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4

09 Toshihiko Izutsu’s Legacy for Comparative Religion

 

INTELLECTUAL DISCOURSE, 2009

VOL 17, NO 2, 147-158

The Significance of Toshihiko Izutsu’s Legacy for Comparative Religion

Kojiro Nakamura*

Abstract: Toshihiko Izutsu explored the Oriental philosophies and clarified their comprehensive structural framework by using comparative philosophy and linguistic philosophy. Izutsu made three contributions that are deemed especially crucial to the study of comparative religion. 

  • First, the attitude of empathy he proposed and applied to himself, and his strict methodology of semantics in interpreting philosophical texts. This attitude is also important when one is trying to understand the faith of others. 
  • Second, his delineation of the scheme of the basic structure of Oriental philosophy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 Third, his study of Oriental (mystical) philosophy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mysticism.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which remain to be addressed in comparative religion.

Keywords:  Oriental philosophy,  Zen,  articulation,  Sufism,  mysticism, comparative religion,  comparative philosophy

*Kojiro Nakamura is Professor Emeritus at the Department of Islamic Studies, Faculty of Letters, University of Tokyo, Japan. E-mail: nakakoji@m3.gyao.ne.jp.

                  INTELLECTUAL DISCOURSEVOL 17, NO 2, 2009


In understanding Izutsu’s academic legacy, there are four points to bear in mind.


 The first is Izutsu’s relation to Buddhism, particularly Zen Buddhism. His father was a practicing lay Zen Buddhist, and Izutsu was strictly taught by his father to read Chinese classics in this field and to practice Zen meditation beginning in his childhood. Later he became interested in Western literature and culture, in reaction to this Orientalism of his family, and he went so far as to write a book in two parts in Japanese on ancient Greek mysticism. This is one of the titles he wrote in his twenties.1 Incredibly he wrote the second part of it, while bedridden with a serious illness. However, his implicit inner attachment to Buddhism, or something spiritual,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the main subject of the work was mysticism in ancient Greek thought. Since Zen is a type of mysticism in Izutsu’s view, this concern with mysticism continued to influence his later interest in Oriental philosophy at large.

The second point to bear in mind is his interest in language, which led him to get involved in the study of linguistics, especially semantics, linguistic philosophy and semiotics. Because of his extraordinary memory, he is said to have mastered more than twenty languages, and he showed particular interest in difficult languages as Arabic and Sanskrit, rather than modern Western languages.

He also reportedly read through the whole Qur´Én in Arabic only a month after he finished the Arabic grammar. This linguistic talen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from inside of such major traditions of Oriental philosophy as Islamic mystical philosophy, Indian philosophy and Chinese philosophy, through his own philological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s and sources.

His interest in language may also be traced back to Zen Buddhism, according to which the ultimate Truth (Satori, or Enlightenment) cannot be grasped by language (reason), or intellectual learning, but should be directly and personally experienced.  Thus the practice - especially sitting cross-legged in meditation (zazen) - is emphasised, as is often said, “Not to depend upon words (HuryË monji ),” and “No scriptures to rely upon (Kyoge betsuden).” In other words, a word or name (signifiant) is conventionally believed to have a fixed, delimited meaning or substance (signifié), exactly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object. This hypostatisation of the named or the semantic content is radically denied in Zen Buddhism, and the voidness of all things is advocated instead. This unique view of language, which is more or less commonly shared by MahÉyÉna Buddhism in general, may have aroused his interest in linguistics.2

Incidentally, being dissatisfied with traditional linguistics which deals with the language phenomena (langue) only at the surface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as a social institution, he drew attention to the deepest level of subconsciousness, called the Ólaya (Storehouse) - Consciousness in the YogÉcÉra School of Buddhism, and proposed to see the source of the language-producing process and called it the “Language -Ólaya - Consciousness.”3

The third point to be considered is his inclination towards postmodernism, namely, the current of the contemporary new thought since Ferdinand de Saussure, represented by Roland Barthes, Jacque Lacan, and Jacque Derrida. Izutsu had a personal acquaintance with Derrida, about whom he says, “The ‘deconstructed’ world as depicted by Derrida is … anything but stable, constant and solid, and all is floating. This image - experience of his is, I find, the most interesting point of his thought. For this is the world, according to the Buddhist viewpoint, to be seen in contemplation next to the stage of the annihilation of the ten thousand things.”4 Izutsu also wrote, “I think mysticism in general is in a sense an operation of déconstruction in the traditional religion.”5 These words evidently show a close affinity between the thought of déconstruction and Buddhism, and Oriental thought at large.

The fourth and final point is his interest in comparative philosophy. According to Izutsu, it was at a low ebb at that time, due to a lack of systematic methodology. In order to make this field of study truly successful,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mmon basis for comparison, namely, the “meta-philosophy” of philosophies. As the first step, he explored the basic structure of all the Oriental philosophy. Thus, he started “a careful semantic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key-concepts of each philosophical system.”6 Behind this interest in comparative philosophy, we see his existential concern with the uniqueness and present-day significance of Oriental philosophy, at the time when the traditional paradigm of  Western civilisation “began to show bankruptcy in various aspects.”7

This thought seems to have been strengthened after 1967, when he began to participate in the Eranos Conference in Switzerland and give lectures on Oriental philosophy. He came back to Japan from Iran after the Revolution in 1979, and he wrote, seemingly more assiduously, many books and articles in Japanese on Oriental thought and its significance.

At this juncture, the name of Daisetsu Suzuki (1870-1966) comes to mind. He was a great Zen master and scholar, who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Zen Buddhism widely to the West by writing many books and essays on Zen in English. He also asserted the limitation of Western civilisation based on ego-centrism and the subject-object dichotomy in cognition (Hunbetsu) or discursive thinking. Furthermore he stressed the significance of the Zen Buddhist state of “consciousness of nothing” (Muhunbetsu) or the metaphysical state of emptiness and nothingness (Muga, or Non-ego). In passing, Suzuki’s friend and world-famous philosopher, Kitaro Nishida (18701945) is well known for his unique philosophical system, constructed upon this Zen experience (“pure experience”) in Western philosophical terms and methods.

Izutsu and Suzuki apparently shared the same concern in this way, but they differed greatly in their styles of expression and presentation. On the one hand, Suzuki taught directly the unique logic of Zen Buddhism as Oriental religion and its present-day significance, that is, Sokuhi no ronri, or the logic of “Identity of contradiction,” namely, “A is A, because A is non-A.”  On the other hand, Izutsu explored the inner structure common to the various schools of Oriental philosophy at large, including Zen Buddhism, by way of comparison based on strict methodology. Thus, Izutsu, as an Oriental intellectual, provided more systematic, general and persuasive arguments and clarified to the Westerners the importance of Oriental philosophy.

The Basic Structure of Oriental Philosophy

Izutsu studied the various systems of Oriental philosophy one by one with a view to constructing their meta-philosophy. The basic structure was already shown in his early English work published in two volumes in 1966-67, entitl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Key Philosophical Concepts in Sufism and Taoism, a comparative study of Ibn ÑArabÊ, Lao-Tzu, and Chuang-Tzu.8

Both Sufism and Taoism contend that there is a five-layered structure of being, the first layer of which is called “an absolute Mystery” or “Zero-point of being,” meaning the absolutely unknown-unknowable stage transcending all differentiation, articulation and limitation (AÍad, WujËd, Mystery of Mysteries, Chaos). It is the world of voidness or nothingness, not in the sense of nihil or vacuum, contrary to existence or being; it is the world beyond both existence and non-existence. It is the world of plenitude, full of energy, with no name and thus chaotic. There are, under this first layer, four levels, the last of which is the phenomenal world. Each layer is the process of the ontological evolution, selfmanifestation or articulation of the first absolute Mystery. In this sense all beings are ultimately one.

The layers or strata, according to Ibn ÑArabÊ, are:

1.       The stage of the Essence (the absolute Mystery, abysmal Darkness),

2.       The stage of the Divine Attributes and Names (the stage of Divinity),

3.       The stage of the Divine Actions (the stage of Lordship), 4.         The stage of Images and Similarities,

         5.    The sensible world.

And according to Lao-Tzu, they are:

1.       Mystery of Mysteries,

2.       Non-Being (Nothing, or Nameless),

3.       One,

4.       Being (Heaven and Earth),

5.       The ten thousand things.9

Such a change of external reality corresponds to the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of human consciousness and cognition. Thus, the world of “an absolute Mystery” is the state where the egoconsciousness and the subject-object dichotomy in cognition have completely disappeared together with all differentiation and multiplicity, and all is unified. In classical Sufism, this is usually called “fanÉ´ (annihilation [of ego-consciousness]) or “fanÉ´alfanÉ´.”

The above-mentioned manifestation of “an absolute Mystery” down to the phenomenal world goes along with the downward change of consciousness from the state of unity, or the “consciousness of nothing” to the ordinary state of consciousness, namely, consciousness of something. This descending change of consciousness naturally presupposes and runs parallel with the ascending movement from the ordinary consciousnes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ll this corresponds to the change of the external reality. Izutsu shows this process in the following diagram:10

Non-articulation


Articulation(1)                                                   Articulation(2)




“Articulation(1)” means the ordinary world divided and ordered by words and concepts, or the world of logos, while “Nonarticulation” is the world of no distinction of subject and object, the world of “an absolute Mystery,” nothingness and chaos, transcending the differentiation and limitation by words and concepts. It is the world of Reality where all is one, seamless and transparent. This state turns back and goes down again to “Articulation(2)” before long and the subject-object division becomes reinstated.

Although it comes back to the ordinary world of differentiation, however, it does not return to the same state as it was before. After the strong experience of non-articulation and oneness where all is united, a radical change is produced in human consciousness. Even though one is back to the world of verbal and semantic divisions, he does not see the differentiation and conceptualisation by words and names as absolute, solid and permanent any more. He regards it rather as provisional, and there remains the vision of unity of the whole multiplied world and reality. “The result is that they (namely, all things)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fuse into one another. Every single thing, while being a limited, particular thing, can be and is anything; indeed it is all other things.”11 “All things are articulated and non-articulated at the same time.”12 This is what is called “Muhunbetsu no hunbetsu” (Conceptual thinking of non-thinking) in Zen Buddhism (See the aforementioned Sokuhi no ronri, namely, “A is A, because A is non-A”) and “baqÉ´” (remaining) in classical Sufism. This is the basic structure of Oriental philosophy as presented by Izutsu. Although the concrete terminology and detail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raditions of philosophy, the main framework remains the same, as Izutsu remarkably shows in the metaphilosophical terminology of articulat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Oriental philosophy is the way or the methodology of discipline and practice prepared for reaching the goal of non-articulation, such as the “Mystical ladder” (maqÉmÉt) in Sufism and the direct training system of novices by the masters,  for normally it is not possible to reach such an “extraordinary” state naturally, but only through human effort and exercise.

Izutsu’s Legacy and Comparative Relig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mparative philosophy and comparative religion or the history of religions in goal and methodology, but there are also common elements, one of which is the researcher’s attitude in approaching the subject of study and understanding. Izutsu explains his study of Ibn ÑArabÊ and Lao-Tzu’s mystical philosophy as follows:

I emphasised the necessity of our approaching the subject with an attitude of ‘empathy,’ a particular kind of sympathetic intention, by which alone we could at all hope to reach the personal existential depth from which the thought wells forth. Exactly the same attitude is required with regard to Lao-Tzu.13

This internal approach is also extremely important for the study of comparative religion as well a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dialogue among religions. In comparative religion, the objectivity of study has been emphasised in an attempt to demonstrate its difference and independence from theology from its inception in the 19th Century in Europe. Nowadays, there is even a reductionist tendency to deny the proper nature (sui generis) of religious phenomena, and thus the identity of comparative religion itself. However, even though objectivity is necessary in the study of religions, the internal empathetic approach is basically very important as well. In this regard, Izutsu’s methodology is extremely significant, and there are many things we should learn from it.

Next, comparison is a common basic method in both comparative philosophy and comparative religion. For this purpose, a common language (meta-philosophy) is necessary as a standard for comparison, and Izutsu explored it for Oriental philosophy as mentioned before. The same is true with comparative religion. In this latter case, however, religions of the world are so many and so complex that, apart from the established religions, there are ambiguous phenomena which are difficult to classify into religion. Thus, a standard is needed to select a religion for comparison. This


standard is called the “hypothetical definition” of religion which is totally provisional and different from the final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religion?” posited as the ultimate goal of comparative religion. For this reason, it is called the “hypothetical definition.” Since it is temporal, it becomes more minute and closer to reality as the study of religion progresses and our understanding of it becomes deeper.

At any rate, this hypothetical definition is supposed to apply to all religions and become a common language and standard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In this sense, the inner structure of Oriental philosophy which Izutsu presented as meta-philosophy gives a very useful suggestion to comparative religion. Furthermore, when limited to Oriental philosophy, Izutsu’s framework can become a common standard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dialogue. For example, bearing the previous-mentioned diagram in mind, Muslims can approach Zen Buddhists of Japan and Taoists of China by checking the key terms and concepts of their partner’s thinking which correspond to those of Ibn ÑArabÊ’s mystical thought.

In the case of Ibn ÑArabÊ, though, the orthodoxy of his thought may be a problem for some Muslims. In fact, he was often accused of being unorthodox. This has to do with another important question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Unless we take the position that mysticism is the highest type of religions, as suggested by Frithjof Schuon, we have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mystic and nonmystic religions as two different, but equal expressions of faith. However, since Izutsu, as a comparative philosopher, does not dwell upon this matter extensively, we will not argue the problem any further here. All we can say at this juncture is that we need some sort of typology of religions, such as “mystical” and “prophetic,”14 “mystical” and “numinous,”15 “mystical or ontological” and “ethical or moral,”16 and “interiority” type and “confrontation” type.17 The important thing, however, is what Izutsu calls an “empathetic” approach and a tolerant attitude, namely,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from inside, or from their own standpoint on the same common ground, rather than to see others from one’s own viewpoint. Only in this way will mutual understanding and dialogue among religions and sects be possible. In Japan a high level of dialogue between Buddhists and Christians has already begun, but unfortunately such a dialogue has not been attempted with Muslims yet. The results of Izutsu’s efforts would be very useful for improving this situation.

Third, what Izutsu calls “Oriental philosophy” is actually mystical philosophy, namely, the philosophical, conceptual expression of mystical experience. If so, his academic achievements ar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religious mysticism. For example, he stressed mysticism as a complex phenomenon consisting of both ascending (anabasis) and descending (katabasis) ways. This comprehensive approach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udy of mysticism has been mainly concerned with the ascending way to the goal of mystical experience.

The next is his attempt to formulate a typology of mysticism. He discussed two types. One is the mysticism of love toward a personal God, the Absolute, represented by Junayd (d. 910) of Islam and RÉmÉnuja (d. 1137) of India. The other is the mysticism of the union with the impersonal Absolute Being and of self-deification, represented by AbË YazÊd BastÉmÊ (d. 874 or 877) of Islam and Shankara (d. ca. 750) of India. Izutsu gave another classification of mysticism. One is atheistic or non-theistic mysticism (Brahmanism, MahÉyÉna Buddhism, including Zen), and the other is theistic mysticism. The latter is further classified into polytheistic mysticism (Shamanism) and monotheistic mysticism.

This latter typology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ormer. That is to say, one takes the absolute impersonal non-articulate mystical experience transcending the subject-object bifurcation as the ultimate state, while the other asserts that the true personal relation of love is only realisable after that impersonal mystical experience. The former is represented by Ibn ÑArabÊ and the latter by Junayd in the case of Islam. The difference, however, seems to be merely that of emphasis. If we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this way, we may probably expect a new vista of possibility for solving the problem of Ibn ÑArabÊ’s orthodoxy in that direction.  Unfortunately, Izutsu did not elaborate on this problem.

At this juncture, the name of another polyglot scholar and perennialist, the aforementioned Frithjof Schuon (1907-1998) of Switzerland who belonged to the same generation as Izutsu,18 comes to mind. He was admitted into the ÑAlawÊ ØËfÊ ÙarÊqah (Order) by the founder, Shaykh AÍmad ÑAlÉwÊ (1869-1934) himself and given the Muslim name, ÑÔsÉ NËr al-DÊn Ahmad. Schuon also studied many other religions and asserted the transcendent unity of all religions in their inner deepest essence,19 calling it “philosophia perennis.20 This does not mean the unity in the actual visible phenomenal state of religions, but in the unknowable absolute Truth, transcending verbal expressions and forms, which they universally share. Schuon calls the former “exoterism,” and the latter “esoterism.”

Schuon and Izutsu both showed a major interest in mysticism, but the former expressed it as “Esoterism,” and the latter “Oriental philosophy.” What is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There may have been a difference in personal existential inclination. Izutsu’s concern might have been to assert as an Oriental intellectual the uniqueness of Oriental philosophy against Western philosophy, while Schuon’s was to search for his own identity as a Western intellectual facing the problems of modernity after “the death of God.”

Conclusion

In the foregoing, we have discussed part of Izutsu’s academic achievements. His major concern was to study Oriental philosophy and clarify its comprehensive structural framework by comparative philosophy and linguistic philosophy. He read the original texts of philosophical Sufism,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Zen Buddhism), Jewish Kabbalism, Vedantine philosophy, Taoist philosophy of Lao-Tzu, Chuang-Tzu, and others.

This framework is significant for the study of mysticism as part of the human religious phenomenon. While mystical experience has so far been stressed and the discussions mostly tend to turn around it, he also emphasised the transformed state of post-experience consciousness and its influence in daily life.

Furthermore, his scheme also serves not only as a navigator for correct understanding in the labyrinth of Oriental philosophy, but also for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m. It is the first premise of comparative religion and mutual understanding to have a common basis, and here we have one. Whether a theist or a non-theist, unless both sides mutually admit that they stand on  common ground, any meaningful dialogue or understanding is not possible. A Zen Buddhist can explain his teachings according to Izutsu’s framework to a Sufi of the Ibn ÑArabÊ school and vice versa. Also important in this connection is Izutsu’s proposed attitude of empathy as well as his strict methodology of semantics in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texts.

But the problem is how to find a common framework or metalanguage between the “Oriental” (or mystical) and non-“Oriental” (or non-mystical) schools (sects) and religions. Another question is how to incorporate the faith of the common people in the total understanding of religion, since philosophy is not religion. But these are problems rather for comparative religionists, or historians of religion.

Notes

1.      It was published in two separate parts: one is entitled “Natural Mysticismand Ancient Greece” and the other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Greek Mysticism.” Both are collected into Selected Works, Vol. I, under the title “Mystical Philosophy.” See Toshihiko Izutsu, Selected Works of Toshihiko Izutsu, 11 vols. (Tokyo: Chuokoronsha, 1991-1993).

2.      Worth mentioning here is one of his earliest English works, Toshihiko Izutsu,Language and Magic: Studies in the Magical Function of Speech (Tokyo: Keio University, 1956).

3.      Izutsu, Selected Works, vol. ix, 68.

4.      Ibid., Supplement, 236.

5.      Ibid., vol. ix, 460.

6.      Toshihiko Izutsu, The Concept and Reality of Existence (Tokyo: The Keio Institute of Cultural and Linguistic Studies, 1971), 36.

7.      Izutsu, Selected Works, Supplement, 53.

8.      This work was later republished with revisions under a new title, Sufism and Taoism: A Comparative Study of Key Philosophical Concepts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9.      Toshihiko Izutsu, A Comparative Study of the Key Philosophical Concepts in Sufism and Taoism: Ibn ÑArabÊ and Lao-Tzu, Chuang-Tzu, 2 vols. (Tokyo: The Keio Institute of Cultural and Linguistic Studies, 1966-67), vol. ii, 203; idem, Sufism and Taoism, 481.

10.  Toshihiko Izutsu, Selected Works, vol. vi, 120; idem, Toward a Philosophy of Zen Buddhism (Boulder: PrajñÉ Press, 1982), 145.

11.  Izutsu, Toward a Philosophy of Zen Buddhism, 128.

12.  Ibid., 127.

13.  Izutsu, A Comparative Study of the Key Philosophical Concepts in Sufism and Taoism, vol. ii, 9. This part is deleted in the new edition, Sufism and Taoism, but I do not think this deletion reflects a change in his view.

14.  Friedrich Heiler, Prayer: A Study in the History and Psychology of Religion (Oxford: Oneworld Publications, 1932), ch. vi.

15.  Ninian Smart, World Religions: A Dialogue (Pelican Books, 1966), 27.

16.  P. Tillich, 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World Religion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54; idem, Dynamics of Faith (New York: Harper & Row, 1958), 56.

17.  L. Peter Berger, ed., The Other Side of God: A Polarity in World Religions (Garden City: Anchor Press/Doubleday, 1981).

18.  Jean-Baptiste Aymard, P. Laude, Frithjof Schuon: Life and Teaching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4).

19.  Frithjof Schuon, The Transcendent Unity of Religions (Wheaton: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93).

20.  Frithjof Schuon, Islam and the Perennial Philosophy (World of Islam Festival Publishing, 1976), 195. He also calls it “sophia perennis.” Interestingly enough, Izutsu also used this term once as far as I know. See, Izutsu, A Comparative Study of the Key Philosophical Concepts in Sufism and Taoism, vol. ii, 191; idem, Sufism and Taoism: A Comparative Study of Key Philosophical Concepts, 4.

21.   

알라딘: 감각의 역사 진중권 (지은이)창비2019

손민석
Favourites  · 11lSp25hore  · 
진중권의 저작 중에 가장 학술적 성격이 강한 저작은 <감각의 역사>(창비, 2019)이다. 그는 이 책에서 서구철학의 이성 중심주의에 의해 억압받아온 감각의 역사를 재구성함으로써 그가 제기한 '디지털 미학'의 역사적, 철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종의 서론격인 저작이지만 그 학문적 기획 자체는 상당히 야심만만한 것이라 생각한다. 서구지성사 전체를 감각이라는 키워드로 뒤엎으면서 동시에 디지털 미학 개념을 정초하여 앞으로 있을 '신체의 기계화' 혹은 '감각의 확장'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조응하는 미학을 제시하고자 하는 기획이 야심만만하지 않을 수가. 

 그의 이런 야심만만한 기획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 대한 서평은 내가 검색한 바로는 단 하나도 없었으며 심지어 인터넷에서의 서평글조차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심지어 출판사인 창비쪽에서 나온 진지한 서평글 하나도 없었다. 조국사태가 터지고 진중권이 본격적인 비판에 나선 2019년이라 그런 걸까? 진중권 개인의 사회비평, 정치적 발언이 차지하는 놀라운 비중을 고려한다면 그의 학술적 능력은 그에 상응하는 저평가, 무관심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진중권한테도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나는 그의 서양철학사에 대한 이해에 회의를 많이 느낀다. 서양철학이 이성중심주의, 정신중심주의를 내세우며 감각을 배제했다는 그의 비판 자체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 너무 평면화된 비판이라 생각한다. 

 또한 데카르트부터 시작한 서양철학의 이성중심주의 기획이 부르주아 사회의 발전과 어느정도 관계가 있는 것은 맞지만, 그에 대한 '미학'적 비판이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치적 등장으로 인한 것이라는 식의 발언을 보면 상당히 도식적이라는 느낌을 지우기가 어렵다. 부르주아 - 이성중심주의, '산업'프롤레타리아트(그가 "산업"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것에서 이미 그것이 과거의 것이라는 뉘앙스를 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 미학, 그러면 현대 디지털화에 대응하는 주체와 미학은 무엇인가? 그가 본격적으로 논하고 싶은 지점은 이 부분이라 보는데 앞의 구분이 지나치게 도식적이라 이분이 아직 과거의 '소비에트 미학'에서 좀 벗어나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종종 들었다. 

 끝까지 읽지는 못했지만 좀 아쉬운 저작. 미학기획보다 정치적 비판에 더 열을 올리는 상황에서 후속작업이 완성되리라 기대하기는 조금 어려워 보이지만.. 미학 전공자가 좀 비평글을 썼으면 좋겠다. 이게 또 진중권 싫어하는 사람들이 내 글을 읽고 신난다고 석사 어쩌고 하면서 비난하던데.. 그러지 좀 말자. 나와 생각이 달라서 그렇지, 학자로서 나름대로 이론서 쓴거다. 나는 그런 구도가 식상해서 그냥저냥인 것이지, 읽기 나쁘지 않다. 너무 좀 욕하지 말자.


알라딘: 감각의 역사


감각의 역사   
진중권 (지은이)창비2019-09-30

정가
25,000원
전자책
17,500원 

524쪽

편집장의 선택

"진중권 교수 '감각학 3부작'의 서막"
<크로스: 정재승+진중권>,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등 전작들에서 쉽고 재미있는 글쓰기를 선보였던 그가 이번엔 전공을 살린 묵직한 지적 탐구로 돌아왔다. 깊이 있는 미학서를 원했던 독자들에겐 반가운 소식이다.

'감각론'이 익숙한 용어는 아니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지각하는 인간 감각에 대한 탐구는 그 기원을 철학의 시작과 함께하지만, 철학이 이성중심주의로 흐르는 분위기 속에서 도외시되어왔다. 이에 진중권 교수는 철학적으로만 탐구 가능한 감각의 특성을 제시하며 감각론의 부활을 요구한다. 감각학 3부작의 첫 권인 <감각의 역사>는 그 잊힌 역사를 복원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번 감각학 3부작은 그간 미적 영역에만 국한되어 있던 미학의 한계를 넓혀 감각론을 통한 사회적 이해까지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시작으로서 <감각의 역사>에서 다진 이해와 통찰은 후에 <감각의 미학사>, <감각의 사회학>으로 뻗어나가는 논의의 굄돌 역할을 한다고 하니, 더 중요한 의미를 갖겠다. 진중권 교수가 안내하는 장대한 지적 여정의 시발점이다.
- 인문 MD 김경영 (2019.09.10)


책소개

진중권이 야심차게 선보이는 ‘감각학 3부작’의 시작이다. 미학에서 감각학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대기획의 첫걸음으로서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감각의 탄생과 망각, 부활을 아우르는 인류의 지적 여정을 밝히는 이 책은 『감각의 미술사』 『감각의 사회학』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의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인류 지성사의 발전과 함께 변천을 거듭해온 감각학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총 10부 35장에 걸쳐 간결하고 명료하게 정리한다. 저자는 주요 논문과 고전들을 방대하게 인용하고 가로지르며 그 장대한 철학사의 흐름을 한 호흡으로 써내려가는 쉽지 않은 작업을 완수해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인간의 감각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한편 감각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안목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감각학으로서 미학
일러두기
들어가며 감각론의 역사적 전개

1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의 감각론
01 진리와 속견: 파르메니데스
02 유사가 유사를: 엠페도클레스
03 반대가 반대를: 알크마이온·헤라클레이토스·아낙사고라스
04 위대한 절충: 아폴로니아의 디오게네스

2부 세개의 대(大)이론
05 에이돌라: 데모크리토스
06 불을 뿜는 눈: 플라톤
07 매체를 통한 변화: 아리스토텔레스

3부 헬레니즘의 감각론
08 감각은 진실하다: 에피쿠로스
09 영혼의 숨결: 스토아학파
10 소요학파: 테오프라스토스

4부 고대 감각론의 세 전통
11 시각원뿔: 에우클레이데스
12 황소의 눈: 갈레노스
13 세 전통의 종합: 프톨레마이오스

5부 고대에서 중세로
14 공감으로서 감각: 플로티노스
15 집중으로서 감각: 아우구스티누스

6부 중세 아랍의 광학
16 광학적 유출설의 부활: 알킨디
17 의학적 유출설의 부활: 후나인
18 유출설에서 유입설로: 이븐시나
19 아리스토텔레스의 부활: 이븐루시드
20 근대광학의 아버지: 알하이삼

7부 근대광학의 역사
21 중세 유럽의 광학: 그로스테스트에서 베이컨까지
22 영적 변화로서 감각: 아퀴나스
23 르네상스의 시각론: 오컴에서 플라터까지
24 근대광학의 탄생: 케플러

8부 외감에서 내감으로
25 멋진 신세계: 데카르트
26 빈 서판: 로크·버클리·흄
27 내감의 작은 역사: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계승자들

9부 감성의 미학적 구원
28 감성론으로서 미학: 바움가르텐
29 취미의 세기: 영국의 취미론
30 상상력의 시대: 칸트

10부 감각의 부활
31 살아 있는 조각상: 콩디야크
32 사태 자체로: 후설·하이데거·메를로퐁티
33 정신의 감성학: 플레스너
34 육체와 신현상학: 슈미츠
35 감각의 논리: 들뢰즈

나가며 육체의 오디세이

저술의 약어와 인용 형식 표시
수록된 그림 및 소장처

=============

저자 및 역자소개
진중권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전 동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비평가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에서 「소련의 구조기호론적 미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독일로 건너가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언어 구조주의 이론을 공부했다. 귀국 후 각종 토론과 방송에서 사회 비판 평론가로서 활동하면서 중앙대학교와 동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저서로는 『미학 오딧세이』『춤추는 죽음』『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천천히 그림읽기』『시칠리아의 암소』『페니스 파시즘』『폭력과 상스러움』『앙겔루스 노부스』『레퀴엠』『빨간 바이러스』『조이한·진중권의 천천히 그림 읽기』『진중권의... 더보기
최근작 : <이것이 우리가 원했던 나라인가>,<원희룡이 말하다>,<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인상주의 편 (리커버판)> … 총 179종 (모두보기)
SNS : http://twitter.com/unheim
출판사 소개
창비 
도서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일기 日記>,<서로에게 기대서 끝까지>,<문수의 비밀>등 총 2,772종
대표분야 : 국내창작동화 1위 (브랜드 지수 2,208,864점), 청소년 소설 1위 (브랜드 지수 1,002,803점), 여성학/젠더 1위 (브랜드 지수 150,300점) 
출판사 제공 책소개


미학자 진중권의 새로운 첫걸음
잃어버린 절반의 철학사, ‘감각학’의 역사를 복원하다!

고대 그리스의 감각생리학부터 들뢰즈의 현대미학까지, 이성이 진리의 근원으로 여겨지면서 철학의 변방으로 밀려났던 감각학의 역사를 야심차게 복원한 미학자 진중권의 『감각의 역사』가 출간되었다. 인공지능, 복합현실, 디지털 예술 등 각종 기술과 매체의 발달로 인한 감각지각의 대변동을 준비해야 하는 지금, 우리 시대의 미학자 진중권은 물질이 스스로 감각하고 사유한다고 생각했던 고대의 물활론부터 중세 아랍의 광학, 감각을 이성 아래 포섭한 근대철학, 그리고 새로운 학문의 원천으로서 인간의 몸과 감각체험이라는 주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현대미학의 여러 논의를 폭넓게 아우른다.
『감각의 역사』는 진중권이 야심차게 선보이는 ‘감각학 3부작’의 시작이다. 미학에서 감각학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대기획의 첫걸음으로서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감각의 탄생과 망각, 부활을 아우르는 인류의 지적 여정을 밝히는 이 책은 『감각의 미술사』 『감각의 사회학』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의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이 작업의 바탕에는 그동안 폄하되었던 감각의 위상을 복원하는 한편, 예술의 가치와 정의를 관념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넘어 미학적 탐구의 범주를 사회현상 전체로 확장하려는 저자의 원대한 기획이 깔려 있다.
그동안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감각의 역사, 새로운 철학사의 대장정을 보여주는 이 책의 등장은 일찍이 예견된 것이었다. 2005년 이래로 저자는 ‘감각학으로서의 미학사’를 주제로 지속적인 대중강연을 펼치는 한편 꾸준히 관련 분야의 연구에 매진했다. 2015년 12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창비 블로그에 ‘다섯가지 감각의 역사’라는 제목으로 36회에 걸쳐 연재한 글들이 이 책의 몸통이 되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약 3년에 달하는 집필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집중해 절반가량을 새로 쓰고 다듬었으며 총 80여장의 도판을 직접 선별하여 독자들이 더 쉽고 생생하게 감각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그 눈부신 결실인 『감각의 역사』는 인류 지성사의 발전과 함께 변천을 거듭해온 감각학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총 10부 35장에 걸쳐 간결하고 명료하게 정리한다. 저자는 주요 논문과 고전들을 방대하게 인용하고 가로지르며 그 장대한 철학사의 흐름을 한 호흡으로 써내려가는 쉽지 않은 작업을 완수해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인간의 감각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한편 감각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안목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부터 들뢰즈의 현대미학까지
감각의 역사를 조망하는 미학자 진중권의 역작

“감각론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길다.” 오랜 과거부터 인간은 자신의 살갗에 생생하게 와닿는 다채로운 감각에 관심을 기울였다. 아득한 고대의 사람들은 생물과 무생물의 구별 없이 세상 모든 것이 살아 있다고 느꼈고, 신이 인간의 입에 불어넣어주었다는 숨결을 공기라 믿었다. 이렇게 본 대로 지각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순수하고 근원적인 의미에서 참이었던 시대도 있었다. 감각이 곧 지각이자 사유였던 것이다.
하지만 인류가 진리의 근원을 이성에서 찾기 시작하면서 감각의 위상은 땅에 떨어졌다. 감각은 진리의 근원이 아니라 오류의 원천으로 여겨져 철학의 변방으로 밀려났다. 심지어 근대의 대표적인 합리론자인 데카르트는 “이성적 존재가 되려면 감각을 불신하라”고 가르쳤다. 그 결과 철학사의 서술에서도 고대와 중세의 감각론에 관한 기록은 아예 누락되기 일쑤였다. 이 책은 그 잃어버린 반쪽의 철학사를 복원하고, 새로운 감각학의 구축에 소용될 이론적 단초를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예술과 미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관념적 학문으로 협소해진 미학을 감각지각, 즉 아이스테시스(Aisthesis)에 대한 학문인 감각학(Aisthetik)으로 확장하자는 독일의 미학자 게르노트 뵈메의 제안을 수용한다. 나아가 뵈메 미학의 바탕을 이루는 현상학의 개념도구를 다루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에게 낯설기만 한 고중세의 이론과 아랍의 광학, 콩디야크 같은 근대 비주류 철학자의 이론, 감각의 부활을 선언하는 들뢰즈의 급진적인 현대미학까지 인류가 지금껏 전개한 감성연구의 역사를 두루 살핀다.
감각의 측면에서 그동안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철학사의 전모를 밝히는 동시에 감각의 역동을 경험해온 인류 역사를 치밀하게 되짚는 이 책은 다변화하는 매체를 통해 새로운 지각을 경험하고, 이로써 도래하게 될 사회구조적 변화를 미리 내다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더없이 폭넓은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관념적 미학에서 삶을 위한 감각학으로!
피와 살을 가진 인간의 철학을 말한다

진정으로 감각적인 것, 가령 피부로 느끼는 옆 사람의 온기나 몽롱한 아침을 깨우는 커피의 맛과 같은 감각적인 특질을 우리는 어떻게 해명하고, 그 본질에 더욱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까? 그동안 이성중심의 철학사에서 배제된 감각 연구는 주로 과학의 소관이었다. 체험으로서 감각은 철학적 언어로 해명되기 힘들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하지만 이 책은 감각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한다. 럭스(lx)로 표기될 때 체험으로서 빛은 사라지고, 헤르츠(Hz)로 표기될 때 체험으로서 소리는 사라지는 것처럼.
이 책의 중요한 미덕 중 하나는 다시금 인간의 몸과 감각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 감각체험을 온전히 기술하려는 다양한 철학적 시도를 두루 소개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여러 철학자들의 이름을 호명하고, 그들의 논의를 풍부한 인용에 특유의 간결한 설명을 덧붙여 상세히 소개한다. 신체의 감각만으로 세계를 질서정연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살아 있는 조각상’을 상상한 콩디야크의 사유실험이 바로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는 저자의 논의를 따라가면서 이 근대철학자의 사유실험이 오늘날 인공지능 기계가 딥러닝을 통해 하나의 유사인격으로 진화해가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나아가 근대의 합리적 주체를 대신할 ‘신체로서의 인간’을 말하는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플레스너의 감성학과 슈미츠의 신현상학, 들뢰즈의 미학을 차례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어떻게 각자의 방식으로 몸과 감각의 체험을 해명하는지를 성실하고 꼼꼼하게 조명한다.
현대에 이르러 감각학으로서 미학의 기획이 등장한 배경에는 생각하는 인간만이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적 사유가 아니라, 직접 느끼고 체험하며 반응하는 인간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놓여 있다. 때로는 간결하고, 때로는 풍부하게 이 모든 과정의 이모저모를 종횡무진 설명하는 저자의 거침없는 문장을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이 새로운 미학적 기획이 옆 사람의 온기를 느낄 줄 아는 인간, 커피의 맛을 느끼고 향유할 줄 아는 인간의 회복을 구하는 일과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 책은 이렇게 생생하게 살아서 존재하는, 피와 살을 가진 인간을 위한 철학적 입장들을 종합적으로 음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훌륭한 철학 교양서이자 입문서이다.


인공지능, 증강현실, 가상현실, 디지털 예술…
감각의 대변동을 준비하는 ‘진중권의 감각학 3부작’, 그 서막을 열다

이 책의 바탕에는 감각학의 관점이 앞으로 다가올 감각체험의 대변동을 준비하는 데 생산적인 기여를 하리라는 기대가 깔려 있다. 평소에 우리가 즐기는 게임을 떠올려보자. 스크린에 올린 두개의 엄지손가락이 그 게임의 촉각적 인터페이스에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가 승리의 관건이 될 수 있다. 예술의 영역에서는 어떤가? 이제 예술작품은 액자틀과 좌대에서 벗어나 낯선 장소에 설치되기도 하고, 관람객의 반응에 좌우되는 인터랙티브 아트로 우리 앞에 문득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작품의 수용은 더이상 오브제의 ‘형태’를 보는 시각적 경험에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분위기’에 잠기는 전방위적 감각체험으로 확장된다.
미학자 진중권은 기존의 관념적 미학으로는 이 모든 현상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진단한다. 새로운 기술과 매체가 제공하는 다종다양하고 낯선 감각체험들은 이제 하나의 객관적인 정의로 설명할 수도 없고, 완전히 주관적인 반응으로만 설명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레디메이드를 통해 사물이 예술작품이 되고, 디자인을 통해 예술이 사물 속에 구현되는 이 초미학적(trans-aesthetic) 상황 속에서 미학의 범위는 예술의 영역을 넘어 사회현상 전체로 거침없이 확장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학은 영원히 예술을 해명하고 그 가치를 정의하는 역할에만 머물 수는 없다.
저자는 이 책의 여는 글에서 앞으로 자신이 이어갈 두개의 후속 작업을 간단히 예고해놓았다. 첫번째는 ‘감각의 미학사’를 서술하는 작업이다. 감각의 관점에서 기존의 미술사를 새로이 조망하고, 나아가 관념적 미학이 해결할 수 없었던 새로운 미술의 경향을 밝히는 작업이다. 두번째는 ‘감각의 사회학’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저자는 감각과 연관된 다양한 사회적·경제적·기술적 의제를 다루는 작업을 이어나갈 것이다. 감각의 변화에 따라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사회구조적 변동에 대한 탐구는 새로이 펼쳐질 ‘감각의 사회학’의 주요 주제가 된다.
『감각의 역사』는 미학자 진중권이 실현해나갈 이 야심차고 고유한 기획의 가장 아래 놓인 굄돌이다. 오랜 세월 날카로운 통찰과 글쓰기로 미술사부터 철학, 미학 등 일반 독자들의 인문학적 지평을 넓혀온 진중권은 이제 막 미학과 철학의 고지를 넘어 감각학의 언덕에 올라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 여기에서는 그가 감각의 관점에서 탐구하게 될 미술사와 사회학이라는 새롭고 드넓은 지평이 보인다. 이 세계를 탐색하기 위한 예비 작업인 『감각의 역사』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풀어낸 문장들은 한없이 엄밀하고, 인용한 고전들을 자유로이 가로지르는 해석은 오랫동안 한 우물을 판 인문학자의 원숙미를 드러낸다.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누구든 우리 시대의 미학자 진중권과 함께 ‘감각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에 가까이 다가가는 즐거운 지적 여정의 출발선에 설 수 있을 것이다. 접기

리뷰쓰기
공감순 
     
의견 하나 새창으로 보기 구매
p. 418 아래에서 넷째 줄: ”잘 정돈된 원근법적 공간은 기하학적 추상의 산물일 뿐, 실제로 우리의 육안에 비친 세계는 세잔의 그림처럼 혼란스러운 것이다.“

위의 밑줄 친(편의상) 문장은 ‘실제로 우리의 육안에 비친 세계는 혼란스럽고(A)’, ‘세잔의 그림(p. 417, ’부엌의 테이블‘)이 혼란스럽다(B)’는 뜻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내게는 세잔의 그림이 별로 혼란스럽게 보이지 않으며, 평소에 내 눈에 비친 세계 역시 시각적으로는 전연 혼란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A: 저자가 문제의 문장을 작성하는 전체 맥락에서, ‘세상의 모습’은 단지 시각적 모습을 의미할 뿐 정의와 도덕 등의 의미 측면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으리라 믿기에, 명제 A는 이해할 수가 없다. 우리 시 지각 체계는 망막에 거꾸로 맺히는 평면적 영상일지라도, 두뇌의 환상적인 작업에 의해 똑바로 선 입체적인 영상으로 보이게 하여 우리의 혼란스러움을 해소시킨다는 건 상식이기에 말이다.

B: 세잔의 그림 속에 있는 여러 가지 사물들이 동시에 한 시점에서 관찰되는 형태가 아니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관찰되는 형태로 그려졌기에, 화가의 시선과 원근법이나 광선들까지를 고려하며 보는데 익숙한 전문가의 안목에는 혼란스럽게 보일 수 있으리라 짐작은 된다. 하지만 나 같은 사람은, 그림 속에 있는 과일이나 화병과 바구니들이 평소에 익숙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인지 전연 혼란스럽지가 않다. 우리는 사진기 필름에 찍히는 영상처럼 세상을 보지 않고 의미의 틀을 통해서 보기 때문에, 한 폭의 그림 속에 있는 다양한 사물들이 사진 속 영상처럼 일치하지 않아도 이미지가 주는 의미만 맞으면 그냥 자연스럽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게 바로 메를로퐁티가 말한 ‘체험된 원근법’의 의미일 것이며, 이점이 바로 후설이 ‘판단중지’를 언급한(p.413) 이유일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 같은 생활세계 속의 일상 인들은 그저 습관적으로 보던 대로 보기 때문에 세상의 실상(진리)을 놓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라면, 그림의 캡션에서(p. 417) ‘시각의 진정한 주체는 정신이 아니라 신체다’는 문장은 어쩌면 세잔의 관점을 놓친 것일 수도 있다(메를로퐁티 역시!). 정신없이 신체만으로 어찌 시각이 얻어지겠는가? 그저 정신에 대한 육체의 우월을 주장하는 전도된 또 하나의 정신 우월주의에 불과할 뿐.

저자가 언급한 후설의 에포케 관점과 연관되는 맥락에서라면, 세잔의 그림이 우리에게 던지는 본질적인 의미는 어쩌면 ‘정신에 대한 신체의 우월성’이 아니라, ‘사물(세상)에 대한 참모습(진리)은 단 하나의 관점에서 얻어질 수 없고, 다양한 관점을 종합해야만 한다’는 점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한쪽 면만을 고려해서 얻어진 견해는 괄호 쳐두라고! 저자의 표현대로 고정된 정신의 눈으로 고정된 세상을 보지 말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육안으로 끊임없이 생성되는 생생한 세상을 보라고(p. 432: ‘지금 여기 나 이 상황에 있다’고)!

 

오 탈자:

p. 18, 위에서 다섯째 줄: ‘medium theory이 등 고대 감각론의’

---> ‘medium theory 등 고대 감각론의’. ‘이’ 생략해야

p. 464, 위에서 다섯째 줄: ‘내가 속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들 수도 있을 겁니다’

---> ‘내가 속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겁니다’. ‘생각이’ 추가해야.



- 접기
그냥 2019-09-28 공감(13)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4)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감각의 역사와 판단력비판 새창으로 보기
부모님 댁에 와서 저녁식사를 하고 쉬는 중이다. 책 대신에 구독하고 있는 시사주간지를 몇 권 들고와서 뒤적이고 있다(3종의 구독료로 매년 몇 십만원을 내고 있지만 일년에 두어번 손에 든다). 신간 리뷰에서 진중권의 <감각의 역사>(창비)가 다뤄지고 있는데 마침 오후에 읽던 책이다. 서문을 보니 감각학 3부작의 첫권이다.

알려진 대로 서양어 미학의 어원이 되는 ‘아이스테시스‘는 감각학이나 감성학으로 번역될 수 있는데 미학으로 정립되면서 그 영역과 의미가 축소되었다. ‘미학자 진중권‘의 문제의식이기도한데, 이를 본래의 의미를 좇아 감각학으로 회복시키려는 게 그의 구상이다. ‘미학의 역사‘가 ‘감각의 역사‘로 변신하게 된 배경이다.

<감각의 역사>를 손에 든 건 강의 관련으로 칸트의 <판단력 비판>의 한 대목을 읽다가 칸트의 미학에 대한 저자의 정리가 궁금해서였다. 아직 칸트 장까지는 가지 못하고 바움가르텐 장을 읽었다. <판단력 비판>의 한 대목 번역이 모호해서 다른 번역을 찾으니 눈에 띄지 않는다. 개정판을 다시 구입해야 하는지. 거의 모든 책을 갖고 있지만 또 정작 필요할 때는 다시 구입해야 한다는 게 장서가의 속사정이다. 그건 그렇고 한길사판으로도 새 번역본이 나오면 좋겠다...







- 접기
로쟈 2019-09-12 공감 (41)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모른 척하고 싶어도 새창으로 보기
검찰 개혁 필요성은 충분히 공감하고, 도를 넘은 과잉 수사 인정하지만, 이 모든 게 진영 논리로 귀결되며 정세 구조의 문제일 뿐 아직까지는 도덕성에 문제 없다고 쉴드치는 것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털고 또 털어봐야 겨우 양산집 처마밖에 안 나오는 문통급 청렴 카타르시스까지는 아니더라도 고의는 아니었을 거란 심증 쯤은 주었어야 할 거 아닌가. 패션좌파들은 말뿐이었다는 배신감을 간신히 억누르며 마지못해 동조하고 있는데 우쭐대며 저급하게 입 털어서 환멸감마저 들게 만들지 않았으... + 더보기
돌궐 2019-09-29 공감 (23)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문제는 감각 자체가 아니다. 감각에 매몰되어 그 너... 새창으로 보기
˝문제는 감각 자체가 아니다. 감각에 매몰되어 그 너머의 초월적 세계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다. 감각이 천상의 신들의 회전을 보고 그것을 본받아 우리 내면에 다시 질서와 조화를 가져오는 데에 쓰일 때, “야만적인 진흙탕 속에 묻힌 영혼의 눈”은 비로소 천상의 신들이 사는 저 영원한 세계를 향할 것이다.˝
ㅡ <06. 불을 뿜는 눈: 플라톤>

현대시를 ‘그들만의 리그‘라고 자주 말하는데 철학도 만만치 않다고 생각될 때가 있다. 위의 저 문장이 21세기에 어울리는지. 차라투스트라 빙의라도 보는 거 같아 내 눈이 민망할 지경.
예술에 국한된 미학을 새로운 위상으로 쓴다는 취지는 좋지만 이 글들이 효과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야마구치 슈가 철학 등반에서 독자들이 초반에 떨어져 나가게 만든다고 한 제 1 경고대로 서양 철학의 계보와 개념들의 지루한 연결, 고답적 수사... 오랜만에 펼쳐든 진중권 저자 책인데 무척 실망스럽게 전개되고 있다. ‘감각‘의 역사를 처음부터, 세세히 짚어보는 건 좋지만 현재의 다양한 학제 간의 지식과 적극적인 연계, 독자의 호기심 자극 등이 부족해 나로선 근본적으로 답답하다. 3부작으로 기획된 책이라는데 이런 식이라면 적극적으로 따라갈 독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분명한 건 친절한 대중서는 아니라서 저자의『미학 오디세이』3부작 정도로 기대한 독자라면 그보다 어려울 거라는 각오를 하시길-,-)))













시대의 전환기마다 권력은 구성원들의 신체를 뜯어고치는 생체공학을 발동한다. 가령 감각을 불신하고 정념을 억압하는 데카르트형型 아이스테시스는 중세의 호전적 전사들을 근대 국민국가의 합리적 주체subject이자 신민으로 길들이려는 기획의 산물이다. 18세기에 일어난 아이스테시스의 유미화는 서구에서 시민사회가 형성되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 유미화의 결실인 미적 예술문화를 파괴하려 한 모더니즘 예술은 산업혁명, 특히 산업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이 시민사회에 던져준 정치미학적politico-aesthetic 충격의 미학적 반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데카르트주의를 수정하려는 시도는 그동안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하나는 이성주의의 패러다임을 인정하되, 그 안에서 감각지각, 즉 아이스테시스를 구제하는 길을 찾는 것이다. 미학(감성론)이라는 학문은 바로 그 과정에서 탄생했다. 근대미학(감성론)이 구제한 아이스테시스는 신체활동으로서 감각sensation이 아니라 정신의 하위활동으로서 지각perception이었다.
지각이란 감각이후post-sensory와 이성이전pre-rational의 인지능력이다. 이 영역을 대륙의 이성주의자들은 ‘유사이성’으로, 영국의 경험주의자들은 ‘유사감각’으로 여겼다. 흥미로운 것은, 근대미학에서 다루는 감성의 영역이 대체로 과거에 ‘내감’이라 부르던 영역과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한동안 망각되었던 중세와 르네상스의 내감 이론이 미학을 통해 다시 부활한 셈이다. 공통감, 상상력, 판단력 등 과거 내감의 목록을 이루던 능력들은 18세기에 일어난 감각의 유미화를 통해 새로이 정위定位된다. 근대미학에서 아이스테시스는 ‘지각’으로서만, 그것도 미적 지각으로서만 구제된다.
한편 과도한 이성주의를 수정하는 또다른 방식이 있다. 아예 그것의 토대 자체를 거부하는 방식이다. 근대철학의 완성자 헤겔은 미학이 애써 복원한 감성의 영역을 다시 증발시켜버렸다. 그의 정신현상학에서 감성의 영역은 자연으로 ‘외화外化’했던 정신이 자신으로 돌아가는 여정에서 궁극적으로 ‘지양止揚’해야 할 어떤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급진적인 이성중심주의의 근원도 데카르트주의다. 따라서 아이스테시스의 영역을 온전히 복원하려면 데카르트주의 자체를 거부하고, 신체와 정신이 아직 구분되지 않은 근원적 체험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 접기
AgalmA 2019-09-22 공감 (13)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한국인은 미신적인가 종교심이 많은가?(옥성득)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한국인은 미신적인가 종교심이 많은가?(옥성득)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교회
한국인은 미신적인가 종교심이 많은가?(옥성득)

2019년 7월 22일

오늘 한국 교회는 사도행전 17장 22절의 ‘δεισιδαιμονεστέρους’를 ‘종교심이 많은’으로 번역하고 읽는다. 그러나 목회자나 교인이나 교회 정치나 영성을 보면 종교심이 많다기보다는 이 단어 어원의 의미처럼 ‘여러 귀신을 공경하는’ 모습이다. 물량의 맘몬신, 권력의 바알신, 세습의 조상신에 절하고, 카드 면벌부나 설교집 면벌부를 파는 미신적인 교회가 되고 있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종교심이 사라지면, 남는 것은 우상 숭배, 귀신 숭배, 조상 숭배 뿐이다.(본문 중)

옥성득(UCLA 한국기독교학 교수)



사도행전 17장 22절은 바울이 아테네 철학자들 앞에서 행한 유명한 설교의 일부분이다. 두 한글 번역본을 비교해 보자. 50년 동안 어휘나 번역이 많이 변했음을 알 수 있다.






아테네의 아레오바고 언덕(출처: wikipedia)



개역 성경에 있는 ‘종교성이 많도다’의 원어는 ‘δεισιδαιμονεστέρους’(데이시다이모네스테루스)이다. 어원적으로는 ‘very fearful of gods’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매우 미신적인’(too superstitious) 혹은 ‘아주 종교적인’(very religious)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 단어를 어떻게 번역해 왔는지 그 번역사를 아는 것은 신학적으로 중요하다. 주요 역본을 비교해 보자.







19세기 해외 선교와 19세기 후반 비교종교학 연구 결과 타종교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면서 20세기 첫 역본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개역본인 표준역(American Standard Version)에서 드디어 ‘δεισιδαιμονεστέρους’를 ‘too superstitious’(매우 미신적인)나 ‘somewhat superstitious’(약간 미신적인)를 ‘very religious’(아주 종교적인)로 바꾸었다. 그 영향은 일본어 대정 개역본의 영향과 함께 한글 번역에는 1938년 개역에 반영되었고, 이후 자리를 잡았다. 곧 1901년부터 타종교인에 대해서 미신적이라거나 이방인(pagan)이라 하지 않고 종교적이라거나 타종교인(heathen) 혹은 비기독교인(non-Christian)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성경 번역은 선교 신학과 타종교 신학에 의해 바뀐다. 당연히 다른 학문에 의해서도 히브리어나 그리스어 원문의 뜻이 더 밝혀지고, 번역은 현대인의 이해에 적합하게 바뀐다. 성경을 일점일획도 바꿀 수 없고, 문자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근본주의자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하다. 2020년 대한성서공회가 발행할 예정인 『새한글 성경전서』의 번역도 “종교심이 많습니다”로 번역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 본문을 다음과 같은 새번역으로 읽으면서, 바울이 아테네에 갔을 때 기독교 복음이 전해지기 이전 이방인의 종교성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생각의 패러다임 전환이 있었다고 해석하는 것은 후대의 해석을 바울에게 덮어씌우는 오류가 된다.


바울이 아레오바고 법정 가운데 서서, 이렇게 말하였다. “아테네 시민 여러분, 내가 보기에, 여러분은 모든 면에서 종교심이 많습니다. 내가 다니면서, 여러분이 예배하는 대상들을 살펴보는 가운데,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긴 제단도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여러분이 알지 못하고 예배하는 그 대상을 여러분에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행 17:22-24)

바울이 비록 알지 못하는 신을 섬긴 것을 인정했다고 하더라도, ‘δεισιδαιμονεστέρους’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했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종교심이 많다고 해석한 것은 19세기 말부터였다.

제임스 레게(James Legge)를 연구한 노먼 지라르도(Norman J. Girardot)가 이러한 인식을 “바울 패러다임”(the Pauline Paradigm)이라고 부른 것은 KJV(1616)이나 옥스퍼드판 RV(1881)을 읽지 않은 까닭이다. 단 지라르도가 막스 뮐러(Max Müller)로 대표되는 19세기 말 비교종교학자들의 ‘비교 작업’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긴 것으로 본 것은 옳았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이나 레게나 뮐러 등 19세기 말 개신교 비교종교학자들은 기독교의 우월성, 궁극성, 최종성을 포기한 적이 없다.

한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들은 이런 기독교의 우월성과 최종성을 믿은 자들이었고, 1900년대 와서 변화된 선교 신학인 성취론[2]을 수용하여, 유교나 불교와 같은 타종교의 종교심에 대해서 예의를 가지고 접근했다. 비록 구역성경(1911)에서는 ‘귀신 공경하기를 심히 하는’으로 번역했지만, 1910년 에든버러 세계선교대회 전후에 변한 선교신학과 비교종교학을 수용하여, 개역(1938)에서는 ‘종교성이 많도다’로 번역했다. 기존 종교가 알지 못하는 신을 섬겼을 때 그 종교성은 인정하는 태도였다.

그러나 해방 이후 완고해진 박형룡의 근본주의는 에든버러의 성취론마저 거부하고 타종교에 대해서는 정복 외의 다른 태도를 용인하지 않았다. 교회 성장과 더불어 기독교 승리주의의 십자군 정신은 캠퍼스에서부터 기도원까지 차고 넘쳤다. 겉으로는 타종교를 기독교로 대체하자고 주장했으나 실제로 뒤에서는 타협하는 혼합주의로 갔다.

오늘 한국 교회는 사도행전 17장 22절의 ‘δεισιδαιμονεστέρους’를 ‘종교심이 많은’으로 번역하고 읽는다. 그러나 목회자나 교인이나 교회 정치나 영성을 보면 종교심이 많다기보다는 이 단어 어원의 의미처럼 ‘여러 귀신을 공경하는’ 모습이다. 물량의 맘몬신, 권력의 바알신, 세습의 조상신에 절하고, 카드 면벌부나 설교집 면벌부를 파는 미신적인 교회가 되고 있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종교심이 사라지면, 남는 것은 우상 숭배, 귀신 숭배, 조상 숭배 뿐이다.
====

[1] Norman J. Girardot, The Victorian Translation of China: James Legge’s Oriental Pilgrima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284-85.

[2] 1910년 에든버러 세계선교대회가 채택한 공식 타종교 신학으로서, 타종교에도 하나님의 계시의 흔적(예, 유일신관)이 있거나 기독교가 수용할 수 있는 가르침이나 의례가 있다고 보고, 예의로 대하며 공존하면서 완전한 기독교로 그 종교를 완성시킬 수 있다고 본다. 20세기 후반에 와서는 배타주의나 다원주의를 배격하는 포용주의로 발전했다.

<좋은나무>를 후원해주세요.

<좋은나무> 후원하기
관련 글 보기

두 개의 가짜 언더우드 기도문(옥성득)

통계로 본 한국 장로교회(옥성득)

개신교의 2대 과제: 대형교회 성직 매매와 가나안 성도(옥성득)

길선주 목사와 3.1운동(옥성득)

1879년 1월 한국 개신교인 첫 세례-올해는 140주년(옥성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