia, Russia, and China.[9] In Mongolia, where shepherds were permitted to move collectively between seasonal grazing pastures, degradation remained relatively low at approximately 9%. Comparatively, Russia and China, which mandated state-owned pastures involving immobile settlements and in some cases privatization by household, had much higher degradation, at around 75% and 33% respectively.[10] A collaborative effort on the part of Mongolians proved much more efficient in preserving grazing land.

Lobster fishery of Maine[edit]

Widespread success of the Maine lobster industry is often attributed to the willingness of Maine's lobstermen to uphold and support lobster conservation rules. These rules include harbor territories not recognized by the state, informal trap limits, and laws imposed by the state of Maine (which are largely influenced by lobbying from lobster industry itself).[11] Essentially, the lobstermen collaborate without much government intervention to sustain their common-pool resource.

Community forests in Nepal[edit]

In the late 1980s, Nepal chose to decentralize government control over forests. Community forest programs work by giving local areas a financial stake in nearby woodlands, and thereby increasing the incentive to protect them from overuse. Local institutions regulate harvesting and selling of timber and land, and must use any profit towards community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forests. In twenty years, locals have noticed a visi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trees. Community forestry may also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in rural areas – for instance school construction, irrigation and drinking water channel construction, and road construction. Community forestry has proven conducive to democratic practices at grass roots level.[12]

Irrigation systems of New Mexico[edit]

Acequia is a method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for irrigation systems in desert areas. In New Mexico, a community-run organization known as Acequia Associations supervises water in terms of diversion, distribution, utilization, and recycling, in order to reinforce agricultural traditions and preserve water as a common resource for future generations.[13]

Cultural and intellectual commons[edit]

Today, the commons are also understood within a cultural sphere. These commons include literature, music, arts, design, film, video, television, radio, information, software and sites of heritage. Wikipedia is an example of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common goods by a contributor community in the form of encyclopedic knowledge that can be freely accessed by anyone without a central authority.[14]
Tragedy of the commons in the Wiki-Commons is avoided by community control by individual authors within the Wikipedia community.[15]
The information commons may help protect users of commons. Companies that pollute the environment release information about what they are doing. The Corporate Toxics Information Project[16] and information like the Toxic 100, a list of the top 100 polluters,[17] helps people know what these corporations are doing to the environment.

Digital commons[edit]

Mayo Fuster Morell proposed a definition of digital commons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s that are collectively created and owned or shared between or among a community and that tend to be non-exclusive, that is, be (generally freely) available to third parties. Thus, they are oriented to favor use and reuse, rather than to exchange as a commodity. Additionally, the community of people building them can intervene in the governing of their interaction processes and of their shared resources."[18][19]
Examples of digital commons are Wikipediafree software and open-source hardware projects.

Urban commons[edit]

Urban commons present the opportunity for the citizens to gain power upon the management of the urban resources and reframe city-life costs based on their use value and maintenance costs, rather than the market-driven value.[20]
Syntagma Square in Athens as urban commons
Tahrir Square in Cairo as urban commons
Urban commons situates citizens as key players rather than public authorities, private markets and technologies.[21] David Harvey (2012) defines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spaces and urban commons. Public spaces and goods in the city make a commons when part of the citizens take political action. Syntagma Square in Athens, Tahrir Square in Cairo, and the Plaza de Catalunya in Barcelona were public spaces that transformed to an urban commons as people protested there to support their political statements. Streets are public spaces that have often become an urban commons by social action and revolutionary protests.[22] Urban commons are operating in the cities in a complementary way with the state and the market. Some examples are community gardening, urban farms on the rooftops and cultural spaces.[23] More recently participatory studies of commons and infrastructure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financial crisis have emerged.[24][25]

Knowledge commons[edit]

In 2007, Elinor Ostrom along with her colleague Charlotte Hess, did succeed in extending the commons debate to knowledge, approaching knowledge as a complex ecosystem that operates as a common – a shared resource that is subject to social dilemmas. The focus here was on the ready availability of digital forms of knowledge and associated possibilities to store, access and share it as a common.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commons may be made through identifying typ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natural resource commons, such as congestion, overharvesting, pollution and inequities, which also apply to knowledge. Then, effective alternatives (community-based, non-private, non-state), in line with those of natural commons (involving social rules, appropriate property rights and management structures), solutions are proposed. Thus, the commons metaphor is applied to social practice around knowledge.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present work proceeds, discussing the creation of depositories of knowledge through the organised, voluntary contributions of scholars (the research community, itself a social common), the problems that such knowledge commons might face (such as free-riding or disappearing assets), and the protection of knowledge commons from enclosure and commodification (in the form of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patenting, licensing and overpricing).[1] At this point, it is important to note the nature of knowledge and its complex and multi-layered qualities of non-rivalry and non-excludability. Unlike natural commons – which are both rival and excludable (only one person can use any one item or portion at a time and in so doing they use it up, it is consumed) and characterised by scarcity (they can be replenished but there are limits to this, such that consumption/destruction may overtake production/creation) – knowledge commons are characterised by abundance (they are non-rival and non-excludable and thus, in principle, not scarce, so not impelling competition and compelling governance). This abundance of knowledge commons has been celebrated through alternative models of knowledge production, such as Commons Based Peer Production (CBPP), and embodied in the free software movement. The CBPP model showed the power of networked, open collaboration and non-material incentives to produce better quality products (mainly software).[26]

Commoning as a process[edit]

Some scholars have coined the term commoning, which by its nature as a verb serves to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ons as a process and a practice rather than as a static entity. Some authors[27] distinguish between the resources shared (the common-pool resources), the community who governs it, and commoning, that is, the process of coming together to manage such resources. Commoning thus adds another dimension to the commons, acknowledging the social practices entail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governing a commons.[28] These practices entail, for the community of commoners, the creation of a new way of living and acting together[29], thus involving a collective psychological shift: it also entails a process of subjectivization, where the commoners produce themselves as common subjects.[30]
The discussion of commoning as a process rather than as a fixed entity also serves to bring new elements to the discussion of the commons. Its focus on social relations endues such processes with an emancipatory potential. Importantly, even if some commons are temporary or fai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term, their contribution to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the social practices and psychological shifts that have arisen are still influential, having contributed to creating new subjectivities and sensibilities. Therefore, in this understanding, commoning can be temporary and this does not entail a problem or a failure. Commoning is a learning process, and the so-called failure of some commons might result in the creation of new ones.

Economic theories[edit]

Tragedy of the commons[edit]

A commons failure theory, now called tragedy of the commons, originated in the 18th century.[7] In 1833 William Forster Lloyd introduced the concept by a hypothetical example of herders overusing a shared parcel of land on which they are each entitled to let their cows graze, to the detriment of all users of the common land.[31] The same concept has been called the "tragedy of the fishers", when over-fishing could cause stocks to plummet.[32] Forster’s pamphlet was little known, and it wasn’t until 1968, with the publication by the ecologist Garrett Hardin of the article “The Tragedy of the Commons”[33], that the term gained relevance. Hardin introduced this tragedy as a social dilemma, and aimed at exposing the inevitability of failure that he saw in the commons.
However, his argument has been widely criticized[34], since he is accused of having mistaken the commons, that is, resources held and managed in common by a community, with open access, that is, resources that are open to everyone but where it is difficult to restrict access or to establish rules. In the case of the commons, the community manages and sets the rules of access and use of the resource held in common: the fact of having a commons, then, does not mean that anyone is free to use the resource as they like. Studies by Ostrom and others[35] have shown that managing a resource as a commons often has positive outcomes and avoids the so-called tragedy of the commons, a fact that Hardin overlooked.
It has been said the dissolution of the traditional land commons played a watershed role in landscape development and cooperative land use patterns and property rights.[36] However, as in the British Isles, such changes took place over several centuries as a result of land enclosure.
Economist Peter Barnes has proposed a 'sky trust' to fix this tragedic problem in worldwide generic commons. He claims that the sky belongs to all the people, and companies do not have a right to over pollute. It is a type of cap and dividend program. Ultimately the goal would be to make polluting excessively more expensive than cleaning what is being put into the atmosphere.[37]

Successful commons[edit]

While the original work on the tragedy of the commons concept suggested that all commons were doomed to failure, they remain important in the modern world. Work by later economists has found many examples of successful commons, and Elinor Ostrom won the Nobel prize for analysing situations where they operate successfully.[38][35] For example, Ostrom found that grazing commons in the Swiss Alps have been run successfully for many hundreds of years by the farmers there.[39]
Allied to this is the "comedy of the commons" concept, where users of the commons are able to develop mechanisms to police their use to maintain, and possibly improve, the state of the commons.[40] This term was coined in an essay by legal scholar, Carol M. Rose, in 1986.[40][38][41]
Other related concepts are the inverse commonscornucopia of the commons,[42] and triumph of the commons.[43][44] It is argued that some types of commons, such as open-source software, work better in the cornucopia of the commons; proponents say that, in those cases, "the grass grows taller when it is grazed on".[45]

Notable theorists[edit]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Commons[edit]

Silvia Federici articulates a feminist perspective of the commons in her essay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the Commons".[46] Since the language around the commons has been largely appropriated by the World Bank as it sought to re-brand itself "the environmental guardian of the planet", she argues that it is important to adopt a commons discourse that actively resists this re-branding.[47] Secondly, articulations of the commons, although historically present and multiple have struggled to come together as a unified front. For the latter to happen she argues that a "commoning" or "commons" movement that is effectively able to resist capitalist forms of organizing labour and our livelihoods must look to women to take the lead in organizing the collectivization of our daily lives and the means of production.[47]

Women and the struggle for the Commons[edit]

Women have traditionally been at the forefront of struggles for commoning "as primary subjects of reproductive work". This proximity and dependence on communal natural resources has made women the most vulnerable by their privatization, and made them their most staunch defendants. Examples include: subsistence agriculture, credit associations such as tontine (money commons) and collectivizing reproductive labor. In "Caliban and the Witch",[48] Federici interprets the ascent of capitalism as a reactionary move to subvert the rising tide of communalism and to retain the basic social contract.

"Feminist Reconstructions" of the Commons[edit]

The process of commoning the material means of reproduction of human life is most promising in the struggle to "disentangle our livelihoods not only from the world market but also from the war machine and prison system." One of the main aims of the process of commoning is to create "common subjects" that are responsible to their communities. The notion of community is not understood as a "gated community", but as "a quality of relations, a principle of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to each other and the earth, the forsts, the seas, the animals.[47] In communalizing housework, one of the supporting pillars of human activity it is imperative that this sphere is "not negated but revolutionized." Communalizing housework also serves to de-naturalize it as women's labour, which has been a important part of the feminist struggle.[47]

Feminist Commons Movement[edit]

Abortion and Birth Control[edit]

As reproductive rights over unwanted pregnancies have been denied in many countries for many years, several resistance groups using diverse commoning strategies in order to provide women safe and affordable abortion. Care, knowledge, pills have been made commons against abortion restriction. In New York, U.S., the group Haven Coalition[49] volunteer provide pre and post abortion care for people who have to travel for abortion which is considered illegal in their places of origins, and with New York Abortion Access Fund[50], they are able to provide them with medical and financial assistance.[51] Underground networks outside male-dominant medical service establishments are where women's networks oversee the abortion and assist each other physically or emotionally by sharing the knowledge of herbalism or home abortion. These underground groups operate under codenames like Jane Collective in Chicago or Renata[52] in Arizona. Some groups like Women on Waves from Netherlands use international waters to conduct abortion. Also, in Italy, Obiezione Respinta movement[53] collaboratively map spaces related to birth control such as pharmacies, consultors, hospitals, and etc. through which users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place and provide access to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Historical land commons movements[edit]

Contemporary commons movements[edit]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Basu, Soutrik; Jongerden, Joost; Ruivenkamp, Guido (17 March 2017). "Development of the drought tolerant variety Sahbhagi Dhan: exploring the concepts commons and community buil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mons11 (1): 144. doi:10.18352/ijc.673.
  2. ^ Classical theory based on Elinor Ostrom's book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 "Digital Library Of The Commons"dlc.dlib.indiana.edu.
  4. ^ Laerhoven, Frank Van; Ostrom, Elinor (2007). "Traditions and Trends in the Study of the Comm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mons1: 3. doi:10.18352/ijc.76.
  5. ^ Basu, Soutrik; Jongerden, Joost; Ruivenkamp, Guido (March 17, 2017). "Development of the drought tolerant variety Sahbhagi Dhan: exploring the concepts commons and community buil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mons11: 144. doi:10.18352/ijc.673.
  6. ^ Anon. "Commoner". Farlex Inc. Retrieved 20 April 2012.
  7. Jump up to:a b Radkau 2008, p. 90, ff in the German text
  8. ^ Hartmut Zückert, "Allmende und Allmendaufhebung". Vergleichende Studien zum Spätmittelalter bis zu den Agrarreformen des 18./19. Jahrhunderts (= Quellen und Forschungen zur Agrargeschichte; Bd. 47), Stuttgart: Lucius & Lucius 2003, IX + 462 S., 4 Farb-Abb., ISBN 978-3-8282-0226-9 review (in German)
  9. ^ Sneath, David (1998). "State Policy and Pasture Degradation in Inner Asia"Science Magazine281 (5380): 1147–1148. Bibcode:1998Sci...281.1147Sdoi:10.1126/science.281.5380.1147. Retrieved 11 May 2011.
  10. ^ Ostrom, Elinor (1999). "Revisiting the Commons: Local Lessons, Global Challenges"Science Magazine284 (5412): 278–282. Bibcode:1999Sci...284..278.CiteSeerX 10.1.1.510.4369doi:10.1126/science.284.5412.278PMID 10195886. Retrieved 11 May 2011.
  11. ^ Acheson, James (2004). Capturing the Commons: Devising Institutions to Manage the Maine Lobster.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ISBN 9781584653936.
  12. ^ Mehta, Trupti Parekh. "Community Forestry in India and Nepal". PERC Reports.Missing or empty |url= (help)
  13. ^ Davidson-Harden, Adam. "Local Control and Management of Our Water Commons: Stories of Rising to the Challenge" (PDF)www.ourwatercommons.org. Retrieved 11 May 2011.
  14. ^ Huberman, Bernardo A. (2008). "Crowdsourcing, Attention and Productivity". arXiv:0809.3030Bibcode:2008arXiv0809.3030Hdoi:10.2139/ssrn.1266996.
  15. ^ "Avoiding Tragedy in the Wiki-Commons", by Andrew George, 12 Va. J.L. & Tech. 8 (2007)
  16. ^ "Corporate Toxics Information Project"Political Economy Research Institute. PERI-Uma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5.
  17. ^ Ash, Michael. "Justice in the Air" (PDF)PERI. PERI- Umass.
  18. ^ Fuster Morell, M. (2010, p. 5). Dissertation: Governance of online creation communities: Provision of infrastructure for the building of digital commonshttp://www.onlinecreation.info/?page_id=338
  19. ^ Berry, David (21 February 2005). "The commons"Free Software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09.
  20. ^ Dellenbaugh-Losse, M. (2017). "What makes urban commons different from other commons?Urban Policy. Retrieved December 28, 2017
  21. ^ Sharing Cities: activating the Urban Commons Archived 2017-12-29 at the Wayback Machine. (2017). Mountain View: Shareable. Retrieved December 28, 2017
  22. ^ Harvey, D. (2013).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London: Verso
  23. ^ C. Iaione. "The city as a commons" (personal communication, November 9, 2016) [Blog post]
  24. ^ Dalakoglou, D. (2016). "Infrastructural Gap: Commons, State and Anthropology". City vol. 6 (2)
  25. ^ "infra-demos"infra-demos.
  26. ^ Basu, Soutrik; Jongerden, Joost; Ruivenkamp, Guido (August 2017). "The emergence of a hybrid mode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Generation Challenge Programme Rice Research Network (GCP-RRN) in India: Exploring the concept of Commons-Based Peer Production (CBPP)". Geoforum84: 107–116. doi:10.1016/j.geoforum.2017.06.008.
  27. ^ De Angelis, Massimo (2010-08-17). "The Production of Commons and the "Explosion" of the Middle Class"Antipode42 (4): 954–977. doi:10.1111/j.1467-8330.2010.00783.xISSN 0066-4812.
  28. ^ "Commoning - P2P Foundation"wiki.p2pfoundation.net. Retrieved 2020-04-28.
  29. ^ Euler, J. & Gauditz, L. (23 February 2017). "Commoning: a different way of living and acting together". Degrowth.info
  30. ^ Federici, Silvia (2012). Revolution at point zero : housework, reproduction, and feminist struggleISBN 978-1-77113-494-1OCLC 1129596584.
  31. ^ Lloyd, William Forster (1833). "Two Lectures on Popula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6 (3): 473–496. JSTOR 1972412.
  32. ^ Samuel Bowles: Microeconomics: Behavior, Institutions, and Evolu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27–29 (2004) ISBN 0-691-09163-3
  33. ^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162(3859), 1243-1248.
  34. ^ Frischmann, Brett. "The Tragedy of the Commons, Revisited"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Retrieved 2020-04-28.
  35. Jump up to:a b Elinor Ostrom (2015).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ISBN 9781107569782.
  36. ^ The end of the commons as a watershed' The Age of Ecology, Joachim Radkau, John Wiley & Sons, 3 April 2014, p. 15 ff
  37. ^ Barnes, Peter (2000). Pie in the Sky. Washington D.C: Corporation for Enterprise Development. p. 1. ISBN 978-1-883187-32-3.
  38. Jump up to:a b Rifkin, Jeremy. "10 – Comedy of the Commons"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The Internet of Things, the Collaborative. Retrieved 2 February 2016.
  39. ^ "Remembering Elinor Ostrom, Nobel Laureate"NPR.org.
  40. Jump up to:a b Rose, Carol M. (1986). "The Comedy of the Commons: Commerce, Custom, and Inherently Public Property"Faculty Scholarship Series: Paper 1828. Retrieved December 28, 2011.
  41. ^ The Drama of the Commons By Committee on the Human Dimensions of Global Change, National Research Council,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Board on Environmental Change and Society
  42. ^ "The Cornucopia of the Commons: How to get volunteer labor"www.bricklin.com. Retrieved 2018-02-03.
  43. ^ Silent Theft: The Private Plunder of Our Common Wealth By David Bollier
  44. ^ Cox, Susan Jane Buck (1985). "No Tragedy of the Commons" (PDF)Environmental Ethics7 (1): 49–61. doi:10.5840/enviroethics1985716.
  45. ^ The Cathedral & the Bazaar: Musings on Linux and Open Source by an … By Eric Raymond
  46. ^ Federici, S. (2012).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the Commons"The Wealth of the Commons. Retrieved April 25, 2020.
  47. Jump up to:a b c d Federici, S. (2012).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the Commons" In The Wealth of the Commons. Retrieved April 25, 2020
  48. ^ "Caliban and the Witch"www.akpress.org.
  49. ^ "Haven Coalition"Haven Coalition. Retrieved 2020-04-29.
  50. ^ "New York Abortion Access Fund | Connecting Rights to Resources". Retrieved 2020-04-29.
  51. ^ "The abortion underground: Groups quietly help women who have to travel to access care"NBC News. Retrieved 2020-04-29.
  52. ^ Liss-Schultz, Nina. "Inside the top-secret abortion underground"Mother Jones. Retrieved 2020-04-29.
  53. ^ "Obiezione Respinta"Obiezione Respinta. Retrieved 2020-04-29.

Further reading[edit]

  • Azzellini, Dario (2018). "Labour as a Commons: The Example of Worker-Recuperated Companies". Critical Sociology44 (4–5): 763–776. doi:10.1177/0896920516661856.
  • Basu, S.; Jongerden, J.; Ruivenkamp, G. (2017). "Development of the drought tolerant variety Sahbhagi Dhan: exploring the concepts commons and community buil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mons11 (1): 144–170. doi:10.18352/ijc.673.
  • Basu, S (2016). Knowledge production, Agriculture and Commons: The case of Generation Challenge Programme. (PhD Thesis). Netherlands: Wageningen University. Retrieved from [1].
  • Basu, S (2014). An alternative imagination to study commons: beyond state and beyond scientific establishment. Paper presented at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Comm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Innovations. Maringá, Brazil: Maringá State University.
  • Bollier, David. "The Commons". Public Sphere Project. Schuler. Retrieved 26 October 2015.
  • Bollier, David. (2014). "The Commons as a Template for Transformation." Great Transition Initiative.
  • Bollier, David and Helfrich, Silke (2012). "The Wealth of the Commons. A world beyond market & state. The Commons Strategy Group.
  • Bowers, Chet. (2006). Revitalizing the Commons: Cultural and Educational Sites of Resistance and Affirmation. Lexington Books.
  • Bowers, Chet. (2012). The Way Forward: Educational Reforms that Focus on the Cultural Commons and the Linguistic Roots of the Ecological Crisis. Eco-Justice Press.
  • Bresnihan, P. et Byrne, M. (2015). Escape into the city: Everyday practices of communing and the production of urban space in Dublin. Antipode 47(1), pp. 36–54.
  • Dalakoglou, Dimitris "Infrastructural gap: Commons, State and Anthropology". City 20(6).
  • Dellenbaugh, et al. (2015). Urban Commons: Moving beyond State and Market. Birkhäuser.
  • Eynaud, Philippe; Juan, Maïté; Mourey, Damien (2018). "Participatory Art as a Social Practice of Commoning to Reinvent the Right to the City".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29 (4): 621–636. doi:10.1007/s11266-018-0006-y.
  • Fourier, Charles. (1996). The Theory of the Four Move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egg, Pauline. (2001). Free-Born John: A Biography of John Lilburne (Phoenix Press)
  • Harvey, Neil. (1998). The Chiapas Rebellion: The Struggle for Land and Democracy (Duke University Press)
  • Hill, Christopher. (1984).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Radical Ideas During the English Revolution (Penguin)
  • Hill, Christopher. (2006). Winstanley ‘The Law of Freedom’ and other Wri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yde, Lewis. (2010). Common as Air: Revolution, Art and Ownership (Farrar, Straus and Giroux)
  • Kennedy, Kennedy. (2008). Diggers, Levellers, and Agrarian Capitalism: Radical Political Thought in 17th Century England (Lexington Books)
  • Kostakis, Vasilis and Bauwens, Michel. (2014). Network Society and Future Scenarios for a Collaborative Economy.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wiki)
  • Leaming, Hugo P. (1995). Hidden Americans: Maroons of Virginia and the Carolinas (Routledge)
  • Linebaugh, Peter, and Marcus Rediker. (2000). The Many-Headed Hydra: Sailors, Slaves, Commoners, and the Hidden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Atlantic (Boston: Beacon Press)
  • Linebaugh, Peter. (2008). The Magna Carta Manifesto: Liberties and Commons for Al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Lummis, Douglas. (1997). Radical Democracy (Cornell University Press)
  • Fabien Locher, « Les pâturages de la guerre froide. Garrett Hardin et la Tragédie des communs », Revue d'histoire moderne et contemporainevol. 2013, no 1, 2013, p. 7-36. (abstractread online [PDF])
  • Fabien Locher, « Third World Pastures. The Historical Roots of the Commons Paradigm (1965-1990) », Quaderni Storicivol. 2013, no 1, 2013, p. 7-36. (read online [PDF]) (historical work based on Elinor Ostrom personal archives).
  • Mitchel, John Hanson. (1998). Trespassing: An Inquiry into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 (Perseus Books)
  • Neeson, J. M. (1996). Commoners: Common Right, Enclosure and Social Change in England, 1700–18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egri, Antonio, and Michael Hardt. (2009). Commonwealth.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60288
  • Newfont, Kathyn. (2012). Blue Ridge Commons: Environmental Activism and Forest History in Western North Carolina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 Patel, Raj. (2010). The Value of Nothing (Portobello Books)
  • Price, Richard, ed. (1979). Maroon Societies: Rebel Slave Communities in the America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Proudhon, Pierre-Joseph. (1994). What is Proper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xroth, Kenneth. (1974). Communalism: From Its Origins to the Twentieth Century (Seabury Press)
  • Rowe, Jonathan. (2013). Our Common Wealth: The Hidden Economy That Makes Everything Else Work (Berrett-Koehler)
  • Shantz, Jeff. (2013). Commonist Tendencies: Mutual Aid Beyond Communism. (Punctum)
  • Simon, Martin. (2014). Your Money or Your Life: time for both. Social Commons. (Freedom Favours)

External links[edit]

2020/06/15

北 협박 속… 범여 의원 173명은 “종전선언하자”

北 협박 속… 범여 의원 173명은 “종전선언하자”

北 협박 속… 범여 의원 173명은 “종전선언하자”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20.06.15. 오전 4:06

원본보기대북전단 살포를 빌미로 북한이 대남 비난을 맹렬히 퍼부어 남북 간 긴장이 높아진 14일 경기도 파주 임진각에서 관광객들이 독개다리를 바라보고 있다. 6·25전쟁 당시 끊어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다리다. 파주=서영희 기자
북한발 무력도발 위협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범여권 의원 173명이 15일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한반도 종전선언 촉구 결의안’을 발의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이 대표 발의하는 결의안은 당사국인 남·북·미·중이 종전선언을 조속히 실행함과 동시에 법적 구속력을 갖는 평화협정 체결 논의의 시작을 촉구했다.

또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성과 도출, 남북의 남북정상선언 내용 이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고통받는 남북 주민 지원을 위한 남북 협력을 요구하는 내용 등도 담겼다. 김 의원은 “종전선언은 북측이 원하는 체제 보장에 긍정적 시그널로 작동해 비핵화 협상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발의에는 이낙연 설훈 김한정 김홍걸 등 민주당 의원 168명과 정의당 배진교 이은주 의원, 열린민주당 최강욱 김진애 의원, 무소속 양정숙 의원 등 총 173명이 참여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현 상황에서 종전선언 촉구 결의안을 발의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비판했다. 배준영 통합당 대변인은 “불안한 국민을 위해 사태 수습 계획과 의지를 먼저 밝히는 것이 책임 있는 정부·여당의 자세”라고 논평했다.

무소속 윤상현 의원도 종전선언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고 주한미군 철수를 논의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반발했다.

윤 의원은 “종전선언은 불량 국가를 정상 국가로 공인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비약적인 위상 전환은 국가 핵 무력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국제사회로부터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를 사실상 공인받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13) Kang-nam Oh - 앞집 처녀 믿다가 장가 못 간다 -자주적 결단 ===== 미국 백인 경찰이 흑인 플로이드를...

(13) Kang-nam Oh - 앞집 처녀 믿다가 장가 못 간다 



Kang-nam Oh

2 hrs ·

앞집 처녀 믿다가 장가 못 간다



=====

미국 백인 경찰이 흑인 플로이드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그의 목을 눌러 질식사하게 하므로 미국 각지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5월25일에 일어난 일인데 시위 덕으로 미국 하원에서는 6월8일 경찰 개혁법을 통과시켰다.



2018년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영화 <Green Book>에 그려진 1962년대 미국 남부에서의 사정을 보면 그 당시 흑인들은 거의 인간 취급을 받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도 플로이드 사건에서 보듯이 흑인들이 올바른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도 그 때보다 나아진 것만은 사실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나마 이렇게 나아진 것은 백인들의 선심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흑인들 자신이 쟁취한 결과라는 점이다.

=============

앞집 예쁜 처녀가 당연히 내 마누라가 되어 내 팔자를 고쳐 주리라 잔뜩 기대하며 살았는데, 그 예쁜 처녀는 훌쩍 딴 데로 시집을 가버렸다. 어쩔 수 없이 나는 노총각 신세로 떨어지고 말았다. 누가 내 팔자를 고쳐 주리라 막연히 기다리지 말고, 자기 운명은 자기가 적극적으로 개척하라는 말이렷다.



미국 흑인들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아브라함 링컨이 흑인들을 노예 신분에서 해방시켜준 위대한 대통령이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히 알고 넘어가야 할 사실이 있다. 아브라함 링컨이 남북전쟁을 치룬 주목적이 결코 흑인들을 위해서가 아니었다고 하는 것이다. 링컨 자신의 말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싸움에서 나의 최대의 목적은 유니온(북미연합)을 살리자는 것이지 노예제도를 유지하려거나 없애려 하는 것이 아니다. 노예를 한 명도 해방시키지 않아도 유니온을 살릴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 더러는 해방시키고 더러는 그대로 둠으로 유니온을 살릴 수 있다면 그렇게도 하겠다."



흑인들에 대한 그의 생각은 그의 다음 발언에서 더욱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



"나는 어떤 형태로든 흑인종과 백인종의 사회적, 정치적 동등권을 이룩해야 한다고 하는 생각에 찬성할 마음도 없고 천성한 일도 없다는 사실, 그리고 흑인들에게 투표권이나 배심원이 될 자격을 준다거나 그들에게 공직을 감당하게 한다든가, 백인들과 결혼하게 한다는 생각에 찬성할 마음도 없고 찬성한 일도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천명하는 바이다. 덧붙여 말하고 싶은 것은, 흑인종과 백인종 사이에는 차이점이 너무나도 커서 내가 믿기로는 두 인종이 사회적, 정치적 동등권을 유지하면서 함께 산다고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인종이 함께 살 수 없지만 함께 살아야 할 경우라면 반드시 지위의 우열이 구분되어야 하겠고, 나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백인종에 부여된 우월권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에 동감하는 바이다." (James Cone, 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에서 인용.)



놀라운 사실이다. 다시 말하지만 흑인들이 오늘 미국에서 그나마 이 정도의 권리를 지니게 된 것도 따지고 보면 백인들의 선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흑인들 스스로가 노력해서 쟁취한 결과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정, 우리 민족의 앞날을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어느 나라한테 전시작전권까지 맡기고 우리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을 대신해 주리라는 기대를 너무 크게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작게는 개인의 장가가는 문제에서부터 크게는 민족과 국가의 장래에 이르기까지 앞집 처녀만 믿고 사는 의타적 태도를 버리고 모두 자주적으로 계획하고, 결정하고, 해결해 나갈 지혜와 용기가 필요한 것 아닌가.

83강길모, Jaesoon Park and 81 others

10 comments

6 shares

Like

Comment

Share

Comments

Chong Kim

Chong Kim 옳소. 건이 맞소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h

Chong Kim

Chong Kim 상론을 여기서 말할 수 없지만 남북 전쟁은 남부와 북부의 경제적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지 흑인의 해방을 위한 것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가령 북부는 흑은 노동력이 필요 했다든지.. 그리고 영국이 무역으로 남북을 이간 시킨 면도 있지요. 남부에서 농산물을 수입하고 공산품을 남부에 수출하면 북부가 타격을 받는 상황. 거의 모든 전쟁은 경제와 관련이 있다고 보면 틀림이 없음 . WW2, 6.25, 월남전 둥둥

3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h

CK Park

CK Park 맞습니다!

2

Hide or report this

Like

 · Reply · 1h

Chong Kim

Chong Kim 미국은 주기적으로 전쟁을 해야 산군복합체가 놀지 않고 돌아 갈 수 있습니다. Very dangerous !

알라딘: [전자책] 일대일로의 모든 것

알라딘: [전자책] 일대일로의 모든 것



일대일로의 모든 것  | 라메르(La Mer) 총서 3 epub

이창주 (지은이)서해문집2017-09-25





일대일로의 모든 것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

17,000원 15,300원 (마일리지850원)

전자책정가

11,900원

판매가



종이책 페이지수 288쪽, 약 18.3만자, 약 4.2만 단어





책소개



중국의 일대일로를 본격적으로 다룬 첫 책이 나왔다. 일대일로의 정확한 실체와 역사적 궤적, 전망을 도출하는 소장학자의 역량이 돋보이는 책이다. 저자는 시진핑, 리커창, 장가오리 등 일대일로와 직접 관련이 있는 중국 지도부의 연설문, 정부보고문, 발언 관련 기사를 집중 분석했다. 더불어 중국 내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현장답사와 함께 전문가와의 대담, 물류뿐만 아니라 외교 전문가, 중앙 지도층과도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리하여 일대일로에 대한 핵심 내용과 함께 특히 일대일로의 탄생 비화, 각 나라의 에너지 전략 프로젝트까지 경제, 정치, 외교 면에 걸친 구상과 전략을 치밀하게 분석했다. 이와 함께 우리에게 일대일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까지 제시했다.







목차

프롤로그



1. 일대일로란 무엇인가

1장 일대일로는 공간이다

고대 실크로드를 복원하다

중국 전 지역에서 시작하는 일대일로

일대일로는 어디까지인가

2장 일대일로는 5통이다

일대일로의 뼈대: 공간 네트워크 플랫폼

일대일로의 심장: 금융·융자 플랫폼

일대일로의 두뇌: 정책소통 플랫폼

3장 시진핑 시대, 일대일로의 탄생

일대일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일대일로는 어떻게 구체화되었는가

일대일로는 어떻게 글로벌 전략이 되었는가



2. 일대일로의 탄생 비화

1장 에너지 실크로드를 잡아라_ 각국의 실크로드 개발 프로젝트

강대국의 실크로드는 에너지 실크로드다

실크로드로 모여드는 자본

2장 실크로드 부활, 중국의 포석

에너지 안보를 위한 포석

1단계 세고취화(勢孤取和) _고립된 상황에서는 ‘평화’를 취하라

2단계 입계의완(入界宜緩) _적진에 들어갈 때는 신중하라

3단계 동수상응(動須相應) _지점 하나를 개발해도

전체 네트워크와 상응하게 하라

3장 일대일로의 시대가 열리다

중국의 서진, 중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를 연결하다

탄생 비화, 대륙과 해양의 만남



3. 일대일로의 미래 그리고 한국

1장 공간 개발 프로젝트, 유라시아를 넘어 세계로

네트워크로 연결하라

미국엔 위기, 중국엔 기회다

2장 우리에게 일대일로란?

변방이 중심이 되는 동북아시아 네트워크

한국의 동북아시아 균형 전략을 위한 제안



에필로그

부록·실크로드 공간 위의 국제정치

주요 용어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이창주 (지은이)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강사이자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중국 푸단대학교에서 외교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일대일로의 모든 것》, 《동북아 신 네트워크》 등이 있다.

최근작 : <일대일로의 모든 것>,<북방 루트 리포트>,<변방이 중심이 되는 동북아 신 네트워크> … 총 6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실크로드 부활, 일대일로의 시대가 열리다





척박한 실크로드 위로 자본이 흐른다. 그 자본이 흐르는 길에 인프라가 건설되고, 그 인프라를 따라 무역과 교류가 일어난다. 자본으로 비옥해진 실크로드 위로 잃어버렸던 산업과 문화의 생태계가 부활한다. 시진핑 시대의 ‘중국의 꿈(中國夢)’은 바로 실크로드 부활을 위한 일대일로에서 시작되었다.





일대일로는 현대판 실크로드다



일대일로는 ‘실크로드 경제 벨트’를 줄인 일대(一帶, one belt)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를 줄인 일로(一路, one road)가 합쳐진 말이다. 실크로드 경제 벨트는 내륙을 통한 연결,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는 해상을 통한 연결을 의미한다.



시진핑은 2013년 ‘실크로드 경제 벨트’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 그리고 중국 주도의 다자개발은행인 AIIB(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설립을 제안했다. 그가 제안한 것은 두 개의 선이 아닌 하나의 내륙-해양 복합형 입체 네트워크였다.





일대일로는 ‘공간에 뿌리를 둔 세계화’다



중국은 국제 인프라 건설, 무역과 투자 편리화 추진, 다원화된 글로벌 가치사슬 형성, FTA(자유무역협정)나 역내 경제공동체 구축을 통해 전 세계 범위로 일대일로를 추진하고 있다. 일대일로는 공간 네트워크라는 틀로 다양한 문명을 유기적으로 엮는 ‘공간 베이스의 자유무역지대’ 건설 구상이다. ‘금융 중심의 세계화’에서 한 단계 발전한 ‘공간에 뿌리를 둔 세계화’다.





일대일로는 협력의 ‘구상’이자 경쟁의 ‘전략’이다



일대일로는 공동 번영의 구상인 동시에 국가이익을 위한 전략이다. 이 새로운 형태의 세계화 안에는 중국의 인프라 건설시장, 에너지원, 해외시장, 위안화 국제화 공간 등을 개척하는 중국의 국가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개념이 들어 있다. 결국 ‘공동 건설’을 강조한 협력의 프레임이지만, 이 프레임 속에 각국의 국가 이익 확보 경쟁이 들어있다.



일대일로는 5통이다



5통은 정책구통(政策溝通), 시설련통(設施聯通), 무역창통(貿易暢通), 자금융통(資金融通), 민심상통(民心相通)을 말하며, 일대일로의 핵심 운영 메커니즘이다. 5통은 다시 세 개의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공간 네트워크 플랫폼(시설련통・무역창통・민심상통), 다른 말로 연계성이다. 둘째는 금융・융자 플랫폼(자금융통)이고, 셋째는 정책소통 플랫폼(정책구통・민심상통)이다. 공간 네트워크 플랫폼은 일대일로의 뼈대이자 혈맥, 금융・융자 플랫폼은 일대일로의 심장, 정책소통 플랫폼은 일대일로의 두뇌다.



일대일로는 한 개의 몸과 두 개의 날개 전략이다



일대일로는 세 가지 일체양익一體兩翼(한 개의 몸과 두 개의 날개) 전략으로 구성된다. 첫째, 중국 국내의 일체양익이다. 창장 강長江(양쯔 강) 경제 벨트를 하나의 몸으로 삼아 쓰촨 성에서 상하이에 이르는 서부-중부-동부를 연계하고 동부 연해와 서부대개발 지역을 두 날개로 활용하는 개발 전략을 개혁개방 초기부터 준비했다.

둘째, 유라시아・아프리카 버전의 일체양익이다. 중국은 동아시아 지역과 유라시아・아프리카 전반을 관통하는 고대 실크로드 라인을 한 몸으로 삼고, 환인도양과 환태평양 지역을 두 날개로 삼는 자유무역지대 구상을 마련했다.

셋째, 글로벌 버전 일체양익이다. 동아시아 전반을 하나의 몸으로, 왼쪽은 유라시아-환인도양-아프리카를 날개로 삼고 오른쪽은 환태평양-아메리카-대서양을 날개로 삼는다.



일대일로의 키워드는 에너지 자원, 해외시장 그리고 영향력이다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자원 확보와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것, 이것이 일대일로의 본질이다. ‘공간 베이스의 경제공동체’ 실현을 목표로 하지만, 결국은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수급, 인프라 건설 시장 확보, 상품 및 자본 시장 확보, 이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영향력 유지 등을 위한 본질적 종합전략인 셈이다.



일대일로는 국제개발 협력 프로젝트다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 주도의 다자개발은행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은 아시아 지역에 대한 개발을 주로 진행한다. 하지만 일본 주도의 아시아개발은행(ADB), 미국 주도의 세계은행(IBRD)과 협력해 기존의 개발 프로젝트는 물론 중국 수요에 맞는 신규 개발프로젝트도 함께 협력하며, 유럽의 유럽투자은행(EIB)이나 유럽부흥개발은행(EBRD)과 협력하기도 한다. 즉 동아시아를 주축으로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의 내부 개발 프로젝트와 연계하고 협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다.



일대일로는 국제개발 전략의 종합체다



일대일로는 외교, 경제, 물류, 금융, 지역 개발, 문화 교류 등의 영역이 총망라된 국제개발 전략의 종합체다. 일대일로를 국제사회에 제안한 사람은 시진핑이지만, 구상과 전략은 고대 실크로드, 미국의 마셜 플랜, 강대국의 에너지 개발 전략, 개혁개방 이후 역대 중국 지도부의 전략, 대외 국제사회의 대중국 전략의 변화가 함께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 산물이다.





우리에게 일대일로란



중국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대일로에서 세계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공간 베이스의 세계화’ 시대로 진화하고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은 한국에 단기적으로는 위기이고, 장기적으로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북방경제가 부활하고 있는 지금, 한국의 동북아시아 균형 전략을 위해 저자는 이렇게 제안한다. 하나, 다자개발은행을 설립하라. 둘, 동북아시아 내 거버넌스를 확립하라. 셋, 서울 중심에서 각 변방을 연계하는 구조로 바꿔라. 넷, 삼각축 해양 네트워크를 설계하라.





리뷰쓰기

공감순

   

‘일대일로의 모든 것‘을 읽고





 강대국의 조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는 '관용'이라고 한다. 다음은 현재 2강이라고 할 수 있는 강대국 지도자가 한 말이다. 그들의 생각을 비교해보자.

 '저는 큰 장벽을 건설할 것입니다. 누구도 저보다 잘 건설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큰 장벽을 우리의 남부국경에 건설할 것입니다. 멕시코가 그 비용을 지불하게끔 할 것입니다.'

 '일대일로는 개방되어 있습니다. 일대일로는 아프리카와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모멘트입니다. 관심있는 모든 국가는 일대일로 모멘트에 친구로 추가 가능합니다.'

 전자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 말이고 후자는 중국 시진핑 주석이 한 말이다. 어느 나라가 강대국의 면모인지는 별도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듯하다.

 그런데 요즘 '일대일로'라는 말이 자주 회자되고 있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 일대일로란 '실크로드 경제 벨트'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를 합친 중국의 신조어다. 실크로드 경제벨트에서 '일대'를 가져오고 21세기 해상실크로드에서 '일로'를 가져왔다. 중국 중심으로 육로와 해로를 선점하겠다는 공간에 뿌리를 둔 세계화이다. 네트워크의 개념이다. 이 책에서 이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풀어간다. 세상에는 세 가지 '간'이 있다고 한다. 인간, 시간, 공간이다. 사이라는 뜻의 한자 '간'은 양자 혹은 다자간의 틈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 틈을 매개로 관계를 형성하면 네트워크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사드문제로 최근 중국과 틈이 벌어졌다. 관계 형성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중국의 의도대로 무조건적 추종도 문제지만 관계형성에 실패하는 것도 우리의 입지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는 않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우리나라와 북한을 둘러싸고 중국, 미국, 러시아 및 일본이 틈새를 매개로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어느 한 쪽과 네트워크가 깨어진다는 것은 결국 균형의 붕괴를 낳고 통일대박의 꿈이 날아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난 여기서 중국의 치밀함과 무서움을 느낀다. 한때 동북공정이라고 해서 시간을 가지고 네트워크를 구축했었다. 그런데 그 이후 중국은 공간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다음은 인간일 것인데 이것도 준비하고 추진 중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이런 개념들은 연계될 것이다. '일대일로와 연계성은 서로 융합되어 가깝고, 상호 보완하며 형성된 것이다. 일대일로를 어시아의 비약하는 두 개의 날개로 비유한다면, 연계성은 그 두 개의 날개를 연결하는 혈맥과 같다.' 시진핑 주석의 이 말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라는 느낌이 팍팍 든다.

 장소와 장소을 연계하고 정책과 정책을 연계하며 사람과 사람을 연결한다. 점과 점, 선과 선, 면과 면 그리고 공간과 공간의 연결 그것이 일대일로이다. 중국 중심을 뜻하는 중화의 부활이다. 그러면 우리는 넋을 놓고 있어도 될까? 아래와 같이 준비해야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첫째, 한국 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플랫폼인 다자개발은행을 설립해야 한다. 둘째, 동북아시아 내 거버넌스를 확립하고, 셋째, 서울 중심에서 각 변방을 연계하는 구조로 바꿔야 한다. 문재인 정부에서 논의하고 있는 지방분권이 바로 이에 대한 시작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환황해경제권과 환동해경제권을 부산에 집중시키는 삼각축 해양네트워크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동남권 신공항과 해양금융중심지 지정 등 정치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들을 국가적으로 대승적 차원에서 얘기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심각한 위기에 처해져 있다. 미국은 보호무역 및 자국의 이익만을 위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고 일본은 자위권을 헌법 개정을 통해 발동시킴으로써 다시금 국력을 과시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붕괴된 구소련체제의 회복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게다가 중국은 일대일로를 통해 중화의 꿈을 꾸고 있는데 북한은 미사일만 날리고 우리는 허둥지둥 해왔다. 물론 정권이 바꼈고 지금 날려버린 시간에 대하여 만회하고 바로 고쳐나가고 있지만 '일대일로의 모든 것'이라는 책을 통하여 우리는 대한제국에서 일제강점기로 넘어갔던 그 시점의 우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 접기

보라돌이 2017-07-24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


123. 역사적 예수 네이버 블로그




좋은 책 읽기, 얕은 물 : 네이버 블로그




[역사적 예수] 제8장 인간예수는 누구인가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6장 예수 부활사건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5장 예수의 인식과 가르침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4장 하나님의 아들로 거듭남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3장 예수의 가계와 출생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2장 예수의 역사자료로서의 신약성경
2020. 6. 3.

[역사적 예수] 제1장 예수 이해의 역사적 배경
2020. 6. 3.

123. 역사적 예수
2020. 6. 3.

예수는 정말 부활했을까 < 리뷰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예수는 정말 부활했을까 < 리뷰 < 문화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예수는 정말 부활했을까



[책 소개] 김기흥 교수 <역사적 예수>(창비)



기자명 최승현 기자 승인 2017.04.14 19:25



SNS 기사보내기SNS 기사보내기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바로가기 메일보내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뒤로멈춤앞으로



"사람들 중에 신의 아들이 있을 수 있을까? 이 질문을 21세기에 상식을 가진 일반인들에게 던진다면 대개는 부정적으로 대답할 것이다." (3쪽)



















[뉴스앤조이-최승현 기자] 첫 문장부터 도전적으로 보이는 이 책은 한국 고대사 학자 김기흥 교수(건국대 사학과)가 2016년 12월 출간한 <역사적 예수>(창비)다. 그는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40년 동안 한국 고대사를 연구했으며, 고대사와 설화 연구를 주제로 저서를 남겼다. 비신학자인 그가 '역사적 예수'를 주제로 책을 썼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저자는 서문에서 모태신앙으로 태어나 지금까지 기독교를 신앙하고 있다고 밝힌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성경을 읽어 20여 회를 완독했으며, 7년 동안 200여 권의 예수 관련 서적을 읽었다고 한다. 역사적 예수 전문가 마커스 보그나 존 도미닉 크로산 같은 해외 유수 신학자들이 낸 연구서가 많은데, 일반 기독교인 사학자가 이 분야 책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은 인류 문명사에 대한 관심에서 수행한 한 위대한 선각자의 시체에 대한 역사학적 탐구이다. 동시에 20세기 후반 이래 가속화된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너무 빠르게 성장하여 비대해지고 노후화한 한국 기독교가 현대 사회에서 봉착한 딜레마에 대한 역사적 고민과, 40여 년 인문학을 공부해 온 학자로서 필자의 신앙적 정체성에 대한 점검의 산물이기도 하다." (7쪽)









저자는 신학적 인식에 기반한 신학자들의 연구와 달리, 사학자로서 역사학적 방법론으로 예수의 역사성에 접근했다고 밝힌다. "사실성에 근거해, 인과관계에 의해 설명 가능한 새로운 이해 체계"를 세우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청년 예수의 구도 과정, 하나님 아들로의 거듭남, 그리고 그가 이루어 간 하나님나라의 의미와 그의 정체성 등을 합리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했다고 말한다.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됐다. △예수 이해의 역사적 배경 △예수의 역사 자료로서의 신약성경 △예수의 가계와 출생 △하나님의 아들로 거듭남 △예수의 인식과 가르침 △예수 부활 사건 △예수의 칭호 △인간 예수는 누구인가. 각 장에서 신구약 중간기, 구약성서, 복음서 자료를 기초로 한 당대 상황을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예수가 나온 배경과 신약성경 집필 의도, 예수의 자의식과 부활 사건 등을 되돌아본다. 350여 쪽 분량의 서술은 마지막 8장 '인간 예수는 누구인가'에서 50쪽으로 정리된다. 각 장에서 살펴본 예수의 모습과 행적, 배경을 압축적으로 한눈에 돌아볼 수 있다.















<역사적 예수> / 김기흥 지음 / 창비 펴냄 / 532쪽 / 3만 원



저자는 예수의 행적을 소개하는 '블랙박스'인 성경을 조심스럽게 접근한다. 그는 아람어와 헬라어로 쓰이고 독일어, 영어를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성경 텍스트를 문자 그대로 신앙하는 것은 학문적 접근이 아니라고 본다. 그는 4복음서가 굉장히 난해한 자료라고 말한다. "신앙고백인 복음서를 중심으로 예수의 역사적 삶을 연구하는 일은, 그 자료들의 실상으로 보면 연구자들에게 고초와 좌절을 불러일으키는 악조건임이 분명하다"(63쪽).









책 곳곳에 있는 변형, 윤색, 재구성 같은 단어가 눈에 띈다. 마태복음은 마태가 쓴 것이 아니라는 주장에 동의 못 하는 교인이 많은 게 한국교회 현실이다. 하지만 그는 성경이 당시 상황을 곧이곧대로 받아 적은 책은 아니라고 한다. "추종자들은 부활했다는 예수를 자신들의 식견에 따라 자신들의 필요에 맞게 변형하기 시작했다. 만물에 대한 인식은 인식 주체에게 느껴진 일종의 인상일 수밖에 없다"(247쪽)와 같은 표현이 곳곳에 있다.









"(성경 곳곳에) 실명이 제시되는 등 확실한 근거가 있음을 말하는 듯하지만, 구체적 언급이 반드시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 아님은 역사 자료를 취급해 본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일이다"(297쪽)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복음서 내용에 근거한 예수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고도로 숙련된 연구자들이 다양한 방법론을 구사하며 조심스럽게 진행할 수밖에 없다"(49쪽)고 말한다.









사실 성경을 읽다 보면 여러 곳에서 진술이 엇갈리는 듯해 혼란스럽다. 저자가 6장에서 다루는 '예수 부활 사건'의 경우, 복음서에는 공통적으로 '빈 무덤'이라는 요소 외에는 모두 진술이 일치하지 않는다. 부활 후 제자들에게 나타난 장소도 복음서는 서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부활 사건 같은 경우, 저자는 예수가 당시 십자가에 매달려야 했던 상황을 먼저 돌아본다. 그 후 부활이 이스라엘 민족과 예수를 따르는 무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닐지, 왜 부활해야만 했는지 생각하게 한다. 문장들은 "~했을 것이다"로 이어진다. 죽은 후 무덤은 누가 열었는지, 빈 무덤의 목격자가 왜 서로 다른지, 신흥종교 교주로 몰려 죽은 예수의 시체가 과연 온전하게 장사될 수 있었을지 추측하며 과거에 접근한다. 상충하는 것처럼 보이는 네 복음서의 행간에서, 당시 초대교회 공동체의 신앙고백을 읽어 내는 작업이다.









그 결과, 저자가 내린 결론은 "부활 사건의 경험은 현장에서 일어난 일회적 사건의 순간적 목도에 기초한 것"이다. 저자는 예수의 육체적 부활을 사실이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많은 제자와 추종자들이 비교적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마음의 감동이나 꿈, 환시와 환청 등의) 여러 방식을 통해 경험하고 공감한, 다시 살아났다고 여겨진 예수와의 만남은, 그것 자체로 하나의 현상이며 사건으로 인정해야 할 일"이라고 한다. 나아가 이 현상이 곧 소멸되지 않고 오히려 그들이 새로운 종교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기에, 부활은 마땅히 역사적 사건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활을 바라보는 저자의 태도에서 그가 역사적 예수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단적으로 드러난다.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작, 마리아 막달레나에게 나타난 그리스도.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공용



저자는 방대한 자료와 성경 분석으로 예수의 행적을 되돌아본다. 그가 한국교회와 교인들에게 하는 말은 책의 가장 마지막 부분, 단 1쪽 분량이다. 현재로 다시 올라와 보자는 것이다. 저자는 결국 지금 우리에게 예수가 어떤 의미이고, 성경과 기록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묻는 듯하다. 기록된 사실을 곧이곧대로 믿는 방식으로 기독교 신앙을 지속할 것인가. 저자는 이제 그런 방식은 설득력이 없어졌다고 본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철 지난' 신학이다.









"2,000년 전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내세운 고대적인 대속 논리나 빈 무덤의 부활 등 비합리적이고 설화적인 내용, 일방적이고 편협한 교리와 신학 등은 이제 설득력이 거의 없어졌다고도 보인다. 서구로부터 시작되어 한국에서도 심화되고 있는 현대 그리스도교의 위기는, 교회가 변질되어 기존 그리스도교 교리와 신조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데서 비롯한 것도 있겠지만, 그 고대적 인식에 기초한 신학 자체가 현대사회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철 지난 것이 보다 근본적 원인일 것이다." (416쪽)









이것은 "사람들 중에 신의 아들이 있을 수 있을까? 이 질문을 21세기에 상식을 가진 일반인들에게 던진다면 대개는 부정적으로 대답할 것이다"라는 책 첫 문장과 대구를 이루는 것 같다. 그리고 우리가 어디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을지도 넌지시 내비친다.









"이같이 설득력을 잃은 고대·중세적 신학을 적당히 꾸며 재미있게 설파한다거나, 인간의 종교적 속성의 한 부분일 뿐인 신비 체험만을 강조한다거나, 늘 상당한 호응이 있기 마련인 기복과 긍정의 주술을 호기롭게 펼치거나, 자선이나 봉사 등 사회적·실천적 활용에만 과도하게 주력하거나, 심지어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신자들을 겁박하여 낡은 신학에 굴복시켜 목장의 양처럼 만든다고 해도, 그 생명력은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416~417쪽)









"답답한 시대에 종말적 이상을 앞당겨 실현하기 위해 자신을 못 박도록 내어 준 인간 예수의 정체와 가치를 아는 이들이, 기존의 것들에 안주하지 않고 자본의 위세에 억눌리고 정치·사회체제에서 소외되며 파괴되는 환경으로 위협받는 대다수 현대인들의 영육 간의 고통에 주목하여 희생까지 무릅쓰고 함께할 때, 비로소 희망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417쪽)









<역사적 예수>는 비신학자인 한 한국 기독교인이 사학자 관점에서 바라본 예수의 생애 기록이다. 이 책은, 부활절을 맞아 예수가 이 땅에 온 이유와 그의 생애를 되돌아보고 그의 부활이 예수 그 자신과 후대의 기독교인들,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인지 상기하는 기회를 줄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라딘: 생각하는 마르크스

알라딘: 생각하는 마르크스



생각하는 마르크스 -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 

백승욱 (지은이)북콤마2017-01-28







생각하는 마르크스



































































 미리보기

정가

19,500원

판매가

17,550원 (10%, 1,950원 할인)

마일리지

97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79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오늘(17~21시) 수령

최근 1주 88.2%(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772

 8.7100자평(2)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528쪽145*220mm719gISBN : 9791187572015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이벤트



계간 창작과 비평 창비 타블로이드



알라딘 오디오북! 책세상문고 <공산당선언> <에티카>



6월 특별 선물! 오로라 유리컵.본투리드 머들러(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자본주의는 늘 변신하고, 항상 새로운 과제와 시련에 직면한다. 마르크스가 ‘무엇’을 말했는지만 암송하고 마르크스가 ‘어떻게’ 사유했는지를 모른다면,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 머리로, 자기 판단으로 변하는 현실에 대응할 수 있을까. ≪논어≫에 나오는 말처럼, “외우기만 하고 사유하지 않으면 꽉 막히고, 머리만 굴리고 학습하려 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그래서 더욱 중요해지는 것은 마르크스의 사유 방식이다. 책은 그를 위해 입론인 ‘마르크스와 더불어 생각하기’ 장에서 ‘왜 마르크스식으로 사유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이야기한다. 그다음 ‘마르크스는 어떻게 자신의 사유 세계를 수립했는가’ 장에서는 ≪자본≫에 이르기 이전의 저작들을 통해 인식론적 단절의 함의를 살핀다. 그리고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장은 ≪자본≫에 입문할 때 도움이 되는 상세한 설계도이다.

목차

책머리에



마르크스와 더불어 생각하기



추상화할 수 있는 힘

분석, 세상을 부순 다음 다시 세우는 벽돌 쌓기

음표로 그려진 책 또는 벽돌로 지은 집

추상에서 구체로 진행해야 한다

물신숭배의 완성을 분석하기

세 가지 시간: 마르크스의 거울 1

마르크스는 왜 자신의 글을 계속 고쳐갔나

적어도 세 가지 시간이 있다

화폐: 마르크스의 거울 2

가치형태론에 등장한 거울

전지적 자리에 올라선 화폐

노동력: 거울이 아닌 적대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다니 이게 무슨 뜻일까?

생산력을 가진 존재가 노동자가 아니라 자본이라니?

재생산: 자본과 노동의 비대칭성

자본주의를 자본주의이게 하는 핵심 기제

자본주의적 재생산은 자동적이지 않다

개인적 소유: 마르크스의 미래 전망

사적 소유와 사회적 소유를 넘어선 개인적 소유

≪자본≫에서 출구를 찾는 일

리듬을 읽는 눈



마르크스는 어떻게 자신의 사유 세계를 수립했는가

: 인식론적 단절의 계기로서 <포이어바흐 테제>



프랑스혁명의 철학으로서 헤겔이라는 계기

포이어바흐에 의한 청년헤겔파의 구원

돌파구로서 포이어바흐, ≪헤겔 법철학 비판≫

파리에서 실제 ‘노동’을 만나다, ≪경제학?철학 수고≫

포이어바흐 테제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과 철학: 테제 11

시민사회론을 부정하다: 테제 9, 테제 10

실천의 유물론: 테제 5, 테제 8

관계의 존재론: 테제 1

저기 저쪽에서 여기 이쪽으로: 테제 7, 테제 4

‘사회적 관계들의 앙상블’: 테제 6

칸트 대 헤겔, ≪독일 이데올로기≫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자본≫을 이해하려면

‘(정치)경제학 비판’은 어떻게 다른가

개념적 구성물로서 ≪자본≫을 본다

≪자본≫ 집필 계획의 변경

≪자본 Ⅰ≫의 독해

시작의 어려움, 가치형태론

노동력 상품과 자본주의의 편향적 기술 진보(또는 불변자본 편향적 축적)

≪자본 Ⅱ≫·≪자본 Ⅲ≫의 독해

≪자본 Ⅱ≫와 자본주의 회계 제도

≪자본 Ⅱ≫에서 심화하는 정치경제학 비판

≪자본 Ⅲ≫과 이윤율의 ‘자본주의적 성격’

≪자본 Ⅲ≫에서 자본주의 신비화의 완성



노동·거울



숨겨진 자본주의 세계는 어떻게 드러나는가

: 마르크스와 사회적인 것



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의 갈래

사회적 관계의 존재론

중단된 기획으로서 소유의 문제 설정

소유론 차원에서의 단절과 연속

≪자본≫에서 소유의 문제 설정

푸코와 통치성: ‘자연화’의 질문

정치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의 삼중 공간

교환의 세 층위 또는 세 공간

사회적인 것은 물신숭배의 영역에서만 확인된다

사회성의 전도: 노동이 아니라 자본이 사회성을 대변한다

재생산의 ‘자연성’ 또는 재생산의 위기

‘자연성’으로 재생산이 문제없이 지속될 수 있을까

물신숭배적 구조의 재생산

사회적인 것의 또 다른 공간, ‘사회적인 것 2’

사회적인 것 1과 사회적인 것 2: das Gesellschaftliche와 das Soziale

사회적인 것 2에서 전개되는 ‘정치’



마르크스의 사유는 어떻게 확장되는가

: 발리바르와 ‘정치의 개조’



왜 발리바르인가?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까지

어떻게 정치의 종언으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을까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를 넘어

어떻게 동일화와 개인의 특이성이 동시에 제기될 수 있을까

프로이트

마르크스

스피노자

세계화라는 정세 조건

자본·노동 변증법이 마치 작동하지 않는 듯한 상황

정치의 개조 1: 인권의 정치

차이와 특이성에 기초한 정치는 어떻게 가능할까

정치의 개조 2: 시빌리테의 정치

탈동일화/동일화의 운동



마르크스의 난점과 공백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 과잉결정과 이데올로기



모순과 과잉결정

왜 과잉결정 개념이 제기되었는가

‘모순의 존재 조건이 모순 내부에 반영된다’

마르크스가 말하는 모순은 역사적 모순이다

이데올로기

실천으로서 이데올로기의 긍정성

‘이데올로기는 개인을 주체로 생산하다’

라캉의 상징계와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호명은 기능주의인가? 이데올로기의 바깥은 없는가?



자본·역사



인문, 마르크스에게 말걸기



인문

내가 타인의 해방을 위한 조건

나 자신, 타인, 구조

‘자기 스스로’라는 지점

스승과 부끄러움

마르크스

마르크스, 불귀의 점

마르크스의 질문들

정치경제 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

텍스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윤리

타인과의 관계

분노를 넘어서는 윤리

억압받는 자의 위엄

윤리 비판

비움이 쓸모가 된다

‘안 되는 줄 알면서도 행하려는 사람’

인간관계의 윤리

‘기여자起予者’

바리케이드 위에 서기

역사의 천사

벼랑에 서기가 아닌, 벼랑이 되기



참고 문헌

주요 개념어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마르크스의 사유라는 주제가 좀 엉뚱하게 들릴지 모르겠다.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7년 2월 9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백승욱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중국의 ‘단위체제’와 노동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빙엄튼 대학 페르낭브로델 센터 방문연구원, 한신대 중국지역학과 교수, 서섹스대학 글로벌정치경제연구센터 방문연구원, 사회진보연대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대 중국 사회의 변동, 세계체계 분석,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자본주의 역사강의≫, ≪세계화의 경계에 선 중국≫ 등이 있고, 역서로 ≪장기 20세기≫,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리영희를 함께 읽다>,<생각하는 마르크스>,<중국, 새로운 패러다임 (양장)> … 총 28종 (모두보기)

백승욱(지은이)의 말

“마르크스의 강점은 머리가 손보다 빨리 돌아간다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손이 책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머리는 자기가 쓰고 있는 책이 문제가 있다는 걸 재빨리 간파해서 어느 부분을 어떻게 고쳐야 할지 염두에 두다가, 손이 마침내 마침표를 찍자마자 다시 또 보완 작업을 위해 스스로를 내모는 것이다. 바로 다음 단락에서 앞에 쓴 글의 요지가 틀렸다고 비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마르크스가 없는 시대에 ‘마르크스식으로’ 건물 짓기는 가능할까?

그러려면 마르크스가 ‘무엇’을 말했는지보다 마르크스는 ‘어떻게’ 사유했는지를 알아야 한다.

마르크스의 사유 방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사유 체험,

암송하는 마르크스가 아니라 생각하는 마르크스,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가 우선이다.



◎ 책의 구성

마르크스의 저술은 처음부터 전체적인 조망 아래 기획된 완성된 프로젝트의 산물이 아니다. 마르크스가 끊임없는 자기비판의 길을 걸었기 때문에 저술들은 서로 심한 단층이 존재하는 심지어 모순적인 것이고, 미완의 것이다. 처음부터 완성된 전체적인 시각이 있다고 전제하는 후학의 생각 자체가 무리한 것이다. 이음새를 찾아 맞춰나가면 하나의 말끔한 유기체가 구성되리라는 추단 자체도 마르크스와는 동떨어진 것이다.

또한 자본주의는 늘 변신하고, 항상 새로운 과제와 시련에 직면한다. 마르크스가 ‘무엇’을 말했는지만 암송하고 마르크스가 ‘어떻게’ 사유했는지를 모른다면,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 머리로, 자기 판단으로 변하는 현실에 대응할 수 있을까. ≪논어≫에 나오는 말처럼, “외우기만 하고 사유하지 않으면 꽉 막히고, 머리만 굴리고 학습하려 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그래서 더욱 중요해지는 것은 마르크스의 사유 방식이다. 책은 그를 위해 입론인 ‘마르크스와 더불어 생각하기’ 장에서 ‘왜 마르크스식으로 사유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이야기한다. 그다음 ‘마르크스는 어떻게 자신의 사유 세계를 수립했는가’ 장에서는 ≪자본≫에 이르기 이전의 저작들을 통해 인식론적 단절의 함의를 살핀다. 그리고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장은 ≪자본≫에 입문할 때 도움이 되는 상세한 설계도이다.

책 중간의 깊이 읽기에 해당하는 두 개의 장 ‘숨겨진 자본주의 세계는 어떻게 드러나는가’와 ‘마르크스의 사유는 어떻게 확장되는가’는 마르크스가 수많은 난관을 ‘어떻게’ 돌파했는지를 다루면서 그의 사유 방식과 관계 설정 방법론을 여실히 보여준다.

앞의 ‘더불어 생각하기’가 마르크스의 어깨에 올라 앉아 마르크스가 걸어간 방향을 따라가면서 사유를 키워가는 과정이었다면, 두 깊이 읽기는 마르크스의 어깨에서 이제 내려와 그가 마무리하지 못한 영역으로 조금 들어가보는 작업이다. 마르크스가 제기했지만 본격적으로 분석하는 데 난점이 있던 이데올로기 문제를 다루고, ‘정치의 개조’라는 질문을 좀 더 근본적으로 살폈다. 여기서는 마르크스의 사유를 확장하려 한 두 지성, 발리바르와 알튀세르를 만나게 되고 그들의 문제 설정과 사유까지 함께 논의된다.

책 말미의 ‘인문, 마르크스에게 말걸기’ 장은 마르크스의 비판적 사유를 ‘인문’과 결합해 이해하려는 창구라 할 수 있다. 마르크스가 제기한 ‘해방’의 지평을 ‘윤리 비판’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면서 마르크스에게 어떤 논의가 부재한지를 다른 인문적 장과 비교해 이야기한다.



◎ 마르크스는 왜 자신의 글을 고쳐갔나

에스에프 영화를 보면 시간의 문이 열리는 장면에서 어느 순간 주인공만 빼고 주위의 모든 것이 정지해 있는 모습이 나온다. 우리는 자신만 빼고 세상의 모든 것이 멈춰 있다는 듯이 사회를 바라보는 데 익숙하다. 마르크스의 고민 중 하나는 사회를 그릴 때 정적인 이미지로 순간 포착을 하면서도 움직이는 측면까지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멈추어 있는 시간과 흘러가는 시간이라는 두 시간성을 어떻게 동시에 보여줄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그러니까 “텍스트의 저자는 사회를 분석하려 할 때 어떤 장면에서는 뭔가 정지되어 있는 스틸 신을 넣어 좀 더 해부학적으로 살펴보고, 또 어떤 장면에선 달려가는 신을 넣어 이번에는 움직이는 변화를 보여주려 했을 것이다.”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마르크스가 분석하기에 자본주의를 연구하려면 한편에는 거울이라는 정지 상태를 통해 시간이 고정된 그림 속에서 보여줘야 하는 뭔가가 있고(이를테면 화폐), 다른 한편에는 자본의 운동, 재생산처럼 시간 속 변화 국면에서 설명해야 하는 게 있다.”

마르크스의 글쓰기 여정이 수없이 반복된 다시 쓰기의 과정이었던 것은 그 때문이다. 그는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변화하는 관계를 역사 속에서, 움직이는 시간 속에서 어떻게 서술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그런 이상 독자는 상이한 시간성이 혼재되어 있는 ≪자본≫ 같은 텍스트를 만났을 때 어떻게 한 가닥씩 풀어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 적어도 세 가지 상이한 시간성이 중첩되어 있다

≪자본≫의 서술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시간대를 다루는 서술이 섞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마르크스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시간성을 결합하는 일에 공을 들였다.” ≪자본≫ 1권 1편은 가치형태론을 다루는데, 가치형태론은 화폐라는 ‘거울’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거울은 청년 마르크스가 좋아했던 메타포이기도 하다. “거울 메타포의 핵심은 바로 거울에는 시간이 없다는 것, 시간이 정지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고정되어 있는 시간, 운동과 역사가 없는 시간이다. 1권 ‘상품’ 장에서 거울을 통해 고정된 시간을 이야기한다. 그 이후에는 움직이는 시간성 속에서 ‘운동’을 준비하며 자본을 ‘역사’ 속으로 확장해 설명한다.

그런데 운동하는 시간성이라도 하더라도 그것은 단순한 ‘되풀이’가 아니다. 우리는 ‘되풀이’라는 말을 쓸 때 시간을 배제하는 큰 착각에 빠지기 쉬운데, 그것은 그 이면에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이 적절히 작동할 때만 지탱되는 것이다. 되풀이가 시간 속에서 진행되는 일임을 뒤늦게 아는 것은 그 관계가 위기에 처했을 때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되풀이를 깨는 좀 더 의외의 일이 발생하는 시간성을 상정할 필요가 생긴다. 마르크스는 되풀이를 깨는 갑작스러운 전환이나 변화에 대해서도 설명을 덧붙이려 했다.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다. “같은 움직이는 시간성이지만,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는 시간성이 하나 있고, 그와 달리 스토리가 반전되듯 기존 궤도를 벗어나 이탈하는 것처럼 보이는 또 하나의 변동의 시간성이 분기할 수 있다. 현실 속엔 그런 경우가 정말 발생한다.”

두 움직이는 시간성 중 전자를 마르크스는 ≪자본≫에서 재생산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려 하고, 후자인 또 하나의 두드러진 변동의 시간성은 계급투쟁이라는 말과 결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 시간성만이 계급투쟁의 특권적 장소는 아니며, 재생산 영역도 사회적 적대와 투쟁에 이미 연루되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만 마르크스는 이 두 번째 시간성의 역사적 변동의 특징을 그에 앞서 서술한 재생산의 논리로 환원해 설명될 수 없지만 또 그와 무관한 귀결로 가는 것도 아님을 강조하기 위해 계급투쟁이라는 측면을 더욱 부각한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자본≫을 읽을 때 적어도 세 가지 시간성을 만나게 된다.



◎ 정세: 변수가 생기는 순간 그림은 이미 달라져 있다. 상황은 유사해 보일지라도 판단은 달라져야 한다

지금 같은 격변의 시대에 마르크스의 부재는 ‘비판적 분석’의 공백으로 다가온다. 무엇보다 민중들과 맞서는 상대방에 대한 면밀한 탐색의 부재가 크게 다가온다. 또 자기 자신을 이 정세의 일부로 긴밀히 포함시킨 전제에서 출발해 정세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의 부재도 크게 느껴진다.

마르크스 자신이 기존 세계와 끊임없이 불화하고 싸웠던 사람이다. 마르크스의 분석처럼 자본주의의 재생산 순환과정은 엄밀하며 그 틈을 비집고 파고드는 것은 지난한 일이다. 싸움은 우선 정세와 세력 관계를 아는 것과 긴밀히 맞물려 있다. 정세를 분석하여 지금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마르크스 읽기가 기여할 것이다.

에스에프나 영화에서 “과거로 건너간 주인공이 문이 닫힌 나머지 현재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뒷산 약수터의 암벽에 갔다가 문을 발견했는데 다음에 다시 찾아가보면 아무리 기다려도 열리지 않는다는 상황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시간의 문은 정세에 관한 비유로 딱 어울려 보인다. 정해진 궤도에 따라 움직이며 결코 변하지 않을 것 같은 현실이지만 어딘가 개입할 수 있는 시간의 장소가 있다는 것이다. 그 장소는 일정한 방식으로 반복되지도 않고 똑같은 곳에 잠복해 있지도 않다. 지난번에 그렇게 싸워봐서 잘되었으니까 6개월 지난 지금 똑같은 곳에서 같은 방식으로 싸워보면 과연 잘될까. 정세는 절대로 되풀이되지 않는다. 변수가 생기는 순간 그림은 이미 달라져 있다. 그 순간 세력 관계를 다시 살펴봐야 한다.”

즉 ‘생각하는 마르크스’의 과제는 역사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시간과 공간 속에서 수행한 사유와 판단은 시간이 지나면 그 유효성이 상실될 수 있다. 상황은 유사해 보일지라도, 판단은 달라져야 한다. 그래서 ‘생각하는 마르크스’는 자기 자신에 대한 비판을 함유하며, 또 ‘정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한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8) 읽고 있어요 (2) 읽었어요 (8)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2% 10대 0.2%

9.4% 20대 6.9%

7.3% 30대 18.8%

8.2% 40대 24.3%

4.8% 50대 15.3%

0% 60대 4.6%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2)

전체 (2)

공감순

   

어떻게 살 것인가를 책을 통하여 배울 수 있으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습니다만 그래도 시작은 여기서 부터, 이렇게!  구매

들풀처럼 2017-02-17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르크스 사유의 전개와 그 특징을 명료하게 설명한다. 특히, <포이허바흐 테제>의 저자 독해가 인상 깊다.  구매

wonderkid 2019-10-23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마이리뷰] 생각하는 마르크스 새창으로 보기 구매

물신성이란 개념의 중요성!

hiphop99dan 2018-01-04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