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진사이

이토 진사이(일본어: 伊藤 仁斎), 간에이(
이름은, 어려서는 유정(維貞), 커서는 유정(維禎)이다. 가명 통칭은, 원길(源吉), 원좌(源佐), 원칠(源七)이다.
옥호(屋号)는 쓰루야 시치에몬(
- 옥호: 에도 시대에는 가게 이름이 가게 주인 이름과 같았다. 이것을 '야고(
屋号 )'라고 한다.
생애[편집]
간에이(
간에이(
가정[편집]
40세를 지나고 나서 혼인해 1남 2녀를 두었지만, 52세 때에 첫 번째 아내가 앞서가고 그 수년 후에 두 번째 아내와 재혼하여 4남 1녀를 더 낳았다.
이토 진사이(
아들 5인은 모두, 뛰어난 유학자가 되었다.
이 사람들이 바로 이토 도가이〔
학설과 사상[편집]
주요 저서로서 『논어고의(論語古義)』,『맹자고의(孟子古義)』,『어맹자의(語孟字義)』,『중용발휘(中庸発揮)』,『동자문(童子問)』,『고학선생문집(古學先生文集)』등을 들 수 있지만, 생전에 강의와 저술을 정리하고 퇴고하는 데 전력을 경주했기 때문에 직접 발간한 저작은 없다.
도덕과 존재가 생겨나는 본바탕이 되는 이치나 법칙으로서 이(理)를 공자도 맹자도 일절 언급하지 않았으므로, 그 탐구를 허황되었다고 부정하고 그 탐구를 해결하는 단서를 갖다 주어 이바지하는 예기(禮記)나 예기에서 독립하여 존재하게 된 대학(大學), 중용(中庸) 등을 후대에 불교나 노장사상이 혼합된 완전하지 아니한 텍스트로 치부하여 그 위신과 영향력을 부정하는, 배짱이 두둑하면서도 사소한 부분까지 아주 분명한 방법과 수단을 이용하여 변하지 않는 기준으로서 자신이 세운 준거인, 공자와 맹자의 언행에서 이탈하는 해석을 용인하지 않는, 코기가꾸(
이토 진사이(
주자학은 학문 체계로서는 과거의 선진 유학보다는 이론이나 이치에 매우 합당한 체계를 갖추고는 있었지만, 그 성립하는 과정에 유입된 불교의 선학(禪學)이나 노장사상(老莊思想)이라고 하는 유교에 관계되지 않은 사상에 영향받았으므로 경서를 약간 편향되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토 진사이(
이런 경향은 동시대 유학 연구에서 공통으로 볼 수 있다.
이토 진사이(
만물과 무한한 시간을 포함하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의 근원을 이루는 물질이 아닌 실재나 인식의 목적이 개념이나 언어에 근거하여 된 표상이나 본질의 외면에 나타나는 상의 모든 범위와 의식이나 경험의 대상인 현상 전체가 주관의 작용과는 독립하여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냉정한 도리보다는 조금 더 인간답고 혈액이 통하는 인간의 감정[심정]을 굳게 믿고 의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맹자 사상인 사단(四端)의 심(心)이나 성선설(性善説)을 주창하기에 이른다.
이토 진사이(
저작[편집]
- 『논어고의(論語古義)』(세키 기이치로우편 「일본 명가 사서 주석 전서」논어부일, 동양 도서, 1922년 4월)
- 최경열 역, 그린비 2016
- 장원철 역, 소명출판 2013
- 『맹자고의(孟子古義)』(세키 기이치로우편 「일본 명가 사서 주석 전서」맹자부일, 동양 도서, 1924년 10월)
- 최경열 역, 그린비 2016
- 어맹자의
- 최경열 역, 그린비 2017
- 『동자문(童子問)』시미즈 시게루 교주 이와나미 문고, 1970년 외 ISBN 978-4-00-330091-6
- 최경열, 『동자문』- 이토 진사이 선집 1, 그린비, 2013년 1월 2일, ISBN 9788976823984
- 대학정본 / 중용발휘
- 최경열 역, 그린비 2017
- 키무라 에이이치 편집·해설 「이토진사이집 일본의 사상 11」(지쿠마 서점) 1970년
- 카이즈카 시게키 편집·해설 「이토진사이 일본의 명저 13」중앙공론사 1977년 1983년
- 요시카와 고지로, 시미즈 시게루 교주 「이토진사이 이토토가이」 <일본 사상 대계 33>이와나미 서점, 1971년
- 아사야마 요시로, 엄명교주 「이토진사이」<일본한시인선집 4>연문출판, 2000년, ISBN 978-487636-190-8
- 우에타니 겐 교주 『인재일찰(仁斎日札)』<신일본고전문학대계99>이와나미 서점, 2000년 3월
- 이토 린후 「이토진사이,부-이토토가이」<총서·일본의 사상가 10>덕성 출판사, 1983년 3월
- 미야케 마사히코 편집·해설 「고학선생님 시와 글집」<근세 유가 문집 집성 제 1권>리카응사, 1985년
연구서[편집]
- 이또오 진사이 / 이기동 저
- 비토우 마사히데 「이토진사이에 있어서의 학문과 실천」, 「사상」 제524호, 1968년 2월
- 요시카와 고지로 「진사이,소라이,노리나가」,이와나미서점,1975년6월,복간2000년외,ISBN 978-4-00-000959-1
- 와타나베 히로시 「이토진사이·이토토가이-송학 비판과 「고의학(古義学)」
- 사가라 도루·마츠모토3지개·원 료원편 「에도의 사상가들」상권, 연구사 출판, 1979년 11월
- 고야스 노부쿠니 「이토진사이 인륜적 세계의 사상」, 도쿄대학 출판회, 1982년 5월
- 증보판 「이토진사이의 세계」리카응사, 2004년 ISBN 978-4-8315-1060-0
- 이시다 가즈요시 「이토진사이」<인물 총서> 요시카와 히로후미관, 1989년 ISBN 978-4-642-05176-7
- 사가라 도루 「이토진사이」리카응사, 1998년 ISBN 978-48315-0827-0
- 마루야 코이치 「이토 히토시재의 「정」적 도덕 실천론의 구조」, 「사상」 제820호, 1992년 10월
- 다니자와 에이이치 「일본인의 논어 「동자문」을 읽는다」 PHP 신서상·아래, 2002년, ISBN 4-569-62224-0·ISBN 978-4-569-62271-2
- 「일본 유교의 정신 주자학·진사이학·소라이학」시냇물사 1998년 8월
각주[편집]
- ↑ “[책과 삶]“공자와 맹자의 날것이 최고”…일본의 최초 유학서"”. 경향신문. 2014년 2월 13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伊藤仁斎

![]() | 出典は列挙するだけでなく、脚注などを用いてどの記述の情報源であるかを明記してください。 |
伊藤 仁斎(いとう じんさい、寛永4年7月20日(1627年8月30日) - 宝永2年3月12日(1705年4月5日))は、江戸時代の前期に活躍した儒学者・思想家。京都の生まれ。日常生活のなかからあるべき倫理と人間像を探求して提示した。
諱は、はじめ維貞、のち維禎。仮名 (通称)は、源吉、源佐、源七。屋号は、鶴屋七右衛門。仁斎は号であり、諡号は古学先生。『論語』を「最上至極宇宙第一の書」と尊重した。 初めは朱子学者であったが、後に反朱子学となり、孔子・孟子の原義に立ち返る「古義」を標榜した。
生涯[編集]
- 寛永4年7月20日(1627年8月30日) 京都で誕生。
- 1662年 京都の堀川に古義堂(堀川学校)を開く。堀川を隔てた対岸に、山崎闇斎の闇斎塾があった。
- 宝永2年3月12日(1705年4月5日) 死没。
家庭[編集]
- 40歳を過ぎてから結婚し1男2女をもうけたが、52歳のときに妻に先立たれ、その数年後に再婚し、更に4男1女をもうけた。末子で五男の蘭嵎(らんぐう)が生まれたのは仁斎68歳の時である。5人の男子は皆、優れた儒学者となった。東涯(原蔵)・梅宇(重蔵)・介亭(正蔵)・竹里(平蔵)・蘭嵎(才蔵)で、世上「伊藤の五蔵」と称された。
学説と思想[編集]
『論語』を「最上至極宇宙第一の書」と称した。
古義学(古学)を提唱し、主著に『論語古義』『孟子古義』『語孟字義』『中庸発揮』『童子問』『古学先生文集』などが挙げられるが、生前は講義と著述の整理・推敲に尽力し、著作を公刊することはなかった。
仁斎の学問手法は、当時支配的だった朱子学的経典解釈を廃し、直接テクストを検討するというものである。朱子学は学問体系としては非常に整ってはいたが、その成立過程に流入した禅学や老荘思想といった非儒教的な思想のために経書の解釈において偏りがあった。仁斎はそのような要素を儒学にとって不純なものとみなし、いわば実証主義的な方法を用いた。このような傾向は同時代の儒学研究に共通にみられるものである。仁斎は朱子学の「理」の思想に反して、「情」を極的に価値づけした。客観的でよそよそしい理屈よりも人間的で血液の通った心情を信頼している。四端の心や性善説を唱えた。
校注著作[編集]
- 『論語古義』(関儀一郎編『日本名家四書注釈全書』論語部壱、東洋図書、1922年4月)
- 『孟子古義』(関儀一郎編『日本名家四書注釈全書』孟子部壱、東洋図書、1924年10月)
- 清水茂校注 『童子問』[1]岩波文庫、1970年。ISBN 978-4-00-330091-6 - 度々重版
- 木村英一編集・解説 『日本の思想11 伊藤仁斎集』 筑摩書房、1970年
- 吉川幸次郎編集・解説、清水茂校注『日本思想大系33 伊藤仁斎 伊藤東涯』 岩波書店、1971年 -「語孟字義」「古学先生文集」
- 貝塚茂樹責任編集 『日本の名著13 伊藤仁斎』[2] 中央公論社 1972年、新版・中公バックス 1983年
- 浅山佳郎、厳明校注『日本漢詩人選集4 伊藤仁斎』 研文出版、2000年11月、ISBN 978-487636-190-8
- 植谷元校注 『新日本古典文学大系99 仁斎日札 ほか』 岩波書店、2000年
- 伊東倫厚 『伊藤仁斎 附伊藤東涯』<叢書・日本の思想家10>明徳出版社、1983年3月
- 三宅正彦編集・解説 『古学先生詩文集』<近世儒家文集集成 第1巻>ぺりかん社、1985年
参考文献[編集]
- 尾藤正英「伊藤仁斎における学問と実践」、『思想』第524号、1968年2月
- 吉川幸次郎『仁斎・徂徠・宣長』 岩波書店、1975年6月、復刊2000年ほか、ISBN 978-4-00-000959-1
- 渡辺浩「伊藤仁斎・東涯-宋学批判と「古義学」」
- 子安宣邦『伊藤仁斎-人倫的世界の思想』、東京大学出版会、1982年5月
- 増補版『伊藤仁斎の世界』ぺりかん社、2004年 ISBN 978-4-8315-1060-0
- 『仁斎論語 『論語古義』現代語訳と評釈』上下、ぺりかん社、2017年
- 石田一良 『伊藤仁斎』 吉川弘文館「人物叢書」、1989年 ISBN 978-4-642-05176-7
- 相良亨 『伊藤仁斎』 ぺりかん社、1998年 ISBN 978-48315-0827-0
- 丸谷晃一「伊藤仁齋の「情」的道徳実践論の構造」、『思想』第820号、1992年10月
- 『伊藤仁斎の古義学 稿本からみた形成過程と構造』に収録。ぺりかん社、2018年
- 澤井啓一『伊藤仁斎 孔孟の真血脈を知る』ミネルヴァ書房「ミネルヴァ日本評伝選」、2022年 ISBN 978-4-623-09502-5
解説書[編集]
- 谷沢永一『日本人の論語-伊藤仁斎「童子問」を読む』 PHP研究所(新版)、2015年2月、ISBN 4-569-82367-X
- 渡部昇一『伊藤仁斎「童子問」に学ぶ 人間修養に近道なし』 致知出版社、2015年12月、ISBN 4-8009-1098-6
脚注[編集]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이토 닌사이

![]() | 출처 는 열거할 뿐만 아니라 각주 등을 이용하여 어느 기술의 출처인지를 명기해 주십시오. |
이토 히사이 (이토 진사이, 히로 나가 4년 7월 20일 ( 1627년 8월 30일 ) - 호에이 2년 3월 12일 ( 1705년 4월 5일 ))는 에도 시대 의 전기에 활약한 유학자 · 사상가 . 교토 의 태생. 일상생활 속에서 있어야 할 윤리 와 인간상 을 탐구하고 제시했다.
諱는, 처음에 유정, 후유 유. 가명(통칭) 은 겐지치, 겐사, 겐지치. 야호 는 쓰루야 시치오에몬. 닌사이는 호 이며, 사호 는 고학 선생님. '논어'를 '최상지극우주 제일서'라고 존중했다. 처음에는 주자 학자였지만, 후에 반주자학이 되어 공자·맹자의 원의로 돌아오는 '고의'를 표방했다.
평생 [ 편집 ]
- 히로나가 4년 7월 20일(1627년 8월 30일) 교토에서 탄생.
- 1662년 교토의 호리카와에 고의당 (호리카와학교)을 연다. 호리카와를 가로지르는 건너편에 야마자키 암사이의 어둠사이 학원이 있었다.
- 다카나가 2년 3월 12일(1705년 4월 5일) 사망.
가정 [ 편집 ]
- 40세를 지나고 나서 결혼해 1남 2여자를 벌었지만, 52세 때 아내에 앞서 그 몇 년 후에 재혼하고 4남 1여자를 벌었다. 막내에서 오남의 란구가 태어난 것은 인사 68세 때이다. 5명의 남자는 모두 뛰어난 유학자가 되었다. 동평 (원장)· 우메우 (중장)·개정 (정장)· 다케리 ( 평장)· 란후라 (재장)로, 세상 “이토의 오조”라고 불렸다.
학설과 사상 [ 편집 ]
『논어』를 「최상지극우주제일의 서」라고 칭했다.
고의학( 고학 )을 제창하고, 주저하게 『논어 고의』 『孟子古義』 『어 孟字義』 『中庸発휘』『童子問』『古学先生文集』 등을 들 수 있지만, 생전 은 강의 와 저술의 정리· 추억 에 진력해, 저작을 공간하는 것은 없었다.
인사이의 학문 수법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주자 학적 경전 해석을 폐지하고 직접 텍스트를 검토한다는 것이다. 주자학은 학문 체계로서는 매우 정돈되어 있었지만, 그 성립 과정에 유입된 선학이나 노장 사상이라고 하는 비유교적인 사상 때문에 경서의 해석 에 있어서 편향 이 있었다 . 닌사이는 이러한 요소를 유학에 있어서 불순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른바 실증주의 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이러한 경향은 동시대의 유학연구에 공통으로 보이는 것이다. 닌사이는 주자학의 '리'의 사상에 반해 '정'을 극적으로 가치있게 했다. 객관적이고 약한 이굴보다 인간적이고 혈액이 다니는 심정을 신뢰하고 있다. 사단의 마음과 성선설을 주창했다.
주석이 달린 작품 [ 편집 ]
- 『논어 고의』(관의이치로편 『일본명가 4서 주석전서』 논어부단, 동양도서, 1922년 4월)
- 『孟子古義』(세키기 이치로편 『일본 명가 4서 주석 전서』 孟子部壱, 동양 도서, 1924년 10월)
- 시미즈 시게 교주 『 동자문』[1] 이와나미 문고 , 1970년. ISBN 978-4-00-330091-6 - 종종 중판
- 기무라 히데이치 편집·해설 “일본의 사상 11 이토 닌사이집” 쓰쿠마 서방 , 1970년
- 요시카와 유키 지로 편집·해설, 시미즈 시게루 교주 “ 일본 사상 대계 33 이토 히사이 이토 동애 ” 이와나미 서점 , 1971년 - “어학자의” “고학 선생님 문집”
- 가이즈카 시게키 책임 편집 “ 일본의 명저 13 이토 닌사이” [2] 중앙 공론사 1972년, 신판·중공 벅스 1983년
- "일본 한시가집 4 이토니나" 아사야마 요시로 편집, 아이메이 주석 , 얀웬 발행 , 2000년 11월, ISBN 978-487636-190-8
- 우에야 전 교주 『신 일본 고전 문학대계 99 닌사이 일찰 외』 이와나미 서점, 2000년
- 이토 윤후 “이토 닌사이 부 이토 동애”<총서·일본의 사상가 10> 명덕 출판사 , 1983년 3월
- 미야케 마사히코 편집·해설 『고학 선생 시문집』<근세 유가문집 집성 제1권>페리칸사 , 1985년
참고 문헌 [ 편집 ]
- 오토 마사히데「이토 닌사이에 있어서의 학문과 실천」, 「사상」 제524호, 1968년 2월
- 요시카와 유키지로 『니사이・후우사이・선장』이와나미 서점 , 1975년 6월, 복간 2000년 외, ISBN 978-4-00-000959-1
- 와타나베 히로시「이토 히사사이・히가시 츠키-송학 비판과 「고의학」」
- 지안 노부니 "이토 니나 - 인간관계의 세계에 대한 생각", 도쿄대학교 출판부 , 1982년 5월
- 증보판 「이토 닌사이의 세계」페리칸사 , 2004년 ISBN 978-4-8315-1060-0
- 『인사이 논어 『논어 고의』 현대 어역과 평석』 상하, 페리칸사, 2017년
- 이시다 이치로 "이토 니나" 요시카와 히로분칸 " 캐릭터 시리즈 " , 1989 ISBN 978-4-642-05176-7
- 아이라 료「이토 히사이」 페리칸사, 1998년 ISBN 978-48315-0827-0
- 마루야 아키라치 “이토 히토시의 “정”적 도덕 실천론의 구조”, “사상” 제820호, 1992년 10월
- 『이토 닌사이의 고의학 논문에서 본 형성 과정과 구조』에 수록. 페리칸사, 2018년
- 사와이 케이이치 “이토 닌사이 공孟의 진혈맥을 아는”미네르바 서방 “ 미네르바 일본 평전선 ”, 2022년 ISBN 978-4-623-09502-5
해설서 [ 편집 ]
- 타니자와 나가이치「일본인의 논어-이토 닌사이 「동자문」을 읽는다」PHP 연구소 (신판), 2015년 2월, ISBN 4-569-82367-X
- 와타나베 승이치「이토 닌사이 「동자문」에 배우는 인간 수양에 지름길 없음」치치 출판사, 2015년 12월, ISBN 4-8009-1098-6
각주 [ 편집 ]
관련 항목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Itō Jinsai

Itō Jinsai (伊藤 仁斎, August 30, 1627, Kyoto, Japan – April 5, 1705, Kyoto), who also went by the pen name Keisai, was a Japanese Confucian philosopher. H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s of seventeenth century Japan, and the Tokugawa period (1600–1868) generally, his teachings flourishing especially in Kyoto and the Kansai area through the final years of the Tokugawa shogunate.
Jinsai's school, known as the Kogigaku, criticized the teachings of Song dynasty Chinese philosopher Zhu Xi 朱熹 (1130–1200) and instead advocated a philosophical vis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key terms in the Analects and the Mencius. His school has been considered part of a larger movement, Kogaku ("ancient learning'), including earlier scholars such as Yamaga Sokō 山鹿素行 (1622–1685), and later thinkers such as Ogyū Sorai 荻生徂徠 (1666–1728). However, Jinsai never mentions Sokō or his ideas, and Jinsai's own statements of philosophical meaning were strongly and systematically criticized by Sorai. Rather than as a thinker aligned with the so-called Kogaku movement, Jinsai's ideas are best understood on their own terms. Jinsai is widely known for his outspoken affirmation of the validity of human emotions, and his articulation of a metaphysics highlighting the pervasiveness and infinite creative potential of a "unitary generative force" (Jpn: ichigenki). Indicative of his renown in the larger world of East Asian philosophy, Jinsai's writings have frequently been compared to those of the Qing dynasty scholar Dai Zhen 戴震 (1724–1777), whose key work, Mengzi ziyi shuzheng (The Meanings of Philosophical Terms in the Mencius) is very similar in theme and method to Jinsai's opus, the Gomō jigi (The Meanings of Philosophical Terms in the Analects and Mencius).
Life[edit]
Jinsai was born the eldest son of a Kyoto merchant, Itō Ryōshitsu. It is not clear exactly what merchant activities the family was engaged in, however. He began studying Chinese from an early age and devoted himself to Zhu Xi's expression of Song dynasty Neo-Confucianism. He continued to study Confucianism throughout his teens, going over old books his uncle had left his father.[1]
By the age of ten, he was studying under his uncle, a noted physician who had once treated the emperor Go-Yōzei. He also likely studied with Matsunaga Sekigo, a Kyoto-based Neo-Confucian scholar who had in turn studied with Fujiwara Seika. Given the distinctively Kyoto lineage of Jinsai's learning, there are good reasons for interpreting it as an expression of the philosophical world of the ancient imperial capital.[2]
Itō suffered from an unidentified illness when he was twenty-eight and left the family business to his younger brother. Afterwards he became a recluse, studying Buddhism and Daoism. During this time he began to have his first doubts over Zhu Xi's philosophy, even changing his pen name which showed his commitment to humaneness (jin).[3]
He later established a private school, the Kogidō, in Kyoto in 1662. Following Jinsai's death in 1705, leadership at the Kogidō was assumed by his son, Tōgai (1670–1736). The Kogidō was located on the east bank of the Horikawa River, directly across from the school of Yamazaki Ansai. During his lifetime, Ansai became a major proponent of Zhu Xi's version of Song Neo-Confucian thought. Jinsai's school, in contrast, offered a sustained critique of Zhu Xi's ideas. Especially in Kyoto, Jinsai's school met with great success, attracting three thousand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classes and professions.[4]
Teachings[edit]
Jinsai formed his own understanding of Confucian philosophy after coming to realize that Zhu Xi's speculative philosophy of was not practical in everyday ethics. Instead, he felt one could learn the way of the sag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words in the Analects and the Mencius, two of the Four Books that Zhu Xi's philosophy had elevated to nearly canonical status within the broad field of East Asian Confucianism. The other two of the Four Books,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were originally chapters from the Book of Rites (Chinese: Liji), that had been treated as separate volumes, with significant emendations, by Cheng Yi and Zhu Xi. It was largely on the basis of the latter two writings that Zhu Xi in particular had articulated some of his most distinctive Neo-Confucian ideas. In response to Zhu Xi's textual alterations, Jinsai argued, in a very distinctive manner, that "the Great Learning was not a surviving work of the Confucian School", not simply rejecting Zhu Xi's claims on particular points, but in an across the board manner dismissing the text as "not Confucian" in any significant respect. Instead of the Great Learning, Jinsai's approach was to focus on an explanation of the meanings of philosophical terms as discussed in the Analects and the Mencius. Jinsai's approach to Confucian scholarship is today known as kogigaku or "study of ancient meanings". This approach was taken up by later Confucian scholars, particularly Ogyū Sorai.[4]
In significant respects, Jinsai can be seen as advancing the Neo-Confucian project that Zhu Xi, his chief philosophical adversary, had otherwise so effectively and persuasively championed. For example, Jinsai's most comprehensive philosophical text, the Gomō jigi (The Meanings of Philosophical Terms in the Analects and Mencius), was first recorded as Jinsai was giving a series of lectures on Chen Beixi's 陳北溪 (1156–1223) Xingli ziyi 性理字義 (The Meanings of Neo-Confucian Philosophical Terms). Much of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Jinsai's Gomō jigi as well as its methodology of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analysis clearly derive from Beixi's work. The two texts even share common elements in their titles, jigi and ziyi 字義 (Jpn: jigi) being written with the same characters, referring to the meanings of words. In both cases, however, the words that were discussed and defined were distinctively philosophical terms such as tendō (the way of heaven), tenmei (the decree of heaven), michi (the way), sei (human nature), kokoro (the mind and heart), kotowari (principle), kishin (ghosts and spirits), and many others.
Jinsai is often described as an apolitical philosopher. However, the Gomō jigi can easily be seen as an inherently political text, one which defines the very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n ideal political order. In the Analects, 13/3, Confucius, when asked by a disciple what he would do if given political authority, replied that he would "rectify terms" (zheng ming). When his disciple responded with bewilderment, Confucius explained that if words were not used correctly, then in effect there could be little hope for order in a state. For that reason, Confucius added, the prince is always careful in his use of words. Jinsai's project of defining philosophical terms rightly is very much a later day expression of Confucius' view that in order to govern effectively, one must ensure that words are understood and used correctly. If that is not done, then all will be lost.
Jinsai had several fundamental philosophical disagreements with Zhu Xi, the premier interpreter of Confucian thought since the late-Song dynasty. For one, Zhu Xi had claimed that human nature is inherently good. Jinsai disagreed and instead argued it had the potential to become good, but only through daily practice and deeds can this potential be realized. Additionally, he rejected the dualism of rational principal (li) and material force (qi) proposed by Song Confucianism, believing it was material force alone that led to the creation of life and all things.
Furthermore, Zhu Xi connected the way of heaven (tendō) with the human way (jindō) through rational principal. Jinsai on the other hand saw the way (michi) as being embedded in the common and everyday, and not ensconced on some elevated plane as Zhu had suggested. To Jinsai, the central question was how one should conduct oneself in everyday life. Zhu Xi affirmed that all humans are born with an "original human nature" (sei), which is naturally good. Jinsai, however, rejected this.
Rather than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nature, Jinsai stressed natural human emotions (ninjō), which he found in everyday life. Extending from this came the importance that was placed on poetry which allowed for the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This, he believed, provided a needed release of emotions and desires. Song Confucianism he felt too much advocated seriousness and a restraint of human nature.[3] His support for literature even led to the Kogidō attracting som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Chinese poetry than his Confucian teachings.[4]
Although often grouped with the Edo Confucian scholar, Ogyū Sorai, as a proponent of the ancient learning movement, Jinsai's singlemost harsh critic was none other than Sorai. In a letter written to Jinsai, Sorai early on expressed admiration for the Kyoto philosopher and an interest in his philosophy, having read a pirated edition of Jinsai's Gomō jigi published long before Jinsai was ready for it to be released in its final form. Jinsai never responded to Sorai, apparently wounding his pride deeply. Whatever Sorai might have made of Jinsai's silence, it is clear that in Sorai's later writings, in the Bendō and Benmei (1728) in particular, Sorai takes issue with Jinsai on nearly every count, often criticizing him harshly as in effect no different in philosophical doctrine than the thinker he supposedly was criticizing, Zhu Xi.
In the later writings of the Kaitokudō, a merchant academy based in Osaka, Jinsai found a succession of defenders who returned Sorai's critiques with a series of harsh responses to Sorai's own philosophical statements.
Works[edit]
- Gomō jigi 1705 (The Meaning of Words in the Analects and Mencius).
- Dōjimon 1705 (Questions From Children).
- Daigaku teihon 1705 (The Established Text of the Great Learning).
- Hakushimonjū 1704 (Postscripts to the Collected Works of Bo Juyi).
Notes[edit]
- ^ Yamashita, Samuel Hideo. (1983). "The Early Life and Thought of Ito Jinsai", in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43:2, pp. 455-457.
- ^ Tucker, John Allen. (1998). Itō Jinsai's Gomō jigi and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of Early Modern Japan. pp. 29-52
- ^ ab De Bary, William et al. (2005).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Volume 2, 1600 to 2000, pp. 206-207.
- ^ ab c Shirane, Haruo. (2006).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 Anthology, 1600-1900. p. 362.
References[edit]
- Chan, Wing-tsit, translator. Neo-Confucian Terms Explained: The Pei-his tzu-i by Ch'en Ch'un, 1159–1223.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ISBN 978-0-231-06384-5
- De Bary, William Theodore, Arthur E. Tiedemann and Carol Gluck. (2005).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1600 to 2000.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2984-X
- Najita, Tetsuo. (1987). Visions of Virtue in Tokugawa Japan: The Kaitokudō Merchant Academy of Osak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hirane, Haruo. (2006).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0990-3
- Spae, Joseph John. (1967). Itō Jinsai: A Philosopher, Educator and Sinologist of the Tokugawa Period. Peiping: Catholic University of Peking, 1948. New York, Paragon Book Reprint Corp., 1967.
- Tucker, John Allen (1998). Itō Jinsai's Gomō jigi and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of Early Modern Japan. Leiden: E. J. Brill, 1998. ISBN 978-90-04-10992-6
- Tucker, John A. (2006). Ogyū Sorai's Philosophical Masterworks: The Bendō and Benmei.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951-3
- Yamashita, Samuel Hideo (1983). "The Early Life and Thought of Itō Jinsai", in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43(2): 455–7.
External links[edit]
- East Asia Institute, University of Cambridge: Further reading/bibliography
hide
Authority control databases
International
FAST
ISNI
VIAF
National
Germany
Israel
United States
Japan
Korea
Netherlands
Vatican
Other
SNAC
IdRef - =====
![]() |
![]() |
![]() |
![]() |
![]() |
![]() |