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 Show all posts

2023/12/19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Schweitzer, Albert: 9781443722186: Amazon.com: Books


Kindle
from $9.99

Hardcover
from $44.58
Paperback
from $25.00


As an alternative, the Kindle eBook is available now and can be read on any device with the free Kindle app.



Roll over image to zoom in

Indian Thoughts and Its Development Hardcover – November 4, 2008
by Albert Schweitzer (Author)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3.5 on Goodreads
22 ratings

I have written this short account of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in the hope that it may help people in Europe to become better acquainted than they are at present with the ideas it stands for and the great personalities in whom these ideas are embodied. To gain an insight into Indian thought, and to analyse it and discuss our differences, must necessarily make European thought clearer and richer. If we really want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India we must get clear about the problems it has to face and how it deals with them. What we have to do is to set forth and expla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t has passed through from the time of the Vedic hymns down to the present day. I am fully conscious of the difficulty of describing definite lines of development in a philosophy which possesses in so remarkable a degree the will and the ability not to perceive contrasts as such, and allows ideas of heterogeneous character to subsist side by side and even brings them into connection with each other. But I believe that we, the people of the West, shall only rightly comprehend what Indian thought really is and what is its significance for the thought of all mankind, if we succeed in gaining an insight into its processes.


Report an issue with this product or seller


Print length

288 pages
Language

November 4, 2008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Read Books; First Edition (November 4, 2008)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288 pages
ISBN-10 ‏ : ‎ 1443722189
ISBN-13 ‏ : ‎ 978-1443722186
Item Weight ‏ : ‎ 1.14 pounds
Dimensions ‏ : ‎ 5.5 x 0.81 x 8.5 inchesBest Sellers Rank: #6,476,332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29,839 in Eastern Philosophy (Books)Customer Reviews:
5.0 5.0 out of 5 stars 1 rating
Top reviews

Top review from the United States


Roman Nies

5.0 out of 5 stars Light into the haze of Indian thought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1, 2009

An outstanding book for all those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far-eastern religions. The author limits himself in general on three fields. The "Weltanschauung" (world view) of affirmation or negation, mystics and ethics. He shows which spiritual history of development the religions experienced, how for example Hinduism evolved out of Brahmanism, how the popular belief of the people captured and transformed the belief of the elitist priesthood, not at last because of the necessity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Hinduism he sees an increasing steering towards ethics, whereas the ethics could not completely be developed in Buddhism thanks to the world view. He praises Rabindrananth Tagore as a contemporary representative of highest hindu ethic, Tiruvalluvar as best representative of old, bringing their thoughts close to the love-ethics of Jesus Christ.

In Schweitzer himself the recognition of man as an ethical being worked out to a design about the appreciation of all life as highest value at all. Awe for life is Schweitzers his last wording. But again only ethics! Although he understands the teachings of the historical Jesus as the highest expression of ethics he does not engage himself in other aspects of the teachings of Christ! Exactly in the example of the Christian religion, which has life affirming aspects as well as life denying aspects, it is becoming clear, that the fixation on certain aspects is not sufficient to describe a religion. Already "who sacrifices his life for a friend" (Joh 15,13-15), is such an example of an only seeming opportunity to deny life, whereas in truth it is a clear "Yes" to life! Namely for an ethically represented life! Schweitzer only intends to draw comparisons. He is mainly about the religions of the East, though he can not refrain from a side blow on philosophers like Schopenhauer or Nietzsche and their totalitarian claims. He mentions Laotse and Confuzius marginally.

Since Schweitzer confines himself on the mentioned aspects, he does not testify any correctness" or "truth", except those which lie in the nature of things. Buddhism is not more "right" or "true" than Hinduism, it contains other elements which the founder (Buddha?) and the protagonist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chweitzer sees in mystics, understood mainly as "oneness" with the eternal, an important requirement of personhood, but he said at the same time, that an ideology more directed to affirm life and therefore making a certain ethical order to a condition, should be dispensable. He did not like the thought of it, because he was impressed by mystics, yet he found it more advisable to exercise the affirmation of life as such. This, he says, is the problem of some religions which sway to and fro between ethics and mystics or world negation. With the example of Buddhism he illustrates this, the problem of world negation in Buddhism being that this negation needs to be lived! You can compare it with a mendicant who is driven by the requirement to eat so much, that he does not starve. And he has to accept it, because only then he can go on with his meditations and contemplations! As soon as you go on to live, you deny the negation!
This book is suitable for advanced Illuminated" (be it illuminated in the knowledge that man needs religion, or not) as also for novices. But one has to realize that the phenomenon religion contains many aspects, which are not mentioned by Schweitzer. Religion is more than just a "Weltanschauung" - world view that can be analyzed phenomenological with the limited human possibilities. Schweitzer knew this. He remained lifelong a great sceptic of just these human possibilities.
In any case a readable reading which could bring some more light into the hazy conceptions and vague prejudices of som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 theory of relig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Bob Nichols
929 reviews314 followers

Follow
March 26, 2015
Schweitzer characterizes Indian religious thought, as articulated mainly by those in the Brahmin caste, as “world and life negation.” By this he means that life is pain and suffering and that the objective is to leave the empirical world behind and to attain union with infinite Being and, thereby, immortal life. Negation begins in this world by various forms of asceticism (mortifying the will-to-live) and an indifference toward improving conditions for this life. Jainism and Buddhism (quoting Buddha: “Those who love nothing in the world are rich in joy and free from pain.”) largely mirror the essence of what Schweitzer call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states that Indian thought also contains world and life affirmation (for example, in the householder stage, before one retreats to the forest or lives the life of the mystic), but the overall thrust is that of world and life negation. 

I am not clear how the caste system intersects with this approach to life – specifically, in the caste hierarchy, is it only the Brahmins who are positioned to achieve union with immortal Being?

In contrast to this “Brahmanic thought,” Schweitzer relays his own worldview. We share the life spirit with all beings and we experience union with that spirit when we devote ourselves to “the maintenance of life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furtherance of life,” which constitutes “active union with the eternal being.” This is Schweitzer’s ethic of world and life affirmation and his “reverence for life” principle.

The book I read was published by Wilco Publishing House, Bombay, 1960.


1
===
Journal Articles Method and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Year : 2012
Albert Schweitzer's Western Vision of Indian Thought
Daniel Dubuisson (1)

1 IRHiS -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IRHiS) - UMR 8529
Abstract 
Doctor of Philosophy, Medicine and Divinity, Nobel laureate (1953), 

Albert Schweitzer embodied an indisputable ethical and intellectual authority that was universally admitted. However, in his book Indian Thought and its Development (1936), the so-called "good doctor" engaged in an incredible eulogy of Western superiority at the expense of Indian thought. 

The pieces of evidence he used to support this argument can now be compared to the thoroughly ambiguous attitude he displayed toward the African natives among whom he had lived in Lambaréné


===
Was Albert Schweitzer a universalist?
Schweitzer's unitarian and universalist religious views show the common unity that can be found in humanity. Regardless of varying creeds and specific religions, we can most get along if we simply share in common what Albert Schweitzer called “reverence for life.”
===

2023/12/18

** 알라딘: 인도철학사 길희성 2022, 2019, 2001, 1984

알라딘: 인도철학사
인도철학사  | 길희성 "종교와 영성 연구" 전집 7
길희성 (지은이)동연출판사2022-04-15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10%, 1,800원 할인)

Sales Point : 256
328쪽

====
책소개

인도 철학이나 인도 종교에 대해서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가 연구해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심도 연구도 적다. 우리나라 문화적 전통의 근간 중 하나인 불교의 핵심이며, 동양의 세계관은 중국뿐 아니라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이다.

동양 철학과 동양의 종교사, 불교사 등을 이해하려면 인도 철학에 대해서 확실히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거의 처음으로 인도 철학을 전면으로 다룬 저자 길희성의 《인도철학사》가 1980년대의 초판 이후 개정판으로서 초판과 달리 불필요한 한자를 없애고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이 높게 다가 왔다.


목차


제I부 인도 철학의 형성기
제1장 인도 철학의 성격
제2장 베다의 철학 사상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4장 비바라문계 철학의 발흥
제5장 소승 부파 불교 철학의 발전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제II부 인도 철학의 체계적 발전기
제7장 상키야 철학과 요가 철학
제8장 승론 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 학파의 철학
제10장 대승불교 철학의 전개
제11장 중관 철학
제12장 후기 대승 경전들의 사상
제13장 유가행 철학
제14장 세친 이후의 유식 철학
제15장 자이나 철학의 체계
제16장 미맘사 학파의 철학
제17장 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III부 교파 철학
제18장 한정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19장 비슈누파의 베단타 철학
제20장 쉬바파의 철학
제IV부 현대 인도 사상
제21장 현대 인도 사상의 배경
제22장 현대 인도의 철학 사상

부록 1
인도 철학의 실재관
부록 2
인도인의 전통적 우주관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의 길: 소외를 넘어』, 『일본의 종교 문화와 비판 불교』(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번역서와 논문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한국 불교 사상 개관>,<인문학의 길>,<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이야기> … 총 48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수천 년 동안 ‘세계와 나’를 탐구해 온 인도 철학가들의 치열한 정신적인 수행”

이 책은 인도 철학의 간략한 사적 개관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가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인도철학을 비교적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나라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는 불교의 근본 관심 및 세계관은 어디까지나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타 인도 철학 사상과 교류하는 가운데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볼 때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돕기도 한다.
본서는 1980년대의 초판의 개정판으로서 초판과 달리 불필요한 한자를 없애고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이 높아져서 독자들이 비교적 쉽게 인도철학에 대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서에 수록된 참고문헌 목록에는 초판과는 달리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이 추가되어 그동안의 인도 철학사 연구의 발전을 엿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인도 철학사를 특징짓는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역사의식의 결여라는 점과 종교와 철학이 서구 문화에서처럼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 관계로 철학은 종교적 철학이고, 종교는 철학적 종교가 되기에 인도 철학사를 연구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본서는 인도 철학을 종교와 철학이라는 양 측면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접기




====
인도 철학사 - 개정판 길희성 (지은이)소나무2019

































미리보기

388쪽
152*225mm
737g


책소개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다양성과 방대함을 지닌 인도 철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는 개론서이다.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제I부 인도 철학의 형성기

제1장 인도 철학의 성격
제2장 베다의 철학 사상
제3장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4장 비바라문계 철학의 발흥
제5장 소승 부파 불교 철학의 발전
제6장 바라문교의 재정비

제II부 인도 철학의 체계적 발전기

제7장 상키야 철학과 요가 철학
제8장 승론 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 학파의 철학
제10장 대승불교 철학의 전개
제11장 중관 철학
제12장 후기 대승 경전들의 사상
제13장 유가행 철학
제14장 세친 이후의 유식 철학
제15장 자이나 철학의 체계
제16장 미맘사 학파의 철학
제17장 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III부 교파 철학

제18장 한정불이론적 베단타 철학
제19장 비슈누파의 베단타 철학
제20장 쉬바파의 철학

제IV부 현대 인도 사상

제21장 현대 인도 사상의 배경
제22장 현대 인도의 철학 사상

부록 1 인도 철학의 실재관
부록 2 인도인의 전통적 우주관
부록 3 인도 철학사 및 정치·문화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길희성 (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비교종교학)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이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었다.
주요 저서로 『종교 10강』, 『영적 휴머니즘』, 『종교에서 영성으로』,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인도 철학사』, 『일본의 정토 사상』, 『지눌의 선禪 사상』, 『보살예수』, 『범한대역 바가바드 기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성 사상』, 『인문학... 더보기

최근작 : <한국 불교 사상 개관>,<인문학의 길>,<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이야기> … 총 48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다양성과 방대함을 지닌
인도 철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각 학파의 철학 사상을 소개하는 개론서!

인도의 철학적 전통은 그 장구한 역사와 심오한 사색, 사상의 다양성과 영향력, 그리고 산출된 문헌의 방대함에서 세계 어느 문화권에서 형성된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따라서 인도는 물론 서유럽과 일본의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온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도 철학의 연구가 지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인도에서 발생하여 세계적 종교로 발전한 불교의 근본 관심 및 세계관은 어디까지나 인도 고유의 사상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타 인도 철학 사상과 교류하는 가운데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도인의 전통적 사고가 역사의식이 약하고 다분히 비역사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것은 그들의 전통적인 철학적 사고에 잘 드러나 있다. 무엇보다도 인도인의 전통적 사고와 인생관 내지 세계관을 보면 눈에 보이는 현상세계나 물질계를 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질계에 대한 폄하는 인간의 몸과 현실세계에 대한 폄하, 그리고 육체적 욕망에 대한 금욕주의와 직결된다. 또 현실세계에 대한 경시는 시간과 역사의 세계에 대한 경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도 철학사를 특징짓는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역사의식의 결여라는 점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인도 철학사를 공부하면서 무척 곤혹스러운 일은 인도 철학을 주도한 많은 사상가들과 그들의 저서, 그리고 경전과 주석서 등 주요 문헌들이 만들어진 연도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정보가 매우 빈약하다는 사실이다. 서양 철학은 물론이고 중국 철학에 비해서도 이 점은 인도 철학만의 두드러진 현상이고, 공부하고 연구하는 사람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고 있으며,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와 같은 역사의식의 결핍은 바라문교 내지 힌두교의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모든 종교가 그렇지만 힌두교는 특히 무상하고 고통스러운 시간과 역사의 세계를 넘어 영원한 구원·해탈을 갈망하는 성격이 강하다. 인도인에게 구원을 역사와 물질계로부터 영혼·정신의 해방, 즉 해탈이었다. 인도의 전통적 철학은 생사윤회의 세계를 벗어나는 해탈을 최고의 가치 내지 관심사로 삼았다. 인도 철학의 다양한 학파들의 차이도 주로 해탈을 어떻게 이루는가 하는 방법의 차이에서 온다.
이처럼 역사성이 약한 인도 철학사는 개별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기보다는 학파별로 전개되었고, 개별 사상가나 경전 혹은 주석서들 가운데서 연도를 모르는 저술도 허다하다. 따라서 학파별로 철학 사상을 다루는 경우라 해도 주로 문헌을 중심으로 해서 학파들의 대략적 연대를 추측할 수밖에 없고, 문헌 중심이라 해도 철학자 개인이 처했던 역사적 상황이나 철학적 문제의식에 비추어 그들의 저서와 사상을 논하기보다는 그가 속한 학파의 권위가 되는 경(經, s?tra)에 대한 주석(bh?sya), 그리고 주석에 또 주석을 가한 복주(復註) 중심으로 사상의 발전을 개관하였다.

종교학계 거장 길희성 교수의 '인도 철학사' 개정판


이 책이 처음 나온 1980년대 초에 비해 우리 학계의 글쓰기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고 특히 요즈음 젊은 세대는 대부분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거의 읽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작업을 하였다. 문장 구조를 가능한 단순화했으며,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한자를 모두 없애고 처음 혹은 한참 지나서 잊을 만한 경우에만 한자를 병기했다. 또한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편의를 위해 인명, 저서명, 개념어 등에는 산스크리트어를 병기했다. 아울러 일부 명료하지 못한 내용을 바로잡고 보충하는 작업을 했다. 더불어 참고문헌 목록에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을 추가했다. 접기


======
인도철학사 개정판







1984년에 대우학술총서로 나왔던 길희성 교수의 인도철학사.

이 책을 읽으며 광대한 인도 사상에 눈을 뜨게 되었더랬다. 간명하게 요점을 짚어주는 개설서의 역할에 충실한 책. 무려 35년만에 개정판이 나왔다 해서 보니, 한자를 한글로 바꾸는 등의 손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이 처음 나온 1980년대 초에 비해 우리 학계의 글쓰기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고 특히 요즈음 젊은 세대는 대부분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거나 거의 읽지 못하는 실정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 작업을 하였다. 문장 구조를 가능한 단순화했으며,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한자를 모두 없애고 처음 혹은 한참 지나서 잊을 만한 경우에만 한자를 병기했다. 또한 인도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범어)의 사용도 최소한으로 줄여 가독성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편의를 위해 인명, 저서명, 개념어 등에는 산스크리트어를 병기했다. 아울러 일부 명료하지 못한 내용을 바로잡고 보충하는 작업을 했다. 더불어 참고문헌 목록에 우리나라 학자들과 일본 학자들의 대표적인 단행본 연구서들을 추가했다.

(중간에 한 번 표지를 간 개장판이 나왔는데, 그때는 내용에는 손을 대지 않았나 보다)

길희성 교수 책과 비슷한 시기에 나왔었던 콜러의 책도 원서 2판을 반영한 개역판이 새로 나왔구만. (아니 근데 가격이 ... ) 

지금이야 라다크리슈난의 방대한 저작을 비롯해서 여러 종이 나왔지만, 예전에는 저 정도가 다였다우. 약간 얇은 편인 하인리히 짐머 책 정도가 더 있었고.











====

2023/12/06

Thomas Berry - Religions of India: Hinduism, Yoga, Buddhism -

Religions of India: Hinduism, Yoga, Buddhism - Thomas Berry


Religions of India: Hinduism, Yoga, Buddhism
By Thomas Berry


New York: Bruce-Macmillan, 1971.

Second Edition: Chambersburg, PA: Anima Books, 1992.

Since 1996 available from Columbia University Press.

This in-depth study explores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India’s major religions, explaining clearly the development of Buddhism, Yoga, and Hinduism over the centuries. A complete glossary of terms is included, as well as an index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Review

"In clear, concise discussions of Hinduism, Yoga, and Buddhism, Thomas Berry sets forth the insights that have developed on the subcontinent and illustrates their significance for the religious and spiritual life of all mankind.... Recommended as a concise introduction for general readers." -- "Religious Studies Review"
From the Back Cover


The relevance of this book is enhanced rather than diminished by the years since its original publication. The human situation has become even more critical. We are moving from a period of industrial plundering of the planet into a more intimate way of relating to the planet. We can no longer violate the integrity of Earth without becoming a destructive force for both the surrounding world and for ourselves.


About the Author
Thomas Berry (1914-2009) established the History of Religions Program at Fordham University and, with Wm. Theodore de Bary, founded the Oriental Thought and Religion Seminar at Columbia University. He was also the former director of the Riverdale Center for Religious Research. Along with his book Buddhism, his major publications include The Dream of the Earth, The Great Work, Evening Thoughts, and The Universe Story, with Brian Swimme.



BUY ON AMAZON


Religions of India: Hinduism, Yoga, Buddhism
Thomas Berry
4.50
226 pages, Paperback

First published January 1, 1971
====
July 17, 2023
THE RENOWNED CATHOLIC PRIEST LOOKS POSITIVELY AT INDIAN RELIGION

Author Thomas Berry wrote in the Introduction to this 1971 book,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piritual formation of man in the Asian world. This spiritual formation has provided the Asian peoples with a bond of communion between the divine and the human worlds; it has established the ideals of perfection toward which human life is directed; it has enabled Asian people to manage the human condition in a creative manner; it has inspired the arts and sciences that have characterized the Asian civilizations up to modern times. These spiritual traditions of Asia are so highly developed that they frequently attain a level that corresponds more with the higher mystical traditions of the West than with its ordinary levels of religious and moral life.

“Some traditions, such as Hinduism, are principally concerned with the response of man to divine reality and to the final consummation of human life within this divine reality. Others, such as Buddhism, are less attracted to religion in its ordinary manifestations; rather, they are immediately concerned with forming a spiritual life that will enable men to master the human condition and eventually attain total release from the sorrowful aspect of life. But whatever the point of emphasis, these sacred traditions have been the supreme dynamic forces in structuring the civilizations of Asia. They are all keenly aware of a transphenomenal dimension of reality, whether this be the Brahman of the Hindu, the Nirvana of the Buddhist, the Kaivalya experience of the Yogin, or the Tao of the Chinese.”

He adds, 

“There is no on, universal Asian religious or spiritual tradition. Neither is there any ideal norm of Asian spirituality, just as there is no ideal flower or ideal tree. This is simply the variety, at times an interrelation and derivation within the variety. Within the Asian traditions it is difficult to designate each of them as spiritual traditions in the same sense of the word. This is a serious problem in any study that includes the multiplicity of traditions within the same frame of reference. Indeed, at first sight there seems to be more contradiction than agreement within Asia. At times the Asian traditions differ more among themselves than the individual traditions of the West. The first step in a study of Oriental religions must be to accept the diversity of man’s spiritual traditions as historical fact.”

He summarizes, 
“India is still creating new forms of spirituality, as is seen in such moderns as Ramakrishna and Vivekananda, in Tagore and Gandhi. India develops every doctrine to its extreme implication. Even contradictory doctrines are pushed to their extremes without rejection of with alternative. This is the baffing element in any study of India. There is insistence on extreme immanence and extreme transcendence at the same time. The two, it is felt, implicate each other and finally identify with each other. Absolute immanence and absolute transcendence must eventually be the same. So with all oppositions. Extreme intellectualism exists in India along with extreme devotionalism; extreme sensualism, along with an unbelievable asceticism. There is no wish to extinguish one in favor of the other. There is a certain ease within these manifold, opposing traditions, a feeling that everything has its proper pace, that nothing should be excluded.”

He states,

 “Hinduism must be studied not as a fixed and integrated body of doctrines, but as a developing tradition that has changed considerably throughout the centuries and which is still changing in a creative direction. Everything in India makes sense in the light of this changing process. Nothing makes sense without it. To give lists of Hindu beliefs of descriptions of Hindu practices without identifying the period and area in which they took place is top present a static picture of something very different from, Hinduism as it has actually existed. The basic unity is the unity of a changing life process, not the unity of a fixed pattern.” (Pg. 4)

He observes, 

“Yoga is a spirituality rather than a religion. As a spirituality it has influenced the entire range of Indian religious and spiritual development... Yoga is counted as one of the six thought systems of Hinduism. Yet before studying Yoga in this specific sen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Yoga as an all-pervading element of Indian spirituality. Although Yoga is considered an inner discipline associated with special techniques of spiritual development leading to man’s release from the bonds of the phenomenal order, there is a great variety of yogic practices in India. There are the practices associated especially with the classical Hindu quest for intuitive vision, with Buddhism and Jainism, and with the devotional cults.” (Pg. 75)

He observes, 

“Historically Yoga has been associated with almost all phases of religious development in India from the earliest period until the present. It is true, however, that in its own structure Yoga represents a type of spiritual orientation that is barren in the ordinary terms of religion. There is no religious worship or prayer as such; there is no priesthood; there is nothing that can be identified as sacraments. There is simply the salvation discipline leading to an ineffable experience wherein the spiritual principle in man attains a blissful status beyond all affliction of the physical, emotional, and thought realms in which human life is lived within space and time. Yoga is primarily, then, a spiritual discipline leading to a salvation experience.” (Pg. 108)

He explains,

 “The entire world of change was experienced as an endless cycle of sorrow---birth, death, and rebirth.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suffering was, most generally, an inner withdrawal that would remove man from the dense and destructive world of change. By the unfolding of man into his deepest self-identity the escape could be achieved. A man could remove himself from the world of nature, of matter, of mind, of thought, of consciousness, into an experience beyond all this. Alienated from himself, man must return to himself. Dispersed into a fragmented existence, man must restore the oneness of his being. Confined within a cyclic time process, man must recover his eternal status. Above all, movement must give way to quiescence. This is the mark of the eternal, the beginning of bliss. Because of this painful experience of the world of change a palpable tension is found within all the Indian traditions, an inner pressure exerted against all structured forms of existence. This spiritual dynamic sent forth incalculable numbers of people in India into the homeless life… Man needed to go into the homeless state of mind, the stage wherein the mind passed beyond itself... beyond its own conscious awareness.” (Pg. 121)

He observes, “Among the extraordinary achievements of Buddhism was the development of an explicit self-awareness of the Buddhist developmental process. This is not fond in Hinduism, nor is it found in Confucianism, nor indeed in any of the other major traditions of the Eurasian world except Christianity. This is not to say that these other traditions did not experience a developmental process; it is to say that they do not have a full understanding or explicated doctrine of development. There was in these other traditions a commitment to the earlier phase of the tradition, the original scriptures, as the basic norm for the later development.” (Pg. 182)

He concludes,

 “Hinduism, Y0oga and Buddhism are no longer merely Indian traditions, they are world traditions. India has lost forever its exclusive claim on these traditions. Now they are part of the universal human heritage; even the creative aspect of these traditions is no longer an exclusive concern of India. Mankind is now an integral part of the Indian spiritual process.” (Pg. 193) He adds, “The doctrine of constant change and development establishes the basis on which the present vital changes can take place within these traditions. One could say that at the present time these traditions are developing more profoundly and more soundly than they have developed for centuries. They are entering into a new phase of their existence, a new phase of significance not only for the societies that have in the past been associated with and guided by these traditions but for the entire world of man. All can now benefit from these traditions and can give to these traditions both a new challenge and new strength to fulfill a wider role than they have thus far envisaged for themselves.” (Pg. 200-201)

This book will be of keen interest to students of comparative religion.

=====
Tony Desantis
62 reviews
1 follower

Follow
May 3, 2015
The sections on Hinduism and yoga ware quite complex. you'll need to take notes to remember everything.

The section on Buddhism was very interesting, in that many of the stories about Buddha seem to parallel stories about Jesus.

Like

Comment






























2023/10/28

** 알라딘: [전자책] 인도철학강의, 아카마쓰 아키히코 2021

알라딘: [전자책] 인도철학강의
インド哲学10講 (岩波新書)
赤松 明彦  | 2018/3/21
https://www.amazon.co.jp/%E3%82%A4%E3%83%B3%E3%83%89%E5%93%B2%E5%AD%A610%E8%AC%9B-%E5%B2%A9%E6%B3%A2%E6%96%B0%E6%9B%B8-%E8%B5%A4%E6%9D%BE-%E6%98%8E%E5%BD%A6/dp/4004317096/ref=sr_1_1?qid=1707647095&s=books&sr=1-1


[eBook] 인도철학강의 - 열 개의 강의로 인도철학 쉽게 이해하기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2021-06-10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12,800원


종이책 페이지수 : 304쪽


책소개

이와나미 시리즈. 
“인도인이 아닌 사람이 인도인 고유의 사고방식인 인도철학을 이해하는 글을 쓸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의식에서 인도철학에 관한 질문을 시작한다. 인도 정통육파철학과 문법학파의 사유체계를 다루고 있다.

=====
목차


1강 인도철학의 시작과 전개-웃다라카·아루니의 등장
2강 존재와 인식-새로운 사상가들
3강 존재와 근원-‘일자’를 둘러싸고
4강 이원론의 전개-상키아파
5강 인과론과 업론-세계를 움직이는 원리
6강 현상과 실재-상카라의 사상
7강 생성과 존재-‘되다와 ’이다‘의 철학
8강 언어와 존재-언어는 브라흐만이다
9강 존재와 비존재-언어와 보편
10강 초월과 존재-바이세시카파와 니야야파


후기
독서 안내
연표
옮긴이 후기


책속에서


P. 10~11목차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열 개의 주제는 보통 우리가 서양철학에서 배우는 것과 다르지 않다. 특히 서양의 ‘형이상학’이라 불리는 것과 거의 일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철학의 질문으로서는 오로지 ‘존재’에 관해서 “존재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에 의해서 이해되는 세계는 어떠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철학의 또 하나의 질문인 “이 세계에서 인간은 어떻게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가?”도 물론 중요한 질문으로 고대 인도에도 있었다. 아니 실은 인도철학의 여러 학파는 모두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을 자신들 철학의 역할로 삼았다고 말할 수 있다. 접기
P. 80끝없는 폭력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한탄은 어느 시대에도 변함없지만, 여기서 주목해두어야 할 것은 이슈바라에 관해서 말하면서 그것이 업(karma)의 담론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업의 관념은 신비적 색채가 강한 근원적 일자의 관념의 어느 것을 취하는 대신에 전혀 다른 원리로서 인도인에게 강박관념 같은 것이 되지만, 그것에 관해서는 5강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이 드라우파디의 말에는 폭력적인 운명의 힘에 대한 한스러운 메아리가 느껴진다. 접기
P. 108~109세계의 근본원인은 물질적인 프라크리티다. 그것이 정신적인 푸루샤와 만남으로써 세계의 창조가 시작된다. 하지만 푸루샤는 ‘보는 자’이며 활동은 전혀 하지 않는다. 한쪽의 프라크리티는 보이는 것에 의해서 마치 자동기계와 같이 창조를 개시한다. 우리는 앞 강의에서 무엇이든 인격적인 형상을 띈 근원적인 일자의 모습을 본 뒤, 자성(自性)이라든가 우연(偶然)과 같은 비인격적인 원리로서의 근원적인 일자의 모습도 보았다. 그것들은 어느 것이라고 해도 인간존재에 대해서 지배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 상키야의 사상에 이르러서는 그러한 절대적인 근원적 일자의 모습은 소멸해버리는 것처럼 생각된다. 접기
P. 121~122생사윤회를 반복하는 인간은 자기 자신의 행위 결과는 자기 자신이 받는 것으로 결정되어있다. 사람은 부응 없이 고통의 처지에 말려들어 간다. 어찌할 도리가 없는 인간은 그렇기에 신이나 부처에 의지하는 것이다. 선한 행위를 하면 그것이 신이나 부처에게 평가되어 좋은 과보를 얻을 수 있지는 않을까 하여 인간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다. 그것이 어쩌면 신으로 존재하는 것인가 아니면 부처로 존재하는 것인가. 신이나 부처의 힘은 업의 힘 요컨대 인과의 이법을 이기지 못한다. 그런 이유로 지금 생에서는 인간은 자기 자신의 경우를 바꿀 수 없다. 접기
P. 163하나의 항아리 속에 있는 공간은 그것과는 다른 항아리 속에 있는 공간과는 다른 것으로 존재하며, 항아리의 외부에 있는 공간과도 다른 것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항아리를 깨버리면 공간의 구별은 없게 된다. 요컨대 공간은 하나의 불가분의 존재로서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공간의 구별은 한정이 있는 한 존속하는 것이다. 이 비유는 가우다파다가 개아(아트만)와 브라흐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이지만, 상카라도 다양한 현상계의 존재 방식과 그것들과 브라흐만과의 본래적인 동일성을 설명하는 비유로 자주 사용한다. 요컨대 브라흐만만이 유일의 실재이며 다양한 모습을 취하여 드러나는 현상계는 모두 허망한 것이다. 접기
더보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아카마쓰 아키히코 (지은이)

1953년 교토 출생. 1983년 파리 제3대학(신 소르본)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했으며, 인도철학을 전공하였다.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교토대학 명예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바가바드 기타』-신에게 인간의 고뇌는 이해할 수 있는가?』 『누란왕국』 『고전인도의 언어철학1·2』 『동아시아의 사형』(공저) 『앎의 즐거움 배움의 기쁨』(공저) 등이 있다.

최근작 : <인도철학강의> … 총 2종 (모두보기)

권서용 (옮긴이)

부산대학교에서 인도 불교인식 논리학의 집대성자인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부산대학교에서 철학과 윤리를 강의하였다. 현재 ‘다르마키르티사상연구소’를 열어 다르마키르티 사상을 국내에 알리는데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 『다르마키르티와 불교인식론』(그린비), 『깨달음과 자유』(메타노이아), 『인식론평석:지각론』(그린비), 『인식론평석:종교론』(그린비), 역서로 『무상의 철학』(산지니), 『인도불교의 역사』(산지니), 『대승기신론』(문장21), 『유마경』(메타노이아), 『불교인식론과 논리학』(운주사), 『근대일본과 불교』(그린비), 『티베트논리학』(불교시대사), 『불교인식론』, 『다르마키르티의 철학과 종교』(산지니), 『인도인의 논리학』(산지니), 『아포하』(그린비), 『불교란 무엇인가』(산지니), 『삼가구감』(메타노이아), 『인도철학강의』(AK)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스스로 건너다>,<다르마키르티의 인식론평석 : 종교론>,<[큰글자책] 다르마키르티와 불교인식론 > … 총 20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2천 년 이상 이어온 인도철학,
21세기의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세계의 성립, 존재와 인식, 물질과 정신, 그리고 언어 자체에 관한 깊은 사색의 궤적을 살펴, 난해하다고 생각되는 인도철학의 재미와 넓이를 향한 지적 자극을 충족시킨다!

10개의 강의로 살펴본 인도철학!

『인도철학강의』의 저자 아카마쓰 아키히코는 “인도인이 아닌 사람이 인도인 고유의 사고방식인 인도철학을 이해하는 글을 쓸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의식에서 인도철학에 관한 질문을 시작한다. 그는 인도인 사고방식 속에 존재하는 인도인 이외의 사람들과의 유사한 점을 원전에서 인용, 고찰하고 이를 잘 이해하기 위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일본이나 한국 혹은 중국이나 서양의 철학자, 사상가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낯선 ‘인도철학’에 관해 보편적인 것으로 친숙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이 책의 목차를 보면, 흔히 접하는 서양철학의 형이상학과 비슷해서 독자가 쉽게 책을 펼칠 수 있게 하는 입문서다.

깊은 사색의 궤적을 원전 독해에 의거해 고찰하는 재미있으면서 지적 자극을 준다!

저자 아카마쓰 아키히코는 이 책에서 인도 정통육파철학과 문법학파의 사유체계를 다루고 있다.
기존 인도철학 개론서와는 달리 세 개의 키워드 즉 존재, 인식, 언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게 이 책의 특징이다. 

즉 
1강 ‘인도철학의 시작과 전개’를 필두로, 
2강 ‘존재와 인식’은 육사외도(六師外道)라 불리는 사상가 여섯 명의 사상, 
3강 ‘존재의 근원’은 세계의 성립에 관한 각종의 주장, 
4강 ‘이원론의 전개’는 정통육파철학 가운데 상키야파의 정신원리인 푸루샤와 물질원리인 프라크리티에 의한 원리전변설, 
5강 ‘인과론과 업론’은 세계를 움직이는 원리, 
6강 ‘현상과 실재’는 베단타파의 학장 상카라의 불이일원설(不二一元說), 
7강 ‘생성과 존재’는 베단타파의 사상가 라마누자의 피한정자 불이일원설과 마드바의 이원론, 8강 ‘언어와 존재’는 문법학파의 대표적 사상가인 바르트리하리의 언어철학, 
9강 ‘존재와 비존재’는 태초에 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으로서의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 10강 ‘초월과 존재’는 정통육파철학 가운데 논리적 사변으로 뛰어난 바이세시카파와 니야야파의 적취설 등을 다루고 있다.


아카마쓰 아키히토는 종교론과 인식록 및 논리학을 근간으로 연구되던 인도철학의 영역을 언어철학에까지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 학자다. 

이 책에도 바르트리하리의 언어철학에 관한 내용을 상당 부분 기술하고 있다. 

세계철학사적 관점에서 보면 20세기 이전까지 철학 연구는 주로 인식론과 논리학이 위주였지만, 비트겐슈타인 이후 언어철학으로 전환되어가는 시점에서 인도불교 철학과 인도정통학파의 철학을 언어철학을 중심으로 새롭게 볼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의의가 있다.

한국 독자에 주는 시사점은?

서양 철학자 화이트헤드는 ‘모든 명제는 느낌의 유혹’이라 했다. 『인도철학강의』는 아직까지 한국 독자에게는 신비의 나라인 인도와 인도철학에 대해 구체적인 관심이 있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유혹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인도의 철학적 전통의 오래된 역사와 사상의 심오함, 영향력 등은 그 어떤 문화권 철학에 뒤지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역사나 사상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했을 때, 인도철학에 대해 독자의 관심이 적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인도의 역사나 문화, 사상가, 저서, 경전, 언어에 대해 배경지식이 빈약한 상황에서 저자가 원전의 중요한 구절들을 명쾌하고 쉽게 강의 형태로 설명해주는 이 책은 인도철학의 새로운 매력을 맛보기에 충분할 것이다. 접기
===

아카마츠 아키히코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아카마츠 아키히코
인물 정보 탄생 1953년 1월 8일 일본 교토부
출신 학교 교토대학
학문  연구분야 문학 · 문헌학 · 동양학 ( 인도학 )
연구기관 교토대학
템플릿 보기
아카마츠 아키히코 (아카마츠 아키히코, 1953년 1월 8일 - )는 인도문학자 , 교토대학 명예 교수.

경력 
1953년 교토 부 출생. 1976년(쇼와 51년) 교토대학 문학부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1983년(쇼와 58년) 파리 제3대학 박사 과정 수료, 문학박사 .

귀국 후에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조수가 되어 1987년(쇼와 62년)부터 규슈대학 조교수, 1997년 (2009년 교수). 2001년(2001년)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 2018년 정년 퇴직해 명예 교수가 된다.

저서 
  • 『누란 왕국 롭· 노르 호반 의 4천년』 중공신서 2005년
  • 『바가바드・기타 신에게 사람의 고뇌는 이해할 수 있을까?』 이와 나미 서점〈서적 탄생
  • “ 인도 철학 10강” 이와나미 신서 2018년
  • 『힌두교 10강』 이와나미 신서 2021년
번역 
  • 『대승불전 중국·일본편 제1권 “ 오토 치 도론 ” 류수 · 하토마라 센 한역
  • 피에르 유아르, 장보시 기 마자르 “아시아의 의학 인도·중국의 전통 의학” 다카시마 아츠시·오기모토 요시노부 공역 세리카 서방 1991 년
  • 바르토리하리「고전 인도의 언어 철학」평범사〈동양 문고〉전 2권 1998년
  • 「1 브라프만 과 말」, 「2 문에 대해서」
===
赤松明彦

ページ
ノート
閲覧
編集
履歴表示

ツール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赤松 明彦
人物情報
生誕 1953年1月8日
日本の旗 日本京都府
出身校 京都大学
学問
研究分野 文学・文献学・東洋学(インド学)
研究機関 京都大学
テンプレートを表示
赤松 明彦(あかまつ あきひこ、1953年1月8日 - )は、インド文学者、京都大学名誉教授。

経歴
1953年、京都府生まれ。1976年(昭和51年)京都大学文学部哲学科卒業、同大学院修士課程修了。1983年(昭和58年)パリ第3大学博士課程修了、文学博士。

帰国後に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助手となり、1987年(昭和62年)より九州大学助教授、1997年(平成9年教授)。2001年(平成13年)京都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教授。2018年定年退職し、名誉教授となる。

著書
『楼蘭王国 ロプ・ノール湖畔の四千年』中公新書 2005年
『バガヴァッド・ギーター 神に人の苦悩は理解できるのか?』岩波書店〈書物誕生 あたらしい古典入門〉2008年
『インド哲学10講』岩波新書 2018年
『ヒンドゥー教10講』岩波新書 2021年
翻訳
『大乗仏典 中国・日本篇 第1巻「大智度論」』龍樹・鳩摩羅什漢訳、梶山雄一共訳 中央公論社 1989年
ピエール・ユアール、ジャン・ボッシー ギ・マザール『アジアの医学 インド・中国の伝統医学』高島淳・荻本芳信共訳 せりか書房 1991年
バルトリハリ『古典インドの言語哲学』平凡社〈東洋文庫〉全2巻 1998年
「1 ブラフマンとことば」、「2 文について」

===
인도 철학 10강 (이와나미 신서)›일본아마존 고객 리뷰
5성급 중 3.7
인도 철학 10강 (이와나미 신서)
아카마츠 아키히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