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27

한국여신학자협의회 나와 여신협 – 곽라분이 자문위원

(3) 한국여신학자협의회Korean Association of Women Theologians – Posts | Facebook

<나와 여신협> – 곽라분이 자문위원
1989년 미국에서 귀국하자 이우정, 안상님 선생님 소개로 아시아 여성신학 교육원에서 여성신학세미나 참석하면서, 한국여신학자협의회의 회원이 되었다. 대전에 있는 한성신학대학에서 1년 강의를 했는데, 학내부정, 비리문제로 학생들의 소요가 있었다. 몇몇 교수들이 학생 데모를 선동했다는 죄목으로 학교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우리는 가처분신청과, 법정투쟁 끝에 1년 후 나는 다시 복직을 했다.
내가 워싱톤에서 귀국할 때는 한국이 민주화가 이뤄지고, 사회정의가 살아있다고 생각했는데 완전한 착각이었다. 학내문제를 보면서 해직당한 좌절보다 우리의 부정의한 구조에 대한 실망과 좌절이 훨씬 컸다.
1년 쉬는 동안 나는 아예 서울로 이사를 했고, 여성학 세미나와 여신협활동에 더 열심히 참여하였다. “하나님의 발길에 채여” 여신협과 깊은 인연을 맺고 시대를 앞서가는 깨어 있는 여성들과 함께함을 하나님의 축복으로 생각한다
1년 후에 복직 후에도 여신협, 여성교회에 열심히 참여했다. 하나님은 나에게 뜻을 같이 하는 여성 동지들과 친교를 깊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셨다. 1년 해직하는 동안 잃은 것보다 얻은 것이 많았다. 하나님께 감사했다.
여성세미나그룹은 2년에 걸쳐 열정적으로 토론하고 발표하고 친교를 나누면서 한국의 여성문제를 깊이 생각했다. 그러나 여성의 문제가 단순한 여성들의 문제 아니라 사회구조에 대한 근본적 질문과 연결되어 있음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여신협을 통해서 여성운동에 제일 중요한 자매애(sisterhood)를 깊이 가졌다. 그리고 다른 단체와 연대(soliderity)하면서 사회의 정의, 평화, 생명운동을 함께한다는 것이 나에게는 학교애서 강의하는것보다, 더 보람을 느꼈다. 여신협이 진행하는 역사의 현장활동, 연구회, 세미나 등등 거의 빠지지 않고 거의 참여했다. "Paticipation is the Leaning"이라는 교육학에서는 중요한 이론이 있다. ‘참여가 곧 학습이고 배움’이라는 뜻이 아니겠는가. 참여는 내가 성장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나는 여성이 사회를 바꿀수 있는 힘이 있다는 확신을 가졌다. 이 시대 여성으로 태어나 여신협 동지들과 함께한다는 것을 하나님의 큰 축복으로 생각한다.
여신협과 함께한 세월이 30년 넘었다. 여신협은 40주년을 맞는다. 이제 우리는 성숙한 21세기를 살고 있다. 단순한 남녀간의 권리 차원이 아니라 여성의 체험과 통찰력이 살려지는, 평등하고, 인간적인 사회에 대한 비전을 확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동안 여신협은 노력해 왔고 내 자신도 함께 성장하고 익어가고 있다.
“인생락지심상(人生樂知心相)”이라는 맹자가 한 말이 생각난다. 인생의 즐거움은 서로 마음을 알아주는데 있다는 뜻이다. 나의 정체성를 찾고, 서로를 격려하고 응원해주는 여신협이 있기에 동지들과의 만남이 즐겁고 행복했다. 바라기는 어떤 이유에서든지 여신협을 떠난 동지들이 홈캄잉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있었으면 한다.
Image may contain: 1 person, indoor
이은선 and 11 others
1 comment
2 shares
Like
Comment
Share

Comments

Most relevant


5] Strength Training for the Mind | Head & Heart Together

5] Strength Training for the Mind | Head & Heart Together

Strength Training for the Mind

Meditation is the most useful skill you can master. It can bring the mind to the end of suffering, something no other skill can do. But it’s also the most subtle and demanding skill there is. It requires all the mental qualities ordinarily involved in mastering a physical skill—mindfulness and alertness, persistence and patience, discipline and ingenuity—but to an extraordinary degree. This is why, when you come to meditation, it’s good to reflect on any skills, crafts, or disciplines you’ve already mastered so that you can apply the lessons they’ve taught you to the training of the mind.

In teaching meditation, I’ve often found it helpful to illustrate my points with analogies drawn from physical skills. And, given the particular range of skills and disciplines currently popular in America, I’ve found that one useful source of analogies is strength training. Meditation is more like a good workout than you might have thought.

The Buddha himself noticed the parallels here. He defined the practice as a path of five strengths:

  1. conviction, 
  2. persistence, 
  3. mindfulness, 
  4. concentration, and 
  5. discernment.

He likened the mind’s ability to beat down its most stubborn thoughts to that of a strong man beating down a weaker man. The agility of a well-trained mind, he said, is like that of a strong man who can easily flex his arm when it’s extended, or extend it when it’s flexed. And he often compared the higher skills of concentration and discernment to the skills of archery, which—given the massive bows of ancient India—was strength training for the noble warriors of his day. These skills included the ability to shoot great distances, to fire arrows in rapid succession, and to pierce great masses—the great mass, here, standing for the mass of ignorance that envelops the untrained mind.

So even if you’ve been pumping great masses instead of piercing them, you’ve been learning some important lessons that will stand you in good stead as a meditator. A few of the more important lessons are these:


• Read up on anatomy.  If you want to strengthen a muscle, you need to know where it is and what it moves if you’re going to understand the exercises that target it. Only then can you perform them efficiently. In the same way, you have to understand the anatomy of the mind’s suffering if you want to understand how meditation is supposed to work. Read up on what the Buddha had to say on the topic, and don’t settle for books that put you at the far end of a game of telephone. Go straight to the source. You’ll find, for instance, that the Buddha explained how ignorance shapes the way you breathe, and how that in turn can add to your suffering. This is why most meditation regimens start with the breath, and why the Buddha’s own regimen takes the breath all the way to nibbāna. So read up to understand how and why.


• Start where you are.  Too many meditators get discouraged at the outset because their minds won’t settle down. But just as you can’t wait until you’re big and strong before you start strength training, you can’t wait until your concentration is strong before you start sitting. Only by exercising what little concentration you have will you make it solid and steady. So even though you feel scrawny when everyone around you seems big, or fat when everyone else seems fit, remember that you’re not here to compete with them or with the perfect meditators you see in magazines. You’re here to work on yourself. So establish that as your focus, and keep it strong.


• Establish a regular routine.  You’re in this for the long haul. We all like the stories of sudden enlightenment, but even the most lightning-like insights have to be primed by a long, steady discipline of day-to-day practice. That’s because the consistency of your discipline allows you to observe subtle changes, and being observant is what enables insight to see. So don’t get taken in by promises of quick and easy shortcuts. Set aside a time to meditate every day and then stick to your schedule whether you feel like meditating or not. The mind grows by overcoming resistance to repetition, just like a muscle. Sometimes the best insights come on the days you least feel like meditating. Even when they don’t, you’re establishing a strength of discipline, patience, and resilience that will see you through the even greater difficulties of aging, illness, and death. That’s why it’s called practice.


• Aim for balance.  The “muscle groups” of the path are three: virtue, concentration, and discernment.  If any one of these gets overdeveloped at the expense of the others, it throws you out of alignment, and your extra strength turns into a liability.


• Set interim goals.  You can’t fix a deadline for your enlightenment, but you can keep aiming for a little more sitting or walking time, a little more consistency in your mindfulness, a little more speed in recovering from distraction, a little more understanding of what you’re doing. The type of meditation taught on retreats where they tell you not to have goals is aimed at (1) people who get neurotic around goals in general and (2) the weekend warriors who need to be cautioned so that they don’t push themselves past the breaking point. If you’re approaching meditation as a lifetime activity, you’ve got to have goals. You’ve got to want results. Otherwise the whole thing loses focus, and you start wondering why you’re sitting here when you could be sitting out on the beach.


• Focus on proper form.  Get your desire for results to work for you and not against you. Once you’ve set your goals, focus directly not on the results but on the means that will get you there. It’s like building muscle mass. You don‘t blow air or stuff protein into the muscle to make it larger. You focus on performing your reps properly, and the muscle grows on its own. If, as you meditate, you want the mind to develop more concentration, don’t focus on the idea of concentration. Focus on allowing this breath to be more comfortable, and then this breath, this breath, one breath at a time. Concentration will then grow without your having to think about it.


• Pace yourself.  Learn how to read your pain. When you meditate, some pains in the body are simply a sign that it’s adapting to the meditation posture; others, that you’re pushing yourself too hard. Some pains are telling the truth, some are lying[?]. Learn how to tell the difference.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mind. When the mind can’t seem to settle down, sometimes it needs to be pushed even harder, sometimes you need to pull back. Your ability to read the difference is what exercises your powers of wisdom and discernment.

Learn, too, how to read your progress. The meditation won’t really be a skill, won’t really be your own, until you learn to judge what works for you and what doesn’t. You may have heard that meditation is non-judgmental, but that’s simply meant to counteract the tendency to prejudge things before they’ve had a chance to show their results. Once the results are in, you need to learn how to gauge them, to see how they connect with their causes, so that you can adjust the causes in the direction of the outcome you really want.


• Vary your routine.  Just as a muscle can stop responding to a particular exercise, your mind can hit a plateau if it’s strapped to only one meditation technique. So don’t let your regular routine get into a rut. Sometimes the only change you need is a different way of breathing, a different way of visualizing the breath energy in the body. But then there are days when the mind won’t stay with the breath no matter how many different ways of breathing you try. This is why the Buddha taught supplementary meditations to deal with specific problems as they arise. For starters, there’s goodwill for when you‘re feeling down on yourself or the human race—the people you dislike would be much more tolerable if they could find genuine happiness inside, so wish them that happiness. There’s contemplation of the parts of the body for when you’re overcome with lust—it’s hard to maintain a sexual fantasy when you keep thinking about what lies just underneath the skin. And there’s contemplation of death for when you’re feeling lazy—you don’t know how much time you’ve got left, so you’d better meditate now if you want to be ready when the time comes to go.

When these supplementary contemplations have done their work, you can get back to the breath, refreshed and revived. So keep expanding your repertoire. That way your skill becomes all-around.


• Take your ups and downs in stride.  The rhythms of the mind are even more complex than those of the body, so a few radical ups and downs are par for the course. Just make sure that they don’t knock you off balance. When things are going so well that the mind grows still without any effort on your part, don’t get careless or overly confident. When your mood is so bad that even the supplementary meditations don’t work, view it as an opportunity to learn how to be patient and observant of bad moods. Either way, you learn a valuable lesson: how to keep your inner observer separate from whatever else is going on. So do your best to maintain proper form regardless, and you’ll come out the other side.


• Watch your eating habits.  As the Buddha once said, we survive both on mental food and physical food. Mental food consists of the external stimuli you focus on, as well as the intentions that motivate the mind. If you feed your mind junk food, it’s going to stay weak and sickly no matter how much you meditate. So show some restraint in your eating. If you know that looking at things in certain ways, with certain intentions, gives rise to greed, anger, or delusion, look at them in the opposite way. As Ajaan Lee, my teacher’s teacher, once said, look for the bad side of the things you’re infatuated with, and the good side of the things you hate. That way you become a discriminating eater, and the mind gets the healthy, nourishing food it needs to grow strong.


As for your physical eating habits, this is one of the areas where inner strength training and outer strength training part ways. As a meditator, you have to be concerned less with what physical food you eat than with why you eat. If you’re bulking up for no real purpose, it’s actually harmful for the mind. You have to realize that in eating—even if it’s vegetarian food—you’re placing a burden on the world around you, so you want to give some thought to the purposes served by the strength you gain from your food. Don’t take more from the world than you’re willing to give back. Don’t bulk up just for the fun of it, because the beings—human and animal—who provided the food didn’t provide it in fun. Make sure the energy gets put to good use.


• Don’t leave your strength in the gym.  If you don’t use your strength in other activities, strength training becomes largely an exercise in vanity.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your meditative skills. If you leave them on the cushion and don’t apply them in everyday life, meditation turns into a fetish, something you do to escape the problems of life while their causes continue to fester.

The ability to maintain your center and to breathe comfortably in any situation can be a genuine lifesaver, keeping the mind in a position where you can more easily think of the right thing to do, say, or think when your surroundings get tough. As a result, the people around you are no longer subjected to your greed, anger, and delusion. And as you maintain your inner balance in this way, it helps them maintain theirs. So make the whole world your meditation seat, and you’ll find that meditation both on the big seat and the little seat will get a lot stronger. At the same time, it’ll become a gift both to yourself and to the world around you.


• Never lose sight of your ultimate goal.  Mental strength has at least one major advantage over physical strength in that it doesn’t inevitably decline with age. It can always keep growing to 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death. The Buddha promises that it leads to the Deathless, and he wasn’t a man to make vain, empty promises. So when you establish your priorities, make sure that you give more time and energy to strengthening your meditation than you do to strengthening your body. After all, someday you’ll be forced to lay down this body, no matter how fit or strong you’ve made it, but you’ll never be forced to lay down the strengths you’ve built into the mind.

알라딘: 표준 새번역 사서

알라딘: 표준 새번역 사서



표준 새번역 사서 - 대학 / 논어 / 맹자 / 중용 | 종려나무 인문과학총서 6
석동신 (옮긴이)종려나무2017-03-10








책소개
유교 2천여 년의 역사에 있어 획기적인 책으로 유교의 종지를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사랑하라.’는 말로 새롭게 규정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유교의 종지는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다스려라[修己治人].’였다. 즉 역주자에 따르면 이제 유교의 이념에 따라 정치하던 시대는 지나갔으므로, 유교도 새 시대에 걸맞게 새롭게 거듭나지 않으면 유교의 미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주자는 유교의 정치적 가치보다는 종교적 가치에 주목하여 유교의 종지를 새롭게 규정하는 한편, 이에 따라 유교의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


목차


대학 _17
논어 _57
맹자 _453
중용 _815

부록 1: 공자 연보 _886
부록 2: 맹자 연보 _889
부록 3: 공자의 제자들 _890
부록 4: 공자 당시의 노나라 임금들 _896
부록 5: 노나라의 계손씨 가문 _900
부록 6: 도량형의 시대별 변천표 _902




저자 및 역자소개
석동신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1984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신학과 졸
1992년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졸
2004년~현재 유교연구소 연구위원
2005년 『한글로 읽는 사서』 출간
2007년 한국신지식인협회 교육부문 신지식인 선정
2009년~2011년 대동문화센터장
기타 역주서: 『창세기와 히브리신화』




최근작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전통유교를 창조적으로 전복시킨 유쾌한 현대유교 이야기 ― 『표준새번역 사서』

본서는 유교 2천여 년의 역사에 있어 획기적인 책으로 유교의 종지를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사랑하라[修己愛人].’는 말로 새롭게 규정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유교의 종지는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다스려라[修己治人].’였다. 즉 역주자에 따르면 이제 유교의 이념에 따라 정치하던 시대는 지나갔으므로, 유교도 새 시대에 걸맞게 새롭게 거듭나지 않으면 유교의 미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주자는 유교의 정치적 가치보다는 종교적 가치에 주목하여 유교의 종지를 새롭게 규정하는 한편, 이에 따라 유교의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역주자는 현대유교의 4대이념과 신삼강오륜을 새롭게 제시하여 유교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한 걸음 더 진전시키고 있다. 현대유교의 4대이념은 인애, 정의, 자유, 평등인데, 이것은 역주자가 유교의 최고가치인 인의(仁義)와 서양근대문명의 핵심가치인 자유와 평등을 접목해 제시한 것으로, 전통유교의 기존가치만으로는 유교를 현대화하고 대중화하는 데 미흡하다고 느끼고 과감하게 현대 민주주의의 원리를 전통유교에 가미한 것이다. 이를 삶의 현장에서 실천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오로지 독자들의 몫이리라.
신삼강오륜 중 신삼강은 첫째 ‘인간은 세계의 중심이다[人間爲世界綱]’, 둘째 ‘부부는 가정의 중심이다[夫婦爲家庭綱]’, 셋째 ‘민중은 국가의 중심이다[民衆爲國家綱]’이다.
신오륜은 첫째 ‘남자와 여자는 평등해야 한다[男女有平]’, 둘째 ‘남편과 아내는 사랑해야 한다[夫婦有愛]’, 셋째 ‘부모와 자녀는 친애해야 한다[父子有親]’, 넷째 ‘친구와 친구는 신뢰해야 한다[朋友有信]’, 다섯째 ‘노동자와 사용자는 정의로워야 한다[勞使有義]’이다.
이 역시 유교를 시대에 발맞춰 나가게 하기 위해 과거의 삼강오륜을 오늘날에 맞게 고친 것으로, 과거의 삼강오륜만으로는 현대인들에게 어필할 수 없다고 보고 역주자가 새롭게 제시한 것이다. 이는 유교 2천년 역사에 있어 혁명에 버금가는 일대사변이므로, 이에 대해 강호의 선학들과 후학들이 진지하게 토의해 줄 것을 역주자는 바라고 있다.
이 책의 장점은 이뿐만이 아니다. 역주자는 20여 년 간 『사서』의 표준적인 번역을 목표로 국내외 및 동서고금의 관련 서적들을 두루 섭렵하면서 어떤 번역과 주석이 본문을 이해하는 데 가장 적합할지를 심사숙고하였다. 이에 따라 『사서』의 어떤 구절이 시대별로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본문 이해의 폭을 넓히고 다각화하였다. 이러한 역주자의 노력의 결정이 이 한 권의 책에 농축되어 있기에, 독자들이 만약 이 책을 읽는다면 이는 역주자와 마찬가지로 수백 권의 관련 책을 읽는 효과를 보게 될 것이고, 이에 더하여 스스로 생각하면서 읽는다면 『사서』에 대한 독자의 안목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사서』 번역서들과는 달리 『사서』 각 권을 나누지 않고 한 권에 통합함으로써 『사서』 전체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게 하였다. 『맹자』는 『논어』의 해설서적인 성격을 띠고 있고, 『대학』과 『중용』은 그 사상적 맥락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절을 세분함으로써, 독자들이 자신이 찾아보고 싶은 구절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역주자는 본서의 분절 체제가 기독교 『성경』의 경우처럼 세계적인 표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만약 이것이 실현된다면 이 또한 유교 경학사상 획기적인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역주자는 한문의 전통적 독법인 현토식에 불만이 있었다. 한문의 현토식 독법은 한국인들에게는 편리할지 모르나, 마치 I enjoy music every day.라는 영문을 ‘I는 enjoy하노라 music을 every day에’로 말하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또 이는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는 원문을 한 가지 해석으로 고정하는 일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역주자는 한자 원문을 현대 중국식 문장부호에 따라 표기하였다. 현토식을 선호하는 이는 원문에 현토를 붙여 읽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 책이 『사서』를 공부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의 필독서가 될 뿐만 아니라 독습용, 강의용, 설교용으로도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
접기
===
   제 목 : <표준새번역 사서> 서문  
  글쓴이 : 한솔이 날 짜 : 16-09-07 21:54 조회(3193)
  글자크게 보기 글자작게 보기 인쇄하기 트랙백 주소 : http://freeview.org/bbs/tb.php/f001/3956 


『표준새번역 사서』 발간에 부쳐

『한글로 읽는 사서』를  발간한 지 10여년 만에『표준새번역 사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이『표준새번역 사서』는 우리말로 읽었을 때 한문 투의 어색하고 난해한 표현이 없도록 최대한 우리말의 어감과 정서를 살려 자연스런 일상어로 옮겼고,『사서』의 원문을 직접 보고 읽기를 원하는 많은 독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한문 원본을 실었다. 또한 어렵거나 해석에 논란이 되는 원문의 한자에 대한 상세한 풀이와 본문에 대한, 간결하지만 깊이 있는 주석은 원문을 이해하는 데 올바른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더욱이 세계 최초로 원문에 적절히 절을 구분하여『사서』 원문의 각 구절을 손쉽게 찾아 볼 수 있게 한 것은『사서』 독해의 정확성과 능률을 한층 높인 것으로서 본서만의 큰 장점이라 하겠다. 앞으로는『사서』를 인용하는 분들은 편명만 언급하지 말고 장과 절까지 언급하여 어느 구절이 어느 편 몇 장 몇 절에서 인용되었는지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좋으리라고 본다. 이에 있어 본서가 선구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해 본다.
  옮긴이가『사서』를 우리말로 옮기게 된 저간의 동기에 대해서는『한글로 읽는 사서』에서 간략히 밝힌 바 있는데, 본『표준새번역 사서』는 이에서 진일보하여『사서』의 표준번역본을 마련코자 하는 야심찬 기획의 산물이라는 점을 꼭 밝히고 싶다. 혹자는 한학(漢學)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유학에 대해서는 문외한인 옮긴이가 터무니없는 과욕을 부리는 것이 아닌가 하고 코웃음을 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표준새번역 사서』를 기획하게 된 것은 오로지 그 동안 번역된 유교 경전들을 바라보는 옮긴이의 안타까운 심정의 발로라는 것을 깊이 고려해 주기 바란다. 즉 기독교에서는 구교이든 신교이든 각각 통일된 공인『성서』본을 바탕으로 나름대로의 종교생활을 하고 있는데 비해, 유교의 실정은 전혀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금 서점에는 수십 본의 유교 경전들이 전공자나 비전공자의 손을 통해 번역되어 나와 있지만, 이 중 똑같은 번역본은 하나도 없다.
  물론 유교 경전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해석이 존재하는 것은 오히려 유교의 장점으로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옮긴이는 그처럼 다양한 해석에서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을 더 많이 보게 되었으니, 즉 당혹스러울 만큼 너무 혼란스럽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한 마디로 유교계는 그들의 경전에 대해 일종의 아노미(Anomie) 상태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 정도이다. 일정한 통일된 표준적인 해석이 부재함으로써 제각각 중구난방으로 다른 해석들만 잔뜩 토해 냈을 뿐, 평범한 보통사람들이 유교 경전을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렵고 혼란스럽지 않은가 한다.
  물론 유교 2천여 년 경학사(經學史)는 곧 해석사라 할 만큼 동일한 구절에 대해 여러 해석이 난무했고, 단장취의(斷章取義)가 자유롭게 허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사서』의 우리말 번역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직역 위주로 된 한문 투의 딱딱하고 조야한 번역이 많아, 우리말만 읽어서는 도무지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어느 나라 말이든 다른 나라 말로 옮길 때에는 그 두 언어 사이의 표현상의 차이로 인해 축자적인 직역만 해서는 의미 전달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번역의 상식이다. 특히 경서와 같은 심오한 서적의 경우에는 전후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저자의 숨은 뜻을 충분히 살려 옮겨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했던 그간의 사정은, 경서 원문의 한자에 대한 맹목적 숭배가 그 주요 원인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이제 어느 정도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표준적인 번역본이 나와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도 결코 무시할 수는 없으리라고 본다. 본서에서는 이러한 점을 십분 고려하여 어디까지나 현대인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질 수 있는 표준이 될 만한 해석을 채택하여 교과서적인 번역을 목표로 했음을 밝혀 둔다. 물론 번역에 있어 지나치게 독특해 보편성이 떨어지는 해석은 가급적 피했고, 현대인에게 의미 있는 동일 구절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은 두루 포용하려고 애썼으며(특히『논어』에서 주관적 해석과 객관적 해석의 양자가 가능한 경우에는 주객합일 도식에 따라 양자를 모두 타당한 해석으로 인정했다), 직역과 의역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되 간결함을 기본으로 삼았다. 또한 남성 중심적인 표현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포괄하는 표현으로 옮겼다.
  번역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축자적 번역이나 형식적인 일치(Formal Correspondence)를 피하고 내용의 동등성(Dynamic Equivalence)을 취하여, 독자들이 원문을 읽는 사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보아야 할 것이다. 유교는 오늘날 한갓 구시대의 유물로서 오로지 청산되어야 할 그 무엇인가, 아니면 한국인의 예절생활이나 제사의례 등에 그나마 잔존시켜야 할 전통 문화유산인가, 그도 아니면 물질주의적인 서구 문물과 독단적이고 배타적이며 제국주의적인, 이스라엘의 역사신화(구약성서)와 메시아신화(신약성서)를 바탕으로 하는 서양 종교가 지배적인 현대 한국사회에서 그 대안적 가치로서 새롭게 회복시켜야 할 그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쉽게 대답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한국 전통사회에 끼친 유교문화는 삶의 많은 지혜가 녹아 있는 귀중한 문화 자산이고, 그 새로운 해석과 창조적 적용은 한국과 전 세계의 미래를 이끌어 가기에 충분한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차원 높은 정신문화라고 나는 확신한다.
  물론 한국사회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전근대적 군주제에서 근대적 민주제로,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 내지 정보사회로, 사대부 중심의 귀족문화에서 민중 중심의 대중문화로, 공동체적 촌락문화에서 개인주의적 도시문화로, 사・농・공・상의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직업의 귀천이 없는 평등사회로, 대가족제도에 근거한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에서 핵가족 중심의 양성평등 사회로의 혁명적 변화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유교는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채, 구시대의 낡은 지배 이데올로기로 낙인 찍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고 있는 것이 유교가 처한 오늘날의 냉정한 자화상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혼란기에 태어난 공자와 맹자는 그 시대의 도전에 응전하여 유학이라는 인문주의 운동을 전개하였으니, 인의 및 예악문화에 기초한 이상과 신념으로 도탄에 빠진 사회를 구하고자 했던 그들의 헌신적 노력과 열정은 시대를 초월한 영원한 귀감이라 할 것이다.
  이에 나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해 본다. ‘만약 공자와 맹자가 오늘날에 태어났더라면?’ 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그들은 누구보다 민주주의와 자유, 그리고 양성평등과 계급평등의 열렬한 옹호자가 되었을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이것들이 그들이 말한 인의의 오늘날의 실질이겠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자들은 주저하지 말고『사서』를 읽어야 하리라고 본다. 특히 공자의 모호하지만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말 가운데는 우리의 실존적 삶에 커다란 의미를 던져 주는 보배와 같은 말들이 많다. 또 그의 ‘때에 맞게 함[時中]’ 또는 ‘중용’의 철학은 유교가 현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새롭게 거듭나야 할, 시대적 사명과 책임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 즉, 박제된 봉건주의의 굴레에서 공자를 해방시켜 현대 민주사회의 든든한 후원자로 공자를 재탄생시키는 것이야말로 현대 유학인들의 막중한 책무라 할 것이다. 이에 있어 옮긴이는 초기 유학의 생기발랄한 모형이 담긴『사서』, 특히『논어』로 돌아가 그 동안 정치학 내지 관료학으로 축소・왜곡되었던 공자 인학(仁學: 휴머니즘)의 진면목을 밝히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유교 자체가 그 태동기의 한계와 전승・발전의 과정에서 전근대적 봉건성, 즉 편협한 혈연주의・신분과 서열에 따른 사람 차별・지역 연고주의・남존여비 사상・관존민천의 전도된 가치관・가부장적 권위주의・학벌주의・실용지식과 기술 및 노동의 천시・퇴영적 공리공담의 논의・구체적 현실을 도외시한 명분론・묵수적 복고주의・화이론에 따른 중국 우월주의 및 사대주의 등에 휘둘린 경우가 적지 않았다. 또한 역대의 다수 봉건 통치 지배자들이 유교의 순결한 덕목들(예컨대 충효)을 봉건지배에 부당하게 악용한 폐단이 크고, 말류 유교가 세속의 비과학적 풍수지리설 및 음양오행설 등과 결탁하여 비이성적 논리로 기복신앙을 퍼뜨리고 기득권 유지를 위해 지역 차별을 부추기는 등 양민을 미혹시킨 바가 많으므로, 이들은 냉철한 비판을 통해 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옮긴이는 현대유교가 옛 유교의 이러한 폐습들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민주주의 시대란 민중이 모두 제왕이 된 시대이므로, 유교가 민중을 위한 민중의 유교로 만인을 위한 만인의 유교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은 시대적 당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현대유교의 4대 이념을 새롭게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것은 인애・정의・자유・평등인데, 인애와 정의는 공자와 맹자의 보편적이고 영원한 기본 사상이고, 자유와 평등은 서양에서 들어온 근대 시민사회의 핵심 이념으로, 현대유교가 이 둘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유교는 21세기에 찬란히 부활할 수 있으리라고 나는 믿는다. 이와 함께 유교 철학의 기본 관념도 ‘자신을 닦아 남을 다스림[修己治人]’에서 ‘자신을 닦아 남을 사랑함[修己愛人]’으로 바꾸었다. 이렇게 해야만 유교를 그 봉건성으로부터 구제할 수 있겠기 때문이다. 또 비록 때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현대 시민사회를 배경으로 한 신삼강오륜을 구상해 본 것도 전혀 무익한 일은 아닐 것이다. 신삼강오륜은 다음과 같다.

  신삼강(新三綱)
  1. 인간은 세계의 중심이다(人間爲世界綱).
  2. 부부는 가정의 중심이다(夫婦爲家庭綱).
  3. 민중은 나라의 중심이다(民衆爲國家綱).

  신오륜(新五倫)
  1. 남자와 여자는 평등해야 한다(男女有平).   
  2. 남편과 아내는 사랑해야 한다(夫婦有愛).
  3. 부모와 자녀는 친애해야 한다(父子有親).
  4. 친구와 친구는 신뢰해야 한다(朋友有信).
  5. 노동자와 사용자는 정의로워야 한다(勞使有義).

  한편 전근대 왕조시기의 군주도 홀아비・과부・고아・독거노인 등 사회에서 소외되고 가난하며 억압받는 자들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어진 정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유학이었으니, 만약 군주가 이러한 덕이 없이 자기 일신의 안락과 영화를 위해 백성을 착취하고 학대했을 때에는 즉각 혁명을 통하여 군주를 교체하는 것을 당연시하였다. 오늘날 이런 유학의 기본이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 현대 국가의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복지정책이나, 불의한 정권에 대한 시민의 항거 등 가치 있는 귀중한 가르침을 유학에서 많이 배울 수 있으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또한 나는 본서에서 황금만능주의에 의한 인간소외와 인명경시, 생활고와 인성의 황폐화에 따른 도덕과 윤리의 붕괴, 공직자의 무능과 부정부패, 이기적 탐욕과 자본주의의 모순으로 인한 빈부의 양극화, 특정 종교나 이념의 맹목적 추종에 의한 사회의 분열과 적대 및 투쟁, 각종 분쟁으로 인한 전쟁과 문명 간 갈등, 더 나아가 무분별한 개발논리에 따른 환경파괴와 핵개발에 의한 전 지구적 재앙의 엄습 등 총체적 위기에 빠진 인류를 구원할 사상으로서 새로운 현대유교의 담론을 널리 모색해 보았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현대 민주사회에 알맞은, 보다 현대적이고 간소화된 의례 문제를 제기해 본다. 전통적인 관혼상제의 의례는 그 제도와 방식 면에서 이미 과거와는 크게 달라진 것이 현실이다. 관례는 거의 사라졌고, 혼례는 이미 대개의 경우 서양식으로 대체되었으며, 장례는 지위를 불문하고 대개 삼일장으로 간소화된 지 오래이다. 그리고 삼년상을 지키는 사람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유학의 종주국인 중국 본토에서는 돌아가신 부모의 제사를 돌아가신 지 3년간 3번만 지내고, 그 후에는 설날과 추석 때 차례를 지내며 돌아가신 조상들을 추모한다고 한다). 또한 지금은 국토가 협소한 관계로 돌아가신 부모를 더 이상 무덤에 모시지 말고 화장이나 수목장 등으로 모실 것이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2천 년을 주기로 하는 21세기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아 모쪼록 본 역서가 유교의 현대화와 대중화, 즉 ‘공자 르네상스’에 한 작은 밑거름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해 본다. 단, 그것은 공자의 가르침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나 일방적 폄훼보다는 건설적 비판과 합리적 대안을 토대로 공자의 가르침을 현시대에 맞게 새롭고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것이 될 것이다. 강호 제현들의 아낌없는 가르침을 바랄 뿐이다.

단기 4349(2016)년  6월

유교연구소 연구위원
석동신(昔東信)

* <표준새번역 사서>는 대전의 종려나무출판사에서 곧 나올 예정입니다.^^
미선 (16-09-08 23:00)
 
잘지내시죠? 곧 나올 예정인 <표준새번역 사서>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하시는 일마다 좋은 열매를 맺기를 기원합니다.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 ^^


한솔이 (16-09-18 00:12)

미선님, 고맙습니다. 현대유교 운동에 적극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제 목 : <표준새번역 사서>가 20년의 산고 끝에 마침내 출간되었습니다

글쓴이 : 한솔이 날 짜 : 17-03-16 20:06 조회(2834)

트랙백 주소 : http://freeview.org/bbs/tb.php/f003/651







본 게시판에 여러번 <표준새번역 사서>를 소개해 올렸던 역주자 석동신이올시다.
오늘 대전의 종려나무 출판사에서 졸역 <표준새번역 사서>를 출간하여 이를 알려 드리니,
혹 <사서> 공부에 관심 있으신 분은 일독을 권합니다.
역주자는 수기애인의 현대유교의 종지와, 인애 정의 자유 평등의 4대 이념,
그리고 신삼강오륜을 제시하여 현대유교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독교의 성경처럼 절을 세분하여 찾아보기 쉽게 하였고, 쉬우면서도 자연스런 우리말로 옮겨 <사서>를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예) 군자주이불비, 소인비이부주: 군자는 두루두루 어울리고 끼리끼리 어울리지 않지만,
소인은 끼리끼리 어울리고 두루두루 어울리지 않는다.(논어-위정 14장)
그리고 동서고금의 다양한 주석을 소개하여 독자가 원문을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하였습니다.
본서가 한국의 모든이들의 애독서가 되기를 바랍니다.
가격은 정가 29,000원이고요. 현재 교보문고와 yes24.com 에 책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미선 (17-03-26 13:00)



축하드립니다. 좋은 책을 출간하셨네요. 널리 읽혀질 수 있길 기원합니다. ^^









===

2020/12/26

커뮤니티 > 자유토론광장 > <표준새번역 사서> <대학> 해제

커뮤니티 > 자유토론광장 > <표준새번역 사서> <대학> 해제:

    제 목 : <표준새번역 사서> <대학> 해제  
  글쓴이 : 한솔이 날 짜 : 16-09-18 00:07 조회(3317)
  글자크게 보기 글자작게 보기 인쇄하기 트랙백 주소 : http://freeview.mireene.co.kr/bbs/tb.php/f001/3960 


대학 해 제

 저자와 성립 연대
  저자는 알 수 없다. 주희(朱熹: 1130~1200)는 공자(BC 551~479)의 제자인 증자(BC 506~436)가 공자의 말을 기록한 것(본서의 1・2장)에 증자의 제자들이 해설(본서의 3장~11장)을 붙여서 본서를 지었다고 주장했고, 이 설이 오랫동안 통용되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의고풍(疑古風)의 영향으로 전국시대 말기(BC 3세기)나 진(秦)・한(漢) 교체기(BC 200년경)에 어느 유학자가 지었다는 설이 우세하다. 최근에는 곽점초묘죽간(郭店楚墓竹簡)의 출토(1993년)로 자사(子思) 공급(孔伋: BC 483?~402?)이 쓴『중용』에 이어 자사의 제자들이 BC 400년경에 썼다는 설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일본에서는 한나라 제7대 황제 무제(武帝: 재위 BC 141~87) 때 태학(太學)을 설립하면서 태학의 교육이념을 천명하기 위해 지은 글이라는 설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 구성
  본서는『대학』을 총설(1장)과 해설(2장~11장)로 나누었다. 그런데 이것은 편의상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분일 뿐이므로, 독자들은 본서를 유기적으로 연속된 하나의 전체로 보는 관점을 가져 주기 바란다. 그런데 해설 부분에 있어, 저자는 3강령과 8조목을 주희가『대학장구(大學章句)』에서 재구성한 것처럼 그 순서대로 기술하지 않고, 다소 자유분방하게 혹은 일부 항목은 약간 개념을 바꿔 설명하고 있다. 즉 8조목 중 치지(2장)와 성의(3장)가 먼저 나오고, 그 뒤에 명명덕(4장)・신민(5장)・지어지선(6장)의 3강령이 서술되어 있는데, 친민을 신민으로 대체해 설명하고 있다. 그 다음엔 치지가 지본(7장)으로 바뀌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고, 이 후 정심수신(8장)・수신제가(9장)・제가치국(10장)・치국평천하(11장)가 각 선후 조목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으면서 앞 항목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기술되어 있다. 즉 8조목의 첫 항목인 격물은 지본(치지)에, 마지막 항목인 평천하는 치국에 흡수되어 특별히 따로 서술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단,『대학』의 격물론을 파악하자면 1장의 2・3절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 원본「대학」의 재구성 문제
  중국 송대의 정호(程顥: 1032~1085)・정이(程頤: 1033~1107)・주희(朱熹: 1130~1200)가 각자『대학』을 나름대로 재구성한 이래로, 많은 이들이 또한 자신의 견해에 따라『대학』의 재구성을 시도해 왔다. 하지만 요즘 학계의 일반적 추세는 이러한 재구성을 인정하지 않고『예기』 제42편에 있는 원래의「대학」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것이다. 본서도『예기』「대학」을 저본으로 하였다. 따라서 옮긴이는 정현(鄭玄: 127~200)과 정이, 주희가 임의로 각각 신(新)・심(心)・만(慢)으로 고친 원문의 친(親: 1:1)・신(身: 8:1)・명(命: 11:25) 3자도 고치지 않고 그대로 두고 해석했다.

 내용
 『대학』은 벽옹(辟雍)이나 반궁(泮宮)과 같은 옛 대학의 교육이념을 천명하는 형식으로, 춘추・전국시대의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천자의 교육기관인 대학의 이념과 그 실현 방법을 내성외왕(內聖外王)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대학』은 당시까지 발전해 온 유학의 핵심사상을 체계적으로 논술하고 있는데, 그것은 한마디로 ‘자신을 닦아 남을 사랑함[修己愛人]’으로 요약할 수 있다(본문 1:1,『논어』「학이」 5장,「안연」 22:1,「헌문」 45장,「양화」 4:3 참조). 그 주요 내용은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이다.
  삼강령은 밝은 덕을 밝히고, 백성을 친애하며(새롭게 하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것을 말한다.
  ‘밝은 덕을 밝힌다.’라는 것은 인간은 누구나 밝은 덕 즉 이상적 존재로 완성될 가능성을 타고났으나 세속적 욕망에 가려 그것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므로, 때와 먼지를 벗겨내듯 자신의 밝은 덕을 함양하여 밝게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백성을 친애한다(새롭게 한다).’라는 것은 타고난 밝은 덕을 밝혀 인격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자기 한 사람에게서 그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끊임없는 자기수양과 더불어 타인 특히 민중을 사랑하기 위해, 쉬지 않고 자신과 타인 및 민중을 새롭게 일깨워 함께 나아가는 사회적 봉사의 책임과 사명을 다해야 한다는 말이다.
  ‘지극한 선에 머문다.’라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선을 추구하고 행하며 각 상황에 가장 합당하게 행동함으로써, 늘 가장 좋은 상태에서 떠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적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의 이상사회 건설을 지향함은 물론이다.
  팔조목은 사물을 연구하고, 앎에 이르며, 뜻을 성실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며, 몸을 닦고, 집안을 다스리며,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표준새번역 사서> 가 대전의 종려나무 출판사에서 곧 출간될 예정입니다. <표준사서>는 미래의 유교를 이끌고 갈 책입니다.
미선 (16-09-18 02:43)
 
화이트헤드 철학을 하다보니 자연스레 유교철학에도 관심을 갖게 되기도 하는데(왜냐하면 화이트헤드 연구자들 중에는 유교성리학과의 관련 논문이 꽤 있기도 히기 때문입니다).. 평소 궁금한 점은 유교 형이상학이 갖고 있는 기 개념입니다.

유교 형이상학에서 <기>라는 개념을 혹시 어떻게 보시는지요? <리> 개념은 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소 유사점이 있지만 그와 비교해 <기>개념에 대해선 해석들이 좀 많은 차이가 있기도 하더군요.

또한 <오행> 개념도 어떻게 보시는지요? 음양오행 중에서 음양까지는 어느 정도 수용이 되기도 하는데, 오행 개념은 유교학자들 사이에서도 비판적으로 보는 이들도 꽤 있더군요.

혹시 기 개념과 오행 개념에 대해 좀더 정확한 해석 자료라도 있다면 소개를 해주신다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한솔이 (16-09-22 00:01)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는 동양의 형이상학적 개념들인 이기나 음양, 오행 등의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너무 추상적이고 관념적이라 여기기 때문이죠. 중국 고대인들이 자연 현상을 보고 막연히 쓴 말들로밖에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주자나 양명이 말하는 리라는 개념도 대부분 도덕적 덕목인 인의효제충신 같은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주자가 쓴 리 개념도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자연법칙이나 원리보다는 단순히 자연현상을 말하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오늘날의 자연과학적 사고가 부족했던 천년 전 중세인의 사고의 한계라고 봅니다. 기라는 개념도 중구난방이고 상대적, 가변적인 거 같고요. 따라서 나는 이기 같은 추상적 관념보다는 과학적 사고와 그에 따른 현대적 개념들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훨씬 구체적이거든요. 오행은 더더욱 배격하는 개념입니다. 중국과 일본은 음양오행적 사유를 버린 지 오래된 걸로 아는데, 어째서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사고가 유행하는지 이해가 안 될 따름입니다.^^

   
미선 (16-09-22 07:47)
 
답변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말씀에 저또한 공감하는 바입니다. 특히 오행 개념은 저로서도 정말 납득이 안되더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2020/12/25

God, Jesus, Christianity, and Quakers

 God, Jesus, Christianity, and Quakers - Friends Journal


God, Jesus, Christianity, and Quakers
December 1, 2018

By Jim Cain


As a nontheist Friend, I sometimes confront questions about my belief in God, my understanding of Jesus, and my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I welcome these questions and generally enjoy discussing these subjects.

I don’t have any difficulty answering the God question or affirming my belief in God, although I don’t believe in a God who is a being, who is involved in my life, who answers my prayers, who judges me upon death, or who offers me everlasting life.

Also, I don’t have any difficulty answering questions about Jesus as I understand Jesus to be a teacher, healer, and social activist in the great tradition of Hebrew prophets. Although I don’t see Jesus as divine, I do see him as an amazing inspiration for the basic tenets of his teaching, specifically his two commandments: to love God with all your heart, and to treat others as you would wish to be treated.

The second commandment is easy to understand though often hard to practice. It isn’t as easy to understand what commandment one involves, especially if you don’t conceive of God as a being. Still, it does have meaning for me as I conceive of God as the primal life force of the universe—the thing, process, or force that brings universes into being and that has led to life on Earth. Life on Earth includes many ugly events and human tragedies, but it also includes many lovely developments. I can imagine life developing without these positives, so I experience them as a gift. This is how I understand commandment one: I am to live in a way that promotes lovely developments for Earth and its inhabitants, both human and animal. Admittedly, this is rather nebulous, but it provides some guidance and is consistent with the testimonies of Friends.

Ifind questions about the Quaker embrace, or my embrace, of Christianity more challenging. Many non-Quaker Christians, especially Evangelical ones, would of course answer the Quaker Christian question using a defined set of criteria: Do Quakers believe in a God who created the universe, who responds to prayer, and who judges us at death? Do Quakers believe that Jesus physically rose from the dead, and that belief in him leads to heaven and saves us from hell?

I don’t think these questions are at all helpful when we as Quakers address the question of Christianity for ourselves. In most Christian denominations, there is some kind of declaration of faith, some kind of baptism or ritual, and official membership is usually important and recognized. For members of these denominations, the question of Christianity is easy and straightforward.

Obviously, it is not such an easy question for unprogrammed Friends. There is no given creed to attest to and persons often attend meeting and serve on committees for years without formal membership. There is indeed the ritual of the clearness committee for membership and a hearty welcome to formal membership, but overall the initiation into formal membership is low-key and the distinction between members and attenders is minimal.

Yet, modern Quakers are the heirs of a long and rich Christian tradition. I will leave it to the Quaker historians to provide the details of this. I think the question of whether Quakers are Christian or individual Quakers are Christian are problematic, best replaced by questions about how we conceive of God, how we understand Jesus, or how we experience the sacred.

The question of my Christianity is certainly problematic for me, and I might give different answers on different occasions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When I might answer, yes, I am a Christian, I am considering that I am a member of a traditional Christian denomination, and I have a great love of Jesus and strive to uphold testimonies consistent with his commandments. I also take into account that the early followers of Jesu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exactly who Jesus was and what his message was, so I understand that Christianity has always had a broad definition, even if individuals and denominations often sought to restrict the term to those who share their own beliefs. The definition of Christian I like best is simply “a follower of Jesus of Nazareth”—not Jesus Christ; I would be a Christian under that definition.

When I am tempted to answer, no, I’m not a Christian, I am considering that I don’t believe in an afterlife; I don’t believe in God as a being active in the world; I don’t accept the Nicene Creed, and I don’t believe Jesus physically rose from the dead. I also think that if I were magically able to share my beliefs with all of the world’s professed Christians, the majority would not consider me a Christian. This makes me think that describing myself as a Christian would go against the most widely accepted meaning of the word.

In any case, I am not so invested in being known as a Christian, and I am not enthusiastic about defending any right I might have to be known as such. I am more protective of my right to be known as a believer in God and as a lover of Jesus, even though my conception of both may differ from the mainstream.

How important is it for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or Friends General Conference to decide if the Quaker body is Christian? Is it important for marketing purposes? Self-selection purposes? Other purposes? One thing is clear: present-day Quakers will never agree whether Quakerism remains a Christian religion.

What is unclear is whether Quakers can have a productive discussion on the topic. I think there are limited opportunities to discuss our own beliefs, so I fear thoughts and emotions on the topic often occur without clear understanding. I think and hope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range of beliefs, conceptions, and experiences existing within Quakerism in a way that creates understanding, acceptance, identity, and cohesion.

I know some Friends have accepted that Quakerism is held together by common testimonies and practices, and this is enough for them. I think there is a real value, however, in a discussion of our beliefs as well. My most moving and inspiring experiences as a Quaker have been participating in clearness committees for membership and hearing the beliefs and experiences that led someone to seek membership. Often our meeting would share letters for membership, and this was inspiring as well.

I have also been inspired by the lengthy exchanges that have occurred this past September on the Facebook Quakers group. Dozens of participants weighed in on questions about God, Christianity, and Quakerism in a very thoughtful and respectful way that made me proud and reinforced my belief that such discussions are both possible and powerful.

More from Friends Journal on Spirituality
• “Thou Shalt Wear Comfy Shoes,” by Suzanne W. Cole Sullivan
Do our attitudes toward formal dress push people out the door?

• “With Just the Door Ajar,” by Caroline Morris
Whenever I choose to identify as a Quaker, I feel a need to hedge.

• “Spiritual Simplicity,” by Andrew Huff
There’s more to simplicity than tidying up our physical spaces.

Christianity
clearness committees
God
Jesus
marketing
process
Quaker Christian
Quakerism
Quakers
testimonies
Features
Click to share on Facebook (Opens in new window)Click to share on Twitter (Opens in new window)

Jim Cain
Jim Cain is a member and former clerk of Atlanta (Ga.) Meeting, currently attending Collective Church, a "misfit faith community" in DeLand, Fla. He's recently retired from a long career in public mental health. He has co-led Friends General Conference Gathering workshops on "Nontheism Among Friends" and "Reclaiming the Sacred" and made a presentation on the evolution of God to nontheist Friends at this summer's Gathering.

Are Quakers Christian?

The Quaker Clearness Process - YouTube

The Quaker Clearness Process - YouTube












WATCHED

5:35NOW PLAYING




The Quaker Practice of Discernment

QuakerSpeak





2

6:54NOW PLAYING



How to Listen for a Leading

QuakerSpeak





3

9:54NOW PLAYING



How to Have A Quaker Clearness Committee

QuakerSpeak





4

7:30NOW PLAYING



How to Serve on a Quaker Clearness Committee

QuakerSpeak


What Do Quakers Believe?

5 Beliefs That Set Quakers Apart From Other Protestant Christians | Newsmax.com

5 Beliefs That Set Quakers Apart From Other Protestant Christians | Newsmax.com
Home | Fast Features
Tags: Religion | quakers protestant | beliefs | christians


5 Beliefs That Set Quakers Apart From Other Protestant Christians
By Cindy Hicks | Wednesday, 01 April 2015 03:50 PM


Of all of the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s, that of Quakers is probably set apart the most. "Friends," as they call themselves, believe in the Trinity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like other Christians, but the roles that each person plays varies widely among Quakers.

Below are five beliefs that set Quakers apart from other Protestant Christians:

1. Meetings: Quaker meetings, or a meeting of friends, may differ considerably, based on whether the individual group is liberal or conservative. Because of this there are basically two types of Quaker meetings.

Meetings of meditation are mostly silent, with expectant waiting for an answer of some sort from the Holy Spirit. Individuals may speak in these meetings if they feel led to do so. 

Pastoral meetings can be much like an evangelical Protestant worship service, with prayer, readings from the Bible, hymns, music, and a sermon. Some branches of Quakerism have pastors, others do not.

2. Pers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ith God, Quakers often sit in a circle or square. This allows people to see and be aware of each other, but no single person is raised in status above the others. Some Friends describe their faith as an "Alternative Christianity," which relies heavily on personal communion and revelation from God rather than adherence to a creed and doctrinal beliefs. Early Quakers called their buildings steeple-houses or meeting houses, not churches.

ALERT: When Do You Think Christ Is Returning? Vote Now

3. Continuing Revelation: Most Friends believe in the religious belief that truth is continuously revealed to individuals directly from God. Quakers are taught that Christ comes to teach the people himself. Friends often focus on trying to hear God. Because of this, Quakers reject the idea of priests, believing in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4. Equality: From its beginning,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taught equality of all persons, including women. Some conservative meetings are divided over the issue of homosexuality.

5. Sacraments: Most Quakers believe that how a person lives their life is a sacrament, and that formal observances are not necessary. Quakers hold that baptism is an inward, not outward, act. And when it comes to communion, instead of the Lord’s Supper, Friends subscribe to the theory of spiritual communion with God, experienced during silent meditation.

SPECIAL: Can Prayer Heal You? Dr. Crandall Discovered the Truth

Related Stories:
Quaker Origins: 5 Things That Led to Development of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
Quaker Evolution: 6 Key Events for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s Since It Began


Quaker Origins: 5 Things That Led to Development of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
By Karen Ridder | Tuesday, 03 February 2015 02:17 PM

The Quaker Protestant denomination came out of a tumultuous time in the history of the English Church. The church formally known as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was founded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nd is marked by a lack of hierarchical structure.


Here are five thing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Quaker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 in the country today:


ALERT: When Do You Think Christ Is Returning? Vote Now


1. The ideas of George Fox - George Fox believed that the faithful could have contact directly with the Holy Spirit and did not need the intercession of a priest or church leader. This was a radical idea for the English environment in which he lived, that had been vacillating between the authorities of the Catholic Church in Rome and the Church of England.


2. Becoming outlaws in England - In England, religious practices of Quakers and other small Christian sects were outlawed by Parliament. Quakers were persecuted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Church of England.


3. Freedoms available in North America - Many Quakers left England and headed to North America to escape attacks on their faith. The first arrived as early as 1656. They still found persecution in the colonies, most notably Massachusetts.


4. The founding of Pennsylvania - The British Colony of Pennsylvania was founded as a safe haven for Quakers by William Penn. Penn had acquired a land grant from King Charles II. He set up a colony in 1681 with the land that guaranteed religious freedom and safety for all, including Native Americans.




5. The Great Separation
- Beginning in a Philadelphia yearly meeting in the 1820's, the Quaker Protestant group was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those who wanted to stick with an emphasis on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ose who wanted to focus on the "inner light." Similar splits occurred in several other meetings.

=============

Quaker Evolution: 6 Key Events for Protestant Christian Denomination Since It Began
By Karen Ridder |
Tuesday, 03 February 2015 02:46 PM

The Quaker Protestant denomination has about 350,000 supporters worldwide. The movement, which started during the strife of the 17th century English debates about Christianity and faith practices, is associated with the founding of Pennsylvania as a colony. The group focuses on pacifism, equality and the "light" within each person.


Here are 6 events that have shaped the denomination since it began:


1. George Fox’s vision in 1652 - The Preacher George Fox had been teaching at Puritan meetings in England – telling followers to listen to the voice of Christ that is within every person. It was not until he had a vision at the top of Pendle Hill in 1652, where he believed God told him to proclaim Christ’s power over sin. That became known and the Quaker movement started.


2. The Clarendon Code - In 1662 and 1664, the Clarendon Code resulted in thousands of Quakers facing prison for "illegal assembly" and refusing to take oaths. A statue of Mary Dyer sits today in Boston Common as a testimony to this time. She was hanged during this time for her religious beliefs.


3. The Toleration Act of 1689 - After facing persecution in England and seeking refuge in the American colonies, the English parliament offered some freedoms to the Quakers alongside other dissenting Protestant denominations. The Toleration Act of 1689 allowed "nonconformists," like the Quakers, to openly practice their faith as long as they took a loyalty oath.

4. The Great Awakening - In the 1700's, a movement of revival swept the American colonies affecting the Quaker movement. The Awakening polarized colonists and many turned to Quaker ideas as a more moderate alternative. The ideas also paved the way for a split in the Quaker Protestant movement.


5. The Great Separation
- In the 1820's, the Quaker Protestant denomination experienced a split between those who wanted to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more traditional denominational approach, recognizing biblical authority above all else and those who wanted to focus on the "inward light" which guides the conscience of the believer. The traditional group became known as "Orthodox." The other group became known as "Hicksite."

6. Disputes between Gurney and Wilbur
- Joseph John Gurney was a minister from England in the 1800's who emphasized on Quaker teachings that focused on a more mainline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nd the acceptance of Jesus for salvation. He advocated total abstinence from alcohol and campaigned against slavery. Those who followed these conservative ideas became known as Gurneyite Quakers. John Wilbur was another minister in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who taught Quakers to focus on the "new light" and was concerned about the changes he saw in early 1800's Quaker practices. He believed in the importance of the Bible, but said that the "inward light" took precedence over scriptural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